KR101990343B1 - 터치 패널,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 및 터치 센서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 및 터치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343B1
KR101990343B1 KR1020187016105A KR20187016105A KR101990343B1 KR 101990343 B1 KR101990343 B1 KR 101990343B1 KR 1020187016105 A KR1020187016105 A KR 1020187016105A KR 20187016105 A KR20187016105 A KR 20187016105A KR 101990343 B1 KR101990343 B1 KR 101990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ne
lines
layer
electrod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2758A (ko
Inventor
마사야 나카야마
타다시 쿠리키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2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bstract

손가락보다 가는 선단을 갖는 부재를 이용하여 터치 검출한 경우여도, 오검출을 억제할 수 있는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를 제공한다. 터치 패널은, 투명 절연 부재의 제1면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층과 투명 절연 부재의 제2면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층을 갖는다. 제1 전극층의 제1 전극 내의 제1 비접속선의 합계 면적을 A1, 제1 전극 내의 제1 전극선의 합계 면적을 B1 및 제1 전극 내의 제1 비접속선의 점유율을 C1로 할 때, C1=A1/(A1+B1)이고, 제2 전극층의 제2 전극 내의 제2 비접속선의 합계 면적을 A2, 제2 전극 내의 제2 전극선의 합계 면적을 B2 및 제2 전극 내의 제2 비접속선의 점유율을 C2로 할 때, C2=A2/(A2+B2)이며, C2<C1인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각각 적어도 하나 갖는다.

Description

터치 패널,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 및 터치 센서
본 발명은,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어, 터치 센서로서 이용되는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에 이용되는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검출의 검출 감도를 조정한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에 이용되는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금속 세선을 이용한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은, 터치를 검출하는 검출 전극의 저(低)저항화가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손가락뿐만 아니라 스타일러스펜과 같은 가는 선단을 갖는 부재가 손가락보다 가는 것이어도 검출 가능한 터치 패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주목을 받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전극선에 의하여 구성된 전극 내에 패드와 비접속인 비접속선을 마련함으로써, 전극 간의 정전 용량의 초깃값을 조절하고, 고감도의 터치 패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91406호
그러나, 상술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터치 패널에서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 검출한 경우에는 오검출하는 경우가 없지만, 손가락보다 가는 선단을 갖는 부재를 이용하여 터치 검출한 경우, 오검출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근거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손가락보다 가는 선단을 갖는 부재를 이용하여 터치 검출한 경우여도, 오검출을 억제할 수 있는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명 절연 부재와, 투명 절연 부재의 제1면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층과, 투명 절연 부재의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층을 가지며, 제1면이 접촉을 검출하는 측인 터치 패널로서, 제1 전극층은, 복수의 제1 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제1 전극은, 제1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뻗는 것이고, 제1 전극은, 복수의 제1 전극선과, 복수의 제1 전극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패드와, 제1 전극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제1 비접속선을 가지며, 제2 전극층은, 복수의 제2 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제2 전극은, 제2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제1 방향으로 뻗는 것이고, 제2 전극은, 복수의 제2 전극선과, 복수의 제2 전극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패드와, 제2 전극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제2 비접속선을 갖고 있으며, 제1 전극 내의 제1 비접속선의 합계 면적을 A1로 하고, 제1 전극 내의 제1 전극선의 합계 면적을 B1로 하며, 제1 전극 내의 제1 비접속선의 점유율을 C1로 할 때, C1=A1/(A1+B1)이고, 제2 전극 내의 제2 비접속선의 합계 면적을 A2로 하고, 제2 전극 내의 제2 전극선의 합계 면적을 B2로 하며, 제2 전극 내의 제2 비접속선의 점유율을 C2로 할 때, C2=A2/(A2+B2)이고, C2<C1인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각각 적어도 하나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투명 절연 부재에 있어서의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이 마련된 감지 영역에 있어서, 제1 비접속선의 점유율 C1과 제2 비접속선의 점유율 C2는, C2<C1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비접속선의 점유율 C1과 제2 비접속선의 점유율 C2는, 1.0<C1/C2≤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비접속선의 점유율 C1과 제2 비접속선의 점유율 C2는, 1.2≤C1/C2≤2.0이다.
제1 전극의 전극폭과 제2 전극의 전극폭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극의 면적을 E1로 하고, 제2 전극의 면적을 E2로 할 때, 제1 비접속선의 합계 면적 A1, 제1 전극선의 합계 면적 B1 및 제1 전극의 면적 E1과, 제2 비접속선의 합계 면적 A2, 제2 전극선의 합계 면적 B2 및 제2 전극의 면적 E2는, 0.9<((A1+B1)/E1)/((A2+B2)/E2)<1.1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극선 및 제1 비접속선과, 제2 전극선 및 제2 비접속선은, 선폭이 1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극선 및 제1 비접속선과, 제2 전극선 및 제2 비접속선은, 선폭이 동일하고, 또한 선폭이 5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투명 절연 부재와, 투명 절연 부재의 제1면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층과, 투명 절연 부재의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층을 갖는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로서, 제1 전극층은, 복수의 제1 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제1 전극은, 제1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뻗는 것이고, 제1 전극은, 복수의 제1 전극선과, 복수의 제1 전극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패드와, 제1 전극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제1 비접속선을 가지며, 제2 전극층은, 복수의 제2 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제2 전극은, 제2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제1 방향으로 뻗는 것이고, 제2 전극은, 복수의 제2 전극선과, 복수의 제2 전극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패드와, 제2 전극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제2 비접속선을 갖고 있으며, 제1 전극 내의 제1 비접속선의 합계 면적을 A1로 하고, 제1 전극 내의 제1 전극선의 합계 면적을 B1로 하며, 제1 전극 내의 제1 비접속선의 점유율을 C1로 할 때, C1=A1/(A1+B1)이고, 제2 전극 내의 제2 비접속선의 합계 면적을 A2로 하고, 제2 전극 내의 제2 전극선의 합계 면적을 B2로 하며, 제2 전극 내의 제2 비접속선의 점유율을 C2로 할 때, C2=A2/(A2+B2)이고, C2<C1인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각각 적어도 하나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는,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을 갖고,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이 투명 절연 부재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은,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를 갖는 터치 센서에도 관한 것이다.
또, 표시 기기는, 표시 패널 및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를 갖고,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 중의 제1 전극층, 투명 절연 부재, 및 제2 전극층과, 표시 패널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보다 가는 선단을 갖는 부재를 이용하여 터치 검출한 경우여도, 오검출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을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1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2 전극층의 제1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1의 예와 제2 전극층의 제1의 예를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2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2 전극층의 제2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2의 예와 제2 전극층의 제2의 예를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3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2 전극층의 제3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3의 예와 제2 전극층의 제3의 예를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4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2 전극층의 제4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4의 예와 제2 전극층의 제4의 예를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5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2 전극층의 제5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5의 예와 제2 전극층의 제5의 예를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6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2 전극층의 제6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6의 예와 제2 전극층의 제6의 예를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7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2 전극층의 제7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7의 예와 제2 전극층의 제7의 예를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7은 비교예의 제1 전극의 제1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8은 비교예의 제2 전극의 제1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9는 비교예의 제1 전극의 제1의 예와 제2 전극의 제1의 예를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0은 비교예의 제1 전극의 제2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은 비교예의 제2 전극의 제2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2는 비교예의 제1 전극의 제2의 예와 제2 전극의 제2의 예를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3은 비교예의 제1 전극의 제3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4는 비교예의 제2 전극의 제3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5는 비교예의 제1 전극의 제3의 예와 제2 전극의 제3의 예를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6은 종래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7은 종래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2 전극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8은 종래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을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에, 첨부한 도면에 나타내는 적합한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란 양측에 기재된 수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ε이 수치 α~수치 β란, ε의 범위는 수치 α와 수치 β를 포함하는 범위이며, 수학 기호에 의하여 나타내면 α≤ε≤β이다.
"구체적인 수치에 의하여 나타난 각도", "평행", "수직" 및 "직교" 등의 각도는, 특별히 기재가 없으면, 해당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오차 범위를 포함한다.
또, "동일"이란, 특별히 기재가 없으면, 해당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오차 범위를 포함한다.
투명이란, 광투과율이, 파장 380~780nm의 가시광 파장역에 있어서, 4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광투과율은, 예를 들면, JIS(일본 공업 규격) K 7375:2008에 규정되는 "플라스틱--전체 광선 투과율 및 전체 광선 반사율의 산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을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성 부재로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는, 표시 패널(20) 상에, 예를 들면, 투명층(18)을 개재하여 마련된다.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 상에는, 투명층(15)을 개재하여 커버층(12)이 마련되어 있다.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는 컨트롤러(14)(도 2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 및 커버층(12)에 의하여 터치 센서(13)가 구성되고,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 커버층(12) 및 컨트롤러(14)에 의하여, 터치 패널(16)이 구성된다. 터치 패널(16) 및 표시 패널(20)에 의하여, 전자 디바이스인 표시 기기가 구성된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는 상술의 표시 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층(12)의 표면(12a)이, 표시 패널(20)의 표시 영역(도시하지 않음)에 표시된 표시물의 시인면이 된다. 또, 커버층(12)의 표면(12a)이, 터치 패널(16)의 터치면이며, 조작면이 된다. 또한, 터치면이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펜 등의 접촉을 검출하는 면이다.
컨트롤러(14)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의 검출에 이용되는 공지의 것에 의하여 구성된다. 터치 패널(16)에서는, 커버층(12)의 표면(12a)에 대한 손가락 등의 접촉에 의하여, 정전 용량이 변화한 위치가 컨트롤러(14)에 의하여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의 검출 방법에 대해서는, 공지의 검출 방법이 적절히 이용 가능하다.
상술과 같이 터치 패널(16)은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16)은, 특히 상호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서 최적이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는, 상호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및 자기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 있지만, 특히 상호 용량 방식으로서 최적이다.
커버층(12)은,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커버층(12)은, 그 구성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층(12)에는, 예를 들면, 판유리 및 강화 유리 등의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수지(PMMA) 등의 아크릴 수지가 이용된다. 커버층(12)의 표면(12a)은, 상술과 같이 터치면이 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표면(12a)에 하드 코트층을 마련해도 된다. 또한, 커버층(12)의 두께로서는 0.1~1.3mm가 사용되고, 특히 0.1~0.7mm가 바람직하다.
투명층(18)은,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절연성을 갖는 것이며, 또한 안정적으로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와 표시 패널(20)을 고정할 수 있으면, 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명층(18)으로서는, 예를 들면,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OCA, Optical Clear Adhesive) 및 UV(Ultra Violet) 경화 수지 등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OCR, Optical Clear Resin)를 이용할 수 있다. 또, 투명층(18)은 부분적으로 중공(中空)이어도 된다.
또한, 투명층(18)을 마련하지 않고, 표시 패널(20) 상에 간극을 두고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를 이간하여 마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간극을 에어 갭이라고도 한다.
또, 투명층(15)은,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절연성을 갖는 것이며, 또한 안정적으로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와 커버층(12)을 고정할 수 있으면, 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명층(15)은 투명층(18)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은, 표시 영역(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이다. 표시 패널(20)은, 액정 표시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기 EL(Organic electro luminescence) 표시 패널이어도 된다.
전자 디바이스는,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 또는 터치 패널(16)을 갖는 것이며,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 또는 터치 패널(16)을 가지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디바이스로서는, 예를 들면, 상술의 표시 기기를 들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로서 구체적으로는, 휴대전화, 스마트 폰, 휴대 정보 단말,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태블릿 단말, 노트형의 퍼스널 컴퓨터, 및 데스크톱형의 퍼스널 컴퓨터 등을 들 수 있다.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는, 예를 들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에 이용되는 것이다.
도전성 부재로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에서는, 제1 전극층(32)과 제2 전극층(40)이 절연 상태에서 대향하여 배치되고,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에서는, 투명 절연 부재(300)를 이용한다.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는,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절연 부재(300)로서, 투명 절연 기체(30)를 이용할 수 있으며, 투명 절연 기체(30)의 표면(30a) 상에 복수의 제1 전극선(35)을 갖는 제1 전극층(32)이 마련되어 있다. 또, 투명 절연 기체(30)의 이면(30b) 상에 복수의 제2 전극선(43)을 갖는 제2 전극층(40)이 마련되어 있다. 도 1에서는, 투명 절연 기체(30)의 표면(30a)과 이면(30b)에 직접 제1 전극층(32)과 제2 전극층(40)이 형성된 구성이지만, 투명 절연 기체(30)와 제1 전극층(32)의 사이, 또 투명 절연 기체(30)와 제2 전극층(40)의 사이에, 전극층과 투명 절연 기체의 밀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하지층(언더코트층) 또는 밀착 강화층, 또 다른 기능층을 1층 이상 마련해도 된다.
투명 절연 기체(30)의 표면(30a)이 제1면이며, 투명 절연 기체(30)의 이면(30b)이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이다. 투명 절연 기체(30)의 표면(30a) 상에 커버층(12)이 적층되어 있으며, 투명 절연 기체(30)의 표면(30a) 측이 터치면 측, 즉 접촉을 검출하는 측이 된다. 즉, 제1면 측이 터치면 측, 즉 접촉을 검출하는 측이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극층(32)은, 복수의 제1 전극(34)을 구비한다. 복수의 제1 전극(34)은, 제1 방향(D1)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제1 방향(D1)과 직교하는 제2 방향(D2)으로 뻗는 것이다. 도 2의 예에서는, 제1 전극(34)은, 장척 형상의 전극이다.
제1 전극(34)은, 복수의 제1 전극선(35)과, 복수의 제1 전극선(35)이 간격을 두고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패드(36)를 갖는다. 제1 전극선(35)은,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선폭 10μm 이하의 금속 세선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전극(34)에 대하여, 각 제1 전극(34)의 제1 패드(36)에 제1 주변 배선(37)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제1 주변 배선(37)이 서로 근접하여 배열되어 있으며, 복수의 제1 주변 배선(37)은 각각 개별적으로 컨트롤러(14)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에 접속되고, 그들 단자는, 투명 절연 기체(30)의 일변(30c)에서 1개의 단자 접속 영역(39)에 통합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주변 배선(37)을 통틀어 제1 주변 배선부(38)라고 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전극층(40)은, 복수의 제2 전극(42)을 구비한다. 복수의 제2 전극(42)은, 제2 방향(D2)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제1 방향(D1)으로 뻗는 것이다. 도 2의 예에서는, 제2 전극(42)은, 장척 형상의 전극이다.
제2 전극(42)은, 복수의 제2 전극선(43)과, 복수의 제2 전극선(43)이 간격을 두고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패드(44)를 갖는다. 제2 전극선(43)은,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선폭 10μm 이하의 금속 세선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2 전극(42)에 대하여, 각 제2 전극(42)의 제2 패드(44)에 제2 주변 배선(45)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제2 주변 배선(45)이 서로 근접하여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제2 주변 배선(45)은 각각 개별적으로 컨트롤러(14)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에 접속되고, 그들 단자는, 투명 절연 기체(30)의 일변(30c)에서 1개의 단자 접속 영역(47)에 통합되어 있다. 복수의 제2 주변 배선(45)을 통틀어 제2 주변 배선부(46)라고 한다.
제1 전극(34)과 제2 전극(42)은 투명 절연 부재(300)에 의하여 절연되어, 적어도 일부를 중첩하여 교차하며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절연 기체(30)의 한쪽의 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Dn)(도 3 참조)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2 전극(42)은 제1 전극(34)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를 중첩하여 교차하며 배치되어 있다. 제1 전극(34)과 제2 전극(42)을 중첩한 적층 방향은 상술의 수직인 방향(Dn)(도 1 참조)과 동일한 방향이다. 복수의 제1 전극(34)과 복수의 제2 전극(42)이 마련된 영역에, 도 2에 나타내는 터치를 검출하는 감지 영역(48)이 형성된다. 감지 영역(48)이 센서 영역이 된다.
복수의 제1 전극(34)은, 후술하는 어느 구성으로 한 경우여도, 검출 감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 동일한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복수의 제2 전극(42)도, 후술하는 어느 구성으로 한 경우여도, 검출 감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 동일한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 전극(34)의 최외(最外)에 있는 제1 전극(34)의 구성을 다른 제1 전극과 상이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제2 전극(42)의 최외에 있는 제2 전극(42)의 구성을 다른 제2 전극(42)과 상이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전극의 형상 또는 전극의 폭을 상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투명 절연 기체(30)의 표면(30a)에 제1 전극(34)을 마련하고, 이면(30b)에 제2 전극(42)을 마련함으로써, 투명 절연 기체(30)가 수축해도 제1 전극(34)과 제2 전극(42)의 위치 관계의 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다.
제1 주변 배선(37) 및 제2 주변 배선(45)은, 예를 들면, 도체 배선에 의하여 형성된다.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를 포함하여 터치 패널(16)의 각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에서는, 투명 절연 부재(300)(도 1에서는 투명 절연 기체(30))를 개재하여 복수의 제1 전극(34)과 복수의 제2 전극(42)이 평면 시에 있어서 중첩되어 배치되는 영역이 감지 영역(48)이다. 감지 영역(48)은,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 있어서, 손가락 등의 접촉, 즉, 터치의 검출이 가능한 감지 영역이다. 표시 패널(20)의 표시 영역 상에 감지 영역(48)을 중첩하여,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가 표시 패널(20)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감지 영역(48)은 가시 영역이기도 하다. 표시 패널(20)(도 1 참조)의 표시 영역 상에 화상이 표시되면, 감지 영역(48)은 화상 표시 영역이 된다.
제1 주변 배선부(38) 및 제2 주변 배선부(46)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는, 예를 들면, 차광 기능을 갖는 가식층(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된다. 가식층에 의하여 제1 주변 배선부(38) 및 제2 주변 배선부(46)를 덮음으로써 제1 주변 배선부(38) 및 제2 주변 배선부(46)가 비가시가 된다.
가식층으로서는, 제1 주변 배선부(38) 및 제2 주변 배선부(46)를 비가시로 할 수 있으면, 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공지의 가식층을 이용할 수 있다. 가식층의 형성에는,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어 인쇄법 및 오프셋 인쇄법 등의 각종 인쇄법, 전사법, 및 증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커버층(12)에 형성해도 되고,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에 형성해도 된다.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것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와 같이, 1개의 투명 절연 기체(30)에 제1 전극층(32)이 마련되고, 또 다른 하나의 투명 절연 기체(31)에 제2 전극층(40)이 마련된 구성이어도 된다.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1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투명 절연 기체(30)의 표면(30a)에, 제1 전극층(32)이 마련된, 투명 절연 기체(30)의 이면(30b)에, 투명 접착층(49)을 개재하여 표면(31a)에 제2 전극층(40)이 마련된 투명 절연 기체(31)가 적층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투명 절연 기체(30)의 표면(30a)에, 제1 전극층(32)이 마련된, 투명 절연 기체(30)의 이면(30b)에, 투명 접착층(49)을 개재하여 이면(31b)에 제2 전극층(40)이 마련된 투명 절연 기체(31)가 적층된 구성이어도 된다. 즉, 투명 절연 부재(300)의 제1면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층(32)과, 투명 절연 부재(300)의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층(40)을 갖는 구조, 즉, 제1 전극층(32)과 제2 전극층(40)이 투명 절연 부재(300)에 의하여 절연되어 있는 구조이면 된다. 도 3에 있어서는, 투명 절연 기체(30)와 투명 접착층(49)에 의하여 투명 절연 부재(300)를 구성하고, 도 4에 있어서는, 투명 절연 기체(30)와 투명 접착층(49)과 투명 절연 기체(31)에 의하여 투명 절연 부재(300)를 구성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도 도 4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도, 투명 절연 기체(30)의 표면(30a) 측이, 터치면 측이 된다. 즉, 제1 전극층(32)이 제2 전극층(40)보다 터치면 측, 즉 접촉을 검출하는 측에 배치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투명 절연 기체(30) 상에 절연막을 개재하여 제1 전극층(32)과 제2 전극층(40)을 적층하는 구성(편면 적층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절연막이 투명 절연 부재(300)에 상당하고, 제1 전극층(32)이 터치면 측, 즉 접촉을 검출하는 측에 배치된다.
또한, 투명 절연 기체(31)는 투명 절연 기체(30)와 동일한 구성이어도 되고, 상이한 구성이어도 된다. 투명 접착층(49)은, 상술의 투명층(18)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도 도 4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도, 제1 전극(34)과 제2 전극(42)을 중첩한 적층 방향은 수직인 방향(Dn)과 동일한 방향이다.
다음으로,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1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2 전극층의 제1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1의 예와 제2 전극층의 제1의 예를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극층(32)의 제1 전극(34)은, 복수의 제1 전극선(35)이, 제1 방향(D1)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전극선(35)은 선폭 10μm 이하의 금속 세선에 의하여 구성되고, 도 5의 예에서는, 굴곡 형상을 갖는다. 굴곡 형상이란, 직선 형상을 갖는 복수의 직선부가 굴곡부를 통하여 이어지는 꺾인 선 형상이다.
또, 제1 전극(34)은, 제1 전극선(35)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선폭 10μm 이하의 금속 세선에 의하여 구성된 복수의 제1 비접속선(50)을 갖는다. 제1 비접속선(50)은, 도시의 편의상, 제1 전극선(35)과 선의 종류를 달리하여 표시하고 있지만, 제1 패드(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점 이외에는 제1 전극선(35)과 동일한 구성이며, 도 5의 예에서는, 제1 비접속선(50)도 굴곡 형상을 갖는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전극층(40)의 제2 전극(42)은, 복수의 제2 전극선(43)이, 제2 방향(D2)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2 전극선(43)은 선폭 10μm 이하의 금속 세선에 의하여 구성되고, 도 6의 예에서는, 굴곡 형상을 갖는다.
제2 전극(42)은, 제2 전극선(4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선폭 10μm 이하의 금속 세선에 의하여 구성된 복수의 제2 비접속선(55)을 갖는다. 제2 비접속선(55)은, 도시의 편의상, 제2 전극선(43)과 선의 종류를 달리하여 표시하고 있지만, 제2 패드(4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점 이외에는 제2 전극선(43)과 동일한 구성이며, 도 5의 예에서는, 제2 비접속선(55)도 굴곡 형상을 갖는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극층(32)과 제2 전극층(40)을 중첩한 상태에서는, 격자(58)가 구성되어 메시 형상이 된다. 이것은 제1 전극층(32)에서는, 제1 전극선(35) 이외에 제1 비접속선(50)을 마련하고. 제2 전극층(40)에서는, 제2 전극선(43) 이외에 제2 비접속선(55)을 마련하는 것에 의한 것이다. 또한, 도 7은, 제1 전극층(32) 측 즉 터치면 측에서 본 경우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굴곡 형상을 갖는 제1 전극선(35)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제2 전극선(43)과 제1 전극선(35)은 동일한 구성이다. 이로 인하여, 제1 전극선(35)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2 전극선(43)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극선(35)은, 직선부(35a)와 굴곡부(35b)를 갖는다. 직선부(35a)는 굴곡부(35b)마다 방향을 변경하여 배치된다. 직선부(35a)의 방향을 나타내는 내각(內角)의 각도는, 제2 방향(D2)으로 평행한 직선 H에 대하여 절댓값으로 θ이다. 이로 인하여, 제1 전극선(35)은, 제2 방향(D2)으로 평행한 직선 J1과 제2 방향(D2)으로 평행한 직선 J2의 사이에 있어서 굴곡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예에서는, 굴곡부(35b)는, 직선 J1 및 직선 J2 중 어느 하나에 접한다.
예를 들면, 직선부(35a)의 길이 L은, 직선부(35a)에 있어서의 제1 방향(D1)의 성분의 길이 Lx가, 제1 방향(D1)에 있어서의 제1 전극선(35) 간의 피치(p)와 동일해지도록 설정해도 된다. 피치(p) 및 각도(θ)는, 터치 패널로서 요구되는 위치 검출의 정밀도, 및 표시 패널(20)에 있어서의 화소 형상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바람직한 피치(p)의 범위는 200μm~1000μm이다. 바람직한 각도(θ)는 30°~120°이다.
여기에서, 제1 전극(34) 내의 제1 비접속선(50)의 합계 면적을 A1로 하고, 제1 전극(34) 내의 제1 전극선(35)의 합계 면적을 B1로 하며, 제1 전극(34) 내의 제1 비접속선(50)의 점유율을 C1로 할 때, C1=A1/(A1+B1)이다. 또, 제2 전극(42) 내의 제2 비접속선(55)의 합계 면적을 A2로 하고, 제2 전극(42) 내의 제2 전극선(43)의 합계 면적을 B2로 하며, 제2 전극(42) 내의 제2 비접속선(55)의 점유율을 C2로 할 때, C2=A2/(A2+B2)이다.
복수의 제1 전극(34) 중, 적어도 1개의 제1 전극(34)과 복수의 제2 전극(42) 중, 적어도 1개의 제2 전극(42)이 C2<C1이다.
도 5의 제1 전극(34)의 구성에서는, 제1 비접속선(50)의 비율을 변경함으로써, 제1 비접속선(50)의 점유율 C1을 변경할 수 있다. 도 6의 제2 전극(42)의 구성에서는, 제2 비접속선(55)의 비율을 변경함으로써, 제2 비접속선(55)의 점유율 C2를 변경할 수 있다.
제1 전극(34)의 전극폭(W1)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제1 전극(34)에 있어서, 1개의 제1 패드(36)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1 전극선(35) 중, 제1 방향(D1)에 있어서의 최외 전극선의 외측 간의 거리이다. 또, 제1 비접속선(50)은, 제1 전극(34)을 구성하는 최외의 제1 전극선 간에 배치된 것이며, 최외의 제1 전극선의 외측에 배치된 제1 전극(34)과 전기적으로 비접속인 선(더미선)은 제1 비접속선(50)에는 포함하지 않는다.
제2 전극(42)의 전극폭(W2)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제2 전극(42)에 있어서, 1개의 제2 패드(44)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2 전극선(43) 중, 제2 방향(D2)에 있어서의 최외 전극선의 외측 간의 거리이다. 또, 제2 비접속선(55)은, 제2 전극(42)을 구성하는 최외의 제2 전극선 간에 배치된 것이며, 최외의 제2 전극선의 외측에 배치된 제2 전극(42)과 전기적으로 비접속인 선(더미선)은 제2 비접속선(55)에는 포함하지 않는다.
상술의 제1 전극선(35) 간의 피치(p)는, 제1 전극선(35) 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전극선(35)과 제1 비접속선(50)의 사이, 제1 비접속선(50) 간에도 적용된다. 상술의 피치(p)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제1 전극(34) 내에 있어서 제1 전극선(35) 등이 균일하게 배치되어, 검출 감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선 시인이 억제되는 등의 효과도 있다.
또한, 제1 전극선(35) 간의 피치(p)는, 제2 전극선(43)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제2 전극선(43) 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전극선(43)과 제2 비접속선(55)의 사이, 및 제2 비접속선(55) 간에도 적용된다. 상술의 피치(p)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제2 전극(42) 내에 있어서 제2 전극선(43) 등이 균일하게 배치되어, 검출 감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선 시인이 억제되는 등의 효과도 있다.
제1 전극(34)의 전극폭(W1) 및 제2 전극(42)의 전극폭(W2)은, 예를 들면, 1~4mm이다. 제1 전극선(35)의 피치(p) 및 제2 전극선(43) 간의 피치(p)는, 예를 들면, 100~3000μm이며, 바람직하게는 200~1000μm이다.
제1 전극층(32)과 제2 전극층(40)을 중첩한 상태에 있어서 형성되는 메시 형상의 패턴의 격자의 한 변의 길이는, 메시 형상의 패턴이 시인되기 어렵다는 관점에서 50~500μm이며, 바람직하게는 200~400μm이다. 이것으로부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자(58)를 갖는 메시 형상의 패턴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제1 전극선(35)의 피치(p) 및 제2 전극선(43) 간의 피치(p)는, 200~400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극층(32)과 제2 전극층(40)에서는 커버층(12)의 표면(12a)으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하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전극층(32)과 제2 전극층(40)에서는 검출 감도가 상이하여, 이것이 원인으로 스타일러스펜과 같은 손가락보다 가는 선단을 갖는 것으로는 오검출하는 경우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에 대하여, 상술과 같이, 제1 비접속선(50)의 점유율 C1과, 제2 비접속선(55)의 점유율 C2에 대하여, C2<C1로 함으로써, 제1 전극층(32) 측의 검출 감도가, 제2 전극층(40)의 검출 감도와 동일한 정도가 된다. 이로 인하여, 손가락보다 가는 선단을 갖는 스타일러스펜에 대한 검출 감도가 향상되어, 손가락보다 가는 선단 직경 2mm의 스타일러스펜이어도, 오검출을 억제할 수 있다.
C2<C1로 하는 것은, 스타일러스펜 등의 손가락보다 가는 것을 이용했을 때의 오검출의 억제하기 위함이며, 적어도 감지 영역(48)(도 2 참조)에 있어서, 상술의 C2<C1이면 된다. 이하, 제1 비접속선(50)의 점유율 C1과, 제2 비접속선(55)의 점유율 C2에 대하여 C2<C1로 하는 이유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36은 종래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7은 종래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2 전극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8은 종래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을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36~도 38에 있어서, 도 5~도 7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 구성물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6에 나타내는 종래의 제1 전극층(100)에 있어서는, 제1 전극(102)에서는, 제1 패드(36)에, 복수의 제1 전극선(35)과 제1 비접속선(50)이 접속되어 있다. 또, 도 37에 나타내는 종래의 제2 전극층(104)에 있어서는, 제2 전극(106)에서는, 복수의 제2 전극선(43)과 제2 비접속선(55)이 제2 패드(44)에 접속되어 있다.
도 36에 나타내는 제1 전극층(100)의 제1 전극(102)과, 도 37에 나타내는 제2 전극층(104)의 제2 전극(106)은 동일한 구성이다.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극층(100)과 제2 전극층(104)을 중첩한 상태에 있어서 메시 형상이 된다.
상술과 같이 제1 전극층(100)의 제1 전극(102)과, 제2 전극층(104)의 제2 전극(106)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커버층(12)의 표면(12a)으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한 경우, 제1 전극층(100)과 제2 전극층(104)에서는 감도가 상이하여, 이것이 원인으로 오검출을 일으킨다.
검출 감도가 상이한 것에 관하여, 가는 선단을 갖는 스타일러스펜에 관한 전극의 검출 감도는, 전극 내의 비접속선의 점유 면적 비율에 의하여 조정 가능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전극 내의 비접속선의 점유 면적 비율이 작을수록, 전극의 검출 감도는 커지는 것을 발견했다. 터치면에서 가까운 제1 전극(34) 내의 비접속선의 점유 면적 비율을, 터치면에서 먼 제2 전극(42) 내의 비접속선의 점유 면적 비율보다 크게 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는 선단을 갖는 스타일러스펜에 대한 제1 전극(34)과, 제2 전극(42)의 검출 감도가 동일해지도록 했다.
또한, 제1 비접속선(50)의 점유율 C1과, 제2 비접속선(55)의 점유율 C2에 대하여, C2<C1로 했지만, 오검출과 감도의 양립을 도모하는 데에는, 1.0<C1/C2≤3.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C1/C2≤2.0이다.
제1 전극(34)의 면적을 E1로 하고, 제2 전극(42)의 면적을 E2로 할 때, 제1 비접속선(50)의 합계 면적 A1, 제1 전극선(35)의 합계 면적 B1 및 제1 전극(34)의 면적 E1과, 제2 비접속선(55)의 합계 면적 A2, 제2 전극선(43)의 합계 면적 B2 및 제2 전극(42)의 면적 E2는, 0.9<((A1+B1)/E1)/((A2+B2)/E2)<1.1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극(34)의 면적 E1과 제2 전극(42)의 면적 E2의 관계는, 상술의 C2<C1을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 전제이다.
제1 전극(34)의 면적 E1은, 제1 전극(34)의 전극폭(W1)과, 제1 전극(34)의 제2 방향(D2)에 있어서의 전극 길이 Lm(도 2 참조)의 곱에 의하여 나타난다. 즉, 제1 전극(34)의 면적 E1은, E1=W1×Lm이다.
제2 전극(42)의 면적 E2는, 제2 전극(42)의 전극폭(W2)과, 제2 전극(42)의 제1 방향(D1)에 있어서의 전극 길이 Ln(도 2 참조)의 곱에 의하여 나타난다. 즉, 제2 전극(42)의 면적 E2는, E2=W2×Ln이다.
(A1+B1)/E1은, 제1 전극(34) 중의 금속 세선의 밀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A2+B2)/E2는, 제2 전극(42) 중의 금속 세선의 밀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0.9<((A1+B1)/E1)/((A2+B2)/E2)<1.1이면, 제1 전극(34)에 있어서의 금속 세선의 밀도와, 제2 전극(42)에 있어서의 금속 세선의 밀도가 동일해져, 전극선의 선 시인 등이 억제되어, 시인성이 양호해진다.
제1 전극(34)의 전극폭과 제2 전극(42)의 전극폭이 동일한 것이 터치 패널의 감도의 면내 균일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제1 전극층(32)에 있어서 제1 전극선(35) 및 제1 비접속선(50)은 선폭이 10μm 이하인 금속 세선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전극층(40)에 있어서 제2 전극선(43) 및 제2 비접속선(55)은 선폭이 10μm 이하인 금속 세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 전극선(35) 및 제1 비접속선(50)과, 제2 전극선(43) 및 제2 비접속선(55)은, 선폭이 동일하고, 또한 선폭이 5.0μm 이하, 특히 1.0μm 이상 5.0μm 이하의 금속 세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선폭이 동일하다란, ±1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선폭 5.0μm의 경우, 선폭이 4.5μm~5.5μm이면, 선폭은 동일한 것으로 한다.
상술의 제1 전극층(32) 및 제2 전극층(40)에 있는 선의 선폭은, 모두 평균값의 값이다.
상술의 제1 전극층(32) 및 제2 전극층(40)에 있는 선의 선폭은, 먼저, 대상이 되는 선의 투명 절연 기체(30)의 표면(30a)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화상을 취득하고, 화상을 퍼스널 컴퓨터로 불러와, 선을 추출한다. 추출한 선을 따라 선폭을 구하고, 복수의 선폭을 얻어, 복수의 선의 선폭의 평균값을 얻는다. 이 평균값을 선폭으로 한다.
상술의 제1 전극층(32) 및 제2 전극층(40)에 있는 선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05~10μm가 바람직하고, 0.1~1μ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두께가 상술의 범위이면, 저저항이고, 또한 내구성이 우수한 선을 비교적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술의 제1 전극층(32) 및 제2 전극층(40)에 있는 선의 두께를 측정하는 경우, 측정 대상이 되는 선의 단면 화상을 취득하고, 단면 화상을 퍼스널 컴퓨터로 불러와, 모니터에 표시하고, 모니터 상에서, 측정 대상이 되는 선의 두께를 규정하는 2개소에, 각각 수평선을 그어, 수평선 간의 길이를 구한다. 이것에 의하여, 측정 대상이 되는 선의 두께를 얻을 수 있다.
상술의 도 5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은 제1 전극선(35)이 굴곡 형상이며, 도 6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은 제2 전극선(43)이 굴곡 형상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선이 메시 형상으로 배치된 메시 전극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2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2 전극층의 제2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2의 예와 제2 전극층의 제2의 예를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9~도 11에 있어서, 도 5~도 7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 구성물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도 11은, 제1 전극(34)과 제2 전극(42)이 중첩되는 교차부(59)(도 2 참조)만을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 및 도 10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은, 전극 구성이 메시 형상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메시 형상의 제1 전극(34)과 도 10에 나타내는 메시 형상의 제2 전극(42)을 중첩하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 형상의 마름모꼴 형상의 격자(58)가 구성되어 메시 형상이 된다.
도 9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은, 제1 전극선(35)과, 제1 비접속선(50)과, 제1 더미선(53)을 갖는다. 제1 전극선(35), 제1 비접속선(50) 및 제1 더미선(53)에 의하여, 예를 들면, 격자 형상이 마름모꼴인 메시 전극이 구성된다. 제1 비접속선(50)은 제1 전극선(35)에 의하여 구성된 마름모꼴의 격자 내에, 마름모꼴의 격자를 합동인 마름모꼴에 의하여 구획하도록 배치된다. 제1 더미선(53)은, 인접하는 제1 전극(34) 간에 제1 전극선(35)과 절연되어 마련되는 것이다. 제1 더미선(53)도, 마름모꼴의 격자를 형성한다.
제1 전극(34)의 전극폭(W1)은, 배치되는 제1 전극선(35)의, 제1 방향(D1)에 있어서의 단(端)으로부터 단까지의 최대 길이이다. 제1 비접속선(50)은, 동일한 제1 패드(36)에 접속된 복수의 제1 전극선(35)에 의하여 둘러싸인 내측 영역에 배치된 것이며, 제1 더미선(53)은 인접하는 제1 전극 간에 배치된 것이다. 제1 전극(34)의 전극폭(W1)에는, 제1 더미선(53)은 고려되지 않는다.
도 10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은, 제2 전극선(43)과, 제2 비접속선(55)과, 제2 더미선(60)을 갖는다. 제2 전극선(43), 제2 비접속선(55) 및 제2 더미선(60)에 의하여, 예를 들면, 격자 형상이 마름모꼴인 메시 전극이 구성된다. 제2 비접속선(55)은 제2 전극선(43)에 의하여 구성된 마름모꼴의 격자 내에, 마름모꼴의 격자를 합동인 마름모꼴에 의하여 구획하도록 배치된다. 제2 더미선(60)은, 제2 전극(42) 간에 마련되는 것이다. 제2 더미선(60)도, 마름모꼴의 격자를 형성한다.
제2 전극(42)의 전극폭(W2)은, 배치되는 제2 전극선(43)의, 제2 방향(D2)에 있어서의 단으로부터 단까지의 최대 길이이다. 제2 비접속선(55)은, 동일한 제2 패드(44)에 접속된 복수의 제2 전극선(43)에 의하여 둘러싸인 내측 영역에 배치된 것이며, 제2 더미선(60)은 인접하는 제2 전극 간에 배치된 것이다. 제2 전극(42)의 전극폭(W2)에는, 제2 더미선(60)은 고려되지 않는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의 제1 비접속선(50)의 점유율 C1과, 도 10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의 제2 비접속선(55)의 점유율 C2는, C2<C1이다.
제1 비접속선(50)의 점유율 C1은, 제1 전극(34)에 있어서의 제1 전극선(35) 또는 제1 비접속선(50)을 마련하는 비율에 의하여 변경할 수 있다. 제2 비접속선(55)의 점유율 C2는, 제2 전극(42)에 있어서의 제2 전극선(43) 또는 제2 비접속선(55)을 마련하는 비율에 의하여 변경할 수 있다.
또, 메시 전극은, 상술의 도 9~도 11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3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2 전극층의 제3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3의 예와 제2 전극층의 제3의 예를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12~도 14에 있어서, 도 9~도 11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 구성물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도 14는, 제1 전극(34)과 제2 전극(42)이 중첩되는 교차부(59)(도 2 참조)만을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 및 도 13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은, 전극 구성이 메시 형상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메시 형상의 제1 전극(34)과 도 13에 나타내는 메시 형상의 제2 전극(42)을 중첩하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름모꼴 형상의 격자(58)가 구성되어 메시 형상이 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은, 도 9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에 비하여, 제1 전극선(35)에 의하여 구성된 마름모꼴의 격자의 일부가 제1 비접속선(50)으로 치환되어 있는 점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9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과 동일한 구성이다.
제1 비접속선(50)은, 제2 방향(D2)을 따라 마름모꼴의 격자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것이 제1 방향(D1)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은, 도 10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에 비하여, 제2 전극선(43)에 의하여 구성된 격자 형상이 마름모꼴인 패턴과, 제2 비접속선(55)에 의하여 구성된 격자 형상이 마름모꼴인 패턴이 제2 방향(D2)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점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과 동일한 구성이다.
또, 전극의 구성으로서는, 도 15~도 17에 나타내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4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2 전극층의 제4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4의 예와 제2 전극층의 제4의 예를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15~도 17에 있어서, 도 9~도 11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 구성물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도 17은, 제1 전극(34)과 제2 전극(42)이 중첩되는 교차부(59)(도 2 참조)만을 나타낸다.
도 15에 나타내는 메시 형상의 제1 전극(34)과 도 16에 나타내는 메시 형상의 제2 전극(42)을 중첩하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름모꼴 형상의 격자(58)가 구성되어 메시 형상이 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은, 도 9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에 비하여, 제1 전극선(35)에 의하여 구성된 마름모꼴의 격자 내에 마련되는 제1 비접속선(50)이 많은 점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9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과 동일한 구성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이, 도 9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보다 제1 비접속선(50)의 점유율 C1이 크다.
도 16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은, 도 10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에 비하여, 제2 전극선(43)에 의하여 구성된 마름모꼴의 격자 내에 마련되는 제2 비접속선(55)이 많은 점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과 동일한 구성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이, 도 10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보다 제2 비접속선(55)의 점유율 C2가 크다.
메시 전극의 경우, 메시 패턴은, 상술과 같이 마름모꼴을 조합한 것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시 패턴으로서는, 정삼각형, 이등변 삼각형, 직각 삼각형 등의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평행 사변형, 사다리꼴 등의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 원, 타원, 혹은 별형 등 또는 이들을 조합한 기하학 도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9부터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은 동일 형상의 마름모꼴이 반복되어 구성된 메시 패턴이 터치 패널의 무아레 저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그 마름모꼴의 예각(銳角)의 각도는 30도~60도인 것이 무아레 저감의 관점에서보다 바람직하다. 메시 패턴이란, 격자 형상으로 구성된 셀이 다수 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메시 패턴으로서는, 닮은꼴의 격자, 또는 합동인 형상의 격자가 조합된 구성이어도 되고, 상이한 형상의 격자가 조합된 것이어도 된다. 또 불규칙한 형상을 조합한 랜덤 메시 패턴, 동일 형상의 마름모꼴의 변을 ±10%의 범위에 있어서 불규칙하게 변화시킨 메시 패턴이어도 된다. 격자, 마름모꼴의 한 변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50~500μm인 것이 시인되기 어려운 점에서 바람직하고, 200~400μ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단위 격자의 변의 길이가 상술의 범위인 경우에는, 또한 투명성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표시 패널 상에 배치했을 때에, 위화감 없이 표시를 시인할 수 있다.
또, 메시 패턴은, 곡선을 조합한 것에 의하여 구성해도 되고, 예를 들면, 원호를 조합하여, 원 또는 타원의 격자 형상의 셀로 해도 된다. 원호로서는, 예를 들면, 90°의 원호, 180°의 원호를 이용할 수 있다.
메시 전극의 경우, 제1 전극선(35) 및 제2 전극선(43)을 구성하는 금속 세선의 선폭은 5.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선폭은, 예를 들면, 1.0μm 이상 5.0μm 이하이다. 선폭이 상술의 범위이면, 저저항이고, 또한 선 시인이 억제된 것을 비교적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전극의 구성으로서는, 메시 전극 이외에 도 18~도 20에 나타내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5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2 전극층의 제5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5의 예와 제2 전극층의 제5의 예를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18~도 20에 있어서, 도 5~도 7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 구성물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도 20, 제1 전극(34)과 제2 전극(42)이 중첩되는 교차부(59)(도 2 참조)만을 나타낸다. 도 18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과 도 19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을 중첩하면,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름모꼴 형상의 격자(58)가 구성되어 메시 형상이 된다. 또, 도 18~도 20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선의 굵기를 변경하고 있지만, 선의 굵기는 실제의 것과 관계 없다.
도 18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은, 제1 전극선(35)과, 제1 비접속선(50)과, 제1 더미선(53)을 갖는다. 예를 들면, 제1 전극선(35)은 굴곡하고 있으며, 제1 전극선(35)에 의하여 둘러싸인 영역에 제1 비접속선(50)이 마련되어 있다. 인접하는 제1 전극(34) 간에는 제1 전극선(35)과 절연된 제1 더미선(53)이 마련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은, 제2 전극선(43)과, 제2 비접속선(55)과, 제2 더미선(60)을 갖는다. 예를 들면, 제2 전극선(43)은 굴곡하고 있으며, 제2 전극선(43)에 의하여 둘러싸인 영역에 제2 비접속선(55)이 마련되어 있다. 인접하는 제2 전극(42) 간에는 제2 전극선(43)과 절연된 제2 더미선(60)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비접속선(50)의 점유율 C1과, 제2 비접속선의 점유율 C2는 C2<C1을 충족시킨다. 이 경우, 제1 비접속선(50)을 늘리거나, 또는 제2 비접속선(55)을 줄이는 것으로, C2<C1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의 제1 전극선(35), 제1 비접속선(50) 및 제1 더미선(53)의 형상과, 도 19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의 제2 전극선(43), 제2 비접속선(55) 및 제2 더미선(60)의 형상은, 제1 전극(34)과 제2 전극(42)을 중첩했을 때에,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름모꼴 형상의 격자(58)가 구성되어 메시 형상이 되며, 또한 상술과 같이 C2<C1을 충족시키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적절히 결정된다.
또, 전극의 구성으로서는, 도 21~도 23에 나타내는 구성이어도 되고, 도 24~도 26에 나타내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6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2 전극층의 제6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6의 예와 제2 전극층의 제6의 예를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7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2 전극층의 제7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제1 전극층의 제7의 예와 제2 전극층의 제7의 예를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21~도 26에 있어서, 도 18~도 20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 구성물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도 26은, 제1 전극(34)과 제2 전극(42)이 중첩되는 교차부(59)(도 2 참조)만을 나타낸다.
도 21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과 도 22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을 중첩하면,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름모꼴 형상의 격자(58)가 구성되어 메시 형상이 된다. 또, 도 24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과 도 25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을 중첩하면,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름모꼴 형상의 격자(58)가 구성되어 메시 형상이 된다.
또한, 도 21~도 23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선의 굵기를 변경하고 있지만, 선의 굵기는 실제의 것과 관계 없다. 또, 도 24~도 26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선의 굵기를 변경하고 있지만, 선의 굵기는 실제의 것과 관계 없다.
도 21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과 도 24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은, 도 18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과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이며, 제1 비접속선(50)의 배치 패턴 및 배치수가 상이하다.
도 22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과 도 25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은, 도 19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과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이며, 제2 비접속선(55)의 배치 패턴 및 배치수가 상이하다.
상술의 메시 전극 이외의 전극 구성의 전극에 있어서는, 제1 전극선(35), 제1 비접속선(50) 및 제1 더미선(53)과, 제2 전극선(43), 제2 비접속선(55) 및 제2 더미선(60)은, 선폭이 1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 전극선(35), 제1 비접속선(50) 및 제1 더미선(53)과, 제2 전극선(43), 제2 비접속선(55) 및 제2 더미선(60)은, 선폭이 동일하고, 또한 선폭이 5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선폭이 동일하다란, 상술과 같이 ±1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전극선(35), 제1 비접속선(50) 및 제1 더미선(53)과, 제2 전극선(43), 제2 비접속선(55) 및 제2 더미선(60)의 선폭은, 모두 평균값의 값이며, 선폭의 측정 방법은 상술과 같다.
또, 제1 전극선(35), 제1 비접속선(50) 및 제1 더미선(53)과, 제2 전극선(43), 제2 비접속선(55) 및 제2 더미선(60)의 두께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005~10μm가 바람직하고, 0.1~1μ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두께가 상술의 범위이면, 저저항이고, 또한 내구성이 우수한 것을 비교적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선의 두께의 측정 방법은 상술과 같다.
이하, 터치 패널의 각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 전극선, 제1 비접속선 및 제1 더미선과, 제2 전극선, 제2 비접속선 및 제2 더미선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전극선, 제1 비접속선 및 제1 더미선과, 제2 전극선, 제2 비접속선 및 제2 더미선>
상술의 제1 전극선(35), 제1 비접속선(50) 및 제1 더미선(53)과, 제2 전극선(43), 제2 비접속선(55) 및 제2 더미선(60)은, 전기 도전성을 갖는 것이며, 예를 들면, 상술과 같이 금속 세선에 의하여 구성된다. 금속 세선은, 예를 들면, 금속, 또는 합금에 의하여 구성되고, 구리, 알루미늄 혹은 은, 또는 그들의 합금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금속 세선에는, 저항값의 관점에서 구리 또는 은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금속 세선은, 금속 입자와 바인더가 함유된, 예를 들면, 금속은 및 젤라틴 또는 아크릴스타이렌계 라텍스 등의 고분자 바인더가 함유된 것이어도 된다.
금속 세선은, 상술의 금속, 또는 합금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금속 산화물 입자, 은 페이스트 및 구리 페이스트 등의 금속페이스트와, 은 나노와이어 및 구리 나노와이어 등의 금속 나노와이어 입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금속 세선은, 단층 구조여도 되고, 다층 구조여도 된다. 금속 세선으로서는, 예를 들면, 산질화 구리층과 구리층과 산질화 구리층이 순차 적층된 구조, 또는 몰리브데넘(Mo)과 알루미늄(Al)과 몰리브데넘(Mo)이 순차 적층된 구조로 할 수 있다.
금속 세선의 반사율을 작게 하기 위하여, 금속 세선의 표면에 황화 또는 산화 처리에 의한 흑화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금속 세선을 보이기 어렵게 하는 흑화층을 마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흑화층은, 예를 들면, 금속 세선의 반사율을 작게 하는 것이다. 흑화층은, 질화 구리, 산화 구리, 산질화 구리, AgO, Pd, 카본 또는 그 외의 질화물 또는 산화물 등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흑화층은 금속 세선의 시인 측에 배치, 즉 터치면 측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상술의 제1 전극선(35), 제1 비접속선(50) 및 제1 더미선(53)과, 제2 전극선(43), 제2 비접속선(55) 및 제2 더미선(6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조 방법>
상술의 제1 전극선(35), 제1 비접속선(50) 및 제1 더미선(53)과, 제2 전극선(43), 제2 비접속선(55) 및 제2 더미선(60)의 제조 방법은, 투명 절연 기체(30) 등에 선을 형성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59620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44761호 등에 기재된 도금법,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637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125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20933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2239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92200호 및 WO2016/157585 등에 기재된 은염법,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29614호 등에 기재된 증착법,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8985호 등에 기재된 도전성 잉크를 이용한 인쇄법 등이 적절히 이용 가능하다.
<제1 주변 배선부 및 제2 주변 배선부>
제1 주변 배선부(38) 및 제2 주변 배선부(46)에 형성되는 제1 주변 배선(37) 및 제2 주변 배선(45)의 선폭(라인)은 50μm 이하가 바람직하고, 30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5μ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제1 주변 배선(37) 및 제2 주변 배선(45)의 간격(스페이스)은 50μm 이하가 바람직하고, 30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5μ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선폭 및 간격이 상술의 범위이면, 제1 주변 배선부(38) 및 제2 주변 배선부(46)의 영역을 좁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주변 배선(37) 및 제2 주변 배선(45)도, 상술의 선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주변 배선(37)과 제1 전극(34)은, 동일 재료에 의하여 동일 공정에 있어서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또 제2 주변 배선(45)과 제2 전극(42)은, 동일 재료에 의하여 동일 공정에 있어서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투명 절연 기체>
투명 절연 기체(30, 31)는, 제1 전극층(32) 및 제2 전극층(40)을 마련할 수 있으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명 절연 기체(30, 31)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투명 수지 재료 및 투명 무기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수지 재료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등의 아세틸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에틸렌(PE), 폴리메틸펜텐,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COP), 사이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유레테인계 수지, 폴리에터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설폰, 폴리에터, 폴리에터케톤, 아크릴로나이트릴, 및 메타크릴로나이트릴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수지 재료의 바람직한 두께는 20~200μm이다.
투명 무기 재료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무알칼리 유리, 알칼리 유리, 화학 강화 유리, 소다 유리, 칼리 유리, 납 유리 등의 유리, 투광성 압전 세라믹스(PLZT(타이타늄산 지르코늄산 란타넘 납)) 등의 세라믹스, 석영, 형석 및 사파이어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무기 재료의 바람직한 두께는 0.1~1.3mm이다.
투명 절연 기체(30, 31)의 적합 양태 중 하나로서는,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및 자외선 조사 처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가 실시된 처리 완료 기판을 들 수 있다. 상술의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처리된 투명 절연 기체(30)의 면에는 OH기 등의 친수성기가 도입되고, 제1 전극층(32) 및 제2 전극층(40)과 투명 절연 기체(30, 31)의 밀착성이 보다 향상된다. 상술의 처리 중에서도, 제1 전극층(32) 및 제2 전극층(40)과 투명 절연 기체(30, 31)의 밀착성이 보다 향상되는 점에서,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가 바람직하다.
투명 절연 기체(30, 31)의 다른 적합 양태로서는, 제1 전극층(32) 및 제2 전극층(40)이 마련되는 면 상에 고분자를 포함하는 하지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하지층 상에, 제1 전극층(32) 및 제2 전극층(40)을 형성함으로써, 제1 전극층(32) 및 제2 전극층(40)과 투명 절연 기체(30)의 밀착성이 보다 향상된다.
하지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고분자를 포함하는 하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판 상에 도포하여, 필요에 따라 가열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하지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용매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고분자를 포함하는 하지층 형성용 조성물로서, 젤라틴, 아크릴 수지, 유레테인 수지, 또는 무기 혹은 고분자의 미립자를 포함하는 아크릴스타이렌계 라텍스를 사용해도 된다.
하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전극층(32) 및 제2 전극층(40)과 투명 절연 기체(30)의 밀착성이 보다 우수하다는 점에서, 0.02~2.0μm가 바람직하고, 0.03~1.5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투명 절연 기체(30)와 제1 전극층(32) 또는 제2 전극층(40)의 사이에 다른 층으로서, 상술의 하지층 이외에,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층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 필요에 따라 이하의 기능막을 형성해도 된다.
<보호층>
투명한 보호층을 제1 전극선(35), 제2 전극선(43) 상에 형성해도 된다. 보호층으로서는, 젤라틴, 아크릴 수지, 유레테인 수지, 아크릴스타이렌계 라텍스 등의 유기막, 및 이산화 실리콘 등의 무기막을 사용할 수 있으며, 막두께는 10nm 이상 100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필요에 따라, 보호층 상에 투명 코트층을 형성해도 된다. 투명 코트층은 아크릴 수지, 유레테인 수지 등의 유기막이 사용되어, 감지 영역(48)에 형성되고, 막두께는 1μm 이상 100μm 이하이다.
<주변 배선 절연막>
도 2에 나타내는 제1 주변 배선(37), 제2 주변 배선(45) 상에 주변 배선의 마이그레이션 방지 및 주변 배선의 부식을 방지할 목적으로, 주변 배선 절연막을 형성해도 된다. 주변 배선 절연막으로서는 아크릴 수지, 유레테인 수지 등의 유기막이 사용되며, 막두께는 1μm 이상 30μm 이하가 바람직하다. 주변 배선 절연막은 제1 주변 배선(37), 제2 주변 배선(45) 중 어느 한쪽에만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주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개량 또는 변경을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도전성 시트는, 필름의 형태여도 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특징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시약, 사용량, 물질량, 비율, 처리 내용, 처리 순서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체예에 의하여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의 구성에 관하여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의 전극 패턴 및 사이즈를 변경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 1~실시예 10, 실시예 11~실시예 13 및 실시예 21~실시예 24와,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21 및 비교예 22를 제작하고, 각각에 대하여 감도, 시인성 및 무아레를 평가했다.
실시예 1~실시예 10, 실시예 11~실시예 13 및 실시예 21~실시예 24와,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21 및 비교예 22에 대하여,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의 전극 패턴 및 사이즈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있어서 "전극폭비"는, 제1 전극의 전극폭(W1)과 제2 전극의 전극폭(W2)의 비(W1/W2)를 나타낸다. 또한 감도, 시인성 및 무아레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에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의 터치 패널(16)을 이용했다.
이하, 실시예 1~실시예 10, 실시예 11~실시예 13 및 실시예 21~실시예 24와,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21 및 비교예 22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실시예 10은, 제1 전극층을 도 5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고, 제2 전극층을 도 6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했다. 도 5에 나타내는 제1 전극층과 도 6에 나타내는 제2 전극층의 조합을 제1 패턴이라고 한다.
실시예 11은, 제1 전극층을 도 9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고, 제2 전극층을 도 10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했다. 도 9에 나타내는 제1 전극층과 도 10에 나타내는 제2 전극층의 조합을 제2 패턴이라고 한다.
실시예 12는, 제1 전극층을 도 12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고, 제2 전극층을 도 13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했다. 도 12에 나타내는 제1 전극층과 도 13에 나타내는 제2 전극층의 조합을 제3 패턴이라고 한다.
실시예 13은, 제1 전극층을 도 15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고, 제2 전극층을 도 16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했다. 도 15에 나타내는 제1 전극층과 도 16에 나타내는 제2 전극층의 조합을 제4 패턴이라고 한다.
실시예 21은, 제1 전극층을 도 18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고, 제2 전극층을 도 19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했다. 도 18에 나타내는 제1 전극층과 도 19에 나타내는 제2 전극층의 조합을 제5 패턴이라고 한다.
실시예 22는, 제1 전극층을 도 21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고, 제2 전극층을 도 22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했다. 도 21에 나타내는 제1 전극층과 도 22에 나타내는 제2 전극층의 조합을 제6 패턴이라고 한다.
실시예 23 및 실시예 24는, 제1 전극층을 도 24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고, 제2 전극층을 도 25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했다. 도 24에 나타내는 제1 전극층과 도 25에 나타내는 제2 전극층의 조합을 제7 패턴이라고 한다.
비교예 1은, 제1 전극층을 도 36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고, 제2 전극층을 도 37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했다. 도 36에 나타내는 제1 전극층과 도 37에 나타내는 제2 전극층의 조합을 제11 패턴이라고 한다.
비교예 2는 제1 패턴이다.
비교예 11은, 제1 전극층을 도 27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고, 제2 전극층을 도 28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했다. 도 27에 나타내는 제1 전극층과 도 28에 나타내는 제2 전극층의 조합을 제8 패턴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도 27은 비교예의 제1 전극의 제1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8은 비교예의 제2 전극의 제1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9는 비교예의 제1 전극의 제1의 예와 제2 전극의 제1의 예를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12)을 중첩한 상태에서는, 격자(58)가 구성되어 메시 형상이 된다.
도 27~도 29에 있어서, 도 9~도 11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 구성물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7~도 29는,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12)이 중첩되는 교차부(59)(도 2 참조)만을 나타낸다.
도 27에 나타내는 제1 전극(110)은, 도 9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에 비하여, 제1 비접속선(50)의 수가 적은 점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9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과 동일한 구성이다. 도 28에 나타내는 제2 전극(112)은, 도 10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과 동일한 구성이다.
비교예 12는, 제1 전극층을 도 30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고, 제2 전극층을 도 31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했다. 도 30에 나타내는 제1 전극층과 도 31에 나타내는 제2 전극층의 조합을 제9 패턴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도 30은 비교예의 제1 전극의 제2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은 비교예의 제2 전극의 제2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2는 비교예의 제1 전극의 제2의 예와 제2 전극의 제2의 예를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12)을 중첩한 상태에서는, 격자(58)가 구성되어 메시 형상이 된다.
도 30~도 32에 있어서, 도 9~도 11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 구성물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0~도 32는,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12)이 중첩되는 교차부(59)(도 2 참조)만을 나타낸다.
도 30에 나타내는 제1 전극(110)은, 도 9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과 동일한 구성이다.
도 31에 나타내는 제2 전극(112)은, 도 10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에 비하여, 제2 비접속선(55)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제2 비접속선(55)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전극선(43)이 마련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며, 그 이외의 구성은 도 10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과 동일한 구성이다.
비교예 21은, 제1 전극층을 도 33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고, 제2 전극층을 도 34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했다. 도 33에 나타내는 제1 전극층과 도 34에 나타내는 제2 전극층의 조합을 제10 패턴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도 33은 비교예의 제1 전극의 제3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4는 비교예의 제2 전극의 제3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5는 비교예의 제1 전극의 제3의 예와 제2 전극의 제3의 예를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극(114)과 제2 전극(116)을 중첩한 상태에서는, 격자(58)가 구성되어 메시 형상이 된다.
도 33~도 35에 있어서, 도 18~도 20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 구성물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3~도 35는, 제1 전극(114)과 제2 전극(116)이 중첩되는 교차부(59)(도 2 참조)만을 나타낸다. 또, 도 33~도 35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선의 굵기를 변경하고 있지만, 선의 굵기는 실제의 것과 관계 없다.
도 33에 나타내는 제1 전극(114)은, 도 18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에 비하여, 제1 방향(D1)의 중앙에 있는 제1 전극선(35)의 구성, 제2 방향(D2)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제1 전극선(35)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전극선(35)의 패턴, 및 제1 비접속선(50)의 배치의 수가 많은 점이 상이하며, 그 이외의 구성은 도 18에 나타내는 제1 전극(34)과 동일한 구성이다.
도 34에 나타내는 제2 전극(116)은, 도 19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에 비하여, 제2 비접속선(55)의 수가 많은 점이 상이하며, 그 이외의 구성은 도 19에 나타내는 제2 전극(42)과 동일한 구성이다.
비교예 22는, 제1 전극층을 도 34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고, 제2 전극층을 도 33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했다. 도 34에 나타내는 제1 전극층과 도 33에 나타내는 제2 전극층의 조합을 제10 패턴(역)이라고 한다.
하기 표 1의 "전극선 패턴"의 란에서는, 전극선이 굴곡 형상인 것을 "굴곡선"이라고 기재하고, 전극선이 메시 형상인 것을 "메시"라고 기재했다. 또, 전극선의 형상이 복잡하고, 굴곡 형상으로도 메시 형상으로도 분류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특수"라고 기재했다.
실시예 1~실시예 5,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모든 선의 선폭을 6μm로 했다.
실시예 6~실시예 10, 실시예 11~실시예 13 및 실시예 21~실시예 24와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21 및 비교예 22는, 모든 선의 선폭을 3μm로 했다.
터치 패널의 구성에 있어서는, 커버층으로서 두께가 0.4mm인 강화 유리를 이용했다. 커버층과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의 사이의 투명층에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OCA, Optical Clear Adhesive, 3M사제 8146-4(제품 번호) 두께 75μm)를 이용했다.
제1 전극층은, 두께 38nm의 산질화 구리층과 두께 500nm의 구리층과 두께 38nm의 산질화 구리층의 적층 구조의 선을 이용하여 구성했다.
제2 전극층은, 두께 38nm의 산질화 구리층과 두께 500nm의 구리층과 두께 38nm의 산질화 구리층의 적층 구조의 선을 이용하여 구성했다.
투명 절연 기체에는 두께 50μm의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COP) 기재를 이용했다.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투명 절연 기체로서, 두께가 50μm인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 기재(이하, 단순히 기재라고 함)를 준비했다. 기재의 제1면과 제2면에, 도액(塗液)을 이용하여 1.2μm의 두께를 갖는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하지층을 형성했다.
그리고, 기재의 제1면의 하지층 상에, 스퍼터법을 이용하여 38nm의 두께를 갖는 하측 산질화 구리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하측 산질화 구리층 상에, 스퍼터법을 이용하여 500nm의 두께를 갖는 구리층을 형성했다. 또한, 구리층 상에, 스퍼터법을 이용하여 38nm의 두께를 갖는 상측 산질화 구리층을 형성하고, 산질화 구리층과 구리층과 산질화 구리층으로 이루어지는 제1 도전층을 형성했다.
제1 도전층과 동일하게 기재의 제2면의 하지층 상에, 스퍼터법을 이용하여 38nm의 두께를 갖는 하측 산질화 구리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하측 산질화 구리층 상에, 스퍼터법을 이용하여 500nm의 두께를 갖는 구리층을 형성했다. 또한, 구리층 상에, 스퍼터법을 이용하여 38nm의 두께를 갖는 상측 산질화 구리층을 형성하고, 산질화 구리층과 구리층과 산질화 구리층으로 이루어지는 제2 도전층을 형성하여, 터치 패널용 도전성 적층체를 형성했다.
다음으로, 터치 패널용 도전성 적층체의 제1 도전층 상과 제2 도전층 상의 양면에 레지스트를 도포하며, 터치 패널용 도전성 적층체의 양면으로부터 노광 마스크를 개재하여, 노광하여, 현상함으로써, 양면에 각각 전극 패턴과 주변 배선 패턴을 갖는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염화 제2 철액을 에칭액으로 하고, 산질화 구리층과 구리층과 산질화 구리층으로 이루어지는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을 에칭하여, 레지스트를 박리액에 의하여 박리함으로써,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을 형성하여,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를 제작했다.
노광 마스크의 패턴을, 상술의 제1 패턴~제11 패턴 및 제10 패턴(역) 중 어느 하나의 패턴으로 함으로써,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다양한 전극선과 비접속선의 패턴을 제작했다.
제작한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와 커버층을 상술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를 이용하여 첩합하고, 컨트롤러와 접속하여, 터치 패널을 제작했다.
감도는, 이하와 같이 하여 평가했다.
터치 패널의 표면 중, 미리 설정한 1만 개소의 위치에 차례로 프로브 로봇을 사용하여, 선단 직경이 2mm인 스타일러스펜을 접촉시키면서, 각 터치 위치를 검출했다. 그리고, 1만 개소의 검출 결과와, 그에 대응하는 설정값을 비교했다. 검출 위치와 설정 위치의 차이 벡터의 절댓값이 작은 쪽부터 세어 9973번째의 값을 이용하여,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감도를 평가했다.
"A": 상술의 9973번째의 값이 1.0mm 미만
"B": 상술의 9973번째의 값이 1.0mm 이상 2.0mm 미만
"C": 상술의 9973번째의 값이 2.0mm 이상
또한, 평가 "C"는 선단 직경 2mm의 스타일러스펜으로는, 오검출이 많아, 사용상 문제가 있는 레벨이며, 평가 "B"는 오검출이 적어 사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 평가 "A"는, 오검출도 없고, 매우 우수한 레벨이다.
시인성은, 이하와 같이 하여 평가했다.
시인성에 대해서는, 피험자가 터치 패널을, 거리 30cm의 위치로부터 관찰하고, 금속 세선의 시인성을 평가했다. 시인성의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이 했다. 시인성에 대해서는 20명의 평가자에 의하여 판정했다.
"A": 20명 중, 1명도 금속 세선을 인식할 수 없다.
"B": 20명 중, 1명 이상 4명 이하가 금속 세선을 인식할 수 있었다.
"C": 20명 중, 5명 이상 10명 미만이 금속 세선을 인식할 수 있었다.
"D": 20명 중, 10명 이상이 금속 세선을 인식할 수 있었다.
또한, 평가 "D"는 실용상 문제가 있는 레벨이며, 평가 "C" 이상이 실용상 문제 없는 레벨, 평가 "B"는 우수한 레벨, 평가 "A"는 매우 우수한 레벨이다.
무아레는, 이하와 같이 하여 평가했다.
무아레에 대해서는, 터치 패널을 액정 표시 모듈 상에 배치하고, 액정 표시 모듈을 녹색으로 점등시킨 상태에 있어서, 터치 패널을 관찰하여, 터치 패널에 무아레가 시인되는지를 평가했다. 무아레의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이 했다. 무아레에 대해서는 20명의 평가자에 의하여 판정했다.
"A": 20명 중, 1명도 무아레를 인식할 수 없다.
"B": 20명 중, 1명 이상 4명 이하가 무아레를 인식할 수 있었다.
"C": 20명 중, 5명 이상 10명 미만이 무아레를 인식할 수 있었다.
"D": 20명 중, 10명 이상이 무아레를 인식할 수 있었다.
또한, 평가 "D"는 실용상 문제가 있는 레벨이며, 평가 "C" 이상이 실용상 문제 없는 레벨, 평가 "B"는 우수한 레벨, 평가 "A"는 매우 우수한 레벨이다.
[표 1]
Figure 112018055723601-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선 패턴이 굴곡선인 실시예 1~실시예 10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는, 실시예 1~실시예 10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하여 감도의 평가가 양호했다. 또, 실시예 1~실시예 4 및 실시예 6~실시예 10은, ((A1+B1)/E1)/((A2+B2)/E2)의 값이 바람직한 범위에 있으며, 시인성의 평가 및 무아레의 평가도 양호했다. 실시예 5는, ((A1+B1)/E1)/((A2+B2)/E2)의 값이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나 있으며, 시인성의 평가 및 무아레의 평가가 뒤떨어졌다.
전극선이 메시 형상인 실시예 11~실시예 13과 비교예 11 및 비교예 12에서는, 실시예 11~실시예 13은, 비교예 11 및 비교예 12에 비하여 감도의 평가가 양호했다. 또, 실시예 11~실시예 13은, ((A1+B1)/E1)/((A2+B2)/E2)의 값이 바람직한 범위에 있으며, 시인성의 평가 및 무아레의 평가도 양호했다.
전극선의 형상이 복잡한 실시예 21~실시예 24와 비교예 21 및 비교예 22에서는 실시예 21~실시예 24는, 비교예 21 및 비교예 22에 비하여 감도의 평가가 양호했다. 실시예 21~실시예 23은, ((A1+B1)/E1)/((A2+B2)/E2)의 값이 바람직한 범위에 있으며, 시인성의 평가 및 무아레의 평가도 양호했다.
실시예 24는, ((A1+B1)/E1)/((A2+B2)/E2)의 값이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나 있으며, 시인성의 평가는 "B"였다.
또한, 다른 양태를 부기하면 이하와 같다.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을 갖는 도전성 부재로서,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이, 절연 상태에서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층은, 복수의 제1 전극을 구비하며, 복수의 상기 제1 전극은, 제1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뻗는 것이며,
상기 제1 전극은, 복수의 제1 전극선과, 복수의 상기 제1 전극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패드와, 상기 제1 전극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제1 비접속선을 갖고,
상기 제2 전극층은, 복수의 제2 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방향으로 뻗는 것이고,
상기 제2 전극은, 복수의 제2 전극선과, 복수의 상기 제2 전극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패드와, 상기 제2 전극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제2 비접속선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1 전극 내의 상기 제1 비접속선의 합계 면적을 A1로 하고, 상기 제1 전극 내의 상기 제1 전극선의 합계 면적을 B1로 하며, 상기 제1 전극 내의 상기 제1 비접속선의 점유율을 C1로 할 때, C1=A1/(A1+B1)이고,
상기 제2 전극 내의 상기 제2 비접속선의 합계 면적을 A2로 하고, 상기 제2 전극 내의 상기 제2 전극선의 합계 면적을 B2로 하며, 상기 제2 전극 내의 상기 제2 비접속선의 점유율을 C2로 할 때, C2=A2/(A2+B2)이고,
C2<C1인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각각 적어도 하나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부재.
10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
12 커버층
12a 표면
13 터치 센서
14 컨트롤러
15 투명층
16 터치 패널
18 투명층
20 표시 패널
30, 31 투명 절연 기체
30a, 31a 표면
30b, 31b 이면
30c 일변
32 제1 전극층
34 제1 전극
35 제1 전극선
35a 직선부
35b 굴곡부
36 제1 패드
37 제1 주변 배선
38 제1 주변 배선부
39 단자 접속 영역
40 제2 전극층
42 제2 전극
43 제2 전극선
44 제2 패드
45 제2 주변 배선
46 제2 주변 배선부
47 단자 접속 영역
48 감지 영역
49 투명 접착층
50 제1 비접속선
53 제1 더미선
55 제2 비접속선
58 격자
59 교차부
60 제2 더미선
100 제1 전극층
102 제1 전극
104 제2 전극층
106 제2 전극
110 제1 전극
112 제2 전극
114 제1 전극
116 제2 전극
300 투명 절연 부재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Dn 수직인 방향
Lm 전극 길이
Ln 전극 길이
W1 전극폭
W2 전극폭
p 피치
θ 각도

Claims (13)

  1. 투명 절연 부재와, 상기 투명 절연 부재의 제1면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층과, 상기 투명 절연 부재의 상기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층을 가지며, 상기 제1면이 접촉을 검출하는 측인 터치 패널로서,
    상기 제1 전극층은, 복수의 제1 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제1 전극은, 제1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뻗는 것이고,
    상기 제1 전극은, 복수의 제1 전극선과, 복수의 상기 제1 전극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패드와, 상기 제1 전극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제1 비접속선을 가지며,
    상기 제2 전극층은, 복수의 제2 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방향으로 뻗는 것이고,
    상기 제2 전극은, 복수의 제2 전극선과, 복수의 상기 제2 전극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패드와, 상기 제2 전극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제2 비접속선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1 전극 내의 상기 제1 비접속선의 합계 면적을 A1로 하고, 상기 제1 전극 내의 상기 제1 전극선의 합계 면적을 B1로 하며, 상기 제1 전극 내의 상기 제1 비접속선의 점유율을 C1로 할 때, C1=A1/(A1+B1)이고,
    상기 제2 전극 내의 상기 제2 비접속선의 합계 면적을 A2로 하고, 상기 제2 전극 내의 상기 제2 전극선의 합계 면적을 B2로 하며, 상기 제2 전극 내의 상기 제2 비접속선의 점유율을 C2로 할 때, C2=A2/(A2+B2)이고,
    C2<C1인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각각 적어도 하나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절연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이 마련된 감지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접속선의 상기 점유율 C1과 상기 제2 비접속선의 상기 점유율 C2는, C2<C1인, 터치 패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접속선의 상기 점유율 C1과 상기 제2 비접속선의 상기 점유율 C2는, 1.0<C1/C2≤3.0인, 터치 패널.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접속선의 상기 점유율 C1과 상기 제2 비접속선의 상기 점유율 C2는, 1.0<C1/C2≤3.0인, 터치 패널.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접속선의 상기 점유율 C1과 상기 제2 비접속선의 상기 점유율 C2는, 1.2≤C1/C2≤2.0인, 터치 패널.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접속선의 상기 점유율 C1과 상기 제2 비접속선의 상기 점유율 C2는, 1.2≤C1/C2≤2.0인, 터치 패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전극폭과 상기 제2 전극의 전극폭이 동일한 터치 패널.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면적을 E1로 하고, 상기 제2 전극의 면적을 E2로 할 때, 상기 제1 비접속선의 상기 합계 면적 A1, 상기 제1 전극선의 상기 합계 면적 B1 및 상기 제1 전극의 상기 면적 E1과, 상기 제2 비접속선의 상기 합계 면적 A2, 상기 제2 전극선의 상기 합계 면적 B2 및 상기 제2 전극의 상기 면적 E2는,
    0.9<((A1+B1)/E1)/((A2+B2)/E2)<1.1인, 터치 패널.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선 및 상기 제1 비접속선과, 상기 제2 전극선 및 상기 제2 비접속선은, 선폭이 10μm 이하인, 터치 패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선 및 상기 제1 비접속선과, 상기 제2 전극선 및 상기 제2 비접속선은, 선폭이 동일하고, 또한 선폭이 5μm 이하인, 터치 패널.
  11. 투명 절연 부재와, 상기 투명 절연 부재의 제1면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층과, 상기 투명 절연 부재의 상기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층을 갖는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로서,
    상기 제1 전극층은, 복수의 제1 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제1 전극은, 제1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뻗는 것이고,
    상기 제1 전극은, 복수의 제1 전극선과, 복수의 상기 제1 전극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패드와, 상기 제1 전극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제1 비접속선을 가지며,
    상기 제2 전극층은, 복수의 제2 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방향으로 뻗는 것이고,
    상기 제2 전극은, 복수의 제2 전극선과, 복수의 상기 제2 전극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패드와, 상기 제2 전극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제2 비접속선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1 전극 내의 상기 제1 비접속선의 합계 면적을 A1로 하고, 상기 제1 전극 내의 상기 제1 전극선의 합계 면적을 B1로 하며, 상기 제1 전극 내의 상기 제1 비접속선의 점유율을 C1로 할 때, C1=A1/(A1+B1)이고,
    상기 제2 전극 내의 상기 제2 비접속선의 합계 면적을 A2로 하고, 상기 제2 전극 내의 상기 제2 전극선의 합계 면적을 B2로 하며, 상기 제2 전극 내의 상기 제2 비접속선의 점유율을 C2로 할 때, C2=A2/(A2+B2)이고,
    C2<C1인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각각 적어도 하나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
  12.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을 갖고,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이 투명 절연 부재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는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이며,
    상기 제1 전극층은, 복수의 제1 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제1 전극은, 제1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뻗는 것이고,
    상기 제1 전극은, 복수의 제1 전극선과, 복수의 상기 제1 전극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패드와, 상기 제1 전극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제1 비접속선을 가지며,
    상기 제2 전극층은, 복수의 제2 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방향으로 뻗는 것이고,
    상기 제2 전극은, 복수의 제2 전극선과, 복수의 상기 제2 전극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패드와, 상기 제2 전극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제2 비접속선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1 전극 내의 상기 제1 비접속선의 합계 면적을 A1로 하고, 상기 제1 전극 내의 상기 제1 전극선의 합계 면적을 B1로 하며, 상기 제1 전극 내의 상기 제1 비접속선의 점유율을 C1로 할 때, C1=A1/(A1+B1)이고,
    상기 제2 전극 내의 상기 제2 비접속선의 합계 면적을 A2로 하고, 상기 제2 전극 내의 상기 제2 전극선의 합계 면적을 B2로 하며, 상기 제2 전극 내의 상기 제2 비접속선의 점유율을 C2로 할 때, C2=A2/(A2+B2)이고,
    C2<C1인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각각 적어도 하나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기재된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를 갖는 터치 센서.
KR1020187016105A 2017-03-06 2018-01-30 터치 패널,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 및 터치 센서 KR101990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41463 2017-03-06
JP2017041463 2017-03-06
PCT/JP2018/003024 WO2018163672A1 (ja) 2017-03-06 2018-01-30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用導電性シートおよびタッチセ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758A KR20180112758A (ko) 2018-10-12
KR101990343B1 true KR101990343B1 (ko) 2019-06-18

Family

ID=63447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105A KR101990343B1 (ko) 2017-03-06 2018-01-30 터치 패널,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 및 터치 센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216349B2 (ko)
JP (1) JP6518384B2 (ko)
KR (1) KR101990343B1 (ko)
CN (2) CN108536328A (ko)
TW (1) TWI746795B (ko)
WO (1) WO20181636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773B1 (ko) * 2014-11-05 2022-03-28 닛샤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배선 부재의 제조 방법 및 전기 배선 부재
KR101990343B1 (ko) * 2017-03-06 2019-06-1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 및 터치 센서
JP2019008606A (ja) * 2017-06-26 2019-01-17 株式会社Vtsタッチセンサー 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JP2019079133A (ja) * 2017-10-20 2019-05-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TWI632503B (zh) * 2017-12-15 2018-08-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面板
US10630824B2 (en) 2018-03-22 2020-04-21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adjustable decoration
KR102611382B1 (ko) * 2018-09-19 2023-1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유닛과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9917975A (zh) * 2019-03-07 2019-06-21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体红触控模组及其制备方法和触控显示装置
TWI693544B (zh) * 2019-04-03 2020-05-11 聯陽半導體股份有限公司 觸控裝置
KR20210043793A (ko) * 2019-10-11 2021-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59239A (ko) * 2019-11-15 2021-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268152B (zh) 2020-02-14 2023-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与触控显示装置
CN113534975A (zh) * 2020-04-14 2021-10-22 宸美(厦门)光电有限公司 触控电极及应用其的触控面板与触控显示器
KR20210157944A (ko) * 2020-06-22 2021-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20021977A (ko) * 2020-08-14 2022-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TWI789634B (zh) * 2020-09-29 2023-01-11 大陸商天材創新材料科技(廈門)有限公司 疊構結構之製備方法、疊構結構及觸控感應器
CN112286398A (zh) * 2020-11-18 2021-01-2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触控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46488A2 (en) * 2005-07-21 2007-01-24 TPO Displays Corp. Electromagnetic digitizer sensor array structure
CN103384870B (zh) * 2011-02-18 2016-06-01 富士胶片株式会社 导电片和触控面板
JP5875484B2 (ja) * 2011-12-22 2016-03-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US8773393B2 (en) * 2012-02-28 2014-07-08 Eastman Kodak Company Touch screen with dummy micro-wires
JP2014191660A (ja) * 2013-03-27 2014-10-06 Japan Display Inc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WO2014171103A1 (ja) * 2013-04-18 2014-10-23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モジュール及び電子情報機器
JP5943023B2 (ja) * 2013-07-08 2016-06-29 凸版印刷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6225793B2 (ja) * 2014-03-28 2017-11-08 凸版印刷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WO2015156196A1 (ja) * 2014-04-07 2015-10-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タッチパネルおよび電子機器
US10025444B2 (en) * 2014-04-08 2018-07-17 Fujikura Ltd. Wiring body and wiring board
JP2016024292A (ja) * 2014-07-18 2016-02-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センサ付き表示装置
KR102199340B1 (ko) * 2014-10-08 2021-0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JP6312855B2 (ja) * 2014-11-27 2018-04-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通電極、導電性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るタッチパネルセンサ、並びに、タッチパネルセンサ
US10534483B2 (en) * 2015-05-04 2020-01-14 Lg Innotek Co., Ltd. Touch panel
TWM523151U (zh) * 2015-11-11 2016-06-01 Bison Optronics Co Ltd 具有無感應功能金屬線條的觸控面板
CN106155450B (zh) * 2016-07-29 2022-10-21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集成触控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1990343B1 (ko) * 2017-03-06 2019-06-1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 및 터치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54488B2 (en) 2020-08-25
CN108536328A (zh) 2018-09-14
US20180275801A1 (en) 2018-09-27
JP6518384B2 (ja) 2019-05-22
CN208000556U (zh) 2018-10-23
WO2018163672A1 (ja) 2018-09-13
US20190138138A1 (en) 2019-05-09
US10216349B2 (en) 2019-02-26
TWI746795B (zh) 2021-11-21
JPWO2018163672A1 (ja) 2019-03-22
KR20180112758A (ko) 2018-10-12
TW201842435A (zh) 2018-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343B1 (ko) 터치 패널, 터치 패널용 도전성 시트 및 터치 센서
JP6799664B2 (ja) タッチセンサ、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用導電部材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導電性シート
US20180110120A1 (en) Touch panel
JP5174745B2 (ja) タッチスイッチ
US11079887B2 (en) Conductive member for touch panel and touch panel
TWI628565B (zh) 導電片、靜電容式觸控面板以及顯示裝置
WO2014129298A1 (ja) 光透過性電極
US10936133B2 (en) Touch panel including conductive member having electrodes configured to enhance visibility
JP2009009249A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2方式併用タッチパネル
US10433419B2 (en) Conductive sheet and touch panel
WO2019044120A1 (ja) タッチパネル用導電部材およびタッチパネル
CN212675533U (zh) 触摸面板用电极部件、触摸面板及图像显示装置
US11132093B2 (en) Touch sensor, touch panel, conductive member for touch panel, and conductive sheet for touch panel
CN212675538U (zh) 触摸面板用电极部件、触摸面板及图像显示装置
CN212675529U (zh) 触摸面板用电极部件、触摸面板及图像显示装置
CN116685937A (zh) 触控面板用导电部件、触控面板、触控面板显示装置及触控面板用导电部件的制造方法
CN115777093A (zh) 触摸面板用导电部件及触摸面板
JP2014134924A (ja) タッ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