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0060A - 진공 단열재 - Google Patents

진공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0060A
KR20170010060A KR1020177000466A KR20177000466A KR20170010060A KR 20170010060 A KR20170010060 A KR 20170010060A KR 1020177000466 A KR1020177000466 A KR 1020177000466A KR 20177000466 A KR20177000466 A KR 20177000466A KR 20170010060 A KR20170010060 A KR 20170010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fin
corner
bent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8491B1 (ko
Inventor
겐타 미야모토
신야 고지마
슈우이치 야쿠시
노리유키 미야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0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22Particular heating or welding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65/028Particular heating or welding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use of inherent heat, i.e. the heat for the joining comes from the moulding process of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02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4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29C66/032Mechanical after-treatments
    • B29C66/0324Reforming or reshaping the joint, e.g. folding 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3Casing-in, i.e. enclosing an element between two sheets by an outlined s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25LLDPE, i.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진공 단열재로서,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외피재(2)와, 외피재(2)의 내부에 마련된 심재를 구비하고, 외피재(2)의 내부가 감압 밀봉된 진공 단열재에 있어서, 외피재(2)의 주연이 시일되어 구성된 시일부와, 외피재(2)의 주연에 형성된 핀부(4)와, 외피재(2)의 주연이 심재를 향하여 되접혔을 때에 발생하는 돌출부가 압축되어 형성된 압축부(21)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복수매 나열하여 배치되었을 때의 단열성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진공 단열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 단열재{VACUUM THERMAL INSULATION MATERIAL}
본 발명은 진공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단열재는, 주머니 형상의 외피재 내에 심재가 들어가고, 외피재의 내부가 감압되는 것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진공 단열재의 외주에는, 사이에 심재를 개재하지 않는, 외피재만으로 이루어지는 핀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진공 단열재는, 상술한 핀부를 외피재의 평면측으로 절곡하고, 외피재에 오버랩시킴으로써 사용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도 13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진공 단열재(100)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진공 단열재(100)는, 심재(101)가 감압 밀봉된 외피재(102)를 갖고 있다. 외피재(102)의 주연에 마련된 핀부(103)가 절곡되고, 외피재(102)의 평면(도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수직 방향)의 평면)에 오버랩되어 있다. 핀부(103)는 테이프 등의 고정 부재(104)에 의해 평면에 접착 고정되며, 냉장고의 단열 벽체(105)에 조립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핀부(103)를 절곡하여, 외피재(102)의 평면에 오버랩하고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에 의해, 경질 폴리우레탄 폼 등의 발포 단열재의 유동을 핀부(103)(주연부)가 저해시키는 일이 없다. 따라서, 공기 포켓, 보이드 및 우레탄 미충전 부분 등이 발생하는 일이 없이, 단열성이 양호한 진공 단열체(100)를 얻을 수 있다.
도 14는 종래의 진공 단열재(100)에 있어서의, 절곡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진공 단열재(100)의 외피재(102)는, 알루미늄박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스 배리어층, 열 용착층, 및 보호층이 적층된 라미네이트 시트(이하, 외피재 시트라고 함)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요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외피재 시트의 측면의 절곡부는, 외피재 시트가 2매 오버랩되어 형성된 핀부(10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절곡부는 상당한 높은 강성 및 강도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핀부(103)의 절곡 부분(103a)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공 단열재(100)의 측면(100a)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절곡 부분(103a)은, 진공 단열재(100)의 2개의 변의 측면(100a, 100b)이 직교하는 코너부에 있어서, 측면(100a) 측의 핀부(103)와 이것과 교차하는 변의 측면(100b) 측의 핀부(103)가 서로 오버랩되기 때문에, 커진다. 또한, 돌출부(107)의 돌출량은, 측면(100a)의 코너부 이외의 중앙 부분, 즉 길이 방향 부분에 형성되는 절곡 부분(103a)의 돌출량보다 크게 된다.
특히, 외피재(102)가, 2매의 외피재 시트의 3변을 용착하여 형성한 3면 접착 주머니 타입(three-sided bag type)인 경우를 상정하면, 절곡 부분(103a)의 돌출부(107)에는, 측면(100a) 측의 핀부(103)의 외피재 시트가 2매(핀부가 1개)와, 측면(100b) 측의 핀부(103)의 외피재 시트가 2매(핀부가 1개)의, 적어도, 외피재 시트가 4매 이상(핀부가 2개 이상) 포함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코너부의 돌출부(107)는, 코너부 이외의, 변의 중앙 부분에 생기는 절곡 부분(103a)의 돌출량에 비해, 특별히 크게 된다.
이러한 돌출부(107)의 존재는, 핀부(103)에 의한, 경질 폴리우레탄 폼 등의 발포 단열재의 유동의 저해라는 관점에서의 영향은 적어, 단열성을 큰 폭으로 저하시키는 일은 없다.
그렇지만, 최근에는, 진공 단열재의 높은 단열성이 주목받고 있으며, 그 용도가 가옥 및 냉동 컨테이너 등의 단열 벽체에도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용도에 이용되는 경우, 진공 단열재는, 그 두께가 두꺼운 것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복수의 진공 단열재(100)를 나열 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돌출부(107)끼리가 맞대는 상태가 되고, 인접하는 진공 단열재(100)끼리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단열 벽체로서의 단열성을 손상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진공 단열재(100)끼리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단열재, 예를 들면 글라스 울 등에 의해 매립할 필요성이 생긴다.
일본 특허 공고 제 소64-4111 호 공보 국제 공개 제 WO 2013/122289 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매 나열하여 배치되었을 때의 단열성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진공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외피재와, 외피재의 내부에 마련된 심재를 구비하고, 외피재의 내부가 감압 밀봉된 진공 단열재이다. 그리고, 외피재의 주연이 시일되어 구성된 시일부와, 외피재의 주연에 형성된 핀부와, 외피재의 주연이 심재를 향하여 되접혔을 때에 발생하는 돌출부가 압축되어 형성된 압축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측면에 생기는, 진공 단열재의 외피재의 주연이 절곡되어 구성되는 돌출부가 압축되어 압축부가 형성되고, 변의 측면 전역은, 코너부로부터 길이 방향에 도달하는 측면 전체에 걸쳐서 대략 동등한 높이가 된다. 따라서, 진공 단열재를 복수매 나열하여 설치하여도, 인접하는 진공 단열재끼리 사이에 큰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간극 발생에 의한 단열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 단열재를 나열하여 배치했을 때에 생기는 진공 단열재끼리의 간극에 의한 단열성 저하를 억제하여, 높은 단열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진공 단열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핀부를 외피재에 오버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코너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코너부 측면의 압축부 높이와 그 높이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코너부에 있어서의, 핀부의 절곡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코너부에 있어서의, 핀부의 절곡 부분을 프레스 성형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코너부에 있어서의, 핀부의 절곡 부분을 프레스 성형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핀부의 절곡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코너부의 절곡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변형예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압축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압축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압축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진공 단열재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종래의 진공 단열재에 있어서의, 절곡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들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1)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동(同) 진공 단열재(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동 진공 단열재(1)의 핀부를 외피재에 오버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1)의 코너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며, 도 5는 동 진공 단열재(1)의 코너부 측면의 압축부 높이와 그 높이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1)의 코너부에 있어서의, 핀부의 절곡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b는 동 진공 단열재(1)의 코너부에 있어서의, 핀부의 절곡 부분을 프레스 성형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c는 동 진공 단열재(1)의 코너부에 있어서의, 핀부의 절곡 부분을 프레스 성형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핀부의 절곡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동 진공 단열재(1)의 코너부의 절곡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동 진공 단열재(1)의 변형예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1)는, 주머니 형상의 외피재(2) 내에, 글라스 울 등으로 이루어지는 심재(3)가 들어가며, 외피재(2)의 내부가 감압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외피재(2)의 외주(주연)에는, 사이에 심재(3)를 개재하지 않는, 외피재(2)(열 용착층(6)을 포함함)로 이루어지는 핀부(4)가 형성되어 있다.
진공 단열재(1)의 제작은 이하와 같이 실행한다. 우선, 2매의 장방형의 외피재 시트(2a, 2b)를 오버랩하고, 그 3변의 외주부끼리를 열 용착 시일(5)로 시일(밀봉)하는 것에 의해, 3면 접착 주머니 타입의 외피재(2)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3면 접착 주머니 타입의 외피재(2) 내에 심재(3)를 삽입하고, 진공 포장기를 이용하여, 주머니 형상의 외피재(2)의 내부를 진공 흡인하면서, 그 개구부를 열 용착 시일(5)로 시일한다. 이와 같이 하여, 진공 단열재(1)가 제작된다(도 2 참조). 여기서, 열 용착 시일(5)은 시일부의 일 예이다.
외피재(2)의 외피재 시트(2a, 2b)는 통상 최내층, 중간층 및 최외층을 갖고 있다. 최내층은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중·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 아크릴로니트릴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중간층은, 알루미늄박 및 알루미늄 증착 필름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배리어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가스 배리어층(7)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최외층은, 나일론 필름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표면 보호의 역할을 수행하는 표면 보호층(8)이 적층 접착된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가스 배리어층(7)에 있어서는, 외피재 시트(2a, 2b) 각각을, 동일종, 또는 이종(異種)의 필름의 조합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필름-알루미늄박 필름, 증착 필름-증착 필름, 알루미늄박 필름-증착 필름의 각 조합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로 나타내는 진공 단열재(1)로서는, 가옥 또는 컨테이너 등의 케이스의 단열 벽체에 이용하기 위한, 비교적 두꺼운 것이 상정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두께를 30㎜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진공 단열재(1)에 있어서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피재(2)의 주연부(핀부(4)를 포함하는 부분)가 심재를 향하여 절곡되며, 외피재(2)의 한쪽의 평면부(1c)(도 3에 있어서는 상면)에 오버랩된다. 여기서, "외피재의 평면부에 오버랩됨"이란, 핀부(4)가, 직접, 외피재(2)의 평면부(1c)에 접하도록 오버랩되어 있어도 좋고, 외피재(2)의 평면부(1c)의 위에 어떠한 물질, 예를 들면 다른 층이 존재하며, 그 다른층에 핀부(4)가 접하도록 오버랩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 외피재(2)의 주연부(핀부(4)를 포함한 부분)의 심재를 향한 절곡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행된다. 우선, 3면 접착 주머니로 되어 있는 외피재(2)의 한 변의 핀부(4-1)를, 진공 단열재(1)의 측면에서 평면부(1c)를 향하여 절곡하여, 외피재(2)의 심재 상당 부분의 평면부(1c)에 오버랩한다(도 7의 (a)).
다음에, 이 핀부(4)와 교차(인접)하는 방향의 핀부(4-2)를, 상술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진공 단열재(1)의 측면에서 평면부(1c)를 향하여 절곡하여, 핀부(4-1) 위에 오버랩한다(도 7의 (b)). 도시하지 않았지만, 핀부(4-2)에 대향하는 핀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절곡하여, 핀부(4-1) 위에 오버랩한다.
그 후, 3면 접착 주머니의 개구부가 되는 마지막 한 변의 핀부(4-3)를, 마찬가지로, 진공 단열재의 측면으로부터 평면부(1c)를 향하여 절곡하여, 핀부(4-2) 위에 오버랩한다(도 7의 (c)).
그 때, 진공 단열재(1)의 각 핀부가 절곡되는 측면, 예를 들면, 측면(1a)에서는, 핀부(4-3)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이중으로 오버랩된 외피재 시트(2a, 2b)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당한 강성 및 강도를 갖고 있다. 따라서, 그 절곡부(10)는, 핀부(4-3)가 절곡된 변의 길이 방향 전역에 걸쳐서, 측면(1a)으로부터 산(mountain)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형태가 된다(도 7의 (d)).
또한, 진공 단열재(1)의, 특히, 측면(1a)의 코너부(양 단부)에서는, 진공 단열재(1)의 다른 변의 측면(1b)을 덮는 핀부(4-2)의 절곡부(X)가, 측면(1a)의 핀부(4-3)와 함께 절곡되어 복잡하게 오버랩되게 된다. 이 때, 각각의 핀부(4-2, 4-3)는 2매의 외피재 시트(2a, 2b)의 중합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코너부의 측면(1a)에서는, 도 4의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에서 보았을 때, 측면(1a)을 따른 변의 길이 방향의 단부를 제외한 전역이 절곡부(10)의 정점(능선의 정점)보다, 크게 돌출하는 돌출부(11)가 형성되게 된다.
이 코너 측면부의 돌출부(11)는, 발명자들이 실행한 검토의 결과, 진공 단열재(1)의 두께가 20㎜ 이상이 되면, 특히 크게 나타나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공 단열재(1)의 주연의 핀부(4)는 진공 단열재(1)의 두께 폭의 대략 중앙선(B) 상에 있어서 외피재 시트(2a, 2b)가 오버랩되며, 중앙선(B)보다 외측에 형성된다. 이 때, 핀부(4)의 코너부에 상당하는 부분(C)에는 능선부(40)가 생긴다.
이 능선부(40)는, 핀부(4-2, 4-3)가 절곡될 때, 절곡된 부분의 내측에 끼워 넣어진다. 그렇지만, 진공 단열재(1)의 두께가 20㎜ 이상이 되면, 이 능선부(40)도 상당히 커져, 핀부(4-2, 4-3)의 절곡 부분의 내측에 끼워 넣어지지 않고, 이 부분을 내부로부터 볼록하게 되어 버려, 결과적으로 큰 돌출부(11)가 형성되어 버린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로 도시하는, 가옥 또는 컨테이너 등의 단열 벽체로서 이용되는 진공 단열재는 두께가 20㎜ 이상으로 두껍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코너부의 돌출부(11)의 돌출량은, 핀부(4-2, 4-3)가 이중 이상으로 복잡하게 중첩되고, 게다가, 그 내부에 능선부(40)가 끼워 넣어지므로, 코너부 이외의 길이 방향 측면의 절곡부(10)의 정점보다, 보다 커지게 된다. 부가하여, 진공 단열재(1)의 외피재(2)를 감압 밀봉하고 있는 열 용착 시일(5)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철 형상으로 파도 형상으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또한 그 요철에 의해도 돌출량이 크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진공 단열재(1)의 코너부 측면을, 프레스 성형하는 것에 의해, 코너부 측면에 생긴 돌출부(11)를 눌러(압축하여), 도 4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부(21)를 형성함으로써, 그 높이를, 길이 방향 측면의 절곡부(10)의 정점과 대략 동등의 높이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핀부(4)가 절곡되어 있는 부분의 변의 전역이 코너부로부터 길이 방향에 도달하는 변 전체에 걸쳐서 대략 동등 높이로 되어 있다. 따라서, 진공 단열재(1)를 가옥의 단열 벽체에 이용한 경우, 진공 단열재(1)를 복수매 나열하여 배치하여도, 진공 단열재(1)끼리 사이에 큰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간극 발생에 의한 단열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진공 단열재(1)의 코너부 측면에 형성되는 압축부(21)의 높이를 길이 방향 측면 부분의 절곡부(10)의 정점으로부터 5㎜ 이내의 범위의 높이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대략 동등 높이"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이가 5㎜ 이내의 높이이다.
여기서, 코너를 사이에 둔 서로 직교하는 2변을 이용하여, 상술의 "대략 동등 높이"에 대해 추가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에서 보아, 코너부 측면에 직각의 L자형상 자(ruler)(D)를 댔을 때, 코너부 측면의 압축부(21)의 정점과 길이 방향 측면 부분의 절곡부(10)의 정점과의 사이의 간극(T)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진공 단열재 1m당 5㎜ 이내의 범위가 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진공 단열재(1)를 나열했을 때, 코너부 측면의 압축부(21)가 서로 맞대어져 간극이 생긴다고 하여도, 진공 단열재(1)끼리의 사이의 최대 간극을 돌출부(11)끼리가 맞대어져 형성되는 10㎜ 이내로 할 수 있다. 이 때, 이 간극의 열전도율은 50mW/mK 이하가 되며, 일반적인 단열재인 글라스 울로 간극을 매립했을 때의 열전도율과 대략 동등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간극을 글라스 울 등의 단열재로 매립하는 일이 없이, 이것과 동등 레벨의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직각의 L자형상 자(D)는 한 변이 500㎜ 이상의 것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도 8의 중앙선(B) 부근에, 핫 멜트, 또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제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핀부(4)의 절곡을 심재를 따라서 실행하는 것이 보다 가능해져, 간극(T)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코너부 측면의 돌출부(11)의 프레스 성형에 의한 압축부(21)의 형성은 일 예로서 가열하면서 열 성형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공 단열재(1)의 두께가 20㎜ 이상의 경우에도, 코너부 측면의 돌출부(11)의 프레스 성형을 가열하면서 실행하는 것에 의해, 코너부 측면에서 핀부(4)가 복잡하게 절곡되어 다중으로 중첩되어 있어도, 열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외피재 시트(2a, 2b) 자체가 연화되므로, 돌출부(11)를 확실히 압축하여, 압축부(21)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그대로 냉각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돌출부(11)의 돌출 치수를, 확실히, 길이 방향 측면 부분과 대략 동등 높이, 즉 길이 방향 측면의 정점으로부터 5㎜ 이내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진공 단열재(1)끼리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의 단열성 확보를,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진공 단열재의 두께가 20㎜ 이상(예를 들면, 25㎜, 30㎜, 35㎜, 40㎜ 등)의 경우에, 코너부 측면의 돌출부(11)의 프레스 성형을 가열하면서 실행하는 열 성형에 의해 실행하는 것이, 보다 유효하다.
또한, 진공 단열재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 성형을, 외피재(2)를 구성하는 외피재 시트(2a, 2b)의 열 용착층(6)의 용융 온도 이상으로 실행한다. 예를 들면, 열 용착층(6)이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융점인 12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면서 프레스 성형한다.
이와 같이, 열 용착층(6)의 용융 온도 이상의 온도로 열 성형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코너부에 있어서의, 히트 시일부인 열 용착 시일(5)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도, 열 용착층(6)이 용융 접착되는 개소(예를 들면, 도 2에 있어서의 개소(5a))가 발생하게 된다.
이것은, 2매의 인접하는 외피재 시트(2a, 2b)의 내면끼리 달라붙어 있는(밀착되어 있음) 것에 의해 판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진공 단열재(1)는, 핀부(4)가 이중 이상으로 겹쳐져 형성되는 코너부 측면에 있어서의, 압축부(21)를 구성하는 부분의 외피재 시트(2a, 2b)가, 열 용착층(6)의 용융에 의해, 서로 열 용착된 상태에서 겹쳐진다.
그 결과, 진공 단열재(1)의 코너부 측면에 있어서, 이중 이상으로 겹쳐지는 부분의 돌출부(11)는, 열 용착에 의한 열 용착층(6)의 연화에 의해, 그 중첩에 의해 생기는 돌출 치수가 저감되고, 압축부(21)가 형성된다. 또한, 진공 단열재(1)의 핀부(4-3)가 절곡되어 있는 변의 측면 전역이 코너부로부터 길이 방향에 도달하는 측면 전체에 걸쳐서 대략 동등 높이가 된다. 따라서, 진공 단열재(1)를 복수매 나열하여 설치하여도, 인접하는 진공 단열재끼리 사이에 큰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간극 발생에 의한 단열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열 성형된 절곡 부분의 핀부(4)의 열 용착층(6)끼리가 용융 접착되는 것에 의해, 시일부가 구성되며, 이 부분에서도 외기 침투 방지 효과가 발휘된다. 따라서, 핀부(4)의 단연으로부터의 외기 침투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되어,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한 진공도를 보지하고, 높은 단열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열 성형은 열 용착층(6)의 용융 온도 이하로 실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시간이 걸리지만, 열 용착층(6)이 연화되는 시간, 열 성형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프레스 성형은, 예를 들면, 상면에서 보았을 때에, 도 5에 도시하는 L자형상 자(D)와 같은 형태를 한 형의 히터를 가압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측면(1a)의 돌출부(11) 뿐만이 아니라, 핀부(4)의 절곡 상태에 따라서는, 측면(1b)에도 형성되는 돌출하는 절곡부(X)에 대해서도, 측면(1b)과 대략 동등 높이로 할 수 있어서 효과적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압축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진공 단열재(1)의 대향하는(대각선 상의) 코너부 각각에, 동시에, 단부면이 L자형상 자(D)와 같은 형태를 한 형태의 히터(35, 38)를 지그(36, 37)를 개재하여 가압하는 것에 의해도, 한 번에 2개의 돌출부(11)를 압축하여, 압축부(21)를 형성할 수 있다(도 10 참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스 성형을, L자형상 자와 같은 형태를 한 형의 히터를 가압하여 실행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의 형태를 한 형의 히터(39)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실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우선, 핀부(4-2)에 대하여, 직선 형상의 형태를 한 형의 히터(39)를 가압하고(도 11), 다음에 핀부(4-3)에 대하여, 직선 형상의 형태를 한 형의 히터(39)를 가압하는(도 12)) 것에 의해, 돌출부(11)를 압축하여, 압축부(21)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우선은 코너 부분을 가열하고, 그 후에 L자형상 자와 같은 형태를 한 형, 또는, 직선 형상의 형태를 한 형을 측면(1a, 1b)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 돌출부(11)를 압축하여 압축부(21)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적외선 히터 등의 복사열을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따뜻하게 하여 형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돌출부(11)를 압축하여 압축부(21)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진공 단열재(1)를 고온의 오븐(가열로)에 넣으면서, 비접촉으로 따뜻하게 하여, 형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돌출부(11)를 압축하여 압축부(21)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프레스 성형은 적어도 코너부의 단부면 부분에 실행하면 좋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돌출부(11)가 생기는 측면(1a)의 길이 방향 전역을 일체로 프레스 성형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핀부(4)가 절곡되어 있는 부분의 변의 측면(1a)의 전역, 즉 코너부로부터 길이 방향에 도달하는 측면(1a) 전체의 높이를 보다 균일한 평면 형상의 것으로 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피재(2)는 3면 접착 주머니 타입의 것을 이용하고 있으며, 코너부 측면에 생기는 돌출부(11)는 높이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3면 접착 주머니 타입의 외피재(2)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1)라도, 코너부 측면의 압축부(21)의 높이를 길이 방향 측면 부분의 절곡부(10)의 정점과 대략 동등 높이로 할 수 있다.
게다가, 3면 접착 주머니 타입의 외피재(2)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1매의 외피재 시트를 통형상으로 용착하여 주머니 형상으로 한 필로우(pillow) 타입의 외피재를 이용한 경우(특허문헌 2를 참조)에 발생하는, 용착부에서의 스루홀에 의한 진공도 저하 염려가 없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단열재(1) 자체의 진공도를 보다 장기간 보지하여, 높은 단열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진공 단열재에서는, 외피재 시트를 통형상으로 가공할 때에, 그 폭 방향의 크기(굵기)를 심재와 맞출 수 있으므로, 본 실시형태의 3면 접착 주머니 타입과 같이, 측면에 핀부는 발생하기 어려워, 코너부에 외피재 시트가 이중 이상으로 절첩된 돌출부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코너부에 외피재 시트가 이중 이상으로 절첩된 돌출부(11)가 발생하므로, 이것을 압축하여 압축부(21)를 형성하는 것이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1)는 코너부 측면의 돌출부(11)로 형성된 압축부(21) 뿐만이 아니라, 측면과 직교하는 평면부에 겹쳐진, 핀부(4)의 절곡편의 높이에 대해서도, 평면부와 대략 동등 높이, 또는, 그 절곡편의 높이 치수를 평면부의 높이에 대하여, 5㎜ 이내로 할 수 있다.
진공 단열재(1)는, 그 평면부에, 진공 단열재(1)를 보호하는 보호판(도시하지 않음)을 중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라도, 보호판과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억제할 수 있어서, 간극의 발생에 의한 단열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보호판으로서, 적어도 진공 단열재(1)와 면하는 측의 면이 유연한 스펀지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평면부에 겹쳐진 핀부(4)의 절곡편과, 평면부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매립할 수 있다. 따라서, 간극의 발생에 의한 단열성 저하의 억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진공 단열재(1)는, 그 평면부 전체에 걸쳐서 대략 동등한 높이로 되어 있으므로, 진공 단열재(1)를 중첩하여 배치하여도, 그 평면부끼리의 사이에 큰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평면 상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에 따른 단열성 저하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진공 단열재(1)의 평면부에 겹쳐진 핀부(4)는, 평면부에 테이프 등에 의해 부착하여 고정, 또는, 핫 멜트 등의 접착제로 접착 고정해 두면 좋다. 이에 의해, 진공 단열재(1)를 운송할 때에, 절곡된 핀부(4)가 개방되어 버려, 반송 컨테이너 등에 부딪쳐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효과적이다.
여기서, 핀부(4)가 절곡 방향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피재(2)의 핀부(4-1, 4-2, 4-3)는 진공 단열재(1)의 측면으로부터 한쪽의 평면부(1c)를 향하여 절곡되어 있다. 즉, 동일 방향으로 절곡(도면 상에서는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 경우,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평면부(1c)(상면)의 코너부의 절곡부(X)에 생기는 돌출부는, 핀부(4-2)의 외피재 시트 2매(핀부가 1개), 핀부(4-3)의 외피재 시트 4매(핀부가 2개)로 구성되며, 합계로 외피재 시트 6매(핀부가 3개)분의 두께가 된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핀부(4-2)를 한쪽의 평면부(1c)를 향하여 절곡하고, 핀부(4-3)를 다른쪽의 평면부를 향하여 절곡하여도 좋다. 즉, 역방향으로 절곡(도면 상에서는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절곡)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평면부의 코너부에 생기는 돌출부(11)는 한쪽의 평면부(1c)에 있어서는 핀부(4-2)의 외피재 시트 2매(핀부가 1개), 다른쪽의 평면부에 있어서는 핀부(4-3)의 외피재 시트 4매(핀부가 2개)가 된다.
즉, 핀부(4-2, 4-3)를 서로 역방향으로 절곡한 경우에, 평면부의 코너부에 생기는 돌출부(11)는, 핀부(4-2, 4-3)를 동일 방향으로 절곡한 경우와 비교하여, 핀부를 절곡한 시점에서의 높이를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즉, 교차하는 2개의 핀부를 상이한 방향으로 절곡하는 것에 의해, 핀부를 절곡한 시점에서의, 일 방향에 대한 돌출부(11)의 높이를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핀부의 절곡의 순서에 대해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피재(2)의 한 변의 핀부(4-1)를 진공 단열재(1)의 측면으로부터 평면부를 향하여 절곡하고, 다음에 이 핀부(4-1)와 교차하는 방향의 핀부(4-2)를 절곡하고, 다음에 이 핀부(4-2)와 교차하는 방향의 핀부(4-3)를 절곡하고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본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핀부(4-2)를 절곡하고, 다음에 이 핀부(4-2)와 교차하는 방향의 핀부(4-1)를 절곡하고, 다음에 이 핀부(4-2)와 교차하는 방향의 핀부(4-3)를 절곡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핀부의 절곡 작업에 있어서, 핀부(4-2)를 중심으로 하여, 인접하는 핀부(4-1), 인접하는 핀부(4-3)를 절곡하면 좋으며, 작업이 편해진다.
또한, 진공 단열재(1)의 외피재(2)를 감압 밀봉하는 핀부(4)의 열 용착 시일(5) 부분에 있어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9)가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이 오목부(9) 부분에 있어서의 열 용착층(6)의 두께를 얇게 하여, 열 용착층(6)의, 외피재(2) 외주 단부면에 노출된 부분으로부터, 내부로의 외기 침투를 저감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핀부(4)를 열 성형하고, 열 용착층(6)끼리를 용융 접착시켜 구성한 시일부의 효과와, 열 용착 시일(5)에 오목부(9)를 마련한 것에 의한 효과가 합쳐져, 외기 침투를 보다 강력하게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한 진공도를 보지하여, 높은 단열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열 용착 시일(5)에 오목부(9)를 마련한 것에 의해 생기는 요철 형상의 파도 형상은, 그 요철에 의해, 기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1)의 돌출량을 크게 하도록 작용한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열 성형에 의한 압축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압축부(21)의 돌출량은 작아지고, 오목부(9)를 마련한 것에 의한 외기 침투 저감 효과를 발휘시키면서, 압축부(21)의 돌출량을 작게 할 수 있어서 효과적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진공 단열재(1)는, 이것을 복수 나열하여 배치함으로써, 가옥의 단열 벽 또는 컨테이너 벽 등의 단열 벽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진공 단열재(1)를 나열하여 구성한 단열 벽체는, 진공 단열재끼리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의 열전도율을, 적어도 50mW/mK 이하와, 일반적인 단열재인 글라스 울의 열전도율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간극을 글라스 울 등의 단열재로 매립하는 일이 없이, 양호한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단열 벽체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수송 관련이면, 육상의 철도 차량, 트럭, 및 냉동차 등의 컨테이너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해상의 수송선의 컨테이너 등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건설 관련이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가옥, 저온 창고, 및 농업 창고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진공 단열재를, 진공 단열재를 나열하여 빈틈없이 까는 단열 벽체, 및 이것을 이용하여 구성한 케이스에 이용하는 것에 의해, 높은 단열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실시형태의 진공 단열재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형태로 예시한 구성이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예를 들면, 진공 단열재 내에는, 외피재 시트의 단부와 외피재 시트의 단부가, 오버랩되는 부분이 변의 단부가 아닌 도중에 발생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타입의 진공 단열재에서는, 변의 도중의 외피재 시트 단부의 오버랩 부분(돌출부)이, 코너부 측면의 돌출부보다, 크게 돌출되는 튀어나온 부분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외피재 시트 단부의 오버랩에 의해 변의 도중에 생기는 튀어나온 부분(돌출부)은 코너부 측면에 생기는 돌출부(정도)만큼 강성이 높지 않으므로, 진공 단열재를 나열하여 배치할 때에, 진공 단열재의 측면끼리를 압박 상태로 함으로써,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진공 단열재를 나열하여 배치했을 때의 간극을 저감시키고, 간극 발생에 의한 단열성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코너부 측면의 강성이 있는 돌출부를 압축하여 압축부를 형성하고, 그 돌출량을 작게 해 두면 좋다. 즉, 변 도중의 튀어나온 부분(돌출부)이 코너부 측면의 돌출부보다 크게 돌출되어 있는 구성의 진공 단열재라도,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외피재 시트의 단부끼리가 서로 오버랩되는 부분이 변의 도중에 존재하는 진공 단열재라도,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의 히터를 변 전체에 걸쳐서 가압하여 압축하는 것에 의해, 변 전체를 대략 동등 높이로 할 수 있어서, 진공 단열재를 나열하여 배치했을 때의 간극을 저감시켜, 간극 발생에 의한 단열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 1 태양은,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외피재와, 외피재의 내부에 마련된 심재를 구비하고, 외피재의 내부가 감압 밀봉된 진공 단열재로서, 외피재의 주연이 시일되어 구성된 시일부와, 외피재의 주연에 형성된 핀부와, 외피재의 주연이 심재를 향하여 되접혔을 때에 발생하는 돌출부를 압축하여 형성된 압축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진공 단열재의 외피재의 주연이 절곡되어 있는 돌출부가 압축되고, 절곡된 변의 측면 전역은 코너부로부터 길이 방향에 도달하는 측면 전체에 걸쳐서 대략 동등 높이가 된다. 따라서, 진공 단열재를 복수매 나열하여 설치하여도, 인접하는 진공 단열재끼리 사이에 큰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간극 발생에 의한 단열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이란, 통상 실행하는, 핀부의 절곡 가공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그 이상이 압력을 가하여 변형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통상 실행되는, 핀부의 절곡 가공만을 실행한 경우보다, 코너부의 돌출부가 작은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압축이 이루어진 것이라고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축에 있어서는, 프레스기, 또는 바이스(vise)에 의해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다음에, 제 2 태양은, 제 1 태양에 있어서, 압축부는 진공 단열재의 코너부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진공 단열재의 코너부에 발생하는, 핀부가 절곡된 돌출부가 압축되며, 절곡된 변의 측면 전역은 코너부로부터 길이 방향에 도달하는 측면 전체에 걸쳐서 대략 동등한 높이가 된다.
다음에, 제 3 태양은, 제 1 태양 또는 제 2 태양에 있어서, 압축부는, 핀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열 성형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이에 의해, 열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외피재 시트 자체가 연화되므로, 진공 단열재의 핀부가 절곡되어 있는 돌출부가 확실히 압축되고, 변의 측면 전역은 코너부로부터 길이 방향에 도달하는 측면 전체에 걸쳐서 대략 동등 높이가 된다. 따라서, 진공 단열재를 복수매 나열하여 설치하여도, 인접하는 진공 단열재끼리 사이에 큰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간극 발생에 의한 단열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열 성형"이란, 외피재 시트의 열 용착층의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서 프레스 성형하는 것, 및 외피재 시트의 열 용착층의 용융 온도 이하로 가열하면서 프레스 성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외피재 시트의 열 용착층의 용융 온도 이상으로 열 성형을 실행한 경우에는, 코너부에 있어서, 히트 시일부 이외에도, 열 용착층이 용융 접착되어 있는 개소가 발생한다. 이것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열 성형이 실행되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2매의 인접하는 외피재 시트의 내면이 달라붙어 있는(밀착되어 있음) 것에 의해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열 성형은, 반드시, 가열하면서 프레스 성형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우선은 가열하고, 그 후에 형을 가압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다음에, 제 4 태양은, 제 1 태양 내지 제 3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외피재는 열 용착층을 갖고, 압축부의 열 용착층이 압축부가 형성될 때의 압축에 의해 열 용착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진공 단열재의 이중 이상으로 겹쳐지는 부분의 돌출부로 형성되는 압축부는, 열 용착에 의한 연화에 의해, 그 중첩에 의해 생기는 돌출 치수가 저감된다. 그리고, 진공 단열재의 핀부가 절곡되어 있는 변의 측면 전역은 코너부로부터 길이 방향에 도달하는 측면 전체에 걸쳐서 대략 동등 높이가 된다. 이에 의해, 진공 단열재를 복수매 나열하여 설치하여도, 인접하는 진공 단열재끼리 사이에 큰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간극 발생에 의한 단열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외피재를 서로 열 용착한 부분이 시일부를 구성하고, 이 부분에서 외기 침투 방지 효과가 발휘되게 되므로, 외기 침투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되어,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한 진공도를 보지하고 높은 단열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부의 열 용착층이 열 용착되어 있는 구성이란, 히트 시일부 이외에서, 열 용착층이 용융 접착되어 있는 개소가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것은, 2매의 인접하는 외피재 시트의 내면이 달라붙어 있는(밀착되어 있음) 것에 의해 판별할 수 있다.
제 5 태양은, 제 2 태양 내지 제 4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압축부의 높이가, 압축부가 형성되는 코너부 이외의, 길이 방향 부분의 절곡부의 정점으로부터, 5㎜ 이내 범위의 높이인 것이다.
이에 의해, 진공 단열재를 복수매 나열하여 설치하고, 코너부 측면에 남는 압축부끼리가 맞대어져 간극이 형성된다고 하여도, 그 진공 단열재끼리의 사이의 최대 간극을 압축부끼리가 맞대어져 형성되는 10㎜ 이내로 할 수 있다. 이 때의 간극의 열전도율은, 50mW/mK 이하와, 일반적인 단열재인 글라스 울로 간극을 매립했을 때의 열전도율과 대략 동등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간극을 글라스 울 등의 단열재로 매립하는 일이 없이, 이것과 동등한 레벨의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 6 태양은, 제 2 태양 내지 제 5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외피재는 2매의 외피재 시트의 3변을 용착하여 얻어지는 3면 접착 주머니에 의해 구성되며, 3면 접착 주머니에 심재가 감압 밀봉되는 동시에, 3면 접착 주머니의 주연의 핀부가 절곡되며, 코너부에 있어서, 핀부가 이중 이상으로 중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코너부 측면에서 핀부가 이중 이상으로 중첩되는, 3면 접착 주머니 타입의 진공 단열재라도, 진공 단열재끼리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단열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1매의 외피재 시트를 통형상으로 용착하여 주머니 형상으로 한 필로우 타입과 같이, 용착부에서의 스루홀에 의한 진공도 저하 염려가 없는 것을 실현할 수 있어서, 진공 단열재 자체의 진공도를 보다 장기간 보지하고, 높은 단열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 7 태양은, 제 2 태양 내지 제 6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코너부의 측면과 직교하는 평면부에 겹쳐진 핀부의 높이가 평면부와 실질적으로 동등한 높이의 구성이다.
여기서, 중첩된 핀부의 높이를 평면부와 실질적으로 동등한 높이로 할 때에는, 예를 들면 프레스기, 또는 바이스에 의해 압력을 가하여도 좋다.
또한, 외피재 시트의 열 용착층의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서 프레스 성형, 또는 외피재 시트의 열 용착층의 용융 온도 이하로 가열하면서 프레스 성형에 의해, 실질적으로 동등한 높이로 하여도 좋다.
또한, 가열하면서 성형이란, 반드시, 가열하면서 프레스 성형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우선은 가열하고, 그 후에 형을 가압하는 것도 의미한다.
또한, 적외선 히터 등의 복사열을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따뜻하게 하고, 형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실질적으로 동등의 높이로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진공 단열재는, 그 평면에, 진공 단열재를 보호하도록 마련된 보호판을 중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 때, 보호판과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간극에 의한 단열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 단열재를 복수매 나열하여 배치했을 때에 생기는, 진공 단열재끼리의 간극에 의한 단열성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각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높은 단열성을 확보 가능한 진공 단열재를 제공할 수 있어서, 여러가지 광범위한 용도에 적용 가능하며, 유용하다.
1: 진공 단열재
1a, 1b: 측면
1c: 평면부
2: 외피재
2a, 2b: 외피재 시트
3: 심재
4, 4-1, 4-2, 4-3: 핀부
5: 열 용착 시일
5a: 개소
6: 열 용착층
7: 가스 배리어층
8: 표면 보호층
9: 오목부
10: 절곡부
11: 돌출부
21: 압축부
35, 38, 39: 히터
36, 37: 지그
40: 능선부
B: 중앙선
C: 부분
D: L자형상 자
T: 간극
X: 절곡부

Claims (7)

  1.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외피재와,
    상기 외피재의 내부에 마련된 심재를 구비하고, 상기 외피재의 내부가 감압 밀봉된 진공 단열재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의 주연이 시일되어 구성된 시일부와,
    상기 외피재의 주연에 형성된 핀부(fin)와,
    상기 외피재의 주연이 상기 심재를 향하여 되접혔을 때에 발생하는 돌출부가 압축되어 형성된 압축부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진공 단열재의 코너부에 형성되는
    진공 단열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핀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열 성형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진공 단열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는 열 용착층을 갖고,
    상기 압축부의 상기 열 용착층이, 상기 압축부가 형성될 때의 압축에 의해 열 용착되어 있는
    진공 단열재.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의 높이는, 상기 압축부가 형성되는 상기 코너부 이외의, 길이 방향 부분의 절곡부의 정점으로부터 5㎜ 이내의 범위의 높이인
    진공 단열재.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는 2매의 외피재 시트의 3변을 용착하여 얻어지는 3면 접착 주머니(three-sided bag)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3면 접착 주머니에 상기 심재가 감압 밀봉되는 동시에,
    상기 3면 접착 주머니의 주연의 상기 핀부가 절곡되고, 상기 코너부에 있어서, 상기 핀부가 이중 이상으로 중첩되도록 구성된
    진공 단열재.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의 측면과 직교하는 평면부에 겹쳐지는 상기 핀부의 높이가 상기 평면부와 실질적으로 동등의 높이인
    진공 단열재.
KR1020177000466A 2015-01-15 2015-12-22 진공 단열재 KR101808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05821 2015-01-15
JP2015005821 2015-01-15
PCT/JP2015/006388 WO2016113817A1 (ja) 2015-01-15 2015-12-22 真空断熱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701A Division KR101943255B1 (ko) 2015-01-15 2015-12-22 진공 단열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060A true KR20170010060A (ko) 2017-01-25
KR101808491B1 KR101808491B1 (ko) 2017-12-12

Family

ID=564053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701A KR101943255B1 (ko) 2015-01-15 2015-12-22 진공 단열재
KR1020177000466A KR101808491B1 (ko) 2015-01-15 2015-12-22 진공 단열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701A KR101943255B1 (ko) 2015-01-15 2015-12-22 진공 단열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78488B2 (ko)
EP (2) EP3153760B1 (ko)
JP (2) JP6134919B2 (ko)
KR (2) KR101943255B1 (ko)
CN (1) CN106489050B (ko)
WO (1) WO201611381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111A (en) 1987-06-25 1989-01-09 Pioneer Electronic Corp Digital filter circuit
WO2013122289A1 (ko) 2012-02-14 2013-08-22 오씨아이 주식회사 기밀 포일로 포장된 진공 단열재의 포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6571A (ja) 1983-12-08 1985-07-06 松下冷機株式会社 断熱体
JPS6127391A (ja) * 1984-07-17 1986-02-06 松下冷機株式会社 断熱体パツク
DE10305550A1 (de) * 2003-02-10 2004-08-19 Va-Q-Tec Ag Verfahren zur Umhüllung von Vakuumdämmplatten
JP2006090431A (ja) * 2004-09-24 2006-04-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真空断熱材および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および真空断熱材を使用した断熱箱体
JP2006125631A (ja) * 2004-10-01 2006-05-18 Asahi Fiber Glass Co Ltd 真空断熱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202007009396U1 (de) * 2007-07-04 2007-09-06 The Vac Company Gmbh Vakuumisolationspaneel
JP2013083283A (ja) 2011-10-06 2013-05-09 Npc Inc 真空断熱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製造装置
JP5732375B2 (ja) * 2011-11-14 2015-06-10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
JP6108180B2 (ja) * 2012-03-23 2017-04-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断熱筐体
JP6070269B2 (ja) * 2013-02-27 2017-02-01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断熱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111A (en) 1987-06-25 1989-01-09 Pioneer Electronic Corp Digital filter circuit
WO2013122289A1 (ko) 2012-02-14 2013-08-22 오씨아이 주식회사 기밀 포일로 포장된 진공 단열재의 포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491B1 (ko) 2017-12-12
JP2017138004A (ja) 2017-08-10
EP3495708A1 (en) 2019-06-12
US9878488B2 (en) 2018-01-30
EP3153760B1 (en) 2019-02-06
JP6134919B2 (ja) 2017-05-31
EP3153760A1 (en) 2017-04-12
CN106489050A8 (zh) 2017-12-15
EP3153760A4 (en) 2017-11-08
KR20170136013A (ko) 2017-12-08
CN106489050A (zh) 2017-03-08
WO2016113817A1 (ja) 2016-07-21
EP3495708B1 (en) 2020-12-02
US20170203498A1 (en) 2017-07-20
JPWO2016113817A1 (ja) 2017-04-27
JP6667079B2 (ja) 2020-03-18
KR101943255B1 (ko) 2019-01-28
CN106489050B (zh) 201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1112B2 (ja) グルーブタイプ真空断熱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333038B2 (ja) 真空断熱材とその製造方法
CA2772780C (en) Honeycomb structure element
JP3875248B2 (ja) 建物
JP2007056903A (ja) 断熱材及びその断熱材を用いた断熱構造体
KR101808491B1 (ko) 진공 단열재
JP2006156161A (ja) 密閉型電池
JP2007057081A (ja) 真空断熱ボード
JP6742090B2 (ja) 真空断熱材
JP4944567B2 (ja) 真空断熱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11697A (ja) 真空断熱材用包装材及びそれを備えた真空断熱材
JP2011106664A (ja) 真空断熱材、および断熱箱体、断熱体
JP2009041648A (ja) 真空断熱材および真空断熱材を適用した建築部材
JP5424929B2 (ja) 真空断熱材、及びこの真空断熱材を備えた断熱箱体
JP2009138918A (ja) 断熱部材
CN114829828B (zh) 真空隔热件以及隔热箱
JP4741320B2 (ja) 断熱ボード
JP4654840B2 (ja) 真空断熱材と複合断熱材
JP2006316873A (ja) 真空断熱材
KR101400147B1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JP2005315346A (ja) 真空断熱体
JP2007016928A (ja) 真空断熱材
JP2008057570A (ja) 真空断熱材
JP2016156424A (ja) 真空断熱材及びこれを備えた断熱パネル
JP2006077791A (ja) 真空断熱材および製造方法、適用方法、並びにその真空断熱材を適用した内装材および断熱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