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532A -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이동 규제 부재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저 바, 및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에 바에 장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이동 규제 부재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저 바, 및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에 바에 장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532A
KR20170007532A KR1020177000576A KR20177000576A KR20170007532A KR 20170007532 A KR20170007532 A KR 20170007532A KR 1020177000576 A KR1020177000576 A KR 1020177000576A KR 20177000576 A KR20177000576 A KR 20177000576A KR 20170007532 A KR20170007532 A KR 20170007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ed product
semi
regulating member
stabilizer bar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1320B1 (ko
Inventor
토시하루 요시자와
쥬이치 스기타
Original Assignee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엔에이치케이 스프링 프로덕션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220461859.9U external-priority patent/CN202782566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210334917.6A external-priority patent/CN103660841B/zh
Application filed by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엔에이치케이 스프링 프로덕션 컴퍼니 filed Critical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7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1/00Connecting or disconnecting metal parts or objects by metal-working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11/005Connecting or disconnecting metal parts or objects by metal-working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expanding or cri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4Torsion springs consisting of bars or tubes
    • F16F1/16Attachments or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2Middle mounts of stabiliser on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8Joining by deforming
    • Y10T29/49909Securing cup or tube between axially extending concentric annul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46Rod end to transverse side of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은, 평판 형상의 가교부(33), 가교부(33)의 일단부에서 일체로 신장되는 제1의 만곡부(35), 및 가교부(33)의 타단부에 일체로 신장되는 제2의 만곡부(37)를 가지며 전체로서 C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제1의 만곡부(35)는, 그 단부에 제1의 걸림부(41)를 가진다. 제2의 만곡부(37)는, 그 단부에 제1의 걸림부(41)와 결합하는 제2의 걸림부(51)를 가진다. 제1의 걸림부(41)는, 볼록한 형태의 팽출부(43) 및 팽출부(43)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받이부(45)를 가진다. 제2의 걸림부(51)는, 팽출부(43)를 수용 가능한 오목한 형태의 수용부(53), 및 한 쌍의 돌출부(55)을 가진다. 한 쌍의 돌출부(55)는, 돌출부(55)의 선단부분에서 수용부(53)의 개구부(54)을 향해서 융기하는 융기부(57)를 각각 가진다. 팽출부(43)는, 그 기단부에 잘록한 부분(44)을 가진다.

Description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이동 규제 부재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저 바, 및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에 바에 장착하는 방법 {SEMI-FINISHED GOOD OF MOTION REGULATING MEMBER, STABILIZER HAVING MOTION REGULATING MEMBER, AND METHOD FOR ATTACHING SEMI-FINISHED GOOD OF MOTION REGULATING MEMBER TO STABILIZER BAR}
본 발명은, 차체의 롤링을 억제하여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스태빌라이저 바(STABILIZER BAR)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되는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半製品), 이동 규제 부재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저 바, 및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체의 롤링을 억제하여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스태빌라이저 바로 불리는 원기둥(圓柱)형태의 부재가 이용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는, 예컨대 차폭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신장되는 토션 바 부분과, 토션 바 부분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신장되는 한 쌍의 아암부를 가지며, 전체로서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는, 상기 토션 바 중 상기 양 아암부에 가까운 부분에 서, 고무제의 완충부재 및 U자 모양의 브래킷을 통해서 차체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양 아암부의 단부(端部)는, 현가(懸架,서스펜션) 아암에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태빌라이저 바는, 차량의 선회 주행시에 있어서 그 토션 바가 비틀리면, 그 토션 바의 비틀림에 의해 발생한 반력(反力)이 차체의 롤링을 억제하는 힘으로서 작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토션 바 중, 상기 완충부재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플랜지 형태의 한 쌍의 벗어남 방지 부재(이하,“이동 규제 부재”라고 함)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가령, 차량의 선회 주행시에 차폭 방향의 큰 힘이 상기 토션 바에 입력되었을 때에, 그 토션 바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치하면 그 토션 바가 차체 장비품과 간섭하여 이음을 발생시키는 등 문제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서는, 차량의 선회 주행시에 차폭 방향의 큰 힘이 상기 토션 바에 입력되었을 때에 그 토션 바에 설치한 한 쌍의 환상(環狀)의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플랜지 부분이 상기 완충 부재에 부딪히도록 구성한다. 특허문헌 1에 관련된 이동 규제 부재에 따르면, 상기 토션 바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해서, 상기 토션 바가 차체 장비품과 간섭함으로써 생기는 불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163026호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토션 바에 이동 규제 부재를 부착함에 있어서, 첫째로, 상기 토션 바의 축 방향으로 큰 힘이 입력된 경우에도,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축 방향에 대한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위치가 벗어나는 일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 둘째로,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장착 전단계의 반제품(半製品)인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관리가 용이할 것, 셋째로, 자동 조립에 대응 가능할 것, 넷째로 장착 공정이 쉬울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모든 문제를 감안하면, 특허문헌 1에 관련된 스태빌라이저 바의 벗어남 방지 기술은, 상기 네 가지의 요구를 높은 수준에서 충족한다는 관점에서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정에 비추어 이뤄진 것으로, 스태빌라이저 바에 대해 이동 규제 부재를 자동 조립에 대응 가능한 간단한 공정으로 확실히 장착할 수 있으며, 스태빌라이저 바의 축 방향에 대한 이동 규제 부재의 위치 벗어남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부재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및 이동 규제 부재를 가진 스태빌라이저 바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태빌라이저 바에 대해서 이동 규제 부재를 자동 조립에 대응 가능한 간단한 공정으로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는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에 관련된 발명은, 차량용의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되는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으로서, 상기 반제품은, 평판 형상의 가교부(架橋部), 상기 가교부의 일단부에서 일체로 신장되는 제1의 만곡부, 및 상기 가교부의 타단부에서 일체로 신장되는 제2의 만곡부를 가지고, 전체로서 C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의 만곡부는, 그 단부에 제1의 걸림부를 가지는 한편, 상기 제2의 만곡부는, 그 단부에 상기 제1의 걸림부와 결합(係合)하는 제2의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제1의 걸림부는, 볼록한 형태의 팽출부(膨出部), 및 상기 팽출부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받이부를 가지는 한편, 상기 제2의 걸림부는 상기 팽출부를 수용 가능한 오목한 형상의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한 한 쌍의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그 돌출부의 선단 부분에서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를 향해서 융기하는 융기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팽출부는 그 기단부(基端부)에 잘록한 부분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받이부는, 상기 제1의 걸림부의 폭 방향 외측에 존재해서 상기 팽출부의 팽출 방향으로 돌출하는 어깨부, 및 해당 어깨부에 대해서 상기 잘록한 부분을 향해서 상기 팽출부의 팽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오목해지는 안내면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융기부의 높이는, 상기 안내면의 상기 오목 깊이에 비해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끼리의 간극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직경에 비해 크게 설정되고, 상기 반제품에서는, 상기 제1 또는 제2의 만곡부 중 어느 한쪽의 만곡부의 내주면에 상기 간극을 통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를 둔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의 외주측을 각각 덮는 한 쌍의 금형을 이용해서, 상기 가교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의 내주면을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에 압접시키면서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 사이를 결합시키는 코킹 가공을 시행하면, 상기 팽출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융기부가 상기 한 쌍의 받이부의 상기 안내면에 맞닿은 뒤, 상기 어깨부로 이어지는 상기 안내면에 압박되어서 상기 제1의 걸림부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서 상기 잘록한 부분을 포함한 상기 안내면에 의해 구획되는 오목한 공간을 메우도록 소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이 완성품이 되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되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1)에 관련된 발명에 따르면, 스태빌라이저 바에 대해서 이동 규제 부재를 자동 조립에 대응 가능한 간단한 공정으로 확실히 장착할 수 있으며, 스태빌라이저 바의 축 방향에 대한 이동 규제 부재의 위치 벗어남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부재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2)에 관련된 발명은,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할 때에 이용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제품은, 평판형상의 가교부, 상기 가교부의 일단부에서 일체로 신장되는 제1의 만곡부, 및 상기 가교부의 타단부에서 일체로 신장되는 제2의 만곡부를 가지며, 전체로서 C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의 만곡부는 그 단부에 제1의 걸림부를 가지는 한편, 상기 제2의 만곡부는 그 단부에 상기 제1의 걸림부와 결합하는 제2의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제1의 걸림부는 볼록한 형상의 팽출부, 및 상기 팽출부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한 한 쌍의 받이부를 가지는 한편, 상기 제2의 걸림부는, 상기 팽출부를 수용 가능한 오목한 형태의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한 한 쌍의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그 돌출부의 선단 부분에서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를 향해서 융기하는 융기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팽출부는 그 기단부에 잘록한 부분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받이부는 상기 제1의 걸림부의 폭 방향 외측에 존재해서 상기 팽출부의 팽출 방향으로 돌출하는 어깨부, 및 해당 어깨부에 대해서 상기 잘록한 부분을 향해서 상기 팽출부의 팽창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오목해지는 안내면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융기부의 높이는 상기 안내면의 상기 오목 깊이와 비교해서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끼리의 간극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직경에 비해서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의 외주측이 수용되는 캐비티를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의 금형에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를 각각 세팅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또는 제2의 만곡부 중 어느 한쪽의 만곡부의 내주면에, 상기 간극을 통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를 두는 공정과, 상기 한쪽의 만곡부의 내주면에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를 둔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의 금형을 이용해서 상기 가교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의 내주면을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에 압접시키면서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 사이를 결합시키는 코킹 가공을 시행하는 공정을 가지고, 상기 코킹 가공을 시행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팽출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면서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융기부가 상기 한 쌍의 어깨부의 상기 안내면에 접촉한 뒤, 상기 어깨부로 이어지는 상기 안내면에 압박되어서 상기 제1의 걸림부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서 상기 잘록한 부분을 포함한 상기 안내면에 의해 구획되는 오목 공간을 메우도록 소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이 완성품이 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되는 것을 가장 주요 특징으로 한다.
(2)에 관련된 발명에 따르면, 스태빌라이저 바에 대해서 이동 규제 부재를 자동 조립에 대응 가능한 간단한 공정으로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태빌라이저 바의 축 방향에 대한 이동 규제 부재의 위치 벗어남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관리가 쉬우며 자동 조립에 대응 가능하고 그 장착공정이 간단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태빌라이저 바에 대해서 이동 규제 부재를 자동 조립에 대응 가능한 간단한 공정으로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는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하는 방법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이동 규제 부재를 가진 스태빌라이저 바의 차량에 대한 장착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굽힘 가공이 시행되기 전의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의 제작 중 제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주요부인 제1의 걸림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주요부인 제2의 걸림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하는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공정도이고,
도 8은, 도 7에 나타낸 공정도 중, 코킹 가공을 시행하기 전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a는, 코킹 가공을 시행하는 공정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걸림부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9b는, 코킹 가공을 시행하는 공정에 있어서, 융기부의 선단 부분이, 안내면의 오목 부분에 접촉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9c는, 코킹 가공을 시행하는 공정에 있어서, 융기부가, 안내면에 압박되어서 잘록한 부분을 메우도록 소성 변형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9d는 코킹 가공을 시행하는 공정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걸림부 사이가 결합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0은, 코킹 가공 공정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금형의 사이에 버(burr) 형성용의 간극을 간직하면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압궤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1은, 이동 규제 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스태빌라이저 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제2의 걸림부에 관련한 변형 예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3a는, 도 12에 나타내는 변형 예에 관련한 제2의 걸림부의 코킹 가공 공정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걸림부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3b는, 도 12에 나타내는 변형 예에 관한 제2의 걸림부의 코킹 가공 공정에 있어서, 융기부의 선단 부분이 안내면의 오목 부분에 부딪힌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이동 규제 부재를 가진 스태빌라이저 바, 및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하는 방법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부호의 부여 규칙에 관해 언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에서 참조되는 물품(예를 들면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에서는, 그 구조상, 소정의 중심선에 대해서 선대칭이 되는 것이 있다. 이런 선대칭이 되는 물품에 있어서, 공통의 기능을 가지는 부재 간에는 공통의 숫자 부호를 부여한다. 또한, 사시도로 그려진 선대칭이 되는 물품에서 이 물품을 향해 왼쪽에 존재하는 부재의 숫자 부호 뒤에 첨자 a를, 오른쪽에 존재하는 부재의 숫자 부호 뒤에 첨자 b를, 각각 부여한다. 또한, 공통의 기능을 가진 부재를 총칭할 때는 숫자 부호만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의”, 그리고 첨자를 생략하는 경우(이 경우, 도면 중의 부호에서 첨자a, b를 생략하고 동부호를 읽을 것)가 있는 것으로 한다.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차량에 대한 장착 구조]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의 설명에 앞서 이동 규제 부재(23)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차량에 대한 장착 구조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서 설명한다. 도 1은, 이동 규제 부재(23)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차량에 대한 장착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차체의 롤링을 억제하여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 바(11)로 불리는 중공 원기둥 형상의 금속제 부재가 차량에 장착된다.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는, 예컨대 차폭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신장되는 토션 바(13)와, 해당 토션 바(13)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신장되는 제1및 제2의 아암부(15a,15b)를 가지며, 전체로서 U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는, 상기 토션 바(13) 중 상기 양 아암부(15a,15b) 가까운 쪽 부분에 있어서, 예를 들면 고무제의 제1 및 제2의 완충 부재(17a,17b) 및 U자 모양의 제1 및 제2의 브래킷(19a,19b)을 통해서 차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의 아암부(15a,15b)의 각 단부는, 제1 및 제2의 현가 아암(21a,21b)에 각각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태빌라이저 바(11)는, 차량의 선회 주행시에 있어서 그 토션 바(13)가 축 회전방향으로 비틀리면, 해당 토션 바(13)의 비틀림에 의해 생긴 축 회전방향 반력이 차체의 롤링을 억제하는 힘으로서 작용하게 되어 있다.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상기 토션 바(13) 중, 상기 제1 및 제2의 완충 부재(17a,17b)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플랜지 형상의 제1 및 제2의 이동 규제 부재 (23a,23b)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만일 차량의 선회 주행시에 차폭 방향의 큰 힘이 상기 토션 바(13)에 입력되었을 때에 해당 토션 바(13)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치하면 해당 토션 바(13)가 차체 장비품과 간섭하여 이음을 발생시키는 등 문제점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차량의 선회 주행시에 차폭 방향의 큰 힘이 상기 토션 바(13)에 입력되었을 때에, 해당 토션 바(13)에 장착된 상기 제1 및 제2의 이동 규제 부재 (23a,23b)의 플랜지 부분이 상기 제1 및 제2의 완충 부재(17a,17b)에 닿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이동 규제 부재(23)에 따르면,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해서 해당 스태빌라이저 바(11)가 차체 장비품과 간섭해서 생기는 문제점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에 관해서 도 2~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형상의 가교부(33), 해당 가교부(33)의 일단부에서 일체로 신장되는 제1의 만곡부(35), 및 해당 가교부(33)의 타단부에서 일체로 신장되는 제2의 만곡부(37)를 갖는다. 상기 반제품(31)은, 전체로서 C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제품(31)은, 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은, 평판형상의 제작 중 제품(32)(도 4~도 6 참조)의 중앙부를 구성하는 평판형상의 상기 가교부(33)의 양단부를 만곡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평판형상의 상기 가교부(33)는 그 길이 치수가 L1(도 3 및 도 4 참조)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제작 중 제품(32)의 길이 치수 L2(도 4 참조)는, L2=π×(D+T)+α로 설정되어 있다. 다만, D는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직경, T는 상기 제작 중 제품(32)의 판 두께, α은 설계 공차(+3, -0)이다.
상기 제1의 만곡부(35)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스텝 2(도 7 참조)의 공정에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가 세팅된다. 이때,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와의 접촉 면적을 벌어서 상기 제1의 만곡부(35)의 내주면에 대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세팅 상태를 안정화할 목적으로 상기 제1의 만곡부(35)의 만곡 방향을 따르는 길이 L3는, 상기 제2의 만곡부(37)의 만곡 방향을 따르는 길이 L4와 비교해서 길게 설정되어 있다(도 4 참조). 또한, 상기 제1의 만곡부(35)의 곡률 반경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반경(D/2)과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도 3 참조). 게다가, 상기 제1의 만곡부(35)의 만곡 방향을 따르는 길이 L3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 길이(πD)의 1/2이상(L3>=π D/2)으로 설정된다.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을 압접하는, 상기 가교부(33),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35,37)의 내주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예를 들어 너얼링(38)과 같은 미끄럼 방지 가공이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스텝4(도 7참조)의 코킹 공정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 도장면에 대해서 상기 가교부(33),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35,37)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너얼링(38)이 파고듬으로써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축 방향에 대한 상기 이동 규제 부재(23)의 위치 벗어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의 만곡부(도 4에 나타내는 제작 중 제품(32)에 있어서, 제1의 만곡부가 되는 부분을 포함. 이하 동일)(35)는, 그 단부에 제1의 걸림부(41)를 가진다. 상기 제1의 걸림부(41)는 볼록한 형태의 팽출부(43) 및 팽출부(43)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는 제1 및 제2의 받이부(45a,45b)를 가진다. 상기 팽출부(43)의 팽출방향의 단부는 도 2 및 도 5와 같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팽출부(43)는, 그 기단부에 잘록한 부분(44)을 가진다. 이 잘록한 부분(44)은, 후술하는 제1 및 제2의 융기부(57a,57b)와 협동해서,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41,51)의 결합력을 강고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대해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상기 제1 및 제2의 받이부(45a,45b)는, 상기 제1의 걸림부(41)의 폭 방향 외측에 존재해서 상기 팽출부(43)의 팽출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및 제2의 어깨부(46a,46b)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의 받이부(45a,45b)는, 상기 제1 및 제2의 어깨부(46a,46b)에 대해서 상기 잘록한 부분(44)을 행해서 상기 팽출부(43)의 팽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만곡하여 오목한 제1 및 제2의 안내면(48a,48b)을 가진다. 상기 제1 및 제2의 안내면(48a,48b)은, 후술하는 제1 및 제2의 융기부(57a,57b)를 상기 잘록한 부분(44)의 오목 공간을 향해 인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관해서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제2의 만곡부(37)(도 4에 나타내는 제작 중 제품(32)에 있어서, 제2의 만곡부가 될 부분을 포함. 이하 동일)는, 그 단부에 상기 제1 걸림부(41)와 결합하는 제2의 걸림부(51)를 가진다. 상기 제2의 만곡부(37)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1의 만곡부(35)의 곡률 반경과 마찬가지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반경(D/2)과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도 3 참조).
상기 제2의 걸림부(51)는, 상기 팽출부(43)를 수용 가능한 오목한 형태의 수용부(53) 및 상기 수용부(53)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는 제1 및 제2의 돌출부(55a, 55b)를 가진다. 상기 수용부(53)의 오목한 방향의 안쪽 부분은,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팽출부(43)의 팽출 방향의 단부와 동일 지름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의 돌출부(55a,55b)는, 그 단부에서 상기 수용부(53)의 개구부를 향해 융기하는 제1 및 제2의 융기부(57a,57b)를 각각 가진다.
상기 반제품(31)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43)의 최대 치수(L5)는 상기 수용부(53)의 최대 치수(L6)와 동등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스텝 3(도 7 참조)의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41,51) 사이를 결합시킬 때에 상기 수용부(53)의 내부 공간에 대해서, 상기 팽출부(43)를 원활하게 수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팽출부(43)의 팽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46)에 대한 상기 팽출부(43)의 높이 치수 L7는, 상기 돌출부(55)에 대한 상기 수용부(53)의 깊이 치수 L8와 동등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55)에 대한 상기 융기부 (57)의 높이 치수 L10는, 상기 안내면(48)의 오목 깊이 치수(L9)와 비교해서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스텝 3(도 7 참조)의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의 걸림부(41,51) 사이를 결합시킬 시킬 때에 상기 팽출부(43)의 선단 부분이 상기 수용부(53)의 안쪽 부분에 부딪히기 이전에 상기 융기부(57)의 선단 부분이 상기 안내면(48)의 오목 부분에 부딪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41,51)끼리의 간극 L11(도 3 참조)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직경(D)과 비교해서 크게(L11>D)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스텝 2(도 7 참조)의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만곡부(35)의 내주면에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를 세팅하는 작업을, 해당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에 손상을 주지 않고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하는 방법]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을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하는 방법에 관해서, 도 7, 도 8, 도 9a~도 9d, 도 10 및 도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우선,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을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하는 방법으로 이용되는 제1 및 제2의 금형(61,63)(도 8 참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1의 금형(61)에는,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 중 상기 제1의 만곡부(35)의 외형 형상을 빈틈없이 수용 가능한 반원통(半圓筒)형의 캐비티(6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의 금형(63)에도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 중 상기 제2의 만곡부 (37)의 외형 형상을 빈틈없이 수용 가능한 반원통형의 캐비티(6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의 금형(61)은, 제조 설비(미도시)에 대해서 수평 상태를 유지해서 고정되는 고정측의 하형(下型)이다. 한편, 상기 제2의 금형(63)은, 상기 제1의 금형 (61)에 대향하는 수평 상태를 유지해서 수직으로 상하 움직이는 가동측의 상형(上型)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스텝 S1에서는, 제1의 금형(61)에,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 중 상기 제1의 만곡부(35)를 세팅한다.
스텝 S2에서는,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 중 상기 제1의 만곡부(35)를 상기 제1의 금형(61)의 캐비티(62)에 세팅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41,51) 사이의 간극 L11(도 3 참조)을 통해서 상기 제1의 만곡부(35)의 내주면에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를 세팅한다.
스텝 S3에서는, 상기 제2의 금형(63)에,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 중 상기 제2의 만곡부(37)를 세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31)을,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할 준비가 갖추어진다.
스텝 S4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의 금형(61,63) 사이에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을 세팅한 상태에서, 고정 측인 상기 제1의 금형(61)에 대해서 가동 측인 상기 제2의 금형(63)을 수직으로 밀어붙이는 힘을 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교부(33),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35,37)의 내주면을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에 압접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41,51) 사이를 결합시키는 코킹 가공을 시행한다.
스텝 S4의 코킹 가공을 시행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41,51)가 서로 마주한 상태(도 9A 참조)에서, 코킹 가공의 밀어붙이는 힘이 더해지면, 먼저 상기 팽출부(43)가 상기 수용부(53)에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의 융기부(57a, 57b)가 상기 제1 및 제2의 받이부(45a,45b)의 상기 제1 및 제2의 안내면(48a,48b)에 각각 맞닿는다(도 9b 참조).
그 후, 상기 제1 및 제2의 융기부(57a,57b)가, 상기 제1 및 제2의 어깨부(46a,46b)로 이어지는 상기 제1 및 제2의 안내면(48a,48b)에 압박되어서, 상기 제1의 걸림부(41)의 폭 방향 안쪽을 향해서 상기 잘록한 부분(44)을 포함한 상기 제1 및 제2의 안내면(48a,48b)에 의해 구획되는 오목 공간을 메우도록 소성 변형(도 9c 참조)한다. 그 결과, 상기 오목 공간에는, 상기 소성 변형된 상기 제1 및 제2의 융기부(57a,57b)가 충전됨으로써 해당 오목 공간이 빈틈없이 메워진다. 상기의 각 공정을 거쳐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이 완성품(69)(도 10 및 도 11 참조)이 되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에 확실히 장착된다.
또, 스텝 S4의 코킹 가공을 시행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41,51) 사이의 결합 부분(66)을 상기 제 1 및 제2의 금형(61,63)의 경계부분 부근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해당 제1 및 제2의 금형(61,63) 사이에 버리 형성용의 간극 L12(도 10 참조)을 두면서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을 압궤(壓潰)함으로써 상기 결합 부분(66)의 외벽에 그 반제품(31)의 폭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연장되는 버리 돌기부(68)가 형성되어 있다(도 10 및 도 11 참조).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분(66)의 소성 변형이 진전한 결과,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41,51) 사이의 결합력을 한층 더 공고히 할 수 있다.
[변형 예에 관련한 제 2의 걸림부]
이어서, 변형 예에 관련한 제2의 걸림부(71)에 관해서, 도 12,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 2의 걸림부(51)와, 해당 변형 예에 관련한 제 2의 걸림부(71)는, 기본적인 구성이 공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양자(51,71)의 상이점에 주목해서 설명함으로써 해당 변형 예에 관한 제 2의 걸림부(71)의 설명을 대신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양자(51,71)의 차이점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제1의 차이점은, 상기 제2의 걸림부(51)에 관련된 상기 수용부(53)에서는, 상기 반제품(31)의 폭 방향에서의 해당 수용부(53)의 상기 개구부(안쪽부분을 제외)(54)의 치수가 균일한 치수 L6(도 6 참조)로 설정되어 있는 것에 비해서, 해당 변형 예에 관한 제2의 걸림부(71)에서는, 상기 반제품(31)의 폭 방향에서의 수용부(73)의 개구부(안쪽부분을 제외)(75)의 치수가 상기 제 2의 걸림부(51)에 관련된 상기 수용부(53)의 상기 개구부(54)의 치수 L6와 비교해서 조금 축소된 치수 L13(L13 < L6: 도 12 참조)로 설정되어 있는 점이다. 참고로, 그 치수 축소율(L13/L6)은, 약 75%~95%정도이다
제2의 차이점은, 상기 변형 예에 관한 제2의 걸림부(71)에 관련된 제1 및 제2의 융기부(59a,59b)(도 12 참조)의 체적이, 상기 제2의 걸림부(51)에 관련된 상기 제1 및 제2의 융기부(57a,57b)(도 6 참조)의 체적에 비해서 크게 설정되어 있는 점이다.
또한, 해당 변형 예에 관한 제2의 걸림부(71)가 상기 수용부(73)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는 제1 및 제2의 돌출부(55a,55b)(도 12 참조)을 가지는 점은, 상기 제2의 걸림부(51)와 같다.
다만, 해당 변형 예에 관한 제2의 걸림부(71)에 관련된 상기 수용부(73)의 안쪽부분 치수는 상기 제2의 걸림부(51)에 관련된 상기 수용부(53)의 상기 개구부 (54)의 치수 L6와 같다. 또한, 해당 변형 예에 관한 제2의 걸림부(71)가, 상기 제1의 걸림부(41)에 대해서 결합하는 점도, 상기 제2의 걸림부(51)와 같다.
상기 변형 예에 관한 제 2의 걸림부(71)에서는, 상기 돌출부(55)에 대한 상기 수용부(73)의 깊이 치수 L8(도 12 참조)는, 상기 제1 걸림부(41)가 가지는 상기 팽출부(43)의 팽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46)에 대한 상기 팽출부(43)의 높이 치수 L7와 동등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55)에 대한 상기 융기부(59)의 높이 치수 L10는, 상기 제1의 걸림부(41)에 관련한 상기 안내면(48)의 오목 깊이 치수 L9와 비교해서 크게 설정되어 있다.
변형 예에 관한 제2의 걸림부(71)에 관련한 상기 코킹 가공을 수행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제1의 걸림부(41), 및 상기 변형 예에 관한 제2의 걸림부(71)가 서로 마주한 상태(도 13a 참조)에서, 코킹 가공의 밀어붙이는 힘이 더해지면, 우선 상기 팽출부(43)가 상기 수용부(73)의 상기 개구부(75)를 넓히면서 나아가 상기 수용부(73)에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의 융기부(59a,59b)가 상기 개구부 (75)의 확장에 수반하여 상기 제1의 걸림부(41)의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일단 이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받이부(45a,45b)의 상기 제1 및 제2의 안내면(48a,48b)에 각각 맞닿는다(도 13B 참조).
이때, 상기 제1 및 제2의 상이점 각각에 대응되는 주목할 점이 있다. 상기 제1의 상이점에 대응하는 제1의 주목할 점은, 변형 예에 관한 제2의 걸림부(71)에 관련한 상기 코킹 가공을 시행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융기부(59)의 선단 부분이 맞닿는 상기 안내면(48)에서의 부위가, 상기 제2의 걸림부에 관련한 상기 코킹 공정을 시행하는 공정과 비교해서, 상기 제1의 걸림부(41)의 폭 방향 외측에 오프셋 하는 점이다. 그 결과, 상기 융기부(57)의 선단 부분은 상기 안내면(48)의 오목 경사면의 중턱에 맞닿는다(도 13B 참조).
상기 제2의 상이점에 대응하는 제2의 주목할 점은, 변형 예에 관한 제2의 걸림부(71)에 관련한 상기 코킹 가공을 시행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잘록한 부분(44)을 포함한 상기 제1 및 제2의 안내면(48a,48b)에 의해 구획되는 오목 공간에 상기 제2의 걸림부(71)에 관련된 상기 융기부(59)의 선단 부분을 충전할 때의 밀도인 충전도가 상기 제2의 걸림부(51)에 관련한 상기 코킹 가공을 시행하는 공정에 비해서 높다는 점이다. 이것은, 상기 제2의 걸림부(71)에 관련된 상기 융기부(59)의 선단 부분의 체적이, 상기 제2의 걸림부(51)에 관련된 상기 융기부(57)의 선단부분의 체적과 비교해서 큰 것에 근거한다.
그 결과, 상기 변형 예에 관한 제2의 걸림부(71)에 따르면, 상기 제2의 걸림부와 비교해서 상기 제 1 및 제2의 걸림부(41,71) 사이의 결합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2의 걸림부(51)에 관련된 상기 코킹 가공을 시행하는 공정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및 제 2의 융기부(59a,59b)가, 상기 제1 및 제2의 어깨부(46a,46b)로 이어지는 상기 제1 및 제2의 안내면(48a,48b)에 압박되어서, 상기 제1의 걸림부(41)의 폭 방향 안쪽을 향해서 상기 잘록한 부분(44)을 메우도록 소성 변형한다(도 9c 참조). 그 결과, 상기 잘록한 부분(44)을 포함한 상기 제 1 및 제2의 안내면(48a,48b)에 의해 구획되는 오목 공간에는 상기 소성 변형된 상기 제1 및 제2의 융기부(59a,59b)가 충전됨으로써 해당 오목 공간이 높은 충전도로 빈틈없이 메워진다. 상기의 각 공정을 거쳐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이 완성품(69)(도 10 및 도 11 참조)이 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에 확실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의 작용 효과]
이어서,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이 발휘하는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은 아래의 기본 구성을 구비한다. 즉,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은, 평판형상의 가교부(33), 상기 가교부(33)의 일단부에서 일체로 신장되는 제1의 만곡부(35), 및 상기 가교부 (33)의 타단부에서 일체로 신장되는 제2의 만곡부(37)을 가지고, 전체로서 C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의 만곡부(35)는, 그 단부에 제1의 걸림부(41)를 가진다. 한편, 상기 제2의 만곡부(37)는, 그 단부에 상기 제1의 걸림부(41)와 결합하는 제2의 걸림부(51)를 갖는다.
상기 제1의 걸림부(41)는, 볼록한 형태의 팽출부(43), 및 상기 팽출부(43)를 사이에 끼게 위치한 한 쌍의 받이부(45)를 가진다. 한편, 상기 제2의 걸림부(51)는, 상기 팽출부(43)를 수용 가능한 오목한 형태의 수용부(53), 및 상기 수용부(53)를 사이에 두게 위치한 한 쌍의 돌출부(55)를 가진다. 상기 한 쌍의 돌출부(55)는, 그 돌출부(55)의 선단 부분에서 상기 수용부(53)의 개구부(54)를 향해서 융기하는 융기부(57)를 각각 가진다. 상기 팽출부(43)는, 그 기단부에 잘록한 부분(44)을 가진다.
상기 한 쌍의 받이부(45)는, 상기 제1의 걸림부(41)의 폭 방향 외측에 존재해서 상기 팽출부(43)의 팽출 방향으로 돌출하는 어깨부(46) 및 해당 어깨부(46)에 대해서 상기 잘록한 부분을 향해 상기 팽출부(43)의 팽출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오목한 안내면(48)을 가진다. 상기 한 쌍의 융기부(57)의 높이 치수 L10는, 상기 안내면(48)의 상기 오목 깊이 L9와 비교해서 크게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41,51)끼리의 간극 L11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직경(D)과 비교해서 크게 설정된다.
여기까지가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이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기본 구성이다.
상기 기본 구성에 관련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에서는, 상기 제1 또는 제2의 만곡부(35,37) 중 어느 한쪽의 만곡부의 내주면에 상기 간극 L11을 통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를 둔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35,37)의 외주측을 각각 덮는 한 쌍의 금형(61,63)을 이용해서 상기 가교부(33), 그리고 제1 및 제2의 만곡부(35,37)의 내주면을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에 압접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41,51) 사이를 결합시키는 코킹 가공을 시행한다.
그러면, 상기 팽출부(43)가 상기 수용부(53)에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융기부(57)가 상기 한 쌍의 받이부(45)의 상기 안내면(48)에 접촉한 뒤, 상기 어깨부(46)로 이어지는 상기 안내면(48)에 압박되어서, 상기 제1의 걸림부(41)의 폭 방향 안쪽을 향해서 상기 잘록한 부분(44)을 포함한 상기 안내면(48)에 의해 구획되는 오목 공간을 메우도록 소성 변형된다. 그 결과, 상기 오목 공간에는 상기 소성 변형된 상기 융기부(57)가 충전됨으로써 해당 오목 공간이 빈틈없이 메워진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이 완성품(69)이 되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에 확실하게 장착된다.
상기 기본 구성에 관련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에 따르면 스태빌라이저 바(11)에 대해서 이동 규제 부재(23)를 간단한 공정으로 확실히 장착할 수 있으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축 방향에 대한 이동 규제 부재(23)의 위치 벗어남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부재의 관리가 용이하며 자동 조립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기본 구성에 관련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또는 제2의 만곡부(35,37) 중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가 세팅되는 한쪽의 만곡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의 만곡부(35))의 내주면의 곡률 반경을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반경(D/2)과 같은 치수로 설정하면서 해당 한쪽의 만곡부(제1의 만곡부(35))의 만곡 방향을 따른 내주면의 길이(L3:도 4 참조)를, 다른 쪽의 만곡부(제2의 만곡부(37))의 만곡 방향을 따른 내주면의 길이(L4:도 4 참조)와 비교해서 길게 설정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이렇게 구성하면, 상기 한쪽의 만곡부(제1의 만곡부(35))의 내주면에 대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접촉 면적을 벌어서 해당 한쪽의 만곡부(제1의 만곡부 35)의 내주면에 대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세팅 상태를 안정화할 수 있다.
또, 상기 기본 구성에 관련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에 있어서, 해당 반제품(31)의 폭 방향에서의 상기 팽출부(43)의 최대 치수(L5: 도 5 참조)를 상기 반제품(31)의 폭 방향에서의 상기 수용부(53)의 최대 치수(L6: 도 6 참조)와 비슷한 치수로 설정(L5=L6)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이렇게 구성하면, 상기 한 쌍의 금형(61,63)을 이용해서,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41,51) 사이를 결합시키는 코킹 가공을 시행할 때에 상기 수용부(53)에 대해서 상기 팽출부(43)를 원활하게 장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 구성에 관련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에 있어서, 하기의 변형 예에 관한 제2의 걸림부(71)의 구성(이하,“기본 구성의 변형 예”라 함)을 채용해도 좋다.
즉, 해당 반제품(31)의 폭 방향에서의 상기 팽출부(43)의 최대 치수(L5: 도 5 참조)는, 해당 반제품(31)의 폭 방향에서의 상기 수용부(73)의 개구부(75)의 최대 치수(L13:도 12 참조)를 겨우 넘는 치수로 설정(L5=L6>L13)된다. 해당 반제품 (31)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의 만곡부(35,37) 중 어느 한쪽의 만곡부의 내주면에 상기 간극(L11)을 통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를 둔 상태에서 상기 제1및 제2의 만곡부(35,37)의 외주측을 각각 덮는 한 쌍의 금형(61,63)을 이용해서 상기 가교부(33),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35,37)의 내주면을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에 압접시키면서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41,51) 사이를 결합시키는 코킹 가공을 시행한다. 그러면, 상기 팽출부(43)가 상기 수용부(73)의 상기 개구부(75)를 밀어 넓히면서 해당 수용부(73)에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개구부(75)의 확장에 수반하여 상기 제1의 걸림부(41)의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일단 이동한 상기 한 쌍의 융기부(59)가 상기 한 쌍의 받이부(45)의 상기 안내면(48)에 접촉한 뒤, 상기 어깨부(46)로 이어진 상기 안내면(48)에 압박되어서 상기 제1의 걸림부(41)의 폭 방향 안쪽을 향해서 상기 잘록한 부분(44)을 메우도록 소성 변형된다. 그 결과, 상기 잘록한 부분(44)을 포함한 상기 안내면(48)에 의해 구획되는 오목 공간에는 소성 변형된 상기 융기부(59)가 충전됨으로써 해당 오목 공간이 높은 충전도로 빈틈없이 메워진다. 따라서,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이 완성품(69)이 되어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에 확실하게 장착된다.
상기 변형 예에 관한 제 2의 걸림부(71)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기본 구성에 관련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과 비교해서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41,71) 사이의 결합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 구성, 또는 상기 기본 구성의 변형 예에 관련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43)의 팽출 방향의 단부, 및 상기 수용부(53,73)의 오목 방향의 안쪽 부분을 동일 지름의 원형상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기본 구성, 또는, 상기 기본 구성의 변형 예에 관련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을 압접하는, 상기 가교부(33),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35,37)의 내주면에는 예를 들면 널링(38)의 설정 등 미끄럼 방지 가공이 이루어져 있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가교부(33),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 (35,37)의 내주면과,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축 방향에 대한 상기 이동 규제 부재(23)의 위치 벗어남 방지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 구성, 또는, 상기 기본 구성의 변형 예에 관련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이 완성품(69)가 되어서 장착됨에 따라서 이동 규제 부재(23)를 가진 스태빌라이저 바(11)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이동 규제 부재(23)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저 바(11)에 따르면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축 방향에 대한 상기 이동 규제 부재(23)의 위치 벗어남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본 구성에 관련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을,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할 때에 이용되는 기본 방법으로서 아래의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즉, 상기 기본 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35,37)의 외주측이 수용되는 캐비티(62,64)를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의 금형(61,63)에,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35,37)을 각각 세팅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또는 제2의 만곡부(35,37) 중 어느 한쪽의 만곡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의 만곡부(35))의 내주면에, 상기 간극 L11을 통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를 두는 공정과, 상기 한쪽의 만곡부(제1의 만곡부(35))의 내주면에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을 둔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의 금형(61,63)을 이용해서, 상기 가교부(33),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35,37)의 내주면을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에 압접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41,51) 사이를 결합시키는 코킹 가공을 시행하는 공정을 가진다.
그리고 또한, 상기 코킹 가공을 시행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팽출부(43)가 상기 수용부(53)에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융기부(57)가 상기 한 쌍의 받이부(45)의 상기 안내면(48)에 접촉한 뒤, 상기 한 쌍의 어깨부(46)로 이어진 해당 안내면(48)에 압박되어서, 상기 제1의 걸림부(41)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서 상기 잘록한 부분(44)을 포함한 상기 안내면(48)에 의해 구획되는 오목 공간을 메우도록 소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이 완성품(69)이 되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된다.
상기 기본 방법에 따르면 스태빌라이저 바(11)에 대해서 이동 규제 부재(23)를 자동 조립에 대응 가능한 간단한 공정으로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상기 기본 구성의 변형 예에 관련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을,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할 때에 이용되는 상기 기본 방법의 변형 예로서, 다음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즉, 상기 코킹 가공을 시행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팽출부(43)가, 상기 수용부(73)의 상기 개구부(75)를 밀어 넓히면서 상기 수용부(73)에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개구부(75)의 확장에 따라서 상기 제1의 걸림부(41)의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일단 이동한 상기 한 쌍의 융기부(59)가, 상기 한 쌍의 받이부(45)의 상기 안내면(48)에 맞닿은 후, 상기 한 쌍의 어깨부(46)로 이어지는 해당 안내면(48)에 압박되어서, 상기 제1의 걸림부(41)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서 상기 잘록한 부분(44)을 포함한 상기 안내면(48)에 의해 구획되는 오목 공간을 메우도록 소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이 완성품(69)이 되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된다.
상기 기본 방법의 변형 예에 따르면, 상기 잘록한 부분(44)을 포함한 상기 안내면(48)에 의해 구획되는 오목 공간을, 상기 융기부(59)에 의해 높은 충전도로 빈틈없이 메울 수 있어서, 상기 기본 방법과 비교해서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41,71) 간 결합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본 방법, 또는, 상기 기본 방법의 변형 예에 있어서, 상기 코킹 가공을 시행하는 공정에서는,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41,51) 사이의 결합 부분을 상기 제1 및 제2의 금형(61,63)의 경계 부분 부근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해당 제1 및 제2의 금형(61,63) 사이에 버리 형성용의 간극 L12(도 10 참조)을 두면서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31)을 압궤함으로써 상기 결합부분의 외벽에 루프형태(周回狀)의 버리 돌기부(68)를 일체 형성시키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이렇게 구성하면,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41,51) 사이의 결합 부분의 외벽에 루프형태의 상기 버리 돌기부(68)가 일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41,51) 사이의 결합력을 각별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 방법, 또는, 상기 기본 방법의 변형 예를 이용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이동 규제 부재(23)를 장착함으로써 이동 규제 부재(23)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저 바(11)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이동 규제 부재(23)를 가진 스태빌라이저 바(11)에 따르면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축 방향에 대한 상기 이동 규제 부재(23)의 위치 벗어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기타 실시 형태]
이상 설명한 복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구현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그 요지 또는 그 주요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관련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만곡부(35)의 단부에 상기 제1의 걸림부(41)를 장착하는 한편, 상기 제2의 만곡부(37)의 단부에 상기 제2의 걸림부(51)를 장착하는 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반대로, 상기 제1의 만곡부(35)의 단부에 상기 제 2의 걸림부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제2의 만곡부(37)의 단부에 상기 제1의 걸림부(41)를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예컨대, 본 발명에 관련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53)의 오목 방향의 안쪽 부분을 상기 팽출부(43)의 팽출 방향의 단부와 동일 지름의 원호형상으로 형성한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팽출부(43)의 팽출 방향의 단부, 및 상기 수용부(53)의 오목 방향의 안쪽부분은, 상기 수용부(53)의 오목방향의 안쪽부분이 상기 팽출부(43)의 팽출 방향의 단부를 꼭 맞게 수용 가능한 상호 대응하는 형상이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금형(61)을 고정측의 하형(下型)으로 하는 한편, 상기 제2의 금형(63)을 가동측의 상형(上型)으로 하는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와는 반대로 상기 제1의 금형(61)을 가동측의 상형으로 하는 한편, 상기 제2의 금형(63)을 고정측의 하형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의 금형(61,63) 양쪽을 동시에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힘을 더하는 양태를 채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을 압접하는, 상기 가교부(33),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35,37)의 내주면에 널링(38)을 설정함으로써, 미끄럼 방지 가공을 시행하는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교부(33),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35,37)의 내주면에 설정되는 미끄럼 방지 가공을 겨냥한 형상으로서 어떤 형상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가교부(33),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35,37)에서의 길이 방향을 따른 한쪽 가장자리부(片緣部)에 모서리 가공을 해도 좋다.
11; 스태빌라이저 바
23a; 제1의 이동 규제 부재(이동 규제 부재)
23b; 제2의 이동 규제 부재(이동 규제 부재)
31;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33; 가교부
35; 제1의 만곡부
37; 제2의 만곡부
41; 제1의 걸림부
43; 팽출부
45a; 제1의 받이부(받이부)
45b: 제2의 받이부(받이부)
46a; 제1의 어깨부(어깨부)
46b; 제2의 어깨부(어깨부)
48a; 제1의 안내면(안내면)
48b; 제2의 안내면(안내면)
51; 제2의 걸림부
53; 수용부
55a; 제1의 돌출부(돌출부)
55b; 제2의 돌출부(돌출부)
57a; 제1의 융기부(융기부)
57b; 제2의 융기부(융기부)
61; 제1의 금형(금형)
63; 제2의 금형(금형)
68; 버리 돌기부
L11; 제1 및 제2의 걸림부끼리의 간극
D; 스태빌라이저 바의 직경

Claims (11)

  1.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되는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半製品)으로서,
    상기 반제품은, 평판형상의 가교(架橋)부, 상기 가교부의 일단부에서 일체로 신장되는 제1의 만곡(彎曲)부, 및 상기 가교부의 타단부에서 일체로 신장되는 제2의 만곡부를 가지며, 전체로서 C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의 만곡부는, 그 단부(端部)에 제1의 걸림(係止)부를 가지는 한편,
    상기 제2의 만곡부는, 그 단부에 상기 제1의 걸림부와 결합하는 제2의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제1의 걸림부는, 볼록한 형상의 팽출부, 및 상기 팽출부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받이부를 가지는 한편,
    상기 제2의 걸림부는, 상기 팽출부를 수용 가능한 오목한 형상의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끼게 위치한 한 쌍의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그 돌출부의 선단 부분에서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를 향해서 융기하는 융기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팽출부는, 그 기단부에 잘록한 부분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받이부는, 상기 제1의 걸림부의 폭 방향 외측에 존재해서 상기 팽출부의 팽출 방향으로 돌출하는 어깨부, 및 해당 어깨부에 대해서 상기 잘록한 부분을 향해서 상기 팽출부의 팽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오목한 안내면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융기부의 높이는, 상기 안내면의 상기 오목 깊이와 비교해서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끼리의 간극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직경과 비교해서 크게 설정되고,
    상기 반제품에서는, 상기 제1 또는 제2의 만곡부 중 어느 한쪽의 만곡부의 내주면에 상기 간극을 통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를 둔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의 외주측을 각각 덮는 한 쌍의 금형을 이용해서 상기 가교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의 내주면을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에 압접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 사이를 결합시키는 코킹 가공을 시행하면, 상기 팽출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융기부가 상기 한 쌍의 받이부의 상기 안내면에 맞닿은 후, 상기 어깨부로 이어지는 상기 안내면에 압박되어서 상기 제1의 걸림부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서 상기 잘록한 부분을 포함한 상기 안내면에 의해 구획되는 오목 공간을 메우도록 소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이 완성품이 되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2. 제 1항에 기재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으로서,
    적어도 상기 제1 또는 제2의 만곡부 중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가 놓이는 한쪽의 만곡부의 내주면의 곡률 반경을,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반경과 같은 치수로 설정하면서 동시에 해당 한쪽의 만곡부의 만곡 방향을 따른 내주면의 길이를 다른 쪽의 만곡부의 만곡 방향을 따른 내주면 길이와 비교해서 길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3. 제 1항에 기재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으로서,
    상기 반제품의 폭 방향에서의 상기 팽출부의 최대 치수를, 상기 반제품의 폭 방향에서의 상기 수용부의 최대 치수와 동등한 치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4. 제 1항에 기재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으로서,
    상기 반제품의 폭 방향에서의 상기 팽출부의 최대 치수는, 상기 반제품의 폭 방향에서의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의 최대 치수를 겨우 넘는 치수로 설정되고,
    상기 팽출부가, 상기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를 밀어 넓히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면서 동시에 상기 개구부의 확장에 수반하여 상기 제1의 걸림부의 폭방향 외측을 향해서 일단 이동한 상기 한 쌍의 융기부가, 상기 한 쌍의 받이부의 상기 안내면에 맞닿은 후, 상기 어깨부로 이어지는 상기 안내면에 압박되어서, 상기 제1의 걸림부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서 상기 잘록한 부분을 포함한 상기 안내면에 의해 구획되는 오목 공간을 메우도록 소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이 완성품이 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5. 제 1항에 기재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으로서,
    상기 팽출부의 팽출 방향의 단부, 및, 상기 수용부의 오목방향의 안쪽 부분을, 동일한 지름의 원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6. 제 1항에 기재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으로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을 압접하는, 상기 가교부, 그리고 상기 제1및 제2의 만곡부의 내주면에는 미끄럼 방지 가공이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7. 제 1항에 기재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이 완성품이 되어서 장착되는 이동 규제 부재를 가진 스태빌라이저 바.
  8.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할 때에 이용되는 방법이며,
    상기 반제품은, 평판형상의 가교부, 상기 가교부의 일단부에서 일체로 신장하는 제1의 만곡부, 및 상기 가교부의 타단부에서 일체로 신장하는 제2의 만곡부를 가지고, 전체로서 C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의 만곡부는, 그 단부에 제1의 걸림부를 가지는 한편,
    상기 제2의 만곡부는, 그 단부에 상기 제1의 걸림부와 결합하는 제2의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제1의 걸림부는, 볼록한 형태의 팽출부 및 상기 팽출부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한 한 쌍의 받이부를 가지는 한편,
    상기 제2의 걸림부는, 상기 팽출부를 수용 가능한 오목한 형태의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한 한 쌍의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해당 돌출부의 선단 부분에서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를 향해서 융기하는 융기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팽출부는, 그 기단부에 잘록한 부분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받이부는, 상기 제1의 걸림부의 폭 방향 외측에 존재해서 상기 팽출부의 팽출 방향으로 돌출하는 어깨부, 및 해당 어깨부에 대해서 상기 잘록한 부분을 향해서 상기 팽출부의 팽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오목한 안내면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융기부의 높이는, 상기 안내면의 상기 오목 깊이와 비교해서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끼리의 간극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직경에 비해서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의 외주측이 수용되는 캐비티를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의 금형에 상기 제1 및 제2의 만곡부를 각각 세팅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또는 제2의 만곡부 중 어느 한쪽의 만곡부의 내주면에, 상기 간극을 통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를 두는 공정과,
    상기 한쪽의 만곡부의 내주면에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를 둔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의 금형을 이용해서, 상기 가교부, 그리고 제1 및 제2의 만곡부의 내주면을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에 압접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 사이를 결합시키는 코킹 가공을 시행하는 공정을 가지고,
    상기 코킹 가공을 시행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팽출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융기부가 상기 한 쌍의 어깨부의 상기 안내면에 맞닿은 후, 상기 어깨부로 이어지는 상기 안내면에 압박되어서 상기 제1의 걸림부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서 상기 잘록한 부분을 포함한 상기 안내면에 의해 구획되는 오목 공간을 메우도록 소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이 완성품이 되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하는 방법.
  9. 제 8항에 기재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제품의 폭 방향에서의 상기 팽출부의 최대 치수는, 상기 반제품의 폭 방향에서의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의 최대 치수를 겨우 넘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코킹 가공을 시행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팽출부가, 상기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를 밀어 넓히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개구부의 확장에 따라 상기 제1의 걸림부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해서 일단 이동한 상기 한 쌍의 융기부가 상기 한 쌍의 어깨부의 상기 안내면에 접촉한 후, 상기 어깨부로 이어지는 상기 안내면에 압박되어서, 상기 제1의 걸림부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서 상기 잘록한 부분을 포함한 상기 안내면에 의해 구획되는 오목 공간을 메우도록 소성 변형함에 따라서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이 완성품이 되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하는 방법.
  10. 제 8항에 기재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코킹 가공을 시행하는 공정에서는,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의 걸림부 사이의 결합 부분을 상기 제1 및 제2의 금형의 경계부분 부근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해당 제1 및 제2의 금형의 사이에 버리 형성용의 간극을 두면서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압궤(壓潰)함으로써 상기 결합부분의 외벽에 루프형태의 버리 돌기부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하는 방법.
  11. 제 8항에 기재된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하는 방법을 이용해서 상기 이동 규제 부재가 장착된 이동 규제 부재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저 바.
KR1020177000576A 2012-09-11 2013-09-03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이동 규제 부재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저 바, 및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에 바에 장착하는 방법 KR101961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20461859.9U CN202782566U (zh) 2012-09-11 2012-09-11 限位圈坯料及带有限位圈的稳定杆
CN201210334917.6 2012-09-11
CN201220461859.9 2012-09-11
CN201210334917.6A CN103660841B (zh) 2012-09-11 2012-09-11 向稳定杆安装限位圈的方法及带有限位圈的稳定杆
PCT/JP2013/073656 WO2014042038A1 (ja) 2012-09-11 2013-09-03 移動規制部材の半製品、移動規制部材を有するスタビライザバー、及び、移動規制部材の半製品をスタビライザバーに取り付ける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236A Division KR20150047553A (ko) 2012-09-11 2013-09-03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이동 규제 부재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저 바, 및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에 바에 장착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532A true KR20170007532A (ko) 2017-01-18
KR101961320B1 KR101961320B1 (ko) 2019-03-25

Family

ID=502781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236A KR20150047553A (ko) 2012-09-11 2013-09-03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이동 규제 부재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저 바, 및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에 바에 장착하는 방법
KR1020177000576A KR101961320B1 (ko) 2012-09-11 2013-09-03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이동 규제 부재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저 바, 및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에 바에 장착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236A KR20150047553A (ko) 2012-09-11 2013-09-03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이동 규제 부재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저 바, 및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에 바에 장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278603B2 (ko)
EP (1) EP2896521B1 (ko)
JP (2) JP6326370B2 (ko)
KR (2) KR20150047553A (ko)
AR (1) AR092518A1 (ko)
BR (1) BR112015004630B1 (ko)
ES (1) ES2821124T3 (ko)
MX (1) MX363784B (ko)
WO (1) WO20140420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3153B2 (ja) 2014-02-18 2018-06-13 日本発條株式会社 棒材と移動規制部材の半製品との取付構造
DE102014116755A1 (de) * 2014-11-17 2016-05-1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vorrichtung
US10300760B1 (en) 2015-03-18 2019-05-28 Apple Inc. Fully-actuated suspension system
JP6312731B2 (ja) * 2016-03-17 2018-04-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ダブルウィシュボーン型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116749702A (zh) 2017-05-08 2023-09-15 苹果公司 主动悬架系统
US10899340B1 (en) 2017-06-21 2021-01-26 Apple Inc. Vehicle with automated subsystems
US11173766B1 (en) 2017-09-07 2021-11-16 Apple Inc. Suspension system with locking structure
DE102018108029A1 (de) * 2018-04-05 2019-10-10 Boge Elastmetall Gmbh Gummilager
US11285773B1 (en) 2018-09-12 2022-03-29 Apple Inc. Control system
US11634167B1 (en) 2018-09-14 2023-04-25 Apple Inc. Transmitting axial and rotational movement to a hub
US11345209B1 (en) * 2019-06-03 2022-05-31 Apple Inc. Suspension systems
US11179991B1 (en) 2019-09-23 2021-11-23 Apple Inc. Suspension systems
US11938922B1 (en) 2019-09-23 2024-03-26 Apple Inc. Motion control system
US11293511B2 (en) * 2019-10-04 2022-04-05 K.M. Gehman Incorporated Bushing for use in a vehicle suspension
US11707961B1 (en) 2020-04-28 2023-07-25 Apple Inc. Actuator with reinforcing structure for torsion resistance
US11828339B1 (en) 2020-07-07 2023-11-28 Apple Inc. Vibration control system
US11787257B2 (en) * 2021-06-08 2023-10-17 Jerry A. Edwards Torsion bushings and related assemblies
JP2023084851A (ja) * 2021-12-08 2023-06-2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流体圧アクチュエー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713A (ja) * 1998-01-26 1999-08-03 Orihashi Seisakusho:Kk ずれ防止固定リング
JP2001163026A (ja) 1998-04-23 2001-06-19 Yokohama Kiko Co Ltd 棒材のずれ防止構造
US6685381B1 (en) * 1998-04-23 2004-02-03 Nhk Spring Co., Ltd. Retaining arrangement for a rod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3918A (en) 1940-05-02 1942-05-26 Cleveland Graphite Bronze Co Method of making bushings
JPS60145639A (ja) 1984-01-10 1985-08-01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60145639U (ja) * 1984-03-09 1985-09-27 豊生ブレ−キ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マウント組立体
FR2642487B1 (fr) * 1989-01-31 1991-05-10 Hutchinson Palier de barre de torsion
JPH02168005A (ja) * 1989-11-04 1990-06-28 Kato Hatsujo Kaisha Ltd 形状記憶合金製クランプの製造方法
US20050079032A1 (en) * 2001-05-18 2005-04-14 Jiri Pazdirek Link assembly for a vehicle suspension system
US6789339B2 (en) * 2002-05-06 2004-09-14 Janis Blease Illuminated message display predominantly for automobiles
US7290322B2 (en) * 2004-09-01 2007-11-06 Automotive Components Holdings, Llc Method of crimping a ring shaped stop within an annular groove of a stabilizer bar
US8696707B2 (en) * 2005-03-08 2014-04-15 Zyga Technology, Inc. Facet joint stabilization
FR2888166B1 (fr) * 2005-07-08 2007-10-12 Allevard Rejna Autosuspensions Bague d'arret destinee a etre montee sur une barre stabilisatrice d'une suspension de vehicule automobile
US8029546B2 (en) * 2005-12-15 2011-10-04 Warsaw Orthopedic, Inc. Variable angle offset spinal connector assembly
ITPI20080010A1 (it) * 2008-02-07 2009-08-08 Giuseppe Calvosa Distrattore vertebrale interspinoso per inserimento percutaneo
JP5049842B2 (ja) * 2008-03-28 2012-10-17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
US8177195B2 (en) * 2009-12-18 2012-05-15 Delair Group, LLC. Connector components and methods of use
US9167228B2 (en) * 2012-01-03 2015-10-20 Lawrence Maxwell Monari Instrumented sports paraphernalia system
WO2013170627A1 (zh) * 2012-05-12 2013-11-21 Liu Suhua 一种旋转运动转变为往复冲击运动设备的方法及实施该方法的旋转运动转变为往复冲击运动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713A (ja) * 1998-01-26 1999-08-03 Orihashi Seisakusho:Kk ずれ防止固定リング
JP2001163026A (ja) 1998-04-23 2001-06-19 Yokohama Kiko Co Ltd 棒材のずれ防止構造
US6685381B1 (en) * 1998-04-23 2004-02-03 Nhk Spring Co., Ltd. Retaining arrangement for a rod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21124T3 (es) 2021-04-23
MX2015002926A (es) 2015-10-29
KR20150047553A (ko) 2015-05-04
EP2896521A1 (en) 2015-07-22
MX363784B (es) 2019-04-02
JP6326370B2 (ja) 2018-05-16
WO2014042038A1 (ja) 2014-03-20
KR101961320B1 (ko) 2019-03-25
EP2896521A4 (en) 2016-06-15
JPWO2014042038A1 (ja) 2016-08-18
JP2018108814A (ja) 2018-07-12
BR112015004630A2 (pt) 2017-07-04
US9278603B2 (en) 2016-03-08
EP2896521B1 (en) 2020-09-02
US20150343876A1 (en) 2015-12-03
BR112015004630B1 (pt) 2021-11-16
AR092518A1 (es) 2015-04-22
JP6450482B2 (ja)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320B1 (ko)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이동 규제 부재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저 바, 및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에 바에 장착하는 방법
KR101416548B1 (ko) 버링 구조를 가지는 리어 어퍼 암 제조방법
US8226100B2 (en) Elastomeric bushing assembly with multi-piece bar pin
US11167616B2 (en) Stabilizer li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abilizer link
US10596870B2 (en) Vehicular arm component manufacturing method and vehicular arm component
US20110175269A1 (en) Stabilizer bush
US20180370468A1 (en) Energy absorbing member
CN107427124B (zh) 抽屉用滑动组件
CN104442491A (zh) 车身座椅靠背的安装结构
WO2010109307A1 (en) Hybrid metal-plastic component applicable to an automotive vehicl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CN110139721B (zh) 部件的接合方法以及接合体
EP3845421A1 (en) Motor vehicle end structure assembly and assembly method thereof
JP4902408B2 (ja) ヘリカルアンテナの製造方法、及び、ヘリカルアンテナの一次成形品
JP2014219098A (ja) 運動案内装置
US20200116201A1 (en) Slide unit
CN107380018B (zh) 带有滑轨球挡结构的滑轨
JP4902407B2 (ja) ヘリカルアンテナの製造方法およびヘリカルアンテナの一次成形品
CN214927317U (zh) 一种高精密压机
CN219751401U (zh) 一种具有纠偏功能的防偏转向辊装置
CN218986320U (zh) 门护板预装结构及车辆
KR102092311B1 (ko) 광케이블용 보빈
CN112823114B (zh) 用于机动车辆的发动机托架
KR101869899B1 (ko) 토션빔 제조금형
KR20190096072A (ko) 차량용 시트레일 보강구조 및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홈 형성방법
US20170102027A1 (en) Ball joint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