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311B1 - 광케이블용 보빈 - Google Patents

광케이블용 보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311B1
KR102092311B1 KR1020190107591A KR20190107591A KR102092311B1 KR 102092311 B1 KR102092311 B1 KR 102092311B1 KR 1020190107591 A KR1020190107591 A KR 1020190107591A KR 20190107591 A KR20190107591 A KR 20190107591A KR 102092311 B1 KR102092311 B1 KR 102092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ke
winding body
winding
optical cable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민호
Original Assignee
(주)새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길 filed Critical (주)새길
Priority to KR1020190107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6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ing of winding
    • B65H75/265Reels with grooves or grooved elements inhibiting aligned or orderly wi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2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using combined reduction-oxidation reactions, e.g. redox arrangement or sol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용 보빈에 관한 것으로서, 속이 빈 제1내부공간을 갖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광케이블을 권선할 수 있도록 된 제1권취바디와, 제1권취바디의 일단에서 제1권취바디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권취바디보다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된 제1플랜지 부분을 갖는 제1분할 스풀과, 속이 빈 제2내부공간을 갖으면서 제1권취바디와 대응되는 크기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광케이블을 권선할 수 있도록 된 제2권취바디와, 제2권취바디의 일단에서 제2권취바디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권취바디보다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된 제2플랜지 부분을 갖는 제2분할 스풀과, 제1권취바디의 제1내부공간 내측면과 제2권취바디의 제2내부공간 내측면에 삽입되어 제1권취바디의 타단과 제2권취바디의 타단을 상호 밀접상태가 되게 중계 결합하며 제1 및 제2권취바디보다 작은 외경을 갖게 속이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중계 결합바디를 구비한다. 이러한 광케이블용 보빈에 의하면,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부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조립상태에서 충분한 견고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케이블용 보빈{bobbin for optical cable}
본 발명은 광케이블용 보빈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광케이블용 보빈에 관한 것이다.
광케이블용 보빈은 광케이블을 감을 수 있게 형성된 것을 말하며 통상적으로 광케이블이 권취되는 원통형 바디와, 원통형 바디의 양단에서 권선된 광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외경이 확장되게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 부분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광케이블용 보빈은 등록실용신안 제20-0228141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6613호 등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광케이블용 보빈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플랜지부분 등 일부만 조립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부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면서, 조립상태에서 충분한 견고성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부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조립상태에서 충분한 견고성을 제공할 수 있는 광케이블용 보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용 보빈은 속이 빈 제1내부공간을 갖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광케이블을 권선할 수 있도록 된 제1권취바디와, 상기 제1권취바디의 일단에서 상기 제1권취바디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권취바디보다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된 제1플랜지 부분을 갖는 제1분할 스풀과; 속이 빈 제2내부공간을 갖으면서 상기 제1권취바디와 대응되는 크기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광케이블을 권선할 수 있도록 된 제2권취바디와, 상기 제2권취바디의 일단에서 상기 제2권취바디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권취바디보다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된 제2플랜지 부분을 갖는 제2분할 스풀과; 상기 제1권취바디의 제1내부공간 내측면과 상기 제2권취바디의 제2내부공간 내측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1권취바디의 타단과 상기 제2권취바디의 타단을 상호 밀접상태가 되게 중계 결합하며 상기 제1 및 제2권취바디보다 작은 외경을 갖게 속이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중계 결합바디;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권취바디의 내측면과 상기 제2권취바디의 내측면에는 내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돌출된 결합 돌기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중계결합바디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권취바디와 상기 제2권취바디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걸림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홀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권취바디와 상기 제2권취바디의 내측면에는 상기 중계결합바디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하는 회동을 억제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연장된 회동억제 끼움바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계결합바디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동억제 끼움바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진입될 수 있게 길이방향을 따라 인입되게 형성된 끼움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권취바디와 상기 제2권취바디의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중계결합바디의 결합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중계 결합바디의 추가 진입을 간섭에 의해 차단하도록 상기 결합돌기에 대해 이격되는 위치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스톱퍼가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분할스풀과 제2분할스풀은 상호 동일 구조로 동일 크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용 보빈에 의하면,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부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조립상태에서 충분한 견고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용 보빈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케이블용 보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2분할스풀을 제2내부공간이 보이도록 뒤집어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보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용 보빈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케이블용 보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2분할스풀을 제2내부공간이 보이도록 뒤집어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용 보빈(100)은 제1분할 스풀(110), 제2분할 스풀(120) 및 중계 결합바디(130)를 구비한다.
제1분할스풀(110)은 속이 빈 제1내부공간(110a)을 갖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광케이블을 권선할 수 있도록 된 제1권취바디(112)와, 제1권취바디(112)의 일단에서 제1권취바디(112)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되게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권취바디(112)보다 외경이 확장되게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제1플랜지 부분(114)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권취바디(112)의 내측면에는 내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돌출된 결합 돌기(116)가 마련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1권취바디(112)의 내측면에 4개의 결합돌기(11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권취바디(112)의 내측면에는 결합돌기(116)가 후술되는 중계결합바디(130)의 결합홀(136)에 결합된 상태에서 중계 결합바디(136)의 추가 진입을 간섭에 의해 차단하도록 결합돌기(116)에 대해 제1플랜지부분(114)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위치에서 돌출된 된 스톱퍼(118)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하나의 결합돌기(116)에 대해 두 개로 분할되어 대향되게 마련된 스톱퍼(118)가 적용되었고, 하나의 결합돌기(116)에 대해 대응되는 길이로 하나 또는 3개 이상으로 분할되게 스톱퍼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권취바디(112)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계결합바디(13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을 억제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연장된 회동억제 끼움바(119)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회동억제 끼움바(119)는 내주방향을 따라 결합돌기(116)와 중첩되지 않는 사이 영역에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2개가 형성되어 있다.
제1플랜지부분(114)의 중앙에는 제1권취바디(112)의 내경보다 작은 삽입홀(110b)을 갖으면서 제1권취바디(112)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관부분(115)이 형성되어 있다.
제2분할스풀(120)은 속이 빈 제2내부공간(120a)을 갖으면서 제1권취바디(112)와 대응되는 크기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광케이블을 권선할 수 있도록 된 제2권취바디(122)와, 제2권취바디(122)의 일단에서 제2권취바디(122)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되게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권취바디(122)보다 외경이 확장되게 원판형으로 형성된 제2플랜지 부분(124)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2권취바디(122)의 내측면에도 내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돌출된 결합 돌기(126)가 마련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1권취바디(112)의 내측면에 4개의 결합돌기(12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권취바디(122)의 내측면에는 결합돌기(126)가 후술되는 중계결합바디(130)의 결합홀(136)에 결합된 상태에서 중계 결합바디(136)의 추가 진입을 간섭에 의해 차단하도록 결합돌기(126)에 대해 제2플랜지부분(124)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위치에서 돌출된 된 스톱퍼(12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권취바디(122)의 내측면에도 길이방향을 따라 중계결합바디(13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을 억제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연장된 회동억제 끼움바(129)가 형성되어 있다.
제2플랜지부분(124)의 중앙에도 제2권취바디(122)의 내경보다 작은 삽입홀(120b)을 갖으면서 제2권취바디(122)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관부분(12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분할스풀(110)과 제2분할스풀(120)은 상호 동일 구조로 동일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분할스풀(110)를 성형할 수 있는 하나의 금형을 이용하여 형성된 제1분할스풀(110)들에 대해 후술되는 중계 결합바디(130)에 상호 대칭되게 접속시키면 하나는 제1분할스풀(110)이 되고 나머지 하나는 제2분할스풀(120)이 되며, 이 경우 부품 성형을 위한 금형 개수가 줄어들며 호환성에 의해 다른 형상으로 성형해야할 부품 개수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중계 결합바디(130)는 제1권취바디(112)의 제1내부공간(110a) 내측면과 제2권취바디(122)의 제2내부공간(120a) 내측면에 삽입되어 제1권취바디(112)의 타단과 제2권취바디(122)의 타단을 상호 밀접상태가 되게 중계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중계 결합바디(130)는 제1 및 제2권취바디(112)(114)보다 작은 외경을 갖게 속이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중계 결합바디(130)의 외경은 제1 및 제2권취바디(112)(114)의 내측면에 밀접될 수 있게 제1 및 제2권취바디(112)(114)의 내경에 대응되게 적절하게 적용하면 된다.
중계결합바디(130)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1권취바디(112)와, 제2권취바디(114)의 결합돌기(116)(126)가 각각 삽입되어 걸림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홀(136)들이 형성되어 있다.
중계결합바디(130)의 외주면에는 제1 및 제2권취바디(112)(114)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회동억제 끼움바(119)(129)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진입될 수 있게 길이방향을 따라 인입되게 형성된 끼움홈(139)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광케이블용 보빈(100)은 중계 결합바디(130)의 끼움홈(139)에 제1 및 제2분할 스풀(110)(120)의 회동억제 끼움바(129)가 삽입되게 얼라인 시킨다음 제1 및 제2분할 스풀(110)(120)이 상호 밀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결합돌기(116)(126)가 결합홀(136)에 결합되게 조립하면 된다.
또한, 조립된 광케이블용 보빈(100)은 중계 결합바디(130)가 삽입되는 부분은 제1 및 제2분할 스풀(110)(120)과 함께 이중으로 지지됨으로써 광케이블의 권선시 중계 결합바디(130)가 삽입되는 중간부분에서 휨이나 처짐을 억제시킬 수 있는 보강력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광케이블용 보빈은 금형을 통해 제작해야 하는 부품이 분할스풀과 중계 결합바디로 단순화시킬 수 있어 제작 및 부품호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품의 보관 크기도 줄일 수 있은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광케이블용 보빈에 의하면,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부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조립상태에서 충분한 견고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제1분할 스풀 120: 제2분할 스풀
130: 중계 결합바디

Claims (5)

  1. 속이 빈 제1내부공간을 갖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광케이블을 권선할 수 있도록 된 제1권취바디와, 상기 제1권취바디의 일단에서 상기 제1권취바디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권취바디보다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된 제1플랜지 부분을 갖는 제1분할 스풀과;
    속이 빈 제2내부공간을 갖으면서 상기 제1권취바디와 대응되는 크기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광케이블을 권선할 수 있도록 된 제2권취바디와, 상기 제2권취바디의 일단에서 상기 제2권취바디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권취바디보다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된 제2플랜지 부분을 갖는 제2분할 스풀과;
    상기 제1권취바디의 제1내부공간 내측면과 상기 제2권취바디의 제2내부공간 내측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1권취바디의 타단과 상기 제2권취바디의 타단을 상호 밀접상태가 되게 중계 결합하며 상기 제1 및 제2권취바디보다 작은 외경을 갖게 속이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중계 결합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제1권취바디의 내측면과 상기 제2권취바디의 내측면에는 내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돌출된 결합 돌기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중계결합바디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권취바디와 상기 제2권취바디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걸림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권취바디와 상기 제2권취바디의 내측면에는 상기 중계결합바디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하는 회동을 억제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연장된 회동억제 끼움바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계결합바디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동억제 끼움바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진입될 수 있게 길이방향을 따라 인입되게 형성된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권취바디와 상기 제2권취바디의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중계결합바디의 결합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중계 결합바디의 추가 진입을 간섭에 의해 차단하도록 상기 결합돌기에 대해 이격되는 위치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스톱퍼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분할스풀과 제2분할스풀은 상호 동일 구조로 동일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용 보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07591A 2019-08-30 2019-08-30 광케이블용 보빈 KR102092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591A KR102092311B1 (ko) 2019-08-30 2019-08-30 광케이블용 보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591A KR102092311B1 (ko) 2019-08-30 2019-08-30 광케이블용 보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311B1 true KR102092311B1 (ko) 2020-03-23

Family

ID=6999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591A KR102092311B1 (ko) 2019-08-30 2019-08-30 광케이블용 보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3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2523A (ja) * 1999-10-22 2001-05-08 Dainippon Printing Co Ltd 巻枠及びフランジ
KR200383679Y1 (ko) * 2004-12-29 2005-05-09 주식회사 네오플라테크 전선 권취용 보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2523A (ja) * 1999-10-22 2001-05-08 Dainippon Printing Co Ltd 巻枠及びフランジ
KR200383679Y1 (ko) * 2004-12-29 2005-05-09 주식회사 네오플라테크 전선 권취용 보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54801B2 (ja) コイルボビン
WO2013001664A1 (ja) 経路維持部材付コルゲートチューブ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KR20180000677U (ko) 변압장치
KR102092311B1 (ko) 광케이블용 보빈
JP5740873B2 (ja) トランス
KR20160128798A (ko) 조립용 교구
US4181272A (en) Tape cassette reel
EP2860740B1 (en) Magnetic device with a bobbin which is lengthwise elastically deformable
JP2566052Y2 (ja) トランス
JPH10289829A (ja) トランス用ボビン
KR200228141Y1 (ko) 광케이블용 보빈
KR20160005313A (ko) 와이어 권취용 홀더
KR20220064804A (ko)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스테이터용 코어-보빈 어셈블리
KR20200133647A (ko) 케이블 권취용 보빈
WO2010061650A1 (ja) 糸巻き
JP7338275B2 (ja) リアクトル用ボビン、リアクトルおよびリアクトルの製造方法
JP7338276B2 (ja) リアクトル用ボビン、リアクトルおよびリアクトルの製造方法
JP4844438B2 (ja) ラインフィルタ
JP2595038Y2 (ja) 光ファイバ心線コネクタ保持具
JP2582773Y2 (ja) ヒューズボックスのヒューズロック構造
KR200493521Y1 (ko) 케이블 클램프
KR101919558B1 (ko) 파손 방지용 형상 유지 클립이 구비된 보빈 릴
JPH0749773Y2 (ja) トランス装置
JPH1187153A (ja) トランス
JP2538999Y2 (ja) スイッチング電源用トランスのコイルボビ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