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252A - 혈관내 치료 보조구 - Google Patents

혈관내 치료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252A
KR20170007252A KR1020167028454A KR20167028454A KR20170007252A KR 20170007252 A KR20170007252 A KR 20170007252A KR 1020167028454 A KR1020167028454 A KR 1020167028454A KR 20167028454 A KR20167028454 A KR 20167028454A KR 20170007252 A KR20170007252 A KR 20170007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ring
shaft
longitudinal direct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0117B1 (ko
Inventor
칸지 이노우에
타카히로 야기
마사키 후지타
코지 카도와키
카즈히로 타나하시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칸지 이노우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칸지 이노우에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7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1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1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 A61F2/013Distal protection devices, i.e. devices placed distall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endovascular procedure, e.g. angioplasty or ste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1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 A61F2/011Instruments for their placement or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1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 A61F2002/016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made from wire-lik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67Three-dimensional shapes con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96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 A61F2250/0098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radio-opaque, e.g. radio-opaque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혈관내 치료 보조구가 혈관에 밀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포착한 물질의 누설을 방지하는 혈관내 치료 보조구가 개시되어 있다. 혈관내 치료 보조구는 가요성의 샤프트와, 기단측에 개구부가 되도록 샤프트에 고정되고, 탄성 복원력을 갖는 링이 개구부에 고정되고, 열려 있을 때에는 링을 저면으로 해서 원추상의 형상이 되는 우산 형상으로 개폐 가능한 필터와, 링과 샤프트의 일부를 연결하도록 각각에 고정되고, 기단측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필터를 닫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선상의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링에는 방사선 불투과 재료로 이루어지는 코일이 권취되어 필터가 닫혔을 때, 링은 선단측을 향하는 복수의 산과 기단측을 향하는 복수의 골이 교대로 생기고, 산끼리 및 골끼리가 근접한 형상이 됨과 아울러, 코일은 링 상의 지지 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위치를 포함하고, 산의 정점과 골의 정점의 위치를 포함하지 않도록 링 상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혈관내 치료 보조구{ENDOVASCULAR TREATMENT AID}
본 발명은 의료기기 분야에 속하는 것이고, 특히 혈관에 대한 경피적 조치를 실시할 때, 유리한 혈전 등을 보충하기 위한 혈관내 치료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심근경색이나 뇌경색 등의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들 경색의 원인은 혈관벽에의 혈전이나 플라크 등의 퇴적에 의해 혈관내가 폐색 또는 협착함으로써 혈류가 차단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혈관내의 폐색 또는 협착 부위를 치료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는 벌룬 카테터나 스텐트에 의한 벌룬 혈관 형성술이나 스텐트 유치술 등의 경피적 치료가 사용되고 있다.
벌룬 혈관 형성술은 벌룬 카테터의 선단부에 있는 팽창 가능한 벌룬을 혈관내의 폐색 또는 협착 부위에서 확장시킴으로써, 혈관내강을 확보하여 혈류를 유지하는 치료이다. 그러나, 벌룬에 의해 혈관을 확장할 때, 혈관벽에 퇴적하고 있던 혈전이나 플라크 등을 의도하지 않게 유리시키는 경우가 있고, 그 후에 그들의 물질이 혈류에 타고 흘러내려, 말초의 미세한 혈관을 막음으로 경색을 야기할 위험성이 있다.
또한, 스텐트 유치술은 니티놀 또는 코발트 합금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거의 원통형의 튜브 또는 메쉬 슬리브상인 스텐트를 혈관내의 협착 부위에 영구히 또는 일시적으로 유입함으로써, 혈관내강을 확보하여 혈류를 유지하는 치료이다. 그러나, 스텐트를 혈관에 유치할 때에도 벌룬 혈관 형성술과 마찬가지로, 혈관벽에 퇴적하고 있던 혈전이나 플라크 등을 의도하지 않게 유리시켜버려, 그것이 원인으로 경색을 야기할 위험성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위험성을 회피하기 위해서, 벌룬 카테터이나 스텐트 등의 치료용 디바이스와 병용하는 디바이스로서, 혈관내의 유치해야 할 병변부에서도 말초측에 경피적으로 배치하여 혈관벽으로부터 유리한 혈전이나 플라크 등을 포착하기 위한 혈관내 치료 보조구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혈관내 치료 보조구로서는 벌룬 카테터 등의 치료용 디바이스의 가이드 와이어 루멘내를 통과할 수 있는 외경의 샤프트와, 그 선단부에 필터가 고정된 구조를 갖는 것이 보고되고 있고, 필터는 폴리머 소재로 이루어지는 메쉬상이나 시트상의 막에 복수의 개공(開孔)을 가짐과 아울러, 혈관의 말초측, 즉 선단측이 폐구되어 혈관의 중추측, 즉 기단측이 개구한 형상을 갖고 있다(특허문헌 1).
이에 따라, 벌룬 카테터 등의 치료 디바이스에서의 치료시에, 혈류를 차단하지 않고 혈관벽으로부터 유리하여 흘러내리는 혈전이나 플라크 등을 말초측에 배치한 혈관내 치료 보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필터로 포착할 수 있다.
이러한 혈관내 치료 보조구가 사용되는 경우, 혈관내 치료 보조구는 필터를 닫은 상태에서 송달 시스에 수납되고, 병변부에서도 말초측의 마땅한 배치 장소로 송달된다. 송달 후는 송달 시스를 체외로 제거함으로 필터가 방출되어 필터의 개구부가 자기 확장함으로써 혈관벽에 밀착한다. 혈관내 치료 보조구의 회수시는 회수 시스가 혈관내 치료 보조구에 따라 송달되고, 혈전이나 플라크 등을 수용한 필터가 회수 시스에 수납되어 체외로 제거된다.
또한, 혈관벽에의 밀착성을 높여 혈전이나 플라크 등의 누설을 저감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혈관내 치료 보조구로서, 필터의 개구부에 초탄성 특성 금속으로 형성된 링 형상의 부재를 설치하고, 필터를 지탱하는 지지 부재를 집속시켜 필터의 개구부가 닫혔을 때에, 초탄성 특성 금속이 변형하므로 필터를 자루상으로 접는 혈관내 치료 보조구가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2).
또한, 시술 중에 필터가 확실하게 혈관벽에 밀착하고 있는지, 회수시에 필터의 개구부가 확실하게 닫혔는지의 관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링 형상의 필터 개구부 상에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로 된 코일을 배치함으로써 방사선 하에서의 관찰을 가능하게 한 혈관내 치료 보조구가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3).
또한, 이러한 혈관내 치료 보조구를 혈관내에 배치했을 때에 생체는 이것을 이물로서 인식하여 혈액응고 반응이 진행되어 혈전이 형성되기 때문에, 항 혈전성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항 혈전성 화합물을 부여한 혈관내 치료 보조구가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4∼6).
일본 특허 공개 2008-35923호 공보 일본 특허 제4073869호 공보 일본 특허 제4680201호 공보 WO2003/084437호 공보 WO2008/005898호 공보 WO2013/05906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혈관내 치료 보조구에서는 회수 시스를 송달할 때에 회수 시스의 선단 지름이 굵은 것에 따른 스텐트에의 접촉 때문에 회수 시스가 필터까지 송달될 수 없을 가능성이나, 필터의 개구부가 링 형상이 아니라 혈관벽에의 밀착성이 낮음으로써 벌룬 카테터 등에 의한 치료 중에 혈전이나 플라크 등을 누설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되는 혈관내 치료 보조구에서는 링 형상의 필터 개구부에 사용되는 초탄성 특성 금속은 방사선 불투과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통상의 시술 중에 사용되는 방사선 투과에 의한 관찰을 할 수 없고, 필터가 확실하게 혈관벽에 밀착하고 있는지, 회수시에 필터의 개구부가 확실하게 닫혔는지를 모를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되는 혈관내 치료 보조구에서는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로 형성된 코일이 배치된 부분에 있어서는 링 형상의 필터 개구부의 초탄성 특성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링 형상의 필터 개구부가 능숙하게 변형할 수 없고, 확실하게 혈관벽에 밀착할 수 없게 되므로써 혈전이나 플라크 등을 누설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로 형성된 코일을 일부만 배치하는 것도 기재되어 있지만, 혈관벽에의 밀착성을 저하시키지 않기 때문에 구체적인 배치에 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4∼6에서는 항 혈전성 화합물을 혈관내 치료 보조구에 부여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최적한 항 혈전성 화합물의 종류나 조합에 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즉, 종래에 있어서, 혈관내 치료 보조구가 확실하게 혈관에 밀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포착한 혈전이나 플라크 등의 물질의 누설을 방지하는 2개의 점을 한번에 해결하는 혈관내 치료 보조구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혈관내 치료 보조구가 확실하게 혈관에 밀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포착한 플라크 등의 물질의 누설을 방지하는 혈관내 치료 보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도록 예의연구를 거듭한 결과, 이하의 (1)∼(11)의 발명을 발견했다.
(1) 가요성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에서 폐쇄 단부가 되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측에서 개구부가 되도록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고, 탄성 복원력을 갖는 링이 상기 개구부에 고정되어 열려 있을 때에는 상기 링을 저면으로 해서 원추상의 형상이 되는 우산 형상으로 개폐 가능한 필터와,
상기 링과 상기 샤프트의 일부를 연결시키도록 각각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측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생기는 장력에 의해 상기 필터를 닫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선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링에는 방사선 불투과 재료로 형성된 코일이 권취되고,
상기 필터가 닫혔을 때, 상기 링은 상기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을 향하는 복수의 산과 상기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측을 향하는 복수의 골이 교대로 생기고, 또한 상기 산끼리 및 상기 골끼리가 근접한 형상이 됨과 아울러, 상기 코일은 상기 링 상의 지지 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위치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산의 정점과 상기 골의 정점의 위치를 포함하지 않도록 상기 링 상에 배치된 혈관내 치료 보조구.
(2) (1)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개구부와 상기 링 사이가 엘라스토머 재료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혈관내 치료 보조구.
(3)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코일과 상기 링 사이가 엘라스토머 재료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혈관내 치료 보조구.
(4)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알킬렌이민, 비닐아민, 알릴아민, 리신, 프로타민 및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구성 모노머로서 포함하는 양이온성 폴리머가 상기 필터와 공유 결합하고 있고,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이 상기 필터 및/또는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와 결합하고 있는 혈관내 치료 보조구.
(5)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선 광전자 분광법(XPS)으로 측정한 상기 필터의 표면의 전체 원자의 존재량에 대한 질소원자의 존재 비율이 7.0∼12.0원자수%인 혈관내 치료 보조구.
(6)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선 광전자 분광법(XPS)으로 측정한 상기 필터의 표면의 전체 원자의 존재량에 대한 황원자의 존재 비율이 3.0∼6.0원자수%인 혈관내 치료 보조구.
(7)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은 헤파린 및 헤파린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혈관내 치료 보조구.
(8)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37℃의 생리식염수에 30분간 침지한 후의 상기 필터에 있어서의 항 팩터Xa 활성에 의한 상기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의 표면량이 30mIU/㎠ 이상인 혈관내 치료 보조구.
(9)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표면에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와 상기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에 의해 형성되는 항 혈전성 화합물의 층의 두께가 1∼600nm인 혈관내 치료 보조구.
(10)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는 혈관내 치료 보조구.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링 상에 권취된 방사선 불투과 재료로 형성된 코일의 위치를 특정함으로써, 혈관내 치료 보조구가 확실하게 혈관에 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포착한 플라크 등의 물질의 누설을 방지하는 혈관내 치료 보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혈관내 치료 보조구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측면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혈관내 치료 보조구의 필터의 개구부가 닫혔을 때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측면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혈관내 치료 보조구의 필터부의 링, 코일 및 지지 부재 및 샤프트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정면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미립자의 포착률을 비교하는 실험 모델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혈관내 치료 보조구는 가요성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에서 폐쇄 단부가 되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측에서 개구부가 되도록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탄성 복원력을 갖는 링이 상기 개구부에 고정되고, 열려 있을 때에는 상기 링을 저면으로 해서 원추상의 형상이 되는 우산 형상으로 개폐 가능한 필터와, 상기 링과 상기 샤프트의 일부를 연결시키도록 각각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측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생기는 장력에 의해 상기 필터를 닫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선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링에는 방사선 불투과 재료로 형성된 코일이 권취되고, 상기 필터가 닫혔을 때, 상기 링은 상기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을 향하는 복수의 산과 상기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측을 향하는 복수의 골이 교대로 생기고, 또한 상기 산끼리 및 상기 골끼리가 근접한 형상이 됨과 아울러, 상기 코일은 상기 링 상의 지지 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위치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산의 정점과 상기 골의 정점의 위치를 포함하지 않도록 상기 링 상에 배치되고, 알킬렌이민, 비닐아민, 알릴아민, 리신, 프로타민 및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구성 모노머로서 포함하는 양이온성 폴리머가 상기 필터와 공유결합하고 있고,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이 상기 필터 및/또는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와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도를 개입시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여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비율은 설명의 것과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하는 용어는 특별히 거절이 없는 한, 하기에 나타낸 정의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혈관내 치료 보조구(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측면의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혈관내 치료 보조구(1)는 벌룬 카테터 등의 치료용 디바이스의 가이드 와이어 루멘내를 통과 가능하고, 또한 가요성을 갖는 선상의 샤프트(2)와, 혈전이나 플라크 등을 포착 가능한 필터부(3)와, 외부 튜브(4) 및 외부 튜브(4)보다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에 배치된 환상 부재(5)를 갖고 있다.
샤프트(2)는 혈관내 유치해야 할 병변부보다 말초측에 확실하게 송달되기 위해서 가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요성을 갖는다란 샤프트의 지름을 D라고 했을 때에, 곡률반경 100D가 되도록 하여 180도 절곡한 후에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오는 것을 가리킨다.
필터부(3)는 샤프트(2)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복수의 개공을 갖고, 우산 형상으로 개폐 가능한 필터(6), 필터(6)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측, 즉 필터(6)의 개구부측에 설치되고, 또한 탄성 복원력을 갖는 유연한 선재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링(7), 링(7) 상에 권취된 방사선 불투과 재료로 형성된 코일(8) 및 샤프트(2)와, 필터(6) 및 링(7)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측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생기는 장력에 의해 필터(6)를 닫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선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9)를 갖고 있다. 필터(6)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과 샤프트(2)의 선단측의 거리는 5∼20㎜가 바람직하고, 10∼15㎜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벌룬 카테터의 벌룬 부분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과 필터(6)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측의 거리는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이란 혈관의 말초측이고,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측이란 혈관의 중추측이다.
외부 튜브(4)는 관통 구멍을 갖고, 샤프트(2) 상을 가동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샤프트(2) 상을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2)의 내 킹크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필터부(3)를 닫기 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선이나 폴리아미드 등의 수지를 사용한 편조층을 편입해도 좋다. 외부 튜브(4)의 샤프트(2) 상에서의 고정 위치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필터부(3)의 개구부보다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측인 것이 바람직하다.
환상 부재(5)는 관통 구멍을 갖고, 샤프트(2) 상을 가동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샤프트(2) 상을 슬라이딩할 수 있다. 환상 부재(5)의 샤프트(2) 상에서의 고정 위치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필터부(3)의 개구부보다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측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 튜브(4)보다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환상 부재(5)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부는 외부 튜브(4)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어도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좋지만, 시술 중에 혈관내 치료 보조구(1)의 혈관내에 있어서의 유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시술자가 조작하는 손잡이측에 있는 외부 튜브(4)를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과 기단측에 슬라이딩시키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고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환상 부재(5)가 외부 튜브(4)의 슬라이딩에 대하여 추종하지 않고, 환상 부재(5)와 필터부(3)의 상대 위치를 조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환상 부재(5)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부는 외부 튜브(4)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6)는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이 닫히도록 샤프트(2)에 고정되고 있고, 이 고정 부분을 폐쇄 단부라고 한다. 또한,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측이 개구되어 있고, 이 부분을 개구부라고 한다. 혈관벽에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필터(6)의 개구부는 환상의 링(7) 전체 둘레에 엘라스토머 재료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필터(6)는 열려 있는 상태로 링(7)을 저면으로 해서 원추상의 형상이 된다. 또한, 링(7)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우산 형상으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코일(8)은 엘라스토머 재료에 의해 링(7)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링(7)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필터(6) 및 링(7)의 변형에 의한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9)는 복수개의 선상의 부재로 구성되고, 각각의 선상의 부재는 필터(6)의 개구부측의 단부에 있어서는 필터(6), 링(7) 및 코일(8)에 고정되어 있고, 샤프트(2) 상에 있어서는 동일한 장소에 집속하여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필터(6), 링(7) 및 코일(8)과 샤프트(2)의 일부를 연결시키고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 부재(9)는 복수개의 선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필터(6) 및 링(7)을 닫을 수 있는 만큼의 개수이면 좋다. 또한, 지지 부재(9)의 샤프트(2) 상에서의 고정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필터부(3)의 개구부보다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측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혈관내 치료 보조구(1)의 필터부(3)가 닫혔을 때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측면의 모식도이다. 외부 튜브(4) 및 환상 부재(5)가 갖는 관통 구멍은 선상의 지지 부재(9)가 그 안을 통과할 수 있는 내경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지 부재(9)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측에 외력을 가하여 장력을 생기게 함으로써 지지 부재(9)는 관통 구멍과 샤프트(2) 사이에 집속되면서 인입되어 샤프트(2) 상을 슬라이딩한다. 환상 부재(5)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선단부가 지지 부재(9)를 필터부(3)의 개구부측의 단부까지 인입하는 위치에 도달했을 때, 즉 환상 부재(5)가 지지 부재(9)를 집속 완료했을 때, 필터부(3)의 개구부는 닫힌 상태가 된다. 또한, 지지 부재(9)의 각각의 길이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샤프트(2)는 링(7)의 중심축에 배치되는 상태를 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혈관내 치료 보조구(1)의 필터부(3)의 링(7), 코일(8) 및 지지 부재(9) 및 샤프트(2)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정면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터부(3)의 개구부가 닫혔을 때의 링(7)이 작게 접혀진 형상을 취하기 때문에 링(7) 주상에 설치된 4 이상의 짝수로 등분한 분할점에 있어서 지지 부재(9)가 인접하는 분할점끼리의 각 중간위치 상 또는 1개 간격의 각 중간위치상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1개 간격의 분할점이 샤프트(2)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을 향하여 산의 정점이 되고, 또한 산의 정점이 된 분할점에 인접하는 1개 간격의 분할점이 샤프트(2)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측을 향하여 골의 정점이 되도록 링(7)을 샤프트(2)에 따라 파형으로 절곡할 수 있다. 즉, 필터부(3)의 개구부가 닫혔을 때, 링(7)은 샤프트(2)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을 향하는 복수의 산과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측을 향하는 복수의 골이 교대로 생기고, 또한 산끼리 및 골끼리가 근접한 형상이 된다. 여기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7)은 원주상을 4개로 등분하도록 4개의 분할점(10)이 설정되고, 지지 부재(9)는 인접하는 분할점(10)끼리의 중간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위치는 분할점끼리의 정확한 중간위치인 필요는 없고, 어느 한쪽의 분할점에 약간 편위하고 있어도 좋다(인접하는 2개의 지지 부재와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중심각에서 ±5도 이하 정도 편위).
또한, 코일(8)은 링(7) 상의 지지 부재(9)에 의해 고정되는 위치를 포함하고, 또한 산의 정점과 골의 정점을 포함하지 않는 링 상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코일(8)에 의해 링(7)의 변형이 방해되지 않기 때문에, 절곡할 수 있을 때 링(7)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부(3)의 개구부가 닫혔을 때에,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정면으로 보았을 때에, 대상 구조 또한 작게 접혀진 형상을 취하기 때문에 링(7)에 고정한 4개의 코일(8)의 각 중간위치에서 링(7) 및 코일(8)은 지지 부재(9)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8)에는 링(7)을 구성하는 선재를 관통시킴으로써 보다 안정한 구조가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샤프트(2)의 재료는 혈관내 치료 보조구(1)의 심이 되는 부재이고, 일반적인 가이드 와이어에 사용되도록 스테인레스나 텅스텐, 코발트 합금 등의 금속이 바람직하다.
외부 튜브(4)의 재료는 환상 부재(5)에 의해 지지 부재(9)가 집속되고, 그 장력으로 필터부(3)를 닫기 때문에 필요한 강성이나 혈관의 추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연성을 양립할 수 있는 범위의 재료이면 어느 것이든 좋고, 니켈 합금이나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을 들 수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나 폴리아미드 등의 수지이다.
외부 튜브(4)의 재료를 폴리이미드나 폴리아미드 등의 수지로 하는 경우, 샤프트(2) 상에서의 슬라이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계의 공중합체 및 윤활재가 배합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등의 이활성이 높은 수지를 내층에 편입하는 것도 고려되고, 필터부(3)를 닫기 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선이나 폴리아미드 등의 수지를 사용한 편조층을 편입하는 것도 고려된다.
또한, 외부 튜브(4)는 시스의 기능도 갖는 것이 고려되고, 외부 튜브(4)의 외경을 벌룬 카테터 등의 치료 디바이스에 모두 수납할 수 있는 지름으로 하고, 또한 관통 구멍의 내경을 개구부를 닫은 상태의 필터부(3)를 모두 수납할 수 있는 지름으로 함으로써 혈관내 치료 보조구(1)는 시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환상 부재(5)의 재료는 스테인레스나 백금 합금, 팔라듐 합금 등의 금속류를 들 수 있지만, 필터부(3)의 개구부가 닫혔을 때에 지지 부재(9)에 데미지를 줄 가능성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폴리이미드나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등의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조상의 간편함에서 금형 등에 의한 성형이 가능한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도 보다 바람직하다.
필터(6)의 재료는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우레탄, 폴리아미드, 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등의 폴리머 또는 니켈 합금과 같은 초탄성 특성이 풍부한 금속으로 구성되지만, 특히 폴리에스테르 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6)의 형상은 폴리머를 시트 형상으로 하여 복수의 개공을 뚫음으로 필터가 되지만, 필터의 개구율을 보다 높여 혈액의 통과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폴리머나 금속 등을 섬유 형상으로 가공한 것 을 사용하여 메쉬 형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고 기재),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타레이트 및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 중에서도 PET가 항 혈전성 재료의 기재로서 범용성이 높아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그 개공 사이즈는 혈류를 확보하면서 혈전이나 플라크 등의 포착이 가능한 범위이면 무엇이든지 좋고, 시트 형상으로 개공을 형성하는 경우, 구멍 지름이 30∼100㎛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쉬 형상으로 하는 경우, 한 변이 30∼100㎛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공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혈관벽으로부터 유리하는 혈전이나 플라크 등뿐만 아니라, 인체에 있어서 이물인 필터(6)를 기인으로 한 혈전이 형성되는 것이 고려되기 때문에 필터(6)의 표면에 항 혈전성 화합물을 결합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7)의 재료는 절곡이 자유로운 탄성 복원력을 갖는 유연한 선재이면 어떠한 소재이어도 좋지만, 다양한 형상으로 변화되면서도 원래의 링 형상으로 복원할 수 있는 초탄성 특성이 풍부한 재료가 적절하다. 그 때문에, 형상 기억 폴리머로 구성할 수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니켈 합금 등의 금속이다.
링(7)과 필터(6)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엘라스토머 재료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나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등이 고려된다. 링(7)의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ISO 868:2003에 근거하는 쇼어 경도(쇼어 D)가 25D∼55D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쇼어 경도(쇼어 A)가 80A 이하이다.
코일(8)의 재료는 방사선 불투과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면 어떠한 재료를 사용해도 좋고, 금이나 백금 합금, 팔라듐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코일(8)에 사용하는 금속선의 형상은 플랫 와이어나 환선이어도 좋다. 방사선 불투과 재료가 되는 금속선의 선 지름은 30∼70㎛이면 바람직하지만, 필터부(3)의 개구부가 닫혔을 때의 벌키니스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30∼40㎛이다. 또한, 코일(8)의 링(7) 상에 있어서의 고정량이 너무 적으면 목적의 양호한 조영성이 얻어지기 어려워지는 한편, 고정량이 너무 많으면 링(7)의 변형이 방해되어버린다. 따라서, 링(7)의 원주에 대한 코일(8)의 길이의 총 합계는 1/6∼4/6이 바람직하고, 2/6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코일(8)과 링(7)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엘라스토머 재료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나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등이 고려된다. 링(7)의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ISO 868:2003에 근거하는 쇼어 경도(쇼어 D)는 20D∼40D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쇼어 경도(쇼어 A)가 90A 이하, 더 보다 바람직하게는 쇼어 경도(쇼어 A)가 80A 이하이다.
지지 부재(9)의 재료는 링(7)의 복원력을 저해하지 않고, 환상 부재(5)로의 집속으로 파단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재료이면 무엇이든지 좋고, 미세한 금속 와이어를 들 수 있지만, 아라미드 섬유, 폴리아릴레이트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의 고강도의 수지성 섬유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필터부(3)에 있어서, 필터(6)와 지지 부재(9)는 링(7)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지만, 지지 부재(9)는 링(7)을 개재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필터(6)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지지 부재(9)는 초탄성 특성의 니켈 합금 등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혈관내 치료 보조구는 이것을 기인으로 하는 혈전 형성을 억제하여 장기간 지속적으로 높은 항 혈전성을 발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항 혈전성이란 혈액과 접촉하는 표면에서 혈액이 응고하지 않는 성질이고, 예를 들면 혈소판의 응집이나, 트롬빈으로 대표되는 혈액응고 인자의 활성화 등으로 진행하는 혈액응고를 저해하는 성질을 가리킨다.
여기서, 항 혈전성 화합물이란 항 혈전성을 갖는 화합물이고, 특히 혈액과의 접촉 면적이 크고 혈전이 형성되기 쉬운 필터(6)의 표면에 항 혈전성 화합물을 결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항 혈전성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알킬렌이민, 비닐아민, 알릴아민, 리신, 프로타민 및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구성 모노머 A로서 포함하는 양이온성 폴리머, 및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관내 치료 보조구에 있어서는 양이온성 폴리머가 필터(6)의 표면과 공유결합하고 있고, 또한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이 필터(6) 및/또는 양이온성 폴리머에 결합하고 있으므로 항 혈전성을 부여한 상태가 되어 있다.
여기서, 양이온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인 구성 모노머 A는 양이온성의 질소원자를 갖고 있기 때문에 폴리머는 양이온성이 되고, 한편 항 응고 활성을 갖는 황원자를 포함한 화합물은 음이온성이기 때문에 양쪽은 이온결합할 수 있다.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은 헤파린 또는 헤파린 유도체, 덱스트란 황산, 폴리비닐 술폰산 및 폴리스티렌 술폰산 등을 들 수 있고, 헤파린 또는 헤파린 유도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헤파린 또는 헤파린 유도체는 정제되어 있어도 좋고, 정제되지 않아도 좋고, 혈액응고 반응을 저해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상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헤파린, 미분화 헤파린이나 저분자량 헤파린 이외에 안티트론빈 III에 고 친화성의 헤파린 등도 포함된다. 헤파린의 구체예로서는 "헤파린 나트륨"(Organon API 제작)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헤파린 유도체로서는 프라그민, 크렉산, 올가란(Orgaran), 아릭스트라(Arixtra)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폴리머는 양이온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용혈 독성 등을 발현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혈액 중에 용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양이온성 폴리머는 필터(6)의 표면과 공유결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폴리머와 필터(7)의 표면을 공유결합시키는 것은 양이온성 폴리머의 관능기와, 필터(6)의 표면의 관능기를 주지의 방법에 의해 공유결합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이온성 폴리머의 아미노기와, 필터(7)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의 카르복실기를 4(-4,6-디메톡시-1,3,5-트리아진-2-일)-4-메틸모르폴리늄클로라이드 n 수화물(「DMT-㎜」)과 같은 축합제로 공유결합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가열 조건 하에서 양이온성 폴리머를 필터(7)와 접촉시킴으로써 아미놀리 시스 반응에 의해 공유결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방사선을 조사 함으로써, 필터(7)의 표면 및 양이온성 폴리머에 라디칼을 발생시키고 그 재결합반응에 의해 필터(7)의 표면과 폴리머를 공유결합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공유결합이란 원자끼리 서로 전자를 공유함으로써 생기는 화학결합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양이온성 폴리머 및 필터(6)의 표면이 갖는 탄소, 질소, 산소, 황 등의 원자끼리의 공유결합이고, 단결합이어도 다중결합이어도 상관없다. 공유결합의 종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아민 결합, 아지드 결합, 아미드 결합, 이민 결합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공유결합의 형성하기 용이함이나 결합 후의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아미드 결합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자들이 예의검토한 결과, 양이온성 폴리머와 필터(6)의 표면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이 형성됨으로써, 양이온성 폴리머의 필터(6)의 표면에 있어서의 입체 배치가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의 이온결합 상태를 최적으로 하는 것을 발견했다. 공유결합의 확인은 폴리머를 용해하는 용제로 세정해도 용출되지 않는 점에서 판정할 수 있다.
양이온성 폴리머는 단독 중합체이어도 좋고,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양이온성 폴리머가 공중합체인 경우에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 또는 교호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도 좋지만, 질소원자를 포함한 반복단위가 연속하는 블록의 경우, 그 블록의 부분과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이 상호작용하여 견고하게 이온결합하기 때문에 블록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독 중합체란 1종류의 구성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고분자 화합물을 말하고, 공중합체란 2종류 이상의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고분자 화합물을 말한다. 그 중에서도, 블록 공중합체란 반복단위가 다른 적어도 2종류 이상의 폴리머가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긴 연쇄로 이루어진 분자 구조의 공중합체를 말하고, 블록이란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반복단위가 다른 적어도 2종류 이상의 폴리머의 각각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이온성 폴리머의 구조는 직쇄상이어도 좋고, 분기상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과, 다점에서 보다 안정한 이온결합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분기상의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이온성 폴리머는 제 1 급∼제 3 급의 아미노기 및 제 4 급 암모늄기 중 적어도 1개의 관능기를 갖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제 4 급 암모늄기는 제 1 급∼제 3 급의 아미노기보다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과의 이온 상호작용이 강고하여,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의 용출속도를 제어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4 급 암모늄기를 구성하는 3개의 알킬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너무 많으면 소수성이 높고, 또한 입체장해가 커지기 때문에 제 4 급 암모늄기에 효과적으로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을 이온결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너무 많으면 용혈 독성도 생기기 쉬워지기 때문에 제 4 급 암모늄기를 구성하는 질소원자에 결합하고 있는 알킬기 1개당 탄소수는 1∼12개가 바람직하고, 2∼6개가 더 바람직하다. 제 4 급 암모늄기를 구성하는 질소원자에 결합하고 있는 3개의 알킬기는 모두 동일한 탄소수이어도 좋고, 달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과 이온 상호작용에 근거하여 흡착량이 많으므로, 양이온성 폴리머로서 폴리알킬렌 이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알킬렌이민으로서는 폴리에틸렌이민(이하, 「PEI」), 폴리프로필렌이민 및 폴리부틸렌이민, 알콕실화된 폴리알킬렌이민 등을 더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PEI가 보다 바람직하다.
PEI의 구체예로서는 "LUPASOL"(등록상표)(BASF 제작)이나 "EPOMIN"(등록상표)(Nippon Shokubai Co., Ltd. 제작)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모노머와의 공중합체이어도 좋고 변성체이어도 좋다. 여기서, 변성체란 양이온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반복단위는 동일하지만, 예를 들면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그 일부가 라디칼 분해나 재결합 등을 일으키고 있는 것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양이온성 폴리머는 이것을 구성하는 모노머로서 알킬렌이민, 비닐아민, 알릴아민, 리신, 프로타민 및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만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지만, 항 혈전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1종 또는 복수 종류의 다른 모노머와 공중합체를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다른 구성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비닐피롤리돈, 비닐알콜, 비닐카프로락탐, 아세트산 비닐, 스티렌,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실록산 등의 구성 모노머 B를 예시할 수 있다. 구성 모노머 B의 중량이 너무 많으면, 양이온성 폴리머가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과의 이온결합이 약해지기 때문에 양이온성 폴리머의 전체 중량에 대한 구성 모노머 B의 중량은 1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이온성 폴리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너무 작으면,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보다 분자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안정한 이온결합이 형성되지 않아 목적의 항 혈전성을 얻기 어려워진다. 한편, 양이온성 폴리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너무 크면,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이 양이온성 폴리머에 의해 내포되어 매몰되어버린다. 이 때문에, 양이온성 폴리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600∼2000000이 바람직하고, 1000∼1500000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00∼1000000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폴리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면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법이나 광 산란법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혈관내 치료 보조구를 기인으로 하는 혈전 형성을 억제하여 장기간 지속적으로 높은 항 혈전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본원 발명자들이 예의검토한 결과, X선 광전자 분광법(이하, 「XPS」)으로 측정한 필터(6)의 표면의 전체 원자의 존재량에 대한 황원자의 존재 비율에 바람직한 값이 존재하는 것을 발견했다. 원자의 존재 비율은 「원자수%」로 나타내고, 원자수%란 전체 원자의 존재량을 100으로 했을 때의 특정 원자의 존재 비율을 원자수 환산으로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XPS로 측정한 필터(6)의 표면의 전체 원자의 존재량 에 대한 황원자의 존재 비율은 3.0∼6.0원자수%가 바람직하고, 3.2∼5.5원자수%가 보다 바람직하고, 3.5∼5.0원자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전체 원자의 존재량 에 대한 황원자의 존재 비율이 3.0원자수% 미만인 경우,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의 결합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혈관내 치료 보조구를 기인으로 하는 혈전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서 필요로 되는 목적의 항 혈전성을 얻기 어렵다. 한편, 전체 원자의 존재량에 대한 황원자의 존재 비율이 6.0원자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의 결합량이 충분량 존재하여 목적의 항 혈전성을 얻을 수 있지만, 이온결합시키기 위한 필터(6)와 공유결합하는 양이온성 폴리머의 양을 많이 필요로 한다. 또한,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이 용출함에 따라서 노출한 양이온성 폴리머가 용혈 독성 등을 발현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XPS로 측정한 필터(6)의 표면의 전체 원자의 존재량에 대한 황원자의 존재 비율은 XPS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측정 조건]
장치: ESCALAB 220iXL(VG Scientific 제작)
여기 X선: monochromatic AIKα1, 2선(1486.6eV)
X선 지름: 1㎜
X전자 탈출 각도: 90°(필터(6)의 표면에 대한 검출기의 경사)
여기서, XPS로 측정한 필터(6)의 표면이란 XPS의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X전자 탈출 각도, 즉 항 혈전성 화합물과 필터(6)가 구성하는 면에 대한 검출기의 경사를 90°로서 측정했을 경우에 검출되는 측정면에서의 깊이 10nm까지를 가리킨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필터(6)에는 황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황원자를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필터(6)의 표면에 X선을 조사하여 생기는 광전자의 에너지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지는 물질 중의 속박 전자의 결합에너지 값으로부터 XPS로 측정한 필터(6)의 표면의 원자 정보가 얻어지고, 또한 각 결합에너지값의 피크의 에너지 시프트로부터 가수나 결합 상태에 관한 정보가 얻어진다. 또한, 각 피크의 면적비를 사용하여 정량, 즉 각 원자나 가수, 결합 상태의 존재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황원자의 존재를 나타내는 S2p 피크는 결합에너지값이 161eV∼170eV 부근에서 보여지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체 피크에 대한 S2p 피크의 면적비가 3.0∼6.0원자수%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발견했다. 전체 원자의 존재량에 대한 황원자의 존재 비율은 소수점 둘째 자리를 반올림하여 산출한 것으로 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여, XPS로 측정한 필터(6)의 표면의 전체 원자의 존재량 에 대한 질소원자의 존재 비율에도 바람직한 값이 존재하는 것을 발견했다. 즉, XPS로 측정한 필터(6)의 표면의 전체 원자의 존재량에 대한 질소원자의 존재 비율은 7.0∼12.0원자수%가 바람직하고, 7.5∼11.0원자수%가 보다 바람직하고, 8.0∼10.0원자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전체 원자의 존재량에 대한 질소원자의 존재 비율이 7.0원자수% 미만인 경우, 필터(6)와 결합하는 양이온성 폴리머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혈관내 치료 보조구를 기인으로 하는 혈전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서 필요로 되는 목적의 항 혈전성을 얻기 어려워진다. 한편, 전체 원자의 존재량에 대한 질소원자의 존재 비율이 12.0원자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터(6)와 결합하는 양이온성 폴리머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양이온성 폴리머와 이온결합하는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의 결합량이 충분량 존재하지만,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이 용출함에 따라서 다량의 양이온성 폴리머가 노출하기 때문에 용혈 독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았다. 구체적으로는 질소원자의 존재를 나타내는 N1s 피크는 결합에너지값이 396eV∼403eV 부근에서 보여지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체 피크에 대한 N1s 피크의 면적비가 7.0∼12.0원자수%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발견했다. 또한, N1s 피크는 주로 탄소-질소(이하, 「C-N」) 결합에 귀속되는 n1 성분(399eV 부근)과, 암모늄염 또는 C-N(n1과는 다른 구조) 또는 질소 산화물(이하, 「NO」)에 귀속되는 n2 성분(401∼402eV 부근)으로 피크 분할할 수 있다. 각 분할 피크 성분의 존재 비율은 이하의 식 1에 의해 산출된다. 전체 원자의 존재량 에 대한 질소원자의 존재 비율 및 각 분할 피크 성분의 존재 비율은 소수점 둘째 자리를 반올림하여 산출한 것으로 한다.
분할ratio = N1sratio×분할percent/100)···식 1
분할ratio: 각 분할 피크 성분의 존재 비율(%)
N1sratio: 전체 원자의 존재량에 대한 질소원자의 존재 비율(%)
분할percent: N1s 피크에 있어서의 각 분할 피크 성분의 존재 비율(%)
N1s 피크의 분할에 의해 얻어지는 NO에 귀속되는 n2 성분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4 급 암모늄기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이고, N1s 피크의 전체 성분에 대한 n2 성분의 존재 비율, 즉 분할percent(n2)는 20∼70원자수%가 바람직하고, 25∼65원자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60원자수%가 더 바람직한 것을 발견했다. 분할percent(n2)가 20원자수% 미만인 경우, 제 4 급 암모늄기의 존재량이 적기 때문에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과의 이온 상호작용이 약하고 용출속도가 빨라져 혈관내 치료 보조구를 기인으로 하는 혈전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서 필요로 되는 목적의 항 혈전성을 얻기 어려워진다. 한편, 분할percent(n2)가 70원자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과의 이온 상호작용이 너무 강고하기 때문에 이온 복합체의 형성에 의한 자유도의 저하에 의해 항 응고 활성을 높고 길게 발현시킬 수 없을뿐만 아니라, 용출속도가 느려지기 쉽다. 또한, n2 성분의 존재 비율, 즉 분할ratio(n2)는 식 1에 의해 산출되기 때문에 상기 이유에 의해 1.4∼8.4원자수%가 바람직하고, 1.8∼7.2원자수%가 보다 바람직하고, 2.4∼6.0원자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탄소원자의 존재를 나타내는 C1s 피크는 결합에너지값이 282∼292eV 부근에서 보여지고, C1s 피크는 주로 포화 탄화수소 등의 존재를 시사하는 탄소-수소(이하, 「CHx」) 결합이나, 탄소-탄소(이하, 「C-C」) 결합, 탄소=탄소(이하, 「C=C」) 결합에 귀속되는 c1 성분(285eV 부근)과, 에테르나 수산기의 존재를 시사하는 탄소-산소(이하, 「C-O」) 결합이나, 탄소-질소(이하, 「C-N」) 결합에 귀속되는 c2 성분(286eV 부근)과, 카르보닐기의 존재를 시사하는 탄소=산소(이하, 「C=O」) 결합에 귀속되는 c3 성분(287∼288eV 부근)과, 에스테르기나 카르복실기의 존재를 시사하는 산소=탄소-산소(이하, 「O=C-O」) 결합에 귀속되는 c4 성분(288∼289eV 부근)과, 벤젠환 등의 공역계의 존재를 시사하는 π-π*새틀라이트 피크(이하, 「π-π」) 결합에 귀속되는 c5 성분(290∼292eV 부근)으로 피크 분할할 수 있다. 각 분할 피크 성분의 존재 비율은 이하의 식 2에 의해 산출된다. 전체 원자의 존재량에 대한 탄소원자의 존재 비율 및 각 분할 피크 성분의 존재 비율은 소수점 둘째 자리를 반올림하여 산출한 것으로 한다.
분할ratio = C1sratio×분할percent/100)···식 2
분할ratio: 각 분할 피크 성분의 존재 비율(%)
C1sratio: 전체 원자의 존재량에 대한 탄소원자의 존재 비율(%)
분할percent: C1s 피크에 있어서의 각 분할 피크 성분의 존재 비율(%)
C1s 피크의 분할에 의해 얻어지는 C=O 결합에 귀속되는 c3 성분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미드기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이고, 본 발명에 있어서 C1s 피크의 전체 성분에 대한 c3 성분의 존재 비율,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아미드기의 존재 비율은 2.0원자수% 이상이 바람직하고, 3.0원자수% 이상이 보다 바람직한 것을 발견했다. 아미드기의 존재 비율이 2.0원자수% 미만인 경우, 양이온성 폴리머와 필터(6)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에 의한 공유결합이 적어지기 때문에 양이온성 폴리머의 결합량이 적어짐과 아울러, 양이온성 폴리머와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과의 이온결합 상태가 열악해지기 때문에 목적의 항 혈전성을 얻기 어려워진다.
또한, 항 혈전성 화합물로서 추가하여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α-글루탐산, γ-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구성 모노머로서 포함하는 음이온성 폴리머, 또는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푸마르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말산, 주석산, 도데칸 2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및 시트르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음이온성 화합물이 필터(6) 및/또는 양이온성 폴리머와 결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음이온성 폴리머 및/또는 음이온성 화합물은 양이온성 폴리머와 이온결합에 의해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음이온성 폴리머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음이온성 관능기의 중량 비율이 높은 쪽이 필터(6)와의 결합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폴리아크릴산(이하, 「PAA」)이나, 폴리메타크릴산, 폴리α-글루탐산, 폴리γ-글루탐산, 폴리아스파르트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PAA가 보다 바람직하다.
PAA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아크릴산"(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작)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모노머와의 공중합체이어도 좋고, 변성체이어도 좋다.
음이온성 폴리머는 안전성 등의 관점에서 혈액 중에 용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음이온성 폴리머는 필터(6)의 표면과 결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공유결합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폴리머는 단독 중합체이어도 좋고,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음이온성 폴리머가 공중합체인 경우에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 또는 교호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음이온성 폴리머는 상기한 구성 모노머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항 혈전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이외의 구성 모노머와 공중합체를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α-글루탐산, γ-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 이외에 사용되는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구성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비닐피롤리돈, 비닐알콜, 비닐카프로락탐, 아세트산 비닐, 스티렌,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실록산 등의 구성 모노머 B를 예시할 수 있다. 구성 모노머 B의 중량이 너무 많으면, 필터(7) 또는 다른 항 혈전성 화합물과 결합하기 위한 반응점이 적어지기 때문에 음이온성 폴리머의 전체 중량에 대한 구성 모노머 B의 중량은 1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음이온성 관능기의 중량비율이 높은 쪽이 필터(6) 또는 다른 항 혈전성 화합물과의 결합량이 많아지기 대문에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푸마르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말산, 주석산 및 시트르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숙신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음이온성 폴리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너무 작으면, 필터(6) 또는 다른 항 혈전성 화합물과의 결합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높고 긴 항 혈전성을 얻기 어려워진다. 한편, 음이온성 폴리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너무 크면, 항 혈전성 화합물이 내포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음이온성 폴리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600∼2000000이 바람직하고, 10000∼1000000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37℃의 생리식염수에 30분간 침지한 후의 필터(6)에 있어서의 항 팩터 Xa 활성에 의한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의 표면량을 측정했다. 여기서, 항 팩터 Xa 활성이란 프로트론빈으로부터 트롬빈으로의 변환을 촉진하는 제 Xa 인자의 활성을 저해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지표이고, 활성 단위에서의 표면량을 알 수 있다. 측정에는 "테스트팀(등록상표) 헤파린 S"(Sekisui Medical Co., Ltd. 제작)(이하, 테스트팀 헤파린)를 사용했다. 항 팩터 Xa 활성이 너무 낮으면,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의 필터(6)에 있어서의 표면량이 적어 목적의 항 혈전성을 얻기 어려워진다. 즉, 항 팩터 X a활성은 30mIU/㎠인 것이 바람직하고, 50mIU/㎠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표면량의 측정을 위해서,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이 결합한 필터(6)의 유효 표면적이 약 0.26㎠인 시험편으로 절단하고, 0.5mL의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37℃에서 30분간 침지시켰다. 침지 후의 필터(6)와 인간 혈장 0.02mL와, 테스트팀 헤파린의 안티트론빈 III액 0.02mL와, 완충액 0.16mL를 첨가하여 검체로 하여 테스트팀 헤파린의 조작 순서(엔드 포인트법)에 따라서 반응시키고, 405nm의 흡광도를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MTP-300; Corona Electric Co., Ltd. 제작)로 측정하고, 별도의 헤파린 나트륨 주사액(Ajinomoto Co., Inc. 제작)을 사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을 바탕으로 표면량을 산출했다. 엔드 포인트법에 있어서의 검체의 가온 시간은 6분간으로 했다.
본 발명의 혈관내 치료 보조구는 필터(6)에 있어서의 항 팩터 Xa 활성에 의한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의 총 결합량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37℃의 생리식염수에 30분간 침지한 후의 표면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총 결합량이란 37℃의 인간 혈장(품번 12271210; Cosmo Bio Co., Ltd. 제작)에서 24시간 침지시킨 후의 인간 혈장으로부터 산출한 항 팩터 Xa 활성에 의한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의 용출량과, 24시간 침지시킨 후의 필터(6)에 있어서의 항 팩터 Xa 활성에 의한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의 표면량을 더한 양이다. 구체적으로는 항 팩터 Xa 활성에 의한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의 용출량은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이 결합한 필터(6)의 유효표면적이 약 4.24㎠인 시험편으로 절단하고, 1.5mL의 인간 혈장을 이용하여 37℃에서 24시간 침지시킨 후 그 인간 혈장 0.04mL와, 테스트팀 헤파린의 안티트론빈 III액 0.04mL와, 완충액 0.32mL를 첨가하여 검체로 하여 테스트팀 헤파린의 조작 순서(엔드 포인트법)에 따라서 반응시키고, 405nm의 흡광도를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로 측정하고, 별도의 헤파린 나트륨 주사액을 사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을 바탕으로 표면량을 산출했다. 엔드 포인트법에 있어서의 검체의 가온 시간은 5분간으로 했다. 또한, 24시간 침지시킨 후의 필터(6)에 있어서의 항 팩터 Xa 활성에 의한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의 표면량은 24시간 침지시킨 후의 필터(6)를 사용하고, 상기 37℃의 생리식염수에 30분간 침지한 후의 필터(6)에 있어서의 항 팩터 Xa 활성에 의한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의 표면량과 동일하게 하여 산출했다.
총 결합량이 너무 많으면 필터(6)의 표면의 미세구조가 파괴되어버리고, 한편 너무 낮으면 목적의 항 혈전성을 얻기 어려워진다. 즉, 필터(6)에 있어서의 항 팩터 Xa 활성에 의한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의 총 결합량이 10000mIU/㎠ 이하이고 또한 37℃의 생리식염수에 30분간 침지한 후의 필터(6)에 있어서의 항 팩터 Xa 활성에 의한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의 표면량이 30mIU/㎠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총 결합량이 5000mIU/㎠ 이하이고 또한 표면량이 50mIU/㎠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혈관내 치료 보조구는 필터(6)에 있어서의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의 용출 거동에 특징이 있다. 즉,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은 37℃의 생리식염수에 침지해도 거의 용출되지 않지만, 37℃의 인간 혈장(품번 12271210; Cosmo Bio Co., Ltd. 제작)에 침지하면 신속하게 용출된다. 구체적으로는 37℃의 인간 혈장 중에서는 1시간의 침지로 총 결합량의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 용출되고, 15분의 침지로도 총 결합량의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 용출된다.
항 혈전성 화합물의 층의 두께의 범위는 너무 두꺼우면 필터(6)의 표면의 미세구조를 파괴해버릴 뿐만 아니라, 개공 사이즈의 변화나 필터부(3)가 닫혔을 때의 개구부측의 외경의 변화에 의해 혈전 형성을 야기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즉, 1∼6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항 혈전성 화합물의 층의 두께란, 예를 들면 주사형 투과 전자현미경(이하, 「STEM」)이나 XPS 등의 조합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필터(6)의 계면을 시점으로서 내측을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원자 분포를 관찰했을 때의 항 혈전성 재료층에 유래하는 원자가 관측된 지점의 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거리이고, 적어도 3점의 두께의 값으로부터 얻어지는 평균값으로부터 측정하고 있다.
여기서, STEM으로 측정한 필터(6)의 계면이란 STEM으로 측정 전의 시료 조정시에 포매하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와, 필터(6) 및 항 혈전성 화합물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표면과의 경계를 가리킨다.
구체적으로, STEM에는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 분석기(이하, 「EDX」) 및 전자 에너지 손실 분광 분석기(이하, 「EELS」) 등의 검출기가 있고, STEM의 측정 조건을 이하에 나타낸다.
[측정 조건]
장치: 전계 방출형 투과 전자현미경 JEM-2100F(JEOL Ltd. 제작)
EELS 검출기: GIF Tridiem(GATAN Inc. 제작)
EDX 검출기: JED-2300T(JEOL Ltd. 제작)
화상 취득: Digital Micrograph(GATAN Inc. 제작)
시료 조정: 초박 절편법(동제 마이크로그리드에 현가되고, 포매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
가속 전압: 200kV
빔 지름: 직경 0.7㎚
에너지 분해능: 약 1.0eV FWHM
여기서, 원자의 존재는 STEM 측정으로부터 얻어진 스펙트럼에 있어서 백그라운드를 빼서 각 원자에 유래하는 피크 강도가 확인되는지 어떤지로 판단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혈관내 치료 보조구(1)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개입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혈관내 치료 보조구(1)를 제작했다. 구체적으로는 필터(7)를 선 지름 φ28㎛의 모노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PET) 섬유에서 개공 사이즈가 한 변 100㎛가 되도록 메시로 구성하고, 이 메시를 길이방향의 길이 8㎜ 정도, 필터부(3)의 개구부의 원 지름이 φ6㎜가 되도록 제작했다.
코일(8)은 선 지름 φ40㎛의 Pd-Re 합금선을 사용하여 외경 φ0.16㎜, 내경 φ0.08㎜, 전체 길이 1㎜가 되도록 제작했다. 이 코일을 4개 제작하여 선 지름 φ42㎛의 NiTi 합금의 와이어를 관통시켰다. 또한, 4개의 코일(8)은 필터부(3)의 개구부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의 산의 정점과 골의 정점을 포함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미리 NiTi 합금 와이어를 내경 φ6㎜ 링으로 했을 때, 그 링을 원주상에서 4등분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권취하여 폴리우레탄으로 고정했다.
4개의 코일(8)을 고정한 NiTi 합금 와이어를 내경이 φ6㎜가 되도록 5회 다중 권취하여 링 형상으로 제작하여 이것을 링(7)이라 하고, 링(7)의 내경 부분과 필터(6)의 개구부 원의 외경부분을 폴리우레탄으로 고정했다.
지지 부재(9)는 선 지름 φ60㎛ 정도의 아라미드 섬유를 4개 사용하여 4개의 각각이 코일(8)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고, 필터(6), 링(7) 및 코일(8)에 고정되도록 연결시켜 필터부(3)를 제작했다.
샤프트(2)는 외경 φ0.2㎜, 길이방향의 길이 1800㎜의 스테인레스 와이어를 사용하여 길이방향에 선단으로부터 20㎜ 정도까지 외경이 φ0.06㎜부터 φ0.15㎜가 되도록 테이퍼 형상을 부여하고, 그것으로부터 30㎜ 정도의 길이로 샤프트(2)의 외경 φ0.15㎜가 되도록 하고 또한 그것으로부터 20㎜의 길이로 외경이 φ0.15㎜부터 φ0.2㎜가 되도록 테이퍼 형상을 부여하여 제작했다.
샤프트(2)는 필터부(3)의 폐쇄 단부와 개구부 및 지지 부재를 묶는 폴리이미드 튜브를 관통하도록 통과시키고, 지지 부재(9)가 모두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즉 링(8)의 중심축에 샤프트(2) 상이 오도록 배치하고, 샤프트(2) 상의 φ0.15㎜의 외경부에서 내경 φ0.25㎜, 외경 φ0.29㎜, 길이 1.5㎜의 폴리이미드 튜브를 사용하여 샤프트(2)와 지지 부재(9)를 접착제로 고정했다.
외부 튜브(4)는 내층이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중간층에 스테인레스제 플랫 와이어의 편조층, 외층에 폴리이미드의 3층 구조로 하여 내경 φ0.23㎜, 외경 φ0.36㎜, 길이 1500㎜로 했다.
외부 튜브(4)의 선단에는 내경 φ0.4㎜, 외경 φ0.52㎜, 길이 5㎜의 폴리이미드 튜브를 4㎜의 길이 분이 돌출하도록 접착제로 고정하고, 이것을 환상 부재(5)로 했다.
이 튜브(4)와 환상 부재(5)의 조립체를 환상 부재(5)가 선단측에 이르도록 샤프트(2) 상에 배치하여 혈관내 치료 보조구(1)를 제작했다.
비교예 1
비교예 1로서, 코일(8)을 사용하지 않고 링(7) 상에 코일(8)이 고정되지 않는 점 이외에는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제작된 혈관내 치료 보조구를 제작했다.
비교예 2
샤프트 상에 지지 부재가 고정되어 있고, 지지 부재가 필터부의 링을 형성하고, 그 링 상에는 방사선 불투과 재료로 형성된 금속 코일이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부착되고, 링에는 우레탄제의 시트 형상의 복수의 개공이 있는 필터가 고정되어 있고, 필터의 선단은 샤프트의 선단측에서 밀봉되어 부착해서 구성되어 있는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의 혈전 포착 카테터인 Filter Wire EZ(등록상표)를 비교예 2로 했다. 비교예 2는 링 지름이 약 φ6㎜, 샤프트 길이 1900㎜, 샤프트 지름 φ0.36㎜의 혈관내 치료 보조구이었다.
비교예 3
비교예 3으로서, 코일(8)을 링(7) 상의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고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작된 혈관내 치료 보조구를 제작했다.
조영성의 비교 실험
체중 35㎏의 돼지를 사용한 동물실험에서, 방사선 장치 OEC 9800 Plus(GE Medical Systems)를 사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조영성의 비교 실험을 행했다. 결과적으로, 실시예,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은 필터부가 명확하게 관찰될 수 있었던 것에 대해서, 비교예 1은 필터부를 확인할 수 없었다.
미립자의 포착률의 비교 실험
도 4의 미립자의 포착률을 비교하는 실험 모델의 모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경φ5㎜의 튜브(11)를 준비하고 그 안에 물을 통과시켰다. 튜브(11)의 앞에는 거즈(12)를 준비해 두고, 튜브(11)를 45도 정도로 만곡시켜 만곡시킨 정점에 실시예 및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의 각각을 송달 시스에 수납하고 나서 목적의 유치부까지 송달하고, 목적의 유치부에 송달 후 송달 시스를 제거하여 필터부를 튜브(11)내에 전개 유치하고, 튜브(11)내에 φ150㎛의 미립자(13)를 4000개 정도 흘린다. 그리고, 혈관내 치료 보조구의 회수 조작을 행하여 흘린 미립자의 총수와, 누설한 미립자의 수로부터 미립자의 포착률을 비교하는 실험을 행했다. 결과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 1에서는 미립자의 포착률이 99% 이상이었던 것에 대해서, 비교예 2에서는 92% 정도이고, 비교예 3에서는 88% 정도가 되었다.
실시예 2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혈관내 치료 보조구(1)를 제작했다. 구체적으로는 선 지름 φ28㎛의 모노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PET) 섬유에서 개공 사이즈가 한 변 100㎛가 되도록 메쉬를 제작했다.
이어서, 메쉬를 5.0중량% 과망간산 칼륨(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작), 0.6mol/L 황산(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작)의 수용액에 침지하고, 60℃에서 3시간 반응시켜 메쉬를 가수분해 및 산화했다(가수분해 및 산화하는 공정). 반응 후의 수용액을 제거하고, 염산(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작) 및 증류수로 세정했다.
이어서, 메쉬를 0.5중량% 4(-4,6-디메톡시-1,3,5-트리아진-2-일)-4-메틸 메틸모르폴리늄클로라이드 n수화물(이하, 「DMT-MM」)(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작의 축합제), 5.0중량% PEI(LUPASOL(등록상표) P; BASF Ltd. 제작)의 수용액에 침지하고, 30℃에서 2시간 반응시켜 메쉬에 PEI를 축합반응에 의해 공유결합시켰다(제 1 피복 공정). 반응 후의 수용액을 제거하고 증류수로 세정했다.
또한, 메쉬를 브롬화 에틸(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작) 또는 브롬화 펜틸(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작)의 1중량% 메탄올 수용액에 침지하고, 35℃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50℃로 가온하여 4시간 반응시켜 메쉬의 표면에 공유결합된 PEI를 제 4 급 암모늄화했다(제 4 급 암모늄화 공정). 반응 후의 수용액을 제거하고 메탄올이나 증류수로 세정했다.
최후에, 0.75중량% 헤파린 나트륨(Organon API 제작), 0.1mol/L 염화나트륨의 수용액(pH=4)에 침지하고, 70℃에서 6시간 반응시켜 PEI와 이온결합시켰다(제 2 피복 공정). 반응 후의 수용액을 제거하고 증류수로 세정했다.
여기서, PEI(평균 분자량 약 600;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작)와 브롬화 에틸을 사용한 메쉬를 메쉬 A, PEI(LUPASOL(등록상표) P; BASF Ltd. 제작)를 사용했지만, 제 4 급 암모늄화 공정은 실시하지 않은 메쉬를 메쉬 B, PEI(LUPASOL(등록상표) P; BASF Ltd. 제작)와 브롬화 에틸을 사용한 메쉬를 메쉬 C, PEI(LUPASOL(등록상표) P; BASF Ltd. 제작)와 브롬화 펜틸을 사용한 메쉬를 메쉬 D라고 했다.
메쉬 A∼D를 이용하여, 길이방향의 길이 8㎜ 정도, 개구부측의 원 지름이 φ4㎜가 되도록 필터(6)를 제작하고, 각각을 샘플 A, 샘플 B, 샘플 C, 샘플 D라고 했다. 실시예 2에서는 샘플 A∼D를 필터(6)로서 사용했다.
코일(8)은 선 지름 φ40㎛의 팔라듐-레늄 합금선을 사용하여 외경 φ0.16㎜, 내경 φ0.08㎜, 전체 길이 1㎜가 되도록 제작했다. 이 코일(8)을 4개 제작하고, 선 지름 φ42㎛의 니켈 티탄 합금의 와이어를 관통시켰다. 또한, 4개의 코일(8)은 필터부(3)의 개구부가 닫혔던 상태에 있어서의 산의 정점과 골의 정점을 포함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미리 니켈 티탄 합금 와이어를 내경 φ6㎜의 링(7)으로 했을 때, 그 링(7)이 원주상에서 4등분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권취하고 폴리우레탄으로 고정했다.
4개의 코일(8)을 고정한 니켈 티탄 합금의 와이어를 내경이 φ6㎜가 되도록 5회 다중 권취하여 링 형상으로 제작하고, 이것을 링(7)으로 하여 링(7)의 내경부분과 필터(6)의 개구부원의 외경부분을 폴리우레탄으로 고정했다.
지지 부재(9)는 선 지름 φ60㎛ 정도의 폴리아릴레이트 섬유를 4개 사용하여 도 3의 위치 관계가 되도록 4개의 각각이 코일(8)의 각 중간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고, 필터(6), 링(7) 및 코일(8)에 고정되도록 연결시켜 필터부(3)를 제작했다.
샤프트(2)는 외경 φ0.2㎜, 길이방향의 길이 1800㎜의 스테인레스 와이어를 사용하여 길이방향에 선단으로부터 20㎜ 정도까지 외경이 φ0.06㎜부터 φ0.15㎜가 되도록 테이퍼 형상을 부여하고, 그것으로부터 30㎜ 정도의 길이로 샤프트(2)의 외경 φ0.15㎜이 되도록 하여 또한 그것으로부터 20㎜의 길이로 외경이 φ0.15㎜부터 φ0.2㎜가 되도록 테이퍼 형상을 부여하여 제작했다.
샤프트(2)는 필터부(3)의 폐쇄 단부와 개구부 및 지지 부재(9)를 묶는 폴리이미드 튜브를 관통하도록 통과시키고, 지지 부재(9)가 모두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즉 링(7)의 중심축에 샤프트(2) 상이 오도록 배치하고, 샤프트(2) 상의 φ0.15㎜의 외경부에서 내경 φ0.25㎜, 외경 φ0.29㎜, 길이 1.5㎜의 폴리이미드 튜브를 이용하여 샤프트(2)와 지지 부재(9)를 접착제로 고정했다.
외부 튜브(4)는 내층이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중간층에 스테인레스제 플랫 와이어의 편조층, 외층에 폴리이미드의 3층 구조로 하여 내경 φ0.23㎜, 외경 φ0.36㎜, 길이 1500㎜로 했다.
외부 튜브(4)의 선단에는 내경 φ0.4㎜, 외경 φ0.52㎜, 길이 5㎜의 폴리이미드 튜브를 4㎜의 길이 분이 돌출하도록 접착제로 고정하고, 이것을 환상 부재(5)로 했다. 또한, 외부 튜브(4)의 선단에는 내경 φ0.4㎜, 외경 φ0.52㎜, 길이 0.5㎜의 폴리이미드 튜브를 접착제에 의하여 외부 튜브(4)와 폴리이미드 튜브의 단부가 합쳐지도록 고정했다.
환상 부재(5)는 전체 길이: 2.5㎜, 내경 φ0.4㎜, 팽대부가 아닌 부분의 외경 φ0.5㎜로 했다. 외부 튜브(4)와 환상 부재(5)의 조립체를 환상 부재(5)가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에 오도록 샤프트(2) 상에 배치하고 혈관내 치료 보조구(1)를 제작했다.
필터(6)로서 샘플 A를 사용한 혈관내 치료 보조구(1)에 대해서, 조영성의 비교 실험과 미립자의 포착률의 비교 실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영에 의해 필터부가 명확하게 관찰될 수 있음과 아울러, 미립자의 포착률은 99% 이상이었다.
또한, 혈관내 치료 보조구(1)에 사용한 샘플 A∼D에 대해서,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에서는 샘플 A의 혈전부착은 없음(-), 샘플 B∼D의 혈전부착은 없음(--)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2의 메쉬 B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제 1 피복 공정을 실시한 후, 메쉬를 0.5중량% DMT-MM, 40중량% 무수 숙신산(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작)의 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 침지하고, 50℃에서 17시간 반응시켰다(제 1 추가 공정). 반응 후의 용액을 제거하고 메탄올이나 증류수로 세정했다.
또한, 메쉬를 0.5중량% DMT-MM, 5.0중량% PEI의 수용액에 침지하고 3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제 2 추가 공정). 반응 후의 수용액을 제거하고 증류수로 세정했다. 실시예 2의 메쉬 C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고 브롬화 에틸을 이용하여 제 4 급 암모늄화 공정을 실시한 후, 제 2 피복 공정을 실시했다. 항 혈전성 화합물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것을 사용했다.
여기서, PEI(LUPASOL(등록상표) P; BASF Ltd. 제작)로 제 2 추가 공정을 실시한 메쉬에 의해 제작한 필터(6)를 샘플 E, PEI(LUPASOL(등록상표) SK; BASF Ltd. 제작)로 제 2 추가 공정을 실시한 메쉬에 의해 제작한 필터(6)를 샘플 F라고 했다.
혈관내 치료 보조구(1)에 사용한 샘플 E 및 F에 대해서,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에서는 혈전부착은 없음(--)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2의 메쉬 B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제 1 피복 공정을 실시한 후, 메쉬를 0.5중량% DMT-MM, 0.5중량% PAA(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작)의 수용액에 침지하고, 3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제 1 추가 공정). 반응 후의 수용액을 제거하고 탄산나트륨 수용액이나 증류수로 세정했다.
또한, 메쉬를 0.5중량% DMT-MM, 5.0중량% PEI의 수용액에 침지하고, 3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제 2 추가 공정). 반응 후의 수용액을 제거하고 증류수로 세정했다. 실시예 2의 메쉬 C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고 브롬화 에틸을 이용하여 제 4 급 암모늄화 공정을 실시한 후, 제 2 피복 공정을 실시했다. 항 혈전성 화합물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것을 사용했다.
여기서, PEI(평균 분자량 약 600;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작)로 제 2 추가 공정을 실시한 메쉬에 의해 제작한 필터(6)를 샘플 G, PEI(LUPASOL(등록상표) P; BASF Ltd. 제작)로 제 2 추가 공정을 실시한 메쉬에 의해 제작한 필터(6)를 샘플 H, 폴리아릴아민 염산염(이하, 「PAH」)(중량평균 분자량 90만; Sigma-Aldrich Co., LLC 제작)으로 제 2 추가 공정을 실시한 메쉬에 의해 제작한 필터(6)를 샘플 I라고 했다.
혈관내 치료 보조구(1)에 사용한 샘플 G∼I에 대해서,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에서는 혈전부착은 없음(--)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PEI를 PAH(중량평균 분자량 90만; Sigma-Aldrich Co., LLC 제작), 또는 폴리-L리신 브롬화 수소산염(이하, PLys)(중량평균 분자량 3∼7만; Sigma-Aldrich Co., LLC 제작)으로 변경하여 제 1 피복 공정을 실시했다. 실시예 2의 메쉬 C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고 브롬화 에틸을 이용하여 제 4 급 암모늄화 공정을 실시한 후, 제 2 피복 공정을 실시했다. 항 혈전성 화합물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것을 사용했다.
여기서, PEI를 PAH로 변경하여 제 1 피복 공정을 실시한 메쉬에 의해 제작한 필터(6)을 샘플 J, PEI를 PLys로 변경하여 제 1 피복 공정을 실시한 메쉬에 의해 제작한 필터(6)를 샘플 K라고 했다. 항 혈전성 화합물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것을 사용했다.
혈관내 치료 보조구(1)에 사용한 샘플 J 및 K에 대해서,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에서는 혈전부착은 없음(-)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2의 메쉬 C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헤파린 나트륨(Organon API 제작)을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작)으로 변경하여 제 2 피복 공정을 실시한 메쉬에 의해 제작한 필터(6)을 샘플 L이라고 했다. 항 혈전성 화합물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것을 사용했다.
혈관내 치료 보조구(1)에 사용한 샘플 L에 대해서,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에서는 혈전부착은 없음(-)이었다.
실시예 7
메쉬를 5% PEI의 수용액에 침지하고, JS-8500형 코발트 60 γ선 조사 장치(Nodion·International 제작)를 사용하여 5kGy의 γ선을 조사해서 공유결합시켰다(제 1 피복 공정). 반응 후의 수용액을 제거하고 Triton-X100(Sigma-Aldrich Co., LLC 제작), 생리식염수나 증류수로 세정했다. 실시예 2의 메쉬 C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고 브롬화 에틸을 이용하여 제 4 급 암모늄화 공정을 실시한 후, 제 2 피복 공정을 실시했다. 항 혈전성 화합물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것을 사용했다.
여기서, PEI(평균 분자량 약 600;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작)를 사용했지만, 제 4 급 암모늄화 공정은 실시하지 않은 메쉬에 의해 제작한 필터(6)를 샘플 M, PEI(평균 분자량 약 600;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작)와 브롬화 에틸을 사용한 메쉬에 의해 제작한 필터(6)를 샘플 N, P; BASF Ltd. 제작)와 브롬화 에틸을 사용한 메쉬에 의해 제작한 필터를 샘플 O, PEI(LUPASOL(등록상표) SK; BASF Ltd. 제작)와 브롬화 에틸을 사용한 메쉬에 의해 제작한 필터(6)를 샘플 P라고 했다.
혈관내 치료 보조구(1)에 사용한 샘플 M∼P에 대해서,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에서는 샘플 M, N 및 P의 혈전부착은 없음(-), 샘플 O의 혈전부착은 없음(--)이었다.
실시예 8
메쉬를 5% PEI의 수용액에 침지하고, 80℃에서 2시간 가열하여 메쉬에 PEI를 아미노리시스 반응에 의해 공유결합시켰다(제 1 피복 공정). 반응 후의 수용액을 제거하고 증류수로 세정했다. 실시예 2의 메쉬 C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고 브롬화 에틸을 이용하여 제 4 급 암모늄화 공정을 실시한 후, 제 2 피복 공정을 실시했다. 항 혈전성 화합물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것을 사용했다.
여기서, PEI(평균 분자량 약 600;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작)로 제 1 피복 공정을 실시한 메쉬에 의해 제작한 필터(6)를 샘플 Q, PEI(LUPASOL(등록상표) P; BASF Ltd. 제작)로 제 1 피복 공정을 실시한 메쉬에 의해 제작한 필터(6)를 샘플 R, PEI(LUPASOL(등록상표) SK; BASF Ltd. 제작)로 제 1 피복 공정을 실시한 메쉬에 의해 제작한 필터(6)를 샘플 S라고 했다.
혈관내 치료 보조구(1)에 사용한 샘플 Q∼S에 대해서,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에서는 혈전부착은 없음(-)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2의 메쉬 C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고 PEI(LUPASOL(등록상표) P; BASF Ltd. 제작)를 이용하여 제 1 피복 공정, 브롬화 에틸을 이용하여 제 4 급 암모늄화 공정을 실시한 후, 제 2 피복 공정을 실시하지 않은 메쉬에 의해 제작한 필터(6)를 샘플 T라고 했다. 항 혈전성 화합물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것을 사용했다.
혈관내 치료 보조구(1)에 사용한 샘플 T에 대해서,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에서는 혈전부착은 있음(+)이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2의 메쉬 C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PEI를 사용한 제 1 피복 공정과 제 4 급 암모늄화 공정을 실시하지 않고, 제 2 피복 공정을 실시한 메쉬에 의해 제작한 필터(6)를 샘플 U라고 했다. 항 혈전성 화합물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것을 사용했다.
혈관내 치료 보조구(1)에 사용한 샘플 U에 대해서,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에서는 혈전부착은 있음(+)이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고 PEI를 폴리비닐피롤리돈(이하, 「PVP」)(K-90; Information Service Products Co., Ltd. 제작)으로 변경하여 제 1 피복 공정을 실시했다. 실시예 2의 메쉬 C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고 브롬화 에틸을 이용하여 제 4 급 암모늄화 공정을 실시한 후, 제 2 피복 공정을 실시한 메쉬에 의해 제작한 필터(6)를 샘플 V라고 했다. 항 혈전성 화합물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것을 사용했다.
혈관내 치료 보조구(1)에 사용한 샘플 V에 대해서,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에서는 혈전부착은 있음(+)이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고 PEI를 염화 벤잘코늄(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작)으로 변경하여 제 1 피복 공정을 실시했다. 실시예 2의 메쉬 C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고 브롬화 에틸을 이용하여 제 4 급 암모늄화 공정을 실시한 후, 제 2 피복 공정을 실시한 메쉬에 의해 제작한 필터(6)를 샘플 W라고 했다. 항 혈전성 화합물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것을 사용했다.
혈관내 치료 보조구(1)에 사용한 샘플 W에 대해서,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전체 혈액 시험에 의한 평가에서는 혈전부착은 있음(+)이었다.
본 발명의 혈관내 치료 보조구의 항 혈전성과 조영성, 미립자의 포착성에 대해서, 평가 방법을 하기에 나타낸다.
(평가 1: 인간 전체 혈액 시험)
항 혈전성 화합물을 결합한 필터(6)(샘플 A∼W) 및 미처리 필터(6)와 동종의 재료(양성대조)를 각각 유효표면적 1.0㎠의 시험편으로 절단하고, 37℃의 생리식염수에서 30분간 침지하고 나서 2mL의 마이크로 튜브에 넣었다. 인간 신선혈에 0.5U/mL가 되도록 헤파린 나트륨 주사액(Ajinomoto Co., Inc. 제작)을 첨가한 후, 이 인간 혈액을 2mL 첨가하고 37℃에서 2시간 인큐베이팅했다. 인큐베이팅 후에 시험편을 인출하고 PBS(-)(Nissui Pharmaceutical Co., Ltd. 제작)로 린싱한 후, 부착된 혈전 중량을 정량했다. 혈전 중량은 시험전의 시험편과 린싱 후의 시험편의 건조 중량을 각각 측정하여 그 차에 의해 구했다. 각 샘플 A∼W 및 양성대조에 대해서 각각 시험을 3회 실시하고, 이하의 식 3에 의해 산출한 혈전 중량의 상대값의 3회의 평균값이 20% 이상이면 혈전부착은 있음으로서(+), 20% 미만, 10% 미만이면 혈전부착은 없음으로서 각각 (-), (--)으로 판정했다.
혈전 중량의 상대값(%) = (Bt/Bp)×100···식 3
Bt: 항 혈전성 화합물을 결합한 필터(6)의 혈전 중량
Bp: 양성대조의 혈전 중량
(평가 2: 조영성의 비교 실험)
체중 35㎏의 돼지를 사용한 동물실험에서, 방사선 장치 OEC 9800Plus(GE Medical Systems)를 사용하여 실시예 2의 조영성의 실험을 행했다.
(평가 3: 미립자의 포착률의 비교 실험)
도 4의 미립자의 포착률을 비교하는 실험 모델의 모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경 φ5㎜의 튜브(11)를 준비하고 그 안에 물을 통과켰다. 튜브(11)의 앞에는 거즈(12)를 준비해 두고, 튜브(11)를 45도 정도로 만곡시켜 만곡시킨 정점에 실시예 2를 송달 시스에 수납하고 나서 목적의 유치부까지 송달하고, 목적의 유치부에 송달 후 송달 시스를 제거하여 필터부를 튜브(11)내에 전개 유치하고, 튜브(11)내에 φ150㎛의 미립자(13)를 4000개 정도 흘린다. 그리고, 혈관내 치료 보조구의 회수 조작을 행하여 흘린 미립자의 총수와, 누설한 미립자의 수로부터 미립자의 포착률을 측정하는 실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에는 상기 비교예 1∼3에 관한 결과도 같이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본 발명은 벌룬 카테터나 스텐트에 의한 벌룬 혈관 형성술이나 스텐트 유치술 등의 혈관내 치료시의 혈관내 치료 보조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1···혈관내 치료 보조구, 2···샤프트,
3···필터부, 4···외부 튜브,
5···환상 부재, 6···필터,
7···링, 8···코일,
9···지지 부재, 10···분할점,
11···튜브, 12···거즈,
13···미립자

Claims (10)

  1. 가요성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에서 폐쇄 단부가 되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측에서 개구부가 되도록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고, 탄성 복원력을 갖는 링이 상기 개구부에 고정되고, 열려 있을 때에는 상기 링을 저면으로 해서 원추상의 형상이 되는 우산 형상으로 개폐 가능한 필터와,
    상기 링과 상기 샤프트의 일부를 연결하도록 각각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측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생기는 장력에 의해 상기 필터를 닫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선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링에는 방사선 불투과 재료로 형성된 코일이 권취되고,
    상기 필터가 닫혔을 때, 상기 링은 상기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을 향하는 복수의 산과 상기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기단측을 향하는 복수의 골이 교대로 생기고, 또한 상기 산끼리 및 상기 골끼리가 근접한 형상이 됨과 아울러, 상기 코일은 상기 링 상의 지지 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위치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산의 정점과 상기 골의 정점의 위치를 포함하지 않도록 상기 링 상에 배치된 혈관내 치료 보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개구부와 상기 링 사이는 엘라스토머 재료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혈관내 치료 보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과 상기 링 사이는 엘라스토머 재료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혈관내 치료 보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킬렌이민, 비닐아민, 알릴아민, 리신, 프로타민 및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구성 모노머로서 포함하는 양이온성 폴리머가 상기 필터에 공유결합하고 있고,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이 상기 필터 및/또는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에 결합하고 있는 혈관내 치료 보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선 광전자 분광법(XPS)으로 측정한 상기 필터 표면의 전체 원자의 존재량 에 대한 질소원자의 존재 비율은 7.0∼12.0원자수%인 혈관내 치료 보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선 광전자 분광법(XPS)으로 측정한 상기 필터 표면의 전체 원자의 존재량 에 대한 황원자의 존재 비율은 3.0∼6.0원자수%인 혈관내 치료 보조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은 헤파린 및 헤파린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혈관내 치료 보조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7℃의 생리식염수에 30분간 침지한 후의 상기 필터에 있어서의 항 팩터 Xa 활성에 의한 상기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의 표면량은 30mIU/㎠ 이상인 혈관내 치료 보조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표면에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와 상기 항 응고 활성을 갖는 음이온성 황 화합물에 의해 형성되는 항 혈전성 화합물의 층의 두께는 1∼600nm인 혈관내 치료 보조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는 혈관내 치료 보조구.
KR1020167028454A 2014-05-09 2015-05-08 혈관내 치료 보조구 KR102370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97540 2014-05-09
JP2014097540 2014-05-09
JP2014154889 2014-07-30
JPJP-P-2014-154889 2014-07-30
PCT/JP2015/063266 WO2015170733A1 (ja) 2014-05-09 2015-05-08 血管内治療補助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252A true KR20170007252A (ko) 2017-01-18
KR102370117B1 KR102370117B1 (ko) 2022-03-04

Family

ID=54392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454A KR102370117B1 (ko) 2014-05-09 2015-05-08 혈관내 치료 보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098725B2 (ko)
EP (1) EP3141213B1 (ko)
JP (1) JP6602292B2 (ko)
KR (1) KR102370117B1 (ko)
CN (1) CN106456307B (ko)
CA (1) CA2947823C (ko)
TW (1) TWI660721B (ko)
WO (1) WO20151707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238A (ko) * 2017-08-14 2019-02-2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결석 분쇄에 이용될 수 있는 결석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22302B1 (en) 2016-03-23 2018-05-16 Abiomed Europe GmbH Blood pump with filter
KR102228231B1 (ko) * 2017-03-13 2021-03-16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필터 디바이스
CN109009592B (zh) * 2018-06-19 2021-06-25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二附属医院 颈内动脉一体式释放伞状保护支架
CN110680459A (zh) * 2019-11-08 2020-01-14 刘昌伟 应用于动、静脉血栓的取栓装置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5216A (ja) * 1999-07-30 2003-02-12 インセプト エルエルシー 塞栓、血栓及び異物の除去用脈管装置並びに使用方法
WO2003084437A2 (en) 2002-04-01 2003-10-16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Endoluminal devices, embolic filters,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WO2004030574A1 (en) * 2002-09-30 2004-04-15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Embolic filtering devices
US20060293705A1 (en) * 2005-04-18 2006-12-28 Salviac Limited Embolic protection device
WO2008005898A2 (en) 2006-06-30 2008-01-10 Ev3 Endovascular, Inc. Medical devices with amorphous metals and methods therefor
JP2008035923A (ja) 2006-08-01 2008-02-21 Nipro Corp 血栓捕捉部材回収用シースおよび血栓捕捉カテーテル
JP4073869B2 (ja) 2001-09-28 2008-04-09 寛治 井上 遊離血栓捕獲器具
JP4680201B2 (ja) 2003-11-06 2011-05-11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平板化されたチップフィルタワイヤ設計
WO2013059069A2 (en) 2011-10-17 2013-04-25 W.L. Gore & Associates, Inc. Embolic protection devic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20140023286A (ko) * 2011-06-24 2014-02-26 칸지 이노우에 유리 혈전 포획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1947B2 (ja) * 1977-12-09 1985-09-19 ユニチ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成形体表面に抗血栓性を付与する方法
US5182317A (en) * 1988-06-08 1993-01-26 Cardiopulmonics, Inc. Multifunctional thrombo-resistant coating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5769816A (en) * 1995-11-07 1998-06-23 Embol-X, Inc. Cannula with associated filter
JP2854284B2 (ja) * 1996-02-15 1999-02-03 株式会社人工血管技術研究センター 抗血栓性人工血管
US6530939B1 (en) 1999-07-30 2003-03-11 Incept, Llc Vascular device having articulation region and methods of use
US7195648B2 (en) * 2002-05-16 2007-03-27 Cordis Neurovascular, Inc. Intravascular stent device
US7718106B2 (en) * 2006-05-30 2010-05-1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5998147B2 (ja) 2011-09-27 2016-09-28 寛治 井上 血管内遊離物捕獲器具
EP3078389B1 (en) 2013-11-28 2020-04-01 Toray Industries, Inc. Antithrombotic material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5216A (ja) * 1999-07-30 2003-02-12 インセプト エルエルシー 塞栓、血栓及び異物の除去用脈管装置並びに使用方法
JP4073869B2 (ja) 2001-09-28 2008-04-09 寛治 井上 遊離血栓捕獲器具
WO2003084437A2 (en) 2002-04-01 2003-10-16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Endoluminal devices, embolic filters,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WO2004030574A1 (en) * 2002-09-30 2004-04-15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Embolic filtering devices
JP4680201B2 (ja) 2003-11-06 2011-05-11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平板化されたチップフィルタワイヤ設計
US20060293705A1 (en) * 2005-04-18 2006-12-28 Salviac Limited Embolic protection device
WO2008005898A2 (en) 2006-06-30 2008-01-10 Ev3 Endovascular, Inc. Medical devices with amorphous metals and methods therefor
JP2008035923A (ja) 2006-08-01 2008-02-21 Nipro Corp 血栓捕捉部材回収用シースおよび血栓捕捉カテーテル
KR20140023286A (ko) * 2011-06-24 2014-02-26 칸지 이노우에 유리 혈전 포획 기구
WO2013059069A2 (en) 2011-10-17 2013-04-25 W.L. Gore & Associates, Inc. Embolic protection devic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238A (ko) * 2017-08-14 2019-02-2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결석 분쇄에 이용될 수 있는 결석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47823C (en) 2021-11-23
EP3141213B1 (en) 2018-10-10
TWI660721B (zh) 2019-06-01
CN106456307A (zh) 2017-02-22
JP6602292B2 (ja) 2019-11-06
US20170065397A1 (en) 2017-03-09
EP3141213A1 (en) 2017-03-15
CN106456307B (zh) 2019-03-22
CA2947823A1 (en) 2015-11-12
JPWO2015170733A1 (ja) 2017-04-20
US10098725B2 (en) 2018-10-16
EP3141213A4 (en) 2018-01-10
WO2015170733A1 (ja) 2015-11-12
KR102370117B1 (ko) 2022-03-04
TW201544083A (zh) 201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7252A (ko) 혈관내 치료 보조구
KR102370116B1 (ko) 혈관내 치료 보조구
CN106102785B (zh) 可植入医疗装置
Zhao et al. Surface engineering of cardiovascular devices for improved hemocompatibility and rapid endothelialization
US20070110786A1 (en) Medical articles having enhanced therapeutic agent binding
EP1965842B1 (en) Medical devices having multiple charged layers
JP6435863B2 (ja) 抗血栓性材料
US20070224244A1 (en) Corrosion resistant coatings for biodegradable metallic implants
JP2009540873A (ja) マルチコンポーネント型繊維を備えた医用デバイス
JP2013504375A (ja) フィラメントの位置変更部材、即ち回収部材および防護構造体を備えた内部人工器官
WO2012176841A1 (ja) 遊離血栓捕獲器具
CN112074302A (zh) 医疗设备及带粘接剂的涂层
JP2006068378A (ja) 血管内留置物
JP2004344469A (ja) 体内埋込医療器具
JP2015513301A (ja) 負に帯電した血管ステント
JP2019213842A (ja) インプラント用の医療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