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068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068A
KR20170004068A KR1020150093900A KR20150093900A KR20170004068A KR 20170004068 A KR20170004068 A KR 20170004068A KR 1020150093900 A KR1020150093900 A KR 1020150093900A KR 20150093900 A KR20150093900 A KR 20150093900A KR 20170004068 A KR20170004068 A KR 20170004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at
flexible substrate
heat transfer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5651B1 (ko
Inventor
이요셉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3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651B1/ko
Priority to US14/882,168 priority patent/US9622391B2/en
Priority to CN201510783942.6A priority patent/CN106332518B/zh
Priority to EP16150214.1A priority patent/EP3112977B1/en
Priority to FR1650044A priority patent/FR3038481B1/fr
Publication of KR20170004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3Cooling means for portable computers, e.g. for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63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8Arrangements of two or more hingeably connected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i.e. connected by flexible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4Assemblies of printed circuits
    • H05K2201/041Stacked PCBs, i.e. having neither an empty space nor mounted components in betwee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일측에 구동 아이씨가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위치하는 프레임; 일측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동 아이씨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 방향으로 꺽어지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며,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통해 상기 구동 아이씨를 제어하는 메인기판;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 전면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적층된 열전달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 시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프레임과 접촉하는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의 구동 아이씨 및 광원에서 발생한 열을 프레임으로 전달하여 국부과열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성능저하 및 사용자가 파지하는데 어려움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확산시켜 국부 과열을 완화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되면서 디스플레이부의 이용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이용시간이 증대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구동 아이씨나 백라이트 유닛에서 국부적인 열이 발생한다.
국부적인 발열은 이동 단말기의 부품 성능을 저하시키고, 사용자가 손에 들고 있을 때에 열이 느껴지면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는 구조에 대한 니즈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확산시키는 구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측에 구동 아이씨가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위치하는 프레임; 일측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동 아이씨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 방향으로 꺽어지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며,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통해 상기 구동 아이씨를 제어하는 메인기판;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 전면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적층된 열전달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 시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프레임과 접촉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 단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시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 전면에 적층된 흡열부; 및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는 방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흡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 방향으로 꺾어지는 제1 방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시트는 상기 흡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에 적층된 열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열전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제2 방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열부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타면방향으로 꺾어지고, 상기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열부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 방향으로 꺽어지며, 상기 프레임의 배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타측은 상기 메탈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열전달 시트는 상기 흡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에 적층된 열확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상기 열확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방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시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 전면에 적층된 흡열부와 상기 흡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에 적층된 제1 열전달부를 포함하는 제1 열전달 시트; 및 상기 제1 열전달 시트와 중첩되는 제2 열전달부와,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제2 열전달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제2 열전달부에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제4 방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방열부는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4 방열부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타면 방향으로 꺾어져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타면과 상기 프레임의 배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일측은 배면 방향으로 리세스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이격공간에 위치하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 일측 배면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타측은 상기 개구부를 통행 상기 메인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타측은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위치하며 1회 꺽어지며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타측의 꺽어진 플렉서블 기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메인기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시트는 그라파이트 시트 또는 구리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시트는 상기 그라파이트시트 또는 상기 구리시트와 프레임 또는 구동 아이씨 사이에 위치하는 열전도성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시트는 상기 그라파이트시트 또는 상기 구리시트의 양면에 적층되는 점착층 또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양면의 상기 점착층 또는 보호층은 상기 그라파이트시트 또는 상기 구리시트의 둘레에서 맞닿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의 구동 아이씨 및 광원에서 발생한 열을 프레임으로 전달하여 국부과열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성능저하 및 사용자가 파지하는데 어려움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및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열전달 시트의 적층 구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와 열전달 시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의 디스플레이부와 열전달 시트의 결합시 전면과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와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A단면도 및 도 6의 B-B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와 열전달 시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디스플레이부와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와 프레임이 결합된 이후에 제2 열전달 시트가 결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와 열전달 시트를 도시한 전면과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하단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은 도 13의 C-C'단면도 및 도 6의 D-D'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열전달 시트의 너비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과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플렉서블 기판(1515)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도 2및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전면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배면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윈도우(151a), 디스플레이부(151), 플렉서블 기판(1515), 열전달 시트(210), 프레임(105), 메인기판(186), 배터리(191),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한다.
윈도우(151a)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을 커버하며 디스플레이부(151)를 보호하고,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픽셀별로 전원을 인가하여 각각 지정된 색상의 빛을 사출하여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며, 구동 아이씨 (drive IC) (1512)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각 픽셀을 제어한다. 상기 구동 아이씨(1512)는 별도의 기판위에 실장되고 디스플레이부(151)와 연결되거나, 디스플레이부(151)에 직접 실장되는 온칩(on chip)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온칩 형태의 디스플레이부(151)의 좌우 베젤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구동 아이씨(1512)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나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에 있는 경우를 기초로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부나 좌우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 아이씨(1512)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사용시간 중에 계속 구동되므로, 영상의 프레임(105)이 많은 경우나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구동 아이씨(1512)에서 발생하는 열이 점점 커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51)가 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우 액정패널의 배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BLU: Back Light Unit)을 이용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도광판과, 도광판의 측방향으로 빛을 공급하는 광원(1513)을 구비한다.
광원(1513)도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보다 바깥쪽에 위치해야 하므로, 좌우 베젤(전면에서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 이외의 둘레 영역)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광원(1513) 또한 빛을 사출하는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면 열이 발생한다.
구동 아이씨(1512)와 광원(1513)이 같은 곳에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구동 아이씨(1512)와 광원(1513)이 위치하는 부분의 국부 발열은 더 심각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플렉서블 기판(515)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동 아이씨(1512)와 메인기판(186)을 연결하여 메인기판(186)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로부터 상기 구동 아이씨(1512)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플렉서블 기판(1515)의 일측dms 구동 아이씨(1512)가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측 단부와 결합하고, 플렉서블 기판(1515)의 타측은 메인기판(186)과 연결되며, 상기 메인기판(186)과 연결하기 위해 플렉서블 기판(1515)의 타측 단부에 커넥터(1516)가 위치한다. 플렉서블 기판(1515)은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어, 타측이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 방향을 꺾어져 메인기판(186)과 연결된다.
프레임(105)은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부(151)가 종래에 비해 얇아지면서 디스플레이부(151)를 지지하는 구조물은 점차 생략되어 디스플레이부(151)의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강성을 보강하며, 디스플레이부(151)뿐만 이동 단말기(100) 자체의 강성을 유지하고, 전면은 디스플레이부(151)가 배면은 메인기판(186)과 배터리(191)를 비록한 각종 부품이 실장되는 안착부를 제공한다.
프레임(105)의 전면에 안착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프레임(105)의 배면에 안착되는 메인기판(18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렉서블 기판(1515)이 통과하도록 도 2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051)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5)은 이동 단말기(100)의 강성을 위해 케이스(101, 102)보다 강성이 큰 소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마그네슘과 같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재질의 프레임(105)은 강성이 클 뿐만 아니라, 전기전도성이 있다. 따라서, 안테나를 비롯한 전자부품의 접지를 위해 프레임(105)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5)은 열전도성도 크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나 에서 발생하는 국부적인 열을 확산시킬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5)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구동 아이씨(1512)에서 발생하는 열을 확산시키기 위해 구동 아이씨(1512)와 프레임(105)을 열적으로 연결하는 부재로서, 열전달 시트(210)를 이용할 수 있다.
열전달 시트(210)는 열전도율이 큰 부재로 이루어지며, 구리나 그라파이트(Graphite)를 이용할 수 있다. 구리는 열전도율이 390W/mK로 알루미늄이나 사출물에 비해 열전도율이 높아 얇게 시트 형태로 만들면 열전달 시트(210)로서 이용 가능하다.
그라파이트 시트는 카본(C)를 2000℃이상의 고온에서 가공하여 만든 재료로 가볍고 탄성이 강하며 열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라파이트는 측방향으로 열을 전달하는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그라파이트 시트를 따라 열이 빠르게 이동한다.
도 4는 상기 열전달 시트(21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접착층(202), 열전달 물질(201), 보호테이프(203)의 층상구조를 갖는다. (a)는 열전달 물질(201)이 보호테이프(203)와 같은 크기를 갖고, (b)는 열전달 물질(201)이 보호 테이프(203)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b)는 열전달 물질(201)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보호 테이프(203)는 접착층(202)과 단부(205)에서 만나 결합하여 열전달 물질(201)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싼다.
(a)와 같이 열전달 물질(201)이 보호 테이프(203)와 크기가 같은 경우 제조가 간편하고 열전달 시트(210)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러나 구리와 같은 금속물질은 부식이 쉽고, 열전도성뿐만 아니라 전기전도성이 있어, 열전달 물질(201)이 노출되지 않도록 단부를 커버할 필요가 있는 경우 (b)와 같은 구조가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와 열전달 시트(210)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열전달 시트(210)의 결합시 전면과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열전달 시트(210)의 일측은 상기 구동 아이씨(1512)에 적층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105)의 메탈 부분에 접촉하여 구동 아이씨(1512)에서 생성된 열을 상기 프레임(105)에 전달한다. 상기 구동 아이씨(1512)에 접촉하는 부분은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211)이고, 프레임(105)과 접촉하는 부분은 열을 프레임(105)쪽으로 방출하는 방열부(212, 214)이다.
제1 방열부(212)가 디스플레이부(151)와 프레임(105)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프레임(105)의 전면과 접촉하고, 방열부(214)가 프레임(105)의 배면 방향으로 꺾어진 경우 방열부가 프레임(105) 배면과 접촉한다.
열전달 시트(210)의 흡열부(211)는 구동 아이씨(1512)를 커버하며 디스플레이부(151)의 단부에 적층되고, 이때, 열전달 시트(210)가 적층되는 부분은 영상정보가 출력되지 않는 비활성 부분이다.
열전달 시트(210)의 방열부(212, 214)는 상기 흡열부(211)에서 더 연장되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나 플렉서블 기판(1515)에 적층되지 않고 바깥쪽으로 더 크게 연장될 수 있다. 방열부(212, 214)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에 위치하는 프레임(105)과 접촉하기 위해 도 5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배면 방향 또는 플렉서블 기판(1515) 배면 방향으로 접어져 메탈 프레임(105)과 접촉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와 프레임(105)이 결합된 상태에서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A-A단면도 및 도 6의 B-B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부(151) 배면으로 꺽어지는 제1 방열부(212)는 도 6의 (b)와 같이 플렉서블 기판(1515)의 배면 방향에 접하도록 꺾어진 후에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5)의 전면에 접한다. 즉, 제1 방열부(212)는 상기 프레임(105)과 디스플레이부(151) 사이에 위치한다.
프레임(105)에 형성된 개구부(1051)을 통해 통과한 플렉서블 기판(1515)은 도 7과 같이 U자 형상으로 꺾여 프레임(105)의 배면에 접한다. 플렉서블 기판(1515)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2 방열부(214)는 도 6의 (b)와 같이 플렉서블 기판(1515)의 배면 방향에 접하도록 꺾어진 후에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5)의 배면과 접한다.
플렉서블 기판(1515)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2 방열부(214)는 플렉서블 기판(1515)의 배면 방향으로 꺾지 않고 펼쳐진 상태에서도 플렉서블 기판(1515)이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 방향으로 꺾어지므로 도 6의 (a)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도 프레임(105)의 배면과 접촉시킬 수 있다. 제2 방열부(214)와 프레임(105)이 접촉하는 면은 접은 제2 방열부(214)를 접은 경우와 펼친 경우에 서로 반대로 된다.
제2 방열부(214)는 플렉서블 기판(1515)위에 적층된 열전달 시트(210)의 열전달부(213)를 통해 흡열부(211)에서 흡수된 열이 전달된다. 이와 같이 열전달 시트(210)를 플렉서블 기판(1515) 위에 적층함으로서 손쉽게 조립이 가능하다.
플렉서블 기판(1515)의 타단에 위치하는 커넥터(1516)은 메인기판(186)과 연결되며, 메인기판(186)이 이동 단말기(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플렉서블 기판(1515)는 메인기판(186)과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나, 메인기판(186)이 이동 단말기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메인기판(186)에 직접연결이 어렵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플렉서블 기판(1515)과 메인기판(186) 사이의 중개역할을 하는 연결기판(18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5)의 배면으로 꺾어진 플렉서블 기판(1515)에 상기 커넥터(1516)와 접속부가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을 향하도록 연결기판(187)이 안착된다.
본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100)는 전면부터 순차적으로 배면방향으로 적층되기 때문에 연결기판(187)을 조립시에 연결기판(187)의 실장면(아이씨 칩, 다른 기판과 연결되는 커넥터(1516) 등이 위치하는 면)이 프레임(105)을 향하게 조립하면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연장된 플렉서블 기판(1515)을 비롯하여 다른 부품들과 연결이 어렵기 때문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기판(187)의 실장면이 배면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실장면이 배면방향을 향하는 연결기판(187)과 플렉서블 기판(1515)의 커넥터(1516)이 접속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기판(1515)의 타측은 다시한번 U자 형상으로 꺾어진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와 열전달 시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2장의 열전달 시트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일측을 커버하는 흡열부(221)와 플렉서블 기판(1515)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1 열전달부(223)를 포함하는 제1 열전달 시트(220) 및 상기 제1 열전달 시트(220)와 중첩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기판(1515)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2 열전달 시트(230)을 포함한다. 제2 열전달 시트(230)는 상기 제1 열전달 시트(220)과 중첩되는 제2 열전달부(233)와 프레임(105)과 접촉하는 제4 방열부(234)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플렉서블 기판(1515)에서 돌출된 열전달 시트(210)의 방열부(212, 214)는 유통 중에 파손될 우려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렉서블 기판(1515)에서 돌출되지 않는 제1 열전달 시트(220)를 디스플레이부(151)와 결합한 상태로 1차 공정을 완료하고, 프레임(105)과 디스플레이부(151)를 결합하기 직전에 프레임(105)과 접촉하는 제2 열전달 시트(230)를 결합하여 열전달 시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의 (b) 같이 제2 열전달 시트를 적층하면 제4 방열부(234)는 플렉서블 기판(1515)의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제4 방열부(234)를 플렉서블 기판(1515)의 타면방향으로 접으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2 방열부(도 7의 214)와 같은 위치에 제4 방열부(234)가 위치한다.
도 10은 도 9의 디스플레이부(151)와 프레임(105)이 결합된 상태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디스플레이부(151)를 프레임(105)과 결합하고, 플렉서블 기판(1515)을 프레임(105)의 개구부를 통해 프레임(105)의 배면 방향에 위치하도록 꺾으면 제4 방열부(234)는 프레임(105)의 배면과 플렉서블 기판(1515)의 타면 사이에 위치한다. 즉, 전술한 실시예의 제2 방열부(도 8의 (b)의 214 참조)와 같은 위치에 제4 방열부(234)가 위치한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와 프레임(105)이 결합된 이후에 제2 열전달 시트(230)가 결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05)과 디스플레이부(151)가 결합하기 이전에 제2 열전달 시트(230)를 플렉서블 기판(1515)에 결합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제1 열전달 시트(220)가 적층된 디스플레이부(151)를 프레임(105)에 결합하고 플렉서블 기판(1515)을 프레임(105)의 개구부(1051)를 통해 프레임(105)의 배면방향으로 꺾어 도 11의 (a)와 같이 위치시킨다. 그 후 플렉서블 기판(1515)에 연결기판을 적층하고, 플렉서블 기판(1515)의 타단에 위치하는 커넥터와 연결한다. 이 후, 도 11의 (b)와 같이 제2 열전달 시트(230)를 제1 열전달 시트(220)와 접촉되면서, 프레임(105)의 배면과 접촉하도록 배면 방향에서 적층한다.
즉, 제2 열전달 시트의 제2 열전달부(233)는 제1 열전달 시트(220)를 커버하고, 제4 방열부(234)는 상기 프레임(105)의 배면에 적층된다. 전술한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제4 방열부(234)가 플렉서블 기판(1515)과 프레임(105) 사이에 위치하나, 본 실시예는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기판(1515)과 중첩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와 열전달 시트(210)를 도시한 전면도와 배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하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은 도 13의 C-C'단면도 및 도 6의 D-D'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배면의 부재부터 전면 방향으로 실장되는 방식으로 조립하는 경우 최적회된 구조이다. 전술한 실시예는 프레임(105)의 배면 방향으로 프레임(105)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여 플렉서블 기판(1515)의 타단을 뺐으나, 본 실시예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기판(1515)의 타단이 프레임(105)의 전면에 위치하다.
플렉서블 기판(1515)이 프레임(105)의 전면에 위치하므로 프레임(105)과 접하는 플렉서블 기판(1515)의 면이 도 5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반대 면이 된다. 따라서 제3 방열부(215)는 플렉서블 기판(1515)에서 연장되지 않고 플렉서블 기판(1515) 위에 위치하며, 플렉서블 기판(1515)이 도 12의 (b)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으로 꺾어지면 프레임(105)과 맞닿는 부분에 제3 방열부(215)가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1515)의 타단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프레임(105) 사이에 위치하는 바, 프레임(105)과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단 사이에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프레임(105)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단 부분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면 방향으로 리세스 되고 상기 리세스된 공간에 플렉서블 기판(1515)이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프레임(105)이 디스플레이부(151)를 지지하는 힘이 약해지므로, 디스플레이부(151)의 일측 배면에 디스플레이부(151)를 지지하는 브라켓(151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브라켓(1518)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상의 부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 중에 프레임(105)이 지지하지 못하는 부분을 지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으로 꺾이는 제1 방열부(212)는 상기 브라켓(1518)의 배면 방향에 위치하여 프레임(105)과 접할 수 있다. 브라켓(1518)의 열전도성이 높은 경우 브라켓(1518)과 디스플레이부(151) 사이에 제1 방열부(212)가 위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연결되는 메인기판(186)의 연결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측방향 위치하여 상기 플렉서블 기판(1515)의 단부에 위치하는 커넥터(1516)가 플렉서블 기판(1515)의 일측 측방향에 편향되어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열전달 시트(210)의 너비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과 그래프이다. (c)의 그래프는 이동 단말기(100)의 하단부의 온도를 나타낸 것으로 온도가 낮을수록 구동 아이씨(1512)와 광원(1513)에서 발생하는 열을 확산효율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Default 는 열전달 시트(210)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개선 1은 도 15의 (a)와 같이 방열부의 너비가 7mm이고 열전달 물질(201)로서 그라파이트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개선 2는 도 15의 (a)와 같이 방열부의 너비가 7,m이고 열전달 물질(201)로서 구리를 사용한 경우이고, 개선 3은 도 15의 (b)와 같이 방열부의 너비가 27mm이고 열전달 물질(201)로서 그라파이트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다.
그라파이트는 구리에 비해 열전도도가 높아 더 높은 효율을 나타내며 방열부가 넓을수록 프레임(105)과 접하는 면적이 넓어 방열효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51)의 구동 아이씨(1512) 및 광원(1513)에서 발생한 열을 프레임(105)으로 전달하여 국부과열에 의한 이동 단말기(100)의 성능저하 및 사용자가 파지하는데 어려움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151: 디스플레이부 1512: 구동 아이씨
1513: 광원 1515: 플렉서블 기판
1516: 커넥터 105: 프레임
210: 열전달 시트 211: 흡열부
212, 214: 방열부 213: 열전달부

Claims (17)

  1. 일측에 구동 아이씨가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위치하는 프레임;
    일측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동 아이씨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 방향으로 꺽어지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며,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통해 상기 구동 아이씨를 제어하는 메인기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 전면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적층된 열전달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 시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프레임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 단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시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 전면에 적층된 흡열부;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흡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 방향으로 꺾어지는 제1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시트는
    상기 흡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에 적층된 열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열전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제2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열부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타면방향으로 꺾어지고,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타면과 상기 프레임의 배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열부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 방향으로 꺽어지며, 상기 프레임의 배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타측은 상기 메탈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열전달 시트는
    상기 흡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에 적층된 열확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상기 열확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은 배면 방향으로 리세스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이격공간에 위치하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 일측 배면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타측은 상기 개구부를 통행 상기 메인기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시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 전면에 적층된 흡열부와 상기 흡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에 적층된 제1 열전달부를 포함하는 제1 열전달 시트; 및
    상기 제1 열전달 시트와 중첩되는 제2 열전달부와,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제2 열전달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제2 열전달부에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제4 방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방열부는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방열부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타면 방향으로 꺾어져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타면과 상기 프레임의 배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타측은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위치하며 1회 꺽어지며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타측의 꺽어진 플렉서블 기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메인기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시트는
    그라파이트 시트 또는 구리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시트는
    상기 그라파이트시트 또는 상기 구리시트와 프레임 또는 구동 아이씨 사이에 위치하는 열전도성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시트는
    상기 그라파이트시트 또는 상기 구리시트의 양면에 적층되는 점착층 또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양면의 상기 점착층 또는 보호층은 상기 그라파이트시트 또는 상기 구리시트의 둘레에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50093900A 2015-07-01 2015-07-01 이동 단말기 KR102415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900A KR102415651B1 (ko) 2015-07-01 2015-07-01 이동 단말기
US14/882,168 US9622391B2 (en) 2015-07-01 2015-10-13 Mobile terminal
CN201510783942.6A CN106332518B (zh) 2015-07-01 2015-11-16 移动终端
EP16150214.1A EP3112977B1 (en) 2015-07-01 2016-01-05 Mobile terminal with means for dissipating heat from display driver
FR1650044A FR3038481B1 (fr) 2015-07-01 2016-01-05 Terminal 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900A KR102415651B1 (ko) 2015-07-01 2015-07-01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68A true KR20170004068A (ko) 2017-01-11
KR102415651B1 KR102415651B1 (ko) 2022-07-01

Family

ID=55129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900A KR102415651B1 (ko) 2015-07-01 2015-07-01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22391B2 (ko)
EP (1) EP3112977B1 (ko)
KR (1) KR102415651B1 (ko)
CN (1) CN106332518B (ko)
FR (1) FR3038481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768A (ko) * 2018-09-13 2020-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73086A (ko) * 2018-12-13 2020-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20200073083A (ko) * 2018-12-13 2020-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20200073085A (ko) * 2018-12-13 2020-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20200074700A (ko) * 2018-12-17 2020-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방열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기기
WO2021080170A1 (en) * 2019-10-22 2021-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protection structure
EP3708401A4 (en) * 2017-11-08 2021-07-28 LG Electronics Inc. VEHICLE INSTRUMENT PANEL
WO2022014918A1 (ko) * 2020-07-14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센싱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97956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69250A1 (ko) * 2021-02-02 2022-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열 확산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493956B2 (en) 2020-07-14 202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US11706904B2 (en) 2020-11-06 202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eat dissipation member
WO2023140410A1 (ko) * 2022-01-24 2023-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860694B2 (en) 2020-07-14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llable display
US11991816B2 (en) 2021-04-06 2024-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eat dissipation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671B1 (ko) * 2015-01-19 2021-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602603B2 (en) * 2015-06-04 2020-03-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e terminal and heat dissipation and shielding structure
KR20170039388A (ko) * 2015-10-01 2017-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디바이스
JP6531033B2 (ja) * 2015-11-24 2019-06-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5957846B (zh) * 2016-06-28 2019-06-14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光模块
US10652373B2 (en) * 2016-11-22 2020-05-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20180062269A (ko) * 2016-11-30 2018-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백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5610B1 (ko) * 2017-03-30 2022-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CN108695589B (zh) * 2017-04-07 2021-07-2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移动装置
EP3595274B1 (en) 2017-05-24 2021-01-1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Bracket for electronic component,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CN107390439B (zh) * 2017-06-23 2020-07-03 惠州市德赛西威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显示装置及其布线方法
WO2019015401A1 (en) * 2017-07-21 2019-01-2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2420019B1 (ko) * 2017-08-07 202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전자 기기
CN108037624A (zh) * 2017-12-28 2018-05-15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器
KR102627159B1 (ko) * 2018-04-02 202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8693661A (zh) * 2018-05-31 2018-10-23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眼镜
US10271425B1 (en) * 2018-06-12 2019-04-23 Google Llc Integrating a sensor into a flexible display circuit
JP6882232B2 (ja) * 2018-06-28 2021-06-02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8834382A (zh) * 2018-08-03 2018-11-16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
KR102613054B1 (ko) * 2018-10-24 2023-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의 도전 시트와 연결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9151122B (zh) * 2018-10-24 2020-10-09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显示屏组件、电子设备及显示屏组件的组装方法
KR102640261B1 (ko) * 2018-11-12 202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09071559U (zh) * 2018-11-15 2019-07-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监控单元及电池包
KR20200060639A (ko) * 2018-11-22 2020-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361802B (zh) * 2018-11-27 2021-07-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KR20200095627A (ko) * 2019-01-31 2020-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811815A (zh) * 2019-05-16 2021-12-17 索尼集团公司 热传导机构
EP4089665A4 (en) * 2020-01-06 2023-10-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N111405782A (zh) * 2020-03-20 2020-07-10 惠州市德赛西威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贯穿式车载中控大屏结构
CN212013182U (zh) * 2020-06-19 2020-11-24 昆山达卡特电子有限公司 防水型电子机芯pcb板
CN112180632B (zh) * 2020-10-22 2021-10-08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芯片散热结构及液晶显示装置
CN114822234B (zh) 2021-01-29 2024-06-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
KR20220138745A (ko) * 2021-04-06 2022-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296B1 (ko) * 2004-12-28 2007-06-12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및 휴대 기기
US20120044635A1 (en) * 2010-08-19 2012-02-23 Apple Inc. Internal frame optimized for stiffness and heat transfer
KR20140031358A (ko) * 2014-02-21 201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쉬트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3262A (en) * 1988-03-15 1994-03-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heat-insulating members and driving circuit boards attached to rear edges of light box
JP2000010661A (ja) 1998-06-18 2000-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型情報処理装置および携帯型情報処理装置用カバー、卓上型情報処理装置
JP3659810B2 (ja) * 1998-08-05 2005-06-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二次元表示装置の駆動モジュール取付構造
JP3450213B2 (ja) * 1999-03-18 2003-09-22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型表示装置
US6677664B2 (en) * 2000-04-25 2004-01-13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imited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and flexible wiring board using a flat panel display metal chassis
KR100367012B1 (ko) * 2000-08-21 2003-01-0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4310039B2 (ja) * 2000-09-29 2009-08-05 エーユー オプトロニ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Icの放熱構造および表示装置
JP4650822B2 (ja) * 2001-05-24 2011-03-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型表示装置
JP3983120B2 (ja) * 2001-07-30 2007-09-26 富士通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Icチップの実装構造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US7154570B2 (en) * 2002-09-28 2006-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 light assembly,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22695B1 (ko) * 2003-09-01 2005-10-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22696B1 (ko) * 2003-09-20 2005-10-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필터홀더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81863B1 (ko) * 2003-10-09 2006-05-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42190B1 (ko) * 2003-10-17 2006-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드라이버 ic 방열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6972963B1 (en) * 2004-07-02 2005-12-06 Chunghwa Picture Tubes Electronic apparatus having structure for protecting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chip thereon
JP4117313B2 (ja) * 2004-10-11 2008-07-16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96517B1 (ko) * 2005-05-02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의 집적회로칩 방열 구조 및 이를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1096759B1 (ko) * 2005-06-16 2011-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5300640B2 (ja) * 2009-07-27 2013-09-2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静電容量型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付き電気光学装置
KR102114614B1 (ko) * 2013-09-03 2020-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열확산 부재 제조방법
KR102186842B1 (ko) * 2014-05-26 2020-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296B1 (ko) * 2004-12-28 2007-06-12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및 휴대 기기
US20120044635A1 (en) * 2010-08-19 2012-02-23 Apple Inc. Internal frame optimized for stiffness and heat transfer
KR20140031358A (ko) * 2014-02-21 201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쉬트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1836B2 (en) 2017-11-08 2024-04-09 Lg Electronics Inc. Vehicle instrument panel
EP3708401A4 (en) * 2017-11-08 2021-07-28 LG Electronics Inc. VEHICLE INSTRUMENT PANEL
KR20200030768A (ko) * 2018-09-13 2020-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73086A (ko) * 2018-12-13 2020-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20200073083A (ko) * 2018-12-13 2020-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20200073085A (ko) * 2018-12-13 2020-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11581516B2 (en) 2018-12-17 2023-02-14 Lg Display Co., Ltd. Heat radiation member for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200074700A (ko) * 2018-12-17 2020-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방열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기기
US11592865B2 (en) 2019-10-22 2023-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protection structure
WO2021080170A1 (en) * 2019-10-22 2021-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protection structure
US11493956B2 (en) 2020-07-14 202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WO2022014918A1 (ko) * 2020-07-14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센싱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60694B2 (en) 2020-07-14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llable display
WO2022097956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706904B2 (en) 2020-11-06 202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eat dissipation member
WO2022169250A1 (ko) * 2021-02-02 2022-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열 확산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91816B2 (en) 2021-04-06 2024-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eat dissipation structure
WO2023140410A1 (ko) * 2022-01-24 2023-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332518A (zh) 2017-01-11
EP3112977A1 (en) 2017-01-04
KR102415651B1 (ko) 2022-07-01
US20170006738A1 (en) 2017-01-05
US9622391B2 (en) 2017-04-11
EP3112977B1 (en) 2021-12-08
CN106332518B (zh) 2019-11-29
FR3038481B1 (fr) 2019-04-26
FR3038481A1 (fr) 2017-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4068A (ko) 이동 단말기
US9986072B2 (en) Mobile terminal
KR101759950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991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04694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16153A (ko) 이동 단말기
KR20190070976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251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8164A (ko) 이동 단말기
KR20190077343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54777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17008444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83907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3299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7204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808626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28126A (ko) 이동 단말기
KR101575503B1 (ko) 이동 단말기
KR101587178B1 (ko) 이동 단말기
KR20180116036A (ko) 이동 단말기
KR101578013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81697A (ko) 열전소자 칩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575599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8680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30821A (ko) 이동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