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388A - 전자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자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388A
KR20170039388A KR1020150138446A KR20150138446A KR20170039388A KR 20170039388 A KR20170039388 A KR 20170039388A KR 1020150138446 A KR1020150138446 A KR 1020150138446A KR 20150138446 A KR20150138446 A KR 20150138446A KR 20170039388 A KR20170039388 A KR 20170039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electronic device
light sources
guide plate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필구
고동석
천지영
권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9388A/ko
Priority to EP15905500.3A priority patent/EP3358425B1/en
Priority to PCT/KR2015/010777 priority patent/WO2017057790A1/ko
Priority to US15/048,476 priority patent/US9869974B2/en
Publication of KR20170039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388A/ko
Priority to US15/860,441 priority patent/US1067102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24Clocks or watches with date or week-day indicators, i.e. calendar clocks or watches; Clockwork calendars
    • G04B19/243Clocks or watches with date or week-day indicators, i.e. calendar clocks or watches; Clockwork calenda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ate indicator
    • G04B19/247Clocks or watches with date or week-day indicators, i.e. calendar clocks or watches; Clockwork calenda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ate indicator disc-shaped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8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G04G9/1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using light valves, e.g. liquid crystals
    • G04G9/12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using light valves, e.g. liquid crystals provided with date ind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7/00Indicating the time optically by electric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7/00Indicating the time optically by electric means
    • G04C17/0091Combined electro-optical and electro-mechanical display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7/00Indicating the time optically by electric means
    • G04C17/02Indicating the time optically by electric means by electric lamp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6Electric connectors, e.g. conductive elastomer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23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light valves in general
    • G04G9/0029Details
    • G04G9/0035Details constructional
    • G04G9/0041Illumination devi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8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and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s of which represents the time, i.e. combinations of G04G9/02 and G04G9/08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 of which represent the time,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G04G9/06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 of which represent the time,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using light valves, e.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8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G04G9/1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using light valves, e.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8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G04G9/1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using light valves, e.g. liquid crystals
    • G04G9/12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using light valves, e.g. liquid crystals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8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G04G9/1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using light valves, e.g. liquid crystals
    • G04G9/128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using light valves, e.g. liquid crystals using mechano-optical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4G99/006Electronic time-pieces using a microcomputer, e.g. for multi-function c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6Substrate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non-rectangular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홀이 형성된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축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무브먼트; 상기 디스플레이모듈과 이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전방에 위치하는 윈도우;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축의 타단에 고정되는 핸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둘레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복수개의 광원, 그리고, 상기 제1 복수개의 광원과 마주(face)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둘레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복수개의 광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디바이스{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융합된 웨어러블 와치타입에 관한 전자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는 웨어러블(wearable)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글래스 타입(glass type), 와치 타입(watch type)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웨어러블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의 경우 디자인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면서도 한정된 공간에 필요한 전자 소자를 배치하여야 하므로 최적화된 설계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another) 목적은 아날로그 핸드와 디지털 인덱스를 동시에 구현하는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암부를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암부를 억제하는 광원의 배치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슬림한 와치를 구현하기 위한 광원의 배치를 위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의 TFT 라인의 설계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다른 단말기 또는 전자디바이스와 연동하는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홀이 형성된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축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무브먼트; 상기 디스플레이모듈과 이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전방에 위치하는 윈도우;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축의 타단에 고정되는 핸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둘레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복수개의 광원, 그리고, 상기 제1 복수개의 광원과 마주(face)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둘레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복수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의 후면에 위치하는 터치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복수개의 광원과 상기 제2 복수개의 광원은, 상기 홀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액정이 채워진 디스플레이패널,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복수개의 광원은,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인접하여 적어도 3개의 광원이 순차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2 복수개의 광원은, 상기 제1 복수개의 광원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형성된 홀의 건너편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복수개의 광원과 마주하고,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인접하여 적어도 3개의 광원이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복수개의 광원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형성된 홀을 중심으로 약 120도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복수개의 광원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형성된 홀을 중심으로 약 120도 범위 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복수개의 광원과 마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도광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도광판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고, 외곽 둘레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된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외곽 둘레가 제거된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고, 상기 도광판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서 상기 프레임에 놓여지는 FPC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복수개의 광원은, 상기 프레임에 놓여진 F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FPCB는, 상기 플레이트의 외곽 둘레가 제거된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고, 상기 도광판을 향해 일측이 연장되어 상기 도광판의 일측면에서 상기 프레임에 놓여지고, 상기 도광판을 향해 타측이 연장되어 상기 도광판의 타측면에서 상기 프레임에 놓여지며, 상기 연장된 일측과 제1 복수개의 광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장된 타측과 제2 복수개의 광원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액정이 채워지는 디스플레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은, 상기 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화면이 표시되는 활성화영역, 그리고,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화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비활성화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전면의 외곽에 형성되는 제1 비활성화영역,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전면의 중심쪽에 형성되는 제2 비활성화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홀은, 상기 제2 비활성화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제2 비활성화영역의 주위에 TFT(Thin film transistor) 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을 마주보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사이에 채워지는 액정층, 상기 제1 기판에 형성되는 칼라필터, 그리고,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되는 TFT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TFT 라인은, 상기 홀을 우회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무브먼트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기어박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크라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크라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축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축은, 내축, 그리고, 상기 내축을 둘러싸는 외축을 구비하고, 상기 핸드는,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의 핸드는, 상기 내축에 고정되는 제1 핸드, 그리고, 상기 외축에 고정되는 제2 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핸드는 상기 제2 핸드와 길이, 너비,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시계 인덱스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크로노그래프, 스몰세컨드, 다이얼, 월일정보, 요일정보, 및 기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전자디바이스와 연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핸드가 회전하면서 그리는 원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아날로그 핸드와 디지털 인덱스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암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암부를 억제하는 광원의 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슬림한 와치를 구현할 수 있는 광원의 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의 TFT라인의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른 단말기 또는 전자디바이스와 연동하는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의 밴드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광경로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광원배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FPCB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전자 디바이스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압드라이버(99),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전자 디바이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전압드라이버(99)는 후술하는 전극(700)에 가해지는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전압드라이버(99)는 전극(700)에 가해지는 여러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전압드라이버(99)의 여러 가지 전압의 생성은 후술하는 제어부(18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 사이, 또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전자 디바이스 내 정보, 전자 디바이스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 디바이스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서, 환경센서는 온도센서(143)를 구비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전자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전자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 디바이스(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전자 디바이스(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전자 디바이스(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 사이, 또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전자 디바이스(100) 주변에,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전자 디바이스(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 디바이스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디바이스(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전자 디바이스 내 정보, 전자 디바이스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전자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전자 디바이스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전자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180)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전자 디바이스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 디바이스(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전자 디바이스(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전자 디바이스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전자 디바이스(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전자 디바이스(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치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의 한 종류로서 사용자의 손목에 권취하여 착용하는 이동 단말기이다. 와치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술한 구성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와치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100)의 형상과 관련한 특징에 대해서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는 길이방향으로 곡면을 포함하거나 플렉서블한 재질을 포함하는 밴드부(130)를 포함하며, 힌지핀(139)을 이용하여 본체부(101)와 탈부착될 수 있다.
밴드부(130)는 강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된 경우 곡면 형태로 형성하거나,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의 손목에 감겨 착용이 가능하다. 밴드부(130)의 내부에는 전자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전장부가 제공되며, 상기 전장부에 밴드기판(185),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광출력부(154) 및 안테나(미도시) 등이 실장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의 밴드기판(185)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밴드기판(185)은 휘어지는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단한 소재의 기판이 복수개의 조각으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플렉서블 기판이 개재될 수도 있고, 밴드기판(185) 전체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밴드기판(185)은 밴드부(130)에 실장된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광출력부(154) 및 무선통신부(110) 등을 제어하는 IC(183)가 실장되고, IC(183)는 본체부(101)와 연결된 경우 본체부(101)도 제어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광출력부(154) 및 안테나(117) 등은 밴드기판(185)과 별도로 밴드부(130)에 실장될 수도 있으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기판(185) 상에 실장될 수도 있다.
밴드부(130)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하는 밴드기판(18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될 수도 있고, 양 단이 연결되어 하나의 밴드기판(185)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분리되어 있더라도, 밴드부(130)의 단부가 본체부(101)와 연결되거나, 밴드부(130)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분리된 밴드기판(185)은 연결될 수 있다.
일측의 밴드기판(185)에는 음향 출력부(152)와 광출력부(154) 및 IC(183)가 위치하고, 외장 배터리(191)와 연결하기 위한 단자가 위치할 수 있다. 타측의 밴드기판(185)에는 마이크(122), 안테나(117), IC(183) 및 내장 배터리(193)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배치는 변경 가능하며, 상기 구성 이외에 더 많은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밴드부(130) 단부에 밴드부(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릿(132)이 위치하며, 본 실시예에서 슬릿(132)은 밴드부(130)의 양 단부에 하나씩 형성되며 슬릿(132)에 의해 밴드부(130)의 양 단부는 2개의 분할단부(133)로 구획된다. 상기 슬릿(132)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분할단부(133)의 개수도 증가한다.
밴드부(130)가 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분할단부(133)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할단부(133)는 밴드부(130)의 두께방향으로 상하로 휘어질 수 있으며, 슬릿(132)에 의해 구획된 분할단부(133)는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밴드부(130)의 단부, 즉 분할단부(133)의 측면에서 너비방향으로 연장된 체결홀(134)을 더 포함한다. 본체부(101)와 체결을 위해 힌지핀(139)이 상기 체결홀(134)에 체결된다. 본체부(101)는 상기 힌지핀(139)이 관통하는 힌지홀(101b)을 포함한다.
밴드부(130)를 관통하는 힌지핀(139)은 도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홀(134)과 힌지홀(101b)의 내측에 위치하는 접속링(188)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속링(188)은 밴드부(130)의 체결홀(134) 내측에 구비된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링 형태의 부재로 상기 접속링(188)의 단부는 밴드부(130)에 실장된 밴드기판(185)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101)는 전면에 시간 눈금과 시간을 가리키는 시침 초침등을 포함하는 시계 문자판(102)이 위치하고, 상기 밴드부(130)와 상기 힌지핀(139)을 통해 결합되는 밴드 체결부(101a)를 양측에 포함한다. 밴드 체결부(101a)는 밴드부(130)의 너비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밴드부(130) 체결돌기와 상기 밴드부(130) 체결돌기에 형성된 힌지홀(101b)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홀(101b)에 힌지핀(139)이 삽입되어 본체부(101)와 밴드부(130)가 체결된다.
본체부(101)는 통상의 손목시계 기능만 하는 시계본체일 수 있다. 통상의 시계도 시계의 줄을 교체할 수 있도록 밴드 체결부(101a)를 구비하며, 상기 밴드 체결부(101a)의 힌지홀(101b)에 힌지핀(139)을 이용하여 밴드부(130)를 교체할 수 있는 바, 통상의 본체부(101)에도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를 체결할 수 있다.
별도의 전자부품가 실장되지 않은 본체부(101)의 경우라도 시계 문자판(102)의 구동을 위해 배터리(192)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92)는 시계 문자판(102)의 구동에만 이용할 수 있고, 밴드부(130)에 구비된 전자 부품의 구동 및 디스플레이부(151)가 추가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동은 밴드부(130) 자체에 구비된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부품이 실장된 본체부(101)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1)는 디스플레이부(151), 제어를 위한 회로부(184)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 배터리(192)를 구비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에 구비되지 않은 카메라(121)와 같은 구성이 본체부(101)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통상의 시계로 이용할 때에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할 때에만 불투명/반투명하게 변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터치센서(125)를 더 구비하여 입력 및 출력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01) 자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된 경우 상기 전자 부품들 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힌지홀(101b) 내측에도 접속링(188)이 구비되어 상기 접속링(188)을 통해 본체부(101) 내부의 회로부(184)와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101)와 밴드부(130)가 연결됨으로써 기능이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01)에는 디스플레이 기능만 구비된 경우 밴드부(130)를 연결하면 밴드부(130)에 구비된 안테나(117)를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이나, 근거리 통신을 통해 통화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밴드부(130)에 구비된 음향출력모듈(152)를 통해 음향정보도 함께 출력가능하다.
밴드부(130)의 단부를 통해 본체부(101)와 연결하는 것 이외에 힌지핀(139)을 통해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컴퓨터와 같은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앞서 도 1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 중, 전자 디바이스에 구비된 NFC 모듈은 10cm 안팎의 거리에서 단말 간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NFC 모듈은 카드 모드, 리더 모드 및 P2P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NFC 모듈이 카드 모드로 운용되기 위해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보안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안 모듈이란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예컨대,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SIM(Universal SIM)), Secure micro SD 및 스티커 등 물리적 매체일 수도 있고, 전자 디바이스에 임베디드되어 있는 논리적 매체(예컨대, embeded SE(Secure element))일 수도 있다. NFC 모듈과 보안 모듈 사이에는 SWP(Single Wire Protocol)에 기반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NFC 모듈이 카드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전통적인 IC 카드처럼 저장하고 있는 카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용카드 또는 버스 카드 등 결제용 카드의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요금 결제기에 근접시키면, 모바일 근거리 결제가 처리될 수 있고, 출입용 카드의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출입 승인기에 근접 시키면, 출입의 승인 절차가 시작될 수 있다. 신용카드, 교통카드 및 출입카드 등의 카드는 애플릿(applet) 형태로 보안 모듈에 탑재되고, 보안 모듈은 탑재된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용 카드의 카드 정보는 카드 번호, 잔액, 사용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출입용 카드의 카드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번호(예컨대, 사용자의 학번 또는 사번), 출입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NFC 모듈이 리더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외부의 태그(Tag)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가 태그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는 NFC 포럼에서 정하는 데이터 교환 포맷(NFC Data Exchange Format)으로 코딩될 수 있다. 아울러, NFC 포럼에서는 4개의 레코드 타입을 규정한다. 구체적으로, NFC 포럼에서는 스마트 포스터(Smart Poster), 텍스트(Text),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및 일반 제어(General Control) 등 4개의 RTD(Record Type Definition)를 규정한다.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스마트 포스터 타입인 경우, 제어부(180)는 브라우저(예컨대, 인터넷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텍스트 타입인 경우, 제어부(180)는 텍스트 뷰어를 실행할 수 있다.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URI 타입인 경우, 제어부(180)는 브라우저를 실행하거나 전화를 걸고,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일반 제어 타입인 경우, 제어 내용에 따라 적절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NFC 모듈이 P2P(Peer-to-Peer)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P2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P2P 통신에는 LLCP(Logical Link Control Protocol) 가 적용될 수 있다. P2P 통신을 위해 전자 디바이스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는 커넥션(connection)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커넥션은 1개의 패킷을 교환하고 종료되는 비접속형 모드(connectionless mode)와 연속적으로 패킷을 교환하는 접속형 지향 모드(connection-oriented mode)로 구분될 수 있다. P2P 통신을 통해, 전자적 형태의 명함, 연락처 정보, 디지털 사진, URL 등의 데이터 및 블루투스, Wi-Fi 연결을 위한 셋업 파라미터 등이 교환될 수 있다. 다만, NFC 통신의 가용 거리는 짧으므로, P2P 모드는 크기가 작은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디바이스(200)는 앞서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디바이스(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모듈(260)이 외부로 노출되는 측을 전자디바이스(200)의 전방 또는 상방이라 정의한다. 다시 말해, 전자디바이스(200)의 전방 또는 상방은 사용자가 전자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모듈(260)을 바라보는 측을 의미한다. 전자디바이스(200)의 전방 또는 상방의 반대측을 후방 또는 하방이라 정의한다. 다시 말해, 전자디바이스(200)의 후방 또는 하방은 사용자가 전자디바이스(200)의 전방 또는 상방을 바라 볼 때, 전자디바이스(200)의 후면 또는 하면 측을 의미한다. 전방 또는 상방에서 전자디바이스(200)의 전면 또는 상면이 관측될 수 있고, 후방 또는 하방에서 전자디바이스(200)의 후면 또는 하면이 관측될 수 있다. 전면과 후면의 사이 또는 상면과 하면의 사이를 측방 또는 측면이라 정의한다.
케이스(210)는 전자디바이스(200)의 측면을 형성하거나 전자디바이스(200)의 둘레 또는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210)는 앞서 설명한 본체부(101)일 수 있다. 백커버(220)는 케이스(210)의 후방에서 케이스(210)와 결합되어 전자디바이스(200)의 후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캡(230)은 백커버(220)에 끼워질 수 있다. 캡(230)은 전자디바이스(200)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캡(230)은 백커버(220)를 관통하여 끼워질 수 있다. 중공된 센터홀(222)이 백커버(220)에 형성될 수 있고, 캡(230)은 센터홀(222)에 끼워질 수 있다. 캡(230)은 센터홀(22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240)는 케이스(210)의 일측에 안착되거나 놓여지거나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240)는 케이스(210)의 일측에 위치하여 전자디바이스(2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터치센서(250)는 윈도우(24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센서(250)는 터치센서(125)일 수 있다. 터치센서(250)는 윈도우(240)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터치센서(250)는 정전식 센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센서(250)는 윈도우(240)를 터치하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센서(250)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240)를 통해 전자디바이스(200)의 전면으로부터 전자디바이스(200)의 내부가 관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윈도우(240)를 통해 전자디바이스(200)의 전면 내부가 관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윈도우(240)를 통해 핸드(280) 또는 디스플레이모듈(260) 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관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모듈(260)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일부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60)은 케이스(210)에 내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60)은 윈도우(240)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60)과 윈도우(240) 사이에 공간(air gap)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260)과 터치센서(25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일면 또는 일측은 전자디바이스(200)의 윈도우(240)를 통해 관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60)은 일면이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60)은 전면 또는 후면이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260)은 축홀(262)을 구비할 수 있다. 축홀(262)은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이 뚫림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축홀(262)의 위치는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중앙일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중앙은 핸드(280)의 회전중심을 의미할 수 있다.
무브먼트(270:movement)는 케이스(210)에 내장될 수 있다. 무브먼트(270)는 디스플레이모듈(26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무브먼트(270)는 전자디바이스(200)의 전면에서 관측될 수도 있다. 무브먼트(270)는 수동식, 자동식 또는 쿼츠일 수 있다. 수동식 무브먼트(270)는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태엽을 감아주는 것으로 동력을 축적하여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자동식 무브먼트(270)는 회전추를 구비하고, 회전추에 의해 태엽을 자동으로 감아서 동력을 축적하여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회전추의 형상은 반달형 또는 부채꼴 일 수 있다. 쿼츠 무브먼트(270)는 수정을 이용한 발진기를 구비하고, 이를 배터리로 구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브먼트(270)는 핸드축(276)이 끼워지는 축홈(272)을 구비할 수 있다. 축홈(272)은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축홀(262)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핸드축(276)은 무브먼트(270)에 설치될 수 있다. 핸드축(276)은 무브먼트(270)의 중앙에 끼워질 수 있다. 즉, 핸드축(276)은 무브먼트(270)에 형성된 축홈(272)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핸드축(276)은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축홀(262)에 끼워질 수 있다. 즉, 핸드축(276)은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축홀(262)을 관통하여 무브먼트(270)의 축홈(272)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핸드축(276)은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축홀(262)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는, 핸드축(276)이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축홀(262)에서 회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핸드축(276)은 무브먼트(270)의 축홈(272)에 끼워지고, 무브먼트(27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할 수 있다. 즉, 무브먼트(270)의 동력은 축홈(272)을 통해 핸드축(276)에 전달될 수 있다.
핸드축(276)은 외축(278)과 내축(274)을 구비할 수 있다. 내축(274)은 솔리드 샤프트(solid shaft)일 수 있고, 외축(278)은 실린더 샤프트(cylinder shaft)일 수 있다. 내축(274)은 외축(278)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해, 외축(278)은 내축(274)을 둘러싸며 위치할 수 있다. 외축(278)과 내축(274)의 회전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무브먼트(270)가 내축(274)에 제공하는 회전력 또는 회전각도가 무브먼트(270)가 외축(278)에 제공하는 회전력 또는 회전각도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외축(278)은 시(hour)축일 수 있고, 내축(274)은 분(minute)축일 수 있다. 이는, 핸드(280)는 복수개일 수 있고, 시축에 시 핸드(280)가 고정되고, 분축에 분 핸드(280)가 고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무브먼트(270)는 외축 구동부(273), 그리고 내축 구동부(277)를 구비할 수 있다. 내축 구동부(277)는 내축(274)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도록 무브먼트(27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축 구동부(277)는 무브먼트(270)에 내장된 복수개의 톱니와 연결되어 복수개의 톱니의 회전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외축 구동부(273)는 외축(278)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도록 무브먼트(27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축 구동부(273)는 무브먼트(270)에 내장된 복수개의 톱니와 연결되어 복수개의 톱니의 회전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외축 구동부(273)는 내축 구동부(277)와 기계적으로 격리될 수 있다. 이는, 외축 구동부(273)의 회전과 내축 구동부(277)의 회전은 회전 각도, 회전 시간 등이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핸드(280)는 윈도우(240)와 디스플레이모듈(260)이 형성하는 공간(air-gap)에 위치할 수 있다. 핸드(280)는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핸드(280)는 상기 공간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핸드(280) 중 어느 하나는 외축(278)에 끼워질 수 있다. 복수개의 핸드(280) 중 다른 하나는 내축(274)에 끼워질 수 있다. 복수개의 핸드(280) 중 어느 하나는 그 길이가 복수개의 핸드(280) 중 다른 하나에 비하여 길거나 짧을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핸드(280) 중 어느 하나는 그 폭이 복수개의 핸드(280) 중 다른 하나에 비하여 넓거나 좁을 수 있다. 즉, 복수개의 핸드(28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와 육안으로 구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핸드(280) 중 어느 하나는 시(hour) 핸드(280)일 수 있고, 복수개의 핸드(280) 중 다른 하나는 분(minute) 핸드(280)일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핸드(280) 중 다른 하나는 초(second) 핸드(280)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케이스(210)에 내장될 수 있는데, 무브먼트(27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무브먼트(270)나 디스플레이모듈(260) 등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프레임(215)은 앞서 또는 후에 설명되는 구성요소들의 구조적 안정을 위해 케이스(210)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215)은 상기 구성요소들의 주위에서 상기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거나 고정하거나 상기 구성요소들과 접촉할 수 있다.
PCB(290)는 케이스(210)에 내장될 수 있다. PCB(290)는 전원공급부(190)로부터 디스플레이모듈(26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디스플레이모듈(260)을 제어할 수 있다. PCB(290)는 터치윈도우(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디스플레이모듈(2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터치윈도우(240)에서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모듈(260)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PCB(290)는 무브먼트(270)를 제어할 수도 있다. PCB(290)는 제어부(180)를 구비할 수 있다.
크라운(295)은 케이스(210)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크라운(295)은 케이스(210) 일측에 구비된 홈에서 회전할 수 있다. 크라운(295)은 기어박스(275)를 통해 무브먼트(270)와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크라운(295)이 회전함에 따라, 핸드(280)는 회전할 수 있다. 즉, 크라운(295)과 무브먼트(270)는 연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모듈(260)은 활성영역(AA:active area), 그리고 비활성영역(DA:de-active area)를 구비할 수 있다. 활성영역(AA)은 화면표시영역일 수 있고, 비활성영역(DA)은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활성영역(AA)은 전체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비활성영역(DA)은 베젤(bezel)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영역의 직경(AH)은 약 32 내지 33 미리미터일 수 있고, 축홀의 직경(DH)은 1.8 미리미터일 수 있다. 비활성영역(DA)은 제1 비활성영역(DA1), 그리고 제2 비활성영역(DA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비활성영역(DA1)은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외곽 또는 테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비활성영역(DA2)은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중앙에 축홀(262)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2 비활성영역(DA2)은 축홀(262)의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비활성영역(DA2)은 축홀(262)의 형성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제2 비활성영역(DA2)의 직경(DAD)은, 예를 들면, 5 미리미터 이내 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모듈(260)은 활성영역(AA), 그리고 비활성영역(DA)을 구비할 수 있다. 비활성영역(DA)은 제1 비활성영역(DA1), 그리고 제2 비활성영역(DA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비활성영역(DA1)은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외곽 또는 테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비활성영역(DA2)은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중앙은 축홀(262)의 둘레(around) 또는 테두리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60)은 활성영역(AA)에 전선(RL,CL)을 포함할 수 있다. 전선(RL,CL)은 TFT(thin film transistor) 라인일 수 있다. 전선(RL,CL)은 로우선(RL), 그리고 칼럼선(CL)을 포함할 수 있다. 로우선(RL)과 칼럼선(CL)은 교차할 수 있다. 이때, 전선(RL,CL)은 제2 비활성영역(DA2)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전선(RL,CL)이 제2 비활성영역(DA2)을 우회하며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전선(RL,CL)은 활성영역(AA) 내에서 스위치 기능을 수행한다. 스위칭은 복수개의 로우선(RL)과 복수개의 칼럼선(CL)이 교차하여 형성하는 매트릭스의 좌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중앙에 축홀(262)이 형성되면, 이러한 매트릭스의 좌표가 전기적으로 축홀(262)의 위치에 형성될 수 없다. 축홀(262)은 물리적으로 빈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확장하면,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중앙에 축홀(262)이 형성되면, 축홀(262)의 주위에 비활성영역(DA2)이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축홀(262)의 주위에 전기적인 매트릭스의 좌표가 형성될 수 없다. 다시 말해, 축홀(262) 또는 제2 비활성영역(DA2)에 TFT가 형성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전선이 축홀(262) 또는 제2 비활성화영역(DA2)을 우회하면서 위치함으로써, 전선(RL,CL)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축홀(262) 또는 제2 비활성영역(DA2)에 의해서 단절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상하좌우로 그 흐름이 유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의 광경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패널(2602)은 LCD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2602)은 패널(2602)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편광층(2601,2603)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2602)은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구비하고,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liquid crystal을 충진하고, 제1 기판의 일면에 칼라필터를 구비하고, 제2 기판의 일면에 TFT를 구비하여, TFT를 스위칭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편광층(2601,2603)은 제1 기판 및/또는 제2 기판의 외면에 접착될 수 있다.
백라이트유닛은 디스플레이패널(2602)의 일측에서 디스플레이패널(2602)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백라이트유닛은 디스플레이패널(2602)의 하방 또는 하면에서 디스플레이패널(2602)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2602)의 하방 또는 하면은 디스플레이패널(2602)이 전자디바이스의 외부에서 관측되는 면의 반대측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유닛은 광원(2610), 도광판(2607), 그리고 광학층(2604,2605,2606)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유닛은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광원(2610)은 백라이트유닛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광원(2610)이 빛을 제공하는 방향은 백라이트유닛이 디스플레이패널(2602)에 빛을 제공하는 방향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백라이트유닛은 디스플레이패널(2602)의 하방에서 디스플레이패널(2602)을 향해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광원(2610)은 백라이트유닛이 빛을 제공하는 방향과 수직이거나 엇갈리게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광원(2610)에서 제공되는 빛의 방향은 백라이트유닛의 내부에서 경로가 변하여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패널(2602)을 향할 수 있다. 이때, 광원(2610)의 빛의 방향은 도광판(2607)에 의해 경로가 변할 수 있다. 광원(2610)은, 예를 들면, LED소자일 수 있다.
FPCB(2611)는 광원(26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FPCB(2611)는 앞서 설명한 전원공급부(190)로부터 광원(26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광원(2610)의 스위칭을 조절할 수 있다. 광원(2610)이 복수개가 구비되는 경우, FPCB(2611)는 복수개의 광원(26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가지(branch)를 가질 수 있다.
도광판(2607)은 백라이트유닛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도광판(2607)은 디스플레이패널(260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광원(2610)은 도광판(2607)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광원(2610)은 도광판(2607)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광원(2610)은 도광판(2607)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패널(2602)의 하방에 백라이트유닛이 위치하는데, 도광판(2607)이 디스플레이패널(2602)의 하방에 위치하고, 도광판(2607)의 측면에 광원(261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도광판(2607)은 광원(2610)에서 제공되는 빛의 경로를 변하게 하여 디스플레이패널(2602)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반사층(2608)은 도광판(2607)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층(2608)은 도광판(2607)의 하면에 인접하여 위치하거나, 도광판(2607)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반사층(2608)은 광원(2610)으로부터 도광판(2607) 내부로 유입되는 빛을 도광판(2607)의 상부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반사층(2608)은 도광판(2607)의 하면을 가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반사층(2608)은 광원(2610)으로부터 도광판(2607) 내부로 유입되는 빛을 도광판(2607)의 상부로 향하는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서 패턴(2608p)을 구비할 수 있다. 패턴(2608p)은 반사층(2608)에 형성될 수 있다. 패턴(2608p)은 도광판(2607)과 반사층(2608) 사이에 형성되어 도광판(2607)에 다른 굴절률을 제공할 수 있다.
광학층(2604,2605,2606)은 도광판(2607)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층(2604,2605,2606)은 도광판(2607)의 상면에 인접하여 위치하거나, 도광판(2607)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광학층(2604,2605,2606)은 도광판(2607)에서 방출되는 빛을 모으거나 분산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2602)에 일정한 빛을 제공할 수 있다. 광학층(2604,2605,2606)은 디퓨져(2606), 그리고 프리즘(2604,2605)을 구비할 수 있다. 디퓨져(2606)는 도광판(2607)의 상면에 인접하여 위치하거나, 상면에 위치하거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디퓨져(2606)는 도광판(2607)에서 방출되는 빛의 분포를 고르게 퍼트릴 수 있다. 디퓨져(2606)는 단수개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프리즘(2604,2605)은 디퓨져(2606)의 상측에 인접하여 위치하거나, 상면에 위치하거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프리즘(2604,2605)은 디퓨져(2606)에서 분산되어 방출되는 빛을 한 방향으로 집적시킬 수 있다. 즉, 프리즘(2604,2605)은 디퓨져(2606)를 통하면서 분산되는 빛을 디스플레이패널(2602)측으로 향하도록 직진성을 부여할 수 있다. 프리즘(2604,2605)은 단수개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빛의 경로를 중심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빛은 광원(2610)에서 시작되어 도광판(2607) 및 반사층(2608)을 통해 방향이 전환될 수 있고, 방향이 전환된 빛은 광학층(2604,2605,2606)을 거쳐 디스플레이패널(2602)에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2612)은 디스플레이모듈(260)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거나 상기 구성요소들과 접하거나 상기 구성요소들을 고정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모듈(260)의 구조적 또는 결합적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다. 프레임(2612)은 단수개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2612,2613,2609)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2614)는 프레임(2612) 및 프레임(2612)에 의해 지지 등이 되는 상기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커버(2614)는 디스플레이모듈(260)의 둘레 또는 전면 또는 후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을 수 있다. 커버(2614)는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외곽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패널(2602)은 슬림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패널(2602)의 슬림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패널(2602)은 우수한 화질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 또는 디스플레이패널(2602)에 일정한 변화가 생긴다면, 디스플레이패널(2602)이 제공할 수 있는 화질은 변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패널(2602) 또는 백라이트유닛에 발생하는 물리적 변화는 디스플레이모듈(260)이 제공하는 화질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1 은 디스플레이모듈의 단면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12 및 13은 디스플레이모듈의 전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모듈(260)은 축홀(262)을 구비한다. 축홀(262)은 디스플레이패널(260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축홀(262)은 백라이트유닛에 형성될 수 있다. 축홀(262)은 디스플레이패널(2602) 및 백라이트유닛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디스플레이패널(2602)에 형성되는 축홀(262)의 아래측에 백라이트유닛에 형성되는 축홀(262)이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2602)의 실링부재(S)가 축홀(262)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축홀(262)이 형성된 백라이트유닛은 축홀(262)에 의해 도광판(2607), 반사층(2608) 및/또는 광학층(2604,2605,2606)이 부분적으로 소실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는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패널(2602) 및/또는 백라이트유닛의 변화를 의미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모듈(260)의 화질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광경로의 관점에서, 광원(2610)에서 제공된 빛은 도광판(2607)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반사층(2608)에 의해 도광판(2607)으로 유입되는 빛은 도광판(2607)의 상부로 반사될 수 있다. 도광판(2607)의 상부로 방출되는 빛은 광학층(2604,2605,2606)에 의해 디스플레이패널(2602) 측으로 향할 수 있다. 이때, 축홀(262)에 의해 광원(2610)에 의해 도광판(2607)으로 유입되는 빛의 일부의 광경로가 변할 수 있다. 즉, 광원(2610)에 의해 도광판(2607)으로 유입되어 디스플레이패널(2602)로 향하는 광경로가 차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모듈(260)에 암부(S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모듈(260)의 화질저하를 가져온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모듈(260)이 축홀(262)을 구비하고,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일측에 광원(2610)이 구비될 수 있다. 광원(2610)에서 제공되는 빛의 경로는 축홀(262)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일부에 암부(SA:shadow are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암부(SA)의 형성은 디스플레이모듈(260)의 화질의 저하를 야기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모듈(260)은 축홀(262)을 구비하고,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양측에 광원(2610)이 구비될 수 있다. 광원(2610)은 축홀(262)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광원(2610)이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양측에 위치할 때, 광원(2610)에서 제공되는 빛의 경로는 축홀(262)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일부에 암부(S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암부(SA)의 형성은 디스플레이모듈(260)의 화질의 저하를 야기한다. 이때, 도 12의 암부(SA)와 도 13의 암부(SA)는 그 양상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모듈(260)에 구비되는 광원(2610)의 위치를 단순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암부(SA)를 개선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원(2610)의 배치의 변경에 따른 암부(SA)의 변화를 쉽게 예측할 수 없다.
도 14 내지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광원배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17은 디스플레이모듈의 전면의 예들을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전면이 12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보다 구제척으로,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전면은 활성영역(AA:active area), 그리고 비활성영역(DA:de-active area)를 구비할 수 있다. 활성영역(AA)은 화면표시영역일 수 있고, 비활성영역(DA)은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활성영역(AA)은 전체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비활성영역(DA)은 외곽이 전체적으로 12각형일 수 있다. 비활성영역(DA)은 베젤(bezel)일 수 있다. 광원(2610)은 비활성영역(DA)에 배치될 수 있다. 비활성영역(DA)은 제1 변 내지 제12 변을 구비할 수 있다. 이들은 12각형에 대응될 수 있다. 제12 변은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전면의 12시 방향일 수 있다. 제1 변은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전면의 1시 방향일 수 있다. 제11 변은 디스플레이모듈(260)의 전면의 11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축홀(262)의 직경(DH)은 약 1 내지 1.8 미리미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모듈(260)의 활성영역(AA)의 직경(AH)은 약 32 내지 33 미리미터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모듈(260)은 복수개의 광원(261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광원은 제2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광원은 제3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3 광원은 제4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4 광원은 제8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5 광원은 제9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6 광원은 제10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광원 내지 제3 광원은 도광판(2607)의 측면에 인접하여 위치하거나, 디스플레이모듈(260)의 둘레 또는 외곽 쪽에 위치하는데,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4 광원 내지 제6 광원은 도광판(2607)의 측면에 인접하여 위치하거나, 디스플레이모듈(260)의 둘레 또는 외곽 쪽에 위치하는데,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4 광원 내지 제6 광원은, 제1 광원 내지 제3 광원과 마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광원 내지 제3 광원은 축홀(262)을 중심으로 제4 광원 내지 제6 광원과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제1 광원 내지 제3 광원은 축홀(262)을 중심으로 하여 약 120도 내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제4 광원 내지 제6 광원은 축홀(262)을 중심으로 하여 약 120도 내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광원 내지 제3 광원은 축홀(262)을 중심으로 하여 약 90도 내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제4 광원 내지 제6 광원은 축홀(262)을 중심으로 하여 약 90도 내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 광원 내지 제3 광원은 제4 광원 내지 제6 광원과 마주할 수 있다. 제1 광원 내지 제3 광원은 제4 광원 내지 제6 광원과 축홀(262)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며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광원의 배치를 통해 암부(SA)가 디스플레이모듈(260)에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복수개의 광원의 배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260)의 화질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모듈(260)은 복수개의 광원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광원은 제2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광원은 제3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3 광원은 제4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4 광원은 제5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5 광원은 제8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6 광원은 제9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7 광원은 제10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8 광원은 제11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광원의 배치를 통해 암부(SA)가 디스플레이모듈(260)에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복수개의 광원의 배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260)의 화질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모듈(260)은 복수개의 광원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광원은 제2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광원은 제3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3 광원은 제4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4 광원은 제5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5 광원은 제6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6 광원은 제8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7 광원은 제9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8 광원은 제10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9 광원은 제11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0 광원은 제12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광원의 배치를 통해 암부(SA)가 디스플레이모듈(260)에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복수개의 광원의 배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260)의 화질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모듈(260)은 복수개의 광원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광원은 제2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광원은 제3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3 광원은 제4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4 광원은 제5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5 광원은 제6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6 광원은 제7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7 광원은 제8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8 광원은 제9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9 광원은 제10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0 광원은 제11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1 광원은 제12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2 광원은 제1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광원의 배치를 통해 암부(SA)가 디스플레이모듈(260)에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복수개의 광원의 배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260)의 화질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FPCB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모듈(260)은 디스플레이패널(2602)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2602)은 LCD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2602)의 후방에 백라이트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백라이트유닛은 후술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2604,2605,2606)은 디스플레이패널(260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층(2604,2605,2606)은 디스플레이패널(2602)의 후면에 인접하여 위치하거나, 디스플레이패널(2602)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층(2604,2605,2606)은 복수개의 레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도광판(2607)은 광학층(2604,2605,2606)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도광판(2607)은 광학층(2604,2605,2606)의 후면에 인접하여 위치하거나, 광학층(2604,2605,2606)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광판(2607)은 광학층(2604,2605,2606)의 일면과 접착될 수 있다. 도광판(2607)은 프레임(26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광판(2607)의 측면에 광원(2610)이 제공될 수 있다. 도광판(2607)의 양측에 광원(2610)이 제공될 수 있다. 도광판(2607)의 양측에 복수개의 광원(2610)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광판(2607)의 일측에 3개의 광원(2610)이 제공되고, 도광판(2607)의 타측에 3개의 광원(2610)이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2612)의 후방에 플레이트(2615)가 제공될 수 있다. FPCB(2611)는 플레이트(2615)와 프레임(2612) 사이에 위치하여 광원(26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FPCB(2611)는 플레이트(2615)와 프레임(26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FPCB(2611)의 일측 또는 양측이 FPCB(2611)로부터 광원(2610)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도광판(2607)의 후방에 프레임(2612)이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2612)은 도광판(2607)의 후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2612)은 도광판(2607)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2612)의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2612)의 후방에 플레이트(2615)가 제공될 수 있다. 플레이트(2615)는 프레임(2612)의 하면에 인접하여 위치하거나 프레임(2612)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레이트(2615)는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2615)는 FPCB홈(2611h)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2612)은 FPCB홈(2611h)을 구비할 수 있다. FPCB홈(2611h)은 프레임(2612) 또는 플레이트(2615)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FPCB홈(2611h)은 프레임(2612) 또는 플레이트(2615)의 외곽에 형성될 수 있다. FPCB홈(2611h)은 프레임(2612)의 일부 또는 플레이트(2615)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다.
FPCB(2611)는 FPCB홈(2611h)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FPCB홈(2611h)에 FPCB(2611)가 대응한다는 것은, FPCB(2611)가 전체적으로 FPCB홈(2611h)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FPCB(2611)의 대략 전체적인 부분은 플레이트(2615)에 형성된 FPCB홈(2611h)에 위치할 수 있고, FPCB(2611)의 대략 나머지 부분은 프레임(2612)에 형성된 FPCB홈(2611h)에 위치할 수 있다. FPCB(2611)는 광원(26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모듈(260)의 두께를 보다 슬림하게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60)의 두께가 슬림해질 수 있다는 것은, 디스플레이모듈(260)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설계 또는 배치가 어려워진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디스플레이모듈(260)의 구성은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20 내지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전자디바이스는 시계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시계 인덱스(300)를 표시할 수 있다. 시(hour) 핸드(280h), 분(minute) 핸드(280m), 또는 초(second) 핸드(280s)가 인덱스(300) 상을 회전하면서 시각(time)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다이얼(31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이얼(310)은 시계 인덱스(300)에 매칭될 수 있다. 다이얼(310)은 아라비아 숫자일 수 있는데, 핸드(280)가 위치하는 곳의 숫자만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0시 8분인 경우, 시 핸드(280h)가 지침하는 인덱스(300)의 다이얼(310)은 10을, 분 핸드(280m)가 지침하는 인덱스(300)의 다이얼(310)은 8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전자디바이스는 시계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월일정보(320), 요일정보(330), 기후정보(340), 또는 오전/오후 정보(350)를 표시할 수 있다. 월일정보(320)는 월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일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월정보 및 일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기후정보(340)는 온도, 습도, 풍속, 예상강우량, 기상특보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오전/오후 정보(350)는 시간에 따라 해 또는 달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러한 정보들의 지침의 용이함을 위해서 디지털 핸드(D)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전자디바이스는 시계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세계시를 표시할 수 있다. 세계시는 해당하는 국가의 지도 가 표시되면서 표시될 수 있고, 세계지도(360) 상에 해당 국가가 표시되면서 표시될 수도 있다.
전자디바이스는 녹음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녹음모드가 활성화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녹음 on/off버튼(37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녹음 버튼(370)을 터치함으로써 녹음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전자디바이스는 원격조정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차량시동버튼(38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차량의 시동을 의도하는 경우, 사용자는 차량시동버튼(380)을 터치하여 원격으로 자신의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차량의 연비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차량과 근거리 통신 등을 통하여 연동할 수 있다.
전자디바이스는 구조요청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구조버튼(39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위험에 처한 경우, 사용자는 구조버튼(390)을 터치하여 원격으로 자신의 위험을 대외적으로 알릴 수 있다. 이때, 위험정보는 지인이나 국가기관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전자디바이스는 운동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사용자의 운동량(311), 심박수(313), 소비에너지(312)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5을 참조하면, 전자디바이스는 음악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선곡된 음악 컨텐츠의 제목(321), 가수, 재생시간, 재생모드(322)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핸드(280)는 재생시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재생시간은 핸드(280)의 이동에 의해 표시될 수 있고,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는 바에 의해 표시될 수 있고, 핸드(280)의 이동 및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는 바에 의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디바이스는 음악모드와 함께 시계모드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시계모드는 다이얼(310)에 해당 시간을 표기하면서 병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디바이스의 음악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10시9분을 나타내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51)는 시핸드(280h)가 위치할 장소에 10을, 분핸드(280m)가 위치할 장소에 9를 표기함으로써 시계모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전자디바이스는 운동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해당운동의 운동시간(333), 운동거리(331), 운동량(334), 소비에너지(332)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시 핸드(280h) 및/또는 분 핸드(280m)는 일체로 위치하여 이들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체의 핸드(280)가 초기 위치에서 일정각도 회전한 만큼 디스플레이부(151)는 회전각도(333)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디바이스는 운동모드와 함께 시계모드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시계모드는 다이얼(310)에 해당 시간을 표기하면서 병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디바이스의 운동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10시9분을 나타내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51)는 시 핸드(280h)가 위치할 장소에 10을, 분 핸드(280m)가 위치할 장소에 9를 표기함으로써 시계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홀이 형성된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축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무브먼트;
    상기 디스플레이모듈과 이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전방에 위치하는 윈도우;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축의 타단에 고정되는 핸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둘레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복수개의 광원, 그리고,
    상기 제1 복수개의 광원과 마주(face)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둘레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복수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전자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개의 광원과 상기 제2 복수개의 광원은,
    상기 홀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전자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액정이 채워진 디스플레이패널,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복수개의 광원은,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인접하여 적어도 3개의 광원이 순차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2 복수개의 광원은,
    상기 제1 복수개의 광원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형성된 홀의 건너편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복수개의 광원과 마주하고,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인접하여 적어도 3개의 광원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전자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개의 광원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형성된 홀을 중심으로 약 120도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복수개의 광원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형성된 홀을 중심으로 약 120도 범위 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복수개의 광원과 마주하는 전자디바이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도광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도광판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고, 외곽 둘레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된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외곽 둘레가 제거된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고, 상기 도광판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서 상기 프레임에 놓여지는 FPC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복수개의 광원은,
    상기 프레임에 놓여진 F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FPCB는,
    상기 플레이트의 외곽 둘레가 제거된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고,
    상기 도광판을 향해 일측이 연장되어 상기 도광판의 일측면에서 상기 프레임에 놓여지고,
    상기 도광판을 향해 타측이 연장되어 상기 도광판의 타측면에서 상기 프레임에 놓여지며,
    상기 연장된 일측과 제1 복수개의 광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장된 타측과 제2 복수개의 광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액정이 채워지는 디스플레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은,
    상기 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전자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화면이 표시되는 활성화영역, 그리고,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화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비활성화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전면의 외곽에 형성되는 제1 비활성화영역,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전면의 중심쪽에 형성되는 제2 비활성화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홀은,
    상기 제2 비활성화영역에 형성되는 전자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제2 비활성화영역의 주위에 TFT(Thin film transistor) 라인을 구비하는 전자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을 마주보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사이에 채워지는 액정층,
    상기 제1 기판에 형성되는 칼라필터, 그리고,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되는 TFT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TFT 라인은,
    상기 홀을 우회하여 형성되는 전자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브먼트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기어박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크라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크라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축이 회전하는 전자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내축, 그리고, 상기 내축을 둘러싸는 외축을 구비하고,
    상기 핸드는,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의 핸드는,
    상기 내축에 고정되는 제1 핸드, 그리고,
    상기 외축에 고정되는 제2 핸드를 포함하는 전자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핸드는 상기 제2 핸드와 길이, 너비,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달리하는 전자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시계 인덱스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크로노그래프, 스몰세컨드, 다이얼, 월일정보, 요일정보, 및 기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전자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전자디바이스와 연동하는 전자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핸드가 회전하면서 그리는 원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중앙에 형성된 전자디바이스.
KR1020150138446A 2015-10-01 2015-10-01 전자디바이스 KR20170039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446A KR20170039388A (ko) 2015-10-01 2015-10-01 전자디바이스
EP15905500.3A EP3358425B1 (en) 2015-10-01 2015-10-13 Electronic device with a shaft and a hand
PCT/KR2015/010777 WO2017057790A1 (ko) 2015-10-01 2015-10-13 전자디바이스
US15/048,476 US9869974B2 (en) 2015-10-01 2016-02-19 Electronic device
US15/860,441 US10671026B2 (en) 2015-10-01 2018-01-02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446A KR20170039388A (ko) 2015-10-01 2015-10-01 전자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388A true KR20170039388A (ko) 2017-04-11

Family

ID=58424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446A KR20170039388A (ko) 2015-10-01 2015-10-01 전자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869974B2 (ko)
EP (1) EP3358425B1 (ko)
KR (1) KR20170039388A (ko)
WO (1) WO20170577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9388A (ko) * 2015-10-01 2017-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디바이스
CN106980256B (zh) * 2016-01-18 2019-07-30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手表及其制造方法
JP6778916B2 (ja) * 2016-11-17 2020-11-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
US10061073B2 (en) * 2017-01-20 2018-08-28 Oculus Vr, Llc Circular backligh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US10642228B1 (en) * 2017-09-15 2020-05-05 Apple Inc. LED-backed housing split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928238B1 (ko) * 2017-09-22 2018-12-11 성상언 조립식 스마트 워치
KR20190081249A (ko) * 2017-12-29 2019-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와치
KR102588809B1 (ko) * 2018-02-21 202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가능한 부재의 유동 제한 구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8447390B (zh) * 2018-02-27 2020-07-03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环形显示模组和显示装置
WO2020214535A1 (en) * 2019-04-17 2020-10-22 Newtonoid Technologies, L.L.C. Watch having an intelligent display system
CN113176727B (zh) * 2021-04-16 2022-07-22 深圳市沃特沃德信息有限公司 智能手表的主板固定架及智能手表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8246A (en) * 1937-08-31 1938-08-30 George K C Hardesty Indicating device
US2454280A (en) * 1945-07-13 1948-11-23 George K C Hardesty Illuminated indicator using light polarizing elements
US3509715A (en) * 1966-02-01 1970-05-05 Gen Time Corp Electronic clocks
US3911665A (en) * 1974-01-14 1975-10-14 Zenith Radio Corp Electronic timepiece having complementary electro-optical and electro-mechanical displays
JPS5320969A (en) * 1976-08-11 1978-02-25 Seiko Epson Corp Liquid crystal watch
US4247928A (en) * 1979-10-17 1981-01-27 Timex Corporation Integral lightpipe and display holder for a timepiece
US4705407A (en) * 1986-11-14 1987-11-10 Andre Brien Portable time piece with light diffuser
JPH01172574A (ja) 1987-12-28 1989-07-07 Hitachi Ltd 光cvd装置
US4970815A (en) * 1988-03-07 1990-11-20 Sunderland Howard F Light display
US5220539A (en) * 1992-04-24 1993-06-15 Mcduffee Samuel E Biblical timepiece having improved display characteristics
GB2301894B (en) * 1995-06-07 1998-03-11 Toyoda Gosei Kk Light-driven display device
US6082867A (en) * 1996-11-29 2000-07-04 Chien; Tseng-Lu Lighting arrangements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electro-luminscent element
CH691333A5 (fr) * 1997-02-19 2001-06-29 Asulab Sa Dispositif d'illumination uniforme du cadran d'un appareil d'affichage.
JP3527624B2 (ja) * 1997-08-29 2004-05-17 リズム時計工業株式会社 時計装置
US6487143B1 (en) * 1999-10-19 2002-11-26 Eta Sa Fabriques D' Ebauches Electroluminescent lighting device for a dial
JP2001272478A (ja) * 2000-03-28 2001-10-05 Rhythm Watch Co Ltd 指針式時計
US6421302B1 (en) * 2000-07-11 2002-07-16 Richard C. Wimberly Digital time indicator
JP2003233337A (ja) * 2001-12-04 2003-08-22 Casio Comput Co Ltd 発光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3295794A (ja) * 2002-03-29 2003-10-15 Casio Comput Co Ltd 装飾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4132772A (ja) * 2002-10-09 2004-04-30 Casio Comput Co Ltd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20060072302A1 (en) * 2004-10-01 2006-04-06 Chien Tseng L Electro-luminescent (EL) illuminated wall plate device with push-tighten frame means
JP4178937B2 (ja) * 2002-12-16 2008-11-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060092770A1 (en) * 2004-10-30 2006-05-04 Demas Theodore J Information displays and methods associated therewith
EP1666933A1 (fr) * 2004-12-02 2006-06-07 Asulab S.A. Dispositif optique a double fonction d'illumination et de formation d'une image figurative
JP2006275941A (ja) * 2005-03-30 2006-10-12 Casio Comput Co Ltd 指針式時計
EP1780615A1 (fr) * 2005-10-28 2007-05-02 Montres Rado S.A. Ensemble d'affichage à effets décoratifs pour un instrument portable, tel qu'une montre
JP2007285748A (ja) * 2006-04-13 2007-11-01 Seiko Epson Corp 腕時計
KR100770830B1 (ko) * 2006-05-10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치 타입 휴대 단말기
JP4670855B2 (ja) * 2007-11-08 2011-04-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時計
US9244439B1 (en) * 2009-04-14 2016-01-26 Charles Allison Color changing wrist watch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JP2013501210A (ja) * 2009-06-18 2013-01-10 ウーテーアー・エス・アー・マニファクチュール・オロロジェール・スイス 特殊な美的効果を有する時計
EP2290478A1 (fr) * 2009-09-01 2011-03-02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Elément d'habillage pour une montre-bracelet
US9152130B2 (en) * 2011-01-19 2015-10-06 Ph Technical Labs, Llc Mobile communication watch utilizing projected directional sound
CH706065A1 (fr) * 2012-01-23 2013-07-31 Daniel Spadini Montre comportant un affichage analogique et un affichage numérique.
KR20150029452A (ko) * 2013-09-10 2015-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TWI639868B (zh) * 2013-12-26 2018-11-0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光源模組及顯示裝置
US20150241852A1 (en) * 2014-02-27 2015-08-27 Sun Jong YANG Mechanical/quartz movement smart watch hybrid
FR3020881A1 (fr) * 2014-05-07 2015-11-13 Pole Europ De Plasturgie Montre a ouverture centrale
US9547208B2 (en) * 2015-04-27 2017-01-17 Sony Corporation Divided backlight configuration of a display
US20160327915A1 (en) * 2015-05-08 2016-11-10 Garmin Switzerland Gmbh Smart watch
KR102386706B1 (ko) * 2015-06-11 2022-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시계
KR102415651B1 (ko) * 2015-07-01 2022-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20170010407A1 (en) * 2015-07-09 2017-01-12 Apple Inc. Displays With Multimode Backlight Units
KR20170039388A (ko) * 2015-10-01 2017-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7790A1 (ko) 2017-04-06
US10671026B2 (en) 2020-06-02
EP3358425B1 (en) 2020-05-06
US20180150032A1 (en) 2018-05-31
US9869974B2 (en) 2018-01-16
EP3358425A1 (en) 2018-08-08
EP3358425A4 (en) 2019-05-08
US20170097614A1 (en)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1026B2 (en) Electronic device
US10628014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846507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09532B1 (ko) 전자 디바이스
EP309627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28120A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10284763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and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8005180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86229A (ko) 전자디바이스
KR2017007645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20066602A1 (en)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notification user interface (ui)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105821A (ko) 와치타입 단말기
KR20170008996A (ko) 전자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7368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60095887A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02848A (ko) 전자 디바이스
KR20170008567A (ko) 전자 디바이스
KR101848870B1 (ko) 전자 디바이스
KR101582426B1 (ko) 와치 타입의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2443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18901B1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68816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54077A (ko) 전자디바이스
KR2016005937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37293A (ko)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