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532B1 -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532B1
KR101909532B1 KR1020150184215A KR20150184215A KR101909532B1 KR 101909532 B1 KR101909532 B1 KR 101909532B1 KR 1020150184215 A KR1020150184215 A KR 1020150184215A KR 20150184215 A KR20150184215 A KR 20150184215A KR 101909532 B1 KR101909532 B1 KR 101909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pin
antenna pattern
strap
antenna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664A (ko
Inventor
박윤상
유한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4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532B1/ko
Priority to PCT/KR2016/014656 priority patent/WO2017111385A1/en
Priority to EP16879252.1A priority patent/EP3394683A4/en
Priority to US15/383,860 priority patent/US10476139B2/en
Publication of KR2017007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60/00Constructional details
    • G04R60/04Antenna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watch bracele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60/00Constructional details
    • G04R60/06Antenna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clock or watch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01Q1/525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between e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orientation by switching energy from one active radiating element to another, e.g. for beam 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14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 H01Q5/321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within a radiating element or between connected radi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01Q5/35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using a single feed point
    • H01Q5/364Creating multiple current paths
    • H01Q5/371Branching current pa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14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in a stacked or folded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8Conical, cylindrical, cage, strip, gauze, or like elements having an extended radiating surface; Elements comprising two conical surfaces having collinear axes and adjacent apices and fed by two-conductor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Abstract

전자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는, 본체부와 스트랩(strap)을 포함하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본체부의 외부면 또는 외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스트랩을 본체부에 연결하는 스트랩핀이 안테나에 포함되며, 전자 디바이스에서 요구되는 전파의 주파수 영역에 따라 안테나의 길이가 조절되는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본체부 측에 본체 안테나가 위치하여 밴드부를 교체하여도 통신의 송수신이 가능한 와치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는 웨어러블(wearable)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글래스 타입(glass type), 와치 타입(watch type)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웨어러블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의 경우, 디자인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면서도 한정된 공간에 필요한 전자 소자를 배치하여야 하므로, 최적화된 설계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본체부 측에 본체 안테나가 위치하여 밴드부를 교체하여도 통신의 송수신이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안테나패턴; 상기 본체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안테나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스트랩핀연결부; 상기 본체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스트랩핀연결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스트랩핀연결부; 그리고 상기 제1 스트랩핀연결부와 상기 제2 스트랩핀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본체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스트랩핀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스트랩핀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패턴, 제1 스트랩핀연결부, 그리고 제1 스트랩핀은, 제1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를 형성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와 이격되되 대향하여 형성된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연결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 하면부, 그리고 측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2 스트랩핀연결부는 상기 측면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패턴은 상기 제1, 2 스트랩핀연결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패턴은,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안테나패턴부; 및 상기 제1 안테나패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안테나패턴부와 상기 제1 스트랩핀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안테나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와 이격되되 대향하여 형성된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연결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 하면부, 그리고 측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안테나패턴은,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안테나패턴부는, 상기 제2 안테나패턴부의 상부에 위치하거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 안테나패턴부는, 상기 제1 스트랩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본체부에 수용되되,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안테나패턴을 연결하며, 상기 안테나패턴에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패턴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턴연결부는, 상기 안테나패턴에 연결되며, 상기 안테나패턴에 접속되는 제1 안테나피더접속부를 구비하는 제1 안테나피더; 및 상기 안테나패턴에 연결되며, 상기 안테나패턴에 접속되는 제2 안테나피더접속부를 구비하는 제2 안테나피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피더와 제2 안테나피더는, 상기 안테나패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테나피더접속부와 제2 안테나피더접속부는, 상기 제1 스트립핀에 나란하게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본체부에서 돌출된 제3 스트랩연결부; 상기 본체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3 스트랩핀연결부에 이격되어 배치된 제4 스트랩핀연결부; 상기 제3 스트랩핀연결부와 상기 제4 스트랩핀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본체부에서 이격되며 상기 제3 스트랩핀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스트랩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트랩연결부와 상기 제2 스트랩핀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송수신하는 제2 안테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스트랩핀연결부와 상기 제3 스트랩핀연결부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하는 연장안테나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트랩핀은 상기 제2 스트랩핀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안테나패턴은, 상기 제2 스트랩핀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연장안테나패턴; 상기 제3 스트랩핀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연장안테나패턴; 및 상기 제1 연장안테나패턴과 상기 제2 연장안테나패턴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하는 패턴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자기파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패턴스위치를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패턴, 상기 제1 스트랩핀연결부, 상기 제1 스트랩핀, 상기 제2 스트랩핀연결부, 상기 연장안테나패턴, 상기 제3 스트랩핀연결부, 그리고 상기 제2 스트랩핀은, 상기 패턴스위치가 상기 제1 연장안테나패턴과 상기 제2 연장안테나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제3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송수신하는 제3 안테나를 형성하고,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트랩핀은 상기 제4 스트랩핀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 스트랩핀연결부는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스트랩핀과 상기 제2 스트랩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스트랩핀에 연결된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은, 상기 제1 스트랩핀과 상기 제1, 2 스트랩핀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트랩안테나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스트랩안테나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체부 측에 안테나가 위치하기 때문에 밴드부를 교체하여도 통신의 송수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의 밴드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패턴과 스트랩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PCB, 패턴연결부, 그리고 안테나패턴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17은 여러 실시예에 따른 패턴연결부, 안테나패턴, 그리고 스트랩핀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및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안테나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스위치의 작동방법에 관한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 및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2 안테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2 안테나의 연결에 관한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핀안테나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트랩에 안테나패턴이 형성된 안테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트랩핀연결부에 형성된 절연가이드홀과 전도가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트랩핀연결부에 형성된 안테나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서트사출로 형성된 스트랩핀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전자 디바이스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전자 디바이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 사이, 또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전자 디바이스 내 정보, 전자 디바이스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 디바이스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전자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전자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 디바이스(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전자 디바이스(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전자 디바이스(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IC를 포함하며, 대표적인 IC로 AP(applicaiont processor)부를 들 수 있다. AP부는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연산 및 제어를 담당하고 있으며, 각 부품의 제어를 위해 AP부 의외에 복수개의 IC를 포함할 수 있다. IC는 기판 위에 실장되어 기판상에 구현된 회로를 통해 신호를 주고 받으며 각 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 사이, 또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전자 디바이스(100) 주변에,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전자 디바이스(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 디바이스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디바이스(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전자 디바이스 내 정보, 전자 디바이스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전자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전자 디바이스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전자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전자 디바이스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 디바이스(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전자 디바이스(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전자 디바이스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전자 디바이스(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전자 디바이스(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치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의 한 종류로서 사용자의 손목에 권취하여 착용하는 이동 단말기이다. 와치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술한 구성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와치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100)의 형상과 관련한 특징에 대해서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는 길이방향으로 곡면을 포함하거나 플렉서블한 재질을 포함하는 밴드부(130)를 포함하며, 힌지핀(139)을 이용하여 본체부(101)와 탈부착될 수 있다.
밴드부(130)는 강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된 경우 곡면 형태로 형성하거나,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의 손목에 감겨 착용이 가능하다. 밴드부(130)의 내부에는 전자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전장부가 제공되며, 상기 전장부에 밴드기판(185),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광출력부(254) 및 안테나(미도시) 등이 실장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의 밴드기판(185)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밴드기판(185)은 휘어지는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단한 소재의 기판이 복수개의 조각으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플렉서블 기판이 개재될 수도 있고, 밴드기판(185) 전체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밴드기판(185)은 밴드부(130)에 실장된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광출력부(254) 및 무선통신부(110) 등을 제어하는 IC(183)가 실장되고, IC(183)는 본체부(101)와 연결된 경우 본체부(101)도 제어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광출력부(254) 및 안테나(117) 등은 밴드기판(185)과 별도로 밴드부(130)에 실장될 수도 있으나,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기판(185) 상에 실장될 수도 있다.
밴드부(130)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하는 밴드기판(18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될 수도 있고, 양 단이 연결되어 하나의 밴드기판(185)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분리되어 있더라도, 밴드부(130)의 단부가 본체부(101)와 연결되거나, 밴드부(130)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분리된 밴드기판(185)은 연결될 수 있다.
일측의 밴드기판(185)에는 음향 출력부(152)와 광출력부(254) 및 IC(183)가 위치하고, 외장 배터리(191)와 연결하기 위한 단자가 위치할 수 있다. 타측의 밴드기판(185)에는 마이크(122), 안테나(117), IC(183) 및 내장 배터리(193)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배치는 변경 가능하며, 상기 구성 이외에 더 많은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밴드부(130) 단부에 밴드부(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릿(132)이 위치하며, 본 실시예에서 슬릿(132)은 밴드부(130)의 양 단부에 하나씩 형성되며 슬릿(132)에 의해 밴드부(130)의 양 단부는 2개의 분할단부(133)로 구획된다. 상기 슬릿(132)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분할단부(133)의 개수도 증가한다.
밴드부(130)가 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분할단부(133)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할단부(133)는 밴드부(130)의 두께방향으로 상하로 휘어질 수 있으며, 슬릿(132)에 의해 구획된 분할단부(133)는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밴드부(130)의 단부, 즉 분할단부(133)의 측면에서 너비방향으로 연장된 체결홀(134)을 더 포함한다. 본체부(101)와 체결을 위해 힌지핀(139)이 상기 체결홀(134)에 체결된다. 본체부(101)는 상기 힌지핀(139)이 관통하는 힌지홀(101b)을 포함한다.
밴드부(130)를 관통하는 힌지핀(139)은 도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홀(134)과 힌지홀(101b)의 내측에 위치하는 접속링(188)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속링(188)은 밴드부(130)의 체결홀(134) 내측에 구비된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링 형태의 부재로 상기 접속링(188)의 단부는 밴드부(130)에 실장된 밴드기판(185)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101)는 전면에 시간 눈금과 시간을 가리키는 시침 초침등을 포함하는 시계 문자판(102)이 위치하고, 상기 밴드부(130)와 상기 힌지핀(139)을 통해 결합되는 밴드 체결부(101a)를 양측에 포함한다. 밴드 체결부(101a)는 밴드부(130)의 너비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밴드부(130) 체결돌기와 상기 밴드부(130) 체결돌기에 형성된 힌지홀(101b)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홀(101b)에 힌지핀(139)이 삽입되어 본체부(101)와 밴드부(130)가 체결된다.
본체부(101)는 통상의 손목시계 기능만 하는 시계본체일 수 있다. 통상의 시계도 시계의 줄을 교체할 수 있도록 밴드 체결부(101a)를 구비하며, 상기 밴드 체결부(101a)의 힌지홀(101b)에 힌지핀(139)을 이용하여 밴드부(130)를 교체할 수 있는 바, 통상의 본체부(101)에도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를 체결할 수 있다.
별도의 전자부품가 실장되지 않은 본체부(101)의 경우라도 시계 문자판(102)의 구동을 위해 배터리(192)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92)는 시계 문자판(102)의 구동에만 이용할 수 있고, 밴드부(130)에 구비된 전자 부품의 구동 및 디스플레이부(151)가 추가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동은 밴드부(130) 자체에 구비된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부품이 실장된 본체부(101)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1)는 디스플레이부(151), 제어를 위한 회로부(184)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 배터리(192)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에 구비되지 않은 카메라(121)와 같은 구성이 본체부(101)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통상의 시계로 이용할 때에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할 때에만 불투명/반투명하게 변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터치센서(125)를 더 구비하여 입력 및 출력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01) 자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된 경우 상기 전자 부품들 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힌지홀(101b) 내측에도 접속링(188)이 구비되어 상기 접속링(188)을 통해 본체부(101) 내부의 회로부(184)와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101)와 밴드부(130)가 연결됨으로써 기능이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01)에는 디스플레이 기능만 구비된 경우 밴드부(130)를 연결하면 밴드부(130)에 구비된 안테나(117)를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이나, 근거리 통신을 통해 통화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밴드부(130)에 구비된 음향출력모듈(152)를 통해 음향정보도 함께 출력가능하다.
밴드부(130)의 단부를 통해 본체부(101)와 연결하는 것 이외에 힌지핀(139)을 통해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컴퓨터와 같은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 중, 전자 디바이스에 구비된 NFC 모듈은 10cm 안팎의 거리에서 단말 간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NFC 모듈은 카드 모드, 리더 모드 및 P2P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NFC 모듈이 카드 모드로 운용되기 위해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보안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안 모듈이란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예컨대,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SIM(Universal SIM)), Secure micro SD 및 스티커 등 물리적 매체일 수도 있고, 전자 디바이스에 임베디드되어 있는 논리적 매체(예컨대, embeded SE(Secure element))일 수도 있다. NFC 모듈과 보안 모듈 사이에는 SWP(Single Wire Protocol)에 기반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NFC 모듈이 카드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전통적인 IC 카드처럼 저장하고 있는 카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용카드 또는 버스 카드 등 결제용 카드의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요금 결제기에 근접시키면, 모바일 근거리 결제가 처리될 수 있고, 출입용 카드의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출입 승인기에 근접 시키면, 출입의 승인 절차가 시작될 수 있다. 신용카드, 교통카드 및 출입카드 등의 카드는 애플릿(applet) 형태로 보안 모듈에 탑재되고, 보안 모듈은 탑재된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용 카드의 카드 정보는 카드 번호, 잔액, 사용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출입용 카드의 카드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번호(예컨대, 사용자의 학번 또는 사번), 출입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NFC 모듈이 리더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외부의 태그(Tag)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가 태그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는 NFC 포럼에서 정하는 데이터 교환 포맷(NFC Data Exchange Format)으로 코딩될 수 있다. 아울러, NFC 포럼에서는 4개의 레코드 타입을 규정한다. 구체적으로, NFC 포럼에서는 스마트 포스터(Smart Poster), 텍스트(Text),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및 일반 제어(General Control) 등 4개의 RTD(Record Type Definition)를 규정한다.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스마트 포스터 타입인 경우, 제어부는 브라우저(예컨대, 인터넷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텍스트 타입인 경우, 제어부는 텍스트 뷰어를 실행할 수 있다.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URI 타입인 경우, 제어부는 브라우저를 실행하거나 전화를 걸고,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일반 제어 타입인 경우, 제어 내용에 따라 적절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NFC 모듈이 P2P(Peer-to-Peer)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P2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P2P 통신에는 LLCP(Logical Link Control Protocol) 가 적용될 수 있다. P2P 통신을 위해 전자 디바이스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는 커넥션(connection)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커넥션은 1개의 패킷을 교환하고 종료되는 비접속형 모드(connectionless mode)와 연속적으로 패킷을 교환하는 접속형 지향 모드(connection-oriented mode)로 구분될 수 있다. P2P 통신을 통해, 전자적 형태의 명함, 연락처 정보, 디지털 사진, URL 등의 데이터 및 블루투스, Wi-Fi 연결을 위한 셋업 파라미터 등이 교환될 수 있다. 다만, NFC 통신의 가용 거리는 짧으므로, P2P 모드는 크기가 작은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는 안테나와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서, X축은 가로방향, Y축은 세로방향, 그리고 Z축은 높이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본체부(200), 안테나패턴(300), 스트랩핀연결부(400), 스트랩핀(500), 그리고 스트랩(7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00)는 PCB(240, 도 8)를 포함할 수 있으며, PCB(240)에 무선 통신부(110, 도 1)와 제어부(180)가 실장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부(110)는, 안테나(600)에 제공되는 전기신호를 생성하거나 안테나(60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신호를 수신하는 모듈(module)을 의미할 수 있다.
스트랩(700)은 본체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랩(700)은, 본체부(200)가 사용자의 손목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스트랩핀(500)은, 본체부(200)와 스트랩(700)을 연결할 수 있다. 스트랩핀 (500)은 본체부(200)와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스트랩핀(500)은 적어도 일부가 전도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랩핀(500)의 일부가 전도성의 금속으로 구성되거나 전체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스트랩핀(500)은 사출로 형성되되 내부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으로 도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핀(500)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랩핀(500)은, 제1 스트랩핀(510)과 제2 스트랩핀(52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스트랩핀연결부(400)는, 본체부(200)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핀연결부(400)는 적어도 일부가 전도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랩핀연결부(400)의 일부가 금속으로 구성되거나 전체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스트랩핀연결부(400)는 사출로 형성되되 내부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트랩핀연결부(400)는 스트랩핀(500)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트랩핀연결부(400)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짝(pair)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와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는 제1 스트랩핀(510)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스트랩핀연결부(430)와 제4 스트랩핀연결부(440)는 제2 스트랩핀(520)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은 본체부(200)의 외부면(outer surface)의 절연성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200)의 외부면은, 상면부, 하면부 및 측면부의 외부면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은 전기를 전도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부(110, 도1)에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은 스트랩핀연결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부(110, 도1), 안테나패턴(300), 스트랩핀연결부(400), 그리고 스트랩핀(500)은 순서대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600)는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600)는 안테나패턴(300), 스트랩핀연결부(400), 그리고 스트랩핀(50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 도1)는 전기적 신호를 안테나패턴(300)에 가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 스트랩핀연결부(400), 그리고 스트랩핀(500)은 무선 통신부(110, 도1)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전자기파를 방사할 수 있다. 이 과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전파를 송신(transmitting)하는 과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전파를 수신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스트랩핀(500), 스트랩핀연결부(400), 그리고 안테나패턴(300) 중 적어도 하나가 전자기파에 반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는 무선 통신부(110, 도1)에 전달될 수 있다.
안테나(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700)에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600)가 스트랩(700)에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은, 안테나(600)가 스트랩(700)에 연동되어 형성되는 구성에 비하여, 스트랩(700)의 교체가 안테나의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랩(700)에 안테나의 구성이 위치하거나 실장되는 경우 스트랩(700)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나, 안테나(600)가 스트랩(700)에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스트랩(700)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체부(200)의 배면(bottom face)인 하면부(230)가 나타나도록 도시되어 있다.
스트랩핀연결부(400)는,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와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스트랩핀연결부(420)와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는 스트랩핀(50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트랩핀연결부(420)와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 중 적어도 하나는 안테나패턴(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트랩핀(500)은, 제1 스트랩핀연결부(420)와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에 의해 본체부(200)와 물리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스트랩핀(500)은, 본체부(200)와 물리적으로 이격됨으로써, 본체부(200)와 직접적으로 전기적 연결 관계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스트랩핀(500)은 스트랩핀연결부(400)를 통해 본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랩핀(500)은,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와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은 본체부(2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패턴(300)은 본체부(200)의 측면에 도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200)의 측면부(230)는 적어도 일부가 절연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안테나패턴(300)은 본체부(200)의 측면에 금속 플레이트(metallic plate)로 제공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가 본체부(200)의 외부면(outer surface)에 접하여 안테나패턴(300)이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0) 외부면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200) 외부면의 측면 뿐만 아니라 본체부(200) 외부면의 상면부와 하면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면부와 하면부는, Z축을 따라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패턴과 스트랩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패턴연결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 형성된 안테나(antenna)는 모노폴 안테나(monopole antenna)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200)는, 상면부(210)와 측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부(210)는 하면부(220, 도 6)와 이격되되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면부(21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구비할 수 있다. 측면부(230)는 상면부(210)와 하면부(220, 도 6)를 연결할 수 있다. 상면부(210), 하면부(220, 도 6), 그리고 측면부(230)는, 본체부(200)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패턴연결부(270)와 스트랩핀연결부(400)가 안테나패턴(300)에 각각 연결된 모습을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해 측면부(230)의 일부가 생략되어 도시된다.
패턴연결부(270)는, 본체부(200)에 실장되되 무선 통신부(110, 도1)와 안테나패턴(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패턴연결부(270)는, 제1 안테나피더(271)와 제2 안테나피더(2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피더(271)는, 안테나패턴(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안테나패턴(300)에 전기신호를 송신하거나 안테나패턴(300)으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안테나피더(271)는, 안테나패턴(300)에 접속되는 제1 안테나피더접속부(27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안테나피더(275)는, 안테나패턴(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안테나패턴(300)에 전기신호를 송신하거나 안테나패턴(300)으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안테나피더(275)는, 제1 안테나피더(271)에 대하여 기준이 되는 전위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안테나피더(275)는 접지될 수 있다. 제2 안테나피더(275)는, 안테나패턴(300)에 접속되는 제2 안테나피더접속부(276)를 구비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은, 제1 안테나패턴부(310)와 제2 안테나패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은 본체부(200)의 측면부(230) 중 절연성 영역(전기적으로 절연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패턴(300)은, 측면부(230)에 도금처리하여 형성되거나, 측면부(230)에 전도성의 스트립(strip)을 붙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패턴(300)이 위치하는 측면부(230)는 전기적으로 절연됨이 바람직하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패턴연결부(2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무선 통신부(110, 도1)는 패턴연결부(2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무선 통신부(110, 도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분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스트립핀(500)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상면부(210)와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제1 안테나패턴부(310)와 이격되되 일단이 제1 안테나패턴부(3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의 타단은 스트립연결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안테나패턴부(320)의 일단은 제1 스트립연결부(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분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스트립핀(500)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제1 안테나패턴부(310)와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제1 안테나패턴부(310)와 Z축상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Z축상의 위치를 높이라 하면,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제1 안테나패턴부(310)에 비하여 낮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면부(210)는 실질적으로 X-Y평면(X축과 Y축이 형성하는 평면)과 평행할 수 있으므로, 제2 안테나패턴부(320)와 상면부(210)와의 거리는 제1 안테나패턴부(310)와 상면부(210)와의 거리에 비하여 짧을 수 있다. 하면부(220, 도 6)는 상면부(210)와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으므로, 하면부(220)는 X-Y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되 상면부(210)에 비하여 낮을 수 있다. 즉 제2 안테나패턴부(320)와 하면부(220)와의 거리는, 제1 안테나패턴부(310)와 하면부(220)와의 거리에 비하여 길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제2 안테나패턴부(320)에 비하여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하면부(230, 도 6)와의 거리가 짧을 수 있고, 이 때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제1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7에서,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제2 안테나패턴부(320)에 비하여 하부면(230, 도 6)과의 거리가 짧으므로 제1 위치에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가 제2 안테나패턴부(320)에 비하여 하부면(230, 도 6)과의 거리가 긴 경우,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제2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안테나패턴부(310)와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서로 이격되되 높이방향(Z축)을 따라 적층(積層, stratified)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가 하면부(230, 도 6)를 기준으로 제2 안테나패턴부(320)에 비하여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제1 위치에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가 하면부(230, 도 6)를 기준으로 제2 안테나패턴부(320)에 비하여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제2 위치에 있다.
제1 안테나피더접속부(272)와 제2 안테나피더접속부(276)는, 제1 안테나패턴(3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안테나피더접속부(272)와 제2 안테나피더접속부(276)를 잇는 선분은, 상면부(210), 하면부(220), 제1 안테나패턴부(310), 제2 안테나패턴부(320), 그리고 스트랩핀(500) 중 적어도 하나와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피더접속부(272)와 제2 안테나피더접속부(276)를 잇는 선분은, 스트랩핀(500)과 평행할 수 있다.
도 7에서 전기신호와 전파의 관계를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 도 1)에서 전달하는 전기신호는 패턴연결부(270)를 통해 제1 안테나패턴부(310)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에 전달된 전기신호는 제2 안테나패턴부(320)와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를 통해 스트립핀(500)에 전달된다. 전기신호를 전달받은 안테나패턴(300),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 그리고 스트랩핀(500) 중 적어도 하나는 전파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신호를 전달받은 제1 안테나패턴부(310), 제2 안테나패턴부(320) 및 스트랩핀(500)은 전파를 송신할 수 있다.
전파를 수신하는 과정은, 전파를 송신하는 과정과 순서가 뒤바뀌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패턴부(310), 제2 안테나패턴부(320), 그리고 스트랩핀(500) 중 적어도 하나는 전파와 반응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전기신호는 패턴연결부(270)를 통해 무선 통신부(110, 도 1)에 전달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PCB, 패턴연결부, 그리고 안테나패턴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체부(200)는 PCB(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 도 1)와 무선 통신부(110, 도 1)는 PCB(240)에 실장될 수 있다. PCB(240)는 본체부(2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패턴연결부(270)는 PCB(2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안테나피더(271)와 제2 안테나피더(275)는 압입핀(press-fit pin) 방식으로 형성되어 PCB(240)에 연결될 수 있다. PCB(240)에는 압입핀에 대응되는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은, 패턴연결부(270)와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는, 패턴연결부(270)와 스트랩핀(5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부(110, 도 1)에서 발생된 전기신호는, 패턴연결부(270), 안테나패턴(300)을 거쳐 스트랩핀(500)까지 도달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 및 스트랩핀(500)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신호를 전파로 변환할 수 있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연결부, 안테나패턴, 그리고 스트랩핀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b)는, 도 9의 (a)에 나타난 전기적 연결을 도식화한 것이다.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와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핀(500)의 양단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는, 스트랩핀(500)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와 제1 안테나패턴부(31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적어도 일부가 선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스트랩핀(500)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패턴연결부(270)와 제2 안테나패턴부(32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적어도 일부가 선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스트랩핀(500)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제1 안테나피더접속부(272)와 제2 안테나피더접속부(276)를 잇는 선분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테나패턴부(310), 제2 안테나패턴부(320), 및 스트랩핀(500) 중 적어도 하나와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연결부, 안테나패턴, 그리고 스트랩핀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b)는, 도 10의 (a) 에 나타난 전기적 연결을 도식화한 것이다.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와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핀(500)의 양단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는, 스트랩핀(500)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와 제1 안테나패턴부(31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적어도 일부가 선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스트랩핀(500)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패턴연결부(270)와 제2 안테나패턴부(32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적어도 일부가 선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스트랩핀(500)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제1 안테나피더접속부(272)와 제2 안테나피더접속부(276)를 잇는 선분은,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테나패턴부(310), 제2 안테나패턴부(320), 및 스트랩핀(500) 중 적어도 하나와 실질적으로 수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피더접속부(272)와 제2 안테나피더접속부(276)를 잇는 선분은, 스트랩핀(500)과 수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안테나피더접속부(272)와 제2 안테나피더접속부(276)를 잇는 선분이 스트랩핀(500)과 수직함으로써, 패턴연결부(270)가 본체부(200, 도 8) 내부에 위치하는 형상이 도 8에 도시된 형상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200, 도 8)의 내부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할 여지가 있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연결부, 안테나패턴, 그리고 스트랩핀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b)는, 도 11의 (a)에 나타난 전기적 연결을 도식화한 것이다.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와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핀(500)의 양단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는, 스트랩핀(500)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은,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패턴연결부(270)와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은, 적어도 일부가 선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은, 스트랩핀(500)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제1 안테나피더접속부(272)와 제2 안테나피더접속부(276)를 잇는 선분은,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패턴(300) 및 스트랩핀(500) 중 적어도 하나와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연결부, 안테나패턴, 그리고 스트랩핀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의 (b)는, 도 12의 (a)에 나타난 전기적 연결을 도식화한 것이다.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와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핀(500)의 양단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는, 스트랩핀(500)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은,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패턴연결부(270)와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은, 적어도 일부가 선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은, 스트랩핀(500)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제1 안테나피더접속부(272)와 제2 안테나피더접속부(276)를 잇는 선분은,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패턴(300) 및 스트랩핀(500) 중 적어도 하나와 실질적으로 수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피더접속부(272)와 제2 안테나피더접속부(276)를 잇는 선분은, 안테나패턴(300)과 수직할 수 있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연결부, 안테나패턴, 그리고 스트랩핀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의 (b)는, 도 13의 (a)에 나타난 전기적 연결을 도식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 형성된 안테나(antenna)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안테나(loop antenna)로 구성될 수 있다.
스트랩핀(500)은, 양단에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 및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는, 스트랩핀(500)과 제1 안테나패턴부(31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는, 스트랩핀(500)과 제2 안테나패턴부(3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양단에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 및 제1 안테나피더(27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의 적어도 일부는, 스트랩핀(500)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분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양단에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 및 제2 안테나피더(275)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의 적어도 일부는, 스트랩핀(500)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분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제1 안테나패턴부(310)와 이격될 수 있다.
제1 안테나피더접속부(272)와 제2 안테나피더접속부(276)를 연결하는 선분은,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핀(500)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전기신호의 전달을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 도 1)에서 발생된 전기신호는 제1 안테나피더(271)와 제2 안테나피더(275)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안테나피더(271)에 전달된 전기신호는, 제1 안테나패턴부(310)와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를 거쳐 스트랩핀(5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2 안테나피더(275)에 전달된 전기신호는, 제2 안테나패턴부(320)와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를 거쳐 스트랩핀(50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테나피더(271), 제1 안테나패턴부(310),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 스트랩핀(500),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 제2 안테나패턴부(320), 그리고 제2 안테나피더(275)는, 열거된 순서대로 또는 역순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연결부, 안테나패턴, 그리고 스트랩핀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b)는, 도 14의 (a)에 나타난 전기적 연결을 도식화한 것이다.
패턴연결부(270)는 제1 안테나피더(2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피더(271)는 제1 안테나패턴부(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안테나피더(271)는 제1 안테나패턴부(310)에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안테나피더(271)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에 대한 기준 전위는, PCB(240, 도 8)의 내부에서 설정될 수 있다. 즉 본체부(200, 도 7)의 내부에 접지(earth)가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에 접하는 패턴연결부(270)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구조적 안정화를 기대할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양단에 제1 안테나피더(271)와 제2 안테나패턴부(3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양단에 제1 안테나패턴부(310)와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는, 제2 안테나패턴부(320)와 스트랩핀(50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테나피더(271), 제1 안테나패턴부(310), 제2 안테나패턴부(320),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 그리고 스트랩핀(500)을 따라 전기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 제2 안테나패턴부,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 및 스트랩핀(500) 중 적어도 하나는, 제공받은 전기신호를 전파로 변환하여 송신할 수 있다. 전파의 수신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제1 안테나패턴부(310), 제2 안테나패턴부,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 및 스트랩핀(500) 중 적어도 하나는, 전파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전기신호를 무선 통신부(110, 도 1)에 송신할 수 있다.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연결부, 안테나패턴, 그리고 스트랩핀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의 (b)는, 도 15의 (a)에 나타난 전기적 연결을 도식화한 것이다.
안테나패턴(300)은, 하면부(220)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측면부(230)의 면적이 작게 디자인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패턴(300)이 측면부(230)에 형성되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이 하면부(220)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은, 제1 안테나패턴부(310)와 제2 안테나패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의 일단에 패턴연결부(270)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제1 안테나패턴부(310)와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를 연결할 수 있다.
패턴연결부(270)는, 제1 안테나피더(271)와 제2 안테나피더(2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피더접속부(272)와 제2 안테나피더접속부(276)는, 제1 안테나패턴부(3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안테나피더접속부(272)와 제2 안테나피더접속부(276)를 연결한 선분은, 제1 안테나패턴부(310), 제2 안테나패턴부(320), 그리고 스트랩핀(500) 중 적어도 하나와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연결부(270), 제1 안테나패턴부(310), 제2 안테나패턴부(320),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 그리고 스트랩핀(500)은, 열거된 순서대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연결부, 안테나패턴, 그리고 스트랩핀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의 (b)는, 도 16의 (a)에 나타난 전기적 연결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 형성되는 안테나(600)는, 안테나패턴(300), 스트랩핀연결부(400), 그리고 스트랩핀(500)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6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안테나(loop antenna)로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은, 하면부(220)에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은 제1 안테나패턴부(310)와 제2 안테나패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제1 안테나피더(271)와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제2 안테나피더(275)와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를 연결할 수 있다.
스트랩핀(500)은,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와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안테나피더(271), 제1 안테나패턴부(310),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 스트랩핀(500),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 제2 안테나패턴부(320), 그리고 제2 안테나피더(275)는,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거된 순서대로 또는 역순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안테나피더접속부(272)와 제2 안테나피더접속부(276)는, 이격될 수 있다.
도 1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연결부, 안테나패턴, 그리고 스트랩핀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의 (b)는, 도 17의 (a)에 나타난 전기적 연결을 도식화한 것이다.
안테나패턴(300)은, 제1 안테나패턴부(310)와 제2 안테나패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23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21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안테나패턴부(310)와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형성되는 영역이 다를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와 제2 안테나패턴부(320)가 제공되므로, 안테나(600)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가 상면부(210)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방사되는 전파의 경로에 비추어 전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가 상면부(210)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측면부(230)는 효율적을 사용될 수 있으며 높이방향(Z축방향)으로 얇게 디자인될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패턴연결부(270)와 제2 안테나패턴부(3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제1 안테나패턴부(310)와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는, 제2 안테나패턴부(320)와 스트랩핀(500)을 연결할 수 있다. 패턴연결부(270), 제1 안테나패턴부(310), 제2 안테나패턴부(320),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 그리고 스트랩핀(500)은,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거된 순서대로 또는 역순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안테나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의 (b)는, 도 18의 (a) 에 나타난 전기적 연결을 도식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60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안테나패턴(3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안테나(600)는, 안테나패턴(300), 스트랩핀연결부(400), 스트랩핀(500), 그리고 연장안테나패턴(35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립핀연결부(40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스트립핀연결부(400)는, 제1 스트립핀연결부(410), 제2 스트립핀연결부(420), 제3 스트립핀연결부(430), 그리고 제4 스트립핀연결부(440)로 제공될 수 있다. 스트립핀(50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스트립핀(500)은, 제1 스트립핀(510) 및 제2 스트립핀(52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스트립핀연결부(410)와 제2 스트립핀연결부(420)는, 제1 스트립핀(510)을 지지할 수 있다. 제3 스트립핀연결부(430)와 제4 스트립핀연결부(440)는, 제2 스트립핀(52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안테나패턴부(310)는, 패턴연결부(270)와 제2 안테나패턴부(3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안테나패턴부(320)는, 제1 안테나패턴부(310)와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스트립핀연결부(410)는, 제2 안테나패턴부(320)와 제1 스트립핀(510)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스트립핀(510)은, 제1 스트립핀연결부(410)와 제2 스트립핀연결부(4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스트립핀연결부(420)는, 제1 스트립핀(510)과 연장안테나패턴(350)을 연결할 수 있다. 연장안테나패턴(350)은, 제2 스트립핀연결부(420)와 제3 스트립핀연결부(430)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스트립핀연결부(430)는, 연장안테나패턴(350)과 제2 스트립핀(520)을 연결할 수 있다.
패턴연결부(270), 제1 안테나패턴부(310), 제2 안테나패턴부(320),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 제1 스트랩핀(510),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 연장안테나패턴(350), 제3 스트랩핀연결부(430), 그리고 제2 스트랩핀(520)은,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거된 순서대로 또는 역순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장안테나패턴(350)과 제2 스트랩핀(520)이 안테나(600)에 포함됨으로써, 안테나(600)의 길이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연장안테나패턴(350)은,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230)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면부(210, 도 7) 및/또는 하면부(22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9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안테나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의 (b)는, 도 19의 (a) 에 나타난 전기적 연결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19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와 비교하여, 연장안테나패턴(350)의 구성 및 그와 관련된 제어부(180, 도 1)에 다른 점이 있을 수 있다.
연장안테나패턴(350)은,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안테나패턴부(351)와 제2 연장안테나패턴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연장안테나패턴(351,353)은, 측면부(230), 상면부(210, 도 7), 그리고 하면부(220)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성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안테나패턴(350)은,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스위치(355)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는, 제1 연장안테나패턴부(351)와 제2 연장안테나패턴부(353)에 연결되어 스위칭(switch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패턴스위치(355)는, 제1 연장안테나패턴부(351)와 제2 연장안테나패턴부(353)를 연결하는 제1 상태(switch-on) 및 제1 연장안테나패턴부(351)와 제2 연장안테나패턴부(353)를 분리하는 제2 상태(switch-off)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는, 본체부(2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는, PCB(240, 도 8)에 실장될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는, 제어부(180, 도 1)에 연결될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가 제2 상태(switch-off)에 있는 경우, 안테나(600)는, 안테나패턴(300),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 제1 스트랩핀(510),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 그리고 제1 연장안테나패턴(351)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가 제1 상태(switch-on)에 있는 경우, 안테나(600)는, 안테나패턴(300),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 제1 스트랩핀(510),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 제1 연장안테나패턴(351), 제2 연장안테나패턴(353), 제3 스트랩핀연결부(430), 그리고 제2 스트랩핀(5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패턴스위치(355)가 제1 상태(switch-on)에 있는 경우 안테나(600)의 길이는, 패턴스위치(355)가 제2 상태(switch-off)에 있는 경우 안테나(600)의 길이에 비하여 길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패턴스위치(355)의 상태에 따라 안테나(600)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안테나(600)의 길이는, 송수신하는 전파의 파장(wavelength)에 의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패턴스위치(355)의 조작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전파의 주파수대역을 다르게 할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는, 연장안테나패턴(350)을 두 개로 분리하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안테나패턴(300)을 두 개로 분리하는 지점에 위치할 수도 있다. 패턴스위치(355)는, 다른 실시예로 안테나패턴(300)과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를 분리하는 지점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패턴스위치(355)는, 안테나(600)를 형성하는 경로의 일 지점에 위치하여, 제1 상태(switch-on) 또는 제2 상태(switch-off)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어부(180, 도 1)는, 안테나(60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자기파의 주파수에 따라 패턴스위치(355)를 스위칭(switching)할 수 있다. 안테나(60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파의 주파수대역(band of frequency)에 따라 요구되는 안테나(600)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제어부(180, 도 1)는, 요구되는 주파수대역에 따라 패턴스위치(355)를 스위칭(switching)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스위치의 작동방법에 관한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스위치(355)의 작동방법은, 패턴스위치(355)를 제2 상태(switch-off)에 두는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스위치(355)의 작동방법은, 패턴스위치(355)를 off하는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의 작동은 제어부(180, 도 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가 제2 상태(switch-off)에 있는 경우, 안테나(600)가 제1 주파수 대역에 맞추어 길이를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스위치(355)의 작동방법은,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2 주파수의 사용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주파수는, 제1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 영역대의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2 주파수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을 경우, 패턴스위치(355)는 그대로 제2 상태(switch-off)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스위치(355)의 작동방법은, 패턴스위치(355)를 제1 상태(switch-on)에 두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스위치(355)의 작동방법은, 패턴스위치(355)를 on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2 주파수의 사용이 요구되는 경우, 패턴스위치(355)는 제1 상태(switch-on)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스위치(355)의 작동방법은,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1 주파수의 사용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1 주파수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패턴스위치(355)는 제1 상태(switch-on)에 있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1 주파수의 사용이 요구된 경우, 패턴스위치(355)는 제2 상태(switch-off)에 있을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가 스위칭(switching)되거나 상태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경우, 무선 통신부(110, 도 1)의 작동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 도 1)의 작동이 종료되었다면 패턴스위치(355)의 작동이 필요 없으므로, 패턴스위치(355)의 작동은 종료할 수 있다.
도 2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2 안테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의 (b)는, 도 21의 (a) 에 나타난 전기적 연결을 도식화한 것이다.
안테나(60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600)는 제1 안테나(610)와 제2 안테나(620)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안테나(610)는, 안테나패턴(300), 제1 스트랩핀연결부(410), 그리고 제1 스트랩핀(5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안테나(620)는, 안테나패턴(300), 제4 스트랩핀연결부(440), 그리고 제2 스트랩핀(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610)와 제2 안테나(620)는,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이 다를 수 있다. 즉 사용하는 전파의 주파수에 따라, 제1 안테나(610)와 제2 안테나(620) 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어부(180, 도1)는, 요구되는 주파수에 따라 제1 안테나(610)와 제2 안테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 도 1)는, 제1 안테나(610)와 제2 안테나(620)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도 2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2 안테나 및 연장안테나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의 (b)는, 도 22의 (a) 에 나타난 전기적 연결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2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제1,2 안테나(610, 620)와 연장안테나패턴(35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안테나패턴(350)은, 측면부(230), 상면부(210, 도 7), 그리고 하면부(220)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성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안테나패턴(350)은, 제1 연장안테나패턴부(351), 제2 연장안테나패턴부(353), 그리고 패턴스위치(3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안테나패턴부(351)는, 제2 스트랩핀연결부(4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장안테나패턴부(353)는, 제3 스트랩핀연결부(430)에 연결될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는,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안테나패턴부(351)와 제2 연장안테나패턴부(353)에 연결되어 스위칭(switch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패턴스위치(355)는, 제1 연장안테나패턴부(351)와 제2 연장안테나패턴부(353)를 연결하는 제1 상태(switch-on) 및 제1 연장안테나패턴부(351)와 제2 연장안테나패턴부(353)를 분리하는 제2 상태(switch-off)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는, 본체부(2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는, PCB(240, 도 8)에 실장될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는, 제어부(180, 도 1)에 연결될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가 제2 상태(switch-off)에 있는 경우, 제1 안테나(610)와 제2 안테나(620)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가 제1 상태(switch-on)에 있는 경우, 제1 안테나(610)와 제2 안테나(6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가 제1 상태(switch-on)에 있는 경우, 작동하는 안테나(600)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안테나(600)에서 요구되는 주파수 영역이 달라질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가 제1 상태(switch-on)에 있는 경우, 안테나(600)는 2개의 패턴연결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가 제1 상태(switch-on)에 있는 경우, 2개의 패턴연결부(270)가 모두 작동한다면 전기신호가 중첩되어 안테나(600)가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패턴스위치(355)가 제1 상태(switch-on)에 있는 경우, 2개의 패턴연결부(270) 중 어느 하나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스위치(355)가 제1 상태(switch-on)에 있는 경우, 제어부(180, 도 1)는 제1 안테나(610)를 형성하는 패턴연결부(270)는 작동하도록 하되 제2 안테나(620)를 형성하는 패턴연결부(270)는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가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있는 전파의 주파수 영역은 다양해질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는, 연장 안테나패턴(350)을 두 개로 분리하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2 안테나를 연결하는 패턴스위치의 작동방법에 관한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2 안테나를 연결하는 패턴스위치(355)의 작동방법은, 패턴스위치(355)를 제2 상태(switch-off)에 두는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2 안테나를 연결하는 패턴스위치(355)의 작동방법은, 패턴스위치(355)를 off하는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의 작동은 제어부(180, 도 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가 제2 상태(switch-off)에 있는 경우, 제1 안테나(610)는 제1 주파수 대역에 맞추어 길이를 형성하고 있고 제2 안테나(620)는 제2 주파수 대역에 맞추어 길이를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2 안테나를 연결하는 패턴스위치(355)의 작동방법은,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3 주파수의 사용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주파수는, 제1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 영역대의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으며 또한 제2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 영역대의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3 주파수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을 경우, 패턴스위치(355)는 그대로 제2 상태(switch-off)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스위치(355)의 작동방법은, 패턴스위치(355)를 제1 상태(switch-on)에 두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스위치(355)의 작동방법은, 패턴스위치(355)를 on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3 주파수의 사용이 요구되는 경우, 패턴스위치(355)는 제1 상태(switch-on)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스위치(355)의 작동방법은,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1 주파수 또는 제2 주파수의 사용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1 주파수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거나 제2 주파수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패턴스위치(355)는 제1 상태(switch-on)에 있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1 주파수의 사용이 요구되거나 제2 주파수의 사용이 요구된 경우, 패턴스위치(355)는 제2 상태(switch-off)에 있을 수 있다.
패턴스위치(355)가 스위칭(switching)되거나 상태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경우, 무선 통신부(110, 도 1)의 작동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 도 1)의 작동이 종료되었다면 패턴스위치(355)의 작동이 필요 없으므로, 패턴스위치(355)의 작동은 종료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핀안테나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스트랩핀(500)에 연결된 스트랩(70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700)은, 전도성의 스트랩안테나패턴(71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안테나패턴(710)은, 스트랩핀연결부(400)와 스트랩핀(500)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 스트랩핀연결부(400), 스트랩핀(500), 그리고 스트랩안테나패턴(7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600)를 형성할 수 있다.
안테나(600)의 길이는, 스트랩(700)에 스트랩안테나패턴(710)이 없는 경와 있는 경우에 따라, 스트랩안테나패턴(710)의 길이만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700)을 교체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주파수가 달라질 수 있다.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스트랩안테나패턴(720)이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주파수에 따라 스트랩(700)을 교체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트랩에 안테나패턴이 형성된 안테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안테나(600)는 안테나패턴(300)과 스트랩핀(500)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은 스트랩(700)에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은 패턴연결부(270)에 연결될 수 있다.
패턴연결부(270)는 스트랩(700)에 형성될 수 있다. 패턴연결부(270)는 안테나패턴(300)에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에 전달된 전기신호는, 스트랩핀(500)에 전달될 수 있다. 안테나패턴(300) 및 스트랩핀(500)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전파를 송신할 수 있다.
패턴연결부(270)와 스트랩핀(5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60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트랩핀연결부에 형성된 절연가이드홀과 전도가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안테나(600)는 스트랩핀연결부(400)와 스트랩핀(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핀연결부(40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핀연결부(400)의 일측에 스트랩핀(500)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스트랩핀연결부(400)가 모두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 스트랩핀(500)과 스트랩핀연결부(4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스트랩핀연결부(400)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 스트랩핀연결부(400)는 임피던스(impedance)가 너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핀연결부(400)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 스트랩핀연결부(400)를 그대로 스트랩핀(500)에 연결하면 안테나(500)의 특성이 악화될 수 있다.
스트랩핀연결부(400)는, 절연가이드홀(403)과 전도가이드(405)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가이드홀(403)은,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절연가이드홀(403)은, 스트랩핀연결부(4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절연가이드홀(403)은, 본체부(200)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질 수 있다. 절연가이드홀(403)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전도가이드(405)는, 절연가이드홀(40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도가이드(405)는, 전도성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전도가이드(405)는, 패턴연결부(270)와 스트랩핀(5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패턴연결부(270)는, 전도가이드(405)에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전도가이드(405)는, 스트랩핀(500)에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전도가이드(405)와 스트랩핀(500) 중 적어도 하나는,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전파로 변환하여 송신하거나 전파를 수신하여 전파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트랩핀연결부에 형성된 안테나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스트랩핀연결부(400)는, 절연가이드홀(403)과 전도가이드(405)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핀연결부(400)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핀연결부(400)의 적어도 일부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 스트랩핀연결부(400)를 포함하는 안테나(600)의 특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핀(500)과 패턴연결부(270)를 연결하는 구성은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절연가이드홀(403)은, 절연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트랩핀연결부(400)의 내부 또는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절연가이드홀(403)은, 그 내부에 공간이 있을 수 있다.
전도가이드(405)는, 절연가이드홀(40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도가이드(405)는, 스트랩핀(500)과 패턴연결부(27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절연가이드홀(403)이 형성하는 면이 접하는 스트랩핀연결부(400)의 적어도 일부가 비금속(non-metal)인 경우, 전도가이드(405)에서 발생되는 전파가 외부로 송신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도가이드(405)는 안테나패턴(300)이 될 수 있다.
도 2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서트사출로 형성된 스트랩핀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8의 (b)는 도 28의 (a)에서 점선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핀연결부(400)는, 표면에 금속으로 도금 처리하여 스트랩핀(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금 처리하는 경우 마찰 등에 의해 도금 처리된 금속이 소실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스트랩핀연결부(400)를 인서트사출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스트랩핀연결부(400)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전도성을 가진 전도가이드(405)를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트랩핀연결부(400)의 전도가이드(405)는 전기를 전도할 수 있으나 그 외 나머지 부분은 전기를 전도할 수 없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트랩핀연결부(400)를 인서트사출로 형성하는 경우, 스트랩핀연결부(400)의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200: 본체부 300: 안테나패턴
400: 스트랩핀연결부 500: 스트랩핀
600: 안테나

Claims (15)

  1.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안테나패턴;
    상기 본체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1 안테나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스트랩핀연결부;
    상기 본체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스트랩핀연결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스트랩핀연결부;
    상기 제1 스트랩핀연결부와 상기 제2 스트랩핀연결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에서 이격되며 상기 제1 스트랩핀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스트랩핀;
    상기 본체부에서 돌출된 제3 및 제4 스트랩핀연결부;
    상기 제3 및 제4 스트랩핀연결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에서 이격되며 상기 제3 스트랩핀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스트랩핀;
    상기 제1 안테나패턴의 맞은편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스트랩핀을 마주하는 제2 안테나패턴; 그리고
    상기 제2 스트랩핀에 연결되고 가요성을 가지는 제2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패턴은 상기 제1 스트랩핀을 마주하며,
    상기 제1 안테나패턴, 제1 스트랩핀연결부, 그리고 제1 스트랩핀은,
    제1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송수신하며 디귿자('ㄷ') 형상을 가지는 제1 안테나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스트랩핀, 상기 제3 스트랩핀연결부, 그리고 상기 제2 안테나패턴은 제2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송수신하는 제2 안테나를 형성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와 이격되되 대향하여 형성된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연결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 하면부, 그리고 측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2 스트랩핀연결부는 상기 측면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안테나패턴은 상기 제1, 2 스트랩핀연결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패턴은,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안테나패턴부; 및
    상기 제1 안테나패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안테나패턴부와 상기 제1 스트랩핀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안테나패턴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와 이격되되 대향하여 형성된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연결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 하면부, 그리고 측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안테나패턴은,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안테나패턴부는,
    상기 제2 안테나패턴부의 상부에 위치하거나 하부에 위치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안테나패턴부는,
    상기 제1 스트랩핀을 따라 연장된,
    전자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핀에 연결되며 가요성을 가지고 상기 본체부와 분리된 제1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7. 삭제
  8.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안테나패턴;
    상기 본체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1 안테나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스트랩핀연결부;
    상기 본체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스트랩핀연결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스트랩핀연결부;
    상기 제1 스트랩핀연결부와 상기 제2 스트랩핀연결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에서 이격되며 상기 제1 스트랩핀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스트랩핀;
    상기 본체부에서 돌출된 제3 스트랩핀연결부;
    상기 본체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3 스트랩핀연결부에 이격되어 배치된 제4 스트랩핀연결부; 그리고,
    상기 제3 스트랩핀연결부와 상기 제4 스트랩핀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본체부에서 이격되며 상기 제3 스트랩핀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스트랩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패턴은 상기 제1 스트랩핀을 마주하며,
    상기 제1 안테나패턴, 제1 스트랩핀연결부, 그리고 제1 스트랩핀은,
    제1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송수신하며 디귿자('ㄷ') 형상을 가지는 제1 안테나를 형성하고,
    상기 제3 스트랩핀 연결부와 상기 제2 스트랩핀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송수신하는 제2 안테나를 형성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스트랩핀연결부와 상기 제3 스트랩핀연결부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하는 연장안테나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트랩핀은 상기 제2 스트랩핀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 디바이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안테나패턴은,
    상기 제2 스트랩핀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연장안테나패턴;
    상기 제3 스트랩핀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연장안테나패턴; 및
    상기 제1 연장안테나패턴과 상기 제2 연장안테나패턴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하는 패턴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자기파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패턴스위치를 스위칭하는 전자 디바이스.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패턴, 상기 제1 스트랩핀연결부, 상기 제1 스트랩핀, 상기 제2 스트랩핀연결부, 상기 연장안테나패턴, 상기 제3 스트랩핀연결부, 그리고 상기 제2 스트랩핀은,
    상기 패턴스위치가 상기 제1 연장안테나패턴과 상기 제2 연장안테나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제3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송수신하는 제3 안테나를 형성하고,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전자 디바이스.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랩핀은 상기 제4 스트랩핀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 스트랩핀연결부는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디바이스.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스트랩핀과 상기 제2 스트랩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 디바이스.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랩핀연결부는 상기 제1 스트랩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스트랩은 상기 제2 스트랩핀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트랩안테나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제2 스트랩핀연결부와 상기 스트랩안테나패턴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KR1020150184215A 2015-12-22 2015-12-22 전자 디바이스 KR101909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215A KR101909532B1 (ko) 2015-12-22 2015-12-22 전자 디바이스
PCT/KR2016/014656 WO2017111385A1 (en) 2015-12-22 2016-12-14 Electronic device
EP16879252.1A EP3394683A4 (en) 2015-12-22 2016-12-14 ELECTRONIC DEVICE
US15/383,860 US10476139B2 (en) 2015-12-22 2016-12-19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215A KR101909532B1 (ko) 2015-12-22 2015-12-22 전자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664A KR20170074664A (ko) 2017-06-30
KR101909532B1 true KR101909532B1 (ko) 2018-12-19

Family

ID=5906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215A KR101909532B1 (ko) 2015-12-22 2015-12-22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76139B2 (ko)
EP (1) EP3394683A4 (ko)
KR (1) KR101909532B1 (ko)
WO (1) WO20171113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16025B (zh) * 2016-06-16 2018-02-2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穿戴式電子裝置
US10431878B2 (en) * 2016-06-23 2019-10-0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Wearable device design for 4G antennas
FR3055760B1 (fr) * 2016-09-02 2019-07-12 Sigfox Appareil electronique comportant une structure d’antenne pour l’emission et/ou la reception de signaux radioelectriques et une sangle servant d’attache de l’appareil
TWM538608U (zh) * 2016-12-16 2017-03-21 Asustek Comp Inc 穿戴式電子裝置
KR102514256B1 (ko) * 2017-09-28 2023-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밴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2568181B1 (ko) * 2018-01-15 2023-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CN108958013A (zh) * 2018-09-13 2018-12-07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双天线结构的智能手表及控制方法
KR102570509B1 (ko) * 2018-10-19 2023-08-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주파수 대역에 기반하여 안테나 장치에 포함된 광도전성 물질의 전기적 상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안테나 제어 방법
EP3751359A1 (fr) * 2019-06-12 2020-12-16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Agencement d'antenne, piece d'habillage horloger comprenant un tel agencement d'antenn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piece d'habillage horloger
US11349191B1 (en) * 2019-09-17 2022-05-31 Amazon Technologies, Inc. Ring-shaped devices with combined battery and antenna assemblies
CN112886200B (zh) * 2019-11-29 2022-08-05 RealMe重庆移动通信有限公司 可穿戴设备
CN110994141A (zh) * 2019-12-26 2020-04-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可穿戴电子设备
CN111653863B (zh) * 2020-06-08 2022-04-19 安徽华米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及可穿戴设备天线调节方法
US11681327B2 (en) 2020-06-11 2023-06-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EP4092493A1 (fr) * 2021-05-21 2022-11-23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Montr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communication en champs proche
EP4092494A1 (fr) * 2021-05-21 2022-11-23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Système de réglage d'une montre
US20230076226A1 (en) * 2021-09-09 2023-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structure
US20230369748A1 (en) * 2022-05-13 2023-11-16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wappable antenna desig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4729A (ja) * 2003-02-06 2004-09-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通信装置
US20130016016A1 (en) * 2011-07-15 2013-01-17 Chia-Hong Lin Antenna structure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wearable wireless electronic device
US20140055309A1 (en) * 2012-08-24 2014-02-27 Jatupum Jenwatanavet Compact antenna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0065B (en) * 1993-07-16 1997-05-14 Nec Corp Wristwatch-type selective calling receiver
US5986566A (en) * 1994-08-18 1999-11-16 Oi Denki Co., Ltd. Wrist band antenna
SG101434A1 (en) * 1999-12-29 2004-01-30 Asulab Sa Wristwatch provided with an antenna
KR101427262B1 (ko) * 2007-12-13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622606B1 (ko) * 2009-07-15 2016-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휴대 단말기
US9070969B2 (en) 2010-07-06 2015-06-30 Apple Inc. Tunable antenna systems
KR102081929B1 (ko) * 2013-05-27 2020-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이동단말기
EP2813907B1 (en) * 2013-06-11 2018-08-01 LG Electronics, Inc. Watch type mobile terminal
WO2015027934A1 (en) * 2013-08-28 2015-03-05 Neptune Computer Inc. Wearable device based data processing platform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KR20150045746A (ko) * 2013-10-21 2015-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이동 단말기
KR102128272B1 (ko) * 2013-11-27 2020-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형 전자장치 커버
US9703272B2 (en) * 2014-06-25 2017-07-1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pparatus with radiating element isolated from an electrically conductive wearable apparatus carrier device
US9525201B2 (en) * 2014-10-27 2016-12-20 Nokia Technologies Oy Hinge that serves as a radiator
KR20160057094A (ko) * 2014-11-13 2016-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04462670U (zh) * 2015-03-23 2015-07-08 广达电脑股份有限公司 穿戴式电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4729A (ja) * 2003-02-06 2004-09-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通信装置
US20130016016A1 (en) * 2011-07-15 2013-01-17 Chia-Hong Lin Antenna structure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wearable wireless electronic device
US20140055309A1 (en) * 2012-08-24 2014-02-27 Jatupum Jenwatanavet Compact antenna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1385A1 (en) 2017-06-29
US10476139B2 (en) 2019-11-12
EP3394683A4 (en) 2019-08-28
US20170179580A1 (en) 2017-06-22
EP3394683A1 (en) 2018-10-31
KR20170074664A (ko) 201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532B1 (ko) 전자 디바이스
KR101958789B1 (ko) 이동 단말기
KR101827275B1 (ko) 이동 단말기
US10284763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and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191455B2 (en) Watch type terminal
KR101741585B1 (ko) 이동 단말기
KR2018005180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5955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39733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01818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08996A (ko) 전자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US10152084B2 (en) Electronic device
KR20160102848A (ko) 전자 디바이스
KR101721132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8567A (ko) 전자 디바이스
KR20160095887A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4150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444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48870B1 (ko) 전자 디바이스
KR20170111484A (ko) 이동 단말기
KR101808626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1489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0994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7783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6007184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