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6229A - 전자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자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6229A
KR20170086229A KR1020160005802A KR20160005802A KR20170086229A KR 20170086229 A KR20170086229 A KR 20170086229A KR 1020160005802 A KR1020160005802 A KR 1020160005802A KR 20160005802 A KR20160005802 A KR 20160005802A KR 20170086229 A KR20170086229 A KR 20170086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urface portion
electronic device
watch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두
오현석
곽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5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6229A/ko
Priority to US15/408,377 priority patent/US9936057B2/en
Priority to EP17741640.1A priority patent/EP3403145B1/en
Priority to PCT/KR2017/000589 priority patent/WO2017126874A1/en
Publication of KR20170086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2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23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light valves in general
    • G04G9/0029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4Hands; Discs with a single mark or the lik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008Cases for pocket watches and wrist watch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9/00Watch crystals; Fastening or sealing of crystals; Clock glass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0/00Arrangements of electric power supplies in time pie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 G04G17/083Watches distributed over several hous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K9/0000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6Prevention of microwave leakage, e.g. door sea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 내에 위치하는 워치 무브먼트와, 상기 제1 바디에 연결된 제1 윈도우와, 상기 워치 무브먼트와 제1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워치 무브먼트에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시계침을 구비하는 제1 워치 모듈; 및 상기 제1 바디에서 연장된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위치하는 회로기판과, 상기 제2 바디에 연결된 제2 윈도우와, 상기 회로기판과 제2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된 제2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제2 워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는, 상기 제1 윈도우가 외부로 지향하는 방향이 상기 제2 윈도우가 외부로 지향하는 방향과 다르도록 굽힘을 형성하되 내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디바이스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날로그 워치(analogue watch)와 스마트 워치(smart watch)가 구조적으로 결합된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는 웨어러블(wearable)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글래스 타입(glass type), 와치 타입(watch type)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웨어러블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의 경우 디자인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면서도 한정된 공간에 필요한 전자 소자를 배치하여야 하므로 최적화된 설계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another) 목적은 스마트 워치와 독립적인 아날로그 워치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아날로그 워치와 독립적인 스마트 워치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아날로그 워치와 스마트 워치의 상호보완적 효과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 내에 위치하는 워치 무브먼트와, 상기 제1 바디에 연결된 제1 윈도우와, 상기 워치 무브먼트와 제1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워치 무브먼트에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시계침을 구비하는 제1 워치 모듈; 및 상기 제1 바디에서 연장된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위치하는 회로기판과, 상기 제2 바디에 연결된 제2 윈도우와, 상기 회로기판과 제2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된 제2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제2 워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는, 상기 제1 윈도우가 외부로 지향하는 방향이 상기 제2 윈도우가 외부로 지향하는 방향과 다르도록 굽힘을 형성하되 내부가 서로 연통하는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1 윈도우가 위치하는 제1 상면부와, 상기 제1 상면부에 대향하되 상기 제1 바디의 외측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하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윈도우가 위치하는 제2 상면부와, 상기 제2 상면부에 대향하되 상기 제2 바디의 외측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 하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면부는, 상기 제2 하면부에 대해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면부는, 상기 제2 하면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워치 모듈과 상기 제2 워치 모듈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면부는, 상기 제2 하면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워치 모듈과 상기 제2 워치 모듈을 연결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을 따라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연결하며 연통하는 제3 바디,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를 연결하는 제3 윈도우를 구비하는 제3 워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바디는, 상기 제3 윈도우가 위치하는 제3 상면부, 그리고 상기 제3 상면부에 대항하되 상기 제3 바디의 외측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3 하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상면부는, 상기 제1 상면부와 상기 제2 상면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3 하면부는, 상기 제1 하면부와 상기 제2 하면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하면부의 곡률반경은, 제3 상면부의 곡률반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워치 모듈은, 상기 워치 무브먼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워치 모듈은, 상기 회로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며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할 수 있는 제2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부와 상기 제2 전원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획득된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전원부로부터 상기 제2 전원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워치모듈은, 상기 제1 윈도우와 상기 시계침 사이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원부와 상기 제2 전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서 획득된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전원부로부터 상기 제2 전원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부와 상기 제2 전원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부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충전되면 상기 제2 전원부와 상기 외부 전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전원부를 충전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윈도우와 상기 제2 윈도우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워치 모듈은, 상기 제1 윈도우와 상기 시계침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상기 시계침이 상기 제1 윈도우를 통해 투영되며 정보가 표시되는 제1 화면상태와, 상기 시계침이 상기 제1 윈도우를 통해 투영되나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제2 화면상태와, 상기 시계침이 상기 제1 윈도우를 통해 투영되지 않으며 정보가 표시되는 제3 화면상태 중 하나의 화면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윈도우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는 제1 터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센서로부터 획득된 입력을 제공받아 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센서는,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제1 지문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마트 워치에 독립적인 아날로그 워치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아날로그 워치에 독립적인 스마트 워치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아날로그 워치와 스마트 워치의 상호보완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의 밴드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사용자에 착용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은 도 8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에 곡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를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15은 도 8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를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는 도 8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를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워치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제2 워치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0 및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터치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문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전원부와 제2 전원부 사이의 전력 이동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전원부의 충전시 제1 전원부의 충전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전자 디바이스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압드라이버(99),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전자 디바이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전압드라이버(99)는 후술하는 전극(700)에 가해지는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전압드라이버(99)는 전극(700)에 가해지는 여러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전압드라이버(99)의 여러 가지 전압의 생성은 후술하는 제어부(18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 사이, 또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전자 디바이스 내 정보, 전자 디바이스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 디바이스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서, 환경센서는 온도센서(143)를 구비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전자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전자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 디바이스(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전자 디바이스(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전자 디바이스(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 사이, 또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전자 디바이스(100) 주변에,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전자 디바이스(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 디바이스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디바이스(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전자 디바이스 내 정보, 전자 디바이스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전자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전자 디바이스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전자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180)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전자 디바이스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 디바이스(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전자 디바이스(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전자 디바이스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전자 디바이스(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전자 디바이스(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치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의 한 종류로서 사용자의 손목에 권취하여 착용하는 이동 단말기이다. 와치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술한 구성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와치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100)의 형상과 관련한 특징에 대해서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는 길이방향으로 곡면을 포함하거나 플렉서블한 재질을 포함하는 밴드부(130)를 포함하며, 힌지핀(139)을 이용하여 본체부(101)와 탈부착될 수 있다.
밴드부(130)는 강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된 경우 곡면 형태로 형성하거나,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의 손목에 감겨 착용이 가능하다. 밴드부(130)의 내부에는 전자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전장부가 제공되며, 상기 전장부에 밴드기판(185),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광출력부(154) 및 안테나(미도시) 등이 실장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의 밴드기판(185)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밴드기판(185)은 휘어지는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단한 소재의 기판이 복수개의 조각으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플렉서블 기판이 개재될 수도 있고, 밴드기판(185) 전체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밴드기판(185)은 밴드부(130)에 실장된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광출력부(154) 및 무선통신부(110) 등을 제어하는 IC(183)가 실장되고, IC(183)는 본체부(101)와 연결된 경우 본체부(101)도 제어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광출력부(154) 및 안테나(117) 등은 밴드기판(185)과 별도로 밴드부(130)에 실장될 수도 있으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기판(185) 상에 실장될 수도 있다.
밴드부(130)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하는 밴드기판(18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될 수도 있고, 양 단이 연결되어 하나의 밴드기판(185)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분리되어 있더라도, 밴드부(130)의 단부가 본체부(101)와 연결되거나, 밴드부(130)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분리된 밴드기판(185)은 연결될 수 있다.
일측의 밴드기판(185)에는 음향 출력부(152)와 광출력부(154) 및 IC(183)가 위치하고, 외장 배터리(191)와 연결하기 위한 단자가 위치할 수 있다. 타측의 밴드기판(185)에는 마이크(122), 안테나(117), IC(183) 및 내장 배터리(193)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배치는 변경 가능하며, 상기 구성 이외에 더 많은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밴드부(130) 단부에 밴드부(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릿(132)이 위치하며, 본 실시예에서 슬릿(132)은 밴드부(130)의 양 단부에 하나씩 형성되며 슬릿(132)에 의해 밴드부(130)의 양 단부는 2개의 분할단부(133)로 구획된다. 상기 슬릿(132)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분할단부(133)의 개수도 증가한다.
밴드부(130)가 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분할단부(133)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할단부(133)는 밴드부(130)의 두께방향으로 상하로 휘어질 수 있으며, 슬릿(132)에 의해 구획된 분할단부(133)는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밴드부(130)의 단부, 즉 분할단부(133)의 측면에서 너비방향으로 연장된 체결홀(134)을 더 포함한다. 본체부(101)와 체결을 위해 힌지핀(139)이 상기 체결홀(134)에 체결된다. 본체부(101)는 상기 힌지핀(139)이 관통하는 힌지홀(101b)을 포함한다.
밴드부(130)를 관통하는 힌지핀(139)은 도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홀(134)과 힌지홀(101b)의 내측에 위치하는 접속링(188)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속링(188)은 밴드부(130)의 체결홀(134) 내측에 구비된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링 형태의 부재로 상기 접속링(188)의 단부는 밴드부(130)에 실장된 밴드기판(185)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101)는 전면에 시간 눈금과 시간을 가리키는 시침 초침등을 포함하는 시계 문자판(102)이 위치하고, 상기 밴드부(130)와 상기 힌지핀(139)을 통해 결합되는 밴드 체결부(101a)를 양측에 포함한다. 밴드 체결부(101a)는 밴드부(130)의 너비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밴드부(130) 체결돌기와 상기 밴드부(130) 체결돌기에 형성된 힌지홀(101b)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홀(101b)에 힌지핀(139)이 삽입되어 본체부(101)와 밴드부(130)가 체결된다.
본체부(101)는 통상의 손목시계 기능만 하는 시계본체일 수 있다. 통상의 시계도 시계의 줄을 교체할 수 있도록 밴드 체결부(101a)를 구비하며, 상기 밴드 체결부(101a)의 힌지홀(101b)에 힌지핀(139)을 이용하여 밴드부(130)를 교체할 수 있는 바, 통상의 본체부(101)에도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를 체결할 수 있다.
별도의 전자부품가 실장되지 않은 본체부(101)의 경우라도 시계 문자판(102)의 구동을 위해 배터리(192)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92)는 시계 문자판(102)의 구동에만 이용할 수 있고, 밴드부(130)에 구비된 전자 부품의 구동 및 디스플레이부(151)가 추가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동은 밴드부(130) 자체에 구비된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부품이 실장된 본체부(101)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1)는 디스플레이부(151), 제어를 위한 회로부(184)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 배터리(192)를 구비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에 구비되지 않은 카메라(121)와 같은 구성이 본체부(101)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통상의 시계로 이용할 때에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할 때에만 불투명/반투명하게 변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터치센서(125)를 더 구비하여 입력 및 출력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01) 자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된 경우 상기 전자 부품들 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힌지홀(101b) 내측에도 접속링(188)이 구비되어 상기 접속링(188)을 통해 본체부(101) 내부의 회로부(184)와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101)와 밴드부(130)가 연결됨으로써 기능이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01)에는 디스플레이 기능만 구비된 경우 밴드부(130)를 연결하면 밴드부(130)에 구비된 안테나(117)를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이나, 근거리 통신을 통해 통화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밴드부(130)에 구비된 음향출력모듈(152)를 통해 음향정보도 함께 출력가능하다.
밴드부(130)의 단부를 통해 본체부(101)와 연결하는 것 이외에 힌지핀(139)을 통해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컴퓨터와 같은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앞서 도 1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 중, 전자 디바이스에 구비된 NFC 모듈은 10cm 안팎의 거리에서 단말 간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NFC 모듈은 카드 모드, 리더 모드 및 P2P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NFC 모듈이 카드 모드로 운용되기 위해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보안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안 모듈이란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예컨대,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SIM(Universal SIM)), Secure micro SD 및 스티커 등 물리적 매체일 수도 있고, 전자 디바이스에 임베디드되어 있는 논리적 매체(예컨대, embeded SE(Secure element))일 수도 있다. NFC 모듈과 보안 모듈 사이에는 SWP(Single Wire Protocol)에 기반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NFC 모듈이 카드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전통적인 IC 카드처럼 저장하고 있는 카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용카드 또는 버스 카드 등 결제용 카드의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요금 결제기에 근접시키면, 모바일 근거리 결제가 처리될 수 있고, 출입용 카드의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출입 승인기에 근접 시키면, 출입의 승인 절차가 시작될 수 있다. 신용카드, 교통카드 및 출입카드 등의 카드는 애플릿(applet) 형태로 보안 모듈에 탑재되고, 보안 모듈은 탑재된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용 카드의 카드 정보는 카드 번호, 잔액, 사용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출입용 카드의 카드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번호(예컨대, 사용자의 학번 또는 사번), 출입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NFC 모듈이 리더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외부의 태그(Tag)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가 태그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는 NFC 포럼에서 정하는 데이터 교환 포맷(NFC Data Exchange Format)으로 코딩될 수 있다. 아울러, NFC 포럼에서는 4개의 레코드 타입을 규정한다. 구체적으로, NFC 포럼에서는 스마트 포스터(Smart Poster), 텍스트(Text),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및 일반 제어(General Control) 등 4개의 RTD(Record Type Definition)를 규정한다.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스마트 포스터 타입인 경우, 제어부(180)는 브라우저(예컨대, 인터넷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텍스트 타입인 경우, 제어부(180)는 텍스트 뷰어를 실행할 수 있다.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URI 타입인 경우, 제어부(180)는 브라우저를 실행하거나 전화를 걸고,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일반 제어 타입인 경우, 제어 내용에 따라 적절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NFC 모듈이 P2P(Peer-to-Peer)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P2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P2P 통신에는 LLCP(Logical Link Control Protocol) 가 적용될 수 있다. P2P 통신을 위해 전자 디바이스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는 커넥션(connection)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커넥션은 1개의 패킷을 교환하고 종료되는 비접속형 모드(connectionless mode)와 연속적으로 패킷을 교환하는 접속형 지향 모드(connection-oriented mode)로 구분될 수 있다. P2P 통신을 통해, 전자적 형태의 명함, 연락처 정보, 디지털 사진, URL 등의 데이터 및 블루투스, Wi-Fi 연결을 위한 셋업 파라미터 등이 교환될 수 있다. 다만, NFC 통신의 가용 거리는 짧으므로, P2P 모드는 크기가 작은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워치 모듈(200)과 제2 워치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워치 모듈(200)은, 제1 바디(210)와 제1 윈도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워치 모듈(200)은 기본적으로 아날로그 워치(analogue watch)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제1 워치 모듈(200)은 외부로부터의 전력의 충전 없이 상당 기간 동안 작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당 기간은, 일반적으로 시계를 사용할 경우 배터리(battery) 교환 주기로 볼 수 있다. 또한 제1 워치 모듈(200)의 작동은, 기본적으로 시간을 표시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날짜와 요일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1 윈도우(220)는 제1 바디(210)의 상면부(upper part)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윈도우(220)를 기준으로 좌표계(X1Y1Z1)를 설정할 수 있다. X1Y1Z1 좌표계는, 카테시안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로서 오른손 방향(right handed direction)에 따른다. 즉 오른손 약지에서 새끼손가락까지 네 손가락으로 X1에서 Y1으로 감았을 때 엄지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이 Z1 방향이 될 수 있다. 제1 윈도우(220)는 X1Y1 평면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Z1 방향은 제1 바디(210)의 깊이 방향으로 볼 수 있으며, Z1 축의 양의 방향으로 갈수록 제1 바디(210)의 하면부(lower part)를 향한다고 볼 수 있다.
제2 워치 모듈(300)은, 제2 바디(310)와 제2 윈도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워치 모듈(300)은, 기본적으로 스마트 워치(smart watch)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2 워치 모듈(300)은, 디스플레이(display)를 구비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network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기능은 기지국과의 직접적인 통신뿐만 아니라 주변 기기와의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워치 모듈(300)은, 센서를 포함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processor)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바디(310)는 제1 바디(2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바디(310)와 제1 바디(210)는, 연결됨으로써 굽힘(bending)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바디(310)와 제1 바디(210)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만곡되는 형상 또는 꺽이는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310)의 내부와 제1 바디(210)의 내부는 연통될 수 있다. 제2 바디(310)는, 제3 바디(410)를 통해 제1 바디(2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윈도우(320)는 제2 바디(310)의 상면부(upper part)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윈도우(320)를 기준으로 좌표계(X2Y2Z2)를 설정할 수 있다. X2Y2Z2 좌표계는, 카테시안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로서 오른손 방향(right handed direction)에 따른다. 즉 오른손 약지에서 새끼손가락까지 네 손가락으로 X2에서 Y2으로 감았을 때 엄지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이 Z2 방향이 될 수 있다. 제2 윈도우(320)는 X2Y2 평면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Z2 방향은 제2 바디(310)의 깊이 방향으로 볼 수 있으며, Z2 축의 양의 방향으로 갈수록 제2 바디(310)의 하면부(lower part)를 향한다고 볼 수 있다. 제2 윈도우(320)는 제1 윈도우(2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윈도우(320)는, 제3 윈도우(420)를 통해 제1 윈도우(2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윈도우(320)는 제1 윈도우(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윈도우(320)는, 제1 윈도우(220) 및 제3 윈도우(420)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제3 워치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워치 모듈(400)은, 제3 바디(410)와 제3 윈도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워치 모듈(400)은, 제1 워치 모듈(200)과 제2 워치 모듈(300)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3 워치 모듈(400)은, 제1 워치 모듈(200)과 제2 워치 모듈(300)을 연결할 때, 제1 워치 모듈(200)과 제2 워치 모듈(300)이 굽힘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3 워치 모듈(400)은, 제1 워치 모듈(200)과 제2 워치 모듈(3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되, X1Y1 평면과 X2Y2 평면이 엇갈리도록 할 수 있다.
제1 윈도우(220)를 기준으로 제2 워치 모듈(300)과 제3 워치 모듈(40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제1 윈도우(220)는, X1Y1Z1 좌표계에서, X1Y1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워치 모듈(300)는, 제1 윈도우(220)에서 음(negative)의 Y1축 방향과 양(positive)의 Z1 축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워치 모듈(200)과 제2 워치 모듈(300)은, 서로 이어지되 꺽여질 수 있다.
제3 워치 모듈(400)은, 제1 워치 모듈(200)과 제2 워치 모듈(300)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제1 윈도우(220)에서 음(negative)의 Y1 축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워치 모듈(400)은, 제1 윈도우(220)에서 양(positive)의 Z1 방향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음(negative)의 Z1 방향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2 윈도우(320)를 기준으로 제1 워치 모듈(200)과 제3 워치 모듈(40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제2 윈도우(320)는, X2Y2Z2 좌표계에서, X2Y2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워치 모듈(200)은, 제2 윈도우(320)에서 양(positive)의 Y2 축 방향과 양(positive)의 Z2 축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워치 모듈(300)과 제1 워치 모듈(200)은, 서로 이어지되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워치 모듈(400)은, 제1 워치 모듈(200)과 제2 워치 모듈(300)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제2 윈도우(320)에서 양(positive)의 Y2 축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워치 모듈(400)은, 제2 윈도우(320)에서 양(positive)의 Z2 방향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음(negative)의 Z2 방향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제3 워치 모듈(400)은, 음의 Z2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제1 윈도우(220)와 제2 윈도우(320)의 관계를 살펴보면, 제2 윈도우(320)는 X2Y2 평면에 위치하고 제1 윈도우(220)는 X1Y1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윈도우(320)는, X1Y1Z1 좌표계에서 제1 윈도우(220)로부터 음의 Y1 축 방향과 양의 Z1 축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윈도우(320)가 연장되는 방향은, X1Y1Z1 좌표계에서 제1 윈도우(220)로부터 음의 Y1 축 방향과 양의 Z1 축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윈도우(320)가 외부로 지향하는 방향은, 제1 윈도우(220)가 외부로 지향하는 방향과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윈도우(220)가 외부로 지향하는 방향은, 음(negative)의 Z1 방향일 수 있다. 제2 윈도우(320)가 외부로 지향하는 방향은, 음(negative)의 Z2 방향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Z1 방향과 Z2 방향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user)의 신체 일부에 착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다. Z1 방향이 Z2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손목을 돌리거나 몸을 이동시킬 필요 없이 제2 윈도우(320)를 바라볼 수 있다. 제2 워치 모듈(300)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제2 워치 모듈(300)의 디스플레이를 바라보거나 터치 입력(touch input)을 할 때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워치 모듈(200)은, 제1 전원부(240), 워치 무브먼트(260), 그리고 시계침(2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40)는, 제1 바디(210), 제2 바디(310), 그리고 제3 바디(410)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40)는, 기본적으로 워치 무브먼트(26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40)는, 일반적인 기계식 시계에서 제공되는 배터리(battery)일 수도 있다.
워치 무브먼트(260)는 제1 바디(2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워치 모듈(200)은, 일반적인 의미의 기계식 시계(mechanical watch)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워치 모듈(200)에서, 시계침(270)은 워치 무브먼트(26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주기적으로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시계침(270)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워치 모듈(200)은, 부가적으로 요일 또는 날짜를 표시하는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워치 무브먼트(260)와 시계침 사이에, 숫자를 표시하는 패널(panel)이 삽입될 수 있다. 워치 무브먼트(260)는,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와 모터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시계침(270)에 전달하는 기어(gears)를 구비할 수 있다.
시계침(270)은, 워치 무브먼트(26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시계침(270)은, 워치 무브먼트(260)와 제1 윈도우(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프레임(51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510)은, 제1 바디(210), 제2 바디(310) 및 제3 바디(4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워치 무브먼트(260)와 시계침(270)은, 제1 윈도우(220)와 프레임(5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워치 모듈(300)은, 제2 디스플레이(330), 제2 전원부(340), 그리고 회로기판(3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330)는, 회로기판(350) 및 제2 전원부(3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330)는, 회로기판(350)과 제2 윈도우(3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3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윈도우(320)와 프레임(5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회로기판(350)은, 제2 디스플레이(330) 및 제2 전원부(340)에 연결될 수 있다. 회로기판(350)은, 제1 바디(210), 제2 바디(310), 그리고 제3 바디(410) 중 적어도 하나의 바디에 위치할 수 있다. 회로기판(350)은, 제2 디스플레이(330)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330)에 전송된 정보는 제2 디스플레이(330)에 전시되고, 제2 디스플레이(330)에 전시된 시각 정보는 제2 윈도우(320)을 통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회로기판(35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 워치 모듈(200)의 기능 수행에 관여될 수 있다.
회로기판(350) 및 제2 디스플레이(330)는,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전력을 직접적으로 공급받지 못할 수 있다. 제1 워치 모듈(200)은 일반적인 시계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2 워치 모듈(300)에서 제1 전원부(240)의 전력 소비는, 제1 워치 모듈(200)의 일반적 시계로서의 기능 수행에 장애가 될 우려가 있다.
제2 전원부(340)는, 회로기판(350) 및 제2 디스플레이(330)에 연결되어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워치 모듈(300)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로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전력 소모가 많은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제2 전원부(34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전원부(340)는 충전가능(rechargeable)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사이드커버(side cover, 520), 백커버(back cover, 530), 안테나(540), 그리고 스트랩(55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커버(520)는, 제1 워치 모듈(200)에서 제2 워치 모듈(300)을 잇는 방향으로, 제1 워치 모듈(200)의 측면 및 제2 워치 모듈(30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백커버(530)는, 제1 바디(210), 제2 바디(310), 그리고 제3 바디(410)의 하부면에 위치할 수 있다. 백커버(530)는, 제1 윈도우(220), 제2 윈도우(320), 그리고 제3 윈도우(420)에 대향할 수 있다. 백커버(5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안테나(540)는, 제2 워치 모듈(300)이 네트워킹(networking)을 수행하는데 필요할 수 있다. 안테나(540)는, 회로기판(3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스트랩(550)에 위치할 수 있다.
스트랩(550)은, 제1 워치 모듈(200)의 일측 및 제2 워치 모듈(30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user)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550)은,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도록 체결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착용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는, 손목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의 상면도이다. 도 8은, 제1 워치 모듈(200)의 상면부(upper part)를 정면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제1 윈도우(220)는, 제1 워치 모듈(200)의 상면부(upper part)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X1Y1Z1 좌표계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제2 워치 모듈(300)은, 제1 워치 모듈(200)에 대하여 꺽임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져 보일 수 있다. 제3 워치 모듈(400)은, 제1 워치 모듈(200)과 제2 워치 모듈(300)을 연결할 수 있다. 스트랩(550)은, 제1 워치 모듈(200)의 일측과 제2 워치 모듈(30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워치 모듈(200)과 제2 워치 모듈(300)은, 꺽임 또는 벤딩(bending)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워치 모듈(400)은, 제1 워치 모듈(200)과 제2 워치 모듈(300)이 벤딩(bending)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워치 모듈(200)과 제2 워치 모듈(3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워치 모듈(30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별도의 디스플레이는, 제2 디스플레이(330)의 보조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3 윈도우(420)를 통해 시각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X1Y1Z1좌표계와 X2Y2Z2 좌표계는, 도 6에 도시된 X1Y1Z1좌표계와 X2Y2Z2 좌표계와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X1Y1Z1 좌표계는, 제1 윈도우(220)가 X1Y1평면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X2Y2Z2 좌표계는, 제2 윈도우(320)가 X2Y2 평면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 윈도우(220)와 제2 윈도우(320)는, 완전한 평면이 아니라 적어도 일부가 휘어진(curved) 상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휘어진 곡면이 평균화(averaged)된 평면에 좌표계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윈도우(220)의 적어도 일부가 휘어진 상태인 경우, 제1 윈도우(220)의 미소 면적(differential area)에 대하여 평균화 작업이 이루어진 상태의 평면에 X1Y1 평면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윈도우(32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평균화 작업에 의한 평면은 평균법선벡터(
Figure pat00001
)로 나타낼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제1 윈도우(220)의 휘어진 곡면의 일 지점에서의 미소 면적(differential area)는, 제1 윈도우(220)의 곡면을 따라 형성된 임의의 좌표계인 XYZ좌표계에서 X축 미소 길이(differential length)
Figure pat00003
와 Y축 미소 길이(differential length)인
Figure pat00004
의 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5
는, 제1 윈도우의 일 지점인 (x,y)에서의 법선벡터를 의미한다. 따라서 평균법선벡터는 상기 식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평균법선벡터가 산출되면, 평균법선벡터와 수직인(normal) 평면을 X1Y1 평면으로 할 수 있으며, 평균법선벡터의 방향을 Z1 방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Z1 방향은, 음의 Z1축의 방향 또는 양의 Z1 축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2 윈도우(320)가 곡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제2 윈도우(320)가 외부로 지향하는 방향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negative)의 Z2축 방향이며, 제1 윈도우(220)가 외부로 지향하는 방향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negative)의 Z1축 방향이다. 음의 Z1축은 음의 Z2축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윈도우(320)가 외부로 지향하는 방향은, 제1 윈도우(220)가 외부로 지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윈도우(220)와 제2 윈도우(320)가 외부로 지향하는 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손목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윈도우(220)를 정면으로 바라보지 않는 상태에서도 제2 윈도우(320)를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시선이 Z1축과 경사를 형성하더라도 Z2축과 일치하거나 나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손목을 돌리지 않더라도 제2 윈도우(220)의 실질적 정면을 바라볼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를 착용하여 사용하는 데 있어서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40)는, 제3 바디(4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40)는, 제1 바디(210), 제2 바디(310), 그리고 제3 바디(410) 중 적어도 하나의 바디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40)는, 워치 무브먼트(26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전원부(340)는, 제1 바디(210), 제2 바디(310), 그리고 제3 바디(410) 중 적어도 하나의 바디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원부(340)는, 제2 디스플레이(3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회로기판(350)에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회로기판(350)은, 제1 바디(210), 제2 바디(310), 그리고 제3 바디(410) 중 적어도 하나의 바디에 위치할 수 있다. 회로기판(350)에 제어부(180, 도 1)가 실장될 수 있다. 회로기판(350)은, 안테나(540)와 연결되어 무선 네트워킹을 수행할 수 있다. 회로기판(350)은, 제1 전원부(240)와 제2 전원부(340)에 연결되어, 제1 전원부(240)와 제2 전원부(340) 사이의 전력 제공 관계에 관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사용자에 착용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800)에 착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800)의 팔목(wrist)에 착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워치 모듈(200)과 제2 워치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워치 모듈(200)은 제1 윈도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워치 모듈(300)은 제2 윈도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윈도우(220)와 제2 윈도우(320)가 지향하는 방향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LS1과 LS2이다. 제1 윈도우(220)는 시야각(viewing angle)을 가지며, 시야각을 벗어난 위치에서 제1 윈도우(220)를 투과하는 시각 정보를 판별하기 곤란할 수 있다. 제1 윈도우(220)는, LS1을 중심으로 LS1U와 LS1L 사이의 시야각을 가질 수 있다. 점이 찍힌 영역(dotted area)이 제1 윈도우(220)의 시야각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윈도우(320)는, LS2를 중심으로 LS2U와 LS2L 사이의 시야각을 가질 수 있다. 빗금친 영역이 제2 윈도우(320)의 시야각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워치 모듈(2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800) 손목의 상측(upper part)에 위치할 수 있다. 반면 제2 워치 모듈(3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800) 손목의 상측으로부터 이어진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윈도우(320)의 시야각의 범위 내에 사용자(800)의 안구(eye)인 UE가 자연스럽게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800)의 손목(user's wrist), 팔(user's arm), 몸통(user's body), 또는 목(user's neck)을 비틀거나 이동하지 않더라도, 사용자(800)는 자연스럽게 제2 윈도우(320)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워치 모듈(200), 제3 워치 모듈(300), 그리고 제3 워치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워치 모듈(200)은 제1 상면부(211)를 구비하는 제1 바디(210)와 제1 윈도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워치 모듈(300)은 제2 상면부(311)를 구비하는 제2 바디(310)와 제2 윈도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워치 모듈은 제3 상면부(411)를 구비하는 제3 바디(410)와 제3 윈도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윈도우(220)가 지향하는 방향을 LOS1이라 할 수 있다. LOS1은 X1Y1Z1 좌표계에서, 음(negative)의 Z1 방향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X1Y1Z1 좌표계는, 제1 윈도우(220)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카테시안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로 볼 수 있다. 제1 윈도우(220)는 실질적으로 X1Y1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윈도우(220)는 제1 상면부(211)에 위치하므로, 제1 상면부(211)가 지향하는 방향을 LOS1이라 할 수 있다.
제2 윈도우(320)가 지향하는 방향을 LOS2라 할 수 있다. LOS2는 X2Y2Z2 좌표계에서, 음(negative)의 Z2 방향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X2Y2Z2 좌표계는, 제2 윈도우(220)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카테시안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로 볼 수 있다. 제2 윈도우(320)는 실질적으로 X2Y2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윈도우(320)는 제2 상면부(311)에 위치하므로, 제2 상면부(311)가 지향하는 방향을 LOS2라 할 수 있다.
LOS1과 LOS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LOS1은 LOS2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LOS1이 제1 윈도우(220)의 중심(center)을 지나고, LOS2가 제2 윈도우(320)의 중심을 지나는 경우, LOS1과 LOS2는 각각의 연장선이 하나의 점에서 만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LOS1과 LOS2는 하나의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LOS1과 LOS2의 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제1 윈도우(220)와 제2 윈도우(320)가 지향하는 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상면부(211)와 제2 상면부(311)가 지향하는 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2은 도 8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에서, Y1Z1 평면은 Y2Z2 평면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바디(210)는, 제1 상면부(211), 제1 하면부(213), 그리고 제1 측면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면부(211)에 제1 윈도우(22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하면부(213)는 제1 상면부(211)에 대향하되 제1 바디(210)의 외측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측면부(215)는 제1 상면부(211)와 제1 하면부(213)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측면부(215)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Y1Z1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바디(310)는, 제2 상면부(311), 제2 하면부(313), 그리고 제2 측면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면부(311)에 제2 윈도우(320)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하면부(313)는 제2 상면부(311)에 대향하되 제2 바디(210)의 외측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측면부(315)는 제2 상면부(311)와 제2 하면부(313)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측면부(315)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Y2Z2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윈도우(220)가 외부로 지향하는 방향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의 Z1축 방향이다. 제2 윈도우(320)가 외부로 지향하는 방향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의 Z2 축 방향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Z1축은 Z2축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윈도우(220)가 외부로 지향하는 방향은, 제2 윈도우(320)가 지향하는 방향과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상면부(311)에서 양의 Y축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2 바디(310)의 Z2축 상이 길이는 변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상면부(311)와 제2 하면부(313)는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상면부(311)와 제2 하면부(313)는 서로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상면부(311)가 제2 하면부(313)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였을 경우, 제2 윈도우(320)의 시야각(viewing angle) 범위에 사용자의 시선이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가 착용되는 손목의 형상은 일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 손목에 착용되는 경우 제1 바디(210)에서 제2 바디(310)로 벤딩되는 각도는 손목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손목의 형상에 대응되어 제2 윈도우(320)가 위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2 윈도우(320)가 제2 하면부(313)에 대해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제2 윈도우(320)의 시야각(viewing angle) 범위에 사용자의 시선이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윈도우(320)가 제2 하면부(313)에 대해 형성하는 각도는, Y2축을 따라 형성된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에 곡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바디는 제3 상면부(411)와 제3 하면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상면부(411)의 곡률반경은, 제3 하면부(413)의 곡률반경 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하면부(413)의 곡률반경은, 제3 상면부(411)의 곡률반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서, OP는 제3 상면부(411)의 일 지점을 나타내고, IP는 제3 하면부(413)의 일 지점을 나타낼 수 있다. OPC는 OP에서의 원호(circular arc)에 대응되는 원의 중심을 나타내며, IPC는 IP에서의 원호(circular arc)에 대응되는 원의 중심을 나타낼 수 있다. OR은, OP에서 OPC까지의 거리로서 OP에서의 곡률반경을 나타낼 수 있다. IR은, IP에서 IPC까지의 거리로서 IP에서의 곡률반경을 나타낼 수 있다. 제3 하면부(413)의 곡률반경인 IR은, 제3 상면부(411)의 곡률반경인 OR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하면부(413)의 곡률반경인 IR은, 제3 하면부(413)의 일 지점인 IP에서의 곡률반경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제3 하면부(413)의 곡률반경이 제3 하면부(413)의 지점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 평균곡률반경의 개념을 이용할 수 있다. 제3 상면부(411)의 곡률반경이 제3 상면부(411)의 지점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에도 평균곡률반경의 개념이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3 하면부(413)의 평균 곡률반경은, 제3 상면부(411)의 평균 곡률반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하면부(413)의 평균 곡률반경(averaged radius of curvature, AIR)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상기 식에서
Figure pat00007
는 제3 하면부(413)의 곡선의 일 지점을 나타내는 변수이며,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에서의 미소 길이(differential length)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적분의 구간은 제3 하면부(413)의 곡선의 전체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에서의 곡률반경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상면부(411)의 평균 곡률반경(averaged radius of curvature, AOR)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12
상기 식에서
Figure pat00013
는 제3 상면부(411)의 곡선의 일 지점을 나타내는 변수이며,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에서의 미소 길이(differential length)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적분의 구간은 제3 상면부(411)의 곡선의 전체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에서의 곡률반경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를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사시도이다. B-B'를 따라 절단된 제1 워치 모듈(200)을 살펴본다. 제1 윈도우(220)로부터 시작해서 Z1축을 따라 보면, 제1 윈도우(220), 시계침(270), 기어(261), 프레임(510), 모터(263), 그리고 회로기판(350)이 열거된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워치 모듈(200)은, 일반적인 기계식 시계(mechanical watch)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263)는, 배터리(battery)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기어(261)에게 전달할 수 있다. 기어(261)는 시계침(27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시계침(270)은, 제공받은 구동력을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침(270)은, 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기어(261)와 모터(263)를 구비한 워치 무브먼트(260)는, 시계침(27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은 도 8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를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를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은 X1Y1 평면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워치 모듈(200)의 상면부(211)에서 X1축을 따라 이동하며 제1 워치 모듈(200)의 Z1축 상의 길이를 살펴보면, 제1 워치 모듈(200)의 상면부(211)에서 X1축을 따라 제1 워치 모듈(200)의 Z1축 상의 길이는 일정할 수 있다.
도 16는 도 8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를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C-C'를 따라 절단된 제2 워치 모듈(300)을 살펴본다. 제2 윈도우(320)로부터 시작해서 Z2축을 따라 보면, 제2 윈도우(320), 제2 디스플레이(330), 프레임(510), 그리고 제2 전원부(340)가 열거된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워치 모듈(300)의 제2 상면부(311)에 위치한 제2 윈도우(320)에서 X2 축을 따라 이동하며 제2 워치 모듈(300)의 Z2축 상의 길이를 살펴보면, 제2 워치 모듈(300)의 제2 상면부(311)에서 X2 축을 따라 제2 워치 모듈(300)의 Z2축 상의 길이는 일정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워치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워치 모듈(200), 제3 워치 모듈(300), 그리고 제3 워치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워치 모듈(200)은 제1 상면부(211)를 구비하는 제1 바디(210)와 제1 윈도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워치 모듈(300)은 제2 상면부(311)를 구비하는 제2 바디(310)와 제2 윈도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워치 모듈은 제3 상면부(411)를 구비하는 제3 바디(410)와 제3 윈도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워치 모듈(400)은, 제1 워치 모듈(200)과 제2 워치 모듈(300)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워치 모듈(200)과 제2 워치 모듈(300)은 벤딩(bending)을 형성하며 이어질 수 있다. 제1 윈도우(320), 제3 윈도우(420), 그리고 제2 윈도우(320)는, 열거된 순서대로 연속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1 윈도우(220)가 지향하는 방향을 LOS1이라 할 수 있다. LOS1은 X1Y1Z1 좌표계에서, 음(negative)의 Z1 방향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X1Y1Z1 좌표계는, 제1 윈도우(220)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카테시안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로 볼 수 있다. 제1 윈도우(220)는 실질적으로 X1Y1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윈도우(220)는 제1 상면부(211)에 위치하므로, 제1 상면부(211)가 지향하는 방향을 LOS1이라 할 수 있다.
제2 윈도우(320)가 지향하는 방향을 LOS2'라 할 수 있다. LOS2'는 X'2Y'2Z'2 좌표계에서, 음(negative)의 Z'2 방향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X'2Y'2Z'2 좌표계는, 제2 윈도우(220)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카테시안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로 볼 수 있다. 제2 윈도우(320)는 실질적으로 X'2Y'2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윈도우(320)는 제2 상면부(311)에 위치하므로, 제2 상면부(311)가 지향하는 방향을 LOS2'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X2Y2Z2 좌표계 및 LOS2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X2Y2Z2 좌표계에서, X2는 X1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LOS2는 LOS1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X'2Y'2Z'2 좌표계는, X2Y2Z2 좌표계와의 관계에서 설명될 수 있다. 즉 X'2Y'2Z'2 좌표계는, X2Y2Z2 좌표계를 Y2를 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 회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X'2와 X2가 이루는 각도는, Z'2와 Z2가 이루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즉 Y2를 축으로 X2Z2평면이 일정 각도 회전하여 X'2Z'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윈도우(320)가 지향하는 방향인 LOS2'는, LOS1로부터 각도를 형성할 수 있으며, LOS2를 매개로 설명될 수 있다. X1을 축으로, LOS1을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LOS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X2를 축으로, LOS1을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LOS2가 형성될 수 있다. Y2를 축으로, LOS2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LOS2'가 형성될 수 있다. LOS2'는 LOS2와 동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으나, LOS2'는 LOS1과 동일 평면에 위치할 수 없다. 이와 같이 LOS2'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제2 윈도우(320)를 용이하게 바라볼 수 있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제2 워치 모듈의 단면도이다. 제2 워치 모듈(300)의 제2 상면부(311)에 위치한 제2 윈도우(320)에서 X'2 축을 따라 이동하며 제2 워치 모듈(300)의 Z'2축 상의 길이를 살펴보면, 제2 워치 모듈(300)의 제2 상면부(311)에서 X'2 축을 따라 제2 워치 모듈(300)의 Z'2축 상의 길이는 증가할 수 있다. 또는 제2 워치 모듈(300)의 제2 상면부(311)에서 X'2 축을 따라 제2 워치 모듈(300)의 Z'2축 상의 길이는 감소할 수 있다.
즉 제2 상면부(311)는, 제2 하면부(313)에 대하여 X'2 축을 따라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상면부(311)는, 제2 하면부(313)에 대하여, 제1 워치 모듈(200)과 제2 워치 모듈(300)을 연결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상면부(311)가 제2 하면부(313)에 대하여 형성하는 각도는, 제1 워치 모듈(200)과 제2 워치 모듈(300)을 연결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면부(311)가 제2 하면부(313)에 대하여 제1 워치 모듈(200)과 제2 워치 모듈(300)을 연결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제2 윈도우(320)의 시야각 범위에 사용자의 시선이 용이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제어부(180), 제1 워치 모듈(200), 그리고 제2 워치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회로기판(350)에 실장될 수 있다.
제1 워치 모듈(200)은 제1 디스플레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230)는, 제1 윈도우(210)와 시계침(27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230)는, 제어부(180)에 연결되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 받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230)는 제1 전원부(240)에 연결되어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워치 모듈(200)은 제1 터치센서(2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윈도우(220)는 제1 터치센서(2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센서(280)는 제1 윈도우(22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터치센서(28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ouch input)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터치센서(28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제어부(18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터치센서(280)는 제1 지문센서(28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문센서(281)는 사용자의 지문정보(fingerprint)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지문센서(281)는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제어부(180)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워치 모듈(300)은 제2 디스플레이(330)와 제2 전원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330)는 제어부(180)에 연결되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 받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33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touch input)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전원부(340)는 제2 디스플레이(330)와 제어부에 연결되어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0 및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워치 모듈(200)은, 시계침(270)과 제1 디스플레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23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침(270)의 움직임이 제1 윈도우(220)를 통해 투영되며 정보가 표시되는 제1 화면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씨 정보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230)가 제1 화면상태에 있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230)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23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침(270)의 움직임이 제1 윈도우(220)를 통해 투영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보가 표시되는 제3 화면상태에 있을 수 있다. 즉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230)가 제3 화면상태에 있는 경우, 제1 윈도우(220)를 통해 토사되는 영상은 제1 디스플레이(230)의 영상으로 제한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230)는, 시계침(270)의 움직임이 제1 윈도우(220)를 통해 투영되나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제2 화면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230)가 제2 화면상태에 있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는, 제어부(18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지 않을 수 있으며, 또는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터치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230)는 제1 화면상태에 있을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230)와 제1 윈도우(220)를 통해 시계침(270)의 이미지가 통과할 수 있다. 제1 윈도우(220)는 제1 터치센서(2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터치센서(280)로부터 획득된 입력을 제공받아 처리할 수 있다.
제1 터치센서(28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touch input)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 제공의 편의를 위해, 제1 디스플레이(23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230)에서 제공하는 아이콘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터치센서(280)가 위치하여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230)는 복수 개의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공되는 아이콘이 변경될 수 있다. 제1 터치센서(280)는, 제1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되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문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터치센서(280)는 제1 지문센서(28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워치 모듈(300)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할 수 있으며 특히 보안(security)과 관계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보안과 밀접한 어플리케이션은 실행에 앞서 사용자의 지문(fingerprint)과 같은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제1 지문센서(281)는 제1 윈도우(22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문센서(281)는 제1 윈도우(220)의 내측에 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3은, 금융거래에 관계된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해, 제1 지문센서(281)에서 획득된 지문정보가 이용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2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전원부와 제2 전원부 사이의 전력 이동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제1 전원부(240)는 제1 디스플레이(230), 워치 무브먼트(260), 제1 터치센서(280), 그리고 제1 지문센서(281) 등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전원부(340)는 제2 디스플레이(330), 회로기판(350) 등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전원부(340)에 충전된 전력이 소진되면, 제2 디스플레이(330)와 회로기판(350) 등이 작동할 수 없을 수 있다. 제1 전원부(240)는, 제1 워치 모듈(200)의 기계식 시계로서의 항시적 기능 제공을 위해 제2 워치 모듈(300)로 전력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제2 전원부(340)에 충전된 전력이 소진되고 제2 워치 모듈(300)의 사용이 긴박한 경우, 제2 워치 모듈(300)이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제2 워치 모듈(300)은 자동 설정에 의해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워치 모듈(300)이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은, 제2 전원부(340)가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구조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전원부(240)가 제2 전원부(34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전원부(340)의 전력이 불충분한 경우, 제어부(180)가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제2 전원부(340)로 전력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제어부(180)가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제2 전원부(340)로 전력을 제공하는 방법은, 제2 전원부(340)가 전력을 소비하는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330)와 회로기판(350)이 작동하면 제2 전원부(340)의 전력이 소비될 수 있다. 제2 전원부(340)가 전력을 소비하다 보면, 기설정된(predetermined) 수치 이하의 전력에 이를 수 있다. 제2 전원부(34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이 가능할 수 있으나, 그렇지 못한 경우 제2 전원부(340)는 기설정된 수치 이하의 전력에 이를 수 있다. 상기 수치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제2 전원부(340)가 기설정된 수치 이하의 전력에 이른 경우 이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가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제2 전원부(340)로 전력을 제공하는 방법은, 제2 전원부(340)가 기설정된 수치 이하의 전력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원부(340)가 기설정된 수치를 초과한 전력을 유지하는 경우, 제2 전원부(340)의 전력은 계속 소비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제2 전원부(340)가 기설정된 수치 이하의 전력을 유지하는 경우, 제2 전원부(340)에 대한 전력 공급이 문제될 수 있다. 제어부(180)가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제2 전원부(340)로 전력을 제공하는 방법은,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제2 전원부(340)로의 전력 공급에 관하여 자동 설정되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제2 전원부(340)로의 전력 공급에 관하여 자동 설정되었다면, 자동으로 전력을 공급을 할 것인지 아닌 것인지 판단할 필요가 있다. 즉 제어부(180)가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제2 전원부(340)로 전력을 제공하는 방법은,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제2 전원부(34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제2 전원부(34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설정되지 않았다면, 제2 전원부(340)가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는 방법은 종료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제2 전원부(34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설정되었다면, 제어부(180)는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제2 전원부(34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가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제2 전원부(340)로 전력을 제공하는 방법은, 제어부(180)가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제2 전원부(340)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제2 전원부(340)로 전력 공급에 관하여 자동 설정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즉 제어부(180)가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제2 전원부(340)로 전력을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가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제2 전원부(340)로 전력을 제공하는 방법은,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제2 전원부(340)로 전력을 공급하라는 입력이 획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제2 전원부(340)로 전력을 공급하라는 입력이 획득된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제2 전원부(34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제2 전원부(340)로 전력을 공급하라는 입력이 획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가 제1 전원부(240)로부터 제2 전원부(340)로 전력을 제공하는 방법은 종료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전원부의 충전시 제1 전원부의 충전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제2 전원부(34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충전 가능할 수 있다. 제2 전원부(340)는 제2 디스플레이(330)와 회로기판(350) 및 안테나(540)등에 연결되어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원부(340)는 제1 전원부(240)에 비하여 전력 소비가 많을 수 있다.
제1 워치 모듈(200)은 기계식 시계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전원부(240)는 일반적 시계에서 사용되는 배터리(battery)일 수 있다. 일반적 시계에서 사용되는 배터리는 충전할 수 없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원부(240)는 충전 가능할 수 있다.
제2 전원부(340)는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제2 전원부(340)에 비하여 그 빈도는 낮을 수 있으나, 제1 전원부(240)도 충전할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제2 전원부(340)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 충전하는 경우, 제1 전원부(240)를 충전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제1 전원부(240)의 충전은 제2 전원부(340)의 충전을 전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원부(240)를 충전하는 방법은, 제2 전원부(340)를 충전하는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40)를 충전하는 방법은, 제2 전원부(340)가 기설정된 수치까지 충전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원부(340)가 기설정된 수치까지 충전되지 않았을 경우, 제2 전원부(340)를 계속 충전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40)를 충전하는 방법은, 제1 전원부(240)의 충전에 관하여 자동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원부(340)가 기설정된 수치(예를 들어 95%)까지 충전되었을 경우, 제1 전원부(240)의 충전 여부에 관하여 설정이 자동으로 되어 있는지 판단할 필요가 있다.
제1 전원부(240)를 충전하는 방법은, 제1 전원부(240)를 충전하는 설정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40)의 충전에 관하여 자동 설정된 경우, 제1 전원부(240)를 충전하도록 하는 설정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가 필요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40)를 충전하는 방법은, 제1 전원부(240)를 충전하는 단계(S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40)를 충전하도록 하는 설정이 있는 경우에 제1 전원부(240)를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40)는, 제2 전원부(340) 또는 외부 전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제1 전원부(240)를 충전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40)의 충전에 관하여 자동 설정되지 않은 경우, 수동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획득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제1 전원부(240)를 충전하는 방법은, 제1 전원부(240)를 충전하라는 입력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부(240)를 충전하라는 입력이 획득되었다면, 제1 전원부(240)를 충전할 수 있다. 반면 제1 전원부(240)를 충전하라는 입력이 획득되지 않았다면, 제1 전원부(240)를 충전하는 방법은 종료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800)가 손목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손목을 비틀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제2 워치 모듈(300)을 편하게 볼 수 있다.
제3 워치 모듈(400)은 제3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는, 제1 워치 모듈(200)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디스플레이는, 제1 워치 모듈(200)의 배터리 수명 등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는, 제3 디스플레이는, 제2 워치 모듈(300)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디스플레이는, 제2 워치 모듈(300)의 배터리 수명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 내에 위치하는 워치 무브먼트와, 상기 제1 바디에 연결된 제1 윈도우와, 상기 워치 무브먼트와 제1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워치 무브먼트에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시계침을 구비하는 제1 워치 모듈; 및
    상기 제1 바디에서 연장된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위치하는 회로기판과, 상기 제2 바디에 연결된 제2 윈도우와, 상기 회로기판과 제2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된 제2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제2 워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는,
    상기 제1 윈도우가 외부로 지향하는 방향이 상기 제2 윈도우가 외부로 지향하는 방향과 다르도록 굽힘(bending)을 형성하되 내부가 서로 연통된 전자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1 윈도우가 위치하는 제1 상면부와,
    상기 제1 상면부에 대향하되 상기 제1 바디의 외측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하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윈도우가 위치하는 제2 상면부와,
    상기 제2 상면부에 대향하되 상기 제2 바디의 외측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 하면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면부는,
    상기 제2 하면부에 대해 경사를 형성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면부는,
    상기 제2 하면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워치 모듈과 상기 제2 워치 모듈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를 형성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면부는,
    상기 제2 하면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워치 모듈과 상기 제2 워치 모듈을 연결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을 따라 경사를 형성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연결하며 연통하는 제3 바디,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를 연결하는 제3 윈도우를 구비하는 제3 워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바디는, 상기 제3 윈도우가 위치하는 제3 상면부, 그리고 상기 제3 상면부에 대항하되 상기 제3 바디의 외측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3 하면부를 구비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상면부는, 상기 제1 상면부와 상기 제2 상면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3 하면부는, 상기 제1 하면부와 상기 제2 하면부를 연결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제3 하면부의 곡률반경은, 제3 상면부의 곡률반경 보다 작게 형성된 전자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워치 모듈은, 상기 워치 무브먼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워치 모듈은, 상기 회로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며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할 수 있는 제2 전원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부와 상기 제2 전원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획득된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전원부로부터 상기 제2 전원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워치모듈은,
    상기 제1 윈도우와 상기 시계침 사이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원부와 상기 제2 전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서 획득된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전원부로부터 상기 제2 전원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부와 상기 제2 전원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부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충전되면 상기 제2 전원부와 상기 외부 전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전원부를 충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윈도우와 상기 제2 윈도우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워치 모듈은,
    상기 제1 윈도우와 상기 시계침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상기 시계침이 상기 제1 윈도우를 통해 투영되며 정보가 표시되는 제1 화면상태와, 상기 시계침이 상기 제1 윈도우를 통해 투영되나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제2 화면상태와, 상기 시계침이 상기 제1 윈도우를 통해 투영되지 않으며 정보가 표시되는 제3 화면상태 중 하나의 화면상태인 전자 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윈도우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는 제1 터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센서로부터 획득된 입력을 제공받아 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센서는,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제1 지문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KR1020160005802A 2016-01-18 2016-01-18 전자디바이스 KR2017008622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802A KR20170086229A (ko) 2016-01-18 2016-01-18 전자디바이스
US15/408,377 US9936057B2 (en) 2016-01-18 2017-01-17 Electronic device
EP17741640.1A EP3403145B1 (en) 2016-01-18 2017-01-18 Electronic device
PCT/KR2017/000589 WO2017126874A1 (en) 2016-01-18 2017-01-18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802A KR20170086229A (ko) 2016-01-18 2016-01-18 전자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229A true KR20170086229A (ko) 2017-07-26

Family

ID=5931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802A KR20170086229A (ko) 2016-01-18 2016-01-18 전자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36057B2 (ko)
EP (1) EP3403145B1 (ko)
KR (1) KR20170086229A (ko)
WO (1) WO20171268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3913B (zh) * 2015-09-21 2018-07-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智能手表、操作控制方法及装置
USD849139S1 (en) * 2016-11-11 2019-05-21 Lg Electronics Inc. Partition with monitor for advertisement
USD843453S1 (en) * 2016-11-11 2019-03-19 Lg Electronics Inc. Partition with monitor for advertisement
TWI680401B (zh) * 2017-01-25 2019-12-2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與其操作方法
CN107422633A (zh) * 2017-09-22 2017-12-01 何小霞 一种多功能手表
CH714371A1 (fr) * 2017-11-27 2019-05-31 Arcofil Sa Boîtier ergonomique à compartiments multiples, notamment de montres et de bracelets connectés.
CN109507864A (zh) * 2018-12-26 2019-03-22 深圳市隐秀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石英手表及交互控制方法
CN109991835A (zh) * 2019-02-22 2019-07-0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
USD932330S1 (en) * 2019-06-19 2021-10-05 Lippische Consulting & Beteiligungen GmbH Watch face
EP3819719A1 (fr) * 2019-11-08 2021-05-12 Tissot S.A. Montre connectée comprenant un écran d'animation visuelle
USD927339S1 (en) * 2019-12-19 2021-08-10 Lippische Consulting & Beteiligungen GmbH Watch fa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8139B (en) * 1995-01-13 1999-06-16 Radley Smith Philip John Bracelet
JP2001064553A (ja) 1999-08-30 2001-03-13 Seiko Epson Corp 熱可逆性物質を含有したインク、記録方法及び記録物
JP2002298129A (ja) 2001-04-03 2002-10-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指紋照合装置
WO2005083546A1 (en) * 2004-02-27 2005-09-09 Simon Richard Daniel Wearable modular interface strap
US7408846B2 (en) * 2005-03-11 2008-08-05 Fredi Brodmann Ornamental article
CN2791708Y (zh) * 2005-04-13 2006-06-28 郝伟光 带触摸屏电子手表
KR100891774B1 (ko) * 2007-09-03 2009-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페이스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방법
TW200913653A (en) 2007-09-12 2009-03-16 da-peng Zheng Watch-type body-temperature-charged interruption-free mobile phone device
JP2011064553A (ja) * 2009-09-16 2011-03-31 Seiko Epson Corp 電子時計
US8279716B1 (en) * 2011-10-26 2012-10-02 Google Inc. Smart-watch including flip up display
US9245165B2 (en) * 2013-03-15 2016-01-2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uxiliary functionality control and fingerprint authentication based on a same user input
US9568891B2 (en) 2013-08-15 2017-02-14 I.Am.Plus, Llc Multi-media wireless watch
KR102169952B1 (ko) * 2013-10-18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01599A (ko) 2014-02-27 2015-09-04 이상복 스마트워치
US9727296B2 (en) * 2014-06-27 2017-08-08 Lenovo (Beijing) Co., Ltd. Display switch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6231997A (zh) * 2014-07-07 2016-12-14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手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36057B2 (en) 2018-04-03
EP3403145A4 (en) 2019-08-14
WO2017126874A1 (en) 2017-07-27
EP3403145A1 (en) 2018-11-21
EP3403145B1 (en) 2020-10-07
US20170208160A1 (en)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6229A (ko) 전자디바이스
KR101909532B1 (ko) 전자 디바이스
CN108076212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10191455B2 (en) Watch type terminal
US10284763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and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80164973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6013667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9388A (ko) 전자디바이스
US10579260B2 (en) Mobile terminal having display screen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for unlocking connected devices using an operation pattern
KR20170008996A (ko) 전자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EP3109748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95398B1 (ko) 밴드 타입 단말기
KR2017004150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02848A (ko) 전자 디바이스
KR20160095887A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69575A (ko) 와치타입 단말기
KR20170008567A (ko) 전자 디바이스
KR101848870B1 (ko) 전자 디바이스
KR2017002975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994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89249A (ko)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1804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37293A (ko)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4246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8077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