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614B1 - 이동단말기 및 열확산 부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열확산 부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614B1
KR102114614B1 KR1020130105302A KR20130105302A KR102114614B1 KR 102114614 B1 KR102114614 B1 KR 102114614B1 KR 1020130105302 A KR1020130105302 A KR 1020130105302A KR 20130105302 A KR20130105302 A KR 20130105302A KR 102114614 B1 KR102114614 B1 KR 102114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play panel
thermal diffusion
mobile terminal
diffu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445A (ko
Inventor
서동업
김두일
김인중
박종욱
송창우
김병수
박영진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5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614B1/ko
Priority to US14/302,635 priority patent/US9575522B2/en
Priority to EP14002655.0A priority patent/EP2843501B1/en
Priority to CN201410445365.5A priority patent/CN104427048B/zh
Publication of KR20150026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445A/ko
Priority to US15/400,226 priority patent/US9877412B2/en
Priority to US15/861,297 priority patent/US2018013237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3Cooling means for portable computers, e.g. for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Abstract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하며, 프레임과 사이에 전장부를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열확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확산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하는 금속판; 상기 금속판의 배면에 결합하는 열확산 원단층; 및 상기 열확산 원단층과 상기 금속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금속판과 상기 열확산 원단층을 결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프레임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더라도 강성이 있는 열확산 부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충분히 지지하면서 열확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열확산 부재 제조방법{MOBI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E FOR HEAT SPREADER MODULE}
본 발명은 열확산층을 개선하여 열확산 성능을 유지하면서 두께를 얇게 구현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며 손에 들고 사용하기 때문에 크기를 작게 하고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능이 더욱 다양해 짐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시간이 더 길어지게 되어 방열성능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으며, 휴대성의 문제도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열확산층을 개선하여 열확산 성능을 유지하면서 두께를 얇게 구현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하며, 프레임과 사이에 전장부를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열확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확산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하는 금속판; 상기 금속판의 일면에 결합하는 열확산 원단층; 및 상기 열확산 원단층과 상기 금속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금속판과 상기 열확산 원단층을 결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열확산 원단층은 그라파이트(graphite) 일 수 있다.
상기 열확산 원단층의 노출면에 결합하는 커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층은 폴리이미드 또는 구리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확산 부재는 상기 금속층, 상기 접착층, 상기 열확산 원단층 및 상기 커버층을 적층한 후 열압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확산 부재는 각 층을 롤링방식으로 적층할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은 스테인레스 스틸(STS)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열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확산 원단층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중 적어도 일방향의 크기가 상기 금속판보다 작아 좌우 또는 상하 중 적어도 하나는 단부가 상기 금속판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열확산 부재는 모서리가 곡선으로 가공할 수 있다.
상기 열확산 원단층 또는 상기 금속판 중 적어도 하나에 개구부 또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배터리 실장부와 배면에 형성된 기판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실장부에 삽입되는 배터리 및 상기 기판지지부에 안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확산 부재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열확산 부재과 상기 프레임을 부착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의 면적은 상기 프레임의 면적 대비 1.2%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열확산 부재 제조 방법은 금속층 위에 상기 접착층을 롤링방식으로 합지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 위에 상기 열확산 원단층을 롤링방식으로 합지하는 단계; 상기 열확산 원단층 위에 롤링방식으로 구리층을 합지는 단계; 및 상기 합지된 금속층, 접착층, 열확산 원단층 및 구리층을 작은 사이즈로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확산 원단층을 합지하는 롤러는 상기 구리층 및 접착층을 합지하는 롤러에 비해 사이즈가 작을 수 있다.
각 열확산 부재의 모서리를 곡선으로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더라도 강성이 있는 열확산 부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충분히 지지하면서 열확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을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배터리에 의한 전장부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이동 단말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프레임과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열확산 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열확산 부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열확산 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열확산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lobaltransparen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터치센서(137)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제어부 및 충전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전면의 투명한 윈도우 글래스(109)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윈도우 글래스(109)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사용자가 탈착이 필요한 배터리,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 등이 있다. 이 때,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그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후면커버(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103)를 제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이 노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만 노출될 수도 있고, 상기 후면커버(103)의 사이즈를 작게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일부도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전체를 커버하는 경우 카메라(12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1, 102, 103)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과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 출력 모듈(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3 조작유닛(133)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조작 유닛들(131, 132, 133)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면 인식하는 버튼방식이 있을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외에 조작 유닛(131, 132, 133)에도 터치센서(137)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만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 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바디 후면의 음향 출력 모듈(152')은 바디 전면의 음향 출력 모듈(152, 도 2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윈도우 글래스(109), 디스플레이 패널(151), 열확산 부재(200), 프레임(105), 인쇄회로기판(185), 배터리(191) 및 리어 케이스(102)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51)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하며,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51)에 터치센서를 적층하여 출력기능 외에 입력기능까지 수행하면서 점점 크기가 커지고 있다.
윈도우 글래스(109)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51)을 전면에서 보호하며, 윈도우 글래스(109)에 터치센서를 적층하여 윈도우 글래스(109)와 디스플레이 패널(151)을 적층하면 터치입력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151)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는 프레임(105)에 디스플레이 패널(151)을 안착하고, 프론트 케이스로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전면을 커버하였으나, 최근에는 베젤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를 생략하고 전면의 윈도우 글래스(109)가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전면을 커버하며, 디스플레이부(151)가 프레임(105)에 안착된다.
종래 프론트 케이스에 실장하던 카메라(121)나 리시버(152), 마이크(122) 등은 프레임(105)과 리어 케이스(102) 사이의 공간, 즉 전장부에 실장한다. 상기 프레임(105)은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제조할 수 있다.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경우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강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프레임(105)은 디스플레이 패널(151)을 지지하기 위해 전면은 편평한 면을 구비하고, 각종 부품이 실장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배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이 안착되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5)의 배면은 배터리(191)가 삽입되는 배터리 실장부(105a)와, 인쇄회로기판(185)이 안착되는 기판 지지부(105b)를 포함한다.
리어 케이스(102)는 상기 프레임(105)의 배면에 결합하며, 프레임(105)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 전장부를 형성한다. 전장부에는 배터리(191), 인쇄회로기판(185) 뿐만 아니라 카메라(121), 리시버(152), 마이크(122) 등 부품이 실장된다.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를 박형화하는 추세에 따라 전장부의 크기를 작게할 필요가 있다. 전장부에 실장되는 부품 중 배터리(191)가 두께가 가장 두꺼워, 배터리(191) 두께 이상의 전장부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프레임(105)에 배터리(191)가 위치하는 부분을 개방하여 배터리 실장부(105a)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단면도인 도 6을 참고하면, 프레임(105)의 배터리 실장부(105a)에 배터리(191)가 삽입됨으로써 프레임(105)의 두께만큼 전장부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191)와 디스플레이 패널(151)사이의 지지 구조가 사라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열확산 부재(200)는 강성이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151)과 배터리 실장부(105a)의 사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열확산 부재(20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열을 확산시키기 위해 프레임(105)와 디스플레이 패널(151) 사이에 위치한다.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각종 전자소자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85)에서 열이 많이 발생한다. 컴퓨터와 같이 일정크기 이상되는 전자장치에서는 냉각기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동 단말기(100)는 휴대성 측면에서 냉각팬 등을 실장할 수 없으므로, 열전도율이 우수한 소재를 개재하여 특정 부위에서 발생하는 열을 확산시킨다.
본 발명의 열확산 부재(200)는 소정의 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인 열확산 필름은 그라파이트(graphite) 원단의 일면에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적층하고 타면엔 접착층(221)을 적층하여 테이프처럼 프레임(105)에 부착하였다. 이때 접착층(221)에 금속 등 열전도성 물질을 포함시켜 접착층(221)에 의해 열확산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열확산 부재(200)는 그라파이트 원단와 같은 열확산 원단층(220)을 STS와 같이 강성을 가지고 있는 금속판(210)에 적층하고, 열확산 원단층(220)과 금속판(210) 사이에 수지(211)를 개재하여 열압착방식으로 형성한다. 열확산 원단층(220)은 그라파이트 외에 열전도율이 좋은 구리나 은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열확산 원단층(220)이 그라파이트인 경우 열확산 원단층(220)이 쉽게 훼손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보호하기 위해 금속판(210)과 결합되지 않은 열확산 원단층(220)의 반대면에 커버층(223)을 더 적층할 수 있다.
커버층(223)은 열확산 원단층(220)을 보호하면서 가능한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 폴리이미드를 이용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는 내열성이 뛰어나고 온도가 변화하더라도 치수변화가 적으며 내마찰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열확산 원단층(220)과 금속판(210)을 열압착할 때 기포가 생겨 부분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기포가 있으면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되고, 공기층에 의해 열확산 성능이 떨어지므로,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도 7a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확산 원단층(220)과 금속판(210) 중 적어도 한 쪽에 개구부(222, 212) 또는 슬릿(22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a는 열확산 부재(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로서 열확산 원단층(220)에 슬릿(221)이 형성되며, 도 7b는 열확산 부재(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로서, 열확산 원단층(220)에 개구부(222)가 형성된다. 도 7c는 열확산 부재(200)가 아닌 금속판(210)에 개구부(212)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와 같이 금속판(210) 또는 열확산 원단층(220)에 개구부(222, 212) 또는 슬릿(221)이 형성되여 금속판(210)과 열확산 원단층(220) 사이에 열압착시 생기는 기포가 개구부(222, 212)나 슬릿(221)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열확산 원단층(220)과 커버층(223)이 금속층(210)과 같은 사이즈로 제조되어 금속층(210)과 같은 위치에 단부가 위치하면 금속층(210)으로부터 열확산 원단층(220)과 커버층(223)이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확산 원단층(220)과 커버층(223)을 금속층(210)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여 열확산 원단층(220)과 커버층(223)의 단부가 금속층(210)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폴리이미드 외에 커버층으로 구리를 이용할 수 있다. 구리를 이용하는 경우 폴리이미드에 비해 두께가 두꺼워 질 수는 있으나, 금속층(210)과 함께 열확산 부재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구리는 열전도성이 크기 때문에 열확산 원단(220)과 함께 열확산 부재(200)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리를 커버층(223)으로 이용하는 경우 전술한 열압착 방식보다 롤링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링방식이란 얇은 박막형태의 부재를 롤형태로 감은 후에 롤을 풀어가며 박막형태의 부재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방식이다.
도 8은 롤링방식으로 열확산 부재(200)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먼저 금속층(STS)(210)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221)을 형성한다(S10). 점착제의 도포도 양면테이프를 롤링방식으로 STS와 합지할 수 있다. 접착층(221)을 STS에 적층한 제1 조립체(1st Assy)에 그라파이트 원단(220)을 롤링방식으로 합지하여 제2 조립체(2nd Assy)를 구성하 고(S20), 그 위에 구리층(223)을 합지한다(S30). 이런 롤링방식으로 합지한 열확산 부재의 원단은 긴 테이프 형상으로 제조되며 필요한 크기로 커팅하여(S40) 열확산 부재(200)를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롤링방식은 일방향으로 STS가 이동하면서 그 위에 그래파이트 원단과 구리층을 적층하므로 긴 테이프 형상인바, 도 7a 또는 도 7b와 같이 열확산 원단층(220)과 커버층(223)의 4개 측면이 모두 금속층(210)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도 9a 또는 도 9b와 같이 열확산 원단층(220)과 커버층(223)의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은 금속층(210)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다른 양 측은 금속층(210)의 단부와 같은 위치에 위치시키는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 9c와 같이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 처리하면, 열확산 부재(200)의 각 층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서리를 라운드 처리하면 도 9a 나 도 9b와 같이 열확산 원단층(220) 및 커버층(223) 단부를 내측으로 위치시키지 않더라도 열확산 원단층(220) 및 커버층(223)이 금속층(210)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열확산 부재(200)를 프레임(105)에 부착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215)를 이용할 수 있다. 접착 테이프(215)는 열확산 부재(200) 전체에 적층하면 인쇄회로기판(185)에서 발생하는 열이 열확산 원단층(220)에 전달되지 않아 방열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사이즈의 접착테이프(215)를 이격하여 부착하여 접착테이프(215)를 열확산 원단층(220) 면적의 1.2%이하의 면적에 부착하면 접착테이프(215)를 부착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시 거의 온도차가 없어 방열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프레임(105)의 구조에 따른 방열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실온에서 프레임(105)의 일면에 3.4W짜리 LED를 구동시에 반대편 면에서 온도를 측정한다. 도 10은 프레임(105)와 열확산 부재(200)의 조합에 따른 8가지 구조별로 열확산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R1은 배터리 실장부(105a)가 개방되지 않은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프레임(105)이고, R2는 R1의 프레임(105)에 0.025mm의 인조 그라파이트를 적층한 것이다. R3는 배터리 실장부(105a)가 개방된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프레임(105)이고, R4는 R3에 0.1mm의 STS(steel)를 적층한 것이다.
A는 배터리 실장부(105a)가 개방된 R3에 0.05mm의 구리층과 0.1mm의 STS(steel)를 적층한 것이고, B는 배터리 실장부(105a)가 개방된 R3의 프레임(105)에 0.05mm의 천연 그라파이트 및 0.1mm의 STS(steel)를 적층한 것이다.
C는 배터리 실장부(105a)가 개방된 R3의 프레임(105)에 0.025mm의 인조 그라파이트 및 0.1mm의 STS(steel)를 적층한 것이고, D는 배터리 실장부(105a)가 개방된 R3의 프레임(105)에 0.025mm의 인조 그라파이트 2층 및 0.1mm의 STS(steel)를 적층한 것이다.
배터리 실장부(105a)의 프레임(105)을 생략하면 그만큼 열확산이 느려지는 문제가 있어 R1에 비해 R3의 온도가 높다. 그러나, A 내지 D와 같이 본 발명의 열확산 부재(200)를 부가한 경우 온도를 3℃ 이상 낮출 수 있다.
A는 열확산 원단층(220)으로 구리를 이용한 것이고, B는 천연 그라파이트 C와 D는 인조 그라파이트를 이용한 것이다. 구리와 천연 그라파이트에 비해 인조 그라파이트의 열확산 효율이 높고 더 얇게 제조 가능하다. 두께를 줄이면서 열확산 효율을 확보하기 위해 C와 같은 열확산 부재(200)와 프레임(105)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1은 구리를 커버층으로 이용한 경우 방열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비교 그래프로서, R5는 마그네슘 프레임, R6는 알루미늄 플레이트에 이중사출하여 형성한 마그네슘 프레임, R7은 마그네슘 프레임에서 배터리 실장부(105a)을 개방한 프레임의 방열성능을 나타낸다.
R8은 R7의 프레임에서 그라파이트만 적층한 경우이고, E와 F는 배터리 실장부(105a)을 개방한 프레임에 본 발명의 STS(210)에 그파파이트 원단(220)과 구리 커버층(223)을 구비한 열확산 부재(220)를 적층한 경우의 방열성능을 나타낸다.
E는 구리 커버층(223)이 디스플레이부(151)를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이고 F는 구리 커버층(223)이 배터리(191)를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의 방열성능을 나타낸 것이다. STS보다 구리가 열전도율이 크기 때문에 방열성능은 조금 더 우수하게 나타나나 양측 모두 우수한 열확산 성능을 나타내어 양쪽 모두 실제 제품에 적용 가능한 방열성능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기존의 프레임의 열확산 성능에 비해 그라파이트층을 구비한 R7, E, F의 경우가 방열성능이 우수하다. 다만, 그라파이트만 프레임에 적층하면 배터리 실장부(105a)의 배면을 지지할 수 없는 바, E 및 F와 같이 금속층(220)과 커버층(223)을 구비한 열확산 부재(22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105)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더라도 소정의 강성이 있는 열확산 부재(2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51)을 충분히 지지하면서 열확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5)을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배터리에 의한 전장부의 두께를 줄여 이동 단말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 단말기 105: 프레임
105a: 배터리 실장부 105b: 기판지지부
102: 리어 케이스 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출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85: 인쇄회로기판
190: 전원공급부 191: 배터리
200: 열확산 부재 210: 금속판
215: 접착테이프 220: 열확산 원단층
221: 접착층 223: 커버층

Claims (16)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보호하는 윈도우 글래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편평한 전면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 사이에 배치되는 열확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배면은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실장부 및 인쇄회로기판이 수용하는 기판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배터리 실장부는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확산 부재는
    구리 층; 및
    상기 구리 층에 적층되고 제1 방향의 크기는 상기 구리 층과 같고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의 크기는 상기 구리 층보다 작은 그라파이트 층을 포함하고,
    상기 그라파이트 층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확산 부재는 상기 구리 층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확산 부재는 상기 구리 층이 상기 프레임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릿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매트릭스 어레이(Matrix Array)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하는 리어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확산 부재 및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확산 부재 및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는 상기 열확산 부재의 1.2%이하 면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한 내장형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구비된 윈도우 글래스;
    편평한 전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인접하게 구비되는 프레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프레임의 전면 사이에 구비되는 열확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배면은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하는 배터리 실장부 및 기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확산 부재는
    구리; 및
    상기 구리에 적층되고 제1 방향의 크기는 상기 구리와 같고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의 크기는 상기 구리보다 작은 그라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파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릿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매트릭스 어레이(Matrix Array)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하는 리어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확산 부재 및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확산 부재 및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는 상기 열확산 부재의 1.2%이하 면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삭제
KR1020130105302A 2013-09-03 2013-09-03 이동단말기 및 열확산 부재 제조방법 KR102114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302A KR102114614B1 (ko) 2013-09-03 2013-09-03 이동단말기 및 열확산 부재 제조방법
US14/302,635 US9575522B2 (en) 2013-09-03 2014-06-12 Mobi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heat spreader module
EP14002655.0A EP2843501B1 (en) 2013-09-03 2014-07-30 Mobile terminal with a heat spreader module
CN201410445365.5A CN104427048B (zh) 2013-09-03 2014-09-03 移动终端和散热器模块的制造方法
US15/400,226 US9877412B2 (en) 2013-09-03 2017-01-06 Mobi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heat spreader module
US15/861,297 US20180132377A1 (en) 2013-09-03 2018-01-03 Mobi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heat spreader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302A KR102114614B1 (ko) 2013-09-03 2013-09-03 이동단말기 및 열확산 부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445A KR20150026445A (ko) 2015-03-11
KR102114614B1 true KR102114614B1 (ko) 2020-05-25

Family

ID=51454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302A KR102114614B1 (ko) 2013-09-03 2013-09-03 이동단말기 및 열확산 부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9575522B2 (ko)
EP (1) EP2843501B1 (ko)
KR (1) KR102114614B1 (ko)
CN (1) CN10442704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3129A1 (ko) * 2021-02-09 2022-08-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528927A (zh) * 2014-01-14 2015-07-16 Phihong Technology Co Ltd 新構裝散熱設計
KR102276380B1 (ko) * 2015-01-15 2021-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CN104836871A (zh) * 2015-05-08 2015-08-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机主板散热石墨片及手机
CN106319311A (zh) * 2015-06-18 2017-01-1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设备
KR102415651B1 (ko) 2015-07-01 2022-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011544A (ko) * 2015-07-23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를 해체하는 방법
CN105235307B (zh) * 2015-09-01 2016-04-27 山东安诺克新材料有限公司 一种导热膜石墨复合材料
US10177441B2 (en) * 2015-10-15 2019-01-08 Asustek Computer Inc. Antenna module
CN106909183A (zh) * 2015-12-23 2017-06-30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温度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10085364B2 (en) 2016-08-11 2018-09-25 Seagate Technology Llc SSD internal thermal transfer element
CN106534408A (zh) * 2016-10-27 2017-03-22 深圳市奈士迪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具有高效散热功能的智能手机
US10820455B2 (en) * 2016-11-22 2020-10-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80081272A (ko) * 2017-01-06 201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구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678445B2 (en) 2017-01-25 2023-06-13 Apple Inc. Spatial composites
KR20210146432A (ko) 2017-03-29 2021-12-03 애플 인크. 통합형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갖는 디바이스
KR102367881B1 (ko) 2017-07-03 2022-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391715A (zh) * 2017-08-04 2019-02-26 深圳市掌阅科技有限公司 具有金属支架的移动终端
WO2019067772A1 (en) * 2017-09-29 2019-04-04 Mikael Silvanto MULTI-PART DEVICE SPEAKER
CN108183981A (zh) * 2017-12-21 2018-06-19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移动终端
KR102036755B1 (ko) * 2018-01-29 2019-10-25 (주)에스엠하이테크 열확산 시트의 제조방법
KR102589854B1 (ko) * 2018-02-06 202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JP2019179174A (ja) * 2018-03-30 2019-10-1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478060B1 (ko) 2018-07-30 2022-1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US11175769B2 (en) 2018-08-16 2021-11-1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lass enclosure
US11133572B2 (en) 2018-08-30 2021-09-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segmented housing having molded splits
US11258163B2 (en) 2018-08-30 2022-02-22 Apple Inc. Housing and antenna architecture for mobile device
US11189909B2 (en) 2018-08-30 2021-11-30 Apple Inc. Housing and antenna architecture for mobile device
US10705570B2 (en) 2018-08-30 2020-07-0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ousing with integrated antenna
KR102565338B1 (ko) 2018-10-02 2023-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US10886821B2 (en) * 2018-12-28 2021-01-05 Apple Inc. Haptic actuator including thermally coupled heat spreading layer and related methods
KR102614168B1 (ko) 2019-03-25 2023-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케이블의 위치 검출 장치 및 시프트케이블의 위치 검출 장치가 구비된 전자식 수동변속기
CN113994345A (zh) 2019-04-17 2022-01-28 苹果公司 无线可定位标签
KR20200131364A (ko) 2019-05-13 2020-1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케이블의 위치 검출 장치 및 전자식 수동변속기의 시프트케이블용 위치 검출 장치
CN112714584A (zh) * 2019-10-25 2021-04-27 深圳市欣恒坤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后壳用散热石墨片
KR20220041291A (ko) 2020-09-24 2022-04-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CN112581869B (zh) * 2020-12-16 2022-07-12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和显示装置
TWI767721B (zh) * 2021-05-26 2022-06-11 華宏新技股份有限公司 複合散熱材料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9285A (en) * 1993-09-01 1995-12-26 Ncr Corporation Liquid crystal device with an isotropic shock mounting and gasket
EP1240811B1 (en) 1999-12-01 2007-08-01 Cool Options, Inc. Structural frame of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JP2001345586A (ja) * 2000-06-02 2001-12-14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376130B2 (ja) 2004-05-28 2009-12-02 日本精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4421963B2 (ja) * 2004-07-15 2010-02-24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0669754B1 (ko) * 2004-11-10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모듈
US7306847B2 (en) 2005-01-28 2007-12-11 Graftech International Holdings Inc. Heat spreader for display device
JP4801537B2 (ja) 2005-10-13 2011-10-26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キーシート
US7558054B1 (en) * 2008-01-03 2009-07-07 Apple Inc. Display window securing system
US8243426B2 (en) * 2008-12-31 2012-08-14 Apple Inc. Reducing optical effects in a display
US8955580B2 (en) 2009-08-14 2015-02-17 Wah Hong Industrial Corp. Use of a graphite heat-dissipation device including a plating metal layer
KR101622632B1 (ko) * 2009-08-26 2016-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10099516A (ko) * 2010-03-02 2011-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엘씨디 모듈
KR20120000282A (ko) * 2010-06-25 2012-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히트 스프레더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JP2012048700A (ja) * 2010-07-29 2012-03-0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
US8391010B2 (en) 2010-08-19 2013-03-05 Apple Inc. Internal frame optimized for stiffness and heat transfer
EP2630628A4 (en) * 2010-10-18 2014-06-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ULTIFUNCTIONAL MEDICAL DEVICE FOR TELEMEDICINE APPLICATIONS
KR20130025671A (ko) * 2011-09-02 2013-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957577B2 (en) 2011-09-30 2015-02-17 Apple Inc. Integrated thermal spreading
KR20130081514A (ko) * 2012-01-09 2013-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861278B1 (ko) * 2012-03-22 2018-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4823127B (zh) * 2012-11-14 2019-06-28 Gtat公司 包含超薄蓝宝石包覆板的行动式电子装置
JP6065562B2 (ja) * 2012-12-08 2017-01-25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部品実装基板の管理方法
US9377912B2 (en) * 2012-12-11 2016-06-28 Gtat Corporation Mobi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modified sapphire
US9407746B2 (en) * 2012-12-27 2016-08-02 Gtat Corporation Mobi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sapphire cover plate having a low level of inclusions
US9092187B2 (en) * 2013-01-08 2015-07-28 Apple Inc. Ion implant indicia for cover glass or display component
US9472917B2 (en) * 2014-08-11 2016-10-18 Apple Inc. Internal component arrangement within a hous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3129A1 (ko) * 2021-02-09 2022-08-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43501A3 (en) 2015-05-27
CN104427048A (zh) 2015-03-18
US9877412B2 (en) 2018-01-23
CN104427048B (zh) 2019-08-23
US20150062823A1 (en) 2015-03-05
US20180132377A1 (en) 2018-05-10
KR20150026445A (ko) 2015-03-11
EP2843501A2 (en) 2015-03-04
US9575522B2 (en) 2017-02-21
US20170118866A1 (en) 2017-04-27
EP2843501B1 (en)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614B1 (ko) 이동단말기 및 열확산 부재 제조방법
US10381750B2 (en) Electronic device
US10141625B1 (en) Mobile terminal
US9930152B2 (en) Mobile terminal
US9436225B2 (en) Mobile terminal
US10879585B2 (en) Mobile terminal
US9743553B2 (en) Mobile terminal
KR101542411B1 (ko) 이동단말기
US9986072B2 (en) Mobile terminal
US9829733B2 (en) Mobile terminal
KR10205836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용 커버
KR102031092B1 (ko) 이동단말기
US1010795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10041926A1 (en) Mobile terminal
KR102097500B1 (ko) 이동 단말기
KR20180024285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63313A (ko) 소켓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US20200212544A1 (en) Mobile terminal
KR20200027760A (ko) 이동 단말기 및 방열시트 제조방법
KR20190077343A (ko) 이동 단말기
KR102108067B1 (ko) 이동 단말기 및 광가이드부 제조방법
KR102065419B1 (ko) 클립형 이동 단말기
KR102019122B1 (ko) 이동 단말기
KR102118048B1 (ko) 이동 단말기
KR102065406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