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411B1 -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411B1
KR101542411B1 KR1020130042286A KR20130042286A KR101542411B1 KR 101542411 B1 KR101542411 B1 KR 101542411B1 KR 1020130042286 A KR1020130042286 A KR 1020130042286A KR 20130042286 A KR20130042286 A KR 20130042286A KR 101542411 B1 KR101542411 B1 KR 101542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dhesive material
display unit
front cas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4578A (ko
Inventor
송인수
조용진
김재철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2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411B1/ko
Priority to US14/022,043 priority patent/US9483078B2/en
Publication of KR20140124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Abstract

디스플레이부; 일면에 제1 점착물질이 도포되고, 상기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과 상기 제1 점착물질에 의해 결합하는 제1 필름; 일면에 2 점착물질이 적층되고, 상기 일면이 상기 제1 필름의 타면과 상기 제2 점착물질에 의해 결합하는 프론트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물질의 점착력은 상기 제2 점착물질의 점착력보다 작은 이동 단말기는 배면에서 디스플레이부를 케이스에 부착할 수 있어, 측면의 베젤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 측면의 베젤을 줄이고, 수리시에 용이하게 디스플레이부를 분리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해 지면서, 디스플레이부의 역할이 중요해 지고 더 큰 화면의 이동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부가 커짐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가 있어, 이동 단말기 사이즈를 증가시키는 것은 최소화 하면서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확장된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 측면의 베젤을 줄이고, 수리시에 용이하게 디스플레이부를 분리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 일면에 제1 점착물질이 도포되고, 상기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과 상기 제1 점착물질에 의해 결합하는 제1 필름; 일면에 2 점착물질이 적층되고, 상기 일면이 상기 제1 필름의 타면과 상기 제2 점착물질에 의해 결합하는 프론트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물질의 점착력은 상기 제2 점착물질의 점착력보다 작은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필름은 상기 제2 점착물질에 의해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되지 않은 비결합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상기 비결합 단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결합 단부는 상기 제1 필름의 모서리 부분이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비결합 단부는 볼록하게 돌출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결합 단부는 상기 제1 필름의 모서리 부분을 계단형상으로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결합 단부의 모난 부분은 곡선처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부분은 상기 제2 점착물질이 생략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제1 필름 사이에 개재되며 일면에 제3 점착물질이 도포되고 타면에 상기 제2 점착물질이 도포된 제2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 일면에 도포된 제1 점착물질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물질는 트리메틸레이트 실리카(Trimethylated silica)를 이용할 수 있따.
상기 제1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그리고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의 제1 점착물질은은 점착강도 3gf/in 이상 30gf/in이하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결합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보다 상하로 더 연장된 윈도우 글래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연장된 부분에 결합하여 프론트 케이스와 접착되는 윈도우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곡선형상으로 휘어져 있으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에 상응하게 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면에서 디스플레이부를 케이스에 부착할 수 있어, 측면의 베젤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의 넓은 면적에서 프론트 케이스와 접착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분리시에는 제1 필름의 단부에 힘을 가해 손쉽게 분리 가능하여 디스플레이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와 프론트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필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이 적층된 모습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프론트 케이스를 결합한 배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와 프론트 케이스를 분리한 후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디스플레이부와 프론트 케이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에 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터치센서(137)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제어부 및 충전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사용자가 탈착이 필요한 배터리,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 등이 있다. 이 때,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그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후면커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를 제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이 노출된다.
케이스(101, 102)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3 조작유닛(133)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조작 유닛들(131, 132, 133)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면 인식하는 버튼방식이 있을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외에 조작 유닛(131, 132, 133)에도 터치센서(137)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만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와 프론트 케이스(10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101)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부(151)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윈도우 글래스(109), 디스플레이부(151), 제1 필름(200), 제2 점착물질(250) 및 프론트 케이스(101)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 2와 같은 직선의 바(bar) 형상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는 중간이 배면 방향으로 휘어진 이동 단말기(100)에도 적용 가능하다. 휘어진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에 부착되는 프론트 케이스(101)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휘어진 형상에 상응한 형상으로 휘어진 형태이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박막 트랜지스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선명하고 두께가 얇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고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는 백라이트유닛이 필요 없고 자체적으로 발광가능하여 휘어진 디스플레이부(151)를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위치하는 터치센서(137)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윈도우 글래스(109)는 투명한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결합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보호하고, 디스플레이부(151)의 비표시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 중앙의 표시영역을 제외한 둘레 부분을 인쇄하여 상기 비표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윈도우 글래스(109)는 디스플레이부(151) 뿐만 아니라 전면에 위치하는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또는 사용자 입력부(131)등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151)보다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또는 사용자 입력부(131) 등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상하에 배치되므로 윈도우 글래스(109)는 특히 상하 방향으로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와 프론트 케이스(10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윈도우 글래스(109), 디스플레이부(151), 제1 필름(200), 제2 필름(250),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필름(200)과 제2 필름(250)을 통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일면과 결합한다.
종래의 디스플레이부(3)의 고정방식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의 전면 둘레에서 윈도우 글래스(2)가 프론트 케이스(1)와 결합하고, 디스플레이부(3)의 둘레에 양면 접착테이프(5)를 붙여 상기 윈도우 글래스(2)의 배면에 부착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디스플레이부(3)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일정 크기 이상의 양면 접착테이프(5)의 두께가 요구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부(3)의 둘레에 위치하는 베젤의 크기가 점점 줄고 있는 이동 단말기의 디자인에서는 양면 접착테이프(5)의 폭이 작아질 수 밖에 없어 접착력을 확보하기 어렵다.
종래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에서 접착하여 충분한 접착면적을 확보하면서, 전면 둘레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베젤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에서 직접 프론트 케이스(101)에 접착력이 강한 점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면, 수리를 위해 프론트 케이스(101)로부터 디스플레이부(151)를 분리할 때, 양면 접착테이프의 접착력 때문에 디스플레이부(151)의 단부가 휘어지면서 디스플레이부(151)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점착력이 강한 제2 점착물질(252)이 도포된 제2 필름(250)만을 이용하지 않고, 점착력이 약한 제1 점착물질(202)이 도포된 제1 필름(200)을 부가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수리시 분리가 용이한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필름(200)의 층상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액정보호용 필름과 유사한 층상구조를 갖는다.
기본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그리고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하나로 이루어진 매끄러운 면을 갖는 베이스 필름(201)의 일면에 제1 점착물질(202)이 도포된 것을 이용한다.
제1 점착물질(202)이 도포되지 않은 타면은 매끄러운 면을 유지하기 위해 코팅층(200’)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201)의 일면에 제1 점착물질(202)을 도포하기 전에 제1 점착물질(202)이 잘 도포 되도록 프라이머층(204)을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 (204) 위에 트리메틸레이트 실리카(Trimethylated silica)와 같은 감압 실리콘 점착제(Silicon PSA)와 같은 제1 점착물질(202)을 도포하고, 제1 점착물질(202)을 보호하기 위해 이형필름(205)을 적층한다. 상기 이형필름(205)은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에 결합시 제거하며, 정전기 방지 처리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제1 필름(200)는 점착강도 3gf/in 이상 30gf/in이하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이동 단말기(100)의 크기와 무게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며, 후술할 제2필름(250)의 제2 점착물질(252)보다 접착강도보다 약한 것을 이용한다.
제1 점착물질(202)이 도포된 제1 필름(200)은 매끄러운 면에 부착시 수평방향의 힘에 저항이 커서 한번 접착표면에 붙으면 접착면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는 분리가 어려우나, 일 단부를 접착면에서 떼어낸 다음에 단부를 파지하여 잡아당겨 분리하는 경우 손쉽게 분리된다.
즉, 모서리 끝단에 집중되는 힘에는 손쉽게 분리되는 바, 디스플레이부(151)와 프론트 케이스(101)를 분리할 때 무리해서 힘을 가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1 필름(200)은 분리 후에 접착표면에 점착물질을 남기지 않아 분리된 디스플레이부(151)를 재사용 할 수 있고, 고온에도 점착성능이 유지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은 빛의 균일한 반사를 위해 매끄러운 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1 필름(200)을 이용시 접착 및 분리가 용이하다. 디스플레이부(151)가 휘어진 형상이라 하더라도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이 매끄러운 경우에는 제1 필름(200)을 부착할 수 있다.
제1 필름(200)의 제1 점착물질(202)이 도포된 면의 반대편에 제2 필름(250)이 부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프론트 케이스(101), 리어 케이스(102), 메인회로기판(185), 배터리(191), 후면커버(103), 윈도우 글래스(109), 디스플레이 패널(151), 제1 필름(200) 및 제2 필름(250)이 도시되어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메인회로기판(185) 등의 전자부품이 실장된다.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에 배터리(191)가 삽입되고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에 결합하여 배터리(191)를 커버하는 후면커버(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가 내장형으로 실장되는 경우에는 후면커버(103)를 생략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185)는 각종 전자소자 등이 실장되고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80)이다.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1), 카메라(121) 등이 메인회로기판(185)와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취득한 정보를 메인회로기판(185)에 전달하거나 메인회로기판(185)으로부터 디스플레이부(151) 등에 신호를 전달하여 그 동작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에 제1 필름(200)과 제2 필름(250)이 적층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필름(250)으로 베이스 필름(251)의 일면에 제2 점착물질(252)이 도포되고, 타면에 제3 점착물질(253)이 도포된 양면 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점착물질(252)과 제3 점착물질(253)의 점착강도는 상기 제1 점착물질(202)의 점착강도보다 크며, 디스플레이부(151)를 프론트 케이스(101)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킨다. 양면 테이프 형태의 제2 필름(250)을 이용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101)의 일면에 직접 제2 점착물질(252)를 도포하여 적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필름(250)을 이용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에 제1 필름(200)과 제2 필름(250)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 필름(200)의 배면은 부분적으로 제2 필름(250)이 부착되지 않는 부분, 즉 비결합 단부(206)가 존재한다.
비결합 단부(206) 프론트 케이스(101)와 부착되지 않으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비결합 단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개구부(10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결합 단부(206)는 상기 개구부(101')를 통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트 케이스(101)의 배면으로 노출된다.
상기 개구부(101')를 통해 노출된 비결합 단부(206)를 파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제1 필름(200)을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필름(200)은 모서리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는 작은 힘으로도 분리되므로 디스플레이부(151)를 손상시키지 않고 프론트 케이스(10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비결합 단부(206)는 손톱으로 손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제1 필름(200)의 모서리에 형성하거나, 볼록하게 튀어나온 돌기(207)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모서리나 돌기에 각진부분은 비결합 단부(206)를 잡으려 할 때 손에 상처가 날 수 있으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결합 단부(206)의 모서리 또는 돌기(207)를 곡선 가공할 수 있다.
특히 비결합 단부(206)를 일측 모서리에 위치시키면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힘을 가해 제1 필름(200)을 보다 손쉽게 디스플레이부(151)와 프론트 케이스(101)를 분리할 수 있다.
제1 필름(200)의 모서리에 비결합 단부(206)를 제공하기 위해 도 4와 같이 제2 필름(250)의 모서리(255)를 잘라 제1 필름(200)의 모서리 부분에 프론트 케이스(101)와 결합되지 않는 비결합 단부(206)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필름(200)의 크기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크기보다 조금 작은 사이즈를 이용하기 때문에 제1 필름(200)의 모서리를 비결합 단부(206)로 이용시 개구부를 아무리 모서리쪽에 형성하더라도 비결합 단부(206)가 개구부의 일측으로 치우칠 수 있다. 개구부의 중간에 위치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름(200)의 모서리 부분을 계단형상으로 잘라 돌기(207)를 형성하면 개구부(101’)의 중앙에 비결합 단부(206)가 위치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프론트 케이스(101)를 결합한 배면도로서, 상기 개구부(101')는 제2 필름(250)의 제거된 모서리(255)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101')를 통해 제2 필름(250)은 노출되지 않는다.
프론트 케이스(101)로부터 리어 케이스(102)를 분리한 후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101)의 개구부(101')를 통해 노출된 제1 필름(200)의 비결합 단부(206)를 파지한다.
비결합 단부(206)를 대각선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1 필름(200)이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으로부터 분리되면서, 도 9과 같이 프론트 케이스(101) 쪽에 제2 필름(250)와 제1 필름(200)이 위치하고 디스플레이부(151)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제2 필름(250)는 제1 필름(200)에 비결합 단부(206)를 제공하기 위해 제거한 부분(255) 외의 다른 모서리 부분도 제거(256)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프론트 케이스(101)와 모서리 부분까지 전부 접착되면, 충격에 약한 디스플레이부(151)의 모서리가 손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디스플레이부(151)의 모서리 부분을 프론트 케이스(101)에 부착시키지 않음으로써, 바닥에 충돌하는 등의 충격이 가해질 때 디스플레이부(151)의 모서리 부분이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하 부분에 노출된 윈도우 글래스(109)와 프론트 케이스(101)를 접착하기 위한 윈도우 테이프(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윈도우 테이프(260)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직접 접착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151)와 프론트 케이스(101)를 분리시에 디스플레이부(151)에 힘이 가해지지 않아 파손되지 않는다.
윈도우 테이프(260)로 붙어 있는 부분을 전면에서 떼어내고, 배면에서 도 8의 개구부(101')를 통해 노출된 제1 필름(200)을 대각선 방향으로 떼어내어 디스플레이부(151)와 프론트 케이스(101)를 분리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는 제1 필름(200)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01') 외에 디스플레이부(151)의 신호를 전달하는 플렉시블 회로기판(151")이 관통하는 개구부(101")를 더 형성할 수 있고,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카메라(121)나 음향 출력부(152) 등을 배치하기 위한 개구부(101”)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면에서 디스플레이부를 케이스에 부착할 수 있어, 측면의 베젤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의 넓은 면적에서 프론트 케이스와 접착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분리시에는 제1 필름의 단부에 힘을 가해 손쉽게 분리 가능하여 디스플레이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출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101: 프론트 케이스 102: 리어 케이스
151: 디스플레이부 109: 윈도우 글래스
200: 제1 필름 250: 제2 필름

Claims (18)

  1. 디스플레이부;
    일면에 제1 점착물질이 도포되고, 상기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과 상기 제1 점착물질에 의해 결합하는 제1 필름;
    일면에 제2 점착물질이 적층되고, 상기 일면이 상기 제1 필름의 타면과 상기 제2 점착물질에 의해 결합하는 프론트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물질의 점착력은 상기 제2 점착물질의 점착력보다 작고,
    상기 제1 필름은 상기 제2 점착물질에 의해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되지 않은 비결합 단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상기 비결합 단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합 단부는
    상기 제1 필름의 모서리 부분이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합 단부는
    볼록하게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합 단부는
    상기 제1 필름의 모서리 부분을 계단형상으로 절개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합 단부의 모난 부분은 곡선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부분은
    상기 제2 점착물질이 생략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결합되지 않은 것을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제1 필름 사이에 개재되며 일면에 제3 점착물질이 도포되고 타면에 상기 제2 점착물질이 도포된 제2 필름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일면에 도포된 제1 점착물질은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물질은 트리메틸레이트 실리카(Trimethylated silic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그리고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하나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의 제1 점착물질은
    점착강도 3gf/in 이상 30gf/in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결합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보다 상하로 더 연장된 윈도우 글래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연장된 부분에 결합하여 프론트 케이스와 접착되는 윈도우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곡선형상으로 휘어져 있으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에 상응하게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디스플레이부;
    일면에 제1 점착물질이 도포되고, 상기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과 상기 제1 점착물질에 의해 결합하는 제1 필름;
    일면에 제2 점착물질이 적층되고, 상기 일면이 상기 제1 필름의 타면과 상기 제2 점착물질에 의해 결합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제1 필름 중 하나의 모서리에 상응하는 위치의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제2 점착물질은 도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삭제
KR1020130042286A 2013-04-17 2013-04-17 이동단말기 KR101542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286A KR101542411B1 (ko) 2013-04-17 2013-04-17 이동단말기
US14/022,043 US9483078B2 (en) 2013-04-17 2013-09-09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286A KR101542411B1 (ko) 2013-04-17 2013-04-17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578A KR20140124578A (ko) 2014-10-27
KR101542411B1 true KR101542411B1 (ko) 2015-08-12

Family

ID=51728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286A KR101542411B1 (ko) 2013-04-17 2013-04-17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83078B2 (ko)
KR (1) KR1015424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4446A1 (en) * 2016-11-01 2018-05-11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 light-emitting diode film
KR20180085627A (ko) * 2017-01-19 2018-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298A (ko) * 2013-12-31 2015-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의 터치 인식 장치
US10649497B2 (en) * 2014-07-23 2020-05-12 Apple Inc. Adaptive processes for improving integrity of surfaces
WO2016014047A1 (en) 2014-07-23 2016-01-28 Apple Inc. Adaptive processes for improving integrity of surfaces
US10509439B2 (en) 2014-09-02 2019-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urved display, display cas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298220B2 (en) * 2014-09-02 2016-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urved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516766B1 (ko) * 2014-09-02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4375304B (zh) * 2014-11-17 2017-06-2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器
KR102365738B1 (ko) * 2015-03-10 2022-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2410549B1 (ko) * 2015-04-09 2022-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젤리스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376981B1 (ko) * 2015-04-22 2022-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KR20170040435A (ko) * 2015-10-02 2017-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30365A (ko) * 2016-09-13 2018-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8066853A1 (ko) * 2016-10-03 2018-04-12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탈부착 조절을 위한 미세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59632B1 (ko) 2016-10-03 2019-03-18 김영수 탈부착 조절을 위한 미세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8066833A1 (ko) * 2016-10-03 2018-04-12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탈부착 유동층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066854A1 (ko) * 2016-10-03 2018-04-12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1135B1 (ko) * 2017-03-14 2021-12-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26365B1 (ko) * 2017-08-21 2022-07-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08256180U (zh) * 2018-04-11 2018-12-18 Abb瑞士股份有限公司 显示器、电子设备和用于机器人的示教器
KR20200127741A (ko) 2019-05-03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636196A (zh) * 2019-09-25 2019-12-3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全面屏显示装置
KR20210051009A (ko) 2019-10-29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702B1 (ko) 2005-11-22 2007-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8066A (ja) * 2001-08-03 2003-02-28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光学フィルタ
TWI282885B (en) * 2004-03-03 2007-06-2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assembly
US7697275B2 (en) * 2004-09-03 2010-04-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hock resistant mounting for small display screen
KR101441919B1 (ko) 2007-12-24 2014-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KR100922357B1 (ko) * 2008-02-04 2009-10-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942554B1 (ko) * 2008-02-21 2010-02-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TWI422925B (zh) * 2010-11-08 2014-01-11 Au Optronics Corp 背光模組
KR101804915B1 (ko) 2011-04-13 2017-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041883B1 (ko) * 2012-07-09 2019-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브드 프레임 및 이를 갖는 커브드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702B1 (ko) 2005-11-22 2007-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4446A1 (en) * 2016-11-01 2018-05-11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 light-emitting diode film
US10290786B2 (en) 2016-11-01 2019-05-14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 light emitting diode film
KR20180085627A (ko) * 2017-01-19 2018-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91568B1 (ko) * 2017-01-19 2023-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13746A1 (en) 2014-10-23
KR20140124578A (ko) 2014-10-27
US9483078B2 (en)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411B1 (ko) 이동단말기
KR102031092B1 (ko) 이동단말기
KR102114614B1 (ko) 이동단말기 및 열확산 부재 제조방법
EP292228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96178A (ko) 전자기기
KR20140099005A (ko) 착탈식 듀얼 이동 단말기
US10785352B2 (en) Front case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140040975A (ko) 이동단말기
KR20140057826A (ko) 이동단말기
US20110076434A1 (en) Adhesive tape,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KR101949733B1 (ko) 이동단말기
KR102065419B1 (ko) 클립형 이동 단말기
KR101919781B1 (ko) 이동단말기
KR20150053378A (ko) 이동 단말기
KR20150026419A (ko) 이동단말기
KR101919785B1 (ko) 이동단말기
KR102118048B1 (ko) 이동 단말기
US11528056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30139592A (ko) 이동단말기
KR10194331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체결방법
KR20140129608A (ko) 이동단말기
KR101518286B1 (ko) 액세서리 커버
KR102065406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042432A (ko) 이동 단말기
KR10198078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