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178A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178A
KR20180096178A KR1020170022525A KR20170022525A KR20180096178A KR 20180096178 A KR20180096178 A KR 20180096178A KR 1020170022525 A KR1020170022525 A KR 1020170022525A KR 20170022525 A KR20170022525 A KR 20170022525A KR 20180096178 A KR20180096178 A KR 20180096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cover
camera
bracket
disposed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6499B1 (ko
Inventor
김교진
유준희
송수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2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499B1/ko
Priority to US15/663,309 priority patent/US10257333B2/en
Publication of KR20180096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8Sliders, in which the moving part moves in a 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02Casings sea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24Miscellaneous with inductiv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가능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전자기기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을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에 장착되는 카메라 윈도우, 상기 카메라 윈도우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을 수납하고 상기 후면 커버에 제3 방수부재에 의하여 부착되는 브라켓, 상기 윈도우 커버와 상기 브라켓을 접착하는 제4 방수부재,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며 상기 미들 프레임의 내부로 연결되는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에 배치되며, 물의 이동을 차단하고 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ELECTRONI DEVICE}
본 발명은 수중에서도 사용 가능한 방수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전자기기의 방수기능이 향상되면서, 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방수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카메라 모듈이나 사용자 입력부의 경우 물의 유입이 차단되는 방수구조가 추가되어야 하며, 방수구조의 성능은 단말기의 조립이 완성된 이후에 테스트 할 수 있어, 공정상 불편하고 낭비가 심한 단점이 있다.
또한, 단말기 내부와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밴트홀이 단말기 외관에 노출되는 경우,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카메라 모듈이 부착되는 카메라 모듈을 단말기 본체에 장착하기 이전에 방수기능의 테스트가 가능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윈도우 커버와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미들 프레임 및 제1 개구부를 구비하는 후면 커버로 이루어지는 단말기 본체, 상기 미들 프레임의 전면과 상기 윈도우 커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미들 프레임 및 상기 윈도우 커버의 엣지에 인접한 영역에 부착되는 제1 방수부재, 상기 미들 프레임의 후면과 상기 후면 커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미들 프레임과 상기 후면 커버의 엣지에 인접한 영역에 부착되는 제2 방수부재 및 상기 미들 프레임과 상기 후면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에 장착되는 카메라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윈도우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을 수납하고 상기 후면 커버에 제3 방수부재에 의하여 부착되는 브라켓, 상기 윈도우 커버와 상기 브라켓을 접착하는 제4 방수부재,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며 상기 미들 프레임의 내부로 연결되는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에 배치되며, 물의 이동을 차단하고 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공기 및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제1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후면 커버의 가장자리와 상기 카메라 윈도우의 가장자리의 틈과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브라켓 사이의 공간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개구부와 연결되는 유동영역이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카메라를 실장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후면 커버의 개구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상기 밴트홀 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단말기 본체와 연결되는 홀을 포함하는 장착영역을 포함하는 바,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카메라 윈도우 사이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리어 케이스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고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리브는 상기 카메라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바, 카메라을 쉽게 얼라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밴트홀 모듈에 의하여 방수형 단말기에서 기압변화에 따른 외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면 커버에 밴트홀이 장착된 브라켓을 먼저 장착할 수 있으므로, 후면커버를 리어 케이스에 조립하기 전에 방수기능을 확인 할 수 있는 바, 제조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다. 또한, 밴트홀이 후면 커버에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분해도이다.
도 1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분해도이다.
도 2a는 후면 커버에 부착된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b는 후면 커버에 부착된 브라켓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c는 후면 커버에 장착된 방수형 카메라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3a는 도 2a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a를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a을 A-A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버튼부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b는 버튼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기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 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전자기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개시된 전자기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은 전자기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전자기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전자기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전자기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100)는 미들 프레임(102) 및 후면 커버(1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 커버(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미들 프레임(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 (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미들 프레임 (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미들 프레임 (102)로부터 분리되면, 미들 프레임 (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커버(103)가 미들 프레임 (102)에 결합되면, 미들 프레임 (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미들 프레임 (102)는 후면 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 커버(103)에는 카메라 모듈(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제1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 및 프레임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자기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전자기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 커버(151a)와미들 프레임(102) 사이 또는 미들 프레임(102)과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 모듈(121b)가 배치된 전자기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기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기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기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기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 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 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는, 터치 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 커버(151a)와 윈도우 커버(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 커버(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터치 센서를 통합하여 터치 스크린(151)으로 칭한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 커버(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 커버(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전자기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전자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전자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기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전자기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 모듈(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카메라 모듈(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 카메라 모듈(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 카메라 모듈(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 카메라 모듈(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전자기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자기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전자기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전자기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전자기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분해도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전자장치(100)는 미들 프레임(102)을 중심으로 상측에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고, 하측에 메인 회로기판(181)이 배치된다.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윈도우 커버(151a) 및 디스플레이 모듈(151b)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윈도우 커버(151a)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b)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디스플레이부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상기 윈도우 커버(151a)와 상기 미들 프레임(102) 사이에 제1 방수부재(331)가 배치된다. 상기 제1 방수부재(331)은 상기 윈도우 커버(151a)와 상기 미들 프레임(102)의 엣지(edge)와 인접한 영역에 접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방수부재(331)는 방수형 접착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윈도우 커버(151a)와 상기 미들 프레임(102)을 접착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미들 프레임(102)과 상기 후면 커버(103) 사이에 제2 방수부재(332)가 배치된다. 상기 제2 방수부재(332)는 상기 미들 프레임(102)과 상기 후면 커버(103)의 엣지와 인접한 영역에 접착되며, 상기 미들 프레임(102)과 상기 후면 커버(103)를 접착한다. 상기 제2 방수부재(332)는 방수형 접착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들 프레임(102)과 상기 후면 커버(103) 사이에 상기 메인 회로기판(181) 및 상기 전원공급부(190) 및 무선통신부(111)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자부품이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방수부재(331, 332)에 의하여 상기 미들 프레임(102), 상기 후면 커버(102) 및 상기 윈도우 커버(151a)가 이루는 내부공간에의 물의 유입이 차단된다.
한편, 상기 후면 커버(103)는 카메라부(300) 및 버튼부(400)를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상기 개구부의 방수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방수구조는 도 2a 내지 도 2c 및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분해도이다.
도 1d를 참조하면, 도 1d의 전자기기(100)는 제1 및 제2 프레임(102a, 102b)을 제외하고 도 1c의 전자기기(100)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프레임(102a)는 상기 미들 프레임(102)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프레임(102a)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b)이 장착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1 프레임(102a)에 상기 윈도우 커버(151a)가 상기 제1 방수부재(331)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잇다.
상기 제2 프레임(102b)는 상기 미들 프레임(102)과 상기 후면 커버(103)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2 프레임(102b)는 상기 카메라부(300) 및 상기 버튼부(400)가 장착될 수납공간을 구성하고, 상기 전원공급부(190)의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102b)는 상기 미들 프레임(102)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상기 카메라(121) 및 플래시(124)를 포함하는 카메라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부(300)는 상기 후면 커버(103)에 일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후면 커버(103)와 상기 미들 프레임(10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후면 커버(103)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300)에 포함되는 카메라 윈도우(320, 도 2a 참조) 가 노출된다. 상기 브라켓(310)은 상기 카메라 모듈(121b)의 일 영역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개구부(310a)와 상기 플래시(124)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플레시홀(310b)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는 상기 후면 커버(103)로부터 돌출되지 아니하며,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와 상기 후면 커버(103)은 평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전자기기(100) 자체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 및 상기 후면 커버(103) 사이로 유입될 수 있는 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방수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방수구조는 상기 카메라부(300)의 각 구성요소와 상기 카메라부(300)와 상기 후면 커버(103)를 부착하는 방수 접착 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물의 이동은 차단하고, 상기 단말기 본체와 외부의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필터부재(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재(330)는 물의 이동이 차단되고 공기의 이동을 가능하게하는 메쉬소재의 막을 덮이는 벤트홀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재(300)는 상기 후면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밴트홀 자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외관을 보다 심플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필터부재를 구비하는 상기 카메라부(3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a는 후면 커버에 부착된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b는 후면 커버에 부착된 브라켓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c는 후면 커버에 장착된 방수형 카메라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3a는 도 2a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2a를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부(300)는 상기 카메라 모듈(121b) 및 플래쉬(124)를 수납하는 브라켓(310), 상기 브라켓(310)에 고정되고 상기 후면 커버(103)의 제1 개구부에 의하여 노출되는 카메라 윈도우(320), 상기 브라켓(310)의 일 영역에 실장되는 필터부재(330)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310)은, 베이스부(311), 상기 베이스부(311)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121b)의 실장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측벽부(312), 상기 플래시(124)의 실장공간을 형성하는 제2 측벽부(313)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카메라 모듈(121b)은 상기 플래시(124)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10)은 상기 베이스부(311)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미들 프레임(102)에 삽입되는 제1 내지 제3 고정리브(315a, 315b, 315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리브(315a, 315b)는 상기 한 쌍의 카메라 모듈(121b)을 사이에 두고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300)가 상기 후면 커버(103)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미들 프레임(102)에 고정되는 경우, 한 쌍의 카메라 모듈(121b)의 배열이 틀어지지 않도록 조립을 가이드 한다.
도 2a 및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는 상기 플래시(124)가 노출되도록 개구홀(320')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카메라 모듈(121b)을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는 투광영역(320a) 및 불투광 영역(320b)를 포함한다. 상기 투광영역(320a)는 상기 카메라 모듈(121b)이 배치되는 영역에 대응되며, 빛이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불투광영역(320b)은 상기 카메라 모듈(121b)이 배치되지 아니하는 영역으로 빛의 이동이 차단되도록 불투광성 인쇄층이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는 제4 방수부재(334)에 의하여 상기 브라켓(310)에 접착된다. 상기 제4 방수부재(334)는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되므로,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 및 상기 카메라 모듈(121b) 사이로의 물의 이동을 차단한다. 즉, 상기 제4 방수부재(334)는 상기 개구홀(320') 및 상기 투광영역(320a)에 대응되는 홀(331a, 331b, 331c)을 포함한다.
상기 후면 커버(103)의 제1 개구영역 의 크기는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가 안착되도록,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 및 상기 제1 개구부 사이로 공기 및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커버(103)의 제1 개구부와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 사이의 틈에 의하여 유입된 물은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가 안착된 상기 브라켓(310)의 일 영역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4 방수부재(334)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21b)로 유입되지 아니한다.
상기 카메라부(300)의 상기 베이스부(311)는 제3 방수부재(333)에 의하여 상기 후면 커버(103)에 부착된다. 상기 베이스부(311)는 상기 후면 커버(103)의 내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3 방수부재(333)는 상기 후면 커버(103)의 상기 제1 개구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면 커버(103)와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 사이로 유입된 물은 상기 브라켓(310)의 외부로 이동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제3 방수부재(333)에 의하여 상기 미들 프레임(102)로의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필터부재(330)가 장착될 장착영역(311a)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영역(311a)은 상기 카메라 모듈(121b)이 수납될 영역과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330)는 매시(mesh)소재의 막이 형성되어, 물의 유입은 차단되면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310)의 상기 장착영역(311a)은 상기 필터부재(330)가 장착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홀(314)을 포함한다. 상기 홀(314)는 상기 미들 프레임(102)의 내부와 통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재(330)에 의하여 상기 미들 프레임(102)과의 공기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필터부재(330)는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의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 및 상기 후면 커버(103) 사이에는 조립공정 상 틈(g)이 형성되며, 상기 틈(g)을 통하여 물과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틈에 의하여 유입된 물과 공기는 상기 브라켓(310)을 타고 흘러 상기 필터부재(330)에 도달한다. 상기 필터부재(330)에 의하여 공기만 상기 단말기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330)가 장착되는 상기 장착영역(311a)은 상기 후면 커버(103)에 의하여 덮인다. 즉, 상기 필터부재(330)는 상기 후면 커버(103)에 의하여 커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한다. 상기 필터부재(330)와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제3 방수부재(333)가 형성되지 아니한다.
즉, 상기 필터부재(330)가 장착된 상기 카메라부(300)는 물과 공기가 모두 유입되는 제1 개구부와 물의 이동은 차단하고 공기만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후면 커버(103)와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 사이의 틈에 의하여 구현되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필터부재(330)에 포함되는 홀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는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개구부에 의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재(330)를 통하여 상기 리어 케이스(102) 내부공간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330)는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의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상기 접착층(310)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필터부재(330)는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와 중첩되지 아니하고 상기 후면 커버(103)와 중첩되어, 상기 전자기기(100)의 외면에 노출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외면을 보다 심플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후면 커버에 홀을 형성하지 아니하여도 되며, 이에 따라 후면 커버의 제조공정이 단순해지고 재질에 제한이 없게 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310)은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를 지지하는 영역과 상기 장착영역(311a) 사이에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상기 되는 단차영역(311b)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단차영역(311b)에는 상기 제3 방수부재(333)가 형성되지 아니하여, 물 및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제3 방수부재(333)는 가장자리를 이루는 상기 장착영역(311a)에 접착된다. 상기 단차영역(311b)에 의하여 상기 후면 커버(103)와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단차영역(311b)에 근거하여, 상기 제3 방수부재(333)가 형성되는 영역과 구분되며, 상기 단차영역(311b)에 따라 공기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플래시(124)는 상기 브라켓(310) 및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후면 커버(103) 보다 돌출되지 아니한다. 상기 후면 커버(103)와 상기 플래시(125)는 일 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300)는 상기 플래시(124)를 둘러싸며 상기 개구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데코부(341)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데코부(341)는 일 단부가 상기 개구영역에 의하여 노출되는 노출영역(341a)과, 상기 윈도우(320)에 타 단부는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에 걸리도록 절곡되는 절곡영역(341b)를 포함한다.
상기 플래시(124)와 상기 브라켓(310) 사이에 제5 방수부재(335)가 형성된다. 상기 제5 방수부재(335)는 상기 플래시(124)와 상기 브라켓(310)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는 물의 이동경로를 차단한다. 따라서, 플래시(125)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고 방수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310)은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를 감싸며 외부로 노출되는 데코부(316)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요소는 상기 데코부(316)를 제외하고, 도 2a 내지 도 3b의 카메라부(300)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베이스부(301)의 일 면으로부터 상기 제1 측벽부(312)가 돌출되고 타면으로부터 데코부(316)가 돌출된다. 상기 데코부(316)는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 및 상기 제4 방수부재(334)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316)는 상기 카메라 윈도우(320)의 가장자리와 밀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데코부(316) 및 상기 후면 커버(103) 사이에 틈(g)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필터부재(330)는 상기 데코부(316)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물과 공기는 상기 데코부(316)와 상기 후면 커버(103) 사이의 틈(g)을 통하여 유입되며, 상기 물과 공기는 상기 단차영역(331b)을 따라 상기 필터부재(330)로 이동한다. 상기 필터부재(330)는 상기 물의 이동은 차단하고,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a을 A-A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a, 도 1c 및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윈도우 커버(151a)와 상기 후면 커버(103) 사이에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한 복수의 전자장치가 배치된다. 상기 후면 커버(103)와 상기 윈도우 커버(151a)가 이루는 내부공간에는 메인 회로기판(181)이 배치된다.
상기 후면 커버(103)와 상기 윈도우 커버(151a)는 상기 제1 및 제2 방수부재(331, 332)에 의하여 접착된다. 또한, 각 전자부품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형성된 홀에는 방수구조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기기(100)의 내부에는 유체의 이동 경로가 차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재에 의하여 물의 이동을 차단하면서 공기의 이동을 허용하는 구조에 의하여 전자기기(100)의 내부 및 외부의 압력차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방수구조를 포함하여 상기 후면 커버(103)에 장착되는 버튼부(400)를 포함한다. 이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부(30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버튼부(400)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6a는 버튼부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b는 버튼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1b,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후면 커버(103)은 제3 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3 개구부는 상기 제1 개구부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400)의 적어도 일 영역이 노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부(400)는 지문인식 버튼모듈(411a) 상기 지문인식 버튼모듈(411)에 연결되는 돔 스위치부(411a)와 연성회로기판(411b), 데코 브라켓(412), 러버 플렌지(413), 제6 방수부재(414), 제7 방수부재(415), 돔 접착부재(416) 및 돔 브라켓(417)을 포함한다.
상기 지문인식 버튼 모듈(411)은 상기 후면 커버(103)의 상기 제3 개구부에 의하여 노출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지문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외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누름키모듈도 포함한다.
상기 데코 브라켓(412)은 상기 지문인식 버튼모듈(4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일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며, 절곡된 다른 영역은 상기 후면 커버(103)에 의하여 걸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절곡된 상기 데코 브라켓(412)의 일 영역에 상기 연성회로기판(411b)과 상기 돔 스위치부(411a)가 배치된다.
상기 연성회로기판(411b)는 상기 제7 방수부재(415)에 의하여 상기 러버 플렌지(413)과 접착되고, 상기 러버 플렌지(413)는 상기 제6 방수부재(414)에 의하여 상기 후면 커버(103)와 접착된다. 상기 러버 플렌지(413)는 변형이 가능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지문인식 버튼모듈(411)에 외력에 인가되는 경우 변형되므로, 상기 돔스위치부(411a)에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돔스위치부(411a)는 상기 돔 브라켓(417)에 장착된다. 상기 돔 브라켓(417)의 엣지와 인접한 영역에 접착부재(416)가 형성되어, 상기 돔 브라켓(417) 및 상기 러버 플랜지(413)이 접착된다.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데코 브라켓(412)과 상기 후면 커버(103) 사이에 형성되는 틈으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제7 방수부재(415)에 의하여 상기 돔 브라켓(417)의 내부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제6 방수부재(414)에 의하여 상기 후면 커버(103)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따라서, 눌림가능함 버튼부가 배치되는 상기 후면 커버(103)의 상기 제3 개구부로도 물 및 공기가 유입되지 못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윈도우 커버와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미들 프레임 및 제1 개구부를 구비하는 후면 커버로 이루어지는 단말기 본체;
    상기 미들 프레임의 전면과 상기 윈도우 커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미들 프레임 및 상기 윈도우 커버의 엣지에 인접한 영역에 부착되는 제1 방수부재;
    상기 미들 프레임의 후면과 상기 후면 커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미들 프레임과 상기 후면 커버의 엣지에 인접한 영역에 부착되는 제2 방수부재; 및
    상기 미들 프레임과 상기 후면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을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에 장착되는 카메라 윈도우;
    상기 카메라 윈도우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을 수납하고 상기 후면 커버에 제3 방수부재에 의하여 부착되는 브라켓;
    상기 윈도우 커버와 상기 브라켓을 접착하는 제4 방수부재;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며 상기 미들 프레임의 내부로 연결되는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에 배치되며, 물의 이동을 차단하고 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공기 및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제1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후면 커버의 가장자리와 상기 카메라 윈도우의 가장자리의 틈과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브라켓 사이의 공간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개구부와 연결되는 유동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미들 프레임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고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리브는 상기 카메라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은 상기 틈으로부터 상기 필터부재까지의 상기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후면 커버와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단차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필터부재를 지지하며, 벤트홀을 포함하는 장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영역은 상기 단차영역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미들 프레임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고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리브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윈도우와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틈을 포함하는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윈도우에 형성되는 개구홀을 관통하여 적어도 일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는 플래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의 내부로의 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플래시와 상기 카메라 브라켓 사이에 형성되는 제5 방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일 면으로부터 상기 카메라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며 상기 틈에 배치되는 데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코부와 상기 후면 커버 사이로 상기 물과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데코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일 면에, 상기 필터부재와 상기 데코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물과 상기 공기가 이동하도록 리세스된 단차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제1 개구부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개구부에 의하여 적어도 일 영역이 노출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후면 커버를 접착하는 제6 방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윈도우와 상기 미들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고정시키는 제1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미들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기 위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170022525A 2017-02-20 2017-02-20 전자기기 KR102606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525A KR102606499B1 (ko) 2017-02-20 2017-02-20 전자기기
US15/663,309 US10257333B2 (en) 2017-02-20 2017-07-28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525A KR102606499B1 (ko) 2017-02-20 2017-02-20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178A true KR20180096178A (ko) 2018-08-29
KR102606499B1 KR102606499B1 (ko) 2023-11-27

Family

ID=63166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525A KR102606499B1 (ko) 2017-02-20 2017-02-20 전자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57333B2 (ko)
KR (1) KR102606499B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547B1 (ko) 2019-02-28 2020-06-04 유아이엘 주식회사 스마트폰용 카메라모듈의 커버브래킷 제조방법
KR20210015268A (ko) * 2019-08-01 202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입력 경로를 포함하는 카메라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1040094A1 (ko) * 2019-08-29 202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1066227A1 (ko) * 2019-10-02 2021-04-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WO2021162378A1 (ko)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10216A1 (ko) * 2020-07-09 2022-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30885A1 (ko) * 2020-08-04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71747A1 (ko) * 2020-09-29 2022-04-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19298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31630A1 (ko) * 2020-12-16 2022-06-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WO2022154317A1 (ko) * 2021-01-13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접점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225205A1 (ko) * 2021-04-21 2022-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렌즈 조립체 성형 방법
WO2023282431A1 (ko) * 2021-07-08 2023-01-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18106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58989A1 (ko) * 2021-10-08 2023-04-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수 기능을 갖는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13161A1 (ko) * 2021-12-17 2023-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마이크와 플래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239093A1 (ko) * 2022-06-07 2023-1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95379B2 (en) 2020-12-16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11997811B2 (en) 2020-12-04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 cov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33407S1 (en) * 2016-02-04 201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10425561B2 (en) * 2017-09-08 2019-09-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9587293A (zh) * 2017-09-28 2019-04-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CN207802016U (zh) * 2017-11-09 2018-08-3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摄像头模组和支架
KR102412849B1 (ko) * 2018-05-11 2022-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TWD200055S (zh) * 2018-05-29 2019-10-01 大陸商OPPO廣東移動通&#x4 手機
WO2019227974A1 (zh) * 2018-06-02 2019-12-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组件和电子装置
CN208905034U (zh) * 2018-06-21 2019-05-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装饰件和电子装置
KR102644091B1 (ko) * 2018-12-20 2024-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0142901A1 (zh) * 2019-01-08 2020-07-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组件和移动终端
JP2020118904A (ja) * 2019-01-25 2020-08-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カメラ装置
USD891387S1 (en) * 2019-01-30 2020-07-28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KR102632916B1 (ko) * 2019-02-19 2024-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통해 배치되는 전자 부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248076B (zh) * 2019-07-18 2021-06-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的保护镜片组件、摄像头组件以及电子设备
CN110535990A (zh) * 2019-09-18 2019-12-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KR102675932B1 (ko) * 2020-01-30 2024-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어 벤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01495A (ko) * 2021-01-11 2022-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54470A1 (ko) * 2021-01-12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5706309A (zh) * 2021-08-05 2023-02-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5498382B (zh) * 2022-09-27 2023-07-14 武汉凡谷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滤波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0442B1 (ko) * 1980-02-06 1981-07-15
US20110255000A1 (en) * 2010-04-19 2011-10-20 Trent Weber Camera alignment and mounting structures
KR20150032110A (ko) * 2013-09-17 2015-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50099295A (ko) * 2014-02-21 201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물리적 키를 포함하는 포터블 전자 장치
US20170099742A1 (en) * 2015-10-02 2017-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4577B2 (en) * 2009-10-15 2013-07-23 Ne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US9804003B2 (en) * 2012-10-23 2017-10-31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environmental sensors
KR102447909B1 (ko) * 2016-02-25 2022-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0442B1 (ko) * 1980-02-06 1981-07-15
US20110255000A1 (en) * 2010-04-19 2011-10-20 Trent Weber Camera alignment and mounting structures
KR20150032110A (ko) * 2013-09-17 2015-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50099295A (ko) * 2014-02-21 201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물리적 키를 포함하는 포터블 전자 장치
US20170099742A1 (en) * 2015-10-02 2017-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547B1 (ko) 2019-02-28 2020-06-04 유아이엘 주식회사 스마트폰용 카메라모듈의 커버브래킷 제조방법
KR20210015268A (ko) * 2019-08-01 202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입력 경로를 포함하는 카메라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43378B2 (en) 2019-08-01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bracket including audio signal path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camera bracket
WO2021040094A1 (ko) * 2019-08-29 202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1066227A1 (ko) * 2019-10-02 2021-04-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US11863697B2 (en) 2019-10-02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O2021162378A1 (ko)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10216A1 (ko) * 2020-07-09 2022-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30885A1 (ko) * 2020-08-04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71747A1 (ko) * 2020-09-29 2022-04-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19298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97811B2 (en) 2020-12-04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 cov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2131630A1 (ko) * 2020-12-16 2022-06-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US11895379B2 (en) 2020-12-16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O2022154317A1 (ko) * 2021-01-13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접점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225205A1 (ko) * 2021-04-21 2022-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렌즈 조립체 성형 방법
WO2023282431A1 (ko) * 2021-07-08 2023-01-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18106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58989A1 (ko) * 2021-10-08 2023-04-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수 기능을 갖는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13161A1 (ko) * 2021-12-17 2023-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마이크와 플래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239093A1 (ko) * 2022-06-07 2023-1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41861A1 (en) 2018-08-23
US10257333B2 (en) 2019-04-09
KR102606499B1 (ko) 202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499B1 (ko) 전자기기
KR102603448B1 (ko) 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759950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3499A (ko)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80138009A (ko) 전자장치
KR20160016153A (ko) 이동 단말기
CN106506733B (zh) 移动终端
KR101951677B1 (ko) 커넥터 방수 하우징 및 이동 단말기
KR2017002278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602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06075A (ko) 이동 단말기
KR2017012390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1147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8018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8444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83907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0450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17204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80096180A (ko) 이동 단말기
KR101578435B1 (ko) 이동 단말기
KR20190020934A (ko) 모기 퇴치 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20170048076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78431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8680A (ko) 이동 단말기
KR101607974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