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7849A - 성형체 - Google Patents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7849A
KR20160147849A KR1020167032167A KR20167032167A KR20160147849A KR 20160147849 A KR20160147849 A KR 20160147849A KR 1020167032167 A KR1020167032167 A KR 1020167032167A KR 20167032167 A KR20167032167 A KR 20167032167A KR 20160147849 A KR20160147849 A KR 20160147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polymer
catalyst
mass
cyclic 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2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6950B1 (ko
Inventor
타카유키 야에가시
케이치 오사노
요시미치 오카노
코우이치 우메모토
타케시 야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셀
Publication of KR20160147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2/00Copolymers of cyclic compounds containing no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in a side chain, and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a carbocyclic ring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4Monomers containing five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420/00Metallocene catalysts
    • C08F2420/02Cp or analog bridged to a non-Cp X anionic don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420/00Metallocene catalysts
    • C08F2420/04Cp or analog not bridged to a non-Cp X ancillary anionic don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J23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환상 올레핀 모노머 및 α-올레핀 모노머로부터 얻어지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투명성이 우수한 필름, 시트, 판 등의 성형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노보넨에서 유도되는 환상 올레핀 모노머(A)의 구조단위와, C4~C12의 α-올레핀의 적어도 하나에서 유도되는 모노머(B)의 구조단위, 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서, Tg가 170℃ 이상이고, 또한 Al함량이 50ppm 이하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성형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성형체{MOLDED ARTICLE}
본 발명은,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환상 올레핀 중합체 및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각각 「COP」 및 「COC」 등이라고도 한다.)는, 저흡습성 및 고투명성을 가져, 광디스크 기판, 광학 필름, 광학 섬유 등의 광학 재료 분야를 비롯한 여러 가지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COC로서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과의 공중합체가 있는데,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를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과의 공중합 조성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COP 보다 유리전이온도(Tg)가 높은 공중합체로서 제조할 수 있고, COP서는 곤란한 200℃가 넘는 Tg를 실현할 수도 있으나, 딱딱하고 무른 성질을 가지고 있어 기계적 강도가 낮고, 핸들링성 및 가공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높은 Tg중합체는 여러 가지 존재하지만, 이들은 극성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흡습성 및 유전특성에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극성기를 갖지 않고, 올레핀계 골격으로 이루어지며, 광학 특성, 유전특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높은 Tg중합체가 요구되고 있다.
높은 Tg COC의 기계적 강도를 개선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이하, 특정 「α-올레핀」이라고 한다)을 공중합시키는 방법이 있다. 환상 올레핀과 특정 α-올레핀과의 공중합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환상 올레핀과 특정 α-올레핀과의 공중합은,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과의 공중합과는 크게 다르다.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과의 공중합으로 고분자량체를 얻을 수 있는 조건에서는, 환상 올레핀과 특정 α-올레핀과의 공중합에 있어서 특정 α-올레핀에 기인하는 연쇄 이동 반응이 발생되기 때문에, 지금까지 고분자량체를 얻기 어려웠다. 따라서, 환상 올레핀과 특정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는, 성형재료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을 참조).
특허문헌 1에는, 특정 Ti계 촉매에 의해 환상 올레핀과 특정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량체가 얻어지고, Tg가 245에서 262℃이며, 저흡습이고, 선팽창계수가 80ppm 미만인 우수한 물성의 필름을 얻었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중합법에서는 촉매 및 조촉매를 다량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자원 절약화를 도모하기 어렵고, 공중합체를 얻는데 드는 비용이 고가인 동시에, 촉매 및 조촉매가 잔존하여 필름의 투명성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촉매 1g당 92-164g의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천공 특성이 우수한 필름이 개시되어 있는데, Tg는 170℃ 미만이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촉매 및 조촉매를 다량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자원 절약화를 도모하기 어렵고, 공중합체를 얻는데 드는 비용이 고가인 동시에, 필름의 투명성이나 열안정성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2에는, 촉매 1g당 127-275g의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 2009-298999호 공보 일본특허 제5017222호 공보
Jung, H. Y.들, Polyhedron, 2005년, 제24권, p.1269-1273
그러나, 환상 올레핀 모노머와 α-올레핀 모노머와의 공중합체를 제조할 때 채용되어 온 종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촉매 및 조촉매를 다량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고가일 뿐만 아니라, 공중합체중에 촉매 및 조촉매가 잔존하고, 이러한 공중합체로부터 얻어지는 성형체(필름, 시트, 판 등)의 투명성, 내열성, 내열 노화성, 및 유전특성 등의 제특성을 손상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이 우수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는 공중합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환상 올레핀 모노머 및 α-올레핀 모노머로부터 얻어지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투명성이 우수한 필름, 시트, 판 등의 성형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알루미늄 함량이 소정량 이하인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특히 투명성이 우수한 필름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의 것을 제공한다.
(1) 노보넨에서 유도되는 환상 올레핀 모노머(A)의 구조단위와,
C4~C12의 α-올레핀의 적어도 하나에서 유도되는 모노머(B)의 구조단위, 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서,
Tg가 170℃ 이상이고, 또한 Al 함량이 50ppm 이하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성형체.
(2) 상기 성형체는, 투명 필름인 (1)에 기재된 성형체.
(3)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이, 20,000 이상 200,000 이하인 (1) 또는 (2)에 기재된 성형체.
(4) JIS K7136법에 따라 측정된 헤이즈가 0.1~1.0%인 (1) 내지 (3)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성형체.
(5)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성형체와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적층체.
본 발명에 따르면, 환상 올레핀 모노머 및 α-올레핀 모노머로부터 얻어지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투명성이 우수한 필름, 시트, 판 등의 성형체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는, 노보넨에서 유도되는 환상 올레핀 모노머(A)의 구조단위와, C4~C12의 α-올레핀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유도되는 모노머(B)의 구조단위, 를 포함하고, Tg가 170℃ 이상이고, 또한 Al함량이 50ppm 이하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성형체이다.
[공중합체]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중합체는, 노보넨에서 유도되는 환상 올레핀 모노머(A) 유래의 구조단위와, C4~C12의 α-올레핀에서 유도되는 α-올레핀 모노머(B) 유래의 구조단위, 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중합체는, 촉매 등의 존재하에서, 적어도 노보넨에서 유도되는 환상 올레핀 모노머(A)와, C4~C12의 α-올레핀에서 유도되는 α-올레핀 모노머(B)를 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Tg)는, 17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60℃ 이상이다.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170℃ 이상이면, 상기 공중합체로부터 얻는 성형체는, 충분한 내열성을 가지며, 따라서, 예를 들면 ITO 증착용 기판으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260℃ 이상이면, 상기 공중합체로부터 얻어지는 성형체는, 더욱 충분한 내열성을 가지므로, 예를 들면 용융된 납프리 땜납에 접하더라도, 변형, 균열, 융해 등이 쉽게 발생되지 않으므로, 납프리 땜납용 부재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유리전이온도가 높아지면 공중합체중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단위가 적어지기 때문에, α-올레핀 공중합에 의한 기계적 강도의 개선 효과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3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유리전이온도는, DSC법(JIS K7121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승온 속도 20℃/분의 조건으로 측정한 값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중합체의 알루미늄(이하, 「Al」이라고 한다.) 함량은, 50pp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0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ppm 이하이다. 공중합체의 Al함량이 50ppm 이하이면, 비교적 높은 Tg(예를 들면, 170℃ 이상)를 갖는 공중합체를 사용하면서, 이러한 공중합체에 통상 인정되는 무름이 억제되기 때문에, 강도가 우수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고 기대할 수 있다. 공중합체의 Al함량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0pp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ppm 이상이다.
공중합체의 Al함량을 50ppm 이하로 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중합시에, 후술하는 촉매 및 조촉매를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후술하는 촉매 및 조촉매를 중합시에 사용하면, 촉매 및 조촉매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예를 들면, 환상 올레핀 모노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조촉매의 사용량이 Al기준으로 0.0001질량부 이상 5.0000질량부 이하). 촉매 및 조촉매의 사용량이 많으면, 공중합체로부터 얻어지는 성형체의 투명성이 손상되나, 촉매 및 조촉매의 사용량이 적어도 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성이 높은 성형체를 저비용으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20,000 이상 200,0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 이상, 150,000 이하이다. 상기 수평균 분자량이 20,000이상이면, 얻어지는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과도하게 낮아지기는 어렵다. 상기 수평균 분자량이 200,000 이하이면,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용액은,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지기는 어렵다. 본 명세서에서, 수평균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폴리스티렌 환산의 수평균 분자량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의 공중합체는, 후술하는 환상 올레핀 모노머(A) 및 α-올레핀 모노머(B) 등을, 임의의 촉매의 존재하에서 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데, 사용되는 촉매로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중합체(즉, Tg 및 Al함량이 특정 범위의 값인 공중합체)를 쉽게 얻을 수 있다는 관점에서, 티타노센 촉매 또는 비가교의 케티미드형 하프티타노센 촉매가 바람직하다. 이하에, 이들의 바람직한 촉매에 대하여 설명한다.
(티타노센 촉매)
티타노센 촉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하프티타노센 촉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티타노센 촉매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티타노센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 식(1)로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1
R1~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12의 아릴기이다. 그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알킬기; 페닐기, 비페닐기, 상기 알킬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페닐기 또는 비페닐기, 나프틸기, 상기 알킬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나프틸기 등의 아릴기를 들 수 있다.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12의 아릴기, 또는 할로겐원자이고, 구체적으로는,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요오드원자 등의 할로겐원자;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상기 할로겐원자를 치환기로서 갖는 이들의 알킬기; 페닐기, 비페닐기, 나프틸기, 상기 할로겐원자 또는 알킬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이들의 아릴기를 들 수 있다.
R6~R1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12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1~12의 1가 탄화수소기를 치환기로서 가질 수 있는 실릴기이다. 탄소수 1~12의 알킬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탄소수 6~12의 아릴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닐기, 비페닐기, 나프틸기, 상기 알킬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이들의 아릴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탄소수 1~12의 1가 탄화수소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실릴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실릴기를 들 수 있다.
일반식(1)로 나타내는 티타노센 촉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소프로필아미드)디메틸-9-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메틸, (이소부틸아미드)디메틸-9-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메틸, (t-부틸아미드)디메틸-9-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메틸, (이소프로필아미드)디메틸-9-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부틸아미드)디메틸-9-(3,6-디메틸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클로라이드, (t-부틸아미드)디메틸-9-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아미드)디메틸-9-(3,6-디메틸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부틸아미드)디메틸-9-(3,6-디메틸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클로라이드, (t-부틸아미드)디메틸-9-(3,6-디메틸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메틸, (이소프로필아미드)디메틸-9-[3,6-디(i-프로필)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부틸아미드)디메틸-9-[3,6-디(i-프로필)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클로라이드, (t-부틸아미드)디메틸-9-[3,6-디(i-프로필)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메틸, (이소프로필아미드)디메틸-9-[3,6-디(t-부틸)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부틸아미드)디메틸-9-[3,6-디(t-부틸)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클로라이드, (t-부틸아미드)디메틸-9-[3,6-디(t-부틸)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메틸, (이소프로필아미드)디메틸-9-[2,7-디(t-부틸)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부틸아미드)디메틸-9-[2,7-디(t-부틸)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클로라이드, (t-부틸아미드)디메틸-9-[2,7-디(t-부틸)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메틸, (이소프로필아미드)디메틸-9-(2,3,6,7-테트라메틸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부틸아미드)디메틸-9-(2,3,6,7-테트라메틸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클로라이드, (t-부틸아미드)디메틸-9-(2,3,6,7-테트라메틸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메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t-부틸아미드)디메틸-9-플루오렌일실란티탄디메틸((t-BuNSiMe2Flu)TiMe2)이다. (t-BuNSiMe2Flu)TiMe2는, 다음 식(2)로 나타내는 티타늄 착체이고, 예를 들면, 「Macromolecules, 제31권, 3184페이지, 1998년」의 기재에 근거하여,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Figure pct00002
(식중, Me는 메틸기를, t-Bu는 tert-부틸기를 나타낸다.)
(비가교의 케티미드형 하프티타노센 촉매)
비가교의 케티미드형 하프티타노센 촉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프티타노센 촉매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비가교의 케티미드형 하프티타노센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 식(3)으로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3
(식중, R1는 다음 식(4)로 나타내는 치환기를, R2는 다음 식(5) 혹은 (6)으로 나타내는 케티미드기 또는 다음 식(7)로 나타내는 페녹시기를,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할로겐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식중, R5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n는 0에서 5까지의 정수이다.)
-N=C(R6)(R7) (5)
(식중, R6 및 R7는 독립적으로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식중, R8 및 R9는 독립적으로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식중, R10, R11, R12, R13, 및 R14는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R3 및 R4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등의 할로겐원자;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등의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들 수 있고, 염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R5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네오펜틸기 등의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들 수 있고, tert-부틸기가 바람직하다.
R6 및 R7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네오펜틸기 등의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들 수 있고, tert-부틸기가 바람직하다.
R8 및 R9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네오펜틸기 등의 탄소수 1~5의 알킬기나 페닐기 등을 들 수 있고, tert-부틸기나 페닐기 등이 바람직하다.
R10, R11, R12, R13, 및 R14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수소원자나,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등의 탄소수 1~4의 알킬기나, 페닐기 등을 들 수 있고, R10 및 R14는 이소프로필기이며, R12 및 R13는 수소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가교의 케티미드형 하프티타노센 촉매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CpTiCl2(N=C(t-Bu)2), (t-BuC5H4)TiCl2(N=C(t-Bu)2), 다음 식(8) 또는 (9)로 나타내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식중, Cp는 시클로펜타디에닐기를, t-Bu는 tert-부틸기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CpTiCl2(N=C(t-Bu)2) 및 (t-BuC5H4)TiCl2(N=C(t-Bu)2)이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알킬알루미녹산으로 이루어진 조촉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중합체는, 상기 촉매와 함께, 알킬알루미녹산으로 이루어진 조촉매를 사용하면 보다 용이하게 쉽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조촉매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알킬알루미녹산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다음 식(10) 또는 (1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다음 식(10) 또는 (11)로 나타내는 알킬알루미녹산은, 트리알킬알루미늄과 물과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생성물이다.
Figure pct00009
(식중, R는 탄소수 1~4의 알킬기, n는 0~40, 바람직하게는 2~30의 정수를 나타낸다.)
알킬알루미녹산으로서는, 메틸알루미녹산 및 메틸알루미녹산의 메틸기의 일부를 다른 알킬기로 치환한 수식(修飾) 메틸알루미녹산을 들 수 있다. 수식 메틸알루미녹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치환 후의 알킬기로서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등의 탄소수 2~4의 알킬기를 갖는 수식 메틸알루미녹산이 바람직하고, 특히, 메틸기의 일부를 이소부틸기로 치환한 수식 메틸알루미녹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킬알루미녹산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알루미녹산, 에틸알루미녹산, 프로필알루미녹산, 부틸알루미녹산, 이소부틸알루미녹산, 메틸에틸알루미녹산, 메틸부틸알루미녹산, 메틸이소부틸알루미녹산 등을 들 수 있고, 이 중에서도, 메틸알루미녹산 및 메틸이소부틸알루미녹산이 바람직하다.
알킬알루미녹산은, 공지된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알킬알루미녹산으로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알킬알루미녹산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MMAO-3A, TMAO-200 시리즈, TMAO-340 시리즈(모두 토소·화인켐(주) 제조)나 메틸알루미녹산 용액(앨버말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연쇄 이동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쇄 이동제는, 연쇄 이동능(移動能)을 갖는 화합물이다. 연쇄 이동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연쇄 이동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연쇄 이동능을 갖는 공지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알킬알루미늄을 들 수 있다. 알킬알루미늄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 일반식(12)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R10)zAlX3 - z (12)
(식중, R10은 탄소수가 1~15, 바람직하게는 1~8의 알킬기이고, X는 할로겐원자 또는 수소원자이며, z는 1~3의 정수이다.)
탄소수가 1~15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 n-옥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알킬알루미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이소프로필알루미늄, 트리n-부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트리sec-부틸알루미늄 등의 트리알킬알루미늄; 디메틸알루미늄클로라이드, 디이소부틸알루미늄클로라이드 등의 디알킬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디이소부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등의 디알킬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디메틸알루미늄메톡시드 등의 디알킬알루미늄알콕시드를 들 수 있다.
[환상 올레핀 모노머(A)]
노보넨에서 유도되는 환상 올레핀 모노머(A)로서는, 예를 들면, 노보넨 및 치환 노보넨을 들 수 있고, 노보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상 올레핀 모노머(A)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치환 노보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러한 치환 노보넨이 갖는 치환기로서는, 예를 들면, 할로겐원자, 1가 또는 2가의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치환 노보넨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다음 일반식(I)로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10
(식중, R1~R12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및,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R9와 R10, R11과 R12는, 일체화되어 2가의 탄화수소기를 형성할 수 있고,
R9 또는 R10과, R11 또는 R12와는, 서로 환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n은, 0 또는 양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이 2 이상인 경우에는, R5~R8는, 각각의 반복단위 중에서, 각각 동일할 수도 다를 수도 있다.
다만, n=0의 경우, R1~R4 및 R9~R12의 적어도 1개는, 수소원자가 아니다.)
일반식(I)로 나타내는 치환 노보넨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식(I)에서의 R1~R12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및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R1~R8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수소원자; 불소, 염소, 브롬 등의 할로겐원자; 탄소수 1 이상 20 이하의 알킬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각각 다를 수 있고, 부분적으로 다를 수도 있으며, 또한 전부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R9~R12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수소원자; 불소, 염소, 브롬등의 할로겐원자; 탄소수 1 이상 20 이하의 알킬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트릴기, 에틸페닐기, 이소프로필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릴기 등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벤질기, 페네틸기, 기타 알킬기에 아릴기가 치환된 아랄킬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각각 다를 수 있고, 부분적으로 다를 수도 있으며, 또한 전부 동일할 수도 있다.
R9과 R10, 또는 R11과 R12가 일체화되어 2가의 탄화수소기를 형성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리덴기, 프로필리덴기, 이소프로필리덴기 등의 알킬리덴기 등을 들 수 있다.
R9 또는 R10과, R11 또는 R12가, 서로 환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형성되는 환은 단환일 수 있고 다환일 수도 있으며, 가교를 갖는 다환일 수 있고, 이중결합을 갖는 환일 수도 있으며, 또한 이들 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환일 수도 있다. 또한, 이들 환은 메틸기 등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일반식(I)로 나타내는 치환 노보넨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5-메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5-디메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에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부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에틸리덴-비시클로[2.2.1]헵타-2-엔, 5-헥실-비시클로[2.2.1]헵타-2-엔, 5-옥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옥타데실-비시클로[2.2.1]헵타-2-엔, 5-메틸리덴-비시클로[2.2.1]헵타-2-엔, 5-비닐-비시클로[2.2.1]헵타-2-엔, 5-프로페닐-비시클로[2.2.1]헵타-2-엔 등의 2환의 환상 올레핀;
트리시클로[4.3.0.12,5]데카-3,7-디엔(관용명: 디시클로펜타디엔), 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트리시클로[4.4.0.12,5]운데카-3,7-디엔 혹은 트리시클로[4.4.0.12,5]운데카-3,8-디엔 또는 이들의 부분 수소 첨가물(또는 시클로펜타디엔과 시클로헥센의 부가물)인 트리시클로[4.4.0.12,5]운데카-3-엔; 5-시클로펜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시클로헥실-비시클로[2.2.1]헵타-2-엔, 5-시클로헥세닐비시클로[2.2.1]헵타-2-엔, 5-페닐-비시클로[2.2.1]헵타-2-엔 등의 3환의 환상 올레핀;
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간단히 테트라시클로도데센이라고도 한다), 8-메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에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메틸리덴테트라시클로[4.4.0.12,5.17, 10]도데카-3-엔, 8-에틸리덴테트라시클로[4.4.0.12,5.17, 10]도데카-3-엔, 8-비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프로페닐테트라시클로[4.4.0.12,5.17, 10]도데카-3-엔 등의 4환의 환상 올레핀;
8-시클로펜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시클로헥실-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시클로헥세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페닐-시클로펜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테트라시클로[7.4.13,6.01,9.02,7]테트라데카-4,9,11,13-테트라엔(1,4-메타노-1,4,4a,9a-테트라히드로플루오렌이라고도 한다), 테트라시클로[8.4.14,7.01,10.03, 8]펜타데카-5,10,12,14-테트라엔(1,4-메타노-1,4,4a,5,10,10a-헥사히드로안트라센이라고도 한다); 펜타시클로[6.6.1.13,6.02,7.09,14]-4-헥사데센, 펜타시클로[6.5.1.13,6.02,7.09,13]-4-펜타데센, 펜타시클로[7.4.0.02,7.13,6.110,13]-4-펜타데센; 헵타시클로[8.7.0.12,9.14,7.111,17.03,8.012,16]-5-에이코센, 헵타시클로[8.7.0.12,9.03,8.14,7.012,17.113,l6]-14-에이코센; 시클로펜타디엔의 4량체 등의 다환의 환상 올레핀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알킬 치환 노보넨(예를 들면, 1개 이상의 알킬기로 치환된 비시클로[2.2.1]헵타-2-엔), 알킬리덴 치환 노보넨(예를 들면, 1개 이상의 알킬리덴기로 치환된 비시클로[2.2.1]헵타-2-엔)이 바람직하고, 5-에틸리덴-비시클로[2.2.1]헵타-2-엔(관용명: 5-에틸리덴-2-노보넨, 또는, 간단히 에틸리덴노보넨)이 특히 바람직하다.
[α-올레핀 모노머(B)]
C4~C12의 α-올레핀의 적어도 하나에서 유도되는 모노머(B)로서는, 예를 들면, C4~C12의 α-올레핀이나, 할로겐원자 등의 적어도 1종의 치환기를 갖는 C4~C12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고, C4~C12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다.
C4~C12의 α-올레핀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1-부텐, 1-펜텐, 1-헥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디메틸-1-헥센, 4,4-디메틸-1-펜텐,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1-헥센, 1-옥텐, 1-데센이 바람직하다.
[중합공정의 조건]
상기 모노머로부터 공중합체를 얻기 위한 중합공정의 조건은, 원하는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조건을 이용할 수 있고, 중합 온도, 중합 압력, 중합 시간 등은 적절하게 조정된다. 또한, 각 성분의 사용량은, 이하와 같이 예시된다.
α-올레핀 모노머(B)의 첨가량은, 환상 올레핀 모노머(A) 100질량부에 대하여, 1질량부 이상 50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부 이상 300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티타노센 촉매의 사용량은, 환상 올레핀 모노머(A)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001질량부 이상 0.05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1질량부 이상 0.03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가교의 케티미드형 하프티타노센 촉매의 사용량은, 환상 올레핀 모노머(A)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001질량부 이상 0.05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1질량부 이상 0.03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킬알루미녹산의 사용량은, 환상 올레핀 모노머(A) 100질량부에 대하여, Al기준으로 0.0001질량부 이상 5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질량부 이상 3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은, 환상 올레핀 모노머(A)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3질량부 이상 5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성형체]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는, 상기의 공중합체를 공지된 성형방법에 따라 성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성형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필름, 시트, 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는, 본 발명의 효과가 쉽게 나타난다는 관점에서, 투명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필름)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필름은, 상기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종래 공지된 용액 캐스트법, 스핀 코트법, 열프레스법, T다이법이나 캘린더법에 의해 필름 성형할 수 있다. 다만, 공중합체의 Tg가 높아질수록 용융 성형이 곤란해지므로, 높은 Tg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는, 용액 캐스트법, 스핀 코트법 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온에서 성형 가공할 때에는, 공중합체가 산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종래 공지된 산화 방지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필름의 성형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다음 조건을 예시할 수 있다.
용액 캐스트법에 의한 필름 성형에서는, 예를 들면, 공중합체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시켜 적당한 농도의 용액으로 만들고, 이 용액을 적당한 기재(基材)상에 흘리든가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얻어진 투명필름을 기재로부터 박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용액의 조정에 이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시클로헥산, 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탄화수소계 용매,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액을 들 수 있다. 용액중의 공중합체의 농도는, 통상 0.1~90질량%, 바람직하게는 1~5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35질량%이다. 공중합체의 농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충분한 두께를 갖는 필름을 얻지 못할 수 있고, 상기 범위보다 높은 경우에는 용액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두께나 표면 상태가 균일한 필름을 얻지 못할 수 있다. 용액의 점도는, 통상 실온에서 1~1,000,000mPa·s, 바람직하게는, 10~100,000mPa·s,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50,000mPa·s,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40,000mPa·s이다. 용액 캐스트법에 이용되는 기재(機材)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드럼, 스틸 벨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제 벨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필름의 두께는, 5㎛ 이상 300㎛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필름은, 투명성이 우수하다. 투명 필름의 투명성은, JIS K7136법에 따라 헤이즈를 측정함으로써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필름은, JIS K7136법에 따라 측정된 헤이즈가 0.1~1.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필름은, 예를 들면, 광학 용도, 의료 용도, 포장 용도, 전기·전자부품 용도, 공업·산업부품 용도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에는, 그 표면에 투명 도전층을 형성하여,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와 투명 도전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적층체를, 이하, 「투명 도전성 적층체」라고 한다.
투명 도전층은, 통상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의 일방의 면의 전체 또는 일부에 적층되나,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의 양면에 적층할 수도 있다. 투명 도전층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의 표면에 직접 적층시킬 수 있으나, 다른 층을 개재시켜 적층시킬 수도 있다. 투명 도전층으로서는, 투명 전극 등에 이용되고 있는 관용의 투명 도전층을 이용할 수 있으며, 투명하고, 또한 도전성을 가지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투명 도전층은, 임의의 도전성 폴리머로 형성된 투명 도전층 등일 수 있으나, 고온에서 형성할 수 있고, 내열성이 우수한 투명 도전성 적층체를 쉽게 얻을 수 있다는 관점에서, 도전성 무기 화합물로 형성된 투명 도전층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무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산화물[예를 들면, 산화인듐(InO2, In2O3, In2O3-SnO2 복합 산화물(ITO) 등), 산화주석(SnO2, SnO2-Sb2O5 복합 산화물, 불소 함유 산화주석(fluorine-doped tin oxide, FTO) 등), 산화아연(ZnO, ZnO-Al2O3 복합 산화물 등)], 금속(예를 들면, 금, 은, 백금, 팔라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도전성 무기 화합물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도전성 무기 화합물 중, 투명성 및 도전성이 우수한 투명 도전성 적층체를 쉽게 얻을 수 있다는 관점에서, 금속 산화물이 바람직하고, ITO 등의 산화인듐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전성 무기 화합물로서 In2O3-SnO2 복합 산화물(ITO)을 사용하는 경우, 산화주석(SnO2)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복합 산화물 전체에 대하여 5질량%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2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질량% 이상 15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질량% 이상 12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는, 산화주석의 비율이 10질량% 정도의 ITO를 이용하여 고결정성의 투명 도전막을 얻을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도전성 무기 화합물 등을 사용하여, 관용의 방법, 예를 들면, 스패터링, 증착, 화학기상성장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며, 통상, 스패터링이 채용된다. 이러한 투명 도전층은,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특개 2009-76544호 공보, 일본 특허 4165173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 2004-149884호 공보 등에 기재된 투명 도전층일 수 있다. 상기 방법 중, 균일한 두께의 박막을 쉽게 형성할 수 있으며 진공 조건으로 처리되어, 얻어지는 투명 도전층의 높은 도전성을 유지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스패터링으로 형성된 투명 도전층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투명 도전성 적층체는, 광산란성이 낮고, 낮은 헤이즈(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를 실현할 수 있다. 헤이즈는, JIS K7136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 실시예 ]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중합체의 제작]
(실시예 1~7 및 비교예 2)
건조시킨 유리 반응기에, 표 1에 기재된 각 모노머, 및 표 2에 기재된 촉매 및 조촉매를 가하였다. 촉매 및 조촉매는, 각각 톨루엔에 용해시킨 상태에서 반응기에 가하였다. 표 3에 나타낸 중합 온도 및 중합 시간으로, 반응기내를 교반하여 중합을 계속한 후, 2-프로판올 1질량부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이어서, 얻은 중합 반응액에 표 3에 기재된 농염산을 실온에서 첨가하여 30분간 교반한 후, 용액량(체적)의 1/3량의 이온 교환수를 첨가하고, 10분간 더 교반하였다. 얻어진 중합 반응액과 물층의 혼합물을 분액 깔때기로 옮겨, 물층을 분리, 폐기하였다. 이어서, 중합 반응액이 들어 있는 분액 깔때기에 이전과 동량의 이온 교환수를 첨가하여 중합 반응액을 세정한 후, 물층을 분리하였다. 이온 교환수에 의한 중합 반응액의 세정을 수차례 반복하여 물층이 중성이 된 후, 중합 반응액을 다량의 메탄올에 주입하여 중합체를 완전히 석출시키고, 여과하여 걸러진 것을 세정한 후, 60℃에서 하루 이상 감압 건조시켜 각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은 공중합체의 중량을 측정하였다(표 3에서의 「수량(收量)」). 사용한 촉매량에 대한 얻어진 공중합체의 비율을 산출하였다(표 3에서 「g(공중합체)/g(촉매)」).
(비교예 1)
건조시킨 유리 반응기에, 표 1에 기재된 각 모노머, 및 표 2에 기재된 촉매 및 조촉매를 가하였다. 촉매 및 조촉매는, 각각 톨루엔에 용해시킨 상태에서 반응기에 가하였다. 표 3에 나타내는 중합 온도 및 중합 시간으로, 반응기내를 교반하여 중합을 계속한 후, 2-프로판올 1질량부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이어서, 얻은 중합 반응액을 다량의 염산 산성 메탄올에 주입하여 중합체를 완전히 석출시키고, 여과하여 걸러진 것을 세정한 후, 60℃에서 하루 이상 감압 건조시켜 각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중량을 측정하였다(표 3에서의 「수량」). 사용한 촉매량에 대한 얻어진 공중합체의 비율을 산출하였다(표 3에서 「g(공중합체)/g(촉매)」).
(비교예 3)
2-노보넨·에틸렌 공중합체(TOPAS Advanced Polymers, GmbH사 제조 「TOPAS(등록상표) 6017 S-04」)를 사용하였다.
사용한 촉매 및 조촉매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촉매 A: [(t-BuNSiMe2Flu)TiMe2]
촉매 B: CpTiCl2(N=C(t-Bu)2)
촉매 C: (t-BuC5H4)TiCl2(N=C(t-Bu)2)
조촉매 A: 6.5질량%(Al원자의 함유량으로서) MMAO-3A 톨루엔 용액([(CH3)0.7(iso-C4H9)0.3AlO]n으로 나타내는 메틸이소부틸알루미녹산 용액, 토소·화인켐(주) 제조, 전체 Al량에 대하여 6mol%의 트리메틸알루미늄을 함유한다)
조촉매 B: 9.0질량%(Al원자의 함유량으로서) TMAO-211 톨루엔 용액(메틸알루미녹산 용액, 토소·화인켐(주) 제조, 전체 Al량에 대하여 26mol%의 트리메틸알루미늄을 함유한다)
조촉매 C: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조촉매 D: 디메틸아닐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 보레이트
각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 Tg, 탈회(脫灰)의 유무, Al함량을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1 및 표 2에서 「부」의 값은, 2-노보넨 100부에 대한 값이다. 또한, 표 2에서 조촉매 A 및 조촉매 B에 대하여, 「부」의 값은 톨루엔 용액으로서의 값이다.
[투명 필름의 제작]
각 공중합체 20질량부, 톨루엔 80질량부를 밀폐 용기에 넣고 천천히 교반 하면서 24시간에 걸쳐 각 공중합체를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10㎛ 메쉬로 가압 여과한 후, 24시간 더 정치(靜置)시키고, 용액중의 거품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바코터를 이용하여, PET 기재(토레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T-60」)의 표면에, 각 용액(용액 온도 20℃)을 유연(流延)하였다. 유연 후, PET 기재를 밀폐시키고, 표면을 균일하게 하기(레벨링함) 위해 1분간 정치시켰다. 레벨링 후, PET 기재를, 온풍 건조기에 의해 60℃에서 5분간 건조시킨 후, PET 기재로부터 필름을 박리시켰다. 이어서, 당해 필름을 스텐레스제의 테두리에 고정시키고, 감압 건조기에 의해 감압한 상태에서, 210℃에서 30분간 건조시켜 투명 필름(막 두께 100㎛)을 얻었다. 얻은 각 투명 필름을, 다음과 같은 시험에 이용하였다.
[전광선 투과율]
각 투명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을, JIS K7361-1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D65 형광램프를 광원으로서 사용하고, 각 투명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을, 헤이즈메터 NDH-5000W(니뽄덴쇼크공업주식회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헤이즈]
각 투명 필름의 헤이즈를, JIS K7136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D65 형광램프를 광원으로서 사용하고, 각 투명 필름의 헤이즈를, 헤이즈메터 NDH-5000W(니뽄덴쇼크공업주식회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인장시험]
각 투명 필름을 2호형 덤벨 형상으로 구멍 내어 만들고, JIS K7161에 준거하여, 온도 25℃, 습도 50%RH의 시험 환경에서, 인장압축시험기(주식회사 오리엔텍 제조, 상품명 「텐시론 UCT-5T」)를 이용하여, 인장속도 20mm/분의 조건으로 인장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근거하여, 응력-변형곡선을 얻었다. 얻은 응력-변형곡선으로부터, 각 투명 필름의 탄성률, 최대점 신도(伸度), 인장강도를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내굴곡성 시험]
각 투명 필름을 1×10cm 사각으로 재단하여 시료편을 조제하고, 내굴곡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에 기초하여 판정하였다. 즉, 원통형 맨드렐법(JISK5600-5-1)에 근거하여, 직경이 다른 복수의 맨드렐에, 시료편을 휘감고, 이러한 휘감은 부분에 크랙이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직경이 2mm 이하인 맨드렐에서 크랙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를 ○, 직경이 2mm 이하인 맨드렐에서 크랙이 발생된 경우를 ×로 하였다.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한 촉매량에 대하여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비율이 높다. 또한 헤이즈가 낮고, 투명성이 높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노보넨에서 유도되는 환상 올레핀 모노머(A)의 구조단위와,
    C4~C12의 α-올레핀의 적어도 하나에서 유도되는 모노머(B)의 구조단위, 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서,
    Tg가 170℃ 이상이고, 또한 Al함량이 50ppm 이하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성형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투명 필름인 성형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이, 20,000 이상 200,000 이하인 성형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JIS K7136법에 따라 측정된 헤이즈가 0.1~1.0%인 성형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성형체와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적층체.
KR1020167032167A 2014-05-23 2015-04-20 성형체 KR101876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07146 2014-05-23
JP2014107146 2014-05-23
PCT/JP2015/061988 WO2015178145A1 (ja) 2014-05-23 2015-04-20 成形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849A true KR20160147849A (ko) 2016-12-23
KR101876950B1 KR101876950B1 (ko) 2018-07-10

Family

ID=54553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167A KR101876950B1 (ko) 2014-05-23 2015-04-20 성형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72108B2 (ko)
EP (1) EP3147301B1 (ko)
JP (1) JPWO2015178145A1 (ko)
KR (1) KR101876950B1 (ko)
CN (1) CN106459273B (ko)
TW (1) TW201607965A (ko)
WO (1) WO20151781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44196B1 (en) 2008-09-27 2023-09-13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JP6491804B1 (ja) * 2017-08-01 2019-03-27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共重合体及び共重合体の製造方法
WO2024143451A1 (ja) * 2022-12-28 2024-07-04 株式会社クラレ 透明基板及び透明積層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222A (ja) 1991-06-28 1993-01-26 Taiyo Yuden Co Ltd 温度補償用磁器組成物
JP2009298999A (ja) 2008-05-14 2009-12-24 Kaneka Corp 環状オレフィン付加共重合体、光学用フィルム及び液晶またはel表示素子用透明導電性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3019A (en) * 1987-03-02 1991-03-26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Cyclo-olefinic random copolymer, olefinic random co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cyclo-olefinic random copolymers
WO1998014499A1 (fr) * 1996-09-30 1998-04-09 Nippon Zeon Co., Ltd. Polymere de norbornen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JP2000119328A (ja) * 1998-10-16 2000-04-25 Teijin Ltd 触媒残渣の少ない環状オレフィン系重合体、その用途並びにその製造法
EP1862484A4 (en) 2005-03-25 2010-02-10 Zeon Corp NORBORN COPOLYMERISATE AND FORM BODY
JP4826242B2 (ja) * 2005-12-12 2011-11-30 Jsr株式会社 環状オレフィン系付加重合体の製造方法
JP5017222B2 (ja) 2007-09-25 2012-09-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環状オレフィン系共重合体、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0254910A (ja) * 2009-04-28 2010-11-11 Nippon Zeon Co Ltd 環状オレフィン付加重合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222A (ja) 1991-06-28 1993-01-26 Taiyo Yuden Co Ltd 温度補償用磁器組成物
JP2009298999A (ja) 2008-05-14 2009-12-24 Kaneka Corp 環状オレフィン付加共重合体、光学用フィルム及び液晶またはel表示素子用透明導電性フィル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ung, H. Y.들, Polyhedron, 2005년, 제24권, p.1269-127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07965A (zh) 2016-03-01
CN106459273B (zh) 2020-09-08
EP3147301A1 (en) 2017-03-29
WO2015178145A1 (ja) 2015-11-26
EP3147301B1 (en) 2023-05-10
EP3147301A4 (en) 2018-02-21
CN106459273A (zh) 2017-02-22
US10072108B2 (en) 2018-09-11
JPWO2015178145A1 (ja) 2017-04-20
US20170190815A1 (en) 2017-07-06
KR101876950B1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950B1 (ko) 성형체
JP6358852B2 (ja) 環状オレフィン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7125569B2 (ja) 環状オレフィン共重合体の製造方法、及びノルボルネン単量体とエチレンとの共重合用の触媒組成物
JP6491804B1 (ja) 共重合体及び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2008231265A (ja) エチレン系共重合体よりなる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ならびに積層体
CN106232641B (zh) 环状烯烃共聚物的制造方法
JP2007119660A (ja) 環状オレフィン付加共重合体、その製造方法、及び成形用材料
JP2009161743A (ja) 後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高周波用電気絶縁材料
JP4712455B2 (ja) 光学用フィルム
KR101588368B1 (ko) 노보넨계 중합체 용액
WO2020204187A1 (ja) 環状オレフィン共重合体の製造方法
KR20200077888A (ko) 올레핀 중합용 촉매의 제조방법, 올레핀 중합용 촉매 및 올레핀계 중합체
JP2016207041A (ja) 透明導電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07398B1 (ko) 촉매활성도가 개선된 고탄성 에틸렌계 삼원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5167581B2 (ja) 光学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68012B2 (ja) 金属樹脂積層体及び高周波用配線基板
JP6969029B2 (ja) 環状オレフィン重合体、溶液、フィルム、及び金属樹脂積層体
WO2021241433A1 (ja) 樹脂粒子およびフィルム
KR20220134591A (ko)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필름
JP2008195928A (ja) シーラントフィルム用樹脂およ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