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725A - 주사액용 주머니 및 주사용 제제 - Google Patents

주사액용 주머니 및 주사용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725A
KR20160141725A KR1020167027018A KR20167027018A KR20160141725A KR 20160141725 A KR20160141725 A KR 20160141725A KR 1020167027018 A KR1020167027018 A KR 1020167027018A KR 20167027018 A KR20167027018 A KR 20167027018A KR 20160141725 A KR20160141725 A KR 20160141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less
polyamide resin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7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013B1 (ko
Inventor
요시카즈 이시노
젠이치로 가이
고지 스에요시
겐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큐피가부시키가이샤
백스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큐피가부시키가이샤, 백스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큐피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1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68Containers characterised by specific materi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2Amorph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4Crystal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주사액용 주머니이며, 중간층은,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 6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와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 40질량% 이하 10질량%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단량체 및 저분자량 중합체의 함유율이 0.8질량% 이하이다.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사액용 주머니 및 주사용 제제{INJECTION FLUID BAG AND INJECTION PREPARATION}
본 발명은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주사액용 주머니 및 주사용 제제에 관한 것이다.
주사액의 용기로서,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연질 재료에 의해 성형된 필름을 포함하는 파우치(pouch)라고 불리는 주머니가 알려져 있다. 파우치는,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내용액을 배출할 때 대기압에 의해 용이하게 액체 배출이 가능하며, 안전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파우치는, 일반적으로 점적용 수액의 용기로서 종래부터 사용되어 왔다. 파우치를 형성하는 다층 필름은, 소재의 관점에서, 유연성, 투명성, 내열성, 위생성, 기계적 강도, 가스 배리어성, 가공성 등이 우수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환경 문제 및 병원 내 문제로서, 폐기물량의 저감이 제창되고 있어, 의료용 용기로서도 용적 축소화가 필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각종 품질 요구를 만족하고, 또한 폐기성이 우수하도록 폐기할 때 부피가 커지지 않는, 주사액용 주머니가 요망되고 있다.
종래, 파우치를 형성하는 재료로서, 가소제가 배합된 연질 폴리염화비닐이 사용되고 있었다. 연질 폴리염화비닐은, 유연성, 내열성, 투명성, 가공성, 가스 배리어성 등에 있어서 극히 양호하지만, 폴리염화비닐에 배합된 가소제, 안정제 등이나, 잔류 단량체 등이 내용액에 용출될 가능성이 있고, 또한 폐기된 후에 소각할 때 다이옥신이 발생한다는 위험성도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위생성, 안전성의 관점에서, 폴리염화비닐을 대신하는 재료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형성된 파우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가스 배리어성이 떨어져서, 대기 중의 산소가 파우치 내에 투과하여, 약액이 변질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통상, 파우치 내부에서 포화한 수증기압은 질소 분압 및 산소 분압의 내외 차압을 만들어 낸다. 가스 배리어성이 떨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제의 파우치에서는, 이 차압=침투압에 의해 파우치 내부의 용적이 팽창하고, 파우치가 몸체 팽창을 일으켜서 액체 배출성 등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주사 약액이나 복막 투석액의 pH 조정에, 체내에 보통 존재하는 중탄산 이온을 사용하는 것이 신체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음이 알려져 있지만, 가스 배리어성이 떨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에서는 100℃를 초과하는 가열 멸균으로 탄산이 빠져버려, 실현할 수 없었다.
상기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파우치 형성 재료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접착성 수지층/폴리아미드층/저수분 투과성 수지층(「/」는 2층의 경계면을 의미하고, 이하도 동일한 의미임)의 4층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수액 백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소 60-55958호 공보 참조). 또한, 중간층에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한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주사액용 주머니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5084호 공보 참조).
그러나, 현재까지, 실용 레벨의 가스 배리어성을 갖고, 일본 약국방의 플라스틱제 의약품 용기 시험법에 있어서의 용출물 시험인 자외선 흡광도의 기준을 만족하는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주사액용 주머니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 이유는, 다층 필름의 중간층 등에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수지로부터 수용성의 단량체 및 저분자량 중합체, 예를 들어 ε-카프로락탐이 용출되기 때문이다. 실용 레벨의 배리어성을 갖도록 폴리아미드 수지층을 두껍게 하면, 이 단량체 및 저분자량 중합체가 내용물에 다량으로 용출되어, 플라스틱제 의약품 용기 시험법에 있어서의 자외선 최대 흡광도가 0.08을 초과해버리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중간층에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하고, 또한 일본 약국방의 플라스틱제 의약품 용기 시험법에 있어서의 용출물 시험에 합격하는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주사액용 주머니 및 그것을 사용한 주사용 제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용 주머니는,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주사액용 주머니이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최내층과,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최외층과,
상기 최내층과 상기 최외층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층과,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2개의 접착층,
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 6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와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 40질량% 이하 10질량%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단량체 및 저분자량 중합체를 합친 함유율이 0.8질량% 이하이고,
상기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고,
제16 개정 일본 약국방의 플라스틱제 의약품 용기 시험법에 있어서의 자외선 최대 흡광도가 0.08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용 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최외층 또는 최내층 중 적어도 1층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이외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용 주머니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굽힘 탄성률이 300MPa 내지 700MPa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용 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용 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가 65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와 상기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가 35질량% 이하 20질량%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용 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두께가 20㎛ 이상 42㎛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용 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6-66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용 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이소프탈산과 테레프탈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과의 중축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용 제제는, 상기 주사액용 주머니에 약액을 충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주사액용 주머니는, 중간층에 폴리아미드 수지를 채용해서 실용 레벨의 배리어성을 가지면서, 제16 개정 일본 약국방의 플라스틱제 의약품 용기 시험법에 있어서의 자외선 최대 흡광도의 기준에 합격한다는 특별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다층 필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2, 5, 6의 중간층에 있어서의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배합 비율과 UV 흡광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 2, 5 및 비교예 6의 다층 필름의 중간층에 있어서의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배합 비율과 40℃ 상대 습도 80%에서의 이산화탄소 투과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4의 시험 백의 경과 시간에 대한 버퍼액과 포도당액을 혼합시킨 혼합액의 pH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례를 설명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되는 각종 변형예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모두가 본 발명의 필수 구성 요건인 것만은 아니다.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른 주사액용 주머니는,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주사액용 주머니이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최내층과,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최외층과, 상기 최내층과 상기 최외층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층과,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2개의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 6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와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 40질량% 이하 10질량%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단량체 및 저분자량 중합체를 합친 함유율이 0.8질량% 이하이고, 상기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고, 제16 개정 일본 약국방의 플라스틱제 의약품 용기 시험법에 있어서의 자외선 최대 흡광도가 0.08 이하이다.
1. 주사액용 주머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다층 필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주사액용 주머니는, 최내층(10)으로부터 최외층(18)을 향해서 순서대로 최내층(10), 접착층(12), 중간층(14), 접착층(16), 최외층(18)의 적어도 5층으로 된 다층 필름(F)을 포함한다. 최내층(10)은, 주사액용 주머니 내에 수용되는 용액에 접촉하는 내벽면을 형성한다. 최외층(18)은, 주사액용 주머니의 외벽면을 형성한다.
1. 1. 최내층 및 최외층
본 실시 형태에서의 최내층(10) 및 최외층(18)은, 프로필렌을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한다.
1. 1. 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이들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몰 환산으로의 프로필렌 함유량이 50% 이상이면 된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전체로서 몰 환산으로의 프로필렌 함유량이 50%를 하회하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이외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필렌의 공중합체로서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다른 α-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 고무 성분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필렌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α-올레핀으로서는, 탄소 원자수가 4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4-메틸-1-펜텐, 1-데센 등을 들 수 있고, 그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통상,α-올레핀의 혼합 비율은 프로필렌에 대하여 1질량% 내지 30질량% 정도이다. 프로필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26435호 공보에 개시되는 프로필렌과 α-올레핀의 다단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이외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단독 중합체,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등의 프로필렌의 함유량이 50몰% 미만인 폴리올레핀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이들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단독 중합체나 공중합체와 다른 폴리올레핀이나 수지와의 컴파운드를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다층 필름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주사액용 주머니용으로서 범용되고 있는 굽힘 탄성률이 300MPa 내지 700MPa인 비교적 유연한 그레이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관점에서는 MFR(Melt Flow Rate)이 1 내지 10(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다.
1. 1. 2. 최내층에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최내층(10)에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가스 배리어성에도 중간층(14)으로부터의 단량체나 저분자량 중합체의 용출 방지에도 거의 영향이 없으므로, 상기 1. 1. 1에 예를 든 것 중에서 주사액용 주머니에 범용되고 있는 것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특히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다른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다른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또는 그들 공중합체에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컴파운드한 것일 수 있다. 당해 공중합체 및 그 컴파운드 수지의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어 미쯔비시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젤라스(등록 상표)를 들 수 있고, 특히 MFR이 1 내지 4에 존재하는 젤라스 7023, 젤라스 7025 또는 젤라스 MC752를 사용할 수 있다.
1. 1. 3. 최외층에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최외층(18)에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가스 배리어성에도 중간층(14)로부터의 단량체나 저분자량 중합체의 용출 방지에도 거의 영향이 없으므로, 상기 1. 1. 1에 예를 든 것 중에서 주사액용 주머니에 범용되고 있는 것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특히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다른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또는 그들 공중합체에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컴파운드한 것일 수 있다. 당해 공중합체 및 그 컴파운드 수지의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어 미쯔비시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젤라스(등록 상표)를 들 수 있고, 특히 융해 피크 온도가 160 내지 170℃에 존재하는 젤라스 MC723, MC753을 사용할 수 있다.
1. 2. 중간층
본 실시 형태에서의 중간층(14)은,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 6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와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 40질량% 이하 10질량%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배합 비율을 10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다층 필름에 있어서의 가스 배리어성을 향상시키면서, 다층 필름으로부터 단량체나 저분자량 중합체가 용출되는 양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후술하는 실시예의 도 2를 참조).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와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용하지 않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 중에 분산된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입자가,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에 포함되는 단량체나 저분자량 중합체의 확산을 억제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배합 비율이 40질량%를 초과하면, 중간층이 취성이 되어 굴곡되었을 때 깨지기 쉬워진다.
또한, 고온 고습도에서의 가스 투과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중간층(14)의 혼합물은,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가 65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와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가 35질량% 이하 20질량% 이상일 수 있다.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배합 비율을 35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다층 필름에 적당한 유연성을 얻을 수 있다.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배합 비율이, 20질량%를 하회하면, 고온 고습도에서의 다층 필름의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상승되고, 또한 10질량%를 하회하면, 121℃ 가열 멸균에 의한 중탄산 이온의 휘발 억제가 곤란해진다(후술하는 실시예의 도 3, 도 4를 참조).
1. 2. 1.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
중간층(14)에 사용하는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단량체 및 저분자량 중합체를 합친 함유율이 0.8질량% 이하이다.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구체예로서, 예를 들어 폴리카프로아미드-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코폴리머(폴리아미드 6-66), 폴리카프로아미드(폴리아미드 6),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파미드(폴리아미드 46),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폴리아미드 66), 폴리운데카미드(폴리아미드 11), 폴리카프로아미드-폴리운데카미드코폴리머(폴리아미드 6-11), 폴리도데카미드(폴리아미드 12), 폴리카프로아미드-폴리도데카미드코폴리머(폴리아미드 6-12), 폴리헥사메틸렌세바카미드(폴리아미드 610), 폴리헥사메틸렌도데카미드(폴리아미드 612), 폴리운데카메틸렌아디파미드(폴리아미드 116) 및 이들의 혼합물 내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중간층(14)에 사용하는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로서는, 폴리아미드 6-66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소량 혼합할 수 있고, 당해 혼합물도 상기 폴리아미드 6-66 공중합체에 포함된다.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6 공중합체는, ε-카프로락탐을 100질량부 내지 10질량부, 아디프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의 등몰 염을 0질량부 내지 90질량부의 비율로, 전체량을 100질량부로 한 이들 원료를 중축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6 공중합체이다. ε-카프로락탐만의 경우에는, 폴리아미드 6이다.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6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ε-카프로락탐으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의 비율은, 100질량% 내지 10질량%일 수 있다. ε-카프로락탐으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의 비율이 너무 적으면, 폴리아미드층의 기계적 강도 및 성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ε-카프로락탐으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의 양은, 또한 100질량% 내지 30질량%일 수 있고, 특히 100질량% 내지 50질량%일 수 있다.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6 공중합체의 말단은, 모노카르복실산 또는 모노아민으로 밀봉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수 2 내지 22의 모노카르복실산 또는 모노아민으로 밀봉된 폴리아미드 6, 탄소수 2 내지 22의 모노카르복실산 또는 모노아민으로 밀봉된 폴리아미드 6-66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상대 점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JIS K6833에 따라, 96질량% 농황산 중 농도 1%, 온도 25℃에서 측정한 값으로, 2.0 내지 5.5의 범위일 수 있다. 상대 점도가 2.0 이상이면 중간층의 적당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경향이 있고, 5.5 이하이면 적당한 성형성을 갖는 경향이 있다.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상대 점도는, 또한 2.2 내지 4.8일 수 있고, 특히 2.7 내지 4.0일 수 있다.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기 원료를 사용해서 폴리아미드의 공지된 제조 방법에 의해 합성 가능하고, 또한 시판품으로서 입수할 수도 있다.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6-66 공중합체(DSM 재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스 제조 노바미드 2430J), 폴리아미드 6(DSM 재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스 제조 아크론 F136), 폴리아미드 66(유니티카사 제조; A125), 폴리아미드 46(데이진사 제조 C2000), 폴리아미드 11(아르케마사 제조 BMNO), 폴리아미드 12(아르케마사 제조 AMNO)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폴리아미드 6-66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투명성 및 유연성을 얻을 수 있다.
1. 2. 1. 1. 단량체 및 저분자량 중합체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그 단량체 및 저분자량 중합체를 합친 함유율이 0.8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단량체란, 중합체를 생성하는 단위 물질을 말한다. 예를 들어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인 폴리카프로아미드-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코폴리머(폴리아미드 6-66)의 단량체는, ε-카프로락탐, 아디프산 및 헥사메틸렌디아민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저분자량 중합체란, 이량체 이상의 저중합도의 중합물의 총칭으로, 분자량이 통상 1,000까지 또는 10,000까지의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단량체 및 저분자량 중합체를 합친 함유율은, JIS K6810에 준거해서 측정된 값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비등 순수를 사용해서 6시간 추출 처리한 추출액으로부터 전체 유기 탄소 분석계에 의해 전체 유기 탄소량을 측정하고, 그 전체 유기 탄소량으로부터 카프로락탐 환산해서 구한 것이다. 일반적인 식품이나 의료 용도에 사용되고 있는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6 공중합체는, 그 단량체 및 저분자량 중합체의 함유율은 1.5질량% 정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단량체 및 저분자량 중합체의 함유율이 0.8질량% 이하이기 때문에, 단량체 및 저분자량 중합체가 주머니의 내용물에 용출되기 어렵고, 또한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가 적당량 배합됨으로써, 일본 약국방의 기준을 만족할 수 있다. 단량체 및 저분자량 중합체가 중간층으로부터 용출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감소시키기 위해서,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단량체 및 저분자량 중합체의 함유율은, 또한 0.1질량% 이상 0.8질량% 이하일 수 있고, 특히 0.1질량% 이상 0.7질량% 이하일 수 있다.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에 있어서의 단량체 및 저분자량 중합체의 함유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펠릿의 상태의 수지를 비등한 순수 내에 침지해서 단량체 및 저분자량 중합체를 추출하는 조작을 복수 회, 단량체 및 저분자량 중합체의 함유율이 원하는 수치로 떨어질 때까지 반복해서 행할 수 있다.
1. 2. 2.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
중간층(14)에 사용할 수 있는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중간층(14)에 반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함으로써, 중간층(14)으로부터 단량체 및 저분자량 중합체를 용출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구체예로서,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테레프탈산/헥사메틸렌디아민의 중축합체, 이소프탈산/테레프탈산/헥사메틸렌디아민/비스(3-메틸-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의 중축합체, 테레프탈산/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의 중축합체, 이소프탈산/비스(3-메틸-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ω-라우로락탐의 중축합체, 이소프탈산/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의 중축합체, 이소프탈산/테레프탈산/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의 중축합체, 이소프탈산/비스(3-메틸-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ω-라우로락탐의 중축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중축합체를 구성하는 테레프탈산 성분 및/또는 이소프탈산 성분의 벤젠 환이, 알킬기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들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테레프탈산/헥사메틸렌디아민의 중축합체, 이소프탈산/테레프탈산/헥사메틸렌디아민/비스(3-메틸-4-아미노 시클로헥실)메탄의 중축합체, 또는 테레프탈산/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의 중축합체, 또는 이소프탈산/테레프탈산/헥사메틸렌디아민/비스(3-메틸-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의 중축합체와 테레프탈산/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의 중축합체와의 혼합물을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이소프탈산과 테레프탈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과의 중축합체일 수 있다.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상대 점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JIS K6833에 따라, 용매로서 96질량% 농황산을 사용하고, 온도 25℃, 농도 1g/dl의 조건에서 측정한 상대 점도가, 1.0 내지 3.5의 범위일 수 있고, 또한 1.3 내지 2.8의 범위일 수 있다. 상대 점도가 1.0 이상이면 적당한 점도를 가질 수 있고, 중합 후 또는 용융 혼련 후의 인출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대 점도가 3.5 이하이면 성형 가공 시에 적당한 유동성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기 원료를 사용해서 폴리아미드의 공지된 제조 방법에 의해 합성 가능하고, 또한 시판품으로서 입수할 수도 있다.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어 DSM 재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스 제조 X21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1. 2. 3. 그 밖의 성분
일반적인 식품용이나 주사액용 주머니 이외의 의료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아미드 수지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성형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실리카, 탈크, 카올린 등을 소량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안료, 염료, 열 안정제, 대전 방지제 등,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각종 수지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1. 3. 접착층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접착층(12, 16)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중간층(14)의 폴리아미드 수지와 접착층(12, 16)의 외측에 있는 층, 이 경우에는 최내층(10)과 최외층(18)을 확실하게 접착 가능하면 되고, 주사액용 주머니에 사용되는 수지를 적절히 채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및 그 컴파운드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1. 3. 1.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에 의해 변성된 폴리올레핀 수지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및 스티렌을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하는 올레핀류와,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의 공중합물(a), 및, 에틸렌, 프로필렌 및 스티렌을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하는 올레핀류의 중합물에,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그래프트시킨 그래프트 중합물(b)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공중합물(a)에 있어서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메타크릴산, 아크릴산나트륨, 아크릴산아연, 아세트산비닐,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물(a)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나트륨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래프트 중합물(b)의 기체가 되는 올레핀류의 중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나트륨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스티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올레핀류의 중합물에 그래프트되는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에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들의 산 무수물, 이들 산과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 등과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중, 프로필렌을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하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예를 들어 그 MFR이 1 내지 20(g/10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MFR이 상기 범위의 상한 이하이면 적당한 필름 강도가 얻어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필름의 제막성이 안정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MFR이 상기 범위의 하한 이상이면 압출성이 비교적 안정되는 경향이 있다.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상기 원료를 사용해서 변성 폴리올레핀의 공지된 제조 방법에 의해 합성 가능하고, 또한 시판품으로서 입수할 수도 있다.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어 미쯔비시 가가꾸사 제조 MC721AP, MC756AP 등을 들 수 있다.
1. 3. 2. 그 밖의 성분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에는, 미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미변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그 양쪽을, 미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및 미변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총량으로 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혼합할 수 있다. 미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미변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그 양쪽을 합친 함유량이 95질량% 이하이면 적당한 접착성을 얻을 수 있다.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또한 안료, 염료, 열 안정제, 대전 방지제 등,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각종 수지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2. 다층 필름의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주사액용 주머니의 제조용에 사용되는 다층 필름은, 환상 다이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환상 다이로부터 성형한 튜브 형상 다층체는, 종횡 동시에 연신할 수 있는 튜블러 연신법에 의해 2축 연신할 수 있다. 환상 다이법에는, 물을 접촉시켜서 냉각하는 수냉 인플레이션법, 마찬가지로 환상 다이로부터 연속적으로 압출하여, 공기에 의해 냉각하는 공냉 인플레이션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제조 방법에서는, 특히 투명성, 유연성이 우수한 수냉 인플레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2. 1. 다층 필름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용 주머니의 제조용에 사용되는 다층 필름의 구성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 언급한 다층 필름의 구성예는, 최내층으로부터 최외층을 향해서 순서대로 다층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PP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PA란 폴리아미드 수지 혼합물(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와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또한, PP(1)와 PP(2)는, 굽힘 탄성률이 PP(1)>PP(2)인 관계의 서로 다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의미하고, PA(1)와 PA(2)는, 서로 다른 폴리아미드 수지 혼합물인 것을 의미한다.
PP/접착층/PA/접착층/PP, PP/접착층/PA(1)/PA(2)/접착층/PP, PP(1)/PP(2)/접착층/PA/접착층/PP(2)/PP(1), PP(1)/PP(2)/접착층/PA(1)/PA(2)/접착층/PP(2)/PP(1), PP/접착층/PA/접착층/PA/접착층/PP, PP/접착층/PA(1)/접착층/PA(2)/접착층/PP, PP(1)/PP(2)/접착층/PA/접착층/PA/접착층/PP(2)/PP(1), PP(1)/PP(2)/접착층/PA(1)/접착층/PA(2)/접착층/PP(2)/PP(1).
2. 1. 1. 다층 필름의 두께
상기 다층 필름의 두께는, 공지된 주사액용 주머니에 사용되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80㎛ 이상 300㎛ 이하로 할 수 있다. 두께가 80㎛ 이상이면 적당한 질량감을 얻을 수 있고, 한편, 300㎛ 이하이면 적당한 유연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특히 100㎛ 이상 300㎛ 이하일 수 있다. 두께가 100㎛ 이상이면, 적당한 찌르기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다층 필름의 최내층(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의 두께는, 10㎛ 이상 100㎛ 이하로 할 수 있다. 최내층의 두께가 10㎛ 이상이면 적당한 시일 안정성을 가질 수 있고, 100㎛ 이하이면 적당한 유연성 및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다층 필름이 PP/접착층/PA/접착층/PP의 5층 구조이면, 최내층의 두께는 15㎛ 이상 60㎛ 이하일 수 있다. 두께가 60㎛를 초과하면 낙하 강도가 저하된다. 두께가 15㎛ 이하이면 안정되게 제조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다층 필름의 중간층(폴리아미드 수지 혼합물층)의 두께는, 15㎛ 이상 45㎛ 이하로 할 수 있다. 중간층의 두께가 15㎛ 이상이면 적당한 기계적 강도 및 산소 배리어성 등을 가질 수 있다. 중간층의 두께가 45㎛를 초과하면, 중간층(14)에 포함되는 단량체 및 저분자량 중합체의 총량이 증가하고, 다층 필름을 제16 개정 일본 약국방의 플라스틱제 의약품 용기 시험법으로 측정했을 때의 자외선 최대 흡광도가 상승한다. 또한, 다층 필름이 PP/접착층/PA/접착층/PP의 5층 구조라면, 중간층의 두께는, 20㎛ 이상 42㎛ 이하일 수 있고, 특히 23㎛ 이상 37㎛ 이하일 수 있다. 중간층의 단층 두께가 20㎛ 이상이면 다층 필름의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낮아, 100℃를 초과하는 가열 멸균에 의한 중탄산 이온의 휘발을 억제할 수 있다. 중간층의 단층 두께가 23㎛ 이상이면, 주사용 제제에 있어서의 121℃ 멸균이어도 제제 중의 중탄산 이온의 휘발을 억제하여, 체내 투여가 허용 범위 내로 pH를 억제할 수 있다. 42㎛ 이하이면 다층 필름이 적당한 유연성을 갖고, 또한 37㎛ 이하이면 주사용 제제로 했을 때의 본 발명에 따른 주사용 주머니의 에지도 유연해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부여하지 않는다.
상기 다층 필름의 접착층의 두께는 10㎛ 이상 100㎛ 이하로 할 수 있다. 두께가 10㎛ 이상이면 접착성을 가질 수 있고, 100㎛ 이하이면 적당한 유연성 및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다층 필름이 PP/접착층/PA/접착층/PP의 5층 구조라면, 접착층의 두께는 15㎛ 이상 60㎛ 이하일 수 있다.
다층 필름의 최외층(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의 두께는, 10㎛ 이상 100㎛ 이하로 할 수 있다. 최외층의 두께가 10㎛ 이상이면 적당한 내열성을 가질 수 있고, 100㎛ 이하이면 적당한 유연성 및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다층 필름이 PP/접착층/PA/접착층/PP의 5층 구조라면, 최외층의 두께는 15㎛ 이상 60㎛ 이하일 수 있다. 두께가 60㎛ 이하이면 원하는 낙하 강도를 갖는다. 두께가 15㎛ 이상이면 안정되게 제조할 수 있다.
다층 필름의 중간층보다 내측의 두께는 7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두께가 70㎛ 이상이면, 다층 필름을 제16 개정 일본 약국방의 플라스틱제 의약품 용기 시험법으로 측정했을 때의 자외선 최대 흡광도가 낮다.
3. 주머니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상기 다층 필름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주사액용 주머니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필름으로부터 제조하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해 주머니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주사액용 주머니는, 주사액을 수납하기 위한 주머니이며, 주사액의 예로서는 수액, 인공 신장 투석액, 복막 투석액, 혈액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의료용 용기로서의 주머니, 예를 들어 체액이나 약액 등의 주입, 배출, 보존 등의 용기로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주머니의 구조는, 용도에 따라 복실 용기의 주머니(예를 들어, 더블 백 등), 단실 용기의 주머니(소위 싱글 백)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주사액용 주머니는, 중간층에 폴리아미드 수지를 채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16 개정 일본 약국방의 플라스틱제 의약품 용기 시험법에 있어서의 자외선 최대 흡광도가 0.01 이상 0.08 이하로, 제16 개정 일본 약국방의 플라스틱제 의약품 용기 시험법에 있어서의 자외선 최대 흡광도의 기준에 합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주사액용 주머니는,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약액이 변질될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차압(침투압)에 의한 액체 배출성 등의 변화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주사액용 주머니는,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주사 약액이나 복막 투석액의 pH 조정에 중탄산 이온을 사용할 수 있다.
4. 실시예 및 비교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초과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 1. 원료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원료는,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최내층과 최외층에 사용된 PP(A) 내지 PP(E)는, 미쯔비시 가가꾸사 제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이며, 그레이드명, MFR(g/10분, JIS K6758에 준거해서 측정함), 융해 피크 온도(JIS K7121에 준거해서 측정함)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접착층에 사용된 AP(A) 및 AP(B)는, 미쯔비시 가가꾸사 제조의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와의 혼합물이며, 그레이드명, MFR(g/10분, JIS K6758에 준거해서 측정함), 융해 피크 온도(JIS K7121에 준거해서 측정함)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Figure pct00001
중간층에 사용된 PA(A) 내지 PA(C)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DSM 재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스사 제조의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인 노바미드 2430J와,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인 노바미드 X21-F07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며, 노바미드 2430J에 대해서는 저분자 중합체의 함유율이 1.49질량%, 0.77질량%, 0.67질량%의 3종류를 사용하였다. 표 2에서, 예를 들어 PA(A10)라면, 저분자량 중합체의 함유율이 1.49질량%인 노바미드 2430J 90질량%와, 노바미드 X21-F07 10질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PA(B00)는, 저분자량 중합체의 함유율이 0.8질량%인 노바미드 2430J 단체이었다. 노바미드 2430J의 저분자 중합체의 함유율은, JIS K6810에 준거해서 측정되었다.
Figure pct00002
4. 2. 다층 필름의 성형 방법
선단에 다층 필름 제조용 인플레이션 다이를 장착한 5종 5층 수냉 인플레이션 성형기에 의해, 표 3 내지 표 5에 기재한 원료 수지의 조합을 사용해서 필름을 얻었다. 각 층의 두께는, 표 3 및 표 4에 있어서는, 최내층/내측 접착층/중간층/외측 접착층/최외층의 순서대로 각 층의 두께를 40㎛/45㎛/30㎛/45㎛/40㎛의 두께로 하고, 표 5에 있어서는, 표 중의 두께로 하였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4. 3. 평가 방법
상기 4. 2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 및 다층 필름으로부터 제조한 주머니에 대해서, 다음의 평가 방법으로 평가 시험을 행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7, 표 8 및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하였다.
4. 3. 1. 제막성
상기 4. 2에서의 수냉 인플레이션 성형에 있어서의 제막 불량이 없었던 것을 「A」, 제막 불량이 있었던 것을 「B」로 해서, 표 7 및 표 8의 「제막성」의 란에 나타냈다.
4. 3. 2. 헤이즈(%)
상기 4. 2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으로부터 각각 6 시험편을 샘플링해서, JIS K7105에 준거해서 측정하여, 12 이하인 것(투명성이 우수함)을 「A」, 12를 초과한 것(투명성이 떨어짐)을 「B」로 해서, 표 7 및 표 8의 「헤이즈」의 란에 나타냈다.
4. 3. 3. 내열성
상기 4. 2에서의 수냉 인플레이션 성형에 의해 제막된 튜브(원통) 형상의 다층체(2매 겹침으로 되어 있음)를, 210mm×210mm의 크기로 잘라, 3방을 히트 시일해서 주머니 형상으로 하였다. 이어서, 이 주머니 중에 순수(밀리포어 밀리 Q)를 700밀리리터 충전하고, 나머지 한 변을 히트 시일해서 밀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샘플 주머니를, 고온 고압 조리 살균 시험기(히사카제작소사 제조, RCS·40RTGN형) 내에 넣어, 가압하고, 121℃까지 분위기 온도를 상승시키고, 60분간 121℃를 유지하고 나서 25℃까지 분위기 온도를 낮추었다. 그 후, 이 샘플 주머니를 시험기로부터 취출해서 5℃의 분위기 하에서 24시간 보관한 후, 샘플 주머니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은 것, 또는 투명성이 악화되지 않은 것은 「A」, 샘플 주머니에 주름이 발생한 것 또는 투명성이 악화된 것은 「B」로 해서, 표 7 및 표 8의 「내열성」의 란에 나타냈다.
4. 3. 4. 강도
상기 4. 3. 3의 방법으로, 121℃×60분 멸균한 샘플 주머니를 5℃의 분위기 하에서 24시간 보관한 후, 평행 낙하로 1.6m의 높이로부터 3회 주머니를 낙하하여, 파괴되지 않은 것을 「A」, 파괴된 것을 「B」로 해서, 표 7 및 표 8의 「강도」의 란에 나타냈다.
4. 3. 5. 자외선 최대 흡광도
상기 4. 2에서의 수냉 인플레이션 성형에 의해 제막된 튜브(원통) 형상의 다층체(2매 겹침으로 되어 있음)를, 150mm×100mm의 크기로 잘라, 3방을 히트 시일해서 주머니 형상으로 하였다. 이어서, 이 주머니 내에 순수를 100밀리리터 충전하고, 나머지 한 변도 히트 시일해서 밀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샘플 주머니를, 상기 4. 3. 3 내열성 시험과 마찬가지의 가열 가압 방법으로, 제16 개정 일본 약국방의 플라스틱제 의약품 용기 시험법에 준거해서 순수에 용출시켜, 그 자외선 최대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플라스틱제 의약품 용기 시험법으로부터, 용출물 시험에 따라서 시험액을 얻고, 시마즈 세이사꾸쇼 제조 자외 가시 분광 광도계 UV-2450을 사용하여, 220nm 내지 240nm에서의 자외선 최대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 7 및 표 8에 나타냈다. 규격값 상, 이 값이 0.08 이하일 것이 요구된다. 각 샘플 주머니의 자외선 최대 흡광도의 평균값이 0.08 이하인 것을 「A」, 0.08을 초과하는 것을 「B」로 해서, 표 7 및 표 8의 「흡광도」의 란에 나타냈다. 또한, 도 2의 꺽은 선 그래프는, 여기에서 측정한 자외선 최대 흡광도의 평균값이며, 중간층에 사용한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저분자량 중합체의 함유율마다 3개의 꺽은 선 그래프로 나누어서 실선으로 나타내고, 자외선 최대 흡광도의 표준 편차(3σ의 한쪽)를 세로 방향으로 점선으로 나타냈다. 도 2에서, 횡축은 중간층에 사용한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배합 비율(질량%), 종축은 샘플 주머니의 자외선 최대 흡광도, 꺽은 선 그래프(20)는 실시예 5 내지 7, 꺽은 선 그래프(22)는 비교예 4 및 실시예 1 내지 4, 꺽은 선 그래프(24)는 비교예 1 내지 3이었다.
4. 3. 6. CO2 투과도
상기 4. 2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으로부터 각각 3 시험편을 샘플링하고, 차압식 가스 투과도 측정 장치(GTR 테크 GTR-10XACT)를 사용해서 분위기 온도 40℃ 상대 습도 80%의 조건 하에서 CO2 가스의 투과도(cc/day/atm/m2)를 측정하고, 투과도가 400 미만인 것을 「A」, 400 이상 800 미만인 것을 「B」, 800 이상 1200 미만인 것을 「C」, 1200 이상인 것을 「D」라 하였다. 이값이 낮을수록, CO2 가스 배리어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3의 그래프는, 여기에서 측정한 CO2 가스의 투과도이었다. 도 3에서, 횡축은 중간층에 사용한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배합 비율(질량%), 종축은 CO2 가스의 투과도(cc/day/atm/m2)이었다. 또한, 실시예 5, 6은, 중간층에 사용한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저분자량 중합체의 함유율이 0.67(mass%)이며, 비교예 4 및 실시예 1, 2는, 중간층에 사용한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저분자량 중합체의 함유율은 0.77(mass%)이었다.
4. 3. 7. pH 변동
상기 4. 2에서의 수냉 인플레이션 성형에 의해 폭 18cm로 제막된 튜브(원통) 형상의 다층체(2매 겹침으로 되어 있음)를 내측 치수 길이 28cm로 히트 시일해서 표 7의 버퍼액 637ml를 충전한 A실과, 내측 치수 길이 18cm로 히트 시일해서 표 6에 나타내는 포도당액 363ml를 충전하고, 또한 A실과는 약 시일에 의해 구분된 B실을 포함하는 시험 백을 복수 얻었다. 이들 시험 백을 121℃ 40분의 멸균 후, 40℃ 상대 습도 80%의 환경 하에서 일정 기간 경과 후(멸균 직후, 1개월 후, 2개월 후, 4개월 후, 6개월 후)에 약 시일을 관통시켜서 버퍼액과 포도당액을 혼합시킨 혼합액의 pH를 측정해서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에서, 꺽은 선 그래프(40)는 실시예 1, 꺽은 선 그래프(42)는 실시예 2, 꺽은 선 그래프(44)는 비교예 4였다.
Figure pct00006
4. 4. 평가 결과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표 7, 표 8 및 도 2 내지 도 4에 정리하였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표 7, 표 8 및 도 2 내지 도 4로부터, 다음의 사항이 명확해졌다.
실시예 1 내지 15의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샘플 주머니는, 다층 필름의 중간층에 폴리아미드 수지를 채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16 개정 일본 약국방의 플라스틱제 의약품 용기 시험법의 자외선 최대 흡광도의 기준(0.08 이하)에 합격하는 것을 알았다. 실시예 1 내지 7의 샘플 주머니의 자외선 최대 흡광도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실시예의 표준 편차(3σ)도 상기 기준 미만이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5의 다층 필름은, 양호한 제막성을 갖고, 또한 내열성, 헤이즈 및 주머니 낙하 강도에 있어서 양호한 특성을 갖는 것을 알았다. 특히 실시예 2 내지 15의 다층 필름은, 40℃ 상대 습도 80%의 환경 하에서의 CO2 투과도가 400cc/day/atm/m2 이하로 낮게 억제되는 것을 알았다. 40℃ 상대 습도 80%의 환경 하에서의 CO2 투과도가 400cc/day/atm/m2 이하이면, 중탄산 이온을 27mEq/l 이상 포함하는 약액을 충전해서 121℃에서 멸균하고, 6개월간 40℃ 상대 습도 80%의 환경 하에서 보관했을 때의 pH 변동을 0.3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에 반해, 비교예 1 내지 2와 같이, 중간층에 저분자량 중합체의 함유율이 1.5질량%인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70질량% 내지 90질량% 배합한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샘플 주머니는, 자외선 최대 흡광도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것을 알았다. 또한, 비교예 4와 같이, 중간층에 저분자량 중합체의 함유율이 1.5질량%인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해도,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50질량% 배합한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샘플 주머니는, 자외선 최대 흡광도의 기준을 만족하지만, 제막 불량이 발생하여, 제품화가 곤란하였다. 또한, 비교예 6, 7과 같이, 중간층에 포함되는 저분자량 중합체의 함유율이 1.5질량%인 경우에 중간층보다 내용물측에 있는 최내층과 접착층의 두께를 두껍게 해도, 자외선 최대 흡광도는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것을 알았다. 또한 비교예 4의 다층 필름은, 40℃ 상대 습도 80%의 환경 하에서의 CO2 투과도가 800cc/day/atm/m2를 초과하고, 중탄산 이온을 27mEq/l 이상 포함하는 약액을 충전해서 121℃에서 멸균하여, 6개월간 40℃ 상대 습도 80%의 환경 하에서 보관했을 때의 pH 변동이 0.45를 초과해버리는 것을 알았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주사액용 주머니는, 중간층에 폴리아미드 수지를 채용하면서, 제16 개정 일본 약국방의 플라스틱제 의약품 용기 시험법의 자외선 최대 흡광도의 기준(0.08 이하)에 합격함으로써, 의료용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주사액용 주머니는, 상기 주사용 주머니에 충전되는 약제에 중탄산 이온을 사용하면서, 탄산의 투과에 의한 pH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10 : 최내층 12 : 접착층
14 : 중간층 16 : 접착층
18 : 최외층
20 : 중간층에 PA(C)를 사용한 실시예 5 내지 7의 그래프
22 : 중간층에 PA(B)를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4의 그래프
24 : 중간층에 PA(A)를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3의 그래프
40 : 실시예 1의 그래프 42 : 실시예 2의 그래프
44 : 비교예 4의 그래프 F : 다층 필름

Claims (9)

  1.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주사액용 주머니이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최내층과,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최외층과,
    상기 최내층과 상기 최외층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층과,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2개의 접착층,
    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 6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와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 40질량% 이하 10질량%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단량체 및 저분자량 중합체를 합친 함유율이 0.8질량% 이하이고,
    상기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고,
    제16 개정 일본 약국방의 플라스틱제 의약품 용기 시험법에 있어서의 자외선 최대 흡광도가 0.08 이하인, 주사액용 주머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층 또는 최내층 중 적어도 1층의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이외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주사액용 주머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굽힘 탄성률이 300MPa 내지 700MPa인, 주사액용 주머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주사액용 주머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가 65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와 상기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가 35질량% 이하 20질량%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주사액용 주머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두께가 20㎛ 이상 42㎛ 이하인, 주사액용 주머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6-66 공중합체인, 주사액용 주머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이소프탈산과 테레프탈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과의 중축합체인, 주사액용 주머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주사액용 주머니에 약액을 충전한, 주사용 제제.
KR1020167027018A 2014-04-03 2014-04-03 주사액용 주머니 및 주사용 제제 KR102160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59887 WO2015151264A1 (ja) 2014-04-03 2014-04-03 注射液用袋及び注射用製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725A true KR20160141725A (ko) 2016-12-09
KR102160013B1 KR102160013B1 (ko) 2020-09-25

Family

ID=52145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018A KR102160013B1 (ko) 2014-04-03 2014-04-03 주사액용 주머니 및 주사용 제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907726B2 (ko)
EP (1) EP3127529B8 (ko)
JP (1) JP5639322B1 (ko)
KR (1) KR102160013B1 (ko)
CN (1) CN106456441A (ko)
AU (1) AU2014389741B2 (ko)
BR (1) BR112016021720B1 (ko)
CA (1) CA2914314C (ko)
MX (1) MX2016012935A (ko)
RU (1) RU2671971C2 (ko)
SG (1) SG11201509950TA (ko)
TW (1) TWI577370B (ko)
WO (1) WO201515126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052U (ko) 2022-07-01 2024-01-09 이심결 다용도 매트
KR20240067552A (ko) 2022-11-09 2024-05-17 이심결 다용도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590A (ko) * 2015-10-09 2018-07-02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의료용 다층 용기 및 의료용 다층 용기의 제조 방법
CN107189022B (zh) * 2017-06-30 2019-08-09 华仁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非pvc腹膜透析袋输液膜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5084A (ja) * 2000-07-26 2002-02-05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積層フィルム製の医療溶液用袋
JP2007105134A (ja) * 2005-10-12 2007-04-26 Shikoku Kako Kk 輸液バッグ用積層フィルム
CN101432365A (zh) * 2006-05-31 2009-05-13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聚酰胺树脂组合物
JP4717007B2 (ja) * 2004-10-18 2011-07-06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医療用ガスバリア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医療用バッグ
KR20110131304A (ko) * 2009-03-24 2011-12-06 백스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장벽층을 갖는 비-pvc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0686A (en) 1978-06-19 1980-07-01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Multi-layered plastic sheeting having high clarity, strength, and resistance to water vapor transmission
US4322465A (en) 1980-08-08 1982-03-30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Clear, autoclavable, sealed container having good water vapor barrier properties and flex crack resistance
US4707389A (en) 1983-09-30 1987-11-17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Multilayer tube, assembly and method
US4692361A (en) 1984-09-28 1987-09-08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Film laminate with gas barrier for sterile flexible containers
US4686125A (en) 1984-09-28 1987-08-11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Film laminate for sterile flexible containers
JPS62500777A (ja) 1984-09-28 1987-04-02 バクスタ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水蒸気滅菌し得る可撓性容器のための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
US4778697A (en) 1985-11-29 1988-10-18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Polymeric films
US4892604A (en) 1986-02-07 1990-01-09 Baxter International Inc. Method of making a sterilizable multi-layer container
US5066290A (en) 1986-02-07 1991-11-19 Baxter International Inc. Sterilizable multi-layer plastic materials for medical containers and the like
US5356709A (en) 1992-05-14 1994-10-18 Baxter International, Inc. Non-PVC coextruded medical grade port tubing
JP3233738B2 (ja) * 1992-06-29 2001-11-26 テルモ株式会社 血液または血液成分保存容器
US5529821A (en) 1992-06-29 1996-06-25 Terumo Kabushiki Kaisha Container for storing blood or blood component
CA2106258C (en) 1992-09-18 2003-11-04 Gautam P. Shah Moisture barrier film
SE9300558D0 (sv) 1993-02-19 1993-02-19 Kabi Pharmacia Ab Autoclavable multilayer films
US5998019A (en) 1993-11-16 1999-12-07 Baxter International Inc. Multi-layered polymer structure for medical products
US6964798B2 (en) 1993-11-16 2005-11-15 Baxter International Inc. Multi-layered polymer based thin film structure for medical grade products
MA23381A1 (fr) 1993-12-03 1995-07-01 Scientific Atlanta Architecture de recepteurs de donnees multi-services
CH686881A5 (it) 1993-12-17 1996-07-31 Bieffe Medital Sa Film a strati coestrusi per contenitori di soluzioni parenterali.
US6297046B1 (en) 1994-10-28 2001-10-02 Baxter International Inc. Multilayer gas-permeable container for the culture of adherent and non-adherent cells
US5534277A (en) * 1994-12-09 1996-07-09 W. R. Grace & Co.-Conn. Film for cook-in applications with plural layers of nylon blends
CA2170961C (en) 1995-03-22 2005-08-09 Walter B. Mueller Multilayer films for packaging and administering medical solutions
DE69615505T2 (de) 1995-06-07 2002-05-16 Baxter International Inc., Deerfield Halogenidfreie sterilisierbare mehrscichtsperrfolie
US6083587A (en) 1997-09-22 2000-07-04 Baxter International Inc. Multilayered polymer structure for medical products
US6500559B2 (en) 1998-05-04 2002-12-31 Cryovac, Inc. Multiple layer film with amorphous polyamide layer
BE1012589A3 (fr) 1999-04-08 2000-12-05 Solvay Structure thermoplastique multicouche.
NZ517277A (en) 1999-09-09 2003-02-28 Baxter Int Cycloolefin blends and method for solvent bonding polyolefins
US7678097B1 (en) 1999-11-12 2010-03-16 Baxter International Inc. Container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US20050194060A1 (en) 2004-03-03 2005-09-08 Vincent Houwaert Peelable seal closure assembly
US7267885B1 (en) 2000-03-16 2007-09-11 Baxter International Inc. Containers and peelable seal containers of new non-PVC material
JP3940250B2 (ja) 2000-05-22 2007-07-04 三菱化学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製包装・容器体
JP4916609B2 (ja) 2000-06-28 2012-04-18 藤森工業株式会社 医療用液体容器用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JP2006143303A (ja) * 2004-11-24 2006-06-08 Dainippon Ink & Chem Inc 麺包装用共押出多層フィルム、麺包装用ラミネートフィルムおよび麺包装方法
KR20070067189A (ko) * 2004-12-02 2007-06-27 비너스 레머디스 리미티드 주사제에 유용한 베타-락타마제 억제제를 이용한베타-락타마제-매개 항생제 내성에 대처하기 위한 조성물
WO2007083598A1 (ja) * 2006-01-18 2007-07-26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多層ボトル
US9004761B2 (en) 2006-05-01 2015-04-14 Baxter International Inc. Multiple chamber container with mistake proof administration system
ES2551309T3 (es) 2006-12-18 2015-11-18 Unitika Ltd. Película de resina de poliamida orientada biaxialmente y método para la producción de la misma
US20100247936A1 (en) 2009-03-24 2010-09-30 Baxter International Inc. Non-pvc films with tough core layer
US8808595B2 (en) * 2009-04-07 2014-08-19 Cryovac, Inc. Multilayer film for medical solution pouches having reduced proficiency for forming bubbles
TWI438264B (zh) * 2009-11-02 2014-05-21 Hosokawa Yoko Kk 具有氧吸收功能的塑膠質薄膜及輸液袋
CN102837475A (zh) * 2012-08-31 2012-12-26 瑞安市高分子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药用包装的五层共挤复合膜
CN102848675A (zh) * 2012-08-31 2013-01-02 瑞安市高分子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药用包装的三层共挤复合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5084A (ja) * 2000-07-26 2002-02-05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積層フィルム製の医療溶液用袋
JP4717007B2 (ja) * 2004-10-18 2011-07-06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医療用ガスバリア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医療用バッグ
JP2007105134A (ja) * 2005-10-12 2007-04-26 Shikoku Kako Kk 輸液バッグ用積層フィルム
CN101432365A (zh) * 2006-05-31 2009-05-13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聚酰胺树脂组合物
KR20110131304A (ko) * 2009-03-24 2011-12-06 백스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장벽층을 갖는 비-pvc 필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052U (ko) 2022-07-01 2024-01-09 이심결 다용도 매트
KR20240067552A (ko) 2022-11-09 2024-05-17 이심결 다용도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51264A1 (ja) 2015-10-08
JP5639322B1 (ja) 2014-12-10
RU2671971C2 (ru) 2018-11-08
EP3127529A4 (en) 2017-09-06
CN106456441A (zh) 2017-02-22
JPWO2015151264A1 (ja) 2017-04-13
US20170027816A1 (en) 2017-02-02
KR102160013B1 (ko) 2020-09-25
CA2914314C (en) 2021-05-18
EP3127529A1 (en) 2017-02-08
EP3127529B1 (en) 2020-05-13
AU2014389741B2 (en) 2019-06-06
BR112016021720B1 (pt) 2021-09-28
BR112016021720A2 (pt) 2017-08-15
TW201542194A (zh) 2015-11-16
CA2914314A1 (en) 2015-10-08
AU2014389741A1 (en) 2015-12-17
SG11201509950TA (en) 2016-01-28
US9907726B2 (en) 2018-03-06
RU2016138546A3 (ko) 2018-05-04
MX2016012935A (es) 2017-07-14
TWI577370B (zh) 2017-04-11
EP3127529B8 (en) 2020-07-15
RU2016138546A (ru)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2905B2 (ja) 酸素吸収機能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及び輸液バッグ
JP2550256B2 (ja) 医療用バッグ
ES2535721T3 (es) Película barrera de EVOH con choque de autoclave reducido
TWI437984B (zh) 醫療容器用多層體及醫療容器
US20040146671A1 (en) Flexible monolayer elastomer films and bag for medical use
KR100610290B1 (ko) 다층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하는 약제 용기
KR101396692B1 (ko) 레토르트 가능한 조성물
KR20150036587A (ko) 다층 유연성 튜브
KR102160013B1 (ko) 주사액용 주머니 및 주사용 제제
CN101903002A (zh) 医疗容器用多层体和医疗容器
KR20110131304A (ko) 장벽층을 갖는 비-pvc 필름
JP2022115886A (ja) 薬液収容プラスチック容器
KR20040041154A (ko) 스팀-살균성 다층 필름 및 이것으로 제조된 용기
EP0980892A1 (en) Molded product for medical use from a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olefin resin and a specific block terpolymer
KR100741323B1 (ko) 기능성 수액용 고차단성 다층필름의 수지조성물
JP5382986B2 (ja) ヘパリン注射液製剤
JP4456237B2 (ja) 積層フィルム製の医療溶液用袋
JP2002173171A (ja) 積層フィルム製の医療溶液用袋
KR102246313B1 (ko) 수액 용기용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수액 용기
JP2000033111A (ja) 医療用成形品
CN108236592B (zh) 液体粉体用多室容器
JPH06171040A (ja) ポリオレフィン系医療容器用基材
JPH07125158A (ja) 医療容器用基材
JPH04303452A (ja) 医療容器用重合体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