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597A -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597A
KR20160141597A KR1020150077509A KR20150077509A KR20160141597A KR 20160141597 A KR20160141597 A KR 20160141597A KR 1020150077509 A KR1020150077509 A KR 1020150077509A KR 20150077509 A KR20150077509 A KR 20150077509A KR 20160141597 A KR20160141597 A KR 20160141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er
camera
unit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4876B1 (ko
Inventor
김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7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876B1/ko
Publication of KR20160141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어, 운전자를 보조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로서, 상기 차량 후방 또는 상기 차량 주변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운전자를 촬영하여, 상기 운전자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상기 운전자 상태를 수신하여, 운전자 상태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운전자 상태정보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 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한 다양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좌우측 후방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사이드미러가 벽이나 옆 차와 부딪혀 망가지기 쉽고, 무게와 공기저항으로 인해 주행을 방해해 연료의 효율성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이 있다.
이러한 지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사이드미러 대신 사이트스트림(sightstream)이라 불리는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을 장착한 자동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이드 미러를 제거하고, 이를 대신한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은 기존 사이드미러 사각지대를 해소하여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사이드 미러 자체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고, 사이드 미러가 받는 공기 저항을 제거하여, 연료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은 기존 사이드 미러를 사용하던 운전자에게 이질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운전자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된 정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적절한 외부 영상을 제공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어, 운전자를 보조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로서, 상기 차량 후방 또는 상기 차량 주변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운전자를 촬영하여, 상기 운전자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상기 운전자 상태를 수신하여, 운전자 상태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운전자 상태정보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는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된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차량 외부 영상을 사용에게 적절히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운전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도 제어되어, 기존 사이드 미러와 같은 사용감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운전 보조 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가상의 거울로 보고, 운전자의 시선의 입사 방향에 대한 가상의 반사 방향을 산출한 후, 가상의 반사 방향에 따른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운전자는 차량 후방에 대한 정확한 공간 인식할 수 있는 운전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수 상황에 대해 인식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상을 제어하여,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기여함으로써, 편리한 운전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긴급 상황을 운전자에게 알려, 안전 운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블록도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차량의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차량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차량의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차량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표시화면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차량의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차량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을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0 내지 도 23은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표시 영상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5 내지 도 28은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표시영상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0 내지 도 33은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표시영상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4는 도 1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LHD(Left Hand Drive) 차량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7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13FL, 13RL, …), 차량(7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수단(721a)(도 3 참조), 및 차량(700)에 장착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L, 100R, 100B)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L, 100R, 100B)는 차량의 좌측 후방을 촬영하고 표시하여, 좌측 사이드 미러 역할을 할 수 있고, 차량의 우측 후방을 촬영하고 표시하여 우측 사이드 미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고 표시하여 룸미러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L, 100R, 100B)는 차량의 좌측, 우측 및 후방 미러 중 적어도 하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L, 100R, 100B)는 기존 차량에 미러를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로 대체하여, 차량에서 미러의 무게를 제거하고, 미러가 받는 공기저항을 감소시켜 차량의 연료소비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L, 100R, 100B)는 미러로 인한 차량의 디자인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미러로 인한 사고를 원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L, 100R, 100B)가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일정 시야각으로 고정된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할 경우, 기존 사이드 미러를 사용하던 운전자들에게 이질감을 주어, 운전에 지장을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 시야각의 고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경우, 운전자가 확인할 수 없는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과다하게 확장된 시야각의 고정된 영상을 평면 디스플레이에 제공할 경우, 공간 왜곡으로 인하여 운전자가 차량 외부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주차와 같은 특수한 운전 상황에서 운전자는 차량 외부의 다양한 위치에 대한 시야 확보가 필요할 수 있고, 특정 부분을 집중적으로 관찰할 필요성도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된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차량 외부 영상을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보조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L, 100R, 100B)가 장착된 차량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L, 100R, 100B)가 장착된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L, 100R, 100B)는 차량 주변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60L, 160R), 카메라(160L, 160R)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80L, 180R, 180B) 및 운전자를 상태를 감지하는 모니터링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L, 100R, 100B)는 차량의 좌측 측면에 장착되어 차량의 좌측 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L)의 좌측 카메라(160L)는 운전자 좌측 글라스에 인접한 차량 측면에 배치되어, 차량의 좌측 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촬영된 영상은 차량 내에 배치된 좌측 디스플레이부(180L)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자세히, 좌측 디스플레이부(180L)는 기존 좌측 사이드 미러와 같은 사용감을 주기 위하여, 운전석 좌측 글라스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디스플레이부(180L)는 윈드 실드 글라스(wind shield glass)와 좌측 글라스 사이에 배치되어, 차량의 좌측 후방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L, 100R, 100B)는 차량의 우측 측면에 장착되어 우측 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측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R)의 우측 카메라(160R)는 운전자 우측 글라스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차량의 우측 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촬영된 영상은 차량 내에 배치된 우측 디스플레이부(180R)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자세히, 우측 디스플레이부(180R)는 기존 우측 사이드 미러와 같은 사용감을 주기 위하여, 운전석 우측 글라스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측 디스플레이부(180R)는 윈드 실드 글라스와 우측 글라스 사이에 배치되어, 차량의 우측 후방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L, 100R, 100B)는 차량의 후방을 향해 장착되어 차량의 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촬영된 영상은 차량 내에 배치된 후방 디스플레이부(180B)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자세히, 후방 디스플레이부(180B)는 기존 룸미러와 같은 사용감을 주기 위해 윈드 실드 글라스 상에 배치되어 차량의 후방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L, 100R, 100B)는 좌측, 우측 후방 영상 및 후방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고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차량의 좌측 사이드 미러 역할을 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L)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하 설명은 차량의 인접 시야 확보를 위한 모든 위치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운전자를 상태를 모니터링(driver status monitoring, DSM)하는 모니터링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부(150)는 운전자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여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모니터링부(150)는 차량 내에 구비되는 모니터링 카메라로, 운전자를 촬영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부(150)는 차량의 데시 보드에 배치되어 운전자를 촬영하거나, 디스플레이부(180)에 배치되어 운전자를 촬영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부(150)는 운전자를 촬영하여 운전자 모니터링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수신된 운전자 모니터링 영상을 처리하여, 운전자의 상태정보로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 운전자의 안구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바라보는 시선 방향, 안구 위치의 변화 및 시선 방향의 변화 등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이와 같이 산출된 운전자 상태정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80)의 출력 화면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필요한 적절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기존 사이드 미러의 경우, 운전자의 안구 위치가 변화되거나, 시선 방향이 변화될 경우, 사이드 미러에서 반사되는 이미지가 변화됨으로써, 운전자는 원하는 위치의 이미지를 볼 수 있고, 운전자는 이러한 이미지 변화를 통해 차량 외부의 공간 상태에 대한 인지가 가능하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기존 사이드 미러와 동일한 사용감을 주기 위하여, 운전자를 모니터링하여 위 운전자 상태정보를 산출하고, 이에 따라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의 이미지를 보여주려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바라보는 안구의 위치 및 시선 방향이 변하였을 때, 디스플레이부(180)가 동일한 화면을 제공한다면, 운전자는 차량의 후방 공간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가 사이드 미러라면, 운전자의 안구 위치나 시선 방향이 변하였을 때, 사이드 미러를 통해 볼 수 있는 이미지는 빛의 입사/반사 원리에 의해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안구의 위치와 시선 방향이 변경되어 기존 시선방향(Ic)에서 변경된 시선방향(Ie)으로 바뀌었을 때, 디스플레이부(180)에서 가상으로 반사되는 이미지 반사방향도 기존 반사방향(Rc)에서 변경된 반사방향(Re)으로 바뀔 것이다. 따라서, 카메라(120)의 촬영방향 또한 기존 반사방향에 대응되는 촬영방향(Sc)에서 변경된 반사방향에 대응되는 촬영방향(Se)으로 제어되어,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를 보는듯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다시 말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가상의 거울로 보고, 운전자의 시선의 입사 방향에 대한 가상의 반사 방향을 산출한 후, 가상의 반사 방향에 따른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운전자는 차량 후방에 대한 정확한 공간 인식할 수 있는 운전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후방 영상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카메라(160)를 이동시키거나, 촬영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운전자의 상태정보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80) 표시화면 제어할 수 있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 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블록도의 일례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6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차량의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6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차량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차량의 좌측 후방 사진을 나타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80) 표시 화면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입력부(110), 모니터링부(15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프로세서(170), 전원 공급부(190), 카메라(160), 구동부(120),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차량 내에 배치된 복수의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전원을 온 시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운전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운전자의 상태정보가 일정할 때, 운전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60)의 촬영방향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운전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프로세서(170)가 인식하는 가상의 시선 반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기존 사이드 미러의 수평 위치, 수직 위치를 제어하여 시선에 대한 반사각을 조절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운전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운전자 상태정보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과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다.
그 외, 운전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17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차량 내부의 제어부(770),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 센서부(76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AVN 장치(400)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에 의해 촬영된 차량 외부 영상 및 운전자 상태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AVN 장치(400)에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에서 센싱된 정보들을 송신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또는 센서부(76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정보는,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속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정보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차량 속도 센서, 차체 경사 감지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한편, 포지션 모듈은, GPS 정보 수신을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센서 정보 중 차량 주행과 관련한,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등을 차량 주행 정보라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주행 정보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을 제어하는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차량 주행 정보 중 차량의 기울기 정도, 차량 각도 정보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의 경우, 카메라(160) 촬영방향을 아래로 낮추거나 위로 올림으로써 운전자가 보다 원활한 후방 시계 및 측방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선회시에는 카메라(160)의 촬영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경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인터페이스부(130)는, 센서 정보로 차량에 인접한 주변 차량들에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부(130)는, 센서 정보로 자기 차량에 일정 거리 이하로 진입한 타 차량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의 좌측, 및 좌측 후방에서 일정 거리 이하로 진입한 타 차량이 차량의 센서부로부터 센싱될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얻어진 인접한 주변 차량 정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80) 표시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차량 측후방에 일정 거리 이하로 타 차량이 인접함을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할 경우, 카메라(160)로부터 인접한 차량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운전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운전자에게 알려,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0)는, 턴 시그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턴 시그널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위한 방향 지시등의 턴 온(turn on) 시그널일 수 있다. 차량의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지시등 턴 온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턴 시그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얻어진 턴 시그널 정보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 표시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턴 시그널 정보에 따른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방향 턴 시그널 정보가 입력될 경우, 프로세서(170)는 좌측 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제공하여, 운전자의 주행을 보조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40)에는, 운전자 상태정보와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 관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운전자 상태정보와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 관계는 일반 주행 상태와 특수 주행 상태를 고려하여,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차 모드로 운전자 상태정보와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 특정 관계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주차 모드의 경우, 카메라(160)의 촬영방향을 일반 주행시보다 하측으로 변경하여, 좀더 주차에 원활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사 주행 모드로 운전자 상태정보와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 특정 관계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경사 상태에 따라서 운전자 상태정보와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 특정 관계를 변경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다 적절한 위치의 차량 외부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입력 또는 센서 정보 등에 의한 상황 판단으로 메모리(140)에 저장된 특정 모드를 불러와 운전자 상태정보와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 관계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부(150)는, 운전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링부(150)는, 차량 내에 구비되는 카메라(160)로, 운전자를 촬영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자세히, 모니터링부(150)는 운전자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모니터링 영상을 처리하여, 운전자의 상태정보로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 운전자의 안구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바라보는 시선 방향, 안구 위치의 변화 및 시선 방향의 변화 등을 운전자 상태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카메라(160)는, 차량 후방 영상 또는/및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160)는 차량의 좌측 후방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60)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160)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영상 처리 모듈은 프로세서(170)와 별도로 구성되거나 일체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16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줌(Zoom)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160)에 포함된 줌배럴(미도시)이 이동하여, 줌이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16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포커스(Focus)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160)에 포함된 포커스배럴(미도시)이 이동하여, 포커스가 설정될 수 있다. 포커스는 줌 설정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60)의 줌 제어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포커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60)에는 구동부(12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120)는, 카메라(160)의 촬영방향을 상하 또는/및 좌우로 변경시킬 수 있다.
자세히, 도 6을 참조하면, 탑뷰에서, 카메라(160)는 일정 시야각(θ)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구동부(120)는 일정 각도 내에서 카메라(160)를 좌/우측으로 이동시켜, 카메라(160)의 촬영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20)는 카메라(160)의 촬영방향을 제 1 촬영방향에서 제 2 촬영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측면 방향에서 볼 때, 카메라(160)는 일정 시야각(θ)의 영상을 일정 촬영방향으로 촬영할 수 있다. 구동부(120)는 일정 각도 내에서 카메라(160)를 상하로 이동시켜, 카메라(160)의 촬영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20)는 카메라(160)의 촬영방향을 제 3 촬영방향에서 제 4 촬영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70)는, 모니터링부(150)를 통해 획득된 운전자 모니터링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모니터링부(150)를 통해 촬영된 운전자 모니터링 영상을 처리하여 운전자 상태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모니터링 영상을 처리하여 운전자의 상태정보로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 운전자의 안구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바라보는 시선 방향, 안구 위치의 변화 및 시선 방향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상태정보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운전자가 차량 측 후방에 대한 영상 정보가 필요한 시기를 판단하여 카메라(160) 또는/및 디스플레이부(180)를 동작시킴으로써,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를 저전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 디스플레이부(180)를 바라보는 시선 방향과 대응되는 차량 좌측 후방 방향을 계산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카메라(160)의 촬영방향을 이동시켜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할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상태정보에 따른 카메라(160) 촬영방향을 산출하고, 카메라(160) 촬영방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할 화면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필요한 위치 및 시야각의 후방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60)의 줌(Zoom)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오브젝트 검출 결과에 따라 카메라(160)의 줌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를 산출하여, 안구의 위치와 디스플레이부(180)의 거리가 가까워졌을 때, 디스플레이부(180) 영상을 점차 확대(줌 인)하여, 우측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를 산출하여, 안구의 위치와 디스플레이부(180)의 거리가 멀어졌을 때, 디스플레이부(180) 영상을 줌 아웃 하여, 좌측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제어부(770) 또는 센서부(76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정보는,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차량 주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차량 주행 정보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의 경우, 카메라(160) 촬영방향을 아래로 낮추거나 위로 올림으로써 운전자가 보다 원활한 후방 시계 및 측방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선회시에는 카메라(160)의 촬영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경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센서 정보로 차량에 인접한 주변 차량들에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얻어진 인접한 주변 차량 정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80) 표시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차량 측후방에 일정 거리 이하로 타 차량이 인접함을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할 경우, 카메라(160)로부터 인접한 차량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운전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운전자에게 알려,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턴 시그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턴 시그널 정보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 표시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턴 시그널 정보에 따른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방향 턴 시그널 정보가 입력될 경우, 프로세서(170)는, 좌측 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제공하여, 운전자의 주행을 보조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170)(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170)(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제어부(77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프로세서(170)로부터 제어된 카메라(160)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는 카메라(160)를 통해 촬영된 차량의 좌측 후방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한 이미지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 내부에 별도로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 내부 전면의 클러스터(cluster) 또는 HUD(Head Up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가 HUD 인 경우, 차량(700)의 측면 유리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투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프로세서(170)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출력부(185)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부(미도시)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수신되는 음성은,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70)로 전달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 표시화면의 변화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의 후방에서 카메라(160)에서 촬영되는 일정 영역(A0)이 디스플레부에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8에서, 사각 테두리 내에 배치된 영역(A0)이 기준 영역(A0)으로 카메라(160)에 의해 촬영되고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역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준 영역(A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고, 모니터링부(150)에서 운전자 상태정보에 변화가 센싱될 경우,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상태정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역(A0)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가 우측으로 이동하거나,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보는 시선 방향이 디스플레이부(180)의 좌측으로 변화할 경우, 카메라(160)의 촬영방향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변화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가 좌측으로 이동하거나,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보는 시선 방향이 디스플레이부(180)의 우측으로 변화할 경우, 카메라(160)의 촬영방향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변화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가 하측으로 이동하거나,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보는 시선 방향이 디스플레이부(180)의 상측을 향할 경우, 카메라(160)의 촬영방향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변화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가 상측으로 이동하거나,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보는 시선 방향이 디스플레이부(180)의 하측을 향할 경우, 카메라(160)의 촬영방향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기준 영역에서 제 4 영역으로 변화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안구의 위치와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 변화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80) 영상을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를 산출하여, 안구의 위치와 디스플레이부(180)의 거리가 가까워졌을 때, 디스플레이부(180) 영상을 점차 확대(줌 인)하여, 우측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를 산출하여, 안구의 위치와 디스플레이부(180)의 거리가 멀어졌을 때, 디스플레이부(180) 영상을 줌 아웃 하여, 좌측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운전자 상태정보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하는 영상을 제어하여, 운전자는 원하는 방향의 영상을 적절히 제공할 수 있는 운전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6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차량의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6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차량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카메라(160) 촬영 영상을 나타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80) 표시 화면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입력부(110), 모니터링부(15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프로세서(170), 전원 공급부(190), 광각 카메라(161), 구동부(120),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광각 카메라(161)는 차량 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각 카메라(161)는 차량의 좌측 후방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광각 카메라(161)는 광각 렌즈를 포함하여, 넓은 화각을 가질 수 있다. 즉, 광각 카메라(161)는 넓은 시야각을 가지는 광각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광각 카메라(161)는 좌우 50도 내지 90도 사이의 화각을 가지는 광각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른 광각 카메라(161)는 좌우 60도 내지 85도 사이의 화각을 가지는 광각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광각 카메라(161)는 상하 50도 내지 90도 사이의 화각을 가지는 광각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른 광각 카메라(161)는 상하 60도 내지 85도 사이의 화각을 가지는 광각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광각 카메라(161)는 별도의 구동부(120) 없이도 광각 영상을 획득할 수 있어, 사각지대 없이 차량의 좌측 후방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이와 같이 광각 카메라(161)를 통해 획득된 광각 영상을 편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광각 카메라(161)를 통해 획득된 광각 영상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광각 카메라(161)를 통해 획득된 광각 영상은 넓은 화각으로 인하여 외곽에 공간 왜곡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로세서(170)는 공간 왜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광각 영상을 일부 영상으로 편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광각 카메라(161)를 통해 획득된 광각 영상을 모니터링부(150)를 통해 획득된 운전자 상태정보에 따라서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모니터링부(150)가 획득한 운전자 모니터링 영상을 처리하여 운전자의 상태정보로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 운전자의 안구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바라보는 시선 방향, 안구 위치의 변화 및 시선 방향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상태정보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바라볼 때에만 디스플레이부(180)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운전자가 차량 측 후방에 대한 영상 정보가 필요한 시기에만, 광각 카메라(161) 또는/및 디스플레이부(180)를 동작시킴으로써,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를 저전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 디스플레이부(180)를 바라보는 시선 방향과 대응되는 차량 좌측 후방 방향을 계산하고, 이에 대응되는 광각 영상의 일부 영역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상태정보를 기준으로 광각 영상을 편집하여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할 화면을 산출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필요한 후방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표시할 화면 산출시, 카메라(160)의 초점 등을 변화하여, 표시 화면에 공간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 표시화면의 변화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차량의 후방에서 광각 카메라(161)에서 촬영되는 일정 영역이(A0) 디스플레부에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13은 광각 카메라(161)가 촬영한 광각 영상이고, 사각 테두리 내에 배치된 영역(A0)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표시영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표시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고, 프로세서(170)가 운전자 상태정보에 변화를 산출한 경우,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상태정보의 변화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역(A0) 또한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가 우측으로 이동하거나,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보는 시선 방향이 디스플레이부(180)의 좌측으로 변화할 경우, 광각 영상에서 표시영상을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가 좌측으로 이동하거나,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보는 시선 방향이 디스플레이부(180)의 우측으로 변화할 경우, 광각 영상에서 표시영상을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가 하측으로 이동하거나,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보는 시선 방향이 디스플레이부(180)의 상측을 향할 경우, 광각 영상에서 표시영상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가 상측으로 이동하거나,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보는 시선 방향이 디스플레이부(180)의 하측을 향할 경우, 광각 영상에서 표시영상을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안구의 위치와 디스플레이부(180)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서 촬영 영상의 일부 영역을 확대 또는/및 축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에 따라 표시할 부분을 산출하고, 표시할 부분을 점차 확대하여, 좌측 이미지에서 우측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를 산출하여, 안구의 위치와 디스플레이부(180)의 거리가 멀어졌을 때, 표시할 부분을 점차 축소하여, 우측 이미지에서 좌측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운전자 상태정보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할 영상을 제어하여, 운전자에게 필요한 영상을 적절히 제공할 수 있는 운전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광각 카메라(161)의 줌(Zoom)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오브젝트 검출 결과에 따라 광각 카메라(161)의 줌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광각 카메라(161)를 제어하여, 광각 카메라(161)의 줌(Zoom)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광각 카메라(161)에 포함된 줌배럴(미도시)이 이동하여, 줌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광각 카메라(161)의 포커스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광각 카메라(161)에 포함된 포커스배럴(미도시)이 이동하여, 포커스가 설정될 수 있다. 포커스는 줌 설정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차량 주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차량 주행 정보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의 경우, 광각 카메라(161) 촬영방향을 아래로 낮추거나 위로 올림으로써 운전자가 보다 원활한 후방 시계 및 측방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선회시에는 광각 카메라(161)의 촬영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경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센서 정보로 차량에 인접한 주변 차량들에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얻어진 인접한 주변 차량 정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80) 표시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차량 측후방에 일정 거리 이하로 타 차량이 인접함을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할 경우, 광각 카메라(161)로부터 인접한 차량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운전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운전자에게 알려,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턴 시그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턴 시그널 정보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 표시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턴 시그널 정보에 따른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방향 턴 시그널 정보가 입력될 경우, 프로세서(170)는, 좌측 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제공하여, 운전자의 주행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제어부(77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프로세서(170)로부터 제어된 광각 카메라(161)가 촬영한 영상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는 광각 카메라(161)를 통해 촬영된 차량의 좌측 후방 영상 중 프로세서(170)에서 산출된 적어도 일부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한 이미지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 내부에 별도로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 내부 전면의 클러스터(cluster) 또는 HUD(Head Up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가 HUD 인 경우, 차량(700)의 측면 유리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투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프로세서(170)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출력부(185)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부(미도시)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수신되는 음성은,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70)로 전달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입력부(110)는 차량 내에 배치된 복수의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전원을 온 시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운전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운전자의 상태정보가 일정할 때, 운전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운전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운전자 상태정보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과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다. 그 외, 운전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17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또는 센서부(76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센서 정보 중, 차량 주행과 관련한,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등을 차량 주행 정보라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주행 정보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을 제어하는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차량 주행 정보 중 차량의 기울기 정도, 차량 각도 정보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의 경우, 광각 카메라(161) 촬영방향을 아래로 낮추거나 위로 올림으로써 운전자가 보다 원활한 후방 시계 및 측방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선회시에는 광각 카메라(161)의 촬영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경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인터페이스부(130)는 센서 정보로 차량에 인접한 주변 차량들에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부(130)는 센서 정보로 자기 차량에 일정 거리 이하로 진입한 타 차량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의 좌측, 및 좌측 후방에서 일정 거리 이하로 진입한 타 차량이 차량의 센서부로부터 센싱될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얻어진 인접한 주변 차량 정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80) 표시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차량 측후방에 일정 거리 이하로 타 차량이 인접함을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할 경우, 광각 카메라(161)로부터 인접한 차량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운전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운전자에게 알려,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턴 시그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턴 시그널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위한 방향 지시등의 턴 온(turn on) 시그널일 수 있다. 차량의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지시등 턴 온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턴 시그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얻어진 턴 시그널 정보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 표시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턴 시그널 정보에 따른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방향 턴 시그널 정보가 입력될 경우, 프로세서(170)는 좌측 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제공하여, 운전자의 주행을 보조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40)에는 운전자 상태정보와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 관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전자 상태정보와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 관계는 일반 주행 상태와 특수 주행 상태를 고려하여,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모드로 운전자 상태정보와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 특정 관계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주차 모드의 경우, 광각 카메라(161)의 촬영방향을 일반 주행시보다 하측으로 변경하여, 좀더 주차에 원활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사 주행 모드로 운전자 상태정보와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 특정 관계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입력 또는 센서 정보들에 의한 상황 판단으로 메모리(140)에 저장된 특정 모드를 불러와 운전자 상태정보와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 관계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6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차량의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6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차량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을 나타낸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입력부(110), 모니터링부(15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프로세서(170), 전원 공급부(190), 카메라(163), 구동부(120),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63)는 차량 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163)는 차량의 좌측 후방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63)는 적어도 2 이상의 카메라(163-1, 163-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카메라(163)는 제 1 카메라(163-1)와, 제 2 카메라(16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카메라(163-1)의 화각은 제 2 카메라(163-2)의 화각 보다 넓을 수 있다.
즉, 제 1 카메라(163-1)는 광각 렌즈를 포함하여, 넓은 화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카메라(163-1)는 넓은 시야각을 가지는 광각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 1 카메라(163-1)는 제 1 화각을 갖는 광각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제 2 카메라(163-2)는 제 2 화각을 갖는 일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163-1)는 좌우 50도 내지 90도 사이의 화각의 광각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카메라(163-1)는 좌우 60도 내지 85도 사이의 화각의 광각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제 2 카메라(163-2)는 제 1 화각 보다 작은 제 2 화각을 갖는 일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을 참조하면, 제 1 카메라(163-1)는 제 1 화각을 갖는 광각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제 2 카메라(163-2)는 제 2 화각을 갖는 일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163-1)는 상하 50도 내지 90도 사이의 화각의 광각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카메라(163-1)는 상하 60도 내지 85도 사이의 화각의 광각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제 2 카메라(163-2)는 제 1 화각 보다 작은 제 2 화각을 갖는 일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 1 카메라(163-1)가 촬영한 광각 영상은 사각 지대 없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제 2 카메라(163-2)가 촬영한 일반 영상은 일정 영역을 공간 왜곡 없이 고화질로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163)에는 구동부(120)가 장착될 수 있다. 자세히, 제 2 카메라(163-2)에는 구동부(120)가 장착될 수 있고, 구동부(120)는 제 2 카메라(163-2)의 촬영방향을 상하 또는/및 좌우로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적어도 2 이상의 표시 영역을 가지며, 각각의 표시 영역은 서로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자세히, 디스플레이부(180)는 제 1 표시 영역(A11)과, 제 1 표시 영역(A11)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2 표시 영역(A10)을 포함하고, 제 1 표시 영역(A11)과 제 2 표시 영역(A10)은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는 제 1 표시 영역(A11)에는 일반 영상을 표시하고, 제 2 표시 영역(A10)에는 일반 영상보다 화각이 넓은 광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 1 표시 영역(A11)에는 차량 좌측 후방 영상이 표시되고, 제 2 표시 영역(A10)에는 차량 전방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 내부에 별도로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 내부 전면의 클러스터(cluster) 또는 HUD(Head Up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가 HUD 인 경우, 차량(700)의 측면 유리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투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이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163)를 통해 획득된 영상들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제 1 카메라(163-1)에서 획득된 일반 영상을 제 1 표시 영역(A11)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고, 제 2 카메라(163-2)에서 획득된 광각 영상을 제 2 표시 영역(A10)에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공간에 대한 인식은 제 2 표시 영역(A10)으로 이해할 수 있고, 사각 지대 없는 영상을 제 1 표시 영역(A11)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70)는, 차량 좌측 후방 영상은 제 1 표시 영역(A11)에, 차량 전방 영상은 제 2 표시 영역(A10)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상태정보를 통해 운전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부(180)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 차량 전방에 대한 주의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 1 표시 영역(A11) 또는 제 2 표시 영역(A10)에 차량 전방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모니터링부(150)를 통해 획득된 운전자 모니터링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모니터링부(150)를 통해 촬영된 운전자 모니터링 영상을 처리하여 운전자 상태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모니터링부(150)가 획득한 운전자 모니터링 영상을 처리하여 운전자의 상태정보로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 운전자의 안구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바라보는 시선 방향, 안구 위치의 변화 및 시선 방향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산출된 운전자 상태정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바라볼 때에만 디스플레이부(180)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운전자가 차량 측 후방에 대한 영상 정보가 필요한 시기에만, 카메라(163) 또는/및 디스플레이부(180)를 동작시킴으로써,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를 저전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 디스플레이부(180)를 바라보는 시선 방향과 대응되는 차량 좌측 후방 방향을 계산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제 2 카메라(163-2)의 촬영방향을 이동시켜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할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상태정보를 기준으로 제 2 카메라(163-2)의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할 화면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필요한 후방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운전자 상태정보에 변화가 산출된 경우,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상태정보의 변화에 따라서 구동부(120)는 일정 각도 내에서 제 2 카메라(163-2)를 좌/우측으로 이동시켜, 제 2 카메라(163-2)의 촬영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2 카메라(163-2)의 촬영방향 변화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가 우측으로 이동하거나,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보는 시선 방향이 디스플레이부(180)의 좌측으로 변화할 경우, 제 2 카메라(163-2)의 촬영 방향을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가 좌측으로 이동하거나,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보는 시선 방향이 디스플레이부(180)의 우측으로 변화할 경우, 제 2 카메라(163-2)의 촬영 방향을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가 하측으로 이동하거나,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보는 시선 방향이 디스플레이부(180)의 상측을 향할 경우, 제 2 카메라(163-2)의 촬영 방향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가 상측으로 이동하거나,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보는 시선 방향이 디스플레이부(180)의 하측을 향할 경우, 제 2 카메라(163-2)의 촬영 방향을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안구의 위치와 디스플레이부(180)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서 촬영 영상의 일부 영역을 확대 또는/및 축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에 따라 표시할 부분을 산출하고, 표시할 부분을 점차 확대하여, 좌측 이미지에서 우측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를 산출하여, 안구의 위치와 디스플레이부(180)의 거리가 멀어졌을 때, 표시할 부분을 점차 축소하여, 우측 이미지에서 좌측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운전자 상태정보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할 영상을 제어하여, 운전자에게 필요한 영상을 적절히 제공할 수 있는 운전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63)의 줌(Zoom)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오브젝트 검출 결과에 따라 카메라(163)의 줌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63)를 제어하여, 카메라(163)의 줌(Zoom)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163)에 포함된 줌배럴(미도시)이 이동하여, 줌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63)의 포커스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163)에 포함된 포커스배럴(미도시)이 이동하여, 포커스가 설정될 수 있다. 포커스는 줌 설정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차량 주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차량 주행 정보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의 경우, 카메라(163) 촬영방향을 아래로 낮추거나 위로 올림으로써 운전자가 보다 원활한 후방 시계 및 측방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선회시에는 카메라(163)의 촬영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경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센서 정보로 차량에 인접한 주변 차량들에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얻어진 인접한 주변 차량 정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80) 표시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차량 측후방에 일정 거리 이하로 타 차량이 인접함을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할 경우, 카메라(163)로부터 인접한 차량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운전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운전자에게 알려,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턴 시그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턴 시그널 정보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 표시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턴 시그널 정보에 따른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방향 턴 시그널 정보가 입력될 경우, 프로세서(170)는, 좌측 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제공하여, 운전자의 주행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제어부(77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프로세서(170)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출력부(185)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부(미도시)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수신되는 음성은,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70)로 전달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입력부(110)는 차량 내에 배치된 복수의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전원을 온 시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운전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운전자의 상태정보가 일정할 때, 운전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운전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운전자 상태정보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과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다. 그 외, 운전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17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또는 센서부(76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센서 정보 중, 차량 주행과 관련한,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등을 차량 주행 정보라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주행 정보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을 제어하는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차량 주행 정보 중 차량의 기울기 정도, 차량 각도 정보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의 경우, 카메라(163) 촬영방향을 아래로 낮추거나 위로 올림으로써 운전자가 보다 원활한 후방 시계 및 측방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선회시에는 카메라(163)의 촬영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경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인터페이스부(130)는 센서 정보로 차량에 인접한 주변 차량들에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부(130)는 센서 정보로 자기 차량에 일정 거리 이하로 진입한 타 차량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의 좌측, 및 좌측 후방에서 일정 거리 이하로 진입한 타 차량이 차량의 센서부로부터 센싱될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얻어진 인접한 주변 차량 정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80) 표시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차량 측후방에 일정 거리 이하로 타 차량이 인접함을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할 경우, 카메라(163)로부터 인접한 차량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운전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운전자에게 알려,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턴 시그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턴 시그널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위한 방향 지시등의 턴 온(turn on) 시그널일 수 있다. 차량의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지시등 턴 온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턴 시그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얻어진 턴 시그널 정보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 표시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턴 시그널 정보에 따른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방향 턴 시그널 정보가 입력될 경우, 프로세서(170)는 좌측 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제공하여, 운전자의 주행을 보조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40)에는 운전자 상태정보와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 관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전자 상태정보와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 관계는 일반 주행 상태와 특수 주행 상태를 고려하여,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모드로 운전자 상태정보와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 특정 관계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주차 모드의 경우, 카메라(163)의 촬영방향을 일반 주행시보다 하측으로 변경하여, 좀더 주차에 원활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사 주행 모드로 운전자 상태정보와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 특정 관계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입력 또는 센서 정보들에 의한 상황 판단으로 메모리(140)에 저장된 특정 모드를 불러와 운전자 상태정보와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화면 관계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20 내지 도 23은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80) 표시 영상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모니터링부(150)를 통해, 운전자 모니터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S101)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모니터링 영상을 처리하여, 운전자 상태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S103, S105)
여기서, 운전자 상태정보에는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 운전자의 안구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바라보는 시선 방향, 안구 위치의 변화 및 시선 방향의 변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모니터링 영상을 처리하여, 운전자 안구의 위치, 시선 방향 등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산출된 운전자 상태정보를 통해,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바라보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S107)
예컨대, 프로세서(17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디스플레이부(180)의 위치와, 운전자 상태 정보인 안구의 위치 및 시선 방향으로부터 운전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부(180)를 향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운전자 시선이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카메라(160)에서 촬영된 영상을 운전자 상태정보에 따라서 표시할 수 있다. (S109)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운전자가 차량 측 후방에 대한 영상 정보가 필요한 시기를 판단하여 카메라(160) 또는/및 디스플레이부(180)를 동작시킴으로써,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를 저전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운전자 상태정보에 따른 영상일 수 있다.
자세히, 도 21을 참조하면, 전체 차량 좌측 후방 상황에서 운전자 상태정보에 따라 카메라(160) 촬영방향이 정해지고, 운전자 상태정보에 따른 카메라(160) 촬영방향에서 촬영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메모리(140)에 운전자 상태정보와 표시화면과의 관계에 따라서 카메라(160)의 촬영방향이 결정되고, 이에 따라 촬영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과 같이,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바라보았을 때, 운전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부(180)에 가상으로 반사되었을 때의 방향이 카메라(160) 촬영방향으로, 이때 촬영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70)는 모니터링부(150)를 통해 지속적으로 운전자의 상태정보를 산출하여, 운전자 상태정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S111)
도 22와 같이, 안구의 위치와 시선방향 등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시선이 반사되는 방향 또한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상태정보의 변화가 산출된 경우, 변화된 운전자 상태정보에 따른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13)
도 23과 같이,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상태정보 변화에 따른 카메라(160) 촬영방향을 산출하고, 카메라(160) 촬영방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할 화면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필요한 위치 및 시야각의 후방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안구의 위치와 시선방향 변화에 따라 변화된 가상의 반사방향으로 카메라(160) 촬영방향을 결정하여, 디스플레이부(180) 표시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25 내지 도 28은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80) 표시 영상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모니터링부(150)를 통해, 운전자 모니터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S301)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모니터링 영상을 처리하여, 운전자 상태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S303, S305)
여기서, 운전자 상태정보에는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 운전자의 안구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바라보는 시선 방향, 안구 위치 및 시선 방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모니터링 영상을 처리하여, 운전자 안구의 위치, 시선 방향 등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산출된 운전자 상태정보를 통해,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바라보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S307)
예컨대, 프로세서(17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디스플레이부(180)의 위치와, 운전자 상태 정보인 안구의 위치 및 시선 방향으로부터 운전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부(180)를 향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대한 운전자 시선이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카메라(160)에서 촬영된 영상을 운전자 상태정보에 따라서 표시할 수 있다. (S309)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운전자가 차량 측 후방에 대한 영상 정보가 필요한 시기를 판단하여 카메라(160) 또는/및 디스플레이부(180)를 동작시킴으로써,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를 저전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메모리(140)에 저장된 카메라(160) 촬영방향으로 촬영된 영상일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기준으로 설정된 카메라(160) 촬영방향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초기 디스플레이부(180) 표시화면은 운전자 상태정보와 관련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디폴트 또는 입력부(110)를 통해 기준 카메라(160) 촬영방향이 결정되면, 초기 디스플레이부(180) 표시화면은 결정된 기준 카메라(160) 촬영방향으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운전 중에 운전자는 다양한 자세로 변화될 수 있는데, 다양한 운전자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표시화면이 사각지대를 표시하지 않는 등 차량 좌측 후방상태를 적절하게 표시하지 못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초기에 자세나 시선방향과 관계없이 일정하게 지정된 카메라(160) 촬영방향으로 차량 외부를 모니터링 하여, 운전에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자세히, 도 21을 참조하면, 전체 차량 좌측 후방 상황에서 운전자 상태정보에 관계 없이 기준 촬영방향으로 촬영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메모리(140)에 기준 카메라(160)의 촬영방향을 로드하고, 이에 따라 촬영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70)는 모니터링부(150)를 통해 지속적으로 운전자의 상태정보를 산출하여, 운전자 상태정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S311)
도 27과 같이, 안구의 위치와 시선방향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시선이 반사되는 방향 또한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상태정보의 변화가 산출된 경우, 변화된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에 따라 변화된 카메라(160) 촬영방향을 계산하고, 변화된 카메라(160) 촬영방향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313)
도 28과 같이,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상태정보 변화에 따른 카메라(160) 촬영방향을 산출하고, 카메라(160) 촬영방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할 화면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필요한 위치 및 시야각의 후방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30 내지 도 33은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80) 표시영상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차량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501)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센서 정보로 차량에 인접한 주변 차량들에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170)는 수신된 센서 정보로 자기 차량에 일정 거리 이하로 진입한 타 차량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S503)
도 30을 보면, 자 차량의 좌측 후방에 타 차량이 일정 거리로 진입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 차량과 타 차량과의 거리는 차량의 초음파 센서, 라이다 센서 또는 레이더 센서 등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얻어진 인접한 주변 차량 정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80) 표시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S505)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차량 측 후방에 일정 거리 이하로 타 차량이 인접함을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할 경우, 카메라(160)로부터 인접한 차량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운전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운전자에게 알려,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1을 보면, 프로세서(170)는 자기 차량에 근접한 차량을 감지하고, 후방 상황 중 자기 차량에 근접한 타 차량 측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170)는 모니터링부(150)를 통해, 운전자 모니터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S507)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모니터링 영상을 처리하여, 운전자 상태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S509)
여기서, 운전자 상태정보에는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 운전자의 안구가 디스플레이부(180)를 바라보는 시선 방향, 안구 위치 및 시선 방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모니터링 영상을 처리하여, 운전자 시선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S511).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상태정보의 변화가 산출된 경우, 변화된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에 따라 변화된 카메라(160) 촬영방향을 계산하고, 변화된 카메라(160) 촬영방향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513)
도 33과 같이,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의 상태정보 변화에 따른 카메라(160) 촬영방향을 산출하고, 카메라(160) 촬영방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할 화면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필요한 위치 및 시야각의 후방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4눈 도 1의 차량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차량(700)은 통신부(710), 입력부(720), 센싱부(760), 출력부(740), 차량 구동부(750), 메모리(730), 인터페이스부(780), 제어부(770), 전원부(790),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 및 AVN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차량(700)과 이동 단말기(600) 사이, 차량(700)과 외부 서버(510) 사이 또는 차량(700)과 타차량(520)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10)는 차량(700)을 하나 이상의 망(network)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방송 수신 모듈(711), 무선 인터넷 모듈(712), 근거리 통신 모듈(713), 위치 정보 모듈(714) 및 광통신 모듈(71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7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은 라디오 방송 또는 TV 방송을 포함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차량(7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1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1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7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6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차량(700)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와 차량(700)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714)은, 차량(7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은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광통신 모듈(715)은, 광발신부 및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light)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을 수신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수신부는 전방 차량에 포함된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통해, 전방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한다. 예를 들면, 광 발신부는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의 점멸을 통해, 광신호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복수의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700)에 구비된 램프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발신부는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 지시등 및 차폭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통신 모듈(715)은 광 통신을 통해 타차량(520)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입력부(720)는, 운전 조작 수단(721), 카메라(195), 마이크로 폰(723) 및 사용자 입력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수단(721)은, 차량(700)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운전 조작 수단(721)은 조향 입력 수단(721a), 쉬프트 입력 수단(721b), 가속 입력 수단(721c),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d)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수단(721a)은, 사용자로부터 차량(700)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한다. 조향 입력 수단(721a)은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수단(721a)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쉬프트 입력 수단(721b)은, 사용자로부터 차량(700)의 주차(P), 전진(D), 중립(N), 후진(R)의 입력을 수신한다. 쉬프트 입력 수단(721b)은 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쉬프트 입력 수단(721b)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수단(721c)은, 사용자로부터 차량(7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d)은, 사용자로부터 차량(7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가속 입력 수단(721c) 및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d)은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수단(721c) 또는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d)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카메라(160)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60)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제어부(77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차량(700)은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60) 및 차량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모니터링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50)는 탑승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50)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34에서는 모니터링부(150)와 카메라(160)가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카메라(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 폰(72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데이터는 차량(700)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723)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기적인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인 데이터는 제어부(77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160) 또는 마이크로폰(723)는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센싱부(76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724)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7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차량(7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터치식 입력수단 또는 기계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724)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을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사용자 입력부(724)를 조작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차량(700)의 주행 등과 관련한 신호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760)는,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라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싱부(760)는,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76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한다. 생체 인식 정보는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정보,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부(150) 및 마이크로 폰(723)이 센서로 동작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모니터링부(150)를 통해, 손모양 정보, 안면 인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출력부(740)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741), 음향 출력부(742) 및 햅틱 출력부(74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741)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련 정보는,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7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724)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7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77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741)는 운전자가 운전을 함과 동시에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대시보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시선을 차량 전방에 유지한채로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74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윈드 쉴드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74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제어부(7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742)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사용자 입력부(724)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햅틱 출력부(74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74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동력원 구동부(751), 조향 구동부(752), 브레이크 구동부(753), 램프 구동부(754), 공조 구동부(755), 윈도우 구동부(756), 에어백 구동부(757), 썬루프 구동부(758) 및 서스펜션 구동부(759)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는, 차량(700)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미도시)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가 엔진인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제한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기 기반의 모터(미도시)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752)는, 차량(7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753)는, 차량(7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7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700)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754)는, 차량 내, 외부에 배치되는 램프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빛의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 지시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의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755)는, 차량(700)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756)는, 차량(700) 내의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측면의 좌,우 윈도우들에 대한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757)는, 차량(700)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시, 에어백이 터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썬루프 구동부(758)는, 차량(700) 내의 썬루프 장치(sunroof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썬루프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759)는, 차량(7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7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77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9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7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80)는, 차량(7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78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6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가 인터페이스부(7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780)는 전원부(7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600)에 제공한다.
제어부(770)는, 차량(7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제어부(77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770)는 전술한 프로세서(170)의 역할을 위임할 수 있다. 즉,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차량의 제어부(770)에 직접 셋팅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차량의 일부 구성들을 합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770)는 프로세서(170)에서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해주도록 구성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전원부(790)는,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부(77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는 제어부(77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AVN 장치(400)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차량 주행과 관련한, 맵(map) 정보 또는 차량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차량에 장착되어, 운전자를 보조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로서,
    상기 차량 후방 또는 상기 차량 주변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운전자를 촬영하여, 상기 운전자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상기 운전자 상태를 수신하여, 운전자 상태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운전자 상태정보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차량의 좌측 후방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차량의 좌측 후방 영상을 표시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운전자 상태정보 산출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바라보는 상기 운전자의 시선을 감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바라보는 시선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변경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운전자 상태정보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변경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변경된 촬영방향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촬영방향을 이동시키거나,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운전자의 시선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촬영방향을 이동시키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상기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를 줌 인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확대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거리가 멀어지는 상기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를 줌 아웃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축소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센서부에서 센싱된 센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정보에서 상기 차량의 기울기 정도를 통해 오르막길 및 내리막길을 판단하고,
    오르막길로 판단된 경우,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내리막길로 판단된 경우,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센서부에서 센싱된 센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정보에서 차량의 각도 정보를 통해 차량의 선회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선회방향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센서부에서 센싱된 센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정보에서 상기 차량에 인접한 주변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에 일정 거리 이하로 진입한 주변 차량을 감지하고,
    상기 진입한 주변 차량 감지 시, 상기 주변 차량을 포함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진입한 주변차량을 향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주행 모드에서 상기 운전자 상태정보와 디스플레이 표시화면과의 관계를 저장하고, 주차 모드에서 상기 운전자 상태정보와 디스플레이 표시화면과의 관계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주차 모드로 동작시,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하측으로 변경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50도 내지 90도 사이의 화각을 가지는 광각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광각 영상을 편집하여, 상기 광각 영상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운전자 상태정보에서 운전자의 안구의 위치가 우측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를 보는 시선 방향이 디스플레이부의 좌측으로 변화하는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 산출시,
    상기 광각 영상에서 표시영상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1 카메라 보다 좁은 화각을 갖는 영상을 촬영하는 제 2 카메라를 포함하는차량 운전 보조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1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제 1 표시영역; 및
    상기 제 2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제 2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변경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운전자 상태정보 변화에 따라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변경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9. 제 1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50077509A 2015-06-01 2015-06-01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KR101714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509A KR101714876B1 (ko) 2015-06-01 2015-06-01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509A KR101714876B1 (ko) 2015-06-01 2015-06-01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597A true KR20160141597A (ko) 2016-12-09
KR101714876B1 KR101714876B1 (ko) 2017-03-09

Family

ID=57574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509A KR101714876B1 (ko) 2015-06-01 2015-06-01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8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9424A (zh) * 2018-05-04 2018-07-13 江苏金海星导航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北斗的智能安全驾驶监测系统
KR102106572B1 (ko) * 2018-12-11 2020-05-07 (주)미경테크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을 통한 차량용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389423A (zh) * 2019-08-02 2021-02-2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及用于控制车辆的方法
KR20230001157A (ko) 2021-06-28 2023-01-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미러용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8283A (ja) * 1995-08-08 1997-02-18 Mazda Motor Corp 車両の後方監視装置
JP2007288444A (ja) * 2006-04-14 2007-11-01 Toyota Motor Corp 車載カメラ制御装置および車載カメラ制御方法。
JP2013055385A (ja) * 2011-09-01 2013-03-21 Toyota Motor Corp 車両周辺表示装置
JP2014093071A (ja) * 2012-10-31 2014-05-19 Hyundai Motor Company Co Ltd 周辺車の位置追跡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8283A (ja) * 1995-08-08 1997-02-18 Mazda Motor Corp 車両の後方監視装置
JP2007288444A (ja) * 2006-04-14 2007-11-01 Toyota Motor Corp 車載カメラ制御装置および車載カメラ制御方法。
JP2013055385A (ja) * 2011-09-01 2013-03-21 Toyota Motor Corp 車両周辺表示装置
JP2014093071A (ja) * 2012-10-31 2014-05-19 Hyundai Motor Company Co Ltd 周辺車の位置追跡装置及び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9424A (zh) * 2018-05-04 2018-07-13 江苏金海星导航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北斗的智能安全驾驶监测系统
KR102106572B1 (ko) * 2018-12-11 2020-05-07 (주)미경테크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을 통한 차량용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0122533A1 (ko) * 2018-12-11 2020-06-18 (주)미경테크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을 통한 차량용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165667A (zh) * 2018-12-11 2021-07-23 美京技术有限公司 调节摄像机的视角的车辆用全景监控系统及其方法
CN112389423A (zh) * 2019-08-02 2021-02-2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及用于控制车辆的方法
KR20230001157A (ko) 2021-06-28 2023-01-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미러용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876B1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983B1 (ko)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59047B1 (ko) 헤드 램프,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KR101819000B1 (ko) 차량용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41433B1 (ko) 운전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16993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094809B (zh) 车辆驾驶辅助装置
KR101708657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843774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KR101855940B1 (ko) 차량용 증강현실 제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4904A (ko) 운전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47557A (ko) 자동 주차 장치 및 차량
KR20170054849A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14876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KR101732263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60129790A (ko) 차량의 제어 방법
KR20170005663A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22896B1 (ko) 운전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93815B1 (ko) 차량용 어라운드 뷰 제공 장치 및 차량
KR101843535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70053880A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70043212A (ko) 차량용 어라운드 뷰 제공 장치 및 차량
KR20170041418A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68041B1 (ko) 차량 제어장치 및 차량 제어방법
KR101807788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81535B1 (ko) 선바이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