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157A - 차량 미러용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미러용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157A
KR20230001157A KR1020210083723A KR20210083723A KR20230001157A KR 20230001157 A KR20230001157 A KR 20230001157A KR 1020210083723 A KR1020210083723 A KR 1020210083723A KR 20210083723 A KR20210083723 A KR 20210083723A KR 20230001157 A KR20230001157 A KR 20230001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creen
face
specific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9116B1 (ko
Inventor
홍상훈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83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116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1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cameras
    • B60K2370/152
    • B60K2370/21
    • B60K2370/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정 장치는 차량 주변을 촬영한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파악부;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미러용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angle of a mirror camera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미러 카메라의 각도를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차량에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한 다양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좌우측 후방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사이드미러가 벽이나 옆 차와 부딪혀 망가지기 쉽고, 무게와 공기저항으로 인해 주행을 방해해 연료의 효율성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이 있다.
이러한 지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사이드미러 대신 사이트스트림(sightstream)이라 불리는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을 장착한 자동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이드 미러를 제거하고, 이를 대신한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은 기존 사이드미러 사각지대를 해소하여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사이드 미러 자체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고, 사이드 미러가 받는 공기 저항을 제거하여, 연료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은 기존 사이드 미러를 사용하던 운전자에게 이질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141597호에는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제어하고, 이를 통해 기존 사이드 미러와 같은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141597호
본 발명은 카메라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기존 차량용 미러와 유사한 사용자 경험을 부여할 수 있는 조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정 장치는 차량 주변을 촬영한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파악부;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된 상기 차량 주변의 서로 다른 영역을 촬영하는 복수의 촬영 모듈이 마련되고, 차량 내부에 설치되며 특정 촬영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이 마련되며, 특정 촬영 모듈의 촬영 영역의 상하좌우 세부 영역을 각각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가 상기 특정 촬영 모듈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조정 장치는 상기 스크린을 대상으로 미러(mirror)에 대한 활용 동작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얼굴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얼굴 위치에 맞춰 상기 상하좌우 세부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세부 영역을 선정해서 상기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정 방법은 차량 주변을 촬영한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파악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전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특징점으로부터 상기 스크린으로 입사되는 가상 광선의 제1 입사각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특징점으로부터 상기 스크린으로 입사되는 가상 광선의 제2 입사각을 산출할 수 있다.
조정 단계는 상기 제1 입사각과 상기 제2 입사각의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
조정 단계는 상기 이전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차이값만큼 각도 차이를 갖는 특정 지점을 추출할 수 있다.
조정 단계는 복수의 카메라 중에서, 상기 특정 지점을 촬영하거나 상기 특정 지점에 가장 가까운 지점을 촬영하는 특정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정 장치 및 조정 방법은 차량을 운전하는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미러에 대한 활용 동작에 맞춰, 스크린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시점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정 장치 및 조정 방법은 디스플레이 시점의 신속한 전환을 위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광축이 형성된 복수의 카메라가 설비된 촬영 모듈이 마련된 환경에서 스크린에 촬영 영상을 제공하는 특정 카메라를 실시간으로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시점을 갖는 촬영 모듈에 마련된 복수의 카메라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자동차 실내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센싱 카메라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정 장치는 센싱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 얼굴의 면적, 특징점의 위치를 이용해 사용자의 얼굴 위치를 파악하고, 얼굴 위치에 맞춰 복수의 카메라 중 스크린에 촬영 영상을 제공하는 특정 카메라를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정 장치에 따르면, 특정 카메라가 스크린에 촬영 영상을 제공되는 도중에도, 다른 카메라 역시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에 대한 촬영을 중지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얼굴 위치 변화에 따라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이 다른 카메라의 촬영 영상으로 대체되는 과정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차량에 설치된 촬영 모듈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촬영 모듈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센싱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센싱 카메라 및 스크린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센싱 카메라와 파악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조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정 장치(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차량에 설치된 촬영 모듈(10)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촬영 모듈(10)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센싱 카메라(20)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센싱 카메라(20) 및 스크린(80)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센싱 카메라(20)와 파악부(11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운전석에서 바라본 차량 내부로, 스티어링 휠(91) 위는 전면 유리창(99)에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조정 장치(100)는 파악부(110), 조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내부의 디스플레이를 활용하여 외부 영상을 보여주는 것이 안전을 위한 추세이다. 하지만, 해당 디스플레이는 미러와 다른 이질성 때문에 차량을 운전하는 사용자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미러를 통해 측면 후방을 주시하는 사용자는 사이드 미러에 반사되어 보이는 장면을 변화시키기 위해, 빛을 반사하는 사이드 미러의 광학 특성에 맞춰 얼굴 또는 눈을 움직일 수 있다(미러에 대한 활용 동작에 해당됨).
하지만, 디스플레이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에 해당하는 스크린(80)은 미러에 대한 활용 동작에 상관없이 카메라(30)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미러에 대한 활용 동작에 대응하여 스크린(80)에 표시는 영상의 디스플레이 시점이 변화되도록 카메라(30)를 회전시키는 비교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다.
하지만, 스크린(80)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점 변화에 대응하여 모터를 이용해 카메라(30)를 회전시키는 비교 실시예는 백래시(backlash) 등의 기구적 특성 한계로 인해 사용자의 미러에 대한 활용 동작에 실시간으로 반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비교 실시예에 따르면, 긴급한 상황에서 수행되는 신속한 미러 활용 동작에 대한 대처가 매우 미흡할 수 있다.
사용자의 미러 활용 동작에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파악부(110) 및 조정부(130)가 이용될 수 있다.
파악부(110)는 차량 주변을 촬영한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80)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조정부(130)는 위치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카메라(30)에서 촬영된 영상을 스크린(8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지점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31)와 제2 카메라(32)가 마련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스크린(80) 또는 차량을 기준으로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제1 카메라(31)의 촬영 영상이 스크린(80)에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스크린(80) 또는 차량을 기준으로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제2 카메라(32)의 촬영 영상이 스크린(80)에 표시될 수 있다.
스크린(80)에 표시되는 여부에 상관없이 제1 카메라(31)와 제2 카메라(32)는 스크린(80)에 다른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도중에도 각자 담당 영역을 타겟으로 촬영을 지속할 수 있다. 조정부(130)는 제1 카메라(31)의 촬영 영상, 제2 카메라(32)의 촬영 영상을 모두 입수할 수 있다. 조정부(13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예를 들어 얼굴의 특징점의 위치에 따라, 제1 카메라(31)의 출력단을 스크린(8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제2 카메라(32)의 출력단을 스크린(8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카메라(30)에서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이 모두 조정부(130)에 입력될 수 있다. 조정부(130)는 복수의 촬영 영상 중에서 오직 하나만을 선정해서 스크린(80)에 제공할 수 있다. 선정의 기준은 파악부(110)에 의해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일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는 스크린(80)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위치는 스크린(80)이 고정된 차량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위치는 차량의 대시 보드(93)(dashboard)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차량의 정후방 영역, 좌측 후방 영역, 우측 후방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 모듈(10)이 마련될 수 있다. 촬영 모듈(10)은 차량의 후면 중앙, 차량의 좌측면, 차량의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차량의 정후방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 모듈(10)은 룸 미러를 대신할 수 있다. 해당 촬영 모듈(10)에서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는 중앙 스크린 c가 마련될 수 있다. 중앙 스크린 c는 기존의 룸 미러 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의 좌측 후방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 모듈(10), 차량의 우측 후방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 모듈(10)은 사이드 미러를 대신할 수 있다. 해당 촬영 모듈(10)에서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는 좌측 스크린 l과 우측 스크린 r이 마련될 수 있다. 좌측 스크린 l은 기존의 좌측 사이드 미러를 대신할 수 있다. 좌측 스크린 l은 운전석 도어와 스티어링 휠(9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우측 스크린 r은 기존의 우측 사이드 미러를 대신할 수 있다. 우측 스크린 r은 스티어링 휠(91)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각 촬영 모듈(10)에는 복수의 카메라(30)가 마련될 수 있다.
각 카메라(30)는 특정 영역이 복수의 세부 영역으로 분할될 때, 각 세부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조정부(13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30)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30)를 선택하며, 선택된 카메라(30)에서 촬영된 영상을 스크린(80)에 표시할 수 있다.
촬영 모듈(10)은 차량에 설치되는 케이스(19), 케이스(19)에 배열되는 복수의 카메라(3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카메라(30)는 특정 영역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세부 영역을 촬영하는 광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특정 촬영 모듈(10)에 마련된 복수의 카메라(30)는 특정 영역 내의 서로 다른 지점 p1, p2 등을 촬영할 수 있다. 각 카메라(30)의 화각 θ1, θ2 등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각 카메라(30)는 조정부(130)에 의한 선택 여부에 상관없이 실시간으로 담당 세부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각 카메라(30)는 조정부(130)에 의해 선택되면 촬영 중이던 담당 세부 영역을 즉시 스크린(80)에 제공할 수 있다.
조정부(13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전 위치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스크린(80)에 입사되는 제1 입사각과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스크린(80)에 입사되는 제2 입사각의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
조정부(130)는 이전 위치에서 스크린(80)에 표시되는 지점으로부터 기산출된 차이값만큼 각도 차이를 갖는 특정 지점을 추출할 수 있다. 조정부(130)는 촬영 모듈(10)에 포함된 복수의 카메라(30) 중에서 특정 지점을 촬영하는 특정 카메라(30)를 선택할 수 있다. 조정부(130)는 선택된 특정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스크린(80)에 표시할 수 있다.
조정부(130)는 특정 지점을 촬영하는 특정 카메라(30)가 미존재하면, 복수의 카메라(30) 중에서 해당 특정 지점에 가장 가까운 지점을 촬영하는 카메라(30)의 촬영 영상을 스크린(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시선 대신 얼굴의 특징점을 이용해서 제1 입사각과 제2 입사각이 산출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30)가 마련될 때, 조정부(130)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입사각과 제2 입사각을 산출할 수 있다. 제1 입사각은 사용자의 이전 위치에서 사용자의 얼굴의 특징점으로부터 스크린(80)으로 입사되는 가상 광선의 입사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입사각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 얼굴의 특징점으로부터 스크린(80)으로 입사되는 가상 광선의 입사각을 포함할 수 있다. 특징점은 눈, 미간의 중심 등이 될 수 있다.
조정부(130)는 제1 입사각과 제2 입사각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이전 위치에서 스크린(80)에 표시되는 지점으로부터 해당 차이값만큼 각도 차이를 갖는 특정 지점을 추출할 수 있다. 조정부(130)는 복수의 카메라(30) 중에서, 해당 특정 지점을 촬영하거나 해당 특정 지점에 가장 가까운 지점을 촬영하는 특정 카메라(30)의 촬영 영상을 스크린(80)에 표시할 수 있다.
조정 장치(100)에는 차량의 운전석에 착석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센싱 카메라(20)가 마련될 수 있다.
파악부(110)는 센싱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센싱 이미지 i에 포함된 얼굴의 면적을 이용하여 얼굴의 상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악부(110)는 센싱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센싱 이미지 i에 포함된 얼굴의 면적과 기준 면적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이 아래로 내려가거나 위로 올라간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기준 면적은 사용자가 앞을 보고 차량을 정속 직진 운행할 때 센싱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얼굴의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기준 면적은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파악부(110)는 센싱 이미지 i에 포함된 얼굴 f의 상하좌우 경계선에 내접하는 사각형 m을 생성하고, 해당 사각형 m의 면적을 얼굴 f의 면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촬영 모듈(10)에는 차량의 정후방 영역, 좌측 후방 영역, 우측 후방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영역 내에서 상측 영역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31), 특정 영역의 하측 영역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32)가 마련될 수 있다.
조정부(130)는 파악부(110)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이 위로 올라간 것으로 파악되면, 제2 카메라(32)에 의해 촬영된 특정 영역의 하측 영역을 스크린(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머리를 위로 올리면 차량 주변의 아래가 보이는 미러 활용 동작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조정부(130)는 파악부(110)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이 아래로 내려간 것으로 파악되면, 제1 카메라(31)에 의해 촬영된 특정 영역의 상측 영역을 스크린(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머리를 아래로 내리면 차량 주변의 위가 보이는 미러 활용 동작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센싱 카메라(20)는 사용자의 얼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대시 보드(93)(dashboard)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악부(110)는 센싱 이미지 i에 포함된 상기 얼굴 f의 면적이 기준 면적보다 크면, 사용자의 얼굴이 아래로 내려간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센싱 이미지 i에 포함된 얼굴의 면적이 커진다는 것은 얼굴이 카메라(30)에 다가온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의 얼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센싱 카메라(20)를 향해 다가오는 것은 사용자가 얼굴을 아래로 움직이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반대로, 센싱 이미지 i에 포함된 얼굴의 면적이 작아진다는 것은 얼굴이 카메라(30)로부터 멀어진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의 얼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센싱 카메라(20)로부터 멀어진다는 것은 사용자가 얼굴을 위로 움직이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파악부(110)는 센싱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센싱 이미지 i에 포함된 미간 중심(위치) p와 기준 위치 o를 비교할 수 있다. 기준 위치 o는 사용자가 앞을 보고 차량을 정속 직진 운행할 때 센싱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미간 중심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기준 위치 o는 사전에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촬영 모듈(10)에는 차량의 정면에서 차량을 바라볼 때 특정 영역의 좌측 영역을 촬영하는 제3 카메라(33), 특정 영역의 우측 영역을 촬영하는 제4 카메라(34)가 마련될 수 있다.
조정부(130)는 미간 중심 p가 사용자의 관점에서 기준 위치보다 좌측에 배치된 것으로 파악부(110)에 의해 파악되면, 제3 카메라(33)에 의해 촬영된 특정 영역의 좌측 영역을 스크린(8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를 예로 들면, 사용자가 얼굴을 좌측으로 움직이면 제2 지점 p2의 촬영 영상이 스크린(80)에 표시될 수 있다.
조정부(130)는 미간 중심 p가 사용자의 관점에서 기준 위치 o보다 우측에 배치된 것으로 파악부(110)에 의해 파악되면, 제4 카메라(34)에 의해 촬영된 특정 영역의 우측 영역을 스크린(8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의 경우, 사용자가 얼굴을 우측으로 움직이면 제1 지점 p1의 촬영 영상이 스크린(8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촬영 모듈(10)에는 기본 카메라(35), 제1 카메라(31), 제2 카메라(32), 제3 카메라(33), 제4 카메라(34)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차량의 후방에서 차량을 바라봤을 때의 각 카메라(30)의 배열을 나타낼 수 있다.
차량의 정면에서 차량을 바라볼 때, 기본 카메라(35)는 특정 영역의 가운데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제1 카메라(31)는 특정 영역의 상측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제2 카메라(32)는 특정 영역의 하측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제3 카메라(33)는 특정 영역의 좌측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제4 카메라(34)는 특정 영역의 우측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파악부(110)는 센싱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센싱 이미지 i에 포함된 얼굴의 면적을 이용하여 얼굴의 상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파악부(110)는 센싱 이미지 i에 포함된 미간 중심 p를 이용하여 얼굴의 좌우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조정부(130)는 얼굴의 상하 위치와 얼굴의 좌우 위치의 비교를 통해, 상하좌우 중 얼굴의 치우침이 가장 큰 한 방향만을 선정하거나 얼굴의 치우침이 없는 기준 위치 o를 선정할 수 있다.
기준 위치가 선정되면, 조정부(130)는 기본 카메라(35)에서 촬영된 영상을 스크린(80)에 표시할 수 있다.
상측 방향이 선정되면, 조정부(130)는 제2 카메라(32)에서 촬영된 영상을 스크린(80)에 표시할 수 있다.
하측 방향이 선정되면, 조정부(130)는 제1 카메라(31)에서 촬영된 영상을 스크린(80)에 표시할 수 있다.
좌측 방향이 선정되면, 조정부(130)는 제3 카메라(33)에서 촬영된 영상을 스크린(80)에 표시할 수 있다.
우측 방향이 선정되면, 조정부(130)는 제4 카메라(34)에서 촬영된 영상을 스크린(80)에 표시할 수 있다.
얼굴 면적과 기준 면적의 차이값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한 제1 값이 정의될 수 있다.
미간 중심 p와 기준 위치 o의 차이값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한 제2 값이 정의될 수 있다.
조정부(130)는 제1 값과 제2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조정부(130)는 제1 값이 제2 값 이상이면, 얼굴의 좌우 위치를 배제하고 얼굴의 상하 위치만을 사용하여 얼굴이 상하로 치우친 방향만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값은 얼굴 면적과 기준 면적의 차이값의 절대치에 제1 가중치를 곱한 것일 수 있다. 제2 값은 미간 중심과 기준 위치 o의 차이값의 절대치에 제2 가중치를 곱한 것일 수 있다.
제1 값은 면적이고 제2 값은 거리일 수 있다. 제1 가중치 또는 제2 가중치는 차원이 서로 다른 제1 값과 제2 값을 어느 하나로 통일시키는 환산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부(130)는 제1 값이 제2 값 이상이면, 얼굴 면적과 기준 면적의 상하 차이값을 제1 문턱값과 다시 비교할 수 있다.
조정부(130)는 상하 차이값이 양의 제1 문턱값보다 크면 얼굴이 아래에 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카메라(31)의 영상이 스크린(80)에 표시될 수 있다.
조정부(130)는 상하 차이값이 음의 제1 문턱값보다 작으면 얼굴이 위에 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카메라(32)의 영상이 스크린(80)에 표시될 수 있다.
조정부(130)는 상하 차이값이 음의 제1 문턱값과 양의 제1 문턱값의 사이에 있으면, 얼굴이 기준 위치에 해당하는 기본 면적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본 카메라(35)의 영상이 스크린(80)에 표시될 수 있다.
조정부(130)는 제1 값이 제2 값 미만이면, 미간 중심과 기준 위치의 좌우 차이값을 제2 문턱값과 다시 비교할 수 있다.
조정부(130)는 좌우 차이값이 양의 제2 문턱값보다 크면 얼굴이 우측에 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 카메라(34)의 영상이 스크린(80)에 표시될 수 있다.
조정부(130)는 좌우 차이값이 음의 제2 문턱값보다 작으면 얼굴이 좌측에 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카메라(33)의 영상이 스크린(80)에 표시될 수 있다.
조정부(130)는 좌우 차이값이 음의 제2 문턱값과 양의 제2 문턱값의 사이에 있으며, 얼굴이 기준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본 카메라(35)의 영상이 스크린(80)에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조정 장치(100)는 스크린(80)을 대상으로 미러(mirror)에 대한 활용 동작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얼굴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정 장치(100)는 얼굴 위치에 맞춰 복수의 카메라(30)에 의해 각각 촬영되는 상하좌우 세부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세부 영역을 선정해서 스크린(8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조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조정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조정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조정 방법은 파악 단계(S 510) 및 조정 단계(S 52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악 단계(S 510)는 차량 주변을 촬영한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80)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파악 단계(S 510)는 파악부(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조정 단계(S 52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카메라(30)에서 촬영된 영상을 스크린(80)에 표시할 수 있다. 조정 단계(S 520)는 조정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정 단계(S 520)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전 위치에서 사용자의 얼굴의 특징점으로부터 스크린(80)으로 입사되는 가상 광선의 제1 입사각과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특징점으로부터 스크린(80)으로 입사되는 가상 광선의 제2 입사각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이전 위치와 현재 위치는 1샘플링 간격에 해당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이전 위치는 현재 위치에 대해 기준 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
조정 단계(S 520)는 제1 입사각과 제2 입사각의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
조정 단계(S 520)는 이전 위치에서 스크린(80)에 표시되는 지점으로부터 입사각의 차이값만큼 각도 차이를 갖는 특정 지점을 추출할 수 있다.
조정 단계(S 520)는 복수의 카메라(30) 중에서, 특정 지점을 촬영하거나 특정 지점에 가장 가까운 지점을 촬영하는 특정 카메라(30)의 촬영 영상을 스크린(80)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정 방법은 기본 카메라(35)의 영상을 스크린(80)에 표시하는 초기화 과정, 얼굴 모션 관측해서 얼굴의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 얼굴 위치를 기준으로 스크린(80)에 광선 반사적으로 대응되는 각도 변화만큼 현재 표시되는 영상과 각도차를 갖는 영상을 촬영하는 특정 카메라(30)를 스크린(80)에 신호적으로 연결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촬영 모듈 19...케이스
20...센싱 카메라 30...카메라
31...제1 카메라 32...제2 카메라
33...제3 카메라 34...제4 카메라
35...기본 카메라 80...스크린
91...스티어링 휠 93...대시 보드
99...전면 유리창 100...조정 장치
110...파악부 130...조정부

Claims (14)

  1. 차량 주변을 촬영한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파악부;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조정부;
    를 포함하는 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정후방 영역, 좌측 후방 영역, 우측 후방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 모듈이 마련되고,
    상기 촬영 모듈에는 복수의 카메라가 마련되며,
    각 카메라는 상기 특정 영역이 복수의 세부 영역으로 분할될 때, 각 세부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하며, 선택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조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듈은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배열되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각 카메라는 서로 다른 세부 영역을 촬영하는 광축을 갖도록 형성되며,
    각 카메라는 상기 조정부에 의한 선택 여부에 상관없이 실시간으로 담당 세부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조정부에 의해 선택되면 촬영 중이던 담당 세부 영역을 즉시 상기 스크린에 제공하는 조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정후방 영역, 좌측 후방 영역, 우측 후방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 모듈이 마련되고,
    상기 촬영 모듈에는 상기 특정 영역 내의 서로 다른 지점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가 마련되며,
    상기 조정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전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스크린에 입사되는 제1 입사각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스크린에 입사되는 제2 입사각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이전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차이값만큼 각도 차이를 갖는 특정 지점을 추출하며,
    상기 조정부는 상기 촬영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카메라 중에서 상기 특정 지점을 촬영하는 특정 카메라를 선택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특정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조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특정 지점을 촬영하는 특정 카메라가 미존재하면, 복수의 상기 카메라 중에서 상기 특정 지점에 가장 가까운 지점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조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가 마련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전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특징점으로부터 상기 스크린으로 입사되는 가상 광선의 제1 입사각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특징점으로부터 상기 스크린으로 입사되는 가상 광선의 제2 입사각을 산출하며,
    상기 조정부는 상기 제1 입사각과 상기 제2 입사각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이전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차이값만큼 각도 차이를 갖는 특정 지점을 추출하며,
    상기 조정부는 복수의 카메라 중에서, 상기 특정 지점을 촬영하거나 상기 특정 지점에 가장 가까운 지점을 촬영하는 특정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조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석에 착석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센싱 카메라가 마련되고,
    상기 파악부는 상기 센싱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센싱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얼굴의 면적을 이용하여 상기 얼굴의 상하 위치를 파악하는 조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석에 착석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센싱 카메라가 마련되고,
    상기 파악부는 상기 센싱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센싱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얼굴의 면적과 기준 면적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아래로 내려가거나 위로 올라간 것으로 파악하며,
    상기 차량의 정후방 영역, 좌측 후방 영역, 우측 후방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 모듈이 마련되고,
    상기 촬영 모듈에는 상기 특정 영역의 상측 영역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상기 특정 영역의 하측 영역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가 마련되며,
    상기 조정부는 상기 파악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위로 올라간 것으로 파악되면,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특정 영역의 하측 영역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파악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아래로 내려간 것으로 파악되면,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특정 영역의 상측 영역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조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카메라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대시 보드(dashboard)에 설치되고,
    상기 파악부는 상기 센싱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얼굴의 면적이 상기 기준 면적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아래로 내려간 것으로 파악하는 조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석에 착석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센싱 카메라가 마련되고,
    상기 파악부는 상기 센싱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센싱 이미지에 포함된 미간 중심과 기준 위치를 비교하며,
    상기 촬영 모듈에는 상기 차량의 정면에서 상기 차량을 바라볼 때 상기 특정 영역의 좌측 영역을 촬영하는 제3 카메라, 상기 특정 영역의 우측 영역을 촬영하는 제4 카메라가 마련되며,
    상기 조정부는 상기 미간 중심이 상기 사용자의 관점에서 상기 기준 위치보다 좌측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파악부에 의해 파악되면, 상기 제3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특정 영역의 좌측 영역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미간 중심이 상기 사용자의 관점에서 상기 기준 위치보다 우측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파악부에 의해 파악되면, 상기 제4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특정 영역의 우측 영역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조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정후방 영역, 좌측 후방 영역, 우측 후방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 모듈이 마련되고,
    상기 촬영 모듈에는 상기 차량의 정면에서 상기 차량을 바라볼 때, 상기 특정 영역의 가운데 영역을 촬영하는 기본 카메라, 상기 특정 영역의 상측 영역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상기 특정 영역의 하측 영역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 상기 특정 영역의 좌측 영역을 촬영하는 제3 카메라, 상기 특정 영역의 우측 영역을 촬영하는 제4 카메라가 마련되며,
    상기 차량의 운전석에 착석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센싱 카메라가 마련되고,
    상기 파악부는 상기 센싱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센싱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얼굴의 면적을 이용하여 상기 얼굴의 상하 위치를 파악하며,
    상기 파악부는 상기 센싱 이미지에 포함된 미간 중심을 이용하여 상기 얼굴의 좌우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상하 위치와 상기 좌우 위치의 비교를 통해, 상하좌우 중 상기 얼굴의 치우침이 가장 큰 한 방향만을 선정하거나 상기 얼굴의 치우침이 없는 기준 위치를 선정하며,
    상기 기준 위치가 선정되면, 상기 조정부는 상기 기본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측 방향이 선정되면, 상기 조정부는 상기 제2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며,
    하측 방향이 선정되면, 상기 조정부는 상기 제1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고,
    좌측 방향이 선정되면, 상기 조정부는 상기 제3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며,
    우측 방향이 선정되면, 상기 조정부는 상기 제4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조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면적과 기준 면적의 차이값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한 제1 값이 정의되고, 상기 미간 중심과 상기 기준 위치의 차이값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한 제2 값이 정의될 때,
    상기 조정부는 상기 제1 값과 상기 제2 값을 산출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제1 값이 상기 제2 값 이상이면, 상기 얼굴의 좌우 위치를 배제하고 상기 얼굴의 상하 위치만을 사용하여 상기 얼굴이 상하로 치우친 방향만을 선정하며,
    상기 조정부는 상기 제1 값이 상기 제2 값 미만이면, 상기 얼굴의 상하 위치를 배제하고 상기 얼굴의 좌우 위치만을 사용하여 상기 얼굴이 좌우로 치우친 방향만을 선정하는 조정 장치.
  13. 차량에 설치된 상기 차량 주변의 서로 다른 영역을 촬영하는 복수의 촬영 모듈이 마련되고, 차량 내부에 설치되며 특정 촬영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이 마련되며, 특정 촬영 모듈의 촬영 영역의 상하좌우 세부 영역을 각각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가 상기 특정 촬영 모듈에 마련될 때,
    상기 스크린을 대상으로 미러(mirror)에 대한 활용 동작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얼굴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얼굴 위치에 맞춰 상기 상하좌우 세부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세부 영역을 선정해서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조정 장치.
  14. 조정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조정 방법에 있어서,
    차량 주변을 촬영한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파악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조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전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특징점으로부터 상기 스크린으로 입사되는 가상 광선의 제1 입사각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특징점으로부터 상기 스크린으로 입사되는 가상 광선의 제2 입사각을 산출하며,
    상기 제1 입사각과 상기 제2 입사각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이전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차이값만큼 각도 차이를 갖는 특정 지점을 추출하며,
    복수의 카메라 중에서, 상기 특정 지점을 촬영하거나 상기 특정 지점에 가장 가까운 지점을 촬영하는 특정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조정 방법.
KR1020210083723A 2021-06-28 2021-06-28 차량 미러용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2499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723A KR102499116B1 (ko) 2021-06-28 2021-06-28 차량 미러용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723A KR102499116B1 (ko) 2021-06-28 2021-06-28 차량 미러용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157A true KR20230001157A (ko) 2023-01-04
KR102499116B1 KR102499116B1 (ko) 2023-02-16

Family

ID=84925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723A KR102499116B1 (ko) 2021-06-28 2021-06-28 차량 미러용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1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8917A (ja) * 2002-09-11 2004-04-0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カメラ装置及び車両周辺視認装置
JP2004268860A (ja) * 2003-03-12 2004-09-30 Sanyo Electric Co Ltd 移動体の後方確認装置
KR20160141597A (ko) 2015-06-01 2016-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JP2020052018A (ja) * 2018-09-28 2020-04-02 株式会社Subaru 車両用ステレオカメラ装置
KR102106572B1 (ko) * 2018-12-11 2020-05-07 (주)미경테크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을 통한 차량용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8917A (ja) * 2002-09-11 2004-04-0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カメラ装置及び車両周辺視認装置
JP2004268860A (ja) * 2003-03-12 2004-09-30 Sanyo Electric Co Ltd 移動体の後方確認装置
KR20160141597A (ko) 2015-06-01 2016-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JP2020052018A (ja) * 2018-09-28 2020-04-02 株式会社Subaru 車両用ステレオカメラ装置
KR102106572B1 (ko) * 2018-12-11 2020-05-07 (주)미경테크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을 통한 차량용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116B1 (ko)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39441B (zh) 一种后视镜的视野自动调整方法和装置
KR101544524B1 (ko) 차량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차량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방법
CN107223223B (zh) 一种无人机第一视角飞行的控制方法及系统、智能眼镜
JP5093611B2 (ja) 車両周辺確認装置
JP4323377B2 (ja) 画像表示装置
CN111873911B (zh) 调整后视镜的方法、装置、介质以及电子设备
WO2005088970A1 (ja)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および画像生成プログラム
CN106030465B (zh) 用于自动接通和/或切换调节装置来调节平视显示器装置的视窗位置的系统和方法以及车辆
US20230224435A1 (en) Vehicular driver monitoring system
JP7138175B2 (ja) バーチャルコンテンツを表示するためのヘッドマウント式電子ディスプレイ装置の操作方法およびバーチャルコンテンツを表示するための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CN108621947A (zh) 一种自适应调节的车载抬头显示系统
US20190339535A1 (en) Automatic eye box adjustment
US9369665B2 (en) Video record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ideo recording method for vehicle
KR102304391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4840638B2 (ja) 車両の乗員監視装置
JP2005269010A (ja)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プログラム、及び画像生成方法
KR102499116B1 (ko) 차량 미러용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및 방법
CN115223231A (zh) 视线方向检测方法和装置
US11810372B2 (en) Multiple in-cabin cameras and lighting sources for driver monitoring
CN115018942A (zh) 用于车辆的图像显示的方法和设备
US11491872B2 (en) Vehicle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onto a windshield
CN210047399U (zh) 一种后视镜调节组件和车辆
KR102673466B1 (ko) 디지털 사이드 미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2026958B2 (en) Vehicle camera mirror system with adjustable video feed
JPH07167618A (ja) 運転者位置認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