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654A -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 Google Patents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654A
KR20160139654A KR1020150074911A KR20150074911A KR20160139654A KR 20160139654 A KR20160139654 A KR 20160139654A KR 1020150074911 A KR1020150074911 A KR 1020150074911A KR 20150074911 A KR20150074911 A KR 20150074911A KR 20160139654 A KR20160139654 A KR 20160139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electric vehicle
main body
speed
speed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6922B1 (ko
Inventor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최성호
주식회사 다올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호, 주식회사 다올정밀 filed Critical 최성호
Priority to KR1020150074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922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6Driver interactions by pedal actu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른 및 어린이가 동반하여 탑승 및 주행할 수 있는 가족형 전동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동력전달 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차륜부, 상기 차륜부를 조작하는 조향부 및 사용자가 탑승하는 탑승부를 포함하는 전동차량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속도를 조작하는 페달부는 저속용 페달과 고속용 페달로 구분되어 구비되어 상기 저속용 페달은 상기 본체부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속 페달은 상기 본체부 외측에 구비된다.

Description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ELECTRICALLY DRIVEN VEHICLE HAVING DUAL PEDAL ENHANCED SAFETY AND OPER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전동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른 및 어린이가 동반하여 탑승 및 주행할 수 있는 가족형 전동 차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형형태로 배터리와 모터를 통해 구동되고, 유아, 아동 또는 유아, 아동과 성인이 탑승하여 핸들을 조작하여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동차량이 많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전동차량의 경우 저속과 가속 페달이 전동차량 내부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조작이 미숙한 아동이 가속 페달을 밟아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이에 이러한 아동의 가속 페달 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의 페달로 사용하며 스위치 등을 통하여 가속 및 저속 모드로 변경 가능하도록 하는 전동차량 기술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스위치도 아동이 조작 가능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발생을 막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페달은 같이 동승하는 성인이 페달을 밟아 조작하기에는 차량 내부 공간이 협소하여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이러한 협소한 차량 내부 공간으로 인하여 페달을 잘못 조작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1-0001006(2011.01.06/유아동용 전동차 및 그 제어방법) 한국 공개특허 제2005-0080803(2005.08.18/다기능 요람 겸 유아 전동차)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 아동의 페달 오작동을 방지하여 줄 수 있는 전동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성인이 아동과 같이 동승한 상태에서도 원활히 전동차량의 페달을 조작할 수 있는 전동차량 구조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동력전달 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차륜부, 상기 차륜부를 조작하는 조향부 및 사용자가 탑승하는 탑승부를 포함하는 전동차량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속도를 조작하는 페달부는 저속용 페달과 고속용 페달로 구분되어 구비되어 상기 저속용 페달은 상기 본체부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속 페달은 상기 본체부 외측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속용 페달은 상기 본체부 외측에 일측의 전륜 및 후륜 상측을 감싸도록 길게 연장 형성된 발판부의 전륜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속용 페달 및 저속용 페달은 사용자가 누르는 누름부와 사용자의 누름부 누름 동작에 따라 각운동하는 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는 각이져 꺾인 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고속용 페달의 작동을 키 작동에 의해 On/Off하는 수동형 On/Off 스위치와 무선 리모콘과 그로인한 제어가 가능도록 한 On/Off 수신부 혹은 상기의 두 가지 모두 적용 가능도록 전용 제어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탑승부는 상기 본체부 내측에 구비되는 유아용 탑승부와 상기 유아용 탑승부 뒤측에 구비되는 성인용 탑승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아용 탑승부의 좌석은 전동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뒤측 하단부에는 상기 본체부 뒤 지면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지면과 이격되어 구비되는 전복 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차량은 페달을 저속과 고속으로 별도로 구비하여 주며 성인이 조작하는 가속 페달을 차량 외측에 설치하여줌으로써 아동의 페달 오작동 및 안전을 예방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동차량은 가속 페달을 차량 외측에 설치하여줌으로써 성인이 원활히 가속페달을 조작할 수 있으며 긴급한 상황에서도 신속히 페달을 조작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하는 좌석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어 체형에 따라 원활히 차량에 탑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차량 뒤쪽에 전복 방지 구조를 구비하여 줌으로써 성인이 탑승하더라도 전복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의 페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의 착석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의 조작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의 전복 방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표현이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을 위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장착된", "설치된", "접속된", "연결된", "지지된", "결합된" 등의 표현은, 다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시하거나 한정하고 있는 않는 한, 직접적인 그리고 간접적인 장착, 설치, 접속, 연결, 지지, 및 결합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 "접속된", "연결된", "결합된"이라고 하는 표현은, 물리적인 또는 기계적인 접속, 연결 또는 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하향, 상향, 후방, 바닥, 전방, 후부 등과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편의를 위해 도면에 대해 상대적인 방향(정상적으로 봤을 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어떠한 형태로든 본 발명을 그 문자대로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상대적인 중요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이하 "전동차량"으로 칭한다.)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10)은 크게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에 구비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도시하지 않음), 상기 구동부의 구동속도를 사용자가 조작하는 페달부(200),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동력전달 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차륜부(500), 상기 차륜부(500)의 조향 방향을 조작하는 조향부(300), 사용자가 탑승하는 탑승부(400), 사용자가 전동차량(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부(600)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체부(100)는 전동차량(10)을 지지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유닛으로서 내부에 지지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지지프레임 위에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가진다.
다음으로 구동부는 전동차량에 동력을 제공하는 유닛으로서 내부에 모터와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페달부(200)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속도를 사용자가 제어하기 위한 유닛으로 저속용 페달(210)과 고속용 페달(220)로 이루어진다. 페달부(2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차륜부(500)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전동차량(10)을 주행하게 하는 유닛으로 전륜과 후륜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조향부(300)는 전륜축과 연결된 기어, 랙기구, 타이로드, 조향컬럼및 조향휠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조향휠을 조작하여 전동차량의 주행방향을 조작하는 유닛이다.
다음으로 탑승부(400)는 사용자가 전동차량(10)에 탑승하는 유닛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탑승부(400)는 유아용 탑승부(410)와 성인용 탑승부(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탑승부(400)에 대해서도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작동부(600)는 사용자가 전동차량(10)의 주행속도 및 주행방향 이외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유닛으로서 전원스위치, 라이트 스위치, 전/후진 설정스위치 및 고속 주행 잠금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10)의 주요 특징인 페달부(200) 탑승부(400) 및 작동부(6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의 페달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1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속용 페달(210)과 고속용 페달(220)로 이루어진다. 저속용 페달(210)은 전동차량(10)의 본체부(100) 내측 하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페달을 밟아 설정된 저속의 범위에서 전동차량을 주행하도록 한다.
상기 저속의 범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이 가능한데 상기 저속용 페달(210)은 유야 또는 아동이 사용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시속 0~10km정도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고속용 페달(220)은 전동차량(10)의 본체부(100) 외측에 구비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 오른쪽 외측에 전륜 및 후륜 차륜 상측을 감싸도록 길게 연장 형성된 발판부(120)의 전륜 차륜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속용 페달(220)은 성인이 조작하여 전동차량(10)을 고속으로 주행하기 위한 것으로 저속용 페달(210) 부근에 구비할 경우 유아 또는 아동이 밟아 전동차량(10)이 고속으로 주행하여 안전사고 발생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체부(100) 내측에 구비할 경우 공간이 협소하여 성인이 페달을 조작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10)은 고속용 페달(220)을 전동차량(10) 본체부(100) 외측에 구비하여 동승하는 성인만이 용이하게 조작하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고속용 페달(220) 전륜 차륜측에 구비하여 줌으로써 본체부(100) 케이스를 통해 유아 또는 아동의 시야에 쉽게 들어오지 않으며 유아 또는 아동이 밟을 뻗어 밟기 어렵도록 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속용 페달(210) 및 고속용 페달(220)은 사용자가 누르는 누름부(224)와 사용자의 누름부(224) 누름 동작에 따라 각운동하는 축부재(222)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224)는 각이져 꺾인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페달을 밟아 주행 속도 조작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착석부(4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의 착석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10)의 착석부(400)는 유아용 탑승부(410)와 성인용 탑승부(420)로 이루어진다.
유아용 탑승부(410)는 유아 또는 아동이 착석하기 위한 곳으로서 전동차량(10)의 본체부(100) 내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유아용 탑승부(410)는 전동차량(10)의 본체부(100)에서 길이방향, 즉 주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유아용 시트부(410)의 착석 시트 양단이 본체부(100)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는 유아용 시트부(410)에 앉는 유아 및 아동의 신체에 맞게 페달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유아 및 아동이 용이하게 페달을 조작하게 하며 성인용 탑승부(420)에 착석하는 성인의 탑승공간을 여유롭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10)의 탑승부(400)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여유로운 착석 공간 및 전동차량(10)의 조작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조작부(6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의 조작부(600)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조작부(600)는 전원스위치(620), 라이트 스위치(640), 전/후진 설정스위치(630) 및 고속 주행 잠금 스위치(610)로 이루어진다.
전원스위치(620)는 전동차량(10)의 전원을 On/Off하기 위한 스위치로 스위치를 눌러 전동차량(10)의 전원을 On/Off할 수 있다.
라이트 스위치(640)는 라이트를 On/Off하기 위한 스위치로 스위치를 눌러 라이트를 On/Off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후진 설정스위치(630)는 전동차량(10)의 주행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로 평상시에는 전진방향으로 주행하게 설정되고 전/후진 설정스위치(630)를 누른 후 페달을 밟으면 후진하게 된다.
그리고 고속 주행 잠금 스위치(610)는 고속용 페달(220)의 작동을 On/Off하기 위한 스위치로 스위치를 작동한 후 고속용 페달(220)을 밟아야 고속 주행이 된다.
여기서 상기 다른 스위치들은 누름 스위치로 이루어지나 고속 주행 잠금 스위치(610)는 키(612)를 꽂아 작동시키는 스위치로 이와 같이 키(612)를 통해 작동하게 함으로써 유아 및 아동이 스위치를 작동하지 못하도록 구비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10)의 제어부는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전동차량(10)의 조작 용이성을 높이고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전복 방지부(7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10)의 전복 방지부(700)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전복 방지부(700)는 본체부(100) 뒤측에 바퀴 형태로 구비된다.
즉, 본체부(100)의 뒤측 하단부에 상기 본체부(100) 뒤 지면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지면과 이격되어 구비되는 양 바퀴(710, 720)로 구비되어 전동차량(10)의 뒤측에 무게가 쏠리거나 고속 급발진시 전동차량(10)이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10)은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전동차량(10)의 조작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 전동차량 100: 본체부 200: 페달부 300: 조향부
400: 착석부 500: 차륜부 600: 조작부 700: 전복 방지부

Claims (7)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동력전달 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차륜부, 상기 차륜부를 조작하는 조향부 및 사용자가 탑승하는 탑승부를 포함하는 전동차량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속도를 조작하는 페달부는 저속용 페달과 고속용 페달로 구분되어 구비되어 상기 저속용 페달은 상기 본체부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속 페달은 상기 본체부 외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용 페달은 상기 본체부 외측에 일측의 전륜 및 후륜 상측을 감싸도록 길게 연장 형성된 발판부의 전륜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용 페달 및 저속용 페달은 사용자가 누르는 누름부와 사용자의 누름부 누름 동작에 따라 각운동하는 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는 각이져 꺾인 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고속용 페달의 작동을 키 작동에 의해 On/Off하는 On/Off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고속용 페달의 작동을 무선리모콘을 통해 On/Off하는 On/Off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는 상기 본체부 내측에 구비되는 유아용 탑승부와 상기 유아용 탑승부 뒤측에 구비되는 성인용 탑승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아용 탑승부의 좌석은 전동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뒤측 하단부에는 상기 본체부 뒤 지면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지면과 이격되어 구비되는 전복 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KR1020150074911A 2015-05-28 2015-05-28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KR101876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911A KR101876922B1 (ko) 2015-05-28 2015-05-28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911A KR101876922B1 (ko) 2015-05-28 2015-05-28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654A true KR20160139654A (ko) 2016-12-07
KR101876922B1 KR101876922B1 (ko) 2018-07-10

Family

ID=5757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911A KR101876922B1 (ko) 2015-05-28 2015-05-28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9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3113A (ko) * 2021-02-05 2022-08-12 (주)모토벨로 트레일러가 연결된 전동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803A (ko) 2004-02-11 2005-08-18 배명순 다기능 요람 겸 유아 전동차
KR20110001006A (ko) 2009-06-29 2011-01-06 민경균 유아동용 전동차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903U (ja) * 1981-07-15 1983-01-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電気駆動車両のコントロ−ル装置
CA1325955C (en) * 1988-09-17 1994-01-11 Jerry Richard Duncan System for controlling the ground speed and direction of travel of an off-road vehicle
KR100500824B1 (ko) * 2002-05-16 2005-07-12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듀얼-페달 컨트롤 시스템
DE102009018480A1 (de) * 2009-04-22 2010-01-14 Daimler Ag Doppelpedalbedienung für Fahrschulfahrzeuge
KR101164846B1 (ko) * 2010-06-28 2012-07-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
KR20120109927A (ko) * 2011-03-28 2012-10-09 장규환 어린이자동차의 급출발 방지장치
JP2013065093A (ja) * 2011-09-15 2013-04-11 Global Ring:Kk 自動車用安全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車
KR20140013448A (ko) * 2012-07-24 2014-02-05 이다희 유아용 전동차의 속도제어장치
KR20140088757A (ko) * 2013-01-03 2014-07-1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립 보조형 휠체어
KR101488601B1 (ko) * 2013-06-26 2015-02-02 (주)헤네스 유아동용 전동차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803A (ko) 2004-02-11 2005-08-18 배명순 다기능 요람 겸 유아 전동차
KR20110001006A (ko) 2009-06-29 2011-01-06 민경균 유아동용 전동차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3113A (ko) * 2021-02-05 2022-08-12 (주)모토벨로 트레일러가 연결된 전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922B1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73094B (zh) 雙重控制騎乘車
JP6855235B2 (ja) 自動車用運転操作装置及び自動車用運転操作方法
JP2020142539A (ja) 車両用操舵装置
JP2011178196A (ja) 同軸二輪車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70017191A (ko) 후방 조향 장치가 구비된 전동차
CN111196194A (zh) 用于车辆的多功能搁脚板装置
KR101876922B1 (ko)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JP2004519766A (ja) 乗物用のフットレスト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
JP2011083158A (ja) 電動三輪車の安全装置
JP4529629B2 (ja) 小型電動車両の方向指示装置
JP2018118641A (ja) 車両用コンソール
KR20140118089A (ko)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
JP6790644B2 (ja) 電動車両のアクセル装置
KR20170002868A (ko) 레이저 센서 모듈을 이용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CN210653488U (zh) 多功能三轮电动车
JP6848343B2 (ja) 電動車両
JPH02141332A (ja) 電動乗用車の駆動方向反転装置
KR200481135Y1 (ko) 유아 전동차의 장애물 회피주행시스템
KR200301491Y1 (ko) 카트형 3륜 자전거
KR20150103478A (ko)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
JP6880716B2 (ja) 小型電動車両のアクセル装置
GB2485225A (en) Fork lift with alternative hand control
JP2018061305A (ja) 電動車両のアクセル装置
JP6786988B2 (ja) 電動車両の警報装置
JP2019077319A (ja) アームレ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