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3478A -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3478A
KR20150103478A KR1020140024978A KR20140024978A KR20150103478A KR 20150103478 A KR20150103478 A KR 20150103478A KR 1020140024978 A KR1020140024978 A KR 1020140024978A KR 20140024978 A KR20140024978 A KR 20140024978A KR 20150103478 A KR20150103478 A KR 20150103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microphone
speaker
driv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24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3478A/ko
Publication of KR20150103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microphones or ear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론트 시트 전방에 설치되며 보이스가 입력되는 마이크; 상기 프론트 시트 후면, 리어 시트 전면, 리어 도어 또는 루프에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보이스가 차량 내 소음값 이상으로 출력되는 스피커; 및 상기 프론트 시트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 또는 상기 스피커를 온/오프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워키토키 방식 또는 상시 작동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는, 운전자가 운행 중 뒷좌석의 승객 또는 옆좌석의 승객과 대화시 전방 주시를 유지한 상태에서 뒷좌석 또는 옆좌석 승객에게 효과적으로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고속주행 등 차량 내 소음으로 대화시 뒷좌석에 목소리가 잘 전달되지 않아 목소리를 크게 하거나 뒤 또는 옆을 돌아보아야 하는 위험과 수고를 덜 수 있어, 효과적인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는, 운전자의 전방에 마이크가 설치되어, 운전자가 뒷자석 또는 옆좌석 승객과 대화시 전방을 주시하며 대화를 하도록 강제할 수 있어 대형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 {Conversation assistive apparatus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인류의 교통수단으로 사용된 지도 100여년이 지났다. 초기에는 마차보다 못한 수준이었지만, 끊임없는 노력과 연구로 꾸준히 발전되어 최근에는 자동차 생산 대수가 총 3000여만대에 이르고 있다.
경제력이 향상되어 생활수준이 윤택해짐에 따라 여가를 가족단위로 즐기는 경향이 많아지고, 가족단위 여행시에는 다목적 자동차(SUV, MPV)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을 뿐 아니라, 운전자는 안전성 등의 이유에 의하여 아이 또는 노약자를 뒷좌석에 탑승시키는 경향이 많다.
위와 같이 아이 또는 노약자를 뒷좌석에 탑승시킬 경우 뒷좌석 탑승자를 감시하여야 하고 또한 여행을 즐겁게 하기 위하여 자연적으로 대화를 하게 된다. 상기한 뒷좌석 탑승자의 감시 또는 탑승자와의 대화시에 운전자가 뒤를 돌아볼 경우에는 안전운전에 지장을 주게 되며, 대형사고의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대형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자동차업계에서는 기술의 진화와 발전을 통해 첨단 감지 센서와 지능형 영상 장비로 전방 충돌회피, 차선이탈경고, 사각지대 감시, 향상된 후방감시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운전보조장치(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의 발전을 가져왔다.
다만, 자동차 안전 기술의 발전과 진화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운행시 대형사고의 위험은 여전히 존재하므로 자동차 업계의 운전보조장치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실험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등록공보 제10-0472667호 (2005.02.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운전중 전방주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뒷좌석 또는 옆좌석 승객에게 목소리 전달을 용이하게 하여 편리하게 대화를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대화 보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는, 프론트 시트 전방에 설치되며 보이스가 입력되는 마이크; 상기 프론트 시트 후면, 리어 시트 전면, 리어 도어 또는 루프에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보이스가 차량 내 소음값 이상으로 출력되는 스피커; 및 상기 프론트 시트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 또는 상기 스피커를 온/오프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워키토키 방식 또는 상시 작동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 조절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론트 시트의 전방은, 스티어링 휠, 선바이저 또는 대시보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이크와 상기 스피커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상기 보이스가 상기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워키토키 방식은, 상기 스위치에 일정한 힘을 지속적으로 가하면 상기 마이크 또는 상기 스피커가 온 상태가 되고, 상기 스위치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마이크 또는 상기 스피커가 오프 상태가 되는 것이며, 상기 상시 작동 방식은, 상기 스위치에 한 번 힘을 가하면 상기 마이크 또는 상기 스피커가 온 상태가 되고, 상기 마이크 또는 상기 스피커가 온 상태가 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에 한 번 힘을 가하면 상기 마이크 또는 상기 스피커가 오프 상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피커는, 기설정된 볼륨값으로 고정되어 상기 보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볼륨값은, 상기 차량 내 소음값이 증가하는 경우 증가하며 상기 차량 내 소음값이 감소하는 경우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는, 운전자가 운행 중 뒷좌석의 승객 또는 옆좌석의 승객과 대화시 전방 주시를 유지한 상태에서 뒷좌석 또는 옆좌석 승객에게 효과적으로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고속주행 등 차량 내 소음으로 대화시 뒷좌석에 목소리가 잘 전달되지 않아 목소리를 크게 하거나 뒤 또는 옆을 돌아보아야 하는 위험과 수고를 덜 수 있어, 효과적인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는, 운전자의 전방에 마이크가 설치되어, 운전자가 뒷자석 또는 옆좌석 승객과 대화시 전방을 주시하며 대화를 하도록 강제할 수 있어 대형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앞좌석 부분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앞좌석 부분의 구성도이다.
이하 명세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4인 기준의 보통 가족 차량(예를 들어 페밀리 세단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1)가 장착되는 차량(부호 도시하지 않음)에 대해서 기술하도록 하겠다. 차량은, 바디(2), 섀시(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2)는, 루프(110), 트렁크(부호 도시하지않음), 뒤범퍼(부호 도시하지않음), 펜더(부호 도시하지않음), 필러(부호 도시하지않음), 도어(40), 앞범퍼(부호 도시하지않음), 라디에이터 그릴(부호 도시하지않음), 보닛(부호 도시하지않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40)는 탑승자(도시하지않음)가 시트(50)에 승차 또는 하차하기 위한 개폐기구로 리어 도어(41)와 프론트 도어(42)로 구성될 수 있다. 리어 도어(41)는 리어 시트(52)에 승차 또는 하자하기 위한 개폐기구로 제 1 리어 도어(411)와 제 2 리어 도어(412)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42)는 프론트 시트(51)에 승차 또는 하차하기 위한 개폐기구로 제 1 프론트 도어(421)와 제 2 프론트 도어(422)로 구성될 수 있다.
섀시는 보디(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프레임(도시하지 않음), 엔진(도시하지 않음), 동력전달장치(도시하지 않음), 조향장치(도시하지 않음), 브레이크(도시하지 않음), 현가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향장치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운전자(도시하지 않음) 임의대로 바꾸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의 조향력을 기어 장치에 전달하는 조작 기구일 수 있다. 조향 장치는 스티어링 휠(조향 핸들; 30), 조향축(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티어링 휠(30)은 보통 핸들 또는 운전대라고 부르며, 둥근 림(31)과 림을 지지하는 스포크(부호 도시하지 않음), 조향축과 연결되는 허브(32)로 구성될 수 있다. 스티어링 휠(30)의 내부는 강철이나 경합금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부에는 우레탄 등 합성수지로 덮여 있어 사고 시 충격을 줄이고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림(31)은 운전자가 차량의 조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장치로, 림(31)에는 후술할 마이크(60), 스위치(80) 또는 볼륨 조절 기구(90)가 설치될 수 있다.
허브(32)에는 경음기(혼;Horn)가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외에 후술할 센터페시아(22)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리모컨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이 주행되는 과정은 먼저 엔진은 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동력은 동력 전달 장치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바퀴(3)에 전달되며, 바퀴(3)는 전달받은 동력을 지면에 전달하여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차량은 도로를 주행하게 된다.
차량에는 내장 부품(interior trim; 부호 도시하지않음)이 구비될 수 있는데 내장 부품에는 선바이저(10), 대시보드(20), 시트(50) 또는 미러(100) 등으로 구성될 수있다.
선바이저(10)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눈을 태양의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보통 때는 접어 두었다가 햇빛이 들어오면 펴서 햇빛을 운전자 또는 탑승자로부터 가릴 수 있다.
대시보드(20)는 운전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계기판(21), 대시보드(20) 중앙에서 제 1 프론트 시트(511)와 제 2 프론트 시트(512) 사이에 있는 센터페시아(22), 제 2 프론트 시트(512) 전방에 위치하여 탑승자의 무릎높이에 위치하여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23)로 구성될 수 있다.
시트(50)는, 탑승자 또는 운전자가 착석할 수 있으며, 배치에 따라 프론트 시트(51)와 리어 시트(52)로 구분할 수 있다. 프론트 시트(51)는 제 1 프론트 시트(511) 및 제 2 프론트 시트(512)로 구분될 수 있으며, 리어 시트(52) 역시 제 1 리어 시트(521)와 제 2 리어 시트(522)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 프론트 시트(511)는 제 1 프론트 시트(511)에 운전자가 착석시 맞닿게 되는 제 1 프론트 시트 전면(511a)과 제 1 리어 시트(521)에 탑승한 탑승자와 대면하는 제 1 프론트 시트 후면(511b)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2 프론트 시트(512)는 제 2 프론트 시트(512)에 탑승자가 착석시 맞닿게 되는 제 2 프론트 시트 전면(512a)과 제 2 리어 시트(522)에 탑승한 탑승자와 대면하는 제 2 프론트 시트 후면(51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리어 시트(521)는 제 1 리어 시트(521)에 탑승자가 착석시 맞닿게 되는 제 1 리어 시트 전면(521a)과 차량과 연결되는 제 1 리어 시트 후면(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2 리어 시트(522)는 제 2 리어 시트(522)에 탑승자가 착석시 맞닿게 되는 제 2 리어 시트 전면(522a)과 차량과 연결되는 제 2 리어 시트 후면(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미러(100)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차량의 후방의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보통 인사이드 미러(inside mirror)라고 불리우며 일반적으로 평면경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1)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하도록 하겠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1)는, 마이크(60), 스피커(70), 스위치(80), 볼륨 조절 기구(90)를 포함한다.
마이크(60)는, 프론트 시트(51) 전방에 설치되며 보이스가 입력된다. 여기서 프론트 시트(51) 전방은 선바이저(10), 대시보드(20) 또는 스티어링 휠(30) 일 수 있다.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자를 태우고 주행을 하는 경우, 운전자는 탑승자와 대화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운전자와 탑승자가 대화를 하는 경우에는 운전자는 주변환경에 대한 인식도가 낮아지고, 이로 인해서 주의력을 잃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서 대형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보통 이러한 경우 운전자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도 역시 큰 피해를 입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항상 차량의 주행방향인 전방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마이크(60)는, 프론트 시트(51) 전방에 설치됨으로써, 운전자의 주의 및 시선을 차량의 주행방향인 전방을 주시하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 대형사고를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이크(60)는, 선바이저(10), 대시보드(20) 또는 스티어링 휠(30) 뿐만 아니라 프론트 시트(51) 전방이면 어디든 부착될 수 있으며, 운전자의 보이스가 효과적으로 입력될 수 있는 장소이면 부착장소로 충분하다.
마이크(60)는, 후술할 스위치(80)에 의해서 온/오프될 수 있으며, 후술할 볼륨 조절 기구(90)에 의해서 마이크(60)의 보이스 입력이 증폭 또는 감쇄되어 후술할 스피커(70)로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60)는 스피커(7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마이크(60)로 입력된 보이스가 스피커(70)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마이크(60)와 스피커(70)의 연결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피커(70)는, 프론트 시트(51) 후면, 리어 시트(52) 전면, 리어 도어(41) 또는 루프(110)에 설치되며, 마이크(60)로부터 입력되는 보이스가 출력된다.
스피커(70)는 마이크(6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마이크(60)로 입력된 보이스가 스피커(70)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70)는 기설정된 볼륨 값으로 고정되어 보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볼륨값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시내 또는 고속도로에서 평균적으로 주행하는 속도에 의해 발생되는 차량 내 소음값 이상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의 조작자에 의해서 기설정값을 원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스피커(70)는, 제 1 프론트 시트 후면(511b), 제 2 프론트 시트 후면(512b), 제 1 리어 시트 전면(521a), 제 2 리어 시트 전면(522a), 제 1 리어 도어(411), 제 2 리어 도어(412), 제 2 프론트 도어(422), 글로시 박스(23)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프론트 시트(512) , 제 1 리어 시트(521) 또는 제 2 리어 시트(522)에 탑승하는 탑승자는 제 1 프론트 시트(511)에 착석한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 대화를 하더라도 운전자의 보이스가 잘 들릴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운전자는 탑승자와 마주 보며 대화를 하지 않고 전방을 주시하며 대화를 할 수 있어, 운전자의 부주의를 방지하고 운전자의 운전을 방해하지 않게 하여 대형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스피커(70)는, 스위치(80)에 의해서 온/오프될 수 있으며, 볼륨 조절 기구(90)에 의해서 마이크(60)를 통해 입력된 운전자의 보이스가 증폭 또는 감쇄되어 출력될 수 있다.
스피커(70)는 마이크(6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마이크(60)로 입력된 보이스가 스피커(70)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마이크(60)와 스피커(70)의 연결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위치(80)는, 프론트 시트(51)의 전방에 설치되며 마이크(60) 또는 스피커(70)를 온/오프한다. 또한 스위치(80)는 워키토키 방식 또는 상시 작동 방식일 수 있다.
여기서 워키토키 방식은, 스위치(80)에 일정한 힘을 지속적으로 가하면 마이크(60) 또는 스피커(70)가 온 상태가 되고, 스위치(80)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마이크(60) 또는 스피커(70)가 오프 상태가 되는 것을 말하며, 상시 작동 방식은, 스위치(80)에 한 번 힘을 가하면 마이크(60) 또는 스피커(70)가 온 상태가 되고, 마이크(60) 또는 스피커(70)가 온 상태가 된 상태에서 스위치(80)에 한 번 힘을 가하면 마이크(60) 또는 스피커(70)가 오프 상태가 되는 것을 말한다.
스위치(80)는 운전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스티어링 휠(30)의 림(31) 또는 허브(32)에 설치되거나 대시보드(20)의 계기판(21) 또는 센터페시아(22)에 설치될 수 있으며, 프론트 시트(51)의 전방이면 어디든 가능할 수 있다.
볼륨 조절 기구(90)는, 스피커(70)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볼륨 조절 기구(90)는, 운전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스티어링 휠(30)의 림(31) 또는 허브(32)에 설치되거나 대시보드(20)의 계기판(21) 또는 센터페시아(22)에 설치될 수 있으며, 프론트 시트(51)의 전방이면 어디든 가능할 수 있다.
볼륨 조절 기구(90)는, 마이크(60)를 통해 입력된 운전자의 보이스가 증폭 또는 감쇄되어 스피커(7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볼륨 조절 기구(90)의 볼륨 조절 방식은, 차량 메인 볼륨에 연동되어 조절될 수 있고, 기설정된 볼륨값에 의해 고정되어 조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볼륨 조절 기구(90)의 볼륨 조절 방식은, 차량의 속도에 연계하여 차량의 소음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 기설정된 볼륨값을 이에 맞추어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1)는, 운전자가 운행 중 리어 시트(52)의 탑승객 또는 제 2 프론트 시트(512)의 탑승객과 대화시 전방 주시를 유지한 상태에서 탑승객에게 효과적으로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고속주행 등 차량 내 소음으로 대화시 뒷좌석에 목소리가 잘 전달되지 않아 목소리를 크게 하거나 뒤 또는 옆을 돌아보아야 하는 위험과 수고를 덜 수 있어, 효과적인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1)는, 운전자의 전방에 마이크(60)가 설치되어, 운전자가 탑승객과 대화시 전방을 주시하며 대화를 하도록 강제할 수 있어 대형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 2: 바디
3: 바퀴 10: 선바이저
20: 대시보드 21: 계기판
22: 센터페시아 23: 글로브박스
30: 스티어링 휠 31: 림
32: 허브 40: 도어
41: 리어 도어 411: 제 1 리어 도어
412: 제 2 리어 도어 42: 프론트 도어
421: 제 1 프론트 도어 422: 제 2 프론트 도어
50: 시트 51: 프론트 시트
511: 제 1 프론트 시트 511a: 제 1 프론트 시트 전면
511b: 제 1 프론트 시트 후면 512: 제 2 프론트 시트
512a: 제 2 프론트 시트 전면 512b: 제 2 프론트 시트 후면
52: 리어 시트 521: 제 1 리어 시트
521a: 제 1 리어 시트 전면 522: 제 2 리어 시트
522a: 제 2 리어 시트 전면 60: 마이크
70: 스피커 80: 스위치
90: 볼륨 조절 기구 100: 미러
110: 루프

Claims (7)

  1. 프론트 시트 전방에 설치되며 보이스가 입력되는 마이크;
    상기 프론트 시트 후면, 리어 시트 전면, 리어 도어 또는 루프에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보이스가 차량 내 소음값 이상으로 출력되는 스피커; 및
    상기 프론트 시트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 또는 상기 스피커를 온/오프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워키토키 방식 또는 상시 작동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 조절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시트의 전방은,
    스티어링 휠, 선바이저 또는 대시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와 상기 스피커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상기 보이스가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키토키 방식은,
    상기 스위치에 일정한 힘을 지속적으로 가하면 상기 마이크 또는 상기 스피커가 온 상태가 되고, 상기 스위치에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마이크 또는 상기 스피커가 오프 상태가 되는 것이며,
    상기 상시 작동 방식은,
    상기 스위치에 한 번 힘을 가하면 상기 마이크 또는 상기 스피커가 온 상태가 되고, 상기 마이크 또는 상기 스피커가 온 상태가 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에 한 번 힘을 가하면 상기 마이크 또는 상기 스피커가 오프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기설정된 볼륨값으로 고정되어 상기 보이스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볼륨값은,
    상기 차량 내 소음값이 증가하는 경우 증가하며 상기 차량 내 소음값이 감소하는 경우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
KR1020140024978A 2014-03-03 2014-03-03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 KR20150103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978A KR20150103478A (ko) 2014-03-03 2014-03-03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978A KR20150103478A (ko) 2014-03-03 2014-03-03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478A true KR20150103478A (ko) 2015-09-11

Family

ID=5424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978A KR20150103478A (ko) 2014-03-03 2014-03-03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34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7431A (zh) * 2015-12-31 2016-06-15 莆田市云驰新能源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降噪方法及系统
CN105667432A (zh) * 2015-12-31 2016-06-15 莆田市云驰新能源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主动降噪方法及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7431A (zh) * 2015-12-31 2016-06-15 莆田市云驰新能源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降噪方法及系统
CN105667432A (zh) * 2015-12-31 2016-06-15 莆田市云驰新能源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主动降噪方法及系统
CN105667431B (zh) * 2015-12-31 2018-08-21 福建省汽车工业集团云度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降噪方法及系统
CN105667432B (zh) * 2015-12-31 2018-08-21 清华大学 一种汽车主动降噪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2764B1 (en) Autonomous vehicle
KR101782368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9758176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US10940857B2 (en) Driving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US11807183B2 (en)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JP6855235B2 (ja) 自動車用運転操作装置及び自動車用運転操作方法
JP2007503633A (ja) 事故に関するデータを提供する自動車用装置
US9290177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CN106985901A (zh) 坡道驻车辅助
US20210331709A1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210297769A1 (en) Audio Device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udio Device for a Vehicle
US20070296193A1 (en) 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20150103478A (ko)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
US202300683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With a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an Automatic Drive, Corresponding Vehicle, and Storage Medium
KR20190051217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13180634A (ja) 車載用電子機器とそれを搭載した自動車
JP6683115B2 (ja) 車両の乗員脱出支援装置、および車両
JP2020057080A (ja) 車両用エージェント装置
JP2005128631A (ja) 運転支援装置
Schöneburg et al. What the Car Industry Can Do: Mercedes-Benz’View
Répás et al. Security and Safety Systems on Modern Vehicles
JP2022105997A (ja) 乗員識別機能を備えた個人化された運転
KR101876922B1 (ko)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JP2020056607A (ja) 車両用エージェント装置
KR102615518B1 (ko) 음성인식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위험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