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846B1 -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846B1
KR101164846B1 KR1020100061308A KR20100061308A KR101164846B1 KR 101164846 B1 KR101164846 B1 KR 101164846B1 KR 1020100061308 A KR1020100061308 A KR 1020100061308A KR 20100061308 A KR20100061308 A KR 20100061308A KR 101164846 B1 KR101164846 B1 KR 101164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acceleration
accelerator pedal
vehicle
throttl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830A (ko
Inventor
오형술
장영관
하종규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61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846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84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 차량의 가속페달을 운전자의 왼발 쪽에 배치하여 왼발로 차량을 가속하도록 하는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존 자동변속 차량 내 브레이크 페달의 오른쪽과 왼쪽 각각에 제 1 가속 페달과 제 2 가속 페달을 설치하여 운전자의 왼발로도 가속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드로틀 밸브의 열림 정도를 제어하는 엔진 제어 유닛과 제 2 가속 페달이 스위치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차량 내 핸들에 장착된 가속 입력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가속 입력 장치를 통해 자동 유지 속도를 입력받아 상기 제 2 가속 페달이 조작되어 상기 스위치가 연결된 동안 상기 엔진 제어 유닛에 의해 입력된 자동 유지 속도까지 점진적으로 속도를 증가시키는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여, 운전자가 양발을 균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오른발의 피로도를 급감시키며, 가속을 위하여 제 2 가속 페달을 밟고만 있으면 설정치까지 점진적 가속 및 속도 유지가 가능하여 운전의 편의성을 높이고, 장시간 운전에도 피로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THREE PEDAL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본 발명은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 자동변속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을 그대로 두고, 수동변속 차량의 클러치 페달 위치에 가속 페달을 추가하여 운전자의 왼발로도 차량을 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현대의 자동변속 차량의 페달 시스템은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두 페달 모두 오른발만을 사용하여 작동하도록 운전자의 오른쪽으로 치우쳐 설치되어 있다. 이는 도 1과 도 2로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페달은 왼발로 제어하고, 브레이크페달과 가속페달은 오른발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전통적인 수동 기어 변속 차량에서 운전자의 편의성이 높아진 자동변속 차량으로 변화하면서 단순히 필요 없어진 클러치 페달만을 제거하였기 때문인 것이다.
그러나 하루 일상 중 오랜 시간을 운전하여야 하는 현대인들에게 오른발만을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은 신체에 무리를 주어 여러 가지 신체적 이상을 유발하게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른발의 피로도가 높아져 조작의 민첩성이 떨어지게 되면 그만큼 사고의 위험성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3과 같은 기계식 가속 페달이나 도 4로 도시한 바와 같은 유압식 가속 페달 모두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밟는 힘에 비례하여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 및 연료량이 조절되어 가속량이 제어되는 것이므로 급가속을 방지하기 위해 가속페달을 서서히 밟거나 일정 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가속페달을 밟거나 발을 떼는 동작을 반복하여야 하므로 운전자의 피로도를 더욱 증대 시키고, 그만큼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6304호 문헌3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4570호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왼발로도 가속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운전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피로도는 낮출 수 있도록 가속페달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가속이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설정치에 의해 가속 및 속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 2의 가속 페달을 운전자의 왼발 위치에 추가한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동 기어 변속 차량의 클러치 페달이 위치된 위치에 제 2 가속 페달을 추가하여 운전자의 왼발로도 차량의 가속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 내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 및 상기 가속 페달의 작동에 의해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를 조절하는 드로틀 밸브(throttle valve)로 구성된 자동변속 차량의 페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속 페달은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함께 운전자의 오른발로 제어하는 제 1 가속 페달과, 수동 기어 변속 차량의 클러치 페달이 위치된 위치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왼발로 가속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 2 가속 페달로 구성되되,
상기 제 1 가속 페달은 상기 드로틀 밸브와 가속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 2 가속 페달은 상기 드로틀 밸브의 열림 정도를 제어하는 엔진 제어 유닛(ECU; engine control unit)과 스위치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차량 내 핸들에 장착된 가속 입력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가속 입력 장치를 통해 자동 유지 속도를 입력받아 상기 제 2 가속 페달이 조작되어 상기 스위치가 연결된 동안 입력된 자동 유지 속도까지 점진적으로 속도를 증가시키는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운전자의 왼쪽에도 가속 페달이 위치되어 운전자가 양발을 균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오른발의 피로도를 급감시키며, 제 1 가속 페달에 의해 종래와 같이 가속을 제어하는 동시에 자동 가속이 가능한 제 2 가속 페달을 밟고만 있으면 설정치까지 점진적 가속 및 속도 유지가 가능하여 운전의 편의성을 높이고, 장시간 운전에도 피로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 2는 문헌1을 통해 종래의 수동, 자동변속 차량의 페달 시스템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3은 문헌2를 통해 종래 기계식 가속 페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4는 문헌3을 통해 종래 유압식 가속 페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의 페달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6, 7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구성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5와 도 6으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내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130) 및 상기 가속 페달의 작동에 의해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를 조절하는 드로틀 밸브(160)로 구성된 자동변속 차량의 페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속 페달은 상기 브레이크 페달(130)과 함께 운전자의 오른발로 제어하는 제 1 가속 페달(141)과, 수동 기어 변속 차량의 클러치 페달이 위치된 위치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왼발로 가속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 2 가속 페달(142)로 구성되며,
전술한 제 1 가속 페달(141)은 상기 드로틀 밸브(160)와 가속 케이블(144)을 통해 연결되고,
전술한 제 2 가속 페달(142)은 상기 드로틀 밸브(160)의 열림 정도를 제어하는 엔진 제어 유닛(150)(ECU)과 스위치(143)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엔진 제어 유닛(150)은 차량 내 핸들(110)에 장착된 가속 입력 장치(111)와 연결되어 상기 가속 입력 장치(111)를 통해 자동 유지 속도를 입력받아 상기 제 2 가속 페달(142)이 조작되어 상기 스위치(143)가 연결된 동안 입력된 자동 유지 속도까지 점진적으로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가속 페달은 도 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변속 차량의 가속 페달과 같이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밟는 정도에 따라 차량을 가속 시킬 수 있도록 가속 케이블(144)을 통해 드로틀 밸브(160)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드로틀 밸브(160)의 레버(163)와 직접 연결되며,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30)과 함께 오른발로 제어할 수 있는 제 1 가속 페달(141)과, 운전자의 왼발로 제어 가능하며, 기계적 작동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스위치(143)를 통해 전술한 엔진 제어 유닛(150)과 연결되어 엔진 제어 유닛(150)에 가속을 지시할 수 있는 제 2 가속 페달(142)로 구성 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 2 가속 페달(142)을 통해 운전자의 가속 지령을 받을 수 있는 엔진 제어 유닛(150)은 운전자의 손이 접근하기 용이한 차량의 핸들(110)에 설치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으로 구성 가능한 가속 입력 장치(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운전자로부터 상기 가속 입력 장치(111)를 통해 운전자가 유지하기 원하는 자동 유지 속도를 입력받을 수 있고, 이와 같이 운전자가 입력하여 설정한 자동 유지 속도가 얼마인지를 다시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차량 내 계기판(120)에 구성된 표시부(121)와 연결되어 설정되어 있는 자동 유지 속도를 표시부(121)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차량의 속도를 측정 또는 표시하는 속도계(122)와 연결되어 차량의 현재 속도를 입력받을 수 있고, 드로틀 밸브(160)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드로틀 밸브(160)의 레버(163)에 연결된 가속 케이블(144)을 감아서 드로틀 밸브(160)를 개폐시키는 구동모터(161) 및 드로틀 밸브(160)의 열림 정도를 센싱하는 드로틀 포지션 센서(1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엔진 제어 유닛(150)은 운전자가 제 2 가속 페달(142)을 밟아 상기 스위치(143)가 연결되면 속도계(122)로부터 입력받은 현재 속도가 설정되어 있는 자동 유지 속도까지 증가되도록 드로틀 밸브(160)의 열림 정도를 드로틀 포지션 센서(162)를 통해 입력받으며 가속 케이블(144)을 감아서 드로틀 밸브(160)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동모터(161)를 제어하여 가속시키고, 이러한 가속 중에도 운전자는 가속 입력 장치(111)를 통해 자동 유지 속도를 가변할 수 있어서 가변된 자동 유지 속도를 표시부(121)를 통해 표시하고 속도계(122)로부터 입력받은 현재 속도가 가변된 자동 유지 속도보다 빠르면 가속을 중지하고, 느리면 점진적으로 가속하게 되는 것이므로 가속 조작을 위한 동작을 운전자의 왼발로 분산하여 발의 이동이 없어지게 되는 동시에 운전자는 왼발로 가속 페달만 밟고만 있으면 운전자가 원하는 속도가 유지되므로 가속을 위해 페달을 밟고 떼는 동작이 획기적으로 감소되어 운전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제 2 가속 페달(142)과는 별도로 제 1 가속 페달(141)을 통해 종래의 방식대로 운전자가 직접 가속을 제어할 수도 있어서 가속 방법에 대한 운전자 선택의 폭을 넓히고, 위급 상황 등에서 급가속이 필요할 경우 드로틀 밸브(160)를 운전자가 직접 제어하는 제 1 가속 페달(141)을 조작하여 급가속도 가능 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압식 자동변속 차량에 적용할 경우 도 7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내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130) 및 상기 가속 페달의 작동에 의해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를 조절하는 드로틀 밸브(160)로 구성된 자동변속 차량의 페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속 페달은 상기 브레이크 페달(130)과 함께 운전자의 오른발로 제어하는 제 1 가속 페달(141)과, 수동 기어 변속 차량의 클러치 페달이 위치된 위치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왼발로 가속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 2 가속 페달(142)로 구성되되,
전술한 제 1 가속 페달(141)은 조작 시 유압을 전달하는 유압라인(170)과 연결되고,
상기 유압라인(170)을 통해 공급된 유압에 의해 유압 피스톤(172)이 가압되면서 상기 드로틀 밸브(160)를 개폐하는 레버(163)를 작동시키는 유압 실린더(171)와, 상기 유압라인(170)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솔레노이드(180)와, 상기 유압 실린더(171)와 솔레노이드(180) 사이에 회전식 가압 피스톤(191)을 작동시키는 압력모터(190)가 유압라인(170)에 구성되며,
상기 드로틀 밸브(160)의 열림 정도를 센싱할 수 있도록 드로틀 밸브(160)에 드로틀 포지션 센서(162)가 구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180), 구동모터(161), 드로틀 포지션 센서(162)와 연결되어 드로틀 밸브(160)를 제어하는 엔진 제어 유닛(150)과 상기 제 2 가속 페달(142)이 스위치(143)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엔진 제어 유닛(150)은 차량 내 핸들(110)에 장착된 가속 입력 장치(111)와 연결되어 상기 가속 입력 장치(111)를 통해 자동 유지 속도를 입력받고, 이를 차량 내 계기판(120)에서 표시하는 표시부(121)와, 차량의 현재 속도를 입력받을 수 있는 속도계(122)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가속 페달(142)이 조작되어 상기 스위치가 연결된 동안 입력된 자동 유지 속도까지 현재 속도를 비교하며 점진적으로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술한 제 1 가속 페달(141)은 운전자가 오른발로 조작하도록 종래의 가속 페달 위치에 설치되며, 운전자가 밟는 압력을 그대로 유압라인(170)을 통해 유압 실린더(171)의 유압 피스톤(172)에 유압으로 전달하여 가압하므로 드로틀 밸브(160)를 열고 닫는 레버(163)를 유압에 따라 유압 피스톤(172)이 조작하게 되어 가속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며,
전술한 제 2 가속 페달(142)은 운전자의 왼발로 조작 가능하도록 수동 변속 기어 차량의 클러치 페달이 위치한 곳에 설치되며, 엔진 제어 유닛(150)과 기계적 작동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스위치(143)를 통해 연결되어 엔진 제어 유닛(150)에 가속을 지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가속 페달(142)을 운전자가 왼발로 밟으면 스위치(143)를 통해 엔진 제어 유닛(150)에 제 2 가속 페달(142)의 작동을 알리게 되고, 엔진 제어 유닛(150)은 제 2 가속 페달(142)이 작동되면 유압라인(170)에 설치된 솔레노이드(180)를 작동시켜 제 1 가속 페달(141)과 연결된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속도계(122)로부터 입력받은 현재 속도가 설정되어 있는 자동 유지 속도까지 증가되도록 드로틀 밸브(160)의 열림 정도를 드로틀 포지션 센서(162)를 통해 입력받음과 동시에 회전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유압라인(170)에 유압을 가압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171)의 유압 피스톤(172)에 가압하므로 드로틀 밸브(160)의 레버(163)를 작동시키는 가압 피스톤(191)이 설치된 압력모터(190)를 제어하여 가속시키고, 이러한 가속 중에도 운전자는 가속 입력 장치(111)를 통해 자동 유지 속도를 가변할 수 있어서 가변된 자동 유지 속도를 표시부(121)를 통해 표시하고 속도계(122)로부터 입력받은 현재 속도가 가변된 자동 유지 속도보다 빠르면 가속을 중지하고, 느리면 점진적으로 가속하게 되는 것이므로 가속 조작을 위한 동작을 운전자의 왼발로 분산하여 발의 이동이 없어지게 되는 동시에 운전자는 왼발로 가속 페달만 밟고만 있으면 운전자가 원하는 속도가 유지되므로 가속을 위해 페달을 밟고 떼는 동작이 획기적으로 감소되어 운전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다시 제 1 가속 페달(141)을 통해 운전자가 직접 가속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 2 가속 페달(142)을 밟고 있는 왼발을 떼면 압력모터(190)를 통한 가압은 해지되며 유로를 차단하고 있는 솔레노이드(180)가 풀리게 되어 다시 제 1 가속 페달(141)을 통해 운전자가 직접 가속을 제어할 수도 있도록 가속 방법이 변환되는 것이다.
아울러 불필요한 가속이나, 위험 상황에서 가속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엔진 제어 유닛(150)은 브레이크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 또는 스위치와 연결되어 브레이크 작동 시 운전자가 제 2 가속 페달(142)을 밟고 있더라도 가속을 중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 열림을 감지하는 센서나 스위치 등과도 연결되어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할 수 있어서, 가속이 되어서는 안 되는 여러 가지 상황에서 자동으로 가속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어서 차량 운행에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공회전 방지를 위해 엔진 제어 유닛(150)은 기어 변속과도 연결되어 기어가 중립일 때에는 가속되지 않도록 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110:핸들 111:가속 입력 장치 120:계기판
121:표시부 122:속도계 130:브레이크 페달
141:제 1 가속 페달 142:제 2 가속 페달 143:스위치
144:가속 케이블 150:엔진 제어 유닛 160:드로틀 밸브
161:구동모터 162:드로틀 포지션 센서 163:레버
170:유압라인 171:유압 실린더 172:유압 피스톤
180:솔레노이드 190:압력모터 191:가압 피스톤

Claims (9)

  1. 삭제
  2. 차량 내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 및 상기 가속 페달의 작동에 의해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를 조절하는 드로틀 밸브로 구성된 자동변속 차량의 페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속 페달은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함께 운전자의 오른발로 제어하는 제 1 가속 페달과, 수동 기어 변속 차량의 클러치 페달이 위치된 위치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왼발로 가속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 2 가속 페달로 구성되되,
    전술한 제 1 가속 페달은 상기 드로틀 밸브와 가속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전술한 제 2 가속 페달은 상기 드로틀 밸브의 열림 정도를 제어하는 엔진 제어 유닛과 스위치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차량 내 핸들에 장착된 가속 입력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가속 입력 장치를 통해 자동 유지 속도를 입력받아 상기 제 2 가속 페달이 조작되어 상기 스위치가 연결된 동안 입력된 자동 유지 속도까지 점진적으로 속도를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전술한 엔진 제어 유닛은 상기 드로틀 밸브에 연결된 가속 케이블을 감아서 드로틀 밸브를 개폐시키는 구동모터 및 드로틀 밸브의 열림 정도를 센싱하는 드로틀 포지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
  4. 차량 내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 및 상기 가속 페달의 작동에 의해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를 조절하는 드로틀 밸브로 구성된 자동변속 차량의 페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속 페달은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함께 운전자의 오른발로 제어하는 제 1 가속 페달과, 수동 기어 변속 차량의 클러치 페달이 위치된 위치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왼발로 가속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 2 가속 페달로 구성되되,
    전술한 제 1 가속 페달은 조작 시 유압을 전달하는 유압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유압라인을 통해 공급된 유압에 의해 유압 피스톤이 가압되면서 상기 드로틀 밸브를 개폐하는 레버를 작동시키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유압라인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유압 실린더와 솔레노이드 사이에 회전식 가압 피스톤을 작동시키는 압력모터가 유압라인에 구성되며,
    상기 드로틀 밸브의 열림 정도를 센싱할 수 있도록 드로틀 밸브에 드로틀 포지션 센서가 구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모터, 드로틀 포지션 센서와 연결되어 드로틀 밸브를 제어하는 엔진 제어 유닛과 상기 제 2 가속 페달이 스위치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차량 내 핸들에 장착된 가속 입력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가속 입력 장치를 통해 자동 유지 속도를 입력받아 상기 제 2 가속 페달이 조작되어 상기 스위치가 연결된 동안 입력된 자동 유지 속도까지 점진적으로 속도를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술한 엔진 제어 유닛은 기어가 중립인지를 감시하여 기어 중립 시 가속을 중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술한 엔진 제어 유닛은 도어 열림을 감시하여 도어가 열리면 가속을 중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
  7.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술한 엔진 제어 유닛은 브레이크 작동을 감시하여 브레이크가 작동되면 가속을 중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
  8.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술한 엔진 제어 유닛과 연결되어 설정된 상기 자동 유지 속도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차량 내의 계기판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
  9.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술한 엔진 제어 유닛은 차량의 속도계와 연결되어 차량의 현재 속도를 입력받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
KR1020100061308A 2010-06-28 2010-06-28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 KR101164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308A KR101164846B1 (ko) 2010-06-28 2010-06-28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308A KR101164846B1 (ko) 2010-06-28 2010-06-28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30A KR20120000830A (ko) 2012-01-04
KR101164846B1 true KR101164846B1 (ko) 2012-07-11

Family

ID=45608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308A KR101164846B1 (ko) 2010-06-28 2010-06-28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8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711B1 (ko) 2012-12-06 2014-04-02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재활치료, 및 종합 평가시스템
KR101876922B1 (ko) * 2015-05-28 2018-07-10 머큐리다이나믹주식회사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58547B (zh) * 2013-03-07 2015-08-05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切换自动挡汽车踏板左脚操作的装置及车辆
KR101529004B1 (ko) * 2014-02-28 2015-06-2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용 가속페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711B1 (ko) 2012-12-06 2014-04-02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재활치료, 및 종합 평가시스템
KR101876922B1 (ko) * 2015-05-28 2018-07-10 머큐리다이나믹주식회사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30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5098B1 (en) Transmission control system
KR101164846B1 (ko) 자동변속 차량의 3 페달 제어 시스템
EP1845495B1 (en) Electric Parking Brake System
ITMI980891A1 (it) Autoveicolo con un dispositivo per il comando di una frizione automatizzata
US6473680B2 (en) Engine overrun prevention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DE102005050043A1 (de) Kraftfahrzeug
MX2012014606A (es) Dispositivo de control de arranque del vehiculo.
US6641503B1 (en) Automatic servo-mechanism for sequential gearbox and clutch
KR101157107B1 (ko) 자동변속 차량의 2 페달 제어 시스템
KR100533467B1 (ko) 트랜스미션 동력 인출 시스템
KR100200112B1 (ko) 차량용 액셀레이터 변속 시스템
JP4649941B2 (ja) 車両の制御装置
KR20010072830A (ko) 클러치장치
KR100199724B1 (ko) 자동차의 수동식 클러치 장치
JP3954167B2 (ja) 農用作業車の変速制御装置
JP6196905B2 (ja) 車両の変速制御装置
KR100495440B1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조작장치
KR20000046762A (ko) 반자동 변속 시스템
KR101275417B1 (ko) 수동자동차의 자동변속 전환시스템
US20050044975A1 (en) Electro-pneumatic shifting system
KR0148338B1 (ko) 수동변속기 클러치의 자동제어 장치
JP2000337406A (ja) 後付け用自動クラッチシステム
KR20010059779A (ko) 수동 변속 차량의 클러치 작동 장치
KR0149363B1 (ko) 파킹브레이크 조작에 연동되는 클러치
KR100858187B1 (ko) 수동변속기 차량의 자동 반클러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