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363B1 - 파킹브레이크 조작에 연동되는 클러치 - Google Patents

파킹브레이크 조작에 연동되는 클러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363B1
KR0149363B1 KR1019930027200A KR930027200A KR0149363B1 KR 0149363 B1 KR0149363 B1 KR 0149363B1 KR 1019930027200 A KR1019930027200 A KR 1019930027200A KR 930027200 A KR930027200 A KR 930027200A KR 0149363 B1 KR0149363 B1 KR 0149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parking brake
hydraulic pressure
operated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7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542A (ko
Inventor
김만호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30027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9363B1/ko
Publication of KR950017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16H63/3458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with electric actuating means, e.g. shift by wire
    • F16H63/3475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with electric actuating means, e.g. shift by wire using solenoids

Abstract

파킹브레이크의 조작에 따라 단속기능을 갖도록 하여 파킹 브레이크의 당긴 상태에서의 주, 정차시 변속기로의 동력 차단으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언덕길의 출발시 후방으로의 밀림 방지와 조작성 및 편리함을 제공하며, 파킹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차량의 출발을 불가능하게 하여 브레이크 라이닝의 조기 마모를 방지할 목적으로; 클러키 페달의 조작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에서 유압이 발생되며, 이에 발생된 유압이 클러치로 공급되어 동력을 단하는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와 클러치의 관로를 분기시켜 유압에 의하여 동작되는 액튜에이터와 연통시키고, 이의 액튜에이터는 파워 스티어링의 동력부에 유압을 공급하는 오일펌프와 관로로 연결하며, 상기 관로상에 전자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되면서 유체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제1, 2, 3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며, 상기 전자 제어유닛은 파킹브레이크 레버의 동작에 의하여 조작되는 조작스위치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파킹브레이크 조작에 연동되는 클러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킹브레이크 조작에 연동되는 클러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클러치 자동 조절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액튜에이터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밸브의 작동표.
제4도는 종래 유압식 클러치의 구성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있어서, 파킹브레이크 조작시 이에 연동되어 자동으로 단속기능을 갖는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자동차에 있어서의 클러치는 플라이 휠과 변속기의 입력축 사이에 설치되어 변속기로 전달되는 동력을 필요에 따라 단속하는 일을 하며, 엔진의 시동 또는 변속기의 기어를 변속할 때에는 연결을 끊고, 발지할 때에는 동력을 서서히 전달하는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클러치의 조작기구는 클러치 페달의 조작력을 클러치 본체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릴리이스 베어링과 포크 및 페달의 조작력을 릴리이스 포크로 전달하는 기구등으로 구성되는데, 릴리이스 포크를 작동시키는 조작기구로는 클러치 페달에서 와이어나 레버등을 사용하여 릴리이스 포크를 움직이는 기계식과,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식이 있는데, 본 발명은 유압식에 관계한다.
상기 유압식 클러치의 조작기구를 제4도를 보면서 살펴보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동작되는 클러치 페달(100)과; 상기 페달(100)의 조작에 의하여 유압을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101)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101)로부터 발생된 유압을 호오스 또는 파이프(102)를 통해 전달받는 릴리이스 실린더(103)와; 상기 릴리이스 실린더(103)의 동작에 의해 전후 회동하는 릴리이스 포크(104)와; 상기 릴리이스 포크(104)에 결합되어 전후 이동하는 릴리이스 베어링(105)과; 상기 릴리이스 베어링(105)의 전후 동작에 의하여 동력 단속기능을 수행하는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따라 클러치 페달(100)을 밟으면 마스터 실린더(101)에서 유압을 발생시켜 파이프(102)을 통하여 릴리이스 실린더(103)로 전달되고, 이의 릴리이스 실린더(103)의 동작에 의하여 릴리이스 포크(104)가 동작되면서 릴리이스 베어링(105)를 전진시켜 클러치(106)의 단속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압식 클러치는 반듯이 운전자의 클러치 페달 조작에 의해서만 단속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초보 운전자의 경우에는 클러치 페달 조작의 미숙으로 출발 초기 동력 전달계통의 무동력 상태를 능숙하게 해결하지 못하므로써, 언덕길의 출발시 대개 파킹 브레이크를 이용하게 된다.
즉, 언덕길의 출발시 파킹 브레이크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파킹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자동차의 정지상태를 유지한 후에 클러치 페달에 밟고 기어를 넣은 상태에서 파킹브레이크를 서서히 풀면서 클러치 페달에 서서히 발을 떼고, 액셀레이터 페달을 밟으면서 출발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출발수단은 여러가지 동작이 복합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바, 이에 따른 어려움이 있고, 원활한 출발이 이루어지지 않아 안전사고의 요인이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와 같은 클러치장치에 있어서는 변소기의 기어를 넣은 상태에서 운전자의 실수로 클러치 페달을 놓는 경우에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발명의 요지]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킹브레이크의 조작에 따라 단속기능을 갖는 클러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 달성에 의하여 파킹 브레이크의 당긴 상태에서의 주, 정차시 변속기의 동력 차단으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언덕길의 출발시 후방으로의 밀림 방지와 조작성 및 편리성을 제공하며, 파킹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차량의 출발을 불가능하게 하여 브레이크 라이닝의 조기 마모를 방지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클러치 페달의 조작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에서 유압이 발생되며, 이에 발생된 유압이 클러치로 공급되어 동력을 차단하는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와 클러치의 관로를 분기시켜 유압에 의하여 동작되는 액튜에이터와 연통시키고, 이의 액튜에이터는 파워 스티어링의 동력부에 유압을 공급하는 오일펌프와 관로로 연결하며, 상기 관로상에 전자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되면서 유체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제1, 2, 3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며, 상기 전자 제어유닛은 파킹브레이트 레버의 동작에 의하여 조작되는 조작스위치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파킹브레이크 조작에 연동되는 클러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액투에이터는 상하부로 유로를 갖는 실린더의 내부에 상측으로 탄성부재를 개재시켜 피스톤을 내장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의 구성도로서, 클러치 페달(1)의 조작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3)에서 유압이 발생되며, 이에 발생된 유압은 클러치(5)로 공급된다.
이러한 클러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마스터 실린더(3)와 클러치(7)의 관로(9)를 분기시켜 유압에 의하여 동작되는 액튜에이터(11)와 연통시키고, 이의 액튜에이터(11)는 파워 스티어링의 동력부(13)에 유압을 공급하는 오일펌프(15)와 관로(17)로서 연결하였다.
상기에서 액튜에이터(11)는 제2도에서와 같이 상하부로 유로(19)(21)를 갖는 실린더(23)의 내부에 상측으로 탄성부재(25)를 개재시켜 피스톤(27)을 내장하여 이루어진다.
이에따라 유로(21)를 통하여 유압이 공급되면 피스톤(27)이 상승하면서 상측의 유체실에 들어 있는 유체를 가압할 수 있게 되며, 하부의 유압을 해제하면 탄성부재(25)의 탄발력에 의하여 피스톤(27)이 하강 리턴된다.
그리고 상기 관로(9)(17)(29)상에는 유체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제1, 2, 3 솔레노이드 밸브(31)(33)(35)가 설치되며, 상기 제1, 2, 3 솔레노이드 밸브(31)(33)(35)는 전자 제어유닛(3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전자 제어유닛(37)은 파킹 브레이크 레버(39)의 동작에 의하여 조작되는 조작스위치(41)와 연결되며, 상기 조작 스위치(41)는 계기판에 배치도어 있는 파킹 경고등(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상기 파킹 브레이크 레버(39)를 당기면 이에 연동되는 조작스위치(41)의 동작에 의하여 이의 신호는 전자 제어유닛(37)과 피킹 경고등(43)으로전달된다.
그러면 파킹 경고등(43)은 점등되어 현재 파킹중임을 표시하게 되고, 전자 제어유닛(37)에서는 제3도의 작동표와 같이 제2 솔레노이드 밸브(33)는 온, 제1,3 솔레노이드 밸브(31)(35)는 오프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이와같이 전자 제어유닛(37)이 각 밸브를 제어하면 제1 솔로네이드 밸브(31)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3)와 클러치(5)를 연결하는 관로(9)가 차단되어 밀폐된 상태에서 제2 솔레노이드 밸브(33)가 개방되어 오일펌프(15)의 강한 유압이 관로(17)를 타고 액튜에이터(11)로 공급되어 이의 피스톤(27)을 상승시키게 된다.
그러면 액튜에이터(11)의 상부 유체실에 저장되어 있던 유체가 압축되면서 클러치(5)로 공급되어 클러치(5)의 동력전달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피킹 브레이크가 동작되는 상태에서 클러치(5)가 동작되어 동력의 전달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주, 정차시 기어가 들어감에 의한 안저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파킹 브레이크 레버(39)를 풀어 비작동시키면 조작스위치(41)의 동작에 의하여 이의 신호는 전자 제어유닛(37)로 전달된다.
그러면 전자 제어유닛(37)에서는 제3도의 작동표와 같이 제2 솔레노이드 밸브(33)는 오프, 제1, 3 솔레노이드 밸브(31)(35)는 온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이와같이 전자 제어유닛(37)이 각 밸브를 제어하면 제1 솔레노이드 밸브(31)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3)와 클러치(5)를 연결하는 관로(9)가 개방되고, 제2 솔레노이드 밸브(33)가 차단되어 오일펌프(15)의 강한 유압의 액튜에이터(11)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피스톤(27)은 탄성부재(25)의 복원력에 의하여 리턴 되어 정상적인 유압 클러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본 발명의 클러치에 의하면 언덕길 출발시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아도 클러치가 자동적으로 차단되는 바, 이의 상태에서 기어를 넣고 파킹 브레크를 서서히 풀면서 액셀레이터 페달을 밟으면 출발이 가능하므로 유연한 출발이 이루어져 급출발에 의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주, 정차후 출발시 파킹 브레이크를 완전히 풀지 않으면 클러치에서 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운전자는 파킹 브레이크를 완전히 풀게됨으로써, 파킹 브레이크의 채워진 상태에서의 출발에 의한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클러치 페달의 조작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에서 유압이 발생되며, 이에 발생된 유압이 클러치로 공급되어 동력을 단하는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와 클러치의 관로를 분기시켜 유압에 의하여 동작되는 액튜에이터와 연통시키고, 이의 액튜에이터는 파워 스티어링의 동력부에 유압을 공급하는 오일펌프와 관로로 연결하며, 상기 관로상에 전자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되면서 유체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제1, 2, 3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며, 상기 전자 제어유닛은 파킹 브레이크 레버의 동작에 의하여 조작되는 조작스위치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파킹 브레이크 조작에 연동되는 클러치.
  2. 제1항에 있어서, 액튜에이터는 상하부로 유닛을 갖는 실린더의 내부에 상측으로 탄성부재를 개재시켜 피스톤을 내장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조작에 연동되는 클러치.
KR1019930027200A 1993-12-10 1993-12-10 파킹브레이크 조작에 연동되는 클러치 KR0149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200A KR0149363B1 (ko) 1993-12-10 1993-12-10 파킹브레이크 조작에 연동되는 클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200A KR0149363B1 (ko) 1993-12-10 1993-12-10 파킹브레이크 조작에 연동되는 클러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542A KR950017542A (ko) 1995-07-20
KR0149363B1 true KR0149363B1 (ko) 1998-10-01

Family

ID=19370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200A KR0149363B1 (ko) 1993-12-10 1993-12-10 파킹브레이크 조작에 연동되는 클러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93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542A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1196A (en) Control circuit for brake booster vehicular hill holder system
US4667471A (en) Brake booster for vehicular hill holder system
US6581738B2 (en) Parking lock for a motor vehicle with an emergency release device
KR100509280B1 (ko) 작업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US4660691A (en) Vehicular hill holder system having a control circuit responsive to vehicular attitude, clutch position, and gear position
EP0997659A1 (en) Apparatus for disengaging and engaging clutch
EP0798480B1 (en) Automatic clutch unit for vehicle use
KR0149363B1 (ko) 파킹브레이크 조작에 연동되는 클러치
US5469946A (en) Clutch actuation system
US5519996A (en) Brake pedal stroke dependent inching system
KR100200112B1 (ko) 차량용 액셀레이터 변속 시스템
JPH09269019A (ja) 車両用オートクラッチ装置
KR0184832B1 (ko) 스위치 작동식 주차브레이크
KR100273515B1 (ko) 자동차의 클러치 장치
JP3635334B2 (ja) 車両のオートクラッチ装置
KR200148199Y1 (ko) 파킹브레이크작동시클러치연동장치
KR100287104B1 (ko) 차량용 자동클러치장치의 수동변속 전환장치
JP2000220661A (ja) 自動車のクラッチ装置
KR0148352B1 (ko) 수동변속기 클러치의 자동제어 장치
KR100435714B1 (ko) 클러치 작동오일 자동공급장치
KR100250268B1 (ko) 클러치 작용을 자동화한 수동변속기의 기어 시프팅 구조
KR100300719B1 (ko) 핸드겸용클러치작동시스템
KR100362410B1 (ko) 자동차의브레이크와클러치작동구조
KR0151803B1 (ko) 자동차의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
KR100264552B1 (ko) 자동차의 역진 방지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