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440B1 -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440B1
KR100495440B1 KR10-2003-0001988A KR20030001988A KR100495440B1 KR 100495440 B1 KR100495440 B1 KR 100495440B1 KR 20030001988 A KR20030001988 A KR 20030001988A KR 100495440 B1 KR100495440 B1 KR 100495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shift lever
steer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4429A (ko
Inventor
김진만
Original Assignee
김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만 filed Critical 김진만
Priority to KR10-2003-0001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5440B1/ko
Publication of KR20040064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4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2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push butt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mounted on steering column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조작기를 가진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스티어링 휠에 변속조작을 실시할 수 있는 변속조작기를 설치하므로써, 운전자가 편안히 시트 등받이에 기댄 채 변속조작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한 변속을 실시할 때 변속레버로 눈길을 빼앗기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변속조작을 할 때도 항상 양쪽 손 모두 스티어링 휠을 잡고 있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안전운전을 기할 수 있게 하는데 있으며, 여유를 가지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오조작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수단은 엔진으로부터의 출력을 변속조작하기 위한 자동변속기(40)와, 상기 자동변속기를 조작하기 위하여 주차(P), 후진(R), 중립(N), 전진(D), 전진2단(2), 전진1단(L) 등의 조작 단계를 가지는 변속레버(30)를 마련한 후, 상기 변속레버(30)의 각 단계 조작이 상기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컨트롤 케이블을 통해 매뉴얼 컨트롤레버로 전달되고, 매뉴얼 컨트롤레버의 작동으로 인히비터 스위치가 작동되고, 인히비터 스위치의 작동으로 컨트롤유니트를 포함한 전체의 작동으로 이어지도록 한 자동변속장치에 있어서,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10) 중앙에 주차(P), 후진(R), 중립(N), 전진(D), 전진2단(2), 전진1단(L)의 단계별 조작노브(21)들을 포함하는 별도의 변속조작기(20)를 마련하여, 상기 변속레버(30)의 조작과 병행하여 이들 조작노브(21)들의 조작으로 써 상기 자동변속기(40)의 인히비터 스위치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조작장치{AUTO-TRANSMISSION CONTROL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조작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변속조작용 레버와 함께 스티어링 휠에 구비된 변속조작기에 의하여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주행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변속장치를 가지며, 근래에는 유압을 이용한 오토트랜스미션이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변속장치들은 그 조작을 위해 변속레버를 가지는 바,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입설시킨 형태와 스티어링 휠의 아래에서 스티어링 샤프트의 주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시킨 형태로 구비된다.
전자의 경우, 상기 변속레버를 전, 후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서 조작하고, 후자의 경우, 상기 변속레버를 상, 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조작한다.
한편, 자동차 주행중 운전자는 운전석 시트에 앉아서 스티어링 휠, 변속레버 등 여러 가지 기기를 조작하되, 가장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즉 운전자는 가능한 운전석 시트의 등받이에 기댄 채 팔을 뻗어 각종 기기를 조작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양손으로 스티어링 휠의 하반부를 잡은 상태에서 변속레버를 잡으려면 반드시 시트의 등받이로부터 등을 떼고 일어 나야 하는 불편이 있다.
그 외에도 기어 변속을 할 때마다 눈길을 주어야 하므로 시야를 빼앗기는 위험이 있고, 눈길을 주지 않는다면 잘못 변속하는 상태가 유발될 수 있으며, 신속히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변속을 실시할 때 마다 한손으로만 스티어링 휠을 잡아야 하므로 안전운전에 방해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스티어링 휠에 변속조작을 실시할 수 있는 변속조작기를 설치하므로써, 운전자가 편안히 시트 등받이에 기댄 채 변속조작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한 변속을 실시할 때 변속레버로 눈길을 빼앗기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변속조작을 할 때도 항상 양쪽 손 모두 스티어링 휠을 잡고 있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안전운전을 기할 수 있게 하는데 있으며, 여유를 가지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오조작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의 출력을 변속조작하기 위한 자동변속기와, 상기 자동변속기를 조작하기 위하여 주차(P), 후진(R), 중립(N), 전진(D), 전진2단(2), 전진1단(L) 의 조작 단계로 구비되는 변속레버, 상기 변속레버의 각 단계 조작을 상기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컨트롤 케이블을 통해 전달받는 매뉴얼 컨트롤레버, 상기 매뉴얼 컨트롤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작동되는 인히비터 스위치,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의 작동으로 상기 자동변속기가 작동되도록 하는컨트롤유니트,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 중앙에 단계별 조작노브들을 포함하는 별도의 변속조작기를 구비하여,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는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과 상기 조작노브의 조작으로 작동되도록 하는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유니트는 상기 변속조작기의 조작 신호보다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 신호를 우선 신호로 하여 작동하며,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 단계와 상기 변속조작기의 조작 단계가 다를 경우 상기 변속조작기의 조작 단계를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 단계와 일치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 단계와 상기 변속조작기의 조작노브의 조작 단계가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경보음 신호를 발신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조작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스티어링 휠(10)의 예시도이고, 도 2는 자동변속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작동상태의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작동상태의 설명도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으로부터의 출력을 변속조작하기 위한 자동변속기(40)가 구비되고, 상기 자동변속기를 조작하기 위하여 주차(P), 후진(R), 중립(N), 전진(D), 전진2단(2), 전진1단(L) 등의 조작 단계를 가지는 변속레버(30)가 운전석의 일측 또는 스티어링 휠의 아래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사항은 엔진으로부터의 출력을 변속조작하기 위한 자동변속기(40)를 가지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자동변속기를 조작하기 위하여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휠(10)상에 변속조작기(20)를 설치하는 것이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실시예1에서는 기존의 변속레버(30)와 스티어링 휠에 설치한 새로운 변속조작기(20)를 같이 구비하는 것이다.
즉, 상기 변속레버(30)의 각 단계 조작이 상기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컨트롤 케이블을 통해 매뉴얼 컨트롤레버로 전달되고, 매뉴얼 컨트롤레버의 작동으로 인히비터 스위치가 작동되고, 인히비터 스위치의 작동으로 컨트롤유니트를 포함한 전체의 작동으로 이어지도록 한 자동변속장치에 있어서,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10) 중앙에 주차(P), 후진(R), 중립(N), 전진(D), 전진2단(2), 전진1단(L)의 단계별 조작노브(21)들을 포함하는 별도의 변속조작기(20)를 마련하여, 이들 조작노브(21)들의 조작으로 써 상기 자동변속기(40)의 인히비터 스위치가 똑 같이 작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는 도 3을 통해 그 작동상태를 이해할 수 있다.
먼저, 기존의 변속레버(30)를 조작하면 변속레버 컨트롤 케이블을 통해 매뉴얼 컨트롤레버가 조작되고, 매뉴얼 컨트롤레버에 의해 인히비터 스위치가 조작되며, 인히비터 스위치는 컨트롤 유니트를 통해 밸브바디 내부의 각종 밸브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도 2에서 보듯이 오일펌프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이 매뉴얼 밸브, 댐퍼 클러치, 압력 조절밸브, 압력조절 컨트롤밸브, 댐퍼 클러치 컨트롤 솔레노이드밸브, 변속조작밸브(A,B), 그리고 변속조절 솔레노이드 밸브(A,B) 및 킥다운 서보스위치를 통해 킥다운 브레이크가 작동되면 변속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티어링 휠(10)의 중앙에 마련한 본 발명의 변속조작기(20)를 사용할 때는 그 각각의 주차(P), 후진(R), 중립(N), 전진(D), 전진2단(2), 전진1단(L)의 단계별 조작노브(21)를 눌렀을 때, 그 신호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즉시 인히비터 스위치로 전달되고, 인히비터 스위치에서는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컨트롤 유니트를 통해 밸브바디 내부의 각종 밸브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도 2에서 보듯이 오일펌프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이 매뉴얼 밸브, 댐퍼 클러치, 압력 조절밸브, 압력조절 컨트롤밸브, 댐퍼 클러치 컨트롤 솔레노이드밸브, 변속조작밸브(A,B), 그리고 변속조절 솔레노이드 밸브(A,B) 및 킥다운 서보스위치를 통해 킥다운 브레이크가 작동되면 변속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한편, 실시예1에서와 같이 기존의 변속레버(30)와 스티어링 휠에 구비된 변속조작기(20)를 같이 사용할 경우 우선 적용되는 것을 미리 정해둘 필요가 있고, 또, 주차(P)의 상태로 조작하는 경우, 기존의 변속레버(30)와 변속조작기(20)가 모두 일치되도록 조작을 한 후 하차하도록 하거나, 변속조작기(20)를 사용하여 후진(R)의 상태로 조작하는 경우에도 기존의 변속레버(30)가 중립(N) 또는 후진(R)의 상태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안전을 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 서로 일치되지 않는 조작노브(21)의 선택이 이루어질 경우, 경보음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기존의 변속레버(30)와 스티어링 휠에 구비된 변속조작기(20)를 같이 사용할 경우 우선 적용은 변속조작기(20)의 신호보다 변속레버(30)의 신호를 우선 신호로 하여 제어하도록 하였다. 이는 변속조작기(20)의 작동은 누름식 버튼 또는 감지식 버튼에 의한 전기적 신호에 의해 인히비터 스위치에 전송하나, 변속레버(30)에서의 작동은 운전자에 의해 물리적 위치가 변동되는 변속레버 컨트롤 케이블에 의한 물리적 신호 전송에 의하여 인히비터 스위치에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이다. 이는 변속조작기(20)로부터의 입력신호와 변속레버(30)로부터의 입력신호가 서로 다를 경우, 다시 보상하는 방법에 있어서, 변속조작기(20)의 조작 단계를 변속레버(30)의 조작 단계와 일치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기 때문에 인히비터 스위치를 제어하는 컨트롤 유니트에서 전기적 신호로 제어가 가능하지만, 변속레버(30)의 조작 단계를 변속조작기(20)의 조작 단계와 일치 시키고자 한다면, 변속레버 컨트롤 케이블을 작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별도의 작동모터, 액추에이터 등을 이용해야만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별도의 부재 없이 단지 제어부인 컨트롤 유니트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변속레버(30)의 조작 단계와 변속조작기(20)의 조작 단계를 일치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전기적 신호에 의한 제어방법이 가능하므로, 변속레버(30)를 보상하는 방법보다는 변속조작기(20)의 단계를 전기적 신호로 컨트롤 유니트의 제어에 의하여 보상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변속레버(30)의 조작 단계와 변속조작기(20)의 조작 단계가 같은 주행 상태로 하기 위한 필수 구성을 보면 변속레버(30)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는 변속레버신호수신부, 변속조작기(20)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는 변속조작기신호수신부, 그리고 각각의 신호를 전송받아 비교 판단하여 변속조작기(20), 자동변속기(40) 및 표시부 등으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인 컨트롤 유니트 등이 구비된다. 따라서 변속레버(30)의 조작에 의한 변속 신호가 인히비터스위치의 변속레버신호수신부를 통하여 컨트롤 유니트로 입력되고, 변속조작기(20)의 조작에 의한 변속 신호가 인히비터스위치의 변속조작기신호수신부를 통하여 컨트롤 유니트로 입력되며, 컨트롤 유니트에서는 변속레버(30)로부터의 수신 신호와 변속조작기(20)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판별하여 변속조작기(20)의 조작 단계가 변속레버(30)의 조작 단계와 다른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지를 판별하게 된다.그리고 변속조작기(20)를 사용하여 후진(R)의 조작 단계로 조작하는 경우에도 변속레버(30)가 중립(N) 또는 후진(R)의 조작 단계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며, 변속조작기(20) 보다 우선 작동 순위에 있는 변속레버(30)의 조작 단계가 전진(D), 전진2단(2), 전진1단(L)과 같이 전진 조작 단계에 있을 때에는 차량이 계속 전진 중에 있거나 일시 정지상태에 있는 것이므로, 컨트롤 유니트의 제어에 의하여 변속조작기(20)가 후진(R)으로의 조작이 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을 기하도록 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변속레버(30)의 조작 단계가 후진(R)의 조작 단계일 경우에도 변속조작기(20)의 조작 단계가 전진(D), 전진2단(2), 전진1단(L)의 조작 단계로 전환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을 기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 변속레버(30)에 대해 변속조작기(20)의 조작노브(21)의 선택이 다른 주행상태로의 선택이 이루어질 경우, 제어부인 컨트롤 유니트의 제어에 의하여 경보음 신호를 발신하도록 하였다.
실시예2
본 발명의 실시예2에서는 기존의 변속레버(30)를 배제하고 스티어링 휠에 설치한 새로운 변속조작기(20)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엔진으로부터의 출력을 변속조작하기 위한 자동변속기(40)와, 상기 자동변속기를 조작하기 위하여 주차(P), 후진(R), 중립(N), 전진(D), 전진2단(2), 전진1단(L)의 단계별 조작노브(21)들을 포함한 채, 스티어링 휠(10) 중앙에 마련한 변속조작기(20)로 구성하여 상기 변속조작기(20)의 각 단계 조작으로 써 상기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컨트롤 케이블을 통해 매뉴얼 컨트롤레버로 전달되고, 매뉴얼 컨트롤레버의 작동으로 인히비터 스위치가 작동되고, 인히비터 스위치의 작동으로 컨트롤유니트를 포함한 전체의 작동으로 이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때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티어링 휠(10)의 중앙에 마련한 본 발명의 변속조작기(20)에서 그 각각의 주차(P), 후진(R), 중립(N), 전진(D), 전진2단(2), 전진1단(L)의 단계별 조작노브(21)를 눌렀을 때, 그 신호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접 인히비터 스위치로 전달되고, 인히비터 스위치에서는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컨트롤 유니트를 통해 밸브바디 내부의 각종 밸브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도 2에서 보듯이 오일펌프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이 매뉴얼 밸브, 댐퍼 클러치, 압력 조절밸브, 압력조절 컨트롤밸브, 댐퍼 클러치 컨트롤 솔레노이드밸브, 변속조작밸브(A,B), 그리고 변속조절 솔레노이드 밸브(A,B) 및 킥다운 서보스위치를 통해 킥다운 브레이크가 작동되면 변속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변속레버 외에 스티어링 휠에 변속조작을 실시할 수 있는 변속조작기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평상시 운전자가 시트 등받이에 기댄 채 편안히 변속조작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변속을 실시할 때 변속레버로 눈길을 빼앗기지 않을 수 있으며, 아울러 변속조작을 실시 할 때도 항상 양쪽 손 모두 스티어링 휠을 잡고 있을 수 있고, 여유를 가지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안전운전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조작 상태가 발생하지 않게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변속조작기가 포함된 스티어링 휠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변속조작기를 채택한 자동변속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작동상태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작동상태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스티어링 휠
20 : 변속조작기
21 : 조작노브
30 : 변속레버
40 : 자동변속기

Claims (3)

  1. (삭제)
  2. 엔진으로부터의 출력을 변속조작하기 위한 자동변속기(40)와,
    상기 자동변속기(40)를 조작하기 위하여 주차(P), 후진(R), 중립(N), 전진(D), 전진2단(2), 전진1단(L) 의 조작 단계로 구비되는 변속레버(30),
    상기 변속레버(30)의 각 단계 조작을 상기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컨트롤 케이블을 통해 전달받는 매뉴얼 컨트롤레버,
    상기 매뉴얼 컨트롤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작동되는 인히비터 스위치,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의 작동으로 상기 자동변속기(40)가 작동되도록 하는컨트롤유니트,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10) 중앙에 단계별 조작노브(21)들을 포함하는 별도의 변속조작기(20)를 구비하여,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는 상기 변속레버(30)의 조작과 상기 조작노브(21)의 조작으로 작동되도록 하는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유니트는 상기 변속조작기(20)의 조작 신호보다 상기 변속레버(30)의 조작 신호를 우선 신호로 하여 작동하며,
    상기 변속레버(30)의 조작 단계와 상기 변속조작기(20)의 조작 단계가 다를 경우 상기 변속조작기(20)의 조작 단계를 상기 변속레버(30)의 조작 단계와 일치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변속레버(30)의 조작 단계와 상기 변속조작기(20)의 조작노브(21)의 조작 단계가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경보음 신호를 발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조작장치.
  3. (삭제)
KR10-2003-0001988A 2003-01-13 2003-01-13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조작장치 KR100495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988A KR100495440B1 (ko) 2003-01-13 2003-01-13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988A KR100495440B1 (ko) 2003-01-13 2003-01-13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429A KR20040064429A (ko) 2004-07-19
KR100495440B1 true KR100495440B1 (ko) 2005-06-14

Family

ID=3735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988A KR100495440B1 (ko) 2003-01-13 2003-01-13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54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686B1 (ko) * 2011-12-15 201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자동 변속 레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429A (ko) 200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0931B2 (en) Shift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having steering wheel paddle shifters and a console shifter
JP5147208B2 (ja) オートマチック式ダブルクラッチ変速機の油圧式制御装置
EP2390535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tactile force for a vehicle
US6145399A (en) Indicator for a shift by wire vehicle transmission
KR102439105B1 (ko) 전자식 변속조작장치의 변속제어방법
US20020128762A1 (en) Vehicle control device
US20050056109A1 (en) Shifting device for a shift-by-wire system
US6105453A (en)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vehicle transmission with separate range selector solely for establishing parking range
KR100495440B1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조작장치
EP1304511A1 (en) Control method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n engine-driven vehicle
CN113748281B (zh) 用于提供手动换挡模式的控制单元和方法
KR101953184B1 (ko) 변속기 조작 시스템
EP1363048B1 (en) A control device in a motor vehicle
KR20200002098A (ko)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신호 송출방법
KR20060097315A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조작장치 및 조작방법
KR102084562B1 (ko) 변속기 조작 시스템
EP1555462B1 (en) Method and control device to ensure the correct operation of a range selector in a vehicle transmission
US20040173431A1 (en) Vehicle brake pedal interlock for heavy vehicle neutral to engaged gear shift
JP5122415B2 (ja) 作業車両の走行変速装置
KR100279964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JP5078833B2 (ja) 作業車両の走行変速装置
KR20080081503A (ko) 변속기 구동방법
KR100221271B1 (ko) 버튼식 변속레버 시프팅장치
JP4158033B2 (ja) 自動変速機制御装置
KR100302291B1 (ko) 자동변속기의자동중립제어장치및그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