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9964B1 -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9964B1
KR100279964B1 KR1019960059426A KR19960059426A KR100279964B1 KR 100279964 B1 KR100279964 B1 KR 100279964B1 KR 1019960059426 A KR1019960059426 A KR 1019960059426A KR 19960059426 A KR19960059426 A KR 19960059426A KR 100279964 B1 KR100279964 B1 KR 100279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ge
shift
stage
shift lev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9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0260A (ko
Inventor
유진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59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9964B1/ko
Publication of KR19980040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964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변속단이 R레인지인 후진 주행중 운전자가 전진 주행단인 D레인지로 변속레버를 변경하면, 변속레버의 R레인지에서 D레인지로의 변환 판정 제어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변속레버의 R레인지에서 D레인지로의 변환 판정 제어 서브루틴을 수행 완료함에 따라 차량의 차속이 0km/h인 정지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차량의 차속이 0km/h인 정지 상태인 경우, 변속레버가 N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또는 N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변환하는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어, 차량이 후진 주행중 변속레버가 전지 주행단으로 가변되어지면, 변속단이 중립단에 머무르는 시간에 따라 제어방법을 달리함에 있어서, 변속단이 중립단에 머무르는 시간이 설정 기준 시간 이하 인 경우, 브레이크 제어장치를 이용 차량을 정지후 차속이 없는 상태에서 변속단을 전진 변속단인 D레인지로 변속하여 변속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의 변속단이 변속중 중립단에 머무르는 시간이 설정 기준 이상 머무를 때, 브레이크 제어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곧바로 전진 변속단인 D레인지 변속 제어를 수행하므로 써, 정적인 변속쇼크를 저감하여 자동 변속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변속감을 향상시키며, 또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 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에서 주행중 변속레버를 D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또는 R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변환시 차량의 차속을 정지한 후 해당 변속단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기가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는, 자동차의 주행 속도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변속 범위 안에서 유압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목표 변속단의 변속기어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엔진의 출력 동력에 따라 토크 컨버터를 동작시켜 유체의 회전력을 제어하고, 자동차의 동작 상태에 따른 해당 변속기어가 동작될 수 있도록 변속 제어 장치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밸브로 유압이 작용하여 변속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유압에 따라 동작 상태가 제어되는 자동 변속기가 장착된 자동차는, 해당하는 변속기어의 동작 상태를 가변시키기 위해 엔진과의 동력을 차단시키는 클러치 페달의 동작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운전자의 운전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고, 주행중 운전자의 오동작이나 운전미숙 등으로 인한 엔진 스톨(engine stall)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초보자일 경우에도 운전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자동 변속기는 운전자의 변속레버의 선택 위치에 따라 포트 변환이 이루어져 오일 펌프로부터 유체압을 공급받고, 상기 유체압에 의해 유압 밸브의 동작 상태가 가변되어 변속기어 메카니즘의 기어단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을 선택하기 위한 유압 작동 마찰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
클러치나 브레이크로 이루어져 있는 마찰 요소의 선택적인 동작에 따라 유성 기어장치의 작동이 전환되어, 적절한 변속비가 행해진 후 드라이브 기어로 전달된다.
상기 드라이브 기어로 변속된 동력이 전달되면, 변속된 동력은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치차 결합된 드리븐 기어에 의해 종감속 기어와 치차 결합된 종동 기어로 전달되어, 바퀴의 회전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목표 변속단이 결정되고, 결정된 목표 변속단으로의 제어 동작을 실행할 경우, 클러치나 브레이크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마찰 요소 중에서 각 목표 변속단마다 각 해당하는 마찰 요소를 동작시킨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자동 변속기 장착 차량에서 변속단의 상태가 R레인지인 후진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D레인지로 가변하면 종래에는 차량이 급작스럽게 정지후 변환된 변속 레인지인 전진 주행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차량이 후진 주행중 급작스럽게 정지후 전진 주행을 수행함에 따라 심한 변속쇼크가 발생하여 운전의 편의성과 안전성이 저하되어 승차감이 저하되고, 차량의 내구성이 저하되며, 변속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후진 주행 중 변속레버가 전진 주행단으로 변속 또는 전진 주행단에서 후진 주행단으로 변속시 변속단이 중립단에 머무르는 시간이 설정 기준 시간 이하, 이상을 기준하여 브레이크 제어수단으로 정지후 또는 곧바로 전진 변속단으로 변속 제어를 수행하여 변속시 변속쇼크를 저감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단이 R레인지인 후진 주행중 운전자가 전진 주행단인 D레인지로 변속레버를 변경하면, 변속레버의 R레인지에서 D레인지로의 변환 판정 제어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변속레버의 R레인지에서 D레인지로의 변환 판정 제어 서브루틴을 수행 완료함에 따라 차량의 차속이 0Km/h인 정지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차량의 차속이 0Km/h인 정지 상태인 경우, 변속레버가 N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또는 N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변환하는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 구성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동작 순서도.
제3도는 본 발명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동작 순서도 서브루틴.
상기한 목적을 구체적으로 달성하여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구성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가변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 받아 해당하는 신호로 출력하는 차량 주행 상태 감지수단(10)과; 상기 차량 주행 상태 감지수단(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 받아 판독하여 변속레버가 D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또는 R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변환시 변속레버가 중립단에 머무르는 시간에 따라 제어방법을 달리함에 있어, 변속레버가 중립단에 머무르는 시간이 설정 기준 시간 이하 인 경우, 브레이크 동작 요구 신호를 출력하여 차량이 정지 상태에서 해당 변속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변속 제어수단(20)과; 상기 변속 제어수단(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 받아 차량의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차량이 빠른 시간 내에 안전하게 정지하도록 하기 위해 해당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브레이크 제어수단(30)과; 상기 변속 제어수단(20)과 브레이크 제어수단(3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이 정지후 변속단을 목표 변속단에 변속 동기 완료시키거나 차량을 정지하지 않고 바로 변속단을 목표 변속단으로 변속 동기시키는 구동수단(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차량 주행 상태 감지수단(10)은 가속 페달의 동작 상태에 연동하여 개폐 상태가 가변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 정도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스로틀 밸브 개도 감지부(11)와;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감지부(12)와; 스로틀 밸브 개도량과 차속에 따라 변속단이 가변되면, 상기의 변속단의 가변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변속단 감지부(13)와; 운전자의 변속 의지에 의해 변속레버가 변경 선택되어 해당하는 신호가 출력되어지면 상기의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 전기 신호롤 출력하는 변속레버 감지부(14)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변속 제어수단(2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변속단을 목표 변속단까지 변속 동기시키는 변속 구동부(41)와; 상기 브레이크 제어수단(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 받아 차량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정지시키기 위해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는 브레이크 구동부(4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변속단이 R레인지인 후진 주행중 운전자가 전진 주행단인 D레인지로 변속단을 변경하면, 변속 제어수단(20)은 변속레버의 R레인지에서 D레인지로의 변환 판정 제어 서브루틴을 수행한다(S100).
이때 상기 변속레버의 R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변환 판정 제어 서브루틴은 다음과 같다.
변속 제어수단(20)은 현재의 변속레버의 위치가 R레인지인가를 판단한다(S110). 상기 현재의 변속레버의 위치가 R레인지인 경우, 변속 제어수단(20)은 변속레버가 변경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20).
상기 변속단이 변경된 경우, 제어수단(20)은 현재의 변속레버 위치가 N레이지인가를 판단한다(S130).
상기 현재의 변속레버 위치가 N레인지인 경우, 변속 제어수단(20)은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140).
따라서 변속 제어수단(20)은 변속레버가 N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가변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50).
이때 변속단이 D레인지인 경우, 변속 제어수단(20)은 타이머의 동작을 중지하여 변속레버가 N레인지에 머물렀던 시간을 검출한다(S160).
상기 검출된 변속레버가 N레인지에 머무른 시간이 설정 기준 시간인 500ms(변속시 현변속단에서 다른 변속으로 전환시 유압의 흐름을 완충하는 시간)이상 머물렀는가를 판단한다(S170).
상기 변속레버가 N레인지에 머무른 시간이 설정 기준 시간인 500ms이상 머물렀을 경우, 변속 제어수단(20)은 N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또는 N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변환하는 서브루틴을 수행한다(S180).
하지만 상기 변속레버가 N레인지에 머무른 시간이 설정 기준 시간인 500ms이하 인 경우, 변속 제어수단(20)은 메인 루틴으로 리턴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변속 서브루틴 수행 후 상기 변속 제어수단(20)은 차량의 차속이 0km/h인 정지 상태인가를 판단한다(S200).
상기 차량의 차속이 0km/h인 정지 상태인 경우, 변속 제어수단(20)은 N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또는 N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변환하는 서브루틴을 수행한다(S500).
반면에 상기에서 차속이 0km/h이상인 경우, 즉 차량의 움직이는 경우 변속 제어수단(20)은 브레이크 제어수단(30)에 브레이크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S300).
따라서 브레이크 구동수단(30)은 상기 변속 제어수단(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 받아 차량을 정지하기 위해 구동수단(4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브레이크 구동부(42)를 구동 시켜준다.
상기에서 브레이크 구동 제어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변속 제어수단(20)은 차량의 차속이 0km/h인 정지 상태인가를 판단한다(S400).
상기에서 차량의 차속이 0km/h인 정지 상태인 경우, 변속 제어수단(20)은 N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또는 N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변환하는 서브루틴을 수행한다(S500).
하지만 상기에서 차속이 0km/h이상인 경우, 즉 차량의 움직이는 경우 변속 제어수단(20)은 브레이크 구동 신호를 브레이크 제어수단(30)에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서 차량이 후진 주행중 변속레버가 전지 주행단으로 가변되어지면, 변속단이 중립단에 머무르는 시간에 따라 제어방법을 달리함에 있어서, 변속단이 중립단에 머무르는 시간이 설정 기준 시간 이하 인 경우, 브레이크 제어장치를 이용 차량을 정지후 차속이 없는 상태에서 변속단을 전진 변속단인 D레인지로 변속하여 변속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의 변속단이 변속중 중립단에 머무르는 시간이 설정 기준 시간 이상 머무를 때, 브레이크 제어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곧바로 전진 변속단인 D레인지 변속 제어를 수행하므로 써, 정적인 변속쇼크를 저감하여 자동 변속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변속감을 향상시키며, 또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차량의 변속단이 R레인지인 후진 주행중 전진 주행단인 D레인지로 변속레버 변환시 변속레버의 R레인지에서 D레인지로의 변환 판정 제어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변환 판정 제어 서브루틴을 수행후 차량의 차속이 0km/h인 정지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차량의 차속이 0km/h인 정지 상태인 경우, 변속레버가 N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또는 N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변환하는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변속레버의 변환 판정 제어 서브루틴은 현재의 변속레버의 위치가 R레인지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현재의 변속레버의 위치가 R레인지인 경우, 변속레버가 변경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변속단이 변경된 경우, 현재의 변속레버 위치가 N레인지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현재의 변속레버 위치가 N레인지인 경우,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변속레버가 N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가변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변속단이 D레인지인 경우, 타이머의 동작을 중지하여 변속레버가 N레인지에 머물렀던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검출된 변속레버가 N레인지에 머무른 시간이 설정 기준 시간이상 머물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변속레버가 N레인지에 머무른 시간이 설정 기준 시간이상 머물렀을 경우, N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또는 N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변환하는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가 N레인지에 머무른 시간이 설정 기준 시간 이하 인 경우, 메인 루틴으로 리턴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속이 0km/h이상인 경우, 브레이크 구동 요구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브레이크 구동 요구 신호가 출력에 따라 변속 차량의 차속이 0km/h인 정지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차량의 차속이 0km/h인 정지 상태인 경우, N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또는 N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변환하는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019960059426A 1996-11-29 1996-11-29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00279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426A KR100279964B1 (ko) 1996-11-29 1996-11-29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426A KR100279964B1 (ko) 1996-11-29 1996-11-29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260A KR19980040260A (ko) 1998-08-17
KR100279964B1 true KR100279964B1 (ko) 2001-03-02

Family

ID=6648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9426A KR100279964B1 (ko) 1996-11-29 1996-11-29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99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527B1 (ko) 2011-07-22 2013-04-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90066927A (ko) * 2017-12-06 2019-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압제동을 이용한 정적변속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527B1 (ko) 2011-07-22 2013-04-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90066927A (ko) * 2017-12-06 2019-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압제동을 이용한 정적변속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94839B1 (ko) 2017-12-06 2022-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압제동을 이용한 정적변속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260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4562B1 (ko) 3→1속 스킵 변속시 변속감 향상 제어 장치
KR100279964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0168310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00290356B1 (ko) 자동변속기차량의브레이킹시변속제어방법
KR100279437B1 (ko) 자동변속기의 킥다운 3속에서 2속 변속 제어방법
KR100279443B1 (ko) 파워 오프 업/다운 변속시 변속 제어방법
KR100401600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9990081036A (ko) 자동 변속기의 오조작 방지 장치 및 방법
KR19980037713A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00273568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93667B1 (ko) 자동변속기에서변속단제어장치및방법
KR100279452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 변환시 변속 제어방법
KR100264591B1 (ko) 자동변속기의 킥다운 4속에서 2속 변속 제어방법
KR100282881B1 (ko) 자동변속기의파워온다운쉬프트시동기제어방법
KR100225932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진행중 변속 발생시 변속 제어방법
KR100276894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9980031045A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
KR200178105Y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단 변속 감시장치
KR100279438B1 (ko) 자동변속기의 급가속 제어방법
KR100267321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00225935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진행중 변속 발생시 변속 제어방법
KR100279456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저유온시 변속 제어방법
JP3492739B2 (ja) リターダ装着車両の自動変速機制御装置
KR19980037724A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방법
KR19980037712A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