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7724A - 자동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7724A
KR19980037724A KR1019960056520A KR19960056520A KR19980037724A KR 19980037724 A KR19980037724 A KR 19980037724A KR 1019960056520 A KR1019960056520 A KR 1019960056520A KR 19960056520 A KR19960056520 A KR 19960056520A KR 19980037724 A KR19980037724 A KR 19980037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shift
shift stage
stage
respons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6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호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56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7724A/ko
Publication of KR19980037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724A/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변속레버가 D레인지에서 2레인지로 가변되면 변속단 4속에서 3속으로 다운 쉬프트 변속시 현재의 차속과 엔진 회전수의 조건에 맞는 리스폰스 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하면 변속단을 3속으로 다운 쉬프트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3속 변속단에 변속 완료된 경우, 3속에서 2속으로 다운 쉬프트 시키는 명령을 출력하고 현재의 차속과 엔진 회전수의 조건에 따라 2속 변속을 위한 리스폰스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의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하면 변속단을 2속으로 다운 쉬프트 시키는 듀티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이 2속 변속단에 변속 완료된 경우 모든 제어를 종료함으로써, 차속에 따른 적당한 변속단 3속 리스폰스 시간을 적용함으로써, 변속시 다운 쉬프트 변속 쇼크를 저감하고, 급격한 변속단 2속 돌입을 방지하므로 엔진 및 자동 변속기의 기구적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안정되고 승차감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방법
본 발명은 자동 벼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속단을 4속으로 주행중인 차량에서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기 위해 벼속레버를 D레인지에서 2레인지로 변환하여 주행시 발생하는 변속 쇼크를 저감하기 위한 자동 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기가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는, 자동차의 주행 속도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변속 범위 안에서 유압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목표 변속단의 변속 기어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엔진(engine)의 출력 동력에 따라 토크 컨버터(torque converter)를 동작시켜 유체의 회전력을 제어하고, 자동차의 동작 상태에 따른 해당 변속 기어가 동작될 수 있도록 변속 제어 장치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밸브로 유압이 작용하여 변속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유압에 따라 동작 상태가 제어되는 자동 변속기가 장착된 자동차는, 해당하는 변속 기어의 동작 상태를 가변시키기 위해 엔진과의 동력을 차단시키는 클러치 페달(clutch pedal)의 동작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운전자의 운전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고, 주행중 운전자의 오동작이나 운전미숙 등으로 인한 엔진 스톨(engine stall)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초보자일 경우에도 운전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자동 변속기는 운전자의 변속 레버의 선택 위치에 따라 포트 변환이 이루어져 오일 펌프로부터 유체압을 공급받고, 상기 유체압에 의해 유압 밸브의 동작 상태가 가변되어 변속기어 메카니즘의 기어단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을 선택하기 위한 유압 작동 마찰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
클러치나 브레이크로 이루어져 있는 마찰 요소의 선택적인 동작에 따라 유성 기어 장치의 작동이 전환되어, 적절한 변속비가 행해진 후 드라이브 기어로 전달된다.
상기 드라이브 기어로 변속된 동력이 전달되면, 변속된 동력은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치차 결합된 드리븐 기어에 의해 종감속 기어와 치차 결합된 종동 기어로 전달되어, 바퀴의 회전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목표 변속단이 결정되고, 결정된 목표 변속단으로의 제어 동작을 실행할 경우, 클러치나 브레이크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마찰 요소 중에서 각 목표 변속단마다 각 해당하는 마찰 요소를 동작시킨다.
상기한 동작을 수행하는 차량에서 변속단 4속으로 주행하고 있던 중 엔진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정지하고자 할 때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D레인지에서 2레인지로 가변할 때 종래에는 차속과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에 따라 시프트 패턴에 의한 순차적인 변속이 이루어져 엔진 브레이크가 걸리어 차속이 감속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차속과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에 따른 쉬프트 패턴에 의한 다운 쉬프트를 수행함으로써, 최상위단과 변속단 2속과의 총 감속비가 커서 순간적으로 엔진 회전수가 급상승하는 변속 쇼크가 발생하여 엔진과 자동 변속기의 기구장치에 무리가 가해지고, 심할 경우 파손 우려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변속레버가 D레인지에서 2레인지로 가변되면 변속단 4속에서 3속으로 다운 쉬프트 변속시 현재의 차속과 엔진 회전수의 조건에 맞는 리스폰스 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하면 변속단을 3속으로 다운 쉬프트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3속 변속단에 변속 완료된 경우, 3속에서 2속으로 다운 쉬프트 시키는 명령을 출력하고 현재의 차속과 엔진 회전수의 조건에 따라 2속 변속을 위한 리스폰스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의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하면 변속단을 2속으로 다운 쉬프트 시키는 듀티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이 2속 변속단에 변속 완료된 경우 모든 제어를 종료함으로써, 차속에 따른 적당한 변속단 3속 리스폰스 시간을 적용함으로써, 변속시 다운 쉬프트 변속 쇼크를 저감하고, 급격한 변속단 2속 돌입을 방지하므로 엔진 및 자동 변속기의 기구적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안정되고 승차감이 향상된 효과를 가진 자동 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변속단이 4속인 차량을 주행중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D레인지에서 2레인지로 가변시키면, 변속레버가 D레인지에서 2레인지로 가변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변속레버가 D레인지에서 2레인지로 가변된 경우, 변속단을 4속에서 3속으로 변속하기 위한 다운 쉬프트 명령이 출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변속단을 4속에서 3속을 변속하기 위한 다운 쉬프트 명령이 출력된 경우, 현재의 차속과 변속단 3속의 최고 엔진 회전수의 조건에 따라 유압을 해당 브레이크와 클러치에 유입 완료하는 시간인 리스폰스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설정된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설정된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된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3속 다운 쉬프트 맵에서 듀티 초기치, 듀티 기울기, 듀티 출력시간 등을 설정하여 해당하는 듀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3속 변속단에 변속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3속 변속단에 변속 동기 완료된 경우, 변속단을 3속에서 2속으로 다운 쉬프트 시키는 명령이 출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변속단을 3속에서 2속으로 다운 쉬프트 시키는 명령이 출력된 경우, 현재의 차속과 엔진 회전수의 조건에 따라 2속 변곡 리스폰스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변속단 2속 리스폰스 시간이 설정됨에 따라 제어 수단(20)은 상기에서 설정된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변속단 2속으로 변속하기 위한 설정된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한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2속 다운 쉬프트 맵에서 듀티 초기치, 듀티 기울기, 듀티 출력시간 등을 설정하여 해당하는 듀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2속 변속단에 변속 동기가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2속 변속단에 변속 동기가 완료된 경우 모든 제어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장치 구성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방법 동작 순서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구체적으로 달성하여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 장치의 구성은,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가변되어 출력되어지는 시호를 인가 받아 해당하는 전기 신호로 출력하는 차량 주행상태 감지수단(10)과; 상기 차량 주행상태 감지수단(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 받아 판독하여 변속단이 D레인지에서 2레인지로 가변되면 설정된 3속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한 후 3속 변속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변속단 3속이 변속 완료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3속에서 2속 변속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주는 제어 수단(20)과; 상기 제어 수단(20)에서 출력되어지는 듀티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변속단을 순차적으로 다운 쉬프트 시켜 안정된 엔진 브레이크를 이용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구동수단(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 있어서, 차량 주행상태 감지 수단(10)은, 가속 페달의 동작상태에 연동하여 개폐 상태가 가변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정도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스로틀 밸브 개도 감지부(11)와;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감지부(12)와; 스로틀 밸브 개도량과 차속에 따라 변속단이 가변되면, 상기의 변속단의 가변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변속단 감지부(13)와; 운전자의 변속 의지에 의해 벼속레버가 변경 선택되어 해당하는 신호가 출력되어지면 상기의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변속레버 감지부(14)와; 엔진의 동작 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크랭크축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회전수 감지부(15)로 이루어져 있다.
변속단이 4속인 차량을 주행중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D레인지에서 2레인지로 가변시키면, 제어 수단(20)은 변속레버가 D레인지에서 2레인지로 가변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00).
상기에서 변속레버가 D레인지에서 2레인지로 가변된 경우, 제어 수단(20)은 변속단을 4속에서 3속으로 변속하기 위한 다운 쉬프트 명령이 출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10).
하지만 상기에서 변속레버가 D레인지에서 2레이지로 가변되지 않았거나, 변속레버가 D레인지에서 2레인지로 가변되었더라도 설정 기준시간내에 변속단을 4속에서 3속으로 변속하기 위한 다운 쉬프트 명령이 출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 수단(20)은 초기단계로 리턴한다.
상기에서 변속단을 4속에서 3속으로 변속하기 위한 다운 쉬프트 명령이 출력된 경우, 제어 수단(20)은 현재의 차속과 변속단 3속의 최고 엔진 회전수의 조건에 따라 유압을 해당 브레이크와 클러치에 유입 완료하는 시간인 리스폰스 시간을 설정한다(S120).
따라서 제어 수단(20)은 상기에서 설정된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30).
즉 라인압이 해당 클러치와 브레이크에 유입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에서 설정된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된 경우, 제어 수단(20)은 메모리에 저장된 3속 다운 쉬프트 맵에서 듀티 초기치, 듀티 기울기, 듀티 출력시간 등을 설정하여 해당하는 듀티 제어 신호로 구동 수단(30)에 출력한다(S140).
상기에서 듀티 제어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구동 수단(30)은 변속단을 4속에서 3속으로 변속 동기시킨다.
하지만 상기에서 설정된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제어 수단(20) 상기에서 설정된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해당 제어를 계속 수행한다.
따라서 제어 수단(20)은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3속 변속단에 변속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50).
상기에서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3속 변속단에 변속 동기 완료된 경우, 제어 수단(20)은 변속단을 3속에서 2속으로 다운 쉬프트 시키는 명령이 출력되었는가를 판단하다(S160).
하지만 상기에서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2속에 변속동기가 완료되지 못한 경우, 제어 수단(20)은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2속에 완료될 때 까지 해당 변속 제어를 계속 수행한다.
상기에서 변속단을 3속에서 2속으로 다운 쉬프트 시키는 명령이 출력된 경우, 제어수단(20)은 현재의 차속과 엔진 회전수의 조건에 따라 2속 변속 리스폰스 시간을 설정한다(S170).
하지만 상기에서 설정 기준시간내에 변속단을 3속에서 2속으로 다운 쉬프트 시키는 명령이 출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 수단(20)은 초기 단계로 리턴 한다.
상기에서 변속단 2속 리스폰스 시간이 설정됨에 따라 제어 수단(20)은 상기에서 설정된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했는가를 판단하다(S180).
상기에서 변속단 2속으로 변속하기 위한 설정된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어 수단(20)은 메모리에 저장된 2속 다운 쉬프트 맵에서 듀티 초기치, 듀티 기울기, 듀티 출력시간 등을 설정하여 해당하는 듀티 제어 신호로 구동 수단(30)에 출력한다(S190).
상기에서 듀티 제어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구동 수단(30)은 변속단을 목표 변속단인 2속 변속단으로 변속단을 변속 동기시킨다.
하지만 상기에서 설정된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제어 수단(20) 상기에서 설정된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할 때가지 해당 제어를 계속 수행한다.
따라서 제어 수단(20)은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2속 변속단에 변속 동기가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한다(S200).
상기에서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2속 변속단에 변속 동기가 완료된 경우, 제어 수단(20)은 모든 제어를 종료한다.
하지만 상기에서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2속에 변속동기가 완료되지 못한 경우, 제어 수단(20)은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2속에 완료될 때까지 해당 변속 제어를 계속 수행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실시예로부터 용이하게 설명할 수 있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변속레버가 D레인지에서 2레인지로 가변되면 변속단 4속에서 3속으로 다운 쉬프트 변속시 현재의 차속과 엔진 회전수의 조건에 맞는 리스폰스 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하면 변속단을 3속으로 다운 쉬프트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3속 변속단에 변속 완료된 경우, 3속에서 2속으로 다운 쉬프트 시키는 명령을 출력하고 현재의 차속과 엔진 회전수의 조건에 따라 2속 변속을 위한 리스폰스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의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하면 변속단을 2속으로 다운 쉬프트 시키는 듀티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이 2속 변속단에 변속 완료된 경우 모든 제어를 종료함으로써, 차속에 따른 적당한 변속단 3속 리스폰스 시간을 적용함으로써, 변속시 다운 쉬프트 변속 쇼크를 저감하고, 급격한 변속단 2속 돌입을 방지하므로 엔진 및 자동 변속기의 기구적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안정되고 승차감이 향상된 효과를 가진 자동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변속단이 4속인 차량을 주행중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D레인지에서 2레인지로 가변시키면, 변속레버가 D레인지에서 2레인지로 가변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변속레버가 D레인지에서 2레인지로 가변된 경우, 변속단을 4속에서 3속으로 변속하기 위한 다운 쉬프트 명령이 출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변속단을 4속에서 3속으로 변속하기 위한 다운 쉬프트 명령이 출력된 경우, 현재의 차속과 변속단 3속의 최고 엔진 회전수의 조건에 따라 유압을 해당 브레이크와 클러치에 유입 완료하는 시간인 리스폰스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설정된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설정된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된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3속 다운 쉬프트 맵에서 듀티 초기치, 듀티 기울기, 듀티 출력시간 등을 설정하여 해당하는 듀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3속 변속단에 변속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3속 변속단에 변속 동기 완료된 경우, 변속단을 3속에서 2속으로 다운 쉬프트 시키는 명령이 출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변속단을 3속에서 2속으로 다운 쉬프트 시키는 명령이 출력된 경우, 현재의 차속과 엔진 회전수의 조건에 따라 2속 변속 리스폰스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변속단 2속 리스폰스 시간이 설정됨에 따라 제어 수단(20)은 상기에서 설정된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변속단 2속으로 변속하기 위한 설정된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한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2속 다운 쉬프트 맵에서 듀티 초기치, 듀티 기울기, 듀티 출력시간 등을 설정하여 해당하는 듀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2속 변속단에 변속 동기가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2속 변속단에 변속 동기가 완료된 경우 모든 제어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2속에 변속동기가 완료되지 못한 경우,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2속에 완료될 때까지 해당 변속 제어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 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설정된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에서 설정된 리스폰스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해당 제어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 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설정 기준시간내에 변속단을 3속에서 2속으로 다운 쉬프트 시키는 명령이 출력되지 않은 경우, 초기 단계로 리턴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 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2속에 변속동기가 완료되지 못한 경우,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인 2속에 완료될 때까지 해당 변속 제어를 계속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 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방법.
KR1019960056520A 1996-11-22 1996-11-22 자동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방법 KR19980037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520A KR19980037724A (ko) 1996-11-22 1996-11-22 자동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520A KR19980037724A (ko) 1996-11-22 1996-11-22 자동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724A true KR19980037724A (ko) 1998-08-05

Family

ID=6632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6520A KR19980037724A (ko) 1996-11-22 1996-11-22 자동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77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855A (ko) * 2002-05-20 2003-11-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킥 다운 4 - 2 변속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855A (ko) * 2002-05-20 2003-11-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킥 다운 4 - 2 변속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8310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9980037724A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방법
KR100264558B1 (ko) 자동 변속기의 1-2속 변속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279452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 변환시 변속 제어방법
KR100206018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00279405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KR100279443B1 (ko) 파워 오프 업/다운 변속시 변속 제어방법
KR100225932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진행중 변속 발생시 변속 제어방법
KR100242199B1 (ko) 자동 변속기의 파워 온 3속에서 2속 킥다운 변속제어 방법
KR100225935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진행중 변속 발생시 변속 제어방법
KR100267321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00305802B1 (ko) 1다운쉬프트변속제어방법
KR100279437B1 (ko) 자동변속기의 킥다운 3속에서 2속 변속 제어방법
KR100279471B1 (ko) 킥다운 3속에서 2속 파워 오프 다운 쉬프트 변속 제어방법
KR100206011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00309169B1 (ko) 자동변속기의변속제어장치및그방법
KR100282878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308976B1 (ko) 자동변속기의킥다운3→2변속중변속제어장치및그방법
KR0168309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00279454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KR100206006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00273568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50717A (ko) 자동변속기의 2→1 다운 쉬프트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01489A (ko) 자동 변속기의 파워 오프 다운 쉬프트 변속 제어 방법
KR19980037713A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