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878B1 -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878B1
KR100282878B1 KR1019970060805A KR19970060805A KR100282878B1 KR 100282878 B1 KR100282878 B1 KR 100282878B1 KR 1019970060805 A KR1019970060805 A KR 1019970060805A KR 19970060805 A KR19970060805 A KR 19970060805A KR 100282878 B1 KR100282878 B1 KR 100282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ty
vehicle
kick
output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431A (ko
Inventor
이형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60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878B1/ko
Publication of KR19990040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87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 차량의 크립 주행시 변속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주행상태 따라 차량의 상태가 가변되어 출력되어지는 신호를 인가 받아 해당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주행상태 감지수단과; 상기 차량 주행상태 감지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 받아 판독하여 차량이 크립영역을 주행할 때, 메모리에 저장된 초기듀티, 듀티 기울기, 듀티 출력시간 등을 설정하여 출력하고, 운전자에 의해 홀드 스위치가 '오프'에서'온'으로 작동하면 듀티를 Da만큼 감소시켜 α%/sec의 기울기로 출력하며 킥다운 스위치가 '온'에서 '오프' 전환되면 최종 듀티값에서 Db만큼 듀티를 보상한 후, β%/sec의 기울기로 설정 시간인 Tb동안 듀티값을 출력후 듀티값을 0%로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듀티 제어신호에 따라 킥다운 브레이크(B1)로 작용하는 유압을 서서히 제어하여 변속동기를 완료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 킥다운 브레이크(B1)에 공급되는 라인압을 제어압으로 제어하여 줌으로서 킥다운 브레이크(B1)의 킥다운 밴드가 순간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여 킥 다운 브레이크(B1)에 의한 변속쇼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자동 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에서 변속 레인지가 D레인지 또는 2레인지상태의 차량에서 브레이크페달을 밟지 않은 아이들 상태시 적정한 크립력을 얻어 주행중, 운전자에 의해 변속단을 2속 홀드시키기 위한 홀드 스위치가 '온'되어질 때, 유압이 순간적으로 킥 다운 브레이크(B1)에 인가되어 킥 다운 드럼의 고정됨으로서 발생하는 변속쇼크를 저감시키기 위한 자동 변속기 차량의 크립 주행시 변속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기가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는, 자동차의 주행 속도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변속 범위 안에서 유압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목표 변속단의 변속 기어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엔진(engine)의 출력 동력에 따라 토크 컨버터(torque converter)를 동작시켜 유체의 회전력을 제어하고, 자동차의 동작 상태에 따른 해당 변속 기어가 동작될 수 있도록 변속 제어 장치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밸브로 유압이 작용하여 변속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유압에 따라 동작 상태가 제어되는 자동 변속기가 장착된 자동차는, 해당하는 변속 기어의 동작 상태를 가변시키기 위해 엔진과의 동력을 차단시키는 클러치 페달(clutch pedal)의 동작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운전자의 운전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고, 주행중 운전자의 오동작이나 운전미숙 등으로 인한 엔진 스톨(engine stall)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초보자일 경우에도 운전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자동 변속기는 운전자의 변속 레버의 선택 위치에 따라 포트 변환이 이루어져 오일 펌프로부터 유체압을 공급받고, 상기 유체압에 의해 유압 밸브의 동작 상태가 가변되어 변속기어 메카니즘의 기어단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을 선택하기 위한 유압 작동 마찰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
클러치나 브레이크로 이루어져 있는 마찰 요소의 선택적인 동작에 따라 유성 기어 장치의 작동이 전환되어, 적절한 변속비가 행해진 후 드라이브 기어로 전달된다.
상기 드라이브 기어로 변속된 동력이 전달되면, 변속된 동력은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치차 결합된 드리븐 기어에 의해 종감속 기어와 치차 결합된 종동 기어로 전달되어, 바퀴의 회전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제어와 동작에 따라 작동하는 자동 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에서 종래에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레인지가 D레인지 또는 2레인지인 상태의 차량이 아이들상태에서 클리프력을 얻어 주행하려 할 때 제어장치는 첨부한 도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리어 클러치(C2)와 킥 다운 브레이크(B1)에 유압을 공급하여 변속기어를 2속기어로 제어하는데 있어서, PCSV(Pressure Control Solenoid Valve)를 듀티 제어하여 킥 다운 브레이크(B1)에 작용하는 유압을 보통의 2속시보다 낮은 유압이 되도록 제어하여 적당한 크립력을 얻어 주행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적당한 클립력을 얻어 주행하는 자동 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에서 운전자가 첨부한 도2에 도시되어 있듯이 홀드(HOLD) 스위치를 '오프'에서 '온' 작동시 제어수단은 변속단을 2속 홀드시키기 위해 PCSV에 의한 라인압을 킥 다운 서보에 공급하여 순간적으로 킥 다운 밴드를 잡아줌으로써, 순간적인 변속쇼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첨부한 도3에 도시되어 있듯이, 주행시 듀티율을 85%로 적당한 크립력을 얻어 주행하는 자동 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에서 운전자에 의해 홀드 스위치를 '오프'에서 '온' 동작되면, 듀티를 Da만큼 감소후 α%/sce의 기울기로 출력하고, 킥 다운 스위치가 '온'에서 '오프'로 가변되면, 듀티를 Db만큼 보상후 β%/sec의 기울기로 설정 기준시간인 Tb동안 출력후 듀티값을 0%로 제어함으로써, 첨부한 도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킥 다운 서보를 제어압으로 제어함으로써, 킥 다운 브레이크(B1)에 공급되는 라인압을 제어압으로 제어하여 줌으로서 킥 다운 브레이크(B1)의 킥 다운 밴드가 순간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여 킥 다운 브레이크(B1)에 의한 변속쇼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상태 따라 차량의 상태가 가변되어 출력되어지는 신호를 인가 받아 해당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주행상태 감지수단과;
상기 차량 주행상태 감지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 받아 판독하여 차량이 적당한 크립력을 얻어 주행하던 중 운전자에 의해 홀드 스위치를 '오프'에서 '온' 동작되면, 듀티를 Da만큼 감소후 α%/sce의 기울기로 출력하고, 킥 다운 스위치가 '온'에서 '오프'로 가변되면, 듀티를 Db만큼 보상후 β%/sec의 기울기로 설정 기준시간인 Tb동안 출력후 듀티값을 0%로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듀티 제어신호에 따라 킥 다운 브레이크(B1)로 작용하는 유압을 서서히 제어하여 변속동기 완료후 발생하는 결합쇼크를 방지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주행중인 차량의 상태가 크립영역에서 주행중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상태가 크립영역에서 주행중인 경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 듀티와 듀티 기울기 및 듀티 출력시간 등에 의해 변속패턴을 설정하고 해당 듀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해당 듀티제어 신호에 의해 적당한 크립력을 얻어 주행중 운전자에 의해 홀드 스위치가 '오프'에서 '온'으로 가변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차량이 크립영역을 주행중 홀드 스위치가 운전자에 의해 '오프'에서 '온'으로 가변된 경우, 홀드 스위치가 '오프'에서 '온'된 시점에서 듀티치를 Da만큼 감소시킨 후 듀티 기울기를 α%/sec하는 해당 듀티 제어 신호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듀티 제어신호를 Da만큼 감소하여 α%/sec의 기울기로 출력함에 따라 킥 다운 스위치가 '온'에서 '오프'로 가변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킥 다운 스위치가 '온'에서 '오프'로 가변된 경우, 킥 다운 스위치가 '온'에서 '오프'로 가변된 시점에서 듀티값을 Db만큼의 듀티 보상을 수행하여 β%/sec의 기울기로 설정 시간인 Tb 동안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듀티값을 Db만큼 보상후 β%/sec의 기울기로 설정 시간인 Tb동안 해당 듀티를 출력함에 따라 상기에서 듀티 출력 설정시간 Tb가 설정 기준시간을 경과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설정된 듀티 출력시간인 Tb가 설정 기준 시간을 경과한 경우, 듀티값을 0%로 설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자동변속기 차량의 크립 주행시 유압회로도이고,
도2는 종래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시 듀티 패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 듀티 패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구성 블럭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동작 순서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구체적으로 달성하여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3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 차량의 크립 주행시 변속제어장치의 구성은,
차량의 주행상태 따라 차량의 상태가 가변되어 출력되어지는 신호를 인가 받아 해당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주행상태 감지수단(10)과;
상기 차량 주행상태 감지수단(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 받아 판독하여 크립력을 얻어 주행하던 중 운전자에 의해 홀드 스위치를 '오프'에서 '온' 동작되면, 듀티를 Da만큼 감소후 α%/sce의 기울기로 출력하고, 킥 다운 스위치가 '온'에서 '오프'로 가변되면, 듀티를 Db만큼 보상후 β%/sec의 기울기로 설정 기준시간인 Tb동안 출력후 듀티값을 0%로 제어하는 제어 수단(20)과;
상기 제어 수단(20)에서 출력되는 듀티 제어신호에 따라 킥 다운 브레이크(B1)로 작용하는 유압을 서서히 제어하여 변속동기 완료후 발생하는 결합쇼크를 방지하는 구동 수단(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 있어서, 차량 주행상태 감지수단(10)은,
가속 페달의 동작상태에 연동하여 개폐 상태가 가변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 정도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스로틀 밸브 개도 감지부(11)와;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감지부(12)와;
스로틀 밸브 개도량과 차속에 따라 변속단이 가변되면, 상기의 변속단의 가변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변속단 감지부(13)와;
변속기의 입력축과 연결되어 있는 토오크 컨버터의 터빈축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터빈축 회전수 감지부(14)와;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보정하기 위해 아이들시의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해당하는 신호로 출력하는 엔진 회전수 감지부(15)와;
킥 다운 브레이크(B1)의 유압제어를 위해 킥 다운 브레이크의 동작시점을 검출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킥 다운 스위치(16)와;
운전자의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변속단을 2속 홀드 및 해제시키는 홀드 스위치(17)와;
크립 영역을 판단하기 위해 가속페달을 밟고 있는지를 검출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가속페달 스위치(1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자동 변속기 차량의 크립 주행시 변속 제어 방법을 첨부한 도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자동 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에서 크립제어라 함은 차량의 상태가 아이들 상태이거나, 저속 차량에서 자동 변속기 차량의 브레이크 답력 및 앞으로 굴러가려 하는 현상을 줄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토크가 작은 2속 상태로 변속단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홀드(HOLD) 모드 스위치는 차량이 눈길에서의 출발 또는 빙판길에서 타이어의 슬립 등을 방지하여 주행하거나, 복잡한 시내길 주행을 위해 차속만의 함수로 변속이 일어나게 함과 동시에 차량을 2속 출발시킴으로서 상기 차량의 출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그러므로 주행중인 차량에서 크립영역을 판단하는 방법은 차량의 주행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먼저 차량의 변속단이 전진 주행상태인 D레인지 또는 2레인지이여야 하며, 차량의 상태가 아이들 상태 이여야 한다.
상기에서 운전자의 가속페달 동작에 의해 가속페달 스위치가 '온'되어지면, 제어 수단은 운전자가 가속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크립영역의 주행상태를 해제하고, 해당하는 변속 패턴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변속 제어를 수행하여 주행을 계속한다.
따라서 제어 수단(20)은 첨부한 도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구동 수단(30)인 PCSV(Pressure Control Solenoid Valve)에 88%의 듀티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23b번의 라인압을 23번 라인의 리듀싱압(Reducing) 보다 낮게 하며, 이에 따라 PCV의 #2렌드와 #3렌드의 면적차에 작용하는 리듀싱압에 의해 PCV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2렌드에 의해 5번 포트가 막히게 된다. 이에 따라 10번 포트의 유압이 배출구로 빠지면서, 압력이 낮아지고, 다시 PCV는 스프링 힘에 의하여 우측으로 이동하여 5번 포트를 개방시킴으로써, 10번 포트로 유압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어 수단(20)은 킥 다운 브레이크(B1)에 작용하는 유압을 보통의 2속 주행시보다 낮은 유압이 되도록 유압을 조절하여 적당한 크립력을 얻어 주행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킥 다운 브레이크(B1)에 공급되는 유압이 2속 주행시보다 낮은 유압이 작용하므로 킥 다운 브레이크(B1)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킥 다운 드럼은 슬립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어 수단(20)은 주행중인 차량의 상태가 크립영역에서 주행중인가를 판단한다(S100).
상기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상태가 크립영역에서 주행중인 경우, 제어 수단(20)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 듀티와 듀티 기울기 및 듀티 출력시간 등에 의해 변속패턴을 설정하고, 구동수단(30)으로 첨부한 도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듀티율을 85%로 설정하여 그에 따른 해당 듀티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110).
하지만 상기(S100)에서 차량의 주행상태가 크립 상태가 아닌 경우, 해당하는 변속패턴을 설정하여 그에 알맞은 변속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메인 루틴으로 리턴한다.
차량이 상기와 같이 해당 듀티제어 신호에 의해 적당한 크립력을 얻어 주행중 운전자가 첨부한 도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홀드 스위치를 작동 '온'시켰을 경우, 제어 수단(20)은 홀드 스위치가 '오프'에서 '온'으로 가변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20).
상기에서 차량이 크립영역을 주행중 홀드 스위치가 '오프'에서 '온'으로 가변된 경우, 제어수단(20)은 홀드 스위치가 '오프'에서 '온'된 시점에서 듀티치를 Da만큼 감소시킨 후 듀티 기울기를 α%/sec하는 해당 듀티 제어 신호를 구동 수단(30)에 출력한다(S130).
하지만 상기에서 홀드 스위치가 '오프'에서 '온'으로 가변되지 않은 경우, 제어 수단(20)은 상기에서 설정된 크립상태의 주행을 계속 수행하기 위해 메인 루틴으로 리턴 한다.
상기에서 출력되는 듀티값(Duty)을 산술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Duty = Da - α(%/sec)×t(sec)
( 여기에서 Da는 홀드 스위치가 '오프'에서 '온'으로 가변될 때 감소하는 듀티 한계값으로 초기 클러치의 필 듀티(Fill Duty)이고,
α는 초기 클러치의 필 듀티 이후 출력되는 듀티의 기울기이며,
Duty는 상기의 초기 클러치 필 듀티로 α%/sec의 기울기의 값으로 출력되는 최종 듀티값
이다.)
상기에서 구동 수단(30)에 듀티(Duty)가 Da만큼 감소하여 α%/sec의 기울기를 가지고 출력됨에 따라 구동 수단(30)인 PCSV는 유압을 10번 포트를 통하여 킥 다운 서보(B1)에 제어압을 출력하여 킥 다운 밴드가 서서히 잡혀가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 수단(20)은 킥 다운 스위치가 '온'에서 '오프'로 가변되었는가를 판단하여 킥 다운 서보(B1)에 의해 킥 다운 밴드가 완전히 잡히기 시작하는 시점을 판단한다(S140).
즉, 제어 수단(20)에 의해 구동수단(30)인 PCSV가 제어되어 PCV의 10번 포트를 통하여 제어압이 킥 다운 서보(B1)의 공급측에 2속압에 해당하는 유압을 공급하면, 킥 다운 서보(B1)의 피스톤이 킥 다운 밴드를 눌러주는 동작을 시작한다.
이 때 킥 다운 스위치는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가변되어 킥 다운 브레이크(B1)가 동작하고 있음을 제어 수단(20)에 해당하는 신호로 출력한다.
하지만 상기에서 킥 다운 스위치가 '오프'되지 않은 경우, 제어 수단(20)은 킥 다운 스위치가 '오프'될 때까지 상기의 듀티 제어 신호를 구동 수단(30)에 계속하여 출력하여 준다.
따라서 상기에서 킥 다운 스위치가 '온'에서 '오프'로 가변된 경우, 제어 수단(20)은 킥 다운 스위치가 '온'에서 '오프'로 가변된 시점에서 듀티값을 Db만큼의 듀티 보상을 수행하여 β%/sec의 기울기로 설정 시간인 Tb 동안 구동 수단(30)에 출력한다(S150).
Duty = Db - β(%/sec)×t(sec)
( 여기에서 Db는 킥 다운 스위치 '오프'시 Da의 최종 듀티값에서 보상된 결합 듀티로서 스로틀 개도에 따라 맵(Map)화 할 수 있으며,
β는 킥 다운 스위치의 오프시 보상된 결합듀티의 듀티 기울기로써, 스로틀 개도(Th)에 따라 그 값이 서로 다른 값을 갖으며,
Duty는 상기 킥 다운 스위치가 오프된 시점에서 보상된 결합 듀티로 β%/sec의 기울기로 설정 시간 Tb 동안 출력되는 듀티값
이다.)
따라서 상기에서 듀티값을 Db만큼 보상후 β%/sec의 기울기로 설정 시간인 Tb동안 해당 듀티를 출력한 제어 수단(20)은 상기에서 출력되는 듀티 출력 설정시간 Tb가 설정 기준시간을 경과했는가를 판단한다(S160).
상기에서 설정된 듀티 출력시간인 Tb가 설정 기준 시간을 경과한 경우, 제어 수단(20)은 듀티값을 0%로 설정하여 구동 수단(30)에 출력하므로 서 킥 다운 브레이크(B1)에서 킥 다운 밴드에 의한 킥 다운 드럼을 쇼크 없이 완전히 고정시켜 준다.
하지만 상기에서 설정된 듀티 출력시간 Tb가 설정기준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 제어 수단(20)은 상기의 설정된 듀티 출력시간이 설정 기준시간을 경과 할 때까지 계속해서 듀티값을 Db만큼 보상한 후 듀티 기울기를 β%/sec로 출력하는 해당 듀티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실시예로부터 용이하게 설명할 수 있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서 주행시 듀티율을 85%로 적당한 크립력을 얻어 주행하는 자동 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에서 운전자에 의해 홀드 스위치를 '오프'에서 '온' 동작되면, 듀티를 Da만큼 감소후 α%/sce의 기울기로 출력하고, 킥 다운 스위치가 '온'에서 '오프'로 가변되면, 듀티를 Db만큼 보상후 β%/sec의 기울기로 설정 기준시간인 Tb동안 출력후 듀티값을 0%로 제어함으로써, 첨부한 도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킥 다운 서보를 제어압으로 제어함으로써, 킥 다운 브레이크(B1)에 공급되는 라인압을 제어압으로 제어하여 줌으로서 킥 다운 브레이크(B1)의 킥 다운 밴드가 순간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여 킥 다운 브레이크(B1)에 의한 변속쇼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자동 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상태 따라 차량의 상태가 가변되어 출력되어지는 신호를 인가 받아 해당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주행상태 감지수단과;
    상기 차량 주행상태 감지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 받아 판독하여 차량이 크립영역을 주행할 때, 메모리에 저장된 초기듀티, 듀티 기울기, 듀티 출력시간 등을 설정하여 출력하고, 운전자에 의해 홀드 스위치가 '오프'에서'온'으로 작동하면 듀티를 Da만큼 감소시켜 α%/sec의 기울기로 출력하며 킥 다운 스위치가 '온'에서 '오프' 전환되면 최종 듀티값에서 Db만큼 듀티를 보상한 후, β%/sec의 기울기로 설정 시간인 Tb동안 해당 듀티제어신호를 출력후 상기의 설정 시간인 Tb가 경과하면 듀티 제어신호를 0%로 출력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듀티 제어신호에 따라 킥다운 서보(B1)를 제어압에 의해 서서히 제어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차량 주행상태 감지수단은,
    가속 페달의 동작상태에 연동하여 개폐 상태가 가변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 정도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스로틀 밸브 개도 감지부와;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감지부와;
    스로틀 밸브 개도량과 차속에 따라 변속단이 가변되면, 상기의 변속단의 가변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변속단 감지부와;
    변속기의 입력축과 연결되어 있는 토오크 컨버터의 터빈축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터빈축 회전수 감지부와;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보정하기 위해 아이들시의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해당하는 신호로 출력하는 엔진 회전수 감지부와;
    킥 다운 서보(B1)의 유압제어를 위해 킥 다운 브레이크의 동작시점을 검출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킥 다운 스위치와;
    운전자의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라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변속단을 2속 홀드 및 해제시키는 홀드 스위치와;
    크립영역을 판단하기 위해 가속페달을 밟고 있는지를 검출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가속페달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3. 주행중인 차량의 상태가 크립영역에서 주행중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상태가 크립영역에서 주행중인 경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 듀티와 듀티 기울기 및 듀티 출력시간 등에 의해 변속패턴을 설정하고 해당 듀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해당 듀티제어 신호에 의해 적당한 크립력을 얻어 주행중 운전자에 의해 홀드 스위치가 '오프'에서 '온'으로 가변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차량이 크립영역을 주행중 홀드 스위치가 운전자에 의해 '오프'에서 '온'으로 가변된 경우, 홀드 스위치가 '오프'에서 '온'된 시점에서 듀티치를 Da만큼 감소시킨 후 듀티 기울기를 α%/sec하는 해당 듀티 제어 신호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듀티 제어신호를 Da만큼 감소하여 α%/sec의 기울기로 출력함에 따라 킥 다운 스위치가 '온'에서 '오프'로 가변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킥 다운 스위치가 '온'에서 '오프'로 가변된 경우, 킥 다운 스위치가 '온'에서 '오프'로 가변된 시점에서 듀티값을 Db만큼의 듀티 보상을 수행하여 β%/sec의 기울기로 설정 시간인 Tb 동안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듀티값을 Db만큼 보상후 β%/sec의 기울기로 설정 시간인 Tb동안 해당 듀티를 출력함에 따라 상기에서 듀티 출력 설정시간 Tb가 설정 기준시간을 경과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설정된 듀티 출력시간인 Tb가 설정 기준 시간을 경과한 경우, 듀티값을 0%로 설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 Duty = Da - α(%/sec)×t(sec)
    (상기에서 Da는 홀드 스위치가 '오프'에서 '온'으로 가변될 때 감소하는 듀티 한계값으로 초기 클러치의 필 듀티(Fill Duty)이고,
    α는 초기 클러치의 필 듀티 이후 출력되는 듀티의 기울기이며,
    Duty는 상기의 초기 클러치 필 듀티로 α%/sec의 기울기의 값으로 출력되는 최종 듀티값
    이다.)
    Duty = Db - β(%/sec)×t(sec)
    (상기에서 Db는 킥 다운 스위치 '오프'시 Da의 최종 듀티값에서 보상된 결합 듀티로서 스로틀 개도에 따라 맵(Map)화 할 수 있으며,
    β는 킥 다운 스위치의 오프시 보상된 결합듀티의 듀티 기울기로써, 스로틀 개도(Th)에 따라 그 값이 서로 다른 값을 갖으며,
    Duty는 상기 킥 다운 스위치가 오프된 시점에서 보상된 결합 듀티로 β%/sec의 기울기로 설정 시간 Tb 동안 출력되는 듀티값
    이다.)
    }
  4. 청구항 3에 있어서, 설정된 듀티 출력시간 Tb가 설정기준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의 설정된 듀티 출력시간 Tb가 설정 기준시간을 경과 할 때까지 계속해서 듀티값을 Db만큼 보상한 후 듀티 기울기를 β%/sec로 해당 듀티제어신호를 출력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킥 다운 스위치가 '오프'되지 않은 경우, 킥 다운 스위치가 '오프'될 때까지 해당 듀티 제어 신호를 계속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홀드 스위치가 '오프'에서 '온'으로 가변되지 않은 경우, 설정된 크립상태의 주행을 계속 수행하기 위해 메인 루틴으로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상태가 크립 상태가 아닌 경우, 해당하는 변속패턴을 설정하여 그에 알맞은 변속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메인 루틴으로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KR1019970060805A 1997-11-18 1997-11-18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82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805A KR100282878B1 (ko) 1997-11-18 1997-11-18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805A KR100282878B1 (ko) 1997-11-18 1997-11-18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431A KR19990040431A (ko) 1999-06-05
KR100282878B1 true KR100282878B1 (ko) 2001-03-02

Family

ID=66093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805A KR100282878B1 (ko) 1997-11-18 1997-11-18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8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431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2878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68310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00282907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크립 주행시 변속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64558B1 (ko) 자동 변속기의 1-2속 변속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206007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00276904B1 (ko) 킥 다운 스위치의 제어 방법
KR100279452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 변환시 변속 제어방법
KR100225935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진행중 변속 발생시 변속 제어방법
KR100308948B1 (ko) 자동변속기의킥다운4-->2-->4복귀변속제어방법
KR100279478B1 (ko) 자동 변속기의 파워 온 다운 쉬프트시 동기 제어방법
KR100249896B1 (ko) 자동 변속기의 후진중 전진 변속시 변속 제어방법
KR100225932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진행중 변속 발생시 변속 제어방법
KR100242199B1 (ko) 자동 변속기의 파워 온 3속에서 2속 킥다운 변속제어 방법
KR100279443B1 (ko) 파워 오프 업/다운 변속시 변속 제어방법
KR100267321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00276894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00295848B1 (ko) 자동변속기의변속제어방법
KR100282874B1 (ko) 자동변속기의파워온다운쉬프트시동기제어방법
KR19980037724A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쇼크 제어방법
KR19990001489A (ko) 자동 변속기의 파워 오프 다운 쉬프트 변속 제어 방법
KR19980037681A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9980045547A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9980037713A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9980040254A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9990050709A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