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562B1 - 변속기 조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변속기 조작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4562B1 KR102084562B1 KR1020190102300A KR20190102300A KR102084562B1 KR 102084562 B1 KR102084562 B1 KR 102084562B1 KR 1020190102300 A KR1020190102300 A KR 1020190102300A KR 20190102300 A KR20190102300 A KR 20190102300A KR 102084562 B1 KR102084562 B1 KR 1020845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int
- fixed point
- user
- temporary
- linear mov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2—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push button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16H2059/0282—Lever handles with lock mechanisms, e.g. for allowing selection of reverse gear or releasing lever from park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기 조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변속기와 변속을 위한 조작체 사이에 조작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계적인 연결이 배제된 쉬프트 바이 와이어 방식의 변속장치가 탑재된 차량에 사용될 수 있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변속기 조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변속기와 변속을 위한 조작체 사이에 조작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계적인 연결이 배제된 쉬프트 바이 와이어 방식의 변속장치가 탑재된 차량에 사용될 수 있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쉬프트 바이 와이어(Shift by Wire) 변속장치는 운전자의 변속 조작력을 종래와 같이 기계적인 케이블로 변속기에 전달하지 않고, 운전자의 변속 조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그에 따른 전기적 신호로 변속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쉬프트 바이 와이어 변속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운전자의 변속 조작력을 전기적 신호로 적절히 변환하여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하는 바, 종래의 기계적인 변속레버장치와 유사한 방식으로 운전자가 용할 수 있으면서, 법규로 제한되거나 위험한 변속조작은 자동적으로 금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간편한 조작성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기계식 변속장치와 유사하고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법규로 제한된 변속조작이나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변속조작을 금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변속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변속기 조작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 조작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의 변속을 위해 조작하는 전자식 변속장치(100); 상기 전자식 변속장치(10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센서(200); 상기 센서(200)의 입력을 받아 상기 전자식 변속장치(100)의 조작에 따라 변속기를 제어하는 변속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300); 및 상기 컨트롤러(300)부터 출력되는 변속신호에 따라 차량을 변속하는 차량의 변속기(400)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식 변속장치(100)는, 조작체(110)를 이동시키는 이외에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모드로 진입 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언락스위치(1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식 변속장치(100)는, 하나의 직선경로(12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체(110); 및 상기 조작체(110)가 외력이 없는 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점(P)이 배치되며, 상기 고정점(P)의 양쪽 외측으로 연장된 구조이고, 상기 고정점(P)의 양쪽 외측으로 각각 상기 조작체(110)가 외력에 의해 이동되었다가 상기 고정점(P)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된 임시점들을 포함하는 직선경로(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직선경로(120)는, 상기 고정점(P)과 연결된 것으로 상기 조작체(110)가 정방향으로 2구간 움직일 수 있게 형성된 정방향경로; 및 상기 고정점(P)과 연결된 것으로 상기 조작체(110)가 역방향으로 2구간 움직일 수 있게 형성된 역방향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점(P)에서 정방향으로 첫 번째 구간은 N단을 선택하기 위한 N임시점(N)이고; 상기 고정점(P)에서 정방향으로 두 번째 구간은 R단을 선택하기 위한 R임시점(R)이며; 상기 고정점(P)에서 역방향으로 첫 번째 구간은 D단을 선택하기 위한 D임시점(D)이고; 상기 고정점(P)에서 역방향으로 두 번째 구간은 L단을 선택하기 위한 L임시점(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기 직선경로(120)는, 상기 조작체(110)가 현재 위치에서 다른 임시점으로 이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상기 R임시점(R)과 N임시점(N), N임시점(N)과 고정점(P), 고정점(P)과 D임시점(D), D임시점(D)과 L임시점(L) 사이에 각각 제1시프트락(T1), 제2시프트락(T2), 제3시프트락(T3) 및 제4시프트락(T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식 변속장치(1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 위치할 때, 별도의 조작에 의해 P단을 선택하도록 하는 P작동체(13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P작동체(130)는 조작체(110)에 구비된 P조작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식 변속장치(100)는, 조작체(110)의 현재 기어 선택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조작체(110)의 기어 변속조작에 의해 현재 기어 선택 상태가 달라질 경우 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1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으로부터 R임시점(R)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R임시점(R)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R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N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N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D임시점(D)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이동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거나,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D임시점(D)으로부터 L임시점(L)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L임시점(L)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R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D임시점(D)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N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N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R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D임시점(D)으로부터 L임시점(L)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L임시점(L)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거나,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으로부터 R임시점(R)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R임시점(R)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R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D임시점(D)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거나,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이동경로와, 상기 D임시점(D)으로부터 L임시점(L)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L임시점(L)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사용자가 P작동체(130)를 조작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P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에 유지된 상태를 P단 선택 상태로 인식하며, P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D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으로부터 R임시점(R)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R임시점(R)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R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D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N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N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D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사용자가 조작체(110)의 언락스위치(140)를 조작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L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L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L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사용자에 의해 언락스위치(140)가 푸시(PUSH)된 상태로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거나, 상기 조작체(110)가 사용자에 의해 언락스위치(140)가 푸시(PUSH)된 상태로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으로부터 R임시점(R)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R임시점(R)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L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차량의 기어를 1단 업(UP)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으로부터 R임시점(R)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R임시점(R)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차량의 기어를 2단 업(IP)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L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D임시점(D)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차량의 기어를 1단 다운(DOWN)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이동경로와, 상기 D임시점(D)으로부터 L임시점(L)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L임시점(L)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차량의 기어를 2단 다운(DOWN)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300)는, 제1시프트락(T1), 제2시프트락(T2), 제3시프트락(T3) 및 제4시프트락(T4)을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 위치한 상태에서, P작동체(130)가 조작된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에 있는 상태를 P단 선택 상태로 판단하여, P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에 위치한 상태를, 상기 P단 이외에 상기 N단, R단, D단, L단 선택 상태로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종래의 기계식 변속장치와 유사하고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법규로 제한된 변속조작이나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변속조작을 금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변속조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 조작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장치의 실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장치의 조작체의 이동 경로 실시 예시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P단 선택상태일 때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R단 선택상태일 때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N단 선택상태일 때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
도 12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D단 선택상태일 때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L단 선택상태일 때로부터 D단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L단 선택상태일 때로부터 기어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어 선택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실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장치의 실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장치의 조작체의 이동 경로 실시 예시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P단 선택상태일 때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R단 선택상태일 때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N단 선택상태일 때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
도 12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D단 선택상태일 때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L단 선택상태일 때로부터 D단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L단 선택상태일 때로부터 기어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어 선택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실시 예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만이 아니라, 다른 부분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여 어떤 부분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 조작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 조작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의 변속을 위해 조작하는 전자식 변속장치(100)와 상기 전자식 변속장치(10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센서(200)와 상기 센서(200)의 입력을 받아 상기 전자식 변속장치(100)의 조작에 따라 변속기를 제어하는 변속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300) 및 상기 컨트롤러(300)부터 출력되는 변속신호에 따라 차량을 변속하는 차량의 변속기(40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300)와 차량의 변속기(400) 사이의 통신은 기본적으로 CAN통신을 통해서 이루어지지만, CAN통신에 장애가 있을 경우 안전을 위해 Brake Switch 입력과 Speed Out Signal을 Hard Wire Port를 통해서 반영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300)와 BackUp Interface를 PWM(Pulse Width Modulation)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장치의 실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변속장치(100)는 하나의 직선경로(12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체(110) 및 상기 조작체(110)가 외력이 없는 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점(P)이 배치되며, 상기 고정점(P)의 양쪽 외측으로 연장된 구조이고, 상기 고정점(P)의 양쪽 외측으로 각각 상기 조작체(110)가 외력에 의해 이동되었다가 상기 고정점(P)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된 임시점들을 포함하는 직선경로(120)를 포함하여서 구성되고, P작동체(130)와 언락스위치(140)를 더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또한 차량의 현재 기어상태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15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작동체(130)와 언락스위치(140)는 조작버튼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상기 조작체(110)의 일측에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조작체(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변속레버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시되지 않은 하측의 피봇점을 기준으로 회동되면 상기 피봇점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임의의 지점이 직선에 가까운 궤적을 그리면서 상기한 직선경로(120)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장치의 조작체의 이동경로 실시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선경로(120)는 상기 고정점(P)과 연결된 것으로 상기 조작체(110)가 정방향으로 2구간 움직일 수 있게 형성된 정방향경로 및 상기 고정점(P)과 연결된 것으로 상기 조작체(110)가 역방향으로 2구간 움직일 수 있게 형성된 역방향경로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점(P)에서 정방향으로 첫 번째 구간은 N단을 선택하기 위한 N임시점(N)이고, 상기 고정점(P)에서 정방향으로 두 번째 구간은 R단을 선택하기 위한 R임시점(R)이며, 상기 고정점(P)에서 역방향으로 첫 번째 구간은 D단을 선택하기 위한 D임시점(D)이고, 상기 고정점(P)에서 역방향으로 두 번째 구간은 L단을 선택하기 위한 L임시점(L)으로 구성된다. 상기 L단이라 함은 차량의 매뉴얼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기어 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 운전 중 좀 더 스포티한 운전을 원할 경우 필요에 따라 변속할 수 있는 기어 단을 의미한다.
상기 임시점들과 고정점(P)들 사이에는 기구적으로 탄성부재 등을 구비하여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임시점으로부터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었을 경우 저절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작체(110)가 현재 위치에서 다른 임시점으로 이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상기 R임시점(R)과 N임시점(N), N임시점(N)과 고정점(P), 고정점(P)과 D임시점(D), D임시점(D)과 L임시점(L) 사이에 각각 제1시프트락(T1), 제2시프트락(T2), 제3시프트락(T3) 및 제4시프트락(T4)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러(300)는 상기 제1시프트락(T1) 내지 제4시프트락(T4)을 상기 조작체(110)의 위치 및 조작상태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조작체(110)의 이동을 적절한 범위 내로 제한하도록 하고, 법규에 제한된 변속 조작을 금지하고 위험한 변속조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하며, 적절한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기계식 변속장치와 동일한 상태로 상기 조작체(110)를 조작하는 느낌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러(300)는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P작동체(130)가 조작된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에 있는 상태를 P단 선택 상태로 판단하여, P단 변속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300)는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에 위치한 상태를 상기 P단 이외에 상기 R단 또는 N단 또는 D단 또는 L단 선택 상태로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300)는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P작동체(130)가 조작된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에 있는 상태를 P단 선택 상태로 판단하여, P단 변속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300)는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에 위치한 상태를 상기 P단 이외에 상기 R단 또는 N단 또는 D단 또는 L단 선택 상태로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17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 조작 시스템을 통한 차량의 변속 조작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16에 표시된 제1시프트락(T1) 내지 제4시프트락(T4)은 각 변속 상태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300)가 제어하여 상기 조작체(110)의 움직임이 정해진 범위 내에서 가능하도록 상기 직선경로(120)에서 적절히 제거되지만, 설명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제1시프트락(T1) 내지 제4시프트락(T4)의 제거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P단 선택상태일 때 R단 변속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상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으로부터 상기 R임시점(R)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R임시점(R)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R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에서 P단 선택 상태일 때, 운전자가 상기 조작체(110)를 상기 R임시점(R)으로 밀었다가 놓으면, 상기 조작체(110)는 R임시점(R)까지 이동했다가 다시 상기 고정점(P)으로 탄성적으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조작체(110)의 움직임을 상기 컨트롤러(300)는 상기 센서(200)를 통해 입력 받은 후, 운전자가 R단으로 변속 조작을 하였다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따른 R단 변속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차량의 변속기(400)에서 R단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P단 선택상태일 때 N단 변속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틀롤러(300)는 조작체가(110) 고정점(P)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상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N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N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사용자가 안전스위치(140)를 조작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N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에 유지된 상태를 N단 선택 상태로 인식하며, N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에 위치한 상태에서 P단 선택 상태임이 상기 컨트롤러(300)에 의해 인식되고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안전스위치(140)를 조작하면 이는 N단으로의 변속조작으로 해석되어,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에 그대로 위치한 상태에서 컨트롤러(300)의 인식 상태만 N단 선택상태로 전환하고, 그에 따라 N단 변속신호를 출력하여 챠량의 변속기(400)를 N단으로 제어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P단 선택상태일 때 D단 변속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D임시점(D)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거나,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D임시점(D)으로부터 L임시점(L)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L임시점(L)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이동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R단 선택상태일 때 N단 변속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R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0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D임시점(D)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이동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N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N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R단 선택상태일 때 D단 변속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R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D임시점(D)으로부터 L임시점(L)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L임시점(L)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N단 선택상태일 때 R단 변속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거나,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으로부터 R임시점(R)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R임시점(R)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R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N단 선택상태일 때 D단 변속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D임시점(D)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거나,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D임시점(D)으로부터 상기 L임시점(L)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L임시점(L)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N단 선택상태일 때 P작동체를 조작할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사용자가 P작동체(130)를 조작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P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에 유지된 상태를 P단 선택 상태로 인식하며, P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D단 선택상태일 때 R단 변속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에서 D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으로부터 R임시점(R)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R임시점(R)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R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D단 선택상태일 때 N단 변속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D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N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N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D단 선택상태일 때 L단 변속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D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사용자가 조작체(110)의 언락스위치(140)를 조작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L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L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L단 선택상태일 때 D단 변속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0)는, 상기 조작체(110)가 사용자에 의해 언락스위치(140)가 푸시(PUSH)된 상태로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거나, 상기 조작체(110)가 사용자에 의해 언락스위치(140)가 푸시(PUSH)된 상태로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으로부터 R임시점(R)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R임시점(R)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체가 고정점에서 L단 선택상태일 때 기어 변속하게 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L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차량의 기어를 1단 업(UP)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아울러,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L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으로부터 R임시점(R)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R임시점(R)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차량의 기어를 2단 업(UP)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아울러,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L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D임시점(D)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차량의 기어를 1단 다운(DOWN)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아울러,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L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이동경로와, 상기 D임시점(D)으로부터 L임시점(L)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L임시점(L)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차량의 기어를 2단 다운(DOWN)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어 선택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실시 예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P작동체(130)가 조작된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도 17a와 같이 “P” 포지션이 적색으로 라이팅(lighting)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상기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현재 R단 선택 상태이거나 다른 선택 상태에서 상기 조작체(110)의 조작을 통해 현재 선택 상태가 R단 선택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도 17b와 같이 “R” 포지션이 적색으로 라이팅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상기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현재 N단 선택 상태이거나 다른 선택 상태에서 상기 조작체(110)의 조작을 통해 현재 선택 상태가 N단 선택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도 17c와 같이 “N” 포지션이 적색으로 라이팅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상기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현재 D단 선택 상태이거나 다른 선택 상태에서 상기 조작체(110)의 조작을 통해 현재 선택 상태가 D단 선택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도 17d와 같이 “D” 포지션이 적색으로 라이팅되고, “L” 포지션이 백색으로 라이팅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현재 L단 선택 상태이거나 다른 선택 상태에서 상기 조작체(110)의 조작을 통해 현재 선택 상태가 L단 선택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도 17e와 같이 “L” 포지션이 적색으로 라이팅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차량의 기어 선택 상태가 어떤 상태인지를 편리하게 눈으로 확인한 후 상기 조작체(110)를 조작하여 차량의 기어를 변속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 조작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종래의 기계식 변속장치와 유사하고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법규로 제한된 변속조작이나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변속조작을 금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변속조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 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전자식 변속장치
110 : 조작체
120 : 직선경로
130 : P작동체
140 : 언락스위치
150 : 디스플레이부
200 : 센서
300 : 컨트롤러
400 : 변속기
110 : 조작체
120 : 직선경로
130 : P작동체
140 : 언락스위치
150 : 디스플레이부
200 : 센서
300 : 컨트롤러
400 : 변속기
Claims (24)
- 운전자가 차량의 변속을 위해 조작하는 전자식 변속장치(100);
상기 전자식 변속장치(10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센서(200);
상기 센서(200)의 입력을 받아 상기 전자식 변속장치(100)의 조작에 따라 변속기를 제어하는 변속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300); 및
상기 컨트롤러(300)부터 출력되는 변속신호에 따라 차량을 변속하는 차량의 변속기(400);
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식 변속장치(100)는,
조작체(110)를 이동시키는 이외에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모드로 진입 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언락스위치(14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L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사용자에 의해 언락스위치(140)가 푸시(PUSH)된 상태로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거나, 상기 조작체(110)가 사용자에 의해 언락스위치(140)가 푸시(PUSH)된 상태로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으로부터 R임시점(R)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R임시점(R)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변속장치는,
상기 전자식 변속장치(100)는,
하나의 직선경로(12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체(110); 및
상기 조작체(110)가 외력이 없는 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점(P)이 배치되며, 상기 고정점(P)의 양쪽 외측으로 연장된 구조이고, 상기 고정점(P)의 양쪽 외측으로 각각 상기 조작체(110)가 외력에 의해 이동되었다가 상기 고정점(P)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된 임시점들을 포함하는 직선경로(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경로(120)는,
상기 고정점(P)과 연결된 것으로 상기 조작체(110)가 정방향으로 2구간 움직일 수 있게 형성된 정방향경로; 및
상기 고정점(P)과 연결된 것으로 상기 조작체(110)가 역방향으로 2구간 움직일 수 있게 형성된 역방향경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점(P)에서 정방향으로 첫 번째 구간은 N단을 선택하기 위한 N임시점(N)이고;
상기 고정점(P)에서 정방향으로 두 번째 구간은 R단을 선택하기 위한 R임시점(R)이며;
상기 고정점(P)에서 역방향으로 첫 번째 구간은 D단을 선택하기 위한 D임시점(D)이고;
상기 고정점(P)에서 역방향으로 두 번째 구간은 L단을 선택하기 위한 L임시점(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경로(120)는,
상기 조작체(110)가 현재 위치에서 다른 임시점으로 이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R임시점(R)과 N임시점(N), N임시점(N)과 고정점(P), 고정점(P)과 D임시점(D), D임시점(D)과 L임시점(L) 사이에 각각 제1시프트락(T1), 제2시프트락(T2), 제3시프트락(T3) 및 제4시프트락(T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변속장치(1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 위치할 때, 별도의 조작에 의해 P단을 선택하도록 하는 P작동체(13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작동체(130)는 조작체(110)에 구비된 P조작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변속장치(100)는,
조작체(110)의 현재 기어 선택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조작체(110)의 기어 변속조작에 의해 현재 기어 선택 상태가 달라질 경우 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1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으로부터 R임시점(R)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R임시점(R)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R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N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N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D임시점(D)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이동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거나,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D임시점(D)으로부터 L임시점(L)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L임시점(L)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R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D임시점(D)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N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N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R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D임시점(D)으로부터 L임시점(L)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L임시점(L)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거나,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으로부터 R임시점(R)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R임시점(R)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R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D임시점(D)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거나,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이동경로와, 상기 D임시점(D)으로부터 L임시점(L)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L임시점(L)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사용자가 P작동체(130)를 조작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P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에 유지된 상태를 P단 선택 상태로 인식하며, P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D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으로부터 R임시점(R)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R임시점(R)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R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D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N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N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D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사용자가 조작체(110)의 언락스위치(140)를 조작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L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L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L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차량의 기어를 1단 업(UP)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N임시점(N)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N임시점(N)으로부터 R임시점(R)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R임시점(R)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차량의 기어를 2단 업(IP)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서 L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D임시점(D)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차량의 기어를 1단 다운(DOWN)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으로부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이동경로와, 상기 D임시점(D)으로부터 L임시점(L)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 경로와, 상기 L임시점(L)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고정점(P)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 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200)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차량의 기어를 2단 다운(DOWN)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00)는,
제1시프트락(T1), 제2시프트락(T2), 제3시프트락(T3) 및 제4시프트락(T4)을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00)는,
조작체(110)가 고정점(P)에 위치한 상태에서, P작동체(130)가 조작된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에 있는 상태를 P단 선택 상태로 판단하여, P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조작체(110)가 상기 고정점(P)에 위치한 상태를, 상기 P단 이외에 N단, R단, D단, L단 선택 상태로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2300A KR102084562B1 (ko) | 2019-08-21 | 2019-08-21 | 변속기 조작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2300A KR102084562B1 (ko) | 2019-08-21 | 2019-08-21 | 변속기 조작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4562B1 true KR102084562B1 (ko) | 2020-05-29 |
Family
ID=7091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2300A KR102084562B1 (ko) | 2019-08-21 | 2019-08-21 | 변속기 조작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456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0663B1 (ko) | 2013-03-19 | 2014-06-2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전자식 변속장치 |
KR101415152B1 (ko) | 2014-04-02 | 2014-07-04 | (주)에스엠씨 | 전자식 변속 레버장치 |
KR101571454B1 (ko) * | 2015-08-03 | 2015-11-24 | (주)에스엠씨 | 전자식 변속레버 |
KR101953184B1 (ko) * | 2018-08-03 | 2019-03-04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변속기 조작 시스템 |
-
2019
- 2019-08-21 KR KR1020190102300A patent/KR102084562B1/ko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0663B1 (ko) | 2013-03-19 | 2014-06-2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전자식 변속장치 |
KR101415152B1 (ko) | 2014-04-02 | 2014-07-04 | (주)에스엠씨 | 전자식 변속 레버장치 |
KR101571454B1 (ko) * | 2015-08-03 | 2015-11-24 | (주)에스엠씨 | 전자식 변속레버 |
KR101953184B1 (ko) * | 2018-08-03 | 2019-03-04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변속기 조작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0214B1 (ko) |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 |
KR101575414B1 (ko) | 차량의 변속 장치 | |
US8347752B2 (en) | Actuating device with shift carriage lock | |
KR20110062880A (ko) |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 |
KR101795181B1 (ko) | 차량의 변속레버 오조작 방지 방법 및 시스템 | |
JP4747083B2 (ja) | 伝動装置用の変速位置 | |
KR102439105B1 (ko) | 전자식 변속조작장치의 변속제어방법 | |
KR101755854B1 (ko) | 전자식 변속시스템 | |
KR20140008648A (ko) | 차량의 전자식 변속 장치 | |
US6938509B2 (en) | Transmission shift control for selecting forward, reverse, neutral and park, and method of operation of the same | |
KR101684102B1 (ko) | 전자식 변속레버의 변속제어방법 | |
KR102412104B1 (ko) | N 단 시프트락 기능을 구비한 변속 레버 시스템 | |
KR102084562B1 (ko) | 변속기 조작 시스템 | |
KR101953184B1 (ko) | 변속기 조작 시스템 | |
KR20160145916A (ko) |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 |
KR100332822B1 (ko) | 유압클러치장치의 압력제어장치 및 그 방법 | |
KR101798114B1 (ko) | Dct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 |
KR101837126B1 (ko) | 패들 시프트 시스템 | |
GB2421286A (en) | Single shiftlever for remote and emergency shifting | |
KR20200002098A (ko) |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신호 송출방법 | |
JP2008057722A (ja) | 自動変速機のシフト切換装置 | |
KR19990026711A (ko) | 수동모드를 구비한 자동변속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0476267B1 (ko) |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안전장치 | |
JP2841278B2 (ja) | 車両の変速制御装置 | |
US7207240B2 (en) | Control circuit for reducing splitter cycles in an auxiliary drive bo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