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126B1 - 패들 시프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패들 시프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126B1
KR101837126B1 KR1020170160230A KR20170160230A KR101837126B1 KR 101837126 B1 KR101837126 B1 KR 101837126B1 KR 1020170160230 A KR1020170160230 A KR 1020170160230A KR 20170160230 A KR20170160230 A KR 20170160230A KR 101837126 B1 KR101837126 B1 KR 101837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ear
mode
sign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희
김성윤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0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48Control units where shifting is directly initiated by the driver, e.g. semi-automatic trans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들 시프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차량의 패들 시프트 스위치 또는 레버장치를 통해 차량의 기어를 업(UP) 또는 다운(DOWN) 변속 하도록 제어할 경우 차량의 자동변속기 제어장치가 차량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기어의 변속을 허용하는 패들 시프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는 신호 및 기어를 변속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자동변속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레버장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는 신호 및 기어를 변속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클러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패들 시프트 스위치; 상기 패들 시프트 스위치로부터 전송 받은 신호를 CAN 메시지로 생성하여 자동변속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클러스터 장치; 및 상기 클러스터 장치로부터 전송 받은 CAN 메시지에 따라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거나 기어를 업(UP)하거나 다운(DOWN) 시키도록 제어하는 자동변속기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패들 시프트 시스템{paddle shift system}
본 발명은 패들 시프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차량의 패들 시프트 스위치 또는 레버장치를 통해 차량의 기어를 업(UP) 또는 다운(DOWN) 변속 하도록 제어할 경우 차량의 제어장치가 차량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기어의 변속을 허용하는 패들 시프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방식의 차량의 경우, 차량의 레버장치 또는 패들에 설치되어 있는 패들 시프트 스위치를 통해 자동차의 제어방식을 자동 변속 모드에서 매뉴얼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차량의 경우 사용자가 주행 중에 자동 변속 모드에서 차량의 레버장치 또는 패들에 설치되어 있는 패들 시프트 스위치를 통해서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바꾸고 기어를 변속할 경우 차량이 차량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기어를 변속하여 차량의 엔진 및 기기에 변속 쇼크가 가해져 엔진 및 기기가 충격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11-0063172, 공개일자 2011년 06월 10일, '스포츠 변속 모드 연동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공개특허 10-2007-0068759, 공개일자 2007년 07월 02일,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차량의 패들 시프트 스위치 또는 레버장치를 통해 차량의 기어를 업(UP) 또는 다운(DOWN) 변속 하도록 제어할 경우 차량의 자동변속기 제어장치가 차량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기어를 변속하거나 패들 시프트 스위치의 입력이 설정시간 동안 없을 경우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에서 자동 변속 모드로 변경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의 매뉴얼 모드를 통해 차량을 제어함에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패들 시프트 시스템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는 신호 및 기어를 변속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자동변속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레버장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는 신호 및 기어를 변속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클러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패들 시프트 스위치; 상기 패들 시프트 스위치로부터 전송 받은 신호를 CAN 메시지로 생성하여 자동변속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클러스터 장치; 및 상기 클러스터 장치로부터 전송 받은 CAN 메시지에 따라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거나 기어를 업(UP)하거나 다운(DOWN) 시키도록 제어하는 자동변속기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장치는, 차량의 제어방식을 자동 변속 모드 또는 매뉴얼 모드로 변경할 수 있는 레버; 상기 레버가 자동변속부 에 위치할 경우 차량의 제어방식을 자동 변속 모드로 제어할 수 있는 자동변속부; 상기 레버가 매뉴얼모드부에 위치할 경우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도록 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자동변속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매뉴얼모드부; 및 상기 레버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레버가 매뉴얼모드부에 위치할 때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 차량의 기어를 업(UP) 또는 다운(DOWN) 변속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자동변속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변속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패들 시프트 스위치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고 기어를 업(UP) 변속하도록 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업 패들 시프트 스위치;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고 기어를 다운(DOWN) 변속하도록 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다운 패들 시프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변속기 제어장치는, 상기 레버장치 또는 패들 시프트 스위치의 입력에 따라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 또는 자동 변속 모드로 변경하는 제어모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모드 제어부에 의해 차량의 제어방식이 매뉴얼 모드로 변경되었고 사용자가 상기 레버장치 또는 패들 시프트 스위치를 통해 기어를 변속하도록 조작 한 경우 차량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기어를 변속하도록 하는 기어변속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변속기 제어장치는, CAN통신을 통해 전송 받은 CAN 메시지가 상기 클러스터 장치가 업 패들 시프트 스위치로부터 전송 받은 신호를 통해 생성한 CAN 메시지인 경우 제어모드 제어부를 통해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고 기어변속 제어부를 통해 차량의 현재 상태가 기어를 업(UP)하기에 충분한 경우 기어를 변속하고, 상기 레버장치의 변속버튼부로부터 기어를 업하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 받은 경우 기어변속 제어부를 통해 차량의 현재 상태가 기어를 업(UP)하기에 충분한 경우 기어를 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변속기 제어장치는, CAN통신을 통해 전송 받은 CAN 메시지가 상기 클러스터 장치가 다운 패들 시프트 스위치로부터 전송 받은 신호를 통해 생성한 CAN 메시지인 경우 제어모드 제어부를 통해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고 기어변속 제어부를 통해 차량의 현재 상태가 기어를 다운(DOWN)하기에 충분한 경우 기어를 변속하고, 상기 레버장치의 변속버튼부로부터 기어를 다운(DOWN)하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 받은 경우 기어변속 제어부를 통해 차량의 현재 상태가 기어를 다운(DOWN)하기에 충분한 경우 기어를 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변속기 제어장치는, 상기 레버장치의 레버가 자동변속부에 위치해 있고 사용자가 최초 패들 시프트 스위치를 입력 한 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할 동안 패들 시프트 스위치를 통한 입력이 없을 경우 차량의 제어방식을 제어모드 제어부를 통해 매뉴얼 모드를 해지하고 자동 변속 모드로 변경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패들 시프트 시스템은 사용자가 차량의 패들 시프트 스위치 또는 레버장치를 통해 차량의 기어를 업(UP) 또는 다운(DOWN) 변속 하도록 제어할 경우 차량의 자동변속기 제어장치가 차량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기어를 변속하고 패들 시프트 스위치의 입력이 설정시간 동안 없을 경우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에서 자동 변속 모드로 변경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의 매뉴얼 모드를 통해 차량을 제어함에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패들 시프트 시스템의 구성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레버장치의 구성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패들 시프트 스위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패들 시프트 스위치를 통한 기어변속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레버장치를 통한 기어변속 순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만이 아니라, 다른 부분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여 어떤 부분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패들 시프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들 시프트 시스템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는 신호 및 기어를 변속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자동변속기 제어장치(400)로 전송하는 레버장치(100)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는 신호 및 기어를 변속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클러스터 장치(300)로 전송하는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와 상기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로부터 전송 받은 신호를 CAN 메시지로 생성하여 자동변속기 제어장치(400)로 전송하는 클러스터 장치(300) 및 상기 클러스터 장치(300)로부터 전송 받은 CAN 메시지에 따라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거나 기어를 업(UP)하거나 다운(DOWN) 시키도록 제어하는 자동변속기 제어장치(40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자동변속기 제어장치(400)는 상기 레버장치(100) 또는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의 입력에 따라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 또는 자동 변속 모드로 변경하는 제어모드 제어부(410) 및 상기 제어모드 제어부(410)에 의해 차량의 제어방식이 매뉴얼 모드로 변경되었고 사용자가 상기 레버장치(100) 또는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를 통해 기어를 변속하도록 조작 한 경우 차량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기어를 변속하도록 하는 기어변속 제어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레버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버장치는 차량의 제어방식을 자동 변속 모드 또는 매뉴얼 모드로 변경할 수 있는 레버(110)와 상기 레버(110)가 자동변속부(120)에 위치할 경우 차량의 제어방식을 자동 변속 모드로 제어할 수 있는 자동변속부(120)와 상기 레버(110)가 매뉴얼모드부(130)에 위치할 경우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자동변속기 제어장치(400)로 전송하는 매뉴얼모드부(130)와 상기 레버(110)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레버가 매뉴얼모드부(130)에 위치할 때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 차량의 기어를 업(UP) 또는 다운(DOWN) 변속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자동변속기 제어장치(400)로 전송하는 변속버튼부(14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패들 시프트 스위치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고 기어를 업(UP) 변속하도록 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업 패들 시프트 스위치(210)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고 기어를 다운(DOWN) 변속하도록 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다운 패들 시프트 스위치(22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1 내지 3을 통해서 설명한 본 발명인 패들 시프트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차량의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 또는 레버장치(100)를 사용하여 차량의 기어를 업(UP) 또는 다운(DOWN) 변속하도록 제어할 경우 본 발명인 패들 시프트 시스템이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대해서 도 4 및 5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를 통한 기어변속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레버장치(100)를 통한 기어변속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차량의 기어를 수동으로 업(UP) 또는 다운(DOWN) 변속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를 누르거나 또는 레버장치(100)의 레버(110)를 매뉴얼모드부(130)에 위치시킨 후 변속버튼부(140)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도 4를 통해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를 눌러 기어를 변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사용자가 운행 중 수동으로 기어를 변속하기 위해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의 업 패들 시프트 스위치(210) 또는 다운 패들 시프트 스위치(220) 중 어느 하나를 누르게 되면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는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고 기어를 업(UP) 또는 다운(DOWN) 변속하도록 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클러스터 장치(300)로 전송한다. (S10) 상기 클러스터 장치(300)는 전송 받은 신호를 통해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고 기어를 업(UP) 또는 다운(DOWN) 변속하도록 하는 CAN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자동변속기 제어장치(400)로 전송한다. (S20) 자동변속기 제어장치(400)는 CAN 메시지를 확인하고 먼저 제어모드 제어부(410)를 통해서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고 차량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기어변속 제어부(420)를 통해 차량의 기어를 업(UP) 또는 다운(DOWN) 변속하도록 하는데, 이 때 차량의 현재 상태를 고려한다 함은 사용자가 업 패들 시프트 스위치(210)를 입력하였을 경우에는 차량 엔진의 현재 RPM이 차량의 기어를 업(UP) 변속해도 차량의 엔진이 스톨(STALL)현상에 의하여 정지하거나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로 엔진의 토크(TORQUE)가 충분한지를 고려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사용자가 다운 패들 시프트 스위치(220)를 입력하였을 경우에는 차량의 현재 기어 상태가 최소한 2단 이상이며 차량 엔진의 현재 RPM이 차량의 기어를 다운(DOWN) 변속해도 차량의 엔진이 스톨현상에 의하여 정지하거나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로 엔진 토크가 충분한지를 고려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차량의 현재 엔진 RPM 및 기어가 차량의 기어를 업(UP) 또는 다운(DOWN) 변속하기에 충분하면 자동변속기 제어장치(400)는 기어변속 제어부(420)를 통해서 차량의 기어를 업(UP) 또는 다운(DOWN) 변속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의 기어를 변속하지 않고 현재 기어를 유지한다. (S30~S40) 이 후에 자동변속기 제어장치(400)는 사용자로부터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를 통한 추가 입력이 설정시간을 경과할 동한 없을 경우 제어모드 제어부(410)를 통해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를 해지하고 자동 변속 모드로 다시 변경한다. (S50)
이를 통해 사용자는 차량을 매뉴얼 모드로 제어하고 싶을 경우에만 간단하게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를 눌러서 차량을 수동으로 제어하고 이 후에는 다시 자동 변속 모드를 통해서 차량을 제어할 수 있고, 차량의 자동변속기 제어장치(400)가 변속 쇼크를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기어를 변속 시키기 때문에 편리하고 안전하게 매뉴얼 모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설정시간은 바람직하게는 8초 내지 10초 사이가 될 수 있으나 설정시간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를 통해 레버장치(100)의 레버(110)를 매뉴얼모드부(130)에 위치시킨 후 변속버튼부(140)를 입력하여 기어를 변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사용자가 운행 중 수동으로 기어를 변속하기 위해 레버장치(100)의 레버(110)를 매뉴얼모드부(130)에 위치한 후 변속버튼부(140)를 입력하게 되면 레버장치(100)는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고 기어를 업(UP) 또는 다운(DOWN) 하도록 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자동변속기 제어장치(400)로 전송한다. (S60~S70) 이 때 레버장치(100)의 레버(110)를 매뉴얼모드부(130)에 위치한 후 변속버튼부(140)가 아닌 상기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의 업 패들 시프트 스위치(210) 또는 다운 패들 시프트 스위치(220)를 눌러도 같은 동작을 한다. 상기 자동변속기 제어장치(400)는 먼저 제어모드 제어부(410)를 통해서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고 차량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기어변속 제어부(420)를 통해 차량의 기어를 업(UP) 또는 다운(DOWN) 변속하도록 한다. (S80~S90) 차량의 현재 상태를 고려함은 앞서 설명한 현재 상태를 고려함과 같다. 이 후에 사용자가 매뉴얼 모드를 해지하고 다시 자동 변속 모드를 통해 차량을 운행하길 원할 경우에는 레버장치(100)의 레버(110)를 다시 자동변속부(120)로 위치시키면 된다. (S100)
본 발명에 따른 패들 시프트 시스템을 통해서 사용자가 차량을 운행 중에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길 원할 경우 간편하게 패들에 위치한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를 누름으로써 매뉴얼 모드로 변경이 가능하고 자동변속기 제어장치(400)가 차량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차량의 기어를 변속 시키고 설정시간 동안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매뉴얼 모드를 해지하고 다시 자동 변속 모드로 차량의 제어방식을 변경시켜 줌으로써 사용자는 안전하고 쉽게 매뉴얼 모드를 즐길 수 있어 종래의 패들 시프트 시스템이 갖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레버장치
110 : 레버
120 : 자동변속부
130 : 매뉴얼모드부
140 : 변속버튼부
200 : 패들 시프트 스위치
210 : 업 패들 시프트 스위치
220 : 다운 패들 시프트 스위치
300 : 클러스터 장치
400 : 자동변속기 제어장치
410 : 제어모드 제어부
420 : 기어변속 제어부

Claims (7)

  1. 패들 시프트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는 신호 및 기어를 변속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자동변속기 제어장치(400)로 전송하는 레버장치(100);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는 신호 및 기어를 변속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클러스터 장치(300)로 전송하는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
    상기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로부터 전송 받은 신호를 CAN 메시지로 생성하여 자동변속기 제어장치(400)로 전송하는 클러스터 장치(300); 및
    상기 클러스터 장치(300)로부터 전송 받은 CAN 메시지에 따라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거나 기어를 업(UP)하거나 다운(DOWN) 시키도록 제어하는 자동변속기 제어장치(400);
    를 포함하되,
    상기 자동변속기 제어장치(400)는,
    CAN통신을 통해 전송 받은 CAN 메시지가 상기 클러스터 장치(300)가 업 패들 시프트 스위치(210)로부터 전송 받은 신호를 통해 생성한 CAN 메시지인 경우 제어모드 제어부(410)를 통해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고 기어변속 제어부(420)를 통해 차량 엔진의 현재 RPM이 차량의 기어를 업(UP) 변속해도 차량의 엔진이 스톨(STALL)현상에 의하여 정지하거나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로 엔진의 토크(TORQUE)가 기어를 업(UP)하기에 충분한 경우 기어를 변속하고, 상기 레버장치(100)의 변속버튼부(140)로부터 기어를 업(UP)하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 받은 경우 기어변속 제어부(420)를 통해 차량의 현재 상태가 상기와 같이 기어를 업(UP)하기에 충분한 경우 기어를 변속하며,
    CAN통신을 통해 전송 받은 CAN 메시지가 상기 클러스터 장치(300)가 다운 패들 시프트 스위치(220)로부터 전송 받은 신호를 통해 생성한 CAN 메시지인 경우 제어모드 제어부(410)를 통해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고 기어변속 제어부(420)를 통해 차량의 현재 기어 상태가 최소한 2단 이상이며 차량 엔진의 현재 RPM이 차량의 기어를 다운(DOWN) 변속해도 차량의 엔진이 스톨현상에 의하여 정지하거나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로 엔진 토크가 기어를 다운(DOWN)하기에 충분한 경우 기어를 변속하고, 상기 레버장치(100)의 변속버튼부(140)로부터 기어를 다운(DOWN)하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 받은 경우 기어변속 제어부(420)를 통해 차량의 현재 상태가 상기와 같이 기어를 다운(DOWN)하기에 충분한 경우 기어를 변속하되,
    상기 레버장치(100)의 레버(110)가 자동변속부(120)에 위치해 있고 사용자가 최초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를 입력 한 시간으로부터 8초 내지 10초 사이의 설정시간이 경과할 동안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를 통한 입력이 없을 경우 차량의 제어방식을 제어모드 제어부(410)를 통해 매뉴얼 모드를 해지하고 자동 변속 모드로 변경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들 시프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장치(100)는,
    차량의 제어방식을 자동 변속 모드 또는 매뉴얼 모드로 변경할 수 있는 레버(110);
    상기 레버(110)가 자동변속부(120)에 위치할 경우 차량의 제어방식을 자동 변속 모드로 제어할 수 있는 자동변속부(120);
    상기 레버(110)가 매뉴얼모드부(130)에 위치할 경우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자동변속기 제어장치(400)로 전송하는 매뉴얼모드부(130); 및
    상기 레버(110)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레버(110)가 매뉴얼모드부(130)에 위치할 때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 차량의 기어를 업(UP) 또는 다운(DOWN) 변속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자동변속기 제어장치(400)로 전송하는 변속버튼부(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들 시프트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고 기어를 업(UP) 변속하도록 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업 패들 시프트 스위치(210);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로 변경하고 기어를 다운(DOWN) 변속하도록 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다운 패들 시프트 스위치(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들 시프트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변속기 제어장치(400)는,
    상기 레버장치(100) 또는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의 입력에 따라 차량의 제어방식을 매뉴얼 모드 또는 자동 변속 모드로 변경하는 제어모드 제어부(410); 및
    상기 제어모드 제어부(410)에 의해 차량의 제어방식이 매뉴얼 모드로 변경되었고 사용자가 상기 레버장치(100) 또는 패들 시프트 스위치(200)를 통해 기어를 변속하도록 조작 한 경우 차량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기어를 변속하도록 하는 기어변속 제어부(4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들 시프트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160230A 2017-11-28 2017-11-28 패들 시프트 시스템 KR101837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230A KR101837126B1 (ko) 2017-11-28 2017-11-28 패들 시프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230A KR101837126B1 (ko) 2017-11-28 2017-11-28 패들 시프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126B1 true KR101837126B1 (ko) 2018-03-09

Family

ID=6172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230A KR101837126B1 (ko) 2017-11-28 2017-11-28 패들 시프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1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45938A (zh) * 2020-12-18 2022-06-21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手自一体换档器实现换档的方法、装置以及汽车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6773A (ja) * 1996-12-28 1998-07-31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6046553A (ja) * 2004-08-06 2006-02-16 Toyota Motor Corp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20070068759A (ko) * 2005-12-27 2007-07-02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장치 및 방법
JP2007524797A (ja) * 2004-02-27 2007-08-30 ルノー・エス・アー・エス 自動変速機のギヤ比調整方法
JP2010025277A (ja) * 2008-07-23 2010-02-04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101014783B1 (ko) * 2008-07-11 2011-02-14 주식회사 케피코 스포츠 모드 차량의 변속 금지 제어 방법
KR20110063172A (ko) * 2009-12-04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포츠 변속 모드 연동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74362A (ko) * 2013-12-24 2015-07-02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KR101688347B1 (ko) * 2013-01-18 2016-12-20 도요타 지도샤(주) 차량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변속 제어 방법
KR20170108206A (ko) * 2016-03-16 2017-09-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기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6773A (ja) * 1996-12-28 1998-07-31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7524797A (ja) * 2004-02-27 2007-08-30 ルノー・エス・アー・エス 自動変速機のギヤ比調整方法
JP2006046553A (ja) * 2004-08-06 2006-02-16 Toyota Motor Corp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20070068759A (ko) * 2005-12-27 2007-07-02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장치 및 방법
KR101014783B1 (ko) * 2008-07-11 2011-02-14 주식회사 케피코 스포츠 모드 차량의 변속 금지 제어 방법
JP2010025277A (ja) * 2008-07-23 2010-02-04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110063172A (ko) * 2009-12-04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포츠 변속 모드 연동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88347B1 (ko) * 2013-01-18 2016-12-20 도요타 지도샤(주) 차량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변속 제어 방법
KR20150074362A (ko) * 2013-12-24 2015-07-02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KR20170108206A (ko) * 2016-03-16 2017-09-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기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45938A (zh) * 2020-12-18 2022-06-21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手自一体换档器实现换档的方法、装置以及汽车
CN114645938B (zh) * 2020-12-18 2023-08-18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手自一体换档器实现换档的方法、装置以及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414B1 (ko) 차량의 변속 장치
JP4486602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5741202A (en) Shift by wire transmission system
US6978691B2 (en) Shif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twin clutch transmission
KR101795181B1 (ko) 차량의 변속레버 오조작 방지 방법 및 시스템
ES8602224A1 (es) Disposicion de control de una transmision de vehiculo
US2004022543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shifting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JPH0396753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20170136624A (ko) 자동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KR101837126B1 (ko) 패들 시프트 시스템
US200300453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ift control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JP5102680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4333687B2 (ja) 農業用トラクタの変速制御装置
US20140342875A1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0096215A (ja) 作業車両の走行変速装置
WO2012108999A1 (en) Double bump shift selector for a vehicle
JP5063553B2 (ja) 作業車両の走行変速装置
US66750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for use in an automobile
KR101953184B1 (ko) 변속기 조작 시스템
JP2788255B2 (ja) 電子制御式自動変速機におけるモード切り換え制御方法
JP4458059B2 (ja) 農業用トラクタの変速制御装置
KR100828910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장치 및 방법
KR102084562B1 (ko) 변속기 조작 시스템
US11396944B2 (en) Transmission system
KR19990026711A (ko) 수동모드를 구비한 자동변속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