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624A - 자동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624A
KR20170136624A KR1020177032829A KR20177032829A KR20170136624A KR 20170136624 A KR20170136624 A KR 20170136624A KR 1020177032829 A KR1020177032829 A KR 1020177032829A KR 20177032829 A KR20177032829 A KR 20177032829A KR 20170136624 A KR20170136624 A KR 20170136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ontrol lever
automatic
forward gear
gear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7103B1 (ko
Inventor
아르노 불리코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70136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2059/006Overriding automatic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21Selector apparatus for selecting modes, i.e. input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95Selector apparatus with mechanisms to return lever to neutral or datum position, e.g. by return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안정 위치(H)를 가지는 제어 레버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이며, 상이한 자동 모드(N, D, R)의 선택을 위한 불안정 위치를 차지할 수 있으며, 다른 전진 기어를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위치(+, -)를 차지할 수 있고 다음의 특징을 가진다. 상기 자동 보통 전진 모드(D)가 이전에 선택되면 상기 장치는 전진 기어(+, -)가 선택되는 것을 허용하고, 제어 레버가 기 설정된 임계값(T0)보다 짧은 기간 동안에 전진 기어를 수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위치에 유지되고 이후에 제어 레버(10)가 해제되면, 기어 박스는 상기 자동 보통 전진 모드(D)이고, 자동 레버(10)가 상기 임계값(T0)보다 긴 기간 동안 유지되고 이후에 레버를 해제하면, 기어박스는 영구 수동 전진 기어 선택 모드(D)가 된다.

Description

자동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자동 제어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와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서 조작될 수 있는 제어 레버를 포함하고, 단일 안정 위치(single stable position)를 구비하고, 상기 단일 안정 위치에서부터 차량의 기어 박스의 작동 및 사용을 위해서 다른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불안정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공지된 디자인들 중에서 제어 및 선택 장치가 2개의 평행한 슬롯을 가지는 “H그릴” 타입인 하나의 카테고리가 두드러지며, 그 중 하나는 자동 보통 운전 구동 모드 “D”나 역방향 모드”R”와 소위 중립 모드”N”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 장치의 위치이동과 관련되고, 반면에 다른 슬롯은 특히, 수동으로 저단 전진 기어(lower forward gear)”-“나 고단 전진 기어(high forward gear)”+”를 선택하기 위해서, 다른 전진 기어의 수동 선택을 허용한다.
이러한 2개의 평행하는 종방향의 슬롯 사이에서, 제어 레버는 횡방향 슬롯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원-터치 제어 장치의 상기 타입은 제어 레버와 관련된 공지 수단에 의해서 생성되고 자동 기어 박스 자체에 전달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 장치는 운전자가 이용할 수 있고, 차량의 계기판 및/또는 제어 레버의 인근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진 기어 모드를 자동적으로 및/또는 수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해서 자동 기어 박스의 작동 상태나 작동 모드에 대해서, 제어 레버의 위치에 대한 다양한 정보, 및 제어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운전자가 현재 사용할 수 있는 옵션에 대한 정보에 대해서 운전자에게 다른 정보를 표시한다.
본 발명은 특히 소위 일시적인 방법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또는 영구적으로 수동 모드로 사용될 수 있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 보통 주행 모드 D가 연결되어 선택되는 상태인 소위 일시적 수동 모드에서, 운전자는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주행 상태를 예상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기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차량을 추월하기 위한 준비를 위해서나 예컨대 차량이 가파른 경사에서 내리막을 주행 중에 사용 가능한 엔진 제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저단 전진 기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 레버의 수단으로, 운전자는 제어 레버를 관련된 선택 위치”-“로 밀어서 저단 전진 기어를 선택한다.
따라서, 자동 기어 박스는 즉시 하강하고, 운전자가 제어 레버에 적용된 힘을 해제 하자마자 제어 레버는 단일 안정 위치”H”로 복귀한다.
유사하게, 운전자가 고단 전진 기어로 설정되는 것을 원하는 경우에, 운전자는 반대 방향에서 관련된 위치”+”를 향하여 동일한 슬롯에서 이동시키며, 자동 기어박스는 즉시 기어 변화를 실행하고, 이후 운전자가 제어 레버를 해제하자마자, 자동 기어박스는 한번 다시 자동 보통 주행 모드(N)가 된다.
또한, 제어 장치는 자동 보통 주행 모드(D)에서부터 소위 영구 수동 제어 모드에 따라 자동 기어박스의 사용을 허용한다.
이러한 상태 또는 D모드에서, 운전자는 영구 수동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어야 하고, 자동 보통 운전 모드(D)를 종료하고, 그리하여 운전자가 종래의 기어박스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 기어박스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고, 고단 전진 기어”+”로 변경하거나 저단 전진 기어”-“로 변경하기 위한 위치를 향하는 관련된 제1 슬롯의 어느 방향에서 사용자가 제어 레버나 선택기(selector)의 이동에 의해서 각 전진 기어 변화에 대한 결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2개의 일시적 또는 영구 수동 제어 모드를 가지는 상기 장치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특히 영구 수동 제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구동 수단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복잡하고 비싼 솔루션의 제1 시리즈는, 예를 들어, 영구 수동 제어 모드의 선택을 위한 특정 제어 버튼을 제공하거나, 제어 레버에 의해 차지될 수 있는 선택기 ”그릴(grille)”에 분리된 추가적인 공간 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DE-A1-19938528에 개시된 공지 디자인에서, 영구 수동 모드에서 구동 위치는 자동 보통 주행 모드(D)를를 선택하기 위한 위치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다.
추가적인 일시적인 수동 모드에서 자동 기어박스의 사용을 위한 비싼 솔루션은 자동 보통 주행 모드(D)와 관련된 위치에 제어 레버를 남겨두고, 상승 또는 저단 전진 기어를 설정하기 위해서 명령을 전달하는 부재나 패달을 조향 휠에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안된 문제점에 간단하고 경제적인 해결책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소위 일시적인 방법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또는 영구적으로 수동 모드로 사용될 수 있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자동 제어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를 제안하며, 제어 레버(10)를 포함하고:
- 상기 제어 레버(10)에 의해서 이전에 차지한 위치에 상관없이, 되돌아 가는 단일 안정 위치(single stable position, H)를 구비하고;
- 상기 단일 안정 위치(H)에서, 상이한 모드(N, D, R)의 선택을 위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으며, 상이한 모드는 자동 보통 주행 모드(automatic normal drive mode)를 선택하기 위한 (D)위치, 자동 보통 역방향 모드(automatic normal reverse mode)를 선택하기 위한 (R)위치 및 보통 중립 모드(normal neutral mode, N)를 선택하기 위한 (N)위치를 포함하며; 및
- 상기 단일 안정 위치(H)에서부터, 다른 전진 기어를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해서 (+,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원터치 제어장치로서;
- 상기 장치는 상기 자동 보통 주행 모드(D)가 이전에 선택되면 전진 기어(+, -)가 수동으로 선택되도록 허용하며;
- 상기 제어 레버(10)가 기 설정된 임계값(T0)보다 짧은 기간 동안에 수동으로 전진 기어를 선택하기 위한 위치에서 유지되면, 상기 제어 레버(10)를 해제한 이후에,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자동 보통 주행 모드(D)로 되돌아가며;
- 상기 제어 레버(10)가 상기 기 설정된 입계 값보다 긴 시간 동안에 수동으로 전진 기어를 선택하기 위한 위치에서 유지되면, 상기 기어박스는 영구 수동 전진 기어 선택 모드(permanent manual forward gear selection mode)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의 추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 상기 제어 레버가 수동으로 이동되고, 상기 단일 안정 위치가 배치되는 제1 종방향 선택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레버는 수동으로 다른 전진 기어를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차지하기 위해서 그로부터 이동될 수 있고;
- 상기 단일 안정 위치에서부터 상기 제어 레버는 상기 제1 슬롯의 종방향으로 이동되며:
- 하강 수동 전진 기어로 변경하기 위한 이동 위치의 제1 단부를 향하는 제1 방향;
- 승강 수동 전진 기어로 변경하기 위한 이동 위치의 제2 단부를 향하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L2);
- 상기 기어 박스가 영구 수동 전진 기어 선택 모드에 있으며, 상기 기어 박스를 상기 자동 모드 중 하나로의 복귀를 실행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 레버가 상기 단일 안정 위치에서 상기 종방향과 다른 횡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며;
- 상기 횡방향으로 상기 제어 레버의 위치 이동은 상기 기어 박스를 보통 중립 모드로의 복귀를 실행하고;
- 상기 제어 레버가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보통 중립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위치가 배치되는 제2 선택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레버는 자동 모드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서, 상기 보통 중립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위치에서 이동될 수 있고;
- 상기 제어 레버는 상기 보통 중립 모드을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제2 슬롯의 상기 종방향으로 상기 위치에서부터 이동하며:
- 자동 보통 역방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제1 위치를 향하는 제1 방향; 및
- 자동 보통 주행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제2 위치를 향하는 상기 제1 방향와 반대인 제2 방향에서;
- 상기 제1 슬롯 및 상기 제2 슬롯은 평행하고;
- 상기 제1 방향들은 동일하고;
- 상기 차량의 속도가 설정된 속도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서;
- 상기 자동 보통 주행 모드가 이전에 선택되었을 시에;
하강 수동 전진 기어로 변화를 수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 레버를 위치로 이동은 상기 보통 중립 모드의 선택을 실행하고;
- 상기 차량의 속도가 0이 아니고, 설정된 속도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서;
- 상기 자동 보통 주행 모드가 이전에 선택되었을 시에;
상승 수동 전진 기어로 변화를 수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 레버를 위치로 이동은 상기 보통 중립 모드의 선택을 실행하고;
- 상기 차량의 속도가 0인 경우에서;
- 상기 자동 보통 주행 모드가 이전에 선택되었을 시에;
상승 수동 전진 기어로 변화를 수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 레버를 위치로 이동은 상승 수동 전진 기어로 변화를 실행하고;
-상기 자동 보통 역방향 모드가 이전에 선택되었을 시에, 하강 수동 전진 기어로 변화를 수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 레버를 위치로 이동은 상기 보통 중립 모드의 선택을 실행하고;
- 상기 자동 보통 역방향 모드가 이전에 선택되었을 시에, 상승 수동 전진 기어로 변화를 수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 레버를 위치로 이동은 상기 보통 중립 모드의 선택을 실행하고;
- 장치는 현재 선택된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다른 위치는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전진 기어는 수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에 의하면 소위 일시적인 방법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또는 영구적으로 수동 모드로 사용될 수 있는 제어 장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장치는 자동 보통 주행 모드(D)에서부터 소위 영구 수동 제어 모드에 따라 자동 기어박스의 사용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명확해질 것이며, 그 이해를 위해서 다음의 첨부된 도면이 참조할 것이다:
- 도 1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며 선택기(selector)나 변속 레버로 불리는 자동 기어박스의 제어 레버의 사시도이다;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어 기어박스의 제어 그릴(control grille)의 개략도이다;
-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그릴 내부의 제어 레버의 다른 이동 방향의 표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도면과 유사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 도 7a 및 도 7b는 도 3과 유사한 2개의 개략도로, 2개의 적합하지 않은 가정적인 사용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제어 레버(10)는 차량의 내부에 알려진 방법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고, 콘솔(12), 더 구체적으로 오리피스(14)를 통해서 돌출된다.
노브(16)의 형상에서 상부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는 종방향과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직교하는 횡 방향으로, 두 개의 주요 직교 방향으로 운전자가 제어 레버(1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파지부분이다.
도 2는 “그릴(grille)”의 개략도이며, 제어 레버가 다른 위치에 도달 및/또는 차지하도록 그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 경우 그릴은 오른쪽편에 종방향(L)의 제1 슬롯(C1)을 포함하고, 레버(10)는 2개의 반대 방향(L1, L2)으로 그 안에서 이동할 수 있다.
그릴은 종방향(L)의 제2 슬롯(C2)을 포함하고, 레버(10)는 2개의 반대 방향(L1, L2)으로 그 안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종방향 슬롯(C1, C2)은 횡방향(T)의 제3 슬롯(C3)에 의해 함께 연결되고, 제어 레버는 2개의 반대 방향(T1, T2)로 이동할 수 있다.
제어 레버(10)는 안정 또는 “홈(home)” 위치(H)를 차지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단일 안정 위치(single stable position)이고, 횡방향 슬롯(C3)의 반대편의 제1 종방향 슬롯(C1)의 중심에 위치한다.
안정 위치(H)를 벗어나면, 저단 전진 기어(lower forward gear)로 변경하기 위한 수동 선택에 대응되는 상부 위치인 “-“에 도달하기 위해서, 제어 레버는 종방향(L)의 제1 방향(L1)으로 제1 슬롯(C1)에서 이동 될 수 있다.
반대로, 고단 전진 기어(higher forward gear)로 수동으로 변경하는 것에 대응하는 위치인 “+”에 도달하기 위해서, 제어 레버(10)는 제1 슬롯(C1)에서 종방향의 제2 방향(L2)으로 이동 될 수 있다.
단일 안정 위치(H)에서, 제어 레버(10)는 횡방향(T)의 제1 방향(T1)으로, 상기 케이스의 왼편으로, 제3 슬롯(C3)으로 제2 종방향 슬롯(C2)의 방향에서 이동 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어 레버(10)는 보통 중립 모드(normal neutral mode)를 선택하기 위해서 제1 위치인 “N”에 도달 할 수 있다.
위치(N)는 제2 종방향 슬롯(C2)의 중앙에 위치한다. 또한 제2 종방향 슬롯(C2)은 자동 보통 역방향 모드(automatic normal reverse mode)를 선택하기 위한 위치인 “R” 위치를 포함하고, 자동 보통 주행 모드(automatic normal drive mode)를 선택하기 위한 위치인 “D” 위치를 포함한다.
위치(R)에 도달하기 위해서 단일 안정 위치(H)를 벗어나서, 제어 레버(10)는 먼저 위치(N)까지 제3 슬롯(C3)에서 횡방향(T)으로 이동되고, 그 뒤 종방향으로 제2 종방향 슬롯(C2)에서 제1 방향(L1)으로 위치(R)까지 도달한다.
대칭되는 방법으로, 제어 레버(10)를 제1 방향(T1)으로 위치(N)까지 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제2 종방향 슬롯(C2)에서 제2 방향(L2)으로 위치(D)에 도달할 때까지 종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1 안정 위치(H)에서 위치(D)가 도달될 수 있다.
운전자가 레버(10)에 가해지는 작동 및 조작하는 힘을 해제하면, 제어 레버(10)에 의해 점유된 위치가 선택된 위치(-, +, N, R 또는 D)들에 관계없이, 상기 레버는 자동적으로 안정 위치(H)로 복귀한다.
도 2의 그릴에서 레버(10)를 이동시키고 조작하기 위한 다양한 가능한 방향과 경로는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예를 들어, 도3 및 하기의 도면들의 이러한 도시는 운전자에게 이용 가능한 차량(상세하게 미도시)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제공된다.
따라서, 단일 안정 위치(H)를 벗어나서 화살표(F1)를 따른 위치 이동은 “-“위치에 도달하게 하고, 화살표(F2)를 따라 “+”위치에 도달하게 하고, 화살표(F3)를 따라 N위치에 도달하게 하고, 화살표(F4)를 따라 R위치에 도달하게 하며, 화살표(F5)를 따라 D위치에 도달하게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안정 위치(H)를 벗어나서, 화살표(F1)를 따른 위치 이동은 중립 위치(N)에 도달하게 한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 도시된 중립 위치에서, 화살표(F5)를 따른 제어 레버(10)의 위치 이동은 D위치에 도달 할 수 있게 한 다음, 제어 레버(10)를 단일 중립 위치(H)로 되돌아가게 한다.
상기 위치 및 자동 기어박스의 자동 보통 드라이브 모드(D)에서, 운전자는 예를 들어 고단 전진 기어로 변경하기 위해서, 일시적인 수동 선택에서 기어 박스를 사용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단일 안정 위치(H)를 벗어나면, 그러하면 운전자는 제어 레버(10)를 화살표(F2)를 따라 위치를 이동시키고, 디스플레이 유닛은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 “D2”가 상승 전진 기어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자동 기어 박스에서 이전에 설정된 기어가 “D1”인 경우) 한다.
이후, 운전자기 즉시 조절 레버를 해제하면, 단일 안정 위치(H)로 되돌아 가고, 몇 초 후에 자동 기어박스는 도 5a에서 표시되고 도시된 자동 보통 주행 모드(D)로 다시 복귀한다.
동일한 방식(미도시)으로, 도 4b에서 도시된 모드 및 위치를 벗어나면, 운전자는 제어 레버(10)를 화살표(F1)를 따라 위치 이동시키고 이를 해제하여 저단 전진 기어를 설정하기 위한 임시 수동 모드에서 기어 박스 사용하는 옵션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는 제어 레버(10)를 “+” 또는 “-“의 2개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이동시키고, 예를 들어 600밀리언초(600ms)와 같은, 기 설정된 임계값(T0) 보다 긴 시간 동안에 2개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제어 레버를 홀딩하여, 자동 기어박스와 제어 장치를 소위 “영구 수동” 모드에 두는 옵션을 가진다.
상기 임계값(T0)은 제어 장치의 셋업(set-up) 단계에서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예를 들어,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다.
D모드와 단일 안정 위치(H)를 벗어나며, 운전자는 예를 들어 제어 레버(10)를 화살표(F2)를 따라 위치를 이동시키고, 고단 전진 기어와 디스플레이 “D3”의 결합을 즉시 구현(자동 기어박스에 결합된 이전의 기어가 “D2”인 경우)하고; 기간(T0)을 넘어서 상기 “+”위치에 유지되면, 영구 수동 모드의 사용으로 모드의 변경과 도 5c에 도시된 “M3” 인디케이터의 디스플레이가 실행된다.
상기 영구 수동 모드가 작동되면, 자동 기어박스는 운전자가 제어 레버(10)를 해제하고, 상기 제어 레버가 단일 안정 위치(H)로 복귀하더라도 영구 수동 주행 모드로 유지된다.
상기 영구 수동 모드에서, 운전자는 필요에 따라 화살표(F1 또는 F2)를 따라 단일 안정 위치(H)에서 제어 레버(10)의 작동에 의해서 어느 하나의 전진기어를 연속적으로 변화 및 작동할 수 있다.
도 5c 및 도 6a에 도시된 영구 수동 모드를 벗어나기 위해서, 안정 위치(H)를 벗어날 때, 운전자는 제어 레버(10)를 왼쪽으로 제3 횡방향 슬롯(C3)에서 이동시키고, N, R 또는 D 모드의 3개의 위치 중 어느 하나에 도달하기 위해서 제2 종방향 슬롯(C2)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예에서, 운전자는 단일 안정 위치(H)에서 제어 레버(10)를 D위치에 도달하기 위해서 화살표(F5)를 따라 이동시켜서, 자동 기어 박스가 다시 자동 보통 주행 모드(D)가 되게 한다.
도 6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D는 계기판(instrument panel)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다시 표시된다.
제어 레버(10)를 해제한 후에, 상기 제어 레버가 기 설정된 임계 값(T0) 보다 짧은 기간 동안 전진 기어를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위치를 유지하면, 상기 기어 박스는 일시 수동 전진 기어 선택 모드(temporary manual forward gear selection mode)에 있으며, 몇 초가 지난 후, 상기 기어 박스는 다시 자동 보통 주행 모드로 되돌아 간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를 사용하면, 특히 소위 말하는 “주차” 동작 중에,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 방향의 반대 방향을 원할 때, 특히 자동 중립 주행 모드(D)에서 자동 중립 스텝 모드(R)나 그 반대로 변경하는 것을 원하는 상황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변위 방향의 상기 변화는 안정 위치(H)에서 화살표(F4 또는 F5) 중 하나를 따라 제어 레버(10)의 위치를 이동시켜서 실행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의 비통상적이거나 잘못된 사용이 고려된다. 이는 예를 들어 도 7a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자동 보통 주행 모드(D)가 선택되는 동안, 화살표(F4)에 따른 각진 경로를 따르지 않고, 운전자가 직접적으로 화살표(F1)를 따라 제어 레버(1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반대로,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보통 역방향 모드(R)가 선택되는 동안, 전진 기어로 변경을 위해서 운전자가 제어 레버(10)를 화살표(F5)에 따른 경로를 따르지 않고, 단일 안정 위치(H)에서 화살표(F2)를 따라 위치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호보완적인 특징에 따르면, 추축을 고려하여 자동 기어박스를 보통 중립 상태(N)에 위치시킴으로써 솔루션이 제공되고, -자동 보통 주행 모드(D)나 자동 보통 역방향 모드(R)가 설정된 경우-, 차량이 저속 또는 매우 저속일 때, 즉 차량이 기 설정된 속도 임계 값(V0)보다 낮은 속도에서 주행 시에, “-“ 또는 “+” 중 어느 하나로의 제어 레버(10)의 위치 변화는 제어 레버(10)의 핸들링 에러로 간주된다.
차량의 속도가 임계값(V0)보다 크고, 자동 보통 주행 모드(D)가 설정시에, “-“ 또는 “+”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서 화살표(F1 또는 F2)에 따른 제어 레버(10)의 위치 변화는 대응하는 전진 기어가 전술한 임시 수동 모드나 영구 수동 모드로 설정되게 한다.
차량의 속도가 임계값(V0)보다 낮고, 운전자가 제어 레버(10)를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서 화살표(F1)를 따라 위치를 이동하면, 운전자가 실제로 자동 보통 역방향 모드(R)를 설정하는 것을 원하기 때문에, 이후 자동 기어 박스는 보통 중립 모드(N)로 변경한다.
상호 보완적인 방법으로, 조명 및/또는 음향 경고 시그널은 방금 발생한 이벤트에 대해서 운전자에게 주의를 주기 위해서 방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차량의 속도가 0이 아니고 임계값(V0)보다 낮고, 단일 안정 위치(H)를 벗어나는 운전자가 제어 레버(10)를 “+”위치로 도달하기 위해서 화살표(F2)를 따라 위치 이동하면, 자동 기어박스는 일정한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서 보통 중립 모드(N)로 변경된다.
이때, 음향 및/또는 조명 시그널은 방금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운전자의 주의를 끌기 위해서 방출될 수 있다.
자동 보통 주행 모드(D)가 선택되고, 차량의 속도가 0일 때, 즉 정지상태일 때, 고단 전진 기어로 설정되기 위해서 화살표(F2)를 따르는 운전자에 의한 제어 레버(10)의 위치 변화는 고려되고, 그러한 설정이 실행된다. 이는 그 선택이 반대 방향(L1)의 동작에 대응하여, 운전자가 자동 보통 역방향 모드(R)를 설정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것이 확실하기 때문이다.
차량속도가 0에서 운전자의 상기의 동작 또는 요청은, 예를 들어, 매우 낮은 부착력을 가지는 표면에서 차량의 시동(start-up)과 정지(setting-off)를 쉽게 하기 위해서, 제2 전진 기어로 설정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자동 기어박스의 자동 보통 역방향 모드(R)가 설정되면, 제어 레버(10)를 화살표(F1)를 따라 단일 안정 위치(H)에서 “-“위치로 도달하기 위한 운전자의 동작은 고려되지 않으며, 원-터치 수동 모드에서의 명령은 역방향 기어(R)에서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자동 기어 박스는 보통 중립 모드(N)으로 변경되고, 그러므로 “+”위치를 가진 고단 전진 기어로 설정되기 위한 요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전히 자동 보통 역방향 모드(R)에서, 운전자가 실제로 자동 보통 주행 모드(D)를 설정하는 것을 원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화살표(F2)를 따라 제어 레버(10)를 “+”위치에 도달하게 하는 동작은 자동기어 박스를 보통 중립 모드(N)로 변경하도록 한다.
자동 기어박스와 제어 장치의 모든 동작 및 제어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용할 수 있는 임의의 수단들 특히, 제어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자동 기어박스의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센서들에 의해서 제어 레버(10)는 제어 그릴에서 차지하는 공간적 위치의 함수로 작용한다.
10: 제어 레버
12: 콘솔
14: 오리피스
C1:제1 슬롯
C2: 제2 슬롯
C3: 제3 슬롯?

Claims (15)

  1. 차량의 자동 제어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어 레버(10)를 포함하고:

    - 상기 제어 레버(10)에 의해서 이전에 차지한 위치에 상관없이, 되돌아 가는 단일 안정 위치(single stable position, H)를 구비하고;

    - 상기 단일 안정 위치(H)에서, 상이한 모드(N, D, R)의 선택을 위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으며, 상이한 모드는 자동 보통 주행 모드(automatic normal drive mode)를 선택하기 위한 (D)위치, 자동 보통 역방향 모드(automatic normal reverse mode)를 선택하기 위한 (R)위치 및 보통 중립 모드(normal neutral mode, N)를 선택하기 위한 (N)위치를 포함하며; 및

    - 상기 단일 안정 위치(H)에서부터, 다른 전진 기어를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해서 (+, -)위치를 차지할 수 있으며;

    하기의 특징을 가지며,

    - 상기 장치는 상기 자동 보통 주행 모드(D)가 이전에 선택되면 전진 기어(+, -)가 수동으로 선택되도록 허용하며;

    - 상기 제어 레버(10)가 기 설정된 임계값(T0)보다 짧은 기간 동안에 수동으로 전진 기어를 선택하기 위한 위치에서 유지되면, 상기 제어 레버(10)를 해제한 이후에,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자동 보통 주행 모드(D)로 되돌아가며;

    - 상기 제어 레버(10)가 상기 기 설정된 입계값(T0)보다 긴 시간 동안에 수동으로 전진 기어를 선택하기 위한 위치에서 유지되면, 상기 기어박스는 영구 수동 전진 기어 선택 모드(permanent manual forward gear selection mode)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어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레버(10)가 수동으로 이동되고, 상기 단일 안정 위치(H)가 배치되는 제1 종방향 선택 슬롯(C1)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레버는 수동으로 다른 전진 기어를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차지하기 위해서 그로부터 이동될 수 있는, 자동 제어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안정 위치(H)에서부터 상기 제어 레버는 상기 제1 슬롯(C1)의 종방향(L)으로 이동되며:

    - 저단 수동 전진 기어(-)로 변경하기 위한 이동 위치의 제1 단부를 향하는 제1 방향(L1);

    - 고단 수동 전진 기어(+)로 변경하기 위한 이동 위치의 제2 단부를 향하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L2);으로 이동하는, 자동 제어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박스가 영구 수동 전진 기어 선택 모드(D)에 있으며, 상기 기어 박스를 상기 자동 모드(N, D, R) 중 하나로의 복귀를 실행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 레버가 상기 단일 안정 위치(H)에서 상기 종방향(L)과 다른 횡방향(T)으로 위치 이동하는, 자동 제어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T)으로 상기 제어 레버의 위치 이동은 상기 기어 박스를 보통 중립 모드(N)로의 복귀를 실행하는, 자동 제어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레버(10)가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보통 중립 모드(N)를 선택하기 위한 위치가 배치되는 제2 선택 슬롯(C2)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레버(10)는 자동 모드(D, R)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서, 상기 보통 중립 모드(N)를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위치에서 이동될 수 있는, 자동 제어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레버(10)는 상기 보통 중립 모드(N)를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제2 슬롯(C2)의 상기 종방향으로 상기 위치에서부터 이동하며:

    - 자동 보통 역방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제1 위치(R)를 향하는 제1 방향(L1);

    - 자동 보통 주행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제2 위치(D)를 향하는 상기 제1 방향와 반대인 제2 방향(L2);으로 이동하는, 자동 제어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항 또는 상기 제3 항을 중 하나를 조합하고, 상기 제1 슬롯(C1) 및 상기 제2 슬롯(C2)은 평행한, 자동 제어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항 및 상기 제7항을 조합하고, 상기 제1 방향들은 동일한, 자동 제어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 상기 차량의 속도가 설정된 속도 임계값(V0)보다 낮은 경우에서;

    - 상기 자동 보통 주행 모드(D)가 이전에 선택되었을 시에;

    저단 수동 전진 기어(-)로 변화를 수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 레버(10)를 (-)위치로 이동은 상기 보통 중립 모드(N)의 선택을 실행하는, 자동 제어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 상기 차량의 속도가 0이 아니고, 설정된 속도 임계값(V0)보다 낮은 경우에서;

    - 상기 자동 보통 주행 모드(D)가 이전에 선택되었을 시에;

    고단 수동 전진 기어(+)로 변화를 수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 레버(10)를 (+)위치로의 이동은 상기 보통 중립 모드(N)의 선택을 실행하는, 자동 제어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12. 제9 하에 있어서,
    - 상기 차량의 속도가 0인 경우에서;

    - 상기 자동 보통 주행 모드(D)가 이전에 선택되었을 시에;

    고단 수동 전진 기어(+)로 변화를 수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 레버(10)를 (+)위치로의 이동은 고단 수동 전진 기어(+)로의 변화를 실행하는, 자동 제어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보통 역방향 모드(R)가 이전에 선택되었을 시에, 저단 수동 전진 기어(-)로 변화를 수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 레버(10)를 (-)위치로 이동은 상기 보통 중립 모드(N)의 선택을 실행하는, 자동 제어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보통 역방향 모드(R)가 이전에 선택되었을 시에, 고단 수동 전진 기어(+)로 변화를 수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 레버(10)를 (+)위치로 이동은 상기 보통 중립 모드(N)의 선택을 실행하는, 자동 제어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15.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선택된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다른 위치는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전진 기어는 수동으로 선택될 수 있는, 자동 제어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KR1020177032829A 2015-04-15 2016-03-31 자동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KR102557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53329A FR3035165B1 (fr) 2015-04-15 2015-04-15 "dispositif de commande impulsionnelle d'une boite de vitesses automatique"
FR1553329 2015-04-15
PCT/FR2016/050727 WO2016166436A1 (fr) 2015-04-15 2016-03-31 Dispositif de commande impulsionnelle d'une boite de vitesses automa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624A true KR20170136624A (ko) 2017-12-11
KR102557103B1 KR102557103B1 (ko) 2023-07-19

Family

ID=53274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829A KR102557103B1 (ko) 2015-04-15 2016-03-31 자동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283794B1 (ko)
KR (1) KR102557103B1 (ko)
CN (1) CN107636359B (ko)
FR (1) FR3035165B1 (ko)
WO (1) WO20161664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09813B4 (de) * 2018-06-18 2020-08-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Wähleinrichtung für ein 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Wähleinrichtung
CN109812574B (zh) * 2019-02-27 2020-08-07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杆式电子换挡器及汽车
DE102019117632A1 (de) * 2019-07-01 2021-01-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teuereinheit und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eines manuellen Schaltmodus
CN112344007B (zh) * 2019-08-08 2022-04-26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单稳态电子换挡机构的换挡方法
DE102019128260A1 (de) * 2019-10-21 2021-04-2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teuereinheit und Verfahren zum manuellen Schalten mittels einer graphischen Benutzeroberfläche
CN114962628B (zh) * 2022-06-07 2023-06-09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换挡控制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9840A1 (de) * 2001-03-15 2002-09-19 Luk Lamellen & Kupplungsbau Automatisiertes Schaltgetriebe mit Bedienungsschnittstelle
US20030218343A1 (en) * 2002-04-12 2003-11-27 Manabu Sato Bumper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WO2004046585A1 (de) * 2002-11-16 2004-06-0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Getriebevorrichtung mit schalteinrichtung
JP2005007993A (ja) * 2003-06-18 2005-01-13 Toyota Motor Corp 変速機のシフト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8528A1 (de) 1999-08-13 2001-02-15 Audi Ag Steuereinrichtung für automatisch und manuell schaltbare Getriebe
JP4846534B2 (ja) * 2006-11-17 2011-12-28 アイシン・エーアイ株式会社 シフトレバー装置
JP4432984B2 (ja) * 2007-03-06 2010-03-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DE102009015883B4 (de) * 2009-04-01 2011-01-05 Ecs Engineered Control Systems Ag Vorrichtung zur Erfassung der Position eines Fahrstufenwählhebels, Kraftfahrzeug
CN103836172B (zh) * 2012-11-27 2016-02-0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电子换档器
FR3001521A3 (fr) * 2013-01-31 2014-08-01 Renault Sa Procede et dispositif de controle des changements de mode d'une transmission automatique
KR101345155B1 (ko) * 2013-02-01 2013-1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레버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9840A1 (de) * 2001-03-15 2002-09-19 Luk Lamellen & Kupplungsbau Automatisiertes Schaltgetriebe mit Bedienungsschnittstelle
US20030218343A1 (en) * 2002-04-12 2003-11-27 Manabu Sato Bumper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WO2004046585A1 (de) * 2002-11-16 2004-06-0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Getriebevorrichtung mit schalteinrichtung
JP2005007993A (ja) * 2003-06-18 2005-01-13 Toyota Motor Corp 変速機のシフト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103B1 (ko) 2023-07-19
CN107636359A (zh) 2018-01-26
WO2016166436A1 (fr) 2016-10-20
FR3035165A1 (fr) 2016-10-21
CN107636359B (zh) 2019-08-06
EP3283794A1 (fr) 2018-02-21
FR3035165B1 (fr) 2017-04-07
EP3283794B1 (fr)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7103B1 (ko) 자동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JP4486602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7028575B2 (en) Transmission shifting mechanism
JP4009405B2 (ja) 選択装置を備えた自動車
KR101575414B1 (ko) 차량의 변속 장치
CN102947147B (zh) 用于操纵机动车的功能的装置
JP4373212B2 (ja) 自動シフト装置の運転状態を調節するための信号発生器
US6621176B1 (en) Input device for use in vehicles for inputting settings pertaining to driver's intention of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JP2007168771A (ja) 伝動装置用の変速位置
EP3317563B1 (en) Shift-by-wire shift unit for shifting a transmission of a vehicle
EP2716937A1 (en) Straddle-type vehicle comprising a transmission with auto and manual mode
JP5842001B2 (ja) シフト切り替え装置
US20120001747A1 (en) Electronic drive selector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US20190072177A1 (en) Shift-by-wire vehicle shifting device for changing shift-range of vehicle among a plurality of shift-ranges based on manipulation made by driver
US10436309B2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an automotive automatic transmission
JP2003139229A (ja) 自動変速機の選択レンジ切り換え制御装置
JP5880397B2 (ja) 車両のシフト装置
US20140039746A1 (e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motor vehicle with an electric motor and a motor vehicle
ES2323892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 control automatico del mecanismo de transmision para una caja de cambios de vehiculos industriales o comerciales.
KR101459960B1 (ko) 차량의 변속레버 장치
JP2006273208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5844513B2 (ja) シフト装置
US11835129B2 (en) Control unit and method for providing a manual shift mode
JP2021162109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システム
EP2868948B1 (en) Method for shifting gears and gear shifting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