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8945A - 도포장치, 도포방법 및 도막을 가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포장치, 도포방법 및 도막을 가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8945A
KR20160138945A KR1020167019788A KR20167019788A KR20160138945A KR 20160138945 A KR20160138945 A KR 20160138945A KR 1020167019788 A KR1020167019788 A KR 1020167019788A KR 20167019788 A KR20167019788 A KR 20167019788A KR 20160138945 A KR20160138945 A KR 20160138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support
bar
coating liquid
applicat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9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5009B1 (ko
Inventor
유타카 니시모리
히로유키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8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13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08Details thereof, e.g. surfa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2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the work being a web or sheets
    • B05C1/083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the work being a web or sheets the coating roller co-operating with other rollers, e.g. dosing, transfe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transfer from the surfaces of elements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brushes, pads,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18Pretreatment, e.g. heating the substrate
    • B05D3/0227Pretreatment, e.g. heating the substrate with IR heaters
    • B29C47/00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52/00Sheets
    • B05D2252/02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29L2009/005Layered products co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포장치는 도포액 도입구와 상부 개구부를 갖는 용기(34) 내에 배치된 회전가능한 도포바(1)와, 도포바(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복수 쌍 배치되어 도포바(1)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회전가능한 지지체(2a, 2b)와, 적어도 지지체(2b)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보(37)를 갖고, 지지체(2b)의 축중심(13b)과 보(37)의 단부 가장자리부이고 지지체(2b)로부터 가장 가까운 점(A)을 연결하는 선을 직선(L1)이라고 하고, 또한 직선(L1)이 지지체(2b)의 외주면과 교차하는 점을 교점(B)이라고 하면, 선분 AB의 중점을 지나는 직선(L1)에 직교하는 직선(L2)이 도포바(1)와 교차하지 않도록 지지체(2b)와 보(37)의 위치 관계를 규정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수반류에 의한 용기 내의 액면의 맥동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도포 부분에서의 기포의 말려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포장치, 도포방법 및 도막을 가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COATING DEVICE, COATING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RESIN FILM HAVING COATING FILM}
본 발명은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반송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 등의 웹의 표면에 도포액을 균일하게 도포하는 방법으로서 로드 코팅법이 있다. 이것은 웹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도포바를 주행하는 웹의 하면을 압박하여, 미리 웹에 공급한 과잉량의 도포액을 도포바로 긁어내는(계량하는) 방법이다. 도포바는 웹에 압박됨으로써 웹과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 또는 모터 등에 의해 부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도포바는 일반적으로 직경 수 십mm, 길이 수 백mm∼수 천mm의 장척 로드 형상이기 때문에, 자중이나 웹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의해 휨이 발생하기 쉽다. 이 휨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서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포바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V자형의 단면을 갖는 지지체로 도포바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도포바가 V자형의 단면을 갖는 지지체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 불량을 일으켜서 줄무늬상의 결점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이 방법에서는 도포액 부착용 바 및 계량용 바의 회전에 의해, V자형의 단면을 갖는 지지체가 마모되고, 이 마모분이 도포액과 함께 웹에 도포되어서 이물 결점이 생기거나 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래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수단으로서 회전가능한 롤러를 갖는 도포장치가 알려져 있다. 도포바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지지수단이 간헐적으로 설치되고, 각 지지수단에는 웹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한 쌍이 되는 형태로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회전가능한 복수 쌍의 롤러에 의해 도포바를 외접 지지함으로써 도포바와 지지수단의 마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수단의 마모·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도포장치의 경우, 표면에 얇게 도포액이 잔존하고 있는 상태의 도포바와 회전가능한 지지체가 접촉 회전함으로써 양자의 접점부에서 기포가 물려 들어가고, 이 기포가 도포바의 표면에 남은 도포액과 함께 웹에 도포되고, 그 후 웹 상에서 터짐으로써 도포 누락 형상의 결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것을 방지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3, 4에서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포바를 지지하는 회전가능한 지지체를 용기 내에 배치하고, 그 용기 내를 도포액으로 채우는 도포장치가 알려져 있다. 도포액은 용기 내에 공급되고, 용기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하류 커버의 선단과 도포바 표면에서 형성되는 간극으로부터 도포액을 누설하면서 도포를 행한다. 도포바는 용기에 채워진 도포액의 액면 부근에 배치되고, 도포바의 회전에 의해 용기 내의 도포액을 긁어 올려서 도포를 행한다. 본 장치에서는 도포바와 회전가능한 지지체의 접점부가 도포액 중에 가라앉혀져 있기 때문에 기포가 물려들어가기 어렵다.
다만, 특허문헌 3, 4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장치에서는 지지체의 회전에 의해 용기 내에 발생한 수반류에 의해, 액면이 물결쳐서 기포가 물려들어가는 경우가 있었다. 발생한 기포는 도포액과 함께 용기 내를 흐르고, 도포바에 의해 긁어 올려져서 웹에 도포되어, 특허문헌 2와 마찬가지로 도포 누락 형상의 결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상기 문제에 대하여, 특허문헌 3, 4에는 수반류에 의한 액면의 물결침을 억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것은 액면 근방에 탄성 블레이드를 설치하는 기술이다. 회전하는 지지체에 의해 발생한 수반류는 액면에 도달하기 전에 탄성 블레이드에 의해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액면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특허문헌 4에 개시되어 있다 것은 회전하는 지지체의 상부에 도포바에 근접하는 보를 설치하는 기술이다. 보에 의해 수반류를 막아서 액면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3-275643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 2-4517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0-7577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8-23808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탄성 블레이드를 설치하는 기술에서는 용기 내에 공급되는 도포액에 기포가 혼입되어 있을 경우, 도포 누락 형상의 결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도 9과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도포바 표면의 개략도이다. 도포바는,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9)에 와이어(10)를 감음으로써 표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특허문헌 3의 도포바 부근의 확대도이다. 지지체(2)에 의해 지지된 도포바(1)가 반송하는 웹(8)에 압박되어 종동(從動) 회전하고 있다. 도포바(1)에 의해 지지체(2)는 동조 회전하여 수반류(4)가 발생한다. 수반류(4)는 탄성 블레이드(11)에 의해 막아 지기 때문에 액면(41)의 맥동은 억제된다. 그러나, 탄성 블레이드(11)는 수반류의 발생 자체를 방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포액 중의 기포(6)가 지지체(2)의 수반류(4)에 의해 도포바(1)의 표면 부근에 도달한다. 그 후, 기포(6)는 도포바의 수반류(5)로 말려 들어가고, 접점(7)에서 도포바(1)의 홈에 보충된다. 보충된 기포(6)는 도포바(1)의 회전에 의해 웹의 표면으로 운반되어 웹 표면에 도포된다. 그 결과, 웹에 도포 누락 형상의 결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기포(6)는 수반류(4)에 의해 탄성 블레이드(11)의 하면에 도달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도 탄성 블레이드의 하면에서 체류하는 동안에 도포바의 수반류(5)로 말려 들어가서, 상기와 같이 웹에 도포 누락 형상의 결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 개시되어 있는 보를 설치하는 기술에서도, 특허문헌 3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용기 내에 공급되는 도포액에 기포가 혼입되었을 경우, 웹에 도포 누락 형상의 결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특허문헌 4의 도포바 부근의 확대도이다. 지지체(2)에 의해 지지된 도포바(1)가 반송되는 웹(8)에 압박되어 종동 회전하고 있다. 수반류(4)는 보(3)에 의해 막아 지기 때문에, 액면(41)의 맥동은 억제된다. 그러나, 보(3)는 수반류의 발생 자체를 방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포액 중의 기포(6)가 지지체(2)의 수반류(4)에 의해 보(3)와 지지체(2) 사이를 흘러서 도포바(1)의 표면 부근에 도달한다. 그 후, 기포(6)는 도포바의 수반류(5)로 말려 들어가서, 접점(7)에서 도포바(1)의 홈에 보충된다. 그 후, 특허문헌 3과 마찬가지의 이유에서, 웹에 도포 누락 형상의 결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도포 부분에서의 기포의 물려 들어감이나 말려 들어감을 방지하여, 기포 기인으로 발생하는 도포 결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도포장치는 이하와 같다.
도포액 도입구를 갖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류측 상단부 및 하류측 상단부와,
상기 개구부에 상기 상류측 상단부의 선단과 상기 하류측 상단부의 선단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개구부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축 방향을 향해서 배치된 회전가능한 도포바와,
상기 도포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복수 쌍 배치되고, 상기 용기 내에서 도포바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회전가능한 지지체와,
적어도 1개의 상기 지지체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보를 갖고,
상기 지지체의 축중심으로부터 연장되고 이 지지체에 근접하는 보에 접하는 직선을 L1, L1과 보의 접점 중 지지체의 축중심에 가장 가까운 점을 A, 및 L1과 지지체의 외주면의 교점을 B라고 하면, 선분 AB의 중점을 지나고 직선(L1) 및 지지체의 축방향과 수직한 직선(L2)이 상기 도포바와 교차하지 않고,
상기 직선(L1)은 상기 지지체의 축중심으로부터 연직방향 상측으로 연장된 직선을 이 축중심을 지점으로 해서 하류측으로 쓰러뜨려 가서 이 지지체에 근접하는 보에 접촉시킨 직선인 도포장치.
여기에서, 도포장치의 「상류측」이란, 도포장치를 웹의 반송 라인에 설치했을 때에, 웹이 반송되어 오는 방향으로 향하는 측이다. 도포장치의 「하류측」이란, 도포장치를 웹의 반송 라인에 설치했을 때에, 웹이 반송되어 가는 방향으로 향한 측이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도포방법은 이하와 같다.
본 발명의 도포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용기에 상기 도포액 도입구로부터 도포액을 공급하면서, 이 도포액에 상기 도포바를 침지하고, 소정의 속도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반송되는 웹에 상기 도포바를 압박하여, 상기 도포바에 의해 쓸어올린 상기 도포액을 상기 웹에 도포하는 도포방법.
또한, 본 발명의 도막을 가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은 이하와 같다.
압출기에 의해 폴리머를 압출하고, 이 폴리머를 시트상으로 성형해서 수지 필름으로 하는 공정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포방법으로 상기 수지 필름의 표면에 도포액을 도포해서 도막을 형성하는 도막을 가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도막을 가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은 이하와 같다.
권출기로 수지 필름을 권출하고, 이 권출된 수지 필름의 표면에 본 발명의 도포방법으로 도포액을 도포해서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이 형성된 수지 필름을 권취기로 권취하는 도막을 가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에 의하면,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도포장치 내에 충전되어 있는 도포액에 기포가 혼입된 경우에도, 그 기포가 도포바에 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누설하는 도포액과 함께 도포장치 밖으로 배출하킴으로써 기포 기인의 도포 결점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에 의하면, 액면의 맥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도포 부분에서의 기포의 물려 들어감을 방지하여, 기포 기인의 도포 결점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을 Z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를 W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직선(L2)이 도포바와 교차하는 실시형태의 도포바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특허문헌 3의 도포장치의 도포바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포바 표면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특허문헌 4의 도포장치의 도포바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웹의 제조 공정의 일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웹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인라인으로 도포를 행할 때의 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포장치, 도포방법]
우선, 본 실시형태의 장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도 1을 Z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확대도, 도 4는 도 2를 W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도포장치는 도포액 도입구(30)를 갖는 용기(31)와, 도포액(32)에 침지된 도포바(1)와, 도포바(1)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지지체(2)를 갖고 있다. 지지체(2)는 도포바(1)의 축중심(12)에 대하여 웹(8)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축중심(13a)을 갖고, 도포바(1)를 상류측의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체(2a)와, 도포바(1)의 축중심(12)에 대하여 웹(8)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축중심(13b)을 갖고, 도포바(1)를 하류측의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체(2b)로 구성되어 있다(부호 12, 13a, 13b는 도 3에 도시). 용기(31)의 상부에는 도포바(1)에 대하여 웹(8)의 반송 방향(도 1의 웹(8)의 단부에 화살표로 도시)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상류측 상단부(33) 및 하류측 상단부(34)가 있다. 상류측 상단부(33)와 하류측 상단부(34)에 의해 용기(31)의 길이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좌표축의 Y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에는 도포바(1)가 개구부의 길이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좌표축의 Y 방향)으로 회전축 방향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상류측 상단부(33)와 도포바(1)에 의해 제 1 간극(35), 하류측 상단부(34)와 도포바(1)에 의해 제 2 간극(36)을 형성하고 있다. 지지체(2b)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보(37)가 용기(31)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포바(1)는 양단부에서 베어링 등(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포바(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바(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복수 배치된 회전가능한 지지체(2)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외접 지지되어 있다. 도포바(1)는 소정의 속도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반송되는 웹(8)에 압박되어 종동 회전하고, 도포바(1)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체(2)도 도포바(1)에 의해 종동 회전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도포액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포액(32)은 도포액 도입구(30)로부터 도포액 공급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순차 공급되어서 용기 내를 채우고, 일부는 도포바(1)에 의해 쓸어 올려짐으로써 웹(8)에 도포된다. 나머지의 도포액(32)은 제 1 간극(35), 제 2 간극(36), 및 용기 측면과 도포바(1)의 간극(38)(도 4에 사선으로 도시) 등으로부터 순차 용기 외로 누설된다.
도포액 공급 수단으로서는 정량성 및 저맥동성을 갖는 기어펌프나 다이어프램 펌프, 모노펌프가 바람직하다. 또한, 펌프로부터 토출된 도포액을 필터나 탈포수단을 통해서 용기에 공급해도 좋다. 또한 용기에의 도포액의 공급은 용기 내의 수 개소로부터 공급해도 좋다.
도포액이 누설되는 부분인 제 1 간극(35), 제 2 간극(36)(모두 도 1에 도시), 용기 측면과 도포바(1)의 간극(38)(도 4에 도시)은 작은 편이 바람직하다. 제 1 간극(35)은 3mm 이하, 제 2 간극(36)은 2mm 이하가 적합하다.
[보]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37)는 지지체(2b)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37)는 지지체(2b)의 축중심(13b)으로부터 연장되어서 보(37)에 접하는 직선을 L1, L1과 보(37)의 접점 중 지지체(2b)의 축중심에 가장 가까운 점을 A, L1과 지지체(2b)의 외주면의 교점을 B라고 하면, 선분 AB의 중점을 지나고, 직선(L1) 및 지지체(2b)의 축방향의 각각과 수직한 직선(L2)이 상기 도포바와 교차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직선(L1)은 지지체(2b)의 축중심(13b)으로부터 연직 방향 상측으로 연장된 직선을 이 축중심(13b)을 지점으로 해서 하류측으로 쓰러뜨려 가서 보(37)에 접촉시킨 직선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포액 중에 기포가 혼입되어도 그들이 웹(8)에 도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확대도, 도 7은 L2가 도포바에 교차하는 실시형태의 도포바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6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37)와 지지체(2b)에 의해 형성된 유로의 종단부로부터 방출된 기포(44)가 용기 내를 흐르고, 도포바(1)의 홈에 보충되지 않고 액면(41)으로부터 장치 밖으로 흘러 나온다. 그러나, 도 7과 같이 L2가 도포바(1)와 교차할 경우, 보(37)와 지지체(2b)에 의해 형성된 유로의 종단부로부터 방출된 기포(44)는 도포바(1)를 향해서 흐르고, 수반류(5)로 말려 들어가서 접점(7)에서 도포바(1)의 홈으로 보충된다. 보충된 기포(44)는 도포바(1)의 회전에 의해 도포면까지 도달해서 웹 표면에 도포된다. 그 결과, 웹에 도포 누락 형상의 결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지지체(2b)의 축중심(13b)을 지나는 연직선(50)(도 1에 도시)보다 웹(8)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있어서, 보(37)와 지지체(2b)의 외주면의 간극이 적어도 일부분에서 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연직선(50)보다 하류측」에는 연직선(50)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품의 용도 등에 따라 보(37)의 마모 찌꺼기가 도막에 혼입되어도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보(37)를 지지체(2b)에 접촉시켜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체(2b)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수반류(40)를 보(37)에 의해 막아서 액면(41)의 맥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극이 지나치게 크면 수반류를 막는 효과가 작아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간극이 2mm 이하가 되는 위치가 연직선(50)보다 웹(8)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는 있지만 반송 방향 하류측에 없으면, 연직선(50)보다 하류측에 있어서 지지체(2b)의 외주면에서 수반류가 다시 발생하여 액면(41)이 맥동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보(37)와 지지체(2b)의 외주면의 간극이 2mm 이하가 되는 위치가 연직선(50)보다 하류측에 있기만 하면, 연직선(50)보다 상류측에 간극이 2mm 이하가 되는 위치 가 있어도 좋다. 또한, 보(37)를 지지체(2b)에 접촉시키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간극을 0.1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극이 0.1mm 이상이면, 지지체(2b) 표층의 고무 등이 도포액에서 팽윤해도 보(37)와 지지체(2b)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보(37)는 웹의 폭 방향으로 복수 개 있는 지지체(2b)의 적어도 1개에 근접해서 설치하면 좋다. 웹의 폭 방향 단부 등은 최종적으로 제품으로서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부분에서는 도포 누락 형상의 결점이 발생해도 문제가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보(37)를 최종적으로 제품으로 해서 사용되는 범위에 있는 지지체(2b)에만 근접해서 설치해도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보(37)를 모든 지지체(2b)에 근접해서 설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필름 전폭에 있어서 기포 혼입에 의한 도포 누락 형상의 결점을 방지할 수 있다.
보(37)는 도 8과 같이 용기(31)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보(37)의 하면에 기포나 도포액이 체류하지 않도록, 보(37)의 하면이 용기(31)의 측면측으로부터 지지체측을 향하여 수평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37)는 도포장치를 구성하는 용기(31)나 하류측 상단부(34) 등과 일체화되어 있어도 좋고, 분리될 있도록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에서, 일체화란, 예를 들면 용접 등에 의해 용기(31)에 보(37)가 부착되어 있을 경우나, 단일의 부재를 커팅함으로써 용기(31)와 보(37)를 성형하여 있을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보(37)는 지지체와의 간극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어도 좋다.
보(37)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웹(8)의 폭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설치해도 좋고, 도 2의 보(37)끼리를 연결하도록 하여 웹(8)의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해도 좋다. 도 2와 같이 간헐적으로 설치할 경우, 지지체(2b)에 의한 수반류를 확실하게 막기 때문에, 보(37)의 웹 폭 방향의 길이(45)는 지지체(2b)의 웹 폭 방향의 길이(46)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37)는 지지체(2a)에 근접해서 설치해도 좋다. 액면(41)이 맥동하는 원인이 되는 수반류는 주로 필름 반송 방향 하류측의 지지체(2b)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지지체(2b)에 근접해서 보(37)를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필름 반송 방향 상류측의 지지체(2a)에도 근접해서 설치함으로써, 액면(41)의 맥동을 보다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보(37)를 지지체(2a)에 근접해서 설치할 경우에도, 지금까지 설명해 온 바와 같이, 지지체(2b)에 근접해서 설치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설치하면 좋다.
[도포바]
도포바(1)로서는, 예를 들면 로드, 로드의 외주면에 와이어를 감아서 홈을 형성한 와이어바, 로드의 외주면에 전조 가공에 의해 홈을 형성한 전조 로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포바(1)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가 바람직하고, 특히 SUS304 또는 SUS316이 바람직하다. 도포바(1)의 표면에는 하드크롬 도금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도포바(1)의 직경은 크면 리브 라인이라고 불리는 반송 방향을 따른 줄무늬 형상의 도포 결점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작으며 도포바(1)의 휨이 커지기 때문에, 10∼20mm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포바(1)를 웹(8)에 압박하여 웹(8)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는 소위 종동 회전의 상태이지만, 모터 등의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시켜도 좋다.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시킬 경우, 웹에 스크레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포바는 웹의 반송 방향으로 웹의 반송 속도와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한 속도」란, 도포바의 주속과 웹의 반송 속도의 속도차를 ±10% 이하로 회전시키는 것을 말한다. 다만, 제품의 용도 등에 따라, 웹의 스크레치가 문제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도포바를 웹의 반송 속도와 다른 속도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웹의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좋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도포바(1)에 대한 권취 각도(α)는 지나치게 작으면 웹의 플러터링이나 진동에 의한 횡단차 형상의 도포 결점이 발생하고, 반대로 지나치게 크면 도포바(1)나 지지체(2)에의 하중이 증가하여 도포바(1)의 휨이 커지거나, 지지체(2)가 마모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2∼1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
지지체(2)로서는 롤러나 볼 등 회전하면서 도포바를 지지하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또한, 지지체(2)는 도포바(1)의 마모를 경감하기 위해서, 표층에 도포바(1)보다 경도가 낮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층의 재질로서는 합성 고무나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엘라스토머란, 사출 성형법, 압출 성형법, 주형 성형법, 블로우 성형법, 인플레이션 성형법 등에 의해 용융 성형을 할 수 있는 고무상의 탄성체 수지를 말한다. 엘라스토머로서는 우레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내마모성,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2)의 표층에 형성하는 엘라스토머의 두께는 0.5∼6mm가 바람직하다. 엘라스토머의 경도는 60∼98A(1996년 JIS K6253의 규격에 따라 측정)가 바람직하다.
도포바(1)를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지지체(2)는 웹(8)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도포바(1)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양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향하는 지지체(2)가 간섭하지 않도록 도포바(1)의 길이 방향으로 조금 어긋나게 배치해도 좋다. 또한, 웹(8)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도포바(1)의 상류측에 배치된 지지체(2a)의 축중심(13a)과 도포바(1)의 축중심(12)을 연결하는 선이 연직 방향과 이루는 각도를 β1(도 1에 도시), 웹(8)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도포바(1)의 하류측에 배치된 지지체(2b)의 축중심(13b)과 도포바(1)의 축중심(12)을 연결하는 선이 연직 방향과 이루는 각도를 β2(도 1에 도시)라고 하면, β1과 β2는 함께 1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β1, β2)가 지나치게 작으면, 웹(8)의 진동에 의해 도포바(1)가 진동하여 도포 결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지지체(2)의 회전에 진동이나 편차가 있으면, 그들이 도포바(1)에 전해져서 도포 결점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지지체(2)는 매끄럽게 회전하도록 베어링을 갖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2)가 도포액 중에 가라앉기 때문에, 베어링의 재질은 도포액에 대한 부식성이 강한 재질이 바람직하고, 방수성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체(2)의 직경은 8mm 이상인 것이 시판의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발생하는 수반류를 작게 하기 위해서, 및 범용의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체(2)의 축방향의 길이는 3∼2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바(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지지체(2)의 배치 간격은 지나치게 크면 도포바(1)의 휨이 커지기 때문에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표준으로서 도포바(1)의 휨이 10㎛ 이하가 되도록 배치하면 좋다. 휨량은 웹(8)의 주행 방향에 가하는 장력과 도포바(1)에 대한 웹(8)의 권취 각도(α)로부터 산출되는 웹(8)의 면외 방향으로의 반력을 도포바(1)에 가하는 등분포 가중으로 하고, 지지체(2)를 지지점으로 해서 도포바(1)의 단면 2차 모멘트 및 영률을 이용하여 재료 역학의 식에 의해 구하면 좋다.
지지체(37)의 재질로서는 철,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구리 등의 금속류, 나일론, 아크릴 수지, 염화비닐 수지, 4불화 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류, 또는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형상은 판상의 것이어도 블록상의 것이어도 좋다.
[상류측 상단부, 하류측 상단부]
도 1에 도시한 상류측 상단부(33)는 적어도 일부가 개구부측으로부터 상류측 방향으로 떨어짐에 따라서 수평으로부터 하방으로 10°이상 90°이하만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류측 상단부(34)는 적어도 일부가 개구부측으로부터 하류측 방향으로 떨어짐에 따라서 수평으로부터 하방으로 10°이상 90°이하만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 1 간극(35) 및 제 2 간극(36)으로부터 누설된 도포액이 상류측 상단부(33) 및 하류측 상단부(34)의 상면에 고여서 도포액이 변질되거나, 도포바 상류측의 액 리저버(39)를 흐트러뜨려서 도포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포액]
도포액의 점도는 0.1Pa·s 이하가 바람직하다. 도포액의 점도가 높을 경우에는 도포바에 의해 용기 내의 도포액을 쓸어 올릴 때에 도포액이 줄무늬 형상으로 되어, 웹의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도포할 수 없고, 도포 줄무늬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포액의 점도는 1996년 JIS Z8803의 규격에 따라 측정한 값이다. 측정기로서는, 예를 들면 레오미터(Rheotech Co., Ltd. 제품, RC20)를 사용할 수 있다. 점도의 측정에 있어서는 측정 조건인 도포액의 온도는 실제의 도포부에 있어서의 도포액의 온도를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도포부에 있어서의 도포액의 온도를 정확하게 아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송액 탱크 등의 도포액 공급 수단(도시하지 않음) 내의 도포액 온도로 대용하면 좋다. 도포바의 회전 주속은 150m/분 이하가 바람직하다. 회전 주속이 빠르면, 도포 줄무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도포액의 도포량은 도포 직후의 습윤 상태에 있어서 2∼100g/㎡가 바람직하고, 4∼50g/㎡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포량은 도포바에 형성된 홈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홈의 크기는 도포바가 와이어바일 경우에는 권취하는 와이어의 선지름을 변경하고, 도포바가 전조 로드일 경우에는 홈 깊이 및/또는 홈 피치가 다른 다이스에 의해 전조 가공함으로써 변경할 수 있다.
[도막을 가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본 실시형태에 의한 도포는 제막 중의 웹에 인라인으로 실시해도 좋고, 제조한 웹에 오프라인으로 실시해도 좋다.
수지 필름의 제조를 예로 해서, 제조 중의 웹에 인라인으로 도포를 행할 때의 장치 구성을 도 12 및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수지 필름의 제조 공정의 일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도 12의 수지 필름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인라인으로 도포를 행할 때의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수지 필름의 제조 공정은 압출기(200), 금구(201), 캐스팅 드럼(202), 종연신기(203), 횡연신기(204), 권취롤(205)을 갖고 있다. 압출기(200)에 의해 폴리머를 압출하고, 금구(201), 캐스팅 드럼(202)을 거쳐서 폴리머는 시트상으로 성형된다. 형성된 수지 필름은 종연신기(203), 횡연신기(204)에 의해 종횡으로 연신된다. 연신된 수지 필름은 권취롤(205)에 의해 연속적으로 권취된다. 제조 중의 수지 필름에 인라인으로 도포를 행할 때는,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종연신기(203)와 횡연신기(204) 사이에 도포장치(206)를 설치하고, 종연신된 후의 수지 필름에 도포를 행한다. 여기에서는 종연신 후, 횡연신하는 축차 2축 연신 방식의 예를 나타냈지만, 동시 2축 연신 방식 전에 본 도포장치를 설치해도 좋다.
제조한 수지 필름에 오프라인으로 도포를 행할 때는 권취된 수지 필름을 권출기로 일단 권출하고, 다시 권취기로 권취하는 도중에 도포장치를 설치하고, 수지 필름에 도포를 행한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기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상기 실시형태는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극한 점도(고유 점도라고도 함) 0.62dl/g(1996년 JIS K7367의 규격에 따르고, 25℃의 o-클로로페놀 중에서 측정)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로 생략함)의 칩을 180℃에서 충분하게 진공 건조시켰다. 진공 건조시킨 칩을 도 13의 압출기(200)에 공급해서 285℃에서 용융시켰다. 용융한 폴리머를 T자형 금구(201)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정전인가 캐스트법을 이용하여 표면 온도 23℃의 경면 캐스트 드럼(202)에 권취하고 냉각 고화해서 미연신 필름으로 했다. 이어서, 종연신기(203)에 있어서, 이 미연신 필름을 80℃로 가열한 롤군에서 가열하고, 적외선 히터로 더 가열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3.2배 연신하고, 50℃로 조정한 냉각 롤에서 냉각하여, 1축 연신의 수지 필름으로 했다. 수지 필름의 폭은 1700mm이었다. 이어서, 도포장치(206)로서 도 1의 도포장치를 사용하여, 속도 70m/분으로 주행하는 이 수지 필름의 하면에 도포액(32)을 도포했다. 이어서, 횡연신기(204)에 있어서, 도포액(32)이 도포된 수지 필름을 90℃의 오븐 내로 인도해서 가열하고, 이어서 100℃의 오븐 내에서 도포액(32)을 건조시키고, 또한 수지 필름을 폭 방향으로 3.7배 연신하고, 또한 220℃의 오븐 내에서 폭 방향으로 5% 이완 처리하면서 수지 필름의 열고정을 행했다. 이렇게 하여, 편면에 도포액(32)에 의한 막을 형성한 2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종연신기(203)와 횡연신기(204) 사이의 장력은 수지 필름의 주행 방향으로 가하는 단위폭당 장력이 8000N/m가 되도록 댄서롤로 제어했다.
도포액(32)은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에멀젼(함유 성분: 테레프탈산 90몰%,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10몰%, 에틸렌글리콜 96몰%, 네오펜틸글리콜 3몰%, 디에틸렌글리콜 1몰%) 100질량부에 대하여, 멜라민계 가교제(이미노기형 메틸화 멜라민을 이소프로필알콜 10질량%과 물 90질량%의 혼합 용매로 희석한 액)을 5질량부, 평균 입경이 0.1㎛인 콜로이드 실리카 입자를 1질량부 첨가한 혼합액으로 했다. 이 도포액(32)의 점도는 온도 25℃에 있어서 2mPa·s이었다.
이 도포액을 다이어프램 펌프(TACMINA CORPORATION 제품)에 의해 17kg/분으로 용기(31)에 공급했다. 도포액 도입구(30)는 1개소로 하고, 도 1 및 도 2와 같이 용기(31)에 설치했다. 도포바(1)는 직경이 12.7mm, 길이가 1850mm인 스테인리스제의 환봉재에 선형이 0.1mm인 와이어를 감은 것(Kano Shoji Co., Ltd. 제품)을 사용했다. 지지체(2)는 직경이 22mm, 축 방향의 길이가 14mm인 롤러이고, 표면에 경도 95A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를 2mm의 두께로 실시했다. 8개의 지지체(2)를 도포바(1)의 길이 방향으로 470mm 피치로 배치했다. 그때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도포바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지그자그 형상으로 배치했다. 도 1에 나타낸 각도(β1, β2)는 함께 15도가 되도록 배치했다. 지지체(2)는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축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구속되도록 구성했다. 도포바(1)는 지지체(2) 및 양단의 베어링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수평으로 반송되는 수지 필름에 압박되어 권취되는 각(α)을 10도로 하고,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종동 회전시켰다. 제 1 간극(35), 제 2 간극(36)은 각각 3mm, 2mm로 했다. 제 1 간극(35), 제 2 간극(36) 이외의 도포액의 누설부로서는 용기 측면과 도포바의 간극(38)(도 4에 도시)만으로 하고, 간극(38)은 도면에서 확인한 바 단면적이 55m㎡이었다. 상류측 상단부(33)및 하류측 상단부(34)로서 두께가 1mm인 아크릴판을 사용했다. 상류측 상단부(33)는 개구부측으로부터 상류측 방향으로 떨어짐에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부터 하방으로 15°경사진 상태에서 부착했다. 하류측 상단부(34)도 개구부측으로부터 하류측 방향으로 떨어짐에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부터 하방으로 15°경사진 상태에서 부착했다.
보(37)로서는 SUS 304제의 판상의 것을 사용했다. 보(37)를 도 1과 같이 지지체(2b)의 필름 반송 방향 하류측에 간극(42)이 3mm가 되도록 설치했다. 보(37)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높이가 지지체(2b)의 축중심(13b)과 같아지도록 설치하고, 필름 폭 방향에 관해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헐적으로 설치했다. 보(37)의 필름 반송 방향의 길이는 5mm, 필름 폭 방향의 길이(도 2의 45)는 20mm로 하고, 지지체(2b)의 축 방향 양단면으로부터 3mm씩 돌출하도록 설치했다(도 2의 51, 52를 각각 3mm로 했다).
평가 방법은 도포 후에 횡연신기로 5735±70mm로 신장된 수지 필름을 반송 방향 길이 3m분을 1매 채취하고, 이 샘플을 암실에서 3파장 형광등을 비쳐서 목시 관찰에 의해 도포 누락 결점을 확인했다. 도포 누락 결점은 구상의 기포가 도포액과 함께 수지 필름에 도포된 후 터지고, 그 후 횡연신되므로 타원상의 결점(장경: 1∼10mm, 단경: 0.3∼3mm)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부분은 도포 두께가 얇기 때문에, 3파장 형광등 하에서 색 불균일로서도 확인할 수 있다. 도포 누락 결점은 샘플에 있어서의 개수를 세서 1㎡당 개수를 계산했다. 도포 누락 결점은 적을수록 좋지만, 5개/㎡ 이하이면 제품으로서 출하할 수 있다. 또한, 도포시에 손전등을 하류측 상단부(34) 부근에 비쳐서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액면(41)의 맥동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했다.
본 장치에 의해 도포를 행한 결과,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액면(41)의 맥동은 보여지지 않았다. 도포 누락 결점은 3.8개/㎡로 소량이며, 제품으로서 출하할 수 있는 품질이었다.
[실시예 2]
보와 지지체의 간극(42)을 2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도포를 행했다. 그 결과,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액면(41)의 맥동은 보여지지 않았다. 도포 누락 결점은 1.7개/㎡로 소량이며, 제품으로서 출하할 수 있는 품질이었다.
[실시예 3]
보(37)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2b)의 바로 아래에 설치하고, 지지체(2b)와의 간극(42)을 2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도포를 행했다. 그 결과,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액면(41)의 맥동은 보여지지 않았다. 도포 누락 결점은 4.7개/㎡이며, 제품으로서 출하할 수 있는 품질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보를 지지체(2b)가 아니라 지지체(2a)의 필름 반송 방향 하류측에 마찬가지로 설치해서 도포를 행했다. 그 결과,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액면(41)의 맥동은 실시예 1에 비해서 약간 악화되었지만, 도포 누락 결점은 4.5개/㎡로 소량이며, 제품으로서 출하할 수 있는 품질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필름 폭 방향 양단부의 보를 제거하고 도포를 행했다. 그 결과,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액면(41)의 맥동은 보를 제거한 양단부의 롤러에 있어서 발생했다. 채취한 샘플을 검사한 결과, 폭 5375mm의 샘플에 있어서, 양단 115mm의 부분은 도포 누락 결점이 18.3개/㎡로 많았지만, 그 이외의 부분은 4.0개/㎡로 소량이며, 양단 115mm 이외의 부분은 제품으로서 출하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보로서,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도포를 행했다. 이 보는 실시예 1의 보에 지지체(2b)의 축중심(13b)을 지나는 수평선으로부터 지지체(2b)의 회전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β3)의 구간 내에 있어서, 지지체(2b)의 외주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근접 배치시키는 부분을 추가한 것이다. 이때 β3은 45도로 하고, β3의 구간에 있어서 지지체와 보의 간극은 2mm로 했다. 그 결과,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액면(41)의 맥동은 보여지지 않았지만, 도포 누락 결점은 7.0개/㎡ 발생하여, 제품으로서 출하할 수 없는 품질이었다.
[비교예 2]
보(37)는 설치하지 않고,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탄성 블레이드를 도 9와 같이 설치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도포를 행했다. 탄성 블레이드(11)로서는 두께가 0.1mm인 폴리에틸렌제 필름을 사용하고, 하류측 상단부(34)의 하면에 한쪽 단을 고정하고, 하류측 상단부(34)의 선단으로부터 도포바(1)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했다. 그 돌출된 부분의 길이(도포바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는 3mm가 되도록 하고, 탄성 블레이드의 도포바측의 단부를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탄성 블레이드의 상면측이 도포바(1)에 접하도록 하여, 도포바(1)에 압박했다. 탄성 블레이드의 필름 폭 방향의 길이는 용기의 필름 폭 방향의 내측 치수와 같게 하고, 용기의 전폭에 걸쳐 연장되도록 설치했다.
본 장치를 이용하여 도포를 행한 결과,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액면(41)의 맥동은 보여지지 않았지만, 도포 후의 샘플에 도포 누락 결점은 8.0개/㎡발견되어, 제품으로서 출하할 수 없는 품질이었다.
[비교예 3]
보(37)는 설치하지 않고, 특허문헌 4에 개시되어 있는 보를 도 11과 같이 설치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도포를 행했다. 도포바(1)와 보(3) 선단의 간극은 1mm로 하고, 보(3)가 수평선과 이루는 경사각은 15도, 지지체(2)의 외주면과 보(3) 표면의 최단 거리는 3mm로 했다. 보(3)는 두께가 0.5mm인 스테인리스판을 사용하고, 용기의 길이 방향 전폭에 걸쳐서 연장되도록 설치했다.
본 장치를 이용하여 도포를 행한 결과,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액면(41)의 맥동은 보여지지 않았지만, 도포 후의 샘플에 도포 누락 결점은 8.3개/㎡발견되어, 제품으로서 출하할 수 없는 품질이었다.
[비교예 4]
보를 설치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도포를 행했다. 그 결과,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액면(41)이 실시예 1과 비교해서 맥동하여, 도포 후의 샘플에 도포 누락 결점은 19.1개/㎡ 발견되어, 제품으로서 출하할 수 없는 품질이었다.
1: 도포바 2: 지지체
2a: 상류측 지지체 2b: 하류측 지지체
3: 보 4: 수반류
5: 도포바의 수반류 6: 기포
7: 도포바와 지지체의 접점 8: 웹
9: 로드 10: 와이어
11: 탄성 블레이드 12: 도포바의 축중심
13: 지지체의 축중심 13a: 상류측 지지체의 축중심
13b: 하류측 지지체의 축중심 30: 도포액 도입구
31: 용기 32: 도포액
33: 상류측 상단부 34: 하류측 상단부
35: 제 1 간극 36: 제 2 간극
37: 보 38: 용기 측면과 도포바의 간극
39: 액 리버저 40: 수반류
41: 액면 42: 보와 지지체의 간극
43: 도포액의 흐름 44: 기포
45: 보의 웹 폭 방향의 길이 46: 지지체의 웹 폭 방향의 길이
50: 연직선 51: 지지체와 보의 길이의 차
52: 지지체와 보의 길이의 차 200: 압출기
201: 금구 202: 캐스팅 드럼
203: 종연신기 204: 횡연신기
205: 권취롤 206: 도포장치
a: 웹과 도포바의 접점 A: L1과 보의 접점
B: L1과 지지체 외주면의 접점
L1: 보의 종단부와 지지체의 축중심을 연결한 선
L2: 접점(A)과 접점(B)의 중심으로부터 그은 L1에 수직한 선
α: 권취각
β1: 지지체의 설치 각도
β2: 지지체의 설치 각도
β3: 보 선단과 축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

Claims (7)

  1. 도포액 도입구를 갖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류측 상단부 및 하류측 상단부와,
    상기 개구부에 상기 상류측 상단부의 선단과 상기 하류측 상단부의 선단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개구부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축 방향을 향해서 배치된 회전가능한 도포바와,
    상기 도포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복수 쌍 배치되고, 상기 용기 내에서 도포바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회전가능한 지지체와,
    적어도 1개의 상기 지지체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보를 갖고,
    상기 지지체의 축중심으로부터 연장되고 이 지지체에 근접하는 보에 접하는 직선을 L1, L1과 보의 접점 중 지지체의 축중심과 가장 가까운 점을 A, 및 L1과 지지체의 외주면의 교점을 B라고 하면, 선분 AB의 중점을 지나서 직선(L1) 및 지지체의 축 방향의 각각과 수직한 직선(L2)이 상기 도포바와 교차하지 않고,
    상기 직선(L1)은 상기 지지체의 축중심으로부터 연직 방향 상류측으로 연장된 직선을 이 축중심을 지점으로 해서 하류측으로 쓰러뜨려 가서 이 지지체에 근접하는 보에 접촉시킨 직선인 도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축중심을 지나는 연직선보다 하류측에 있어서, 이 지지체에 근접하는 상기 보와 이 지지체의 외주면의 간극이 적어도 일부분에서 2mm 이하인 도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는 상기 도포바를 하류측의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체의 적어도 1개에 근접해서 설치되어 있는 도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는 상기 도포바를 하류측의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체의 전체에 근접해서 설치되어 있는 도포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포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용기에 상기 도포액 도입구로부터 도포액을 공급하면서, 이 도포액에 상기 도포바를 침지하고, 소정의 속도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반송되는 웹에 상기 도포바를 압박하여, 상기 도포바에 의해 쓸어 올린 상기 도포액을 상기 웹에 도포하는 도포방법.
  6. 압출기에 의해 폴리머를 압출하고, 이 폴리머를 시트상으로 성형해서 수지 필름으로 하는 공정에 있어서, 제 5 항에 기재된 도포방법으로 상기 수지 필름의 표면에 도포액을 도포해서 도막을 형성하는 도막을 가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7. 권출기로 수지 필름을 권출하고, 이 권출된 수지 필름의 표면에 제 5 항에 기재된 도포방법으로 도포액을 도포해서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이 형성된 수지 필름을 권취기로 권취하는 도막을 가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67019788A 2014-03-28 2014-09-18 도포장치, 도포방법 및 도막을 가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KR102155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67699 2014-03-28
JP2014067699 2014-03-28
PCT/JP2014/074715 WO2015145817A1 (ja) 2014-03-28 2014-09-18 塗布装置、塗布方法および塗膜つき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945A true KR20160138945A (ko) 2016-12-06
KR102155009B1 KR102155009B1 (ko) 2020-09-11

Family

ID=54194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9788A KR102155009B1 (ko) 2014-03-28 2014-09-18 도포장치, 도포방법 및 도막을 가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173622A1 (ko)
EP (1) EP3124125B1 (ko)
JP (1) JP6387830B2 (ko)
KR (1) KR102155009B1 (ko)
CN (1) CN106132562B (ko)
WO (1) WO201514581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0103A (ko) * 2020-01-14 2022-07-1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도공기,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
KR20220114074A (ko) * 2020-05-27 2022-08-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도포 장치,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4930B2 (ja) * 2016-03-31 2020-01-22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230149967A1 (en) * 2020-04-24 2023-05-18 Toray Industries, Inc. Coating apparatus and coating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5174A (ja) 1988-08-04 1990-02-15 Fujitsu Ltd プリンタ
JP2003275643A (ja) 2002-03-25 2003-09-30 Fuji Photo Film Co Ltd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JP2008238082A (ja) 2007-03-28 2008-10-09 Toray Ind Inc 塗布方法および塗布装置
JP2010075777A (ja) 2008-09-24 2010-04-08 Toray Ind Inc 塗布方法および塗布装置
JP2013022529A (ja) * 2011-07-22 2013-02-04 Toray Ind Inc 塗液塗布方法、塗布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塗液塗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5174U (ko) * 1988-09-20 1990-03-28
WO1993010976A1 (de) * 1991-11-26 1993-06-10 Cornelis Gorter Farbkammerrakel für einen farbübertragenden körper
JP3758098B2 (ja) * 1995-10-16 2006-03-2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塗布方法および塗布装置
US7048969B2 (en) * 2001-09-28 2006-05-23 Fuji Photo Film Co., Ltd. Coating device and coating method
JP2003190857A (ja) * 2001-12-27 2003-07-08 Toppan Printing Co Ltd ロールコータおよび印刷機
JP5432641B2 (ja) * 2009-09-02 2014-03-05 ナミックス株式会社 薄膜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4454690B1 (ja) * 2009-10-26 2010-04-21 重光 水谷 バー塗布ヘ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バー塗布装置
DE102010030804A1 (de) * 2010-07-01 2012-01-05 Voith Patent Gmbh Druckschlauc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5174A (ja) 1988-08-04 1990-02-15 Fujitsu Ltd プリンタ
JP2003275643A (ja) 2002-03-25 2003-09-30 Fuji Photo Film Co Ltd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JP2008238082A (ja) 2007-03-28 2008-10-09 Toray Ind Inc 塗布方法および塗布装置
JP2010075777A (ja) 2008-09-24 2010-04-08 Toray Ind Inc 塗布方法および塗布装置
JP2013022529A (ja) * 2011-07-22 2013-02-04 Toray Ind Inc 塗液塗布方法、塗布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塗液塗布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0103A (ko) * 2020-01-14 2022-07-1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도공기,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
KR20220114074A (ko) * 2020-05-27 2022-08-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도포 장치,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87830B2 (ja) 2018-09-12
KR102155009B1 (ko) 2020-09-11
US20170173622A1 (en) 2017-06-22
EP3124125A1 (en) 2017-02-01
EP3124125B1 (en) 2018-11-14
EP3124125A4 (en) 2017-11-08
WO2015145817A1 (ja) 2015-10-01
CN106132562A (zh) 2016-11-16
JPWO2015145817A1 (ja) 2017-04-13
CN106132562B (zh) 201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406B1 (ko) 도포 방법 및 도포 장치
KR20160138945A (ko) 도포장치, 도포방법 및 도막을 가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US11062929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substrates using a support roller having a porous material
US20090263626A1 (en) Die coating apparatus, die coating method, and adhesive sheet and foamed sheet
WO2021215367A1 (ja)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JP4894587B2 (ja) 塗布方法および塗布装置
JP5141147B2 (ja) 塗布方法および塗布装置
JP5062125B2 (ja) 塗布方法および塗布装置
JP2018008217A (ja) 塗工装置
EP1991363A1 (en) Coating apparatus
JP2006225677A (ja) 連続部分めっき装置
JPH11197576A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KR102628267B1 (ko) 도공 장치 및 도공막의 제조 방법
KR20080048930A (ko) 바 도포장치 및 바 도포방법
EP1989002A1 (en) Coating apparatus
WO2023176200A1 (ja) 塗工装置および塗膜付きウェブの製造方法
KR102691375B1 (ko) 도공막 형성 방법
JP2013144293A (ja) 塗液塗布方法および塗液塗布装置
JP2014180621A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JP2006281172A (ja) ウェブの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ならびに被膜形成済みウェブの製造方法
JPH09201563A (ja) 塗布方法
KR20090032974A (ko) 바 도포 장치, 그것을 이용한 도포 방법 및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JP2017164669A (ja) シート状物の塗布装置、被膜形成済み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
JP2006255581A (ja) 塗布装置
JP2011092826A (ja) 塗布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塗布フィルムの製造方法並びに塗布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