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074A - 도포 장치,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도포 장치,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074A
KR20220114074A KR1020227024782A KR20227024782A KR20220114074A KR 20220114074 A KR20220114074 A KR 20220114074A KR 1020227024782 A KR1020227024782 A KR 1020227024782A KR 20227024782 A KR20227024782 A KR 20227024782A KR 20220114074 A KR20220114074 A KR 20220114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bar
film
coating
coat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2029B1 (ko
Inventor
미치히로 오마에
유지 야마시타
마사히로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14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바 코터(3)는 바(11)와, 블로어(13)를 구비한다. 바(11)는 기재(S)에 도포액을 도포한다. 바(11)는 기재(S)의 흐름 방향(MD)과 직교하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흐름 방향(MD)에 있어서의 바(11)의 상류측에 있어서 바(11)와 기재(S) 사이에는 도포액이 모인 액체 저장소(L)가 형성된다. 블로어(13)는 기재(S) 중 액체 저장소(L)와 접촉하고 있는 접촉 부분(P)을 압압한다.

Description

도포 장치,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도포 장치,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지 기재의 표면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도포 장치로서 바 코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19-115878호 공보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도포 장치에서는 기포를 포함한 도포액이 기재에 도포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기포를 포함한 도포액이 기재에 도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도포 장치,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1]은 기재에 도포액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 부재이며, 상기 기재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흐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도포 부재의 상류측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의 사이에 상기 도포액이 모인 액체 저장소가 형성되는 도포 부재와, 상기 기재 중 상기 액체 저장소와 접촉하고 있는 접촉 부분을 압압하는 압압 장치를 구비하는 도포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액체 저장소 내에 기포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 압압 장치가 접촉 부분을 압압함으로써 액체 저장소로부터 기포를 압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포를 포함한 도포액이 기재에 도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 [2]는 상기 압압 장치가 기류를 상기 접촉 부분에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접촉 부분을 압압하는 상기 [1]의 도포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압압 장치는 접촉 부분과 접촉하지 않고, 접촉 부분을 압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재가 압압 부재와 스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기재에 상처가 생기는 것에 의한 외관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 [3]은 상기 압압 장치가 상기 접촉 부분을 향해서 상기 기류를 분출하는 노즐을 갖는 상기 [2]의 도포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 [4]는 상기 노즐이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3]의 도포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노즐이 기류를 분출하고 있는 상태로 노즐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액체 저장소 내의 기포를 축 방향으로 압출할 수 있다.
본 발명 [5]는 상기 도포 부재가 바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1개의 도포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 [6]은 기재를 압출 성형하는 압출 성형 장치와, 상기 [1]~[5] 중 어느 1개의 도포 장치이며, 상기 기재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도포 장치와, 상기 도포액이 도포된 상기 기재를 연신하는 연신 장치를 구비하는 필름의 제조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도포 장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기포를 포함한 도포액이 기재에 도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필름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 [7]은 기재를 압출 성형하는 압출 성형 공정과,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1개의 도포 장치로, 상기 압출 성형 공정에 의해 압출 성형된 상기 기재에 상기 도포액을 도포하는 도포 공정과, 상기 도포 공정에 의해 상기 도포액이 도포된 상기 기재를 연신하는 연신 공정을 포함하는 필름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상술한 도포 장치로 기재에 도포액을 도포할 수 있기 때문에 기포를 포함한 도포액이 기재에 도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필름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도포 장치,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기포를 포함한 도포액이 기재에 도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필름의 제조 시스템에 의해 제조되는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필름의 제조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바 코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바 코터의 제 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바 코터의 제 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1. 필름의 제조 시스템
필름(F)의 제조 시스템(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F)은 기재(S)와, 피막(C)을 구비한다. 기재(S)는 기재(S)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 1 면(S1)과, 제 2 면(S2)을 갖는다. 피막(C)은 기재(S)의 제 1 면(S1) 상에 배치된다. 피막(C)은 기재(S)의 제 1 면(S1)을 덮는다. 피막(C)은 이접착층이어도 좋다. 피막(C)이 이접착층일 경우 필름(F)은 이접착 필름이다. 이접착 필름은, 예를 들면 모바일 기기, 카 내비게이션 장치, PC용 모니터, 텔레비전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편광판에 사용된다. 상세하게는 이접착 필름은 편광판의 편광자를 보호하는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이접착 필름은 접착제층을 통해 편광자와 접합된다. 이접착 필름은 이접착층이며, 편광자와 접합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F)의 제조 시스템(1)은 압출 성형 장치(2)와, 제 1 연신 장치(4A)와, 도포 장치의 일례로서의 바 코터(3)와, 연신 장치의 일례로서의 제 2 연신 장치(4B)와, 슬릿 가공 장치(5)와, 널링 가공 장치(6)와, 권취 장치(7)를 구비한다.
(1) 압출 성형 장치
압출 성형 장치(2)는 기재(S)를 압출 성형한다(압출 성형 공정). 압출 성형 장치(2)로부터 압출된 기재(S)는 시트 형상을 갖는다.
기재(S)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아세테이트 수지(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이접착 필름을 제조할 경우 기재(S)의 재료로서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이접착 필름을 제조할 경우 아크릴 수지는 글루타르산 무수물 구조를 갖는 아크릴 수지, 락톤환 구조를 갖는 아크릴 수지이어도 좋다. 글루타르산 무수물 구조를 갖는 아크릴 수지 및 락톤환 구조를 갖는 아크릴 수지는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및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기 때문에 편광도가 높고, 또한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의 제조에 적합하다. 글루타르산 무수물 구조를 갖는 아크릴 수지는 일본 특허공개 2006-28301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6-33590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6-27411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락톤환 구조를 갖는 아크릴 수지는 일본 특허공개 2000-23001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1-15181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12032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25454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5-14608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기재(S)는 아크릴 수지에 추가하여 아크릴 수지 이외의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해도 좋다.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아크릴 수지의 복굴절을 상쇄하여 광학 등방성이 우수한 이접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접착 필름의 기계 강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기재(S)는 산화방지제, 안정제, 보강재,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착색제, 충전제, 가소제, 활제, 필러 등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좋다.
(2) 제 1 연신 장치
제 1 연신 장치(4A)는 압출 성형 공정에 의해 얻어진 기재(S)를 가열한 후 기재(S)의 흐름 방향(MD)으로 연신한다(제 1 연신 공정).
(3) 바 코터
바 코터(3)는 압출 성형 공정에 의해 압출 성형된 기재(S)의 제 1 면(S1)에 도포액을 도포한다(도포 공정). 또한, 기재(S)의 제 1 면(S1)에는 압출 성형 공정 후, 도포 공정 전에 코로나 처리, 플라스마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도 좋다.
이접착 필름을 제조할 경우 도포액은 이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이접착 조성물이다.
이접착층은 바인더 수지와, 미립자를 함유한다.
바인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이접착 필름이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될 경우 바인더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열경화성 수지이다. 바인더 수지는 복수 종류를 병용할 수 있다.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규소(실리카), 산화티탄(티타니아), 산화알루미늄(알루미나), 산화지르코늄(지르코니아) 등의 산화물, 예를 들면 탄산 칼슘 등의 탄산염, 예를 들면 규산 칼슘, 규산 알루미늄, 규산 마그네슘 등의 규산염, 예를 들면 탤크, 카올린 등의 규산염 광물, 예를 들면 인산 칼슘 등의 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접착 필름이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될 경우 미립자는 바람직하게는 산화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산화규소이다. 미립자는 복수 종류를 병용할 수 있다.
도포액(이접착 조성물)은 수지 성분과, 상술한 미립자와, 분산매를 함유한다.
수지 성분은 후술하는 연신 공정에 의해 상술한 바인더 수지의 피막(이접착층)을 형성한다. 바인더 수지가 우레탄 수지일 경우 수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계 우레탄 수지를 들 수 있다. 수계 우레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 수지의 유화물인 비반응형 수계 우레탄 수지,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블록제로 보호한 우레탄 수지의 유화물인 반응형 수계 우레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인더 수지가 우레탄 수지일 경우 도포액은 우레탄 경화 촉매(트리에틸아민 등),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를 함유해도 좋다.
분산매로서는, 예를 들면 물,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콜, 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 등을 들 수 있다.
(4) 제 2 연신 장치
제 2 연신 장치(4B)는 도포 공정에 의해 도포된 도포액을 건조한다. 이에 따라 도포액이 상술한 피막(C)이 된다. 또한, 제 2 연신 장치(4B)는 피막(C)이 형성된 기재(S)를 가열한 후 기재(S)의 폭 방향(TD)으로 연신한다(제 2 연신 공정). 폭 방향(TD)은 흐름 방향(MD)과 직교한다. 제 2 연신 공정에 의해 피막(C)이 형성된 기재(S)가 연신되어 상술한 필름(F)이 얻어진다.
(5) 슬릿 가공 장치
슬릿 가공 장치(5)는 연신 공정에 의해 연신된 필름(F)을 소정 폭으로 절단한다(슬릿 공정).
(6) 널링 가공 장치
널링 가공 장치(6)는 슬릿 공정에 의해 소정 폭으로 절단된 필름(F)의 폭 방향 양단에 널을 형성한다(널링 공정). 널은 레이저에 의해 형성된다. 널은 가열된 엠보스 롤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7) 권취 장치
권취 장치(7)는 널링 공정에 의해 널이 형성된 필름(F)을 권취한다(권취 공정). 권취 공정이 완료됨으로써 필름(F)의 롤을 얻을 수 있다.
2. 바 코터의 상세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 코터(3)는 도포 부재의 일례로서의 바(11)와, 매니폴드 블록(12)과, 압압 장치의 일례로서의 블로어(13)를 구비한다.
(1) 바
바(11)는 상술한 도포 공정에 있어서 기재(S)에 도포액을 도포한다. 바(11)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축 방향은 기재(S)의 폭 방향(TD)과 동일한 방향이다. 즉, 축 방향은 기재(S)의 흐름 방향(MD)과 직교한다. 바(11)는 바 코터(3)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바(11)는 축 방향 및 흐름 방향(MD)의 양쪽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바 코터(3)의 일단부에 배치된다. 바(11)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바(11)로서는, 예를 들면 샤프트에 와이어가 감긴 와이어바, 예를 들면 샤프트에 오목홈이 형성된 와이어리스 바 등을 들 수 있다. 와이어바는 축 방향에 있어서 와이어 사이에 홈이 형성된다.
바(11)에는, 예를 들면 크롬 도금, 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 코팅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도 좋다. 도포액이 상술한 미립자를 함유할 경우 바(11)는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 코팅되어 있다.
바(11)는 흐름 방향(MD)에 대하여 순회전(도 3 화살표 참조)한다. 바(11)의 둘레 속도는 기재(S)의 반송 속도보다 느리다. 이에 따라 기재(S)가 흐름 방향(MD)으로 반송되고, 바(11)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로 흐름 방향(MD)에 있어서의 바(11)의 상류측에 있어서 바(11)와 기재(S) 사이에 도포액이 모인 액체 저장소(L)가 형성된다. 기재(S) 중 액체 저장소(L)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을 접촉 부분(P)으로 정의한다. 접촉 부분(P)은 흐름 방향(MD)에 있어서 상류단(E1)과 하류단(E2)을 갖는다. 상류단(E1)은 흐름 방향(MD)에 있어서 바(11)로부터 떨어져 있다. 하류단(E2)은 바(11)와 접하고 있다.
(2) 매니폴드 블록
매니폴드 블록(12)은 바(11)의 하방에 배치된다. 바 코터(3)가 기재(S)에 도포액을 도포하고 있는 상태로 매니폴드 블록(12)은 직교 방향에 있어서 기재(S)에 대하여 바(11)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매니폴드 블록(12)은 바(11)를 지지한다. 매니폴드 블록(12)은 축 방향 및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다. 매니폴드 블록(12)은 매니폴드(121)와, 토출구(122)와, 유로(123)를 갖는다.
(2-1) 매니폴드
매니폴드(121)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바(11)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다. 매니폴드(121)는 도포액을 모은다.
(2-2) 토출구
토출구(122)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매니폴드 블록(12)의 일단부에 배치된다. 토출구(122)는 흐름 방향(MD)에 있어서 바(11)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토출구(122)는 도포액을 토출한다. 토출구(122)로부터 토출된 도포액은 바(11)의 회전에 의해 기재(S)에 도포된다.
(2-3) 유로
유로(123)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매니폴드(121)와 토출구(122) 사이에 배치된다. 유로(123)는 매니폴드(121)와 토출구(122)를 접속한다. 매니폴드(121) 내의 도포액은 유로(123)를 통해 토출구(122)로부터 토출된다.
(3) 블로어
바 코터(3)가 기재(S)에 도포액을 도포하고 있는 상태로 블로어(13)는 기류를 접촉 부분(P)에 작용시킨다. 바꿔 말하면 기재(S)가 흐름 방향(MD)으로 반송되어 바(11)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로 블로어(13)는 기류를 접촉 부분(P)에 작용시킨다. 블로어(13)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기재(S)에 대하여 바(11)의 반대측으로부터 기류를 접촉 부분(P)에 작용시킨다. 기류가 접촉 부분(P)에 작용함으로써 접촉 부분(P)은 기류에 의해 압압되고, 직교 방향에 있어서 바(11)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해 휜다. 즉, 블로어(13)는 접촉 부분(P)을 압압한다. 이에 따라 액체 저장소(L) 내에 기포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 액체 저장소(L)로부터 기포를 압출한다. 액체 저장소(L)로부터 기포가 압출됨으로써 기포를 포함한 도포액이 기재(S)에 도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도포액 중의 기포에 기인하는 도포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블로어(13)는 접촉 부분(P)과 접촉하지 않고, 접촉 부분(P)을 압압한다. 접촉 부분(P)과 접촉하지 않고 접촉 부분(P)을 압압함으로써 기재(S)가 블로어(13)와 스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기재(S)에 상처가 생기는 것에 의한 외관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블로어(13)는 컴프레서(131)와, 노즐(132)을 갖는다.
(3-1) 컴프레서
컴프레서(131)는 배관을 통해 노즐(132)과 접속된다. 컴프레서(131)는 노즐(132)을 향해서 압축 공기를 보낸다.
(3-2) 노즐
노즐(132)은 직교 방향에 있어서 기재(S)에 대하여 바(11)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노즐(132)은 직교 방향에 있어서 기재(S)에 대하여 토출구(122)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노즐(132)은 컴프레서(131)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접촉 부분(P)을 향해서 분출한다. 이에 따라 노즐(132)은 접촉 부분(P)을 향해서 기류를 분출한다. 노즐(132)로부터 분출된 기류(압축 공기)는 접촉 부분(P)에 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노즐(132)은 흐름 방향(MD)에 있어서의 접촉 부분(P)의 상류단(E1)과 하류단(E2) 사이에 흐름 방향(MD)에 있어서의 접촉 부분(P)의 상류단(E1)보다 강하게 기류를 작용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노즐(132)은 흐름 방향(MD)에 있어서의 접촉 부분(P)의 중앙에 흐름 방향(MD)에 있어서의 접촉 부분(P)의 상류단(E1)보다 강하게 기류를 작용시킨다. 이에 따라 블로어(13)는 흐름 방향(MD)에 있어서의 접촉 부분(P)의 중앙을 흐름 방향(MD)에 있어서의 접촉 부분(P)의 상류단(E1)보다 강하게 압압한다. 이에 따라 액체 저장소(L) 내의 기포를 흐름 방향(MD)에 있어서 바(11)로부터 떨어지는 방향(흐름 방향(MD)에 있어서의 상류 방향)으로 보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132)은 기류를 분출하고 있는 상태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액체 저장소(L) 내의 기포를 축 방향으로 압출할 수 있다. 노즐(132)은 축 방향에 있어서 기재(S)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를 왕복 이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축 방향에 있어서의 액체 저장소(L)의 전부로부터 기포를 압출할 수 있다.
3. 변형예
(1) 노즐(132)은 이동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노즐(132)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접촉 부분(P)의 전부에 기류를 작용시켜도 좋다. 노즐(132)은 축 방향으로 진동 가능해도 좋다.
또한, 블로어(13)는 복수의 노즐(132)을 가져도 좋다. 복수의 노즐(132)은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의 노즐(132) 각각은 축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기류를 분출해도 좋다.
또한, 블로어(13)는 1개의 노즐(132)을 가져도 좋다. 1개의 노즐(132)은 축 방향에 있어서 바(11)의 중앙에 배치되어도 좋다. 1개의 노즐(132)은 액체 저장소(L) 내의 기포가 축 방향 양단을 향해서 이동하도록 기류를 분출해도 좋다.
(2) 압압 장치는 접촉 부분(P)에 접촉하고, 접촉 부분(P)을 압압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 장치는 접촉 부분(P)과 접촉하는 롤러(21)를 가져도 좋다. 롤러(21)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압압 장치는 접촉 부분(P)과 접촉하는 볼을 가져도 좋다. 볼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도 좋다.
(3) 바 코터(3)의 용도는 압출 성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재(S)의 롤로부터 기재(S)를 조출하고, 조출된 기재(S)에 바 코터(3)로 도포액을 도포해도 좋다.
(4) 도포 장치는 바 코터(3)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포 장치로서는 그라비어 코터, 키스 코터를 들 수 있다.
(5) 도포 장치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니폴드 블록(12) 대신에 도포액을 모으는 팬(31)을 구비해도 좋다.
(6) 필름(F)의 제조 시스템(1)은 제 1 연신 장치(4A)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도포액이 도포된 기재(S)는 제 2 연신 장치(4B)에 의해 흐름 방향(MD) 및 폭 방향(TD)으로 연신(2축 동시 연신)되어도 좋다. 필름(F)의 제조 시스템(1)은 기재(S)를 연신하지 않아도 좋다. 즉, 필름(F)의 제조 시스템(1)은 제 1 연신 장치(4A) 및 제 2 연신 장치(4B)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7) 필름(F)의 제조 시스템(1)은 널링 가공 장치(6) 대신에 마스킹 필름을 조출하는 마스킹 필름 조출 장치와, 조출된 마스킹 필름을 필름(F)에 접합하는 접합 장치를 구비해도 좋다.
또한, 상기 발명은 본 발명의 예시의 실시형태로서 제공했지만, 이것은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상기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명백한 본 발명의 변형예는 후기 청구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도포 장치,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은 이접착 필름 등의 필름의 제조에 이용된다.
1: 제조 시스템 2: 압출 성형 장치
3: 바 코터 4B: 제 2 연신 장치
11: 바 13: 블로어
21: 롤러 132: 노즐
F: 필름 P: 접촉 부분
S: 기재

Claims (7)

  1. 기재에 도포액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 부재로서, 상기 기재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흐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도포 부재의 상류측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의 사이에 상기 도포액이 모인 액체 저장소가 형성되는 도포 부재와,
    상기 기재 중 상기 액체 저장소와 접촉하고 있는 접촉 부분을 압압하는 압압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장치는 기류를 상기 접촉 부분에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접촉 부분을 압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장치는 상기 접촉 부분을 향해서 상기 기류를 분출하는 노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부재는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6. 기재를 압출 성형하는 압출 성형 장치와,
    제 1 항에 기재된 도포 장치로서, 상기 기재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도포 장치와,
    상기 도포액이 도포된 상기 기재를 연신하는 연신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제조 시스템.
  7. 기재를 압출 성형하는 압출 성형 공정과,
    제 1 항에 기재된 도포 장치로 상기 압출 성형 공정에 의해 압출 성형된 상기 기재에 상기 도포액을 도포하는 도포 공정과,
    상기 도포 공정에 의해 상기 도포액이 도포된 상기 기재를 연신하는 연신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227024782A 2020-05-27 2021-02-03 도포 장치,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672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92581A JP7321973B2 (ja) 2020-05-27 2020-05-27 塗工装置、フィルム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JP-P-2020-092581 2020-05-27
PCT/JP2021/003873 WO2021240888A1 (ja) 2020-05-27 2021-02-03 塗工装置、フィルム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074A true KR20220114074A (ko) 2022-08-17
KR102672029B1 KR102672029B1 (ko) 2024-06-04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15878A (ja) 2017-12-26 2019-07-18 株式会社小林製作所 両面塗布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15878A (ja) 2017-12-26 2019-07-18 株式会社小林製作所 両面塗布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07256B (zh) 2023-07-01
WO2021240888A1 (ja) 2021-12-02
JP2021186716A (ja) 2021-12-13
CN115003420A (zh) 2022-09-02
TW202144083A (zh) 2021-12-01
JP7321973B2 (ja) 2023-08-07
JP2023090816A (ja)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3090816A (ja) 塗工装置、フィルム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672029B1 (ko) 도포 장치,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
KR20220100103A (ko) 도공기,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40042652A (ko) 용액제막방법
WO2021256006A1 (ja) 押出成形装置、フィルム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22107478A1 (ja) 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220076315A (ko) 필름의 제조 시스템
KR20220093279A (ko) 필름 롤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 롤의 제조 방법
KR20220104242A (ko) 터치 롤러, 권취기, 필름 롤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 롤의 제조 방법
WO2021246145A1 (ja) フィルムの製造方法、フィルム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スリット加工装置
KR102481130B1 (ko) 필름 롤의 제조 방법
KR20220106822A (ko) 권취 장치, 필름 롤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 롤의 제조 방법
JP2021191606A (ja) フィルムの製造方法、フィルム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スリット加工装置
JP2022095474A (ja) 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826217B2 (ja) 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WO2017056579A1 (ja) 偏光膜の製造方法、偏光膜及び偏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