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377A - 감압 접착제 - Google Patents

감압 접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377A
KR20160133377A KR1020160057737A KR20160057737A KR20160133377A KR 20160133377 A KR20160133377 A KR 20160133377A KR 1020160057737 A KR1020160057737 A KR 1020160057737A KR 20160057737 A KR20160057737 A KR 20160057737A KR 20160133377 A KR20160133377 A KR 20160133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acrylate
adhesi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8657B1 (ko
Inventor
알리오나 멜니코바
스펜 한센
베른하르트 뮈씨그
세바스티안 슈미츠-레
Original Assignee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filed Critical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ublication of KR20160133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6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16Solid spheres
    • C08K7/18Solid spheres inorganic
    • C08K7/20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6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9J7/0207
    • C09J7/0217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16Solid 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9J2201/122
    • C09J2201/60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presence of micro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접착성 및 조정 가능한 응집 파괴 특징을 갖는 강력한 감압 접착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각 경우에, 감압 접착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 30 내지 9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 10 내지 60 중량%의, 40 내지 300 μm의 최대 범위를 갖는 무기 물질로부터 제조된 3차원 바디(K); 및
- 0.1 내지 10 중량%의 적어도 일부 팽창된 마이크로벌룬(M)을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대상은 이러한 부류의 감압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이다.

Description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구성요소 부품과 같은, 기재의 일시적 또는 영구적 접합을 위한 접착 테이프에서 사용되는 부류의 감압 접착제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높은 접착성과 강력한 응집성 및 조정 가능한 응집 파괴 특징을 결합한 감압 접착제가 제안된다.
감압 접착제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으로 형성된 감압 접착 물품의 성능 요건 프로파일에 대하여, 접착성 및 응집성의 두 가지 물리적 파라미터는 본질적으로 중요하다. 접착성은 기술적 용어에서 용어 "순간 결합 강도"(점착성) 및 "결합 강도"(박리 접착성)로 다루어지고, "자가-접착제" 및 "감압 접착제"와 같은 용어를 넘는 물리적 변수로서, 이는 거의 "약하게 가해진 압력 하에서 영구적인 접착 결합"의 달성을 기술한 것이다. 응집성은 감압 접착제의 내부 강도의 원인이 된다. 이는 예를 들어, 고려되는 생성물이 시스템에 비교적 고온에서 및/또는 비교적 높은 기계적 하중 하에서 이용될 때 일어나는 전단 응력에 대한 내성을 부여한다.
이에 따라, 감압 접착제의 수행 능력(performance capability)은 이의 접착 성질과 응집 성질 간의 관계에 의해 실질적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성질들은 또한, 접착 구성성분들의 특성, 혼화성, 균질성 및 안정성에 의해 결정된다.
감압 접착제에서 특별한 성질, 예를 들어 높은 결합 강도를 얻기 위하여, 충전제를 포함하는 비교적 고분자량의 고도로 가교된 폴리머 빌딩 블록 및/또는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공지된 종래 기술 실무이다. 예를 들어, EP 0 818 521 A2호에는 가교된 고무를 기반으로 한 캐리어 층을 갖는 3층 접착 테이프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보강 충전제는 캐리어에서 고무에 첨가될 수 있다.
박리력 및 전단력에 대한 양호한 내성을 갖는 접착제의 감압 층은 DE 28 21 606 A1호에 제시되어 있다. 접착제 층은 층 전반에 걸쳐 분산된 중공 유리 마이크로비드를 포함하는, 200 ㎛ 초과의 두께를 갖는다.
EP 1 995 282 A1호는 90%가 30 ㎛ 이하의 직경을 갖는 마이크로입자를 포함하는 점탄성 층에 관한 것이다. 점탄성 층은 감압 접착제 층으로서 또는 접착 테이프 기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US 2007/0104943 A1호에는 중공 미세구조물의 충전을 갖는 수지 또는 폴리머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는데, 중공 미세구조물의 D50 직경은 25 ㎛ 이하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높은 평균 충격 강도 및 신장율을 나타낸다고 한다.
감압 접착제 시스템의 다수의 적용을 위하여, 포움 시스템(foamed system)은 점차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포움은 예를 들어,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완충 효과를 행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또한, 접착제-결합 계면에서 불균일성을 보상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여러 경우에, 이러한 것이 변형에 대한 준비된 용량(ready capacity)을 갖는다. 감압 접착 물품을 위해 사용 가능한 포움을 제공하기 위하여, 포움 캐리어 물질 및 포움 감압 접착제 둘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DE 10 2009 015 233 A1호에는 열적으로 민감한 물질을 포함하는 포움 접착제 시스템을 형성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제1 단계에서 접착제 시스템은 제1 온도에서 포우밍되며, 후속 단계에서, 열적으로 민감한 물질은 보다 낮은 온도에서 접착제 시스템에 첨가된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접착 테이프를 위한 자가-접착제 물질로서 수득된 접착제 시스템의 사용이 기재되어 있다.
혼합 장비 내에서 팽창이 거의 억제되는, 팽창 가능한 중공 마이크로비드를 사용한 포우밍 방법은 DE 10 2010 062 669 A1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한 명세서에 기재된 물질은 또한, 캐리어로서 및/또는 접착 테이프의 영구 점착성 표면 층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의도된다.
WO 2010/147888 A2호에는 폴리머, 다수의 적어도 일부 팽창된 팽창 가능한 폴리머 마이크로비드, 및 0.3 내지 1.5 중량%의 적어도 300 ㎡/g의 표면적을 갖는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포움이 기재되어 있다.
특정 적용에 맞춰진 특정 성질들을 갖는 접착 테이프가 계속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건설 분야에서 야외 적용을 위한 고려사항 중에는 풍하중(wind load), 다시 말해서 짧은 기간에 걸쳐 활성인 로딩 피크(loading peak)에 대한 내성, 및 또한 이의 자체 중량 하에서 제거에 대한 내성, 및 추가적으로 열 응력을 잘 보상할 수 있는 것에 대한 내성을 제공하는 접착 결합이다. 이러한 접착제 결합의 성능 용량이 신뢰성 있게 계산되고 예측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또한 또는 심지어 대개 접착 파괴를 나타내는 것에 비해 훨씬 더 효과적으로 예측 가능한 응집 파괴를 갖는 접착 테이프로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시스템에 높은 접착성, 특히 항상 응집성 보다 보다 높은 접착성, 및 이에 따라 소위 응접 파괴 형태의 조정 가능한, 예측 가능한 파괴 특징, 즉 접착제 층내에서 그리고 기재와 이의 계면에는 없는 파괴를 제공하는 포움 단층 또는 다층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지시된 파괴 특징에도 불구하고, 조성물은 물론 안정한 고성능의 접착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목적의 달성은 본 발명의 중심 개념으로서, 무기 충전제와 적어도 일부 팽창된 마이크로벌룬의 조합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일반 대상은 각 경우에 감압 접착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9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10 내지 60 중량%의 40 내지 300 ㎛의 최대 크기를 갖는 무기 물질로부터 제조된 3차원 바디(K); 및
0.1 내지 10 중량%의 적어도 일부 팽창된 마이크로벌룬(M)을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이다.
감압 접착제는 본 발명에 따라, 일반 용법 내에서 통상적으로, 적어도 실온에서 영구적으로 점착성을 나타내고 또한 접착성을 나타내는 물질로서 이해된다. 감압 접착제의 특징은 기재에 압력에 의해 적용될 수 있고 여기에 접착된 상태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가해지는 압력 또는 이러한 압력에 대한 노출 기간은 추가적으로 정의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본래 감압 접착제의 정밀한 특성, 온도, 대기 습도, 및 기재에 따르지만, 짧은 순간 동안 약한 접촉을 넘지 않은, 짧은 기간의 최소 압력은 접착 효과를 달성하는데 충분하며, 다른 경우에, 보다 높은 압력에 대한 보다 긴 노출 시간이 필수적일 수 있다.
감압 접착제는 영구적인 점착성 및 접착성을 야기시키는 특별한 특징적인 점탄성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접착제의 특징은 이러한 것이 기계적으로 변형될 때, 점성 흐름의 공정이 존재하고 또한 탄성 회복력의 발달이 존재한다. 두 가지 공정은 감압 접착제의 정확한 조성, 구조 및 가교도 뿐만 아니라 변형 속도 및 기간, 및 온도에 따라, 이들의 개개 비율의 측면에서 서로에 대한 특정 관계를 갖는다.
비례하는 점성 흐름은 접착성의 달성을 위해 필수적이다. 비교적 높은 이동성을 갖는 거대 분자에 의해 야기되는 단지 점성 성분들만이 결합이 일어나는 기재 상에서 효과적인 습윤화 및 효과적인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높은 점성 흐름 성분은 높은 점착성(또는 표면 점착성으로서 지칭됨)을 야기시키고, 이에 따라 흔히 높은 박리 강도를 야기시킨다. 고도로 가교된 시스템, 결정질 폴리머 또는 유리 유사 고형화를 갖는 폴리머는 흐름 가능한 성분이 결여되어 있고,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점착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거나 적어도 단지 적은 점착성을 지니고 있다.
비례하는 탄성 회복력은 응집성의 달성을 위해 필수적이다. 이러한 것은 예를 들어, 높은 코일링 정도(degree of coiling)를 갖는 매우 긴 사슬의 거대분자에 의해, 및 또한 물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가교된 거대분자에 의해 야기되며, 이러한 것은 접착성 결합에 작용하는 힘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회복력의 결과로서, 접착성 결합은 예를 들어 충분히 비교적 긴 시간에 걸쳐 장기 전단 하중의 형태의, 그 위에서 작용하는 장기 하중을 견딜 수 있다.
탄성 성분 및 점성 성분의 크기, 및 또한 서로에 대한 성분들의 비율의 보다 정확한 설명 및 정량화를 위하여, 저장 탄성률 (G') 및 손실 탄성률 (G")의 변수는 동적 기계적 분석(DMA)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G'는 탄성 성분의 척도이며, G"는 물질의 점성 성분의 척도이다. 두 변수 모두는 변형 빈도 및 온도에 의존적이다.
변수는 유량계의 도움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조사 중인 물질은 사인 곡선으로 진동하는 전단 응력에 대한 플레이트/플레이트 배열에 노출된다. 전단 응력 조절과 함께 작동하는 기기의 경우에, 변형은 시간의 함수로서 측정되며, 전단 응력의 도입에 대한 이러한 변형의 시간 오프셋(time offset)이 측정된다. 이러한 시간 오프셋은 위상각(δ)으로서 지칭된다.
저장 탄성률(G')은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pat00001
(τ = 전단 응력, γ = 변형, δ = 위상각 = 응력 벡터와 변형 벡터 간의 위상 이동). 손실 탄성률(G")의 정의는 하기와 같다:
Figure pat00002
(τ = 전단 응력, γ = 변형, δ = 위상각 = 응력 벡터와 변형 벡터 간의 위상 이동).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감압 접착제인 것으로 여겨지고, 본 발명의 측면에서, 23℃에서 100 내지 101 rad/sec의 변형 빈도에서 G' 및 G" 둘 모두가 적어도 일부 103 내지 107 Pa의 범위로 위치되는 것으로서 규정된다. "일부"는 G' 곡선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이 100 (경계값 포함) 내지 101 (경계값 포함) rad/sec (가로좌표)의 변형 빈도에 의해 및 103 (경계값 포함) 내지 107 (경계값 포함) Pa (세로좌표)의 G' 수치 범위에 의해 기술된 윈도우(window) 내에 있고 G" 곡선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이 마찬가지로 동일한 윈도우 내에 위치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는 바람직하게 시트형 구조 형태이다. 이는 공간적으로 두 방향의 크기가 공간적으로 제3 방향의 크기 보다 훨씬 큰 3차원 구조를 의미한다. 감압 접착 테이프에서 통상적으로 발견되는 부류의 감압 접착제 층이 보다 특히 시트형 구조로서 해석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는 시트형 구조 형태를 가지며, 두께(공간적으로 세 방향 중 하나에서 시트형 구조 중 가장 작은 크기)는 400 내지 5000 ㎛, 더욱 바람직하게 500 내지 2000 ㎛이다. 시트형 구조의 두께는 본 발명에 따라, 두께 게이지로 제공된 상업적 두께 미터로 측정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로 이루어진 시트형 구조는 접착제에 극단적으로 침투하는 게이지를 방지하기 위해 이형 호일로 라이닝된다. 라이닝된 접착제에 대하여, 사용된 두께 게이지는 예를 들어, 구형 캡이다. 또한, 시트형 구조의 두께를 차감에 의해 결정할 수 있도록, 라이너 호일의 두께를 결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라이너 호일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하여, 루비 구형이 예를 들어, 두께 게이지로서 사용된다. 측정은 각 경우에 시트형 구조 또는 라이너 호일 각각의 길이방향 크기를 따라 적어도 100 m의 간격으로, 웹에 대해 가로놓인 10개 미만의 측정 포인트에서 수행된다. 두께는 얻어진 결과들의 평균으로서 보고된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각 경우에 고려되는 조성물의 전체 모노머 조성을 기준으로 하여 모노머 기준이 적어도 70 중량%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 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폴리머로서, 아크릴 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 에스테르는 50 중량% 미만으로 존재하는 폴리머이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일반적으로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 모노머 및 또한, 임의적으로 다른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라디칼 중합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산 및 이의 유도체를 기반으로 한 폴리머, 뿐만 아니라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유도체를 기반으로 한 것, 및 메타크릴산 및 이의 유도체를 기반으로 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게 하기 모노머 조성으로 역으로 추적될 수 있다:
a) 하기 화학식 (I)의 아크릴 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 에스테르;
CH2 = C(RI)(COORII) (I),
[상기 식에서, RI은 H 또는 CH3이며, RII는 4개 내지 14개의 C 원자, 더욱 바람직하게 4개 내지 9개의 C 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임]
b) 가교제 물질과 반응성을 나타내는 작용기를 갖는 올레핀성 불포화 모노머;
c) 임의적으로, 모노머 (a) 및 (b)와 공중합 가능한 추가의 올레핀성 불포화 모노머.
모노머 a), b), 및 c)의 비율은 특히 바람직하게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가 ≤ 15℃의 유리전이온도(저주파수에서의 DMA)를 갖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각 경우에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전체 모노머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45 내지 99 중량% 비율의 모노머 a), 1 내지 15 중량% 비율의 모노머 b), 및 0 내지 40 중량% 비율의 모노머 c)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모노머 a)는 더욱 바람직하게 가소화 및/또는 비극성 모노머이다.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 모노머 a)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n-펜틸 아크릴레이트, n-펜틸 메타크릴레이트 n-아밀 아크릴레이트, n-헥실 아크릴레이트, n-헥실 메타크릴레이트, n-헵틸 아크릴레이트, n-옥틸 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크릴레이트, n-노닐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모노머 b)는 바람직하게 에폭사이드 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올레핀성 불포화 모노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모노머 b)는 하이드록실, 카복실, 설폰산 및 포스폰산기, 산 무수물 작용성, 에폭사이드 기, 및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미노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에폭사이드 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올레핀성 불포화 모노머이다.
특히, 모노머 b)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아코니트산, 디메틸아크릴산, β-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트리클로로아크릴산, 비닐아세트산, 비닐포스폰산, 말레산 무수물,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알릴 알코올,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모노머 c)로서 본래 모노머 a) 및 모노머 b)와 공중합 가능한 모든 비닐적으로 작용화된 화합물이 고려된다. 모노머 c)의 선택 및 양을 통해,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의 성질을 유리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노머 c)는 더욱 바람직하게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2차-부틸 아크릴레이트, 3차-부틸 아크릴레이트, 페닐 아크릴레이트, 페닐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 3차-부틸페닐 아크릴레이트, 3차-부틸페닐 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n-운데실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아크릴레이트, 베헤닐 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펜틸 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3,5-디메틸아다만틸 아크릴레이트, 4-쿠밀페닐 메타크릴레이트, 시아노에틸 아크릴레이트, 시아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4-바이페닐릴 아크릴레이트, 4-바이페닐릴 메타크릴레이트, 2-나프틸 아크릴레이트, 2-나프틸 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3-메톡시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디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350,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500,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부톡시디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시트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펜틸 아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펜틸 메타크릴레이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2,3,4,4,4-헥사플루오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2,3,3,4,4,4-헵타플루오로부틸 아크릴레이트, 2,2,3,3,4,4,4-헵타플루오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2,3,3,4,4,5,5,6,6,7,7,8,8,8-펜타데카플루오로옥틸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1 메틸운데실)아크릴아미드, N-(n-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타크릴아미드, N-(에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n-옥타데실)아크릴아미드, N,N-디알킬-치환된 아미드, 보다 특히,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크릴아미드, N-벤질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3차-부틸아크릴아미드, N-3차-옥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추가적으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비닐 에테르, 예를 들어, 비닐 메틸 에테르, 에틸 비닐 에테르, 비닐 이소부틸 에테르; 비닐 에스테르, 예를 들어,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할라이드, 비닐리덴 할라이드, 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N-비닐프탈이미드, N-비닐락탐, N-비닐피롤리돈, 스티렌, α- 및 p-메틸스티렌, α-부틸스티렌, 4-n-부틸스티렌, 4-n-데실스티렌, 3,4-디메톡시스티렌, 2-폴리스티렌-에틸 메타크릴레이트(4,000 내지 13,000 g/mol의 분자량 Mw)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틸 메타크릴레이트(2,000 내지 8,000 g/mol의 Mw)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모노머 c)는 유리하게 또한, 이러한 것이 방사선-화학적 가교(예를 들어, 전자빔 또는 UV에 의한)를 지지하는 작용기를 함유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적합한 공중합 가능한 광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조인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작용화된 벤조페논 유도체가 있다. 전자 충돌에 의한 가교를 지지하는 모노머에는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아크릴레이트, N-3차-부틸아크릴아미드 및 알릴 아크릴레이트가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가 복수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 중의 모든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술된 모노머 조성물로 역으로 추적될 수 있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에서 모든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모노머 조성물로 역으로 추적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에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모든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하기 모노머 조성으로 역으로 추적될 수 있다:
아크릴산 3 내지 15 중량%
메틸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35 중량%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50 내지 87 중량%,
모노머의 비율은 최대 100 중량%까지 부가됨.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일반적으로 0.01 내지 5, 보다 특히 0.1 내지 2 중량%(모노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함)인 통상적인 양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용매 중에서, 보다 특히 50 내지 150℃, 바람직하게 60 내지 120℃의 비등 범위를 갖는 용매 중에서 모노머의 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모든 통상적인 개시제가 적합하다. 라디칼 소스의 예에는 퍼옥사이드,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및 아조 화합물, 예를 들어,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쿠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사이클로헥사논 퍼옥사이드, 디-3차-부틸 퍼옥사이드, 사이클로헥실설포닐 아세틸 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 퍼카보네이트, 3차-부틸 퍼옥토에이트, 벤조피나콜이 있다. 하나의 매우 바람직한 절차는 라디칼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또는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니트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IBN)을 사용한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해 고려되는 용매는 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및 이소부탄올, 바람직하게, 이소프로판올 및/또는 이소부탄올, 및 또한 탄화수소, 예를 들어, 톨루엔, 및 특히, 60 내지 120℃의 비등 범위의 벤진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케톤,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및 에스테르, 예를 들어, 에틸 아세테이트, 및 또한 기술된 타입의 용매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소프로판올을, 보다 특히, 사용되는 용매 혼합물을 기반으로 하여 2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 3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제조(중합) 후에, 농축 절차가 존재하며,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추가 가공은 실질적으로 용매 부재이다. 폴리머는 가교제 및 촉진제 물질의 부재 하에 농축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심지어 농축 이전에 폴리머에 이러한 부류의 물질들 중 하나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한 경우에, 농축은 이러한 물질 또는 이러한 물질(들)의 존재 하에 일어난다.
농축 단계 후에, 폴리머는 배합기로 옮겨질 수 있다. 농축 및 배합은 임의적으로 또한 동일한 반응기에서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에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은 바람직하게 20,000 내지 2,000,000 g/mol의 범위; 매우 바람직하게 100,000 내지 1,500,000 g/mol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 150,000 내지 1,000,000 g/mol의 범위로 위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평균 분자량(Mw) 및 다분산도(PD)에 대한 숫자는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결정치에 관한 것이다. 요망되는 평균 분자량을 셋팅하기 위하여 적합한 사슬전달제, 예를 들어, 티올, 할로겐 화합물 및/또는 알코올의 존재 하에 중합을 수행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게 톨루엔(1% 농도 용액, 21℃)에서 측정하는 경우에, 30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 40 내지 70의 K 값을 갖는다. 피켄세어(Fikentscher)의 K 값은 폴리머의 분자량 및 점도의 척도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라, 좁은 분자량 분포(다분산도 PD <4)를 갖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가 적합하다. 비교적 낮은 분자량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조성물은 가교 후에 특히 양호한 전단 강도를 갖는다. 또한, 보다 낮은 다분산도는 용융물로부터의 가공을 보다 용이하게 만드는데, 왜냐하면, 흐름 점도가 거의 동일한 서비스 성질에 대하여 더욱 넓게 분포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의 흐름 점도 보다 낮기 때문이다. 좁게 분포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유리하게 음이온성 중합에 의해 또는 제어된 라디칼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후자가 특히 적합하다. 또한 N-옥실을 통해, 상응하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 이외에, 원자 전달 라디칼 중합(ATRP)은 유리하게 좁게 분포된 폴리아크릴레이트의 합성을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 사용되는 개시제는 바람직하게, 일작용성 또는 이작용성, 2차 또는 3차 할라이드를 포함하며, 할라이드는 Cu, Ni, Fe, Pd, Pt, Ru, Os, Rh, Co, Ir, Ag 또는 Au 착물을 사용하여 추출된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에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들)는 바람직하게 가교된다. 투과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하는 방사선 세기로 인하여 조성물의 두꺼운 층이 통상적인 전자빔 또는 UV선 처리를 통해 균일하게 가교하기 어렵지만, 열 가교는 이러한 상황에 대한 충분한 방안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는 열적으로 가교된다. 두꺼운 것으로 여겨지는 조성물의 층은 보다 특히 150 ㎛ 초과의 두께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에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각 경우에, 각각 이소시아네이트 기 및/또는 에폭사이드 기와 반응할 수 있는 폴리머 거대분자 중의 작용기의 존재 하에, 바람직하게 이소시아네이트, 보다 특히 트라이머화된 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차단제-부재 및 입체적으로 방해된 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에폭사이드 화합물로 가교된다.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성을 약화시키기 위하여, 유리하게 열적으로 제거 가능한 작용기로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단은 바람직하게 지방족 1차 및 2차 알코올, 페놀 유도체, 지방족 1차 및 2차 아민, 락탐, 락톤, 및 말론산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일어난다.
에폭시-아민 시스템이 가교제 시스템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아민은 가용 수명의 증가를 확보하기 위하여 이의 염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용이하게 휘발 가능한 유기산(예를 들어, 포름산, 아세트산) 또는 용이하게 휘발 가능한 미네랄 산(예를 들어, 염화수소산, 탄산의 유도체)가 염 형성을 위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의 제조에서 열적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근본적인 문제는 마이크로벌룬의 팽창을 위해 요구되는 온도의 증가에서 발생한다. 특히 바람직하게 가교 반응의 동력학을 조정하기 위한 촉진제 시스템과 함께, 상술된 비교적 느리게 반응하는 가교제의 선택이 특히 유리한데, 왜냐하면, 이러한 가교제의 경우에, 조성물 시스템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포밍(foaming)을 위해 요구되는 온도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에 대해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용융 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연결 반응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촉진제 물질 및 에폭사이드 기를 함유한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 물질을 포함하는 가교제-촉진제 시스템이 특히 바람직하게 확인되었다. 시스템은 에폭사이드 기와 가교 반응에 관여할 수 있는 작용기의 폴리머의 존재를 예상한다. 에폭사이드 기를 함유한 적합한 물질은 다작용성 에폭사이드, 특히, 이작용성 또는 삼작용성 에폭사이드(즉, 각각 2개 또는 3개의 에폭사이드 기를 갖는 것들), 또는 그밖에 고차 작용성의 에폭사이드, 또는 상이한 작용성을 갖는 에폭사이드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사용되는 촉진제는 바람직하게 아민(형식적으로 암모니아의 치환 산물로서 설명됨)이며, 예로는 1차 및/또는 2차 아민, 특히 3차 및/또는 다작용성 아민이 있다. 또한, 둘 이상의 아민 기를 갖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아민 기는 1차 및/또는 2차 및/또는 3차 아민 기, 보다 특히 디아민, 트리아민, 및/또는 테트라민이 있다. 보다 특히 폴리머 빌딩 블록과의 반응에 관여하지 않거나 단지 약간의 반응에 관여하는 이러한 아민이 선택된다. 사용될 수 있는 촉진제의 다른 예에는 인-기반 촉진제, 예를 들어, 포스핀 및/또는 포스포늄 화합물이 있다.
가교제를 위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에서의 특히 적합한 작용기는 산 기(예를 들어, 카복실산, 설폰산 및/또는 포스폰산 기) 및/또는 하이드록실 기 및/또는 산 무수물 기 및/또는 에폭사이드 기 및/또는 아민 기를 포함한다. 폴리머가 공중합된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또한, 촉진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것이 예를 들어, 황변화(yellowing)에 대한 경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특히, 질소-함유 물질). 촉진제를 첨가하지 않고 작용하는 적합한 가교제의 예는 특히 카복실산 기가 가교를 위해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에 존재할 때 에폭시사이클로헥실 유도체를 포함한다. 이는 예를 들어, 폴리머에 적어도 5 중량% 공중합된 아크릴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가교를 위한 폴리머에서, 유리하게, 특히 양성자 수용체, 전자쌍 공여체(루이스 염기) 및/또는 전자쌍 수용체(루이스 산)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물질의 부재는 여기에서 특히 외부적으로 첨가된 촉진제에 관한 것으로서, 다시 말해서, 공중합된 촉진제 및/또는 폴리머 골격에 도입된 촉진제가 존재하지 않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하게, 공중합된 촉진제가 외부적으로 첨가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고, 특히 촉진제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유리한 것으로 알려진 가교제에는 에폭시사이클로헥실카복실레이트, 예를 들어, (3,4-에폭시사이클로헥산)메틸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카복실레이트가 있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들) 이외에,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는 또한 하나 이상의 추가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불용성 폴리머,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예를 들어, LDPE, HDPE,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코폴리머(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코폴리아미드, 불화된 폴리머,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이오노머(예를 들어, 염기로 중화된 에틸렌-메타크릴산 코폴리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ABS 코폴리머 및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한다. 다른 적합한 폴리머에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클로로프렌 및 스티렌과 디엔의 코폴리머가 있다. 추가적으로, 본래 감압 접착성을 나타내거나 결합 강도 인헨서의 첨가를 통해 감압 접착성을 제공할 수 있는 폴리머가 적합하며, 이러한 폴리머의 예에는 폴리-α-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옥텐, 폴리헥센 및 어택틱(atactic) 폴리프로필렌; 특정 블록 코폴리머(디블록, 트리블록, 스타형 블록 코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 천연 및 합성 고무, 실리콘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가 있다.
하나의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는 15 내지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합성 고무를 포함한다. 합성 고무는 각 경우에 감압 접착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 2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에서 적어도 하나의 합성 고무는 A-B, A-B-A, (A-B)n, (A-B)nX 또는 (A-B-A)nX 구조를 갖는 블록 코폴리머이며, 여기서,
- 블록 A는 서로 독립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비닐방향족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 폴리머이며;
- 블록 B는 서로 독립적으로 4개 내지 18개의 C 원자를 갖는 콘주게이션된 디엔 및/또는 이소부틸렌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 폴리머이거나 이러한 폴리머의 일부 또는 전부 할로겐화된 유도체이며;
- X는 커플링 시약 또는 개시제의 잔부이며;
- n은 ≥2의 정수이다.
특히, 이러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에서 모든 합성 고무는 상술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블록 코폴리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는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상이한 블록 코폴리머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합한 블록 코폴리머(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는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고무형 블록 B(연질 블록) 및 하나 이상의 유리형 블록 A(경질 블록)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에서 적어도 하나의 합성 고무는 A-B, A-B-A, (A-B)3X 또는 (A-B)4X 구조를 갖는 블록 코폴리머이며, 여기서, A, B 및 X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매우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에서 모든 합성 고무는 A-B, A-B-A, (A-B)3X 또는 (A-B)4X r조를 갖는 블록 코폴리머이며, 여기서, A, B 및 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에서 합성 고무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디블록 코폴리머 A-B 및/또는 트리블록 코폴리머 A-B-A를 포함하는 A-B, A-B-A, (A-B)3X 또는 (A-B)4X 구조를 갖는 블록 코폴리머들의 혼합물이다.
블록 A는 일반적으로 실온 이상인 바람직한 유리전이온도(Tg, DSC)를 갖는 유리형 블록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유리형 블록의 Tg는 적어도 40℃, 보다 특히 적어도 60℃, 매우 바람직하게 적어도 80℃, 및 가장 바람직하게 적어도 100℃이다. 전체 블록 코폴리머에서 비닐 방향족 블록 A의 분율은 바람직하게 10 내지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20 내지 33 중량%이다. 블록 A의 구조를 위한 비닐방향족은 바람직하게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또는 다른 스티렌 유도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블록 A는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블록 A는 폴리스티렌이다.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는 추가적으로 일반적으로 실온 미만의 바람직한 Tg를 갖는 고무형 블록 B 또는 연질 블록을 갖는다. 연질 블록의 Tg는 더욱 바람직하게 0℃ 미만, 보다 특히 -10℃ 미만, 예를 들어, -40℃ 미만, 및 가장 바람직하게 -60℃ 미만이다.
연질 블록 B에 대한 모노머로서 바람직한 콘주게이션된 디엔은 특히, 부타디엔, 이소프렌, 에틸부타디엔, 페닐부타디엔, 피페릴렌, 펜타디엔, 헥사디엔, 에틸헥사디엔, 디메틸부타디엔 및 파르네센 이성질체, 및 또한 이러한 모노머들의 임의의 요망되는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블록 B는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일 수 있다.
연질 블록 B에 대한 모노머로서의 콘주게이션된 디엔은 더욱 바람직하게 부타디엔 및 이소프렌으로부터 선택된다. 예를 들어, 연질 블록 B는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또는 이러한 두 개의 폴리머들 중 하나의 일부 또는 전부 수소화된 유도체, 예를 들어, 특히, 폴리부틸렌부타디엔; 또는 부타디엔과 이소프렌의 혼합물의 폴리머이다. 매우 바람직하게, 블록 B는 폴리부타디엔이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는 무기 물질로부터 제조된 3차원 바디(K)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측면에서, 3차원 바디는 계면에 의해 기술될 수 있는 3차원의 제한된 기하학적 형태를 지칭한다. 기하학적 형태는 임의의 한 면에 전부 존재하지 않을 때 3차원이라 불리워지고, 이러한 형태를 전부 함유하는 구체가 존재할 때 제한된다.
가장 잘 알려진 바디는 평평한 또는 원형 또는 구형 계면을 갖는다. 예에는 실린더, 콘, 구체, 프리즘, 피라미드, 사면체, 정육면체, 및 정오각형이 있다. 바디가 오로지 평면에 의해 경계지어질 때, 다면체(polytope)로서 또는 제한된 다면체(restricted polyhedron)(다면화된 바디)로서 지칭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바디는 다른 것들 중에서, 하기 형태를 갖는다:
● 평행 육면체, 특별한 경우로서 직육면체 및 육면체(정육면체)를 가짐
● 프리즘, 일반화로서 실린더 및 특별한 경우로서 직육면체 및 육면체를 가짐
● 피라미드, 일반화로서 콘 및 특별한 경우로서 사면체를 가짐
● 비틀린 프리즘(Antiprism), 특별한 경우로서 팔면체를 가짐
● 반구체
● 셀 섹션
본 발명에 따라, 3차원 바디(K)로서 타원형이 바람직하고, 회전 타원체가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가 가장 바람직하다.
보다 특히 상기에 기술된 것을 포함하는 바디(K), 예를 들어, 정육면체는 바람직하게 코너 또는 날까로운 에지를 지니지 않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실제로 존재하는 코너 또는 에지는 다듬어질 수 있거나 다듬어져 있을 수 있다.
바디(K)의 "최대 크기"는 고려되는 바디에 대하여, 바디(K)의 표면에 있는 두 포인트를 연결하는 직선의 가능한 가능 큰 길이를 지칭한다. 바디(K)가 구체 형태를 갖는 경우에, 최대 크기는 이의 직경에 해당한다. 3차원 바디(K)의 최대 크기는 바람직하게 45 ㎛ 내지 150 ㎛, 더욱 바람직하게 50 ㎛ 내지 100 ㎛, 예를 들어, 52 ㎛ 내지 85 ㎛ 및 매우 바람직하게 55 ㎛ 내지 70 ㎛이다.
3차원 바디(K)의 무기 물질은 바람직하게, 유리, 세라믹 및 플라이애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보다 특히 세라믹 및 플라이애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디(K)는 중질 바디 또는 중공 바디일 수 있다. 이러한 것이 중공 바디인 경우에, 표현 "무기 물질로부터 제조된 바디"는 바디를, 벽이 무기 물질로 이루어진 중공 바디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기술한다. 이에 따라, 무기 물질은 바디(K)의 고체 성분의 물질이다.
하나의 특정 구체예에서, 3차원 바디(K)의 무기 물질은 유리이다.
다른 특정 구체예에서, 3차원 바디(K)의 무기 물질은 세라믹이다.
다른 특정 구체예에서, 3차원 바디(K)의 무기 물질은 플라이애쉬이다.
특히 바람직하게, 3차원 바디(K)는 중질 유리 비드, 중공 유리 비드 및/또는 중공 플라이애쉬 비드, 보다 특히, 중공 유리 비드 또는 중공 플라이애쉬 비드이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는 바람직하게 30 내지 50 중량%의, 45 ㎛ 내지 150 ㎛의 최대 크기를 갖는 3차원 바디(K)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는 30 내지 50 중량%의, 45 ㎛ 내지 80 ㎛의 최대 크기를 갖는 3차원 바디(K)를 포함한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는 30 내지 50 중량%의, 45 ㎛ 내지 80 ㎛의 직경을 갖는 중질 유리 비드, 중공 유리 비드 및/또는 중공 플라이애쉬 비드를 포함한다. 매우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는 30 내지 50 중량%의, 45 ㎛ 내지 80 ㎛의 직경을 갖는 중공 유리 비드 및/또는 중공 플라이애쉬 비드를 포함한다.
"마이크로벌룬"은 탄성적인 중공 마이크로비드를 의미하고 이에 따라 이의 기본 상태에서 팽창 가능하며, 이는 열가소성 폴리머 쉘을 갖는다. 이러한 비드는 저비등 액체 또는 액화 가스로 채워진다. 사용되는 쉘 물질은 특히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VDC, PVC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통상적인 저비등 액체에는 특히, 저급 알칸의 탄화수소, 예를 들어, 이소부탄 또는 이소펜탄이 있으며, 이는 폴리머 쉘에 압력 하에서 액화 가스로서 둘러싸여있다.
마이크로벌룬의 노출, 보다 특히 열에 대한 노출의 결과로서, 외부 폴리머 쉘이 연화된다. 동시에, 쉘 내에 존재하는 액체 추진제 가스는 이의 가스 상태로 전이를 일으킨다. 이러한 포인트에서, 마이크로벌룬은 비가역적이고 3차원 팽창을 일으킨다. 팽창은 내부 압력이 외부 압력과 일치할 때 정지한다. 폴리머 쉘이 유지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폐쇄된 셀 포움이 얻어진다.
다수의 타입의 마이크로벌룬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고, 본질적으로 이의 크기(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6 내지 45 ㎛의 직경) 및 팽창을 위해 요구되는 개시 온도(75 내지 220℃)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상이하다. 팽창되지 않은 마이크로벌룬 생성물은 또한, 대략 40 내지 45 중량%의 고체 분율 또는 마이크로벌룬 분율을 갖는 수성 분산물로서, 및 또한, 폴리머-결합된 마이크로벌룬(마스터배치)로서, 예를 들어, 대략 65 중량%의 마이크로벌룬 농도를 갖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에서와 같이 이용 가능하다. 마이크로벌룬 분산물, 마스터배치, 및 이와 같은 팽창되지 않은 마이크로벌룬은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를 형성시키기 위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마이크로벌룬은 하나 이상의 가소제, 예를 들어, 프탈레이트, 수용성 가소제, 폴리에스테르, 가소제 수지, 사이클로헥산디카복실산 디에스테르, 포스페이트 또는 폴리포스페이트와 함께 평창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가소제를 포함한다. 마이크로벌룬 대 가소제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3:2 내지 2:3, 더욱 바람직하게 1.2:1 내지 0.8:1, 보다 특히 1.1:1 내지 0.9:1이다. 가소제는 감압 접착제의 강도를 낮추고, 이에 따라 응집성 분열(cohesive splitting)을 증진시키고, 따라서 예측 가능한 파괴 특징 및 또한 점착성, 조성물의 "터치 점착성(touch stickiness)"을 증진시킨다. 접착 결합의 일부에 대한 예측 가능한, 산정 가능한 파괴 거동은 예를 들어, 건설 적용(건축 면의 결합) 및 자동차 공학(범퍼의 결합)에서 고려된다.
바람직한 가소제는 DIN EN ISO 3219에 따라 측정하는 경우에 20℃에서 ≤ 2500 mPas의 동적 점도를 갖는 저점도 폴리에스테르(예를 들어, BASF로부터의 Palamoll® 652, CAS No. 208945-13-5)이다. 이러한 부류의 가소제는 이러한 것이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들)와 비교적 혼화 가능하고 마이크로벌룬의 쉘을 연화시키지 않는다는 추가의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는 또한, 사전팽창된 마이크로벌룬이라 불리워지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룹의 경우에, 팽창은 폴리머 매트릭스에 마이크로벌룬의 도입 이전에 일어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압 접착제는 생산 모드 및 마이크로벌룬이 사용되는 초기 형태와는 독립적으로, 적어도 일부 팽창된 마이크로벌룬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벌룬에 의해 형성되는 감압 접착제에서의 모든 공동 중 적어도 90%는 10 내지 500 ㎛, 더욱 바람직하게 15 내지 200 ㎛의 최대 크기를 갖는다.
용어 "적어도 일부 팽창된 마이크로벌룬"은 본 발명에 따라, 마이크로벌룬이 팽창되지 않은 마이크로벌룬을 갖는 동일한 접착제와 비교하여 기술적으로 의미 있는 크기로 접착제의 밀도의 감소를 야기시키는 것과 같은 크기로 적어도 팽창을 일으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마이크로벌룬이 반드시 완전한 팽창을 일으키는 것을 요구하지는 않는 것을 의미한다. "적어도 일부 팽창된 마이크로벌룬"은 바람직하게 각 경우에 팽창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최대 크기의 적어도 e2배로 팽창된다.
표현 "적어도 일부 팽창된"은 개개 마이크로벌룬의 팽창된 상태에 관한 것으로서, 고려되는 마이크로벌룬의 단지 일부가 (초기) 팽창을 일으켜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접착제에 "0.1 내지 10 중량%의 적어도 일부 팽창된 마이크로벌룬"이 존재하는 경우에, 이는, 이러한 "0.1 내지 10 중량%의 적어도 일부 팽창된 마이크로벌룬" 모두가 상기 측면에서 적어도 일부 팽창을 일으키며, 팽창되지 않은 마이크로벌룬이 "0.1 내지 10 중량%의 적어도 일부 팽창된 마이크로벌룬"에 속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접착제에서 3차원 바디(K) 대 적어도 일부 팽창된 마이크로벌룬(M)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6:1 내지 30:1이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는 특정 성질을 야기시키거나 이러한 성질을 더욱 현저하게 만들기 위해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를 포함한다. 이는 바람직하게 점착부여제 수지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수지에는 5000 g/mol 이하의 수평균 분자량(Mn)을 갖는 올리고머 및 폴리머 화합물이 있다. 최대 수지 분율은 임의적으로 추가 물질과 블렌딩된 것, 높은 분자량의 폴리머와의 혼화성에 의해 제한된다. 임의의 비율에서 수지와 폴리머 간에 형성된 균질한 혼합물이 존재하여야 한다.
점착부여 수지(점착부여제 수지)는 바람직하게 피넨 수지, 인덴 수지 및 로신 및 이들의 불균화된, 수소화된, 중합된 및/또는 에스테르화된 유도체 및 염, 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테르펜 수지 및 테르펜-페놀 수지, 및 또한, C5, C9 및 다른 탄화수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 경우에 개별적으로 서로 조합하여 선택된다. 바람직한 테르펜-페놀 수지에는 예를 들어, Dertophene T105 및 Dertophene T110이 있으며, 바람직한 수소화된 로신 유도체에는 Foral 85가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는 에이징 억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합성 고무를 포함하는 상술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에이징 억제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는 난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난연제에는 고분자량 포스페이트 에스테르가 있으며, 이의 예에는 Reofos® RDP (CAS No. 57583-54-7)가 있다. 난연제는 바람직하게 형성될 때 감압 접착제에 마이크로벌룬과의 블랜드로서 첨가된다.
본 발명의 다른 대상은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의 층은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를 형성하며, 이에 따라, 이는 접착 전사 테이프이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는 바람직하게, 피넨 수지, 인덴 수지 및 로신 및 이의 불균화, 수소화, 중합화 및/또는 에스테르화 유도체 및 염, 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테르펜 수지 및 테르펜-페놀 수지 및 또한, C5, C9 및 다른 탄화수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이러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는 테르펜-페놀 수지, 보다 특히 각 경우에 감압 접착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40 중량%, 예를 들어, 25 내지 3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테르펜-페놀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의 다른 구체예에서, 이는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에 추가의 감압 접착제(HM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 및 각 경우에 이의 상부면 및 하부면 상에 각각 추가 감압 접착제(HM1 및 HM2)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HM1 및 HM2는 각 경우에 고려되는 감압 접착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50 중량%, 보다 특히 적어도 70 중량%, 예를 들어, 적어도 90 중량%의, 하기 모노머 조성물로 역으로 추적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이다:
80 내지 95 중량%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
5 내지 20 중량% 아크릴산.
HM1 및 HM2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각 경우에,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에 대해 상술된 방식으로, 보다 특히, 촉진제, 보다 특히 양성자 수용체, 전자쌍 공여체(루이스 염기) 및/또는 전자쌍 수용체(루이스 산)의 분재 하에 적어도 하나의 에폭시사이클로헥실 유도체를 통한 열적 가교에 의해 가교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위한 용어 상부면 및 하부면은 단지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의 두 개의 표면의 위치적 차이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달리 임의의 추가의 방향 정보를 함유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부면" 상은 특히 고려되는 층의 측면들 중 하나의 상을 의미하며, 하부면 상은 고려되는 측면의 다른 측면 상을 의미한다.
실험 섹션
측정 방법:
고형물 함량 (측정 방법 A1):
고형물 함량은 폴리머 용액 중 비-증발성 구성성분의 분획의 척도이다. 이것은 용액을 계량한 다음, 건조 오븐에서 120℃로 2시간 동안 증발성 분획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다시 계량함으로써, 중량에 의해 측정된다.
K 값 ( 피켄세어에 따름)(측정 방법 A2):
K 값은 고분자(high-polymer) 화합물의 평균 분자 크기의 척도이다. 측정을 위하여, 1 퍼센트 농도(1 g/100 ml)의 톨루엔성 폴리머 용액을 제조하고 보겔-오사그(Vogel-Ossag) 점도계를 이용하여 이들의 동적 점도를 측정한다. 톨루엔의 점도를 표준화한 후에, 상대 점도를 획득하고, 이로부터 K 값은 피켄세어 방법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Polymer 8/1967, 381 ff.].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 (측정 방법 A3):
본 명세서에서 중량-평균 분자량 Mw 및 다분산도 PD에 대한 수치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측정과 관련된다. 상기 측정은 여과 정화된 100 ㎕의 샘플에 대해 수행된다 (샘플 농도 4 g/ℓ). 사용된 용리액은 0.1 부피%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지니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이다. 상기 측정은 25℃에서 진행된다. 사용된 예비컬럼은 컬럼 유형 PSS-SDV, 5μ, 103 Å, ID 8.0 mm·50 mm이다. 분리는 PSS-SDV 유형의 컬럼, 5μ, 103 Å 및 또한 105 Å 및 106 Å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각각은 ID 8.0 mm x 300 mm를 지닌다 (폴리머 스탠다즈 서비스(Polymer Standards Service)로부터의 컬럼; 쇼덱스(Shodex) RI71 차등 굴절계를 이용하여 검출). 유속은 분당 1.0 ml이다. 보정은 PMMA 표준물에 대해 수행된다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보정).
비중/밀도 (측정 방법 A4):
코트중량 및 층 두께를 통한 밀도 측정:
코팅된 자가-접착제 조성물의 비중 또는 밀도(ρ)를 특정 층 두께에 대한 평량(basis weight)의 비를 통해 측정한다:
Figure pat00003
MA = 코트중량/평량 (라이너 중량 제외) [kg/m2]
d = 층 두께 (라이너 두께 제외) [m].
이러한 방법은 총 밀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밀도 측정은 다중층 제품을 포함하는 완전한 제품의 총 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특히 적합하다.
강철 상에서의 90˚ 박리 결합 - 개방 면 및 라이닝된 (lined) 면 (측정 방법 V1):
강철에 박리 결합은 23℃ +/- 1℃의 온도 및 50% +/- 5%의 상대 습도의 시험 조건 하에 측정된다. 시편을 20mm 폭으로 절단하고 강철 판에 접착하였다. 측정하기 이전에 강철판은 세정하고 컨디셔닝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판을 먼저 아세톤으로 닦고 그 다음 용매가 증발할 수 있도록 공기 중에서 5분 동안 두었다.
이후에 시험 기판으로부터 방향이 어긋난 3-층 어셈블리의 면을 50 ㎛ 알루미늄 호일로 라이닝시켰으며, 이에 의해 샘플이 측정 동안 확장되는 것을 막았다. 그 다음 강철 기판상에 시험 시편을 롤링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테이프를 2 kg 롤러를 사용하여 10m/분의 롤링 속도로 앞뒤로 5회에 걸쳐 롤링하였다. 롤링 처리 직후, 강철 판을 시편이 위쪽으로 수직으로 90˚의 각도로 제거되도록 특수 마운트(soecial mount)에 삽입하였다. 박리 접착성 측정은 Zwick 인장 시험 기계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측정 결과는 3회 측정으로부터의 평균치로서 N/cm로 기록된다.
보유력 (측정 방법 V2):
시편의 제조를 23℃ +/- 1℃의 온도 및 50% +/- 5%의 상대 습도의 시험 조건 하에서 수행하였다. 시험 시편을 13 mm로 절단하고 강철판에 접착시켰다. 결합 면적은 20 mm×13 mm (길이×폭)이었다. 측정 전에, 강철판을 세정하고 컨디셔닝시켰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판을 먼저 아세톤으로 닦고 그 다음 용매가 증발할 수 있도록 공기 중에서 5분 동안 두었다. 결합을 일으킨 후에, 개방 측면을 50 ㎛ 알루미늄 호일로 보강하고, 2 kg 롤러로 2회 앞뒤로 롤링하였다. 벨트 루프를 후속하여 3층 어셈블리의 돌출 단부 상에 마운팅하였다. 이후에, 전체 어셈블리를 적합한 장비에 매달고, 10N의 하중을 가하였다. 서스펜션 장비는 179° +/- 1°의 각도에서 샘플에 중량을 가한다. 이는, 3층 어셈블리가 판의 하부 에지로부터 박리되지 않게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매달려 있는 샘플과 떨어진 샘플 간의 시간으로서 측정된 보유력을 분 단위로 보고하고, 3회 측정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것이다. 라이닝된 측면의 측정을 위하여, 개방 측면을 먼저 50 ㎛ 알루미늄 호일로 보강하고, 이형 물질을 제거하고, 결합을 기술된 시험판에서 일으켰다. 측정을 표준 조건(23℃, 55% 습도) 하에서 수행하였다.
일방적 에지 로딩 하에서의 탈착력 - 동적 L-시험 (측정 방법 V3):
시험판(강철, 50 x 300 x 3 mm)을 에탄올로 세정하고, 23℃ 및 50% 상대 습도에서 24시간 동안 저장하였다. L-형상의 강철 시트 앵글을 아세톤 중에서 30분 동안 저장하고, 이후에 결합이 일어나는 측면 상을 아세톤-액침된 천을 사용하여 여러 차례 닦아내었다. 강철 시트 앵글을 아세톤의 증발을 위해 공기 중에서 10분 동안 저장하였다.
25 x 25 mm로 다듬은 후에, 접착 테이프를 L-형상의 강철 시트 앵글의 보다 작은 레그(leg)의 바닥 측면 상에 결합시켰다. 접착 테이프의 다른 측면과 관련하여, 강철 시트 앵글을 이후에 시험판 상에 결합시켰다. 결합된 기재를 강철 램(steel ram)을 구비한 프레스를 이용하여 서로에 대해 60 N에서 5초 동안 가압하였다. 시험 시편을 후속하여 24시간 동안 표준 조건 하에서 저장하였다.
후크를 구비한 추가 판을 인장 시험 기계의 상단 클램핑 조(clamping jaw)에 클램핑하였다. 여기에 결합된 강철 시트 앵글을 갖는 시험판을 레일에 도입하였다. L-형상의 강철 시트 앵글의 보다 긴 레그를 인장 없이 후크에 연결하였다. 강철 시트 앵글을 이후에 300 mm/min의 속도로 그리고 결합면에 대해 90°의 각도로 시험판으로부터 박리시켰다. 이러한 절차 동안 측정된 최대 힘을 확인하였고, 파괴 모드도 확인하였다.
동적 전단 강도 (측정 방법 V4)
평가 중인 접착 테이프를 25 mm의 에지 길이를 갖는 사각형으로 절단하고, 두 개의 강철판 사이에 중첩되게 결합시키고, 1분 동안 0.9 kN (힘 P)의 압력을 가하였다. 23℃ 및 50% 상대 습도에서 24시간 동안 저장한 후에, 두 개의 강철판을 180°의 각도에서 뜯어내는 방식으로 50 mm/min 및 23℃ 및 50% 상대 습도에서 Zwick 인장 시험 기계에서 어셈블리를 분할하였다. 최대 힘을 N/cm2로 확인하였다.
어셈블리 강도 -동적 T-블록 시험 (측정 방법 V5)
각각 홀이 제공된 두 개의 T-형상 알루미늄 바디(T-블록, 25 x 25 x 25 mm)를 아세톤 중에서 30분 동안 저장하고, 아세톤-액침된 천으로 닦아내고, 공기 중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켰다. 25 x 25 mm로 절단된 평가하는 접착 테이프를 T-블록들 중 하나의 베이스 표면에 적용하고, 이형 라이너의 제거 후에, 제2 T-블록을 자유 측면 상에 결합시켰다. 결합을 110 N에서 15초 동안 가압시켰다. 시험 시편 어셈블리를 23℃ 및 50% 상대 습도에서 24시간 동안 저장하였다.
서로 결합된 T-블록들을 후속하여 후크를 이용하여 인장 시험 기계에 클램핑하였다. 시험 시편을 300 mm/min에서 결합면에 대해 수직으로 뜯어내었다. N/cm2 단위의 최대 힘을 5회 측정으로부터의 평균으로부터 결정하고 파괴 모드를 결정하였다.
사용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화학물질(하기 표 참조)
Figure pat00004
베이스 폴리머(Ac1)의 제조:
라디칼 중합을 위해 통상적인 반응기를 72.0 kg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0.0 kg의 메틸 아크릴레이트, 8.0 kg의 아크릴산 및 66.6 kg의 아세톤/이소프로판올 (94:6)로 채웠다. 질소 가스를 교반하면서 45분 동안 반응기로 통과시킨 후에, 반응기를 58℃로 가열시키고, 500 g의 아세톤의 용액 중 50 g의 AIBN을 첨가하였다. 외부 가열 베쓰를 이후에 75℃로 가열시키고, 반응을 이러한 외부 온도에서 일정하게 수행하였다. 1시간 후에, 500 g의 아세톤의 용액 중 추가의 50 g의 AIBN을 첨가하고, 4시간 후에, 배치를 10 kg의 아세톤/이소프로판올 혼합물 (94:6)로 희석시켰다.
5시간 후에 그리고 다시 7시간 후에, 각 경우에 500 g의 아세톤 중의 용액의 150 g 부분의 비스(4-3차-부틸사이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를 재-개시를 위해 첨가하였다. 22시간의 반응시간 후에, 중합을 중지시키고, 배치를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생성물은 55.8%의 고체 함량을 가지고, 이를 건조시켰다. 얻어진 폴리아크릴레이트는 58.9의 고체 함량, Mw = 748,000 g/mol의 평균분자량, D (Mw/Mn) = 8.9의 다분산도, 및 Tg = 35.2℃의 정적 유리전이온도를 갖는다.
감압 폴리아크릴레이트 접착제 Ac-PSA:
라디칼 중합을 위해 통상적인 200 L 유리 반응기를 9.6 kg의 아크릴산, 20.0 kg의 부틸 아크릴레이트, 50.4 kg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53.4 kg의 아세톤/벤진 60/95 (1:1)로 채웠다. 질소 가스를 교반하면서 45분 동안 반응기로 통과시킨 후에, 반응기를 58℃로 가열시키고, 60 g의 AIBN을 첨가하였다. 외부 가열 베쓰를 이후에 75℃로 가열시키고, 반응을 이러한 외부 온도에서 일정하게 수행하였다. 1시간 후에, 추가의 60 g의 AIBN을 첨가하였다. 4시간 및 8시간 후에, 20.0 kg의 아세톤/벤진 60/95 (1:1) 혼합물의 부분을 희석을 위해 첨가하였다. 잔류 개시제를 감소시키기 위해, 180 g의 비스(4-3차-부틸사이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를 8시간 후에 첨가하고, 다시 10시간 후에 첨가하였다. 반응을 24시간 후에 중지시키고, 배치를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이후에, 폴리아크릴레이트를 0.2 중량%의 Uvacure® 1500와 블렌딩하고, 아세톤으로 30%의 고체 함량까지 희석시키고, 이후에, 실리콘처리된 이형 필름(50 ㎛ 폴리에스테르) 상에 용액으로부터 코팅하였다(코팅 속도 2.5 m/min, 건조 터널 15 m, 온도 구역 1: 40℃, 구역 2: 70℃, 구역 3: 95℃, 구역 4: 105℃). 코트중량은 50 g/m2이다.
마이크로벌룬 혼합물의 생산:
마이크로벌룬을 분산제가 도입된 용기에 도입하였다. 교반을 pc-Laborsystem으로부터의 유성형 교반기에서, 5 mbar의 압력에서 그리고 600 rpm의 회전 속도로 30분 동안 수행하였다.
공정 1: PSA의 농축/생산:
단일0-스크류 압출기(농축 압출기, Berstorff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베이스 폴리머 Ac1)에서 용매를 거의 제거하였다. 스크류의 회전 속도는 150 rpm이고, 모터 전류는 15 A이고, 58.0 kg 액체/h의 처리량을 실현하였다. 농축을 위하여, 진공을 세 개의 상이한 돔(dome)에 적용하였다. 감압은 각각 20 mbar 내지 300 mbar이었다. 농축된 폴리머의 배출구 온도는 약 115℃이었다. 이러한 농축 단계 후 고체 함량은 99.8%이었다. 조성물 Ac1을 롤 캘린더를 이용하여 웹으로 형상화하였다.
공정 2: 포밍된 조성물의 생산(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
농축된 베이스 폴리머를 공급 압출기(feeder extruder)(TROESTER GmbH & Co KG(Germany)로부터의 단일-스크류 이송 압출기)에서 용융시키고, 이러한 압출기에 의해 폴리머 용융물 형태로, 가열 가능한 호스를 통해 Entex (Bochum)로부터의 유성형 롤러 압출기(보다 특히, 서로 독립적으로 가열 가능한 네 개의 모듈 T1, T2, T3, T4를 갖는 PRE가 사용됨)로 이송시켰다. 충전제(무기 바디(K))를 이후에 두 개의 사이드 공급기를 통해 첨가하였다. 가교제를 추가 다운스트림에 첨가하고, 모든 성분들을 혼합하여 균질한 폴리머 용융물을 형성시켰다.
용융물 펌프 및 가열 가능한 호스를 이용하여, 폴리머 용융물을 트윈-스크류 압출기(Berstorff)로 옮기고, 촉진제 성분을 첨가하였다. 후속하여 혼합물 전체에서 175 mbar의 압력에서의 진공 돔에서 모든 가스 함유물을 제거하였다. 진공 구역 이후에, 블리스터(blister)를 스크류 상에 위치시켰으며, 이는 후속 세그먼트에서 압력의 증가를 가능하게 하였다. 압출기 속도 및 용융물 펌프의 적절한 제어를 통해, 8 bar 초과의 압력을 블리스터와 용융물 펌프 사이의 세그먼트에서 증가시켰다. 마이크로벌룬 혼합물(분산 보조제에 엠베딩된 마이크로벌룬)을 추가 계량 포인트에서 첨가하고, 이러한 성분들을 혼합 요소를 이용하여 사전혼합물에 균일하게 도입하였다. 얻어진 용융물 혼합물을 다이로 옮겼다.
다이로부터 빼낸 후에, 다시 말해서, 압력을 저하 시킨 후에, 도입된 마이크로벌룬은 팽창되었으며, 압력 강하는 폴리머 조성물의 저-전단 또는, 특히 전단-부재 냉각을 야기시켰다. 이는 포우밍된 자가-접착제 조성물을 형성시켰으며, 이는 후속하여 롤 캘린더를 이용하여 웹 형태로 형상화되었다.
공정 3: 2-롤 캘린더를 이용하여 3-층 시스템의 생산:
분배기 다이를 이용하여, 가교제-촉진제 시스템, 마이크로벌룬 및 충전제와 충분히 배합된 포우밍된 조성물을 롤 닙(roll nip)으로 이송시켰다. 롤 닙에서, 캘린더 롤들 사이에, 포우밍된 조성물을 두 개의 자가-접착제 조성물 Ac-PSA들 사이에 점탄성 필름으로 형성화하였으며, 이는 그 자체가 실리콘처리된 이형 필름 상에 코팅된 형태로 공급되었다. 동시에, 셋팅된 층 두께로 포우밍된 조성물의 형상화, 및 공급된 두 개의 자가-접착제 조성물로 이의 코팅이 존재하였다. 포우밍된 캐리어 층 상에 자가-접착제 조성물 Ac-PSA의 고정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자가-접착제 조성물은 롤 닙으로 이동되기 전에 코로나 스테이션(VETAPHONE(Denmark)로부터의 코로나 유닛, 50 W·min/m2)에서 코로나 처리하였다. 3-층 어셈블리의 생산 후에, 이러한 처리는 포우밍된 캐리어 층에 대한 개선된 화학적 부착을 야기시켰다.
코팅 설치를 횡단할 때 웹 속도는 30 m/min이었다.
롤 닙에서 빼낸 후에, 하나의 이형 필름을 제거하였으며, 최종 3-층 생성물을 제2 이형 필름으로 권취하였다.
포우밍된 층의 포뮬라
Figure pat00005
시험 결과(본 발명의 실시예)
Figure pat00006
시험 결과(본 발명이 아닌 실시예)
Figure pat00007

Claims (9)

  1. 각 경우에 감압 접착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90 중량%의 하나 이상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10 내지 60 중량%의 40 내지 300 ㎛의 최대 크기를 갖는 무기 물질로부터 제조된 3차원 바디(K);
    0.1 내지 10 중량%의 일부 또는 전부 팽창된 마이크로벌룬(M)을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
  2. 제1항에 있어서, 3차원 바디(K)의 무기 물질이 유리, 세라믹 및/또는 플라이애쉬(flyas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제.
  3. 제1항에 있어서, 3차원 바디(K)가 중질 유리 비드, 중공 유리 비드 및/또는 중공 플라이애쉬 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차원 바디(K)의 최대 크기가 45 ㎛ 내지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압 접착제가 30 내지 50 중량%의 3차원 바디(K)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압 접착제가 30 내지 50 중량%의, 45 내지 150 ㎛의 최대 크기를 갖는 3차원 바디(K)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차원 바디(K) 대 일부 또는 전부 팽창된 마이크로벌룬(M)의 중량비가 6:1 내지 3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감압 접착제(A)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9. 제8항에 있어서, 접착 테이프가 감압 접착제(A)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에 추가 감압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KR1020160057737A 2015-05-12 2016-05-11 감압 접착제 KR102088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08792.1 2015-05-12
DE102015208792.1A DE102015208792A1 (de) 2015-05-12 2015-05-12 Haftklebemas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377A true KR20160133377A (ko) 2016-11-22
KR102088657B1 KR102088657B1 (ko) 2020-03-13

Family

ID=5591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737A KR102088657B1 (ko) 2015-05-12 2016-05-11 감압 접착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944832B2 (ko)
EP (1) EP3093322A1 (ko)
JP (1) JP2016210989A (ko)
KR (1) KR102088657B1 (ko)
CN (1) CN106147661B (ko)
CA (1) CA2927991A1 (ko)
DE (1) DE102015208792A1 (ko)
MX (1) MX2016005502A (ko)
TW (1) TWI66936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102A (ko) * 2017-10-17 2019-04-25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경화 가능한 감압 접착제 스트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0358A (zh) 2015-12-31 2018-11-06 聚合物胶粘剂密封胶系统公司 用于具有密度改性剂的柔性密封剂的系统和方法
DE102017212854A1 (de) * 2017-07-26 2019-01-31 Tesa Se Bahnförmige, mit Mikroballons geschäumte Haftklebmasse
EP3694946B1 (de) * 2017-10-11 2021-11-10 Basf Se Gegen weichmachermigration resistenter, uv-härtbarer schmelzklebstoff für graphikfolien und etiketten aus weich-pvc
DE102017218264A1 (de) 2017-10-12 2019-04-18 Tesa Se Gefüllte Haftklebmasse
KR102155172B1 (ko) * 2018-05-08 2020-09-11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마이크로벌룬 발포된 자가-접착층을 생성하는 방법
DE102019204344A1 (de) 2019-03-28 2020-10-01 Tesa Se Wiederablösbarer Haftklebestreifen
CN110713811B (zh) * 2019-10-30 2021-04-13 浙江龙游道明光学有限公司 一种反光膜用高弹性压敏胶的制造方法
DE102019217753A1 (de) * 2019-11-18 2021-05-20 Tesa Se Flammgeschützte Haftklebmasse
CN111319271A (zh) * 2020-03-31 2020-06-23 南京汇鑫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厚胶多层贴合工艺
CN111363484B (zh) * 2020-05-09 2022-02-11 永大(中山)有限公司 一种用于固定低极性高反弹材料的双面胶带及制备方法
CN115154503B (zh) * 2022-08-09 2023-08-29 北京羚锐伟业科技有限公司 一种温敏性中药凝胶贴膏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5322705A (zh) * 2022-08-16 2022-11-11 东莞理工学院 一种超薄高剥离聚丙烯酸酯压敏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363B1 (ko) * 1986-08-21 1996-01-26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압감성 접착테이프 구조물
JP2009286881A (ja) * 2008-05-29 2009-12-10 Nitto Denko Corp アクリル系感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KR20100116614A (ko) * 2008-01-14 2010-11-01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발포된, 특히 감압성 접착제,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WO2015017414A1 (en) * 2013-08-01 2015-02-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ubber-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a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24428A (en) 1977-05-16 1982-05-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oam-lik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US4855170A (en) * 1986-08-21 1989-08-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sensitive tape construction incorporating resilient polymeric microspheres
DE19628177B4 (de) 1996-07-12 2005-12-22 Tesa Ag Selbstklebeband und dessen Verwendung
CN1965045B (zh) * 2004-06-11 2012-08-29 Lg化学株式会社 包括空心部分的粘合片及其制备方法
US20070104943A1 (en) 2005-11-10 2007-05-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led polymer composites
JP5089894B2 (ja) 2006-03-10 2012-12-05 日東電工株式会社 微粒子含有粘弾性層、及び感圧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DE102009015233A1 (de) 2009-04-01 2010-10-14 Tesa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schäumten Massesystems
KR101801405B1 (ko) 2009-06-18 2017-11-2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중합체 폼
DE102009054955A1 (de) * 2009-09-18 2011-03-24 Tesa Se Klebeband mit einer Klebemasse auf der Basis von Acrylsäureestern
DE102010062669A1 (de) 2010-12-08 2012-06-14 Tesa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geschäumter Polymermassen, geschäumte Polymermassen und Klebeband damit
EP2551102B1 (en) * 2011-07-29 2014-12-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lf-stick foam adhesive
CN102559101B (zh) * 2011-12-07 2014-01-01 新丰杰力电工材料有限公司 热剥离丙烯酸酯压敏胶粘剂、胶粘带及其制备方法
EP2735595A1 (en) * 2012-11-23 2014-05-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assembly
DE102013215296A1 (de) * 2013-08-02 2015-02-05 Tesa Se Haftklebemas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363B1 (ko) * 1986-08-21 1996-01-26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압감성 접착테이프 구조물
KR20100116614A (ko) * 2008-01-14 2010-11-01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발포된, 특히 감압성 접착제,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JP2009286881A (ja) * 2008-05-29 2009-12-10 Nitto Denko Corp アクリル系感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WO2015017414A1 (en) * 2013-08-01 2015-02-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ubber-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102A (ko) * 2017-10-17 2019-04-25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경화 가능한 감압 접착제 스트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3322A1 (de) 2016-11-16
MX2016005502A (es) 2017-01-05
CN106147661B (zh) 2019-11-01
CA2927991A1 (en) 2016-11-12
CN106147661A (zh) 2016-11-23
JP2016210989A (ja) 2016-12-15
DE102015208792A1 (de) 2016-11-17
TW201704419A (zh) 2017-02-01
US9944832B2 (en) 2018-04-17
KR102088657B1 (ko) 2020-03-13
US20160333233A1 (en) 2016-11-17
TWI669362B (zh)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657B1 (ko) 감압 접착제
KR102131888B1 (ko) 비극성 표면 결합용 폼 접착 테이프
JP5328762B2 (ja) 熱架橋性ポリアクリレート及びそれの製造方法
TWI648157B (zh) 多層製品及其製造方法及用途
JP2010126726A (ja) 熱架橋性ポリアクリレート及びそれの製造方法
JP2012122070A (ja) 発泡可能なポリマー組成物の製造方法、それに基づく発泡ポリマー組成物の製造方法、発泡ポリマー組成物およびそれを備えた接着テープ
KR101921977B1 (ko) 폴리아크릴레이트에 대한 가교제-가속화제 시스템
KR20150016161A (ko) 감압 접착제
KR20150016160A (ko) 감압 접착제
JP2017508021A (ja) 後硬化性感圧接着剤
TWI745373B (zh) 丙烯酸系橡膠發泡體及包含其之雙面黏著劑膠帶
KR20170070829A (ko) 감압 접착제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JP2014214311A (ja) 二重発泡ポリマー材料(Polymermasse)
TWI633166B (zh) Pressure sensitive adhesive
JP2008179683A (ja) 水性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TW201923001A (zh) 經塡充的壓敏黏著劑
US20230220242A1 (en) Poly(meth)acrylat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comprising at least one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CN113004827A (zh) 用于制造具有发泡的压敏胶粘剂层和在表面上结构化的胶带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