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841A - 차량용 도어 핸들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841A
KR20160132841A KR1020167024831A KR20167024831A KR20160132841A KR 20160132841 A KR20160132841 A KR 20160132841A KR 1020167024831 A KR1020167024831 A KR 1020167024831A KR 20167024831 A KR20167024831 A KR 20167024831A KR 20160132841 A KR20160132841 A KR 20160132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decorative member
handle body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4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오 토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Publication of KR20160132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4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 E05B17/18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shaped as lids or sl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6Lock cylinde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도어는 핸들 본체, 및 상기 핸들 본체의 표면 상에 배치되는 장식 부재를 포함한다. 도어에 고정된 실린더 록으로의 조작 개구는 핸들 본체에서 개방된다. 상기 장식 부재는 차단 자세로 도어로부터 노출된 핸들 본체의 부분의 거의 전체 길이를 덮음으로써 상기 조작 개구를 차단한다. 조작 개구의 차단은 핸들 본체 상에서 장식 부재의 장착을 해제함으로써, 또는 장식 부재를 비-차단 자세로 이행하도록 작동시킴으로써 해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핸들{VEHICLE DOOR HAND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핸들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차량에 고정된 도어가 개폐 조작될 때 취급되는 도어 핸들을 개시하고 있다. 록 실린더(실린더 록)가 상기 도어에 고정된다. 가동형 파지부(도어 핸들)는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도어에 연결되는 한쪽 단부, 및 상기 실린더 록에 인접한 위치로 연장하는 다른 쪽 단부를 갖는다.
특허문헌 1의 장치에 있어서, 도어 핸들이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실린더 록이 도어 핸들에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도어 핸들과 실린더 록 사이에 경계선이 나타난다. 이에 따라, 도어 핸들 디자인 연속성의 손상과 함께, 도어 핸들과 실린더 록 사이에 디자인 통일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디자인의 자유도가 저하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어 핸들을 실린더 록의 배치 영역으로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 실린더 록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조작 개구가 도어 핸들에서 개방되어야만 한다. 그 결과로서, 디자인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조작 개구가 캡 부재 등에 의해 폐쇄되더라도, 캡 부재의 재료 단부가 도어 핸들의 표면 상에 나타나기 때문에,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
[선행기술 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JP-T-2010-501746
본 발명은 외관을 향상시키고 또한 높은 디자인 자유도를 갖는 차량용 도어 핸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핸들이 사용되는 차량용 도어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핸들 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2A-2A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어 핸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는 피니셔(finisher)의 전방 단부 부분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의 선 4A-4A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도 4b는 힌지 결합 부분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c는 핸들 본체 상에 피니셔를 장착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d는 도 4a의 선 4C-4C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로서, 피니셔의 힌지 결합 부분이 핸들 본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e는 도 4a의 선 4C-4C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로서, 피니셔가 힌지 결합 부분의 주위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피니셔의 후방 단부 부분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피니셔가 힌지 결합 부분의 주위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어 핸들의 초기 회전 위치에서 탄성 직경 결합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도어 핸들이 그 초기 회전 위치로부터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가 기재될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 및 이하의 기재는 본 발명의 예시이며, 이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주제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도 1 및 2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들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핸들 장치는 사용될 차량의 도어(3)의 외벽면(도어 외측 패널)에 고정되는 외측 핸들 장치이다. 도어 핸들 장치는 도어 패널의 이면에 고정된 핸들 베이스(11), 그 길이방향이 차량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자세로 핸들 베이스(11)에 연결되는 도어 핸들(4), 및 상기 핸들 베이스(11)에 고정되는 록 홀딩 블록(12)을 포함한다.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조작될 수 있는 실린더 록(5)은, 상기 록 홀딩 블록(12)에 고정된다.
도어 핸들(4)은 그 전방 단부 부분(이하, 본 명세서에서, 통상적인 차량의 전방측으로 지향된 도 1 및 3의 좌측이 "전방측"으로 지칭된다) 상에 힌지 돌출 부재(8)를 포함한다. 도어 핸들은, 회전중심으로서, 힌지 돌출 부재(8)의 전방 단부 상에 제공된 힌지 오목 부분(8a)과 핸들 베이스(11) 상에 형성된 돌출판 형상의 힌지 수용 부분(10) 사이의 삽입 부분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래치 조작 레버(14)는 피봇축(14a)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도록 핸들 베이스(11)에 연결된다. 도어 핸들(4)로부터 돌출된 작동 다리 부분(4a)의 말단부 상에 형성되는 래치 구동 유닛(15)은, 래치 조작 레버(14)에 결합된다.
도어 핸들(4)이 도 1에 화살표(A4) 방향으로 실선으로 도시된 초기 회전 위치로부터 회전중심(C4)의 주위로 회전되도록 조작될 때, 도어 핸들(4)이 도어(3)로부터 인출된다. 이에 따라, 래치 조작 레버(14)가 회전되며, 상기 래치 조작 레버는 래치 구동 유닛(15)에 의해 가압된다. 래치 조작 레버(14)의 회전은, 케이블 장치와 같은 전달 부재(16)를 통해, 도어(3) 내에 고정되는 도어 래치 장치(13)로 전달된다.
전술한 핸들의 조립은, 상기 도어 핸들(4)의 힌지 돌출 부재(8)가 도어 패널 및 핸들 베이스(11)에 개방된 전방 개구(17)를 통해 도어(3) 내로 삽입되고 그리고 작동 다리 부분(4a)이 후방 개구(18)를 통해 도어(3) 내로 삽입된 후, 전방측으로 미끄러지는 도어 핸들(4)에 의해 수행된다.
힌지 오목 부분(8a) 및 힌지 수용 부분(10)은 전방측으로 이동되는 도어 핸들(4)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래치 구동 유닛(15)의 전방측으로의 병진 이동 경로에 대해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간섭 위치로 편향되는 래치 조작 레버(14)는, 상기 편향력에 대해 래치 구동 유닛(15) 위로 미끄러지며, 그 후 래치 조작 레버(14)가 상기 래치 구동 유닛(15)을 도어(3)의 내측 부분(3)을 향해 편향시키고, 따라서 도어 핸들(4)이 초기 회전 위치측으로 유지된다.
이어서, 록 홀딩 블록(12)이 핸들 베이스(11)의 후방 개구(18)에 고정될 때, 도어 핸들(4)의 작동 다리 부분(4a)의 기부 단부 상에 형성된 스토퍼 부분(9)의 후방 단부면이 록 홀딩 블록(12)과 접촉하며, 상기 핸들 베이스(11)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이 억제되고, 따라서 핸들 베이스(11)가 미리 결정된 위치로 유지된다.
도어 핸들(4)은 힌지 돌출 부재(8) 및 동작 다리 부분(4a)을 갖는 강도 부재로서 핸들 본체(1) 상에 장착되는 장식 부재(2)로서의 피니셔에 의해 형성된다. 핸들 본체(1)의 후방 단부는 실린더 록(5)을 덮는 위치로 연장한다. 실린더 록(5)으로의 조작 개구(6)는, 초기 회전 위치에서 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실린더 록(5)과 핸들 본체(1)가 서로 중첩되는 위치로 개방된다. 실린더 록(5)의 표면에 대응하는 조작 개구(6)의 부분은 언로킹 키이를 실린더 록(5) 내로 삽입하여 상기 언로킹 키이를 회전하는데 요구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록 홀딩 블록(12)에 대응하는 부분은 핸들 본체(1)의 회전중심(C4) 주위로의 회전 궤도에 간섭하지 않고 그리고 록 홀딩 블록(12)을 삽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피니셔(2)는 필요하다면 도금과 같은 표면 처리가 실시된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피니셔(2)는 길이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핸들 본체(1)의 표면 부분 상에 배치된다. 피니셔(2)는 적어도 조작 개구(6)를 완전히 차단하는 형상을 갖도록 설정된다. 상기 피니셔(2)는 그 전체 표면에 걸쳐 핸들 본체(1)의 표면 부분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셔(2)는, 적절한 디자인 처리를 실시할 동안, 핸들 본체(1)를 피니셔의 양단부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폭방향으로 중심 부분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피니셔(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중심 부분에만 배치된 경우, 피니셔(2)가 삽입되는 피니셔 삽입 오목홈(1a)이 핸들 본체(1)에 제공된다.
도 4a 내지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결합 부분(7)은 피니셔(2)의 전방 단부 상에 제공되며, 피결합 부분(1b)은 핸들 본체(1) 상에 제공된다.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결합 부분(7)은 피니셔(2)의 표면 부재의 양측 엣지로부터 현수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다리 부분(7a)의 외면 상으로 돌출되는 결합 돌출 부분(7b)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결합 돌출 부분(7b)의 표면 상에는 원호면(7c)이 형성된다. 자유단부 부분의 자유단부에 접근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더 얇아지는 경사면(7d)은, 상기 결합 돌출 부분(7b)의 측벽 부분 상에 형성된다.
핸들 본체(1)의 피결합 부분(1b)은, 핸들 본체(1)를 이면까지 관통시키는 피니셔 삽입 오목홈(1a)의 내벽면을 오목한 형상으로 절결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셔(2)가 미세하게 경사진 상태에서 힌지 결합 부분(7)의 경사면(7d)이 피니셔 삽입 오목홈(1a)과 접촉된 후, 피니셔(2)가 내향으로 가압될 때, 다리 부분(7b)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결합 돌출 부분(7b)이 피니셔 삽입 오목홈(1a)의 내측을 관통하고, 상기 다리 부분(7a)은 피결합 부분이 통과될 때 그 본래의 위치로 복원되며, 따라서 상기 다리 부분(7a)이 피결합 부분(1b)과 결합된다(도 4d 참조).
이 상태에서,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호면(7c)은 피결합 부분(1b)의 천정면과 접촉하며, 그 후 피니셔(2)가 원호면(7c)의 중심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셔(2)의 후방 단부 아래의 단부 엣지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하는 후크(hook) 형상을 갖는 탄성 결합 부분(19)이 상기 피니셔(2)의 후방 단부 상에 형성된다. 탄성 결합 부분(19)의 판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구비한 홈 형상을 갖는 회전 단부 피결합 부분(1c)은 핸들 본체(1)의 후방 단부 상에 형성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결합 부분(19)이 탄성 결합 부분(19)과 결합 돌출 부분(7b) 사이에서 회전중심으로서 결합 부분의 주위로 회전할 때, 탄성 결합 부분(19)은 핸들 본체(1)의 후방 단부 상에 맞대기-이음되는(butt-jointed)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 결합 부분(19)이 핸들 본체 상에서 맞대기-이음된 후, 피니셔(2)의 후방 단부가 가압될 때, 상기 탄성 결합 부분(19) 또는 피니셔(2) 전체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핸들 본체(1)의 간섭 부분을 통과하고, 그 후 탄성 결합 부분(19) 또는 피니셔(2) 전체가 탄성적으로 복원되며, 따라서 탄성 결합 부분(19)이 핸들 본체(1)의 회전 단부 피결합 부분(2c)과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 핸들(4)이 핸들 베이스(11) 상에 장착될 때, 초기 회전 위치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결합 부분(19)은 도어(3)의 표면과 핸들 본체(1)의 단부 부분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피니셔(2)의 핸들 본체(1)로부터의 부주의한 이탈이 신뢰성 있게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본체(1)의 회전 단부 피결합 부분(1c)과 도어(3)의 표면 사이의 갭이 탄성 결합 부분(19)이 회전 단부 피결합 부분(1c)으로부터 분리될 때의 궤도가 상기 갭과 간섭하는 크기를 갖는 것으로 설정되면, 이탈은 더욱 신뢰성 있게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 록(5)으로의 조작 개구(6)는 피니셔(2)가 장착된 상태로 차단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시 등에 실린더 록(5)으로의 접근이 요구되는 상태에서, 도어 핸들(4)이 회전중심(C4)의 주위로 회전하도록 작동되고 또한 탄성 결합 부분(19)이 외부로 노출되었을 때, 상기 탄성 결합 부분의 분리 동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또한 핸들 본체(1)와 도어 핸들(4) 사이의 연결 상태가 다른 단부 부분에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피니셔가 핸들 본체(1)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조작성이 향상된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도어(3)에 부착되고 또한 도어의 개폐 시 취급되는 차량용 도어 핸들(4)은 핸들 본체(1), 및 상기 핸들 본체(1)의 표면 상에 배치되는 장식 부재(2)를 포함한다.
도어(3)에 고정되는 실린더 록(5)으로의 조작 개구(6)는 핸들 본체(1)에 개방된다.
상기 장식 부재(2)는 차단 자세에서 핸들 본체(1) 상에 장착된 도어(3)로부터 노출된 핸들 본체(1)의 부분의 거의 전체 길이를 덮음으로써 상기 조작 개구(6)를 차단한다.
상기 장식 부재(2)는 핸들 본체(1)로부터의 장착해제 동작 또는 차단 자세로의 이행 동작에 의해 조작 개구(6)의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핸들(4)은, 강화 부재로서 실질적으로 사용자를 위한 파지부로서 작용하는 핸들 본체(1)의 표면 상에 장착되는 장식 부재(2)에 의해 형성된다. 실린더 록(5)으로의 접근에 사용되는 조작 개구(6)는 핸들 본체(1)에서 개방된다.
핸들 본체(1)의 표면에 있어서, 실린더 록(5)의 조작 개구(6)는 핸들 본체(1)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장착되는 장식 부재(2)에 의해 덮인다. 이런 이유로, 표면에 노출된 조작 개구(6)에 의해 전체 핸들 본체(1)의 디자인 연속성이 억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조작 개구(6)가 핸들 본체(1)로부터 제거되는 장식 부재(2)에 의해 또는 차단 자세로부터 비-차단 자세로 이행되는 장식 부재(2)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언제라도 필요할 때 실린더 록(5)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장식 부재(2)는 도어 핸들(4)의 표면의 거의 전체 영역을 덮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자인 연속성이 간섭받지 않는 한, 장식 부재(2)는 폭방향으로 중심 부분 상에 벨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종단(terminal end)이 도어 핸들(4)의 중심 부분에 위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장식 부재(2)가 길이방향으로 디자인 연속성과 간섭하지 않는 한, 장식 부재(2)의 시작 단부 위치는 도어 핸들(4)의 시작 단부로부터 미세하게 후향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식 부재(2)는 한쪽 단부 부분 상에 형성된 힌지 결합 부분(7)과 핸들 본체(1) 사이에서 회전중심으로서 결합 부분 주위로 회전되도록 작동됨으로써, 그리고 이에 따라 핸들 본체(1)의 다른 쪽 단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핸들 본체(1)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식 부재(2)의 핸들 본체(1) 상으로의 장착에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구조를 취한다면, 상기 장식 부재(2)가 양단부 지지된 비임으로서 핸들 본체(1) 상에 장착되기 때문에, 덜거덕거림(rattling), 부양 등이 발생하기 어려우며, 또한 장식 부재(2)를 핸들 본체(1)에 신뢰성 있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분리 동작 또한 용이해진다.
또한, 결합 단부가 핸들 본체(1)의 중간 부분에 설정되는 경우, 상기 중간 부분이 회전 시작 단부로 설정되었을 때, 외면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지지점을 형성하기에는 구조가 복잡해지고, 연결 작업성이 저하되며, 또한 상기 중간 부분이 회전 단부에 설정되었을 때, 사용자에 의해 분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어려워짐으로써 조작성이 저하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서 양단부를 결합 단부에 설정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 조립 효율과 조작성 모두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핸들 본체(1)는 그 한쪽 단부가 인출되도록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도어(3)에 고정되며, 또한 장식 부재(2)의 핸들 본체(1)로의 탄성 결합 부분(19)은 도어(3)에 대해 인출 조작측 상의 핸들 본체(1)의 회전 단부의 표면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표면은 도어(3)의 표면과 대향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어 핸들(4)은 그 한쪽 단부를 인출함으로써 회전되도록 조작되며, 장식 부재(2)의 핸들 본체(1)로의 탄성 결합 부분(19)은 도어(3)의 표면과 대향하는 핸들 본체(1)의 인출 단부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그 결과로서, 도어 핸들(4)이 미사용 위치에 있을 때, 장식 부재(2)의 결합 부분이 상기 표면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장식 부재가 불시에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어 핸들(4)이 사용되는 도어 핸들 장치는 차량의 도어(3)에 고정된 실린더 록(5), 및 차량의 도어(3)에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한쪽 단부 부분 및 실린더 록(5)을 덮고 또한 상기 장식 부재(2)에 의해 실린더 록(5)으로의 조작 개구(6)를 차단하는 다른 쪽 단부 부분을 갖는 도어 핸들(4)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 돌출 부재(8) 및 스토퍼 부분(9)은 도어 핸들(4)의 양단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병진 이동 동작을 받는 도어 핸들(4)의 힌지 돌출 부재(8)를 수용하고, 또한 도어 핸들(4)의 회전중심을 제공하기 위해 장착 시 이동 방향으로 그리고 도어(3) 병진 이동의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힌지 돌출 부재(8)의 병진 이동을 저지하는 힌지 수용 부분(10)을 포함하는 핸들 베이스(11)는, 도어(3)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 부분(9)을 향한 방향으로 도어 핸들(4)의 병진 이동은, 도어 핸들(4)이 핸들 베이스(11)에 장착된 후 도어(3)에 고정되고 그리고 도어 핸들(4)의 스토퍼 부분(9)과 접촉하는 실린더 록(5)을 보유한 록 홀딩 블록(12)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핸들 베이스(11)는 도어(3)에 미리 고정되며, 상기 도어 핸들(4)의 도어(3)로의 장착은, 도어 핸들(4)의 한쪽 단부 상에 형성된 힌지 돌출 부재(8)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도어 핸들(4)에 의해 핸들 베이스(11)의 힌지 수용 부분 상에 장착된 후, 록 홀딩 블록(12)을 도어(3)에 고정함으로써 도어 핸들(4)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수행된다.
피봇축을 사용하지 않고 도어 핸들(4)이 핸들 베이스(11)에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핸들 베이스(11) 및 도어 핸들(4)이 미리 조립될 것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핸들 베이스(11)를 도어 패널의 이면에 배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가시성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디자인 자유도의 개선으로 나타난다.
이 경우에, 스토퍼 부분(9)이 래치 조작 레버(14)의 작동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도어 핸들 표면에 연속성을 파괴하는 부재 종단선(termination end line) 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세한 또는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로부터의 일탈 없이 실시예에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추가될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자명하다.
본 출원은 그 내용이 여기에 참조 인용된, 2014년 3월 14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4-052243호에 기초하고 있다.
1: 핸들 본체 2: 장식 부재
3: 도어 4: 도어 핸들
5: 실린더 록 6: 조작 개구
7: 힌지 결합 부분 8: 힌지 돌출 부재
9: 스토퍼 부분 10: 힌지 수용 부분
11: 핸들 베이스 12: 록 홀딩 블록
13: 도어 래치 장치 14: 래치 조작 레버
15: 래치 구동 유닛

Claims (7)

  1. 차량의 도어 상에 장착되며 도어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작동될 때 취급되는, 차량용 도어 핸들로서:
    핸들 본체; 및
    상기 핸들 본체의 표면 상에 배치되는 장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실린더 록으로의 조작 개구가 핸들 본체에 개방되며,
    상기 장식 부재는 조작 개구를 차단 자세로 차단하며,
    상기 조작 개구의 차단은 핸들 본체로부터 장식 부재를 분리함으로써, 또는 상기 장식 부재를 비-차단 자세로 이행하도록 조작함으로써 해제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핸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식 부재의 한쪽 단부 부분에 힌지 결합 부분이 제공되며,
    상기 장식 부재는 힌지 결합 부분과 핸들 본체 사이에서 회전중심으로서 결합 부분의 주위로 회전되도록 작동되며,
    상기 장식 부재의 다른 쪽 단부는 핸들 본체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장식 부재는 핸들 본체 상에 장착되는, 차량용 도어 핸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핸들 본체는 핸들 본체의 한쪽 단부가 인출되는 도어에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장식 부재의 핸들 본체로의 탄성 결합 부분은, 핸들 본체의 도어에 대한 인출 조작측에서 회전 단부의 도어의 표면과 대향하는 표면 상에 배치되는, 차량용 도어 핸들.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로부터 노출되는 핸들 본체의 노출 부분은 차단 자세에서 전체 길이에 걸쳐 장식 부재로 덮이는, 차량용 도어 핸들.
  5. 차량용 도어 핸들 장치로서:
    차량의 도어에 고정되는 실린더 록, 및
    차량의 도어에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한쪽 단부 및 상기 실린더 록을 장식 부재로 덮으며 또한 실린더 록으로의 조작 개구를 장식 부재로 차단하는 다른 쪽 단부를 포함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어 핸들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핸들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핸들의 양단부에 힌지 돌출 부재 및 스토퍼 부분이 제공되며,
    상기 도어에는 힌지 수용 부분을 포함하는 핸들 베이스가 고정되며,
    상기 힌지 수용 부분은 병진 이동 동작이 길이방향으로 수행되는 도어 핸들의 힌지 돌출 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힌지 수용 부분은, 도어 핸들의 회전중심을 제공하기 위해, 장착 시 이동 방향으로 그리고 도어의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상기 힌지 돌출 부재의 병진 이동을 저지하며,
    상기 실린더 록을 보유한 록 홀딩 블록은 도어 핸들의 스토퍼 부분을 향한 방향으로 도어의 병진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도어 핸들이 핸들 베이스 상에 장착된 후 도어에 고정되고, 그리고 도어 핸들의 스토퍼 부분에 인접한, 차량용 도어 핸들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핸들 베이스는 도어 내에 고정된 도어 래치 장치에 연결되는 래치 조작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 베이스는 도어 패널의 이면에 고정되고,
    도어 핸들의 회전 동작에 응답하여 래치 조작 레버를 구동하는 래치 구동 유닛은, 도어 상에 장착되었을 때 도어 내로 삽입되는 도어 핸들의 스토퍼 부분에 제공되는, 차량용 도어 핸들 장치.
KR1020167024831A 2014-03-14 2015-03-13 차량용 도어 핸들 KR201601328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52243 2014-03-14
JP2014052243A JP6499827B2 (ja) 2014-03-14 2014-03-14 車両のドアハンドル
PCT/JP2015/057520 WO2015137492A1 (ja) 2014-03-14 2015-03-13 車両のドアハンド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841A true KR20160132841A (ko) 2016-11-21

Family

ID=5407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831A KR20160132841A (ko) 2014-03-14 2015-03-13 차량용 도어 핸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002589A1 (ko)
EP (1) EP3118400B1 (ko)
JP (1) JP6499827B2 (ko)
KR (1) KR20160132841A (ko)
CN (1) CN106103870B (ko)
RU (1) RU2016140253A (ko)
WO (1) WO201513749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613A (ko) * 2018-06-25 2020-0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20220160852A (ko) * 2021-05-28 2022-12-06 주식회사 프라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22365A1 (de) * 2015-12-07 2017-06-0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griff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JP6612686B2 (ja) * 2016-06-21 2019-11-27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JP6907797B2 (ja) * 2017-08-09 2021-07-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閉制御装置
DE102017123289A1 (de) * 2017-10-06 2019-04-1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fahren zum endpositionierten Montieren eines Türgriffträgers und Türgriffträgerbefestigungsset
DE102017124568A1 (de) * 2017-10-20 2019-04-2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Türaußengriff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EP3473789B1 (en) 2017-10-20 2020-12-23 U-Shin Italia S.p.A. Door handle for a motor vehicle
JP6508313B1 (ja) * 2017-12-15 2019-05-0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取付構造
FR3081488B1 (fr) * 2018-05-28 2021-01-01 U Shin Italia Spa Poignee pour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a acces de maintenance simplifie
JP7064993B2 (ja) * 2018-08-08 2022-05-11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のドアハンドル
JP6651585B1 (ja) * 2018-08-30 2020-02-19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DE102018220205A1 (de) * 2018-11-23 2020-05-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chließsystem für eine Tür oder Klappe eines Kraftfahrzeugs, Tür oder Klappe eines Kraftfahrzeugs,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64012A (en) * 1949-07-29 1951-08-14 Ray F Jordan Handle and lock cover
US2585331A (en) * 1950-09-25 1952-02-12 Martin V King Automobile door handle and lock shield
JP2004060191A (ja) * 2002-07-25 2004-02-26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ハンドル
JP2005299085A (ja) * 2004-04-06 2005-10-27 Honda Motor Co Ltd 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JP2008196224A (ja) * 2007-02-14 2008-08-28 Tokai Rika Co Ltd キーシリンダのカバー構造
JP4999561B2 (ja) * 2007-06-11 2012-08-15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ドア構造
JP5270421B2 (ja) * 2009-03-30 2013-08-21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JP5162617B2 (ja) * 2010-04-15 2013-03-13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JP5556620B2 (ja) * 2010-11-26 2014-07-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ハンドル装置
DE102012102485A1 (de) * 2012-03-22 2013-09-2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Handhabe eines Kraftfahrzeuges mit einem bewegbaren Abdeckelement
JP5985874B2 (ja) * 2012-04-27 2016-09-06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用ハンド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613A (ko) * 2018-06-25 2020-0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20220160852A (ko) * 2021-05-28 2022-12-06 주식회사 프라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8400A1 (en) 2017-01-18
RU2016140253A (ru) 2018-04-16
CN106103870A (zh) 2016-11-09
US20170002589A1 (en) 2017-01-05
JP6499827B2 (ja) 2019-04-10
WO2015137492A1 (ja) 2015-09-17
JP2015175161A (ja) 2015-10-05
CN106103870B (zh) 2018-03-09
EP3118400B1 (en) 2019-11-27
EP3118400A4 (en)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2841A (ko) 차량용 도어 핸들
JP6368951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US10030413B2 (en) Oute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US9564701B2 (en) Plug connector
CN105525791B (zh) 车门外把手的按压开关
KR101439055B1 (ko) 차량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장치
JP2014095209A (ja)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JP6300702B2 (ja)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US10352069B2 (en) Locking lever and vehicle door opening-closing device
JP2008265393A (ja) 車両のキャブロック装置
JP2022000569A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JP2016199937A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US20190249464A1 (en) Inside handle device for vehicle
JP2010126950A (ja) ドアハンドル装置
WO2019151457A1 (ja) 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6367619B2 (ja) ケーブル連結装置
CN111247300B (zh) 机动车辆的门把手
KR101187886B1 (ko) 특수차량용 개폐장치
JP2017150205A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JP2008063864A (ja) スライドドアの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EP3835520A1 (en) Vehicle door handle
CN110541633A (zh) 门锁装置
JP2002075533A (ja) 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