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484A - 타이어 지지장치, 및 그 타이어 지지장치를 구비하는 타이어 시험 시스템 - Google Patents

타이어 지지장치, 및 그 타이어 지지장치를 구비하는 타이어 시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484A
KR20160132484A KR1020167028799A KR20167028799A KR20160132484A KR 20160132484 A KR20160132484 A KR 20160132484A KR 1020167028799 A KR1020167028799 A KR 1020167028799A KR 20167028799 A KR20167028799 A KR 20167028799A KR 20160132484 A KR20160132484 A KR 20160132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ring member
opening
flow path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968B1 (ko
Inventor
다츠야 우에다
마코토 다치바나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우고오 마시나리 테크노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우고오 마시나리 테크노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우고오 마시나리 테크노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2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G01M17/021Tyre supporting devices, e.g.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02Inspecting ty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02Details of balancing machine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Testing Of Balance (AREA)

Abstract

타이어 지지장치(1)는, 타이어(T)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2)와, 타이어(T)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3)와, 타이어(T)의 내부에 공기를 급배기하는 급배기부(5)를 구비한다. 제2 지지부(3)는, 제1 지지부(2)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33)를 갖는다. 급배기부(5)는,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1 유로(F1)와, 공기를 돌출부(33)의 선단에 형성되는 개구부(331)로부터 타이어(T)의 내부까지 유통시키는 제2 유로(F2)와, 개구부(331)에 장착되어, 타이어(T)의 내부로부터 제2 유로(F2)에 혼입된 이물(G)을 포집하는 포집부(53)를 갖는다.

Description

타이어 지지장치, 및 그 타이어 지지장치를 구비하는 타이어 시험 시스템{TIRE HOLDING APPARATUS AND TIRE TESTING SYSTEM PROVIDED WITH SAID TIRE HO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타이어 지지장치, 및 그 타이어 지지장치를 구비하는 타이어 시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4년 4월 2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4-088197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타이어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가황 후의 타이어에 대하여 품질 검사를 위하여 다양한 시험이 행해진다. 타이어의 시험을 행하는 시스템으로서는, 타이어의 균일성을 측정하는 타이어 유니포미티 머신이나, 타이어의 밸런스를 측정하는 타이어 밸런스 측정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타이어의 시험을 행하는 시스템에서는, 시험 대상의 타이어를 지지하는 타이어 지지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타이어 지지장치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부터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부터 특허문헌 3에 개시된 타이어 지지장치에서는, 타이어를 원하는 폭 치수로 지지하기 위하여, 서로 탈착 가능한 하측 림과 상측 림이 이용되고 있다. 타이어 지지장치에서는, 이 하측 림과 상측 림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타이어를 지지하고, 내부에 공기를 보내는 인플레이트 처리를 행하고 있다. 이로써, 타이어 지지장치에서는, 타이어의 내부 압력을 사용 상태에 가까운 값까지 승압시켜, 실제로 휠을 장착한 사용 상태를 모의(模擬)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69768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보 제2630727호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보 제3904319호
그런데, 타이어에는, 금형에 고무를 흘려 넣어 제조할 때에 발생하는 수염과 같은 스퓨(spew)나, 금형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단부에 발생하는 버(burr)가 부착되어 버린다. 이 스퓨나 버는 각종 검사를 행하기 전에 타이어 본체로부터 트리밍된다. 그러나, 트리밍하여 타이어 본체로부터 탈락된 후의 작은 부스러기가, 타이어의 내부에 이물로서 남아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타이어의 내부에 잔류한 이물은, 검사 종료 후에 타이어 지지장치로부터 타이어를 분리하기 위하여 타이어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면, 공기와 함께 타이어의 내부로부터 배출되어, 타이어 지지장치 내의 배관 등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에 들어가 버린다. 이로 인하여, 이 이물이, 타이어 지지장치 내의 배관이나 밸브까지 도달하여, 배관 막힘이나 밸브의 작동 불량 등의 문제를 일으켜, 타이어에 대하여 공기를 충분히 급배기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지지한 타이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공기를 급배기시키는 것이 가능한 타이어 지지장치, 및 그 타이어 지지장치를 구비하는 타이어 시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의 타이어 지지장치는, 타이어의 일방측을 지지하는 제1 림이 장착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타이어의 타방측을 지지하는 제2 림이 장착되는 제2 지지부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원에 접속되어 상기 제1 림 및 상기 제2 림에 지지된 상기 타이어의 내부에 상기 공기를 급기함과 함께, 상기 타이어의 내부에 공급한 상기 공기를 상기 타이어의 외부에 배기하는 급배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고, 상기 급배기부는,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를 유통하는 상기 공기를 상기 돌출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개구부로부터 상기 타이어의 내부까지 유통시키는 제2 유로와, 상기 개구부에 마련되어, 상기 타이어의 내부로부터 상기 제2 유로에 혼입된 이물을 포집하는 포집부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유로와 제2 유로 사이의 공기 유입구인 개구부에 포집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타이어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배기할 때에, 타이어의 내부 이물이 제2 유로에 혼입되어 제1 유로까지 유입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스퓨나 버의 처리 등에 의하여 타이어의 내부에 이물이 잔류하고 있던 경우에, 배기되는 공기와 함께, 이 이물이 타이어의 내부로부터 흘러 나와 버려도, 포집부에서 당해 이물을 포집함으로써 제1 유로에 이물이 혼입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유로가 이물에 의하여 막혀 버려, 공기의 유통이 방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있어서의 타이어 지지장치에서는, 상기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포집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포집부가 돌출부의 선단인 개구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제2 림이 제1 림에 대하여 멀어져 돌출부가 삽입부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면, 돌출부의 개구부는 노출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개구부에 마련된 포집부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포집부가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포집부에 이물이 퇴적된 경우에, 포집부를 분리하여 교환이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있어서의 타이어 지지장치에서는, 상기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개구부에 탈착 가능한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에 장착되는 필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필터가 개구부에 탈착 가능한 링부재와, 별도 구성인 것에 의하여, 목적에 따른 필터로 교환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포집 대상으로 하는 이물에 따른 필터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이물을 포집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되는 타이어 지지장치에 따라서 제거하고자 하는 이물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있어서의 타이어 지지장치에서는, 상기 제3 양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통 형상을 이루어 돌출되고, 상기 링부재는, 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며, 상기 포집부는, 상기 링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돌출부의 내주면의 사이에서 압축 변형된 상태로 장착되는 탄성부재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탄성부재에 의하여 링부재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링부재를 개구부로부터 삽입하면, 압축 변형된 탄성부재가 링부재의 외주면과 돌출부의 내주면을 향하여 반발한다. 이로 인하여, 링부재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로써, 링부재를 개구부로부터 밀어 넣는 것만으로 돌출부에 대하여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있어서의 타이어 지지장치에서는, 상기 제3 양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통 형상을 이루어 돌출되고, 상기 링부재는, 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며, 상기 포집부는, 상기 돌출부의 내주면 및 상기 링부재의 외주면에, 상대적인 회동(回動)에 의하여 상기 내주면과 상기 외주면을 걸어맞춤 및 걸어맞춘 상태를 해제 가능하게 하는 걸어맞춤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대적인 회동에 의하여 돌출부의 내주면 및 링부재의 외주면을 걸어맞추고, 또, 걸어맞춘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돌출부에 링부재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으면 걸어맞춤 상태는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개구부에 있어서 포집부를 보다 강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있어서의 타이어 지지장치에서는, 상기 제3 양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통 형상을 이루어 돌출되고, 상기 링부재는, 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며, 상기 포집부는, 상기 돌출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개구부에 대한 상기 링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링부재가 개구부로부터 삽입된 상태에서, 규제부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규제부를 외부로부터 해제하지 않으면, 링부재를 이동시킬 수 없다. 이로 인하여, 개구부에 있어서 포집부를 보다 강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있어서의 타이어 지지장치에서는, 상기 제3 내지 제6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제2 유로에 면하고, 상기 제2 유로를 유통하는 상기 공기의 유통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포집부가 제2 유로에 면하여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됨으로써, 제2 유로를 공기와 함께 공기의 유통방향을 따라 유통하는 이물은, 경사면에 부딪혀 한쪽에 치우쳐 퇴적된다. 따라서, 타방에 이물이 적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쉬워져, 보다 더 안정적으로 공기를 유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양태에 있어서의 타이어 시험 시스템은, 상기 타이어 지지장치와, 상기 제1 림과 상기 제2 림에 의하여 지지된 상기 타이어의 특성을 계측하는 계측장치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의 타이어 지지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계측 대상이 되는 타이어에 대하여 장착, 급기, 계측, 배기, 분리를 순서대로 행하는 공정을 복수의 타이어에서 연속적이고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집부에 의하여 이물을 포집할 수 있어, 지지한 타이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공기를 급배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타이어 시험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타이어 지지장치 내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집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집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집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집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부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 시스템(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타이어 시험 시스템(100)이 타이어 유니포미티 머신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타이어 시험 시스템(100)은, 가황 성형 후의 타이어(T)의 불균일성 등의 타이어(T)의 특성을 측정하여 검사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타이어 시험 시스템(100)은, 시험 대상인 타이어(T)를 지지하는 타이어 지지장치(1)와, 타이어(T)에 소정의 하중을 가하는 로드휠(11)을 구비하고 있다.
타이어 지지장치(1)는, 시험 대상의 타이어(T)를 지지하고, 타이어(T)의 내부에 공기를 보냄으로써, 실제로 휠이 장착된 타이어(T)의 사용 상태를 모의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타이어 지지장치(1) 내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타이어 지지장치(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림(하측 림)(24)이 장착되는 제1 지지부(하부 스핀들)(2)와, 타이어(T)의 일방측을 지지하는 하측 림(24)과, 제2 림(상측 림)(34)이 장착되는 제2 지지부(상부 스핀들)(3)와, 타이어(T)의 타방측을 지지하는 상측 림(34)과, 하부 스핀들(2)에 대하여 상부 스핀들(3)을 연결하는 연결부(4)와, 하측 림(24) 및 상측 림(34)으로 지지한 타이어(T)의 내부로의 공기의 급기 및 배기를 행하는 급배기부(5)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스핀들(2)은, 하측 림(24)을 통하여 타이어(T)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하부 스핀들(2)은, 기대(基臺)(21)와, 기대(21)에 설치되는 하부 스핀들 본체(22)와, 하부 스핀들 본체(22)로부터 상부 스핀들(3)을 향하여 돌출되는 삽입부(23)를 갖는다.
하부 스핀들 본체(22)는, 기대(21)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접속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부 스핀들 본체(22)는, 하측 림(24)이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하부 스핀들 본체(22)는, 연직방향으로 뻗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하부 스핀들 본체(22)는, 내부의 원형 단면을 이루는 중공 부분이 제1 유로(F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삽입부(23)는, 하부 스핀들 본체(22)로부터 상부 스핀들(3)을 향하여 연직방향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삽입부(23)는, 연직방향으로 뻗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삽입부(23)는, 중심축이 하부 스핀들 본체(22)의 중심축 연장선 상이 되도록 하부 스핀들 본체(22)의 연직방향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23)의 정부(頂部)는, 연직방향의 상방을 향하여 배치되고, 중심에 원 형상의 삽입구멍(231)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삽입부(23)의 내부는, 하측 림(24)이 장착 가능한 외경을 이루어 연직방향으로 뻗고, 내부의 원형 단면을 이루는 중공 부분이 제1 유로(F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하측 림(24)은, 타이어(T)의 축선방향의 일방측인 연직방향의 하방으로부터, 타이어(T)의 하방의 비드부(T1)를 지지한다. 본 실시형태의 하측 림(24)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하측 림 장착부(241)와, 하측 림 장착부(241)의 단부에 마련된 하측 림 본체(242)를 갖고 있다.
하측 림 장착부(241)는, 삽입부(23)에 삽입되어 하부 스핀들 본체(22)에 대하여 장착된다. 하측 림 장착부(241)는, 연직방향을 향하여 뻗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하측 림 장착부(241)는, 내부의 중공 부분이 삽입부(23)를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하측 림 장착부(241)는, 중심축이 삽입부(23)의 중심축 상에 배치된다.
하측 림 본체(242)는, 하측 림 장착부(241)의 연직방향의 상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하측 림 본체(242)는, 타이어(T)의 하방의 비드부(T1)의 외측면 전체 둘레에 밀착 가능한 링 형상의 수평면인 하측 림 압압면(242a)을 갖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측 림 본체(242)에는, 비드부(T1)의 내주측에 끼워 넣는 하측 림 원통부(242b)가, 하측 림 압압면(242a)으로부터 연직방향의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 스핀들(3)은, 상측 림(34)을 통하여 타이어(T)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상부 스핀들(3)은, 하부 스핀들 본체(22)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상부 지지부 본체(31)와, 상부 지지부 본체(31)를 연직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기구부(32)와, 상부 지지부 본체(31)로부터 하부 스핀들(2)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33)를 갖는다.
상부 지지부 본체(31)는, 하부 스핀들 본체(22)와 연직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상부 지지부 본체(31)는, 승강기구부(3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부 지지부 본체(31)는, 상측 림(34)이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승강기구부(3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대(21)에 고정된 프레임(321)에 볼나사(322)를 통하여 림 엘리베이터(324)가 장착되어 있다. 림 엘리베이터(324)는, 볼나사(322)에 의하여, 연직방향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림 엘리베이터(324)에는, 상부 지지부 본체(31)가 고정되어 있다. 승강기구부(32)는, 림 엘리베이터(324)를 통하여 상부 지지부 본체(31)의 연직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고, 하부 스핀들 본체(22)에 대한 상부 지지부 본체(31)의 연직방향의 상하 거리를 조절한다.
돌출부(33)는, 상부 지지부 본체(31)로부터 하부 스핀들(2)을 향하여 연직방향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돌출부(33)는, 연직방향으로 뻗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돌출부(33)는, 중심축이 삽입부(23)의 중심축 연장선 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돌출부(33)는, 삽입부(23)의 정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구멍(231)에 삽입 가능한 외경을 이루어 연직방향으로 뻗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돌출부(33)는, 외주면이 삽입구멍(231)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삽입되는 외경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돌출부(33)는, 연직방향의 상단이 상부 지지부 본체(31)에 일체로 접속되어 있다. 돌출부(33)는, 연직방향의 하단이 개방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선단에 개구부(331)를 갖는다.
개구부(331)에는, 후술하는 포집부(53)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오목부(332)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 오목부(332)는, 개구부(331)에 있어서, 돌출부(33)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측을 향하여 패임과 함께, 선단에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장착 오목부(332)는, 돌출부(33)의 내주면보다 더 큰 원형 단면을 이루고, 돌출부(33)의 선단으로부터 패여 있다.
돌출부(33)는, 연직방향의 상방인 상부 지지부 본체(31)측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유통구멍(33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통구멍(333)은, 돌출부(33)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유통구멍(333)은, 돌출부(33)의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33)의 내부는, 개구부(331)로부터 내부의 원형 단면을 이루는 중공 부분을 통하여 유통구멍(333)까지가 연통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타이어(T)의 내부까지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2 유로(F2)를 구성하고 있다.
돌출부(33)는, 연직방향의 하방의 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되어있는 걸어맞춤 홈(334)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홈(334)은, 돌출부(33)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홈(334)은, 연직방향으로 이간되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홈(334)은, 연결부(4)와 걸어맞춰진다.
상측 림(34)은, 타이어(T)의 축선방향의 타방측인 연직방향의 상방으로부터, 타이어(T)의 상방의 비드부(T1)를 지지한다. 상측 림(34)은, 하측 림(24)과 함께 타이어(T)의 비드 직경에 따라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상측 림(34)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상측 림 장착부(341)와, 상측 림 장착부(341)의 단부에 마련된 상측 림 본체(342)를 갖고 있다.
상측 림 장착부(341)는, 상부 지지부 본체(31)에 하측 림(24)과 연직방향으로 대향하도록 하여 장착된다. 상측 림 장착부(341)는, 연직방향을 향하여 뻗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측 림 장착부(341)는, 내부의 중공 부분에 돌출부(33)를 배치 가능한 형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측 림 장착부(341)는, 중심축이 돌출부(33)의 중심축과 동 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측 림 장착부(341)는, 상부 지지부 본체(31)에 장착된다.
상측 림 본체(342)는, 상측 림 장착부(341)의 연직방향의 하방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측 림 본체(342)는, 타이어(T)의 상방의 비드부(T1)의 외측면 전체 둘레에 밀착 가능한 링 형상의 수평면인 상측 림 압압면(342a)을 갖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 림 본체(342)에는, 비드부(T1)의 내주측에 끼워 넣는 상측 림 원통부(342b)가, 상측 림 압압면(342a)으로부터 연직방향의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4)는, 하측 림(24)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상측 림(34)의 위치를 고정하고, 또, 고정한 상태를 해제한다. 본 실시형태의 연결부(4)는, 걸어맞춤 홈(334)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클로(41)와, 걸어맞춤 클로(4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핀(42)과, 핀(42)을 중심으로 걸어맞춤 클로(41)를 회전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구를 구비한다.
걸어맞춤 클로(41)는, 삽입부(23)에 대하여 90°의 등간격 배치로 4개소에 배치된다. 걸어맞춤 클로(41)는, 연직방향의 상방에 삽입부(23)의 중심축측을 향하는 갈고리부(411)가 돌출되어 있다.
핀(42)은, 걸어맞춤 클로(41)의 연직방향의 중앙에 배치된다. 핀(42)은, 걸어맞춤 클로(4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구동기구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등의 탄성체에 의하여 걸어맞춤 클로(41)의 하단이 삽입부(23)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부세(付勢)하고, 핀(42)을 중심으로 걸어맞춤 클로(41)를 회전시킨다. 구동기구는, 걸어맞춤 클로(41)의 사이에 돌출부(33)가 삽입되어, 걸어맞춤 클로(41)의 하단이 외주측으로 밀려난다. 이로써, 구동기구는, 걸어맞춤 클로(41)를 회전시켜, 갈고리부(411)를 돌출부(33)의 걸어맞춤 홈(334)에 삽입시키거나, 걸어맞춤 홈(334)으로부터 이간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급배기부(5)는, 공기를 공급하는 도시하지 않은 공급원에 접속되어 있다. 급배기부(5)는, 하측 림(24) 및 상측 림(34)으로 지지된 타이어(T)의 내부에 공기를 급기함과 함께, 타이어(T)의 내부에 공급한 공기를 타이어(T)의 외부에 배기한다. 본 실시형태의 급배기부(5)는, 제1 유로(F1)와, 제2 유로(F2)와, 제1 유로(F1)로의 공기의 유출입을 조정하는 밸브부(51)와, 제1 유로(F1)에 배치되는 압력계(52)와, 돌출부(33)의 개구부(331)에 장착되는 포집부(53)를 갖는다.
제1 유로(F1)는, 밸브부(51)를 통하여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제2 유로(F2)까지 유통시킴과 함께, 제2 유로(F2)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밸브부(51)까지 유통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유로(F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스핀들 본체(22) 및 삽입부(23)에 형성됨과 함께, 기대(21) 내에도 형성되어 있다. 제1 유로(F1)는, 기대(21)에서는, 하부 스핀들 본체(22)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유로(F1)는, 단면 원 형상을 이루는 배관(211)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2 유로(F2)는, 제1 유로(F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돌출부(33) 선단의 개구부(331)로부터 유통구멍(333)을 통하여 타이어(T)의 내부까지 유통시킴과 함께, 타이어(T)의 내부의 공기를 유통구멍(333)으로부터 개구부(331)를 통하여 제1 유로(F1)까지 유통시킨다.
밸브부(51)는, 제1 유로(F1)로의 공기의 급기 및 제1 유로(F1)로부터의 공기의 배기를 전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밸브부(51)는, 기대(21) 내에 마련되며, 제1 유로(F1)의 일방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밸브부(51)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의 공급원 및 도시하지 않은 공기의 배출구와 접속되어 있다. 밸브부(51)는, 공급원과 배출구 중 어느 일방으로의 공기의 유로를 개방시킴과 함께 타방으로의 공기의 유로를 폐쇄시킨다.
압력계(52)는, 제1 유로(F1) 내의 공기의 압력을 측정한다. 본 실시형태의 압력계(52)는, 제1 유로(F1)에 있어서, 밸브부(5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포집부(53)는, 타이어(T)의 내부로부터 제2 유로(F2)에 혼입된 이물(G)을 포집한다. 포집부(53)는, 돌출부(33)의 개구부(331)에 마련된다. 포집부(53)는, 타이어(T)의 내부로부터 유통구멍(333)을 통하여 제2 유로(F2)로 들어온 이물(G)을 포집한다. 본 실시형태의 포집부(53)는, 개구부(331)에 있어서 돌출부(33)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포집부(5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331)에 탈착 가능한 링부재(531)와, 링부재(531)에 의하여 개구부(331)에 장착되는 필터(532)와, 링부재(531)와 돌출부(33)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533)를 갖는다.
링부재(531)는, 돌출부(33)에 대하여 개구부(331)로부터 삽입되어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링부재(531)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링부재 본체(531a)와, 링부재 본체(531a)의 일단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531b)를 갖는다.
링부재 본체(531a)는, 개구부(331)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 오목부(332)에 삽입된다. 본 실시형태의 링부재 본체(531a)는, 연직방향으로 뻗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링부재 본체(531a)는, 장착 오목부(3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주면이 장착 오목부(332)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내주면이 돌출부(33)의 내주면에 대하여 단차가 없는 동일 평면이 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531b)는, 링부재 본체(531a)의 연직방향의 하방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531b)는, 링부재 본체(531a)로부터 직경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플랜지부(531b)는, 장착 오목부(3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주면이 돌출부(33)의 외주면에 대하여 단차가 없는 동일 평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필터(532)는, 개구부(331)에 의하여 공기를 유통시키면서, 소정 크기의 물체의 유통을 저해한다. 본 실시형태의 필터(532)는, 개구부(331)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링부재(531)에 의하여 지지된다. 본 실시형태의 필터(532)는, 필터 본체(532a)와, 필터 본체(532a)의 외주측을 덮는 가장자리부(532b)를 갖는다.
필터 본체(532a)는,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필터 본체(532a)는, 타이어의 내부에 잔류하는 이물(G)을 포집 가능한 소정의 조도를 갖는 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필터 본체(532a)는, 표면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필터면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필터 본체(532a)는, 제2 유로(F2)를 유통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인 연직방향에 대하여 가장 공기가 잘 빠져나가도록, 망이 연직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필터 본체(532a)는, 필터면이 연직방향의 상하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장자리부(532b)는, 필터 본체(532a)를 고정하고 있다. 가장자리부(532b)는, 필터 본체(532a)의 외주를 덮도록 환 형상을 이루고 있다.
탄성부재(533)는, 링부재(531)의 외주면과 돌출부(33)의 내주면의 사이에서 압축 변형된 상태로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탄성부재(533)는, 링부재 본체(531a)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탄성부재(533)는, 예를 들면, 고무 재료에 의하여 구성된 O링이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O링이, 링부재 본체(531a)의 외주면에 연직방향으로 이간되어 2개 배치되어 있다.
계측부(10)는, 하측 림(24)과 상측 림(34)에 의하여 지지된 타이어(T)의 특성을 계측하는 계측장치이다. 계측부(10)로 계측되는 타이어(T)의 특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반경방향의 힘 변동을 나타내는 레이디얼 포스 베리에이션(RFV), 축방향의 힘 변동을 나타내는 레터럴 포스 베리에이션(LFV), 또는, 주행방향의 힘 변동을 나타내는 탄젠셜 포스 베리에이션(TFV) 등의 타이어(T)의 특성을 측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이어(T)의 특성으로서 하중의 분포를 계측하여 불균일도를 계측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계측부(10)로서, 기대(21)에 있어서 레일(12) 상에 배치되는 로드휠(11)을 갖고 있다. 로드휠(11)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드휠(11)은, 계측을 실시할 때에만 레일(12) 상을 주행하여 하부 스핀들(2)에 접근함으로써 타이어(T)에 소정의 하중을 가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실시형태의 타이어 시험 시스템(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타이어 시험 시스템(100)에 의하면, 타이어 지지장치(1)에 있어서, 돌출부(33)에 대하여 개구부(331)로부터 포집부(53)를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개구부(331)로부터 필터(532)를 가장자리부(532b)의 외주면이 장착 오목부(332)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삽입하고, 링부재(531)를 삽입한다. 링부재(531)에서는, 링부재 본체(531a)의 외주면에 고정된 탄성부재(533)가, 장착 오목부(332)의 내주면에 대하여 눌리며 압입된다. 플랜지부(531b)와 돌출부(33)의 선단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까지 링부재(531)가 삽입된다. 그 결과, 개구부(331)에 있어서 필터(532)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링부재(531)의 이동이 규제되어, 포집부(53)가 장착된다.
돌출부(33)의 개구부(331)에 포집부(53)를 장착한 후에, 타이어 지지장치(1)에 대하여 타이어(T)를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삽입부(23)의 중앙에 오도록 하측 림(24)의 하측 림 본체(242) 상에 타이어(T)를 배치한다. 이때, 하측 림(24)의 하측 림 원통부(242b)가 타이어(T)의 하방의 비드부(T1)의 내측에 끼워 넣어진다. 승강기구부(32)의 림 엘리베이터(324)를 타이어(T)의 폭에 맞춰 하강시키고, 상측 림(34)을 타이어(T)를 향하여 하강시킨다. 상측 림(34)이 하강함으로써, 돌출부(33)가 삽입부(23)의 삽입구멍(231)에 삽입된다. 이때, 상측 림(34)의 상측 림 원통부(342b)가, 타이어(T)의 상방의 비드부(T1)의 내측에 끼워 넣어진다. 그 후,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하여 걸어맞춤 클로(41)를 회전시켜, 걸어맞춤 클로(41)의 갈고리부(411)가 걸어맞춤 홈(334)에 걸어맞춰진다. 이로써, 돌출부(33)의 위치가 타이어(T)의 폭에 맞춰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타이어(T)는, 하측 림(24)과 상측 림(34)에 의하여 연직방향의 상하로부터 비드부(T1)를 사이에 둔 상태로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밸브부(51)가 공기의 공급원측의 유로를 개방함으로써, 공급원으로부터 공기가 제1 유로(F1) 내에 유입된다. 밸브부(51)로부터 제1 유로(F1)에 유입된 공기는, 돌출부(33)의 개구부(331)에 마련된 포집부(53)를 통과하여 제2 유로(F2)에 유입된다. 제2 유로(F2)에 유입된 공기는, 유통구멍(333)으로부터 하측 림(24)과 상측 림(34) 사이의 공간에 유입되고, 하측 림(24)과 상측 림(34)에 의하여 지지된 타이어(T)의 내부에 유입된다. 타이어(T)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타이어(T)의 내부가 승압되어 타이어(T)가 부푼다. 그 결과, 타이어(T)는, 하측 림(24)의 하측 림 압압면(242a)과 상측 림(34)의 상측 림 압압면(342a)에 대하여 간극 없이 압압된다. 그 후, 공기가 더 유입됨으로써, 소정의 압력까지 타이어(T)의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타이어(T)의 사용 상태가 모의된다.
타이어(T)의 사용 상태가 모의된 상태에서, 계측부(10)에 의하여 타이어(T)의 특성을 계측한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스핀들 본체(22)를 도시하지 않은 모터를 통하여 회전시켜, 타이어(T)를 하부 스핀들 본체(22)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로드휠(11)을 하부 스핀들(2)에 접근시켜 타이어(T)에 접촉시키고, 타이어(T)에 작용하는 하중 분포를 계측한다.
타이어(T)에 작용하는 하중 분포의 계측이 완료되면, 로드휠(11)이 하부 스핀들(2)로부터 멀어짐과 함께, 하부 스핀들 본체(22)의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회전이 정지되어, 타이어(T)의 회전이 정지된다. 밸브부(51)가 공기의 공급원측의 유로를 폐색함과 함께, 배출구측의 유로를 개방함으로써, 타이어(T)의 내부의 공기가 배기된다. 구체적으로는, 밸브부(51)가 배출구측의 유로를 개방함으로써, 타이어(T)의 내부의 공기가 유통구멍(333)을 통하여 제2 유로(F2) 내에 유입된다. 제2 유로(F2)에 유입된 공기는, 개구부(331)의 포집부(53)를 통하여 제1 유로(F1)에 유입된다. 제1 유로(F1)에 유입된 공기는, 밸브부(51)를 통하여 배출구로부터 배기된다. 여기에서, 타이어(T)의 내부에 이물(G)이 혼입되어 공기와 함께 타이어(T)의 내부로부터 배출되었다고 하더라도, 공기는 제2 유로(F2)로부터 포집부(53)를 통과하여 제1 유로(F1)에 유입된다. 한편, 이물(G)은 포집부(53)에 의하여 포획됨으로써 제1 유로(F1)에 유입되지 않는다.
타이어(T)의 내부의 공기가 배기되면,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하여 걸어맞춤 클로(41)가 돌출부(33)의 걸어맞춤 홈(334)으로부터 해방된다. 그 후, 상부 스핀들(3)이 림 엘리베이터(324)에 의하여 상승되고, 상측 림 원통부(342b)가 타이어(T)의 상방의 비드부(T1)로부터 분리된다. 하측 림 원통부(242b)가 타이어(T)의 하방의 비드부(T1)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타이어(T)가 취출된다.
상기와 같은 타이어 지지장치(1)에 의하면, 제1 유로(F1)와 제2 유로(F2) 사이의 공기 유입구인 개구부(331)에 포집부(53)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타이어(T)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배기할 때에, 타이어(T)의 내부의 이물(G)이 제2 유로(F2)에 혼입되어 제1 유로(F1)까지 유입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스퓨나 버의 처리 등에 의하여 타이어(T)의 내부에 발생하는 고무의 잔해와 같은 작은 이물(G)이 잔류하고 있었던 경우에, 타이어(T)의 내부로부터 배기되는 공기와 함께, 이 이물(G)이 타이어(T)의 내부로부터 타이어 지지장치(1) 내로 유입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경우이더라도, 포집부(53)로 이물(G)을 포집함으로써, 타이어 지지장치(1)의 내부에서 제1 유로(F1)를 구성하는 하부 스핀들 본체(22)나 기대(21) 내의 배관(211)이나, 제1 유로(F1)에 접속되어 있는 밸브부(51)에 이물(G)이 혼입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유로(F1)나 밸브부(51)가 이물(G)에 의하여 막혀 버려, 공기의 유통이 방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어(T)의 내부로 소정의 압력이 될 때까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시간이 걸려 서비스 타임이 저하되거나, 소정의 압력까지 타이어(T)의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킬 수 없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지지한 타이어(T)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공기를 급배기시킬 수 있다.
포집부(53)가, 돌출부(33)의 선단인 개구부(331)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포집부(53)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포집부(53)가 돌출부(33)의 선단인 개구부(331)에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타이어(T)를 지지하기 전과 같이, 상측 림(34)이 하측 림(24)에 대하여 멀어져 돌출부(33)가 삽입부(23)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면, 돌출부(33)의 개구부(331)는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개구부(331)에 마련된 포집부(53)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포집부(53)가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포집부(53)에 이물(G)이 퇴적된 경우에, 포집부(53)를 분리하여 교환이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타이어(T)의 내부의 공기를 급배기함으로써 이물(G)이 포집부(53)에서 많이 포집되는 경우이더라도, 지지한 타이어(T)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공기를 급배기시킬 수 있다.
포집부(53)가, 링부재(531)에 의하여 필터(532)를 장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포집부(53)를 개구부(331)에 대하여, 보다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포집부(53)가, 필터(532)가 개구부(331)에 탈착 가능한 링부재(531)와 별도 구성인 것에 의하여, 목적에 따른 필터(532)로 교환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포집 대상으로 하는 이물(G)에 따른 필터(532)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이물(G)을 포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필터(532)의 조도를 변경함으로써, 포집 대상으로 하는 이물(G)의 크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되는 타이어 지지장치(1)에 따라 제거하고자 하는 이물(G)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돌출부(33)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링부재(531)도 개구부(331)로부터 삽입 가능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링부재 본체(531a)의 외주면에 장착 오목부(33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서 압축 변형되도록 장착되는 탄성부재(533)를 가짐으로써, 탄성부재(533)에 의하여 링부재(531)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즉, 링부재(531)를 개구부(331)로부터 삽입하면, 압축 변형된 탄성부재(533)가 링부재 본체(531a)의 외주면과 장착 오목부(332)의 내주면을 향하여 반발함으로써, 링부재 본체(531a)의 연직방향의 상하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로써, 링부재(531)를 개구부(331)로부터 밀어 넣는 것만으로 돌출부(33)에 대하여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압력계(52)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하여, 포집부(53)의 필터(532)에 이물(G)이 퇴적되어, 공기가 충분히 유통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포집부(53)의 필터(532)가 막혀 있지 않아 공기를 충분히 유통 가능한 상태이면, 밸브부(51)가 개방되어 공급원으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면, 타이어(T)의 내부까지 신속하게 공기가 유통되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소정의 압력까지 상승한다. 그러나, 포집부(53)의 필터(532)가 이물(G)에 의하여 막혀 버리면, 제1 유로(F1)로부터 제2 유로(F2)에 공기가 충분히 흐르지 않기 때문에, 압력이 상승할 때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버린다. 이로 인하여, 압력계(52)에 의하여 미리 정한 시간 내에 소정의 압력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포집부(53)의 필터(532)의 막힘 정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포집부(53)의 교환 시기를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메인터넌스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타이어 시험 시스템(100)에 의하면, 포집부(53)를 구비한 타이어 지지장치(1)를 이용함으로써, 계측 대상이 되는 타이어(T)에 대하여 장착, 급기, 계측, 배기, 분리를 순서대로 행하는 공정을, 복수의 타이어(T)에서 연속적이고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의 포집부(63)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 실시형태의 포집부(63)는, 개구부(331)에 대한 장착 구조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2 실시형태의 포집부(63)에서는, 상대적인 회동에 의하여 링부재(531)의 외주면과 돌출부(33)의 내주면을 걸어맞춤 및 걸어맞춘 상태를 해제 가능하게 하는 걸어맞춤부(631)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걸어맞춤부(631)는, 링부재 본체(531a)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 형상 볼록부(631a)와, 장착 오목부(33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 형상 오목부(631b)에 의하여 구성된다.
나선 형상 볼록부(631a)는, 링부재 본체(531a)의 외주면의 플랜지부(531b)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단부로부터 플랜지부(531b)측을 향하여 나선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나선 형상 오목부(631b)는, 나선 형상 볼록부(631a)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나선 형상 오목부(631b)는, 장착 오목부(332)의 내주면에 연직방향의 하방의 선단으로부터 연직방향의 상방을 향하여 나선 형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실시형태의 타이어 지지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타이어 지지장치(1)에서는, 필터(532)를 개구부(331)로부터 장착 오목부(332)에 끼워 넣은 후에, 링부재(531)를 돌출부(33)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서 개구부(331)로부터 삽입한다. 링부재(531)가, 돌출부(33)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키면서 삽입됨으로써, 장착 오목부(332)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 형상 오목부(631b)에 대하여 링부재 본체(531a)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 형상 볼록부(631a)가 걸어맞춰진다. 그 결과, 개구부(331)에 있어서 필터(532)를 사이에 끼우고 링부재(531)가 고정되어, 포집부(63)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포집부(63)에 의하면, 링부재(531)가 돌출부(33)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서 삽입됨으로써, 장착 오목부(332)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 형상 오목부(631b)에 대하여 링부재 본체(531a)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 형상 볼록부(631a)를 걸어맞출 수 있다. 링부재(531)가 돌출부(33)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서 뽑힘으로써, 나선 형상 오목부(631b)와 나선 형상 볼록부(631a)의 걸어맞춰진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즉, 상대적인 회동에 의하여 나선 형상 오목부(631b)와 나선 형상 볼록부(631a)를 걸어맞추고, 또, 걸어맞춘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돌출부(33)에 링부재(531)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으면 걸어맞춤 상태는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개구부(331)에 있어서 포집부(63)를 보다 강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제3 실시형태의 포집부(73)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3 실시형태의 포집부(73)는, 개구부(331)에 대한 장착 구조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나 제2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3 실시형태의 포집부(73)에서는, 돌출부(33)의 외부로부터 개구부(331)에 대한 링부재(531)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731)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규제부(731)는, 링부재 본체(531a)에 형성되는 나사구멍부(731a)와, 돌출부(33)에 형성되는 나사삽통구멍(731b)과, 규제부재로서 나사부재(731c)를 갖는다.
나사구멍부(731a)는, 링부재 본체(531a)에 외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나사구멍부(731a)는, 링부재 본체(531a)의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2개소 형성되어 있다. 나사구멍부(731a)는, 링부재 본체(531a)의 중심축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외주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오목하게, 나사절삭되어 형성되어 있다.
나사삽통구멍(731b)은, 돌출부(33)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나사삽통구멍(731b)은, 나사구멍부(731a)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나사삽통구멍(731b)은, 개구부(331)에 링부재(531)가 삽입된 상태에서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돌출부(33)의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2개소 형성되어 있다. 나사삽통구멍(731b)은, 돌출부(33)의 중심축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외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나사삽통구멍(731b)은, 나사부재(731c)가 삽통 가능하도록, 나사부재(731c)보다 약간 큰 단면 형상을 이루는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나사부재(731c)로서는, 나사머리와 나사부의 크기가 동일한 세트 스크류를 이용한다. 나사부재(731c)는, 나사구멍부(731a)에 대하여 나사결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나사부재(731c)는, 개구부(331)에 링부재(531)가 끼워 넣어지고 나사삽통구멍(731b)에 삽통되어 나사구멍부(731a)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돌출부(33)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3 실시형태의 타이어 지지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타이어 지지장치(1)에서는, 필터(532)를 개구부(331)로부터 장착 오목부(332)에 끼워 넣은 후에, 나사구멍부(731a)가 나사삽통구멍(731b)과 연통(連通)하는 위치가 되도록 조정하면서, 링부재(531)를 개구부(331)로부터 삽입한다. 나사구멍부(731a)와 나사삽통구멍(731b)이 연통된 상태에서, 돌출부(33)의 외주면측으로부터 나사부재(731c)를 나사삽통구멍(731b)에 삽입하고, 나사구멍부(731a)에 대하여 나사결합시킨다. 그 결과, 개구부(331)에 있어서 필터(532)를 사이에 끼운 위치에서 링부재(531)의 이동이 규제되어, 포집부(73)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포집부(73)에 의하면, 링부재(531)가 개구부(331)로부터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삽통구멍(731b)을 삽통한 나사부재(731c)를 나사구멍부(731a)에 대하여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돌출부(33)에 대한 링부재(531)의 이동을 외부로부터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나사부재(731c)에 의하여 돌출부(33)에 대한 링부재(531)의 이동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규제할 수 있다. 나사부재(731c)를 외부로부터 풀어 규제를 해제하지 않으면, 링부재(531)를 이동시킬 수 없다. 이로 인하여, 개구부(331)에 있어서 포집부(73)를 보다 강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제4 실시형태의 포집부(83)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로부터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4 실시형태의 포집부(83)는, 필터(532)의 형상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 내지 제3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4 실시형태의 포집부(83)에서는, 필터(532) 대신에, 상부 지지부 본체(31)측을 향하여 볼록 형상을 이루는 볼록형 필터(831)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볼록형 필터(831)는, 제2 유로(F2)를 유통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 필터(832)와, 제2 유로(F2)를 유통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필터(833)와, 경사 필터(833)의 외주측을 덮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가장자리부(532b)를 갖고 있다.
수평 필터(832)는, 볼록형 필터(831)의 정부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평 필터(832)는, 볼록형 필터(831)가 개구부(331)에 장착된 상태에서, 돌출부(33)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평 필터(832)는, 제1 실시형태의 필터 본체(532a)와 마찬가지로, 타이어(T)의 내부에 잔류하는 이물(G)을 포집 가능한 소정의 조도를 갖는 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평 필터(832)는, 제2 유로(F2)를 유통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인 연직방향에 대하여 가장 공기가 잘 빠져나가도록, 망이 연직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평 필터(832)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필터면이 연직방향의 상하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경사 필터(833)는, 볼록형 필터(831)의 경사진 측부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경사 필터(833)는, 중공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스핀들(3)측에서 수평 필터(832)의 외주와 일체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경사 필터(833)는, 제2 유로(F2)에 면하고, 가장자리부(532b)가 마련되어 있는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제2 유로(F2)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확경하도록 경사진 경사면(833a)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경사 필터(833)는, 볼록형 필터(831)가 개구부(33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 지지부 본체(31)로부터 돌출부(33)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 중앙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확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경사 필터(833)는, 타이어(T)의 내부에 잔류하는 이물(G)을 포집 가능한 소정의 조도를 갖는 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 필터(833)는, 경사면(833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장 공기가 잘 빠져나가도록, 망이 경사면(833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경사 필터(833)에서는, 수평 필터(832)를 연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시킨 상태와 같이, 경사면(833a)이기도 한 필터면이, 경사면(833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포집부(83)에 의하면, 볼록형 필터(831)에 있어서 경사 필터(833)가, 제2 유로(F2)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833a)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유로(F2)를 공기와 함께 연직방향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유통하는 이물(G)은, 경사 필터(833)에 부딪혀 외주측으로 굴러 떨어진다. 이로 인하여, 볼록형 필터(831)로 포집된 이물(G)은, 외주측에 치우쳐 퇴적되게 되고, 수평 필터(832)가 배치되어 있는 제2 유로(F2)의 중앙 부근에서는 이물(G)이 적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경사 필터(833)에서는, 경사면(833a)의 연직방향의 상방에서는, 이물(G)이 외주면으로 굴러 떨어져, 퇴적되기 어려워진다. 이로 인하여,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스페이스를 높은 정밀도로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쉬워져, 보다 더 안정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볼록형 필터(831)에 있어서, 제2 유로(F2)를 유통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에 대하여 망 형상을 이루는 경사 필터(833)의 경사면(833a)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경사면(833a)이기도 한 필터면에 대하여 공기를 유통시킴으로써, 연직방향의 상방으로부터 제2 유로(F2)를 유통해 오는 공기와 함께 흘러들어 오는 이물(G)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사면(833a)이 연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경사면(833a)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망의 개구는, 경사면(833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경우보다 연직방향에서 본 경우가, 투영 면적이 작아진다. 즉, 연직방향에 대해서는 망을 미세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연직방향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경사 필터(833)에 부딪히는 이물(G)에 대한 망의 개구 면적이 작아져, 경사 필터(833)를 통과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공기는, 경사 필터(833)에 대하여 돌아 들어가도록 유통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직방향에 있어서의 망의 개구 크기가 작더라도, 유통이 방해되어 유량이 저하되지 않는다. 이로써, 공기의 유로를 확보하면서, 효과적으로 이물(G)을 필터(532)로 포집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및 그들의 조합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그 외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터(532)나 볼록형 필터(831)는 링부재(531)와 별체로서 구성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링부재(531)에 의하여 개구부(331)에 필터(532)나 볼록형 필터(831)가 장착되면 된다. 예를 들면, 필터(532)나 볼록형 필터(831)는, 링부재(531)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필터(532)나 볼록형 필터(831)를 링부재(531)와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링부재(531)채로 필터(532)나 볼록형 필터(831)를 장착할 수 있어, 교환 등의 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필터(532)나 볼록형 필터(831)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망 형상을 이루고 있었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개구부(331)에 있어서, 공기를 유통시키면서 제거하고자 하는 크기의 이물(G)을 포집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532)나 볼록형 필터(831)는, 필터 본체(532a)와 가장자리부(532b)와 같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필터 본체(532a)나 수평 필터(832)나 경사 필터(833)가, 경질의 다공체와 같은 필터에 의하여 구성되어, 필요한 강성을 갖고 있으면 가장자리부(532b)와 같은 별도 부재가 없어도 된다.
또, 포집부(53, 63, 73, 83)가, 개구부(331)로부터 분리되어 돌출부(33)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탈락 방지부를 마련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나 제4 실시형태와 같이 탄성부재(533)를 이용하여 링부재(531)를 개구부(331)에 압입하는 경우에는, 링부재(531)와 돌출부(33)를 체인이나 와이어 등의 탈락 방지부로 연결시켜 둠으로써, 만일 링부재(531)가 분리되어도, 링부재(531)가 돌출부(33)로부터 낙하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집부(53, 63, 73, 83)의 장착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포집부(53, 63, 73, 83)는, 개구부(331)에 있어서 돌출부(3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돌출부(33)에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3 실시형태와 같이 포집부(73)를, 탈착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는, 규제부(731)에 대한 규제부재는 나사부재(731c) 대신에, 플런저와 같은 출입 가능한 돌출체여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타이어 지지장치(1)가 이용되는 장치는, 타이어 유니포미티 머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타이어의 밸런스를 측정하는 타이어 밸런스 측정장치와 같은 다른 타이어 시험 시스템이나, 가황기나 PCI장치 등 하측 림(24)과 상측 림(34)에 의하여 타이어(T)를 지지하고, 타이어(T)의 내부에 공기를 급기하거나, 타이어(T)의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거나 할 필요가 있는 장치에 이용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타이어 지지장치, 및 그 타이어 지지장치를 구비하는 타이어 시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집부에 의하여 이물을 포집할 수 있고, 지지한 타이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공기를 급배기시킬 수 있다.
T 타이어
T1 비드부
100 타이어 시험 시스템
1 타이어 지지장치
2 하부 스핀들(제1 지지부)
21 기대
22 하부 스핀들 본체
23 삽입부
231 삽입구멍
24 하측 림(제1 림)
241 하측 림 장착부
242 하측 림 본체
242a 하측 림 압압면
242b 하측 림 원통부
3 상부 스핀들(제2 지지부)
31 상부 지지부 본체
32 승강기구부
321 프레임
322 볼나사
324 림 엘리베이터
33 돌출부
331 개구부
332 장착 오목부
333 유통구멍
334 걸어맞춤 홈
34 상측 림(제2 림)
341 상측 림 장착부
342 상측 림 본체
342a 상측 림 압압면
342b 상측 림 원통부
4 연결부
41 걸어맞춤 클로
5 급배기부
F1 제1 유로
F2 제2 유로
51 밸브부
52 압력계
G 이물
53, 63, 73, 83 포집부
531 링부재
531a 링부재 본체
531b 플랜지부
532 필터
532a 필터 본체
532b 가장자리부
533 탄성부재
10 계측부
11 로드휠
12 레일
631 걸어맞춤부
631a 나선 형상 볼록부
631b 나선 형상 오목부
731 규제부
731a 나사구멍부
731b 나사삽통구멍
731c 나사부재
831 볼록형 필터
832 수평 필터
833 경사 필터
833a 경사면

Claims (8)

  1. 타이어의 일방측을 지지하는 제1 림이 장착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타이어의 타방측을 지지하는 제2 림이 장착되는 제2 지지부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원에 접속되어 상기 제1 림 및 상기 제2 림에 지지된 상기 타이어의 내부에 상기 공기를 급기함과 함께, 상기 타이어의 내부에 공급한 상기 공기를 상기 타이어의 외부에 배기하는 급배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고,
    상기 급배기부는,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를 유통하는 상기 공기를 상기 돌출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개구부로부터 상기 타이어의 내부까지 유통시키는 제2 유로와,
    상기 개구부에 마련되어, 상기 타이어의 내부로부터 상기 제2 유로에 혼입된 이물을 포집하는 포집부를 갖는 타이어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타이어 지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개구부에 탈착 가능한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에 장착되는 필터를 갖는 타이어 지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통 형상을 이루어 돌출되고,
    상기 링부재는, 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며,
    상기 포집부는, 상기 링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돌출부의 내주면의 사이에서 압축 변형된 상태로 장착되는 탄성부재를 갖는 타이어 지지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통 형상을 이루어 돌출되고,
    상기 링부재는, 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며,
    상기 포집부는, 상기 돌출부의 내주면 및 상기 링부재의 외주면에, 상대적인 회동에 의하여 상기 내주면과 상기 외주면을 걸어맞춤 및 걸어맞춘 상태를 해제 가능하게 하는 걸어맞춤부를 갖는 타이어 지지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통 형상을 이루어 돌출되고,
    상기 링부재는, 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며,
    상기 포집부는, 상기 돌출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개구부에 대한 상기 링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는 타이어 지지장치.
  7.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제2 유로에 면하고, 상기 제2 유로를 유통하는 상기 공기의 유통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타이어 지지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타이어 지지장치와,
    상기 제1 림과 상기 제2 림에 의하여 지지된 상기 타이어의 특성을 계측하는 계측장치를 구비하는 타이어 시험 시스템.
KR1020167028799A 2014-04-22 2014-12-04 타이어 지지장치, 및 그 타이어 지지장치를 구비하는 타이어 시험 시스템 KR101879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88197 2014-04-22
JP2014088197A JP6057942B2 (ja) 2014-04-22 2014-04-22 タイヤ保持装置、該タイヤ保持装置を備えるタイヤ試験システム
PCT/JP2014/082152 WO2015162818A1 (ja) 2014-04-22 2014-12-04 タイヤ保持装置、該タイヤ保持装置を備えるタイヤ試験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484A true KR20160132484A (ko) 2016-11-18
KR101879968B1 KR101879968B1 (ko) 2018-07-18

Family

ID=5433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799A KR101879968B1 (ko) 2014-04-22 2014-12-04 타이어 지지장치, 및 그 타이어 지지장치를 구비하는 타이어 시험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89441B2 (ko)
JP (1) JP6057942B2 (ko)
KR (1) KR101879968B1 (ko)
CN (1) CN106233113A (ko)
DE (1) DE112014006611B4 (ko)
TW (1) TWI541150B (ko)
WO (1) WO20151628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35857B2 (ja) * 2020-09-18 2023-08-3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ドラム進退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タイヤ試験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0727B2 (ja) 1992-05-11 1997-07-16 イリノイ ツール 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イヤ保持用治具
JP3904319B2 (ja) 1998-02-05 2007-04-11 国際計測器株式会社 タイヤの動釣合試験装置
JP2011169768A (ja) 2010-02-19 2011-09-01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試験機のタイヤインフレー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7320A (en) * 1970-10-12 1972-07-18 B & J Mfg Co Tire bead seating and inf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same
US4852398A (en) * 1988-03-09 1989-08-01 Eagle-Picher Industries, Inc. Tire testing machine having adjustable bead width
US5168911A (en) * 1991-01-14 1992-12-08 Gottschalk Engineering Associat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ead sealing, seating and inflating mounted tires
CN2153482Y (zh) 1993-04-02 1994-01-19 蒙坚峰 预选气压轮胎充气枪
JP3418512B2 (ja) 1996-10-02 2003-06-2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試験機
US5992227A (en) 1997-01-24 1999-11-30 Jellison; Frank R. Automatic adjustable width chuck apparatus for tire testing systems
EP0924502A3 (en) * 1997-12-16 1999-07-07 Kokusai Keisokuk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measuring uniformity and/or dynamic-balance of tire
US6658936B2 (en) 2001-03-08 2003-12-09 Kokusai Keisokuki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uniformity and/or dynamic balance of tire
US7240543B2 (en) 2004-02-27 2007-07-10 Illinois Tool Works, Inc. Tire positioning sensor
WO2005111569A1 (ja) * 2004-05-14 2005-11-24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タイヤ試験機及びタイヤ試験機の芯ぶれ測定方法
CN100567036C (zh) 2007-02-01 2009-12-09 赵建斌 智能可变轮胎附着力机构
JP5403952B2 (ja) 2008-06-11 2014-01-2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試験機及びタイヤ試験方法
JP4369983B1 (ja) 2008-07-25 2009-11-2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マスタータイヤ及びそのマスタータイヤを用いた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試験機の検査方法
JP4979740B2 (ja) 2009-06-17 2012-07-1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試験装置の空気圧回路、タイヤ試験装置及びタイヤ試験方法
JP5413221B2 (ja) 2010-02-01 2014-02-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排気再循環装置
CN201651455U (zh) 2010-04-30 2010-11-24 锦州红海桥橡胶有限公司 轮胎防爆气门嘴
JP5937327B2 (ja) * 2011-10-11 2016-06-22 大和製衡株式会社 タイヤ検査装置
JP5752012B2 (ja) 2011-11-11 2015-07-22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リム組立体、タイヤ試験機及びリム組立体交換方法
JP5851848B2 (ja) * 2012-01-12 2016-02-03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試験装置
US9140628B2 (en) 2012-02-10 2015-09-22 Akron Special Machinery, Inc. System for characterizing tire uniformity machines and methods of using the characterizations
CN102927329B (zh) 2012-10-29 2014-10-08 杭州万通气门嘴有限公司 一种过滤轮胎气门芯
US20140130357A1 (en) * 2012-11-09 2014-05-1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ecuring to a pneumatic tire
CN203282629U (zh) 2013-06-06 2013-11-13 方珞妃 一种轮胎模具的排气结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0727B2 (ja) 1992-05-11 1997-07-16 イリノイ ツール 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イヤ保持用治具
JP3904319B2 (ja) 1998-02-05 2007-04-11 国際計測器株式会社 タイヤの動釣合試験装置
JP2011169768A (ja) 2010-02-19 2011-09-01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試験機のタイヤインフレー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41150B (zh) 2016-07-11
CN106233113A (zh) 2016-12-14
JP6057942B2 (ja) 2017-01-11
KR101879968B1 (ko) 2018-07-18
US9989441B2 (en) 2018-06-05
TW201540569A (zh) 2015-11-01
US20160187229A1 (en) 2016-06-30
WO2015162818A1 (ja) 2015-10-29
DE112014006611T5 (de) 2017-01-05
JP2015206716A (ja) 2015-11-19
DE112014006611B4 (de)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763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шин на линии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шин
US9594003B2 (en) Tire testing apparatus
KR101659198B1 (ko) 타이어 지지장치
KR101879968B1 (ko) 타이어 지지장치, 및 그 타이어 지지장치를 구비하는 타이어 시험 시스템
KR102134626B1 (ko) 임프린트 장치의 조정 방법, 임프린팅 방법 및 물품 제조 방법
JP2009025186A (ja) ばね等検査部品の自動測定判別機
US10493586B2 (en) Passive buffer brush air cooling
KR100969105B1 (ko) 등속조인트용 볼 선별 장치
JP5515425B2 (ja) タイヤ加硫用モールドの洗浄方法
KR102070413B1 (ko) 수지 여과 시스템
JP7154307B2 (ja) ビード幅調整装置と共に使用される自動調整シリンダ
JP6560849B2 (ja) 粉末分散方法及び装置
KR20150140044A (ko) 타이어 가류 금형의 벤트 플러그
KR102020711B1 (ko) 타이어 균일성 설비의 휠 교체장치
KR20170047440A (ko) 타이어 균일성 설비의 림 교체장치
KR101312442B1 (ko) 그린타이어 정발란스 측정용 센터링 장치
KR101198363B1 (ko) 주물사 재생설비용 사재생기
CN203918782U (zh) 磨削设备
KR20190082059A (ko) 부품 청정도 검사를 위한 이물질 추출장치
JP5475039B2 (ja) ビード保持装置
CN112635371A (zh) 气闸室平衡系统
KR20200020311A (ko) 부식시험장치
KR20120113998A (ko) 그린케이스 고정용 지지수단
US20170051944A1 (en) Remotely adjustable ventilation orifice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