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311A - 부식시험장치 - Google Patents

부식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311A
KR20200020311A KR1020180095868A KR20180095868A KR20200020311A KR 20200020311 A KR20200020311 A KR 20200020311A KR 1020180095868 A KR1020180095868 A KR 1020180095868A KR 20180095868 A KR20180095868 A KR 20180095868A KR 20200020311 A KR20200020311 A KR 20200020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llection
unit
mode
corrosion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9263B1 (ko
Inventor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95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2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2Test cham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6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of met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식시험의 대상이 되는 복수 개의 소재가 설치되는 챔버부; 및, 상기 챔버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분무된 부식액이 수집되는 수집부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부분이 형성되는 수집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프레임부는 상기 설치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영역이 접철모드와, 펼침모드로 전환되는 부식시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식시험장치{CORROSION TEST APPARATUS}
본 발명은 시험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부식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자동차 및 금속소재의 부식시험은 부식액을 복수 개의 소재에 균일하게 분무하여 실시한다.
부식시험장치의 주기능 중 하나는 부식액의 분무이며, 시험의 신뢰도 및, 정밀도의 향상 목적으로 일정한 주기 분무량을 측정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분무량 측정은 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거치대(20)에 다수의 깔대기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일정시간 동안 유지 후 위치별로 부식액의 누적분무량을 측정한다.
위치별로 분무량을 측정시 일정간격 다수의 깔대기(30)를 사용하며 깔대기(30)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파이프형태의 지지대(40)를 결합하여 사용한다.
깔대기(30)와 지지대(40)의 조립을 통한 순차적 설치는 공정의 반복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측정과정 중에 기울어짐이나 진동으로 거치대(20)에서 넘어지는 경우가 빈번하여 반복적으로 분무량 측정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무량을 측정시 깔대기(30)가 부식시험의 대상인 소재(S)의 높이와 동일위치에 진행되어야 하나 지지대(40)의 사용으로 소재(S)의 높이보다 높게 설치되면서 소재(S)의 시험높이에서 정확한 분무량의 측정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시험장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된 깔대기(30)는 고정식으로 구간별 분무량의 정확성이 떨어지며 사용을 위한 조립과 누적분무량 측정을 위한 분리과정에서 많은 어려움과 불편함이 동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1998-043339-U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부식액의 분무량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부식시험의 신뢰도와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부식시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부식시험의 대상이 되는 복수 개의 소재가 설치되는 챔버부; 및, 상기 챔버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분무된 부식액이 수집되는 수집부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부분이 형성되는 수집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프레임부는 상기 설치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영역이 접철모드와, 펼침모드로 전환되는 부식시험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챔버부는, 상기 접철모드 상태에서 상기 수집프레임부가 배치되는 배치공간; 상기 배치공간의 주변에 배치되어 소재가 거치되고, 복수 개가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를 벗어난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펼침모드 상태에서 상기 수집프레임부에 설치된 상기 수집부가 배치되는 수집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배치공간은,상기 수집프레임부가 접철모드에서 상기 거치대로 분무되는 부식액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분무부와 동일한 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집프레임부는, 상기 펼침모드에서 상기 설치부분에 설치된 상기 수집부의 유입부분이 상기 챔버부에 설치되는 소재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챔버부의 내부에는 상기 수집프레임부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탈착프레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집프레임부는 상기 탈착프레임부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접철모드와 상기 펼침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챔버부의 내부에는 상기 수집프레임부를 승강시키는 프레임승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집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승강부에 의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접철모드와 상기 펼침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집프레임부는, 상기 배치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블럭; 및, 상기 이동블럭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집부의 설치부분이 형성되는 접철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철프레임은, 상기 이동블럭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프레임; 및, 일측이 상기 회동프레임에 삽입 설치되고, 타측에 상기 수집부가 설치되는 설치부분이 형성된 삽입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동블럭에는 상기 삽입프레임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프레임은 일측 단부에는 스토퍼블럭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블럭이 상기 삽입고정홀에 삽입 고정되면서 상기 펼침모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삽입프레임은 상기 회동프레임에 설치되는 다단의 슬라이드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삽입프레임은 상이한 길이를 가지는 2 이상의 삽입프레임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설치부분이 상기 이동블럭에서 이격되는 거리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부식액의 분무량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부식시험의 신뢰도와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식시험장치의 분무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시험장치의 수집프레임부가 펼침모드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시험장치의 수집프레임부가 접철모드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a의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2a에 적용된 수집프레임부의 펼침모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2b에 적용된 수집프레임부의 접철모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시험장치에 적용되는 수집프레임부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시험장치에 적용되는 수집프레임부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시험장치에 적용되는 수집프레임부 및, 탈착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시험장치에 적용되는 수집프레임부 및, 프레임승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시험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시험장치는 챔버부(100), 수집프레임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부식시험장치는 부식시험의 대상이 되는 복수 개의 소재(S)가 설치되는 챔버부(100) 및, 상기 챔버부(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분무된 부식액이 수집되는 수집부(500)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부분(270)이 형성되는 수집프레임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프레임부(200)는 상기 설치부분(270)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영역이 접철모드와, 펼침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챔버부(100)는 복수 개의 소재(S)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외부공간과 밀폐가 가능한 부분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챔버부(100)는 상측이 개방 가능하도록 상측부분이 오픈되는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챔버부(100)의 내부공간의 하측에는 복수 개의 소재(S)가 설치되는 거치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거치대(110)는 챔버부(100)를 가로질러 복수 개의 열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수집프레임부(200)는 챔버부(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수집프레임부(200)의 설치부분(270)에는 분무부(600)에서 분무된 부식액이 수집되는 수집부(500)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수집프레임부(200)는 상기 설치부분(270)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영역이 접철모드와, 펼침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일례로, 수집프레임부(200)의 이동블럭(230)에서 설치부분(270)이 형성된 접철프레임(250)이 접철되면서 수집프레임부(200)는 접철모드로 전환되고, 이동블럭(230)에서 접철프레임(250)이 펼쳐지면서 펼침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집프레임부(200)가 접철모드와 펼침모드를 가짐으로써, 설치부분(270)이 형성된 부분을 접거나 펼치면서 소재(S)에 분무되는 부식액의 양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하여 신뢰성이 향상된 분무량 측정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분무량 측정시험을 할 때, 복수 개의 설치부분(270)은 수집프레임부(200)에서 펼쳐진 상태로 수집공간(130)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설치부분(270)의 적어도 일부에 수집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
수집프레임부(200)는 대부분이 부식에 강한 아크릴 등의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수집프레임부(200)는 접철모드와 상기 펼침모드 간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챔버부(100)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수집프레임부(200)는 상기 접철모드와 상기 펼침모드 간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챔버부(10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a를 참조하면, 수집부(500)는 분무부(600)에서 소재(S)로 분무되는 부식액을 수집하는 구성요소이다.
수집부(500)는 수집프레임부(2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수집부(500)는 수집프레임부(200) 상에서 폭방향 및, 길이방향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수집부(500)는 소재(S)가 설치되는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어 소재(S)에 분무되는 부식액의 분무량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분무부(600)는 챔버부(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소재(S)로 균일하게 부식액을 분무하는 역할을 한다.
분무부(600)는 챔버부(100)의 내부공간으로 방사상으로 부식액을 분무할 수 있다.
분무부(600)는 부식액을 분무하는 분무수단(610)과, 분무수단(610)의 상측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분무된 부식액을 방사상으로 분사시키는 분산수단(630)을 구비할 수 있다.
분무수단(610)에서 분무되는 부식액은 염수로 구성될 수 있다.
분무수단(610)은 염수가 공급되는 염수관(613)과,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관(615)을 교차시켜 염수를 분무시킬 수 있다.
염수관(613)과 공기관(615)은 분무하우징(61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염수관(613)은 수평방향으로 염수를 분사하고, 공기관(615)의 선단부와 염수관(613)의 선단부는 교차되도록 설치되어, 염수관(613)에서 공급된 염수를 공기관(615)에서 공급된 공기가 분산시켜 분무하우징(611) 상측으로 염수를 분산시켜 분무할 수 있다.
분산수단(630)은 분무수단(610)의 상측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분무수단(610)에서 분무된 염수를 복수 개의 소재(S)로 균일하게 분무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분산수단(630)은 상광하협의 콘형부재 또는 하단이 절단된 상광하협의 콘형부재로 구비되는 회전콘(631)으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콘(631)에는 내입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만곡진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콘(631)의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유도홈(633)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콘(631)에는 복수 개의 회전유도홈(633)이 이격하여 형성되되, 회전유도홈(633)은 나선형 또는 만곡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챔버부(100)는, 상기 접철모드 상태에서 상기 수집프레임부(200)가 배치되는 배치공간(150)과, 상기 배치공간(150)의 주변에 배치되어 소재(S)가 거치되고, 복수 개가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거치대(110) 및, 상기 거치대(110)를 벗어난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펼침모드 상태에서 상기 수집프레임부(200)에 설치된 상기 수집부(500)가 배치되는 수집공간(13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집부(500)의 하측부분은 거치대(110) 보다 높이방향으로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수집부(500)의 하측부분이 거치대(110)의 하측에 배치되면서, 수집부(500)의 유입부분(510)이 소재(S)의 높이에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집프레임부(200)가 펼침모드에서 수집부(500)의 유입부분(510)이 높이방향으로 소재(S)의 상단과 소재(S)의 하단의 사이의 범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재(S)에 대응되는 부분에 수집부(500)가 배치되어, 소재(S)로 분무되는 부식액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거치대(110)는 소재(S)가 거치되고, 배치공간(150)에서 이격하여 복수 개가 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거치대(110)는 챔버부(100)를 가로질러 복수 개의 열이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고, 배치공간(150)의 양측에 열을 이루도록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배치공간(150)은 거치대(110)의 사이에 형성되고, 소재(S)가 설치되지 않는 영역으로, 접철모드의 상기 수집프레임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배치공간(150)은 분무부(600)와 동일한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접철모드 상태에서 상기 수집프레임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접철모드에서 수집프레임부(200)에는 수집부(500)가 설치되지 않는다.
도 2b를 참조하면, 챔버부(100)에 설치된 분무부(600)를 중심에 두고, 분무부(600)의 양측에 각각 배치공간(150)이 형성되고, 각각의 배치공간(150)에 접철모드의 수집프레임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집공간(130)은 수집프레임부(200)가 펼침모드 상태에서, 수집프레임부(200)에 설치된 수집부(500)가 배치되는 영역이다.
수집공간(130)은 거치대(110)를 벗어난 영역에 형성되되, 배치공간(150)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수집공간(130)은 열을 이루는 인접한 상기 거치대(11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배치공간(150)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펼침모드 상태에서 수집공간(130)에 걸쳐서 수집부(500)가 설치되는 설치부분(270)이 배치될 수 있다.
수집프레임부(200)가 배치되는 배치공간(150)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3을 참조하면, 분무량 측정시험이 실시될 경우, 수집프레임부(200)는 펼침모드로 전환되어 수집프레임부(200)의 설치부분(270)에 설치된 수집부(500)가 챔버부(100)의 수집공간(130)에 배치되면서 부식액의 분무량을 측정할 수 있다.
수집프레임부(200)가 펼침모드인 상태에서, 설치부분(270)은 적어도 일부가 수집공간(130)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고 설치부분(270)에 설치된 수집부(500)의 하측부분이 수집공간(13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분무량 측정시험이 실시되지 않을 경우, 수집프레임부(200)는 접철모드로 전환되어 챔버부(100)의 배치공간(15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식시험이 실시될 경우, 수집프레임부(200)가 분무부(600)에서 분무되는 부식액을 가리지 않게 됨으로써, 소재(S)에 대한 부식시험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수집프레임부(200)의 설치부분(270)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영역은 하측으로 접철된 상태로 배치공간(15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배치공간(150)은, 상기 수집프레임부(200)가 접철모드에서 상기 거치대(110)로 분무되는 부식액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분무부(600)와 동일한 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배치공간(150)은 분무부(600)와 동일한 열을 이루도록 세로방향으로 배치되고, 분무부(600)를 사이에 두고 세로방향으로 2개의 배치공간(150)이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분무부(600)와 2개의 배치공간(150)이 형성하는 세로방향 열을 중심으로, 양측에 복수 개의 열을 이루는 거치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배치공간(150)은 분무부(600)와 동일한 선상에 열을 이루도록 배치됨으로써, 접철모드 상태로 배치공간(150)에 배치된 수집프레임부(200)가 소재(S)로 분사되는 부식액을 가릴 우려가 없다.
따라서, 분무부(600)가 챔버부(100)의 내부공간으로 방사상으로 부식액을 분무시 분무된 부식액이 접철모드 상태의 수집프레임부(200)와 간섭될 우려가 없어 소재(S)로 부식액이 균일하게 분무될 수 있어 부식시험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빈번하게 반복되는 재시험으로 인한 추가경비의 발생을 방지하고, 시험공정의 부하증가를 방지하여 시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a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집프레임부(200)에는 챔버부(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집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챔버부(100)의 중앙영역에 설치된 분무부(600)를 사이에 두고, 2 개의 배치공간(150)이 설치될 수 있고, 각각의 배치공간(150)에는 수집프레임부(20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분무부(600)의 양측에 각각 수집프레임부(200)가 설치될 수 있다.
수집프레임부(200)는 접철모드와 펼침모드를 가지고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접철모드는 수집프레임부(200)에 수집부(500)가 설치될 수 없는 상태이고, 펼침모드는 수집프레임부(200)에 수집부(500)가 설치 가능한 상태이다.
도 2a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집프레임부(200)가 펼침모드로 변경된 상태에서, 수집프레임부(200)의 설치부분(270)에 수집부(500)가 설치될 수 있고, 수집부(500)에는 분무부(600)에서 분무된 부식액이 수집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분무량 측정시험이 끝나면 수집부(500)가 제거되고, 수집프레임부(200)는 접철모드로 변경된 상태에서, 챔버부(100)의 열을 이루어 설치된 거치대(110)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치공간(150)에 배치될 수 있다.
수집프레임부(200)의 적어도 일부가 접철모드로 전환되면서 분무량 측정시험이 실시되지 않는 시기에, 수집프레임부(200)가 분무부(600)에서 소재(S)로 분무되는 부식액을 가리는 것을 방지하여 부식시험의 정밀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수집프레임부(200)는 복수 개의 설치부분(270)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설치부분(270)이 이동블럭(230)에서 이격되는 거리가 상이할 수 있다.
설치부분(270)에는 수집부(50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설치부분(270)은 링형상으로 구성되고, 수집부(500)가 링형상의 설치부분(270)에 삽입되면서 설치될 있고, 링형상의 설치부분(270)에서 빠지면서 제거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챔버부(100)의 중앙영역에 설치된 분무부(600)를 사이에 두고, 2 개의 배치공간(150)이 설치될 수 있고, 2개의 배치공간(150)에 모두 수집프레임부(2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필요에 따라, 챔버부(100)의 중앙영역에 설치된 분무부(600)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 2 개의 배치공간(150) 중 어느 일측의 배치공간(150)에만 수집프레임부(200)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집프레임부(200)는, 상기 펼침모드에서 상기 설치부분(270)에 설치된 상기 수집부(500)의 유입부분(510)이 상기 챔버부(100)에 설치되는 소재(S)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집부(500)의 유입부분(510)은 분무부(600)에서 분무된 부식액이 수집부(500)로 처음 유입되는 위치이다.
즉, 펼침모드에서 수집부(500)의 유입부분(510)이 소재(S)의 상단과 소재(S)의 하단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집프레임부(200)는, 상기 펼침모드에서 상기 설치부분(270)에 설치된 상기 수집부(500)의 상단인 유입부분(510)이 챔버부(100)에 설치되는 소재(S)의 상단에 대응되는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펼침모드에서 수집부(500)의 유입부분(510)이 소재(S)의 상단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수집부(500)의 유입부분(510)이 소재(S)의 상단에 대응되도록 수집프레임부(200)가 승강되면서 수집부(500)의 유입부분(51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는, 펼침모드에서 수집부(500)의 유입부분(510)이 소재(S)의 상단에 대응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분무부(600)에서 분무된 부식액이 소재(S)에 최초로 도달하는 위치에 수집부(500)의 유입부분(510)을 배치되면서 소재(S)에 분무되는 부식액의 분무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부식시험장치는 챔버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수집프레임부(20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탈착프레임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탈착프레임부(300)는 챔버부(100)의 배치공간(150)에 대향되도록 한 쌍이 설치되고, 한 쌍의 탈착프레임부(300)에 수집프레임부(200)의 양단부가 거치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탈착프레임부(300)의 하단은 챔버부(100)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단에는 상부가 개방된 'ㄷ'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탈착브라켓(310)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집프레임부(200)는 탈착프레임부(300)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접철모드와 상기 펼침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수집프레임부(200)는 탈착프레임부(3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챔버부(100)의 거치대(110)와 간섭없이 접철모드에서 펼침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펼침모드로 전환된 수집프레임부(200)의 설치부분(270)에 복수 개의 수집부(500)를 설치하여 부식액의 분무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 펼침모드로 전환된 수집프레임부(200)의 설치부분(270)에 수집부(500)를 설치할 수 있고, 수집프레임부(200)에 수집부(5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챔버부(10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펼침모드로 전환된 수집프레임부(200)는 접철모드에서 펼침모드로 전환되고, 펼침모드로 전환된 수집프레임부(200)가 챔버부(10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챔버부(100)에 고정된 수집프레임부(200)의 설치부분(270)에 수집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부식시험장치는 챔버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수집프레임부(200)를 승강시키는 프레임승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프레임승강부(400)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구동되는 실린더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수집프레임부(2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실린더부재의 상부에는 수집프레임부(200)가 고정되는 승강브라켓(410)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린더부재가 수집프레임부(200)에 직접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집프레임부(200)는 상기 프레임승강부(400)에 의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접철모드와 상기 펼침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프레임승강부(400)는 수집프레임부(200)가 접철된 상태에서 수집프레임부(200)를 상승시키고, 수집프레임부(200)가 상승된 상태에서 수집부(500)의 설치부분(270)을 펼칠 때, 챔버부(100)의 거치대(11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승강부(400)에 의해 수집프레임부(200)가 상승한 상태에서, 접철모드에서 펼침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수집프레임부(200)가 펼침모드로 전환된 이후, 수집프레임부(200)의 설치부분(270)에 수집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승강부(400)에 의해 수집프레임부(200)가 하강하면서, 설치부분(270)에 설치된 수집부(500)가 인접한 거치대(110) 사이에 형성된 수집공간(130)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설치부분(270)은 수집프레임부(200)에서 펼쳐진 상태로 수집공간(130)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설치부분(270)의 적어도 일부에 수집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후, 분무량 측정시험이 실시될 수 있고, 수집공간(130)에 배치된 복수 개의 수집부(500)에 문부에서 분무된 부식액이 수집되면서 부식액의 분무량이 측정될 수 있다.
분무량 측정시험이 종료된 경우, 수집프레임부(200)는 프레임승강부(400)에 의해 상승하여 수집부(500)가 인접한 거치대(110)의 사이의 공간인 수집공간(130)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때, 수집프레임부(200)의 상승 전 또는 상승 후에 수집부(500)가 수집프레임부(200)의 설치부분(270)에서 제거될 수 있다.
수집부(500)가 제거된 수집프레임부(200)는 프레임승강부(400)에 의해 상승한 상태에서, 수집프레임부(200)가 펼침모드에서 접철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프레임승강부(400)에 의해 수집프레임부(200)가 하강하면서, 접철모드로 전환된 수집프레임부(200)는 접철모드로 전환된 상태로 챔버부(100)의 배치공간(150)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챔버부(100)의 거치대(110)에 복수 개의 소재(S)가 배치된 상태에서, 소재(S)에 대한 부식시험이 실시될 수 있다.
분무량 측정시험의 정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집부(500)의 유입부분(510)의 높이를 소재(S)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프레임승강부(400)가 수집프레임부(200)를 승강시켜 수집부(500)의 유입부분(510)의 높이에 배치함으로써, 분무량 측정시험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수집프레임부(200)는, 상기 배치공간(150)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지지프레임(21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블럭(230) 및, 상기 이동블럭(230)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집부(500)의 설치부분(270)이 형성되는 접철프레임(25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지지프레임(210)은 이동블럭(230)이 이동시 하측을 지지하여 가이드할 수 있다.
이동블럭(230)이 블럭구동부재(290)의 스크류볼트(293)에 의해 회전에 의해 지지프레임(210) 상에서 이동시, 스크류볼트(293)의 회전력에 의해 이동블럭(23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10) 상에는 복수 개의 이동블럭(230)이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이동블럭(230)을 관통하여 스크류볼트(293)가 설치될 수 있고, 스크류볼트(293)는 서보모터(291)에 의해 회전구동될 수 있다.
서보모터(291)는 지지프레임(21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지지프레임(210)의 타측 단부에는 스크류볼트(29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블록(295)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이동블럭(230)은 블럭구동부재(29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21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동블럭(230)이 지지프레임(210) 상에서 이동하면서 이동블럭(230)에 설치된 접철프레임(25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접철프레임(250)에 형성된 설치부분(270)의 위치가 조절되면서 설치부분(270)에 설치되는 수집부(50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동블럭(230)에는 접철프레임(250)의 삽입프레임(255)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고정홀(231)이 형성될 수 있다.
블럭구동부재(290)는 이동블럭(230)을 지지프레임(210) 상에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블럭구동부재(290)는 이동블럭(23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스크류볼트(293)와, 지지프레임(210)의 일측단부에 설치되어, 스크류볼트(293)를 지지프레임(210) 상에서 진퇴시키는 서보모터(291)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10)의 일측단부에는 서보모터(291)가 설치되고, 지지프레임(210)의 타측 단부에는 스크류볼트(29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블록(295)이 설치될 수 있다.
스크류볼트(293)는 서보모터(291)와 베어링블록(295)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블럭(230)과 블럭구동부재(290)는 지지프레임(210) 상에서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블럭(230)의 폭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접철프레임(250)은 이동블럭(230)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집부(500)의 설치부분(270)이 형성될 수 있다.
접철프레임(250)은 이동블럭(23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접철프레임(250)이 접히면서 접철모드로 전환되고, 접철프레임(250)이 이동블럭(230)에서 펼쳐지면서 펼침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접철프레임(250)은 이동블럭(230)에서 펼쳐진 상태에서 일측 단부가 이동블럭(230)의 삽입고정홀(231)에 삽입될 수 있고, 접철프레임(250)은 펼쳐진 상태에서 이동블럭(230)에 고정될 수 있다.
수집프레임부(200)는 이동블럭(230)을 구동시키는 블럭구동부재(290)의 서보모터(291)를 제외한 대부분의 부분이 부식에 강한 아크릴 등의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수집프레임부(200)는 지지프레임(210), 이동블럭(230), 접철프레임(250) 등은 부식에 강한 아크릴 등의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접철프레임(250)은, 상기 이동블럭(2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프레임(251) 및, 일측이 상기 회동프레임(251)에 삽입 설치되고, 타측에 상기 수집부(500)가 설치되는 설치부분(270)이 형성된 삽입프레임(255)을 구비할 수 있다.
회동프레임(251)은 이동블럭(230)에 힌지부재(H)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삽입프레임(255)은 회동프레임(251)에 삽입 설치되고, 타단에 수집부(50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프레임(255)에는 삽입프레임(255)의 외주면에서 돌출 및 내입 가능한 탄성볼(258)이 형성되고, 회동프레임(251)에는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형상의 슬라이드홀(252)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볼(258)은 슬라이드홀(25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삽입프레임(255)에서 돌출되면서 삽입프레임(255)이 회동프레임(25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이동블럭(230)에는 상기 삽입프레임(255)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고정홀(23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프레임(255)은 일측 단부에는 스토퍼블럭(257)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블럭(257)이 상기 삽입고정홀(231)에 삽입 고정되면서 상기 펼침모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삽입프레임(255)의 일측은 회동프레임(25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삽입프레임(255)의 스토퍼블럭(257)이 이동블럭(230)의 삽입고정홀(231)에 삽입되면서 접철프레임(250)이 이동블럭(230)에 삽입 고정될 경우, 수집프레임부(200)는 펼침모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삽입프레임(255)의 스토퍼블럭(257)이 이동블럭(230)의 삽입고정홀(231)에서 이탈될 경우, 이동블럭(230)에 힌지 결합된 접철프레임(250)이 하측으로 회동되면서 수집프레임부(200)는 접철모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삽입프레임(255)은 상기 회동프레임(251)에 설치되는 다단의 슬라이드부재(256)로 구성될 수 있다.
회동프레임(251)에서 삽입프레임(255)이 인출된 정도를 조절하여 설치부분(270)의 위치를 조절하여 수집부(5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접철프레임(250)은 1개의 회동프레임(251)과, 2개의 슬라이드부재(256)로 구성된 삽입프레임(255)으로 구비될 수 있다.
회동프레임(251)에서 삽입프레임(255)이 인출된 정도에 따라, 수집부(500)를 배치공간(150)에 가장 가까운 제1 수집공간(130), 배치공간(150)에 2번째로 가까운 제2 수집공간(130), 배치공간(150)에 3번째로 가까운 제3 수집공간(13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프레임(255)의 2개의 슬라이드부재(256)가 모두 회동프레임(251)에 삽입되어 접철프레임(250)의 길이가 회동프레임(251)의 길이에 대응되는 경우, 삽입프레임(255)에 설치된 설치부분(270)은 배치공간(150)에 가장 가까운 제1 수집공간(130)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프레임(255)의 2개의 슬라이드부재(256) 중 1개만 회동프레임(251)에 삽입되어 접철프레임(250)의 길이가 회동프레임(251)과 1개의 슬라이드부재(256)의 길이의 합에 대응되는 경우, 배치공간(150)에 2번째로 가까운 제2 수집공간(130)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프레임(255)의 2개의 슬라이드부재(256)가 모두 회동프레임(251)에서 인출되어 접철프레임(250)의 길이가 2개의 슬라이드부재(256)와 회동프레임(251)의 길이의 합에 대응되는 경우, 배치공간(150)에 3번째로 가까운 제3 수집공간(13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삽입프레임(255)은 교체 가능하고 상이한 길이를 가지는 2 이상의 삽입프레임유닛(255U)을 포함하여 상기 설치부분(270)이 상기 이동블럭(230)에서 이격되는 거리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이한 길이를 가지는 2 이상의 삽입프레임유닛(255U)은 회동프레임(251)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집부(500)가 설치되는 설치부분(270)이 이동블럭(230)에서 이격되는 거리의 조절이 가능해짐으로써, 다양한 위치에서의 분무량을 측정이 가능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소재 20: 거치대
30: 깔대기 40: 지지대
100: 챔버부 110: 거치대
130: 수집공간 150: 배치공간
200: 수집프레임부 210: 지지프레임
230: 이동블럭 231: 삽입고정홀
250: 접철프레임 251: 회동프레임
252: 슬라이드홀 255: 삽입프레임
255U: 삽입프레임유닛 256: 슬라이드부재
257: 스토퍼블럭 258: 탄성볼
270: 설치부분 290: 블럭구동부재
291: 서보모터 293: 스크류볼트
295: 베어링블록 300: 탈착프레임부
310: 탈착브라켓 400: 프레임승강부
410: 승강브라켓 500: 수집부
510: 유입부분 600: 분무부
610: 분무수단 611: 분무하우징
613: 염수관 615: 공기관
630: 분산수단 631: 회전콘
633: 회전유도홈 H: 힌지부재
S: 소재

Claims (13)

  1. 부식시험의 대상이 되는 복수 개의 소재가 설치되는 챔버부; 및,
    상기 챔버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분무된 부식액이 수집되는 수집부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부분이 형성되는 수집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프레임부는 상기 설치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영역이 접철모드와, 펼침모드로 전환되는 부식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는,
    상기 접철모드 상태에서 상기 수집프레임부가 배치되는 배치공간;
    상기 배치공간의 주변에 배치되어 소재가 거치되고, 복수 개가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를 벗어난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펼침모드 상태에서 상기 수집프레임부에 설치된 상기 수집부가 배치되는 수집공간;을 구비하는 부식시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공간은,
    상기 수집프레임부가 접철모드에서 상기 거치대로 분무되는 부식액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분무부와 동일한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부식시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프레임부는,
    상기 펼침모드에서 상기 설치부분에 설치된 상기 수집부의 유입부분이 상기 챔버부에 설치되는 소재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시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의 내부에는 상기 수집프레임부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탈착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부식시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프레임부는 상기 탈착프레임부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접철모드와 상기 펼침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시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의 내부에는 상기 수집프레임부를 승강시키는 프레임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부식시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승강부에 의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접철모드와 상기 펼침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시험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프레임부는,
    상기 배치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블럭; 및,
    상기 이동블럭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집부의 설치부분이 형성되는 접철프레임;을 구비하는 부식시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프레임은,
    상기 이동블럭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프레임; 및,
    일측이 상기 회동프레임에 삽입 설치되고, 타측에 상기 수집부가 설치되는 설치부분이 형성된 삽입프레임;을 구비하는 부식시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럭에는 상기 삽입프레임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프레임은 일측 단부에는 스토퍼블럭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블럭이 상기 삽입고정홀에 삽입 고정되면서 상기 펼침모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시험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프레임은 상기 회동프레임에 설치되는 다단의 슬라이드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시험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프레임은,
    상이한 길이를 가지는 적어도 2 이상의 삽입프레임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설치부분이 상기 이동블럭에서 이격되는 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시험장치.
KR1020180095868A 2018-08-17 2018-08-17 부식시험장치 KR102109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868A KR102109263B1 (ko) 2018-08-17 2018-08-17 부식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868A KR102109263B1 (ko) 2018-08-17 2018-08-17 부식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311A true KR20200020311A (ko) 2020-02-26
KR102109263B1 KR102109263B1 (ko) 2020-05-11

Family

ID=69637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868A KR102109263B1 (ko) 2018-08-17 2018-08-17 부식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2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470U (ko) * 1989-11-27 1991-07-29
KR19980043339U (ko) 1996-12-24 1998-09-25 김종진 회전형 염수 분무탑
JP2004020419A (ja) * 2002-06-18 2004-01-22 Suga Test Instr Co Ltd 塩水噴霧試験装置
JP2005227063A (ja) * 2004-02-12 2005-08-25 Asahi Breweries Ltd サンプル採取器
KR101819372B1 (ko) * 2016-10-04 2018-01-17 주식회사 포스코 부식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470U (ko) * 1989-11-27 1991-07-29
KR19980043339U (ko) 1996-12-24 1998-09-25 김종진 회전형 염수 분무탑
JP2004020419A (ja) * 2002-06-18 2004-01-22 Suga Test Instr Co Ltd 塩水噴霧試験装置
JP2005227063A (ja) * 2004-02-12 2005-08-25 Asahi Breweries Ltd サンプル採取器
KR101819372B1 (ko) * 2016-10-04 2018-01-17 주식회사 포스코 부식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263B1 (ko) 202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44406A (zh) 气密检测设备
KR20200020311A (ko) 부식시험장치
CN105203292B (zh) 一种用于低速风洞地效试验的可折叠上地板装置
CN114942152A (zh) 一种矿山设备车轮的测试装置
CN111151727A (zh) 一种用于5g无线网桥的具有定量功能的压铸设备
CN109629376A (zh) 一种公园石子路铺设设备
CN210551044U (zh) 一种用于计算机硬件开发的测试装置
KR102418690B1 (ko) 비탈면 붕괴 시험 및 액상화 시험 설비
DE1016230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Formen, Werkzeugen, Form- und Werkzeugträgern
CN205352725U (zh) 一种座椅靠背疲劳性能试验台
CN207557139U (zh) 液晶显示屏检测装置
CN215636257U (zh) 城市规划调研用测量支架
CN208766053U (zh) 一种试块温度可控的压力机
CN111823356B (zh) 自动式混凝土试块振动仪
CN204964239U (zh) 水环境治理辅助采样装置
CN107653918A (zh) 一种用于模型试验安装及测量的固定装置
CN209020093U (zh) 一种可在线更换的中、大型风机过滤滤芯机构
JP7154307B2 (ja) ビード幅調整装置と共に使用される自動調整シリンダ
CN107490331A (zh) 一种缸体毛坯检测装置的制造方法
DE20314939U1 (de) Reifenprüfeinrichtung mit hängendem Reifen
CN105834745A (zh) 一种印花机圆网自动装闷头机及闷头安装工艺
CN205660379U (zh) 一种印花机圆网自动装闷头机
DE212020000136U1 (de) Ritzvorrichtung zum Schnitzen von Steinplatten
CN220160508U (zh) 一种土壤检测前处理装置
CN213041646U (zh) 一种化纺雨布耐撕裂性能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