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363B1 - 주물사 재생설비용 사재생기 - Google Patents

주물사 재생설비용 사재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363B1
KR101198363B1 KR1020100008777A KR20100008777A KR101198363B1 KR 101198363 B1 KR101198363 B1 KR 101198363B1 KR 1020100008777 A KR1020100008777 A KR 1020100008777A KR 20100008777 A KR20100008777 A KR 20100008777A KR 101198363 B1 KR101198363 B1 KR 101198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late
sand
friction
fri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998A (ko
Inventor
장호인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장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호인 filed Critical 장호인
Priority to KR1020100008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363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5/00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22C5/18Plants for preparing moul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5/00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22C5/04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by grinding, blending, mixing, kneading, or stirring
    • B22C5/0409Blending, mixing, kneading or stirring; Metho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5/00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22C5/14Equipment for storing or handling the dressed mould material, forming part of a plant for preparing such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Casting Devices For Mo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물사 재생설비용 사재생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설비용 사재생기는, 상부 중앙에 주물사가 유입되는 주물사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선단이 개방된 원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메인케이스와; 상기 메인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승강프레임과; 중앙이 개방된 상부판과, 중앙이 개방된 하부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하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 일측이 상기 승강프레임 하단에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는 마찰판케이스와; 상기 마찰판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 수직축과 중앙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하, 좌우가 대칭되는 형상을 취하고, 마찰판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마찰판과; 상기 메인케이스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있되, 측벽면과 메인케이스의 내벽면과의 사이로 주물사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케이스와; 하부가 상기 회전축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부는 회전축케이스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회전축케이스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전장치와; 상기 회전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둘레에 형성된 측벽판이 포함된 채 구성되어 있으며, 측벽판 외주면은 상기 마찰판케이스의 하부판의 내측 끝단과 이격되어 주물사가 하향 배출되도록 구성된 주물사마찰케이스와; 상기 메인케이스 하부와 연결되어 배출된 주물사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되, 일측 벽면에는 벽면을 향해 상향 경사진 다수 개의 제1경사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벽면에는 요철 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제2경사판이 형성되어 있고, 제1경사판과 제2경사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주물사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다수 개의 제2경사판 사이 공간의 연장선상에 외부 집진장치와 연결된 배관이 설치되어 있는 주물사수용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메인케이스 내부에 마찰판이 다수 설치된 마찰판케이스를 설치하고, 회전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주물사마찰케이스를 설치하여 주물사마찰케이스의 회전에 의해 주물사가 마찰판에 부딪혀 마찰되면서 주물사 표면의 약품을 제거하고 주물사의 입도를 균일하게 하면서 주물사 표면적을 감소시키게 되고, 이때, 마찰판에 부딪힌 후 배출되는 주물사를 직접 배출하지 않고 서로 방향이 틀린 제1경사판과 제2경사판이 구비된 주물사수용케이스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부가적인 마찰에 의해 주물사 표면을 균일화시킴은 물론, 분진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마찰판은, 중앙 수평축 및 중앙 수직축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하고, 마찰판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특정 부위가 닳는 현상이 발생할 때 하나의 마찰판을 회전시켜 재설치하거나,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부품 활용성이 높아지고, 회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회전축의 2개 지점 이상에 베어링을 설치하여 벨트풀리가 회전축의 일측에 치우쳐 설치됨으로 인해 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균일한 회전이 이루어지며, 마찰판케이스를 고정하는 승강프레임을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주물사의 반복적인 마찰에 의해 마찰판과 주물사마찰케이스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물사 재생설비용 사재생기{Sand recovery apparatus for regenerating equipment of molding sand}
본 발명은, 주형과 분리되어 분쇄된 후 냉각된 주물사 표면의 약품 성분을 제거하고, 주물사의 표면적을 최소화시켜 재생하도록 하는, 주물사 재생설비용 사재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형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주물사의 경우 성형성, 통기성, 적응성 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하며,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많이 달라지게 되므로 입자를 고르게 분쇄 처리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천연적으로 채취한 것을 건조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채취 과정에서 선별 공급 되므로 큰 문제가 없으나, 폐주물사 등을 이용코자 할 시에는 여러 가지 장치로 이루어진 주물사 재생설비를 거쳐야 한다.
이러한 주물사 재생설비 중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장치는 주물사 표면에 묻어 있는 약품을 제거하고, 표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주물사 재생기이다.
주물사 재생기와 관련된 기술로는, 회전드럼 내부에 유입되는 주물사를 미리 주입되어 형성된 주물사의 고정층과 마찰 접촉이 되도록 하여 부착물을 박리하여 재생하도록 하는 기술이 '주물사 재생장치 및 그에 사용하는 회전드럼'(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70053호)에 공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기술은 회전드럼 내부에 형성되는 주물사의 고정층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주물사의 압력에 의해 계속 회전 드럼 내부에 머물러 있게 되므로 회전드럼 내부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다른 기술로, '폐주물사 연마재생장치'(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6243호)에는 폐주물사가 저장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서 회전하게 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와 근접하여 설치되며 서로 상대운동하게 되는 연마휠;로 구성하여 케이싱내에 구비되어 서로 근접하는 블레이드와 연마휠사이에 폐주물사가 보내진 다음 블레이드와 연마휠은 상대 운동하고 있기 때문에, 폐주물사는 블레이드에 의해 소분되어서 반복하여 연마휠과 접촉하면서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기술은 연마휠과 접촉되는 폐주물사가 일정한 부분에 접촉하게 되므로 연마휠의 일정 부위가 빨리 닳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블레이드와 연마휠이 닳게 됨에 따라 주물사가 배출되는 간격이 벌어지는 문제점, 연마휠과 블레이드를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다량의 분진 처리가 난이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특허문헌1:KR10-0570053(2000.07.25) 특허문헌2:KR20-0426243(2006.09.04)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설비용 사재생기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케이스 내부에 마찰판이 다수 설치된 마찰판케이스를 설치하고, 회전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주물사마찰케이스를 설치하여 주물사마찰케이스의 회전에 의해 주물사가 마찰판에 부딪혀 마찰되면서 주물사 표면의 약품을 제거하고 주물사의 입도를 균일하게 하면서 주물사 표면적을 줄이려는 것이다.
이때, 마찰판에 부딪힌 후 배출되는 주물사를 직접 배출하지 않고 서로 방향이 틀린 제1경사판과 제2경사판이 구비된 주물사수용케이스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부가적인 마찰에 의해 주물사 표면을 균일화시킴은 물론, 분진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마찰판은, 중앙 수평축 및 중앙 수직축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하고, 마찰판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특정 부위가 닳는 현상이 발생할 때 하나의 마찰판을 회전시켜 재설치하거나,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부품 활용성을 높이려는 것이다.
또한, 회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회전축의 2개 지점 이상에 베어링을 설치하여 벨트풀리가 회전축의 일측에 치우쳐 설치됨으로 인해 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균일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마찰판케이스를 고정하는 승강프레임을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주물사의 반복적인 마찰에 의해 마찰판과 주물사마찰케이스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설비용 사재생기는, 상부 중앙에 주물사가 유입되는 주물사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선단이 개방된 원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메인케이스와; 상기 메인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승강프레임과; 중앙이 개방된 상부판과, 중앙이 개방된 하부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하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 일측이 상기 승강프레임 하단에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는 마찰판케이스와; 상기 마찰판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 수직축과 중앙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하, 좌우가 대칭되는 형상을 취하고, 마찰판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마찰판과; 상기 메인케이스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있되, 측벽면과 메인케이스의 내벽면과의 사이로 주물사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케이스와; 하부가 상기 회전축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부는 회전축케이스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회전축케이스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전장치와; 상기 회전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둘레에 형성된 측벽판이 포함된 채 구성되어 있으며, 측벽판 외주면은 상기 마찰판케이스의 하부판의 내측 끝단과 이격되어 주물사가 하향 배출되도록 구성된 주물사마찰케이스와; 상기 메인케이스 하부와 연결되어 배출된 주물사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되, 일측 벽면에는 벽면을 향해 상향 경사진 다수 개의 제1경사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벽면에는 요철 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제2경사판이 형성되어 있고, 제1경사판과 제2경사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주물사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다수 개의 제2경사판 사이 공간의 연장선상에 외부 집진장치와 연결된 배관이 설치되어 있는 주물사수용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장치는, 주물사마찰케이스 중앙 상부로 상단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하부는 회전축케이스 중앙 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회전축과; 상단이 상기 주물사마찰케이스에 연결되어 있고, 하부는 회전축케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을 감싸 설치되어 있는 연결부재와; 상기 회전축케이스 내부에 위치한 회전축의 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벨트풀리와; 벨트에 의해 상기 벨트풀리와 연결되어 있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연결부재와 회전축의 사이에 상부와 하부에 다수 개의 볼베어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승강프레임고정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프레임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승강프레임고정관에 상부가 볼팅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승강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승강프레임회전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메인케이스 내부에 마찰판이 다수 설치된 마찰판케이스를 설치하고, 회전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주물사마찰케이스를 설치하여 주물사마찰케이스의 회전에 의해 주물사가 마찰판에 부딪혀 마찰되면서 주물사 표면의 약품을 제거하고 주물사의 입도를 균일하게 하면서 주물사 표면적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때, 마찰판에 부딪힌 후 배출되는 주물사를 직접 배출하지 않고 서로 방향이 틀린 제1경사판과 제2경사판이 구비된 주물사수용케이스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부가적인 마찰에 의해 주물사 표면을 균일화시킴은 물론, 분진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 마찰판은, 중앙 수평축 및 중앙 수직축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하고, 마찰판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특정 부위가 닳는 현상이 발생할 때 하나의 마찰판을 회전시켜 재설치하거나,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부품 활용성이 높아진다.
또한, 회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회전축의 2개 지점 이상에 베어링을 설치하여 벨트풀리가 회전축의 일측에 치우쳐 설치됨으로 인해 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균일한 회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마찰판케이스를 고정하는 승강프레임을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주물사의 반복적인 마찰에 의해 마찰판과 주물사마찰케이스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설비용 사재생기에서 메인케이스 부분을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설비용 사재생기에서 주물사수용케이스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마찰판, 회전장치, 주물사마찰케이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단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설비용 사재생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메인케이스 부분을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하나의 호퍼에 다수 개의 사재생기가 연결된 예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설비용 사재생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메인케이스(100), 승강프레임(200), 마찰판케이스(300), 마찰판(400), 회전축케이스(500), 회전장치(600), 주물사마찰케이스(700), 주물사수용케이스(80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설비용 사재생기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메인케이스(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중앙에 인접 공정으로부터 주물사가 유입되기 위한 주물사유입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하부는 선단이 개방된 원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메인케이스(100)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20)를 설치하고, 호퍼(120)와 주물사유입구(110)를 연결하여 주물사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첨부된 도면과 같이 다수 개의 메인케이스(100)를 서로 인접하여 구성한 다음 하나의 호퍼(120)와 각 메인케이스(100) 주물사유입구(110)를 연결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승강프레임(200)은 상기 메인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승강프레임(20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케이스(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승강프레임고정관(210)을 구성하고, 승강프레임(20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승강프레임고정관(210)에 상부가 볼팅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승강프레임(200)의 상단 일측에 승강프레임(200)을 회전시키는 승강프레임회전장치를 연결하여,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승강프레임(200)을 회전하면서 승강프레임(200)이 나사산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승강프레임회전장치는 승강프레임(200) 일측 끝단에 회전 모터를 설치하는 구성, 승강프레임(200)의 외주면에 기어를 형성하고 이 기어에 모터와 연결된 별도의 기어를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하여 승강프레임(200)을 회전시키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처럼 승강프레임(200)을 회전시키면서 상, 하 이동시키는 구성 외에도 승강프레임(200)에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설치하여 실린더의 조작에 의해 상, 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승강프레임(200)을 상, 하 이동시키는 거리는 미세하게 조정되어야 할 것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회전장치를 이용하여 회전하면서 상, 하 이동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마찰판케이스(300)는 상하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되, 중앙이 개방된 상부판(310)이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중앙이 개방된 하부판(320)이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마찰판케이스(300)는 하부 일측이 상기 승강프레임(200) 하단에 연결되어 승강프레임(20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승강프레임(200)이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경우 다수 개의 승강프레임(200)이 설치되는 이유로 인해 마찰판케이스(300)가 함께 회전하게 되면 안된다.
이를 위해, 마찰판케이스(300)와 승강프레임(200)의 연결은, 승강프레임(200) 하부에 지지대를 설치하고, 이 지지대 위에 마찰판케이스(300)가 안착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승강프레임(200)을 구성함에 있어, 승강프레임(200)은 회전하지 않는 대신 승강프레임고정관(210)을 회전하는 방식으로 연결하고, 마찰판케이스(300)와 승강프레임(200)을 고정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마찰판(400)은 상기 마찰판케이스(300)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 수직축과 중앙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하, 좌우가 대칭되는 형상을 취하고, 마찰판케이스(300)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찰판(400)은 사각형 형태에서 네 군데의 모서리를 사각형 형상으로 모따기 처리하여 상부돌출부(410)와 하부돌출부(420)를 형성하고, 도시된 것처럼 마찰판케이스(300)의 하부판(320) 및 상부판(310)에 마찰판삽입홈(321)을 형성하여 마찰판삽입홈(321)에 상부돌출부(410)와 하부돌출부(420)가 삽입되도록 하여 탈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부판(310)은 마찰판케이스(300)와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마찰판(400)의 교체 및 재설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회전축케이스(500)는 상기 메인케이스(10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있되, 측벽면과 메인케이스(100)의 내벽면과의 사이로 주물사배출통로(5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회전축케이스(500)의 내부에는 공간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회전장치(600)의 일부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회전축케이스(500)의 고정을 위해 회전축케이스(500)와 메인케이스(100) 사이에 여러 개의 브릿지를 설치하여 회전축케이스(500)를 메인케이스(100) 내부의 일정 위치에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브릿지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는 다양한 방식으로 당업자가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회전장치(600)는 하부가 상기 회전축케이스(500)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부는 회전축케이스(500)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회전축케이스(500)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의한 회전장치(600)의 구체적인 구성예로, 회전축(620), 연결부재(610), 벨트풀리(630), 모터(680) 등을 포함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축(620)은 후술하는 주물사마찰케이스(700) 중앙 상부로 상단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하부는 회전축케이스(500) 중앙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하고, 연결부재(610)는 상단이 주물사마찰케이스(700)에 연결되어 있고, 하부는 회전축케이스(5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620)을 감싸 설치되도록 구성하며, 회전축케이스(500) 내부에 위치한 회전축(620)의 둘레에 벨트풀리(630)를 설치하고, 모터(680)를 준비하여 모터축과 벨트풀리(630)를 벨트(631)로 연결하여 회전장치(6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모터(680)의 동작에 의해 벨트(631)가 회전하면서 벨트풀리(630)가 회전축(620)을 회전시키도록 한 구성이며, 이러한 회전에 의해 후술하는 주물사마찰케이스(7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연결부재(610)와 회전축(620)의 사이에는 최소 2개소 즉, 상부와 하부에 다수 개의 볼베어링(640)을 설치하여 회전축(620)에 벨트풀리(630)가 편단되게 동력 전달되는 편하중 손상을 경감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장치(600)를 구성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적으로, 회전축(620)의 상단에 회전축커버(670)를 설치하여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주물사마찰케이스(700) 중앙 상부로 돌출된 회전축(620) 상단을 막도록 구성하고, 연결부재(610)의 상부에는 상부연결부재(660)를 설치하여 상부연결부재(660)로 하여금 주물사마찰케이스(700)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연결부재(610)의 하부에 연결부재지지판(650)을 설치하여 볼베어링(6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주물사마찰케이스(700)는 상기 회전장치(600)와 연결되어 있는 바닥판(710)과, 바닥판(710)의 둘레에 형성된 측벽판(720)이 포함된 채 구성되어 있으며, 측벽판(720) 외주면은 상기 마찰판케이스(300)의 하부판(320)의 내측 끝단과 이격되어 주물사가 하향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바닥판(710)의 둘레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광하협의 계단식 단면 형태를 가지면서 상향 돌출된 돌출턱을 형성하여 측벽판(720)이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판(720)의 하부가 바닥판(710)에 연결되고, 측벽판(720)의 상부는 상향 돌출되어 마찰판케이스(300)의 하부판(320)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주물사마찰케이스(700)는 회전장치(600)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 과정에서 측벽판(720)에 주물사가 부딪혀 측벽판(720)이 닳게 된다.
이에 따라 주물사마찰케이스(700)를 통째로 교체하지 않고 측벽판(720)을 바닥판(71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볼트 등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측벽판(720)만을 별도로 교체 보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보면 측벽판(720)과 마찰판케이스(300)의 하부판(320) 및 마찰판(400)의 사이에 작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공간을 통해 마찰판(400)에 부딪힌 주물사가 주물사배출통로(510) 측을 향해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주물사수용케이스(800)는 상기 메인케이스(100) 하부와 연결되어 배출된 주물사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되, 일측 벽면에는 벽면을 향해 상향 경사진 다수 개의 제1경사판(810)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타측 벽면에는 요철 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제2경사판(8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경사판(810) 선단과 제2경사판(820) 선단 사이에 틈 즉,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이 공간을 통해 주물사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다수 설치된 제2경사판(820)들 사이 공간의 연장선상은 외부 집진장치와 배관 연결되어 주물사와 분리된 먼지,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각 장치의 주요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물사는 주물사유입구(110)를 통해 메인케이스(100) 내부 공간에 유입되게 된다.
메인케이스(100) 내부 공간으로 낙하하는 주물사는 주물사마찰케이스(700)의 바닥판(710) 상부에 안착되게 되는데, 회전장치(600)에 의해 주물사마찰케이스(700)가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하는 힘에 의해 주물사는 주변으로 비산하게 된다.
이때, 비산하는 주물사는 마찰판케이스(300)에 설치된 마찰판(400)에 의해 부딪히고, 마찰판케이스(300)의 상부판(310) 및 하부판(320)에 의해 튕겨지면서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면서 주물사마찰케이스(700)의 측벽판(720) 바깥쪽의 미세한 공간을 통해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 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주물사는 회전축케이스(500)와 메인케이스(100) 사이 공간인 주물사배출통로(510)를 통해 하향 이동하게 되며, 그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주물사수용케이스(800)에 유입된다.
이때, 주물사수용케이스(800)로 유입된 주물사는 다수 설치된 제1경사판(810)에 부딪히면서 하향 이동하게 되고, 이때 부딪히면서 묻어 있는 이물질 및 공기는 제2경사판(820)들 사이 공간을 따라 외부로 집진되게 된다.
이러한 작용 중에 주물사마찰케이스(700)가 계속 닳게 되는데, 승강프레임(200)을 상향 이동시켜 틈이 벌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지속적으로 균일한 효율을 달성하도록 하였다.
또, 마찰판(400) 역시 일정 부위가 계속 닳게 되는데, 마찰판(400)의 일정 부위가 닳았을 때 마찰판(400)을 상하, 또는 좌우 회전시켜 다시 설치하거나 다른 마찰판(400)으로 교체함으로써 마찰판(400)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찰판케이스(300) 내부에서 1차적으로 타격에 의해 약품이 분리되고, 연마된 주물사는 주물사수용케이스(800) 내부의 제1경사판(810)에 부딪히면서 먼지 등이 추가적으로 분리되어 약품 및 이물질의 분리 정도가 향상되게 된다.
100 : 메인케이스 110 : 주물사유입구
120 : 호퍼 200 : 승강프레임
210 : 승강프레임고정관 300 : 마찰판케이스
310 : 상부판 320 : 하부판
321 : 마찰판삽입홈 400 : 마찰판
410 : 상부돌출부 420 : 하부돌출부
500 : 회전축케이스 510 : 주물사배출통로
600 : 회전장치 610 : 연결부재
620 : 회전축 630 : 벨트풀리
631 : 벨트 640 : 볼베어링
650 : 연결부재지지판 660 : 상부연결부재
670 : 회전축커버 680 : 모터
700 : 주물사마찰케이스 710 : 바닥판
720 : 측벽판 800 : 주물사수용케이스
810 : 제1경사판 820 : 제2경사판

Claims (5)

  1. 주물사 재생설비용 사재생기에 있어서,
    상부 중앙에 주물사가 유입되는 주물사유입구(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선단이 개방된 원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메인케이스(100)와;
    상기 메인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승강프레임(200)과;
    메인케이스(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승강프레임(200)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승강프레임고정관(210)과;
    상기 승강프레임(200)의 상단 일측에 연결되어 승강프레임(200)을 회전시키는 승강프레임회전장치와;
    중앙이 개방된 상부판(310)과, 중앙이 개방된 하부판(3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하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 일측이 상기 승강프레임(200) 하단에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판(310) 및 하부판(320)에 마찰판삽입홈(321)이 형성되어 있는 마찰판케이스(300)와;
    상기 마찰판케이스(30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 수직축과 중앙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하, 좌우가 대칭되는 형상을 취하고, 모서리가 모따기 처리되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돌출부(410)와 하부돌출부(420)가 형성되어 상기 마찰판삽입홈(321)에 상부돌출부(410)와 하부돌출부(420)가 삽입되어 마찰판케이스(300)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마찰판(400)과;
    상기 메인케이스(10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있되, 측벽면과 메인케이스(100)의 내벽면과의 사이로 주물사배출통로(510)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케이스(500)와;
    하부가 상기 회전축케이스(500)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부는 회전축케이스(500)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회전축케이스(500)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전장치(600)와;
    상기 회전장치(6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광하협의 계단식 단면 형태를 갖는 바닥판(710)과, 바닥판(710)의 둘레에 형성된 측벽판(720)이 포함된 채 구성되어 있으며, 측벽판(720) 외주면은 상기 마찰판케이스(300)의 하부판(320)의 내측 끝단과 이격되어 주물사가 하향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측벽판(720)의 하부가 바닥판(7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측벽판(720) 상부는 마찰판케이스(300)의 하부판(320)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주물사마찰케이스(700)와;
    상기 메인케이스(100) 하부와 연결되어 배출된 주물사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되, 일측 벽면에는 벽면을 향해 상향 경사진 다수 개의 제1경사판(810)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벽면에는 요철 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제2경사판(820)이 형성되어 있고, 제1경사판(810)과 제2경사판(8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주물사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다수 개의 제2경사판(820) 사이 공간의 연장선상에 외부 집진장치와 연결된 배관이 설치되어 있는 주물사수용케이스(8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장치(600)는,
    상기 주물사마찰케이스(700) 중앙 상부로 상단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하부는 회전축케이스(500) 중앙 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회전축(620)과; 상단이 상기 주물사마찰케이스(700)에 연결되어 있고, 하부는 회전축케이스(5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620)을 감싸 설치되어 있는 연결부재(610)와; 상기 회전축케이스(500) 내부에 위치한 회전축(620)의 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벨트풀리(630)와; 벨트(631)에 의해 상기 벨트풀리(630)와 연결되어 있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610)와 회전축(620)의 사이에 상부와 하부에 다수 개의 볼베어링(6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케이스(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승강프레임고정관(21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프레임(20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승강프레임고정관(210)에 상부가 볼팅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프레임(200)의 상단 일측에 승강프레임(200)을 회전시키는 승강프레임회전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사 재생설비용 사재생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008777A 2010-01-29 2010-01-29 주물사 재생설비용 사재생기 KR101198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777A KR101198363B1 (ko) 2010-01-29 2010-01-29 주물사 재생설비용 사재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777A KR101198363B1 (ko) 2010-01-29 2010-01-29 주물사 재생설비용 사재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998A KR20110088998A (ko) 2011-08-04
KR101198363B1 true KR101198363B1 (ko) 2012-11-09

Family

ID=4492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777A KR101198363B1 (ko) 2010-01-29 2010-01-29 주물사 재생설비용 사재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3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23318B1 (pl) * 2012-06-19 2016-10-31 Fabryka Osi Napędowych Skb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S Mechaniczny regenerator wirnikowy zużytej masy odlewniczej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733Y1 (ko) * 2002-08-16 2003-06-18 한국파운더리서비스(주) 주물사 재생설비의 마모부 조정장치
KR100541928B1 (ko) * 2003-05-29 2006-01-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소실모형 주조법에서의 주물사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733Y1 (ko) * 2002-08-16 2003-06-18 한국파운더리서비스(주) 주물사 재생설비의 마모부 조정장치
KR100541928B1 (ko) * 2003-05-29 2006-01-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소실모형 주조법에서의 주물사 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998A (ko)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1179B2 (ja) 鋳物砂再生装置
JP5688489B2 (ja) 粒状物質の磨砕装置および粒状物質の生産プラント
KR200387254Y1 (ko)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생산용 건식 미분 분리장치
KR100529744B1 (ko) 고 순도 순환골재 생산장치
CN114147171A (zh) 一种刹车盘铸造用型砂粉碎装置
CN204247598U (zh) 一种砂石分离机
KR101198363B1 (ko) 주물사 재생설비용 사재생기
CN102794390B (zh) 一种旧砂再生装置
CN210752975U (zh) 一种磨片、刹车片用树脂结合剂负压磨粉系统
JP2000051996A (ja) 砂・粒塊状物の粉砕研磨装置及び鋳物砂の回収再生設備
CN202667544U (zh) 旧砂再生装置
KR950014482B1 (ko) 주물사 재생장치
CN209379108U (zh) 一种高效性能稳定砂磨机
KR101336713B1 (ko) 스크류콘 파·마쇄기
US20160303572A1 (en) Adjustable Dwell Shredder
CN110666099B (zh) 一种特种砂的分离装置
US20030190384A1 (en) Concrete rollerhead assembly
CN109366805B (zh) 一种多功能儿童塑料玩具破碎装置
CN213726851U (zh) 一种用于水泥球磨机的钢球更换装置
JP5000744B2 (ja) 鋳物砂再生装置
CN101412265A (zh) 用于陶瓷材料的间歇式粉碎机
CN205254027U (zh) 一种复合型旧砂再生机
CN102069444B (zh) 光饰加工中心
CN105363998A (zh) 一种复合型旧砂再生机
KR100305279B1 (ko) 회전마찰식폐주물사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