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923A - 음료 용기용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용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923A
KR20160131923A KR1020160055063A KR20160055063A KR20160131923A KR 20160131923 A KR20160131923 A KR 20160131923A KR 1020160055063 A KR1020160055063 A KR 1020160055063A KR 20160055063 A KR20160055063 A KR 20160055063A KR 20160131923 A KR20160131923 A KR 20160131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ructure
beverage container
heat
heat conduc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하네스 그라우
토마스 요한센
스벤 바츠케
Original Assignee
젠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젠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131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9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7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different elements of fixed ge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25B21/04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rever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5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20Energy converters
    • B60Y2400/208Peltier or Thomson elements for cool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3Mounting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용기들(12)을 위한 수납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수납 장치(10)는, 상향 개방형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음료 용기(12)를 수납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재료로 구성되는 지지 구조(14)를 포함한다. 추가로, 본원의 수납 장치는, 지지 구조(14)를 통해 수납된 음료 용기(12) 상으로 열 및/또는 냉기를 전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16)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수납 장치는 열 및/또는 냉기의 생성을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열전 공조 유닛(19)을 포함한다. 하나 또는 복수의 열전 공조 유닛(19)은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16)와 열전도 방식으로 접촉된다.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16)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재료에 비해 증가된 열전도도를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재료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음료 용기용 수납 장치{RECEIVING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S}
본 발명은 음료 용기들을 위한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 용기들 또는 적절한 온도로 유지할 또 다른 대상들을 의도하는 온도 조건에서 보관하기 위해, 많은 운송수단에는 음료 용기들을 위한 공기 조절 가능한 수납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수납 장치들은 음료 용기들을 가열하고, 그리고/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이미 음료 용기들을 위한 수납 장치들은 공지되었으며, 이런 수납 장치들의 경우 입열(heat input) 또는 열 제거(heat removal)는 수납 장치의 측면 또는 바닥 영역들에 배치될 수 있는 열전 공조 유닛들(thermoelectric air-conditioning unit)(TED 유닛들)을 통해 수행된다. 이를 위해, 수납 장치는, 완전하게,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 대개 고가인 재료, 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열전도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그 결과, 열 및/또는 냉기는 전도, 대류 또는 복사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음료 용기의 의도하는 공기 조절을 제공하기 위해, 균일하고 적절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수납 장치의 표면으로 수납 장치를 광범위하게 완전히 에워싸야 한다. 수납 장치는 자신의 공기 조절할 수 있는 표면 내에서 음료 안정화를 위해 파지 부재들(holding element)을 통해서만 단절된다. 그러나 이런 접근법의 경우, 큰 열 질량(thermal mass)이 가열되거나 냉각되어만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전체 시스템의 반응 시간을 연장시킨다. 추가로 각각의 음료 용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하기 위해 높은 에너지 비용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종래 기술을 기반으로, 각각의 음료 용기의 가열 또는 냉각 동안 상대적으로 더 낮은 관성을 갖는, 음료 용기들을 위한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과제는, 수납 장치에 의해 음료 용기들이 상대적으로 더 적은 에너지 비용으로 가열되거나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수납 장치를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과제들은 특허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수납 장치를 통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종속 청구항들을 통해 기재된다.
그러므로 언급한 과제의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라서, 상향 개방 방식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음료 용기를 수납할 수 있으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재료로 구성되는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들을 위한 수납 장치가 제안된다. 지지 구조는 자신의 윤곽 형성(contouring)의 관점에서, 각각의 음료 용기가 지지 구조를 통해 실질적으로 움직이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형태 결합을 통해, 그리고/또는 조임 고정(clamping)으로 파지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서 지지 구조는 플라스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지지 구조 내에 수납된 음료 용기 상으로 열 및/또는 냉기를 전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는 지지 구조 내에 수납된 음료 용기가 표면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지지 구조를 통해 형성되는 음료 용기용 수납 챔버 내에 포지셔닝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수납 챔버 안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추가로, 본원의 수납 장치는 열 및/또는 냉기의 생성을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열전 공조 유닛을 포함한다. 하나 또는 복수의 열전 공조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와 열전도 방식으로 접촉되며,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재료에 비해 증가된 열전도도를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재료로 형성된다. 예컨대 하나 또는 복수의 열전 공조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 상에 장착되는 점을 생각해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열전 공조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펠티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생각해볼 수 있는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 및 지지 구조는 플라스틱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2-성분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지지 구조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재료는, 하중 지지 능력이 있는 외부 구조를 제공하고 수납 장치에는 소정의 안전성을 부여하기 위해, 경제적인 안정화 플라스틱 재료일 수 있다. 그럼에도, 예컨대 금속, 특히 알루미늄과 같은 또 다른 재료들의 이용 역시도 가능하다.
음료 용기로 향해 있는 지지 구조의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를 형성하는 증가된 열전도도를 갖는 재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다. 이런 구성 방식은 가열할 열 질량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른 결과로서 공기 조절 과정의 단축된 반응 시간을 제공한다. 그 대안으로, 수납 장치가 선택된 영역들에서만 하나 또는 복수의 열전도 부재를 구비하는 점 역시도 생각해볼 수 있다. 수납 장치는, 음료 용기를 안정화하기 위해, 많은 경우에서 파지 부재들을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상기 영역들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를 통해 각각의 음료 용기로 직접적인 열 전달이 수행될 수 없다. 주요 열 전달(main heat transfer)은 접촉면들 상으로 경우에 따라 수행되기 때문에, 음료 용기가 수납 장치와 접촉되는 수납 장치의 표면들에서만 열전도성 재료를 부착하는 점을 생각해볼 수 있다. 그 결과, 가열할 열 질량은 재차 감소되고 공기 조절 과정의 반응 시간도 단축된다.
수납 장치의 대향하는 측면들(side) 상에 파지 부재들이 부착된다면, 경우에 따라서 수납 장치의 베이스면 상에만 열 전달을 위한 열 접촉면이 생성될 수 있다. 이상적인 방식으로, 상기 영역 내에 열전도 부재가 포지셔닝된다. 열 전달을 위한 접촉면들이 수납 장치의 바닥면 및 안쪽 측면 표면 상에 형성되도록 파지 부재들이 배치된다면, 바닥면의 영역에, 그리고 안쪽 측면 표면의 영역에 증가된 열전도도를 갖는 재료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런 접근법은 점 형태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입열을 실현하는데, 그 이유는 상대적으로 더 작은 표면에 걸쳐 상대적으로 더 높은 열 흐름이 전도되기 때문이다. 또한, 주변 공기를 통한 열 손실은 감소된다. 또한, 증가된 열전도도를 갖는 재료의 감소된 이용을 통해 제조 비용은 감소될 수 있다.
열 및/또는 냉기의 생성을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공조 유닛은 하나 또는 복수의 펠티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전 공조 유닛은 지지 구조의 하부에, 또는 지지 구조의 측면 벽부들 상에 국소화(localization)될 수 있다. 이 경우, 열전 공조 유닛은 외부로부터 열전도 부재 상에 장착되고, 경우에 따라 열전도 부재와 접착되고, 고정 장치에 의해 고정되고, 그리고/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열전 공조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와 열전도 방식으로 접촉된다.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의 특정 영역은 지지 구조의 벽부를 통과하여 외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런 영역에서 지지 구조는 관통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또한, 상기 특정 영역의 평면 횡단면은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의 추가 영역들에 비해 확대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열전 공조 유닛은 외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의 특정 영역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열전 공조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열 전달 장치에 의해 덮이고, 이 적어도 하나의 열 전달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고정 수단 및 특히 나사 연결부들을 통해 지지 구조 상에 체결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이 경우, 적합한 것으로 증명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나 또는 복수의 고정 수단은 오직 지지 구조 내에만 정착되고 열전도 부재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수납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를 지지 구조에 대해 절연하기 위해, 수납 장치의 구조는 제3 또는 추가 컴포넌트들을 통해 보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와 지지 구조 사이에는 절연 중간층이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 지지 구조 및 절연 중간층은 예컨대 3-성분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절연 중간층은 지지 구조로 향해 있는 열전도 부재의 면에서 열전도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완전하게 덮을 수 있다. 또한, 절연 중간층이 지지 구조를 통해 완전하게 수용되거나, 또는 지지 구조와 동일 평면에서 종결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추가로, 절연 중간층이, 결과적으로 열 절연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공(gas cavity)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와 지지 구조 사이에 삽입되는 점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런 접근법의 경우, 기공은, 지지 구조의 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와 지지 구조 사이의 절연 중간층이 형성되도록, 지지 구조의 재료층 내로 주입된다. 그 밖에도, 주변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를 열차폐하기 위해, 지지 구조의 재료의 절연 가능한 형성 역시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 구조의 재료의 구조는, 지지 구조의 절연 특징을 확보하기 위해, 가스 충전(gas filling)으로 부피 증가될 수 있다. 가스 충전은 예컨대 가스 또는 팽창제 주입일 수 있다.
형태 결합을 통한 향상된 열 및/또는 냉기 전달을 위해, 겔(gel) 또는 고무와 같은 증가된 열전도도를 갖는 탄성 가요성 재료들이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는 가역적 탄성 변형성을 보유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지지 구조를 통해 수납되는 음료 용기는 탄성 변형하에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를 통한 조임 고정 방식으로 파지될 수 있게 된다. 음료 용기는 탄성 가요성 재료 상에 밀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입열을 위한 접촉면은 확대될 수 있다. 이 경우, 음료 용기들의 안정화를 위해, 경우에 따라 파지 부재들은 배제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음료 용기가 탄성 가요성 재료에 의해 경우에 따라 제자리에 파지되기 때문이다.
증가된 열전도도를 갖는 재료를 목표한 바대로 국소적으로 포지셔닝하는 경우, 지지 구조 내에 상기 재료를 단단히 통합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지지 구조의 재료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를 삽입 성형(insert-molding)하는 것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파지 구조를 통해 삽입 성형된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는 지지 구조 내에서 정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가 완전히 삽입 성형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한다면, 열전도 부재는 지지 구조를 통해 단단히 파지되는 점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증가된 열전도도를 갖는 재료 또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와 함께 열전 공조 유닛을 삽입 성형할 수도 있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의 벽 두께의 국소적 감소를 실현하고 그 결과로 향상된 열 및/또는 냉기 전달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와 열전 공조 유닛이 상호 간에 적은 이격 간격으로 포지셔닝된다면, 안정화 재료 또는 지지 구조 내로 두 부재의 통합 역시도 생각해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는 여기서도 견부 또는 높여진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런 배치 방식은 열전 공조 유닛과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 간에 더 향상된 접촉 또는 열적 열 전달을 허용한다.
추가로, 수납 장치 또는 지지 구조는 각각 하나의 음료 용기의 수납을 위한 적어도 2개의 위치를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위치에는 중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 및/또는 지지 구조를 통해 형성되는 분리 벽부가 배치될 수 있다. 두 음료 용기의 공기 조절을 위해, 적어도 2개의 위치 각각에 자체의 열전 공조 부재 및/또는 자체의 열전도 부재가 할당될 수 있다. 그 결과, 경우에 따라 상이한 양의 열 및/또는 냉기가 적어도 2개의 위치의 음료 용기들로 전달될 수 있다. 분리 벽부에 의해, 제1 최대 횡단면 지름을 갖는 제1 음료 용기를 형태 결합 방식으로 수납하도록 형성되는 제1 위치와, 제2 최대 횡단면 지름을 갖는 제2 음료 용기를 형태 결합 방식으로 수납하도록 형성되는 제2 위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최대 횡단면 지름은 제1 최대 횡단면 지름에 비해 증가되거나 감소된다. 그에 따라, 수납 장치에 의해서는 상이한 기하구조들 또는 크기들을 갖는 복수의 음료 용기가 수납될 수 있다.
예컨대 운송수단의 중앙 콘솔에서 음료 홀더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지지 구조의 하면 상에 경우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고정 수단은 경우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나사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나사 연결부는 지지 구조 내로만 체결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와는 맞물리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수납 장치의 외부에서 의도하지 않은 열 브리지(heat bridge)의 형성은 방지된다. 열 공조 장치의 열적 및 기계적 보호부로서, 그리고/또는 상기 열 공조 장치의 고정을 위해, 이미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고정 수단들에 의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 전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 및/또는 지지 구조는 측면 표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다. 그 결과, 수납 장치의 시각적 인상은 기술적 수단들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그 장점들이 첨부한 도면들에 따라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들에서 개별 부재들 상호 간의 크기 비율은, 일부 형태가 간소화되고 다른 형태들은 더 나은 도해를 위해 다른 부재들에 비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으므로, 항상 실제 크기 비율에 상응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의 한 실시형태를 절단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의 추가 실시형태를 절단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의 추가 실시형태를 절단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의 추가 실시형태를 절단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형태에서의 절개 부분(D)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의 추가 실시형태를 절단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의 추가 실시형태를 절단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의 추가 실시형태를 절단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의 추가 실시형태를 절단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의 추가 실시형태를 절단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의 절개 부분(E)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위해 제공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열전 공조 유닛과 열전도 부재 간에 가능한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위해 제공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열전 공조 유닛과 열전도 부재 간에 가능한 추가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형성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열전도 부재 및 지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형성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열전도 부재 및 지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형성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열전도 부재 및 지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형성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열전도 부재 및 지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존재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하나의 열전도 부재 및 2개의 열전 공조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동일하거나 동일한 작용을 하는 부재들을 위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이용된다. 또한, 명확성을 위해, 개별 도면들에는, 각각의 도면의 기재를 위해 필요한 도면부호들만이 표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어떻게 형성될 수 있는지 그 방법에 대한 예시들만을 나타낼 뿐이며, 그에 따라 최종의 제한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도 1에는, 음료 용기(12)(도 6 비교)들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10)의 한 실시형태가 절단되어 개략적 단면도 또는 종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수납 장치(10)는 상향 개방형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음료 용기(12)를 수용할 수 있고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지지 구조(14)를 포함한다. 추가로, 도면에서는, 지지 구조(14)를 통해 수납된 음료 용기(12) 상으로 열 및/또는 냉기를 전달할 수 있는 열전도 부재(16)를 확인할 수 있다.
열 및/또는 냉기의 생성을 위해, 여기서는 펠티어 소자(20)로서 형성되는 열전 공조 유닛(19)이 제공된다. 펠티어 소자(20)는 음료 용기(12)를 가열할 뿐만 아니라 냉각하기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형태에서, 열전도 부재(16)는, 지지 구조(14)를 통해 형성되는 음료 용기(12)를 위한 수납 챔버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지지 구조(14)는, 바깥쪽에 위치하는 수납 장치(10)의 외부면을 형성한다. 도 1에 따른 단면도에서는, 지지 구조(14)가 바닥면에 열전도 부재(16)가 그 내로 끼워지는 관통구를 형성하고 있음을 잘 알 수 있다. 열전도 부재(16)의 횡단면 면적은 관통구의 영역에서 추가 영역들에 비해 확대되어 형성되며, 그로 인해 열전 공조 유닛(19)을 통해 생성되는 입열 또는 유입 냉기는 효과적으로 음료 용기(12)의 방향으로 전해질 수 있다.
열전 공조 유닛(19) 또는 펠티어 소자(20)는 열전도 부재(16)와 열전도 방식으로 접촉되며, 따라서 펠티어 소자(20)로부터, 또는 열전 공조 유닛(19)으로부터 열 또는 냉기는 열전도 부재(16) 상으로 전달된다. 또한, 열전도 부재(16)는 지지 구조(14)의 재료에 비해 증가된 열전도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 구조(14)를 통해 수납된 음료 용기(12)를 조임 고정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파지 부재(18)가 제공된다. 음료 용기(12)가 수납 장치(10) 내로, 또는 지지 구조(14)를 통해 형성된 수납 챔버 내로 삽입되면, 파지 부재(18)들은 후퇴되고, 그럼으로써 음료 용기(12)는 측면 외부면 표면을 통해 열전도 부재(16)와 접촉하게 되어 적절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추가 실시형태의 경우, 파지 부재(18)들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강성으로 형성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음료 용기(12)는 자신의 몸통 영역 또는 자신의 바닥면을 통해 열전도 부재(16) 상에 세워지며, 그럼으로써 열전도 부재(16)로부터 직접 열 또는 냉기가 음료 용기(12)의 바닥 영역 상으로 전달된다.
펠티어 소자(20)와 이 펠티어 소자의 주변 간의 열 교환을 증가시키기 위해 열 전달 장치(22)가 제공된다. 열 전달 장치(22)는 예컨대 나사 연결부들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고정 수단(24)들을 통해 지지 구조(14) 내에 정착된다. 또한, 수납 장치(1)는 고정 수단(24)들을 통해, 자동차의 실내에 위치하는 컴포넌트 상에, 바람직하게는 중앙 콘솔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열 전달 장치(22)는, 예컨대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리브 구조(rib structure)를 통해, 열을 교환할 수 있는 표면을 확대시킨다. 열 전달 장치(22)는 바람직하게는 파상부(corrugation) 및/또는 열 전달 리브들을 포함한 열전도판이다. 이는 냉각 모드에서의 폐열 제거 및 가열 모드에서의 열 공급을 수월하게 한다.
이 경우, 도 1에서, 고정 수단(24)들 또는 나사 연결부들이 각각 열전도 부재(16) 안쪽으로 이어지지 않고 그에 따라 지지 구조(14) 내에서만 정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열전도 부재(16)로부터 고정 수단(24)들로 의도하지 않은 직접적인 열 전달은 저지되며, 이로 인해 각각의 음료 용기(12)의 적절한 온도 유지 동안 수납 장치(10)의 효율은 증가될 수 있다.
열전도 부재(16)는 지지 구조(14)와 동일한 방식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지만, 그러나 이 플라스틱 재료는 앞에서 이미 언급한 것처럼 지지 구조(14)의 플라스틱 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열전도도를 보유한다. 지지 구조(14) 및 열전도 부재(16)는 함께 다성분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다성분 사출 성형 방법은 2개, 3개 또는 훨씬 더 많은 성분을 이용한 방법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10)의 추가 실시형태의 개략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수납 장치(10)의 실시형태 역시도 지지 구조(14)와, 열전도 부재(16)와, 열전 공조 유닛(19) 또는 펠티어 소자(20)를 포함한다. 열전도 부재(16)를 형성하는 재료는 지지 구조(14)를 형성하는 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열전도도를 보유한다.
도 1의 수납 장치(10)에 추가로, 도 2의 실시형태에 따른 수납 장치(10)는 열전도 부재(16)를 덮는 층 표면(26)을 포함한다. 추가로, 층 표면(26)은 열전도 부재(16) 및 지지 구조(14)의 각각의 자유 단부 영역들도 덮는다. 열전도 부재(16) 및 지지 구조(14)는 서로 상이한 재료로 구성되고 여기서는 서로 상이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는 열전도 부재(16) 및 지지 구조(14)의 불균일한 시각적 인상을 수반한다. 그에 따라, 층 표면(26)을 통해, 기술적 수단들에 의해 수납 장치(10)의 최적화된 시각적 인상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층 표면(2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완전하게, 지지 구조(14)를 통해 형성되는 각각의 음료 용기(12)를 위한 수납 챔버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10)의 추가 실시예가 절단되어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수납 장치(10)의 실시예 역시도 지지 구조(14)와, 열전도 부재(16)와, 열전 공조 유닛(19) 또는 펠티어 소자(20)를 포함한다. 열전도 부재(16)를 형성하는 재료는 지지 구조(14)를 형성하는 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열전도도를 보유한다.
도 3의 실시예의 경우, 열전도 부재(16)와 지지 구조(14) 사이에는 절연 중간층(28)이 위치된다. 절연 중간층(28)은 예컨대 발포성 재료로서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절연 중간층(28) 및 지지 구조(14)는, 도 3에서도 도시된 것처럼, 상호 간에 동일 평면으로 배향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열전도 부재(16)는 경우에 따라 평면으로 절연 중간층(28) 및 지지 구조(14)와 접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10)의 추가 실시형태가 절단되어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수납 장치(10)의 실시예 역시도 지지 구조(14)와, 열전도 부재(16)와, 열전 공조 유닛(19) 또는 펠티어 소자(20)를 포함한다. 열전도 부재(16)를 형성하는 재료는 지지 구조(14)를 형성하는 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열전도도를 보유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절연 중간층(28)이 제공된다. 도 5에는, 도 4의 실시형태에서의 절개 부분(D)이 상세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의 개요도는 절연 중간층(28)의 배치 및 기능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렇게, 절연 중간층(28)은 지지 구조(14) 내로 매립되거나, 또는 지지 구조(14)를 통해 완전하게 수용된다. 추가로, 절연 중간층(28)은 지지 구조(14)를 내부 영역(38)과 외부 영역(39)으로 분할한다. 내부 영역(38)은 지지 구조(14)를 통해 경우에 따라 수납된 음료 용기(12)에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위치된다. 외부 영역(39)에 비해, 내부 영역(38)은 상대적으로 더 작은 횡단면 면적을 보유한다. 중간층(28)은 가스로 충전된 중공(hollow)을 통해 또는 진공(vacuum)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절연 목적을 위해, 지지 구조(14)는, 결과적으로 절연 작용을 하도록 하기 위해, 가스 충전을 통해서도 부피 증가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절연 중간층(28)의 통합은 더 이상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지만, 그러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그럼에도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10)의 추가 실시형태가 절단되어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수납 장치(10)의 실시예 역시도 지지 구조(14)와, 열전도 부재(16)와, 열전 공조 유닛(19) 또는 펠티어 소자(20)를 포함한다. 열전도 부재(16)를 형성하는 재료는 지지 구조(14)를 형성하는 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열전도도를 보유한다.
열전도 부재(16)는 상면 상에, 또는 음료 용기(12)의 방향으로 향해 있는 자신의 면 상에 접촉면(30)을 형성하며, 이 접촉면 상에 음료 용기(12)가 세워진다. 접촉면(30)의 평면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음료 용기(12)의 바닥 측 접촉면에 상응한다. 그에 따라, 음료 용기(12)는 바람직하게는 측면에서 접촉면(30)보다 더 돌출되지 않는다. 추가로, 접촉면(30)은 측면에서 음료 용기(12) 너머로 연장되지도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용기(12)가 지지 구조(14)와 기계적 또는 열적으로 전혀 접촉하지 않거나, 또는 약간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열전도 부재(16)는 적어도 음료 용기(12)의 바닥과 동일한 크기이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수납 장치(10)의 전체 바닥과 동일한 크기이다. 그 결과, 열 손실은 감소된다.
파지 부재(18)들은, 도 6의 실시예에서, 음료 용기(12)의 정렬을 위해 이용된다. 이렇게, 파지 부재(18)들을 통해, 음료 용기(12)가 바닥면으로 정확하게 접촉면(30) 상에 세워지는 방식으로, 음료 용기(12)를 위한 위치가 사전 설정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10)의 추가 실시형태가 절단되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열전도 부재(16)는 음료 용기(12)를 위한 수평으로 배향되는 접촉면(30) 및 음료 용기(12)를 위한 수직으로 배향된 접촉면(30)을 형성한다. 열전도 부재(16)의 접촉면(30)들은, 음료 용기(12)의 바닥면 상에 뿐만 아니라 음료 용기(12)의 측면 외부면 상에도 접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또한, 열 또는 냉기의 생성은, 열전도 부재(16) 상에 장착되는 열전 공조 유닛(19) 또는 펠티어 소자(20)를 통해 수행된다. 도 7에 따르는 실시형태의 경우, 열전 공조 유닛(19) 또는 펠티어 소자(20)는 측면에서 수납 장치(10) 상에, 또는 열전도 부재(16) 상에 배치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10)의 추가 실시형태가 절단되어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수납 장치(10)의 실시예 역시도 지지 구조(14)와, 열전도 부재(16)와, 열전 공조 유닛(19) 또는 펠티어 소자(20)를 포함한다. 열전도 부재(16)를 형성하는 재료는 지지 구조(14)를 형성하는 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열전도도를 보유한다. 추가로, 열전도 부재(16)는 접촉면(30)을 통해 음료 용기(12)의 외부면에 접한다.
도 8의 실시예의 경우, 열전도 부재(16)는 가역적 탄성 변형으로 변형될 수 있거나, 또는 지지 구조(14)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탄성 가요성을 보유한다. 지지 구조(14)에 의한 음료 용기(12)의 수납 동안, 음료 용기(12)는 열전도 부재(16)의 접촉면(30)과 접하며, 이 경우 열전도 부재(16)는 탄성 변형된다. 이 경우, 파지 부재(18)들은 열전도 부재(16) 상에 음료 용기(12)를 힘을 가하면서 고정하며, 그럼으로써 음료 용기(12)는 수납 장치(10) 내에서 파지된다. 열전도 부재(16)의 탄성 변형성은 열전도 부재(16)와 음료 용기(12) 사이의 접촉면을 확대시킨다. 이는, 열을 교환할 수 있는 표면을 확대시키고 그에 따라 적절한 온도 유닛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10)의 추가 실시형태가 절단되어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실시예의 열전도 부재(16) 역시도, 음료 용기(12)의 수납 동안, 가역적 탄성 변형으로 변형되며, 그럼으로써 각각의 음료 용기(12)는 열전도 부재(16)를 통해 수납 장치(10) 상에서 조임 고정 방식으로 파지된다. 이전 실시형태들에 따르는 파지 부재(18)들은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제공되지 않는다. 상이한 유형의 음료 용기(12)들에 최적으로 매칭시키기 위해, 적합하게는, 수납 장치(10)의 수납 개구부 및/또는 열전도 부재(16)는 타원 개구 형태를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수납 개구부는 원형이고 열전도 부재(16)의 개구부는 타원형일 수 있거나, 또는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이는 원형이 아닌 음료 용기(12)에 대해서도 최대한 큰 접촉면들 및 충분한 기계적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그 이유는, 열전도 부재(16)의 탄성 변형을 통해 열전도 부재(16)와 음료 용기(12) 사이에 큰 접촉면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바람직하게 음료 용기(12)는 동시에 형태 결합 및 강제 끼워 맞춤 방식으로 조임 고정되며, 그럼으로써 음료 용기는, 운송수단 이동으로 인해 의도하지 않게 변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수납 장치(10)의 추가 실시형태가 절단되어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여기서 알루미늄을 통해 형성되는 열전도 부재(16)가 확인된다. 알루미늄을 통해 형성된 열전도 부재(16)는 플라스틱을 통해 형성된 지지 구조(14)를 통해 삽입 성형되며, 그럼으로써 열전도 부재(16)는 지지 구조(14)를 통해 형태 결합 방식으로 수용된다. 또한, 음료 용기(12)는 열전도 부재(16)와 접하고, 이렇게 접한 상태에서 파지 부재(18)들을 통해 조임 고정 방식으로 고정된다. 열 또는 냉기는 열전 공조 유닛(19) 또는 펠티어 소자(20)를 통해 열전도 부재(16) 상으로 전달된다.
도 11에는, 도 10에서의 절개 부분(E)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열전도 부재(16)는 파지 구조(32)를 포함하거나, 또는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 형성되는 2개의 파지 돌기(retaining lug)를 포함하며, 이 파지 구조 또는 파지 돌기들을 통해서는 열전도 부재(16)가 지지 구조(14)를 통해 형태 결합 방식으로 고정된다.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위해 제공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열전 공조 유닛(19)과 열전도 부재(16) 간에 가능한 연결부를 설명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열전도 부재(16)는 여기서 플라스틱으로서 형성되고, 열전 공조 유닛(19)은 열전도 부재(16)에 의해 삽입 성형된다. 그 결과, 매우 간단한 유형 및 방식으로, 열전도 부재(16)와 열전 공조 유닛(19) 또는 펠티어 소자(20) 사이에 열전도성 연결부가 제공되며, 이 연결부의 경우 열전 공조 유닛(19) 또는 펠티어 소자(20)는 열전도 부재(16)와 기계적으로 단단히 연결된다.
도 1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10)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위해 제공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열전 공조 유닛(19)과 열전도 부재(16) 간에 가능한 추가 연결부를 설명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열전도 부재(16)는 알루미늄을 통해 형성된다.
열전 공조 유닛(19)뿐만 아니라 열전도 부재(16)도, 플라스틱을 통해 형성된 지지 구조(14)에 의해 삽입 성형되고, 그에 따라 지지 구조(14)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실무에서 확인되는 점에 따르면, 상기 유형의 실시형태들의 경우 열은 열전 공조 유닛(19)으로부터, 또는 펠티어 소자(20)로부터 열전도 부재(16) 상으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10)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형성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열전도 부재(16) 및 지지 구조(14)가 도시되어 있다. 지지 구조(14)는 각각 하나의 음료 용기(12)를 위한 2개의 수납 위치(P1 및 P2)를 형성한다. 제1 수납 위치(P1)는 제1 최대 횡단면 지름을 갖는 음료 용기(12)들의 수납을 위해 제공되고, 제2 수납 위치(P2)는 제2 최대 횡단면 지름을 갖는 음료 용기(12)들의 수납을 위해 제공된다. 상기 제2 최대 횡단면 지름은 바람직하게는 제1 최대 횡단면 지름에 비해 확대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제2 최대 횡단면 지름은 동일한 크기 또는 더 작은 크기를 보유할 수도 있다.
또한, 열전도 부재(16)를 통해서는 열 또는 냉기가 수납 위치(P1 또는 P2)들 내에 삽입된 음료 용기(12)들 상으로 복사된다. 두 수납 위치(P1 및 P2) 간에 열 에너지의 교환을 감소시키기 위해, 여기서는 열 브레이크(34)가 제공된다. 열 브레이크(34)는 지지 구조(14)를 통해 형성되고, 지지 구조(14)는 열 브레이크(34)를 형성하기 위해 소정의 크기에 걸쳐서 열전도 부재(16) 안쪽으로 연장된다.
도 1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10)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형성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열전도 부재(16) 및 지지 구조(14)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 따르는 실시형태는 분리 벽부(36)를 포함하고, 이 분리 벽부는, 도 14의 실시예에 따라서 각각 하나의 음료 용기(12)를 각각 수납하도록 형성되는 제1 수납 위치(P1) 및 제2 위치(P2)를 기계적으로 서로 분리한다. 추가로, 분리 벽부(36)는 두 수납 위치(P1 및 P2) 간에 열 에너지의 교체 또는 교환을 감소시키기 위해, 열 브레이크(34)로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지지 구조(14)는 정의된 크기만큼 수직 방향으로 상향으로, 그리고 두 수납 위치(P1 및 P2)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15에서는, 추가로, 열 또는 온기를 각각의 음료 용기(12)로 전달하는 열전도 부재(16)의 횡단면 면적이 분리 벽부(36)의 영역에서 평평하게 감소되는 점도 확인된다.
도 1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10)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형성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열전도 부재(16) 및 지지 구조(14)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4 및 도 16의 개요도에는, 지지 구조(14)가 도 14에서 소정의 크기만큼만 열전도 부재(16) 안쪽으로 연장되고, 도 16의 실시예에서는 지지 구조(14)가 열전도 부재(16)의 연장부를 완전하게 단절하는 점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그에 따라, 도 16의 실시예에서도 지지 구조(14)를 통해 형성되는 열 브레이크(34)는, 두 수납 위치(P1 및 P2) 사이에서 열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도 1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10)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형성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열전도 부재(16) 및 지지 구조(14)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수납 위치(P2)에 대해 수납 위치(P1)를 기계적으로 범위 한정하는 분리 벽부(36)가 제공된다.
지지 구조(14) 또는 이 지지 구조(14)를 통해 형성되는 열 브레이크(34)는 열전도 부재(16)의 연장부를 단절한다. 도 15의 실시예에 비해서, 도 17의 실시예의 경우 두 수납 위치(P1 및 P2) 간의 열 전달은 추가로 감소된다.
도 1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장치(10)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존재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하나의 열전도 부재(16) 및 2개의 열전 공조 유닛(19)이 도시되어 있다. 2개의 열전 공조 유닛(19)은 펠티어 소자(20)로서 형성된다. 각각의 수납 위치(P1 및 P2)에는 하나의 자체 열전 공조 유닛(19) 또는 하나의 자체 펠티어 소자(20)가 할당되며, 그럼으로써 수납 위치(P1 및 P2)들에는 각각 분리되어 열 또는 냉기가 자체의 각각의 공조 유닛(19) 또는 자체의 각각의 펠티어 소자(20)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열전 공조 유닛(19)들은 두 수납 위치(P1 및 P2)를 분리하여 적절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본 특허 출원의 도면들에 함께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제어 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기재되었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10: 수납 장치
12: 음료 용기
14: 지지 구조
16: 열전도 부재
18: 파지 부재
19: 열전 공조 유닛
20: 펠티어 소자
22: 열 전달 장치
24: 고정 수단
26: 층 표면
28: 절연 중간층
30: 접촉면
32: 파지 구조
34: 열 브레이크
36: 분리 벽부
38: 내부 영역
39: 외부 영역
P1: 수납 위치
P2: 수납 위치

Claims (15)

  1. 음료 용기들(12)을 위한 수납 장치(10)로서,
    - 상향 개방형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음료 용기(12)를 수납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재료로 구성되는 지지 구조(14)와,
    - 지지 구조(14)를 통해 수납된 음료 용기(12) 상으로 열 및/또는 냉기를 전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16)와,
    - 열 및/또는 냉기의 생성을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열전 공조 유닛(19)을 포함하는 상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열전 공조 유닛(19)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16)와 열전도 방식으로 접촉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16)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재료에 비해 증가된 열전도도를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12)용 수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16)의 특정 영역은 상기 지지 구조(14)의 벽부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12)용 수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의 평면 횡단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16)의 추가 영역들에 비해 확대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12)용 수납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열전 공조 유닛(19)은 적어도 하나의 열 전달 장치(22)에 의해 덮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전달 장치(22)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고정 수단(24) 및 특히 나사 연결부들을 통해 상기 지지 구조(14) 상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용 수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고정 수단(24)은 오직 상기 지지 구조(14) 내에만 정착되고 상기 열전도 부재(16)에는 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용 수납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열전 공조 유닛(19)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16)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12)용 수납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16)와 상기 지지 구조(14) 사이에 절연 중간층(18)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12)용 수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중간층(28)은 상기 지지 구조(14)를 통해 완전하게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지지 구조(14)와 동일 평면에서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용 수납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14)는 각각 하나의 음료 용기(12)의 수용을 위한 적어도 2개의 위치(P1, P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12)용 수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위치(P1, P2)에는, 중간에 분리 벽부(36)가 배치되며, 상기 분리 벽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16) 및/또는 상기 지지 구조(14)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12)용 수납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위치(P1, P2) 각각에 하나의 자체 열전 공조 유닛(19)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용 수납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16) 및/또는 상기 지지 구조(14)는 층 표면(26)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12)용 수납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16) 및/또는 상기 지지 구조(14)는 알루미늄 및/또는 플라스틱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12)용 수납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16)는 가역적 탄성 변형성을 보유하며, 그럼으로써 상기 지지 구조(14)를 통해 수납된 음료 용기(1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16)의 탄성 변형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16)를 통해 조임 고정 방식으로 파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12)용 수납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14)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부재(16)는 2-성분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12)용 수납 장치.
KR1020160055063A 2015-05-06 2016-05-04 음료 용기용 수납 장치 KR201601319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005681.6A DE102015005681A1 (de) 2015-05-06 2015-05-06 Aufnahmevorrichtung für Getränkebehältnisse
DE102015005681.6 2015-05-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032A Division KR20180064363A (ko) 2015-05-06 2018-06-04 음료 용기용 수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923A true KR20160131923A (ko) 2016-11-16

Family

ID=571790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063A KR20160131923A (ko) 2015-05-06 2016-05-04 음료 용기용 수납 장치
KR1020180064032A KR20180064363A (ko) 2015-05-06 2018-06-04 음료 용기용 수납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032A KR20180064363A (ko) 2015-05-06 2018-06-04 음료 용기용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43770B2 (ko)
JP (1) JP6223501B2 (ko)
KR (2) KR20160131923A (ko)
CN (1) CN106315028A (ko)
DE (1) DE102015005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2036B2 (en) 2015-02-24 2017-10-10 Ember Technologies, Inc. Heated or cooled portable drinkware
WO2018152288A1 (en) * 2017-02-15 2018-08-23 Gentherm Incorporated Improved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thermally conditioned receptacles
US20180251058A1 (en) * 2017-03-03 2018-09-06 Legacy US, LLC Modularized beverage holder for actively cooling beverages and method for performing the same
EP3745930B1 (en) 2018-01-31 2021-12-29 Ember Technologies, Inc. Actively heated or cooled infant bottle system
DE102018001809A1 (de) * 2018-03-07 2019-09-12 Gentherm Gmbh Getränkehalter
CN110895088A (zh) * 2018-09-12 2020-03-20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冷热一体装置
CN110895090A (zh) * 2018-09-12 2020-03-20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小家电制冷装置和冷热一体装置
CN110895086B (zh) * 2018-09-12 2022-10-04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冷热一体装置
CN110893069B (zh) * 2018-09-12 2021-08-10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冷热一体装置
CN110895087B (zh) * 2018-09-12 2022-06-07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冷热一体装置
CN110895085A (zh) * 2018-09-12 2020-03-20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冷热一体装置
FR3104503B1 (fr) * 2019-12-11 2022-06-24 Renault Sas Dispositif porte-gobelet réfrigérant et véhicule automobile le comprenant

Family Cites Families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6125A (en) 1935-07-22 1936-06-30 Herman E Lacy Electrically heated cup
US3432641A (en) 1966-03-10 1969-03-11 Robert J Welke Portable heating device
US4095090A (en) 1976-12-27 1978-06-13 Anthony Pianezza Electrically-heated container
US4463664A (en) 1980-03-20 1984-08-07 Peace Paul W Beverage warming apparatus
FR2572200B1 (fr) 1984-10-19 1987-02-20 Instruments Sa Appareil de diffraction utilisant deux miroirs concaves et un reseau plan holographique corrige, et procede d'enregistrement du reseau
CA1272502A (en) 1986-07-07 1990-08-07 Leonard Ineson Heated cup
JPH01139011A (ja) 1987-11-26 1989-05-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水筒
JPH02193619A (ja) 1989-01-24 1990-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保温器
US5283420A (en) 1991-05-06 1994-02-01 Montalto Bartolino P Electrically heated beverage container
US5243684A (en) 1991-09-19 1993-09-07 Edwards F Dwayne Portable electrically heated container for liquids
JPH05220784A (ja) 1992-02-10 1993-08-31 Tokan Kogyo Co Ltd 合成樹脂製容器
US5279489A (en) * 1992-09-24 1994-01-18 Paccar Inc. Floor mounted container holder assembly for a vehicle
US5508494A (en) 1994-11-15 1996-04-16 Sarris; Louis L. Portable cup for warming beverages
US5720171A (en) * 1996-06-11 1998-02-24 Atoma International, Inc. Device for heating and cooling a beverage
US5842353A (en) 1996-12-13 1998-12-01 Kuo-Liang; Lin Apparatus for heating or cooling drinks
US6013901A (en) 1997-09-18 2000-01-11 Lavoie; Manon Portable heated cup with motion sensor and timer
US6119461A (en) 1998-01-05 2000-09-19 Stevick; Glen Thermal-electric container
US6075229A (en) 1998-01-29 2000-06-13 Vanselow; Terry Cup warmer holder
GB9804896D0 (en) 1998-03-10 1998-04-29 Rover Group A beverage vessel holder
US6082114A (en) 1998-04-09 2000-07-04 Leonoff; Christopher A. Device for heating and cooling a beverage
US5990456A (en) 1999-02-17 1999-11-23 Kilbride; Herbert F. Syrup warming system
US6121585A (en) 1999-03-30 2000-09-19 Robert Dam Electrically heated beverage cup and cupholder system
US6140614A (en) 1999-10-25 2000-10-31 Global Sales, Inc. Electric drinking cup for vehicles
JP2001130646A (ja) 1999-11-05 2001-05-15 Fujitsu General Ltd 保温・保冷器
JP3781598B2 (ja) 1999-12-28 2006-05-31 日清紡績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の変形方法、真空断熱材の固定方法、冷凍・冷蔵容器及び断熱箱体
JP2001201233A (ja) 2000-01-20 2001-07-27 Fujitsu General Ltd 保温・保冷装置
JP2001221550A (ja) 2000-02-04 2001-08-17 Fujitsu General Ltd 飲料保温保冷装置
CA2305647C (en) * 2000-04-20 2006-07-11 Jacques Laliberte Modular thermoelectric unit and cooling system using same
US20020023912A1 (en) 2000-08-22 2002-02-28 Mcgee Roy 12-volt heated coffee mug
KR20020019787A (ko) 2000-09-07 2002-03-13 박호군 효율이 뛰어난 차량용 열전 냉·온장고
US6864462B2 (en) 2001-05-25 2005-03-08 Solar Wide Industrial, Ltd. Electronic drinking mug
JP3088417U (ja) 2002-01-16 2002-09-13 省二 小松 ツーウェイコースター
WO2003062720A2 (en) 2002-01-17 2003-07-31 Jung Quy Doe Apparatus for varying the temperature of a container for food or drinks
JP2003304977A (ja) 2002-02-15 2003-10-28 Pfu Ltd 液体収容容器保温装置
EP1338230B1 (de) 2002-02-21 2006-05-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eheizbares Bechersystem
US20040045973A1 (en) 2002-09-09 2004-03-11 Patrick Stokes Portable beverage container
TW580892U (en) * 2002-11-25 2004-03-21 Jiun-Guang Luo Thermos cup
JP2004195054A (ja) 2002-12-20 2004-07-15 Aprica Kassai Inc 保温器
DE10261366A1 (de) 2002-12-30 2004-07-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ilfskühlvorrichtung
US6870135B2 (en) 2003-01-14 2005-03-22 Hlc Efficiency Products Llc Beverage container warmer
CN1552609A (zh) 2003-05-26 2004-12-08 合基实业有限公司 食物盒
KR100519995B1 (ko) 2003-06-27 2005-10-11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동차용 냉/온장고
JP2005058363A (ja) 2003-08-08 2005-03-10 Sanden Corp 食品加熱装置
US20050274121A1 (en) * 2004-04-30 2005-12-15 Adventus Consumer Products, Llc Thermoelectric food product dispenser
JP4630610B2 (ja) 2004-08-31 2011-02-09 株式会社セブン・セブン 保冷温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60186297A1 (en) 2005-01-10 2006-08-24 Lore William J Sr Cup and warming cup holder for a vehicle
EP1851490A2 (en) * 2005-02-22 2007-11-07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Storage container using a thermoelement
US7861993B2 (en) 2005-10-11 2011-01-04 Chrysler Group Llc Heated/cooled cup holder and sealing unit
KR101319434B1 (ko) * 2005-12-27 2013-10-1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자동차 후석측 냉온장장치
US8104295B2 (en) 2006-01-30 2012-01-31 Amerigon Incorporated Cooling system for container in a vehicle
DE202006009975U1 (de) * 2006-06-23 2007-10-25 Waeco International Gmbh Trinkgefäßhalter für Fahrzeuge
US7804045B2 (en) 2006-08-28 2010-09-28 Ameritherm, Inc. Portable food heater
US20090038317A1 (en) * 2007-08-06 2009-02-12 Ferrotec (Usa) Corporation Thermoelectric temperature-controlled container holder and method
US8274016B2 (en) 2008-10-10 2012-09-25 Mark Montana Cup warmer
CA2682442C (en) * 2009-10-14 2017-09-12 Claude Pinet High efficiency thermoelectric cool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CN102320424A (zh) * 2011-06-14 2012-01-18 胡海明 半导体调温生啤保鲜容器
KR101897299B1 (ko) * 2012-11-12 2018-09-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온장 컵홀더
KR101950751B1 (ko) 2013-02-06 2019-02-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KR101449293B1 (ko) 2013-06-03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온장 컵홀더
KR102131886B1 (ko) 2013-07-19 2020-07-08 주식회사 대창 저장 용기
WO2015026009A1 (ko) * 2013-08-22 2015-02-26 주식회사 대창 저장 용기
JP6068306B2 (ja) 2013-09-19 2017-01-25 株式会社ニフコ カップホルダ
KR101592708B1 (ko) * 2014-06-13 2016-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온장 컵홀더
US10093250B2 (en) 2014-10-16 2018-10-09 The Boeing Company Aircraft supplemental electrical power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43770B2 (en) 2020-01-28
JP6223501B2 (ja) 2017-11-01
US20160325665A1 (en) 2016-11-10
KR20180064363A (ko) 2018-06-14
DE102015005681A1 (de) 2016-11-10
JP2016209586A (ja) 2016-12-15
CN106315028A (zh)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4363A (ko) 음료 용기용 수납 장치
CN109838956B (zh) 温度调节容器
KR101985569B1 (ko) 미용 기구
US20090038317A1 (en) Thermoelectric temperature-controlled container holder and method
KR101393823B1 (ko) 냉온장 컵홀더
KR101873857B1 (ko) 냉온 분리를 이용한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US20130264328A1 (en) Thermal beverage container holder
US20170282773A1 (en) Cup holder for vehicl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KR101756376B1 (ko)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
US20180166621A1 (en) Vehicle battery thermoelectric device with integrated cold plate assembly
KR200465031Y1 (ko) 포장용 보온박스의 냉장 키트
KR101950751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KR101895052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컵홀더 장치
JP2002147918A (ja) 温冷蔵用ドリンクホルダー
US10443908B2 (en) Beverage cooler or warming apparatus
KR101349723B1 (ko)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KR101597947B1 (ko)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
KR101980266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KR101980268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WO2018078796A1 (ja) 冷却装置
KR101335494B1 (ko)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장고 장치
KR20090035291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겸용 물병
KR100657681B1 (ko) 저장고의 열전소자 조립구조
KR102131886B1 (ko) 저장 용기
KR20190036884A (ko) 컵 가열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