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268B1 -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 Google Patents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268B1
KR101980268B1 KR1020170144814A KR20170144814A KR101980268B1 KR 101980268 B1 KR101980268 B1 KR 101980268B1 KR 1020170144814 A KR1020170144814 A KR 1020170144814A KR 20170144814 A KR20170144814 A KR 20170144814A KR 101980268 B1 KR101980268 B1 KR 101980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holder
heat
exchange module
thermoelectr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9994A (ko
Inventor
박상훈
성윤경
한일택
신규진
Original Assignee
(주)광진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진윈텍 filed Critical (주)광진윈텍
Priority to KR1020170144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268B1/ko
Publication of KR20190049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75Arrangements for coupling heat-pipes together or with other structures, e.g. with base blocks; Heat pipe cores

Abstract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이고, 개방된 상면을 통해 내부에 컵이 수납 가능하며,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홀더바디; 복수의 홀더바디 하방에 배치되며, 공조면과 열교환면으로 구성되고, 공조면이 홀더바디와 열적으로 연결되어 홀더바디를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열전소자; 복수의 홀더바디와 함께 일렬로 배치되며, 열전소자의 열교환면과 열적으로 연결되어 열교환하는 열교환모듈; 및 일단부가 열전소자의 열교환면에 연결되고, 복수의 홀더바디의 하방에서 복수의 홀더바디의 배치방향을 따라 열교환모듈 측으로 연장되며, 타단부가 열교환모듈에 연결된 히트파이프;를 포함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에서 음료를 이용할 때 차가운 또는 따뜻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성능이 향상된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량 개발에 있어 주행성능의 향상에 초점을 맞췄다면, 근래의 자동차는 단순 운송수단으로서의 의미를 넘어 탑승자의 안전성, 안락함, 편의성 등을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차량에 마련된 컵홀더이다.
종래에는 차량에 구비되는 컵홀더는 음료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 목적으로서, 단순히 파지 기능만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일부 차종에 따라서는 내장 혹은 온장 기능을 겸비한 컵홀더가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컵홀더는 차량의 암레스트 상에 장착되지만, 복잡한 구성과 레이아웃의 한계 때문에 원하는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를 제공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20-0476864 (Y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열효율이 향상되고, 콤팩트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효과적인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이고, 개방된 상면을 통해 내부에 컵이 수납 가능하며,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홀더바디; 복수의 홀더바디 하방에 배치되며, 공조면과 열교환면으로 구성되고, 공조면이 홀더바디와 열적으로 연결되어 홀더바디를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열전소자; 복수의 홀더바디와 함께 일렬로 배치되며, 열전소자의 열교환면과 열적으로 연결되어 열교환하는 열교환모듈; 및 일단부가 열전소자의 열교환면에 연결되고, 복수의 홀더바디의 하방에서 복수의 홀더바디의 배치방향을 따라 열교환모듈 측으로 연장되며, 타단부가 열교환모듈에 연결된 히트파이프;를 포함한다.
열전소자는 각각의 홀더바디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마련되며, 히트파이프는 복수의 열전소자 및 열교환모듈을 순차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홀더바디는 측방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열교환모듈은 마지막 홀더바디의 측방에 배치되며, 히트파이프는 복수의 열전소자를 열적으로 연결한 후 연장되어 열교환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히트파이프의 타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된 후 연장되어 열교환모듈과 결합될 수 있다.
히트파이프의 타단부의 연장부는 열교환모듈에 상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열전소자는 각각의 열전소자의 공조면은 각각의 홀더바디 하면에 면착되고, 각각의 열전소자 열교환면에는 열교환을 위한 매스를 갖는 열전도성 재질의 고정블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트파이프는 각각의 고정블록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열교환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홀더바디는 측방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열교환모듈은 마지막 홀더바디의 측방에 배치되며, 히트파이프는 각각의 고정블록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연장되어 열교환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히트파이프는 각각의 고정블록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후 열교환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홀더바디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하면에는 개방홀이 형성되며, 개방홀에 의해 홀더바디와 열전소자가 열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홀더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전소자는 홀더바디 또는 고정블록의 중심측에 위치되어 열전소자에 의해 홀더바디의 냉각 또는 가열 시, 홀더바디 또는 고정블록에 균일하게 열이 전달되도록할 수 있다.
열전소자는 공조면과 열교환면이 각각 홀더바디와 고정블록에 면착되고 측면부가 차단부재에 의해 둘러짐으로써, 전체면이 외부의 공기와 직접 접촉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차단부재의 최외곽 테두리는 고정블록의 최외곽 테두리를 포함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고정블록의 상면이 홀더바디의 하면을 직접 마주하지 않을 수 있다.
차단부재는 탄성을 구비한 다공성 발포성형체일 수 있다.
차단부재는 열전소자 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고정블록에 장착된 후 홀더바디와 고정블록에 의해 가압 및 압축됨으로써 장착 후 열전소자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히트파이프는 각각의 열전소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세트로 구성되고, 열교환모듈과 가장 멀리 떨어진 열전소자는 한 세트의 히트파이프를 통해 열교환모듈과 열적으로 연결되며, 해당 히트파이프는 나머지 열전소자와 모두 열적으로 연결된 후 마지막에 열교환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열교환모듈과 가장 멀리 떨어진 열전소자의 히트파이프가 나머지 히트파이프 보다 열전달 효율이 높을 수 있다.
복수의 히트파이프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열교환모듈과 가장 멀리 떨어진 열전소자의 히트파이프가 나머지 열전소자보다 상대적으로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모듈과 가장 가까운 열전소자는 나머지 열전소자 열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히트파이프 모두와 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홀더바디의 내부 또는 열전소자 또는 열교환모듈 중 어느 한군데 이상에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재가 형성되어 감지부재에서 검출되는 온도에 따라 열교환모듈 또는 열전소자가 제어될 수 있다.
홀더바디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각각의 홀더바디에 구비된 열전소자에 의해 각각의 홀더바디가 열적으로 분리되어 냉장 또는 온장을 선택적으로 수행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에 따르면, 히트파이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콤팩트한 레이아웃의 구현이 가능하고 열전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차단부재에 의해 열전소자를 밀폐하여 습기를 방지함으로써, 열전소자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감지부재에 의해 홀더바디의 내부 또는 열전소자 또는 열교환모듈 중 어느 한군데 이상의 열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방열팬 및 열전소자의 제어에 반영함으로써,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하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이고, 개방된 상면을 통해 내부에 컵이 수납 가능하며,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홀더바디(100); 복수의 홀더바디(100) 하방에 배치되며, 공조면(310)과 열교환면(330)으로 구성되며, 공조면(310)이 홀더바디(100)와 열적으로 연결되어 홀더바디(100)를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열전소자(300); 복수의 홀더바디(100)와 함께 일렬로 배치되며, 열전소자(300)의 열교환면(330)과 열적으로 연결되어 열교환하는 열교환모듈(400); 및 일단부가 열전소자(300)의 열교환면(330)에 연결되고, 복수의 홀더바디(100)의 하방에서 복수의 홀더바디(100)의 배치방향을 따라 열교환모듈(400) 측으로 연장되며, 타단부가 열교환모듈(400)에 연결된 히트파이프(700);를 포함한다.
그리고 홀더바디(100)는 홀더바디(10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하면에는 개방홀(210)이 형성되며, 개방홀(210)에 의해 홀더바디(100)와 열전소자(300)가 열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홀더하우징(200);이 구비된다. 즉, 홀더바디(100)와 열교환을 하기 위한 열전소자(300)가 구비되고, 열전소자(300)는 히트파이프(700)에 의해 열교환모듈(400)과 연결되는 구성인 것이다. 또한, 일정 두께와 면적을 갖는 형상이며, 열전소자(300) 중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커버링하도록 열전소자(300)를 두름으로써, 열전소자(300)가 외부의 공기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는 암레스트(미도시)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암레스트의 내부에 각종 부품이 설치되고, 암레스트에 의해 커버링된 후 홀더바디(100) 또는 홀더하우징(200)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음료를 냉장 또는 온장하여 즐길 수 있는 것이다.
홀더바디(100), 열전소자(300) 및 히트파이프(700)는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으나, 각각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홀더바디(100) 및 열전소자(300)가 한쌍으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고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러한 개수는 차량의 설계나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할 것이다.
홀더바디(100)의 하면에는 열전소자(300)가 위치되고, 열전소자(300)의 열교환면(330)에는 열교환을 위한 매스를 갖는 열전도성 재질의 고정블록(600)이 구비된다. 열전소자(300)는 홀더바디(100) 및 고정블록(600)과 각각 일대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열전소자(300)의 공조면(310)은 각각의 홀더바디(100) 하면에 면착되고, 각각의 열전소자(300)의 열교환면(330)은 각각의 고정블록(600)에 면착되어 열전소자(300)와 홀더바디(100)가 열전도를 통해 열교환하고, 열전소자(300)와 고정블록(600)이 열교환하게 된다. 특히, 열전소자(300)는 홀더바디(100) 또는 고정블록(600)의 중심측에 위치되어 열전소자(300)에 의해 홀더바디(100)의 냉각 또는 가열 시, 홀더바디(100) 또는 고정블록(600)에 균일하게 열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고정블록(600)은 홀더하우징(200)에 체결부재(90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열전소자(300)에는 차단부재(500)가 구비되는데, 열전소자(300)는 공조면(310)과 열교환면(330)이 각각 홀더바디(100)와 고정블록(600)에 면착되고 측면부가 차단부재(500)에 의해 둘러짐으로써, 전체면이 외부의 공기와 직접 접촉되는 것이 차단된다. 더구나, 차단부재(500)의 최외곽 테두리는 고정블록(600)의 최외곽 테두리를 포함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열전소자(300)와 차단부재(500)가 형성하는 면적은 고정블록(600)이 형성하는 면적과 같거나 크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고정블록(600)의 상면이 홀더바디(100)의 하면을 직접 마주하지 않게되며, 차단부재(500)에 의해 열전소자(300)가 홀더바디(100)의 공조 시 홀더바디(100)의 하면에 수증기가 응결되어 맺히는 것을 방지하여 응축수가 열전소자(300)측으로 유입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회로 합선이 방지되어 부품의 성능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차단부재(500)는 탄성을 구비한 다공성 발포성형체일 수 있다. 탄성을 구비한 다공성 발포성형체는 스펀지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내부의 기공에 의해 열교환모듈(400)의 방열팬(450)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이 암레스트를 통해 트림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단부재(500)가 탄성을 구비한 다공성 발포성형체이므로, 차단부재(500)는 열전소자(300) 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고정블록(600)에 장착된 후 홀더바디(100)와 고정블록(600)에 의해 가압 및 압축됨으로써 장착 후 열전소자(300)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공성 발포성형체 내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이 가압됨으로써, 열전소자(300)를 완전히 밀폐하여 습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진동과 소음의 절연성능을 보다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열전소자(300)와 열교환모듈(400)은 히트파이프(700)를 통해 열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소자(300)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복수의 열전소자(300)와 열교환모듈(400)은 히트파이프(700)를 통해 열적으로 직렬연결되되, 열교환모듈(400)이 가장 마지막에 배치된다. 특히, 히트파이프(700)는 각각의 열전소자(300)에 대응하는 복수의 세트로 구성된다. 도면에 예를 들어 도시한 것처럼, 히트파이프(700) 세트는 히트파이프(700)가 2개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모듈(400)과 가장 멀리 떨어진 열전소자(300)는 한 세트의 히트파이프(700)를 통해 열교환모듈(400)과 열적으로 연결되며, 해당 히트파이프(700)는 나머지 열전소자(300)와 모두 열적으로 연결된 후 마지막에 열교환모듈(400)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열교환모듈(400)과 가장 가까운 열전소자(300)는 나머지 열전소자(300) 열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히트파이프(700) 모두와 열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열교환모듈(400)과 가장 멀리 떨어진 열전소자(300)의 히트파이프(700)가 나머지 히트파이프(700)보다 열전달 효율이 더 높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복수의 히트파이프(700)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열교환모듈(400)과 가장 멀리 떨어진 열전소자(300)의 히트파이프(700)가 나머지 열전소자(300)보다 상대적으로 외곽에 배치됨으로써, 외부와 열교환되는 면적을 증대하여 열교환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홀더바디(100)는 각각의 열전소자(300)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마련되며, 히트파이프(700)는 복수의 열전소자(300) 및 열교환모듈(400)을 순차적으로 연결한다. 즉, 복수의 홀더바디(100)는 측방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열교환모듈(400)은 마지막 홀더바디(100)의 측방에 배치되며, 히트파이프(700)는 복수의 열전소자(300)를 열적으로 연결한 후 연장되어 열교환모듈(400)에 연결된다. 즉, 히트파이프(700)는 열전소자(300)와 열적으로 연결된 각각의 고정블록(600)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열교환모듈(400)과 연결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열전소자(300)의 고정블록(600)에는 각각 히트파이프(700) 세트가 연결되되, 열교환모듈(400)로부터 먼 쪽에 위치되는 열전소자(300)와 연결되는 히트파이프(700)가 나머지 열전소자(300)의 고정블록(600)을 모두 관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홀더바디(100)가 동시에 냉장 또는 온장의 기능을 수행할 때 열교환모듈(400)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열전소자(300)의 열처리능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여 홀더바디(100) 간의 열편차를 최소화하고, 균일한 냉장 또는 온장 성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히트파이프(700)의 타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된 후 연장되어 열교환모듈(400)과 결합되되, 1번만 절곡되어 연장부(710)가 열교환모듈(400)에 상방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히트파이프(700)를 1번만 절곡하여 열교환모듈(400)에 결합하되, 열교환모듈(400)을 홀더바디(100)의 측방에 배치함으로써, 히트파이프(700)의 열효율 능력을 증대시키고, 동시에 레이아웃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어 설계자유도가 증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홀더바디(100)의 내부 또는 열전소자(300) 또는 열교환모듈(400) 중 어느 한군데 이상에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재(800)가 형성되어 감지부재(800)에서 검출되는 온도에 따라 열전소자(300) 또는 열교환모듈(400)이 제어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모듈(400)은 히트파이프(700)가 관통되어 고정되되, 내부에 열을 저장할 수 있는 열탱크(410)와 열탱크(410)의 양측에 구비되는 방열핀유닛(430) 및 방열팬(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열탱크(410)와 방열핀유닛(430)은 체결부재(900)에 의해 체결된다. 열탱크(410)는 내부에 열보유공간을 갖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형상으로서, 방열핀유닛(430)과는 면접촉되어 방열핀유닛(430)에 구비된 방열핀의 방열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열탱크(410)를 구비하는 이유는 히트파이프(700)를 고정하면서도 열저장능력을 향상시켜 히트파이프(700)로부터 전달되어 처리할 수 있는 열의 양을 증대될 수 있도록 하여 열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열전모듈의 최하방에는 방열팬(450)이 위치된다.
따라서, 홀더바디(100)의 내부 또는 열전소자(300) 또는 열교환모듈(400) 중 어느 한군데 이상에 구비된 감지부재(800)에서 검출되는 온도에 따라 열전소자(300)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방열팬(45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보다 효율적인 냉장 또는 온장이 가능하고, 효율적으로 전력을 사용하여 방열팬(450)의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홀더바디(100)는 홀더바디(100)에 각각 구비된 열전소자(300)에 의해 각각 분리되어 냉장 또는 온장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의 동작을 살펴보면, 열전소자(100)에 전류가 인가되면 열전소자(300)의 공조면(310)이 홀더바디(100)를 냉장 또는 온장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반대측인 열교환면(330)은 승온 또는 냉각되므로, 승온 또는 냉각된 열이 고정블록(600)을 통해 히트파이프(700)로 전달되고, 히트파이프(700)의 타단부에 결합된 열교환모듈(400)에 의해 전달된 열이 방열 또는 흡열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에 의하면, 히트파이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콤팩트한 레이아웃의 구현이 가능하고 열전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차단부재에 의해 열전소자를 밀폐하여 습기를 방지함으로써, 열전소자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감지부재에 의해 홀더바디의 내부 또는 열전소자 또는 열교환모듈 중 어느 한군데 이상의 열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방열팬 및 열전소자의 제어에 반영함으로써,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홀더바디 200 : 홀더하우징
210 : 개방홀 300 : 열전소자
310 : 공조면 330 : 열교환면
400 : 열교환모듈 410 : 열탱크
430 : 방열핀유닛 450 : 방열팬
500 : 차단부재 600 : 고정블록
700 : 히트파이프 710 : 연장부
800 : 감지부재 900 : 체결부재

Claims (21)

  1.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이고, 개방된 상면을 통해 내부에 컵이 수납 가능하며,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홀더바디;
    복수의 홀더바디 하방에 배치되며, 공조면과 열교환면으로 구성되고, 공조면이 홀더바디와 열적으로 연결되어 홀더바디를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열전소자;
    복수의 홀더바디와 함께 일렬로 배치되며, 열전소자의 열교환면과 열적으로 연결되어 열교환하는 열교환모듈; 및
    일단부가 열전소자의 열교환면에 연결되고, 복수의 홀더바디의 하방에서 복수의 홀더바디의 배치방향을 따라 열교환모듈 측으로 연장되며, 타단부가 열교환모듈에 연결된 히트파이프;를 포함하고,
    열전소자는 각각의 홀더바디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마련되며, 히트파이프는 복수의 열전소자 및 열교환모듈을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홀더바디는 측방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열교환모듈은 마지막 홀더바디의 측방에 배치되며, 히트파이프는 복수의 열전소자를 열적으로 연결한 후 연장되어 열교환모듈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4. 청구항 3에 있어서,
    히트파이프의 타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된 후 연장되어 열교환모듈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5. 청구항 4에 있어서,
    히트파이프의 타단부의 연장부는 열교환모듈에 상방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열전소자는 각각의 열전소자의 공조면은 각각의 홀더바디 하면에 면착되고, 각각의 열전소자 열교환면에는 열교환을 위한 매스를 갖는 열전도성 재질의 고정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7. 청구항 6에 있어서,
    히트파이프는 각각의 고정블록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열교환모듈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8. 청구항 7에 있어서,
    복수의 홀더바디는 측방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열교환모듈은 마지막 홀더바디의 측방에 배치되며, 히트파이프는 각각의 고정블록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연장되어 열교환모듈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9. 청구항 8에 있어서,
    히트파이프는 각각의 고정블록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후 열교환모듈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홀더바디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하면에는 개방홀이 형성되며, 개방홀에 의해 홀더바디와 열전소자가 열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홀더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열전소자는 홀더바디 또는 고정블록의 중심측에 위치되어 열전소자에 의해 홀더바디의 냉각 또는 가열 시, 홀더바디 또는 고정블록에 균일하게 열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열전소자는 공조면과 열교환면이 각각 홀더바디와 고정블록에 면착되고 측면부가 차단부재에 의해 둘러짐으로써, 전체면이 외부의 공기와 직접 접촉되는 것이 차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차단부재의 최외곽 테두리는 고정블록의 최외곽 테두리를 포함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고정블록의 상면이 홀더바디의 하면을 직접 마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차단부재는 탄성을 구비한 다공성 발포성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차단부재는 열전소자 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고정블록에 장착된 후 홀더바디와 고정블록에 의해 가압 및 압축됨으로써 장착 후 열전소자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16. 청구항 1에 있어서,
    히트파이프는 각각의 열전소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세트로 구성되고, 열교환모듈과 가장 멀리 떨어진 열전소자는 한 세트의 히트파이프를 통해 열교환모듈과 열적으로 연결되며, 해당 히트파이프는 나머지 열전소자와 모두 열적으로 연결된 후 마지막에 열교환모듈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열교환모듈과 가장 멀리 떨어진 열전소자의 히트파이프가 나머지 히트파이프 보다 열전달 효율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복수의 히트파이프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열교환모듈과 가장 멀리 떨어진 열전소자의 히트파이프가 나머지 열전소자보다 상대적으로 외곽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열교환모듈과 가장 가까운 열전소자는 나머지 열전소자 열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히트파이프 모두와 열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20. 청구항 1에 있어서,
    홀더바디의 내부 또는 열전소자 또는 열교환모듈 중 어느 한군데 이상에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재가 형성되어 감지부재에서 검출되는 온도에 따라 열교환모듈 또는 열전소자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21. 청구항 1에 있어서,
    홀더바디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각각의 홀더바디에 구비된 열전소자에 의해 각각의 홀더바디가 열적으로 분리되어 냉장 또는 온장을 선택적으로 수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KR1020170144814A 2017-11-01 2017-11-01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KR101980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814A KR101980268B1 (ko) 2017-11-01 2017-11-01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814A KR101980268B1 (ko) 2017-11-01 2017-11-01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994A KR20190049994A (ko) 2019-05-10
KR101980268B1 true KR101980268B1 (ko) 2019-05-22

Family

ID=66580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814A KR101980268B1 (ko) 2017-11-01 2017-11-01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2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784B1 (ko) * 2020-02-14 2020-08-31 김경민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KR102407849B1 (ko) * 2020-10-27 2022-06-13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컵홀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52326A1 (en) * 2013-06-03 2014-12-04 Kbautotech Co., Ltd.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4593A (ko) * 2005-05-02 2006-11-07 주식회사 오리엔스유니온 냉온기능을 구비한 컵 홀더 및 그를 구비한 시트
KR200476864Y1 (ko) 2013-12-05 2015-04-10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냉온 기능을 갖는 텀블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52326A1 (en) * 2013-06-03 2014-12-04 Kbautotech Co., Ltd.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994A (ko)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3465B2 (ja) 温度制御式貯蔵システム
US10076987B2 (en) Heating and cooling cup holder
KR101592708B1 (ko) 냉온장 컵홀더
JP4560550B2 (ja) 熱電冷却/加熱器具
KR101393823B1 (ko) 냉온장 컵홀더
KR101980268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KR101980266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JPH0642852A (ja) 熱電半導体素子を利用した熱電式冷蔵/温蔵兼用装置
KR20120066212A (ko) 자동차의 냉온장고
KR101950751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KR101980267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JP2005180795A (ja) 電子冷却ユニットを備えた断熱パネル
KR102147542B1 (ko) Pcm 및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무소음의 냉온 공기 공급장치
KR102154631B1 (ko) 자동차용 냉온장 컵홀더
CN210602330U (zh) 一种温控盒
KR20140073137A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KR20120088578A (ko) 공조 코어
JPH1120535A (ja) 自動車用冷蔵又は温蔵装置
KR101335494B1 (ko)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장고 장치
JP2897618B2 (ja) 車両用ドリンクホルダー
US20150158407A1 (en) Heat radiator for cup holder and cup holder using the same
JPH05272836A (ja) 車両用飲料冷温装置
CN218993562U (zh) 便携式空调
KR200194589Y1 (ko) 차량용 콘솔박스 냉온장고
KR100844201B1 (ko) 프레온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자동차 및 산업용 친환경공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