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723B1 -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723B1
KR101349723B1 KR1020110143060A KR20110143060A KR101349723B1 KR 101349723 B1 KR101349723 B1 KR 101349723B1 KR 1020110143060 A KR1020110143060 A KR 1020110143060A KR 20110143060 A KR20110143060 A KR 20110143060A KR 101349723 B1 KR101349723 B1 KR 101349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storage
cold
uni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4934A (ko
Inventor
지준동
탁윤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10143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7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74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Abstract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는, 저장 용기 및 저장 용기를 수납하며 저장 용기와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저장 용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저장부, 저장 용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열전 소자, 열전 소자의 배면에 형성되는 방열부, 및 일측이 저장부 및 방열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타측이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와 연결되며,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로부터 냉기 또는 온기를 저장부 및 방열부 중 적어도 하나로 유입시키는 기체 유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COOLING AND HEATING CABINET FOR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온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냉난방 장치(예를 들어, 에어컨 및 히터 등), 오디오 장치, 및 영상 장치 등 여러 가지 편의 시설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편의 시설 가운데는 여름철에는 음료를 시원하게 냉각시켜 주고, 겨울철에는 음료를 따뜻하게 데워주는 차량용 냉온장고가 있다.
종래의 차량용 냉온장고는 차량용 냉온장고의 저장 용기에 열전 소자를 형성하여 저장 용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열전 소자만을 이용하여 저장 용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경우, 일정 단위 시간 동안 저장 용기의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범위에 한계가 있게 된다. 즉, 열전 소자만을 이용하여 저장 용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경우, 저장 용기를 냉각할 수 있는 온도 및 가열할 수 있는 온도에 한계가 있게 되며, 저장 용기를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하거나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모되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차량용 냉온장고의 저장 용기의 바닥 형상은 열 효율의 손실을 가져오는 형상으로 제작되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냉온장고의 저장 용기(10)는 바닥면의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Rounding)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저장 용기(10)의 배면에 열전 소자(12)를 형성하는 경우, 열전 소자(12)는 저장 용기(10)의 하단에서부터 일정 높이(h)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게 된다. 이 경우, 라운딩 형상의 모서리 부분은 열전 소자(12)가 직접 접촉하지 못하기 때문에, 열전 소자(12)에서 발생하는 열이 저장 용기(10)의 바닥면을 따라 전달될 때 저장 용기(10)의 모서리 부분에서 열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차량용 냉온장고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용기(20)의 배면에 제1 열전도 블럭(21), 열전 소자(23), 제2 열전도 블럭(25), 및 방열부(27)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었다. 이 경우, 제1 열전도 블럭(21) 및 제2 열전도 블럭(25)은 저장 용기(20)의 배면과 방열부(27)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단열 거리를 확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열전 소자(23)에서 발생한 열을 저장 용기(20)와 방열부(27)로 각각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종래의 차량용 냉온장고는 저장 용기(20)를 프레스 방식으로 제조한 후에, 저장 용기(20)의 배면에 제1 열전도 블럭(21), 열전 소자(23), 제2 열전도 블럭(25), 및 방열부(27)를 순차적으로 용접하여 접합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 경우, 차량용 냉온장고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장 용기(20)의 배면에 제1 열전도 블럭(21)을 용접하여 접합시켰기 때문에, 저장 용기(20)와 제1 열전도 블럭(21)을 밀착시키기 어려우며, 열전 소자(23)에서 발생한 열을 저장 용기(20)로 전달할 때, 저장 용기(20)와 제1 열전도 블록(21)의 이음새 부분에서 열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장 용기에 수납된 저장물을 신속하게 냉각 또는 가열시킬 수 있는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열전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의 저장 용기로 전달할 때 생기는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는, 저장 용기 및 상기 저장 용기를 수납하며 상기 저장 용기와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저장 용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 용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의 배면에 형성되는 방열부; 및 일측이 상기 저장부 및 상기 방열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타측이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로부터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저장부 및 상기 방열부 중 적어도 하나로 유입시키는 기체 유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열전 소자뿐만 아니라 냉낭방 장치의 냉기 또는 온기를 이용하여 저장 용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기 때문에, 열전 소자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여 저장 용기를 신속하게 냉각 또는 가열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저장 용기의 외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방열핀을 형성함으로써, 냉난방 장치의 냉기 또는 온기가 저장 용기에 접촉하는 면적을 넓힐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저장 용기에 전달되는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저장 용기의 바닥 모서리 부분을 바닥면에서 하부로 연장하여 형성함으로써, 열전 소자를 저장 용기의 하단에 이르기까지 형성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열전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저장 용기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열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장 용기의 배면에 이격 거리 확보부를 돌출하여 저장 용기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고, 열전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저장 용기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열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냉온장고의 저장 용기의 바닥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냉온장고의 저장 용기의 배면 측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에서, 커버 및 컵 홀더 겸용 커버가 함께 열리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에서, 커버만 열리고 홀더 겸용 커버는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의 저장 용기에 방열핀이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의 저장 용기의 바닥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에서, 보조 수납부가 닫혀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에서, 보조 수납부가 열렸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의 저장 용기의 배면 측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는 냉장고와 온장고를 겸용하여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냉장고 또는 온장고로만 사용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는 예를 들어, 차량의 앞좌석의 콘솔 박스 또는 뒷좌석의 암레스트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위치(예를 들어, 글로브 박스, 도어 포켓, 차량 전면의 판넬 내부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가 암레스트에 적용된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하였을 뿐,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가 차량 내의 다른 위치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그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는 저장 용기(102), 커버(104), 보조 수납부(106), 제1 열전도 부재(108), 열전 소자(110), 및 방열부(112)를 포함한다.
저장 용기(102)는 내부에 일정 형상의 저장 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저장 용기(102)는 예를 들어, 물병, 음료수 등과 같은 물품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저장 용기(102)는 열 전도성이 있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저장 용기(102) 내에는 음이온 등을 발생시키는 제균 및 살균 장치(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104)는 저장 용기(102)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때, 커버(104)의 일측은 회전 가능하도록 저장 용기(102)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104)를 열고 닫을 수 있는데, 커버(104)를 열면 저장 용기(102)의 상부가 개방되고, 커버(104)를 닫으면 저장 용기(102)가 밀폐되게 된다. 또한, 커버(104)의 타측을 저장 용기(102)와 후크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104)를 닫으면 커버(104)가 저장 용기(102)와 견고히 결합되어 저장 용기(102)를 확실히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는 커버를 이중 커버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커버(104)의 내측에 컵 홀더 겸용 커버(121)가 형성될 수 있다. 컵 홀더 겸용 커버(121)에는 컵을 수납할 수 있는 제1 수납홀(123)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컵 홀더 겸용 커버(121)는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커버(104) 또는 저장 용기(102)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컵 홀더 겸용 커버(121)는 커버(104)와 함께 열고 닫힐 수도 있고, 커버(104)와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열고 닫힐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저장 용기(102)에서 물병을 꺼내고자 할 때는 커버(102)와 컵 홀더 겸용 커버(121)를 함께 열어 저장 용기(102)의 상부를 개방시킨 후 물병을 꺼낼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들고 있던 컵을 보관하고자 할 때는 커버(102)만을 연 상태에서 컵 홀더 겸용 커버(121)의 제1 수납홀(123)에 컵을 보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가 설치된 좌석에 착석한 사용자는 컵 홀더 겸용 커버(121)를 이용하여 자신이 사용하는 컵을 흔들리지 않고 안전히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일반 차량의 뒷 좌석에는 컵을 보관할 만한 곳이 마땅치 않으므로, 컵 홀더 겸용 커버(121)를 구비한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를 차량의 뒷 좌석에 설치하면, 뒷 좌석에 앉은 사람도 자신이 사용하던 컵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보조 수납부(106)는 저장 용기(102)의 전방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저장 용기(102)의 전방에는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의 작동 상태 및 온도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5)가 형성될 수 있는데, 보조 수납부(106)는 디스플레이부(125) 하부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의 공간 효율을 향상킬 수 있게 된다.
보조 수납부(106)는 서랍과 같이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수납부(106) 내에는 컵을 보관할 수 있는 컵 홀더 플레이트(141)가 형성될 수 있는데, 컵 홀더 플레이트(141)는 보조 수납부(106)가 닫혀 있을 때는 보조 수납부(106) 내에 수납된 상태로 있다가 보조 수납부(106)를 열 때 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때, 보조 수납부(106)는 별도의 열전도 부재(미도시)를 통해 저장 용기(102)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1 및 도 12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열전도 부재(108)는 저장 용기(102)의 외면에 설치된다. 이때, 제1 열전도 부재(108)는 일측이 열전 소자(110)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열전도 부재(108)는 열전 소자(110)에서 발생한 열(이때, 열은 0℃ 이상의 고온일수도 있고 0℃ 미만의 저온일수도 있음)을 저장 용기(102)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열전도 부재(108)는 열전도 효율이 우수한 재질 또는 제품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 열전도 부재(108)로는 히트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열전도 부재(108)로 히트 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 제1 열전도 부재(108)는 저장 용기(102)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열전도 부재(108)는 저장 용기(102)의 배면, 하부면, 및 전면에 걸쳐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열전도 부재(108)가 저장 용기(102)와 접촉하는 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열전 소자(110)에서 발생한 열을 빠르게 저장 용기(102)로 전달할 수 있게 되고, 저장 용기(102) 내부의 온도를 균일하게 조절하여 저장 용기(102) 내에서 장소에 따라 온도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제1 열전도 부재(108)의 형상이 U자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저장 용기(102)와 열전 소자(110) 사이에 제1 열전도 부재(108)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전 소자(110)가 저장 용기(102)에 직접 접촉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제1 열전도 부재(108)의 일측이 열전 소자(110)에 접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열전도 부재(108)는 열전 소자(110)와 접촉됨이 없이 저장 용기(102)의 외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전도 부재(108)는 저장 용기(102)의 하부면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 열전도 부재(108)는 열전 소자(110)로부터 저장 용기(102)로 전달된 열이 저장 용기(102) 내에서 보다 신속하게 이동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열전 소자(110)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소자를 말한다. 여기서는 열전 소자(110)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데, 이때 열전 소자(110)에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에 따라 열전 소자(110)를 통해 냉각 또는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여름과 같이 더운 날씨에는 열전 소자(110)의 전면(즉, 제1 열전도 부재(108)와 접촉한 면)에서 열을 흡수하고, 열전 소자(110)의 배면(즉, 히트 싱크(128)와 접촉한 면)에서 열을 방출하도록 열전 소자(11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열전 소자(110)를 통해 저장 용기(102)를 냉각하여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를 냉장고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겨울과 같이 추운 날씨에는 열전 소자(110)에 인가하는 전원의 극성을 반대로 하여 열전 소자(110)의 전면(즉, 제1 열전도 부재(108)와 접촉한 면)에서 열을 방출하고, 열전 소자(110)의 배면(즉, 히트 싱크(128)와 접촉한 면)에서 열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열전 소자(110)를 통해 저장 용기(102)를 가열하여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를 온장고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방열부(112)는 열전 소자(110)의 배면에 설치되어 열전 소자(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방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방열부(112)는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열전 소자(110)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즉, 방열부(112)는 열전 소자(110)가 저장 용기(102)를 냉각할 때, 열전 소자(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방출하는 기능을 하고, 열전 소자(110)가 저장 용기(102)를 가열할 때,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열전 소자(110)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방열부(112)는 히트 싱크(128) 및 방열핀(129)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히트 싱크(128)는 예를 들어, 열전 소자(110)의 배면에 설치되고, 방열핀(129)은 히트 싱크(128)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히트 싱크(128)와 방열핀(129)은 열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흡수 또는 방출하기 위해 열 전도율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방열핀(129)은 방열 면적을 넓히기 위해 복수 개의 판상이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는 열전 소자(110)뿐만 아니라 차량 내에 설치되는 냉방 장치(예를 들어, 에어컨) 및 난방 장치(예를 들어, 히터)를 이용하여 저장 용기(102)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다. 즉, 차량 내의 냉방 장치(미도시)가 가동된 경우, 열전 소자(110)와 냉방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저장 용기(102)를 냉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량 내의 난방 장치(미도시)가 가동된 경우, 열전 소자(110)와 난방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저장 용기(102)를 가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 내의 냉방 장치 및 난방 장치를 냉난방 장치라고 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열전달 부재는 생략하였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저장 용기(102)의 외측으로 저장 용기 하우징(114)이 형성된다. 저장 용기(102)는 저장 용기 하우징(114) 내에 수납되며, 저장 용기 하우징(114)과 일정 간격 이격된다. 여기서, 저장 용기(102) 및 저장 용기 하우징(114)은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의 저장부를 이루게 된다.
저장 용기(102)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핀(131)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방열핀(131)은 저장 용기(102)의 외주면 상단 및 하단에 저장 용기(102)의 외주면을 따라 각각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방열핀(131)의 종단은 저장 용기 하우징(114)과 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용기(102)와 저장 용기 하우징(114) 사이에는 저장 용기(102)의 외주면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방열핀(131)에 의해 기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게 된다.
저장 용기 하우징(114)의 일측에는 기체 유입부(116)가 형성된다. 기체 유입부(116)는 제1 기체 유입부(116-1) 및 제2 기체 유입부(116-2)를 포함한다. 제1 기체 유입부(116-1)의 일측은 저장 용기(102)와 대응하여 형성되고, 제1 기체 유입부(116-1)의 타측은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미도시)와 연결된다. 제2 기체 유입부(116-2)의 일측은 방열부(112)와 대응하여 형성되고, 제2 기체 유입부(116-2)의 타측은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미도시)와 연결된다.
저장 용기 하우징(114)의 타측에는 기체 배출부(118)가 형성된다. 기체 배출부(118)는 제1 기체 배출부(118-1) 및 제2 기체 배출부(118-2)를 포함한다. 제1 기체 배출부(118-1)의 일측은 저장 용기(102)와 대응하여 형성되고, 제1 기체 배출부(118-1)의 타측은 냉난방 장치의 회수 덕트(미도시)와 연결된다. 제2 기체 배출부(118-2)의 일측은 방열부(112)와 대응하여 형성되고, 제2 기체 배출부(118-2)의 타측은 냉난방 장치의 회수 덕트(미도시)와 연결된다.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는 기체 유입부(116) 및 기체 배출부(118)의 내부 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 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량 내의 냉난방 장치가 가동되는 경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는 개폐 조절부(미도시)를 통해 기체 유입부(116) 및 기체 배출부(118)의 내부 통로를 개방 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내의 냉난방 장치가 가동되지 않는 경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는 개폐 조절부(미도시)를 통해 기체 유입부(116) 및 기체 배출부(118)의 내부 통로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에 있어서, 여름과 같이 더운 날씨에는 열전 소자(110)의 전면에서 열을 흡수하고, 열전 소자(110)의 배면에서 열을 방출하여 저장 용기(102)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차량의 냉난방 장치 중 냉방 장치가 가동되는 경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는 개폐 조절부(미도시)를 통해 기체 유입부(116)의 내부 통로를 개방하여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미도시)로부터 냉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기체 유입부(116) 중 제1 기체 유입부(116-1)로 유입되는 냉기는 방열핀(131)에 의해 형성된 기체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저장 용기(102)에 냉기를 공급하다가 제1 기체 배출부(118-1)를 통해 배출된다. 이 경우, 열전 소자(110)를 통해 저장 용기(102)를 냉각시킬 뿐만 아니라 냉방 장치에서 발생되는 냉기를 통해 저장 용기(102)를 냉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열전 소자(110)만을 이용하여 저장 용기(102)를 냉각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저장 용기(102)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열전 소자(110) 및 냉방 장치를 동시에 이용하면, 저장 용기(102)를 빠른 시간에 기 설정된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체 유입부(116) 중 제2 기체 유입부(116-2)로 유입되는 냉기는 방열부(112)에서 열교환되어 제2 기체 배출부(118-2)를 통해 배출된다. 이 경우, 제2 기체 유입부(116-2)를 통해 냉방 장치에서 발생된 냉기가 방열부(112)로 공급되므로, 방열부(112)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열전 소자(110)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차량의 냉난방 장치 중 냉방 장치가 가동되는 경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는 개폐 조절부(미도시)를 통해 기체 배출부(118)의 내부 통로를 개방한다. 그러면, 제1 기체 배출부(118-1)로 배출된 냉기는 냉난방 장치의 회수 덕트(미도시)를 통해 냉난방 장치로 회수되고, 제2 기체 배출부(118-2)로 배출된 열교환된 냉기는 냉난방 장치의 회수 덕트(미도시)를 통해 냉난방 장치로 회수된다.
또한, 겨울과 같이 추운 날씨에는 열전 소자(110)의 전면에서 열을 방출하고, 열전 소자(110)의 배면에서 열을 흡수하여 저장 용기(102)를 가열시킬 수 있다. 이때, 차량의 냉난방 장치 중 난방 장치가 가동되는 경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는 개폐 조절부(미도시)를 통해 기체 유입부(116)의 내부 통로를 개방하여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미도시)로부터 온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기체 유입부(116) 중 제1 기체 유입부(116-1)로 유입되는 온기는 방열핀(131)에 의해 형성된 기체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저장 용기(102)에 온기를 공급하다가 제1 기체 배출부(118-1)를 통해 배출된다. 이 경우, 열전 소자(110)를 통해 저장 용기(102)를 가열시킬 뿐만 아니라 난방 장치에서 발생되는 온기를 통해 저장 용기(102)를 가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열전 소자(110) 만을 이용하여 저장 용기(102)를 가열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저장 용기(102)를 효율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열전 소자(110) 및 난방 장치를 동시에 이용하면, 저장 용기(102)를 빠른 시간에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체 유입부(116) 중 제2 기체 유입부(116-2)로 유입되는 온기는 방열부(112)에서 열교환되어 제2 기체 배출부(118-2)를 통해 배출된다. 이 경우, 제2 기체 유입부(116-2)를 통해 난방 장치에서 발생된 온기가 방열부(112)로 유입되어 방열부(112)에 열을 공급하므로, 열전 소자(110)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제1 기체 유입부(116-1)를 통해 유입된 냉기 또는 온기가 제1 기체 배출부(118-1)를 통해 배출되고, 제2 기체 유입부(116-2)를 통해 유입된 냉기 또는 온기가 제2 기체 배출부(118-2)를 통해 배출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는 제1 기체 배출부(118-1) 및 제2 기체 배출부(118-2) 없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기체 유입부(116-1)를 통해 유입된 냉기 또는 온기는 기체 이동 통로를 이동하다가 방열부(112)의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체 유입부(116-2)를 통해 유입된 냉기 또는 온기도 방열부(112)에서 열 교환된 후, 방열부(112)의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제1 기체 유입부(116-1)의 일측이 저장 용기 하우징(114)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기체 유입부(116-1)의 일측이 저장 용기 하우징(114)을 통과하여 저장 용기(10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미도시)로부터 냉기 또는 온기가 저장 용기(102) 내부로 직접 유입되게 된다. 그러면, 저장 용기(102) 내에 수납된 물건을 냉난방 장치의 냉기 또는 온기로 직접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기체 배출부(118-1)의 일측도 저장 용기 하우징(114)을 통과하여 저장 용기(102)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기체 유입부의 일측은 저장 용기 하우징(114)에 연결함으로써, 냉난방 장치의 냉기 또는 온기가 기체 이동 통로를 이동하면서 저장 용기(102)를 냉각 또는 가열하도록 하고, 또 다른 하나의 기체 유입부의 일측은 저장 용기 하우징(114)을 통과하여 저장 용기(102)에 연결함으로써, 저장 용기(102) 내부에 수납된 물건을 직접 냉각 또는 가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차량의 냉난방 장치 중 난방 장치가 가동되는 경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는 개폐 조절부(미도시)를 통해 기체 배출부(118)의 내부 통로를 개방한다. 그러면, 제1 기체 배출부(118-1)로 배출된 온기는 냉난방 장치의 회수 덕트(미도시)를 통해 냉난방 장치로 회수되고, 제2 기체 배출부(118-2)로 배출된 열교환된 온기는 냉난방 장치의 회수 덕트(미도시)를 통해 냉난방 장치로 회수된다.
한편, 열전 소자(110)가 저장 용기(102)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중에, 냉난방 장치가 가동되지 않는 경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는 개폐 조절부(미도시)를 통해 기체 유입부(116) 및 기체 배출부(118)의 내부 통로를 폐쇄시켜 저장 용기(102)를 외부와 차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용기(102)를 외부와 차단시킴으로써, 저장 용기(102)의 냉각 효율 및 가열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는, 차량의 냉난방 장치가 가동되는 경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가 제1 기체 유입부(116-1) 및 제2 기체 유입부(116-2)의 내부 통로를 모두 개방시키고, 제1 기체 배출부(118-1) 및 제2 기체 배출부(118-2)의 내부 통로를 모두 개방시키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가 제1 기체 유입부(116-1) 및 제2 기체 유입부(116-2) 중 어느 하나의 내부 통로를 개방시키고, 제1 기체 배출부(118-1) 및 제2 기체 배출부(118-2) 중 어느 하나의 내부 통로를 개방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냉난방 장치가 가동될 때,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가 제1 기체 유입부(116-1)의 내부 통로를 개방시키고, 제1 기체 배출부(118-1)의 내부 통로를 개방시키면,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미도시)로부터 냉기 또는 온기가 제1 기체 유입부(116-1)로 유입되어 저장 용기(102)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한 후 제1 기체 배출부(118-1)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냉난방 장치가 가동될 때,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가 제2 기체 유입부(116-2)의 내부 통로를 개방시키고, 제2 기체 배출부(118-2)의 내부 통로를 개방시키면,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미도시)로부터 냉기 또는 온기가 제2 기체 유입부(116-2)로 유입되어 방열부(112)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한 후 제2 기체 배출부(118-2)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는 개폐 조절부(미도시)가 기체 유입부(116) 및 기체 배출부(118)의 내부 통로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폐 조절부(미도시)는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 및 회수 덕트에서 냉기 또는 온기의 이동 통로를 개폐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에서는, 저장 용기(102)와 저장 용기 하우징(114)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고, 저장 용기(102)에 적어도 하나의 방열핀(131)을 형성하여 저장 용기(102)와 저장 용기 하우징(114) 사이에 기체 이동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열전 소자(110)뿐만 아니라 냉난방 장치에서 발생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저장 용기(102)와 저장 용기 하우징(114) 사이에는 단열 부재가 형성되어 저장 용기(102)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는 단열 부재가 형성되는 공간을 기체 이동 통로로 이용함으로써, 냉난방 장치에서 발생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저장 용기(102)로 공급하여 저장 용기(102)의 온도를 조절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저장 용기(102)와 저장 용기 하우징(114) 사이의 공간 중 일부는 기체 이동 통로로 이용하고, 다른 일부에는 단열 부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장 용기(102)와 저장 용기 하우징(114) 사이의 공간 중 상측은 기체 이동 통로로 이용하고, 하측은 단열 부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의 저장 용기에 방열핀이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저장 용기(102)의 상단에 저장 용기(102)의 외주면을 따라 제1 방열핀(131-1)이 형성되고, 저장 용기(102)의 하단에 저장 용기(102)의 외주면을 따라 제2 방열핀(131-2)이 형성되며, 제1 방열핀(131-1) 및 제2 방열핀(131-2) 사이에 저장 용기(102)의 외주면을 따라 제3 방열핀(13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저장 용기(102)와 저장 용기 하우징(114) 사이에서 제1 방열핀(131-1) 및 제3 방열핀(131-3)에 의해 제1 기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고, 제3 방열핀(131-3) 및 제2 방열핀(131-2)에 의해 제2 기체 이동 통로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기체 유입부(116)를 통해 유입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저장 용기(102)와 접촉하는 면적을 넓힐 수 있기 때문에, 저장 용기(102)의 냉각 또는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저장 용기(102)와 저장 용기 하우징(114) 사이에 두 개의 기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보다 많은 개수의 기체 이동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저장 용기 하우징(114)의 일측에 기체 유입부(116) 및 기체 배출부(118)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기체 유입부(116)의 일측은 저장 용기(102)와 대응하여 형성되고, 기체 유입부(116)의 타측은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미도시)와 연결된다. 그리고, 기체 배출부(118)의 타측은 방열부(112)와 대응하여 형성되고, 기체 배출부(118)의 타측은 냉난방 장치의 회수 덕트(미도시)와 연결된다.
여기서, 열전 소자(110)가 저장 용기(102)를 냉각 또는 가열 시킬 때, 차량의 냉난방 장치가 가동되는 경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는 개폐 조절부(미도시)를 통해 기체 유입부(116) 및 기체 배출부(118)의 내부 통로를 개방시킬 수 있다.
그러면,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미도시)로부터 냉기 또는 온기가 기체 유입부(116)로 유입되어 저장 용기(102)와 저장 용기 하우징(114) 사이의 기체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저장 용기(102)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한다. 그 후, 기체 유입부(116)로 유입된 냉기 또는 온기는 저장 용기(102)의 후방에 형성된 방열부(112)로 이동하며, 방열부(112)에서 열교환되어 기체 배출부(118)로 배출된다.
여기서는, 기체 유입부(116)의 일측이 저장 용기 하우징(114)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체 유입부(116)의 일측이 저장 용기 하우징(114)을 통과하여 저장 용기(102)에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기체 유입부의 일측은 저장 용기 하우징(114)에 연결함으로써, 냉난방 장치의 냉기 또는 온기가 기체 이동 통로를 이동하면서 저장 용기(102)를 냉각 또는 가열하도록 하고, 또 다른 하나의 기체 유입부의 일측은 저장 용기 하우징(114)을 통과하여 저장 용기(102)에 연결함으로써, 저장 용기(102) 내부에 수납된 물건을 직접 냉각 또는 가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의 저장 용기의 바닥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100)의 저장 용기(102)는 바닥면의 모서리 부분이 바닥면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저장 용기(102)의 배면에 열전 소자(110)를 형성할 때, 열전 소자(110)의 위치를 밑으로 내려 열전 소자(110)가 저장 용기(102)의 하단에까지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열전 소자(110)에서 발생한 열이 저장 용기(102)로 전달될 때, 저장 용기(102)의 바닥면을 따라 전달되기 때문에, 열전 소자(110)를 저장 용기(102)의 하단에까지 접촉하여 형성하면, 열전 소자(110)에서 발생한 열이 바로 저장 용기(102)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열전 소자(110)에서 발생한 열을 저장 용기(102)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열 손실을 줄일 수 있고, 그로 인해 저장 용기(102)로 전달되는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에서, 보조 수납부가 닫혀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에서, 보조 수납부가 열렸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보조 수납부(106) 내에는 컵 홀더 플레이트(141)가 형성된다. 이때, 컵 홀더 플레이트(141)의 일단은 보조 수납부(106) 내에 고정되어 형성된다. 컵 홀더 플레이트(141)는 제1 플레이트(141-1) 및 제2 플레이트(141-2)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141-1)는 보조 수납부(106) 내에서 탄성 부재(145)와 결합되어 고정된다. 탄성 부재(145)는 컵 홀더 플레이트(141)의 상부 방향으로 컵 홀더 플레이트(14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플레이트(141-2)는 제1 플레이트(141-1)의 타단에서 연장되고 제1 플레이트(141-1)와 일정 각도의 경사를 가지고 형성된다. 제2 플레이트(141-2)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납홀(143)이 형성된다.
보조 수납부(106)의 하부에는 제2 열전달 부재(147)가 형성된다. 제2 열전달 부재(147)는 제2 열전달 부재(147)의 일측은 보조 수납부(106)와 접촉하고, 제2 열전달 부재(147)의 타측은 제1 열전달 부재(108)와 이격하도록 일정 경사를 가지고 형성된다. 제2 열전달 부재(147)의 일측 하부에는 지렛대(149)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수납부(106)가 닫혀 있는 경우, 컵 홀더 플레이트(141)의 상부가 막혀 있으므로 컵 홀더 플레이트(141)는 보조 수납부(106) 내에 눌려 있게 된다. 그리고, 제2 열전달 부재(147)는 일측이 보조 수납부(106)에 접촉하고, 타측이 제1 열전달 부재(108)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보조 수납부(106)를 여는 경우, 컵 홀더 플레이트(141)의 상부가 개방되기 때문에, 탄성 부재(145)의 탄성력에 의해 컵 홀더 플레이트(141)가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밖으로 나오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제2 수납홀(143)에 컵이나 캔을 수납시키면, 컵이나 캔의 무게로 인해 보조 수납부(106)에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그러면, 제2 열전달 부재(147)의 일측에 하중이 전달되고, 제2 열전달 부재(147)의 타측은 지렛대(149)에 의해 상부로 들어 올려져 제1 열전달 부재(108)와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열전달 부재(108) 및 제2 열전달 부재(147)를 통해 냉기 또는 온기가 보조 수납부(106)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제2 열전달 부재(147)의 타측이 제1 열전달 부재(108)와 접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열전달 부재(147)가 저장 용기(102)와 직접 접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의 저장 용기의 배면 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의 저장 용기(102)의 배면에는 이격 거리 확보부(102-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격 거리 확보부(102-1)에는 열전 소자(110) 및 방열부(112)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이격 거리 확보부(102-1)는 저장 용기(102)의 배면과 방열부(112) 사이에 요구되는 단열 거리를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만큼 저장 용기(102)의 배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이격 거리 확보부(102-1)는 저장 용기(10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열전 소자(110)에서 발생한 열을 저장 용기(102)로 전달할 때 생기는 열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격 거리 확보부(102-1)는 저장 용기(102)를 제조할 때 저장 용기(10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저장 용기(102) 및 이격 거리 확보부(102-1)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열전 소자(110)와 방열부(112)가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열전 소자(110)와 방열부(112) 사이에 열전도 블럭(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이격 거리 확보부(102-1)의 두께를 열전도 블럭(미도시)의 두께만큼 줄어든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102 : 저장 용기
102-1 : 이격 거리 확보부 104 : 커버
106 : 보조 수납부 108 : 제1 열전도 부재
110 : 열전 소자 112 : 방열부
114 : 저장 용기 하우징 116 : 기체 유입부
116-1 : 제1 기체 유입부 116-2 : 제2 기체 유입부
118 : 기체 배출부 118-1 : 제1 기체 배출부
118-2 : 제2 기체 배출부 121 : 컵 홀더 겸용 커버
123 : 제1 수납홀 125 : 디스플레이부
131 : 방열핀 141 : 컵 홀더 플레이트
141-1 : 제1 플레이트 141-2 : 제2 플레이트
143 : 제2 수납홀 145 : 탄성 부재
147 : 제2 열전도 부재 149 : 지렛대

Claims (14)

  1. 저장 용기 및 상기 저장 용기를 수납하며 상기 저장 용기와 소정 간격 이격되는 저장 용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 용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의 배면에 형성되는 방열부; 및
    일측이 상기 저장부 및 상기 방열부와 각각 연결되고, 타측이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로부터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저장부 및 상기 방열부로 유입시키는 기체 유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로 유입된 냉기 또는 온기는, 상기 저장 용기와 상기 저장 용기 하우징 사이로 이동하면서 상기 저장 용기에 냉기 또는 온기를 전달할 수 있는,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는,
    일측이 상기 저장부 및 상기 방열부와 각각 연결되고, 타측이 냉난방 장치의 회수 덕트와 연결되는 기체 배출부 더 포함하는,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유입부의 일측은 상기 저장 용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저장 용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기체 배출부의 일측은 상기 저장 용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방열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되는,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유입부는, 상기 저장 용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저장 용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기체 유입부 및 상기 저장 용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방열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기체 유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체 배출부는, 상기 저장 용기 하우징의 타측에서 상기 저장 용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기체 배출부 및 상기 저장 용기 하우징의 타측에서 상기 방열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기체 배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는,
    상기 저장 용기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핀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는,
    상기 저장 용기 및 상기 저장 용기 하우징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단열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는,
    상기 냉난방 장치의 가동 여부에 따라 상기 토출부로부터 상기 저장부 및 상기 방열부 중 적어도 하나로 유입되는 냉기 또는 온기의 이동 통로를 개폐시키는 개폐 조절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는,
    상기 저장 용기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1 열전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열전 소자가 형성된 측의 상기 저장 용기의 바닥면의 모서리 부분이 상기 바닥면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는,
    상기 저장 용기의 전방에 설치되고, 내부에 저장 공간을 구비한 보조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12. 저장 용기 및 상기 저장 용기를 수납하며 상기 저장 용기와 소정 간격 이격되는 저장 용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 용기의 전방에 설치되고, 내부에 저장 공간을 구비한 보조 수납부;
    상기 보조 수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보조 수납부에 접촉하고 타측이 상기 저장 용기와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 열전달 부재; 및
    상기 제2 열전달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열전달 부재의 일측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2 열전달 부재의 타측을 들어 올려 상기 저장 용기와 접촉시키는 지렛대를 포함하는,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는,
    일단이 상기 보조 수납부 내부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수납홀이 형성되는 컵 홀더 플레이트; 및
    상기 컵 홀더 플레이트의 일단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컵 홀더 플레이트의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저장 용기의 일측에서 상기 저장 용기와 일체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저장 용기와 상기 방열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이격 거리 확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KR1020110143060A 2011-12-27 2011-12-27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KR101349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060A KR101349723B1 (ko) 2011-12-27 2011-12-27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060A KR101349723B1 (ko) 2011-12-27 2011-12-27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934A KR20130074934A (ko) 2013-07-05
KR101349723B1 true KR101349723B1 (ko) 2014-01-10

Family

ID=48988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060A KR101349723B1 (ko) 2011-12-27 2011-12-27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007B1 (ko) 2013-10-17 2016-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온장 컵홀더
KR101628439B1 (ko) 2013-10-17 2016-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온장 컵홀더
KR101683948B1 (ko) 2013-10-21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온장 컵홀더
EP3583001A4 (en) 2017-02-17 2020-12-02 LG Electronics Inc. -1- VACUUM ADIABATIC BODY, REFRIGERATION OR HEATING UNIT, AND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7481A (ja) * 1994-02-25 1995-09-12 Ikeda Bussan Co Ltd カップホルダー
KR20070069058A (ko) * 2005-12-27 2007-07-02 한라공조주식회사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자동차 후석측 냉온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7481A (ja) * 1994-02-25 1995-09-12 Ikeda Bussan Co Ltd カップホルダー
KR20070069058A (ko) * 2005-12-27 2007-07-02 한라공조주식회사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자동차 후석측 냉온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934A (ko)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0550B2 (ja) 熱電冷却/加熱器具
US9163863B1 (en)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KR101349723B1 (ko)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KR101592708B1 (ko) 냉온장 컵홀더
KR101344711B1 (ko) 암레스트 냉온장고 장치
KR101344526B1 (ko) 차량용 냉온장 장치
US10443908B2 (en) Beverage cooler or warming apparatus
KR101950751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KR101941056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KR101335494B1 (ko)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장고 장치
KR101980266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KR102154631B1 (ko) 자동차용 냉온장 컵홀더
KR101980268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KR100785271B1 (ko) 냉/온 조절식탁
KR20140084759A (ko) 차량용 저장고 장치
KR20140073137A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KR101534584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KR101154614B1 (ko) 차량 후석 사용자를 위한 냉온장 장치
KR101903589B1 (ko) 배낭식 보온 및 보냉 장치
KR101427670B1 (ko) 차량용 저장고 장치
JP2017106659A (ja) 冷蔵庫
KR20130106615A (ko) 차량용 저장고 장치
KR20150120691A (ko) 컵 홀더 장치
KR20190049993A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CN211280759U (zh) 一种电动车车载食品加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