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615A - 차량용 저장고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저장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615A
KR20130106615A KR1020120028283A KR20120028283A KR20130106615A KR 20130106615 A KR20130106615 A KR 20130106615A KR 1020120028283 A KR1020120028283 A KR 1020120028283A KR 20120028283 A KR20120028283 A KR 20120028283A KR 20130106615 A KR20130106615 A KR 20130106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as
gas inlet
storage container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이진희
탁윤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20028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6615A/ko
Publication of KR20130106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85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28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coming from the vehicle ventilation system, e.g. air-condition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Abstract

차량용 저장고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는, 물품을 수납하는 저장 용기, 저장 용기의 인근에 형성되고, 일단에서 냉난방 장치의 냉기 또는 온기 및 차량 실내 공기 중 어느 하나를 유입하는 기체 유입부, 및 저장 용기의 일측에서 기체 유입부와 연통하여 형성되며, 기체 유입부로 유입된 기체를 차량의 좌석과 차량의 샤시 사이로 배출하는 기체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저장고 장치{APPARATUS FOR STORAGE OF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냉난방 장치(예를 들어, 에어컨 및 히터 등), 오디오 장치, 및 영상 장치 등 여러 가지 편의 시설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편의 시설 가운데는 여름철에는 음료를 시원하게 냉각시켜 주고, 겨울철에는 음료를 따뜻하게 데워주는 차량용 냉온장고가 있다.
종래의 차량용 냉온장고는 차량용 냉온장고의 저장 용기에 열전 소자를 형성하여 저장 용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열전 소자만을 이용하여 저장 용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경우, 일정 단위 시간 동안 저장 용기의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범위에 한계가 있게 된다. 즉, 열전 소자만을 이용하여 저장 용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경우, 저장 용기를 냉각할 수 있는 온도 및 가열할 수 있는 온도에 한계가 있게 되며, 저장 용기를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하거나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모되게 된다.
이에 열전 소자가 동작되어 저장 용기를 냉각 또는 가열할 때, 차량의 냉난방 장치의 냉기 또는 온기를 저장 용기로 함께 공급하여 저장 용기를 보다 신속하게 냉각 또는 가열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이때, 종래기술은 냉난방 장치의 냉기 또는 온기를 차량의 트렁크로 배출시켰다. 이 경우, 차량 트렁크에 배여 있는 냄새(예를 들어, 기름 냄새 또는 음식 냄새 등)가 차량 실내로 유입되어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냉난방 장치의 냉기 또는 온기를 이용하여 저장 용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면서도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는, 물품을 수납하는 저장 용기; 상기 저장 용기의 인근에 형성되고, 일단에서 냉난방 장치의 냉기 또는 온기 및 차량 실내 공기 중 어느 하나를 유입하는 기체 유입부; 및 상기 저장 용기의 일측에서 상기 기체 유입부와 연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기체 유입부로 유입된 기체를 상기 차량의 좌석과 상기 차량의 샤시 사이로 배출하는 기체 배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는, 저장 용기 및 상기 저장 용기를 수납하며 상기 저장 용기와 이격되는 저장 용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저장부; 일측이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고, 타측에서 냉난방 장치의 냉기 또는 온기 및 차량 실내 공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저장부로 유입하는 기체 유입부; 및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기체 유입부로 유입된 기체를 상기 차량 좌석과 상기 차량 샤시 사이로 배출하는 기체 배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냉난방 장치의 냉기 또는 온기 및 차량 실내의 공기 중 하나를 이용하여 저장 용기를 냉각 또는 가열한 후, 차량 실내로 배출함으로써, 열전 소자만으로 저장 용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신속하게 저장 용기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열 교환된 기체가 차량 실내의 넓은 공간으로 분산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열 교환된 기체가 차량 실내로 배출되어도 그로 인한 차량의 실내 온도 상승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탑승자에게 별다른 불쾌감을 주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가 차량의 좌석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가 차량의 좌석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저장고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가 차량의 좌석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여기서, 차량용 저장고 장치는 물품을 저장하는 저장고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냉온장고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냉온장고는 냉장고와 온장고를 겸용하여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냉장고 또는 온장고로만 사용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는 차량의 좌석(10)에 설치된다. 여기서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가 차량의 뒷좌석의 암레스트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앞좌석의 콘솔 박스에 설치될 수도 있다. 차량의 좌석(10)은 시트 백(11) 및 시트 쿠션(14)을 포함하는데,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는 시트 백(11)에 힌지(150)를 통해 결합 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는 힌지(150)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가 회전형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는 고정형일 수도 있다.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는 차량 내에 설치되는 냉방 장치(예를 들어, 에어컨) 및 난방 장치(예를 들어, 히터)를 이용하여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 내의 저장 용기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 내의 냉방 장치 및 난방 장치를 냉난방 장치(미도시)라고 한다.
여기서,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는 기체 유입부(110) 및 기체 배출부(112)를 포함한다. 기체 유입부(110)는 냉난방 장치(미도시)로부터 토출되는 냉기 또는 온기 및 차량 실내의 공기 중 하나를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체 배출부(112)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로 유입되어 열 교환된 기체를 차량 좌석(10)과 차량 샤시(20) 사이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기체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기체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의 저장 용기(미도시)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다가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의 방열부(미도시)에서 열 교환되는데, 기체 배출부(112)는 열 교환된 기체를 차량 좌석(10)과 차량 샤시(20) 사이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기체 배출부(112)는 열 교환된 기체를 좌석(10)의 시트 쿠션(14) 하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트 쿠션(14)은 차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므로, 시트 쿠션(14)의 하부에는 일정 공간(S)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시트 쿠션(14)의 하부 공간(S)은 좌석(10)의 면적에 해당하는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체 배출부(112)에서 배출되는 기체는 시트 쿠션(14)의 하부에서 넓게 분산되어 배출되게 된다. 이 경우, 열 교환된 기체가 차량 내부로 배출되더라도 그로 인한 차량 실내의 온도 상승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즉,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의 방열부(미도시)에서 열 교환된 기체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로 유입될 때와 비교하여 그 온도가 약 5℃ 정도 상승하게 된다. 그런데, 열 교환된 기체가 시트 쿠션(14)의 하부 공간(S)에서 넓게 분산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열 교환된 기체가 차량 실내로 배출되어도 그로 인한 차량 실내의 온도 상승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열 교환된 기체가 시트 쿠션(14)의 하부 공간(S)에서 넓게 분산 배출되기 때문에, 차량 내의 승차자가 시트 쿠션(14) 하부로 배출되는 기체를 감지하는 것은 어려우며, 그로 인해 열 교환된 기체가 차량 실내로 배출되어도 승차자에게 별다른 불쾌감을 주지 않게 된다.
여기서는 기체 배출부(112)가 열 교환된 기체를 시트 쿠션(14) 하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체 배출부(112)는 열 교환된 기체를 시트 백(11)의 후방으로 배출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저장 용기 커버는 생략하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는 저장 용기(102), 열전 소자(104), 방열부(106), 방열팬(108), 기체 유입부(110), 및 기체 배출부(112)를 포함한다.
저장 용기(102)는 내부에 일정 형상의 저장 공간을 가진다. 저장 용기(102)에는 예를 들어, 음료캔, 물병, 음식물 등과 같은 물품이 수납될 수 있다. 저장 용기(102)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마그네슘, 텅스텐, 스테인레스 스틸 등과 같이 열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열전 소자(104)는 저장 용기(102)의 일측에 형성된다. 열전 소자(104)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또는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소자를 말한다. 여기서는 열전 소자(104)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데, 이때 열전 소자(104)에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에 따라 저장 용기(102)를 냉각하거나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여름과 같이 더운 날씨에는 열전 소자(104)의 전면(즉, 저장 용기(102)와 접촉한 면)에서 열을 흡수하고, 열전 소자(104)의 배면(즉, 방열부(106)와 접촉한 면)에서 열을 방출하도록 열전 소자(104)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열전 소자(104)를 통해 저장 용기(102)를 냉각하여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를 냉장고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겨울과 같이 추운 날씨에는 열전 소자(104)에 인가하는 전원의 극성을 반대로 하여 열전 소자(104)의 전면(즉, 저장 용기(102)와 접촉한 면)에서 열을 방출하고, 열전 소자(104)의 배면(즉, 방열부(106)와 접촉한 면)에서 열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열전 소자(104)를 통해 저장 용기(102)를 가열하여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를 온장고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방열부(106)는 열전 소자(104)의 배면에 설치되어 열전 소자(104)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기능을 한다. 방열부(106)는 히트 싱크(106-1) 및 방열핀(106-2)을 포함할 수 있다. 히트 싱크(106-1) 및 방열핀(106-2)은 열전 소자(104)에서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방출하기 위해 열 전도율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방열팬(108)은 방열부(106)의 배면에 설치된다. 방열팬(108)은 방열부(106)에서 열 교환된 기체를 기체 배출부(112)로 신속히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방열팬(108)을 통해 방열부(106)의 방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체 유입부(110)는 저장 용기(102)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체 유입부(110)는 그 이외의 다양한 위치(예를 들어, 저장 용기(102)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기체 유입부(110)의 일단은 냉난방 장치(미도시)의 토출부와 연결되어 냉난방 장치(미도시)의 냉기 또는 온기를 유입한다. 여기서, 기체 유입부(110)의 일단은 별도의 연결 부재(예를 들어, 덕트)를 통해 냉난방 장치(미도시)의 토출부와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의 연결 부재 없이 직접 냉난방 장치(미도시)의 토출부와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체 유입부(110)의 일단이 냉난방 장치(미도시)와 반드시 기구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냉난방 장치(미도시)에서 토출된 냉기 또는 온기를 기체 유입부(110)의 일단에서 흡입하여 기체 유입부(110) 내부로 유입시킬 수도 있다. 또한, 기체 유입부(110)는 차량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기체 유입부(110) 내부로 유입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는 기체 유입부(110)를 통해 냉난방 장치(미도시)의 냉기 또는 온기를 유입하여 저장 용기(102)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열전 소자(104)와 함께 냉난방 장치(미도시)의 냉기 또는 온기를 이용하면, 저장 용기(102)를 빠른 시간에 기 설정된 온도로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전 소자(104) 없이 냉난방 장치(미도시)의 냉기 또는 온기만을 이용하여 저장 용기(102)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도 있다.
기체 유입부(110)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12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팬(120)을 통해 기체 유입부(110) 내에서의 기체 흐름 속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기체 유입부(110)를 통해 냉난방 장치(미도시)의 냉기 또는 온기가 유입될 때, 저장 용기(102)로 전달되는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기체 유입부(110)의 일단이 냉난방 장치(미도시)의 토출부와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송풍팬(120)을 이용하여 냉난방 장치(미도시)에서 토출된 냉기 또는 온기를 기체 유입부(110) 내부로 흡입하여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팬(120)을 이용하면 차량 실내의 공기를 기체 유입부(110)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기체 유입부(110)의 타단은 방열부(106)를 경유하여 기체 배출부(11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기체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냉기 또는 온기는 저장 용기(102)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다가 방열부(106)에서 열 교환된 후, 기체 배출부(112)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 경우, 냉난방 장치(미도시)의 냉기 또는 온기를 이용하여 저장 용기(102)를 냉각 또는 가열할 뿐만 아니라, 방열부(106)의 방열 기능을 향상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기체 배출부(112)는 방열부(106)에서 열 교환된 기체를 시트 쿠션(14)의 하부 공간(S)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기체 배출부(112)의 일단은 기체 유입부(110)와 연통하여 형성되며, 기체 배출부(112)의 타단은 시트 쿠션(14)의 하부 공간(S)에 형성 될 수 있다. 기체 배출부(112)는 제1 배출구(112-1) 및 제2 배출구(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열부(106)에서 열 교환된 기체는 제1 배출구(112-1) 및 제2 배출구(112-2)를 통해 분산되어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는, 기체 배출부(112)가 두 개의 배출구(112-1, 112-2)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체 배출부(112)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는, 기체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냉난방 장치(미도시)의 냉기 또는 온기가 저장 용기(102)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다가 방열부(106)에서 열 교환된 후, 기체 배출부(112)를 통해 배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체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냉난방 장치(미도시)의 냉기 또는 온기가 저장 용기(102)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한 후, 바로 기체 배출부(112)를 통해 배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용 저장고 장치(100)는 열전 소자(104), 방열부(106), 및 방열팬(108) 없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기체 유입부(110) 및 기체 배출부(1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에어 필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좌석의 하부로 배출되는 냉기 또는 온기의 청정도를 높일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냉기 또는 온기가 차량 내부로 배출되더라도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기체 유입부(110) 및 기체 배출부(1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이온 발생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용 저장고 장치(200)는 저장 용기(202), 열전 소자(204), 방열부(206), 방열팬(208), 기체 유입부(210), 기체 배출부(212), 및 저장 용기 하우징(21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 용기(202) 및 저장 용기 하우징(214)은 차량용 저장고 장치(200)의 저장부를 이루게 된다. 열전 소자(204), 방열부(206), 및 방열팬(208)은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저장 용기 하우징(214)은 저장 용기(202)를 수납한다. 이때, 저장 용기(202)와 저장 용기 하우징(214)은 이격되어 형성된다. 저장 용기(202)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핀(221)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열전도 핀(221)은 저장 용기(202)의 외주면 상단 및 하단에 저장 용기(202)의 외주면을 따라 각각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용기(202)와 저장 용기 하우징(214) 사이에는 저장 용기(202)의 외주면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열전도 핀(221)에 의해 기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열전도 핀(221)은 기체 유입부(210)를 통해 냉기 또는 온기가 유입될 때, 냉기 또는 온기가 저장 용기(202)와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 주어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는, 열전도 핀(221)이 저장 용기(202)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어 저장 용기(202)와 저장 용기 하우징(214) 사이에서 하나의 기체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전도 핀(221)은 그 이외의 보다 많은 개수가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저장 용기(202)와 저장 용기 하우징(214) 사이에 여러 개의 기체 이동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기체 유입부(210)는 저장 용기 하우징(214)의 일측에 형성된다. 기체 유입부(210)의 일단은 냉난방 장치(미도시)에서 토출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유입한다. 이때, 기체 유입부(210)의 타단은 저장 용기 하우징(214)에 연결된다. 또한, 기체 유입부(210)는 차량 실내 공기를 유입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체 유입부(210)를 통해 유입되는 냉난방 장치(미도시)의 냉기 또는 온기는 저장 용기(202)와 저장 용기 하우징(214) 사이의 기체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저장 용기(202)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며, 방열부(206)에서 열 교환된 후 기체 배출부(212)를 통해 시트 쿠션(14)의 하부 공간(S)으로 분산되어 배출된다. 또한, 기체 배출부(212)는 열 교환된 기체를 시트 백(11)의 후방으로 배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기체 유입부(210)가 저장 용기 하우징(214)의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체 유입부(210)는 저장 용기 하우징(214)을 통과하여 저장 용기(20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체 유입부(210)를 통해 냉난방 장치(미도시)의 냉기 또는 온기가 저장 용기(202) 내부로 직접 유입되게 된다. 그러면, 저장 용기(202) 내에 수납된 물품을 냉난방 장치(미도시)의 냉기 또는 온기로 직접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기서는 기체 유입부(210)가 저장 용기 하우징(214)의 일측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체 유입부(210)는 기체 배출부(212)의 일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체 유입부(210)를 통해 냉난방 장치(미도시)의 냉기 또는 온기가 방열부(206)로 직접 공급되어 방열부(206)의 방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저장 용기(202)와 저장 용기 하우징(214)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단열 부재가 형성되어 저장 용기(202)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장고 장치(200)는 단열 부재가 형성되는 공간을 기체 이동 통로로 이용함으로써, 냉난방 장치에서 발생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저장 용기(202)로 공급하여 저장 용기(202)의 온도를 조절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저장 용기(202)와 저장 용기 하우징(214) 사이의 공간 중 일부는 기체 이동 통로로 이용하고, 다른 일부에는 단열 부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장 용기(202)와 저장 용기 하우징(214) 사이의 공간 중 상측은 기체 이동 통로로 이용하고, 하측은 단열 부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 차량용 저장고 장치 102, 202 : 저장 용기
104, 204 : 열전 소자 106, 206 : 방열부
108, 208 : 방열팬 110, 210 : 기체 유입부
112, 212 : 기체 배출부 112-1 : 제1 배출구
112-2 : 제2 배출구 120 : 송풍팬
214 : 저장 용기 하우징 221 : 열전도 핀

Claims (15)

  1. 물품을 수납하는 저장 용기;
    상기 저장 용기의 인근에 형성되고, 일단에서 냉난방 장치의 냉기 또는 온기 및 차량 실내 공기 중 어느 하나를 유입하는 기체 유입부; 및
    상기 저장 용기의 일측에서 상기 기체 유입부와 연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기체 유입부로 유입된 기체를 상기 차량의 좌석과 상기 차량의 샤시 사이로 배출하는 기체 배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배출부는,
    상기 기체 유입부로 유입된 기체를 상기 차량의 좌석 하부로 배출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저장고 장치는,
    상기 기체 유입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는,
    상기 저장 용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의 배면에 형성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방열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체 유입부의 타단은 상기 방열부 및 상기 방열팬을 경유하여 상기 기체 배출부와 연통되고, 상기 기체 배출부는 상기 방열부에서 열 교환된 기체를 상기 차량의 좌석과 상기 차량의 샤시 사이로 배출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저장고 장치는,
    상기 기체 유입부 및 상기 기체 배출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에어 필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저장고 장치는,
    상기 기체 유입부 및 상기 기체 배출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이온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7. 저장 용기 및 상기 저장 용기를 수납하며 상기 저장 용기와 이격되는 저장 용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저장부;
    일측이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고, 타측에서 냉난방 장치의 냉기 또는 온기 및 차량 실내 공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저장부로 유입하는 기체 유입부; 및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기체 유입부로 유입된 기체를 상기 차량 좌석과 상기 차량 샤시 사이로 배출하는 기체 배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배출부는,
    상기 기체 유입부로 유입된 기체를 상기 차량의 좌석 하부로 배출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저장고 장치는,
    상기 기체 유입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저장고 장치는,
    상기 저장 용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의 배면에 형성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방열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체 배출부는 상기 저장부로 유입되어 상기 방열부에서 열 교환된 기체를 상기 차량 좌석과 상기 차량 샤시 사이로 배출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저장 용기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 핀을 포함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유입부의 일측은 상기 저장 용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기체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기체는 상기 저장 용기와 상기 저장 용기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열전도 핀을 통해 형성된 기체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저장 용기에 열을 전달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유입부의 일측은,
    상기 저장 용기 하우징을 통과하여 상기 저장 용기에 연결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저장고 장치는,
    상기 기체 유입부 및 상기 기체 배출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에어 필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저장고 장치는,
    상기 기체 유입부 및 상기 기체 배출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이온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저장고 장치.
KR1020120028283A 2012-03-20 2012-03-20 차량용 저장고 장치 KR20130106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283A KR20130106615A (ko) 2012-03-20 2012-03-20 차량용 저장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283A KR20130106615A (ko) 2012-03-20 2012-03-20 차량용 저장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615A true KR20130106615A (ko) 2013-09-30

Family

ID=49454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283A KR20130106615A (ko) 2012-03-20 2012-03-20 차량용 저장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66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9255A1 (ko) * 2013-12-26 2015-07-02 주식회사 대창 컵 홀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9255A1 (ko) * 2013-12-26 2015-07-02 주식회사 대창 컵 홀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6987B2 (en) Heating and cooling cup holder
KR101319434B1 (ko)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자동차 후석측 냉온장장치
USRE41295E1 (en) Motor vehicle temperature controlled compartment
KR101592708B1 (ko) 냉온장 컵홀더
JP4213465B2 (ja) 温度制御式貯蔵システム
US10065544B2 (en) Vehicle seat with thermal device
US7073338B2 (en) Thermally controlled storage space system for an interior cabin of a vehicle
CN112644247A (zh) 用于车辆区域的热调节系统和方法
US9163863B1 (en)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KR101344526B1 (ko) 차량용 냉온장 장치
JP5531438B2 (ja) 車両用シート
KR20120066212A (ko) 자동차의 냉온장고
KR101344711B1 (ko) 암레스트 냉온장고 장치
KR20140141961A (ko) 차량의 수납기구
KR101349723B1 (ko)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KR20130106615A (ko) 차량용 저장고 장치
KR20180066452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20140084759A (ko) 차량용 저장고 장치
WO2018150783A1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154518B1 (ko) 차량용 냉난방 시트
KR101534584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GB2390586A (en) A cup holder for a motor vehicle
KR101154614B1 (ko) 차량 후석 사용자를 위한 냉온장 장치
KR20130133516A (ko) 차량용 저장고 장치
KR100756987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에 설치된 냉온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