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866A - 발목 관절용 붕대 - Google Patents

발목 관절용 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866A
KR20160129866A KR1020167026988A KR20167026988A KR20160129866A KR 20160129866 A KR20160129866 A KR 20160129866A KR 1020167026988 A KR1020167026988 A KR 1020167026988A KR 20167026988 A KR20167026988 A KR 20167026988A KR 20160129866 A KR20160129866 A KR 20160129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wearer
main body
ankle joint
band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2387B1 (ko
Inventor
아키하루 쓰치야
히토시 오지마
히데노리 가세노
Original Assignee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9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 A61F13/065Looped bandages around the fore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 A61F13/06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for the an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19Wound bandages 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53Wound bandages coloured or with decoration pattern or printing

Abstract

발목 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착용자의 보행성을 높일 수 있는 테이핑 기능을 가지는 발목 관절용 붕대를 제공한다. 발목 관절용 붕대(100)는, 면 파스너의 루프면(10c)을 가지는 직물로 직성되고, 착용자의 발목에 권취되는 권취부(11), 착용자의 발등으로부터 발목까지 배치되는 제1 지지부(12), 및 착용자의 발등의 상부에서 제1 지지부(12)에 교차하여 착용자의 발목으로부터 발등까지 배치되는 제2 지지부(13)로 이루어지는 밴드형의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일단(10a)에 접합되고, 면 파스너의 루프면(23)을 가지는 직물로 직성되고, 착용자의 중족골에 대응하는 부분에 체결하는 앵커부(20)와, 본체부(10)의 타단(10b)에 접합되고, 앵커부(20)의 루프면(23)에 착탈 가능한되는 면 파스너의 훅면(33)을 가지는 계착부(3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발목 관절용 붕대{ANKLE JOINT BANDAGE}
본 발명은, 착용자의 일상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 발목 관절용 붕대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발목 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하퇴 삼두근(三頭筋)(장딴지)의 피로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아킬레스건, 하퇴 삼두근 및 발목 관절 외측(인대)의 동통(疼痛)을 완화시키는 테이핑(taping) 기능을 가지는 발목 관절용 붕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손목 관절, 발목 관절(ankle joint) 또는 무릎 관절(knee joint)의 염좌(捻挫; sprain) 등의 외상 예방, 이들의 외상을 입었을 때의 응급 처치, 부상을 입은 후부터 완전 회복까지의 사회 복귀 요법의 보조, 또는 외상 등의 재발 예방 등의 의료용의 목적에 대응하기 위해, 밴드형의 테이핑 테이프[신체의 부분에 접착하여 사용하는 신축성(伸縮性) 또는 비신축성(非伸縮性) 점착포(粘着布) 테이프] 또는 붕대나 환편(丸編)으로 편성(編成)된 대략 통형(筒形)의 서포터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 테이핑 테이프는, 일회용이므로 경제적이 아니고, 사용자의 체질에 따라서는 점착제(粘着劑)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발진이 생기게 되고, 또한 고령자 등의 피부가 약한 사용자에는 테이핑 테이프를 벗길 때 표피 박리(剝離)가 생기게 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환편의 서포터는, 대략 통형이므로, 부상을 입은 부위를 무리하게 굽혀 삽입으로 하는 경우에 통증을 수반할 우려가 있는 데다, 테이핑 테이프와 비교하여 고정력이 뒤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붕대는, 경사(warp)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밴드형 직물이므로, 환부에 추종하기 쉽고, 착용자 자신이 고정력을 조정하면서 권취시킬 수 있어, 착용자의 몸의 동작에 대하여 무리한 힘이 걸리지 않아, 안정된 고정력이 얻어져, 반복 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다.
예를 들면, 종래의 발목 교정구는, 발의 엄지 또는 그 외의 발가락에 걸리는 걸림부와, 발목에 환형(環形)으로 권취되어 고정되고, 상기 권취의 방향을 따라 신축되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밴드형의 환형 권취부와, 이들 걸림부와 환형 권취부를 연결하여, 발의 엄지 또는 그 외의 발가락으로부터 발목에 걸쳐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상기 권취의 방향을 따라 신축되는 가요성을 가지는 밴드형의 나선(螺旋) 권취부와, 환형 권취부 및 나선 권취부와 걸림부와의 사이에서 절곡된 절곡 나선 권취부를 구비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 제2011-45628호 공보
종래의 발목 교정구는, 발의 엄지 또는 그 외의 발가락을 삽입하는 걸림부를 앵커로 함으로써, 발의 발가락으로부터 발목에 걸쳐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발목의 외선(external rotation) 또는 내선(internal rotation)을 교정하는 것이며, 발목의 관절 전체를 안정시키기 위한 테이핑[피겨 에이트부(figure-eight)]를 의도한 것은 아니다.
또한, 종래의 발목 교정구는, 발의 엄지 또는 그 외의 발가락 중 1개의 발가락에만 걸림부를 삽입하므로, 다른 발가락과 비교하여 걸림부의 생지(生地; cloth)의 두께분만큼 걸림부를 삽입한 발가락이 높아져, 발목 교정구를 장착하여 보행할 때 발 뒤에 위화감(sense of discomfort)이 생기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발목 교정구는, 고무판의 표리면(表裏面)에 천[면 파스너 천(touch fastener cloth), 통상 천]이 접합 고정되어 있는 소재를 환형 권취부에 사용하고 있어, 환형 권취부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는, 절곡 나선 권취부, 환형 권취부 및 나선 권취부의 최대 신장도의 구체적인 개시는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발목 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착용자의 보행성을 높일 수 있는 테이핑 기능을 가지는 발목 관절용 붕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발목 관절용 붕대에 있어서는, 직물로 직성(織成)되고, 착용자의 발목에 권취되는 권취부, 착용자의 발등으로부터 발목까지 배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착용자의 발등의 상부에서 제1 지지부에 교차하여 착용자의 발목으로부터 발등까지 배치되는 제2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밴드형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일단(一端)에 접합되고, 면 파스너의 루프면(loop face)을 가지는 직물로 직성되고, 착용자의 중족골(中足骨; metatarsal bone)에 대응하는 부분에 체결하는 앵커부(anchor part)와, 본체부의 타단에 접합되고, 앵커부의 루프면에 착탈(着脫) 가능한 면 파스너의 훅면(hook face)을 가지는 계착부(engaging part)를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배치(being disposed)」란 「사람(착용자의 부위)에 대한 소정의 위치에 닿아 멈추어 두는 것」을 의미하고, 「형성(being provided)」란 「물품(object; 발목 관절용 붕대)에 대한 소정의 위치에 형성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관한 발목 관절용 붕대에 있어서는, 발목 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하퇴 삼두근의 피로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아킬레스건, 하퇴 삼두근 및 발목 관절 외측(인대)의 동통을 완화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오른발 내반염좌(內反捻挫; varus sprain) 예방용의 발목 관절용 붕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배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에 나타낸 본체부 및 앵커부에 무늬(pattern)를 형성한 발목 관절용 붕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배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좌측면도이며, (b)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우측면도이며, (c)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평면도이며, (d)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저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본체부를 환형으로 나타낸 좌측면도이며, (b)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본체부를 환형으로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에 나타낸 앵커부의 센터 마크를 정면 중앙에 위치시킨 정면도이며, (b)는 도 1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착용 상태를 좌측 전방으로부터 본 설명도이며, (b)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착용 상태를 정면측으로부터 본 설명도이며, (c)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착용 상태를 좌측 후방으로부터 본 설명도이며, (d)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착용 상태를 우측 전방으로부터 본 설명도이다.
도 7의 (a)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앵커부에 오른발의 발끝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b)는 본체부를 오른발의 내측 복사뼈로부터 발목으로 반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c)는 도 7의 (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발목으로 다시 반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d)는 오른발의 외측 복사뼈(external malleolus)로부터 제1 발가락 측에 걸쳐 발등에서 본체부를 배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왼발 내반염좌 예방용의 발목 관절용 붕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도 8의 (a)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배면도이다.
도 9의 (a)는 도 8의 (a)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좌측면도이며, (b)는 도 8의 (a)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우측면도이며, (c)는 도 8의 (a)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평면도이며, (d)는 도 8의 (a)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저면도이다.
도 10의 (a)는 도 8의 (a)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본체부를 환형으로 나타낸 좌측면도이며, (b)는 도 8의 (a)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본체부를 환형으로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11의 (a)는 도 1에 나타낸 본체부 및 앵커부의 루프면의 직물 조직(組織)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b)는 도 11의 (a)에 나타낸 직물 조직의 화살표 A-A'선의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12의 (a)는 도 2에 나타낸 본체부 및 앵커부의 루프면 및 무늬 부분의 직물 조직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b)는 도 12의 (a)에 나타낸 직물 조직의 화살표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낸 본체부의 최대 신장도의 상위에 따른 효과감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14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오른발 내반염좌 예방용의 다른 발목 관절용 붕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도 14의 (a)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의 배면도이다.
도 15의 (a)는 도 14의 (a) 및 도 14의 (b)에 나타낸 본체부의 표지면(表地面; front ground face)의 직물 조직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b)는 도 15의 (a)에 나타낸 직물 조직의 화살표 C-C'선의 단면도이다.
도 16의 (a)는 면 파스너의 루프면을 가지고 있지 않은 본체부의 무늬 부분의 직물 조직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b)는 도 16의 (a)에 나타낸 직물 조직의 화살표 D-D'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에 있어서, 붕대란 「경사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밴드형 직물을 주재료로 하고, 상기 밴드형 직물이 신체의 일부에 권취됨으로써, 상기 신체의 기능을 보조할 수 있는 것」를 의미하고, 이와 같은 효력을 가지는 것이면, 붕대라고 표현되어 있지 않아도(예를 들면, 테이핑 서포터, 서포터 밴드 등) 본 발명의 붕대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발목 관절용 붕대(100)는, 도 1∼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 파스너의 루프면(10c)을 가지는 직물로 직성되고, 착용자의 발목에 권취되는 권취부(11), 착용자의 발등으로부터 발목까지 팽팽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는 제1 지지부(12), 및 착용자의 발등의 상부에서 제1 지지부(12)에 교차하여 착용자의 발목으로부터 발등까지 팽팽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는 제2 지지부(13)로 이루어지는 밴드형의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일단(10a)에 접합되고, 면 파스너의 루프면(23)을 가지는 직물로 직성되고, 착용자의 중족골에 대응하는 부분에 체결되는 앵커부(20)와, 본체부(10)의 타단(10b)에 접합되고, 앵커부(20)의 루프면(23)에 착탈하는 면 파스너의 훅면(33)을 가지는 계착부(30)를 구비한다.
앵커부(20)는, 착용자의 중족골에 대응하는 부분에 체결함으로써, 착용자의 발목 관절에 대하여 발목 관절용 붕대(100)를 위치결정하는 동시에, 피겨 에이트부를 구성하는 본체부(10)의 하부 앵커로 된다.
본체부(10) 및 앵커부(20)는, 밴드형으로서, 니들 직기(needle loom)나 자카드(jacquard) 니들 직기 등의 역직기(power loom)에 의해, 경사(1) 및 위사(weft)(2)를 조합시켜 직성되고, 경사 방향(길이 방향 L, 주위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위사 방향(폭 방향 W)의 신축성을 억제한 세폭의 신축(伸縮) 직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부(10)는, 착용자의 발목에 권취되는 권취부(11), 착용자의 발등으로부터 발목까지 팽팽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는 제1 지지부(12), 및 착용자의 발등의 상부에서 제1 지지부(12)에 교차하여 착용자의 발목으로부터 발등까지 팽팽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는 제2 지지부(13)로 구성되며, 제1 지지부(12)가 본체부(10)의 일단(10a) 측에 형성되고, 제2 지지부(13)가 본체부(10)의 타단(10b) 측에 형성되고, 권취부(11)가 제1 지지부(12) 및 제2 지지부(13) 사이에 형성되고, 또한 제1 지지부(12), 권취부(11) 및 제2 지지부(13)가 같은 폭의 직선형이다.
또한,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경사(1)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사(2)와 함께 직물의 하나의 면[예를 들면, 안감면(back ground face)]을 구성하는 경지사(warp ground yarn)(1a)와, 경사 방향에서 인접하는 복수의 위사(2) 상으로 떠올라 직물의 다른 면[예를 들면, 표지면(front ground face)]에 루프를 형성하는 파일사(pile yarn)(1b)와, 경사 방향으로 신축성을 부여하는 탄성사(elastic yarn)(1c)를 구비한다. 이후,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본체부(10)의 루프면(10c) 및 앵커부(20)의 루프면(23)을 가지는 면을 「표지면」이라고 하고, 그 배면을 「안감면」이라고 한다.
위사(2)는, 경지사(1a)와 함께 직물의 안감면을 구성하는 위지사(weft ground yarn)(2a)와, 위지사(2a)에 병설되는 열융착성을 가지는 융착사(2b)를 구비하고, 1개의 위지사(2a) 및 1개의 융착사(2b)를 병설하여 2개의 위사(2)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는, 1개의 위지사(2a) 및 1개의 융착사(2b)를 1개의 위사(2)로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1의 (b) 및 도 12의 (b)에 있어서는, 병설되는 위사(2)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이 표지면으로 되고, 하측이 안감면으로 된다.
또한, 본체부(10) 및 앵커부(20)는, 자카드 니들 직기를 사용함으로써,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위사(2)에 대하여, 경사(1)의 경지사(1a)를 표지면 측에 떠올리고, 경사(1)의 파일사(1b)를 안감면 측으로 가라앉게 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유롭게 개구되는 쟈가드 조직에 의해, 문자, 도형, 기호,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무늬(14)를 표지면에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무늬(14)의 영역을 제외하고, 표지면의 거의 전체면에 루프[루프면(10c)], 루프면(23)을 가지는 것이 된다.
다음에, 도 11을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직물 조직의 일례를 설명한다. 즉, 루프면(10c)[루프면(23)]을 이루는 경지사(1a)는,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인접하는 3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와의 1-3의 교차 부침(浮沈)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루프면(10c)[루프면(23)]을 이루는 파일사(1b)는,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6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인접하는 2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고, 인접하는 2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인접하는 2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와의 6-2-2-2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루프면(10c)[루프면(23)]을 이루는 탄성사(1c)는,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1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와의 1-1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낸 경지사(1a), 파일사(1b) 및 탄성사(1c)에 의한 직물 조직은, 일례이며, 표지면에 루프[루프면(10c), 루프면(23)]을 가질 수 있는 것이면, 이 직물 조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도 12를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에 형성하는 무늬(14)의 직물 조직의 일례를 설명한다. 즉, 무늬(14)를 이루는 경지사(1a)는,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3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1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와의 3-1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무늬(14)를 이루는 파일사(1b)는,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고, 인접하는 2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는,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와의 2-2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무늬(14)를 이루는 탄성사(1c)는,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1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와의 1-1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낸 경지사(1a), 파일사(1b) 및 탄성사(1c)에 의한 직물 조직은, 일례이며, 표지면의 루프면(10c, 23)의 사이에 무늬(14)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이 직물 조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체부(10) 및 앵커부(20)는, 경사(1) 및 위사(2)의 재질[특히, 탄성사(1c) 및 위지사(2a)의 굵기] 및 위사(2)의 타입(打入; picking) 횟수(개수)에 의해,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최대 신장도란, 「최고 하중으로 잡아당겼을 때의 최장의 길이(신장 치수)와 원래의 길이(lay-flat size)라는 차이의, 원래의 길이에 대한 백분율」을 나타낸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는, 후술하는 관능 평가의 총합적 판단의 결과로부터, 40%∼8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5%∼75%가 더욱 바람직하고, 60%가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최대 신장도를 60%로 설정한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경지사(1a)는, 굵기 100번째의 울리 나일론 쌍사(wooly nylon two-fold yarn)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 및 앵커부(20)에는, 132개의 울리 나일론 쌍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파일사(1b)는, 10개의 나일론 필라멘트를 꼬아 합하여 열을 가하고, 다시 10개의 나일론 필라멘트의 꼰 방향(twisting direction)과 반대 방향으로 꼬아 가공한 굵기 210 데니어(denier)의 특수 가공사(210D-10F)이며,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 및 앵커부(20)에는, 132개의 특수 가공사(210D-10F)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탄성사(1c)는, 굵기 560 데니어의 폴리우레탄사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 및 앵커부(20)에는, 36개의 폴리우레탄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경사(1)의 재질에서의 본체부(10) 및 앵커부(20)는, 예를 들면, 폭이 5cm이면, 경사(1)[경지사(1a), 파일사(1b), 탄성사(1c)]에 의한 경밀도(經密度; warp density)가, 1485.6D/㎜[=((210D×132개)+(100D×2개×132개))+(560D×36개)/50㎜]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파일사(1b)는, 필라멘트 카운트가 10개인 것에 의해, 필라멘트 카운트가 로우 카운트(low count)(예를 들면, 7개)의 경우와 비교하여, 밀집하는 필라멘트의 접착력이 높아, 직물[본체부(10), 앵커부(20)]의 감촉이 유연(soft)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탄성사(1c)는, 굵기를 560 데니어로 함으로써, 굵은 탄성사(예를 들면, 1120 데니어)의 경우와 비교하여, 직물[본체부(10), 앵커부(20)]의 두께를 얇게 하여 직물 자체를 유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위지사(2a)는, 굵기 15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울사(EW: polyester woolly) 1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융착사(2b)에는, 굵기 100 데니어의 나일론 열 융착사(예를 들면,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엘더(Elder)(등록상표」) 1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 및 앵커부(20)에는, 역직기에 의해 1개의 위지사(2a) 및 1개의 융착사(2b)가 위사(2)로서 동시에 타입되고,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의 타입 횟수(개수)가 2.54cm(1인치)당 36.9회(각 36.9개)이다.
즉, 전술한 위사(2)의 재질 및 타입 횟수(개수)에서의 본체부(10) 및 앵커부(20)는, 위사(2)(폴리에스테르 울사, 나일론 열 융착사)에 의한 위밀도(緯密度; weft density)가, 9225D/인치[=(150D+100D)×36.9회/인치]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위사(2)의 위지사(2a)는, 굵기를 150 데니어로 함으로써, 굵은 위사의 위지사(예를 들면, 300 데니어)의 경우와 비교하여, 직물[본체부(10), 앵커부(2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 및 앵커부(20)는, 전술한 경사(1) 및 위사(2)의 재질[특히, 탄성사(1c) 및 위지사(2a)의 굵기] 및 위사(2)의 타입 횟수(개수)에 의해, 경사 방향(길이 방향 L, 주위 방향)의 최대 신장도를 60%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탄성사(1c)의 굵기에 대해서는, 560 데니어를 일례로서 들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입수(양산) 가능한 1 랭크(rank) 하의 굵기의 420 데니어나 1 랭크 상의 굵기의 1120 데니어를 선택하고, 전술한 위사(2)의 굵기 및 타입 횟수(개수)를 변경해도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탄성사(1c)의 굵기는, 420 데니어∼1120 데니어이면,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를 상기 범위 내의 최대 신장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위사(2)의 위지사(2a)의 굵기에 대해서는, 150 데니어를 일례로서 들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입수(양산) 가능한 1 랭크 하의 굵기의 100 데니어나 1 랭크 상의 굵기의 300 데니어를 선택하고, 전술한 탄성사(1c)의 굵기 및 위사(2)의 타입 횟수(개수)를 변경해도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위사(2)의 위지사(2a)의 굵기는, 100 데니어∼300 데니어이면,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를 상기 범위 내의 최대 신장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의 타입 횟수(개수)에 대해서는, 2.54cm(1인치)당 36.9회(각 36.9개)를 일례로서 들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2.54cm당 32.8회(각 32.8개)∼41.0회(각 41.0개)를 선택하고, 전술한 탄성사(1c) 및 위사(2)의 굵기를 변경해도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의 타입 횟수(개수)는, 2.54cm당 32.8회(각 32.8개)∼41.0회(각 41.0개)이면,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를 상기 범위 내의 최대 신장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0)의 두께는, 너무 두꺼운 경우에, 착용자의 발목에 붕대를 권취할 때 커져 감기 어려워지고, 너무 얇은 경우에, 붕대의 직물 자체가 쉽게 접혀져 원하는 고정력이 얻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체부(10)의 두께는, 붕대를 권취하기 쉽고, 원하는 고정력이 얻어지는 두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본체부(10)의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가 60%이면, 3㎜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앵커부(20)의 두께는, 너무 두꺼운 경우에, 착용자의 발 뒤에 위화감이 생기게 하고, 너무 얇은 경우에, 붕대의 직물 자체가 쉽게 접혀 원하는 고정력이 얻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앵커부(20)의 두께는, 착용자의 발 뒤에 위화감이 생기게 하지 않아, 원하는 고정력이 얻어지는 두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앵커부(20)의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가 60%이면, 3㎜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부(20)에는, 착용자의 중족골에 대응하는 부분에 앵커부(20)를 체결한 경우에 외측으로 되는 면(표지면)에 루프[루프면(23)]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본체부(10)에 배치한 계착부(30)[훅면(33)]는, 탈착(脫着)의 용이성 및 계착 위치의 자유도로부터, 본체부(10)의 타단(20b)의 안감면 측에 형성한다.
또한, 본체부(10)는, 피겨 에이트부 및 위쪽 앵커부를 구성하기 위해, 착용자의 발등에서 교차하는 부분[제1 지지부(12) 및 제2 지지부(13)]의 길이와, 착용자의 발목을 적어도 일주(一周)하는 부분[권취부(11)]의 길이가 필요하며, 성별이나 연령 등에 의해 발목의 크기에 개인차는 있지만, 예를 들면, 46cm∼48cm의 길이로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는, 착용자의 발목 관절의 고정을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폭을 필요로 하고, 예를 들면, 3cm∼7c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앵커부(20)는, 착용자의 발부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착용자의 발부에 대한 앵커부(20)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폭을 필요로 하고, 예를 들면, 3cm∼7c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는, 앵커부(20)와 같으며 생지를 사용하여, 면 파스너의 루프면(10c)을 가지는 직물로 직성되어 있지만,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가 원하는 최대 신장도이면, 면 파스너의 루프면(10c)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본체부(10)는, 면 파스너의 루프면(10c)을 가지는 직물로 직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루프면(10c)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미사용 시에 발목 관절용 붕대(100)를 둥글게 하여 계착부(30)의 훅면(33)을 본체부(10)의 루프면(10c)에 계착시켜 컴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는 동시에, 착용자에 따라서는, 계착부(30)의 훅면(33)을 본체부(10)에 계착시켜 발목 관절용 붕대(100)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어, 발목 관절용 붕대(100)의 사용 방법(계착 위치)에 자유도를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부(20)는, 신축 직물인 밴드형체(band-shaped body)의 양단을 서로 접합[예를 들면, 봉합(縫合)]하여 환형으로 형성되고, 특히, 양단의 접합 전의 밴드형체가 등각(等脚) 사다리꼴이며, 양단(사다리꼴의 다리끼리)을 접합함으로써, 양단의 접합 후의 밴드형체가 대략 원뿔통형(conical tube)으로 된다.
이로써, 발목 관절용 붕대(100)는, 착용자의 발의 발끝이 앵커부(20)에 삽입되었을 경우에, 앵커부(20)의 내측면이 발등의 경사에 피트하여, 앵커부(20)의 대략 원뿔통의 대경부(大徑部)(21) 및 소경부(小徑部)(22)에서의 떠오름(float) 및 주름(wrinkle)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앵커부(20)는, 착용자의 발의 발끝을 삽입하여 중족골에 대응하는 부분에 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양단 접합 전의 밴드형체에서의 사다리꼴의 하 바닥의 길이[양단 접합 후의 대략 원뿔통의 대경부(21)의 원주 길이]를 17cm∼21cm로 설정하고, 양단 접합 전의 밴드형체에서의 사다리꼴의 상저(上底)의 길이[양단 접합 후의 대략 원뿔통의 소경부(22)의 원주 길이]를 14cm∼18c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앵커부(20)는, 양단 접합 후의 대략 원뿔통의 대경부(21)와 소경부(22)와의 원주 길이의 차이가 4cm 이상일 경우에, 대경부(21)를 착용자의 발에 피트시켜도 소경부(22)의 원주 길이가 작으므로, 착용자의 발을 압박하게 되고, 반대로, 소경부(22)를 착용자의 발에 피트시켜도 대경부(21)의 원주 길이가 크기 때문에 착용자의 발과 대경부(21)와의 사이에 간극(間隙)이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앵커부(20)는, 양단 접합 후의 대략 원뿔통의 대경부(21)와 소경부(22)와의 원주 길이의 차이가 4cm 미만, 바람직하게는 2.5cm∼3.5c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부(20)는, 양단 접합 후의 대략 원뿔통의 대경부(21)와 소경부(22)와의 원주 길이의 차이를 3cm로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봉제(縫製)의 종류에는, 플랫 시머(flat seamer)(4개 침 봉제), 오버록(overlock), 3점 지그재그 등이 있지만, 본 실시형 형태에 관한 앵커부(20)의 양단끼리의 봉제는, 결합 부분(combined portion)이 얇아져, 솔기(seam; 봉제한 자리)를 눌러넣는 힘(pressing force)에 의해 솔기가 평평하고 튼튼하게 마무리되어, 산형(山型) 재단(裁斷)에 의해 입체에 따르기 용이하고, 생지 이면(裏面)에 솔기가 없으므로, 피부에 봉제 개소(箇所)가 닿지 않아 착용감이 양호하다는 장점을 가지는 플랫 시머로 봉제된다.
또한, 앵커부(20)는, 밴드형체의 양단을 봉제하여 원주 길이의 길이 조정 불가능한 환형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밴드형체의 양단끼리를 봉제하지 않고, 밴드형체의 일단의 안감면에 면 파스너의 훅면을 봉제하여, 앵커부(20)의 원주 길이를 길이 조정 가능하게 해도 된다.
그러나, 앵커부(20)에 면 파스너의 훅면을 봉제하는 것은, 부재 점수의 증가에 의해 발목 관절용 붕대(100)의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동시에, 면 파스너 부분에서의 앵커부(20)의 두께가 두껍게 되어, 발목 관절용 붕대(100)의 착용감 및 미감(美感)을 손상시키므로, 밴드형체의 양단끼리를 봉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부(20) 및 본체부(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앵커부(20)의 주위 방향과 본체부(10)의 길이 방향 L이 이루는 각 θ을 155°로 하여 접합되어 있지만, 발목 관절용 붕대(100)를 착용한 경우에, 본체부(10)가 피겨 에이트부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면, 이 이루는 각 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체부(10)를 일단(10a)으로부터 타단(10b) 측으로 견인(牽引)한 경우에는, 이루는 각 θ이 180°에 가까울수록, 앵커부(20)의 주위 방향(길이 방향)으로 힘이 기능하여 앵커부(20)가 회전함으로써, 이루는 각 θ이 90°에 가까울수록, 앵커부(20)의 폭 방향으로 힘이 기능하여 앵커부(20)가 발등을 따라 밀려 올라가게 된다. 그러므로, 이루는 각 θ의 범위는, 본체부(10)를 일단(10a)으로부터 타단(10b) 측으로 견인한 경우에, 앵커부(20)에 떠올름이 생기지 않고, 접합부(40) 근방에서 본체부(10)가 비틀림(twist)이 없는 상태에서, 앵커부(20)에 대하여 본체부(10)를 경사 후방으로 견인 가능하도록, 발목 관절용 붕대(100)의 사용 방법의 간편함을 고려하여, 145°∼16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앵커부(20)와 본체부(10)의 일단(10a)과의 접합부(40)는, 본체부(10)의 폭 방향 W의 길이보다 길고 본체부(10)의 타단(10b) 측을 볼록하게 하여 봉제된다.
이와 같이, 발목 관절용 붕대(100)는, 접합부(40)가 본체부(10)의 타단(10b) 측을 향해 볼록형으로 봉제되는 것에 의해, 발목 관절용 붕대(100)를 착용자의 발목 관절에 권취하는 경우에, 본체부(10)의 권취(견인) 방향에 대응하여, 접합부(40)에서의 비틀림을 흡수하여, 접합부(40) 근방의 떠오름이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접합부(40)가 대략 삼각형상인 경우에는, 착용자가 발목 관절용 붕대(100)를 착용할 때, 본체부(10)로부터의 인장(引張) 응력에 의해, 삼각형의 정상점(頂点)에 응력이 집중되어, 그 정상점 부분의 생지가 약해져, 봉제 개소가 붕괴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접합부(40)는, 대략 반원 형상으로 함으로써, 본체부(10)로부터의 인장 응력에 대해서도, 응력이 집중되지 않아, 봉제 개소의 붕괴를 억제할 수 있어, 본체부(10)의 견인 방향의 개인차에도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접합부(40) 근방의 떠오름이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앵커부(20)와 본체부(10)의 일단(10a)과의 접합에서는, 본체부(10)의 양 측변에서 봉제하지 않은 것에 의해, 본체부(10)의 양 측변이 앵커부(20)에 고정되지 않아, 본체부(10)의 접합부(40) 근방의 양 측변에서의 직물이 신장(伸長)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목 관절용 붕대(100)는, 착용자의 발목에 대한 본체부(10)의 권취 각도가 다소 변화되어도, 본체부(10)의 접합부(40) 근방의 각 변에서의 직물의 변형(distortion)을 흡수하여, 본체부(10)의 접합부(40) 근방의 각 변에서의 생지의 떠오름이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목 관절용 붕대(100)는,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발의 정확한 위치에 앵커부(20)를 체결시켜, 본체부(10)가 피겨 에이트부를 구성하는 착용자의 발목 관절에 대한 정확한 감는 방법으로 되도록, 마크로서의 솔기에 의한 센터 마크(24)를 앵커부(20)의 접합부(40) 근방에 봉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계착부(30)는, 예를 들면,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과 등각 사다리꼴을 조합한 평면 형상이며, 직사각형 부분(31)이 본체부(10)의 안감면에 봉제되고, 등각 사다리꼴 부분(32)이 본체부(10)의 타단(10b)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계착부(30)는, 등각 사다리꼴 부분(32)이 본체부(10)의 타단(10b)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본체부(10)와 중첩되지 않는 분만큼 얇아져, 등각 사다리꼴 부분(32)을 착용자의 발가락으로 파지(把持)시키기 용이하여, 앵커부(20)의 루프면(23)에 대하여 훅면(33)을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100)의 착용 방법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오른발에 발목 관절용 붕대(100)를 착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착용자의 왼발에 발목 관절용 붕대(100)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도 8,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100)를 사용하여, 이하의 설명의 「오른발」및 「왼손」을 「왼발」및 「오른손」으로 각각 바꾸어 읽어, 착용한다.
착용자는,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목 관절용 붕대(100)의 앵커부(20)에 오른발의 발끝을 삽통(揷通)하고, 중족골에 대응하는 부분까지 압입(押入)하고, 앵커부(20)의 센터 마크(24)를 발등의 중앙에 맞춘다.
그리고, 착용자는, 왼손으로 본체부(10)의 타단(10b)을 파지하면서 본체부(10)를 견인하고, 오른발의 제5 발가락 측으로부터 내측 복사뼈에 걸쳐 발등에서 신장 상태의 본체부(10)[제1 지지부(12)]를 배치시킨다. 그리고, 신장 상태란, 착용자가 발목 관절용 붕대(100)를 착용 후에 권취 위치를 미세 조정 가능하게 하는 신장대를 가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에, 착용자는, 도 7의 (b) 및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손을 사용하여, 신장 상태의 본체부(10)[권취부(11)]를 오른발의 내측 복사뼈로부터 아킬레스건에 대응하는 부분을 통하여 외측 복사뼈의 방향으로 발목에 대하여 1주반만 주회(周回)시킨다.
그리고, 착용자는, 도 7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왼손으로 본체부(10)의 타단(10b)을 파지하면서, 외측 복사뼈로부터 오른발의 제1 손가락 측에 걸쳐 발등에서 신장 상태의 본체부(10)[제2 지지부(13)]를 배치시킨다.
마지막으로, 착용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의 아치(arch)에 위치하는 앵커부(20)의 루프면(23)에 본체부(10)의 타단(10b)에 있는 계착부(30)의 훅면(33)을 계착시켜, 완료한다.
이와 같이, 발목 관절용 붕대(100)는, 착용자의 발의 아치에 위치하는 앵커부(20)에 계착부(30)를 계착시킴으로써, 착용자의 발의 아치를 밀어올릴 수 있어, 착용자의 착용감 및 효과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100)는, 전술한 발목 관절용 붕대(100)의 착용 방법에 있어서, 본체부(10)[제1 지지부(12)]를 오른발의 제5 손가락 측으로부터 내측 복사뼈에 걸쳐 배치시킨 데 더하여 발목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본체부(10)[권취부(11)]를 감고 있다. 그러므로,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100)는, 오른발에 착용한 경우에, 앵커부(20)로부터의 본체부(10)[제1 지지부(12)]의 감기 시작한 방향이 오른발의 외측으로부터 발등을 통하여 내측으로 되고, 발부의 외반 방향(valgus direction)으로 미리 힘을 부여하여, 발목 관절을 내측으로 트위스트함으로써 발병하는 내반염좌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100)는, 왼발에 착용한 경우에, 앵커부(20)로부터의 본체부(10)[제1 지지부(12)]의 감기 시작한 방향이 왼발의 내측으로부터 발등을 통하여 외측으로 되고, 발부의 내반 방향(varus direction)으로 미리 힘을 부여하여, 발목 관절을 외측으로 트위스트함으로써 발병하는 외반염좌를 예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 도 8,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100)에 대해서는, 왼발에 착용하는 경우에, 본체부(10)[제1 지지부(12)]를 왼발의 제5 발가락 측으로부터 내측 복사뼈에 걸쳐 배치시킨 데 더하여 시계 방향으로 본체부(10)[권취부(11)]를 권취하게 된다. 이로써, 도 8,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100)는, 왼발에 착용한 경우에, 앵커부(20)로부터의 본체부(10)[제1 지지부(12)]의 감기 시작한 방향이 왼발의 외측으로부터 발등을 통하여 내측으로 되고, 발부의 외반 방향으로 미리 힘을 부여하여, 발목 관절을 내측으로 트위스트함으로써 발병하는 내반염좌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 8,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100)는, 오른발에 착용한 경우에, 앵커부(20)로부터의 본체부(10)[제1 지지부(12)]의 감기 시작한 방향이 오른발의 내측으로부터 발등을 통하여 외측으로 되고, 내반방향으로 미리 힘을 부여하여, 외반염좌를 예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8,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100)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100)의 본체부(10)의 일단(10a)을, 앵커부(20)에서의 센터 마크(24)를 기준으로 하여 선대칭의 위치에 접합한 것이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목 관절용 붕대(100)의 본체부(10)에서의 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의 최적의 범위에 대하여, 테스트 시험의 시험 결과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테스트 시험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경사(1) 및 위사(2)의 재질 및 위사(2)의 타입 횟수(개수)에 의해 직성된 최대 신장도가 45%, 60% 또는 75%인 본체부(10)(길이: 50cm, 폭: 5cm)와, 앵커부(20)와, 계착부(30)를 구비한 발목 관절용 붕대(100)(이하,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라고 각각 칭함)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최대 신장도가 35% 또는 90%인 본체부(10)(길이: 50cm, 폭: 5cm)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발목 관절용 붕대(이하, 비교예 1 및 비교예 2라고 각각 칭함)를 제작하여, 테스트 시험에 사용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1
테스트 시험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용자의 오른발에 발목 관절용 붕대를 착용하고, 도 13의 평가 항목에서의 착용자의 효과감의 관능 평가(합계 5명)를 실시하였다. 평가 방법은, 먼저는 각 착용자에 의해 각 평가 항목에 대한 관능 평가를 3 단계(3: 매우 양호함, 2: 양호함, 1: 나쁨)로 점수화하여, 각 평가 항목에서의 착용자 전원(5명)의 평균점을 산출하였다. 그 후,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 대하여, 각 평가 항목의 합계점 및 평균점을 산출하여, 총합적으로 평균점이 2점 이상을 급제점(passing mark)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도 13의 평가 항목 「고정력(fixing force)」은, 발목 관절의 저굴 또는 배굴(背屈; dorsal flexion)의 가동역(可動域) 억제력이면, 보행, 주행, 계단의 오르내림 등의 동작에서의 필요 이상으로 힘을 사용하는 발목 관절의 저굴 또는 배굴의 가동역의 억제를 상정하고 있다. 또한, 발부의 내반슬(varus) 및 외반슬(valgus)의 가동역 억제력이면, 스포츠 시의 사이드 스텝(side step)이나 데쉬(dash) 시의 스톱 동작, 단차(段差) 등의 불안정한 장소에서의 안간힘(holding-out) 등의 일상의 동작 시에서의 필요 이상의 힘을 사용하는 경우, 또는 가동역의 한계를 초과하는 동작의 억제를 상정하고 있다.
또한, 도 13의 평가 항목 「통증」에 대하여, 직물의 압박력에 의한 통증이면,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작을 경우에는, 근육 또는 관절의 동작이나 피부의 신축에 직물이 추종할 수 없어, 압박력을 더욱 강하게 느껴 통증을 기억하기 쉬울 것으로 생각되고,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클 경우에는, 가동역을 억제하는 고정력이 약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직물의 경도에 의한 마찰의 통증이면,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작을 경우에는, 근육이나 피부의 동작에 추종할 수 없으므로, 직물과 피부가 마찰되어 통증을 느끼기 쉬울 것으로 생각되고,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클 경우에는, 근육이나 피부에 대하여 부응하도록 직물이 신장되므로, 피부에 대한 트러블이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도 13의 평가 항목 「면 파스너의 벗기기 용이함(ease of peeling-off of touch fastener)」에 대하여, 면 파스너가 벗기기 용이하다는 것은, 힘이 약한 착용자에게도 면 파스너의 착탈(着脫) 사용에 지장이 없는 동시에, 면 파스너의 루프면을 가지는 직물 자체가 딱딱해져 형(shape)이 무너지지(lose) 않게 된다.
또한, 면 파스너가 쉽게 벗겨지지 않는다는 것은, 착용자의 운동 시에, 붕대의 착용 부위에서의 관절의 가동(可動)이나 근육의 팽창에 의해, 면 파스너의 훅면이 루프면으로부터 벗겨지지 않는 반면, 면 파스너의 훅면 및 루프면 사이의 강한 계착력(engaging force)에 의해, 면 파스너의 루프면을 가지는 직물로부터 파일사를 뽑아(pulled out), 면 파스너를 벗겼을 경우에, 파일사가 직물로부터 돌출되어 직물의 보풀이 생기게 된다.
또한, 도 13의 평가 항목 「직물의 밀착성(close contact property of fabric)」에 대하여,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작을 경우에는, 근육이나 피부의 동작에 추종할 수 없으므로, 생지가 밀착되지 않아 피부 저항이 감소하여, 붕대의 효과를 약하게 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클 경우에는, 생지와 피부가 밀착되어 고정되기 쉬워, 피부나 근육의 동작에 피트하여, 붕대의 효과를 얻기 쉬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도 13의 평가 항목 「감기 용이함(ease of winding)」에 대하여,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작을 경우에는, 피부의 곡면에 따르기 어려워, 본체부(10)의 권취가 곤란하다. 또한,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클 경우에는, 직물과 피부가 밀착되어 고정되기 쉽고, 피부나 근육의 동작에 피트하기 쉽지만, 효과적으로 착용하기 위해서는, 본체부(10)를 충분히 늘리면서 감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체부(10)를 충분히 늘리면, 본체부(10)의 타단(10b)을 잡은 손과 앵커부(20)와의 거리가 길게 멀어지므로, 발목 관절에 대한 착용 및 권취가 곤란해진다. 또한, 본체부(10)의 타단(10b)을 앵커부(20)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므로, 소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모색하면서 감는 동작이 생기게 된다.
또한, 도 13의 평가 항목 「고정력의 조정의 용이함(ease of adjustment of fixing force)」에 대하여,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작을 경우에는, 견고한 고정에 적합하지만, 고정력의 조정 가능한 범위가 좁으므로, 힘이 약한 착용자에게 있어 고정력의 조정이 어려워진다.
또한, 도 13의 평가 항목 「직물의 접히기 어려움(difficulty of fabric folding)」에 대하여,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작을 경우에는, 조직(texture)이 막혀져 있으므로, 직물의 단단함(stiffness)도 있어, 직물이 접히기 어렵다. 또한,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클 경우에는, 조직이 비어 있으므로, 직물이 접히기 쉬운 직 조직이며, 직물이 접힘으로써 본체부(10)의 구조가 약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과 같은 평가 항목에 있어서, 실시예 2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모두의 평가 항목에 있어서 양호한 평가 결과를 얻고 있다.
또한, 실시예 3은, 고정력이 약하지만, 다른 평가 항목에 있어서 양호한 평가 결과를 얻고 있다.
또한, 실시예 1은, 통증이 있고, 직물의 밀착성이 나쁘기는 하지만, 다른 평가 항목에 있어서 양호한 평가 결과를 얻고 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대부분의 평가 항목에 있어서 나쁜 평가 결과를 얻고 있다.
이상으로부터, 총합적인 평가 결과로서는, 평균점이 2점 이상인 실시예 1(최대 신장도 45%), 실시예 2(최대 신장도 60%) 및 실시예 3(최대 신장도 75%)이, 본체부(10)로서, 최적임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목 관절용 붕대(100)의 본체부(10)에서의 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는, 40%∼80%가 바람직하고, 45%∼75%가 더욱 바람직하고, 60%가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목 관절용 붕대(100)의 앵커부(20)에 대하여, 면 파스너의 내구성(耐久性) 시험(박리 강도)의 시험 결과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면 파스너의 내구성 시험(박리 강도)에서는, 전술한 관능 평가의 평가 결과에 따라 가장 바람직한 결과인 실시예 2[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가 60%의 앵커부(20)]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신축 직물과 비교했다. 또한, 비교예로서는, 하기의 표 2에 나타낸 경사(1) 및 위사(2)의 재질 및 위사(2)의 타입 횟수(개수)로 이루어지는 시판 중인 신축 직물(이하, 비교예 3, 비교예 4 및 비교예 5라고 각각 칭함)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비교예 3은, 면 파스너로서의 루프면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경사에서의 파일사 및 위사에서의 융착사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표 2]
Figure pct00002
그리고, 실시예 2에서 비교예 3∼5와의 큰 상위점은, 파일사의 필라멘트 카운트의 상위이며, 실시예 2의 10개에 대하여, 비교예 4가 7개이며, 비교예 5가 15개이며, 비교예 3가 파일사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면 파스너의 루프면을 가지고 있지 않다).
면 파스너의 내구성 시험[박리 강도(peeling strength)]은, 일본공업규격의 JIS(L3416) 「면 파스너」의 7.4.2 「박리 강도」에 준거하여, 1000회의 접착·박리의 반복을 행한 실험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pct00003
실시예 2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비율[초기의 박리 강도에 대한 내구(耐久) 시험 후의 박리 강도의 백분율]이 비교예 3∼5와 비교하여 가장 높고, 발목 관절에 권취하여 면 파스너의 훅으로 계착시키는 발목 관절용 붕대(100)에 사용하는 앵커부(20)로서 최적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2는, 내구 시험 후의 박리 강도가 초기의 박리 강도에 대하여 크게 되어 있으므로(유지 비율이 100%를 초과하므로) 발목 관절용 붕대(100)로서 장기간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데 유리하다.
그리고, 파일사의 필라멘트 카운트가 많은 것은, 면 파스너의 훅이 루프에 계착하기 용이해져, 유지 비율이 높아지는 한편, 최대 신장도가 낮아진다.
비교예 5는, 파일사의 필라멘트 카운트가 실시예 2의 파일사의 필라멘트 카운트보다 많은 것이지만, 외관의 보풀을 방지하기 위해 수지가공이 행해져 있으므로, 면 파스너의 훅이 루프에 계착하기 어려워져, 초기의 박리 강도 및 유지 비율이, 실시예 2의 초기의 박리 강도 및 유지 비율보다 낮아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발목 관절용 붕대(100)는, 본체부(10)와 피겨 에이트부를 구성함으로써, 착용자의 거퇴(距腿) 관절을 고정하고, 관절 적합성을 도모하여 발목 관절을 안정시켜, 보행 시에서의 착용자의 발목의 진동을 억제[힐 록(heel lock)]하여, 내반염좌의 방지나 한쪽 발로 설 때의 불안정성 등을 해소하여, 착용자에 의한 안정된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에 의한 피겨 에이트부는, 발목 관절의 배굴 제동을 보조함으로써, 착용자의 중심(重心)을 발끝 세움 방향으로 유도하여, 착용자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에 의한 피겨 에이트부는, 착용자의 발목 관절을 안정시켜, 입각기(立脚期; stance phase)[보행 중의 발이 접지(接地)되고 있는 기간]의 초기에서의 지면(바닥)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보조를 이룰 수가 있다.
특히, 발목 관절용 붕대(100)는, 입각기의 초기에서의 충격 흡수 및 입각기의 중기로부터 후기에 걸친 추진력에 기여할 수 있는 동시에, 좌우(내반 및 외반)의 제동에 의해 발목 관절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발목 관절용 붕대(100)는, 착용자의 발목 관절을 보조함으로써, 아킬레스건의 동통, 하퇴 삼두근의 피로 및 동통, 및 발목 관절 외측(인대)의 동통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발목 관절용 붕대(100)는, 예를 들면,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경사(1)의 경지사(1a)에 녹색의 실을 사용하고,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경사(1)의 파일사(1b)에 흑색의 실을 사용하고,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경사(1)의 탄성사(1c)에 흑색의 실을 사용하고,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위사(2)에 흑색의 실을 사용하는 동시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통의 위사(2)에 대하여 경지사(1a)를 떠올리고 파일사(1b)를 가라앉게 함으로써, 흑색의 표지면에 녹색의 무늬(14)가 형성되고,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표지면의 무늬(14)에 대응하는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안감면의 부분이 흑색으로서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녹색의 안감면에 나타난다.
그리고, 발목 관절용 붕대(100)는, 이들의 색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경사(1)의 파일사(1b)에 무지개색의 7색(빨 주 노 초 파 남 보) 중 어느 1색의 실을 사용하고,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무늬(14)를 제외하고 표지면을 무지개색 중 어느 1색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로써, 발목 관절용 붕대(100)는, 7색의 컬러(color) 변화의 상품군에 의해, 수요자의 구매 의욕을 발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발목 관절용 붕대(100)는, 예를 들면,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경사(1)의 파일사(1b)에 형광색의 실을 사용하여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무늬(14)를 제외하고 표지면을 형광색으로 함으로써, 수요자의 구매 의욕을 발휘하게 하는 동시에, 야간의 외출 시에 착용함으로써, 자동차 등의 헤드 라이트에 비추어져 눈에 띄어, 안전 방재면에도 기여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는, 면 파스너의 루프면(10c)을 가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 파스너의 루프면(10c)을 가지고 있지 않은 신축 직물이라도 된다.
이 경우에, 본체부(10)는, 루프면(10c)을 이루는 파일사(1b)를 필요로 하지 않고, 파일사(1b)에 의한 루프를 유지하는 융착사(2b)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는, 경사(1)를 구성하는 파일사(1b)의 교체에, 전술한 경지사(1a)[이하, 제1 경지사(1a)라고 함)에 대하여 위사(2)와의 교차 부침을 반대로 대응시킨 경지사(1a)[이하, 제2 경지사(1d)라고 함]를 사용하고 있다.
즉, 경사(1)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사(2)와 함께 직물의 하나의 면(예를 들면, 안감면)을 구성하는 제1 경지사(1a)와, 경사 방향으로 신축성을 부여하는 탄성사(1c)와, 위사(2)와 함께 직물의 다른 면(예를 들면, 표지면)을 구성하는 제2 경지사(1d)를 구비한다.
또한, 위사(2)는, 제1 경지사(1a)와 함께 직물의 안감면을 구성하는 위지사(2a)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 15의 (b) 및 도 16의 (b)에 있어서는, 병설되는 위사(2)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이 표지면으로 되고, 하측이 안감면으로 된다.
또한, 본체부(10)는, 자카드 니들 직기를 사용함으로써, 경사 방향(길이 방향 L)과 인접하는 복수의 위사(2)에 대하여, 경사(1)의 제1 경지사(1a)(예를 들면, 녹색의 실)를 표지면 측으로 떠올리고[제2 경지사(1d)](예를 들면, 흑색의 실)를 안감면 측으로 가라앉게 하고), 자유롭게 개구되는 쟈가드 조직에 의해, 문자, 도형, 기호,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무늬(14)를 표지면에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5를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직물 조직의 일례를 설명한다. 즉, 제1 경지사(1a)는,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인접하는 3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와의 1-3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탄성사(1c)는,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와의 1-1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제2 경지사(1d)는,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3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와의 3-1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낸 제1 경지사(1a), 탄성사(1c) 및 제2 경지사(1d)에 의한 직물 조직은, 일례이며, 이 직물 조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도 16을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무늬 부분의 직물 조직의 일례를 설명한다. 즉, 무늬(14)를 이루는 제1 경지사(1a)는,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3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와의 3-1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무늬(14)를 이루는 탄성사(1c)는,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와의 1-1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무늬(14)를 이루는 제2 경지사(1d)는,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인접하는 3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와의 1-3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그리고, 도 16에 나타낸 제1 경지사(1a), 탄성사(1c) 및 제2 경지사(1d)에 의한 직물 조직은, 일례이며, 표지면에 무늬(14)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이 직물 조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체부(10)가 면 파스너의 루프면(11)을 가지고 있지 않은 신축 직물이며, 본체부(10)의 최대 신장도를 60%(1.60배±0.1)로 설정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의 제1 경지사(1a) 및 제2 경지사(1d)는, 굵기 100 데니어의 울리 나일론 쌍사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에는, 152개의 울리 나일론 쌍사를 제1 경지사(1a) 및 제2 경지사(1d)에 각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의 탄성사(1c)는, 굵기 560 데니어의 폴리우레탄사(예를 들면, 도레이·오페론텍스 가부시키가이샤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라이크라(등록상표) 섬유」)에 2개의 굵기 15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울리(EW: polyester woolly) 단사(單絲; single yarn)를 커버링한 커버링사(covering yarn)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에는, 41개의 커버링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의 위지사(2a)는, 굵기 15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울사(EW) 1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에는, 역직기에 의해 1개의 위지사(2a)가 위사(2)로서 타입되고, 위사(2)[위지사(2a)]의 타입 횟수(개수)가 2.54cm(1인치)당 33.6회(33.6개)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는, 전술한 경사(1) 및 위사(2)의 재질[특히, 탄성사(1c) 및 위지사(2a)의 굵기] 및 위사(2)의 타입 횟수(개수)에 의해,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를 60%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는, 나일론 47%, 폴리에스테르 44%, 폴리우레탄 9%의 혼율(混率)이지만, 이 혼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목 관절용 붕대(100)는, 맨살에 직접 권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면, 국제 공개 제2011/090193호 팜플렛에 개시되는 발목 관절 서포터나 양말[풋 커버류(foot covers), 양말류, 스타킹류, 타이츠 및 팬티·스타킹류]를 착용한 발목 관절에 대하여, 발목 관절 서포터 상이나 양말 상에 권취함으로써, 맨살에 대한 발목 관절용 붕대(100)의 미끄러짐을 없게 하여, 발목 관절용 붕대(100)의 작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발목 관절용 붕대(100)를 양말 상에 권취하는 경우에는, 발목 관절용 붕대(100)와 양말을 세트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발목 관절용 붕대(100)를 양말(최대 신장도가 낮은 양말이 바람직함) 상에 권취하는 경우에는, 발목 관절용 붕대(100)의 일 태양(態樣)으로서, 발목 관절용 붕대(100)의 앵커부(20)를 본체부(10)로부터 제거하고, 양말의 발등부 및 발바닥부의 경계에서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본체부(10)의 일단(10a)을 봉제함으로써, 양말의 발끝부를 앵커부(20)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다.
1: 경사
1a: 경지사(제1 경지사)
1b: 파일사
1c: 탄성사
1d: 제2 경지사(2) 위사
2a: 위지사
2b: 융착사
10: 본체부
10a: 일단
10b: 타단
10c: 루프면
11: 권취부
12: 제1 지지부
13: 제2 지지부
14: 무늬
20: 앵커부
21: 대경부
22: 소경부
23: 루프면
24: 센터 마크
30: 계착부
31: 직사각형 부분
32: 등각 사다리꼴 부분
33: 훅면
40: 접합부
100: 발목 관절용 붕대

Claims (7)

  1. 직물로 직성되고, 착용자의 발목에 권취되는 권취부, 상기 착용자의 발등으로부터 발목까지 배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착용자의 발등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지지부에 교차하여 상기 착용자의 발목으로부터 발등까지 배치되는 제2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밴드형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접합되고, 면 파스너의 루프면을 가지는 직물로 직성되고, 상기 착용자의 중족골에 대응하는 부분에 체결되는 앵커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단에 접합되고, 상기 앵커부의 루프면에 착탈하는 면 파스너의 훅면을 가지는 계착부;
    를 포함하는 발목 관절용 붕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가 상기 본체부의 일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본체부의 타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권취부가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지지부, 권취부 및 제2 지지부가 같은 폭의 직선형인, 발목 관절용 붕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최대 신장도가, 40%∼80%인, 발목 관절용 붕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 및 본체부가, 상기 앵커부의 주위 방향과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을 145°∼165°로 하여 접합되는, 발목 관절용 붕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과의 접합부가, 상기 본체부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본체부의 타단측을 볼록하게 봉제되는, 발목 관절용 붕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가, 대략 원뿔통형인, 발목 관절용 붕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문자, 도형, 기호,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무늬가, 상기 본체부의 표지면에 형성되는, 발목 관절용 붕대.
KR1020167026988A 2014-03-03 2015-03-03 발목 관절용 붕대 KR102242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40937 2014-03-03
JPJP-P-2014-040937 2014-03-03
JP2014043639 2014-03-06
JPJP-P-2014-043639 2014-03-06
PCT/JP2015/056221 WO2015133478A1 (ja) 2014-03-03 2015-03-03 足関節用バンデー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866A true KR20160129866A (ko) 2016-11-09
KR102242387B1 KR102242387B1 (ko) 2021-04-19

Family

ID=54055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988A KR102242387B1 (ko) 2014-03-03 2015-03-03 발목 관절용 붕대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751224B2 (ko)
EP (1) EP3115029A4 (ko)
JP (1) JP6728034B2 (ko)
KR (1) KR102242387B1 (ko)
CN (1) CN106163460B (ko)
CA (1) CA2939898A1 (ko)
CL (1) CL2016002198A1 (ko)
EA (1) EA033765B1 (ko)
MY (1) MY186264A (ko)
PH (1) PH12016501721A1 (ko)
SG (1) SG11201607151RA (ko)
TW (1) TWI679008B (ko)
WO (1) WO20151334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070A (ko) * 2018-08-10 2020-02-19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붕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493278U (zh) * 2014-10-21 2015-01-11 Deertex Inc 具有透氣耐磨梭織鞋面之鞋類組件
JP1541684S (ko) * 2015-06-26 2016-01-18
US10799414B1 (en) * 2016-10-20 2020-10-13 Ing Source, Inc. Orthotic ankle garment, and method for stabilizing the lower leg of a wearer
CN108245295B (zh) * 2016-12-28 2021-01-01 北京航空航天大学 拇外翻术后矫形固定护具
RU2674497C1 (ru) * 2018-02-22 2018-12-11 Андр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Резвов Бинт эластичный компрессионный перфорированный
US11351065B2 (en) 2017-07-31 2022-06-07 Andrey Vladimirovich REZVOV Warp-knitted elastic perforated fabric and elastic perforated compression bandage
TWI657811B (zh) * 2018-03-02 2019-05-01 許文華 下肢矯正裝具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73A (ja) * 1984-06-12 1986-01-06 帝人株式会社 サポ−タ−
JPH02139623U (ko) * 1989-04-27 1990-11-21
JP3040425U (ja) * 1997-01-20 1997-08-19 落合株式会社 包 帯
KR20010052324A (ko) * 1998-05-07 2001-06-25 윌리 볼티그, 라이너 엔. 뮐러 압박 붕대
US6811540B1 (en) * 1999-05-05 2004-11-02 Anthony L. Ritchie Ankle wrapping system
US7166760B1 (en) * 1997-06-18 2007-01-23 Talbot Meldon L Ankle brace
JP2011045628A (ja) 2009-08-28 2011-03-10 Masanori Aichi 四肢矯正具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43844A (en) * 1923-01-30 Aech support
US3699959A (en) * 1970-12-16 1972-10-24 William F Garrahan Bandage construction
US3777751A (en) * 1971-11-29 1973-12-11 E Wise Ankle supports
US4085746A (en) * 1976-09-20 1978-04-25 Lenox Hill Brace Shop, Inc. Ankle wrap
US4207885A (en) * 1979-03-07 1980-06-17 Carolon Company Woven elastic compression bandage
US4367733A (en) * 1980-07-24 1983-01-11 Stromgren Lawrence T Ankle support
US4392487A (en) * 1980-08-25 1983-07-12 Selner Allen J Method and apparatus for foot stabilization
US4369775A (en) * 1981-03-06 1983-01-25 Jung Products, Inc. Multi-purpose anatomical support wrap
US4495942A (en) * 1981-12-04 1985-01-29 Palumbo Pasquale M Dynamic ankle brace
JPS5929752Y2 (ja) * 1982-07-29 1984-08-25 啓介 福島 足首用サポ−タ−
US4632105A (en) * 1985-01-11 1986-12-30 Barlow, Inc. Hand and wrist wrap including a thumb loop
US4665909A (en) * 1985-10-15 1987-05-19 Avcor Health Care Products, Inc. Bandage
DE3541350A1 (de) * 1985-11-22 1987-06-04 Pius Voegel Therapiegeraet fuer den menschlichen koerper
US4753228A (en) * 1986-07-14 1988-06-28 Selner Allen J Apparatus for foot stabilization
US4926848A (en) * 1988-09-02 1990-05-22 Shimkus John W Adjustable elastic bandage
DE3840714A1 (de) * 1988-12-02 1990-06-07 Bauerfeind Gmbh Sprunggelenkorthese
JP3040425B2 (ja) * 1990-05-11 2000-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623286Y2 (ja) * 1990-08-03 1994-06-22 賢柱 朴 足関節束帯
JPH0745212Y2 (ja) * 1993-04-30 1995-10-18 アソール株式会社 サポーター
USD403425S (en) * 1998-02-25 1998-12-29 Beiersdorf Ag Support brace for ankle or wrist
DE20005742U1 (de) * 2000-03-28 2001-08-02 Bauerfeind Holding Gmbh Sprunggelenkbandage
US7497839B2 (en) * 2005-08-29 2009-03-03 Swede-O, Inc. Ankle support
JP4374424B2 (ja) * 2005-10-18 2009-12-02 茂 三島 足の健康装具
US20090247921A1 (en) * 2008-03-28 2009-10-01 Weitzen Juli A Foot/ankle wrap and method of treating infirmities and abnormalities of the foot and ankle
DE102009006628A1 (de) * 2009-01-29 2010-08-05 Bauerfeind Ag Sprunggelenkbandage
JP3157527U (ja) * 2009-05-20 2010-02-25 節子 渡部 健康巻き脚絆と足首サポーター
JP5622036B2 (ja) * 2010-07-17 2014-11-12 赤澤 智子 膝ゲートルサポーター及び固定方法
PL2747722T3 (pl) * 2011-09-29 2019-06-28 Andover Healthcare, Inc. System i sposób leczenia owrzodzeń nóg
US20130310723A1 (en) * 2012-05-15 2013-11-21 Yueh-Hua Chiang Heel protection band
JP6004781B2 (ja) * 2012-06-28 2016-10-12 岡本株式会社 上肢用編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73A (ja) * 1984-06-12 1986-01-06 帝人株式会社 サポ−タ−
JPH02139623U (ko) * 1989-04-27 1990-11-21
JP3040425U (ja) * 1997-01-20 1997-08-19 落合株式会社 包 帯
US7166760B1 (en) * 1997-06-18 2007-01-23 Talbot Meldon L Ankle brace
KR20010052324A (ko) * 1998-05-07 2001-06-25 윌리 볼티그, 라이너 엔. 뮐러 압박 붕대
US6811540B1 (en) * 1999-05-05 2004-11-02 Anthony L. Ritchie Ankle wrapping system
JP2011045628A (ja) 2009-08-28 2011-03-10 Masanori Aichi 四肢矯正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070A (ko) * 2018-08-10 2020-02-19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붕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033765B1 (ru) 2019-11-22
CA2939898A1 (en) 2015-09-11
CN106163460A (zh) 2016-11-23
CN106163460B (zh) 2019-09-27
KR102242387B1 (ko) 2021-04-19
CL2016002198A1 (es) 2017-05-05
US10751224B2 (en) 2020-08-25
MY186264A (en) 2021-06-30
WO2015133478A1 (ja) 2015-09-11
TW201538144A (zh) 2015-10-16
EP3115029A4 (en) 2017-11-15
JP6728034B2 (ja) 2020-07-22
EP3115029A1 (en) 2017-01-11
SG11201607151RA (en) 2016-10-28
PH12016501721A1 (en) 2016-10-03
TWI679008B (zh) 2019-12-11
EA201691770A1 (ru) 2016-12-30
JPWO2015133478A1 (ja) 2017-04-06
US20170079847A1 (en)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9866A (ko) 발목 관절용 붕대
US9526651B2 (en) Lower leg supporter
TWI549616B (zh) Foot joint support belt
US10751211B2 (en) Knee supporter
WO2011090191A1 (ja) フートウェア
WO2019159281A1 (ja) 踵足首サポーター
JP2007332469A (ja) 靴下又は筒状の下肢用サポーター
TWI691312B (zh) 手關節用繃帶
US20220047005A1 (en) Dynamic Socks and Associated Methods
JP2002013005A (ja) ハイソックス
JP2010057852A (ja) 足関節装具
WO2020234664A1 (en) Wearable tubular textile article
JP3237255U (ja) 足関節用サポーター
JP2002266104A (ja) 靴下とその製造方法
CN115335022A (zh) 下肢矫正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