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174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174A
KR20160129174A KR1020150060608A KR20150060608A KR20160129174A KR 20160129174 A KR20160129174 A KR 20160129174A KR 1020150060608 A KR1020150060608 A KR 1020150060608A KR 20150060608 A KR20150060608 A KR 20150060608A KR 20160129174 A KR20160129174 A KR 20160129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my pattern
pixel
pattern
pixel array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2255B1 (ko
Inventor
김태준
김성은
홍민종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0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255B1/ko
Priority to US14/963,528 priority patent/US10115337B2/en
Priority to JP2016080816A priority patent/JP6867752B2/ja
Priority to CN201610251500.1A priority patent/CN106098727B/zh
Publication of KR20160129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13Details of dummy pixels or dummy lines in fla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3Compensation electrodes or other additional electrodes in matrix displays related to distortions or compensation signals, e.g. for modifying TFT threshold voltage in column dri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8Fault-tolerant or redundant circuits, or circuits in which repair of defects is prepa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신호선;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신호선에 연결되며 좌우 대칭하는 한 쌍의 화소가 행렬(matrix)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화소 어레이; 비표시 영역에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캔 구동회로 및 데이터 구동회로;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화소 어레이의 외곽을 따라 상기 화소 어레이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단일 또는 둘 이상의 배선으로 구성되는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패널 외곽 영역의 불량 방지를 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에는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신호선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가 배치된다. 복수의 신호선은 스캔 신호를 전달하는 스캔선과,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선과, 구동 전압(ELVDD)을 전달하는 구동 전압선을 포함한다. 스캔선은 대략 행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데이터선과 구동 전압선은 대략 열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복수의 스캔선과 복수의 데이터선은 표시 영역 바깥의 비표시 영역에서 스캔 구동회로 및 데이터 구동회로와 각각 연결되어 스캔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각각 인가받는다. 구체적으로, 비표시 영역에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회로의 출력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 패드부가 행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각각의 데이터 패드부에 대해 데이터 팬아웃부가 제공되어 복수의 데이터 패드부와 복수의 데이터선을 연결한다.
각각의 데이터 패드부는 전압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더미 패드를 최외곽에 구비한다. 복수의 구동 전압선은 복수의 데이터 팬아웃부와 절연을 유지하면서 이들을 가로지르는 전압 배선과 연결되고, 더미 패드와 전압 배선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전압 인가선이 위치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표시 장치는 화소 어레이 내부영역과 외곽 영역의 화소별 패턴 밀도가 상이해지고, 노광 공정(photolithography)에서 시각적 영향 범위(Optical Influence Range) 내 패턴들이 노광 현상에 영향을 주게 됨에 따라 해당 영역 내 패턴 밀도가 변화하게 된다. 또한, 화소 어레이 패턴 밀도가 비균일하게 되면서 타겟팅하는 패턴의 임계 치수(Critical Dimension) 편차도 비균일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표시 장치의 픽셀 어레이 내부와 외곽의 패턴 밀도가 상이해지면서 발생하는 얼룩현상 또는 외곽 픽셀부 배선의 단선 문제를 해결하여 화면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신호선;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신호선에 연결되며 좌우 대칭하는 한 쌍의 화소가 행렬(matrix)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화소 어레이; 비표시 영역에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캔 구동회로 및 데이터 구동회로;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화소 어레이의 외곽을 따라 상기 화소 어레이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단일 또는 둘 이상의 배선으로 구성되는 더미 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더미 패턴은, 상기 비표시 영역 내 상기 화소 어레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제1 화소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화소의 패턴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더미 패턴이 위치하는 상기 소정 거리는 인접하는 두 쌍의 화소에서 서로 이웃하는 화소 패턴 간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더미 패턴의 두께는 인접하는 두 쌍의 화소에서 서로 이웃하는 화소 패턴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더미 패턴은 상기 화소 어레이 및 상기 스캔 구동회로 사이의 외곽 영역에 형성되는 제1 더미 패턴 및 상기 화소 어레이 및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 사이의 외곽 영역에 형성되는 제2 더미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더미 패턴 및 상기 제2 더미 패턴은 동일한 층(layer)에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어 브릿지(bridge) 형태로 전기적으로 연결ㄷ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더미 패턴 및 상기 제2 더미 패턴은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구성하응 엑티브 층, 게이트 층, 데이터 금속층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더미 패턴을 구성하는 배선의 양 끝단을 접지 배선 또는 전원 배선(ELVDD, ELVSS)에 연결하여 정전기 차폐(shielding) 회로로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더미 패턴을 구성하는 배선에 정전기 다이오드 회로를 연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화소 어레이 외곽 영역에 더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픽셀 어레이 내부와 외곽의 패턴 밀도를 균일하기 하고 얼룩현상 또는 외곽 픽셀부 배선의 단선 문제를 해결하여 화면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더미 패턴이 형성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더미 패턴이 형성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은 도시한 바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이며,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 외측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신호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PX)가 형성된다. 복수의 화소는 대략 행렬(matrix)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의 배치를 이하 '화소 어레이'라 칭한다.
복수의 신호선은 스캔 신호를 전달하는 스캔선(101)과,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선(102)과, 구동 전압(ELVDD)을 전달하는 구동 전압선(103)을 포함한다. 스캔선(101)은 대략 행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데이터선(102)과 구동 전압선(103)은 대략 열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화소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 화소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각 화소는 인접한 화소간에 좌우 대칭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화소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표시 영역은 화소 영역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에 따라 구분되는 제1 영역(A10)과 제2 영역(A20)을 포함한다.
제1 영역(A10)은 화소 영역의 외곽측으로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으로, 제1 영역(A10)에는 데이터 구동회로(도시하지 않음)의 출력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패드부(110)가 형성된다. 데이터 구동회로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과 같은 별도의 반도체 칩 패키지에 실장되거나, 제1 영역(A10) 위에 직접 실장될 수 있다. 데이터 패드부(110)는 복수의 데이터 패드(111) 및 복수의 데이터선(102)을 포함한다.
복수의 데이터 패드(111)와 복수의 데이터선(102) 사이로 이들을 연결하는 데이터 팬아웃부(120)가 형성된다. 데이터 팬아웃부(120)는 데이터 구동회로(도시하지 않음)에서 출력된 아날로그의 데이터 신호를 복수의 데이터선(102)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팬아웃부(120)는 복수의 데이터 패드(111)와 접하며 직선으로 형성되는 직선부(121)와, 복수의 데이터선(102)과 접하며 사선으로 형성되는 사선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10)에서 데이터 패드부(110)와 데이터 팬아웃부(120)는 복수개로 구비된다. 즉, 복수의 데이터 패드부(110)와 복수의 데이터 팬아웃부(120)가 행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그리고 복수의 데이터 팬아웃부(120) 위로 이들을 가로지르는 전압 배선(130)이 형성된다. 전압 배선(130)은 단일 배선으로서 행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복수의 구동 전압선(103)과 연결된다.
각 데이터 패드부(110)와 전압 배선(130) 사이로 이들을 연결하는 전압 인가선(131)이 형성된다. 전압 배선(130)과 전압 인가선(131)은 도시하지 않은 절연층에 의해 복수의 데이터 팬아웃부(120)와 절연된다. 전압 인가선(131)은 데이터 구동회로에서 출력된 구동 전압(ELVDD) 신호를 전압 배선(130)과 복수의 구동 전압선(103)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영역(A20)은 화소 영역의 외곽측으로 세로방향으로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으로, 제2 영역(A20)에는 스캔 구동회로(도시하지 않음)의 출력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캔 패드부(140)가 형성된다. 스캔 구동회로는 칩 온 필름과 같은 별도의 반도체 칩 패키지에 실장되거나, 제2 영역(A20) 위에 직접 실장될 수 있다. 복수의 스캔선(101)은 스캔 패드부(140)로 확장되어 스캔 패드부(140)와 연결되며, 스캔 구동회로에서 출력된 스캔 신호를 인가받는다.
도 1에서는 스캔 패드부(140)가 표시 영역(DA)의 좌측과 접하는 제2 영역(A20)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스캔 패드부(140)는 제1 영역(A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비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DA)의 우측과 접하는 제3 영역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스캔 패드부(140)는 제2 영역(A20)과 제3 영역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비표시 영역인 제1 영역(A10) 및 제2 영역(A20) 중 적어도 한 영역에는 화소 어레이의 최외곽 패턴에 인접한 더미 패턴의 더미 배선(이하, '더미 패턴'이라 칭함)(150, 151)을 형성한다. 더미 패턴(150, 151)은 단일 패턴 또는 둘 이상의 복수의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화소 어레이의 최외곽 패턴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더미 패턴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영역(A10) 및 제2 영역(A20)에 동시에 형성되며 브릿지 배선 연결 방식을 이용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더미 패턴의 배선을 접지 배선(GROUND) 또는 구동 전압(ELVDD, ELVSS)에 연결하여 정전기 차폐(shielding) 회로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인 표시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표시 장치의 화소 어레이 중 제1 화소(B1)의 외곽측 패턴의 두께(d1)와 제2 화소(B2) 또는 제3 화소(B3)에서 제1 화소(B1)의 외곽측 패턴에 대칭되는 패턴의 두께(d2, d3)간의 편차가 크게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예시된 픽셀 어레이를 참조하면, 제2 화소(B2) 또는 제3 화소(B3)에서 외곽 측면에 형성된 패턴의 두께(d2, d3)가 1.7㎛일때, 제1 화소(B1)에서 외곽 측면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패턴의 두께(d1)는 1.1㎛로 0.6㎛ 정도 감소하며 35%정도의 오차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예시된 화소의 패턴은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반도체층일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은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화소 어레이 내부영역과 외곽 영역의 최단 열 화소부의 패턴 밀도가 상이해지고, 노광 공정(photolithography)에서 시각적 영향 범위(Optical Influence Range) 내 패턴들이 노광 현상에 영향을 주게 됨에 따라 해당 영역 내 패턴 밀도가 변화하게 된다. 화소 어레이 패턴 밀도가 비균일하게 되면서 타겟팅하는 패턴의 임계 치수(Critical Dimension) 편차도 비균일하게된다.
따라서, 화소 어레이 외곽 영역에 대략 30 ㎛ 이상의 공간에 더미 화소를 추가로 배치하는 것이 화소 어레이 내부와 패턴 밀도를 동일하게 하는데 효과적이며, 패턴간 임계 치수 편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일 예로, 화소 어레이 외곽 영역에 다수의 서브 화소로 더미 화소를 설계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표시 영역(DA)에서의 임계 치수 편차는 방지할 수 있으나 비표시 영역의 면적이 증가하는 단점이 초래된다. 예컨대, 화소 어레이 외곽 영역에서 약 30㎛ 이상의 공간에 더미 화소를 추가형성하는 경우 화소 어레이 내부의 패턴 밀도를 균일하기 하는데 효과적이나, 중소형 OLED 제품에서는 현재 더미 화소 설계를 하지 않는데 있어 더미 화소가 존재하게 되면 비표시 영역이 증가하거나 구동 회로 설계 공간이 감소하게 되어 고해상도 제품 설계에 제약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화소 어레이가 형성되는 표시 영역(DA)의 외곽 측면에 더미 패턴을 형성하여 표시 영역의 화소 어레이의 패턴 밀도가 균일해지는 방식을 제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신호선 및 복수의 화소가 형성된 표시 영역(DA)의 일부와 비표시 영역 일부를 포함하는 외곽 영역(B)을 확대해보면, 도 3의 (b)와 같은 패터닝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표시 영역(DA)에 형성된 화소 어레이는 이웃하는 제1 화소(B1) 및 제2 화소(B2)가 좌우 대칭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영역(DA)에는 제2 화소(B2)에 이웃하는 제3 화소(B3) 및 제4 화소(B4)가 좌우 대칭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좌우 대칭하는 동일 패턴의 화소 어레이가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즉, 이웃하는 두 개의 화소가 한 쌍의 화소 어레이를 구성하고, 복수의 쌍이 반복적으로 나열되는 형태로 표시 영역(DA) 내 형성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화소(B1)는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복수의 화소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화소 어레이가 형성되는 표시 영역(DA)의 외곽 영역인 비표시 영역에 더미 패턴(Bi)을 형성한다.
더미 패턴(Bi)은 단일 패턴으로 비표시 영역의 제2 영역(A20) 내 제1 화소(B1)로부터 소정 거리(D')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1 화소(B1)의 최외곽 패턴에 나란하게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소정 거리(D')는 더미 패턴이 인접한 화소 어레이 쌍(예, 제1 화소 및 제2 화소)과 세로 방향으로 이웃하는 다음 화소 어레이 쌍(예, 제3 화소 및 제4 화소)이 이루는 기준선에 따라 제2 화소(B2) 및 제3 화소(B3) 사이 기준선을 포함하는 배선 간격(D)과 동일하게 구성한다.
또한, 더미 패턴 배선의 두께(di)도 상기 화소 간 기준선을 기준으로 제2 화소(B2) 또는 제3 화소(B3)의 배선 두께(d2, d3)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패턴 밀도 효과를 감안하여 더미 패턴 배선 부위를 안정적으로 패터닝하기 위해 더미 패턴 배선의 두께(di)를 제2 화소(B2) 또는 제3 화소(B3)의 배선 두께(d2, d3)보다 더 두껍게 설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표시 영역인 제2 영역(A20)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더미 패턴(Bi)으로 인해 제1 화소(B1)의 외과 영역 측에 형성되는 패턴의 두께(d1)는 제2 화소(B2) 또는 제3 화소(B3)에서 대응 위치에 형성된 패턴의 두께(d2, d3)와 비교하여 일정 범위의 오차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b)에 예시된 픽셀 어레이를 참조하면, 제2 화소(B2) 또는 제3 화소(B3)에서 외곽 측면에 형성된 패턴의 두께(d2, d3)가 1.7㎛일때, 제1 화소(B1)에서 외곽 측면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패턴의 두께(d1)는 1.65㎛로 0.05㎛ 정도 감소하고 3% 이내의 오차값을 갖게 된다. 노광 공정시 화소 어레이 패턴 간 가장 이웃한 첫번째 이웃 패턴의 존재에 최대 영향을 받으므로, 가장 인접한 패턴의 패턴 밀도에 따라 더미 패턴을 형성하는 것만으로도 패턴의 임계 치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의 (a)에 예시된 표시 영역(DA)에 형성된 화소 어레이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제1 화소(B1) 및 제2 화소(B2)가 좌우 대칭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화소(B2)에 이웃하는 제3 화소(B3) 및 제4 화소(B4)가 좌우 대칭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좌우 대칭하는 동일 패턴의 화소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화소 어레이를 구성한다.
표시 영역(DA)에 인접하는 비표시 영역 중 제2 영역(A20)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더미 패턴(Bj)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더미 패턴(Bj)을 구성하는 각각의 더미 패턴은 제1 화소(B1)의 외곽 영역에 위치하는 패턴에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더미 패턴(Bj) 중 제1 화소(B1)에 가까운 더미 패턴(Bj1)은 제1 화소(B1)로부터 소정 거리(D')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소정 거리(D')는 화소 어레이 기준선을 포함하는 제2 화소(B2) 및 제3 화소(B3)간의 간격(D)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더미 패턴(Bj)을 구성하는 더미 패턴간의 간격 역시 상기 소정 거리(D')와 동일 범주로 구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더미 패턴 배선의 굵기(W')도 제2 화소(B2) 또는 제3 화소(B3)의 배선 굵기(W)와 동일하게 구성하거나 또는 패턴 밀도 효과를 감안하여 제2 화소(B2) 또는 제3 화소(B3)의 배선 굵기(W)보다 더 두껍게 설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더미 패턴(Bj)으로 인해 제1 화소(B1)의 외곽 영역 측에 형성되는 패턴의 두께(d1)는 제2 화소(B2) 또는 제3 화소(B3)에서 대응 위치에 형성된 패턴의 두께(d2, d3)와 비교하여 일정 범위의 오차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예시된 픽셀 어레이를 참조하면, 제2 화소(B2) 또는 제3 화소(B3)에서 외곽 측면에 형성된 패턴의 두께(d2, d3)가 1.7㎛일때, 제1 화소(B1)에서 외곽 측면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패턴의 두께(d1)는 1.63㎛로 0.07㎛ 정도 감소하고 4% 이내의 오차값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표시 영역(DA)의 외곽에 화소 어레이 패턴에 따라 더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영역(DA)의 내부 및 외곽 영역의 패턴 임계 치수 편차가 비균일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에 예시된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대비하여 패턴 밀도 균일화를 위해 비표시 영역에 다수의 더미 화소를 추가 형성함으로써 비표시 영역이 증가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더미 패턴이 형성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화소 어레이 외곽 영역의 엑티브층(ACT layer)에 화소 어레이와 인접한 세로 방향의 더미 패턴(150)을 추가한다. 엑티브층에서의 더미 패턴의 일 예로 엑티브 추가 배선을 들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세로 방향의 더미 패턴은 화소 어레이가 형성된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는 구동 회로 사이에서 화소 어레이 중 최외곽에 위치한 제1 화소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어레이 외곽 영역의 게이트층(GAT layer)에 화소 어레이와 인접한 가로 방향의 더미 패턴(151)을 추가한다. 게이트 층에서의 더미 패턴의 일 예로 게이트 추가 배선을 들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엑티브 추가 배선 또는 게이트 추가 배선과 같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필요한 층마다 배선 형태의 더미 패턴을 추가하여 화소 어레이 패턴의 임계 치수 편차 보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층별 더미 패턴은 단일 배선 또는 복수의 배선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화소 어레이가 형성된 표시 영역(DA)의 외곽에서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더미 패턴(150, 151)을 단일 층으로 연결하여 화소 어레이 외곽을 둘러싸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엑티브 추가 배선 및 게이트 추가 배선을 단일 층으로 연결하여 화소 어레이 외곽 전면을 따라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더미 패턴(150, 151)이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엑티브 추가 배선 및 게이트 추가 배선이 오버랩되는 영역(Tr)을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어레이 외곽 전면을 따라 둘러싼 형태로 형성되는 더미 패턴은 세로 방향의 더미 패턴(150)은 화소 어레이 영역 외부 및 스캔 패드부(140) 내부 사이에 형성된다. 반면, 가로 방향의 더미 패턴(151)은 화소 어레이 영역 외부 및 데이터 회로부(110)/데이터 팬아웃부(120)의 내부 사이에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더미 패턴이 형성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화소 어레이 외곽 영역에서 세로 방향의 더미 패턴(150) 및 가로 방향의 더미 패턴(151)이 오버랩되는 영역을 브릿지(bridge) 형태로 구성하여 화소 어레이 외곽 전면을 따라 더미 패턴이 둘러싼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엑티브 추가 배선을 점선(dotted line) 형태의 배선으로 구성하고, 엑티브 추가 배선에 형성된 접촉구멍(contact hole: CNT)(152) 및 데이터 금속 소자(153)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층의 더미 패턴(150, 151)이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미 패턴이 형성되는 층으로는 엑티브 층, 게이트 층, 데이터 금속층 등을 실시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릿지 형태로 화소 어레이 영역의 외곽을 둘러쌓은 형태로 형성된 더미 패턴의 양 끝단을 접지 배선 또는 전원 배선(ELVDD, ELVSS)에 연결하여 정전기 차폐(shielding) 회로로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더미 패턴의 배선을 ELVDD 전원에 연결할 경우, 화소 유닛마다 반복적으로 연결하여 ELVDD 전원 메쉬(mesh) 구성에 도움이 되므로 ELVDD 배선 저항 감소 및 전원 전압 균일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7과 같이 일반 배선 연결 형성에 따른 더미 패턴은 배선간의 연결 부분에서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더라도 배선 노드의 양 끝단을 그라운드로 묶어서 전류 이동의 영향을 감소시킴으로써, 정전기 방지 기능을 구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더미 패턴을 구성하는 배선에 정전기 다이오드 회로를 연결하여 상기 더미 패턴을 정전기 방지 회로의 일부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추가 배선 설계시, 대략 1~1.5㎛ 정도의 얇은 배선 패턴으로 구성하는데 여러 배선 조합도 가능하다. 마스크에서는 패터닝이 되지만 노광 공정 후에는 패턴이 남지 않는 스케터링 바(scattering bar) 형태로 설계하여, 광학적 밀도를 보상하여 패턴의 임계 치수 편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소 어레이 외곽의 더미 패턴과 별도로 화소 어레이 외곽 영역에 점선 또는 단순 사각형 등의 반복된 패턴으로 추가 더미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1: 스캔선
102: 데이터선
103: 구동 전압선
110: 데이터 패드부
111: 데이터 패드
120: 데이터 팬아웃부
130: 전압 배선
131: 전압 인가선
140: 스캔 패드부
150, 151 : 더미 패턴

Claims (9)

  1. 표시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신호선;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신호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화소 어레이;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캔 구동회로 및 데이터 구동회로;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화소 어레이의 외곽을 따라 상기 화소 어레이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단일 또는 둘 이상의 배선으로 구성되는 더미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더미 패턴은,
    상기 비표시 영역 내 상기 화소 어레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제1 화소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화소의 패턴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이 위치하는 상기 소정 거리는 인접하는 두 쌍의 화소에서 서로 이웃하는 화소 패턴 간의 간격과 동일한,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의 두께는 인접하는 두 쌍의 화소에서 서로 이웃하는 화소 패턴의 두께와 동일한,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은 상기 화소 어레이 및 상기 스캔 구동회로 사이의 외곽 영역에 형성되는 제1 더미 패턴 및 상기 화소 어레이 및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 사이의 외곽 영역에 형성되는 제2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패턴 및 상기 제2 더미 패턴은 동일한 층(layer)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패턴 및 상기 제2 더미 패턴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어 브릿지(bridge) 형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패턴 및 상기 제2 더미 패턴은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구성하응 엑티브 층, 게이트 층, 데이터 금속층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을 구성하는 배선의 양 끝단을 접지 배선 또는 전원 배선(ELVDD, ELVSS)에 연결하여 정전기 차폐(shielding) 회로로 이용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을 구성하는 배선에 정전기 다이오드 회로를 연결하는, 표시 장치.
KR1020150060608A 2015-04-29 2015-04-29 표시 장치 KR102332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608A KR102332255B1 (ko) 2015-04-29 2015-04-29 표시 장치
US14/963,528 US10115337B2 (en) 2015-04-29 2015-12-09 Display device
JP2016080816A JP6867752B2 (ja) 2015-04-29 2016-04-14 表示装置
CN201610251500.1A CN106098727B (zh) 2015-04-29 2016-04-21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608A KR102332255B1 (ko) 2015-04-29 2015-04-29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174A true KR20160129174A (ko) 2016-11-09
KR102332255B1 KR102332255B1 (ko) 2021-11-29

Family

ID=57205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608A KR102332255B1 (ko) 2015-04-29 2015-04-29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15337B2 (ko)
JP (1) JP6867752B2 (ko)
KR (1) KR102332255B1 (ko)
CN (1) CN106098727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4994A1 (ko) * 2018-09-13 2020-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표시 장치
KR20200038800A (ko) * 2018-10-04 2020-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처블 표시장치
US10651243B2 (en) 2018-01-04 2020-05-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896947B2 (en) 2019-01-10 2021-01-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connective wirings within a display area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0122B2 (en) 2016-02-29 2019-11-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650725B2 (en) 2016-04-15 2020-05-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605283B1 (ko) 2016-06-30 2023-1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13863B1 (ko) 2016-09-22 2023-1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11958B1 (ko) 2016-09-23 2023-1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61568A (ko) 2016-11-29 2018-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59096B1 (ko) 2016-11-29 2023-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96875A (ko) 2017-02-21 2018-08-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86906B1 (ko) * 2017-05-11 2022-04-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17989B1 (ko) * 2017-05-23 2022-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427287B (zh) * 2017-08-29 2020-12-22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适用于高像素密度的像素驱动电路、像素结构和制作方法
CN107393421A (zh) * 2017-08-31 2017-11-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走线结构、显示基板及显示装置
TWI648720B (zh) 2017-10-25 2019-01-2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N109712572A (zh) * 2017-10-25 2019-05-03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515511B1 (ko) * 2018-01-24 2023-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30164225A (ko) * 2018-02-01 2023-12-0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456696B1 (ko) * 2018-08-07 2022-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N110910828B (zh) 2018-09-14 2022-01-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屏幕模组及电子设备
KR102601866B1 (ko) * 2019-01-16 2023-11-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KR20200101575A (ko) * 2019-02-19 2020-08-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86044A (ko) * 2019-12-31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35385A (ko) * 2020-05-04 2021-11-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검사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4586163A (zh) * 2020-06-24 2022-06-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US20240046867A1 (en) * 2022-08-03 2024-02-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ezel free microled display for smart glass applica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4870A (ko) * 2009-09-29 2011-04-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1072A (ja) * 1991-03-15 1993-03-12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US6545653B1 (en) * 1994-07-14 2003-04-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signals and viewfinder
JPH09101540A (ja) * 1995-10-04 1997-04-15 Toshiba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4516638B2 (ja) * 1997-10-14 2010-08-04 三星電子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用基板、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40481A (ja) 2000-07-24 2002-02-06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表示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配線基板
JP4238469B2 (ja) * 2000-09-18 2009-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040581B1 (ko) * 2002-10-31 2011-06-1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소자 및 그 제어 방법
KR100710163B1 (ko) * 2002-11-28 2007-04-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957574B1 (ko) * 2003-09-17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JP2006065284A (ja) * 2004-07-26 2006-03-09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US8149230B2 (en) * 2004-07-28 2012-04-03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isplay
TWI271847B (en) * 2004-12-08 2007-01-21 Au Optronics Corp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of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JP4617861B2 (ja) * 2004-12-10 2011-01-26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181244B1 (ko) 2005-08-30 2012-09-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658276B1 (ko) * 2005-11-23 2006-1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761296B1 (ko) * 2006-03-17 2007-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동하는 방법
CN101513121B (zh) * 2006-08-03 2010-10-20 乐金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器
KR101365912B1 (ko) * 2006-12-28 2014-0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372014B1 (ko) 2007-11-12 2014-03-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패널
JP2009237282A (ja) * 2008-03-27 2009-10-15 Sharp Corp 表示装置
KR101574210B1 (ko) * 2008-09-25 2015-1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8493543B2 (en) * 2008-10-17 2013-07-23 Sony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774585B1 (ko) 2011-02-22 2017-09-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839334B1 (ko) * 2011-12-07 2018-03-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83365B1 (ko) 2011-12-08 2013-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945866B1 (ko) * 2012-03-19 2019-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차폐 도전체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917853B1 (ko) * 2012-07-02 2019-0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기 방지 표시 패널과 그 제조 방법, 및 정전기 방지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50383B1 (ko) * 2012-12-28 2019-1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051633B1 (ko) * 2013-05-27 2019-1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소,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825253B2 (en) * 2013-06-28 2017-11-2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17054B1 (ko) * 2013-08-14 2020-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92473B1 (ko) * 2014-08-01 2020-12-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4870A (ko) * 2009-09-29 2011-04-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1243B2 (en) 2018-01-04 2020-05-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302753B2 (en) 2018-01-04 2022-04-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0054994A1 (ko) * 2018-09-13 2020-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표시 장치
KR20200038800A (ko) * 2018-10-04 2020-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처블 표시장치
US11765962B2 (en) 2018-10-04 2023-09-19 Lg Display Co., Ltd. Stretchable display device
US10896947B2 (en) 2019-01-10 2021-01-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connective wirings within a display area thereof
US11398543B2 (en) 2019-01-10 2022-07-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connective wirings within a display area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98727A (zh) 2016-11-09
JP2016212394A (ja) 2016-12-15
US20160321992A1 (en) 2016-11-03
US10115337B2 (en) 2018-10-30
KR102332255B1 (ko) 2021-11-29
JP6867752B2 (ja) 2021-05-12
CN106098727B (zh)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2255B1 (ko) 표시 장치
KR102002495B1 (ko) 유기 발광 표시 패널
US985324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2477982B1 (ko) 표시 장치
KR100857399B1 (ko) 액티브 매트릭스형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199929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244634B2 (en) Display device having power wires overlapping a driving integrated circuit
US10418390B2 (en) Pixel array substrate
KR20190080389A (ko)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80008999A (ko) 연성 필름, 회로기판 조립체 및 표시장치
US20170323598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US9570530B2 (en) 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diode display back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TW202127653A (zh) 顯示裝置
JPWO2004068445A1 (ja) ディスプレイ、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84272B1 (ko) 전원 배선을 공유하는 표시장치
US9437617B2 (en) Display apparatus
US20190206952A1 (en) Display device
US11985862B2 (en) Array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WO2022082375A1 (zh) 显示基板和显示装置
KR100669766B1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KR100683701B1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KR100669765B1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KR20220145948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