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272B1 - 전원 배선을 공유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배선을 공유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272B1
KR102584272B1 KR1020160183239A KR20160183239A KR102584272B1 KR 102584272 B1 KR102584272 B1 KR 102584272B1 KR 1020160183239 A KR1020160183239 A KR 1020160183239A KR 20160183239 A KR20160183239 A KR 20160183239A KR 102584272 B1 KR102584272 B1 KR 102584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ixel
wire
dumm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480A (ko
Inventor
이웅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3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27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2RGB geometrica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다수의 화소가 표시영역에 배치되고, 표시영역 외부에 더미 화소가 배치된다. 다수의 화소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다수의 화소 전원 배선, 더미 화소와 중첩되고 다수의 화소 전원 배선에 연결된 전원 공유 배선 및 외부로부터 전원 공유 배선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배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화소 전원 배선을 전원 공유 배선에 연결하여 구동 전원을 공유한다. 또한 전원 공유 배선을 더미 화소와 중첩하여 배치하여 면적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 배선을 공유하는 표시장치 {Power Line Shar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전원 배선에 관한 것으로, 구동 전원 배선을 공유하여 구동 전원 전압의 저하 및 편차의 발생을 줄이는 구조의 표시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장치의 표시영역(A/A) 내에 화소(P)가 행렬 형태로 배열된다. 각각의 화소(P)는 각각 정해진 색상의 빛을 발하여 표시영역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표시영역 외각의 비표시영역(N/A)에 더미 화소(D)가 배열된다.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영역의 최외각 화소(P)에 인접하여 한 줄로 배열되거나 여러 줄이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화소(P)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과 계조 데이터를 전달하는 배선들이 화소(P)에 연결된다. 구동 전원 배선(EVDD)는 화소(P)의 발과 소자가 동작하기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구동 전원 배선은 표시영역(A/A) 내에서 화소(P)의 열방향으로 배치되어 한 열의 화소(P)에 연결되거나 도시된 것과 같이 여러 열의 화소(P)에 공유될 수 있다. 또한, 계조 데이터에 따른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데이터 배선(DATA) 및 기준 전원 배선(REF)가 배치되어 화소(P)에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화소(P) 배열에서 행방향 화소 줄을 선택하는 스캔 배선들이 포함된다.
구동 전원 배선(EVDD)은 여러 화소(P)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된다. 각각의 구동 전원 배선(EVDD)는 서로 분리되어 있어 특정 영역의 화소(P)에 높은 계조의 화상이 표시될 경우 특정 구동 전원 배선(EVDD)에 많은 전류가 몰리게 되어 구동 전원의 전압이 떨어지게 된다. 구동 전원의 전압이 떨어지면 화소(P)가 원하는 계조를 표현하지 못하게 되고, 구동 전원 배선(EVDD) 간에 구동 전원의 전압의 편차가 발생하게 되어 표시장치 전체의 화상이 불균일하게 되고 화질이 저하된다.
표시장치의 구동 전원 배선의 구동 전원 전압의 변동을 줄이고, 균일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소 전원 배선을 전원 공유 배선에 연결하여 구동 전원을 공유한다. 또한 전원 공유 배선을 더미 화소와 중첩하여 배치하여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다수의 화소가 표시영역에 배치되고, 표시영역 외부에 더미 화소가 배치된다. 다수의 화소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다수의 화소 전원 배선, 더미 화소와 중첩되고 다수의 화소 전원 배선에 연결된 전원 공유 배선 및 외부로부터 전원 공유 배선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배선을 포함한다.
전원 공유 배선은 인접한 더미 화소의 도전층이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다수의 화소 전원 배선은 상기 표시영역 내에서 다른 상기 다수의 화소에 연결되어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전층과 연결된 더미 화소의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미 화소의 도전층 또는 더미 패턴은 화소의 발광 소자 또는 구동 회로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더미 패턴은 화소 전원 배선과 같은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전원 공유 배선과 다수의 화소 전원 배선 사이의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다수의 화소 전원 배선은 절연막의 컨택홀을 통해 전원 공유 배선과 연결될 수 있다.
절연막 상에 위치하고, 전원 공유 배선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데이터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전원 배선의 개수는 데이터 배선의 개수보다 적거나 같고 전원 공급 배선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전원 공유 배선, 전원 공유 배선 상의 절연막 및 절연막 상의 다수의 화소 전원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을 포함하고, 다수의 화소 전원 배선은 절연막의 제1컨택홀을 통해 전원 공유 배선과 연결되고, 데이터 배선은 전원 공유 배선과 절연되어 교차한다.
절연막 상에 위치하고, 절연막의 제2컨택홀을 통해 전원 공유 배선과 연결되는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유 배선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전원 배선과 상기 데이터 배선은 표시영역에 배치된 화소에 연결되고, 전원 공유 배선은 표시영역 외각에 배치된 더미 화소와 중첩할 수 있다.
전원 공유 배선은 인접한 더미 화소의 도전층이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발광 소자 및 구동 회로를 가지며 화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화소, 더미 소자 및 더미 회로를 가지며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더미 화소, 다수의 화소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다수의 화소 전원 배선,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 배선, 및 더미 소자 또는 더미 회로의 도전층을 통해 전원 공급 배선에서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다수의 화소 전원 배선으로 공유하는 전원 공유 배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구동 전원 배선을 병렬로 연결하여 특정 영역에 전류가 집중될 경우 전류 공급 경로를 분산하여 구동 전원 전압의 저하를 방지하고, 구동 전원 배선 간의 구동 전원 전압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화소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화소 전원 배선을 전원 공유 배선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배선을 줄여 패드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전원 공유 배선을 더미 화소의 도전층 또는 더미 패턴을 연결하여 구성하여 비표시 영역의 면적을 늘리지 않고도 구동 전원 배선을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구동 전원 배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전원 공유 배선 및 더미 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전원 공유 배선의 단면도 이다.
도 6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전원 공유 배선 및 더미 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전원 공유 배선의 단면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표시장치의 표시영역(A/A) 내에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P)가 행렬 형태로 배열된다. 표시영역 외각의 비표시영역(N/A)에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더미 화소(D)가 배열된다. 더미 화소(D)는 제조 공정에서 표시영역(A/A)의 가장 처음 또는 마지막 화소(P)가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화소(P)와 유사한 형태로 표시영역(A/A)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화소(P)는 발광 소자 또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며, 더미 화소(D)는 더미 소자 또는 더미 회로를 포함한다. 더미 소자 또는 더미 회로는 발광 소자 또는 구동 회로와 유사한 형태를 갖으며, 신호 배선 등에 연결되지 않거나 연결 되더라도 실제로 동작하지 않는다. 한 줄의 더미 화소(D)만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여러 줄을 배치할 수도 있다.
구동 전원 배선(EVDD)는 화소(P)의 발과 소자가 동작하기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이 전원 공급 배선(110)을 통해 공급되고, 표시영역(A/A) 내에서 화소(P)의 열방향으로 화소 전원 배선(130)이 배치된다. 화소 전원 배선(130)은 한 열의 화소(P)에 연결되거나 도시된 것과 같이 배선 수를 줄이기 위해 여러 열의 화소(P)에 공유될 수 있다.
화소 전원 배선(130)은 여러 화소(P)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된다. 각각의 화소 전원 배선(130)은 표시 영역(A/A) 내에서 다른 여러 화소(P)에 연결된다. 표시 영역(A/A) 내에서 다른 화소 전원 배선(130)이 같은 화소(P)에 연결되거나,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특정 영역의 화소(P)에 높은 계조의 화상이 표시될 경우 특정 화소 전원 배선(130)에 많은 전류가 몰리게 되어 구동 전원의 전압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여러 화소 전원 배선(130)을 전원 공유 배선(120)으로 연결하여 구동 전원 전압의 저하를 방지하고 화소 전원 배선(130) 간의 구동 전원 전압의 편차를 줄인다. 화소 전원 배선(130)에는 많은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이를 연결하는 전원 공유 배선(120)에도 많은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전원 공유 배선(120)은 저항이 작아야 하므로 배선 폭이 넓어야 한다. 표시 영역(A/A) 내에서 화소 전원 배선(130)을 서로 연결하려면 배선이 추가되어 화소(P)의 면적 또는 개구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비표시 영역(N/A)에서 서로 연결하더라도 추가되는 배선만큼 면적이 늘어나게 된다.
전원 공유 배선(120)은 더미 화소(D)와 중첩되어 배치된다. 더미 화소(D)의 면적을 이용하여 배선 폭을 늘리고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전원 공유 배선(120)은 별도의 배선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더미 화소(D)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구성할 경우 별도의 배선이 필요하지 않아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더미 화소(D)의 역할과 전원 공유 배선(120)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표시 영역(A/A)내에서 화소 전원 배선(130)을 서로 연결하지 않고도 구동 전원을 공유할 수 있으며, 표시 영역(A/A)내에서 화소 전원 배선(130)이 서로 연결되더라도 전원 공유 배선(120)을 통해 더 작은 저항으로 구동 전원을 공유할 수 있다.
화소 전원 배선(130)과 평행하게 데이터 배선(DATA) 또는 기준 전원 배선(REF)이 배치된다. 데이터 배선(DATA) 또는 기준 전원 배선(REF)는 전원 공유 배선(120)과 교차되나 서로 절연되어 영향을 최소화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화소(P) 배열에서 행방향 화소 줄을 선택하는 스캔 배선들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여러 화소 전원 배선(130)을 전원 공유 배선(120)으로 연결하여 특정 영역에 전류가 집중될 경우 전류 공급 경로를 분산하여 화소 전원 배선(130)의 구동 전원 전압의 저하를 방지하고, 화소 전원 배선(130) 간의 구동 전원 전압의 편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구동 전원 배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외부에서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 배선(110)은 전원 공유 배선(120)에 연결되어 구동 전원을 공급하고, 다수의 화소 전원 배선(130)은 전원 공유 배선(120)에 연결되어 구동 전원을 공유한다. 따라서 모든 화소 전원 배선(130)마다 전원 공급 배선(110)이 연결될 필요가 없고, 여러 화소 전원 배선(130)마다 하나의 전원 공급 배선(110)이 연결되어도 전원 공유 배선(120)을 통해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a는 화소 전원 배선(130)과 전원 공급 배선(110)이 2:1 비율로 연결된 구조 이며, 도 3b는 화소 전원 배선(130)과 전원 공급 배선(110)이 4:1 비율로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원 공급 배선(110)의 개수는 화소 전원 배선(130)의 개수보다 적거나 같을 수 있다.
전원 공급 배선(110)의 개수가 줄면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패드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링크 배선의 면적을 줄일 수 있어서 비표시 영역(N/A)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전원 공급 배선(110)은 적어도 하나로도 가능할 수 있으나, 너무 적을 경우 균일한 구동 전원 공급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배선 저항을 고려하여 적절히 배치한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표시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더미 화소(D)와 전원 공유 배선(120)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여러 더미 화소(D)와 중첩되어 전원 공유 배선(120)이 배치된다. 더미 화소(D)는 더미 소자 또는 더미 회로를 포함한다. 더미 소자 또는 더미 회로는 화소(P)의 발광 소자 또는 구동 회로와 유사한 형태를 갖으나 실제로 동작하지 않는다. 더미 소자 또는 더미 회로는 도전층을 포함하며 인접한 더미 화소(D)의 도전층이 서로 연결되어 전원 공유 배선(120)을 구성할 수 있다. 전원 공유 배선(120)의 도전층은 더미 화소(D)에서는 더미 소자 또는 더미 회로를 구성하여 더미 화소(D)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전원 공유 배선(120)을 구성하기 위해 더미 소자 또는 더미 회로는 발광 소자 또는 구동 회로의 형태와 달라지거나 도전층의 면적이 달라질 수 있으나, 더미 화소(D) 역할을 하기 위해서 화소(P)의 대응되는 구성과 유사한 형태를 유지한다.
전원 공급 배선(110) 및 화소 전원 배선(130)이 제1컨택홀(140)을 통해 전원 공유 배선(120)에 연결된다. 전원 공급 배선(110)과 화소 전원 배선(13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 배선(110)이 없는 부분에서는 화소 전원 배선(130)만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공급 배선(110)이 화소 전원 배선(130)과 별도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른 층이나 다른 컨택홀을 통해 전원 공유 배선(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더미 화소(D) 사이에는 데이터 배선(150) 또는 기준 전압 배선(160) 등과 같은 신호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150) 또는 기준 전압 배선(160)은 전원 공유 배선(120)과 절연되어 교차한다. 신호 배선과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교차하는 부분의 전원 공유 배선(120)에는 슬릿을 추가하여 중첩되는 면적을 줄인다. 또한, 교차하는 배선이 단락되는 경우 단락된 부분의 전원 공유 배선(120)을 절단하여 불량을 방지하는 리페어가 가능하다.
도 4 에는 일부만 도시되어 있으나, 좌우로 더미 화소(D)가 반복적으로 배치되고 그 사이에 배선들이 배치된다. 도 2와 같이 전원 공유 배선(120)에 여러 개의 화소 전원 배선(130)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표시장치는 전원 공유 배선(120)을 더미 화소(D)와 중첩하여 배치하고, 더미 화소(D)의 더미 소자 또는 더미 회로의 도전층으로 구성한다. 그리하여 더미 화소(D)를 통해 화소 전원 배선(130) 간의 구동 전원을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비표시 영역의 면적을 늘리지 않고도 구동 전원의 전류 공급 경로를 분산하여 구동 전원 전압의 저하를 방지하고, 화소 전원 배선(130) 간의 구동 전원 전압의 편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도 4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기판(100) 위에 전원 공유 배선(120)이 배치된다. 기판(100) 위에 버퍼층 등 다른 층이 배치되고 그 위에 전원 공유 배선(120)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전원 공유 배선(120)은 별도의 배선이거나 더미 화소(D)의 도전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미 소자 또는 더미 회로는 발광 소자 또는 구동 회로의 구성과 비슷한 형태의 구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 캐패시터, 전극, 신호 배선 또는 발광 다이오드 등과 유사한 형태의 층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구성이 완전하지 않거나 연결이 되지 않아 실제로 동작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더미 소자 또는 더미 회로의 구성 중 광차단층, 게이트층, 소스/드레인층 또는 전극층 등 도전층이 서로 연결되어 전원 공유 배선(120)을 이룰 수 있다. 전원 공유 배선(120)은 데이터 배선 등 다른 신호 배선과 절연되어 교차해야 하므로 신호 배선과 두께 방향으로 멀리 떨어진 광차단층을 사용하거나, 저항을 줄이기 위해 게이트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공유 배선(120) 위에 절연막(170)이 배치된다. 절연막(170)은 더미 화소 또는 화소의 구성 중 버퍼층, 게이트 절연막 또는 층간 절연막 중 하나를 사용하거나 둘 이상을 적층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절연막(170)은 전원 공급 배선(110) 또는 화소 전원 배선(130)을 따라 제1컨택홀(140)을 가진다.
절연막(170) 위에 화소 전원 배선(130) 및 데이터 배선(150)이 배치된다. 화소 전원 배선(130)은 절연막(170)의 제1컨택홀(140)을 통해 전원 공유 배선(120)과 연결된다. 전원 공급 배선(110)은 동일한 제1컨택홀(140)을 통해 전원 공유 배선(120)과 연결되거나, 각각 다른 제1컨택홀(14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150) 또는 기준 전원 배선(160)은 전원 공유 배선(120)과 절연되어 교차한다. 전원 공유 배선(120)을 통해 구동 전원을 좌우의 화소 전원 배선(130)과 공유하더라도 데이터 배선(150)과는 절연막(170)을 사이에 두고 절연되기 때문에 신호전달에 영향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화소 전원 배선(130), 데이터 배선(150) 및 기준 전원 배선(160) 위에 보호막(180)이 배치된다. 보호막(180) 위에는 더미 소자(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 공유 배선(120)이 절연막(170) 아래에 있고 화소 전원 배선(130)이 절연막(170) 위에 있는 구조를 설명했으나, 경우에 따라 반대로 화소 전원 배선(130)이 절연막(1700) 아래에 있고 전원 공유 배선(120)이 절연막(170) 위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표시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더미 화소(D)와 전원 공유 배선(120)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의 실시예를 대부분 포함한다. 공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추가된 구성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는 더미 패턴(220)을 추가로 포함한다. 더미 패턴(220)은 더미 화소(D)에 있는 별도의 구성이거나, 더미 소자 또는 더미 회로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더미 화소(D)의 도전층 외에 다른 도전성을 갖는 더미 패턴(220)을 전원 공유 배선(120)에 연결한다. 더미 패턴(220)은 더미 소자 또는 더미 회로의 역할을 하거나, 전원 공유 배선(120)과 이중층이 되어 저항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미 패턴(220)은 전원 공급 배선(110) 또는 화소 전원 배선(130)에 전원 공유 배선(120)을 통해 연결되며, 직접 연결되거나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6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더미 패턴(220)은 절연막(170)의 제2컨택홀(240)을 통해 전원 공유 배선(120)과 연결된다. 다수의 제2컨택홀(240)을 통해 연결되어 저항을 줄이고 전류 공급 경로를 분산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더미 패턴(220)은 화소 전원 배선(130) 또는 데이터 배선(150)과 같은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미 패턴(220)은 데이터 배선(150)과는 이격되며, 화소 전원 배선(130)과는 직접 연결되거나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더미 패턴(220)은 화소 전원 배선(130)과 다른 층이거나 전원 공유 배선(120)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표시장치는 전원 공유 배선(120)을 더미 화소(D)와 중첩하여 배치하고, 더미 화소(D)의 더미 소자 또는 더미 회로의 도전층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더미 소자 또는 더미 회로의 더미 패턴(220)을 이중층 구조로 연결한다. 그리하여 더미 화소(D)를 통해 화소 전원 배선(130) 간의 구동 전원을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비표시 영역의 면적을 늘리지 않고도 구동 전원의 전류 공급 경로를 분산하여 구동 전원 전압의 저하를 방지하고, 화소 전원 배선(130) 간의 구동 전원 전압의 편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110: 전원 공급 배선
120: 전원 공유 배선
130: 화소 전원 배선

Claims (15)

  1. 표시영역에 배치된 다수의 화소;
    상기 표시영역 외부에 배치된 더미 화소;
    상기 다수의 화소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다수의 화소 전원 배선;
    상기 더미 화소와 중첩되고 상기 다수의 화소 전원 배선에 연결된 전원 공유 배선; 및
    외부로부터 상기 전원 공유 배선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유 배선은 인접한 상기 더미 화소의 도전층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표시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각각의 상기 다수의 화소 전원 배선은 상기 표시영역 내에서 다른 상기 다수의 화소에 연결되어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표시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도전층은 상기 더미 화소의 더미 패턴과 서로 연결된 표시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도전층 또는 상기 더미 패턴은 상기 화소의 발광 소자 또는 구동 회로와 유사한 형태인 표시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더미 패턴은 상기 화소 전원 배선과 같은 층에 위치하는 표시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전원 공유 배선과 상기 다수의 화소 전원 배선 사이의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화소 전원 배선은 상기 절연막의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전원 공유 배선과 연결된 표시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절연막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전원 공유 배선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데이터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화소 전원 배선의 개수는 상기 데이터 배선의 개수보다 적거나 같고 상기 전원 공급 배선의 개수보다 많은 표시장치.
  10. 표시영역에 배치된 다수의 화소;
    상기 표시영역 외부에 배치된 더미 화소;
    전원 공유 배선;
    상기 전원 공유 배선 상의 절연막; 및
    상기 절연막 상의 다수의 화소 전원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화소 전원 배선은 상기 절연막의 제1컨택홀을 통해 상기 전원 공유 배선과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전원 공유 배선과 절연되어 교차하고,
    상기 전원 공유 배선은 인접한 상기 더미 화소의 도전층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표시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절연막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절연막의 제2컨택홀을 통해 상기 전원 공유 배선과 연결되는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전원 공유 배선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11항에서,
    상기 화소 전원 배선과 상기 데이터 배선은 상기 화소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공유 배선은 상기 더미 화소와 중첩하는 표시장치.
  14. 삭제
  15. 발광 소자 및 구동 회로를 가지며 화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화소;
    더미 소자 및 더미 회로를 가지며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더미 화소;
    상기 다수의 화소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다수의 화소 전원 배선;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 배선; 및
    상기 더미 소자 또는 상기 더미 회로의 도전층을 통해 상기 전원 공급 배선에서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상기 다수의 화소 전원 배선으로 공유하는 전원 공유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60183239A 2016-12-30 2016-12-30 전원 배선을 공유하는 표시장치 KR102584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239A KR102584272B1 (ko) 2016-12-30 2016-12-30 전원 배선을 공유하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239A KR102584272B1 (ko) 2016-12-30 2016-12-30 전원 배선을 공유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480A KR20180078480A (ko) 2018-07-10
KR102584272B1 true KR102584272B1 (ko) 2023-09-27

Family

ID=6291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239A KR102584272B1 (ko) 2016-12-30 2016-12-30 전원 배선을 공유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2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235A (ko) * 2019-12-30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이크로 엘이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01084A (ko) * 2020-02-07 202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더미 화소가 구비된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30327063A1 (en) * 2020-08-31 2023-10-1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N114721195B (zh) * 2022-04-27 2023-07-0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340B1 (ko) * 2010-07-14 2018-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2066139B1 (ko) * 2013-11-21 2020-0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102788A (ko) * 2014-02-28 2015-09-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480A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378B1 (ko) 표시 장치
CN106098727B (zh) 显示装置
KR102002495B1 (ko) 유기 발광 표시 패널
KR102411775B1 (ko) 엘이디 구동 유닛들이 형성된 tft 기판을 갖는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10143242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n emission layer
KR102584272B1 (ko) 전원 배선을 공유하는 표시장치
JP2023511470A (ja) アレイ基板、表示パネル、スプライシング表示パネル、及び表示駆動方法
JP2018063427A (ja) 表示装置
WO2009055920A1 (en) High aperture ratio pixel layout for display device
JP2016090812A (ja) 表示装置
US20190180683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20080204377A1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CN210984239U (zh) 显示基板和显示装置
CN111435585A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JP6462479B2 (ja) 多分割駆動ディスプレイ及び表示装置
US9792854B2 (en) Display device
KR102178608B1 (ko) 대형 화소 매트릭스를 갖는 전기 광학 디바이스
KR100686343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JP2014106507A (ja) Oled表示装置
KR20140116990A (ko) 어레이 기판
KR100669766B1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KR100683701B1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JP6873476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表示装置
KR20060053462A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KR20220145948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