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575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575A
KR20200101575A KR1020190019410A KR20190019410A KR20200101575A KR 20200101575 A KR20200101575 A KR 20200101575A KR 1020190019410 A KR1020190019410 A KR 1020190019410A KR 20190019410 A KR20190019410 A KR 20190019410A KR 20200101575 A KR20200101575 A KR 20200101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lines
data
area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태
김경배
이지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9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1575A/ko
Priority to US16/601,469 priority patent/US10923010B2/en
Priority to CN201910992450.6A priority patent/CN111596493A/zh
Publication of KR20200101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5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01L27/3276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38Cold-cathode tubes
    • H01J17/48Cold-cathode tubes with more than one cathode or anode, e.g. sequence-discharge tube, counting tube, dekatron
    • H01J17/49Display panels, e.g. with crossed electrodes, e.g. making use of direct current
    • H01L51/5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13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controlling the sequence of the scanning lines with respect to the patterns to be displayed, e.g. to save pow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21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with use of split matr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6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not related to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or to communication of data to the pixels by means of a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1Arrangement of scan or data electrode driver circuits at the periphery of a panel not inherent to a split matrix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들이 배치된 제1 표시 영역,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들이 배치되고 제1 표시 영역과 인접하여 배치된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데이터 구동부 및 제2 데이터 구동부, 제1 데이터 구동부 연결되고,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1_1 팬아웃 라인들 및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팬아웃 라인들, 및 제2 데이터 구동부와 연결되고,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2_1 팬아웃 라인들 및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들 연결되는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팬아웃 라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화질 불량이 개선되며, 표시 영역 사이의 경계가 시인되는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매체인 표시 장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표시 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라인들, 및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데이터 구동부는 복수개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데이터 구동부는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팬아웃 라인을 통하여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 인접한 두 표시 영역의 경계선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데이터 라인들이 서로 다른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교대로 인가받음으로써, 표시 영역의 경계선이 시인되는 현상이 개선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들이 배치된 제1 표시 영역,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들이 배치되고 제1 표시 영역과 인접하여 배치된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데이터 구동부 및 제2 데이터 구동부, 제1 데이터 구동부 연결되고,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1_1 팬아웃 라인들 및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팬아웃 라인들, 및 제2 데이터 구동부와 연결되고,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2_1 팬아웃 라인들 및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들 연결되는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팬아웃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비표시 영역은 제1 데이터 구동부와 제1 표시 영역 사이의 제1 팬아웃 영역, 및 제2 데이터 구동부와 제2 표시 영역 사이의 제2 팬아웃 영역을 포함하며,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은 제1 팬아웃 영역 및 제2 팬아웃 영역의 경계선과 인접하고,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은 경계선과 인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은, 제1 팬아웃 영역에서 제2 팬아웃 영역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며,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은, 제2 팬아웃 영역에서 제1 팬아웃 영역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은, 제1 팬아웃 영역에서 복수의 제1_1 팬아웃 라인들 중 일부와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교차되고, 제2 팬아웃 영역에서 복수의 제2_1 팬아웃 라인들 중 일부와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교차되며,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은, 제2 팬아웃 영역에서 복수의 제2_1 팬아웃 라인들 중 일부와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교차되고, 제1 팬아웃 영역에서 복수의 제1_1 팬아웃 라인들 중 일부와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교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과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은, 제1 팬아웃 영역과 제2 팬아웃 영역의 경계선과 인접하여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되어 교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은 하나 이상씩 인접하여 배치되고,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은 하나 이상씩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은, 복수의 제1 팬아웃 라인들 중 짝수번째 또는 홀수번째 라인이고,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은, 복수의 제2 팬아웃 라인들 중 짝수번째 또는 홀수번?? 라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은 모두 인접하여 배치되고,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은 모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제1_1 팬아웃 라인들은,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과 서로 다른 층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2_1 팬아웃 라인들은,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과 서로 다른 층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과 연결된 제2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과 연결된 제1 데이터 라인들은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의 경계선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들 중 경계선과 인접한 제1 데이터 라인들을 제외한 나머지 제1 데이터 라인들은,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을 제외한 복수의 제1_1 팬아웃 라인들과만 연결되고,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들 중 경계선과 인접한 제2 데이터 라인들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데이터 라인들은,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을 제외한 복수의 제2_1 팬아웃 라인들과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과 연결된 제2 데이터 라인들은,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들 전체 중 홀수번째 또는 짝수번째 라인이고,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과 연결된 제1 데이터 라인들은,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들 전체 중 홀수번째 또는 짝수번째 라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과 연결된 제2 데이터 라인들과 복수의 제2_1 팬아웃 라인들과 연결된 제2 데이터 라인들은 평면도 상에서 1개 이상씩 교대로 배치되고,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과 연결된 제1 데이터 라인들과 복수의 제1_1 팬아웃 라인들과 연결된 제1 데이터 라인들은 평면도 상에서 1개 이상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들의 평면도 상에서 배치된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도록 제1 데이터 구동부 및 제2 데이터 구동부로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질 불량이 개선되며, 표시 영역 사이의 경계가 시인되는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에 대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V-V'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VI-V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확대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타이밍 제어부(110), 표시 패널(120), 데이터 구동부(130), 주사 구동부(140) 및 발광 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10)는 수신한 제어 신호들에 기초하여 주사 구동부(140)의 사양(specification)에 적합하도록 클록 신호, 주사 시작 신호 등을 생성하여 주사 구동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10)는 수신한 계조 값들 및 제어 신호들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부(130)의 사양에 적합하도록 변형된 또는 유지된 계조 값들 및 제어 신호들을 데이터 구동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140)는 타이밍 제어부(110)로부터 클록 신호, 주사 시작 신호 등의 제어 신호들을 수신하여 주사 라인들(SL)에 제공할 주사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140)는 주사 라인들(SL)을 통해 주사 신호들을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전압들이 기입될 화소들(PX)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 구동부(140)는 주사 라인들(SL)에 순차적으로 턴-온 레벨의 주사 신호들을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전압들이 기입될 화소(PX)행을 선택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140)는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클록 신호의 제어에 따라 주사 시작 신호를 다음 스테이지 회로로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주사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주사 구동부(140)의 스테이지 회로들은 글로벌 제어 신호(global control signal)에 따라 동시에 턴-온 레벨의 주사 신호들을 대응하는 주사 라인들(SL)에 제공할 수도 있다.
발광 구동부(150)는 타이밍 제어부(110)로부터 클록 신호, 발광 중지 신호 등을 수신하여 발광 라인들(EL)에 제공할 발광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구동부(150)는 발광 라인들(EL)에 순차적으로 턴-오프 레벨의 펄스를 갖는 발광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구동부(150)는 시프트 레지스터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클록 신호의 제어에 따라 턴-오프 레벨의 펄스 형태인 발광 중지 신호를 다음 스테이지 회로로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발광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표시 패널(120)은 복수의 화소들(PX)을 포함하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화소들(PX)은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DL1, DL2, DL3) 및 주사 라인(SL)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화소(PX)행에 대한 데이터 전압들이 데이터 구동부(130)로부터 데이터 라인들(DL1, DL2, DL3)로 인가되면, 주사 구동부(140)로부터 턴온 레벨의 주사 신호를 제공받는 주사 라인(SL)에 위치한 화소(PX)행에 데이터 전압들이 기입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10)로부터 수신한 계조 값(또는 데이터)들 및 제어 신호들을 이용하여 데이터 라인들(DL1, DL2, DL3)로 제공할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PX)행 단위로 생성된 데이터 전압들은 데이터 라인들(DL1, DL2, DL3)에 동시에 인가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데이터 구동부(130)는 제1 내지 제3 데이터 구동부(131, 132, 133)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10)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제1 내지 제3 데이터 구동부(131, 132, 133)를 포함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2개의 데이터 구동부(130) 또는 4개 이상의 데이터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 영역(AA)은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AA1~AA3)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AA1~AA3)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차례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표시 영역(AA)에는 복수의 화소들(PX)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라인들(DL1, DL2, DL3) 중 제1 데이터 라인들은 제1 표시 영역(AA1)에 배치된 화소들(PX)과 연결되고, 제2 데이터 라인들은 제2 표시 영역(AA2)에 배치된 화소들(PX)과 연결되며, 제3 데이터 라인들은 제3 표시 영역(AA3)에 배치된 화소들(PX)과 연결될 수 있다. 표시 영역(AA)은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AA1~AA3)을 포함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2개 또는 4개 이상의 표시 영역(AA)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표시 영역(AA)의 수는 데이터 구동부(130)의 수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구동부(130)가 4개로 구성될 경우, 표시 영역(AA)은 이에 대응하여 4개의 표시 영역(AA)으로 구획될 수 있다.
표시 영역(AA)에 배치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은 복수의 팬아웃 라인(FOL)을 통하여 데이터 구동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팬아웃 라인(FOL),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130)의 연결 구조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에 대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V-V'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VI-V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130)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패드 영역(PA1, PA2)에는 복수의 패드가 배치된다. 복수의 패드는 팬아웃 라인(FOL)과 데이터 구동부(130)를 연결하는 단자이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100)는 표시 장치(100)의 여러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인 기판(121)을 포함하며, 기판(121) 상에는 패드 영역(PA1, PA2)에 복수의 패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패드 영역(PA1)에는 기판(121) 상에 복수의 제1 패드(P1)가 배치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제1 패드(P1) 상에는 제1 데이터 구동부(131)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드 영역(PA2)에는 기판(121) 상에 복수의 제2 패드(P2)가 배치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제2 패드(P2) 상에는 제2 데이터 구동부(132)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패드 영역(PA2)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3 패드 영역에는 복수의 제3 패드가 배치되고, 복수의 제3 패드 상에는 제3 데이터 구동부(133)가 배치될 수 있다.
팬아웃 영역(FOA1, FOA2)에는 복수의 팬아웃 라인(FOL)이 배치된다. 팬아웃 영역(FOA1, FOA2)은 복수의 팬아웃 라인(FOL)이 배치된 영역이다. 팬아웃 영역(FOA1, FOA2)은 데이터 구동부(130)가 배치되는 패드 영역(PA1, PA2)과 표시 영역(A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팬아웃 영역(FOA1, FOA2) 중 제1 팬아웃 영역(FOA1)은 제1 데이터 구동부(131)가 배치되는 제1 패드 영역(PA1)과 제1 표시 영역(AA1) 사이에 배치된 영역이고, 제2 팬아웃 영역(FOA2)은 제2 데이터 구동부(132)가 배치되는 제2 패드 영역(PA2)과 제2 표시 영역(AA2) 사이에 배치된 영역이다.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3 데이터 구동부(133)가 배치되는 제3 패드 영역과 제3 표시 영역(AA3) 사이에는 제3 팬아웃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팬아웃 라인(FOL) 중 복수의 제1 팬아웃 라인(FOL1)은 복수의 제1 패드(P1)와 연결된 팬아웃 라인(FOL)일 수 있다. 제1 팬아웃 라인(FOL1)들은 일단이 제1 패드(P1)들 각각과 연결되어 제1 팬아웃 영역(FOA1)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제1 팬아웃 라인(FOL1)은 복수의 제1_1 팬아웃 라인(FOL1_1) 및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을 포함한다. 제1_1 팬아웃 라인(FOL1_1)들은 제1 패드(P1)와 제1 데이터 라인(DL1)을 연결하는 팬아웃 라인(FOL)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데이터 라인(DL1)은 제1 표시 영역(AA1)의 기판(121) 상에 형성되어 제1 팬아웃 영역(FOA1) 중 일부로 연장된다. 제1 데이터 라인(DL1), 기판(121) 및 제1 패드(P1) 상에는 제1 절연층(122)이 형성되며, 제1 절연층(122) 상에는 제1_1 팬아웃 라인(FOL1_1)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절연층(122)은 제1 절연층(122) 상부와 하부 각각에 배치된 배선들을 서로 절연시키는 절연층이다. 제1_1 팬아웃 라인(FOL1_1)은 제1 절연층(122)에 형성된 컨택홀들을 통하여 일단이 제1 패드(P1)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1 데이터 라인(DL1)과 연결된다. 이에, 제1 패드(P1)와 제1 데이터 라인(DL1)은 제1_1 팬아웃 라인(FOL1_1)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패드(P1)와 연결된 제1 데이터 구동부(131)는 제1_1 팬아웃 라인(FOL1_1)을 통하여 제1 데이터 라인(DL1)으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구동부(131)로부터 제1_1 팬아웃 라인(FOL1_1)과 제1 데이터 라인(DL1)을 통하여 전달된 데이터 신호는 제1 표시 영역(AA1)에 배치된 화소(PX)들로 전달될 수 있다.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들은 제1 패드(P1)와 제2 데이터 라인(DL2)을 연결하는 팬아웃 라인(FOL)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데이터 라인(DL2)은 제2 표시 영역(AA2)의 기판(121) 상에 형성되어 제2 팬아웃 영역(FOA2) 중 일부로 연장된다. 제2 데이터 라인(DL2), 기판(121), 제1 패드(P1) 상에는 제1 절연층(122), 제2 절연층(123) 및 제3 절연층(12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제3 절연층(124) 상에는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이 형성된다. 제2 절연층(123) 및 제3 절연층(124)은 각각의 절연층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된 배선들을 서로 절연시키는 절연층이다.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은 제1 절연층(122), 제2 절연층(123) 및 제3 절연층(124)에 형성된 컨택홀들을 통하여 일단이 제1 패드(P1)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2 데이터 라인(DL2)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들은 제1 패드 영역(PA1)에서 제1 패드(P1)들과 연결되고, 제1 팬아웃 영역(FOA1), 이어서, 제2 팬아웃 영역(FOA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패드(P1)와 제2 데이터 라인(DL2)은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패드(P1)와 연결된 제1 데이터 구동부(131)는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을 통하여 제2 데이터 라인(DL2)으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구동부(131)로부터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과 제2 데이터 라인(DL2)을 통하여 전달된 데이터 신호는 제2 표시 영역(AA2)에 배치된 화소(PX)들로 전달될 수 있다.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들은 제1 팬아웃 영역(FOA1)과 제2 팬아웃 영역(FOA2) 사이의 경계선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팬아웃 라인(FOL1)들 중 제1 팬아웃 영역(FOA1)과 제2 팬아웃 영역(FOA2)의 경계선과 인접한 몇 개의 라인들이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들일 수 있고, 제1 팬아웃 라인(FOL1)들 중 상기 경계선과 보다 이격되어 배치된 라인들은 제1_1 팬아웃 라인(FOL1_1)들일 수 있다. 제1 팬아웃 영역(FOA1)과 제2 팬아웃 영역(FOA2)의 경계선과 인접한 영역에는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의 밀도가 높을 수 있고, 상기 경계선과 멀어질수록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의 밀도가 낮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를 들면, 제1 팬아웃 라인(FOL1)들 중 제1 팬아웃 영역(FOA1)과 제2 팬아웃 영역(FOA2)의 경계선과 인접한 첫번째, 세번째 및 다섯번째 제1 팬아웃 라인(FOL1) 만이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들일 수 있다. 이러한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들은 제1 패드들(P1) 중 제1 패드 영역(PA1)과 제2 패드 영역(PA2)의 경계선으로부터 첫번째, 세번째 및 다섯번째 제1 패드(P1)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들은 제1 팬아웃 영역(FOA1)과 제2 팬아웃 영역(FOA2)의 경계선과 인접하여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들과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들과 연결된 제1 패드들(P1)은 제1 패드 영역(PA1)과 제2 패드 영역(PA2)의 경계선과 인접하여 제1_1 팬아웃 라인(FOL1_1)들과 연결된 제1 패드들(P1)과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표시 영역(AA2)에 배치된 제2 데이터 라인(DL2)들 중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들과 연결된 데이터 라인(DL)은 제1 표시 영역(AA1)과 제2 표시 영역(AA2)의 경계선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표시 영역(AA1)과 제2 표시 영역(AA2)의 경계선과 인접한 영역에는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들과 연결된 제2 데이터 라인(DL2)들의 밀도가 높을 수 있고, 상기 경계선과 멀어질수록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들과 연결되지 않은 제2 데이터 라인(DL2)들의 밀도가 높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를 들면, 제2 데이터 라인(DL2)들 중 제1 표시 영역(AA1)과 제2 표시 영역(AA2)의 경계선과 인접한 첫번째, 세번째 및 다섯번째 제2 데이터 라인(DL2)만이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과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과 연결된 제2 데이터 라인(DL2)들은 상기 경계선과 인접하는 홀수번째(또는, 짝수번째) 제2 데이터 라인(DL2)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제1 팬아웃 영역(FOA1)과 제2 팬아웃 영역(FOA2)의 경계선과 인접한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의 수가 3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1개 이상의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팬아웃 라인(FOL) 중 복수의 제2 팬아웃 라인(FOL2)은 복수의 제2 패드(P2)와 연결된 팬아웃 라인(FOL)일 수 있다. 제2 팬아웃 라인(FOL2)들은 일단이 제2 패드(P2)들 각각과 연결되어 제2 팬아웃 영역(FOA2)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제2 팬아웃 라인(FOL2)은 복수의 제2_1 팬아웃 라인(FOL2_1) 및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을 포함한다. 제2_1 팬아웃 라인(FOL2_1)들은 제2 패드(P2)와 제2 데이터 라인(DL2)을 연결하는 팬아웃 라인(FOL)이다. 제2_1 팬아웃 라인(FOL2_1)들은 제2 패드(P2)와 제2 데이터 라인(DL2)을 연결하는 팬아웃 라인(FOL)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데이터 라인(DL2)은 제2 표시 영역(AA2)의 기판(121) 상에 형성되어 제2 팬아웃 영역(FOA2) 중 일부로 연장된다. 제2 데이터 라인(DL2), 기판(121) 및 제2 패드(P2) 상에는 제1 절연층(122)이 형성되며, 제1 절연층(122) 상에는 제2_1 팬아웃 라인(FOL2_1)이 형성된다. 제2_1 팬아웃 라인(FOL2_1)은 제1 절연층(122)에 형성된 컨택홀들을 통하여 일단이 제2 패드(P2)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2 데이터 라인(DL2)과 연결된다. 이에, 제2 패드(P2)와 제2 데이터 라인(DL2)은 제2_1 팬아웃 라인(FOL2_1)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패드(P2)와 연결된 제2 데이터 구동부(132)는 제2_1 팬아웃 라인(FOL2_1)을 통하여 제2 데이터 라인(DL2)으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구동부(132)로부터 제2_1 팬아웃 라인(FOL2_1)과 제2 데이터 라인(DL2)을 통하여 전달된 데이터 신호는 제2 표시 영역(AA2)에 배치된 화소(PX)들로 전달될 수 있다.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들은 제2 패드(P2)와 제1 데이터 라인(DL1)을 연결하는 팬아웃 라인(FOL)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데이터 라인(DL1), 기판(121), 제2 패드(P2) 상에는 제1 절연층(122), 제2 절연층(123) 및 제3 절연층(12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제2 절연층(123)과 제3 절연층(124) 사이에는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이 형성된다.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은 제1 절연층(122) 및 제2 절연층(123)에 형성된 컨택홀들을 통하여 일단이 제2 패드(P2)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1 데이터 라인(DL1)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들은 제2 패드 영역(PA2)에서 제2 패드(P2)들과 연결되고, 제2 팬아웃 영역(FOA2), 이어서, 제1 팬아웃 영역(FOA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패드(P2)와 연결된 제2 데이터 구동부(132)는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을 통하여 제1 데이터 라인(DL1)으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구동부(132)로부터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과 제1 데이터 라인(DL1)을 통하여 전달된 데이터 신호는 제1 표시 영역(AA1)에 배치된 화소(PX)들로 전달될 수 있다.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들은 제1 팬아웃 영역(FOA1)과 제2 팬아웃 영역(FOA2) 사이의 경계선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팬아웃 라인(FOL2)들 중 제1 팬아웃 영역(FOA1)과 제2 팬아웃 영역(FOA2)의 경계선과 인접한 몇 개의 라인들이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들일 수 있고, 제2 팬아웃 라인(FOL2)들 중 상기 경계선과 보다 이격되어 배치된 라인들은 제2_1 팬아웃 라인(FOL2_1)들일 수 있다. 제1 팬아웃 영역(FOA1)과 제2 팬아웃 영역(FOA2)의 경계선과 인접한 영역에는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의 밀도가 높을 수 있고, 상기 경계선과 멀어질수록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의 밀도가 낮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를 들면, 제2 팬아웃 라인(FOL2)들 중 상기 경계선과 인접한 첫번째, 세번째 및 다섯번째 제2 팬아웃 라인(FOL2) 만이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들일 수 있다. 이러한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들은 제2 패드들(P2) 중 제1 패드 영역(PA1)과 제2 패드 영역(PA2)의 경계선으로부터 첫번째, 세번째 및 다섯번째 제2 패드(P2)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들은 제1 팬아웃 영역(FOA1)과 제2 팬아웃 영역(FOA2)의 경계선과 인접하여 제2_1 팬아웃 라인(FOL2_1)들과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들과 연결된 제2 패드들(P2)은 제1 패드 영역(PA1)과 제2 패드 영역(PA2)의 경계선과 인접하여 제2_1 팬아웃 라인(FOL2_1)들과 연결된 제2 패드들(P2)과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표시 영역(AA1)에 배치된 제1 데이터 라인(DL1)들 중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들과 연결된 데이터 라인(DL)은 제1 표시 영역(AA1)과 제2 표시 영역(AA2)의 경계선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표시 영역(AA1)과 제2 표시 영역(AA2)의 경계선과 인접한 영역에는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들과 연결된 제1 데이터 라인(DL1)들의 밀도가 높을 수 있고, 상기 경계선과 멀어질수록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들과 연결되지 않은 제1 데이터 라인(DL1)들의 밀도가 높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를 들면, 제1 데이터 라인(DL1)들 중 제1 표시 영역(AA1)과 제2 표시 영역(AA2)의 경계선과 인접한 첫번째, 세번째 및 다섯번째 제1 데이터 라인(DL1)만이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과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과 연결된 제1 데이터 라인(DL1)들은 상기 경계선과 인접하는 홀수번째(또는, 짝수번째) 제2 데이터 라인(DL2)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제1 팬아웃 영역(FOA1)과 제2 팬아웃 영역(FOA2)의 경계선과 인접한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의 수가 3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1개 이상의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팬아웃 라인(FOL)들은 팬아웃 영역(FOA1, FOA2)에서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교차될 수 있다. 제1 팬아웃 라인(FOL1)들은 제1 팬아웃 영역(FOA1)에서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되어 교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들은 제1 팬아웃 영역(FOA1)에서 제1_1 팬아웃 라인(FOL1_1)들과 제2 절연층(123) 및 제3 절연층(124)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며 서로 교차될 수 있으며, 이에, 제1_1 팬아웃 라인(FOL1_1)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들은 제2 팬아웃 영역(FOA2)에서 제2_1 팬아웃 라인(FOL2_1)들과 제2 절연층(123)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서로 교차될 수 있으며, 이에, 제2_1 팬아웃 라인(FOL2_1)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들과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들은 제1 팬아웃 영역(FOA1)과 제2 팬아웃 영역(FOA2)의 경계선과 인접한 영역에서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되어 교차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들과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들은 제1 팬아웃 영역(FOA1)과 제2 팬아웃 영역(FOA2) 사이에서 제3 절연층(124)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서로 교차될 수 있다. 이에,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들과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들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10)는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DL1) 및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DL2)의 배치 순서에 따라 차례로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도록 제1 데이터 구동부(131) 및 제2 데이터 구동부(132) 각각으로 제어 신호(CONT)를 인가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구동부(131)는 연결된 제1 팬아웃 라인(FOL1)의 연결 순서에 따라 차례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것이 아니며, 제2 데이터 구동부(132)는 연결된 제2 팬아웃 라인(FOL2)의 연결 순서에 따라 차례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것이 아니다. 제1 데이터 구동부(131)와 제2 데이터 구동부(132)는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DL1)에 평면도 상의 배치 순서에 따라 데이터 신호가 순차적으로 인가되고, 이어서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DL2)에 평면도 상의 배치 순서에 따라 데이터 신호가 순차적으로 인가되도록 제1 팬아웃 라인(FOL1)들과 제2 팬아웃 라인(FOL2)들로 데이터 신호들을 인가할 수 있다.
종래의 표시 장치의 경우,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 중 하나와 연결된 팬아웃 라인들은 하나의 표시 영역에 배치된 데이터 라인과만 연결되었으며, 해당 데이터 구동부와 인접한 다른 데이터 구동부와 연결된 팬아웃 라인들은 사이 하나의 표시 영역과 인접한 다른 표시 영역에 배치된 데이터 라인과만 연결되었다. 이때, 인접한 표시 영역들 사이의 경계에서는 데이터 구동부들의 충전율 차이에 의하여 화질 불량 등이 발생될 수 있고, 이에, 표시 영역 사이의 경계가 시인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경우, 제1 데이터 구동부(131)와 연결되는 제1 팬아웃 라인(FOL1)들 중 일부인 제1_1 팬아웃 라인(FOL1_1)은 제1 데이터 라인(DL1)들과 연결되고, 나머지 일부인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은 제2 데이터 라인(DL2)들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2 데이터 구동부(132)와 연결되는 제2 팬아웃 라인(FOL2)들 중 일부인 제2_1 팬아웃 라인(FOL2_1)은 제2 데이터 라인(DL2)들과 연결되고 나머지 일부인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은 제1 데이터 라인(DL1)들과 연결된다. 또한,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과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은 제1 팬아웃 영역(FOA1)과 제2 팬아웃 영역(FOA2)의 경계선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며,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과 연결된 제2 데이터 라인(DL2)들과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과 연결된 제1 데이터 라인(DL1)들은 제1 표시 영역(AA1)과 제2 표시 영역(AA2)의 경계선과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처럼 인접한 두 개의 데이터 구동부(130) 각각과 연결된 팬아웃 라인(FOL)은 서로 엇갈리며 데이터 라인(DL)들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두 표시 영역(AA)의 경계선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데이터 라인(DL)들은 서로 다른 데이터 구동부(13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교대로 인가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두 표시 영역(AA)의 경계에서 데이터 구동부(130)들의 충전율의 차이에 의한 화질 불량이 감소될 수 있고, 두 표시 영역(AA)의 경계가 시인되는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의 표시 장치(700)는 도 1 내지 도 6의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제1 팬아웃 라인(FOL1) 및 제2 팬아웃 라인(FOL2)의 배치가 상이하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팬아웃 라인(FOL1) 중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은 2개씩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팬아웃 라인(FOL1) 중 제1 팬아웃 영역(FOA1)과 제2 팬아웃 영역(FOA2)의 경계선부터 첫번째와 두번째 팬아웃 라인(FOL), 그리고,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팬아웃 라인(FOL)은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일 수 있다. 또한,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 사이에 배치된 제1_1 팬아웃 라인(FOL1_1)은 2개씩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팬아웃 라인(FOL1) 중 제1 팬아웃 영역(FOA1)과 제2 팬아웃 영역(FOA2)의 경계선부터 세번째와 네번째 팬아웃 라인(FOL)이 제1_1 팬아웃 라인(FOL1_1)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팬아웃 라인(FOL2) 중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은 2개씩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제2_1 팬아웃 라인(FOL2_1)은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들의 사이에서 2개씩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_1 팬아웃 라인(FOL1_1),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 제2_1 팬아웃 라인(FOL2_1) 및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은 한 개 이상의 임의의 수만큼 각각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된 제1_1 팬아웃 라인(FOL1_1)의 수와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된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의 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고,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된 제2_1 팬아웃 라인(FOL2_1)의 수와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된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의 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들은 2개씩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제1_1 팬아웃 라인(FOL1_1)들은 1개씩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700)의 경우,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은 1개 이상의 개수만큼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제1_1 팬아웃 라인(FOL1_1)은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들 사이에서 1개 이상의 개수만큼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인접한 두 개의 데이터 구동부(130) 각각과 연결된 팬아웃 라인(FOL)은 서로 엇갈리며 데이터 라인(DL)들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두 표시 영역(AA)의 경계선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데이터 라인(DL)들은 서로 다른 데이터 구동부(13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교대로 인가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두 표시 영역(AA)의 경계에서 데이터 구동부(130)들의 충전율의 차이에 의한 화질 불량이 감소될 수 있고, 두 표시 영역(AA)의 경계가 시인되는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의 표시 장치(800)는 도 1 내지 도 6의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제1 팬아웃 라인(FOL1) 및 제2 팬아웃 라인(FOL2)의 배치가 상이하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팬아웃 라인(FOL1) 중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은 제1 팬아웃 영역(FOA1)과 제2 팬아웃 영역(FOA2)의 경계선과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고, 모든 팬아웃 라인(FOL)이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은 제1 팬아웃 라인(FOL1) 중 제1 팬아웃 영역(FOA1)과 제2 팬아웃 영역(FOA2)의 경계선으로부터 첫번째 내지 네번째 팬아웃 라인(FOL)일 수 있다. 또한, 제2 팬아웃 라인(FOL2) 중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은 상기 경계선과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며, 모든 팬아웃 라인(FOL)이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은 제1 팬아웃 라인(FOL1) 중 제1 팬아웃 영역(FOA1)과 제2 팬아웃 영역(FOA2)의 경계선으로부터 첫번째 내지 네번째 팬아웃 라인(FOL)일 수 있다. 그러나, 모두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제1_2 팬아웃 라인(FOL1_2)의 수 및 제2_2 팬아웃 라인(FOL2_2)의 수는 4개에 제한되지 않으며, 1개 이상의 임의의 수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800)의 경우, 팬아웃 라인(FOL)들 중 표시 영역(AA)들의 경계선과 인접한 팬아웃 라인(FOL)들이 서로 엇갈리며 서로 다른 데이터 구동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두 표시 영역(AA)의 경계선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데이터 라인(DL)들은 서로 다른 데이터 구동부(13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교대로 인가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두 표시 영역(AA)의 경계에서 데이터 구동부(130)들의 충전율의 차이에 의한 화질 불량이 감소될 수 있고, 두 표시 영역(AA)의 경계가 시인되는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700, 800: 표시 장치
110: 타이밍 제어부
120: 표시 패널
121: 기판
122: 제1 절연층
123: 제2 절연층
124: 제3 절연층
130: 데이터 구동부
131: 제1 데이터 구동부
132: 제2 데이터 구동부
133: 제3 데이터 구동부
140: 주사 구동부
150: 발광 구동부
AA: 표시 영역
AA1: 제1 표시 영역
AA2: 제2 표시 영역
AA3: 제3 표시 영역
PA1: 제1 패드 영역
PA2: 제2 패드 영역
FOA1: 제1 팬아웃 영역
FOL2: 제2 팬아웃 영역
PX: 화소
CONT: 제어 신호
P1: 제1 패드
P2: 제2 패드
FOL: 팬아웃 라인
FOL1: 제1 팬아웃 라인
FOL1_1: 제1_1 팬아웃 라인
FOL1_2: 제1_2 팬아웃 라인
FOL2: 제2 팬아웃 라인
FOL2_1: 제2_1 팬아웃 라인
FOL2_2: 제2_2 팬아웃 라인
FOL3: 제3 팬아웃 라인
SL: 주사 라인
DL: 데이터 라인
DL1: 제1 데이터 라인
DL2: 제2 데이터 라인
DL3: 제3 데이터 라인
EL: 발광 라인

Claims (14)

  1.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들이 배치된 제1 표시 영역,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들이 배치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인접하여 배치된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데이터 구동부 및 제2 데이터 구동부;
    상기 제1 데이터 구동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1_1 팬아웃 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팬아웃 라인들; 및
    상기 제2 데이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2_1 팬아웃 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들 연결되는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팬아웃 라인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1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제1 표시 영역 사이의 제1 팬아웃 영역, 및 상기 제2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제2 표시 영역 사이의 제2 팬아웃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은 상기 제1 팬아웃 영역 및 상기 제2 팬아웃 영역의 경계선과 인접하고,
    상기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은 상기 경계선과 인접한,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은, 상기 제1 팬아웃 영역에서 상기 제2 팬아웃 영역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은, 상기 제2 팬아웃 영역에서 상기 제1 팬아웃 영역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은, 상기 제1 팬아웃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_1 팬아웃 라인들 중 일부와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교차되고, 상기 제2 팬아웃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2_1 팬아웃 라인들 중 일부와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교차되며,
    상기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은, 상기 제2 팬아웃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2_1 팬아웃 라인들 중 일부와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교차되고, 상기 제1 팬아웃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_1 팬아웃 라인들 중 일부와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교차되는, 표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과 상기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은, 상기 제1 팬아웃 영역과 상기 제2 팬아웃 영역의 경계선과 인접하여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되어 교차되는, 표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은 하나 이상씩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은 하나 이상씩 인접하여 배치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은, 상기 복수의 제1 팬아웃 라인들 중 짝수번째 또는 홀수번째 라인이고,
    상기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은, 상기 복수의 제2 팬아웃 라인들 중 짝수번째 또는 홀수번?? 라인인, 표시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은 모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은 모두 인접하여 배치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_1 팬아웃 라인들은, 상기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과 서로 다른 층상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2_1 팬아웃 라인들은, 상기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과 서로 다른 층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과 연결된 제2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과 연결된 제1 데이터 라인들은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경계선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들 중 상기 경계선과 인접한 제1 데이터 라인들을 제외한 나머지 제1 데이터 라인들은, 상기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을 제외한 상기 복수의 제1_1 팬아웃 라인들과만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들 중 상기 경계선과 인접한 제2 데이터 라인들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데이터 라인들은, 상기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을 제외한 상기 복수의 제2_1 팬아웃 라인들과만 연결되는, 표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과 연결된 제2 데이터 라인들은, 상기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들 전체 중 홀수번째 또는 짝수번째 라인이고,
    상기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과 연결된 제1 데이터 라인들은, 상기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들 전체 중 홀수번째 또는 짝수번째 라인인,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_2 팬아웃 라인들과 연결된 제2 데이터 라인들과 상기 복수의 제2_1 팬아웃 라인들과 연결된 제2 데이터 라인들은 평면도 상에서 1개 이상씩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_2 팬아웃 라인들과 연결된 제1 데이터 라인들과 상기 복수의 제1_1 팬아웃 라인들과 연결된 제1 데이터 라인들은 평면도 상에서 1개 이상씩 배치되는,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들의 평면도 상에서 배치된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도록 상기 제1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제2 데이터 구동부로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90019410A 2019-02-19 2019-02-19 표시 장치 KR2020010157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410A KR20200101575A (ko) 2019-02-19 2019-02-19 표시 장치
US16/601,469 US10923010B2 (en) 2019-02-19 2019-10-14 Display device
CN201910992450.6A CN111596493A (zh) 2019-02-19 2019-10-18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410A KR20200101575A (ko) 2019-02-19 2019-02-19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575A true KR20200101575A (ko) 2020-08-28

Family

ID=72042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410A KR20200101575A (ko) 2019-02-19 2019-02-19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23010B2 (ko)
KR (1) KR20200101575A (ko)
CN (1) CN1115964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70633B (zh) * 2020-10-14 2022-07-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954B1 (ko) * 2014-12-19 2022-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32255B1 (ko) * 2015-04-29 2021-1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5161059B (zh) * 2015-06-30 2018-09-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驱动方法、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5047167B (zh) * 2015-08-28 2018-03-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源极驱动电路、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2564458B1 (ko) 2016-05-09 2023-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6125429A (zh) * 2016-08-23 2016-11-1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液晶显示装置
CN107290903B (zh) * 2017-07-28 2020-08-07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TWI657300B (zh) * 2017-08-10 2019-04-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陣列基板
CN108732837B (zh) * 2018-05-29 2019-10-18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Tft阵列基板及液晶显示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65764A1 (en) 2020-08-20
CN111596493A (zh) 2020-08-28
US10923010B2 (en) 202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9563B2 (en) Wireless display panel with antenna design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11524928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919166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JP2018092158A (ja) 表示装置
CN112017543B (zh) 显示面板及其短路测试方法和显示装置
US11238777B2 (en) Non-rectangular display apparatus with data lines that change direction
KR102645930B1 (ko) 표시장치
US10332440B2 (en) Display device
US1063633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testing display device
US1021127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with pad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62721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24069362A (ja) ゼロボーダディスプレイ用のハイブリッドアーキテクチャ
JP2016224242A (ja) 表示装置
CN111367099A (zh) 显示基板、显示装置和显示基板的测试方法
US11373564B2 (en) Lower narrow border display panel
KR20080022357A (ko) 표시장치
KR20200101575A (ko) 표시 장치
KR20220023913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4702114B2 (ja) デマルチプレクサ、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538712B2 (ja) 表示装置
KR20080033730A (ko) 액정표시장치
US11521571B2 (en) Display device, for memory in pixel (MIP) system and inspection machine automatically detecting pixel defect
US11818929B2 (en) Display device with repair patterns
KR102249523B1 (ko) 표시 장치
US20210358357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