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044A - 모발 스타일링 용도에 적합한 중합체 - Google Patents

모발 스타일링 용도에 적합한 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044A
KR20160127044A KR1020167025985A KR20167025985A KR20160127044A KR 20160127044 A KR20160127044 A KR 20160127044A KR 1020167025985 A KR1020167025985 A KR 1020167025985A KR 20167025985 A KR20167025985 A KR 20167025985A KR 20160127044 A KR20160127044 A KR 20160127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crylic acid
group
copolymer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그레이엄
비안카 젤리히
잔드라 마크
크리슈토프 톤하우저
한스-마르틴 하케
폴커 벤델
파트리키아 그룬트
마르틴 하우케
실비아 예크
비외른 슈뢰더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60127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04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e.g. (meth) acrylamid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4Polymerisation in sol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4Polymerisation in solution
    • C08F2/06Organic solv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2C2-(meth)acrylate, e.g. 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 C08F2220/180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량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 중에서의 단량체의 중합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여기서 용매는 물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공중합체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 및 인간 모발의 스타일링 또는 고정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인간 모발의 스타일링 또는 고정을 위한, 및 스타일링 또는 고정된 모발에 고 광택을 제공하기 위한, 보다 일반적으로 정의된 공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발 스타일링 용도에 적합한 중합체 {A POLYMER SUITABLE FOR USE IN HAIR STYLING}
본 발명은 단량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 중에서의 단량체의 중합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여기서 용매가 물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공중합체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 및 인간 모발의 스타일링 (styling) 또는 고정 (fixing) 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인간 모발의 스타일링 또는 고정을 위한, 및 스타일링 또는 고정된 모발에 고 광택을 제공하기 위한 보다 일반적으로 정의된 공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모발용 화장품에 사용되는 중합체, 특히 모발 스타일링에 사용되는 중합체는, 이의 기능성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비(非)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양성) 중합체 뿐 아니라 양이온성 (양성) 중합체는 최신 기술에 공지되어 있고, 시판되고 있다.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는 모발의 스타일링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품의 예는, Gantrez® 유형 (ISP), Resyn® 유형 (Akzo Nobel) 및 Luvimer®/Ultrahold® 유형 (BASF) 이다. 최신 기술에, 용액 중합에서, 에멀젼, 현탁액, 및 침전 중합에 이르는 다수의 상기 중합체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히 음이온성 중합체는 매우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US 3 112 296 에는 헤어 스프레이 수지로서 유용한 아크릴계 중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중합체는, 예를 들어 공기-펌프 스프레이 또는 에어로졸 캔 중의 모발 고정 제형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그 중에서, 특히 유용한 아크릴계 중합체는 아크릴산 (AA), 에틸 아크릴레이트 (EA) 및 t-부틸아크릴아미드 (tBAM) 를 포함하는 삼원중합체이다. US 특허 3,112,296 의 실시예 1 에서, 예를 들어, 삼원중합체 AA-EA-tBAM 는,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t-부틸아크릴아미드를 공중합하고, 아크릴산 모이어티를 수득하기 위하여 중합체 사슬 중 에틸 아크릴레이트 모이어티를 부분 비누화시켜 제조된다. EP 0 037 378 A2 에 따라, 이러한 방법은, 아마도 중합체 사슬 하 카르복실레이트기의 균일하지 않은 분포로 인해, 수 용해성 및 컬 (curl) 보유 특성의 덜 이상적인 균형을 갖는 삼원중합체를 유도한다. US 3,112,296 의 청구항에 따라, 바람직한 중합체는 약 41.6 중량% EA, 16.6 중량% AA 및 41.6 tBAM 을 포함한다.
EP 0 037 378 A2 에는 모발 스타일링 중합체 (모발 고정 중합체) 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삼원중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삼원중합체는 (중량% 로서) 46-56 % tBAM, 37-45 % EA 및 6-8 % AA 를 포함한다. 이러한 삼원중합체는, 에탄올 또는 에탄올-물-혼합물의 용액 중에서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된다. 투명하고, 광택이 있고, 유연하고, 강한 중합체 필름이 수득될 수 있다고 개시되어 있다.
EP 0 259 851 A1 에는 모발 스타일링 중합체 (모발 고정 중합체) 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삼원중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삼원중합체는 (중량% 로서) 50-56 % tBAM, 37-45 % EA 및 6-9 % AA 를 포함한다. 이러한 삼원중합체는 물 중의 에멀젼 형태로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된다.
tBAM, EA 및 AA 를 포함하는 삼원 중합체는 시판된다. BASF (Ludwigshafen, Germany) 에서 공급하는 Ultrahold® Strong 가 있으며, 이는 tBAM, EA 및 AA 을 포함하는 삼원중합체로서, 알코올 및 물 기재의 모발-세팅 제제 중에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음이온성 중합체는 각종 화장품용 조성물에서 발견되며, 이는 종종 모발, 피부 및 색조 화장품의 필름 형성 또는 고정제 성분으로서 사용된다. WO 2011/000711 에는 추진제 및 특정 밸브와 조합된 저 VOC 헤어스프레이가 개시되어 있다. WO 2008/041202 에는 왁스 스타일링 플레이크가 개시되어 있다. EP 1 813 265 A 에는 고정제 및 하나 이상의 폴리올을 함유하는 제형을 이용한 케라틴 처리가 개시되어 있다. WO 2006/018328 에는 농축된 고정제 및 특정 밸브를 사용한 콤팩트 헤어스프레이가 개시되어 있다.
높은 굽힘 강도, 높은 컬 보유율을 갖는 중합체 필름을 제공하고, 높은 윤기 (광택) 를 갖는 모발을 유도하는, 모발 스타일링 (모발 고정) 중합체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 내재된 하나의 과제는, 높은 굽힘 강도, 높은 컬 보유율을 제공하고, 높은 윤기를 갖는 모발을 유도하는, 모발 스타일링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하기 단락에 정의된 공정 방식에 의한 제품으로의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에 의해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는, 하기 단락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는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여기서 공중합체는 단량체로서,
45 내지 55 중량% 의, 하기 구조의 불포화 아미드
Figure pct00001
(식 중,
R1 은 H 및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 는 H 및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 은 H 및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35 - 45 중량% 의, 하기 구조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Figure pct00002
(식 중,
R4 는 C1-C12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5 는 H 및 C1-C12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9 내지 15 중량% 의, C=C 이중 결합 및 COOH 기를 포함하는 산성 단량체,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고,
여기서 산성 단량체는 임의로 중화제로 부분 또는 완전 중화되고, 여기서 중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탄올아민, AMP (2-아민-2-메틸-1-프로판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방법은
단량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 중에서 단량체를 중합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용매는 물, 및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tert-부탄올, 펜탄올, 펜탄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알코올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하기 구조의 불포화 아미드에서,
Figure pct00003
R1 은 H,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1 은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및 tert-부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1 은 tert-부틸 (또한 t-부틸로서 지칭됨) 이고,
R2 는 H,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2 는 H,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및 tert-부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2 는 H 이고,
R3 은 H 및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3 은 H,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및 tert-부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3 은 H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 중 이러한 단량체의 양은, 45 내지 55 중량%, 바람직하게는 46 내지 54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7 내지 54 중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8 내지 53 중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9 내지 53 중량% 이다.
하기 구조의 아크릴산 에스테르에서,
Figure pct00004
R4 는 C1-C12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4 는 에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및 tert-부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4 는 에틸이고,
R5 는 H 및 C1-C12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5 는 H, 에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및 tert-부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5 는 H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 중 이러한 단량체의 양은, 35 내지 45 중량%, 바람직하게는 36 내지 44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43 중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42 중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42 중량% 이다.
C=C 이중 결합 및 COOH 기를 포함하는 산성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 중 이러한 단량체의 양은, 9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9 내지 44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3 중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2 중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1 중량%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의 보다 특정한 구현예가 하기 단락에 기재된다.
1.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여기서 공중합체는 단량체로서,
45 내지 55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5 내지 45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9 내지 15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free)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고,
여기서 아크릴산은 임의로 중화제로 부분 또는 완전 중화되고, 여기서 중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탄올아민, AMP (2-아민-2-메틸-1-프로판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방법은
단량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 중에서 단량체를 중합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용매는 물, 및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tert-부탄올, 펜탄올, 펜탄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알코올을 포함하는 방법.
상기 단락의 방법은 이하 "구현예 1" 로서 지칭된다.
2. 구현예 1 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단량체로서,
46 내지 54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6 내지 44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9 내지 14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는 방법.
3. 구현예 1 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단량체로서,
47 내지 54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7 내지 43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9 내지 13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는 방법.
4. 구현예 1 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단량체로서,
48 내지 53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7 내지 42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9 내지 12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는 방법.
5. 구현예 1 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단량체로서,
48 내지 53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7 내지 41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12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는 방법.
6. 구현예 1 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단량체로서,
49 내지 53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7 내지 41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11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5,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는 방법.
7. 본 발명 또는 구현예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용매가
2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중량% 의 물, 및
3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 중량% 의,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tert-부탄올, 펜탄올, 펜탄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알코올
을 포함하는 방법.
8. 구현예 7 에 있어서, 알코올이 에탄올인 방법.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의 특정 구현예를 유도하는 상기 단락에 기재된 특정 구현예 포함).
이러한 공중합체는, 이러한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용매 중에서 수득가능하다. 이러한 용액은 모발 케어 제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공중합체가 단리된 후, 모발 케어 제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의 용도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는 인간 모발의 스타일링 또는 고정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의 용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의 용도의 특정 구현예를 유도하는 상기 단락에 기재된 특정 구현예 포함).
보다 특정한 용도는, 인간 모발의 스타일링 또는 고정을 위한, 및 스타일링 또는 고정된 모발에 고 광택을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의 용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의 이러한 용도의 특정 구현예를 유도하는 상기 단락에 기재된 특정 구현예 포함).
보다 일반적인 공중합체의 용도
고 광택의 스타일링 또는 고정된 모발이, 상기 단락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뿐 아니라 보다 일반적으로 정의된 공중합체에 의해 유도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내재된 또 다른 과제는, 인간 모발을 스타일링 또는 고정하고, 스타일링 또는 고정된 모발에 고 광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인간 모발의 스타일링 또는 고정을 위한, 및 스타일링 또는 고정된 모발에 고 광택을 제공하기 위한, 하기 단락에 상세하게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보다 일반적으로 정의된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는 하기 단락에 상세하게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보다 일반적으로 정의된 공중합체의 용도이다 .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는, 인간 모발의 스타일링 또는 고정을 위한, 및 스타일링 또는 고정된 모발에 고 광택을 제공하기 위한 공중합체의 용도로서,
여기서 공중합체가 단량체로서,
45 내지 55 중량% 의, 하기 구조의 불포화 아미드
Figure pct00005
(식 중,
R1 은 H 및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 는 H 및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 은 H 및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35 - 45 중량% 의, 하기 구조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Figure pct00006
(식 중,
R4 는 C1-C12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5 는 H 및 C1-C12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5 내지 20 중량% 의, C=C 이중 결합 및 COOH 기를 포함하는 산성 단량체,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고,
여기서 산성 단량체는 임의로 중화제로 부분 또는 완전 중화되고, 여기서 중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탄올아민, AMP (2-아민-2-메틸-1-프로판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이다.
하기 구조의 불포화 아미드에서,
Figure pct00007
R1 은 H,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1 은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및 tert-부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1 은 tert-부틸 (또한 t-부틸로서 지칭됨) 이고,
R2 는 H,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2 는 H,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및 tert-부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2 는 H 이고,
R3 은 H 및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3 은 H,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및 tert-부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3 은 H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 중 이러한 단량체의 양은, 45 내지 55 중량%, 바람직하게는 46 내지 54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7 내지 54 중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8 내지 53 중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9 내지 53 중량% 이다.
하기 구조의 아크릴산 에스테르에서,
Figure pct00008
R4 는 C1-C12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4 는 에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및 tert-부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4 는 에틸이고,
R5 는 H 및 C1-C12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5 는 H, 에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및 tert-부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5 는 H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 중 이러한 단량체의 양은, 35 내지 45 중량%, 바람직하게는 36 내지 44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43 중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42 중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42 중량% 이다.
C=C 이중 결합 및 COOH 기를 포함하는 산성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 중 이러한 단량체의 양은, 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9 중량%,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7 중량%,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9 내지 44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3 중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2 중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1 중량% 이다.
상기 단락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도는,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 로서 지칭된다.
이러한 추가 구현예의 보다 특정한 구현예가 하기 단락에 기재된다.
1. 추가 구현예에 따른 용도로서,
여기서 공중합체는 단량체로서,
45 내지 55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5 내지 45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5 내지 20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고,
여기서 아크릴산은 임의로 중화제로 부분 또는 완전 중화되고, 여기서 중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탄올아민, AMP (2-아민-2-메틸-1-프로판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2. 추가 구현예에 따른 용도로서,
여기서 공중합체는 단량체로서,
45 내지 55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5 내지 45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6 내지 19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고,
여기서 아크릴산은 임의로 중화제로 부분 또는 완전 중화되고, 여기서 중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탄올아민, AMP (2-아민-2-메틸-1-프로판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3. 추가 구현예에 따른 용도로서,
여기서 공중합체는 단량체로서,
45 내지 55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5 내지 45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7 내지 17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고,
여기서 아크릴산은 임의로 중화제로 부분 또는 완전 중화되고, 여기서 중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탄올아민, AMP (2-아민-2-메틸-1-프로판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4. 추가 구현예에 따른 용도로서,
여기서 공중합체는 단량체로서,
45 내지 55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5 내지 45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9 내지 15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고,
여기서 아크릴산은 임의로 중화제로 부분 또는 완전 중화되고, 여기서 중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탄올아민, AMP (2-아민-2-메틸-1-프로판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5. 추가 구현예에 따른 용도로서,
여기서 공중합체는 단량체로서,
46 내지 54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6 내지 44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9 내지 14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는 용도.
6. 추가 구현예에 따른 용도로서,
여기서 공중합체는 단량체로서,
47 내지 54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7 내지 43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9 내지 13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는 용도.
7. 추가 구현예에 따른 용도로서,
여기서 공중합체는 단량체로서,
48 내지 53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7 내지 42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9 내지 12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는 용도.
8. 추가 구현예에 따른 용도로서,
여기서 공중합체는 단량체로서,
48 내지 53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7 내지 41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12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는 용도.
9. 추가 구현예에 따른 용도로서,
여기서 공중합체는 단량체로서,
49 내지 53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7 내지 41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11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5,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는 용도.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또한 "스타일링 중합체" 로서 지칭됨) 를 모발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하기 단락에 기재한다. % 는 중량% 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을 기재로 하는 모발 스타일링 제품, 헤어 스프레이, 헤어 젤, 무스 또는 왁스로 제형화될 수 있다.
통상의 헤어 스프레이 제형은 스타일링 중합체 1-7%, 에탄올, 중화제 (AMP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NaOH, KOH, 또는 이들의 조합) 및 추진제 (DME (디메틸 에테르),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HFC-152a 또는 이들의 조합) 의 조성물일 수 있다. 55, 80, 90% 또는 그 이상의 양의 VOC (휘발성 유기 화합물) 를 갖는 VOC 제형에 따라, 제형의 나머지는 물 또는 EtOH 일 수 있다.
통상의 젤 제형은, 0.5-7% 의 시판용 스타일링 중합체, 예컨대 폴리 비닐 피롤리돈 PVP K30, PVP K90, Luviset® Clear, 및 Luviset® One (또한 0-5% 로 가변적임) 의, 가능하게는 다른 것들과의 조합으로의, 스타일링 중합체의 조성물일 수 있다. 스타일링 중합체는, 예를 들어 트리에탄올아민, AMP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NaOH 또는 KOH 로 중화될 수 있다. 젤 제형의 증점 성분은, 순수한 폴리아크릴산 기재의 증점제, 예를 들어 Carbopol® 980, 또는 Cosmedia® CPlus, 또는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칼리성 팽윤성 에멀젼, 예컨대 Luvigel® Fit, 또는 Acculyn® 22 및 상기와 같은 중합체 (0.5-5%) 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증점 중합체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동일한 중화제를 사용하여 중화될 수 있다.
통상의 무스 제형은, 각종 표준 스타일링 중합체, 예컨대 Polyquaternium® 11, Luviquat® Supreme, Luviquat® hold, Luviflex® soft, Luvikol® PVP 또는 Luviskol® VP/VA 유형과 부가적으로 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스타일링 중합체 (1-9%) 를 함유할 수 있다. 나아가, 무스 제형은 물 (40-95%), AMP, 트리에탄올아민, NaOH 또는 KOH 로부터 선택되는 중화제 (0.01-5%), PEG-40 수소첨가 피마자유와 같은 수소첨가유로부터 선택되는 가용화제 (0.0-3.0%) 를 함유할 수 있고, UV 필터 또는 감각 개선제와 같은 활성 성분, 예를 들어 판테놀 (0.0-1.5%) 이 또한 제형 중에 포함될 수 있다. O/W 유형의 에멀젼화제, 예컨대 Ceteareth®-25 (Cremophor® AT25) 및 유사한 구조가 또한 무스 제형에서 통상적으로 확인된다 (0.1-2.5%). 무스의 목적하는 최종 점조도에 따라, 레올로지 (rheology) 조절제가 또한 최종 제형에 포함될 수 있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이의 유도체, 예를 들어 Natrosol® 250HR (0.0-1.5%) 가, 이러한 작업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최종적으로, 추진제가 요구되며, 이는 프로판/부탄, 또는 이소부텐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10-60% 범위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의 제조를 위한 적합한 개시제는 임의의 개시제일 수 있다. 이는 tert.-부틸 퍼옥토에이트, 2,2'-아조비스(2-아미도노프로판) 디히드로클로라이드 (V50);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V65); tert.-부틸퍼옥시 피발레이트; tert.-부틸퍼옥시 부티레이트; ter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 (NaPS); 암모늄 퍼옥소디술페이트 (APS) 및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 헥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추진제 및 기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장용 성분과 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의 제형이다. 추진제는 DME (디메틸 에테르), 프로판/부탄, 이소부텐, 플루오로카본 152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추진제 또는 추진제 조합은 제형 중 15-48 중량% 를 구성할 수 있다. 에탄올, 물 및 기타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성분은, 52 - 99 중량% 의 일반적으로 허용된 휘발성 유기 화합물 (VOC) 함량을 갖는 최종 화장용 에어로졸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양으로, 제형 중에 존재할 수 있다.
실시예
% 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중량% 를 의미한다.
AS 또는 a.s 는 활성 물질 (active substance) 을 의미한다.
중합체 A 의 합성
중합체 A 는, 70% 에탄올 및 30% 물로 이루어진 수성알코올성 (hydroalcholic) 용액 중 최종 생성물 형태의 30% 중합체가 유도되도록, tert-부틸아크릴아미드 (51%), 에틸 아크릴레이트 (39%), 아크릴산 (10%) 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이다. 따라서, 최종 생성물의 전체적인 조성은, 중합체 A: 30%, 에탄올: 49%, 물: 21% 이다.
불활성 분위기 하 에탄올 및 물 (70% 에탄올, 30% 물) 의 용매 혼합물 중에서 용액 중합을 수행하였다. 반응기에 5% 의 단량체 공급물 (tBAM/EA/AS) 및 개시제 (tert-부틸퍼옥토에이트) 공급물을 사전충전하고, 7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나머지 단량체 용액 (EtOH/H2O 중) 을 2 시간 내에 및 개시제 용액을 3 시간 내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0 ℃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제 2 개시제 (tert-부틸퍼옥토에이트) 를 0.5 시간 내에 첨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반응 혼합물을 85 ℃ 에서 6 시간 이하 동안 교반하여, 생성물인 중합체 A 를 수득하였다.
용해 속도
중합체가 제형화될 수 있는 속도는 고객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인데, 이는 중합체가 보다 용이하게 제형화될 수 있으면, 시간의 절약 뿐 아니라 에너지 비용의 절감 및 보다 지속가능한 공정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합체 A 를 중합체 B 와 비교하였다. 중합체 B 는 중합체 B 와 동일한 단량체 조성을 갖지만, 이는 물 중에서 단량체의 에멀젼을 중합함으로써 수득되고 (EP 0 259 851 A1 에 기재된 바와 유사하게), 비드렛 (beadlet) 형태로 제공된다.
Figure pct00009
굽힘 강도 (bending stiffness)/컬 보유율 (curl retention)
3 점법 (3 point method) 을 통해 측정된 굽힘 강도는, 세팅 (setting) 중합체가 얼마나 단단하게 모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중합체가 전달할 수 있는 보유 수준의 중요한 지표이다. 컬 보유율은, 습도에 대한 중합체 필름의 저항성 및 고 습도 조건 하에서 고정 기간에 걸쳐 컬 형태를 보유하는 이의 능력의 측정치이다.
모발 샘플의 제조 및 3-점 굽힘법의 측정 방법은 하기와 같다.
5% a.s 중합체 용액을 에탄올성 용액으로서 제조하고, 0.7g 의 상기 용액을 24cm 의 자유로운 모발 길이를 갖는 머릿단 (hair tress) 에 도포하였다. 이어서, 머릿단을 선반 (rack) 에 걸어 21℃ 및 65% 상대 습도의 인공기후실 (climate chamber) 내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이어서, 중합체 처리된 건조된 머릿단을, 이를 대칭적으로 받치고 있는 9cm 간격의 2 개의 롤을 갖는 프레임 상에 놓고 물성 분석기 (Stable Microsystems 사의 모델 XT plus) 로 측정하였다. 이어서, 머릿단을 받치고 있는 2 개의 롤의 정확하게 가운데에서 머릿단의 위쪽에서 가장가리가 둥근 스탬프를 작동시켰다. 중합체 필름을 완전히 파손시키는 이러한 작용을 통해, 머리카락을 40mm 구부러트렸다. 이어서, 중합체 필름의 파괴에 요구되는 힘을 로드 셀 (load cell) 을 이용하여 N 으로 측정하였다.
상이한 샘플의 컬 보유율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15cm 의 세정된 머릿단을, 머릿단이 완전히 적셔질 때까지, 증류수 중에 3 회 담근 후, 머릿단을 롤러로 말아감아, 단단하게 패킹된 컬링된 형태를 수득하였다. 롤러 상의 머릿단 (정지된 상태로) 을 70℃ 에서 3 시간 동안 진공 오븐 내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기간 후, 머릿단을 롤러에서 조심스럽게 제거하여, 물결 컬 형태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컬을 회전하는 장치에 매달고, 일정량의 제형 (3g) 이 모발 상에 분무될 때까지, 분무율을 기준으로 일정량의 시간 동안 선택된 헤어스프레이 제형을 분무하였다. 이어서, 분무된 머릿단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건조 기간 후, 분무된 머릿단을 선반에 매달고, 컬링된 머릿단의 초기 길이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선반을 25℃ 및 90% 상대 습도의 인공기후실 내에 위치시켰다. 이어서, 5 시간 및 24 시간 후 측정을 수행하여, 컬의 길이를 시간에 대하여 기록하였다. 이어서, 컬 보유율을 % 로서 표시하였고, 여기서 % 가 클수록 컬의 마지막 길이가 초기 길이에 더 근접한 것으로, 이는 컬 보유율이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1: 벤치마크에 대한 중합체 A 의 굽힘 강도 및 컬 보유율의 비교
Figure pct00010
벤치마크 1 은 tert-부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BASF 사의 Ultrahold® Strong) 이다.
벤치마크 2 는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다.
벤치마크 3 은 VA/크로토네이트/비닐 네오데카노에이트 공중합체이다.
용액 중합법을 통해 제조된 중합체 A 는, 스타일링 분야에서 시장 벤치마크로서 인정된 중합체에 대하여 강도 및 컬 보유율 둘 모두에 있어서 이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기 (shine)
중합체 A 는, 머릿단 상에 분무된 헤어스프레이 제형의 독립적인 맹검 (blind) 연구에서, 시장 벤치마크와 비교하여, 인지된 윤기에 개선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은 하기와 같은 구성되었다: 시험을 위하여 제품 당 2 개의 머릿단을 사용하였고, 여기서 머릿단은 원형의 프로파일 (round profile) 을 가졌다. 각각의 머릿단을 세정하고, 상기 기재된 컬 보유율에서와 같이 롤러로 감아 컬 형태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컬 형태를 일정량의 헤어스프레이로 처리하였다. 건조 후, 머릿단의 인지된 광택을 암실에서 표준화된 광원 하에서 훈련된 패널에 의해 평가하고, 광택의 비교는 항상 쌍으로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11
헤어스프레이 1 은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시판용 제형이다.
헤어스프레이 2 는 VP/VA 공중합체와 조합된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시판용 제형이다.
헤어스프레이 3 은 중합체 A 를 함유하는 시판용 관련 제형이다.
결과는, 중합체 A 를 함유하는 시판용 관련 제형이, 사용시 윤기를 개선시킨다고 주장되는 2 종의 다른 시판용 제형과 비교하여, 윤기의 측면에서 선호된다는 것을 분명히 나타낸다.
추가 실시예
중합체 A 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중합체 A (w) 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고, 중합체 B 라고 지칭하였다.
기타 중합체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12
결론:
용액 중합법은, 불균일 중합법 (현탁액) 을 통해 제조된 동일한 조성의 중합체와 비교시, 용액 중합에 의해 제조된 중합체에 보다 높은 굴절률로 표시되는 유의하게 개선된 광택/윤기를 제공한다. 결과는 또한, EtOH/H2O 혼합물 (중합체 A), iPrOH (중합체 A (i)), 및 iPrOH/H2O (중합체 A (i/w)) 중에 제조된 동일한 조성으로서 용액 중합을 실시하는 것이, 굽힘 강도 시험 (스타일링 중합체에 있어서의 중요한 매개변수) 에서 현저하게 상이한 성능을 나타내는 경우, 용매 선택의 중요성을 입증한다.
EtOH 및 H2O 의 혼합물 중에 제조된 중합체 A 는, 강한 보유력을 나타내는 높은 굽힘 강도를 나타내고, 중합체 A(i) 및 A(i/w) 는 선택된 화장용 적용에서 덜 바람직할 수 있는 감소된 굽힘 강도를 나타낸다. EtOH/H2O 중에서의 방법은, 광택 및 굽힘 강도의 측면에서 불균일 중합법과 비교하여, 최적의 결과의 조합을 제공한다.
동일한 중합체 ("실시예" 및 "추가 실시예" 에서의 중합체 A 및 "실시예" 및 "추가 실시예" 에서의 중합체 B (이는 중합체 A (w) 로서 지칭됨) 에서의 굽힘 강도 및 컬 보유율의 차이는, "실시예" 및 "추가 실시예" 에서 상이한 유형의 머릿단이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굽힘 강도 측정치 및 컬 보유율 측정치의 결과를 단지 "실시예" 내에서 및 "추가 실시예" 내에서만 비교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및 "추가 실시예" 간의 결과의 비교는 이치에 맞지 않는다.

Claims (15)

  1.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여기서 공중합체는 단량체로서,
    45 내지 55 중량% 의, 하기 구조의 불포화 아미드
    Figure pct00013

    (식 중,
    R1 은 H 및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 는 H 및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 은 H 및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35 - 45 중량% 의, 하기 구조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Figure pct00014

    (식 중,
    R4 는 C1-C12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5 는 H 및 C1-C12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9 내지 15 중량% 의, C=C 이중 결합 및 COOH 기를 포함하는 산성 단량체,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고,
    여기서 산성 단량체는 임의로 중화제로 부분 또는 완전 중화되고, 여기서 중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탄올아민, AMP (2-아민-2-메틸-1-프로판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방법은
    단량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 중에서 단량체를 중합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용매는 물, 및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tert-부탄올, 펜탄올, 펜탄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알코올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단량체로서,
    45 내지 55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5 내지 45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9 내지 15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free)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고,
    여기서 아크릴산은 임의로 중화제로 부분 또는 완전 중화되고, 여기서 중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탄올아민, AMP (2-아민-2-메틸-1-프로판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단량체로서,
    46 내지 54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6 내지 44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9 내지 14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단량체로서,
    47 내지 54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7 내지 43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9 내지 13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단량체로서,
    48 내지 53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7 내지 42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9 내지 12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단량체로서,
    48 내지 53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7 내지 41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12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가
    2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중량% 의 물, 및
    3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 중량% 의,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tert-부탄올, 펜탄올, 펜탄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알코올
    을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알코올이 에탄올인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공중합체.
  10. 인간 모발의 스타일링 (styling) 또는 고정 (fixing) 을 위한, 제 9 항에 따른 공중합체의 용도.
  11. 인간 모발의 스타일링 또는 고정을 위한, 및 스타일링 또는 고정된 모발에 고 광택을 제공하기 위한, 제 9 항에 따른 공중합체의 용도.
  12. 인간 모발의 스타일링 또는 고정을 위한, 및 스타일링 또는 고정된 모발에 고 광택을 제공하기 위한 공중합체의 용도로서,
    여기서 공중합체는 단량체로서,
    45 내지 55 중량% 의, 하기 구조의 불포화 아미드
    Figure pct00015

    (식 중,
    R1 은 H 및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 는 H 및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 은 H 및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35 - 45 중량% 의, 하기 구조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Figure pct00016

    (식 중,
    R4 는 C1-C12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5 는 H 및 C1-C12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5 내지 20 중량% 의, C=C 이중 결합 및 COOH 기를 포함하는 산성 단량체,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고,
    여기서 산성 단량체는 임의로 중화제로 부분 또는 완전 중화되고, 여기서 중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탄올아민, AMP (2-아민-2-메틸-1-프로판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13. 제 12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단량체로서,
    45 내지 55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5 내지 45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5 내지 20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고,
    여기서 아크릴산은 임의로 중화제로 부분 또는 완전 중화되고, 여기서 중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탄올아민, AMP (2-아민-2-메틸-1-프로판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14. 제 12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단량체로서,
    45 내지 55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5 내지 45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6 내지 19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고,
    여기서 아크릴산은 임의로 중화제로 부분 또는 완전 중화되고, 여기서 중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탄올아민, AMP (2-아민-2-메틸-1-프로판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15. 제 12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단량체로서,
    45 내지 55 중량% 의 t-부틸아크릴아미드,
    35 내지 45 중량% 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7 내지 17 중량% 의 아크릴산 (유리 아크릴산으로서 계산됨), 및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고,
    여기서 아크릴산은 임의로 중화제로 부분 또는 완전 중화되고, 여기서 중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탄올아민, AMP (2-아민-2-메틸-1-프로판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KR1020167025985A 2014-02-26 2015-02-13 모발 스타일링 용도에 적합한 중합체 KR201601270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56706 2014-02-26
EP14156706.5 2014-02-26
PCT/EP2015/053066 WO2015128204A1 (en) 2014-02-26 2015-02-13 A polymer suitable for use in hair styl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044A true KR20160127044A (ko) 2016-11-02

Family

ID=5015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985A KR20160127044A (ko) 2014-02-26 2015-02-13 모발 스타일링 용도에 적합한 중합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60367468A1 (ko)
EP (1) EP3110861B1 (ko)
JP (1) JP2017512230A (ko)
KR (1) KR20160127044A (ko)
CN (1) CN106062021A (ko)
BR (1) BR112016019765B1 (ko)
ES (1) ES2710213T3 (ko)
WO (1) WO20151282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71207A1 (en) 2015-06-17 2018-06-21 Clariant International Ltd. Water-Soluble Or Water-Swellable Polymers As Water Loss Reducers In Cement Slurries
JP7032402B2 (ja) 2016-12-12 2022-03-08 クラリアント・インターナシヨナル・リミテツド ある特定のレベルのバイオベース炭素を含むポリマー
JP7050784B2 (ja) 2016-12-12 2022-04-08 クラリアント・インターナシヨナル・リミテツド 化粧料組成物、皮膚科学的組成物または医薬組成物におけるバイオベースのポリマーの使用
US11306170B2 (en) 2016-12-15 2022-04-19 Clariant International Ltd. Water-soluble and/or water-swellable hybrid polymer
US11401362B2 (en) 2016-12-15 2022-08-02 Clariant International Ltd Water-soluble and/or water-swellable hybrid polymer
WO2018108665A1 (en) 2016-12-15 2018-06-21 Clariant International Ltd Water-soluble and/or water-swellable hybrid polymer
US11339241B2 (en) 2016-12-15 2022-05-24 Clariant International Ltd. Water-soluble and/or water-swellable hybrid polymer
CN109485802A (zh) * 2018-11-06 2019-03-19 广州天赐高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发用定型聚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2490A (en) * 1958-09-25 1961-03-08 Ciba Ltd Chromium co-ordination complex compounds
DE3170924D1 (en) * 1980-03-27 1985-07-18 Ciba Geigy Ag Acrylic terpolymers, proces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nd of hair fixing formulations for use as air-pump or aerosol sprays
DE3271521D1 (en) * 1981-03-25 1986-07-10 Ciba Geigy Ag Composition for fixing the hair, its preparation and its use in aerosol sprays
DE3631070A1 (de) * 1986-09-12 1988-03-24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erpolymeren
US5576403A (en) * 1994-07-28 1996-11-19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Solution polymerization of vinyl monomers with water soluble initiators in substantially non-aqueous media
JP3310150B2 (ja) * 1995-12-29 2002-07-29 互応化学工業株式会社 整髪用樹脂組成物及び整髪用スプレー
FR2745173B1 (fr) * 1996-02-22 1998-04-30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de fixation et de brillance en aerosol et proce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36222A1 (en) 2018-02-08
CN106062021A (zh) 2016-10-26
BR112016019765B1 (pt) 2021-09-14
ES2710213T3 (es) 2019-04-23
EP3110861A1 (en) 2017-01-04
BR112016019765A2 (ko) 2017-08-15
EP3110861B1 (en) 2018-11-07
JP2017512230A (ja) 2017-05-18
US20160367468A1 (en) 2016-12-22
WO2015128204A1 (en) 2015-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7044A (ko) 모발 스타일링 용도에 적합한 중합체
EP1726331B1 (en) Moisture resistant hair styling composition containing two copolymers
US9345656B2 (en) Acrylic polymer
US6329472B1 (en) Water-soluble or water-dispersible graft copolymers based on a polyvinyllactam, their preparation and use
JP4711633B2 (ja) ポリマー組成物およびポリマーの調製法
US20070197704A1 (en) Moisture resistant hair styling composition containing two copolymers
JP5804665B2 (ja) 毛髪化粧料
CA2583343A1 (en) Cosmetic preparations containing copolymers of ethyl methacrylate and at least one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JPH08259635A (ja) 化粧品の活性成分として適当な四級化コポリマー、該ポリマーを含有するヘア化粧品およびスキン化粧品
JP2009256212A (ja) 毛髪化粧料用基剤及び毛髪化粧料
JP4684498B2 (ja) 化粧料用基剤およびそれからなる化粧料
US6737049B1 (en) Cationic polymers and their use
JP4861655B2 (ja) 整髪用被膜形成樹脂
US20150139930A1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Including Narrow Molecular Weight Range Copolymers
JP2013507375A (ja) 直接的架橋ポリマーに基づいた化粧品組成物
JPH11255622A (ja) 毛髪化粧料組成物
EP3579927B1 (en) Copolymers of c1-c4 alkyl acrylates and their use in hair stlying compositions
US20110104095A1 (en) Cosmetic Compositions
JP4782505B2 (ja) 整髪用被膜形成樹脂
JPH1179945A (ja) 毛髪化粧料組成物
EP2935371B1 (en) Hair fixative compositions
JP2002363045A (ja) 整髪剤用基剤およびそれからなる整髪用化粧料
JP2007016051A (ja) 毛髪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