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886A - 증기 과열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밥솥 - Google Patents

증기 과열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886A
KR20160126886A KR1020160048169A KR20160048169A KR20160126886A KR 20160126886 A KR20160126886 A KR 20160126886A KR 1020160048169 A KR1020160048169 A KR 1020160048169A KR 20160048169 A KR20160048169 A KR 20160048169A KR 20160126886 A KR20160126886 A KR 20160126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upply pipe
superheated
temperature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케 오카모토
히로시 기타키
히로시 오오야
고지로 미즈타니
다카히로 고토
고우이치 호소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6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GSUPERHEATING OF STEAM
    • F22G7/00Steam superheaters characterised by location, arrangement, or dis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밥솥은, 밥솥 본체(1)와, 밥솥 본체(1)에 수용되는 솥(2)과,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부(5)와, 일단이 증기 발생부(5)에 연통되는 동시에 타단이 솥(2) 내에 연통되어 있으며, 증기 발생부(5)에서 발생된 증기를 가열하여, 과열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과열부(6)를 구비하고 있다. 증기 발생부(5)와 증기 과열부(6) 사이에는, 솥(2) 내의 증기가 증기 발생부(5)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지 밸브(14)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신뢰성이 높은 밥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기 과열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밥솥{STEAM SUPERHEATING DEVICE AND RICE COOK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증기 과열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밥솥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14-000284 호 공보에는, 밥맛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밥을 지을 때에, 과열 증기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과열 증기를 솥 내에 공급하는 밥솥이 제안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밥솥(200)은, 밥솥 본체(201)와, 밥솥 본체(201) 내에 수용되는 솥(202)과, 밥솥 본체(201)의 상부에 장착되며, 밥솥 본체(201)의 개구부(201a)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덮개(20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밥솥(200)은, 밥솥 본체(201)에 수납되는 물탱크(204)와, 덮개(203) 내에 배치되며, 과열 증기를 발생시키는 과열 증기 발생 장치(205)를 갖고 있다.
물탱크(204)는 밥솥 본체(201)에 형성된 물탱크 수납부(201b)에 수납된다. 물탱크 수납부(201b)의 외주면에는 물탱크(204)를 가열하는 물탱크 가열 코일(206)이 배치되어 있다.
덮개(203)의 내측에는, 솥(202)의 개구부(202a)를 밀폐 가능한 내부 덮개(203a)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덮개(203)의 내부에는, 물탱크(204)에서 발생된 증기를 가열하여, 100℃를 초과하는 과열 증기를 발생시키는 과열 증기 발생 장치(205)와, 물탱크(204)에서 발생된 증기를 과열 증기 발생 장치(205)로 인도하는 증기 공급관(207)과, 과열 증기 발생 장치(205)에서 발생된 과열 증기를 솥(202) 안으로 인도하는 과열 증기 투입관(208)이 배치되어 있다.
증기 공급관(207)의 물탱크(204)측의 단부에는 패킹(209)이 장착되어 있다. 패킹(209)은, 덮개(203)가 폐쇄 상태일 때에 물탱크(204)에 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과열 증기 투입관(208)의 솥(202)측의 단부에는 패킹(210)이 장착되어 있다. 패킹(210)은, 덮개(203)가 폐쇄 상태일 때에 내부 덮개(203a)에 형성된 과열 증기 투입 구멍(203b)에 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밥솥(200)은, 밥짓기의 뜸들임 공정에서, 물탱크 가열 코일(206)에 의해 물탱크(204)를 가열하여, 물탱크(204) 내의 물을 비등시켜, 약 100℃의 증기를 발생시킨다. 물탱크(204)에서 발생된 증기는 증기 공급관(207)을 거쳐서 과열 증기 발생 장치(205)로 인도된다. 과열 증기 발생 장치(205)로 인도된 증기는 과열 증기 발생 장치(205)에서 가열되어, 100℃를 초과하는 과열 증기가 발생된다. 과열 증기 발생 장치(205)에서 발생된 과열 증기는 과열 증기 투입관(208)을 거쳐서 과열 증기 투입 구멍(203b)으로 인도되고, 과열 증기 투입 구멍(203b)로부터 솥(202) 내로 분출된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밥솥에서는, 밥솥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는 아직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즉, 상기 종래의 밥솥에서는, 물탱크(204)에서 발생된 증기가 증기 공급관(207)을 거쳐서 과열 증기 발생 장치(205)로 인도되고, 과열 증기 발생 장치(205)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과열 증기가 발생된다. 그리고, 과열 증기 발생 장치(205)에서 발생된 과열 증기가 과열 증기 투입관(208)을 거쳐서 과열 증기 투입 구멍(203b)으로 인도되고, 과열 증기 투입 구멍(203b)으로부터 솥(202) 내로 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밥솥에서는, 증기 공급관(207)의 물탱크(204)측의 단부, 및 과열 증기 투입관(208)의 솥(202)측의 단부에 각각 배치된 패킹(209, 210)에 의해, 물탱크(204)에서 발생된 증기가 과열 증기 발생 장치(205)에서 과열 증기가 되며, 이 과열 증기가 솥(202) 내에 공급될 때까지의 경로(이하, "과열 증기 공급 경로"라 함)의 기밀성이 보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물탱크(204)에서 발생된 증기 및 과열 증기 발생 장치(205)에서 발생된 과열 증기가 과열 증기 공급 경로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증기 공급관(207)의 물탱크(204)측의 단부에 배치된 패킹(209)과 물탱크(204) 사이에 쌀 등의 이물이 끼인 경우, 과열 증기 공급 경로의 기밀성을 보지하지 못하여, 증기 공급관(207)의 물탱크측의 단부에 배치된 패킹(209)과 물탱크(204) 사이로부터 과열 증기 공급 경로 내에 외기가 침입해 버리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솥(202) 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과열 증기 공급 경로의 솥(202)측의 압력보다 과열 증기 공급 경로의 물탱크(204)측의 압력이 낮아진다. 따라서, 솥(202) 내의 증기가 과열 증기 투입 구멍(203b)으로부터 과열 증기 투입관(208), 과열 증기 발생 장치(204), 및 증기 공급관(207)을 거쳐서 물탱크(204)로 역류해버린다.
이때, 과열 증기 발생 장치(205)가 동작하고 있으면, 솥(202) 내로부터 과열 증기 공급 경로 내로 역류한 증기가 과열 증기 발생 장치(205)에서 가열되어, 과열 증기가 발생되는 동시에, 과열 증기 발생 장치(205)에서 발생된 과열 증기가 물탱크(204)로 공급되어 버리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솥 내의 증기가 증기 발생부를 향해 역류한 경우라도, 증기 과열부에서 발생된 과열 증기가 증기 발생부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신뢰성이 높은 밥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밥솥은, 밥솥 본체와, 밥솥 본체에 수용되는 솥과,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부와, 일단이 증기 발생부에 연통되는 동시에 타단이 솥 내에 연통되어 있으며, 증기 발생부에서 발생된 증기를 가열하여, 과열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과열부를 구비하고 있다. 증기 발생부와 증기 과열부 사이에는, 솥 내의 증기가 증기 발생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솥 내의 증기가 역류하고, 증기 과열부에서 가열되어, 과열 증기가 발생된 경우라도, 증기 과열부에서 발생된 과열 증기가 증기 발생부로 역류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밥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밥솥에 의하면, 솥 내의 증기가 증기 발생부를 향해 역류한 경우라도, 증기 과열부에서 발생된 과열 증기가 증기 발생부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신뢰성이 높은 밥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밥솥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밥솥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밥솥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증기 발생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증기 과열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증기 과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증기 과열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제 1 상태에 있어서의 과열 증기 공급관의 증기 통로부측의 온도와 과열 증기 공급관의 솥측 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제 2 상태에 있어서의 과열 증기 공급관의 증기 통로부측의 온도와 과열 증기 공급관의 솥측 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종래의 밥솥을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증기 과열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밥솥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1)
실시형태 1에 따른 증기 과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밥솥에 대해,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밥솥의 전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밥솥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밥솥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증기 발생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증기 과열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밥솥(100)은, 밥솥 본체(1)와, 밥솥 본체(1) 내에 수납되는 솥(2)과, 밥솥 본체(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체(3)와, 덮개체(3)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내부 덮개(4)를 갖고 있다. 또한, 밥솥(100)은,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부(5)와, 증기 발생부(5)에서 발생된 증기를 가열하여, 과열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과열부(6)(증기 과열 장치라고도 함)를 갖고 있다.
밥솥 본체(1)에는, 솥(2)이 수납되는 솥 수납부(1a)가 형성되어 있다. 솥 수납부(1a)의 외주의 저면부 및 측면부에는, 솥(2)을 유도 가열하는 가열 코일(도시 생략)이 배치되어 있다.
솥(2)은 밥솥 본체(1)의 솥 수납부(1a)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된다. 솥(2)은 한쪽에 개구부(2a)를 갖는 동시에 다른쪽에 저면부(2b)를 갖는다.
덮개체(3)는 밥솥 본체(1)의 후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덮개체(3)의 내측에는, 내부 덮개(4)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내부 덮개(4)는, 덮개체(3)가 밥솥 본체(1)에 대해 폐쇄 상태로 되었을 때, 밥솥 본체(1)에 수납된 솥(2)의 개구부(2a)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 덮개(4)에는, 증기 과열부(6)에서 발생된 과열 증기를 솥 내에 공급하는 과열 증기 공급구(4a)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체(3)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솥(2) 내에 투입한 조리물의 조리 조건을 선택하는 선택부(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체(3)의 상면의 후방부에는, 솥(2)에서 발생한 증기를 밥솥(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증기통(8)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증기 발생부(5)는, 상부에 개구부(9a)를 갖는 동시에, 내부에 물을 저류할 수 있는 물탱크부(9)와, 물탱크부(9)의 개구부(9a)를 덮는 덮개부(10)를 갖고 있다.
물탱크부(9)는 밥솥 본체(1)의 후방부에 형성된 물탱크 수납부(1b)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된다. 또한, 물탱크 수납부(1b)의 외주에는, 물탱크 수납부(1b)에 수납된 물탱크부(9)를 가열하는 물탱크 가열부(11)가 배치되어 있다. 물탱크 수납부(1b)에 수납된 물탱크부(9)가 물탱크 수납부(1b)의 외주에 배치된 물탱크 가열부(11)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증기 발생부(5) 내에서 증기가 발생한다. 또한, 물탱크 가열부(11)는 물탱크부(9)의 내부에 저류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예컨대, 물탱크부(9)를 유도 가열하는 가열 코일(도시 생략)이어도 좋고, 또한, 전기 저항식의 히터(도시 생략)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덮개부(10)는 덮개체(3)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덮개체(3)가 밥솥 본체(1)에 대해 폐쇄 상태로 되었을 때에, 물탱크부(9)의 개구부(9a)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덮개부(10)의 하부에는 제 1 시일 부재(12)가 배치되어 있다. 덮개체(3)가 밥솥 본체(1)에 대해 폐쇄 상태로 되었을 때에, 물탱크부(9)의 덮개부(10)측의 단부와 제 1 시일 부재(12)가 밀착함으로써, 물탱크부(9)와 덮개부(10) 사이의 기밀성이 보지된다. 또한, 덮개부(10)의 상부에는, 물탱크부(9)에서 발생된 증기를 후술하는 공간(P)으로 배출하는 증기 배출구(1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10)에는, 솥(2) 내에 수용된 쌀 등의 조리물의 조리가 종료되고, 사용자가 덮개체(3)를 개방 상태로 할 때에, 증기 발생부(5) 내의 부압을 해제하는 부압 밸브(10b)가 배치되어 있다.
덮개부(10)의 상부에는, 증기 배출구(10a)를 덮는 덮개 커버부(13)가 장착되어 있다. 덮개부(10)의 증기 배출구(10a)와 덮개 커버부(13) 사이에 형성된 공간(P)에는, 솥(2) 내의 증기가 증기 발생부(5)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지 밸브(14)와, 증기 배출구(10a)와 역지 밸브(14) 사이의 기밀성을 보지하는 제 2 시일 부재(15)가 배치되어 있다.
역지 밸브(14)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역지 밸브(14)는, 물탱크부(9)에서 증기가 발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자중에 의해 제 2 시일 부재(15)와 맞닿아 증기 배출구(10a)를 폐색한다. 물탱크부(9)에서 증기가 발생된 경우에는, 역지 밸브(14)는 증기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증기 배출구(10a)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 커버부(13)에는, 증기 배출구(10a)로부터 배출된 증기를 증기 과열부(6)로 공급하는 증기 공급관(16)이 형성되어 있다. 증기 공급관(16)은, 일단이 증기 배출구(10a)와 덮개 커버부(13) 사이에 형성된 공간(P)에 연통되는 동시에 타단이 증기 통로부(17)의 일단에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증기 통로부(17)는, 일단이 증기 공급관(16)에 접속되는 동시에 타단이 후술하는 과열 증기 공급관(18)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구성에 의해 증기 발생부(5)와 증기 과열부(6)가 연통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증기 과열부(6)는, 일단이 증기 통로부(17)에 접속되며 타단이 내부 덮개(4)의 과열 증기 공급구(4a)에 연통되는 과열 증기 공급관(18)과,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외주에 배치되며 과열 증기 공급관(18)을 유도 가열하는 가열 코일(19)과,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 배치된 열교환기(20)를 갖고 있다.
과열 증기 공급관(18)은 비자성 금속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Austenitic Stainless Steels: SUS304)으로 구성된다. 본 구성으로 하면, 가열 코일(19)이 통전되었을 때, 가열 코일(19)은 과열 증기 공급관(18)과 열교환기(20)의 쌍방을 유도 가열할 수 있다. 과열 증기 공급관(18)과 열교환기(20)의 쌍방이 충분히 유도 가열되기 때문에,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 도입된 증기는 100℃를 초과하는 과열 증기가 된다.
또한, 과열 증기 공급관(18)은 유리관 등의 비금속을 모재로 하며, 유리관의 내측 표면에 알루미늄이나 티탄 등의 비자성 금속의 박막을 증착한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과열 증기 공급관(18)은 다른 구성이어도 좋고,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열교환기(20)가 과열 증기 공급관(18)과는 다른 비자성 금속으로 구성된 경우, 전위차 부식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열교환기(20)에 전위차 부식이 발생한 경우, 열교환기(20)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20)는 과열 증기 공급관(18)과 동일한 재료인 비자성 금속으로 구성되는 편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교환기(20)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 구성된다. 그 결과, 열교환기(20)는 전위차 부식의 발생이 억제되어,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솥(2)측의 단부는 내부 덮개(4)에 형성된 과열 증기 공급구(4a)를 거쳐서 솥(2)의 내부와 연통된다.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솥(2)측의 단부에는 제 3 시일 부재(21)가 장착되어 있다. 제 3 시일 부재(21)는, 외주 부분이 시일 부재 가압부(21a)로 보지되어 있다. 또한, 제 3 시일 부재(21)는 덮개체(3)에 내부 덮개(4)가 장착된 상태에서, 과열 증기 공급구(4a)의 외주에 밀착되어, 과열 증기 공급구(4a)와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솥(2)측의 단부와의 사이의 기밀성을 보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밥솥(100)에 대해, 이하, 그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밥솥(100)을 사용하여 조리를 실행할 때, 사용자는 조리물을 수용한 솥(2)을 밥솥 본체(1)의 솥 수납부(1a)에 수납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물을 수용한 물탱크부(9)를 물탱크 수납부(1b)에 수납하고, 내부 덮개(4)를 장착한 덮개체(3)를 폐쇄 상태로 한다. 그 후, 사용자는 덮개체(3)의 상면에 배치된 선택부(7)를 조작하여, 솥(2) 내의 조리물의 조리 조건을 선택하고, 조리를 개시시킨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솥(2) 내의 조리물의 조리가 개시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리 조건에 따라서, 솥 수납부(1a)의 하방에 배치된 가열 코일(도시 생략), 증기 발생부(5) 및 증기 과열부(6)가 동작한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리 조건에 따라서, 증기 발생부(5) 및 증기 과열부(6)가 동작되면, 증기 발생부(5)에서 증기가 발생되는 동시에, 증기 발생부(5)에서 발생된 증기가 증기 과열부(6)에서 과열되어, 100℃를 초과하는 과열 증기가 발생된다. 그리고, 증기 과열부(6)에서 발생된 과열 증기는 내부 덮개(4)에 형성된 과열 증기 공급구(4a)로부터 솥(2) 내로 공급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리 조건에 따라서, 증기 발생부(5) 및 증기 과열부(6)가 동작되면, 물탱크 수납부(1b)의 외주에 배치된 물탱크 가열부(11)에 의해, 물탱크 수납부(1b) 내에 수납된 물탱크부(9)가 가열된다. 물탱크 가열부(11)에 의해 물탱크부(9)가 가열되면, 물탱크부(9) 내의 물이 비등하여, 증기가 발생한다. 물탱크부(9)에서 발생한 증기는 증기 배출구(10a)에 배치된 역지 밸브(14)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증기 배출구(10a)로부터 증기 배출구(10a)와 덮개 커버부(13) 사이에 형성된 공간(P)으로 배출된다. 이때, 물탱크부(9)와 덮개부(10) 사이는 제 1 시일 부재(12)에 의해 기밀성이 보지되어 있기 때문에, 물탱크부(9)에서 발생한 증기가 증기 발생부(5)의 외부로 누출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물탱크부(9)에서 발생한 증기는 공간(P)으로 확실하게 배출된다.
증기 배출구(10a)로부터 공간(P)에 배출된 증기는 공간(P)의 상부에 접속된 증기 공급관(16)의 일단으로부터 증기 공급관(16) 내로 유입되고, 증기 공급관(16)의 타단으로부터 배출된다. 증기 공급관(16)의 타단에는 증기 통로부(17)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증기 공급관(16)의 타단으로부터 배출된 증기는 증기 공급관(16)의 타단에 접속된 증기 통로부(17) 내로 유입된다.
증기 통로부(17) 내에 유입된 증기는 증기 통로부(17)의 타단에 접속된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로 유입된다. 이때, 과열 증기 공급관(18)은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외주에 배치된 가열 코일(19) 및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내부에 배치된 열교환기(20)에 의해 가열되어 있기 때문에,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 유입된 증기가 가열되어, 100℃를 초과하는 과열 증기가 발생된다.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서 발생된 과열 증기는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타단으로부터 내부 덮개(4)에 형성된 과열 증기 공급구(4a)를 거쳐서 솥(2) 내에 공급된다. 이때, 과열 증기 공급구(4a)와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타단(솥(2)측의 단부)과의 사이는 제 3 시일 부재(21)에 의해 기밀성이 보지되어 있기 때문에,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서 발생한 과열 증기가 증기 과열부(6)의 외부로 누출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증기 과열부(6)에서 발생한 과열 증기를 과열 증기 공급구(4a)로부터 솥(2) 내로 확실하게 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덮개체(3)를 폐쇄 상태로 할 때, 물탱크부(9)와 덮개부(10) 사이, 즉, 물탱크부(9)와 제 1 시일 부재(12) 사이에 쌀 등의 이물이 끼인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물탱크부(9)와 제 1 시일 부재(12) 사이에 쌀 등의 이물이 끼인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리가 개시되고, 솥(2) 내의 압력이 높아지는 동시에, 증기 발생부(5) 및 증기 과열부(6)가 동작되면, 제 1 시일 부재(12)에 의해 물탱크부(9)와 덮개부(10) 사이의 기밀성을 보지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증기 발생부(5)에서 발생된 증기가 증기 과열부(6)에서 과열 증기가 되고, 이 과열 증기가 솥(2) 내로 공급될 때까지의 경로(이하, "과열 증기 공급 경로"라 함)의 기밀성을 보지하지 못하여, 물탱크부(9)와 제 1 시일 부재(12) 사이로부터 과열 증기 공급 경로(도시 생략) 내에 외기가 침입해 버린다. 이 상태에서, 솥(2) 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과열 증기 공급 경로의 솥(2)측의 압력보다 과열 증기 공급 경로의 물탱크부(9)측의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솥(2) 내의 증기가 과열 증기 공급구(4a)로부터 과열 증기 공급관(18), 증기 통로부(17), 및 증기 공급관(16)을 거쳐서 증기 발생부(5)로 역류되어 버리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때, 증기 과열부(6)의 가열 코일(19)이 동작하고 있으면, 솥(2) 내로부터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 역류한 증기가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서 가열되어, 과열 증기가 발생되는 동시에,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서 발생된 과열 증기가 증기 발생부(5)로 공급되어 버리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증기 발생부(5)와 증기 과열부(6) 사이에 배치된 덮개 커버부(13)에 솥(2) 내의 증기가 증기 발생부(5)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지 밸브(14)를 배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증기 발생부(5)의 물탱크부(9)에서 발생된 증기가 공간(P), 증기 공급관(16), 및 증기 통로부(17)를 거쳐서 증기 과열부(6)의 과열 증기 공급관(18)에 공급되고, 가열 코일(19) 및 열교환기(20)에 의해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서 과열 증기가 발생되며, 과열 증기가 과열 증기 공급구(4a)로부터 솥(2) 내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역지 밸브(14)는 이하의 동작을 실행한다. 즉, 공간(P)에 배치된 역지 밸브(14)는 물탱크부(9)에서 발생한 증기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 올려져, 증기 배출구(10a)가 개방된다. 그 때문에, 물탱크부(9)에서 발생된 증기를 공간(P), 증기 공급관(16), 및 증기 통로부(17)를 거쳐서 증기 과열부(6)의 과열 증기 공급관(18)에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어서, 증기 과열부(6)에서 효율적으로 과열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증기 과열부(6)의 가열 코일(19)이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솥(2) 내의 증기가 과열 증기 공급구(4a)로부터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로 역류한 경우, 솥(2) 내의 증기가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서 가열되어,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 과열 증기가 발생된다.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서 발생된 과열 증기는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증기 통로부(17)측의 단부로부터 증기 통로부(17) 내로 유입되며, 그 후, 증기 통로부(17)의 증기 공급관(16)측의 단부로부터 증기 공급관(16) 내로 유입되며, 증기 공급관(16)의 덮개 커버부(13)측의 단부로부터 공간(P) 내로 유입된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간(P) 내에 역지 밸브(14)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공간(P) 내에 유입된 과열 증기에 의해, 역지 밸브(14)가 증기 배출구(10a) 및 제 2 시일 부재(15)측으로 눌려져, 증기 배출구(10a)가 폐색된다. 또한, 역지 밸브(14)와 증기 배출구(10a) 사이에는 제 2 시일 부재(15)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시일 부재(15)에 의해, 증기 배출구(10a)와 역지 밸브(14) 사이의 기밀성이 보지된다. 그 때문에, 과열 증기가 증기 발생부(5)의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역지 밸브(14)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밥솥(1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증기 발생부(5)와 증기 과열부(6) 사이에 역지 밸브(14)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역지 밸브(14)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밥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역지 밸브(14)를 증기 과열부(6)의 솥(2)측에 배치한 경우, 역지 밸브(14)는 증기 과열부(6)에서 발생한 100℃를 초과하는 과열 증기에 노출되게 된다. 이 때문에, 예컨대, 100℃를 초과하는 과열 증기에 노출되어도 가수분해를 하지 않는 재료로 역지 밸브(14)를 형성해야 하는 등 역지 밸브(14)를 형성하는 재료가 한정되어 버린다. 또한, 역지 밸브(14)를 증기 과열부(6)의 솥(2)측에 배치한 경우, 역지 밸브(14)는 증기 과열부(6)에서 발생한 100℃를 초과하는 과열 증기에 노출되게 되기 때문에, 역지 밸브(14)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증기 발생부(5)와 증기 과열부(6) 사이에 역지 밸브(14)를 배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역지 밸브(14)는 증기 발생부(5)에서 발생된 100℃의 증기에 노출되게 되기 때문에, 예컨대, 100℃의 증기에 노출되어도 가수분해를 하지 않는 재료로 역지 밸브(14)를 형성하면 좋다. 따라서, 역지 밸브(14)를 증기 과열부(6)의 솥(2)측에 배치한 경우에 비해, 역지 밸브(14)를 형성하는 재료의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또한, 역지 밸브(14)는 증기 발생부(5)에서 발생된 100℃의 증기에 노출되기 때문에, 역지 밸브(14)를 증기 과열부(6)의 솥(2)측에 배치한 경우에 비해, 역지 밸브(14)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밥솥(1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1)에서는, 증기 발생부(5)의 덮개부(10)에 형성된 증기 배출구(10a)에 역지 밸브(14)가 배치된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역지 밸브(14)는 증기 발생부(5)와 증기 과열부(6)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예컨대, 증기 과열부(6)의 증기 통로부(17)측의 단부, 또는 증기 통로부(17)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상술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솥(2) 내의 증기가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로 역류하여,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서 과열 증기가 발생된 경우라도,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서 발생된 과열 증기가 증기 발생부(5)에 유입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밥솥(1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덮개부(10)에는, 솥(2) 내에 수용된 쌀 등의 조리물의 조리가 종료되고, 사용자가 덮개체(3)를 개방 상태로 할 때에, 증기 발생부(5) 내의 부압을 해제하는 부압 밸브(10b)가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에 의해 덮개체(3)가 폐쇄 상태가 되면, 증기 발생부(5)의 내부, 즉, 물탱크부(9)와 덮개부(10)의 내부는 제 1 시일 부재(12) 및 역지 밸브(14)에 의해 밀폐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증기 발생부(5)가 동작되어, 증기 발생부(5)에서 증기가 발생되면, 증기 발생부(5)에서 발생한 증기가 증기 통로부(17)를 거쳐서 증기 과열부(6)로 공급되고, 증기 과열부(6)에서 과열 증기가 발생된다. 그리고, 증기 발생부(5)의 동작이 정지되면, 증기 발생부(5)에서의 증기의 발생이 정지되고, 증기 발생부(5) 내에 잔류한 증기가 결로된다. 이때, 물탱크부(9)와 덮개부(10)의 내부는 제 1 시일 부재(12) 및 역지 밸브(14)에 의해 밀폐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증기 발생부(5) 내에 잔류한 증기가 결로됨으로써, 증기 발생부(5)의 내부가 부압이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덮개체(3)를 개방 상태로 하려고 하면, 덮개체(3)의 개방 동작을 추종하여 물탱크부(9)도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덮개부(10)에는 증기 발생부(5) 내의 부압을 해제하는 부압 밸브(10b)가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덮개부(10)에는, 일단이 증기 발생부(5)의 내부, 즉, 물탱크부(9) 및 덮개부(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동시에 타단이 외기와 연통되는 흡기 통로부(22)가 형성되어 있다. 흡기 통로부(22)의 외기측의 단부에는, 흡기 통로부(22)의 외기측의 단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부압 밸브(10b)가 배치되어 있다. 부압 밸브(10b)는, 증기 발생부(5)의 내부가 정압이면, 흡기 통로부(22)의 외기측의 단부를 폐색하여, 흡기 통로부(22)를 밀폐 상태로 한다. 한편, 부압 밸브(10b)는, 증기 발생부(5)의 내부가 부압이면, 흡기 통로부(22)의 외기측의 단부를 개방하여, 흡기 통로부(22) 내에 외기를 공급함으로써, 증기 발생부(5)의 내부가 부압이 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증기 발생부(5)의 동작이 정지되고, 증기 발생부(5) 내에 잔류한 증기가 결로된 경우라도, 증기 발생부(5)의 내부가 부압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덮개체(3)를 개방 상태로 했을 때에, 덮개체(3)의 개방 동작을 추종하여 물탱크부(9)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압 밸브(10b)는 증기 발생부(5) 내의 부압을 해제하는 구성이면 좋고, 엄브렐러 밸브(umbrella valve)나 볼 밸브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증기 통로부(17)는 증기 발생부(5)측의 단부가 증기 과열부(6)측의 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기 발생부(5) 및 증기 과열부(6)가 동작되고, 그 후, 증기 발생부(5) 및 증기 과열부(6)의 동작이 정지된 경우, 증기 통로부(17) 내에 잔류한 증기가 증기 통로부(17) 내에서 결로되어, 증기 통로부(17) 내에 물이 잔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증기 과열부(6)가 동작된 경우, 증기 통로부(17)에 잔류한 물이 증기 과열부(6)에서 가열된다.
그래서, 증기 통로부(17)는, 증기 발생부(5)측의 단부가 증기 통로부(17)의 증기 과열부(6)측의 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증기 통로부(17)에 잔류한 물을 과열 증기 공급구(4a)로부터 솥(2) 내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밥솥(1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대해, 이하,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 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증기 과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증기 과열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증기 발생부에서 발생된 증기가 증기 과열부에서 가열되며, 증기 과열부에서 발생된 과열 증기가 솥 내에 공급되고 있는 상태(제 1 상태라고도 함)에 있어서의 과열 증기 공급관의 증기 통로부측의 온도와 과열 증기 공급관의 솥측 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솥 내에서 발생된 증기가 증기 과열부에서 가열되고, 증기 과열부에서 발생된 과열 증기가 증기 발생부에 공급되고 있는 상태(제 2 상태라고도 함)에 있어서의 과열 증기 공급관의 증기 통로부측의 온도와 과열 증기 공급관의 솥측 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밥솥(100)은 증기 과열부(6)의 증기 발생부(5)측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 1 온도 검출부(23)와, 증기 과열부(6)의 솥(2)측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 2 온도 검출부(24)와, 제 1 온도 검출부(23) 및 제 2 온도 검출부(24)에서 검출된 온도에 근거하여, 증기 과열부(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 생략)를 갖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도시 생략)는 제 1 온도 검출부(23)에서 검출된 온도가 제 2 온도 검출부(24)에서 검출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솥(2) 내의 증기가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로 역류하고, 역류한 증기가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서 가열되어, 과열 증기가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증기 과열부(6)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증기 과열부(6)는, 일단이 증기 발생부(5)에 연통된 증기 통로부(17)에 접속되며 타단이 내부 덮개(4)의 과열 증기 공급구(4a)에 연통되는 과열 증기 공급관(18)과,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외주에 배치되며 과열 증기 공급관(18)을 유도 가열하는 가열 코일(19)과,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 배치된 열교환기(20)를 갖고 있다.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증기 발생부(5)측에는,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증기 발생부(5)측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 1 온도 검출부(23)가 과열 증기 공급관(18)에 맞닿아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솥(2)측에는,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솥(2)측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 2 온도 검출부(24)가 과열 증기 공급관(18)에 맞닿아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 1 온도 검출부(23)에서 검출된 온도가 제 2 온도 검출부(24)에서 검출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솥(2) 내의 증기가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로 역류하고, 역류한 증기가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서 가열되며, 과열 증기가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증기 과열부(6)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에 의해, 증기 과열부(6)의 가열 코일(19)로의 통전이 개시되면, 가열 코일(19)에 의해 열교환기(20) 및 과열 증기 공급관(18)이 가열되어,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때, 가열 코일(19) 및 열교환기(20)는 과열 증기 공급관(18)과 가열 코일(19) 사이의 거리, 및 과열 증기 공급관(18)과 열교환기(20)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과열 증기 공급관(18)은 가열 코일(19)에 의해 균일하게 가열된다. 그 때문에,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증기 발생부(5)측의 온도와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솥(2)측의 온도는 동일한 온도 구배로 상승하게 되며, 제 1 온도 검출부(23) 및 제 2 온도 검출부(24)에서 검출되는 온도는 동일한 온도가 된다.
증기 발생부(5)에서 발생된 증기가 증기 통로부(17)를 거쳐서 증기 과열부(6)에 공급된 경우, 증기 발생부(5)에서 발생된 증기는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증기 발생부(5)측의 단부로부터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로 유입되고,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서 가열되며,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서 100℃를 초과하는 과열 증기가 발생된다. 그리고, 발생된 과열 증기가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솥(2)측으로부터 과열 증기 공급구(4a)를 거쳐서 솥(2) 내에 공급된다. 그 때문에, 증기 발생부(5)로부터 공급된 약 100℃의 증기에 의해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증기 발생부(5)측의 온도가 저하되는 동시에,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서 발생된 100℃를 초과하는 과열 증기에 의해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솥(2)측의 온도가 상승한다. 그 때문에,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온도 검출부(23)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T1)는 저하되며, 제 2 온도 검출부(24)에서 검출되는 온도(T2)는 상승하기 때문에, 증기 발생부(5)로부터 증기가 공급되고, 증기 과열부(6)에서 과열 증기가 발생되고 있는 동안, T1<T2의 관계가 된다. 또한, 도 7a에 있어서, 실선은 제 2 온도 검출부(24)의 온도를 나타내며, 일점쇄선은 제 1 온도 검출부(23)의 온도를 나타낸다.
한편, 증기 과열부(6)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솥(2) 내의 증기가 역류한 경우, 솥(2)으로부터 역류한 증기는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솥(2)측의 단부로부터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로 유입되고,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서 가열되어,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서 100℃를 초과하는 과열 증기가 발생된다. 또한, 발생된 과열 증기가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증기 발생부(5)측으로부터 증기 통로부(17) 내로 공급되게 된다. 그 때문에, 솥(2)으로부터 역류한 약 100℃의 증기에 의해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솥(2)측의 온도가 저하되는 동시에,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에서 발생된 100℃를 초과하는 과열 증기에 의해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증기 발생부(5)측의 온도가 상승한다. 그 때문에,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온도 검출부(23)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T1)는 상승하고, 제 2 온도 검출부(24)에서 검출되는 온도(T2)는 저하되기 때문에, 솥(2) 내의 증기가 역류하여, 증기 과열부(6)에서 과열 증기가 발생되고 있는 동안, T1>T2의 관계가 된다. 또한, 도 7b에 있어서, 실선은 제 2 온도 검출부(24)의 온도를 나타내며, 일점쇄선은 제 1 온도 검출부(23)의 온도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증기 발생부(5)에서 발생된 증기가 증기 통로부(17)를 거쳐서 증기 과열부(6)에 공급되며, 증기 과열부(6)에서 과열 증기가 발생되고 있는 경우는, 제 1 온도 검출부(23)에서 검출되는 온도(T1)가 제 2 온도 검출부(24)에서 검출되는 온도(T2)보다 낮아진다. 한편, 솥(2) 내의 증기가 역류하여, 증기 과열부(6)에서 과열 증기가 발생되고 있는 경우는, 제 1 온도 검출부(23)에서 검출되는 온도(T1)가 제 2 온도 검출부(24)에서 검출되는 온도(T2)보다 높아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는, 제 1 온도 검출부(23)에서 검출되는 온도(T1)가 제 2 온도 검출부(24)에서 검출되는 온도(T2)보다 높아진 경우, 솥(2) 내의 증기가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로 역류하고, 역류한 증기가 증기 과열부(6)에서 가열되어, 과열 증기가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증기 과열부(6)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솥(2) 내의 증기가 증기 발생부(5)를 향해 역류한 경우라도, 솥(2) 내의 증기가 증기 과열부(6)에서 가열되어, 증기 과열부(6)에서 과열 증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과열 증기가 증기 발생부(5)로 역류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밥솥(100)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1 온도 검출부(23)에 의해 검출된 온도(T1) 및 제 2 온도 검출부(24)에 의해 검출된 온도(T2)에 근거하여, 솥(2) 내의 증기가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로 역류하고, 역류한 증기가 증기 과열부(6)에서 가열되어, 과열 증기가 발생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해당 판단을 정밀도 양호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증기 발생부(5)측에 제 1 온도 검출부(23)를 배치하는 동시에,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솥(2)측에 제 2 온도 검출부(24)를 배치하고 있다. 제어부는, 제 1 온도 검출부(23)에서 검출된 온도가 제 2 온도 검출부(24)에서 검출된 온도보다 높아진 경우에, 솥(2) 내의 증기가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로 역류하고, 역류한 증기가 증기 과열부(6)에서 가열되어, 과열 증기가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증기 과열부(6)의 동작을 정지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를 1개 배치하고, 제어부는, 이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된 경우에, 솥(2) 내의 증기가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로 역류하고, 역류한 증기가 증기 과열부(6)에서 가열되어, 과열 증기가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증기 과열부(6)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예컨대,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를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증기 발생부(5)측에 1개 배치한 경우, 제어부는,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온도가, 증기 발생부(5)에서 발생된 증기가 증기 과열부(6)에 공급되어 증기 과열부(6)에서 과열 증기가 발생되고 있을 때에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온도보다 높아진 경우에, 이하의 동작을 실행한다. 즉, 제어부는, 솥(2) 내의 증기가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로 역류하고, 역류한 증기가 증기 과열부(6)에서 가열되어, 과열 증기가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증기 과열부(6)의 동작을 정지한다. 또한,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를 과열 증기 공급관(18)의 솥(2)측에 1개 배치한 경우, 제어부는,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온도가, 증기 발생부(5)에서 발생된 증기가 증기 과열부(6)에 공급되어 증기 과열부(6)에서 과열 증기가 발생되고 있을 때에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온도보다 낮아진 경우에, 이하의 동작을 실행한다. 즉, 제어부는, 솥(2) 내의 증기가 과열 증기 공급관(18) 내로 역류하고, 역류한 증기가 증기 과열부(6)에서 가열되어, 과열 증기가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증기 과열부(6)의 동작을 정지한다.
이 구성에서도, 솥(2) 내의 증기가 증기 발생부(5)를 향해 역류한 경우라도, 솥(2) 내의 증기가 증기 과열부(6)에서 가열되어, 증기 과열부(6)에서 과열 증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과열 증기가 증기 발생부(5)로 역류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밥솥(100)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과열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밥솥이 취할 수 있는 형태의 예시로서, 그 형태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 과열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밥솥은 상기 각 실시형태 이외에 예컨대 이하에 나타내는 형태, 및 서로 모순되지 않는 적어도 2개의 형태가 조합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솥 내의 증기가 증기 발생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장치가 역지 밸브로 구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역류 방지 장치를 전자 밸브로 구성해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덮개 커버부(13)의 내측 표면에 리브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덮개부(10)의 증기 배출구(10a)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증기 공급관(16)에 유입할 때에, 역지 밸브(14)는 증기 공급관(16)으로의 유입구를 폐색하지 않도록 리브로 고정된다. 이에 의해, 증기 배출구(10a)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증기 공급관(16) 내에 유입하는 것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가열 코일(19)은 코일 보빈(33)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즉, 증기 공급관(16)의 외주면을 포위하도록 코일 보빈(33)이 배치되며, 가열 코일(19)은 코일 보빈(33)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코일 보빈(33)은 증기 공급관(16)에 대해 공간을 두고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증기 공급관(16)이 유도 가열되어 발열한 경우에도, 그 열에 의해 코일 보빈(33)이 용융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코일 보빈(33)과 증기 공급관(16) 사이에 단열재를 배치할 필요성도 없앨 수 있다.
● 가열 코일(19)은 코일 보빈(33)의 외주면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배치해도 좋다. 가열 코일(19)은 통상 중앙 부분의 가열력이 가장 높고, 중앙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거리가 길어질수록 가열력이 저하된다는 성질을 갖고 있다. 가열 코일(19)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배치함으로써, 해당 분할된 가열 코일(19)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양단부까지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예컨대, 가열 코일(19)의 길이가 50㎜인 경우, 해당 가열 코일(19)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양단부까지의 거리는 25㎜가 된다. 이에 반하여, 가열 코일(19)을 2개로 분할한 경우, 해당 분할한 가열 코일(19)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양단부까지의 거리는 12.5㎜가 된다. 이에 의해, 가열 코일(19)에 의한 가열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서, 가열 코일(19)에 의한 평균 가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밥솥은, 밥솥 본체와, 밥솥 본체에 수용되는 솥과,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부와, 일단이 증기 발생부에 연통되는 동시에 타단이 솥 내에 연통되어 있으며, 증기 발생부에서 발생된 증기를 가열하여 과열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과열부를 구비하고 있다. 증기 발생부와 증기 과열부 사이에는, 솥 내의 증기가 증기 발생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솥 내의 증기가 역류하고, 역류한 증기가 증기 과열부에서 가열되어, 과열 증기가 발생된 경우라도, 증기 과열부에서 발생된 과열 증기가 증기 발생부로 역류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밥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태양은, 특히 제 1 태양에 있어서, 증기 발생부와 증기 과열부 사이에는, 일단이 증기 발생부에 연통되는 동시에 타단이 증기 과열부에 연통되는 증기 통로부가 형성되어 있다. 증기 통로부는, 증기 발생부측의 단부가 증기 과열부측의 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증기 발생부로부터 증기 통로부 내에 유입된 물이나 증기 발생부에서 발생된 증기가 증기 통로부 내에서 결로됨으로써 증기 통로부 내에 발생한 물을 솥 내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증기 발생부로부터 솥에 도달하기까지의 경로에 물이 잔류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밥솥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태양은, 특히 제 1 또는 제 2 태양에 있어서, 증기 과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와,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온도에 근거하여, 증기 과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는,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온도에 근거하여, 솥 내의 증기가 증기 과열부 내로 역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는, 솥 내의 증기가 증기 과열부 내에 역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증기 과열부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제어부는,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온도에 근거하여, 솥 내의 증기가 증기 과열부로 역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증기 과열부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솥 내의 증기가 증기 과열부를 향해 역류한 경우라도, 솥 내의 증기가 증기 과열부에서 가열되어, 증기 과열부에서 과열 증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과열 증기가 증기 발생부로 역류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밥솥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태양은, 특히 제 3 태양에 있어서, 온도 검출부는, 증기 과열부의 증기 발생부측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 1 온도 검출부와, 증기 과열부의 솥측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 2 온도 검출부를 갖고 있다. 제어부는, 제 1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온도가 제 2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솥 내의 증기가 증기 과열부 내로 역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증기 과열부의 동작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제어부는, 제 1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온도가 제 2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솥 내의 증기가 증기 과열부 내로 역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증기 과열부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솥 내의 증기가 증기 과열부 내로 역류한 경우라도, 솥 내의 증기가 증기 과열부에서 가열되어, 증기 과열부에서 과열 증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과열 증기가 증기 발생부로 역류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밥솥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증기 과열부의 증기 발생부측의 온도 및 증기 과열부의 솥측의 온도를 제 1 온도 검출부 및 제 2 온도 검출부에 의해 각각 검출하는 동시에, 제어부는, 제 1 온도 검출부 및 제 2 온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근거하여, 솥 내의 증기가 증기 과열부 내로 역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솥 내의 증기가 증기 과열부 내로 역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정밀도 양호하게 판단할 수 있다.
제 5 태양은, 특히 제 1 태양에 있어서, 증기 발생부는, 내부에 물을 저류하는 물탱크부와, 물탱크부를 덮고, 물탱크부에서 발생된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 배출부를 구비한 덮개부와, 증기 배출구를 덮는 덮개 커버부를 구비하고 있다. 증기 배출구와 덮개 커버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제 6 태양은, 특히 제 5 태양에 있어서, 역류 방지 장치는 역지 밸브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간 내에 역지 밸브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솥 내의 증기가 증기 과열부 내로 역류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7 태양은, 특히 제 6 태양에 있어서, 덮개 커버부의 증기 배출구와 대향하는 내주면에, 역지 밸브를 보지하는 리브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증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증기 공급관 내에 유입되는 것이 역지 밸브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8 태양에 따른 증기 과열 장치는 증기 발생부에서 발생된 증기를 가열하여, 과열 증기를 발생시킨다. 증기 과열 장치는 증기 발생부와 증기 통로부를 거쳐서 연통되어 있다. 증기 과열부의 증기 통로부측의 단부, 또는 증기 통로부에, 증기 과열부로부터 증기 발생부로 증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장치가 배설되어 있다.
제 9 태양에 따른 증기 과열 장치는, 비자성 금속으로 구성되며, 증기가 도입되는 과열 증기 공급관과, 과열 증기 공급관 내에 배치된 열교환기와, 과열 증기 공급관의 외주면을 포위하도록 배치된 유도 가열 코일을 구비하고 있다. 유도 가열 코일은 과열 증기 공급관과 열교환기의 양쪽을 유도 가열하며, 과열 증기 공급관 내에 도입된 증기는 100℃를 초과하는 과열 증기가 되도록 과열된다.
과열 증기 공급관과 열교환기의 쌍방이 유도 가열되기 때문에, 과열 증기 공급관 내에 도입된 증기는 100℃를 초과하는 과열 증기가 된다.
제 10 태양에 따른 증기 과열 장치는, 특히 제 9 태양에 있어서, 과열 증기 공급관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과열 증기 공급관은 충분히 유도 가열된다.
제 11 태양에 따른 증기 과열 장치는, 특히 제 10 태양에 있어서, 열교환기는 과열 증기 공급관과 동일한 비자성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열교환기는 전위차 부식의 발생이 억제되어,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 12 태양에 따른 증기 과열 장치는, 특히 제 9 태양에 있어서, 과열 증기 공급관과 유도 과열 코일 사이에 코일 보빈을 구비하고 있다. 코일 보빈은 과열 증기 공급관에 대해 공간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 13 태양에 따른 증기 과열 장치는, 특히 제 9 태양에 있어서, 유도 가열 코일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14 태양에 따른 증기 과열부는, 특히 제 9 태양에 있어서, 열교환기는 심봉과, 심봉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권회된 나선체를 구비하고 있다. 심봉과 나선체 중 적어도 한쪽이 유도 가열 코일에 의해 유도 가열된다.
본 발명의 밥솥에 의하면, 솥 내의 증기가 증기 발생부를 향해 역류한 경우라도, 증기 과열부에서 발생된 과열 증기가 증기 발생부에 공급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어서, 신뢰성이 높은 밥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가정용 및 업무용의 밥솥의 분야·용도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밥솥 본체와,
    상기 밥솥 본체에 수용되는 솥과,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부와,
    일단이 상기 증기 발생부에 연통되는 동시에 타단이 상기 솥 내에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증기 발생부에서 발생된 증기를 가열하여, 과열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과열부를 구비하고,
    상기 증기 발생부와 상기 증기 과열부 사이에는, 상기 솥 내의 상기 증기가 상기 증기 발생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밥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부와 상기 증기 과열부 사이에는, 일단이 상기 증기 발생부에 연통되는 동시에 타단이 상기 증기 과열부에 연통되는 증기 통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증기 통로부는, 상기 증기 발생부측의 단부가 상기 증기 과열부측의 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밥솥.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과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와,
    상기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증기 과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솥 내의 증기가 상기 증기 과열부 내로 역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솥 내의 증기가 상기 증기 과열부 내로 역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증기 과열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밥솥.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검출부는, 상기 증기 과열부의 상기 증기 발생부측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 1 온도 검출부와, 상기 증기 과열부의 상기 솥측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 2 온도 검출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온도가 상기 제 2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솥 내의 상기 증기가 상기 증기 과열부 내로 역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증기 과열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밥솥.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부는, 내부에 물을 저류하는 물탱크부와, 상기 물탱크부를 덮고, 상기 물탱크부에서 발생된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 배출구를 구비한 덮개부와, 상기 증기 배출구를 덮는 덮개 커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증기 배출구와 상기 덮개 커버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밥솥.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장치는 역지 밸브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 내에 상기 역지 밸브가 배치되어 있는
    밥솥.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커버부의 상기 증기 배출구와 대향하는 내주면에, 상기 역지 밸브를 보지하는 리브를 구비하고 있는
    밥솥.
  8. 증기 발생부에서 발생된 증기를 가열하여 과열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과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기 과열 장치는 상기 증기 발생 장치와 증기 통로부를 거쳐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증기 과열 장치의 상기 증기 통로부측의 단부, 또는 상기 증기 통로부에, 상기 증기 과열 장치로부터 상기 증기 발생부로 증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장치가 배설되어 있는
    증기 과열 장치.
  9. 비자성 금속으로 구성되며, 증기가 도입되는 과열 증기 공급관과,
    상기 과열 증기 공급관 내에 배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과열 증기 공급관의 외주면을 포위하도록 배치된 유도 가열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유도 가열 코일은 상기 과열 증기 공급관과 상기 열교환기의 양쪽을 유도 가열하며, 상기 과열 증기 공급관에 도입된 상기 증기는 100℃를 초과하는 과열 증기가 되도록 과열되는
    증기 과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 증기 공급관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증기 과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과열 증기 공급관과 동일한 비자성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는
    증기 과열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 증기 공급관과 상기 유도 가열 코일 사이에 코일 보빈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코일 보빈은 상기 과열 증기 공급관에 대해 공간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증기 과열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코일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배치되어 있는
    증기 과열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심봉과, 상기 심봉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권회된 나선체를 구비하고, 상기 심봉과 상기 나선체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유도 가열 코일에 의해 유도 가열되는
    증기 과열 장치.
  15.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기 과열 장치를 구비하는
    밥솥.
KR1020160048169A 2015-04-24 2016-04-20 증기 과열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밥솥 KR201601268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88900 2015-04-24
JP2015088900A JP6706731B2 (ja) 2015-04-24 2015-04-24 炊飯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886A true KR20160126886A (ko) 2016-11-02

Family

ID=5741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169A KR20160126886A (ko) 2015-04-24 2016-04-20 증기 과열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밥솥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06731B2 (ko)
KR (1) KR20160126886A (ko)
CN (1) CN1060636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4326B (zh) * 2017-06-19 2023-11-24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3491B2 (ja) * 1988-06-15 1996-12-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給湯器の逆流安全装置
JP2000128771A (ja) * 1998-10-27 2000-05-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脱臭器の逆流防止方法
JP2004301498A (ja) * 2003-03-20 2004-10-28 Shinritsu Denki Kk 過熱蒸気発生装置
JP3815466B2 (ja) * 2003-04-23 2006-08-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炊飯器
JP3757951B2 (ja) * 2003-04-28 2006-03-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炊飯器
JP2006075315A (ja) * 2004-09-09 2006-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JP2008270123A (ja) * 2007-04-25 2008-11-06 Sharp Corp 流体昇温装置
JP3140439U (ja) * 2008-01-11 2008-03-27 株式会社オークローンマーケティング 衣類用等のスチーマ
JP2009268716A (ja) * 2008-05-08 2009-11-19 Panasonic Corp 炊飯器
JP2012016422A (ja) * 2010-07-07 2012-01-26 Panasonic Corp 炊飯器
JP2012187175A (ja) * 2011-03-09 2012-10-04 Panasonic Corp 炊飯器
JP6185692B2 (ja) * 2011-09-09 2017-08-23 國光 井上 加圧流体の電気加熱装置
JP2014012118A (ja) * 2012-06-07 2014-01-23 Panasonic Corp 炊飯器
CN204232963U (zh) * 2014-11-28 2015-04-0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单向蒸汽阀组件及具有该单向蒸汽阀组件的电锅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202650A (ja) 2016-12-08
JP6706731B2 (ja) 2020-06-10
CN106063670B (zh) 2020-11-06
CN106063670A (zh)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223222A (ja) 炊飯器
KR101000803B1 (ko) 과열증기를 이용한 조리기구
JP2014000284A (ja) 炊飯器
KR20160126886A (ko) 증기 과열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밥솥
EP3934490A1 (en) Induction kettle
JP2016093320A (ja) 炊飯器
CN105380497B (zh) 过热蒸汽产生装置及煮饭器
JP6138219B2 (ja) 加熱調理器
JP2013000202A (ja) 炊飯器
JP7394351B2 (ja) 炊飯器
JP2013000262A (ja) 炊飯器
JP3234116U (ja) 電気コーヒーメーカー
KR100917806B1 (ko) 가변자기장발생기를 이용한 끓임장치
JP3475841B2 (ja) 加熱装置
JP7422097B2 (ja) 調理器及び調理方法
KR101432195B1 (ko) 온수 보일러를 이용한 온열 매트
JP6737606B2 (ja) 誘導加熱式の蒸気発生装置
JP2021153728A (ja) 炊飯器および炊飯方法
JP2012239670A (ja) 炊飯器
JP2018057888A (ja) 炊飯器
JP2007236515A (ja) 炊飯器
JP3797319B2 (ja) 加熱装置
JP6546406B2 (ja) 蒸気発生装置
JP2004186103A (ja) 複合加熱調理器
JP5055894B2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