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768A - 슈트 롤을 구비한 코일러 장치 - Google Patents

슈트 롤을 구비한 코일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768A
KR20160120768A KR1020167025459A KR20167025459A KR20160120768A KR 20160120768 A KR20160120768 A KR 20160120768A KR 1020167025459 A KR1020167025459 A KR 1020167025459A KR 20167025459 A KR20167025459 A KR 20167025459A KR 20160120768 A KR20160120768 A KR 20160120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roll
mandrel
chut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0971B1 (ko
Inventor
히로시 마츠모토
마사히로 구치
유지 간코
다카유키 엔도
다카오 우치야마
츠토무 스기야마
다케시 지바
Original Assignee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1446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12076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0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33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guiding the leading end of the material, e.g. from or to a coiler
    • B21C47/3441Diverting the leading end, e.g. from main flow to a coi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B21C47/06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with loaded rollers, bolts, or equivalent means holding the material on the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33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guiding the leading end of the material, e.g. from or to a co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57Coiling the roll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패스 라인 (L1) 을 따라 반송되는 금속판을 그 패스 라인 (L1) 으로부터 구부러진 권취 라인 (L2) 으로 유도하는 핀치 롤 (10a, 10b) 과, 권취 라인 (L2) 의 끝에 배치되어 금속판을 권취하는 맨드릴 (20) 과, 적어도 금속판의 선단이 맨드릴 (20) 에 감길 때에 권취 라인 (L2) 에 노출되어, 금속판의 상향면측으로 만곡되는 변형을 억제하는 슈트 롤 (50) 을 갖는, 슈트 롤 (50) 을 구비한 코일러 장치 (1) 를 채용한다.

Description

슈트 롤을 구비한 코일러 장치{COILER DEVICE PROVIDED WITH CHUTE ROLLER}
본 발명은, 슈트 롤을 구비한 코일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 설비의 출측에는 코일러 장치 (권취기) 가 설치되고, 압연기로 압연되어 롤 사이로부터 연속하여 공급되는 금속판 (스트립) 을 코일상으로 권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코일러 장치는, 금속판의 패스 라인에 핀치 롤을 구비하고, 그 핀치 롤에 의해, 패스 라인으로부터 아래로 비스듬하게 구부러진 권취 라인으로 금속판을 유도하고, 그 선단을 맨드릴에 맞물려 넣어 금속판을 권취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하기 특허문헌 1 에는, 압연된 스트립을, 핀치 롤을 개재하여 맨드릴에 권취하는 스트립의 권취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코일러 장치는, 맨드릴의 둘레에 래퍼 롤과 래퍼 에이프런을 복수 구비하고 있고, 래퍼 에이프런으로 금속판의 선단을 리드하면서, 래퍼 롤에 의해 금속판을 맨드릴에 감게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05452호
그런데, 금속판은 핀치 롤을 통과 후, 통판 각도를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바꾸어 맨드릴로 유도되는데, 그 금속판이 고강도의 후재 (厚材) 인 경우, 핀치 롤과 맨드릴 사이에서 금속판이 권취 라인 상면 방향으로 크게 만곡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금속판의 선단의 맨드릴과 래퍼 롤 사이에 대한 진입 각도가 바뀌어, 래퍼 에이프런에 있어서 금속판의 선단을 능숙하게 리드할 수 없고, 금속판의 팽창이 과대해져, 금속판을 맨드릴에 권취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금속판이 고강도 후재인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맨드릴에 권취할 수 있는 슈트 롤을 구비한 코일러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패스 라인을 따라 반송되는 금속판을 그 패스 라인으로부터 구부러진 권취 라인으로 유도하는 핀치 롤과, 상기 권취 라인의 끝에 배치되어 상기 금속판을 권취하는 맨드릴과, 적어도 상기 금속판의 선단이 상기 맨드릴에 감길 때에 상기 권취 라인에 노출되어, 상기 금속판의 상향면측으로 만곡되는 변형을 억제하는 슈트 롤을 갖는, 슈트 롤을 구비한 코일러 장치를 채용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금속판의 선단이 맨드릴에 감길 때에 권취 라인에 노출되는 슈트 롤에 의해, 금속판의 상향면측으로 만곡되는 변형을 억제한다. 금속판의 팽창이 슈트 롤에 의해 저지되면, 슈트 롤이 금속판과의 접촉 마찰에 의해 회전되어, 금속판이 팽창하고자 하는 힘을 진행 방향의 압력으로 변환한다. 이로써, 금속판의 선단이 래퍼 에이프런 등에 부딪치는 경우가 없어져, 금속판을 맨드릴에 안정적으로 권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슈트 롤은, 상기 금속판의 만곡면의 정상부와 접촉하여, 상기 금속판의 상향면측으로 만곡되는 변형을 억제한다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슈트 롤을 금속판의 만곡면의 정상부에 접촉시킴으로써, 금속판의 팽창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슈트 롤은, 상기 핀치 롤의 둘레면과 상기 맨드릴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접선 경로의 중간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금속판이 고강도 후재인 경우, 금속판의 만곡면의 정상부는, 핀치 롤의 둘레면과 맨드릴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접선 경로의 중간 위치에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중간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슈트 롤을 배치함으로써, 금속판의 팽창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슈트 롤은, 상기 핀치 롤의 둘레면과 상기 맨드릴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접선 경로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핀치 롤의 둘레면과 맨드릴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접선 경로로부터 이간되어 슈트 롤을 배치함으로써, 금속판이 팽창하고자 하는 힘을 진행 방향의 압력으로 변환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핀치 롤보다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패스 라인에 대해 근접 이간 가능한 벤딩 롤과, 적어도 상기 금속판의 선단이 상기 맨드릴에 감길 때에 상기 벤딩 롤을 상기 패스 라인에 근접시키는 벤딩 롤 구동 장치를 갖는다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금속판의 선단이 맨드릴에 감길 때에, 핀치 롤보다 상류측에 배치된 벤딩 롤을 패스 라인에 근접시켜, 핀치 롤보다 상류측에 있어서의 금속판의 들뜸을 억제함으로써, 금속판이 슈트 롤의 하방에 접촉하도록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슈트 롤은, 상기 권취 라인에 대해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금속판의 선단이 상기 맨드릴에 감긴 후에 상기 슈트 롤을 상기 권취 라인으로부터 퇴피시키는 슈트 롤 구동 장치를 갖는다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금속판의 선단이 맨드릴에 감긴 후에는 슈트 롤에 의한 가이드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슈트 롤을 권취 라인으로부터 퇴피시킨다. 이로써, 슈트 롤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판이 고강도 후재인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맨드릴에 권취할 수 있는 슈트 롤을 구비한 코일러 장치가 얻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일러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일러 장치의 권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일러 장치의 권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일러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일러 장치 (1) 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코일러 장치 (1) 는, 도시 생략된 압연기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압연기를 통과하여 패스 라인 (L1) 을 따라 반송되는 금속판 (2) (후술하는 도 2 및 도 3 참조) 을 권취 라인 (L2) 에 도입하여 권취하는 것이다. 패스 라인 (L1) 은, 수평하게 나열된 복수의 반송 롤 (3)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코일러 장치 (1) 는, 핀치 롤 (10a, 10b) 을 구비한다. 핀치 롤 (10a, 10b) 은, 패스 라인 (L1) 을 따라 반송되는 금속판 (2) 을, 패스 라인 (L1) 으로부터 구부러진 권취 라인 (L2) 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권취 라인 (L2) 은, 패스 라인 (L1) 으로부터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측의 핀치 롤 (10a) 은, 하측의 핀치 롤 (10b) 에 대해 근접 이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측의 핀치 롤 (10a) 은, 후술하는 맨드릴 (20) 에 금속판 (2) 을 권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하측의 핀치 롤 (10b) 로부터 이간되게 되어 있다.
코일러 장치 (1) 는 맨드릴 (20) 을 구비한다. 맨드릴 (20) 은, 권취 라인 (L2) 의 끝에 배치되어 금속판 (2) 을 권취하는 것이다. 맨드릴 (20) 의 둘레에는, 래퍼 롤 (21) 및 래퍼 에이프런 (22) 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래퍼 롤 (21) 은, 금속판 (2) 을 맨드릴 (20) 에 감는 것이다. 래퍼 롤 (21) 은, 맨드릴 (20)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래퍼 롤 (21) 은, 맨드릴 (20) 에 대해 근접 이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래퍼 롤 (21) 은, 맨드릴 (20) 에 감긴 금속판 (2) 의 직경에 따라 이동하게 되어 있다.
래퍼 에이프런 (22) 은, 금속판 (2) 이 맨드릴 (20) 에 감길 때에 그 선단을 리드하는 것이다. 래퍼 에이프런 (22) 은, 맨드릴 (20) 의 둘레면에 대향하여, 금속판 (2) 의 선단이 접촉하는 가이드면 (22a) 을 갖는다. 가이드면 (22a) 은, 맨드릴 (20) 의 둘레면을 따라 만곡되어 있다. 래퍼 에이프런 (22) 은, 맨드릴 (20)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래퍼 롤 (2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래퍼 에이프런 (22) 은, 맨드릴 (20) 에 대해 근접 이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래퍼 에이프런 (22) 은, 금속판 (2) 이 맨드릴 (20) 에 감기면 이간되게 되어 있다.
코일러 장치 (1) 는 게이트 (30) 를 구비한다. 게이트 (30) 는, 권취 라인 (L2) 을 개폐하는 것이다 (도 1 에서는 열림 상태를 나타낸다). 게이트 (30) 는, 핀치 롤 (10a, 10b) 의 출측에 배치되어 있다. 게이트 (30) 는, 패스 라인 (L1) 을 형성하는 제 1 가이드면 (31) 과, 권취 라인 (L2) 을 형성하는 제 2 가이드면 (32) 을 갖는다. 제 1 가이드면 (31) 은, 패스 라인 (L1) 을 따른 수평면으로 되어 있다. 제 2 가이드면 (32) 은, 권취 라인 (L2) 을 따른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게이트 (30) 는, 대략 V 자 형상의 선단을, 패스 라인 (L1) 의 상류측을 향하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게이트 (30) 는, 슈트 가이드 (40a, 40b) 와 협동하여, 권취 라인 (L2) 을 형성하고 있다. 슈트 가이드 (40a, 40b) 는, 맨드릴 (20) 과 래퍼 롤 (21) 사이의 맞물림입구로 금속판 (2) 의 선단을 유도하는 것이다. 슈트 가이드 (40a, 40b) 는, 맨드릴 (20) 과 래퍼 롤 (21) 사이의 맞물림입구를 향함에 따라 간격이 좁아지는 역 ハ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슈트 가이드 (40a, 40b) 는, 권취 라인 (L2) 에 있어서, 게이트 (30) 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측의 슈트 가이드 (40b) 가, 래퍼 에이프런 (22) 의 하나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일러 장치 (1) 는 슈트 롤 (50) 을 구비한다. 슈트 롤 (50) 은, 적어도 금속판 (2) 의 선단이 맨드릴 (20) 에 감길 때에 권취 라인 (L2) 에 노출되어, 금속판 (2) 의 그 상향면측으로 만곡되는 변형 (후술하는 도 2 및 도 3 참조) 을 억제하는 것이다. 슈트 롤 (50) 은, 권취 라인 (L2) 에 있어서, 게이트 (30) 보다 하류측으로서, 게이트 (30) 와 상측의 슈트 가이드 (40a) 의 이음매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슈트 롤 (50) 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둘레면은, 제 2 가이드면 (32) 보다 돌출되어 있다.
슈트 롤 (50) 은, 핀치 롤 (10b) 의 둘레면과 맨드릴 (20) 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접선 경로 (t) 의 중간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핀치 롤 (10a, 10b) 의 맞물림입구로부터 슈트 롤 (50) 까지의 거리 (Y1) 와, 맨드릴 (20), 래퍼 롤 (21) 의 맞물림입구로부터 슈트 롤 (50) 까지의 거리 (Y2) 가 동일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슈트 롤 (50) 은, 핀치 롤 (10b) 의 둘레면과 맨드릴 (20) 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접선 경로 (t) 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금속판 (2) 이 적절히 맨드릴 (20) 에 권취되어 접선 경로 (t) 를 따라 반송될 때에는, 슈트 롤 (50) 은 금속판 (2) 과 접촉하지 않게 배치되어 있다.
코일러 장치 (1) 는 벤딩 롤 (60) 을 구비한다. 벤딩 롤 (60) 은, 핀치 롤 (10a, 10b) 보다 상류측에 배치되고, 벤딩 롤 구동 장치 (61) 에 의해 패스 라인 (L1) 에 대해 근접 이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벤딩 롤 (60) 은, 주로, 금속판 (2) 이 다 감겼을 때 그 후단의 튕겨 오름을 방지하기 위해서, 패스 라인 (L1) 에 근접하는 것이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벤딩 롤 구동 장치 (61) 에 의해, 적어도 금속판 (2) 의 선단이 맨드릴 (20) 에 감길 때에 패스 라인 (L1) 에 근접하게 되어 있다. 벤딩 롤 구동 장치 (61) 는, 예를 들어 실린더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코일러 장치 (1) 에 의한 금속판 (2) 의 권취 동작에 대해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금속판 (2) 이 고강도 후재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일러 장치 (1) 의 권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 생략된 압연기를 통과한 금속판 (2) 은,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스 라인 (L1) 을 따라 반송되어, 핀치 롤 (10a, 10b) 에 이른다.
금속판 (2) 은,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치 롤 (10a, 10b) 을 통과한 후, 통판 각도를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바꾸어, 패스 라인 (L1) 으로부터 구부러진 권취 라인 (L2) 으로 유도된다. 여기서, 금속판 (2) 이 고강도 후재인 경우, 그 선단이 극단적으로 구부러지지 않고, 호를 그리듯이 만곡된다.
금속판 (2) 이 만곡되면, 핀치 롤 (10a, 10b) 의 상류측도 만곡되어, 패스 라인 (L1) 에 대해 들뜬다. 이 때, 벤딩 롤 구동 장치 (61) 는, 핀치 롤 (10a, 10b) 보다 상류측에 배치된 벤딩 롤 (60) 을 패스 라인 (L1) 에 근접시켜, 핀치 롤 (10a, 10b) 보다 상류측에 있어서의 금속판 (2) 의 들뜸을 억제한다. 이로써, 금속판 (2) 의 선단을, 게이트 (30) 의 제 2 가이드면 (32) 이나 상측의 슈트 가이드 (40a) 가 배치되는 측에 가까이 하여, 상향면측으로 만곡된 만곡면 (2a) 을 슈트 롤 (50) 의 하방에 접촉하도록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금속판 (2) 은,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슈트 롤 (50) 의 회전에 의해 마찰을 저감시키면서, 슈트 가이드 (40a, 40b) 사이를 통과하여, 맨드릴 (20) 과 래퍼 롤 (21) 의 맞물림입구로 유도된다. 맨드릴 (20) 과 래퍼 롤 (21) 사이를 통과한 금속판 (2) 의 선단은, 래퍼 에이프런 (22) 의 만곡된 가이드면 (22a) 과 접촉한다. 여기서, 금속판 (2) 이 고강도 후재인 경우, 하나의 래퍼 롤 (21) 만의 맞물림만으로는 금속판 (2) 의 선단이 그다지 구부러지지 않기 때문에, 금속판 (2) 의 선단과 래퍼 에이프런 (22) 사이의 정 (靜) 마찰력에 의한 구속을 벗어나기 위한 진행 방향의 압력이 필요해진다.
금속판 (2) 의 선단이 래퍼 에이프런 (22) 에 접촉하면, 금속판 (2) 은 순차 반송되어 오기 때문에, 그 상향면측으로 팽창하고자 한다 (도 3(a) 에 있어서 점선으로 나타낸다). 슈트 롤 (50) 은, 금속판 (2) 의 선단이 맨드릴 (20) 에 감길 때에 권취 라인 (L2) 에 노출되어, 금속판 (2) 의 상향면측으로 만곡되는 변형을 억제한다. 금속판 (2) 의 팽창이 슈트 롤 (50) 에 의해 저지되면, 슈트 롤 (50) 이 금속판 (2) 과의 접촉 마찰에 의해 회전하여, 금속판 (2) 이 팽창하고자 하는 힘을 진행 방향의 압력으로 변환한다.
이 슈트 롤 (50) 의 작용에 의해, 금속판 (2) 과 래퍼 에이프런 (22) 사이의 정마찰력에 의한 구속을 벗어나기 위한 압력이 얻어지고, 금속판 (2) 의 선단이 래퍼 에이프런 (22) 의 가이드면 (22a) 위를 미끄러져, 그 하류측에 배치된 다음의 래퍼 롤 (21) 에 맞물려 들어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슈트 롤 (50) 을 형성함으로써, 금속판 (2) 의 선단이 래퍼 에이프런 (22) 에 부딪치는 경우가 없어,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 (2) 을 맨드릴 (20) 에 안정적으로 권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슈트 롤 (50) 이 핀치 롤 (10b) 의 둘레면과 맨드릴 (20) 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접선 경로 (t) 의 중간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금속판 (2) 이 고강도 후재인 경우, 금속판 (2) 의 만곡면 (2a) 의 정상부 (2a1) 는,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치 롤 (10a, 10b) 과 맨드릴 (20) 의 중간 위치에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중간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슈트 롤 (50) 을 배치함으로써, 슈트 롤 (50) 을 금속판 (2) 의 만곡면 (2a) 의 정상부 (2a1) 와 접촉시켜, 금속판 (2) 의 상향면측으로 만곡되는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슈트 롤 (50) 이 핀치 롤 (10a, 10b) 의 둘레면과 맨드릴 (20) 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접선 경로 (t) 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슈트 롤 (50) 이, 접선 경로 (t) 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 금속판 (2) 이 상향면측으로 팽창할 수 없어, 그 팽창하고자 하는 힘을 진행 방향의 압력으로 변환할 수 없게 되고, 또, 금속판 (2) 이 반대의 하향면측으로 만곡되거나 하는 예기치 않은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선 경로 (t) 로부터 슈트 롤 (50) 을 분리하여, 금속판 (2) 이 팽창하고자 하는 힘을 진행 방향의 압력으로 변환시키기 쉽게 하고 있다.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 (2) 의 선단이 맨드릴 (20) 에 감기면, 금속판 (2) 에 텐션이 가해져, 금속판 (2) 의 들뜸이 적어진다. 금속판 (2) 의 선단이 맨드릴 (20) 에 감긴 후에는 벤딩 롤 (60) 에 의한 금속판 (2) 의 들뜸 방지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벤딩 롤 구동 장치 (61) 는, 벤딩 롤 (60) 을 패스 라인 (L1) 으로부터 이간시킨다. 또, 금속판 (2) 의 선단이 맨드릴 (20) 에 감기면, 래퍼 에이프런 (22) 에 의한 리드는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래퍼 에이프런 (22) 을 맨드릴 (20) 에 대해 이간시켜, 복수의 래퍼 롤 (21) 에 의해 금속판 (2) 을 소정의 직경이 될 때까지 맨드릴 (20) 에 권취시켜 간다.
이상에 의해, 코일러 장치 (1) 에 의한 금속판 (2) 의 권취 동작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서술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패스 라인 (L1) 을 따라 반송되는 금속판 (2) 을 그 패스 라인 (L1) 으로부터 구부러진 권취 라인 (L2) 으로 유도하는 핀치 롤 (10a, 10b) 과, 권취 라인 (L2) 의 끝에 배치되어 금속판 (2) 을 권취하는 맨드릴 (20) 을 갖는 코일러 장치 (1) 로서, 적어도 금속판 (2) 의 선단이 맨드릴 (20) 에 감길 때에 권취 라인 (L2) 에 노출되어, 금속판 (2) 의 그 상향면측으로 만곡되는 변형을 억제하는 슈트 롤 (50) 을 갖는다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금속판 (2) 이 고강도 후재인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맨드릴 (20) 에 권취할 수 있는 슈트 롤 (50) 을 구비한 코일러 장치 (1) 가 얻어진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간략하게 하거나 혹은 생략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일러 장치 (1) 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슈트 롤 구동 장치 (51) 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 2 실시형태의 슈트 롤 (50) 은, 슈트 롤 구동 장치 (51) 에 지지되어 있어, 권취 라인 (L2) 에 대해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슈트 롤 구동 장치 (51) 는, 슈트 롤 (50) 을, 게이트 (30) 의 제 2 가이드면 (32) 보다 돌출되는 돌출 위치 (도 4 에 있어서 점선으로 나타낸다) 와, 게이트 (30) 의 제 2 가이드면 (32) 보다 후퇴하는 후퇴 위치 (도 4 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다)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이다. 슈트 롤 구동 장치 (51) 는, 금속판 (2) 의 선단이 맨드릴 (20) 에 감길 때에 슈트 롤 (50) 을 돌출 위치로 이동시키고, 금속판 (2) 의 선단이 맨드릴 (20) 에 감긴 후에 슈트 롤 (50) 을 후퇴 위치에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슈트 롤 구동 장치 (51) 는, 예를 들어 실린더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슈트 롤 구동 장치 (51) 에 의해, 금속판 (2) 의 선단이 맨드릴 (20) 에 감긴 후에 슈트 롤 (50) 을 권취 라인 (L2) 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다. 금속판 (2) 의 선단이 맨드릴 (20) 에 감긴 후에는 슈트 롤 (50) 에 의한 가이드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슈트 롤 (50) 을 권취 라인 (L2) 으로부터 퇴피시킴으로써, 슈트 롤 (50) 과 금속판 (2) 을 접촉시키지 않게 한다. 이로써, 슈트 롤 (50) 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어, 슈트 롤 (50) 의 제품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나타낸 각 구성 부재의 여러 형상이나 조합 등은 일례로서, 본 발명의 주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설계 요구 등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슈트 롤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터 장치 등과 접속하여 슈트 롤을 자전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슈트 롤이 자전함으로써, 금속판에 더욱 압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금속판을 더욱 순조롭게 맨드릴에 권취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슈트 롤이 핀치 롤과 맨드릴의 중간 위치에 하나만 형성되어 있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직경이 가는 슈트 롤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맨드릴의 둘레에 래퍼 롤과 래퍼 에이프런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맨드릴의 둘레에 래퍼 벨트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1 : 코일러 장치
2 : 금속판
2a : 만곡면
2a1 : 정상부
10a, 10b : 핀치 롤
20 : 맨드릴
50 : 슈트 롤
51 : 슈트 롤 구동 장치
60 : 벤딩 롤
61 : 벤딩 롤 구동 장치
L1 : 패스 라인
L2 : 권취 라인
t : 접선 경로

Claims (6)

  1. 패스 라인을 따라 반송되는 금속판을 그 패스 라인으로부터 구부러진 권취 라인으로 유도하는 핀치 롤과,
    상기 권취 라인의 끝에 배치되어 상기 금속판을 권취하는 맨드릴과,
    적어도 상기 금속판의 선단이 상기 맨드릴에 감길 때에 상기 권취 라인에 노출되어, 상기 금속판의 상향면측으로 만곡되는 변형을 억제하는 슈트 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 롤을 구비한 코일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 롤은, 상기 금속판의 만곡면의 정상부와 접촉하여, 상기 금속판의 상향면측으로 만곡되는 변형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 롤을 구비한 코일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 롤은, 상기 핀치 롤의 둘레면과 상기 맨드릴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접선 경로의 중간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 롤을 구비한 코일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 롤은, 상기 핀치 롤의 둘레면과 상기 맨드릴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접선 경로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 롤을 구비한 코일러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 롤보다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패스 라인에 대해 근접 이간 가능한 벤딩 롤과,
    적어도 상기 금속판의 선단이 상기 맨드릴에 감길 때에 상기 벤딩 롤을 상기 패스 라인에 근접시키는 벤딩 롤 구동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 롤을 구비한 코일러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 롤은, 상기 권취 라인에 대해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금속판의 선단이 상기 맨드릴에 감긴 후에 상기 슈트 롤을 상기 권취 라인으로부터 퇴피시키는 슈트 롤 구동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 롤을 구비한 코일러 장치.
KR1020167025459A 2014-03-20 2015-03-18 슈트 롤을 구비한 코일러 장치 KR102080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59065A JP6298331B2 (ja) 2014-03-20 2014-03-20 シュートロールを備えたコイラー装置
JPJP-P-2014-059065 2014-03-20
PCT/JP2015/057976 WO2015141702A1 (ja) 2014-03-20 2015-03-18 シュートロールを備えたコイラ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768A true KR20160120768A (ko) 2016-10-18
KR102080971B1 KR102080971B1 (ko) 2020-02-24

Family

ID=54144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459A KR102080971B1 (ko) 2014-03-20 2015-03-18 슈트 롤을 구비한 코일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06578B2 (ko)
EP (1) EP3120945B1 (ko)
JP (1) JP6298331B2 (ko)
KR (1) KR102080971B1 (ko)
CN (1) CN106255558B (ko)
WO (1) WO20151417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39282A (zh) * 2020-09-02 2020-12-29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带钢卷取系统、高强钢卷取方法以及高强钢生产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19158B1 (de) * 2020-12-23 2023-11-01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Haspeleinrichtung für grossen dickenbereich von metallbändern
EP4101556A1 (de) * 2021-06-10 2022-12-14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Rollgangabschnitt für einen grossen dickenbereich von metallbänder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977Y2 (ko) * 1983-04-25 1988-02-29
JP2005305452A (ja) 2004-04-16 2005-11-04 Nippon Steel Corp ストリップの巻き取り方法および装置
JP2012250283A (ja) * 2011-06-07 2012-12-20 Jfe Steel Corp 熱延鋼帯の巻取り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7821A (en) * 1955-09-12 1960-05-24 United Eng Foundry Co Apparatus for coiling strip material
US2918226A (en) * 1956-09-04 1959-12-22 United Eng Foundry Co Apparatus for coiling strip material
GB952449A (en) * 1959-10-20 1964-03-18 Davy & United Eng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rip mills
GB1204817A (en) * 1967-11-18 1970-09-09 Siemag Siegener Masch Bau Strip coiler
JPS5625326B2 (ko) 1973-03-29 1981-06-11
JPS5028464A (ko) 1973-07-18 1975-03-24
JPS57156832A (en) * 1981-03-25 1982-09-28 Sumitomo Metal Ind Ltd Coiling method for hot strip
JPS5868423A (ja) * 1981-10-20 1983-04-23 Kawasaki Steel Corp 圧延材の巻取り方法
JPH02133114A (ja) * 1988-11-15 1990-05-22 Kawasaki Steel Corp 熱延鋼帯の巻取設備
JPH04228217A (ja) * 1990-05-16 1992-08-18 Sumitomo Metal Ind Ltd 熱延鋼帯の搬送方向切換装置と巻取り装置
JP2537299B2 (ja) * 1990-07-25 1996-09-25 川崎製鉄株式会社 流体誘導装置を備えた巻取補助装置
FR2876365B1 (fr) * 2004-10-12 2011-08-26 Vai Clecim Procede et dispositif d'enroulement en bobine d'une bande
DE102007045698A1 (de) * 2006-09-25 2008-04-03 Sms Dem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wickeln von Metallbändern auf einen Wickeldorn
AT506331B1 (de) * 2008-02-08 2010-03-15 Siemens Vai Metals Tech Gmbh Verfahren und biegeeinrichtung zum progressiven anbiegen eines metallbandes im einlaufbereich einer dornlosen bandhaspeleinrichtung
CN101623720B (zh) * 2008-07-09 2011-11-16 上海格林赛高新材料有限公司 控制异型金属带带型的卷取装置
CN103191956B (zh) * 2012-01-05 2015-05-06 鞍钢股份有限公司 卷取机导卫装置
US9566626B2 (en) * 2013-12-04 2017-02-14 Sms Group Gmbh Apparatus for and method of winding-up a metal strip, and plant for producing a metal strip windable into a coi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977Y2 (ko) * 1983-04-25 1988-02-29
JP2005305452A (ja) 2004-04-16 2005-11-04 Nippon Steel Corp ストリップの巻き取り方法および装置
JP2012250283A (ja) * 2011-06-07 2012-12-20 Jfe Steel Corp 熱延鋼帯の巻取り装置及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39282A (zh) * 2020-09-02 2020-12-29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带钢卷取系统、高强钢卷取方法以及高强钢生产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20945A4 (en) 2017-12-06
JP2015182089A (ja) 2015-10-22
CN106255558A (zh) 2016-12-21
EP3120945A1 (en) 2017-01-25
JP6298331B2 (ja) 2018-03-20
WO2015141702A1 (ja) 2015-09-24
KR102080971B1 (ko) 2020-02-24
US10406578B2 (en) 2019-09-10
US20170106422A1 (en) 2017-04-20
CN106255558B (zh) 2019-05-14
EP3120945B1 (en)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0768A (ko) 슈트 롤을 구비한 코일러 장치
RU2395358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матыва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й ленты
JP5002529B2 (ja) 用紙折り機構及び用紙折り装置
JP2012250283A (ja) 熱延鋼帯の巻取り装置及び方法
EP2478976B1 (en) Slit band plate meandering preventing device
KR101883087B1 (ko) 슈트 가이드를 구비한 코일러 장치
JP2010162595A (ja) 高強度厚肉熱延鋼板の巻き取り設備および巻き取り方法
KR102074554B1 (ko) 가이드부를 구비한 게이트 장치 및 코일러 장치
KR20160113203A (ko) 코일 형태의 압연 스트립들을 검사하기 위한 스테이션
JP6035847B2 (ja) 金属帯の巻取設備
JP2005305452A (ja) ストリップの巻き取り方法および装置
JP5799455B2 (ja) サイドガイド装置
EP3120946B1 (en) Coiler device provided with wrapper aprons
JP2006281248A (ja) サイドガイド
JP6527500B2 (ja) ピンチロー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帯状体供給装置
JP5332780B2 (ja) サイドガイド装置
JP2012045609A (ja) サイドガイドの設備及び金属ストリップのガイド方法
JP2013116496A (ja) スリット帯板の蛇行防止装置
JP2019171456A (ja) 通板ガイド装置、通板ガイドおよびピンチロール
JP2019084538A (ja) トリム屑巻取装置
JP5353257B2 (ja) 高強度厚肉熱延鋼板の巻き取り方法
KR20240027039A (ko) 디플렉터 롤 및 그 디플렉터 롤을 사용한 강판의 제조 방법
KR101443083B1 (ko) 소재 권취장치
JP2010162593A (ja) 高強度厚肉熱延鋼板の巻き取り方法および巻き取り装置
JP2010240702A (ja) 金属帯の巻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91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919

Effective date: 2019121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