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9219A - 시트 형상 도전체, 및 이를 이용하는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시트 형상 도전체, 및 이를 이용하는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9219A
KR20160119219A KR1020167024898A KR20167024898A KR20160119219A KR 20160119219 A KR20160119219 A KR 20160119219A KR 1020167024898 A KR1020167024898 A KR 1020167024898A KR 20167024898 A KR20167024898 A KR 20167024898A KR 20160119219 A KR20160119219 A KR 20160119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ne width
sheet
metal thin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4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5331B1 (ko
Inventor
마코토 스토우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9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bstract

시트 형상 도전체는,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된 것으로, 절연체와, 절연체의 표시 화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설치되어, 관찰측에 배치되는 제1 검출 전극과, 절연체의 표시 화면측의 면에 설치되어, 관찰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검출 전극을 적어도 구비하고, 제1 및 제2 검출 전극은, 금속 세선에 의하여 메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선폭을 선폭 Wa로 하고, 제2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선폭을 선폭 Wb로 하면, 선폭(Wa) 및 선폭(Wb)이, 하기 식 (1) 및 (2)를 충족시킨다.
0.5μm≤Wb<Wa≤10μm ……(1)
Wa-Wb≤4.0μm ……(2)

Description

시트 형상 도전체, 및 이를 이용하는 터치 패널{SHEET-LIKE CONDUCTOR, AND TOUCH PANEL USING SAME}
본 발명은, 각각 금속 세선에 의하여 메시 형상으로 구성된 관찰측의 검출 전극 및 그 반대측의 검출 전극을 구비하는 시트 형상 도전체, 및 이를 이용하는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등에 있어서, 금속 세선으로 이루어지는 메시 형상의, 2층 구조의 검출 전극을 구비하는 도전 시트 등의 시트 형상 도전체에 의하여 구성된 터치 패널 센서가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는, 기체(基體)와, 기체의 한쪽의 주면(主面)에 형성된 금속 세선으로 이루어지는 제1 도전부와, 기체의 다른 한쪽의 주면에 형성된 금속 세선으로 이루어지는 제2 도전부를 갖는 도전 시트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으며, 제1 도전부의 금속 세선의 선폭(제1 도전 패턴의 선폭)과, 제2 도전부의 금속 세선의 선폭(제2 도전 패턴의 선폭)이 동일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75967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예를 들면, 관찰측의 검출 전극이 되는 제1 도전부의 금속 세선의 선폭과 그 반대측의 검출 전극이 되는 제2 도전부의 금속 세선의 선폭이 동일한 도전 시트에서는, 도전 시트가 흑색판에 재치되어 있는 경우에,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꺼져 있어, 흑색의 화면 표시로 되어 있는 경우에, 도전 시트의 금속 세선이 보인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투명하지 않은 금속 세선에 의하여 메시 형상으로 구성된 관찰측의(예를 들면 상측) 검출 전극 및 그 반대측의(예를 들면 하측) 검출 전극을 구비하는 시트 형상 도전체에 있어서는, 상측 검출 전극 및 하측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시인성의 점에서, 관찰자로부터의 거리를 고려하여, 관찰자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하측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선폭을 상측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선폭보다 넓게 하여, 관찰자가 봤을 때 상측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선폭과 하측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선폭이 동일하게 보이게 되는 것이 기대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관찰자로부터의 거리를 고려한 후에, 관찰자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하측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선폭이 상측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선폭보다 넓은 시트 형상 도전체를 제조한바, 특허문헌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하는 시인 성능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금속 세선으로 이루어지는 메시 형상의 전극에 기인하는 시인성을,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향상시킬 수 있는 시트 형상 도전체 및 이를 이용하는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통상 행해지고 있는 바와 같이, 메시 형상의 금속 세선으로 이루어지는 관찰측의 제1 검출 전극과 그 반대측의 제2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선폭을 동일하게 하여 시트 형상 도전체를 관측한 결과, 동일한 선폭임에도 불구하고, 제2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 쪽이 두드러져 보이는 것을 깨달았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 및 발견을 감안하여, 관찰자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제2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선폭을 제1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선폭보다 좁게 함으로써,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시트 형상 도전체의 시인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되는 시트 형상 도전체로서, 절연체와, 절연체의 표시 화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설치되어, 관찰측에 배치되는 제1 검출 전극과, 절연체의 표시 화면측의 면에 설치되어, 관찰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검출 전극을 적어도 구비하고, 제1 검출 전극 및 제2 검출 전극은, 금속 세선에 의하여 메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선폭을 선폭 Wa로 하고, 제2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선폭을 선폭 Wb로 하면, 선폭(Wa) 및 선폭(Wb)이, 하기 식 (1) 및 (2)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 도전체를 제공한다.
0.5μm≤Wb<Wa≤10μm ……(1)
Wa-Wb≤4.0μm ……(2)
또, 선폭(Wa)과 선폭(Wb)이, 이하의 (3) 식의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0.5μm≤Wa-Wb≤2.0μm ……(3)
또, 선폭(Wa)과 선폭(Wb)이, 이하의 (4) 식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0μm≤Wb<Wa≤6.0μm ……(4)
또, 제1 검출 전극 및 제2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 사이의 선간 피치는, 각각 100μm~500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 검출 전극의 전극폭이, 제2 검출 전극의 전극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절연체와, 절연체의 한쪽의 면에 설치되는 제1 검출 전극과, 절연체의 다른 한쪽의 면에 설치되는 제2 검출 전극을 적어도 구비하고, 제1 검출 전극 및 제2 검출 전극은, 금속 세선에 의하여 메시 형상으로 구성되며, 제1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선폭을 선폭 Wa로 하고, 제2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선폭을 선폭 Wb로 하면, 선폭(Wa) 및 선폭(Wb)이, 하기 식 (1) 및 (2)를 충족시키고, 또한 제1 검출 전극의 전극폭이, 제2 검출 전극의 전극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 도전체를 제공한다.
0.5μm≤Wb<Wa≤10μm ……(1)
Wa-Wb≤4.0μm ……(2)
또,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상기 제1 또는 제2 양태의 시트 형상 도전체를 사용한 터치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 세선으로 이루어지는 메시 형상의 전극에 기인하는 시트 형상 도전체의 시인성을, 시트 형상 도전체의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패널의 표시 화면의 시인성을, 시트 형상 도전체의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시트 형상 도전체의 검출 영역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A)는, 도 1의 시트 형상 도전체의 제1 검출 전극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 확대도이며, (B)는, 도 1의 시트 형상 도전체의 제2 검출 전극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검출 영역을 포함하는 시트 형상 도전체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시트 형상 도전체의 검출 영역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시트 형상 도전체의 검출 영역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표면 및 이면에 보호 커버가 설치된 평가용 도전성 시트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선폭(Wa) 및 제2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선폭(Wb)과, 시트 형상 도전체의 시인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시트 형상 도전체를, 첨부한 도면에 나타내는 적합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시트 형상 도전체에 대하여, 터치 패널용의 도전성 필름을 대표예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양면에 배치되는 전극을 갖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다양한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 상에 설치되는 시트 형상 도전체여도 되며, 전자파 실드용의 시트 형상 도전체 등이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이용하여 나타나는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시트 형상 도전체의 검출 영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시트 형상 도전체(1)는, 절연성 기판(11)(이하, 간단히 기판이라고 함)과, 관찰측에 배치되는 제1 검출 전극(12)과, 관찰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검출 전극(13)을 구비한다. 또한, 시트 형상 도전체(1)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구성한 경우, 제1 검출 전극(12)은,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을 관찰하는 조작자측에 배치되고, 제2 검출 전극(13)은,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되는 것이다.
기판(11)은, 본 발명의 절연체를 구성하는 것이며, 한쪽의 표면에 층 형상으로 배치된 제1 검출 전극(12)을 지지함과 함께, 다른 한쪽의 표면에 층 형상으로 배치된 제2 검출 전극(13)을 지지한다.
기판(11)은, 광을 적절하게 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85%부터 100%의 전체 광선 투과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판(11)은, 전기적 절연성을 갖고, 제1 검출 전극(12)과 제2 검출 전극(13)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기판(11)으로서는, 투명 절연성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투명 절연 수지 기판, 투명 세라믹스 기판, 유리 기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인성이 우수한 이유에서, 투명 절연 수지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절연 수지 기판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터설폰,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유레테인계 수지,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설폰, 폴리아마이드,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올레핀,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 염화 바이닐, 사이클로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이 우수한 이유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사이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11)은, 단일층이어도 되고, 또, 2층 이상의 복층이어도 된다. 기판(1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35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30~150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 내이면, 원하는 가시광의 투과율이 얻어지고, 또한, 취급도 용이하다.
또, 기판(11)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이어도 되고, 또, 예를 들면, 원형 형상, 다각형 형상이어도 된다.
제1 검출 전극(12) 및 제2 검출 전극(13)은, 기판(11)의 한쪽(관찰측)의 면(도면 중 상면) 및 다른 한쪽(관찰측과는 반대측)의 면(도면 중 하면)에 각각 층 형상으로 배치된다. 제1 검출 전극(12)은, 금속 세선(12N)에 의하여 구성되고, 제2 검출 전극(13)은, 금속 세선(13N)에 의하여 구성된다.
금속 세선(12N)의 선폭(Wa)은, 저저항의 전극을 비교적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관점(도전성의 관점) 및 시인성의 관점에서, 이하의 (1a) 식을 충족시키도록 구성된다.
0.5μm<Wa≤10.0μm ……(1a)
또, 금속 세선(13N)의 선폭(Wb)은, 금속 세선(12N)과 마찬가지로, 도전성의 관점 및 시인성의 관점에서, 이하의 (1b) 식을 충족시키도록 구성된다.
0.5μm≤Wb<10.0μm ……(1b)
여기에서, 선폭(Wa, Wb)은, 금속 세선의 연재 방향에 수직인 면으로 시트 형상 도전체 샘플을 절단하고, 세선 단면의 가로폭(기판에 수평인 방향의 최대폭)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측하여 측정한 경우의 선폭을 가리킨다(10개소의 평균값).
또, 금속 세선(12N)의 선폭(Wa)과 금속 세선(13N)의 선폭(Wb)은, 시인성의 관점에서, 이하의 (1c) 식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선폭(Wa)이 선폭(Wb)보다 넓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Wb<Wa ……(1c)
또한, 상술한 (1c) 식과 반대로, 선폭(Wb)이 선폭(Wa) 이상이 되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즉, 이하의 (1d) 식과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1c) 식을 충족시키도록 구성한 경우와 같이, 금속 세선으로 이루어지는 메시 형상의 전극에 기인하는 시트 형상 도전체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Wa≤Wb ……(1d)
그리고, 이들 (1a)~(1c) 식을 정리하면, 금속 세선(12N)의 선폭(Wa)과 금속 세선(13N)의 선폭(Wb)은, 이하의 (1) 식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0.5μm≤Wb<Wa≤10.0μm ……(1)
또, 금속 세선(12N)의 선폭(Wa) 및 금속 세선(13N)의 선폭(Wb)은, 양자의 차분이, 하기 식 (2)를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Wa-Wb≤4.0μm ……(2)
금속 세선(12N)의 선폭(Wa)과 금속 세선(13N)의 선폭(Wb)을, 상기 식 (1)의 범위로 한정하는 이유는, 선폭(Wa 및 Wb)이 0.5μm 미만에서는, 금속 세선(12N 및 13N)이 너무 가늘어져, 도전성이 저하되거나, 단선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선폭(Wa 및 Wb)이 10.0μm 초과이면, 금속 세선(12N 및 13N)이 너무 굵어져, 시인성이 저하되어,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특히 전원 오프 시의 흑색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 금속 세선(12N 및 13N)이 보일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금속 세선(12N)의 선폭(Wa)이 금속 세선(13N)의 선폭(Wb) 이하인 경우, 즉, 상기 식 (1d)를 충족시킬 때에는, 금속 세선(13N)이, 실제 선폭 이상으로 두드려져 보이기 때문이다.
또, 선폭(Wa)과 선폭(Wb)의 차분을, 상기 식 (2)의 범위로 한정하는 이유는, 그 차분이 이 범위를 벗어나, 4.0μm보다 커지면, 반대로 금속 세선(12N)이 두드러져 보이게 되어, 시인성의 향상 효과가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시트 형상 도전체에 있어서, 상기 식 (1) 및 (2)를 만족시키면,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시인성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또한, 하기 식 (3)을 만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5μm≤Wa-Wb≤2.0μm ……(3)
상기 식 (3)의 범위로 함으로써, 시인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 세선(12N)의 선폭(Wa)과 금속 세선(13N)의 선폭(Wb)은, 상기 식 (1)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지만, 도전성, 제조 용이성 및 시인성의 관점에서, 이하의 (4) 식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의 (4) 식의 조건을 충족시킨 후에, 추가로, 상기 식 (3)의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함으로써, 시트 형상 도전체의 시인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1.0μm≤Wb<Wa≤6.0μm ……(4)
또한, 금속 세선(12N, 13N)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도전성과 시인성의 관점에서, 0.00001mm(0.01μm)~0.2mm로부터 선택 가능하며, 30μm 이하가 바람직하고, 20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0.01~9μm가 더 바람직하고, 0.05~5μm가 가장 바람직하다.
금속 세선(12N, 13N)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금(Au),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이나 합금, 산화 주석, 산화 아연, 산화 카드뮴, 산화 갈륨, 산화 타이타늄 등의 금속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금속 세선(12N, 13N)의 도전성이 우수한 이유에서, 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 형상 도전체의 제1 검출 전극(12) 및 제2 검출 전극(13)에 있어서는, 그 금속 세선(12N, 13N)은, 금속 산화물 입자, 은 페이스트나 구리 페이스트 등의 금속 페이스트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금속 세선(12N, 13N)은, 그 중에서도, 도전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점에서, 할로젠화 은을 노광·현상하여 형성되는 은 세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검출 전극(12) 및 제2 검출 전극(13)을 은 세선에 의한 도전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세선(12N, 13N) 중에는, 금속 세선(12N, 13N)과 기판(11)의 밀착성의 관점에서, 바인더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로서는, 금속 세선(12N, 13N)과 기판(11)의 밀착성이 보다 우수한 이유에서, 수용성 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젤라틴, 카라지난, 폴리바이닐알코올(PVA), 폴리바이닐피롤리돈(PVP), 전분 등의 다당류, 셀룰로스 및 그 유도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사카라이드, 폴리바이닐아민, 키토산, 폴리라이신, 폴리아크릴산, 폴리알진산, 폴리하이알루론산, 카복시셀룰로스, 아라비아 고무, 알진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금속 세선(12N, 13N)과 기판(11)의 밀착성이 보다 우수한 이유에서, 젤라틴이 바람직하다.
또한, 젤라틴으로서는 석회 처리 젤라틴 외에, 산 처리 젤라틴을 이용해도 되고, 젤라틴의 가수분해물, 젤라틴 효소분해물, 그 외에 아미노기, 카복실기를 수식한 젤라틴(프탈화 젤라틴, 아세틸화 젤라틴)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바인더로서는, 상기 젤라틴과는 상이한 고분자(이후, 간단히 고분자라고도 칭함)를 젤라틴과 함께 사용해도 된다.
사용되는 고분자의 종류는 젤라틴과 상이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스타이렌계 수지, 바이닐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유레테인계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다이엔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셀룰로스계 중합체 및 키토산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지, 또는 이들 수지를 구성하는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세선(12N, 13N) 중에 있어서의 금속과 바인더의 체적비(금속의 체적/바인더의 체적)는, 1.0 이상이 바람직하고, 1.5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금속과 바인더의 체적비를 1.0 이상으로 함으로써, 금속 세선(12N, 13N)의 도전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생산성의 관점에서, 6.0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2.5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과 바인더의 체적비는, 금속 세선(12N, 13N) 중에 포함되는 금속 및 바인더의 밀도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이 은인 경우, 은의 밀도를 10.5g/cm3로 하고, 바인더가 젤라틴인 경우, 젤라틴의 밀도를 1.34g/cm3로 하여 계산하여 구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내는 시트 형상 도전체의 제1 및 제2 검출 전극(12 및 13)의 각각의 외측(도면 중 상면 및 하면)에, 제1 및 제2 검출 전극(12 및 13)을 각각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갖고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시트 형상 도전체의 제1 및 제2 검출 전극의 메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에, 제1 검출 전극(12)의 일부의 평면 확대도를 나타내고, 도 2(B)에, 제2 검출 전극(13)의 일부의 평면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검출 전극(12)은, x방향으로 뻗는 메시 형상의 도전선으로서, 금속 세선(12N)에 의하여 구성되고, 교차하는 금속 세선(12N)에 의한 복수의 격자(g1)를 포함하고 있다.
또,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검출 전극(13)은, y방향으로 뻗는 메시 형상의 도전선으로서, 금속 세선(13N)에 의하여 구성되고, 상술한 금속 세선(12N)과 마찬가지로, 교차하는 금속 세선(13N)에 의한 복수의 격자(g2)를 포함하고 있다.
격자(g1)는, 금속 세선(12N)으로 둘러싸이는 개구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제1 검출 전극(12)의 메시 구조의 금속 세선(12N) 사이의 선간 피치(Pa)는, 도전성과 시인성의 관점에서 적절히 설정되지만, 5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격자(g2)는, 금속 세선(13N)으로 둘러싸이는 개구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제2 검출 전극(13)의 메시 구조의 금속 세선(13N) 사이의 선간 피치(Pb)는, 마찬가지로, 도전성과 시인성의 관점에서 적절히 설정되며, 5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금속 세선(12N) 사이의 선간 피치(Pa) 및 금속 세선(13N) 사이의 선간 피치(Pb)를 100μm~500μm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선간 피치(Pa 및 Pb)를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도전성과 시인성의 밸런스를 적절히 취하면서, 필요한 투과율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검출 전극(12) 및 제2 검출 전극(13)에서는, 가시광 투과율, 예를 들면 380nm~780nm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점에서, 개구율은,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5%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개구율이란, 제1 검출 전극(12) 또는 제2 검출 전극(13) 중의 소정 영역에 있어서, 금속 세선(12N, 13N)을 제외한 개구 영역(광투과성부)이 전체에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에 상당한다.
격자(g1 및 g2)는, 도시예에서는, 대략 정방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다각형 형상(예를 들면,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마름모형, 랜덤의 다각형)으로 해도 된다. 또, 한 변의 형상을 직선 형상 외에, 만곡 형상으로 해도 되고, 원호 형상으로 해도 된다. 원호 형상으로 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대향하는 두 변에 대해서는,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하고, 다른 대향하는 두 변에 대해서는, 안쪽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 각 변의 형상을,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와 안쪽으로 볼록한 원호가 연속된 물결선 형상으로 해도 된다. 물론, 각 변의 형상을, 정현 곡선 또는 여현 곡선으로 해도 된다. 격자 형상이 정다각형인 경우는, 변의 길이를 피치로 한다. 격자 형상이 정다각형이 아닌 경우는, 인접 격자 사이에서 격자의 중심 간 거리를 피치로 하는 것으로 한다. 랜덤의 격자 형상인 경우는, 30개의 격자로 피치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피치로 한다.
또한, 도 2(A) 및 (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2(A)에 나타내는 제1 검출 전극(12)의 전극폭은, 도 2(B)에 나타내는 제2 검출 전극(13)의 전극폭과 동일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검출 전극(12)의 전극폭은, 제2 검출 전극(13)의 전극폭보다 좁아도 된다. 여기에서, 전극폭은, 일 방향으로 뻗어 있는 메시 형상의 도전선의 일 방향을 따른, 그 직교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의 포락선의 간격(폭)으로서 정의된다. 즉, 제1 검출 전극(12)의 전극폭은, x방향으로 뻗는 메시 형상의 도전선의 y방향의 양측에 있어서의 포락선의 간격(폭)으로서 정의되고, 제2 검출 전극(13)의 전극폭은, y방향으로 뻗는 메시 형상의 도전선의 x방향의 양측에 있어서의 포락선의 간격(폭)으로서 정의된다.
이와 같이, 제1 검출 전극(12)의 전극폭을, 제2 검출 전극(13)의 전극폭보다 좁게 하는 이유는, 제2 검출 전극(13)으로부터의 전계가 제1 검출 전극(12)에 의하여 차폐되는 면적이 작아져, 손가락으로 접촉했을 때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커지기 때문이며, 즉, S/N비가 향상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전극폭이 좁은 전극이 관찰자측의 전극이 되고, 전극폭이 넓은 전극이 표시 장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전극폭이 좁은 전극을 구성하는 금속 세선의 선폭보다 전극폭이 넓은 전극을 구성하는 금속 세선의 선폭 쪽을 좁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진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센서)
도 3은, 상술한 시트 형상 도전체(1)로 이루어지는 검출 영역을 구비하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센서(1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센서(10)는, 표시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표시 화면 상(조작자측)에 배치되고, 인간의 손가락 등의 외부 도체가 접촉 또는 근접할 때에 발생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인간의 손가락 등의 외부 도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센서(10)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검출 전극(특히, x방향으로 뻗는 검출 전극 및 y방향으로 뻗는 검출 전극)을 갖고, 손가락이 접촉 또는 근접한 검출 전극의 정전 용량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손가락의 좌표를 특정한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센서는, 검출 영역(E1)과 외측 영역(E0)으로 이루어진다. 검출 영역(E1)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 조작이 가능한 영역(물체의 접촉을 검지 가능한 입력 영역(센싱부))이며, 검출 영역(E1)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영역(E0)에는 제1 인출 배선(22), 제2 인출 배선(23) 및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31)이 배치된다.
검출 영역(E1)은, 도 1과 도 2(A) 및 (B)에서 설명한 기판(11), 제1 검출 전극(12), 및 제2 검출 전극(13)에 의하여 구성되고, 제1 검출 전극(12)은, 기판(11)의 관찰측의 면에 배치되며, 제2 검출 전극(13)은, 기판(11)의 관찰측과는 반대측의 면, 즉 제1 검출 전극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배치된다. x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제1 검출 전극(12)과 y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제2 검출 전극(13)이 기판(11)을 사이에 두고 교차하고 있다.
제1 검출 전극(12) 및 제2 검출 전극(13)은,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싱 전극이며, 감지부(센서부)를 구성한다. 즉, 손끝을 검출 영역(E1)에 접촉시키면, 제1 검출 전극(12)과 제2 검출 전극(13)의 사이의 상호 정전 용량이 변화하고, 이 변화량에 근거하여 손끝의 위치를 IC 회로에 의하여 연산한다.
제1 검출 전극(12)은, 검출 영역(E1)에 접근한 사용자의 손가락의 x방향에 있어서의 입력 위치의 검출을 행하는 역할을 갖는 것이며, 손가락과의 사이에 정전 용량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제1 검출 전극(12)은, 제1 방향(x방향)으로 뻗고,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y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된 전극이며, 도 2(A)에 나타내는 소정의 메시 형상의 패턴을 갖는다.
제2 검출 전극(13)은, 검출 영역(E1)에 접근한 사용자의 손가락의 y방향에 있어서의 입력 위치의 검출을 행하는 역할을 갖는 것이며, 손가락과의 사이에 정전 용량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제2 검출 전극(13)은, 제2 방향(y방향)으로 뻗고, 제1 방향(x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된 전극이며, 도 2(B)에 나타내는 소정의 메시 형상의 패턴을 갖는다. 도 3에 있어서는, 제1 검출 전극(12)은 5개, 제2 검출 전극(13)은 5개 마련되어 있지만, 그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외측 영역(E0)은, 검출 영역(E1)으로부터 연속하여 뻗는 기판(11)과, 기판(11) 상에 배치된 제1 인출 배선(22), 제2 인출 배선(23) 및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31)에 의하여 구성된다.
제1 인출 배선(22) 및 제2 인출 배선(23)은, 각각 상기 제1 검출 전극(12) 및 제2 검출 전극(13)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역할을 담당하는 부재이다.
제1 인출 배선(22)은, 그 일단이 대응하는 제1 검출 전극(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타단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인출 배선(23)은, 그 일단이 대응하는 제2 검출 전극(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타단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제1 인출 배선(22)은 5개, 제2 인출 배선(23)은 5개 기재되어 있지만, 그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 검출 전극의 수에 따라 배치된다.
제1 인출 배선(22) 및 제2 인출 배선(23)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금(Au), 은(Ag), 구리(Cu) 등의 금속이나, 산화 주석, 산화 아연, 산화 카드뮴, 산화 갈륨, 산화 타이타늄 등의 금속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도전성이 우수한 이유에서, 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은 페이스트나 구리 페이스트 등의 금속 페이스트나, 알루미늄(Al)이나 몰리브데넘(Mo) 등의 금속이나 합금 박막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금속 페이스트의 경우는, 스크린 인쇄나 잉크젯 인쇄법이, 금속이나 합금 박막의 경우는, 스퍼터막을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하여 패터닝하는 방법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제1 인출 배선(22) 및 제2 인출 배선(23) 중에는, 기판(11)과의 밀착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바인더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의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다.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31)은, 기판 상에 복수의 배선 및 단자가 마련된 판이며, 제1 인출 배선(22)의 각각의 타단 및 제2 인출 배선(23)의 각각의 타단에 접속되고,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센서(10)와 외부의 장치(예를 들면, 표시 장치)를 접속하는 역할을 한다.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상술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센서(10)의 검출 영역(E1)을 표시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표시 화면 상에 설치하고, 또한, 보호 커버에 의하여 덮음으로써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가 구성된다. 또,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센서(10)와 표시 장치의 접착, 및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과 보호 커버의 접착에는, 투명한 점착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유저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에 표시된 입력 조작용 화상 등을 확인하고, 입력 조작용 화상 등에 대응하는 터치면에 접촉함으로써, 터치 패널 센서를 통한 각종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보호 커버)
보호 커버는, 점착 시트 상에 배치되는 기판이며, 외부 환경으로부터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센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함과 함께, 그 주면은 터치면을 구성한다.
보호 커버로서, 투명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고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판, 유리판 등이 이용된다. 기판의 두께는 각각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 및 플라스틱판의 원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터류;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타이렌,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EVA) 등의 폴리올레핀류; 폴리바이닐계 수지; 그 외,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아크릴 수지,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TAC), 사이클로올레핀계 수지(COP)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보호 커버로서는, 편광판, 원편광판 등을 이용해도 된다.
(표시 장치)
표시 장치는, 도시하지 않지만,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갖는 장치이며, 표시 화면측에 각 부재가 배치된다.
표시 장치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표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극선관(CRT)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표시 장치,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F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표면 전계 디스플레이(SED) 또는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또는 전자 페이퍼(E-Paper) 등을 들 수 있다.
(시트 형상 도전체의 제조 방법)
시트 형상 도전체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시트 형상 도전체는, 검출 전극을 갖는 검출 영역(E1)뿐만 아니라, 인출 배선을 갖는 외측 영역(E0)도 일체로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11)의 양 주면 상에 형성된 금속박 상의 포토레지스트막을 노광, 현상 처리하여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레지스트 패턴으로부터 노출되는 금속박을 에칭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기판(11)의 양 주면 상에 금속 미립자 또는 금속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인쇄하고, 소결한 후에 금속 도금을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기판(11) 상에 스크린 인쇄판 또는 그라비어 인쇄판에 의하여 인쇄 형성하는 방법, 또는 잉크젯에 의하여 형성하는 방법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 이외에 할로젠화 은을 사용한 방법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판(11)의 양면에 각각, 할로젠화 은과 바인더를 함유하는 할로젠화 은 유제(乳劑)층(이후, 간단히 감광성층이라고도 칭함)을 형성하는 공정 (1), 감광성층을 노광한 후, 현상 처리하는 공정 (2)를 갖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하에, 각 공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공정 (1): 감광성층 형성 공정]
공정 (1)은, 기판(11)의 양면에, 할로젠화 은과 바인더를 함유하는 감광성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감광성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생산성의 점에서, 할로젠화 은 및 바인더를 함유하는 감광성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판(11)에 접촉시켜, 기판(11)의 양면 상에 감광성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상기 방법으로 사용되는 감광성층 형성용 조성물의 양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후, 공정의 순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감광성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할로젠화 은 및 바인더가 함유된다.
할로젠화 은에 함유되는 할로젠 원소는, 염소, 브로민, 아이오딘 및 불소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이들을 조합해도 된다. 할로젠화 은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은, 브로민화 은, 아이오딘화 은을 주체로 한 할로젠화 은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브로민화 은이나 염화 은을 주체로 한 할로젠화 은이 더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사용되는 바인더의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 바인더는 라텍스의 형태로 감광성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감광성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할로젠화 은 및 바인더의 체적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술한 금속 세선(12N, 13N) 중에 있어서의 금속과 바인더의 적합한 체적비의 범위가 되도록 적절히 조정된다.
감광성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용매가 함유된다.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물, 유기 용매(예를 들면, 메탄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등의 케톤류, 폼아마이드 등의 아마이드류,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등의 설폭사이드류, 아세트산 에틸 등의 에스터류, 에터류 등), 이온성 액체,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사용되는 용매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할로젠화 은 및 바인더의 합계 질량에 대하여, 30질량%~9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50질량%~80질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공정의 순서)
감광성층 형성용 조성물과 기판(11)을 접촉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광성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판(11)에 도포하는 방법이나, 감광성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 기판(11)을 침지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형성된 감광성층 중에 있어서의 바인더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0.3g/m2~5.0g/m2가 바람직하고, 0.5g/m2~2.0g/m2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감광성층 중에 있어서의 할로젠화 은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금속 세선(12N, 13N)의 도전 특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은 환산으로 1.0g/m2~20.0g/m2가 바람직하고, 5.0g/m2~15.0g/m2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감광성층 상에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을 더 마련해도 된다. 보호층을 마련함으로써, 스크래치 방지나 역학 특성의 개량이 이루어진다.
[공정 (2): 노광 현상 공정]
공정 (2)는, 상기 공정 (1)에서 얻어진 감광성층을 패턴 노광한 후, 현상 처리함으로써, 메시 형상의 금속 세선(12N)으로 이루어지는 제1 검출 전극(12) 및 제1 인출 배선(22)과 메시 형상의 금속 세선(13N)으로 이루어지는 제2 검출 전극(13) 및 제2 인출 배선(23)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먼저, 이하에서는, 패턴 노광 처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후, 현상 처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패턴 노광)
감광성층에 대하여 패턴 형상의 노광을 실시함으로써, 노광 영역에 있어서의 감광성층 중의 할로젠화 은이 잠상을 형성한다. 이 잠상이 형성된 영역은, 후술하는 현상 처리에 의하여 메시 형상의 금속 세선을 형성한다. 한편, 노광이 이루어지지 않은 미노광 영역에서는, 후술하는 정착 처리 시에 할로젠화 은이 용해되어 감광성층으로부터 유출되어, 투명한 막이 얻어지고, 광투과부가 되는 개구 영역이 형성된다.
노광 시에 사용되는 광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가시광선, 자외선 등의 광, 또는, X선 등의 방사선 등을 들 수 있다.
패턴 노광을 행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포토마스크를 이용한 면 노광으로 행해도 되고, 레이저 빔에 의한 주사 노광으로 행해도 된다. 또한, 패턴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형성하고자 하는 금속 세선의 패턴에 맞춰 적절히 조정된다.
(현상 처리)
현상 처리의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은염 사진 필름, 인화지, 인쇄제판용 필름, 포토마스크용 에멀션 마스크 등에 이용되는 통상의 현상 처리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현상 처리 시에 사용되는 현상액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PQ 현상액, MQ 현상액, MAA 현상액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후지필름사 처방(process)의 CN-16, CR-56, CP45X, FD-3, 파피톨, KODAK사 처방의 C-41, E-6, RA-4, D-19, D-72 등의 현상액, 또는 그 키트에 포함되는 현상액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리스(Lith) 현상액을 이용할 수도 있다.
현상 처리는, 미노광 부분의 은염을 제거하여 안정화시킬 목적으로 행해지는 정착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정착 처리는, 은염 사진 필름이나 인화지, 인쇄제판용 필름, 포토마스크용 에멀션 마스크 등에 이용되는 정착 처리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정착 공정에 있어서의 정착 온도는, 20℃~50℃가 바람직하고, 25~45℃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정착 시간은 5초~1분이 바람직하고, 7초~50초가 보다 바람직하다.
현상 처리 후의 노광부(금속 세선)에 포함되는 금속 은의 질량은, 노광 전의 노광부에 포함되어 있던 은의 질량에 대하여 50질량% 이상의 함유율인 것이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노광부에 포함되는 은의 질량이 노광 전의 노광부에 포함되어 있던 은의 질량에 대하여 50질량% 이상이면, 높은 도전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 이외에, 필요에 따라, 이하의 언더코팅층 형성 공정, 안티 헐레이션층 형성 공정, 또는 가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언더코팅층 형성 공정)
기판(11)과 할로젠화 은 유제층의 밀착성이 우수한 이유에서, 상기 공정 (1) 전에, 기판(11)의 양면에 상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언더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바인더는 상술한 바와 같다. 언더코팅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밀착성과 상호 정전 용량의 변화율이 보다 억제되는 점에서, 0.01μm~0.5μm가 바람직하고, 0.01μm~0.1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안티 헐레이션층 형성 공정)
금속 세선(12N, 13N)의 세선화의 관점에서, 언더코팅층 상에, 안티 헐레이션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3): 가열 공정)
공정 (3)은, 상기 현상 처리 후에 가열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바인더 사이에서 융착이 일어나, 금속 세선(12N, 13N)의 경도가 보다 상승된다. 특히, 감광성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 바인더로서 폴리머 입자를 분산하고 있는 경우(바인더가 라텍스 중의 폴리머 입자인 경우), 본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폴리머 입자 사이에서 융착이 일어나, 원하는 경도를 나타내는 금속 세선(12N, 13N)이 형성된다.
가열 처리의 조건은 사용되는 바인더에 의하여 적절히 알맞은 조건이 선택되지만, 40℃ 이상인 것이 폴리머 입자의 조막(造膜) 온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5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60℃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또, 기판의 컬 등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15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가열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기판의 컬 등을 억제하는 관점, 및 생산성의 관점에서, 1분간~5분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1분간~3분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가열 처리는, 통상, 노광, 현상 처리 후에 행해지는 건조 공정과 겸할 수 있기 때문에, 폴리머 입자의 조막을 위하여 새로운 공정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어, 생산성, 코스트 등의 관점에서 우수하다.
또한, 상기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금속 세선(12N) 사이의 개구 영역 및 금속 세선(13N) 사이의 개구 영역에는 바인더를 포함하는 광투과성부가 형성된다. 광투과성부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380nm~780nm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투과율, 즉 가시광 투과율의 최솟값으로 나타나는 투과율은, 90% 이상이 바람직하고, 9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97%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98%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며, 99%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상술한 시트 형상 도전체의 제조 방법은, 기판(11)의 한쪽의 면에 제1 검출 전극(12) 및 제1 인출 배선(22)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의 면에 제2 검출 전극(13) 및 제2 인출 배선(23)을 형성하고 있지만, 반드시 기판의 양면에 이들 검출 전극 및 인출 배선을 형성할 필요는 없고, 기판의 한쪽의 면에만 어느 하나의 검출 전극 및 인출 배선을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시트 형상 도전체 및 터치 패널은, 기본적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실시형태 2)
본 발명의 시트 형상 도전체의 형태는, 상기 도 1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형태의 시트 형상 도전체여도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시트 형상 도전체의 검출 영역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2의 시트 형상 도전체(101)는,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211)과, 이들 기판(111, 211) 사이에 끼워져, 제1 기판(111) 상에 배치된 제1 검출 전극(12)과, 점착 시트(40)와, 제2 기판(211) 상에 배치된 제2 검출 전극(13)을 구비한다. 시트 형상 도전체(101)에서는, 제1 검출 전극(12)과 제2 검출 전극(13)은, 점착 시트(40)에 의하여 접착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2의 설명에 있어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도 3의 검출 영역(E1) 내의 구성의 설명에 그치고, 외측 영역(E0)의 제1 인출 배선, 제2 인출 배선, 및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형상 도전체(101)는, 제1 기판(111)에 형성된 제1 검출 전극(12)과 제2 기판(211)에 형성된 제2 검출 전극(13)을 마주보게 하여, 점착 시트(40)에 의하여 첩합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시트 형상 도전체(101)는, 제1 기판(111) 및 제2 기판(211)과, 제1 검출 전극(12)과 제2 검출 전극(13)의 사이에 배치되는 점착 시트(40)가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도 1의 시트 형상 도전체(1)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1 검출 전극(12) 및 제2 검출 전극(13)은, 상술한 시트 형상 도전체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1 기판(111) 및 제2 기판(211) 상에 각각 형성된 것이다.
제1 기판(111) 및 제2 기판(211)은, 상술한 기판(1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형상 도전체(101)의 양 외측(도면 중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술한 보호 커버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 제1 검출 전극(12)과 제1 기판(111)의 사이, 및 제2 검출 전극(13)과 제2 기판(211)의 사이에 박리성을 갖게 하여, 제1 기판(111) 및 제2 기판(211)을 시트 형상 도전체(101)로부터 박리시켜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검출 전극(12), 제2 검출 전극(13) 및 점착 시트(40)로 이루어지는 시트 형상 도전체 유닛(101a)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점착 시트(40)는, 본 발명의 절연체를 구성하는 것이며, 도 1에 나타내는 기판(11)과 마찬가지로, 전기적 절연성을 갖고, 제1 검출 전극(12)과 제2 검출 전극(13)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함과 함께, 그 양면에 각각 제1 검출 전극(12) 및 제2 검출 전극(13)을 밀착시키기 위한 층이며, 광학적으로 투명한 것, 즉, 투명한 절연성 점착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시트(40)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공지의 재료가 사용된다. 또, 점착 시트(40)는, 기판(11)의 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판(11)과 동일한 성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시트 형상 도전체(101)에 있어서도, 제1 검출 전극(12)과 제2 검출 전극(13)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복수 사용되고 있으며, 양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실시형태 3)
또, 시트 형상 도전체의 다른 형태로서는, 도 5에 나타내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시트 형상 도전체의 검출 영역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3의 시트 형상 도전체(201)는, 제1 기판(111)과, 제1 기판(111) 상에 배치된 제1 검출 전극(12)과, 점착 시트(40)와, 제2 기판(211)과, 제2 기판(211) 상에 배치된 제2 검출 전극(13)을 구비한다. 시트 형상 도전체(201)에서는, 점착 시트(40)에 의하여 제1 검출 전극(12)과 제2 기판(211)이 접착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시트 형상 도전체(201)는, 제1 기판(111)에 형성된 제1 검출 전극(12)과 제2 기판(211)에 형성된 제2 검출 전극(13)을 동일한 방향으로 겹쳐 쌓도록 점착 시트(40)에 의하여 첩합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며, 도 4에 나타내는 시트 형상 도전체(101)와, 제2 기판(211)과 제2 검출 전극(13)의 배치가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 2의 시트 형상 도전체(201)와 마찬가지로, 제1 기판(111)은 시트 형상 도전체(201)의 외측(도면 중 상면)에 배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검출 전극(12)을 보호하는 보호 커버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 제1 검출 전극과 제1 기판(111)의 사이에 박리성을 갖게 하여, 제1 기판(111)을 시트 형상 도전체(201)로부터 박리시켜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트 형상 도전체 유닛(201a)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점착 시트(40) 및 제2 기판(211)과 점착 시트(40)는, 상술한 시트 형상 도전체(101, 201)와 마찬가지로, 기판(11)의 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판(11)과 동일한 성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 중의 제1 검출 전극(12)과 제2 검출 전극(13)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복수 사용되고 있으며, 양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시트 형상 도전체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관찰측의 제1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선폭을 그 반대측인 제2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선폭보다 넓게 하고, 또한 이들 금속 세선의 선폭을 소정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금속 세선을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시트 형상 도전체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관찰측의 제1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선폭과 그 반대측인 제2 검출 전극의 금속 세선의 선폭의 차분을 소정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금속 세선을 보다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구성에 의하여 시트 형상 도전체의 투과율이 저하되는 경우도 없다.
따라서, 유저(조작자, 관찰자)가, 본 발명에 관한 시트 형상 도전체를 터치 패널 센서로서 구비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경우, 시트 형상 도전체의 금속 세선에 의하여, 표시 화면의 영상을 시인하는 것이 어려워지지 않고, 또, 표시 화면의 영상이 사라진 경우, 또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켜져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금속 세선이 시인되기 어렵다.
이상, 본 발명의 시트 형상 도전체, 및 터치 패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개량이나 변경을 행해도 된다.
실시예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이하의 순서로,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시트 형상 도전체(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트 형상 도전체(2)의 양측에 보호 커버(51 및 52)가 첩부된 시트 형상 평가용 적층 도전체(3)를 제작하여, 실시예로 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내용, 처리 순서 등은,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체예에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할로젠화 은 유제의 조제)
38℃, pH4.5로 유지된 하기 1액에, 하기의 2액 및 3액의 각각 90%에 상당하는 양을 교반하면서 동시에 20분간에 걸쳐 첨가하여, 0.16μm의 핵입자를 형성했다. 이어서 하기 4액 및 5액을 8분간에 걸쳐 첨가하고, 또한 하기의 2액 및 3액의 나머지의 10%의 양을 2분간에 걸쳐 첨가하여, 0.21μm까지 성장시켰다. 또한, 아이오딘화 칼륨 0.15g을 첨가하고, 5분간 숙성하여 입자 형성을 종료했다.
1액:
물 750ml
젤라틴 9g
염화 나트륨 3g
1,3-다이메틸이미다졸리딘-2-싸이온 20mg
벤젠싸이오설폰산 나트륨 10mg
시트르산 0.7g
2액:
물 300ml
질산 은 150g
3액:
물 300ml
염화 나트륨 38g
브로민화 칼륨 32g
헥사클로로이리듐(III)산 칼륨
(0.005% KCl 20% 수용액) 8ml
헥사클로로로듐산 암모늄
(0.001% NaCl 20%수용액) 10ml
4액:
물 100ml
질산 은 50g
5액:
물 100ml
염화 나트륨 13g
브로민화 칼륨 11g
황혈염 5mg
그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플로큘레이션법에 의하여 수세했다. 구체적으로는, 온도를 35℃로 낮추고, 황산을 이용하여 할로젠화 은이 침강할 때까지 pH를 낮췄다(pH3.6±0.2의 범위였다). 다음으로, 상등액을 약 3리터 제거했다(제1 수세). 또한 3리터의 증류수를 첨가하고 나서, 할로젠화 은이 침강할 때까지 황산을 첨가했다. 다시, 상등액을 3리터 제거했다(제2 수세). 제2 수세와 동일한 조작을 추가로 1회 반복하여(제3 수세), 수세·탈염 공정을 종료했다. 수세·탈염 후의 유제를 pH6.4, pAg7.5로 조정하고, 젤라틴 3.9g, 벤젠싸이오설폰산 나트륨 10mg, 벤젠싸이오설핀산 나트륨 3mg, 싸이오 황산 나트륨 15mg과 염화 금산 10mg을 첨가하여 55℃에서 최적 감도를 얻도록 화학 증감을 실시하여, 안정제로서 1,3,3a,7-테트라아자인덴 100mg, 방부제로서 프록셀(상품명, ICI Co., Ltd.제) 100mg을 첨가했다. 최종적으로 얻어진 유제는, 아이오딘화 은을 0.08몰% 포함하고, 염 브로민화 은의 비율을 염화 은 70몰%, 브로민화 은 30몰%로 하는, 평균 입자경 0.22μm, 변동 계수 9%의 아이오딘염 브로민화 은 입방체 입자 유제였다.
(감광성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
상기 유제에 1,3,3a,7-테트라아자인덴 1.2×10-4몰/몰Ag, 하이드로퀴논 1.2×10-2몰/몰Ag, 시트르산 3.0×10-4몰/몰Ag, 2,4-다이클로로-6-하이드록시-1,3,5-트라이아진나트륨염 0.90g/몰Ag를 첨가하고, 시트르산을 이용하여 도포액 pH를 5.6으로 조정하여, 감광성층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감광성층 형성 공정)
도 6에 나타내는 시트 형상 평가용 적층 도전체(3)의 시트 형상 도전체(2)의 기판(311)이 되는, 폭 30cm, 두께 100μm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시트의 양면에, 언더코팅층으로서 두께 0.1μm의 젤라틴층, 또한 언더코팅층 상에 광학 농도가 약 1.0이고 현상액의 알칼리에 의하여 탈색되는 염료를 포함하는 안티 헐레이션층을 마련했다.
상기 안티 헐레이션층 위에, 25cm의 폭으로 20cm에 걸쳐, 상기 감광성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또한 두께 0.15μm의 젤라틴층을 마련하여, 도포의 중앙부 24cm를 남기도록 양단을 3cm씩 잘라 내어, 양면에 감광성층이 형성된 PET 시트를 얻었다. 이 감광성층 부착 PET 시트에 형성된 감광성층은, 은량 4.8g/m2, 젤라틴량 1.0g/m2였다.
(노광 현상 공정)
후술하는 제1 검출 전극(도면 중 상면)(112) 및 제2 검출 전극(도면 중 하면)(113)의 전극 패턴의 포토마스크를 제작하고, 감광성층 부착 PET 시트에 대하여 이들 포토마스크를 통하여, 고압 수은 램프를 광원으로 한 평행광을 이용하여 노광을 행했다. 노광 후, 하기의 현상액으로 현상하고, 또한 정착액(상품명: CN16X용 N3X-R, 후지필름사제)을 이용하여 현상 처리를 행했다. 또한, 순수로 린스하고, 건조함으로써, 기판(311)의 양면에 Ag 세선으로 이루어지는 제1 검출 전극(112) 및 제2 검출 전극(113)을 구비하는 시트 형상 도전체(2)를 얻었다.
(전극 패턴)
또한, 제1 검출 전극(112) 및 제2 검출 전극(113)의 전극 패턴은, 하기와 같다.
제1 검출 전극(112)의 전극 패턴: 각 격자의 한 변의 길이가 400μm, 메시를 구성하는 Ag 세선의 교차 각도가 90°, Ag 세선의 선폭이 5.5μm인 정방형.
제2 검출 전극(113)의 전극 패턴: Ag 세선의 선폭이 3μm인 것 이외에는 제1 검출 전극(112)의 전극 패턴과 동일하다.
또, 얻어진 시트 형상 도전체(2)는, 제1 검출 전극(112) 및 제2 검출 전극(113)이 메시 형상으로 교차하는 Ag 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검출 전극(112)은 x방향으로 뻗는 전극이고, 제2 검출 전극(113)은 y방향으로 뻗는 전극이며, 각각 4.5mm 피치로 기판(PET 시트)(311) 상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시트 형상 평가용 적층 도전체(3)를 제작했다.
얻어진 시트 형상 도전체(2)를 이용하여, 시트 형상 도전체(2)의 외측(도면 중 상하) 양면에, 두께 100μm의 보호 커버와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점착 시트(OCA: Optical Clear Adhesive)를 배치하고, 이를 양면으로부터 두께 5mm의 유리 기판 사이에 두고, 2kgf 롤러를 사용하여 첩합했다. 그 후, 얻어진 투명 점착 시트가 부착된 시트 형상 도전체를, 고압 항온조에서, 40℃, 5기압, 20분의 환경에 노출시켜, 탈포 처리했다.
이렇게 하여,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찰측(도면 중 위)으로부터 그 반대측(도면 중 아래)을 향하여 순서대로, 제1 보호 커버(51), 제1 점착층(141), 제1 검출 전극(112), 기판(311), 제2 검출 전극(113), 제2 점착층(142), 및 제2 보호 커버(52)가 적층된 시트 형상 평가용 적층 도전체(3)를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시트 형상 평가용 적층 도전체(3)를 4cm×5cm의 직사각형으로 절단하여 실시예 1로 했다.
또한, 제1 검출 전극(112) 및 제2 검출 전극(113)의 전극 패턴의 선폭은, 금속 세선의 연재(延在) 방향에 수직인 면으로 시트 형상 평가용 적층 도전체(3)의 샘플을 절단하고, 세선 단면의 가로폭(기판에 수평인 방향의 최대폭)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측하여 측정했다(10개소의 평균값). 또, 실제로 제작된 포토마스크의 전극 패턴의 선폭을,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그 결과, 시트 형상 평가용 적층 도전체(3)의 제1 검출 전극(112)의 금속 세선의 선폭 및 제2 검출 전극(113)의 금속 세선의 선폭은, 각각 대응하는 상술한 포토마스크의 전극 패턴의 선폭과 동일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 상이한 선폭의 전극 패턴을 갖는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검출 전극의 세선의 선폭(이하, 상면 선폭이라고 함)과 제2 검출 전극의 세선의 선폭(이하, 하면 선폭이라고 함)을 각각 변경한 시트 형상 평가용 적층 도전체(3)를 제작하고, 소정의 직사각형으로 절단하여, 실시예 2~11 및 비교예 1~5로 했다.
[표 1]
Figure pct00001
(평가)
이상의 실시예 1~11 및 비교예 1~5를, 흑색판 상에 하면 전극(113)을 하측으로 하여 재치하고, 상방으로부터 백색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이들 시트 형상 평가용 적층 도전체(3)로부터 30cm~50cm 떨어진 높이에서, 내려본 각 45°로 육안으로 관찰을 행했다.
그때, 금속 세선의 시인성에 대하여, 금속 세선이, 뚜렷하게 관찰되는 레벨을 "1", 약간 관찰되지만 신경이 쓰이지 않는 레벨을 "2", 거의 관찰할 수 없는 레벨을 "3", 전혀 관찰할 수 없는 레벨을 "4"로 하는 평가 기준으로, 2명의 연구원에 의하여 각각 관능 평가를 행하고, 그 평균을 내어 평가점으로 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허용할 수 있는 금속 세선의 시인성의 평가점은, "2" 이상이다.
또, 상술한 실시예 1~11 및 비교예 1~5에 대하여, 투명성의 양부(良否)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했다.
이상의 시인성의 평가 결과 및 측정된 투과율을, 표 1에 아울러 나타내고, 또, 시인성의 평가 결과에 대하여, 하면 선폭을 x축으로 하고, 상면 선폭을 y축으로 하여, 도 7에 나타내는 그래프에 플롯했다.
또한, 도 7의 점선 Sa-Sb 사이의 범위는, 상기 식 (2)에 의하여 나타나는 범위이며, 도 7의 실선 Sc-Sd 사이의 범위는, 상기 식 (3) 식에 의하여 나타나는 범위이다.
표 1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식 (1) 및 (2)를 충족시키는, 즉, 상면 선폭 및 하면 선폭이 모두, 0.5μm 이상, 10μm 이하이며, 상면 선폭이 하면 선폭보다 넓고, 상면 선폭과 하면 선폭의 차분이 4μm 이하인 실시예 1~11은, 평가점이 2 이상이며, 금속 세선의 시인성을 허용할 수 있는 레벨, 혹은 시인성이 좋은 것에 반하여, 상기 식 (1) 또는 (2)를 만족하지 않는, 즉, 상면 선폭이 하면 선폭보다 좁은 비교예 1~4 및 상면 선폭이 하면 선폭보다 너무 넓어, 그 차분이 너무 큰 비교예 5는, 평가점이 1.5 이하이며, 금속 세선의 시인성을 허용할 수 없는 레벨이었다. 즉, 실시예 1~11이, 비교예 1~5에 비하여, 금속 세선이 시인되지 않거나, 또는 시인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어, 시인성이 향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상술한 (3) 식을 충족하는, 즉, 상면 선폭과 하면 선폭의 차분이 0.5μm 이상 2.0μm 이하인 실시예 6~11은, 평가점이 3 이상이며, 상면 선폭과 하면 선폭의 차분이 0.5μm 미만, 또는 2.0μm 초과로, 평가점이 2.5 이하인 실시예 1~5보다 평가점이 높았다. 즉, 상면 선폭과 하면 선폭의 차분이 속하는 범위를 추가로 한정함으로써, 금속 세선을 전혀 또는 거의 관찰할 수 없는 레벨로 할 수 있어, 시인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관찰측의 제1 검출 전극(예를 들면, 상면 검출 전극)의 선폭을 그 반대측의 제2 검출 전극(예를 들면, 하면 검출 전극)의 선폭보다 넓게 하여, 이들 제1 검출 전극 및 제2 검출 전극의 선폭을 소정의 범위 내로 하고, 또한 양 전극의 선폭의 차분을 소정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금속 세선을 전혀, 또는 거의 관찰할 수 없는 레벨, 혹은 거의 신경이 쓰이지 않는 레벨로 할 수 있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효과는 분명하다.
1, 2, 101, 201 시트 형상 도전체
3 시트 형상 평가용 적층 도전체
10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센서
11, 311 기판
12, 112 제1 검출 전극(상면 검출 전극)
12N 금속 세선
13, 113 제2 검출 전극(하면 검출 전극)
13N 금속 세선
22 제1 인출 배선
23 제2 인출 배선
31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40 점착 시트
51 상부 보호 커버
52 하부 보호 커버
111 제1 기판
141 상부 점착층
142 하부 점착층
211 제2 기판
E0 외측 영역
E1 검출 영역
Pa, Pb 선간 피치
Wa, Wb 선폭
g1, g2 격자

Claims (7)

  1.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되는 시트 형상 도전체로서,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의 상기 표시 화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설치되어, 관찰측에 배치되는 제1 검출 전극과,
    상기 절연체의 상기 표시 화면측의 면에 설치되어, 관찰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검출 전극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제1 검출 전극 및 상기 제2 검출 전극은, 금속 세선에 의하여 메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검출 전극의 상기 금속 세선의 선폭을 선폭 Wa로 하고, 상기 제2 검출 전극의 상기 금속 세선의 선폭을 선폭 Wb로 하면, 상기 선폭(Wa) 및 상기 선폭(Wb)이, 하기 식 (1) 및 (2)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 도전체.
    0.5μm≤Wb<Wa≤10μm ……(1)
    Wa-Wb≤4.0μm ……(2)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폭(Wa)과 상기 선폭(Wb)이, 이하의 (3) 식의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 도전체.
    0.5μm≤Wa-Wb≤2.0μm ……(3)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폭(Wa)과 상기 선폭(Wb)이, 이하의 (4) 식을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 도전체.
    1.0μm≤Wb<Wa≤6.0μm ……(4)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 전극 및 상기 제2 검출 전극의 상기 금속 세선 사이의 선간 피치는, 각각 100μm~5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 도전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 전극의 전극폭이, 상기 제2 검출 전극의 전극폭보다 좁은 시트 형상 도전체.
  6.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의 한쪽의 면에 설치되는 제1 검출 전극과,
    상기 절연체의 다른 한쪽의 면에 설치되는 제2 검출 전극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제1 검출 전극 및 상기 제2 검출 전극은, 금속 세선에 의하여 메시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검출 전극의 상기 금속 세선의 선폭을 선폭 Wa로 하고, 상기 제2 검출 전극의 상기 금속 세선의 선폭을 선폭 Wb로 하면, 상기 선폭(Wa) 및 상기 선폭(Wb)이, 하기 식 (1) 및 (2)를 충족시키고, 또한 상기 제1 검출 전극의 전극폭이, 상기 제2 검출 전극의 전극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 도전체.
    0.5μm≤Wb<Wa≤10μm ……(1)
    Wa-Wb≤4.0μm ……(2)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 형상 도전체를 사용한 터치 패널.
KR1020167024898A 2014-03-28 2015-03-06 시트 형상 도전체, 및 이를 이용하는 터치 패널 KR101795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69829 2014-03-28
JP2014069829A JP6009488B2 (ja) 2014-03-28 2014-03-28 シート状導電体、およびこれを用いるタッチパネル
PCT/JP2015/056606 WO2015146538A1 (ja) 2014-03-28 2015-03-06 シート状導電体、およびこれを用いるタッチパ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219A true KR20160119219A (ko) 2016-10-12
KR101795331B1 KR101795331B1 (ko) 2017-11-07

Family

ID=54195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898A KR101795331B1 (ko) 2014-03-28 2015-03-06 시트 형상 도전체, 및 이를 이용하는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42497B2 (ko)
JP (1) JP6009488B2 (ko)
KR (1) KR101795331B1 (ko)
CN (1) CN106104439B (ko)
TW (1) TWI653557B (ko)
WO (1) WO20151465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56987A (zh) * 2015-01-21 2015-05-27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具有金属网格的透明导电结构
WO2018034324A1 (ja) * 2016-08-19 2018-02-2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部材、タッチセンサ、及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ユニット
US10503331B2 (en) * 2016-08-30 2019-12-10 Tactual Labs Co. Single sided capacitive sensor
WO2019003726A1 (ja) * 2017-06-26 2019-01-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複合部材およびデバイス
CN111316213B (zh) * 2017-12-13 2023-11-17 富士胶片株式会社 导电性部件、触摸面板及显示装置
WO2020213172A1 (ja) * 2019-04-19 2020-10-2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US20220206623A1 (en) * 2019-04-19 2022-06-30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CN110119225B (zh) * 2019-05-20 2022-05-10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面板
JP7298447B2 (ja) * 2019-11-08 2023-06-27 横河電機株式会社 検出装置、検出方法及び検出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5967A (ja) 2010-01-28 2011-09-08 Fujifilm Corp 導電シート、導電シートの使用方法及び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63295B1 (en) * 2008-02-28 2019-10-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screen sensor having varying sheet resistance
EP4300190A3 (en) * 2008-02-28 2024-03-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 Touch screen sensor
JP2010160745A (ja) * 2009-01-09 2010-07-22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表示装置
JP2010160754A (ja) * 2009-01-09 2010-07-22 Sanyo Electric Co Ltd 健康管理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5164930B2 (ja) 2009-06-05 2013-03-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タッチパネル、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US8797285B2 (en) 2011-04-18 2014-08-05 Atmel Corporation Panel
US9262019B2 (en) 2011-11-22 2016-02-16 Atmel Corporation Touch sensor with conductive lines having different widths
CN103376958A (zh) * 2012-04-19 2013-10-30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电容感应组件、其制备方法及使用电容感应组件的触控屏
KR20130119762A (ko) * 2012-04-24 2013-11-01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JP6032532B2 (ja) * 2012-07-10 2016-11-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一体型表示装置用前面保護板、及び表示装置
JP2014029614A (ja) * 2012-07-31 2014-02-13 Toppan Printing Co Ltd フィルム状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045603A1 (ja) * 2013-09-25 2015-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導電シート、タッチパネル装置、表示装置、および、導電シート製造方法
JP5795038B2 (ja) * 2013-10-01 2015-10-14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用電極シート
TWM477620U (zh) 2013-11-20 2014-05-01 Liyitec Inc 具視覺調和效果的觸控面板線電阻感應電極結構
KR20150074350A (ko) * 2013-12-24 2015-07-02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KR20150087613A (ko) 2014-01-22 2015-07-30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센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5967A (ja) 2010-01-28 2011-09-08 Fujifilm Corp 導電シート、導電シートの使用方法及び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04439A (zh) 2016-11-09
CN106104439B (zh) 2019-01-08
US10042497B2 (en) 2018-08-07
KR101795331B1 (ko) 2017-11-07
TWI653557B (zh) 2019-03-11
JP2015191560A (ja) 2015-11-02
JP6009488B2 (ja) 2016-10-19
TW201537412A (zh) 2015-10-01
WO2015146538A1 (ja) 2015-10-01
US20160370901A1 (en)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331B1 (ko) 시트 형상 도전체, 및 이를 이용하는 터치 패널
JP7079751B2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本体及び表示装置
KR101873667B1 (ko) 도전막 적층체, 및 이를 이용하는 터치 패널
JP5827749B2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入力デバイス
TWI550449B (zh) 導電片及觸控式面板
TWI619055B (zh) 導電片及靜電容量方式觸控面板
TWI494834B (zh) 導電片、導電片的使用方法以及電容觸控面板
JP5514674B2 (ja) 導電シート、導電シートの使用方法及び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
JP5667938B2 (ja) 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
US8766105B2 (en) Conductive sheet, method for using conductive sheet, and capacitive touch panel
JP5507343B2 (ja) タッチパネル及び導電シート
JP5638459B2 (ja) タッチパネル及び導電シート
KR20120116920A (ko) 도전 시트, 도전 시트의 사용 방법 및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JP6131165B2 (ja) 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
TW201403636A (zh) 導電性膜
TWI463385B (zh) 觸控面板與導電片
JP5476237B2 (ja) タッチパネル及び導電シート
JP2017156828A (ja) 光透過性導電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