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253A - 점성 조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점성 조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253A
KR20160118253A KR1020167020888A KR20167020888A KR20160118253A KR 20160118253 A KR20160118253 A KR 20160118253A KR 1020167020888 A KR1020167020888 A KR 1020167020888A KR 20167020888 A KR20167020888 A KR 20167020888A KR 20160118253 A KR20160118253 A KR 20160118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rbon atoms
mass
represent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0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6738B1 (ko
Inventor
마사키 호사카
타카시 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ublication of KR20160118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7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15Monohydroxy compounds
    • C08G18/283Compounds containing ether groups, e.g. oxyalkylated mono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33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D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D125/08Copolymers of styrene
    • C09D1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2Emulsions, e.g. oil i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4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3Thicken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yether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하기의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A) 및 일반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B)을 질량비로 (A)/(B)=70/30∼95/5의 비율로 함유하는, 점성 조정제 조성물. (식 중, R1∼R4, R10∼R13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15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R5, R9, R14 및 R16는 각각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R6, R8 및 R15는 각각 탄소수 3∼13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7는 에틸렌기를 나타내고, x 및 y는 0∼50의 수를 나타내고, n은 50∼500의 수를 나타내고, m은 1∼10의 수를 나타내고, p 및 q는 3∼50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2

Description

점성 조정제 조성물{VISCOSITY REGULATOR COMPOSITION}
본 발명은, 특정의 수계 에멀젼이나 수계 도료와의 혼화성 및 혼화 후의 제품 안정성이 뛰어나고, 양호한 점성 조정효과를 발휘하는 점성 조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계 에멀젼이나 그것을 사용한 점착제나 수계 도료 등은, 일반적으로, 사용 방법이나 사용 목적에 따른 점도나 점성이 부여되어 있고, 이들은 통상 점성 조정제에 따라 부여된다. 점성 조정제로는,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천연계의 점성 조정제, 폴리아크릴산이나 폴리아크릴산 함유 코폴리머 등의 알칼리로 증점하는 타입의 알칼리 증점형 점성 조정제, 우레탄변성 폴리에테르 등의 우레탄형 점성 조제제 등이 알려져 있으나, 최근, 내수성이 양호하고 pH의 영향을 받지 않는 우레탄형 점성 조정제의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우레탄형 점성 조정제에는 여러 가지 구조가 있고, 용도에 따라 그들을 가려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를 참조). 한편, 우레탄형 점성 조정제는 점도가 높고 핸들링이 어려운 것이나, 수계 에멀젼에 대한 혼화성이 어려운 것이 있고, 에멀젼과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하여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에멀젼에 혼화 후, 에멀젼의 종류에 따라서는 에멀젼의 점도가 크게 변화하는 등, 점성 조정제를 첨가한 에멀젼의 제품 안정성(이하 "제품 안정성"이라 한다)이 불량이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정의 용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4를 참조). 이들 방법을 사용하여 우레탄형 점성 조정제의 점도를 내려, 에멀젼과의 상용성을 더 개선할 수 있게 되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9-071767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10-245541호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11-508631호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3-227367호
그러나 상기의 특정의 용제를 사용해도, 제품 안정성을 개선하는 것은 곤란하고, 특히 수계 에멀젼 등을 구성하는 수지의 소수성이 큰 경우는, 고온시의 가혹한 조건하에서 제품 안정성이 큰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벤젠환이나 나프탈렌환 등의 방향족이 들어있는 에멀젼 수지의 경우에 제품 안정성이 나빠져, 제품 점도의 저하나 상승이 일어난다. 수지의 소수성이 강하기 때문에, 수용성이 높은 우레탄형 점성 조정제가 계(系)내에서 안정하게 존재할 수 없고, 일단 용해되어도 분리 등의 폐해가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며, 이 현상은 상기 용제를 첨가해도 개선할 수 없다. 또한 용제를 사용하면, 휘발 성분에 의해 취급하는 사람이 불쾌하게를 느끼는 경우나, 환경이나 인체에 악영향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선호되어 사용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소수성이 큰 모노머(예를 들면, 스티렌이나 메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올레핀)를 사용한 에멀젼에 대하여 제품 안정성이 양호한 우레탄형 점성 조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등은 예의 검토하여, 소수성이 큰 모노머를 사용한 에멀젼 등에 대한 제품 안정성이 양호한 우레탄형 점성 조정제를 찾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A) 및 일반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B)을 질량비로 (A)/(B)=70/30∼95/5의 비율로 함유하는 점성 조정제 조성물이다.
Figure pct00001
(식 중, R1∼R4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15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R5 및 R9는 각각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R6 및 R8는 각각 탄소수 3∼13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7는 에틸렌기를 나타내고, x 및 y는 0∼50의 수를 나타내고, n은 50∼500의 수를 나타내고, m은 1∼10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식 중, R10∼R13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15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R14 및 R16는 각각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R15는 탄소수 3∼13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p 및 q는 3∼50의 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효과는, 소수성이 큰 모노머를 사용한 에멀젼에 대하여, 제품 안정성이 양호한 우레탄형 점성 조정제 조성물을 제공한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화합물(A)은, 하기의 일반식(1)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03
(식 중, R1∼R4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15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R5 및 R9는 각각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R6 및 R8는 각각 탄소수 3∼13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7는 에틸렌기를 나타내고, x 및 y는 0∼50의 수를 나타내고, n은 50∼500의 수를 나타내고, m은 1∼10의 수를 나타낸다.)
일반식(1)의 R1∼R4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15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의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탄소수 1∼12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터셔리부틸기, 펜틸기, 이소펜틸기, 헥실기, 이소헥실기, 헵틸기, 이소헵틸기, 옥틸기, 이소옥틸기, 노닐기, 이소노닐기, 데실기, 이소데실기, 운데실기, 이소운데실기, 도데실기, 이소도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노닐기가 바람직하다.
탄소수 6∼15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페닐기, 메틸페닐기, 에틸페닐기, 프로필페닐기, 부틸페닐기, 터셔리부틸페닐기, 펜틸페닐기, 이소펜틸페닐기, 헥실페닐기, 이소헥실페닐기, 헵틸페닐기, 이소헵틸페닐기, 옥틸페닐기, 이소옥틸페닐기, 노닐페닐기, 이소노닐페닐기, 디메틸페닐기, 디프로필페닐기, 디부틸페닐기, 디터셔리부틸페닐기, 트리메틸페닐기 등의 아릴기; 페닐메틸기(벤질기), 페닐에틸기, 1-페닐에틸기, 1-메틸-1-페닐에틸기, 페닐프로필기, 페닐부틸기, 페닐터셔리부틸기, 페닐펜틸기, 페닐이소펜틸기, 페닐헥실기, 페닐이소헥실기, 페닐헵틸기, 페닐이소헵틸기, 페닐옥틸기, 페닐이소옥틸기, 페닐노닐기, 페닐이소노닐기 등의 방향족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1-페닐에틸기 및 1-메틸-1-페닐에틸기가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R1 및 R3의 적어도 한쪽이 탄소수 6∼15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15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R1 및 R3의 적어도 한쪽이 탄소수 6∼15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R1 및 R3의 양쪽이 탄소수 7∼15의 방향족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R1 및 R3의 양쪽이 탄소수 7∼10의 방향족 알킬기가 더욱더 바람직하고, 탄소수 8∼9의 방향족 알킬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일반식(1)의 R5 및 R9는 각각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낸다. -R5O-로 표시되는 옥시알킬렌기는 x개의 중합물이 되지만, x개 있는 옥시알킬렌기 중의 옥시에틸렌기와 옥시프로필렌기의 비율은 특히 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에멀젼에 대한 혼화성이 양호한 점에서, x개 있는 옥시알킬렌기 중의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은 50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70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R9O-로 표시되는 R9에 관련되는 옥시알킬렌기도 상기와 동일하고, y개 있는 옥시알킬렌기 중의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은 50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70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모두가 옥시에틸렌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x 및 y는 각각 0∼50의 수를 나타내지만, 3∼30이 바람직하고, 5∼25가 보다 바람직하고, 10∼20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값이 50을 넘으면 친수성이 너무 높아져 혼화성이나 제품 안정성을 개선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일반식(1)의 R6 및 R8는 각각 탄소수 3∼13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 바람직하게는,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3∼13의 알킬렌기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펜틸렌기, 헥실렌기, 헵틸렌기, 옥틸렌기, 노닐렌기, 데실렌기, 운데실렌기, 도데실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헥실렌기가 바람직하다.
일반식(1)의 R6 및 R8는 각각 탄소수 3∼13의 알킬렌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3∼10의 알킬렌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4∼8의 알킬렌기가 더욱 바람직하고, 탄소수 5∼7의 알킬렌기가 더욱더 바람직하고, 탄소수 6의 알킬렌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R6 및 R8는 각각 OCN-R6-NCO, 및 OCN-R8-NCO로 표시되는 원료의 디이소시아네이트 유래의 기이다.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옥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노나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부톡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비스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원료 사정이 좋은 점에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4,4'-비스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고,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디이소시아네이트에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 대표되는 방향족계의 디이소시아네이트도 있으나, R6나 R8에 방향환이 들어가면 용해성이나 안정성에 좋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일반식(1)에 있어서의 R6 및 R8는 각각 친수기의 위치에 있는 점과, 일반식(1)의 양말단의 소수기에 방향환이 있기 때문에 소수성이 높은 점에서, 소수성이 큰 방향환을 친수기의 위치에 넣는 것은 화합물(A)의 물에 대한 용해성을 떨어뜨려, 결과적으로 제품 안정성에도 악영향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일반식(1)의 R7는 에틸렌기를 나타내고, n은 50∼500의 수를 나타낸다. -R7O-로 표시되는 옥시에틸렌기는 n개의 중합물이 되고, 이 폴리옥시에틸렌 부분이 일반식(1)에 있어서의 친수기의 부분이 된다. 친수기와 소수기의 밸런스로부터, n의 값은 80∼450이 바람직하고, 100∼400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300이 더욱 바람직하고, 130∼260이 가장 바람직하다. n의 값이 50보다 작으면 친수기로서 기능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 500을 넘으면, 친수기로서의 기능이 너무 커서 점성 조정 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일반식(1)의 m은 1∼10의 수를 나타낸다. 화합물(A)을 제조함에 있어서, 원료의 배합 비율 및 반응 방법이나 반응 조건에 의해,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m의 값이 상이한 화합물이 혼합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화합물(A)은, m의 값이 1∼10의 화합물이면 단품이어도 혼합물이어도 되지만, m=1∼3의 화합물의 총량이 전체의 5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m=1∼3의 화합물의 총량이 전체의 50질량% 미만이 되면, 에멀젼 등에 첨가한 화합물(A)의 용해에 시간이 걸려, 경제적인 손실이 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화합물(B)은, 하기의 일반식(2)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04
(식 중, R10∼R13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15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R14 및 R16는 각각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R15는 탄소수 3∼13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p 및 q는 3∼50의 수를 나타낸다.)
일반식(2)의 R10∼R13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15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의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탄소수 1∼12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터셔리부틸기, 펜틸기, 이소펜틸기, 헥실기, 이소헥실기, 헵틸기, 이소헵틸기, 옥틸기, 이소옥틸기, 노닐기, 이소노닐기, 데실기, 이소데실기, 운데실기, 이소운데실기, 도데실기, 이소도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6∼15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페닐기, 메틸페닐기, 에틸페닐기, 프로필페닐기, 부틸페닐기, 터셔리부틸페닐기, 펜틸페닐기, 이소펜틸페닐기, 헥실페닐기, 이소헥실페닐기, 헵틸페닐기, 이소헵틸페닐기, 옥틸페닐기, 이소옥틸페닐기, 노닐페닐기, 이소노닐페닐기, 디메틸페닐기, 디프로필페닐기, 디부틸페닐기, 디터셔리부틸페닐기, 트리메틸페닐기 등의 아릴기; 페닐메틸기(벤질기), 페닐에틸기, 1-페닐에틸기, 페닐프로필기, 1-메틸-1-페닐에틸기, 페닐부틸기, 페닐터셔리부틸기, 페닐펜틸기, 페닐이소펜틸기, 페닐헥실기, 페닐이소헥실기, 페닐헵틸기, 페닐이소헵틸기, 페닐옥틸기, 페닐이소옥틸기, 페닐노닐기, 페닐이소노닐기 등의 방향족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1-페닐에틸기 및 1-메틸-1-페닐에틸기가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R10 및 R12의 적어도 한쪽이 탄소수 6∼15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15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R10 및 R12의 적어도 한편이 탄소수 6∼15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R10 및 R12의 양쪽이 탄소수 7∼15의 방향족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R1 및 R3의 양쪽이 탄소수 7∼10의 방향족 알킬기가 더욱더 바람직하고, 탄소수 8∼9의 방향족 알킬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일반식(2)의 R14 및 R16는 각각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낸다. -R14O-로 표시되는 옥시알킬렌기는 p개의 중합물이 되지만, p개 있는 옥시알킬렌기 중의 옥시에틸렌기와 옥시프로필렌기의 비율은 특히 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에멀젼에 대한 혼화성이 양호한 점에서, p개 있는 옥시알킬렌기 중의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은 70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90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몰%가 가장 바람직하다.
-R16O-로 표시되는 옥시알킬렌기도 상기와 동일하고, q개 있는 옥시알킬렌기 중의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은 70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90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몰%가 가장 바람직하다.
p 및 q는 각각 3∼50의 수를 나타내지만, 5∼30이 바람직하고, 7∼25가 보다 바람직하고, 10∼20이 더욱 바람직하다. 3보다 작으면 친수성이 부족하여 에멀젼에 첨가했을 때에 완전하게 용해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50을 넘으면 제품 안정성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일반식(2)의 R15는 탄소수 3∼13의 2가의 포화 탄화 수소, 바람직하게는,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3∼13의 알킬렌기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펜틸렌기, 헥실렌기, 헵틸렌기, 옥틸렌기, 노닐렌기, 데실렌기, 운데실렌기, 도데실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헥실렌기가 바람직하다.
일반식(1)의 R15는 탄소수 3∼13의 알킬렌기가 바람직하지만, 탄소수 3∼10의 알킬렌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4∼8의 알킬렌기가 더욱 바람직하고, 탄소수 5∼7의 알킬렌기가 더욱더 바람직하고, 탄소수 6의 알킬렌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R15는 OCN-R15-NCO로 표시되는 원료의 디이소시아네이트 유래의 기이다.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옥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노나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부톡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비스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원료 사정이 좋은 점에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4,4'-비스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고,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디이소시아네이트에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 대표되는 방향족계의 디이소시아네이트도 있지만, R15에 방향환이 들어가면 소수성이 너무 높아져, 에멀젼에 첨가했을 때에 완전하게 용해되지 않는 경우나, 증점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화합물(A)의 제조 방법은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하면 되지만, 하기의 일반식(3)∼(7)로 표시되는 원료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5
(식 중, R1 및 R2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15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R5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x는 0∼50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식 중, R3 및 R4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15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R9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y는 0∼50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식 중, R7는 에틸렌기를 나타내고, n은 50∼500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식 중, R6는 탄소수 3∼13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9
(식 중, R8는 탄소수 3∼13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일반식(3) 및 (4)로 표시되는 원료 알코올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지만, 원료의 종류가 적을수록 취급이 용이한 점에서, 일반식(3) 및 (4)로 표시되는 원료 알코올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원료 알코올 2몰에 대하여, 일반식(5)로 표시되는 원료 폴리에틸렌글리콜을 0.8∼1.2몰, 바람직하게는 0.9∼1.1몰, 또한 일반식(6) 및 (7)로 표시되는 원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합계로 1.8∼2.2몰, 바람직하게는 1.9∼2.1몰 반응시키면 되고, 일반적으로는 원료 알코올 2몰에 대하여 원료 폴리에틸렌글리콜을 1몰, 원료 이소시아네이트를 2몰 반응시키면 된다. 구체적인 반응 조건은, 원료 알코올과 원료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물에 원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여 60∼100℃에서 1∼10시간 반응시키는 방법이나, 원료 폴리알킬렌글리콜에 원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여, 60∼100℃에서 1∼5시간 반응시킨 후, 원료 알코올을 첨가하여 동일 온도로 1∼5시간 더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반응은 무촉매에서도 진행되지만, 촉매를 사용해도 되고,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4염화티탄, 염화하프늄, 염화지르코늄, 염화알루미늄, 염화갈륨, 염화인디움, 염화철, 염화주석, 플루오르화붕소 등의 금속 할로겐화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나트륨메틸라트, 탄산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 토류금속의 수산화물, 알코올레이트물, 탄산염; 산화알류미늄, 산화칼슘, 산화바륨, 산화나트륨 등의 금속 산화물;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디부틸주석디클로라이드, 디부틸주석옥사이드, 디부틸주석비스(2-에틸헥실티오글리코레이트) 등의 유기 금속 화합물; 옥틸산나트륨, 옥틸산칼륨, 라우린산나트륨, 라우린산칼륨 등의 비누를, 전체의 계(系)에 대하여 0.01∼1질량% 정도 사용하면 된다.
상기의 반응에 의해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지만, 반응 조건에 따라서는 일반식(1)의 m의 값이 0인 화합물이 얻어지는 경우가 있다. m의 값이 0인 화합물은 일반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지만, 이 화합물은 0∼3질량% 정도의 수량(收量)이 된다.
화합물(B)의 제조 방법은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하면 되지만, 하기의 일반식(8)∼(10)으로 표시되는 원료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10
(식 중, R10 및 R11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15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R14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p는 3∼50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1
(식 중, R12 및 R13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15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R16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q는 3∼50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2
(R15는 탄소수 3∼13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일반식(8) 및 (9)로 표시되는 원료 알코올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지만, 원료의 종류가 적을수록 취급이 용이한 점에서, 일반식(8) 및 (9)로 표시되는 원료 알코올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원료 알코올 2몰에 대하여, 일반식(10)으로 표시되는 원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0.9∼1.1몰, 바람직하게는 0.95∼1.05몰 반응시키면 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원료 알코올 2몰에 대하여 원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1몰 반응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점성 조정제 조성물은 화합물(A)과 화합물(B)의 혼합물이지만, 화합물(A)을 제조할 때, 화합물(B)이 부생물(副生物)로서 얻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해당 부생물은 많아도 3질량% 정도이므로, 본 발명의 점성 조정제 조성물을 얻으려면 화합물(B)을 별도 제조하여 제조한 화합물(A)과 혼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점성 조정제 조성물은, 화합물(A)과 화합물(B)을 중량비로 (A)/(B)=70/30∼95/5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지만, (A)/(B)=80/20∼93/7이 바람직하고, (A)/(B)=85/15∼90/10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화합물(A)을 제조할 때에 화합물(B)이 생성된 경우는, 이 양을 감안하여 상기의 비가 되도록 혼합하는 화합물(B)의 양을 결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화합물(B)은 화합물(A)에 비해 소수성이 높기 때문에, 화합물(B)의 배합 비율이 너무 많으면 에멀젼에 첨가한 후의 제품 안정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고, 화합물(B)의 배합 비율이 너무 적으면 제품 안정성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각 성분의 배합비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성 조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화합물(A) 및 화합물(B)은, 모두 실온에서 고체 혹은 점조물(粘稠物)이다. 본 발명의 점성 조정제 조성물은 에멀젼 등의 수용액에 첨가하여, 용해시켜 사용하지만, 고체나 점조물인 채이면 용해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물 등의 용매에 용해시켜 액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의 양은 특히 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점성 조정제 조성물이 10∼50질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4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사용할 수 있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의 수성 용매를 들 수 있지만, 사용 현장에 따라서는 휘발성 용매가 규제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들 중에서도 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성 조정제 조성물의 용해성을 높이기 위해서, 물과 함께 저휘발성의 알코올류를 첨가해도 된다. 이러한 알코올류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펜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펜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알코올류를 첨가하는 경우는, 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2∼50질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30질량부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은, 에멀젼 100질량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점성 조정제 조성물을 0.1∼5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2∼3질량부 함유하는 것이다. 0.1질량부 미만에서는 점성 조정제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5질량부를 초과하면, 첨가량에 알맞은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나 에멀젼에 완전하게 용해시킬 수가 없는 경우가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에멀젼은, 공지의 에멀젼이면 모두 사용할 수가 있다. 이러한 에멀젼으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계 에멀젼, 아크릴레이트계 에멀젼, 스티렌계 에멀젼, 아세트산비닐계 에멀젼, SBR(스티렌/부타디엔) 에멀젼,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에멀젼, BR(부타디엔) 에멀젼, IR(이소프렌) 에멀젼, NBR(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에멀젼, 혹은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우레탄계 에멀젼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폴리올계,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계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계 에멀젼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독,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아세트산비닐,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부타디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염화비닐리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알릴아민,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비닐피리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알킬올아미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N,N-디메틸아미노에틸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N,N-디에틸아미노에틸비닐에테르,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계, 에폭시 변성계, 우레탄 변성계 등의 유화 중합물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에멀젼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단독,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푸말니트릴, 스티렌/말레니트릴, 스티렌/시아노아크릴산에스테르, 스티렌/아세트산페닐비닐, 스티렌/클로로메틸스티렌, 스티렌/디클로로스티렌, 스티렌/비닐카바졸, 스티렌/N,N-디페닐아크릴아미드, 스티렌/메틸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메틸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비닐카바졸, 스티렌/말레산, 스티렌/(메타)아크릴산, 스티렌/(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스티렌/(메타)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스티렌/아세트산비닐 등의 유화 중합물을 들 수 있다.
아세트산비닐계 에멀젼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비닐 단독, 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 아세트산비닐/아크릴로니트릴, 아세트산비닐/말레산(에스테르), 아세트산비닐/푸말산(에스테르), 아세트산비닐/에틸렌, 아세트산비닐/프로필렌, 아세트산비닐/이소부틸렌, 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리덴, 아세트산비닐/시클로펜타디엔, 아세트산비닐/크로톤산, 아세트산비닐/아크로레인, 아세트산비닐/알킬비닐에테르 등의 유화 중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에멀젼 중에서도, 본 발명의 점성 조정제 조성물의 효과가 가장 발휘되는 것은, 상기 스티렌계 에멀젼이다. 스티렌계 에멀젼에 있어서, 수지 전체(유화 중합물)에 있어서의 스티렌의 함량은 규정되지 않지만, 수지 중에 스티렌에서 유래하는 유닛이, 통상은 20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5질량%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점성 조정제 조성물은 스티렌을 사용하지 않는 에멀젼이어도 다른 우레탄형 점성 조정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점성 조정제 조성물은, 수계 에멀젼 형태의 수계 도료, 접착제 및 점착제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점성 조정제 조성물을 수계 도료에 사용한 경우, 그 수계 도료 조성물은, 수계 도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점성 조정제 조성물을 0.1∼5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2∼3질량부 함유하는 것이다. 0.1질량부 미만에서는 점성 조정제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5질량부를 초과하면 첨가량에 알맞은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나 수계 도료에 완전하게 용해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계 도료에 사용하는 에멀젼은, 상기 에멀젼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점성 조정제 조성물을 접착제에 사용한 경우, 그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점성 조정제 조성물을 0.1∼5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2∼3질량부 함유하는 것이다. 0.1질량부 미만에서는 점성 조정제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5질량부를 초과하면, 첨가량에 알맞은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나 접착제에 완전하게 용해시킬 수가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접착제에 사용하는 에멀젼은, 상기 에멀젼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점성 조정제 조성물을 점착제에 사용한 경우, 그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점성 조정제 조성물을 0.1∼5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2∼3질량부 함유하는 것이다. 0.1질량부 미만에서는 점성 조정제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5질량부를 초과하면, 첨가량에 알맞은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나 점착제에 완전하게 용해시킬 수가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접착제에 사용하는 에멀젼은, 상기 에멀젼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조예 1)
온도계, 질소 도입관 및 교반기를 부착한 용량 1000ml의 4구 플라스크에 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6000)을 480g(0.08몰), 노닐페놀의 에틸렌옥사이드(EO) 20몰 부가물을 176g(0.16몰) 넣고, 감압하(10mmHg 이하)에서 90∼100℃에서 3시간 탈수하여, 계(系)의 수분량을 0.03%로 했다. 이어서 80℃로 냉각하여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를 26.9g(0.16몰)을 가하고 질소 기류하 80∼90℃에서 2시간 반응시켜, 적외 분광 장치(IR)로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이 0%인 것을 확인하고, 상온에서 담황색 고체의 반응 생성물 A-1을 얻었다.
(제조예 2∼5)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A-2∼A-5를 합성했다. 각 원료 및 각각의 원료 사입비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A-1∼A-3은 본 발명의 (A)성분이며, A-4 및 A-5는 비교 성분이다.
Figure pct00013
분자량 6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한 경우, 일반식(1)의 n의 값이 136인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분자량 8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한 경우, 일반식(1)의 n의 값이 181인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분자량 11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한 경우, 일반식(1)의 n의 값이 250인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제조예 6)
온도계, 질소 도입관 및 교반기를 부착한 용량 1000ml의 4구 플라스크에 노닐페놀의 에틸렌옥사이드(EO) 20몰 부가물을 176g(0.16몰) 넣고, 감압하(10mmHg 이하)에서 90∼100℃에서 3시간 탈수하여, 계의 수분량을 0.03%로 했다. 이어서 80℃로 냉각하고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를 13.4g(0.08몰)을 가하고 질소 기류하 80∼90℃에서 2시간 반응시켜, 적외 분광 장치(IR)로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이 0%인 것을 확인하고, 상온으로 담황색 고체의 반응 생성물 B-1을 얻었다.
(제조예 7∼10)
제조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B-2∼B-5를 합성했다. 각 원료 및 각각의 원료 사입비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냈다. 또한 B-1∼B-3은 본 발명의 (B)성분이며, B-4 및 B-5는 비교 성분이다.
Figure pct00014
<각 성분 배합량의 분석>
얻어진 A-1∼A-5는, 일반식(1)에 있어서의 m의 값이 상이한 혼합물이기 때문에, 하기에 나타낸 GPC 분석의 조건에 의해 각각의 분자량 분포를 분석했다. 각 성분비는 GPC 분석에 의해 얻어진 차트의 면적비에 의해 산출했다. 분석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A-4, A-5는 일반식(1)에서 표시되지 않지만, 대응하는 각 성분의 양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 컬럼: TSKgel G4000Hxl, G3000Hxl, G2000Hxl(모두 토소가부시키가이샤제)를 직렬로 접속.
용리액: THF(테트라하이드로푸란)
유량: 1ml/분
검출기: HLC-8120 GPC(RI)
샘플 농도: 0.1질량% (THF 용액)
샘플량: 200㎕
컬럼 온도: 40℃
Figure pct00015
<본 발명품의 배합>
상기의 분석값을 이용하여, 합성한 A-1∼A-5에 B-1∼B-5의 샘플을 배합하여 본 발명품 및 비교품을 제조했다. 혼합비 및 혼합 후의 각 성분의 조성을 표 4에 나타냈다. 또한 (A)성분과 (B)성분을 균일하게 혼합시키기 위해, 물 80질량부 및 2-에틸헥사놀의 에틸렌옥사이드 6몰 부가물 20질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액으로, 본 발명품 및 비교품을 각각 30질량%가 되도록 희석했다.
Figure pct00016
<안정성 시험>
에멀젼 100질량부에 대하여,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의 샘플을 각각 1.5질량부((A)성분과 (B)성분만의 양이며, 용매는 첨가량으로서 고려하지 않는다) 첨가하고, 균일하게 용해시켜 샘플 용액으로 했다. 제조 직후의 샘플 용액의 점도를 측정한 후, 샘플 용액을 밀봉 용기에 넣고, 40℃의 고온조(槽)에 5주간 방치하고, 1주간 마다 샘플 용액의 점도를 측정했다. 제품 안정성이 나쁜 것은 점도가 크게 변화한다. 점도의 변화는 하기의 식으로부터 도출되는 변화율로 나타냈다.
변화율(%)=((5주간 후의 점도-직후의 점도)/직후의 점도)×100
또한, 시험에는 이하의 3 종류의 에멀젼(에멀젼 1∼3)을 사용하고, 점도는 B8H형 점도계(로터넘버 2번)를 사용하여 5rpm, 10rpm, 50rpm의 회전 속도에서 측정했다. 각 에멀젼은 각각 고형분 40질량%로 조정되어 있다. 또한, 블랭크는 샘플을 첨가하지 않는 에멀젼만의 결과이다.
에멀젼 1: 스티렌/아크릴산부틸/메타크릴산=48/48/4(질량비)
에멀젼 2: 스티렌/메타크릴산부틸=63/37(질량비)
에멀젼 3: 메타크릴산부틸/아크릴산부틸=55/45(질량비)
비교예 6의 화합물은, 에멀젼에 첨가한 경우, 충분히 용해하지 않고 남았기 때문에,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지 않았다.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점성 조정제의 종류에 따라 직후의 점도에 차가 나고 있지만, 이에 관해서는 문제없고, 문제가 되는 것은 경시(經時)에서의 점도 변화이다. 방향환이 들어 있는 수지(에멀젼 1 및 2)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차가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 실시예의 점도는, 경시에서 다소의 변화는 있지만 최종적으로 모두 6% 이하의 변화율이다. 한편 비교예는, 경시에서 점도가 계속 저하하고, 최종적으로 모두 변화율이 10%를 초과하고 있다. 한편, 방향환이 들어 있지 않은 수지(에멀젼 3)에서는, 증점기능을 유지하면서, 실시예 및 비교예 모두 시간 경시 안정성은 양호하다. 이점에서 본 발명의 점성 조정제 조성물은 지금까지의 점성 조정제와 비교하여, 다양한 에멀젼의 점성 조정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하기의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A) 및 일반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B)을 질량비로 (A)/(B)=70/30∼95/5의 비율로 함유하는, 점성 조정제 조성물.
    Figure pct00020

    (식 중, R1∼R4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15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R5 및 R9는 각각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R6 및 R8는 각각 탄소수 3∼13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7는 에틸렌기를 나타내고, x 및 y는 0∼50의 수를 나타내고, n은 50∼500의 수를 나타내고, m은 1∼10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1

    (식 중, R10∼R13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15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R14 및 R16는 각각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R15는 탄소수 3∼13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p 및 q는 3∼50의 수를 나타낸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의 R6, R8 및 일반식(2)의 R15가 모두 탄소수 3∼13의 알킬렌기인, 점성 조정제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일반식(1)의 R1 및 R3 및 일반식(2)의 R10 및 R12가 모두 탄소수 6∼15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인, 점성 조정제 조성물.
  4. 에멀젼 100질량부에 대하여,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성 조정제 조성물을 0.1∼5질량부 함유하는, 에멀젼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이 스티렌에서 유래하는 유닛을 적어도 20질량%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
  6. 수계 도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성 조정제 조성물을 0.1∼5질량부 함유하는, 수계 도료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계 도료가 스티렌에서 유래하는 유닛을 적어도 20질량%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
KR1020167020888A 2014-02-03 2015-02-02 점성 조정제 조성물 KR102256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18529 2014-02-03
JPJP-P-2014-018529 2014-02-03
PCT/JP2015/052793 WO2015115634A1 (ja) 2014-02-03 2015-02-02 粘性調整剤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253A true KR20160118253A (ko) 2016-10-11
KR102256738B1 KR102256738B1 (ko) 2021-05-25

Family

ID=5375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888A KR102256738B1 (ko) 2014-02-03 2015-02-02 점성 조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82149B2 (ko)
EP (1) EP3103850B1 (ko)
JP (1) JP6438415B2 (ko)
KR (1) KR102256738B1 (ko)
CN (1) CN105940075B (ko)
SG (1) SG11201606310PA (ko)
TW (1) TWI632232B (ko)
WO (1) WO20151156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456A1 (ja) * 2018-10-05 2020-04-09 日本曹達株式会社 接着性組成物
FR3112777B1 (fr) * 2020-07-27 2024-02-09 Coatex Sas Composé diuréthane modificateur de rhéologie
WO2023228793A1 (ja) * 2022-05-26 2023-11-30 株式会社Adeka 疎水変性ポリエーテルウレタンポリマー、粘性調整剤、水系組成物及び水系組成物にチキソトロピー性を付与する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1767A (ja) 1995-09-06 1997-03-18 Asahi Denka Kogyo Kk 粘性調整剤
JPH10245541A (ja) 1997-03-04 1998-09-14 Asahi Denka Kogyo Kk 粘性調整剤
JPH11508631A (ja) 1995-06-30 1999-07-27 ヘンケル・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エン 液体型増粘剤の製造
JP2002069430A (ja) * 2000-08-28 2002-03-08 Asahi Denka Kogyo Kk 増粘、粘性調整剤
JP2013122011A (ja) * 2011-12-12 2013-06-20 Adeka Corp 粘性調整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エマルション樹脂組成物または水系塗料組成物
JP2013227367A (ja) 2012-04-24 2013-11-07 Adeka Corp 粘度低下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5700B2 (ja) 1991-06-28 1998-02-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WO1993009187A1 (en) * 1991-10-31 1993-05-1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Dispersant treated pigments
JPH0967563A (ja) * 1995-09-01 1997-03-11 Asahi Denka Kogyo Kk 粘性調整剤
KR100613969B1 (ko) * 1998-12-17 2006-08-18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화장료 조성물
JP2001303461A (ja) * 2000-04-28 2001-10-31 Asahi Denka Kogyo Kk 捺染糊用増粘剤および捺染糊用増粘剤を含有した捺染糊用組成物
JP2002226542A (ja) * 2001-01-30 2002-08-14 Asahi Denka Kogyo Kk 増粘、粘性調整剤
CN100343442C (zh) * 2001-10-11 2007-10-17 株式会社Adeka 氨基甲酸酯系增粘剂作为印染浆用增粘剂的应用
ES2392144T3 (es) * 2010-02-25 2012-12-05 Cognis Ip Management Gmbh Espesantes a base de poliuretano
NO333089B1 (no) * 2011-07-11 2013-02-25 Elkem As Oljebrønnborevæsker, oljebrønnsementsammensetning og slurry av vektmaterial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8631A (ja) 1995-06-30 1999-07-27 ヘンケル・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エン 液体型増粘剤の製造
JPH0971767A (ja) 1995-09-06 1997-03-18 Asahi Denka Kogyo Kk 粘性調整剤
JPH10245541A (ja) 1997-03-04 1998-09-14 Asahi Denka Kogyo Kk 粘性調整剤
JP2002069430A (ja) * 2000-08-28 2002-03-08 Asahi Denka Kogyo Kk 増粘、粘性調整剤
JP4650967B2 (ja) * 2000-08-28 2011-03-16 株式会社Adeka 増粘、粘性調整剤を含有する水系メタリックベース塗料組成物
JP2013122011A (ja) * 2011-12-12 2013-06-20 Adeka Corp 粘性調整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エマルション樹脂組成物または水系塗料組成物
JP2013227367A (ja) 2012-04-24 2013-11-07 Adeka Corp 粘度低下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74908A1 (en) 2017-06-22
CN105940075A (zh) 2016-09-14
TWI632232B (zh) 2018-08-11
CN105940075B (zh) 2018-05-04
US9982149B2 (en) 2018-05-29
EP3103850A1 (en) 2016-12-14
JP6438415B2 (ja) 2018-12-12
TW201538695A (zh) 2015-10-16
SG11201606310PA (en) 2016-09-29
KR102256738B1 (ko) 2021-05-25
EP3103850B1 (en) 2018-06-06
EP3103850A4 (en) 2017-10-18
WO2015115634A1 (ja) 2015-08-06
JPWO2015115634A1 (ja)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7930A (zh) 具有在酯交换条件下具有反应性的基团的酯化合物的催化酯交换
KR20160118253A (ko) 점성 조정제 조성물
AU2016222474B2 (en) Pigmented paint formulation with a phosphorus acid functionalized latex binder and an associative thickener
CN105884666A (zh) 新型链转移剂以及使用该链转移剂的乳液聚合
JP2007332376A (ja) 新規ポリウレタンおよび水性システムを増粘するためのそれらの使用
CN106543848A (zh) 具有磷酸官能化胶乳粘合剂和缔合型增稠剂的色漆配制品
JP2000344883A (ja) 重合性ポリオキシアルキレンモノアルキルエーテル誘導体、該誘導体の重合体及び該重合体を含有する分散剤
JP5536314B2 (ja) 粘性調整剤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水溶液の粘性調整方法及びゲルの調整方法
JP3581450B2 (ja) エマルション塗料組成物
KR100439083B1 (ko) 증점제 조성물
JP2000303056A (ja) 増粘剤組成物
JP5996184B2 (ja) 粘性調整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エマルション樹脂組成物または水系塗料組成物
JP2013227367A (ja) 粘度低下剤組成物
KR102092992B1 (ko) 점성조정제 및 그를 함유하는 에멀젼 수지 조성물 또는 수계 도료 조성물
US8586063B2 (en) Thickeners
JP3783745B2 (ja) 粘性調整剤
JP4561572B2 (ja) ポリサルファイド硬化性組成物
JP2003292937A (ja) 増粘剤組成物
JP2021138902A (ja) 増粘剤、これを含有する水系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水系塗料組成物
JP5306965B2 (ja) 新規ポリウレタン及びそれを用いた乳化剤
JP2006124210A (ja) セメント組成物用添加剤
JP2002265779A (ja) 増粘剤組成物およびアクリル系エマルション型粘着剤組成物
JP2010209156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