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679A - 에어백용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백용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679A
KR20160116679A KR1020150044808A KR20150044808A KR20160116679A KR 20160116679 A KR20160116679 A KR 20160116679A KR 1020150044808 A KR1020150044808 A KR 1020150044808A KR 20150044808 A KR20150044808 A KR 20150044808A KR 20160116679 A KR20160116679 A KR 20160116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eight
prepolymer
polyurethane resi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7762B1 (ko
Inventor
정경아
양정한
김덕한
오경석
한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스
Priority to KR1020150044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762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4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04Manufacture of polymers containing ionic or ionogenic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90Applications
    • C08G2261/93Applications in textiles, fabrics and yar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55/00Characteristics of bituminous mixtures
    • C08L2555/30Environmental or health characteristics, e.g. energy consumption, recycling or safety issu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용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는 (a) 소수성 폴리올 50 ~ 70중량부, 쇄연장제 1.5 ~ 3.5중량부,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산(DMPA) 1.5 ~ 2.5중량부, 1,3-비스(1-아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벤젠(TMXDI) 25 ~ 35중량부로 구성되는 이온성 프리폴리머 60 ~ 100중량부; (b) 수평균분자량 500 ~ 1,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60 ~ 90중량부와 1,3-비스(1-아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벤젠(TMXDI) 40 ~ 10중량부로 구성되는 비이온성 프리폴리머 0 ~ 40중량부; (c) 에틸렌디아민 및 하이드라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아민계 쇄연장제 1 ~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방법은 소수성 폴리올과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산, 쇄연장제, 1,3-비스(1-아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벤젠을 넣고 90℃까지 승온시키는 과정, 디부틸주석디라우르산(DBTDL)을 넣고 120℃까지 승온시키는 과정 및 60℃까지 냉각 후 트리에틸아민을 넣고 중화시키는 과정으로 이온성 프리폴리머를 제조하는 단계; 친수성 폴리올과 1,3-비스(1-아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벤젠을 넣고 90℃까지 승온시키는 과정 및 디부틸주석디라우르산(DBTDL)을 넣고 120℃까지 승온 시키는 과정으로 비이온성 프리폴리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각각 제조된 이온성 프리폴리머와 비이온성 프리폴리머를 혼합하고 20 ~ 30℃의 탈이온수에서 10 ~ 30분 동안 고속교반을 통하여 분산시킨 후 아민계 쇄연장제를 투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는 제조공정 중 유기용매 및 수용성 용매(acetone, MEK, NMP)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 제조되기 때문에 환경오염 및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게 되며, 또한 소수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이온성 프리폴리머를 단독 사용하거나 혹은 비이온성 프리폴리머와 혼합하여 분산하는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우수한 분산성을 가지면서도 에어백과 같은 섬유원단에 적용시 충분한 유연성과 강인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는 이온성 프리폴리머와 비이온성 프리폴리머를 혼합한 뒤 이를 물에 분산하고 사슬연장제를 이용한 사슬연장공정을 실시하여 블록코폴리머 형태의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함으로써 기존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에 비해 비교적 높은 분자량을 가지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합성할 수 있어 공기차단성 및 내가수분해성, 굴곡마찰, 유연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에어백용 원단은 물론 분산 안전성, 코팅성, 신축성, 반발탄성 및 낮은 공기투과도 등의 특성이 요구되는 각종 섬유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에어백용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 및 그 제조방법{WATER-DISPERSIVE POLYCARBONATE POLYURETHANE RESIN FOR AN AIR-BAG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에어백용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이온기를 함유한 소수성 프리폴리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비이온성 프리폴리머와 혼합하여 분산하는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우수한 분산성을 가지면서도 에어백과 같은 섬유원단에 적용시 충분한 유연성과 강인성을 보이는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에어백용 직물 코팅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환경규제에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공정 중 소량의 유기용매 및 수용성 용매(acetone, MEK, NMP) 등을 적용시켜 제조되기 때문에 수지 제조 후에 유기용매를 회수하는 제조과정을 거침으로써 제품에 소량의 유기용매 및 NMP(고비점 용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 제조공정상의 환경오염 및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의 경우 제조과정 중에 점도의 상승 등으로 무용제 타입의 제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수분산 폴리우레탄 제조시 분산성과 기계적 물성에 대한 각각의 장점을 가지는 이온성 프리폴리머와 비이온성 프리폴리머를 혼합한 후에 이를 물에 분산하고 사슬연장제를 이용한 사슬연장공정을 실시하여 블록코폴리머 형태의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보다 비교적 높은 분자량을 가지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합성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통상적인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제조공정(프리폴리머법)은 폴리올, 분산제(이온화제), 중화제, 프리폴리머의 사슬연장제, 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여 고온에서 프리폴리머의 중합을 실시하여 프리폴리머를 제조한 후, 고속교반 중인 물에 중합된 프리폴리머 투입하여 프리폴리머의 분산을 실시하고, 사슬연장제의 투입을 통하여 분산된 프리폴리머의 중합반응을 통해 분자량을 조정함으로써 사슬연장을 통한 적정 분자량의 수분산 폴리머를 합성하게 된다.
그러나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폴리카프로락탐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경우에는 내화학성, 내열성, 내마찰성, 강성, 내후성 등이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하지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은 내화학성, 내열성, 내마찰성, 강성, 내후성 등이 매우 우수한 폴리우레탄 수지로서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의 경우에는 제조과정 중에 점도의 상승 등으로 무용제 타입의 제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즉, 현재 수분산형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은 우수한 물성을 가지지만, 소재 특유의 수소결합 특성으로 인하여 다른 폴리올들과 비교하여 제조과정 중에 점도가 쉽게 증대되기 때문에 무용제 타입의 제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TMXDI[1,3-비스(1-아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벤젠]의 적용을 통해 비교적 저점도의 무용제 타입의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가 가능해 졌으나, 여전히 분산성과 기계적 물성에 상당한 단점이 확인되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로, 일반적인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의 경우에는 크게 이온성 수지와 비이온성 수지로 나눌 수 있으며, 비이온성은 입자 안정성은 좋으나, 기계적 성질, 필름 형성능 및 접착력 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이 이온성 작용기를 지닌 수분산 폴리우레탄보다 좋지 못하기 때문에 기계적 성능의 유지를 위해 이온성 작용기를 가진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주로 사용하며, 이온성 작용기를 가진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도 분자량이 높을수록 분산시 안정성이 떨어져 고점도(고분자량)의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성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용제형 일반 폴리우레탄에 비해 가공성 및 코팅성, 신축성, 반발탄성의 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러한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는 제한적인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주로 자동차 에어백 직물에 대한 코팅액으로 사용하기 위한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에 관한 것으로, 에어백의 사용은 운전자 및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전면 에어백 이외의 여러 곳으로 확대되어 왔으며, 측면 에어백 및 팽창성 커튼은 현재 측면 충돌 또는 전복으로부터 보호를 증진시키기 위해 자동차의 측면 구획에 설치된다. 이러한 에어백의 확대 적용은 에어백이 나타내는 물리적 특성에 대한 새로운 요구조건을 발생시키며, 특히 에어백의 향상된 공기보유성능은 에어백이 팽창을 유지하고 전개시 장시간 동안 이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존의 에어백은 일반적으로 실리콘을 이용하여 코팅을 함으로써 실리콘 코팅이 야드 당 약 0.7온스 이상 사용되기 때문에 중량이 무거워지며, 그로 인하여 부피가 커져 사이드 에어백 등과 같은 컴팩트한 제품에는 사용상의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내부 VOC 문제 등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유기용매 베이스의 폴리우레탄 수지와 비교하여 동등 수준 이상의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를 개발하고자 하며, 이는 입자 안전성과 코팅성, 신축성, 반발탄성 및 낮은 공기투과도 등과 같은 우수한 물리적 특성과 더불어 탁월한 가공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68475호에서는 쇄연장 방법을 통해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분자량 및 접착력을 증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30℃ 이상의 녹는점을 가지는 결정성 폴리올이 30이상 함유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디메틸올 프로피온산 및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카르복실기 단말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형 전중합체를 제조한 다음, 상기 전중합체를 냉각시키고 여기에 카르복실기 당량의 3급 아민을 가하여 중화시킨 다음, 물을 가해 분산시키고 쇄연장제로 쇄연장한다. 이와 같이 쇄연장 방법을 통해 분자량을 증대시키는 경우, 쇄연장제의 첨가량을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적정 분자량이나 접착력을 얻을 수 있으며, 그로부터 얻어진 폴리우레탄은 수분산형으로서 안전성이 우수하고 초기 및 상태접착력, 내열성이 우수한 접착제로 사용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유럽공개특허공보 EP 1 426 391 A1(벨기에, UCB, S.A.)에서는 기본적으로 비이온성 친수성 그룹을 가지지 않고 이온성 친수성 그룹을 함유하는 친수성 NCO-말단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PPA), 및 기본적으로 이온성 친수성 그룹을 가지지 않고 비이온성 친수성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 선택적으로 단쇄 폴리올과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비이온성 친수성 그룹을 함유하는 친수성 NCO-말단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PPB)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체인연장과정으로 제조되어 얻어지는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친수성 폴리올만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용제형 폴리우레탄에 비해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7057호(미국,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는 실리콘 성분과 폴리우레탄 성분과의 반응 생성물로부터 수득된 피복제로 피복된 직물을 제공하며, 수성 실리콘 에멀젼으로부터 유도된 실리콘 성분과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우레탄 성분과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피복 조성물로 피복되는 피복 직물은 특히 자동차용 에어백을 제조하는데 유용하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가교결합된 엘라스토머 수지 코팅을 에어백 직물에 적용되는 경우에 우수한 공기 보유능 및 가스 보유성을 나타내지만, 실리콘수지를 사용함에 따른 중량 및 부피 증가 등으로 인한 문제점을 개선하기에는 미흡한 것으로 인식된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32777호는 물리, 화학적 성질이 우수한 친환경성 수분산 PC/PU 폴리우레탄 수지에 관한 것으로, 유기용매를 전혀 함유하고 있지 않으며,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로서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과 폴리에테르/폴리카보네이트 디올을 중합시킨 중합조성물로서, 전체 첨가제 조성물에 대하여 약 40중량%의 고형분을 지니고 있고 미량의 수용성 용매나 유기용제를 전혀 함유하지 않는 화합물로서 금속촉매와 같은 촉매를 사용하지 않는 환경친화적인 폴리우레탄 수지를 개시하고 있다. 또 상기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첨가제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또는 폴리에테르디올과 수분산시 친수기를 부여하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디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를 반응조에 투입하여 온도를 80-100℃까지 승온시키면서 교반하고, 80-100℃에서 약 2-3시간을 반응시킨 후에 물에 강제 분산시킨 후에 아민계 장쇄연장반응을 실시하며, 상기 반응을 마친 반응조의 30℃에서 12시간 숙성하여 반응을 종결시켜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지된 방법에 의한 기술은 모두 수성 또는 수분산성으로 친환경적인 기능을 어느 정도 달성할 수는 있겠지만, 본 발명은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제조시 분산성과 기계적 물성에 대하여 각각 장점을 가지는 이온기를 함유한 소수성 프리폴리머, 선택적으로 비이온성 프리폴리머를 혼합한 후 이를 물에 분산하고 사슬연장제를 이용한 사슬연장공정을 실시하여 블록코폴리머 형태의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함으로써 기존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에 비해 비교적 높은 분자량을 가지는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를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68475호(공개일자 : 2001. 07. 23) 유럽공개특허공보 EP 1 426 391 A1(공개일자 : 2004. 06. 0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7057호(공개일자 : 2006. 01. 2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32777호(공개일자 : 2006. 12. 22)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소수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이온성 프리폴리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비이온성 프리폴리머와 혼합하여 분산하는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우수한 분산성을 가지면서도 에어백과 같은 섬유원단에 적용시 충분한 유연성과 강인성을 갖는 에어백용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는, (a) 소수성 폴리올 50 ~ 70중량부, 쇄연장제 1.5 ~ 3.5중량부,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산(DMPA) 1.5 ~ 2.5중량부, 1,3-비스(1-아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벤젠(TMXDI) 25 ~ 35중량부로 구성되는 이온성 프리폴리머 60 ~ 100중량부; (b) 수평균분자량 500 ~ 1,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60 ~ 90중량부와 1,3-비스(1-아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벤젠(TMXDI) 40 ~ 10중량부로 구성되는 비이온성 프리폴리머 0 ~ 40중량부; (c) 에틸렌디아민 및 하이드라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아민계 쇄연장제 1 ~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온성 프리폴리머에 사용되는 소수성 폴리올은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PCD)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폴리올로서 수평균분자량 1,000 ~ 3,000이며, 상기 이온성 프리폴리머에 사용되는 쇄연장제는 1,3부탄다이올, 1,4부탄다이올,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로프로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폴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온성 프리폴리머와 비이온성 프리폴리머의 OH/NCO 비율은 1.0 ~ 0.6의 값을 가지게 되며, 상기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는 고형분 함량 30 ~ 60%, 점도 7,000 ~ 12,000CPS(25℃)의 범위를 갖는다.
또한, 상기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방법은, 소수성 폴리올과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산, 쇄연장제, 1,3-비스(1-아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벤젠을 넣고 90℃까지 승온시키는 과정, 디부틸주석디라우르산(DBTDL)을 넣고 120℃까지 승온시키는 과정 및 60℃까지 냉각 후 트리에틸아민을 넣고 중화시키는 과정으로 이온성 프리폴리머를 제조하는 단계; 친수성 폴리올과 1,3-비스(1-아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벤젠을 넣고 90℃까지 승온시키는 과정 및 디부틸주석디라우르산(DBTDL)을 넣고 120℃까지 승온 시키는 과정으로 비이온성 프리폴리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각각 제조된 이온성 프리폴리머와 비이온성 프리폴리머를 혼합하고 20 ~ 30℃의 탈이온수에서 10 ~ 30분 동안 고속교반을 통하여 분산시킨 후 아민계 쇄연장제를 투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는 제조공정 중 유기용매 및 수용성 용매(acetone, MEK, NMP)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 제조되기 때문에 환경오염 및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게 되며, 또한 소수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이온성 프리폴리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비이온성 프리폴리머와 혼합하여 분산하는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우수한 분산성을 가지면서도 에어백과 같은 섬유원단에 적용시 충분한 유연성과 강인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는 이온성 프리폴리머와 비이온성 프리폴리머를 혼합한 후 이를 물에 분산하고 사슬연장제를 이용한 사슬연장공정을 실시하여 블록코폴리머 형태의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함으로써 기존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에 비해 비교적 높은 분자량을 가지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합성할 수 있어 공기차단성 및 내가수분해성, 굴곡마찰, 유연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에어백용 원단은 물론 분산 안전성, 코팅성, 신축성, 반발탄성 및 낮은 공기투과도 등의 특성이 요구되는 각종 섬유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는 (a) 소수성 폴리올 50 ~ 70중량부, 쇄연장제 1.5 ~ 3.5중량부,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산(DMPA) 1.5 ~ 2.5중량부, 1,3-비스(1-아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벤젠(TMXDI) 25 ~ 35중량부로 구성되는 이온성 프리폴리머 60 ~ 100중량부; (b) 중량평균분자량 500 ~ 1,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60 ~ 90중량부와 1,3-비스(1-아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벤젠(TMXDI) 40 ~ 10중량부로 구성되는 비이온성 프리폴리머 0 ~ 40중량부; (c) 에틸렌디아민 및 하이드라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아민계 쇄연장제 1 ~ 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먼저, 이온성 프리폴리머를 제조하는 단계는 소수성 폴리올과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산, 쇄연장제, 1,3-비스(1-아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벤젠을 넣고 90℃까지 승온시키는 과정, 디부틸주석디라우르산(DBTDL)을 넣고 120℃까지 승온시키는 과정 및 60℃까지 냉각 후 트리에틸아민을 넣고 중화시키는 과정으로 실시하며, 이와는 별도로 비이온성 프리폴리머를 제조하는 단계는 친수성 폴리올과 1,3-비스(1-아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벤젠을 넣고 90℃까지 승온시키는 과정 및 디부틸주석디라우르산(DBTDL)을 넣고 120℃까지 승온시키는 과정으로 실시한다.
이때, 상기 이온성 프리폴리머에 사용되는 소수성 폴리올은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PCD)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폴리올로서 수평균분자량 1,000 ~ 3,000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상기 쇄연장제는 그 구체적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서는 수많은 실험을 거듭한 결과, 1,3부탄다이올, 1,4부탄다이올,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로프로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이온성 프리폴리머와 비이온성 프리폴리머의 OH/NCO 비율은 1.0 ~ 0.6의 값을 가지게 되는바, 상기 폴리올(Polyol)은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와 함께 반응하여 폴리우레탄(PU)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활성수소화합물로서 분자 중에 하이드록실기, 카르복실기, 아민기 등의 활성수소기를 2개 이상 가진 것을 말하며, 이들 폴리올은 그 분자량에 따라 사용용도가 구분되는데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e), 부탄디올(Butanediol), 트리메틸올 프로판(Trimethylol propane) 등과 저분자량 폴리올은 쇄연장제 또는 가교제로 사용되며, 평균분자량 8000까지의 고분자량 폴리올은 실제 PU의 제조용으로 사용된다. 폴리올의 구조는 최종 PU제품의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올(Polyether polyol)의 경우에는 제조시 사용되는 출발물질, 에폭사이드(Epoxide)의 종류 그리고 폴리올 사슬의 분자량, 사슬 내 에폭사이드의 종류, 함량, 비율 및 분포 상태 등이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폴리올은 분자구조, 분자량, 작용기(functionality) 그리고 OH-value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있으며, PU의 물성에 있어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은 에스테르 구조가 갖는 높은 강도로 인해 선호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해 제조한 발포체(foam)의 물성을 연구한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폴리올은 작용기가 크고 점도가 낮고 가격이 저렴할수록 우수하며, 근래에는 이와 같은 폴리올을 합성하는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아민계 쇄연장제를 투입하는 단계는 상기와 같이 각각 제조된 이온성 프리폴리머와 비이온성 프리폴리머를 혼합하고 20 ~ 30℃의 탈이온수에서 10 ~ 30분 동안 고속교반을 통하여 분산시킨 후 아민계 쇄연장제를 투입하는데, 상기 아민계 쇄연장제는 에틸렌디아민 및 하이드라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고점도, 고분자량의 우레탄 수지의 중합이 가능하여 에어백에 대하여 우수한 도막 특성을 가지면서도 양호한 분산성을 가지는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는 DMPA와 같은 이온도입기를 사용하지 않은 비이온성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와 이온성 프리폴리머를 각각 합성한 후 이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고 분산 및 쇄연장 반응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온성 프리폴리머는 유화제 역할을 하여 이온도입기를 함유하지 않은 비이온성 프리폴리머를 물에 유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유연성 저하에 원인이 되는 이온도입기(DMPA)의 사용량을 줄이고 이온성 프리폴리머가 가진 단점인 분산 안정성과 비이온성 프리폴리머가 가진 단점인 기계적 물성 저하의 상호 보완이 가능한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며, 또 기존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에 비해 고점도, 고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는 고형분 함량 30 ~ 60%, 점도 7,000 ~ 12,000CPS(25℃ 기준)의 범위를 갖게 되는데, 상기 고점도, 고분자량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는 일반적으로 코팅성, 신축성, 반발탄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높은 점도의 수분산형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기존의 섬유 코팅공정에서 공정조건을 맞추기 위해 증점제 또는 물을 사용하여 수지의 점도를 조정하는 공정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가공성이 향상되는 추가적인 장점도 발휘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를 실험한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하되, 이하에서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을 정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 프리폴리머의 합성
이온성 프리폴리머A : 4구 1L 반응기에 폴리카보네이트디올1000(PCDL1000/250g)과 1,3부탄다이올(1,3BD/6.55g),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산(DMPA/5.1g), 1,3-비스(1-아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벤젠(TMXDI/97.72g)을 넣고 90℃에서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교반하여 준다. 이후 디부틸주석디라우르산(DBTDL)을 넣고 120℃에서 3 ~ 4hr 동안 반응시킨 다음 60℃로 냉각시킨 후 트리에틸아민(TEA/3.66)를 부가하여 준다.
비이온성 프리폴리머B : 4구 1L 반응기에 폴리에틸렌글리콜600(PEG600/150g)과 1,3-비스(1-아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벤젠(TMXDI/74g)을 넣고 90℃에서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교반하여 준다. 이후 디부틸주석디라우르산(DBTDL)을 넣고 120℃에서 3 ~ 4hr 동안 반응시킨 다음 60℃로 냉각시킨다.
- 분산 및 사슬 연장
상기와 같이 준비된 프리폴리머A와 프리폴리머B를 혼합시킨 후 미리 준비된 탈이온수 1,300g (25℃)에 천천히 부가하여 준다. 이때 온도는 최대 30℃를 넘지 않도록 하고 시간은 30분 이내로 하며, 이후 에틸렌디아민 2.5g을 탈이온수 65g에 희석시켜 부가하여 준다. 그 결과, 고형분 함량 30%, 점도 10,000CPS/25℃의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를 얻었다.
- 프리폴리머의 합성
4구 1L 반응기에 폴리카보네이트디올1000(PCDL1000/350g)과 1,4부탄다이올(1,4BD/8.06g),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산(DMPA/5.1g), 1,3-비스(1-아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벤젠(TMXDI/97.72g)를 넣고 90℃에서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교반하여 준다. 이후 디부틸주석디라우르산(DBTDL)을 넣고 120℃에서 3~4hr 동안 반응시킨 다음 60℃로 냉각시킨다.
- 분산 및 사슬 연장
1,000g의 탈이온수에 트리에틸아민(TEA/3.66g)을 부가하고 25℃로 냉각시킨 후 준비된 프리폴리머를 천천히 부가하여 준다. 이때 온도는 최대 30℃를 넘지 않도록 하고 시간은 30분 이내로 하며, 이후 하이드라진 1.4g을 탈이온수 80g에 희석시켜 부가하여 준다. 그 결과, 고형분 함량 30%, 점도 8,000CPS/25℃의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를 얻었다.
- 프리폴리머의 합성
4구 1L 반응기에 폴리카보네이트디올2000(PCDL2000/200g)과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2000/100g)1,3부탄다이올(1,3BD/0.07g),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산(DMPA/11.94g), 1,3-비스(1-아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벤젠(TMXDI/94.69g)를 넣고 90℃에서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교반하여 준다. 이후 디부틸주석디라우르산(DBTDL)을 넣고 120℃에서 3 ~ 4hr 동안 반응시킨 다음 60℃로 냉각시킨다.
- 분산 및 사슬연장
254.2g의 탈이온수에 트리에틸아민(TEA/8.57g)을 부가하고 25℃로 냉각시킨 후 준비된 프리폴리머를 천천히 부가하여 준다. 이때 온도는 최대 30℃를 넘지 않도록 하고 시간은 30분 이내로 한다. 이후 에틸렌디아민 0.16g을 탈이온수 3g에 희석시켜 부가하여 준다. 그 결과, 고형분 함량 35%, 점도 12,000CPS/25℃의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를 얻었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와 비교예로서 일반 유기용매형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코팅실험의 성능을 측정한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항목(사전 시험) Standard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
코팅중량(g/㎡) 25± 5 15 28 30 21
두께(㎜) (0.33) 0.29 0.32 0.29 0.39
인장강도(N/5㎝) 경사 Min 3000 3000 3532 3173 3670
위사 2986 3637 3157 -
신율(%) 경사 35± 10 32 36 34 44
위사 28 32 31 -
에지코움 저항력(N) 경사 Min 250 303 562 1281 -
위사 306 525 1209 -
유연성(N) 경사 Max 15 5.0 4.5 7.3 19
위사 5.4 3.1 6.3 17.5
인열강도(N) 경사 Min 200 290 171 252 139
위사 288 182 276 129
공기투과율(l/dm2/min) Max 2.0 0.04 0.35 0.04 0.04
굴곡 마찰(Strokes) 경사 Min 600 1000 600 1000 300
위사 1000 600 1000 300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는 소수성 폴리올을 함유하는 이온성 프리폴리머를 단독 또는 비이온성 프리폴리머와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인장강도, 신율, 에지코움 저항력, 유연성, 인열강도, 공기투과율, 굴곡 마찰강도 등 모든 측정항목에서 에어백용 코팅제품의 품질 표준치를 충족하고 있으며, 아울러 일반 유기용매형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비교예의 실험 결과에 비해 월등하게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각종 에어백용 소재는 물론, 분산 안전성, 코팅성, 신축성, 반발탄성 및 낮은 공기투과도 등의 특성이 요구되는 각종 섬유제품의 기능성 소재로서 다양한 용도와 형태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Claims (6)

  1. (a) 소수성 폴리올 50 ~ 70중량부, 쇄연장제 1.5 ~ 3.5중량부,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산(DMPA) 1.5 ~ 2.5중량부, 1,3-비스(1-아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벤젠(TMXDI) 25 ~ 35중량부로 구성되는 이온성 프리폴리머 60 ~ 100중량부;
    (b) 수평균분자량 500 ~ 1,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60 ~ 90중량부와 1,3-비스(1-아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벤젠(TMXDI) 40 ~ 10중량부로 구성되는 비이온성 프리폴리머 0 ~ 40중량부;
    (c) 에틸렌디아민 및 하이드라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아민계 쇄연장제 1 ~ 10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프리폴리머에 사용되는 소수성 폴리올은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PCD)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폴리올로서 수평균분자량 1,000 ~ 3,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프리폴리머에 사용되는 쇄연장제는 1,3부탄다이올, 1,4부탄다이올,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로프로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폴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프리폴리머와 비이온성 프리폴리머의 OH/NCO 비율은 1.0 ~ 0.6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는 고형분 함량 30 ~ 60%, 점도 7,000 ~ 12,000CPS(25℃)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소수성 폴리올과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산, 쇄연장제, 1,3-비스(1-아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벤젠을 넣고 90℃까지 승온시키는 과정, 디부틸주석디라우르산(DBTDL)을 넣고 120℃까지 승온시키는 과정 및 60℃까지 냉각 후 트리에틸아민을 넣고 중화시키는 과정으로 이온성 프리폴리머를 제조하는 단계;
    친수성 폴리올과 1,3-비스(1-아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벤젠을 넣고 90℃까지 승온시키는 과정 및 디부틸주석디라우르산(DBTDL)을 넣고 120℃까지 승온시키는 과정으로 비이온성 프리폴리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각각 제조된 이온성 프리폴리머와 비이온성 프리폴리머를 혼합하고 20 ~ 30℃의 탈이온수에서 10 ~ 30분 동안 고속교반을 통하여 분산시킨 후 아민계 쇄연장제를 투입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방법.

KR1020150044808A 2015-03-31 2015-03-31 에어백용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737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808A KR101737762B1 (ko) 2015-03-31 2015-03-31 에어백용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808A KR101737762B1 (ko) 2015-03-31 2015-03-31 에어백용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679A true KR20160116679A (ko) 2016-10-10
KR101737762B1 KR101737762B1 (ko) 2017-05-19

Family

ID=5714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808A KR101737762B1 (ko) 2015-03-31 2015-03-31 에어백용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7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538A (ko) * 2017-03-29 2018-10-10 주식회사 빅스 텍스타일 스킨 코팅용 친수성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친수성 필름의 제조방법
CN114106288A (zh) * 2021-11-04 2022-03-01 江南大学 一种水性聚氨酯分散剂的制备方法及其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475A (ko) 2000-01-06 2001-07-23 김중현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
EP1426391A1 (en) 2002-12-07 2004-06-09 Ucb, S.A. Aqueous polyurethane dispersions and their use for preparation of coatings that are permeable to water vapor
KR20060007057A (ko) 2003-06-04 2006-01-23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실리콘/폴리우레탄 피복된 직물
KR20060132777A (ko) 2006-12-04 2006-12-22 현대하이켐(주)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2195A (ja) 2005-09-27 2007-04-12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繊維積層体表皮層用水系樹脂組成物、繊維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合成皮革
KR100793259B1 (ko) 2006-12-29 2008-01-10 (주)디피아이 홀딩스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475A (ko) 2000-01-06 2001-07-23 김중현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
EP1426391A1 (en) 2002-12-07 2004-06-09 Ucb, S.A. Aqueous polyurethane dispersions and their use for preparation of coatings that are permeable to water vapor
KR20060007057A (ko) 2003-06-04 2006-01-23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실리콘/폴리우레탄 피복된 직물
KR20060132777A (ko) 2006-12-04 2006-12-22 현대하이켐(주)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538A (ko) * 2017-03-29 2018-10-10 주식회사 빅스 텍스타일 스킨 코팅용 친수성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친수성 필름의 제조방법
CN114106288A (zh) * 2021-11-04 2022-03-01 江南大学 一种水性聚氨酯分散剂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14106288B (zh) * 2021-11-04 2022-12-06 江南大学 一种水性聚氨酯分散剂的制备方法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762B1 (ko) 2017-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8659B1 (en) Polyurethane dispersion an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KR101939978B1 (ko) 텍스타일 스킨 코팅용 친수성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친수성 필름의 제조방법
RU2418813C2 (ru) Форполимеры, полученные из гидроксиметилсодержащих полиэфирполиолов на основе сложного эфира, полученных из жирных кислот
JP2018062670A (ja) 水性ポリアミド−尿素分散物
JP4027919B2 (ja) 芳香族−脂肪族イソシアネートがハイブリッドされた水分散ポリウレタン−ウレアの製造方法
EP3564322A1 (en) Carboxyl-group-containing aqueous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carbodiimide compound
KR101369334B1 (ko) 습식 폴리우레탄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23093A (ko)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무용제형 수성 폴리우레탄 에멀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용제형 수성 폴리우레탄 에멀젼
KR101638773B1 (ko) 방사선 차폐시트용 친환경 고고형분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69046B1 (ko) 낮은 이온 함량 및 높은 고형분 함량을 갖는 수분산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방법
KR100812635B1 (ko)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
KR101737762B1 (ko) 에어백용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313713B1 (ko) 내수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분산 접착제
KR101790486B1 (ko) 텍스타일 코팅용 친수성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및 그 제조방법
CN113584898A (zh) 一种汽车座椅用硅胶皮革及其制备方法
KR101184216B1 (ko) 내스크래치 난연성이 개선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 조성물
CN115160534A (zh) 水性聚氨酯
JP2006306943A (ja) 水性ウレタン樹脂の製造方法
KR101754482B1 (ko) 폴리우레탄계 복합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29628B1 (ko)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수분산 폴리우레탄 코팅제 제조방법
EP4017891B1 (en) A preparation comprising thermoplastic polyisocyanate polyaddition product,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the use thereof
KR102161434B1 (ko) 텍스타일 코팅용 고고형분 친수성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투습방수원단
KR100927870B1 (ko) Sebs계 충격흡수 소재용 수성 접착제 조성물
KR101875165B1 (ko) 기계적 강도가 개선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JPH02269723A (ja) 水系ウレタン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