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297A - 선박 침몰 예방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침몰 예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297A
KR20160109297A KR1020150033429A KR20150033429A KR20160109297A KR 20160109297 A KR20160109297 A KR 20160109297A KR 1020150033429 A KR1020150033429 A KR 1020150033429A KR 20150033429 A KR20150033429 A KR 20150033429A KR 20160109297 A KR20160109297 A KR 20160109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airbag
tank
shi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4864B1 (ko
Inventor
문현철
Original Assignee
문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철 filed Critical 문현철
Priority to KR1020150033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864B1/ko
Priority to PCT/KR2016/002420 priority patent/WO2016144124A1/ko
Publication of KR20160109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4Bilge k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4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for indicating inclination or duration of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1/00Drop keels, e.g. centre boards or side boards ; Collapsible keels, or the like, e.g. telescopically; Longitudinally split hinged k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by transfer of solid ball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63C7/1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using inflatable floats external to vessel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63B2043/14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pneumatic, e.g. inflatable on 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 B63B273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침몰 예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선체의 양 측면과, 선수 측 및 선미 측에 각각 설치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을 각각 독립적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구동부와; 상기 선체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전후방향에 대한 기울기와 상기 선체의 좌우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기울기 정보에 따라 상기 선체의 양 측면에 설치된 에어백들 중 어느 일 측면에 설치된 에어백을 팽창시키거나 상기 선수 측과 선미 측에 설치된 에어백들 중 어느 일 측에 설치된 에어백을 팽창시키도록 상기 팽창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는 선체에 구비된 에어백을 통해 선체의 기울어짐이 발생 시 선체의 균형을 신속하게 바로잡을 수 있도록 되어 선박의 침몰을 지연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센서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선체의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에어백을 자동으로 팽창 동작시킴으로써 선체의 균형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선박 침몰 예방장치{Ship balanc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선박 침몰 예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선체에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백과, 선박이 기울어지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센서의 신호에 의해 에어백을 자동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선박의 균형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선박의 침몰을 지연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는 선박 침몰 예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호수 또는 바다를 운항하는 선박은 철판, 비철금속, 목재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건조되고, 건조형태 또한 사용 용도에 따라 유람선, 고속정, 어선 및 뱃놀이에 적합한 보트 등 다양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선박들은 운항 중 충돌에 의한 외부 충격이나 기상악화 등의 영향에 의하여 침몰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선박 침몰로부터 선박 및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선박의 건조시 부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할 수 있는바, 일 예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62867호에는 선체의 양측벽 내측면에 부력재를 부착하되, 상기 부력재가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공기 또는 헬륨 등의 기체가 충진된 튜브나 스티로폼 등의 부력을 갖는 발포물의 형태로 구성하고, 이를 선체에 고정시켜 선박의 부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켜 선체를 보호하고, 선체의 바닥 일부가 파손 또는 전복되는 등의 해난사고시 침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22289호에는 선박의 상하몸체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선체 내부에 경량이며 저밀도인 수분 비흡수 재질의 부력재를 충진하여 구성된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10-2012-0053107호에는 일 측에 공기가 충전되고 방출될 수 있도록 밸브가 형성된 공기주머니와, 상기 공기주머니를 감싸는 이음망과, 일 단이 상기 이음망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선체에 고정되는 고정로프와, 상기 공기주머니의 밸브에 연결되는 공기호스와, 상기 공기호스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주머니에 공기를 충전하는 에어컴프레셔 및 공기주머니와 에어콤프레셔 사이에 에어콤프레셔를 통해 발생된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시켜 저장하였다가 밸브의 개폐동작으로 공기주머니에 압축된 공기를 주입하는 압축고압탱크를 포함하는 선박의 침몰방지용 에어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침몰방지장치들은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선박이 일 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침몰되는 선박에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이 결여되어 있어, 선박이 균형을 잃고 순간적으로 침몰하는 경우에는 이를 지연시키거나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박의 선체에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백을 설치하고, 선박의 기울어짐 및 침몰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여 선박이 기울어지거나 침몰시 센서의 신호에 의해 에어백이 순간적으로 자동 팽창시킴으로써 선박에 부력을 제공하여 선체의 균형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침몰을 지연 또는 방지할 수 있는 선박 침몰 예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는 선체의 양 측면과, 선수 측 및 선미 측에 각각 설치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을 각각 독립적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구동부와; 상기 선체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전후방향에 대한 기울기와 상기 선체의 좌우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상기 선체의 양 측면에 설치된 에어백들 중 어느 일 측에 설치된 에어백을 팽창 또는 양측에 설치된 에어백 모두를 팽창시키거나 상기 선수 측과 선미 측에 설치된 에어백들 중 어느 일 측에 설치된 에어백을 팽창 또는 양측에 설치된 에어백 모두를 팽창시키도록 상기 팽창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체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에 균형추가 구비된 밸러스트 킬과; 상기 밸러스트 킬을 승강시키기는 승강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선체의 좌우방향에 대한 기울기기 감지 또는 상기 선체의 전후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감지되면, 상기 밸러스트 킬을 상기 선체의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승강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러스트킬의 단부에는 가스를 주입하여 부피를 팽창시키거나, 주입된 가스를 배출시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게 형성된 보조부력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체의 양측에는 상기 에어백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되, 상기 에어백의 팽창시 상기 에어백이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선체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도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체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선체의 좌우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내부에는 유체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제1충전공간과 제2충전공간이 각각 마련된 제1탱크 및 제2탱크와; 상기 제1탱크 및 제2탱크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는 유체공급부와; 상기 제1탱크 및 제2탱크에 충전된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유체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기울기 정보에 따라 상기 유체공급부와 상기 유체배출부를 통해 상기 제1탱크 또는 상기 제2탱크에 각각 유체를 공급되게 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는 선체에 구비된 에어백을 통해 선체의 기울어짐 발생 시 선체의 균형을 신속하게 바로잡을 수 있도록 되어 선박의 침몰을 지연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센서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선체의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에어백을 자동으로 팽창 동작시킴으로써 선체의 균형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가 선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 침몰 예방장치의 작동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박 침몰 예방장치의 밸러스트킬 및 승강구동부를 나타낸 발췌사시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밸러스트킬 및 승강구동부의 단면도.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밸러스트킬 및 승강구동부의 작동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8은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밸러스트킬의 변형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밸러스트킬의 작동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선박 침몰 예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는 선체(100)의 양 측면과, 선수 측 및 선미 측에 각각 설치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을 각각 독립적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구동부(300)와; 상기 선체(100)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100)의 전후방향에 대한 기울기와 상기 선체(100)의 좌우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부(400)와; 상기 센서부(400)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상기 선체(100)의 양 측면에 설치된 에어백들 중 어느 일 측에 설치된 에어백을 팽창 또는 양측에 설치된 에어백을 모두 팽창시키거나 상기 선수 측과 선미 측에 설치된 에어백들 중 어느 일 측에 설치된 에어백을 팽창 또는 양측에 설치된 에어백을 모두 팽창시키도록 상기 팽창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구비한다.
상기 에어백은 선체(100)의 양 측면 즉, 좌현 측 및 우현 측과, 선수 측 및 선미 측에 각각 구비되어 수중에서 물체를 떠오르게 할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에어백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어백은 압축된 가스 또는 공기가 카트리지 또는 탱크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 또는 탱크를 개방시켜 내부의 가스 또는 공기가 에어백 내부에 충전됨으로써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은 평상시에는 부피가 작은, 바람직하게는 매우 얇은 팩 모양으로 구비되어 선체(100)의 부피를 차지하지 않지만, 선박의 침몰시 팽창하며 선박에 부력을 제공하는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에어백이라면 어떠한 에어백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에어백은 선체(100)의 양 측면 중 좌측에 설치되는 제1에어백(210)들과 선체(100)의 우측에 설치되는 제2에어백(220)들과, 선체(100)의 선수 측에 설치되는 제3에어백(230)들과, 선체(100)의 선미 측에 설치되는 제4에어백(240)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에어백(210) 내지 제4에어백(240)의 개수는 선박의 무게 및 에어백의 부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감할 수 있는바, 적어도 에어백이 구비되는 선박이 침몰되지 않을 정도의 부력을 갖는 개수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백(210) 내지 제4에어백(240)은 각각 다수의 에어백들이 직렬 또는 병렬로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바, 후술하는 센서부(400)에서 감지되는 작동신호에 함께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은 선체(100)의 일 측에 연결설치되어 수중에서 물체를 떠오르게 할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에어백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압축된 이산화탄소 또는 공기가 카트리지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를 개방시켜 내부의 이산화탄소가 일정한 형상의 에어백 내부에 충진되어 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에어백은 평상시에는 부피가 작은 팩 모양으로 구비되어 선체(100)의 부피를 차지하지 않지만, 선박의 침몰시 팽창하며 부력을 갖게 되는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에어백이라면 어떠한 에어백이라도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는 상기 선체(100) 하부 양측 내부에 상기 에어백을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선체(100)의 양측 외측에 개폐도어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개폐도어는 에어백의 팽창시 에어백이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면서 자동을 개방될 수 있도록 상측이 선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와 다르게 별도의 개폐구동부(일 예로, 유압 및 공압 실린더 등)를 통해 개폐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개폐구동부는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구동부(300)는 상기 에어백에 부력이 발생하도록 후술하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에어백으로 가스나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나 공기가 압축되어 있는 탱크 및 탱크에 압축된 가스 또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적용할 수 있으나, 선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압축기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구동부(300)는 하나의 탱크에 가스 또는 공기를 압축시켜 놨다가 해당 에어백에 대해서만 가스 또는 공기를 공급하는 중앙공급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으나, 이와 다르게 각각의 에어백에 가스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별도의 탱크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에어백을 독립적으로 작동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400)는 선박의 선체(100) 일 측에 구비되어 선박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선박의 전후방향(선수 측 또는 선미 측)에 대한 기울어짐뿐만 아니라 선박의 좌우방향(좌측 또는 우측)에 대한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기울어진 상태에 대한 지속시간을 측정하며, 감지된 기울기 및 지속시간을 후술하는 제어부(500)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센서부(400)는 선박의 침몰을 감지 및 감지 신호를 제어부(500)로 전달하여 에어백이 팽창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선박의 침몰을 감지하는 동시에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센서부(400)에서 감지된 정보 즉, 기울기정보와 지속시간정보에 따라 상기 선체(100)의 양 측면에 설치된 제1에어백(210)들 및 제2에어백(220)들 중 어느 일 측면에 설치된 에어백을 팽창시키거나, 상기 선수 측과 선미 측에 설치된 제3에어백(230)들과 제4에어백(240)들 중 어느 일 측에 설치된 에어백들을 팽창시키도록 상기 팽창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일 예로, 선박이 침몰하는 경우, 더욱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00)가 좌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침몰하는 경우, 센서부(400)에서는 좌측으로의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기울기정보와 지속시간정보를 송출하게 되며, 이때 제어부(500)는 팽창구동부(300)를 통해 선체(100)의 좌측에 설치된 제1에어백(210)들이 팽창되도록 제1에어백(210)들에 가스 또는 공기를 즉시 순간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선체(100)가 좌측으로 더 이상 침몰되는 것을 방지 또는 침몰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선체(100)가 후미 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침몰하는 경우 센서부(400)에서는 선체(100)의 후미 측으로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기울기정보 및 지속시간정보를 제어부(500)로 송출하며, 제어부(500)는 선체(100)의 후미 측에 설치된 제4에어백(240)들이 팽창되도록 팽창구동부(300)를 제어하며 제4에어백(240)에 부력을 발생되게 함으로써 선체(100)의 선미 측으로 선박이 더 이상 침몰되는 것을 방지 또는 침몰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파랑이 심해 선박이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상태가 반복될 때에는 제1에어백 내지 제4에어백을 모두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침몰이라 함은 선박이 물속으로 완전히 가라앉은 것을 의미한다기보다는 선박 간의 충돌이나, 파도 또는 과도한 변침에 의한 전복 및 파속 등에 의해 선박의 복원력 한계를 넘어서 기울어짐이 시작되는 상태로서 아직 물속으로 가라앉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파랑에 의한 선체(100)의 단순한 흔들림과 선체(100)가 침몰할 정도의 기울어짐을 구분할 수 있도록 기준 기울기를 설정해놓고, 센서부(400)로부터 송출된 감지 기울기 즉, 현재 선체(100)의 기울기가 상기 기준 기울기 및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복원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경우에만 팽창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기 에어백은 센서부(400)에서 감지된 기울기 정보를 통해 자동으로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선박의 탑승자가 수동조작으로 제어부(500)에 작동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별도의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는 선체(100)에 구비되어 순간적으로 팽창하는 에어백을 통해 선체(100)의 기울어짐이 발생 시 선체(100)의 균형을 신속하게 바로잡을 수 있도록 되어 선박의 침몰을 지연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센서부(4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선체(100)의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순간적으로 에어백을 자동으로 팽창 동작시킴으로써 선체(100)의 균형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 균형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는 상기 선체(100)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에 균형추(650)가 구비된 밸러스트 킬(600)과; 상기 밸러스트 킬(600)을 승강시키기는 승강구동부(70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센서부(400)에서 상기 선체(100)의 좌우방향에 대한 기울기기 감지 또는 상기 선체(100)의 전후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감지되면, 상기 밸러스트 킬(600)을 상기 선체(100)의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승강구동부(7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밸러스트 킬(600)은 선박의 하부로 하단이 노출될 수 있도록 선박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구동부(700)는 상기 밸러스트 킬(60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700)는 상기 밸러스트 킬(600)을 감싸도록 형성된 메인하우징(710)과, 상기 메인하우징(710)의 외측에서 상기 밸러스트 킬(60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롤러(720)와, 상기 롤러(72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30)와, 상기 롤러(720)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메인하우징(710)에 고정된 서브하우징(740)을 포함한다. 상기 롤러(720)는 상기 밸러스트 킬(60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상기 밸러스트 킬(6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모터(73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밸러스트 킬(600)의 외주면에 접한 상태로 회전되면서 상기 밸러스트 킬(600)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기 밸러스트 킬(600)은 평상시 선박의 바닥과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다가 센서부(400)로부터 제어부(500)로 설정된 기준 기울기 이상의 기울기 정보가 송출되면,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승강구동부(700)가 작동하면서 승강구동부(700)의 의해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된다.
이때, 상기 밸러스트 킬(600)의 돌출방향을 선박의 저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하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밸러스트 킬(600)은 하단에 선체(100)의 기울어짐을 원래의 상태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하단에 무거운 균형추(650)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균형추(6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에 의해 선체(100)가 기울어지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선체(100)가 기울어지지 않은 원래의 상태 즉, 평상시 상태로 복원시키려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는 상기 선체(100)의 양 측면 상단과, 선수 측 상단 및 선미 측 상단에 각각 주입되는 가스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거나, 주입된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는 보조부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는 도 3 내지 6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 적용된 밸러스트 킬(601)를 회전시킴으로써 균형유지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의 밸러스트 킬(601)은 선체(1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중심축(602)을 중심으로 선체(100)의 폭 방향과 대응되는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선체(100)에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밸러스트 킬(601)은 선체(100)에 고정설치된 중심축(602)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내측에 중심축이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슬릿(603)이 형성되어 있으며, 별도의 승강유닛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밸러스트 킬(601)의 회전 동작 또한 별도의 회동유닛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밸러스트 킬(601)의 단부에는 주입되는 가스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면서 부력을 제공하는 보조에어백(604)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00)가 일 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밸러스트 킬(601)을 하강시킨 후 보조에어백(604)에 가스를 주입하면, 보조에어백(604)에서 발생하는 부력에 의해 선체(100)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밸러스트 킬(601)의 구조만을 적용할 수도 있으나,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밸러스트 킬(600)과 함께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는 선박의 충돌에 의한 침몰을 방지하기 위해 선박 주변에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선체를 따라 설치되는 근접센서들과,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선체에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할 시, 선체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에서 감지하는 신호는 제어부로 송출되며, 제어부에서는 완충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완충유닛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부재를 선체의 내측에 내장 또는 선체 가장자리 상측에 권취하고 있다가 제어유닛으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선체의 측면 또는 가장자리를 보호하도록 펼쳐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완충유닛은 견고한 소재로 형성된 에어백으로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근접센서에서 감지신호가 송출되면, 에어백으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순간적으로 팽창할 수 있도록 하여, 선박으로 근접하는 물체가 충돌하기 이전에 완전히 팽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돌 발생 후, 충돌이 발생한 측과 반대되는 측에 설치된 에어백은 순간적으로 팽창되도록 함으로써 충돌에 의한 충격력에 의해 선박이 침몰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는 제1탱크(801) 및 제2탱크(802)와, 유체공급부(803)와, 유체배출부(804)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1탱크(801) 및 제2탱크(802)는 선박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있으며, 각각의 내부에는 유체를 충전할 수 있도록 제1충전공간과 제2충전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체는 얻기 용이한 바닷물을 적용한다.
상기 유체공급부(803)는 상기 제1탱크(801) 또는 제2탱크(802) 내부에 유체를 각각 독립적으로 주입하는 것으로서, 선박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제어부(5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유체배출부(804)는 상기 제1탱크(801) 및 제2탱크(802)에 충전된 유체를 제1탱크(801) 또는 제2탱크(802)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어부(5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센서부(400)에서 감지된 기울기 정보에 따라 상기 유체공급부(803)와 상기 유체배출부(804)를 통해 상기 제1탱크(801) 또는 상기 제2탱크(802)에 각각 유체를 공급되게 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일 예로, 상기 센서부(400)에서 감지된 기울기 정보가 선박이 일 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유체배출부(804)를 통해 일 측에 배치된 제1탱크(801) 또는 제2탱크(802)로부터 유체를 배출시키고 공기를 채워 넣음으로써 선박의 일 측에 부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유체공급부(803)를 통해서는 타 측에 배치된 제2탱크(802) 또는 제1탱크(801)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선박의 균형을 지속적이면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침몰 예방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선체 210 : 제1에어백
220 : 제2에어백 230 : 제3에어백
240 : 제4에어백 300 : 팽창구동부
400 : 센서부 500 : 제어부
600 : 밸러스트 킬 700 : 승강구동부

Claims (5)

  1. 선체의 좌우현 양 측면과, 선수 측 및 선미 측에 각각 설치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을 각각 독립적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구동부와;
    상기 선체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전후방향에 대한 기울기와 상기 선체의 좌우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상기 선체의 양 측면에 설치된 에어백들 중 어느 일 측에 설치된 에어백을 팽창 또는 양측에 설치된 에어백 모두를 팽창시키거나 상기 선수 측과 선미 측에 설치된 에어백들 중 어느 일 측에 설치된 에어백을 팽창 또는 양측에 설치된 에어백 모두를 팽창시키도록 상기 팽창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침몰 예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에 균형추가 구비된 밸러스트 킬과;
    상기 밸러스트 킬을 승강시키기는 승강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선체의 좌우방향에 대한 기울기기 감지 또는 상기 선체의 전후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감지되면, 상기 밸러스트 킬을 상기 선체의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승강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침몰 예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킬의 단부에는 가스를 주입하여 부피를 팽창시키거나, 주입된 가스를 배출시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게 형성된 보조부력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침몰 예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양측에는 상기 에어백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되, 상기 에어백의 팽창시 상기 에어백이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선체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도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침몰 예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선체의 좌우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내부에는 유체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제1충전공간과 제2충전공간이 각각 마련된 제1탱크 및 제2탱크와;
    상기 제1탱크 및 제2탱크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는 유체공급부와;
    상기 제1탱크 및 제2탱크에 충전된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유체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기울기 정보에 따라 상기 유체공급부와 상기 유체배출부를 통해 상기 제1탱크 또는 상기 제2탱크에 각각 유체를 공급되게 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침몰 예방 장치.
KR1020150033429A 2015-03-10 2015-03-10 선박 침몰 예방장치 KR101694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429A KR101694864B1 (ko) 2015-03-10 2015-03-10 선박 침몰 예방장치
PCT/KR2016/002420 WO2016144124A1 (ko) 2015-03-10 2016-03-10 선박 침몰 예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429A KR101694864B1 (ko) 2015-03-10 2015-03-10 선박 침몰 예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297A true KR20160109297A (ko) 2016-09-21
KR101694864B1 KR101694864B1 (ko) 2017-01-10

Family

ID=56879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429A KR101694864B1 (ko) 2015-03-10 2015-03-10 선박 침몰 예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4864B1 (ko)
WO (1) WO201614412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2440A (zh) * 2021-08-31 2021-11-23 广东海洋大学 一种船舶应急堵漏装置
KR102356064B1 (ko) * 2021-07-22 2022-02-08 주식회사 오토퓨어 수평유지장치를 갖춘 이동 가능한 소독기
KR20220121453A (ko) * 2021-02-25 2022-09-01 이영재 농약 살포용 보트의 운전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4474B1 (fr) 2017-12-01 2022-04-08 Ixblue Engin maritime flottant a quille de mesure amovible
CN109050819B (zh) * 2018-06-11 2019-10-11 宋志强 一种水中航行器的自救系统
CN108639268A (zh) * 2018-06-21 2018-10-12 广州厚大技术服务有限公司 具有翻船保护装置的船
KR102138705B1 (ko) * 2019-05-24 2020-07-2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전복된 선박 평형 유지 플로팅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562410B (zh) * 2019-09-02 2021-03-30 绍兴市华获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小型船舶防侧翻结构
CN113682464B (zh) * 2021-09-09 2022-08-12 江苏汉科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易于紧急浮撑的防侧翻无人机
CN113650743B (zh) * 2021-09-16 2022-10-21 青岛黄海学院 一种具有多组气囊的船舶防倾覆装置及其工作方法
CN113978641A (zh) * 2021-11-16 2022-01-28 舟山中远海运重工有限公司 一种船舶艏部装载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624A (ko) * 2008-07-23 2010-02-02 고갑석 선박 균형유지 장치
KR101235248B1 (ko) * 2012-04-06 2013-02-20 (주) 군장조선 순간 충격에 능동 대응이 가능한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KR101400003B1 (ko) * 2013-01-25 2014-05-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동요 저감 장치
KR20140144555A (ko) * 2013-06-11 2014-12-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횡동요 억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2758A (ko) * 2005-04-01 2005-06-27 김재석 선박의 로울링을 감소시키는 장치
KR101148067B1 (ko) * 2009-04-14 2012-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횡동요 저감형 선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624A (ko) * 2008-07-23 2010-02-02 고갑석 선박 균형유지 장치
KR101235248B1 (ko) * 2012-04-06 2013-02-20 (주) 군장조선 순간 충격에 능동 대응이 가능한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KR101400003B1 (ko) * 2013-01-25 2014-05-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동요 저감 장치
KR20140144555A (ko) * 2013-06-11 2014-12-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횡동요 억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453A (ko) * 2021-02-25 2022-09-01 이영재 농약 살포용 보트의 운전제어방법
KR102356064B1 (ko) * 2021-07-22 2022-02-08 주식회사 오토퓨어 수평유지장치를 갖춘 이동 가능한 소독기
CN113682440A (zh) * 2021-08-31 2021-11-23 广东海洋大学 一种船舶应急堵漏装置
CN113682440B (zh) * 2021-08-31 2022-07-22 广东海洋大学 一种船舶应急堵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864B1 (ko) 2017-01-10
WO2016144124A1 (ko) 2016-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864B1 (ko) 선박 침몰 예방장치
KR101235248B1 (ko) 순간 충격에 능동 대응이 가능한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US20020144638A1 (en) Automatic inflating watercraft flotation device
KR101879949B1 (ko) 선박 안전 에어백 시스템
KR100791547B1 (ko) 선박의 침몰방지장치
US8087371B1 (en) Deployable and inflatable fendering apparatus and method
CN1465500A (zh) 船舶自动应急避碰减摇脱浅抗沉防倾覆装置
KR101630737B1 (ko)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
EP2836423B1 (en) Righting device for a water vessel
KR102138705B1 (ko) 전복된 선박 평형 유지 플로팅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8557029A (zh) 一种船用应急充气气囊装置
JPH11342893A (ja) エアーバック方式による船舶の転覆防止装置
US20050268837A1 (en) Inflating watercraft flotation device
CN106628043A (zh) 一种船舰防侧翻防沉没装置
US7305931B1 (en) Rigid chambered boat hull with inflatable perimeter
KR20150042337A (ko) 선박용 에어백 시스템
CN2574992Y (zh) 船舶自动应急避碰减摇脱浅抗沉防倾覆装置
KR102086037B1 (ko)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
KR101964836B1 (ko) 횡동요 저감장치
KR200478864Y1 (ko) 자유낙하 구명정의 속도 완화장치
KR101962797B1 (ko) 안전운항을 위하여 선박에 설치된 에어백 운용 시스템
CN114074744A (zh) 一种充气式救生船
KR101649802B1 (ko)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GB2369803A (en) A vessel having emergency inflatable buoyancy means
CN111204424B (zh) 一种便于稳定的安全救生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