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064B1 - 수평유지장치를 갖춘 이동 가능한 소독기 - Google Patents

수평유지장치를 갖춘 이동 가능한 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064B1
KR102356064B1 KR1020210096310A KR20210096310A KR102356064B1 KR 102356064 B1 KR102356064 B1 KR 102356064B1 KR 1020210096310 A KR1020210096310 A KR 1020210096310A KR 20210096310 A KR20210096310 A KR 20210096310A KR 102356064 B1 KR102356064 B1 KR 102356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coupled
sterilizer
disinfectant
leve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대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퓨어
Priority to KR1020210096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의 소독약품(이하 "소독제")을 초음파 진동자로 무화(霧化)시키고, 무화 된 소독제를 먼 거리로 토출시켜 피 소독물을 소독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소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 소독기가 이동되는 동안에도 안정적으로 소독제를 계속 무화시킬 수 있는 수평유지장치를 갖춘 이동 가능한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평유지장치를 갖춘 이동 가능한 소독기{MOVABLE STERILIZER WITH LEVELING DEVICE}
본 발명은 액상의 소독약품(이하 "소독제")을 초음파 진동자로 무화(霧化)시키고, 무화 된 소독제를 먼 거리로 토출시켜 피 소독물을 소독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소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 소독기가 이동되는 동안에도 안정적으로 소독제를 계속 무화시킬 수 있는 수평유지장치를 갖춘 이동 가능한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정의하는 소독기는 사전적 의미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방역을 위해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무화 된 약제를 분사하여 소독, 살균, 멸균을 수행하는 기기나 장치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액상의 소독제를 초음파 진동시켜 무화시키고, 무화 된 소독제를 길이가 긴 배기 호스를 따라 온전히 토출시켜 피 소독물을 소독하고, 또한 배기 호스의 토출구에서 무화 된 소독제의 분출 장면을 볼 수 있는 무화 된 약제를 이용한 소독기를 창안(등록특허 10-2256615/등록일: 2021년 05월 20일)한 바 있다.
전술한 등록특허 10-2256615와 위 등록특허의 실시 품에 대해서는 경향신문 http://www.as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127936(2021. 07. 13 13:53) "용인시 동백2동, 자동차 실내 소독기 설치·운영" 기사내용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등록특허에 개시된 소독기는 차량 출입이 빈번한 장소에 설치하여 해당 장소를 방문한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 내부를 셀프 소독할 수 있는 고정형 소독기이기 때문에 피 소독물을 소독하기 위해서는 해당 소독기가 설치된 장소까지 찾아와야 만 하는 제약이 있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피 소독물이 있는 장소로 소독기를 가지고 이동할 수 있는 무화식 소독기를 창안하기에 이르렀으나, 개발과정에서 소독기가 이동 중일 때에는 소독제가 무화되지 않거나 무화되는 양이 매우 불규칙한 문제가 생기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소독기가 이동 중일 때 초음파 진동자를 갖춘 수조가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것에 기인한다. 즉 수조 속에 담긴 소독제가 초음파 진동자의 표면에 유효하게 접촉되지 않거나 접촉되더라도 접촉 시간이 부족해서 생기는 것을 확인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본 발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소독기의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하기에 이르렀고, 괄목할 만한 성과가 있어 이를 본 발명을 통해 제안하려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무화 된 소독제를 5 ~ 6m까지 먼 거리로 이송시키고, 또한 무화 된 소독제가 토출구에서 분출되는 장면을 확인할 수 있는 부화방식을 채용한 이동 가능한 소독기를 제공하는 것이고, 또한 전술한 소독기가 이동하는 동안에도 소독제를 계속 안정적으로 무화시킬 수 있는 수평유지장치를 갖춘 이동 가능한 소독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해결수단은,
바닥면에 결합된 초음파 진동자를 갖추고, 액상 소독제과 희석제가 혼수된 수조와;
수조 속으로 외기를 공급하는 급기 팬과, 수조 내에서 생성된 무화 된 소독제가 배출될 때 무화 된 소독제를 집속시키는 병목 관을 갖추고, 상기 수조에 기밀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조 뚜껑를 포함하는 무화발생장치와;
소독기의 기울기 변화와 대응하여 상기한 수조를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수조 수평유지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소독기를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무화발생장치는,
바닥에 부착되어 2차 전지의 전원에 의해 가동되는 초음파 진동자를 갖춘 수조와;
기계실 내에 안치되고 소독제가 담긴 소독제 통과;
전술한 양 통 내에 저장된 유체를 수조속으로 펌핑하기 위한 유체펌프와;
상기 수조속으로 외기를 공급하는 급기 팬과, 급기 팬에 의해 유입된 외기 압에 의해 무화 된 소독제가 배출될 때 압력을 집속시키는 병목 관을 갖추고, 상기 수조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조 뚜껑과;
상기 병목 관에 연결되는 주름관를 갖춘 배기계통을 포함한다.
전술한 수조 수평유지수단은 소독기의 기울어짐에 대응하여 전술한 무화발생장치의 수조를 수평하게 유지되도록 소독기의 기계실 내에 장착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괄한다.
전술한 수조 수평유지수단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해결수단은, 중력에 의해 수조가 스스로 수평하게 유지되도록 추를 수조 중심부에 위치되도록 수조에 달고, 수조의 둘레에 전술한 볼과, 그 볼의 축받이로 이루어진 관절을 기계실 내에 설치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채용 예로서는,
수조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수조 저면에 결합되는 추와;
상기 수조의 외부 표면에 결합되는 구 형상의 볼과;
상기 볼이 자유자재로 피벗가능하게 지지하는 볼 축받이를 기계실 내에 고정되게 설치함으로써 수조는 추에 내재된 중력과 중력에 대응하여 볼과 축받이의 구면 결합에 의해 수평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수평유지수단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결수단은, 무화발생장치 전체를 허공에 흔들리도록 기계실 내에 설치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채용 예로서는, 상/하단에 전술한 관절을 갖춘 연장부재 중 상단부는 기계실 내에 설치하고, 하단부는 수조의 중심부에 설치되거나, 상단부의 관절과 수조 사이에 복수의 강선을 결합하여 수조가 흔들리도록 실시하는 것이다.
전술한 볼을 축받이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자유롭게 피벗될 수 있도록 결합되지만 접촉면의 마찰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축받이를 분할되게 구성하고 분할된 양 축받이 요소를 통상의 체결수단으로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체결수단의 체결력에 의해 볼과 접하는 축받이 표면의 밀착력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조의 수평 상태를 유연하게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독기의 수조는 이동 중에도 수평유지수단에 의해 항시 수평하게 유지되므로 수조 내의 초음파 진동자는 소독제속에 침지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일정 량의 무화 된 소독제를 계속 생성하면서 배기계통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유지장치를 갖춘 이동 가능한 소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독기의 기계실 내부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독기의 무화 발생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수조의 평면에서 본 평면도로 수조의 형태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소독기의 수조 수평유지장치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동 전(도 5a)/후(도 5b)의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조 수평유지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로, 그 중 도 6a는 관절을 갖춘 연장부재를 사용하여 수조를 메다는 방식으로 구현한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연장부재를 강선으로 치환한 변경 예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구비한다, 갖추고 있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 또는 장착되어 있다고 기술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중 실시 예에 따른 구성요소에 따른 용어는 단지 예시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그 용어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과제를 해결하는 방식(원리)를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고 이해되도록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예시한 실시 예로 한정하는 의미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평유지장치를 갖춘 이동 가능한 소독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독기를 도시한 사시도로, 소독기(10)는 케이스(1)의 상부에 소독기의 제어를 위한 조작부(4)와, 케이스(1)의 하부에 복수로 결합되는 캐스터(3)와, 상기 케이스(1)의 일측 면에 결합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손잡이(5)와, 케이스(1)의 내부(이하 기계실)에 장착되는 무화발생장치(20, 도 2)와, 상기 무화발생장치(20)에서 생성된 무화 된 소독제의 배출을 유도하는 가요성 호스로 이루어진 배기계통(41)과, 전술한 초음파 진동자(23, 도 2))와 이하에서 설명하는 유체펌프(28, 도 2)에 전원을 공급하는 2차 전지(도면에는 미도시)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독기(10)는 손잡이(5)를 사용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무화발생장치(20)에 의해 소독제를 무화 생성된 무화 된 소독제는 배기계통(41)을 따라 이송되면서 토출된다.
도 1에 도시된 소독기(10)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일 뿐 그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케이스(1)는 하부에 통풍구(2)가 마련되어 그곳을 통해 외기가 기계실 속으로 유입된다.
전술한 조작부(4)는 소독기(10)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on/off) 스위치와, 이하에서 설명하는 수조(21, 도 2) 내의 수위센서(24, 도 3)의 센싱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화면(도면에는 미도시)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독기의 기계실 내부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로, 기계실(도면부호 미표기)은 케이스(1)의 일측에 마련된 도어(도면에는 미도시)를 개방하면 노출되는 소독기(10)의 내부 공간으로, 소독제를 무화시키기 위한 무화발생장치(20, 도 2)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은 전술한 무화 발생장치(20)를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수조(21)를 평면에서 바라 본 평면도로, 수조 형태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무화발생장치(20)는 도 2 내지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닥에 부착되어 2차 전지의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초음파 진동자(23)를 갖춘 수조(21)와;
기계실 내에 안치되고 소독제와 희석제가 혼합된 소독제 통(27)과;
전술한 소독제 통(27) 내의 소독제를 수조(21)속으로 펌핑하기 위한 유체펌프(28)와;
상기 수조(21)속으로 외기를 공급하는 급기 팬(25)과, 급기 팬(25)에 의해 유입된 외기 압력에 의해 무화 된 소독제의 배기 압력을 집속시키는 병목 관(26)을 갖추고, 상기 수조(21)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조 뚜껑(22)과;
상기 병목 관(26)에 연결되는 주름관(40)를 갖춘 배기계통(41)를 포함한다.
전술한 수조(2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이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이외에도 제조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해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소독기(10)는 기계실 내에서 상기 수조(21)를 지지하되, 소독기(10)의 이동시 기울기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수조(21)의 자세를 수평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이를 "수조 수평유지수단(30)"로 약칭함)을 포함한다.
전술한 수조 수평유지수단(30)의 제 1 실시 예로서, 도 2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31)과 상기 볼(31)의 둘레에 접촉되는 축받이(32)로 구성된 관절(도면부호는 표기되지 않음)을 수조(21)의 둘레에 설치하고 수조(21)의 중심부에 추(37)가 위치되도록 수조(21)의 저면에 연장부재(35)를 결합하는 것이다.
따라서, 소독기(10)가 이동될 때 소독기가 기울어지거나 요동치더라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37)는 중력에 의해 언제나 수직하게 교정되므로 그와 연결된 연장부재(35)에 의해 수조(21)는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추(37)는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추(37)의 상단부를 전술한 것과 같은 관절(36)을 채용하여 수조(21)의 중심에 추(37)가 위치되도록 연장부재(도면부호 미표기)를 결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소독기(10)가 단턱이나 움푹패인 지면을 통과더라도 추(37)가 흔들리면서 수조(21)를 수평해지도록 보정할 수 있다.
전술한 수조 수평유지수단(30)의 제 2 실시 예로는 도 2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 단부에 전술한 관절을 갖춘 연장부재(35) 중에서 그 상단부는 기계실 프레임(6)에 설치하고, 하단부는 수조(21)의 중심에 설치되거나, 상단의 관절과 수조(21)의 뚜껑(22) 사이에 연장부재(35)를 복수의 강선(35a)으로 대치하는 방식으로 실시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계실 프레임(6)에 축받이(32)를 마련하고, 상기 축받이(32) 내에 전술한 볼(31)이 사방으로 자유자재로 피벗될 수 있게 결합하고, 상기 볼(31)과 뚜껑(22, 또는 수조(21)) 사이에 복수의 강선(35)이나 연장부재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무화발생장치(20)의 수조(21)는 자중과, 축받이(32)에 접하는 볼의 구면에 의해 자세가 수평하게 보정된다.
전술한 제 2 실시예에 채용된 관절은 볼(31)과 축받이의 밀착력을 조절할 수 있게 축받이를 분할하고, 분할된 양 축받이부(32)(33)가 상기 볼의 일부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채용 예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축받이(32)를 분할하여 하부 축받이(33)를 더 구성하고, 양 축받이(32)(33)가 서로 합체되도록 스크류(도면부호 미표기)로 프레임(6)에 체결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상/하부 축받이(32)(33)를 분해할 수 있으므로 볼(31)을 축받이에 결합하는 것이 더 용이하고, 볼(31)과 접촉 간격을 세밀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한 소독기(10)는 전술한 소독제 통(27) 속에 소독제가 충분하게 담겨 있음을 전제로, 다음과 같이 운전한다.
전술한 조작부(4)의 시작 스위치(도면에는 미도시)를 턴 온(On) 하면 유체펌프(28)는 정해진 회전하면서 소독제 통(27) 내의 유체를 수조(21)속으로 정해진 비율로 펌핑한다.
전술한 유체펌프(28)는 수조(21)내에 마련된 수위센서(24, 도 3)가 센싱될 때까지 구동되고, 수위센서(24)가 센싱(On)되면 정지되고, 초음파 진동자(23)와 급기 팬(25)이 가동(On)된다.
수조(21) 내의 소독제는 초음파 진동자(23)에 의해 무화되면서 수면위로 떠 오르고, 떠 있는 미립자는 급기 팬(25)에 의해 유입되는 에어량에 비례하여 병목 관(26)과 배기계통(41)으로 따라 배출된다.
한편, 전술한 수조(21)의 수위를 항시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켜야 하는 이유는 수조(21) 내의 수위가 과도하게 높거나, 반대로 과도하게 낮을 경우, 초음파 진동자(23)에 의해 생성되는 소독제의 무화 량이 불규칙하게 되거나 발생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술한 소독기(10)가 이동과정에서 기울거나 순간적으로 흔들리더라도 앞서 설명한 것처럼 수조(21)가 수평하게 유지되지만, 이 과정에서 병목 관(26)의 자유단은 괘적을 그리며 회동되어야 하므로 그 회전괘적에 간섭요소가 없어야 하고, 또한 배기계통(41)에 내재되는 사용자의 취급 에너지가 병목 관(26) 쪽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병목 관(26)의 단부에 결합되는 배기계통(41)은 도 2에서 보듯이 주름관(40)과 배기계통(41) 사이에 접속구(42)를 사용하여 연결하되, 상기 접속구(42)는 케이스(1)에 고정되도록 결합하고,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한 접속구(42)를 매개로 주름관(40)과 배기계통(41)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배기계통(41)을 작업자가 파지하고 소독하게 되므로 이때 배기계통에 내재되는 취급 에너지가 병목 관쪽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속구(42)에 결합되는 주름관(40)은 병목 관(26)의 회전운동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가변되면서 배기계통으로 무화 된 소독제가 배출된다.
도 3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25a는 외기가 수조(21)속으로 유입되는 급기구멍이고, 도면부호 26a는 수조 내에서 무화 된 소독제가 배출되는 배기구멍이며, 도면부호 29는 수조(21) 내의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이다.
또한 도 5c 중 미설명 도면부호 36은 추를 수조의 중심에 결합함에 있어 연장부재가 자유자재로 피벗되도록 앞서 설명한 관절과 동일 구성을 지닌 관절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면, 본 발명을 통해 다양한 응용 예나 변경 예를 실시할 수 있지만 그러한 응용예난 변경 예는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1: 소독기 케이스 2: 통풍구
3: 케스터 4: 조작패널
5: 손잡이 6: 기계실 프레임
10: 소독기
20: 무화발생장치 21: 수조
22: 수조 뚜껑 23: 초음파 진동자
24: 수위센서 25: 급기 팬
25a: 급기구멍 25b: 배기구멍
26: 병목 관 27: 소독제 통
28: 유체펌프 29: 배수관
30: 수조 수평유지수단 31: 볼(Ball)
32: 볼 축받이 33: 하부 축받이
37: 추 40: 주름관
41: 배기계통 42: 접속구

Claims (6)

  1.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무화 된 소독제를 분사하여 소독하는 소독기에 있어서,
    바닥에 결합된 초음파 진동자를 갖추고, 액상의 소독제가 담긴 수조와;
    상기 수조속으로 외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 팬이 결합되고 상기 수조 내의 배기압력을 집속시키기 위한 병목 관 및 상기 수조에 결합되는 수조 뚜껑를 포함하는 무화발생장치와;
    수조의 중심에 복수의 연장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추와,
    상기 수조의 둘레에 결합되는 구 형상의 볼과,
    기계실 내에 결합되어 상기 볼을 피벗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가 결합된 프레임으로 구성된 수조 수평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유지장치를 갖춘 이동 가능한 소독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는 분해가능한 한 쌍의 축받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유지장치를 갖춘 이동 가능한 소독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목 관은 주름관과 배기계통이 연통되게 결합되되, 상기 주름관과 배기계통은 소독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접속구를 매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유지장치를 갖춘 이동 가능한 소독기.
KR1020210096310A 2021-07-22 2021-07-22 수평유지장치를 갖춘 이동 가능한 소독기 KR102356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310A KR102356064B1 (ko) 2021-07-22 2021-07-22 수평유지장치를 갖춘 이동 가능한 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310A KR102356064B1 (ko) 2021-07-22 2021-07-22 수평유지장치를 갖춘 이동 가능한 소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064B1 true KR102356064B1 (ko) 2022-02-08

Family

ID=8025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310A KR102356064B1 (ko) 2021-07-22 2021-07-22 수평유지장치를 갖춘 이동 가능한 소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0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6417A (ko) * 2011-03-18 2012-09-26 송태범 차량용 살균 소독장치
KR20160109297A (ko) * 2015-03-10 2016-09-21 문현철 선박 침몰 예방장치
KR102256615B1 (ko) * 2020-08-26 2021-05-31 주식회사 오토퓨어 무화 된 약제를 이용한 소독기
KR20210070724A (ko) * 2019-12-05 2021-06-15 김종복 오뚝이 놀이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6417A (ko) * 2011-03-18 2012-09-26 송태범 차량용 살균 소독장치
KR20160109297A (ko) * 2015-03-10 2016-09-21 문현철 선박 침몰 예방장치
KR20210070724A (ko) * 2019-12-05 2021-06-15 김종복 오뚝이 놀이기구
KR102256615B1 (ko) * 2020-08-26 2021-05-31 주식회사 오토퓨어 무화 된 약제를 이용한 소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9508B2 (en) Aerosol Extraction Apparatus
AU2006280402B2 (en) Self-contained deactivation device
JP7216978B2 (ja) 次亜塩素酸水噴霧装置
KR102231994B1 (ko) 소독 분무기
JP2010274019A (ja) 可搬式除菌・消臭噴霧器
EP2731633B1 (en) Mobile device for supply of ozonated liquid
KR102272586B1 (ko) 파형분무형 소독 분무기
KR102356064B1 (ko) 수평유지장치를 갖춘 이동 가능한 소독기
KR20110108509A (ko) 초음파 가습원리를 이용한 과산화수소 의료용 소독장치
JPH09225353A (ja) 噴霧装置
KR102392195B1 (ko) 게이트형 살균 소독장치
KR102344333B1 (ko)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
KR102493428B1 (ko)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
CN213268065U (zh) 消毒杀菌系统及挖掘机
KR101618456B1 (ko) 이동형 연무 방제 장치
KR100927792B1 (ko) 약제 분무장치
WO20220672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tomizing liquids
CN215194062U (zh) 一种用于动物疫病检测的pcr仪清洗消毒装置
KR102484294B1 (ko) 스마트 방역 및 탈취용 이동식 안개분사기
CN219127530U (zh) 一种雾化消毒器
US20100143204A1 (en) Portable decontamination and deodorization systems
WO2021231974A1 (en) Process and system for ultrasonic dry mist dispenser and ozone sanitizer
CN114653498A (zh) 一种消毒机器人
JP2023105772A (ja) 消毒装置
JP2539804Y2 (ja) 超音波霧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